KR100990246B1 -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 - Google Patents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246B1
KR100990246B1 KR1020080093826A KR20080093826A KR100990246B1 KR 100990246 B1 KR100990246 B1 KR 100990246B1 KR 1020080093826 A KR1020080093826 A KR 1020080093826A KR 20080093826 A KR20080093826 A KR 20080093826A KR 100990246 B1 KR100990246 B1 KR 100990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ember
constant speed
retainer
ring
in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8440A (ko
Inventor
유순기
Original Assignee
유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순기 filed Critical 유순기
Publication of KR20100018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2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 F16H48/28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using self-locking gears or self-braking gears
    • F16H48/29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using self-locking gears or self-braking gears with self-braking intermeshing gears having perpendicular arranged axes and having worms or helical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치용 감속장치 및 각종 산업자동화 감속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자결(self locking)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클러치나 변속레버의 인위적인 조작 없이 입력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시계방향의 부하측은 감속되고, 반시계방향의 무부하측은 정속(定速)되도록 하며, 출력축에 부하가 걸리더라도 역회전 되지 않는 자결(self locking) 기능, 사용자가 요망하는 작업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인라인 구성, 입력축과 축력축의 회전방향성 정립, 저소음 실현, 내구성 향상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게 한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시계방향으로는 정속속도로, 반시계 방향으로는 감속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발명되었으며, 또한 출력축에 부하가 걸려도 각 기어군의 이빨이 서로 맞물려 일체가 되어 역회전이 되지 않는 자결구조(self locking mechanism)를 가지고 있어 역회전을 방지하는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 없이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입력축과 출력축이 인라인 형태로 발명되어 있는 것과 입력축 회전방향과 출력축 회전 방향이 같으며, 토크가 걸리지 않는 다른 기어군에서는 불필요한 접촉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발명이다.
자결구조, 입력수단, 정속 및 감속경사링, 리테이너, 조절링

Description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Reduction device having self locking function}
본 발명은 윈치용 감속장치 및 각종 산업자동화 감속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자결(self locking)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러치나 변속레버의 인위적인 조작 없이 입력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시계방향의 부하측은 감속되고, 반시계방향의 무부하측은 정속(定速)되도록 하며, 출력축에 부하가 걸리더라도 역회전 되지 않는 자결(self locking) 기능, 사용자가 요망하는 작업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인라인 구성, 입력축과 축력축의 회전방향성 정립, 저소음 실현, 내구성 향상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게 한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종래의 윈치 및 각종 액츄레이터, 리프트 등에 사용되는 감속장치는 원통형의 드럼에 로프를 감아서 중량물을 끌어올리거나 끌어내리고, 상승 및 하강시키는 기계장치에 사용된다.
상기 목적에 사용되는 감속장치는 일반적으로 동력원을 유압모터나 전기모터 를 사용하는 전동감속장치와, 비교적 적은 하중에 핸들레버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수동윈치 감속장치로 크게 분류되며, 그 사용목적은 일반산업기계 및 토목, 광산 등의 다양한 구조의 산업용 윈치 감속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수동 및 자동윈치 감속장치는 중량물을 취급하는데 있어서 중량물의 부하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속도로 중량물을 운반취급하게 되어 기계의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그 가동비가 증대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일정비율을 가진 감속장치는 지금까지 윈치형 감속장치 등과 같이 사용목적에 맞게 다양한 종류가 산업현장에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0114430호 "바이스"와 일본국 특허 제2005-221072호 "2단 변속식의 회전전달장치" 등은 그 실례로 사용목적에 맞게 부가적인 장치나 수동 조작에 의해서 2단변속이 가능한 감속장치를 발명하여 선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선 출원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0114430호 "바이스"는 일반적인 유성감속장치의 구조에 있어서, 입력 선기어로 유성감속장치의 유성기어에 탈·부착함으로서 2단변속이 이루어지는 장치이며, 상기 2단 변속 방식에 있어서는 별도의 추가 설치된 변속축에 걸림홈의 피치를 따라 핸들 회전방향이 이동가능 하도록 한 장치이며, 상기 변속축 이동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매우 정밀하고 복잡한 가공공정이 요구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는 제작에 소요되는 기간과 비용이 증대될 수밖에 없고 맞물림부가 기어 형태로 접촉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접촉과정에서 치합마찰이 발생 하게 되어 미세조절이 불가능하며, 토크 크기에 따라 접촉면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변속축이 이송장치의 피치 이송각을 충분히 크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변속축 전체길이를 일정이상 단축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일본국 특허 제2005-221072호 "2단 변속식의 회전전달장치"는 비닐하우스 환기장치용 개폐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되었고, 상기 "바이스"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입력 선기어로 유성감속장치의 유성기어에 탈·부착함으로써 2단변속이 이루어지는 장치이며, 2단변속 방식에 있어서는 입력핸들과 일체로 되어있는 입력 선기어를 이동시켜 2단변속을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바이스"와 같이 맞물림부가 기어형태로 접촉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접촉과정에서 치합마찰이 발생하게 되어있으며 작동전 핸들을 전·후 혹은 좌·후우로 이동 후 권취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도 저하될 뿐더러, 작업자의 방향인식 오류에 따른 안전사고도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선 출원2007년 2단 변속이 가능한 감속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선 출원 내용은 클러치나 변속레버의 인위적인 조작이 없이도 입력수단에 의하여 부하 및 무부하 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입력축과 출력축이 인라인 형태로 되어 있는 것과, 입력축 회전방향과 출력축 회전방향이 같으며, 토크가 걸리지 않는 다른 기어군에서는 불필요한 접촉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발명 출원하였는바. 이러한 선 발명은 출력축에 부하가 걸려도 역회전 되지 않는 별도의 브레이크 기능을 부착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문제점을 장기간에 걸쳐 예의 주시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노력하여 완성한 발명으로 종래의 브레이크 기능과 단순기어 조합에 의한 고정회전식 감속장치를 지향하고, 새로운 구동의 감속장치를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클러치나 변속레버의 인위적인 조작 없이 입력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시계방향의 부하측은 감속되고, 반시계방향의 무부하측은 정속(定速)되도록 하며, 출력축에 부하가 걸리더라도 역회전 되지 않는 자결(self locking) 기능, 사용자가 요망하는 작업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인라인 구성, 입력축과 축력축의 회전방향성 정립, 저소음 실현, 내구성 향상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게 한 자결 기능을 갖는 2단 변속 감속장치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하여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1. 출력축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부하시 회전은 감속비율로 회전하며, 무부하시 회전은 정속비율로 회전하는 기능과, 상기 무부하 회전방향 선택을 입력수단에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2단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2. 출력축에 부하가 걸려도 각 기어군의 이빨이 서로 맞물려 일체가 되어 역회전이 되지 않는 자결(self locking) 기능을 가지고 있어 역회전을 방지하는 별도 의 브레이크 장치 없이도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3. 입력축과 출력축이 인라인 형태로 발명되어 있어 사용자가 요망하는 작업환경에 대응할 수 있게 하였다.
