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070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070A
KR20230033070A KR1020210113289A KR20210113289A KR20230033070A KR 20230033070 A KR20230033070 A KR 20230033070A KR 1020210113289 A KR1020210113289 A KR 1020210113289A KR 20210113289 A KR20210113289 A KR 20210113289A KR 20230033070 A KR20230033070 A KR 20230033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display device
disposed
electrically connected
array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3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3070A/ko
Priority to US17/889,257 priority patent/US20230067080A1/en
Priority to CN202211016717.6A priority patent/CN115731786A/zh
Publication of KR20230033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3Metallic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2Interconnection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50Forming devices by joining two substrates together, e.g. lamin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이 배치되는 표시 영역,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 및 주변 영역과 인접하고 복수의 패드 전극들이 배치되는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 어레이 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대전층, 어레이 기판의 패드 영역 위에 배치되는 제1 구동 부재, 복수의 패드 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 배선들을 포함하는 연성 회로 필름, 패드 영역에서 어레이 기판을 관통하여 대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연결부 및 패드 영역에서 연성 회로 필름 및 제1 구동 부재를 커버하고, 도전성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며, 표시 장치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는 커버 부재 및 도전성 연결부를 통해 대전층으로 유도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 및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부재는 복수의 화소들에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화소들 각각은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 및 구동 부재는 표시 장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에서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해 복수의 화소들 및 구동 부재가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표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성능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이 상술한 목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이 배치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과 인접하고 복수의 패드 전극들이 배치되는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 상기 어레이 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대전층, 상기 어레이 기판의 상기 패드 영역 위에 배치되는 제1 구동 부재, 상기 복수의 패드 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 배선들을 포함하는 연성 회로 필름,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어레이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대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연결부 및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 및 상기 제1 구동 부재를 커버하고, 상기 도전성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화소들, 상기 복수의 패드 전극들, 상기 제1 구동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연결 배선들 각각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절연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 회로 필름 및 상기 제1 구동 부재를 커버하는 제1 커버 부재 및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도전성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상기 어레이 기판 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화소들을 커버하는 봉지 기판 및 상기 봉지 기판 위에 배치되는 편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봉지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상기 편광층 위에 배치되는 전면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 부재는 상기 편광층과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상기 대전층과 상기 어레이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상기 대전층 아래에 배치되는 제2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이 배치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과 인접하고 복수의 패드 전극들이 배치되는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 상기 어레이 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대전층, 상기 어레이 기판의 상기 패드 영역 위에 배치되는 제1 구동 부재, 상기 복수의 패드 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 배선들 및 상기 복수의 패드 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더미 연결 배선을 포함하는 연성 회로 필름 및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 및 상기 제1 구동 부재를 커버하고, 상기 더미 연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더미 연결 배선은 상기 복수의 화소들, 상기 제1 구동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연결 배선들 각각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상기 연성 회로 필름을 관통하여 상기 더미 연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더미 연결 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성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절연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 회로 필름 및 상기 제1 구동 부재를 커버하는 제1 커버 부재 및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상기 더미 연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상기 어레이 기판 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화소들을 커버하는 봉지 기판 및 상기 봉지 기판 위에 배치되는 편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봉지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상기 편광층 위에 배치되는 전면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 부재는 상기 편광층과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상기 대전층 아래에 배치되는 제2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커버 부재는 도전성 연결부를 통해 대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가 상기 커버 부재를 통해 상기 대전층으로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커버 부재는 더미 연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가 상기 커버 부재를 통해 상기 더미 연결 배선으로 유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3은 도 1의 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7은 도 5의 II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IV-IV`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전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어레이 기판(SUB), 봉지 기판(EN), 편광층(POL), 버퍼층(BUF), 대전층(ELL), 제1 구동 부재(COP), 제2 구동 부재(PCB), 연성 회로 필름(FPC), 도전성 연결부(CCP), 제1 커버 부재(CV1), 제2 커버 부재(CV2) 및 제3 커버 부재(CV3)를 포함할 수 있다.
어레이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주변 영역(PA) 및 패드 영역(P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들(PX)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PX) 각각은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PX)은 행렬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화소들(PX)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며, 제1 방향(DR1)에 수직한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주변 영역(P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주변 영역(PA)에는 복수의 화소들(PX)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복수의 화소들(PX)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화소들(PX)에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PX)은 상기 구동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는 휘도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발광 제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 영역(PDA)은 주변 영역(PA)과 인접할 수 있다. 패드 영역(PDA)에는 복수의 패드 전극들(PDE)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패드 전극들(PDE)은 복수의 화소들(PX)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봉지 기판(EN)은 어레이 기판(SUB)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봉지 기판(EN)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과 인접한 주변 영역(PA)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봉지 기판(EN)은 복수의 화소들(PX)을 커버할 수 있다. 봉지 기판(EN)은 수분 및 불순물로부터 복수의 화소들(PX)을 보호할 수 있다.
편광층(POL)은 봉지 기판(EN)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층(POL)은 표시 장치(1000) 외부에서 입사하는 외광이 표시 장치(1000) 내부에서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버퍼층(BUF)은 어레이 기판(SUB)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UF)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UF)은 충격으로부터 어레이 기판(SUB)을 보호할 수 있다. 또는, 버퍼층(BUF)은 수분 및 불순물로부터 어레이 기판(SUB)을 보호할 수 있다.