4. 입력축 회전방향과 출력축 회전방향의 동일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방향인식 오류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회전방향정립을 실현하였다.
5. 토크가 걸리지 않는 다른 기어군에서는 불필요한 접촉이 없게 하여 저소음실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6. 평치차 전달방식을 채택하여 감속효율(95%이상)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기어 마모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는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별도의 클러치나 변속 레버, 출력축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부하에서는 감속비율로 무부하에서는 정속 비율로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하·후무부하 회전방향 선택을 입력수단에서 조절이 가능하며, 또한 출력축에 부하가 걸려도 각 기어군의 이빨이 서로 맞물려 일체가 되어 역회전이 되지 않는 자결 기능을 가지므로 역회전을 방지하는 별도의 브레이크장치 없이도 사용할 수 있다.
토크가 전달되지 않는 다른 기어군에서는 회전에 따른 불필요한 접촉이 없으 므로 마찰소음 감소 및 내구성 향상 효과가 있다.
입력축과 출력축이 인라인형태로 발명되어 사용자가 요망하는 작업환경에 대응할 수 있으며 입력축 회전 방향과 출력축 회전 방향이 같아 사용자의 방향인식오류에 따른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취급 및 사용이 쉽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어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양분 구성한 하우징과; 상기 베어링으로 하우징에 결합되어 자유 회전하도록 설치공간에 설치한 출력축이 일체 형성된 정속(定速)기어부재 및 감속(減速)기어부재와; 상기 정속기어부재 및 감속기어부재 사이에 개재한 부시와; 양측 하우징에 베어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한 축에 결합되며 감속기어부재 및 정속기어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와 치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2개의 변속기어와; 상기 정속기어부재와 감속기어부재의 내측에 형성한 리테이너 결합공 및 상기 부시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입구가 넓고 내측으로 점차 좁아지는 경사형 작동구멍과; 상기 정속기어부재 및 감속기어부재에 형성된 리테이너 결합공에 회전 자재되게 결합한 리테이너와; 상기 정속기어부재에 형성된 리테이너 결합공 내측의 축공에 축선단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스플라인 형사의 입력축과; 상기 리테이너의 입구에 입력축의 일부가 내입된 상태로 끼워지며, 축 후단에 형성한 나사에 너트를 조립하여 결합하는 동력입력수단과 연결되는 입력보스와; 상기 입력축을 리테이너의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이동시켜는 이 동수단과; 상기 양측 경사형 작동구멍 내측에 위치하도록 리테이너에 원주방향으로 관통한 수개의 조립구멍과; 상기 경사형 작동구멍과 면접하도록 조립구멍에 내입한 마찰부재와; 상기 마찰부재를 지지하도록 입력축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경사형 작동구멍과 마주보는 경사면이 형성된 정속경사링 및 감속경사링과; 상기 정속경사링과 감속경사링의 사이에 개재한 복원스프링 및 정속경사링과 감속경사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입력축에 결합된 멈춤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양분 구성한 하우징과; 상기 베어링으로 하우징에 결합되어 자유 회전하도록 설치공간에 설치한 출력축이 일체 형성된 정속(定速)기어부재 및 감속(減速)기어부재와; 상기 정속기어부재 및 감속기어부재 사이에 개재한 부시와; 양측 하우징에 베어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한 축에 결합되며 감속기어부재 및 정속기어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와 치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2개의 변속기어와; 상기 정속기어부재와 감속기어부재의 내측에 형성한 리테이너 결합공 및 상기 부시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입구가 좁고 내측으로 점차 넓어지는 경사형 작동구멍과; 상기 정속기어부재 및 감속기어부재에 형성된 리테이너 결합공에 회전 자재되게 결합한 리테이너와; 상기 정속기어부재에 형성된 리테이너 결합공 내측의 축공에 축선단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스플라인 형상의 입력축과; 상기 리테이너의 입구에 입력축의 일부가 내입된 상태로 끼워지며, 축후단에 형성한 나사에 너트를 조립하여 결합하는 동력입력수단과 연결되는 입력보스와; 상기 입력축을 리테이너의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이동시켜는 이동수단과; 상기 양측 경사형 작동구멍 내측에 위치하도록 리테이너에 원주방향으로 관통한 수개의 조립구멍과; 상기 경사형 작동구멍과 면접하도록 조립구멍에 내입한 마찰부재와; 상기 마찰부재를 지지하도록 입력축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경사형 작동구멍과 마주보는 경사면이 형성된 정속경사링 및 감속경사링과; 상기 정속경사링과 감속경사링의 사이 및 양측에 위치하도록 입력축에 결합한 멈춤링과; 상기 정속경사링 및 감속경사링과 이들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멈춤링 사이에는 각각 개재한 복원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축을 리테이너의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이동시켜는 이동수단은 입력보스의 외부면에 대칭되게 왼나사 및 오른나사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한 나선형 안내홈과; 상기 나선형 안내홈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리테이너에 형성한 가변구멍과; 상기 가변구멍으로 내입되는 볼과; 상기 2개의 나선형 안내홈 중 어느 하나에 볼을 내입 고정할 수 있도록 리테이너의 외부에 설치한 조절링을 포함하는 구성 또는 상기 입력축의 축후단에 왼나사 및 오른나사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평면에서 볼 때 >형 또는 <이 되게 형성한 나선형 안내홈과; 상기 나선형 안내홈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리테이너에 멈춤링으로 고정 설치한 작동구와; 상기 나선형 안내홈에 안치되는 볼 및 볼의 일부가 내입되도록 작동구에 형성한 걸림구멍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링은 리테이너 외경보다 직경이 조금 큰 치수로 구성하되, 조절링에는 중심에서 조금 벗어난 위치(편심)에 고정볼트를 나사 조립하고, 리테이너에 대칭되게 형성된 2개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찰부재는 볼, 롤러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며, 상기 정속기어부재와 감속기어부재에 형성된 경사형 작동구멍과, 이들 경사형 작동구멍과 대응하도록 입력축에 슬라이드 되게 결합한 정속경사링과 감속경사링은 대응하는 다각형으로 구성하며, 상기 스페이스는 부시 또는 다수개의 강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감속장치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중요부분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정속기어부재 결합 상태 및 감속기어부재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1)의 제1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설치공간(3)이 형성되도록 하우징(2,2')을 양분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2,2')에 의해서 형성되는 설치공간(3)에는 베어링(4)으로 하우징(2,2')에 결합되어 자유 회전하는 출력축(5)이 일체 형성된 정속(定速)기어부재(6)와, 감속(減速)기어부재(7)를 설치하고, 이 두 부재 사이에는 부시 구성의 스페이스(8)를 개재하여 상호 마찰 없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정속기어부재(6)와 감속기어부재(7)에는 동력전달수단(A)을 결합하여 감속기어부재(7)에서 정속기어부재(6) 쪽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양측 하우징(2,2')에 베어링(9)으로 지지되도록 설치한 축(10)에 정속기어부재(6)와 감속기어부재(7)와 치결합되는 2개의 변속기어(11,12)를 설치한 다.
상기 정속기어부재(6)와 감속기어부재(7)의 내측에는 리테이너 결합공(6a,7a)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스페이스(8)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경사형 작동구멍(6b,7b)을 형성한다.
상기 정속기어부재(6)에 형성된 리테이너 결합공(6a)의 내측에는 축공(6c)이 형성되고, 감속기어부재(7)에 형성된 리테이너 결합공(7a)은 관통되어 있으며, 리테이너 결합공(6a,7a)에는 하우징(2') 외부에서 리테이너(13)를 회전 자재되게 결합한다.
상기 경사형 작동구멍(6b,7b)은 스페이스(8) 쪽의 직경이 넓고, 그 반대쪽의 직경은 리테이너 결합공(6a,7a)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조금 큰 치수로 구성한다.
상기 리테이너(13)의 내부에는 정속기어부재(6)에 형성된 리테이너 결합공(6a) 내측의 축공(6c)에 축선단(14a)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입력축(14)을 조립하며, 입력축(14)의 축후단(14b)은 리테이너(13)의 입구에 끼워지며 동력입력수단(15)과 연결되는 입력보스(16)에 입력축(14)의 일부가 내입된 상태로 끼워지며, 축후단(14b)에는 나사를 형성하여 너트(17)를 조립하므로 해서 두 부재를 결합하며, 리테이너(13)와 입력보스(16)에는 입력축(14)을 좌우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0)을 설치한다.
이때 입력축(14)에는 외부에 스플라인을 형성한 구성으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정속기어부재(6)와 감속기어부재(7) 및 리테이너(13)의 내측단이 스플라인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드 되게 상호 축 결합된다.
상기 입력축(14)의 일부가 결합되는 입력보스(16)에는 도 6과 같이 입력축(14)의 스플라인 돌기들이 내입되는 홈(16a)을 크게 형성하여 입력축(14)을 유격이 생기도록 결합 구성한다.
상기 동력입력수단(15)으로는 도시된 바에 의하면 입력보스(16)에 손잡이(15a)가 결합된 아암(15b)을 형성하여 수동으로 구동되도록 하였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동력입력수단(15)으로 모터 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이동수단(20)은 하우징(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그 구성은 입력보스(16)의 외면에 대칭되게 왼나사 및 오른나사 방향으로 함몰되게 나선형 안내홈(21,22)을 형성하고, 리테이너(13)에는 나선형 안내홈(21,2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가변구멍(23)을 형성하며, 가변구멍(23)으로 볼(24)을 내입한다. 그리고 리테이너(13)의 외부에는 2개의 나선형 안내홈(21,22) 중 어느 하나에 볼(24)을 내입 고정할 수 있도록 조절링(25)을 설치한다.
상기 조절링(25)은 리테이너(13) 외경보다 직경이 조금 크게 구성되며, 조절링(25)에는 중심에서 조금 벗어난 위치(편심)에 고정볼트(26)를 나사 조립하고, 리테이너(13)에는 2개의 걸림홈(27)을 대칭되게 형성하여 고정볼트(26)가 2개의 걸림홈(27)에 조립되는 위치에 따라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나사 및 오른나사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나선형 안내홈(21,22)에 볼(24)에 선택적으로 내입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리테이너(13)에는 양측 경사형 작동구멍(6b,7b) 내측에 위치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조립구멍(13a)을 수개 관통한다.
상기 각 조립구멍(13a)에는 경사형 작동구멍(6b,7b)과 면접하는 마찰부재(30)를 내입하고, 리테이너(13) 내부를 통과하는 입력축(14)에는 경사형 작동구멍(6b,7b)과 마주보는 경사면(31a,32a)이 형성된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을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마찰부재(30)를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은 입력축(14)에 결합된 멈춤링(33)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며,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 사이에는 복원스프링(34)을 개재한다.
상기 복원스프링(34)은 중립 위치에서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을 밀어서 마찰부재(30)가 정속기어부재(6)와 감속기어부재(7)에 형성된 경사형 작동구멍(6b,7b)에 밀착되어 역추력 발생을 차단하는 자결 기능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마찰부재(30)는 강구, 롤러 등의 것이 선택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1)를 사용코자 할 시에는 먼저 동력입력수단(15)의 회전방향에 따라 부하가 걸리는 감속기어부재(7)에 동력이 전달되게 이동수단(20)의 조절링(25)을 조절한다.
즉, 동력입력수단(15)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오른쪽)일 때에는 이동수단(20)의 볼(24)이 오른나사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형 안내홈(21)에 위치하도록 하고, 동력입력수단(15)의 회전방향이 반시계방향(왼쪽)일 때에는 이동수단(20)의 볼(24)이 왼나사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형 안내홈(22)에 위치하도록 하면 된다.
이하에서 동력입력수단(15)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오른쪽)이고, 이동수 단(20)의 볼(24)이 오른나사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형 안내홈(21)에 위치한 상태일 때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동력입력수단(1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테이너(13)에 결합되어 있는 입력보스(16)가 나선형 안내홈(21)의 1/2 만큼 공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입력보스(16)는 입력축(14)과 함께 리테이너(13)의 바깥쪽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입력보스(16)가 입력축(14)과 함께 리테이너(13)의 바깥쪽으로 이동되면 입력축(14)에 슬라이드 되게 결합되고 멈춤링(33)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며 복원스프링(34)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이 함께 이동된다.
이때 감속경사링(32)이 감속기어부재(7)에 형성된 경사형 작동구멍(7a)과 접하는 마찰부재(30)를 가압하게 되고, 입력축(14)의 회전력이 마찰부재(30)를 통해서 감속기어부재(7)에 전달되어 감속기어부재(7)를 구동하게 되고(정속기어부재(6)와 마찰부재(30)는 떨어진 상태를 유지함), 감속기어부재(7)와 정속기어부재(6)에 치결합되는 변속기어(11,12)를 통해서 구동력이 전달되어 출력축(5)을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동력입력수단(15)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테이너(13)에 결합되어 있는 입력보스(16)가 나선형 안내홈(21) 만큼 공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입력보스(16)는 입력축(14)과 함께 리테이너(13)의 안쪽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입력보스(16)가 입력축(14)과 함께 리테이너(13)의 안쪽으로 이동되면 입력축(14)에 슬라이드 되게 결합되고 멈춤링(33)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며 복원스프링(34)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이 함께 이동된다.
이때 정속경사링(31)이 정속기어부재(6)에 형성된 경사형 작동구멍(6b)과 접하는 마찰부재(30)를 가압하게 되고(감속기어부재(7)와 마찰부재(30)는 떨어진 상태를 유지함), 입력축(14)의 회전력이 마찰부재(30)를 통해서 정속기어부재(6)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동력입력수단(15)을 정지한 상태에서는 이동수단(20)의 볼(24)이 나선형 안내홈(21)의 중립 위치에 있게 되는데, 이런 상태에서 정속기어부재(6)가 회전할 경우 입력축(14)에 결합되어 있는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복원스프링(34)의 탄성력이 두 부재에 동일하게 제공되며, 이때 마찰부재(30)가 이들 두 부재와 정속기어부재(6) 및 감속기어부재(7)의 경사형 작동구멍(6b,7b)에 함께 마찰되면서 정·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자결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감속장치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 2실시예는 기본 구성이 상기 제1실시예와 대체로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동일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감속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경사형 작동구멍(6b,7b)은 스페이스(8) 쪽의 직경이 리테이너 결합공(6b,7b)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조금 큰 치수로 구성되고, 그 반대쪽의 직경은 확대된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리테이너 결합공(6b,7b)에 결합되는 리터이너(13)에는 양측 경사형 작동구멍(6b,7b) 내측에 위치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조립구멍(13a)을 수개 관통한다.
상기 각 조립구멍(13a)에는 경사형 작동구멍(6b,7b)과 면접하는 마찰부재(30)를 내입하고, 리테이너(13) 내부를 통과하는 스플라인 형상의 입력축(14)에는 경사형 작동구멍(6b,7b)과 마주보는 경사면(31a,32a)이 형성된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을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마찰부재(30)를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정속경사링(31)의 후단은 도 10과 같이 리테이너(13)의 내측단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측 단면이 다각형 구조로 상호 결합된다.
상기 입력축(14)에는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의 사이와 양측에 위치하도록 3개의 멈춤링(33)을 결합하고, 정속경사링(31) 및 감속경사링(32)과 이들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멈춤링(33) 사이에는 각각 복원스프링(34)을 개재한다.
상기 복원스프링(34)은 중립 위치에서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을 밀어서 마찰부재(30)가 정속기어부재(6)와 감속기어부재(7)에 형성된 경사형 작동구멍(6b,7b)에 밀착되어 역추력 발생을 차단하는 자결 기능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1)를 사용코자 할 시에는 먼저 동력입력수단(15)의 회전방향에 따라 부하가 걸리는 감속기어부재(7)에 동력이 전단되게 이동수단(20)의 조절링(25)을 조절한다.
즉, 동력입력수단(15)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오른쪽)일 때에는 이동수단(20)의 볼(24)이 오른나사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형 안내홈(21)에 위치하도록 하 고, 동력입력수단(15)의 회전방향이 반시계방향(왼쪽)일 때에는 이동수단(20)의 볼(24)이 왼나사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형 안내홈(22)에 위치하도록 하면 된다.
이하에서 동력입력수단(15)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오른쪽)이고, 이동수단(20)의 볼(24)이 오른나사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형 안내홈(21)에 위치한 상태일 때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동력입력수단(1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테이너(13)에 결합되어 있는 입력보스(16)가 나선형 안내홈(21) 만큼 공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입력보스(16)는 결합되어 있는 입력축(14)과 함께 리테이너(13)의 바깥쪽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입력보스(16)가 입력축(14)과 함께 리테이너(13)의 바깥쪽으로 이동되면 입력축(14)에 슬라이드 되게 결합되고 멈춤링(33)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게 고정되며 복원스프링(34)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이 함께 이동된다.
이때 감속경사링(32)이 감속기어부재(7)에 형성된 경사형 작동구멍(7b)과 접하는 마찰부재(30)를 가압하게 되고, 입력축(14)의 회전력은 마찰부재(30)를 통해서 감속기어부재(7)에 전달되어 감속기어부재(7)를 구동하게 되며(정속기어부재(6)와 마찰부재(30)는 떨어진 상태를 유지함), 감속기어부재(7)와 치결합되는 변속기어(11,12)를 통해서 정속기어부재(6)로 구동력이 전달되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동력입력수단(15)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테이너(13)에 결합되어 있는 입력보스(16)가 나선형 안내홈(21) 만큼 공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입력보스(16) 는 결합되어 있는 입력축(14)과 함께 리테이너(13)의 안쪽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입력보스(16)가 입력축(14)과 함께 리테이너(13)의 안쪽으로 이동되면 입력축(14)에 슬라이드 되게 결합되고 멈춤링(33)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게 고정되며 복원스프링(34)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이 함께 이동된다.
이때 정속경사링(31)이 정속기어부재(6)에 형성된 경사형 작동구멍(6a)과 접하는 마찰부재(30)를 가압하게 되고(감속기어부재(7)와 마찰부재(30)는 떨어진 상태를 유지함), 입력축(14)의 회전력이 마찰부재(30)를 통해서 정속기어부재(6)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동력입력수단(15)을 정지한 상태에서는 이동수단(20)의 볼(24)이 나선형 안내홈(21)의 중립 위치에 있게 되는데, 이런 상태에서 정속기어부재(6)가 회전할 경우 입력축(14)에 결합되어 있는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복원스프링(34)의 탄성력이 두 부재에 동일하게 제공되는데, 이때 마찰부재(30)가 이들 두 부재와 정속기어부재(6) 및 감속기어부재(7)의 경사형 작동구멍(6b,7b)에 함께 마찰되면서 정·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자결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감속장치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3실시예는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정 회전 혹은 역회전 구분 없이 감속이 이루어지고, 정지 시 자결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본 발명 제3실시예의 특징은 상기 1실시예와는 달리 입력축(14)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환봉 형상으로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이 단순 끼움 조립된다.
상기 정속기어부재(6)와 감속기어부재(7)에 형성된 경사형 작동구멍(6b,7b)과, 이들 경사형 작동구멍(6b,7b)과 대응하도록 입력축(14)에 슬라이드 되게 결합한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은 외형이 육각형(다각형)으로 구성한다.
상기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에는 수평걸림부(31a,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평걸림부(31a,32a)는 정속기어부재(6) 및 감속기어부재(7)에 형성된 리테이너 결합공(6a,7a)에 끼움되는 리테이너(13)에 형성된 육각구멍(13b)에 끼움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축(14)을 좌우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0)으로, 입력축(14)의 후단에 왼나사 및 오른나사 방향으로 함몰되는 나선형 안내홈(21,22)을 평면에서 볼 때 >형 또는 <이 되게 형성하고, 리테이너(13)의 육각구멍(13b)에는 나선형 안내홈(21,22)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형이 육각형인 작동구(28)를 조립하여 멈춤나사(29)로 고정 설치하되, 작동구(28)에는 나선형 안내홈(21,22)에 안치되는 볼(24)의 일부가 스프링(24a)에 탄성 지지되게 내입되는 걸림구멍(28a)을 형성한 구성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동력입력수단(15)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항상 감속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동수단(20)의 볼(24)이 나선형 안내홈(21,22)의 중립 위치에 있다가 동력입력수단(15)을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볼(24)이 왼나사 및 오른나사 방향으로 함몰되는 나선형 안내홈(21,22)을 따라서 이동하는데, 이때 입력축(14)이 리테이너(13)의 바깥쪽으로 이동되면 입력축(14)에 슬라이드 되게 결합되고 멈춤링(33)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게 고정되며 복원스프링(34)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이 리테이너(13)의 내부 육각구멍(13b)을 따라서 함께 이동된다.
이때 감속경사링(32)이 감속기어부재(7)에 형성된 경사형 작동구멍(7b)과 접하는 마찰부재(30)를 가압하게 되고, 입력축(14)의 회전력은 이동수단(20)의 볼(24)과 작동구(28)에 의해 리테이너(13)에 먼저 전달되고, 리테이너(13)의 육각구멍(13b)에 조립되는 수평걸림부(31a,32a)가 형성된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 및 마찰부재(30)를 통해서 감속기어부재(7)에 전달되어 감속기어부재(7)를 구동하게 되고(정속기어부재(6)와 마찰부재(30)는 떨어진 상태를 유지함), 감속기어부재(7)와 치결합되는 변속기어(11,12)를 통해서 정속기어부재(6)로 구동력이 전달되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동력입력수단(15)을 정지한 상태에서는 이동수단(20)의 볼(24)이 나선형 안내홈(21,22)의 중립 위치에 있게 되는데, 이런 상태에서 정속기어부재(6)가 회전할 경우 입력축(14)에 결합되어 있는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복원스프링(34)의 탄성력이 두 부재에 동일하게 제공되는데, 이때 마찰부재(30)가 이들 두 부재와 정속기어부재(6) 및 감속기어부재(7)의 경사형 작 동구멍(6b,7b)에 함께 마찰되면서 정·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자결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감속장치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4실시예는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정회전 혹은 역회전 구분 없이 감속이 이루어지고, 정지 시 자결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본 발명 제4실시예의 특징은 상기 제2실시예와는 달리 입력축(14)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환봉 형상으로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이 단순 끼움 조립된다.
상기 정속기어부재(6)와 감속기어부재(7)에 형성된 경사형 작동구멍(6b,7b)과, 이들 경사형 작동구멍(6b,7b)과 대응하도록 입력축(14)에 슬라이드 되게 결합한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은 외형이 육각형(다각형)으로 구성한다.
상기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에는 수평걸림부(31a,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평걸림부(31a,32a)는 정속기어부재(6) 및 감속기어부재(7)에 형성된 리테이너 결합공(6a,7a)에 끼움되는 리테이너(13)에 형성된 육각구멍(13b)에 끼움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축(14)을 좌우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0)으로, 입력축(14)의 후단에 왼나사 및 오른나사 방향으로 함몰되는 나선형 안내홈(21,22)을 평면에서 볼 때 >형 또는 <이 되게 형성하고, 리테이너(13)에는 나선형 안내홈(21,22)의 외측에 위치하는 작동구(28)를 멈춤링(29)으로 고정 설치하되, 작동구(28)에는 나 선형 안내홈(21,22)에 안치되는 볼(24)의 일부가 스프링(24a)에 탄성 지지되게 내입되는 걸림구멍(28a)을 형성한 구성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동력입력수단(15)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항상 감속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동수단(20)의 볼(24)이 나선형 안내홈(21,22)의 중립 위치에 있다가 동력입력수단(15)을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볼(24)이 왼나사 및 오른나사 방향으로 함몰되는 나선형 안내홈(21,22)을 따라서 이동하는데, 이때 입력축(14)이 리테이너(13)의 바깥쪽으로 이동되면 입력축(14)에 슬라이드 되게 결합되고 멈춤링(33)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게 고정되며 복원스프링(34)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이 함께 이동된다.
이때 감속경사링(32)이 감속기어부재(7)에 형성된 경사형 작동구멍(7a)과 접하는 마찰부재(30)를 가압하게 되고, 입력축(14)의 회전력이 마찰부재(30)를 통해서 감속기어부재(7)에 전달되어 감속기어부재(7)를 구동하게 되고(정속기어부재(6)와 마찰부재(30)는 떨어진 상태를 유지함), 감속기어부재(7)와 치결합되는 변속기어(11,12)를 통해서 정속기어부재(6)로 구동력이 전달되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동력입력수단(15)을 정지한 상태에서는 이동수단(20)의 볼(24)이 나선형 안내홈(21,22)의 중립 위치에 있게 되는데, 이런 상태에서 정속기어부재(6)가 회전할 경우 입력축(14)에 결합되어 있는 정속경사링(31) 및 감속경사링(32)과 이들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멈춤링(33) 사이에는 각각 복원스프링(34)의 탄성력이 두 부재에 제공되는데, 이때 마찰부재(30)가 이들 두 부재와 정속기어부재(6) 및 감속기어부재(7)의 경사형 작동구멍(6b,7b)에 함께 마찰되면서 정·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자결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감속장치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정속기어부재(6)와 감속기어부재(7)에 결합되는 동력전달수단(A)으로, 감속기어부재(7)와 기어 결합되며 정속기어부재(6)의 측면에 축 결합되는 수개의 유성기어(40)와, 상기 유성기어(40)들이 치결합되도록 하우징(2')에 결합한 링기어(41)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감속장치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중요부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정속기어부재 결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감속기어부재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입력축과 리테이너의 내측단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입력축과 입력보스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 7, 도 8은 본 발명에서 조절링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감속장치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 입력축과 리테이너의 내측단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감속장치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중요부부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감속장치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감속장치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 2,2':하우징
3:설치공간 6:정속(定速)기어부재
7:감속(減速)기어부재 11,12:변속기어
6a,7a:리테이너 결합공 6b,7b:경사형 작동구멍
8:스페이스 13:리테이너
14:입력축 16:입력보스
20:이동수단 30:마찰부재
31a,32a:경사면 31:정속경사링
32:감속경사링 34:복원스프링

Claims (10)

  1. 내부에 설치공간(3)이 형성되도록 양분 구성한 하우징(2,2')과;
    상기 베어링(4)으로 하우징(2,2')에 결합되어 자유 회전하도록 설치공간(3)에 설치한 출력축(5)이 일체 형성된 정속(定速)기어부재 및 감속(減速)기어부재와;
    상기 정속기어부재(6) 및 감속기어부재(7) 사이에 개재한 부시와;
    양측 하우징(2,2')에 베어링(9)으로 지지되도록 설치한 축(10)에 결합되며 감속기어부재(7) 및 정속기어부재(6)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와 치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정속기어부재(6)와 감속기어부재(7)의 내측에 형성한 리테이너 결합공(6a,7a) 및 상기 부시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입구가 넓고 내측으로 점차 좁아지는 경사형 작동구멍(6b,7b)과;
    상기 정속기어부재(6) 및 감속기어부재(7)에 형성된 리테이너 결합공(6a,7a)에 회전 자재되게 결합한 리테이너(13)와;
    상기 정속기어부재(6)에 형성된 리테이너 결합공(6a) 내측의 축공(6c)에 축선단(14a)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스플라인 형상의 입력축(14)과;
    상기 리테이너(13)의 입구에 입력축(14)의 일부가 내입된 상태로 끼워지며, 축후단(14b)에 형성한 나사에 너트(17)를 조립하여 결합하는 동력입력수단(15)과 연결되는 입력보스(16)와;
    상기 입력축(14)을 리테이너(13)의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이동시켜는 이동수 단(20)과;
    상기 양측 경사형 작동구멍(6b,7b) 내측에 위치하도록 리테이너(13)에 원주방향으로 관통한 수개의 조립구멍(13a)과;
    상기 경사형 작동구멍(6b,7b)과 면접하도록 조립구멍(13a)에 내입한 마찰부재(30)와;
    상기 마찰부재(30)를 지지하도록 입력축(14)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경사형 작동구멍(6b,7b)과 마주보는 경사면(31a,32a)이 형성된 정속경사링(31) 및 감속경사링(32)과;
    상기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의 사이에 개재한 복원스프링(34) 및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입력축(14)에 결합된 멈춤링(33)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
  2. 내부에 설치공간(3)이 형성되도록 양분 구성한 하우징(2,2')과;
    상기 베어링(4)으로 하우징(2,2')에 결합되어 자유 회전하도록 설치공간(3)에 설치한 출력축(5)이 일체 형성된 정속(定速)기어부재(6) 및 감속(減速)기어부재(7)와;
    상기 정속기어부재(6) 및 감속기어부재(7) 사이에 개재한 스페이스(8)와;
    양측 하우징(2,2')에 베어링(9)으로 지지되도록 설치한 축(10)에 결합되며 감속기어부재(7) 및 정속기어부재(6)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와 치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정속기어부재(6)와 감속기어부재(7)의 내측에 형성한 리테이너 결합공(6a,7a) 및 상기 스페이스(8)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입구가 좁고 내측으로 점차 넓어지는 경사형 작동구멍(6b,7b)과;
    상기 정속기어부재(6) 및 감속기어부재(7)에 형성된 리테이너 결합공(6a,7a)에 회전 자재되게 결합한 리테이너(13)와;
    상기 정속기어부재(6)에 형성된 리테이너 결합공(6a) 내측의 축공(6c)에 축선단(14a)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스플라인 형상의 입력축(14)과;
    상기 리테이너(13)의 입구에 입력축(14)의 일부가 내입된 상태로 끼워지며, 축후단(14b)에 형성한 나사에 너트(17)를 조립하여 결합하는 동력입력수단(15)과 연결되는 입력보스(16)와;
    상기 입력축(14)을 리테이너(13)의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이동시켜는 이동수단(20)과;
    상기 양측 경사형 작동구멍(6b,7b) 내측에 위치하도록 리테이너(13)에 원주방향으로 관통한 수개의 조립구멍(13a)과;
    상기 경사형 작동구멍(6b,7b)과 면접하도록 조립구멍(13a)에 내입한 마찰부재(30)와;
    상기 마찰부재(30)를 지지하도록 입력축(14)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경사형 작동구멍(6b,7b)과 마주보는 경사면(31a,32a)이 형성된 정속경사링(31) 및 감속경사링(32)과;
    상기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의 사이 및 양측에 위치하도록 입력축(14)에 결합한 멈춤링(33)과;
    상기 정속경사링(31) 및 감속경사링(32)과 이들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멈춤링(33) 사이에는 각각 개재한 복원스프링(34)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14)을 리테이너(13)의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이동시켜는 이동수단(20)은 입력보스(16)의 외부면에 대칭되게 왼나사 및 오른나사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한 나선형 안내홈(21,22)과;
    상기 나선형 안내홈(21,2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리테이너(13)에 형성한 가변구멍(23)과;
    상기 가변구멍(23)으로 내입되며 스프링(24a)으로 가압되는 볼(24)과;
    상기 2개의 나선형 안내홈(21,22) 중 어느 하나에 볼(24)을 내입 고정할 수 있도록 리테이너(13)의 외부에 설치한 조절링(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링(25)은 리테이너(13) 외경보다 직경이 조금 큰 치수로 구성하되, 조절링(25)에는 중심에서 조금 벗어난 위치(편심)에 고정볼트(26)를 나사 조립하고, 리테이너(13)에 대칭되게 형성된 2개의 걸림홈(27)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14)은 환봉 형상으로 구성하고, 리테이너(13)의 내경을 육각구멍(13b)으로 형성하고, 육각구멍(13b)에 외형이 육각형인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에 형성된 수평걸림부(31a,32a)를 끼워서 슬라이드 되게 하며,
    상기 입력축(14)을 리테이너(13)의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이동시켜는 이동수단(20)은 동력입력수단(15)의 정회전 혹은 역회전 구분 없이 감속이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입력축(14)의 축후단(14b)에 왼나사 및 오른나사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평면에서 볼 때 >형 또는 <이 되게 형성한 나선형 안내홈(21,22)과,
    상기 나선형 안내홈(21,2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리테이너(13)의 육각구멍(13b) 끼워져 멈춤나사(29)로 고정 설치한 작동구(28)와;
    상기 나선형 안내홈(21,22)에 안치되는 볼(24) 및 볼(24)의 일부가 내입되도록 작동구(28)에 형성한 걸림구멍(28a)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속기어부재(6)와 감속기어부재(7)에 결합한 동력전달수단(A)은 양측 하우징(2,2')에 베어링(9)으로 지지되도록 설치한 축(10)에 정속기어부재(6)와 감속기어부재(7)와 치결합되는 2개의 변속기어(11,1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속기어부재(6)와 감속기어부재(7)에 결합한 동력전달수단(A)은
    상기 감속기어부재(7)와 기어 결합되며 정속기어부재(6)의 측면에 축 결합되는 수개의 유성기어(40)와,
    상기 유성기어(40)들이 결합되도록 하우징(2)에 결합한 링기어(4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30)는 볼, 롤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속기어부재(6)와 감속기어부재(7)에 형성된 경사형 작동구멍(6b,7b)과, 이들 경사형 작동구멍(6b,7b)과 대응하도록 입력축(14)에 슬라이드 되게 결합한 정속경사링(31)과 감속경사링(32)은 대응하는 다각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8)는 부시 또는 다수개의 강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
KR1020080093826A 2008-08-06 2008-09-24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 KR100990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469 2008-08-06
KR20080010469 2008-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440A KR20100018440A (ko) 2010-02-17
KR100990246B1 true KR100990246B1 (ko) 2010-10-29

Family

ID=4208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826A KR100990246B1 (ko) 2008-08-06 2008-09-24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2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566B1 (ko) 2012-02-21 2013-05-14 유순기 점성유체를 이용한 자유낙하 제어 및 기계적 자결기능을 갖는 감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957B1 (ko) * 2012-07-09 2013-10-21 계양전기 주식회사 변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단장치
KR101755943B1 (ko) 2015-12-15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역구동성이 향상된 하모닉 감속기, 그를 포함하는 구동 모듈 및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293A (ja) 1999-07-26 2001-02-13 Katsuji Shoji セルフロック機能を有する減速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弁開閉装置
JP2001355685A (ja) 2000-06-13 2001-12-26 Katsuji Shoji セルフロック機能を有する減速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巻上機
JP2003130146A (ja) 2001-10-24 2003-05-08 Seiko Epson Corp 小型減速機およびこれを備えたギヤードモータ
JP2004100770A (ja) 2002-09-06 2004-04-02 Katsuji Shoji セルフロック機能を有する減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293A (ja) 1999-07-26 2001-02-13 Katsuji Shoji セルフロック機能を有する減速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弁開閉装置
JP2001355685A (ja) 2000-06-13 2001-12-26 Katsuji Shoji セルフロック機能を有する減速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巻上機
JP2003130146A (ja) 2001-10-24 2003-05-08 Seiko Epson Corp 小型減速機およびこれを備えたギヤードモータ
JP2004100770A (ja) 2002-09-06 2004-04-02 Katsuji Shoji セルフロック機能を有する減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566B1 (ko) 2012-02-21 2013-05-14 유순기 점성유체를 이용한 자유낙하 제어 및 기계적 자결기능을 갖는 감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440A (ko) 201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9835B1 (en) A shifting control device of a power winch
EP3792516B1 (en) Reverse input blocking clutch and actuator
US7510495B2 (en) Automatic speed reducing ratio-switching apparatus
KR101272599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간격 자동 조정기
KR100990246B1 (ko)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
US4251060A (en) Hand hoist
US11673777B2 (en) Systems for a braking assembly in a motor housing
KR101264566B1 (ko) 점성유체를 이용한 자유낙하 제어 및 기계적 자결기능을 갖는 감속기
EP3155282B1 (en) Transmission gear engagement system
EP0544916A1 (en) Variable transmission
EP3998181B1 (en) Rotation lock device
US20050133774A1 (en) Drive-through force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s
AT7019U1 (de) Reibungskupplung und deren aktuator
JPS62139767A (ja) アクチユエ−タ
JP5890216B2 (ja) 負荷感応自動変速装置を内蔵した巻上機
KR200483732Y1 (ko) 윈치용 동력전달장치
DE102006052046A1 (de) Antrieb für Aufzüge
KR200444275Y1 (ko) 2단변속이 가능한 감속장치
US757381A (en) Automatic check and release mechanism.
US11440181B2 (en) Planetary gear train, gearbox and industrial robot
EP0257127B1 (en) Electric chain block
JP2024011499A (ja) レバーホイスト
KR20230033340A (ko) 호이스팅 조립장치
DE2152695C3 (de) Hubwinde
WO2012109699A1 (en) A gear and clutch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