대전층(ELL)은 버퍼층(BUF)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대전층(ELL)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전층(ELL)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전층(ELL) 위에 배치되는 어레이 기판(SUB), 봉지 기판(EN) 및 편광층(POL) 각각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대전층(ELL)은 어레이 기판(SUB), 봉지 기판(EN) 및 편광층(POL) 각각보다 상대적으로 큰 강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전층(ELL)은 어레이 기판(SUB), 봉지 기판(EN) 및 편광층(POL)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구동 부재(COP)는 어레이 기판(SUB)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 부재(COP)는 패드 영역(PD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 부재(COP)는 복수의 화소들(PX) 및 복수의 패드 전극들(P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동 부재(COP)는 복수의 화소들(PX)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구동 부재(PCB)는 대전층(ELL)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구동 부재(PCB)와 대전층(ELL) 사이에는 점착층(ADH)이 배치될 수 있다. 점착층(ADH)에 의해 제2 구동 부재(PCB)는 대전층(ELL) 아래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구동 부재(PCB)는 복수의 화소들(PX)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FPC)은 복수의 연결 배선들(TL)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FPC) 및 복수의 연결 배선들(TL)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배선들(TL)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패드 전극들(P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연결 배선들(TL)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제2 구동 부재(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연결 배선들(TL)은 복수의 패드 전극들(PDE)과 제2 구동 부재(PCB)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전성 연결부(CCP)는 대전층(ELL)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전성 연결부(CCP)는 어레이 기판(SUB) 및 버퍼층(BUF)을 관통하여 대전층(EL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전성 연결부(CCP)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연결부(CCP)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연결부(CCP)는 복수의 화소들(PX), 복수의 패드 전극들(PDE), 제1 구동 부재(COP) 및 복수의 연결 배선들(TL) 각각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도전성 연결부들(CCP)이 패드 영역(PDA)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 영역(PDA)의 상기 모서리는 복수의 화소들(PX), 복수의 패드 전극들(PDE), 제1 구동 부재(COP) 및 복수의 연결 배선들(TL)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다만, 도전성 연결부(CCP)의 위치 및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셋 이상의 도전성 연결부들(CCP)이 복수의 화소들(PX), 복수의 패드 전극들(PDE), 제1 구동 부재(COP) 및 복수의 연결 배선들(TL) 각각과 절연되도록 패드 영역(PDA)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부재(CV)는 패드 영역(PDA)에서 제1 구동 부재(COP) 및 연성 회로 필름(FPC)을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CV)는 제1 구동 부재(COP) 및 연성 회로 필름(FPC)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커버 부재(CV)는 도전성 연결부(CCP)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부재(CV)는 복수의 화소들(PX), 복수의 패드 전극들(PDE), 제1 구동 부재(COP) 및 복수의 연결 배선들(TL) 각각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부재(CV)는 제1 커버 부재(CV1) 및 제2 커버 부재(CV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 부재(CV1)는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 부재(CV1)는 연성 회로 필름(FPC) 및 제1 구동 부재(COP)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커버 부재(CV2)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버 부재(CV2)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버 부재(CV2)는 도전성 연결부(CCP)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커버 부재(CV2)는 복수의 화소들(PX), 복수의 패드 전극들(PDE), 제1 구동 부재(COP) 및 복수의 연결 배선들(TL) 각각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커버 부재(CV2)는 제1 커버 부재(CV1)를 관통함으로써 도전성 연결부(CCP)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커버 부재(CV1)는 제2 커버 부재(CV2)를 관통하여 도전성 연결부(CCP)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관통홀(TH) 내부로 연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커버 부재(CV2)는 도전성 연결부(CCP)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커버 부재(CV2)는 제1 커버 부재(CV1)를 관통하지 않고 도전성 연결부(CCP)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버 부재(CV2)는 제2 커버 부재(CV2)는 제1 커버 부재(CV1)의 측면 및 하면을 따라 도전성 연결부(CCP)를 향해 연장됨으로써, 도전성 연결부(CCP)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부재(CV)의 적어도 일부는 봉지 기판(EN)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버 부재(CV2)의 적어도 일부는 주변 영역(PA)에서 봉지 기판(EN)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봉지 기판(EN)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는 커버 부재(CV) 및 도전성 연결부(CCP)를 통해서 대전층(ELL)으로 유도될 수 있다.
전면 커버 부재(FC) 및 배면 커버 부재(BC)는 표시 장치(1000)의 전면 및 배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전면 커버 부재(FC) 및 배면 커버 부재(BC)는 표시 장치(1000) 사용자에게 직접 시인되는 구성들일 수 있다. 전면 커버 부재(FC)는 편광층(POL)과 접촉할 수 있다. 배면 커버 부재(BC)와 제2 구동 부재(PCB) 사이에는 제2 구동 부재(PCB)를 커버하는 제3 커버 부재(CV3)가 배치될 수 있다. 배면 커버 부재(BC)는 제3 커버 부재(CV3)와 접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전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II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IV-IV`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00)는 어레이 기판(SUB), 봉지 기판(EN), 편광층(POL), 버퍼층(BUF), 대전층(ELL), 제1 구동 부재(COP), 제2 구동 부재(PCB), 연성 회로 필름(FPC), 도전성 연결부(CCP`), 제1 커버 부재(CV1`), 제2 커버 부재(CV2`) 및 제3 커버 부재(CV3)를 포함할 수 있다.
어레이 기판(SUB)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어레이 기판(SUB)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레이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주변 영역(PA) 및 패드 영역(PDA)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들(PX)이 배치될 수 있고, 주변 영역(PA)에는 복수의 화소들(PX)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패드 영역(PDA)에는 복수의 패드 전극들(PDE)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 기판(EN)은 어레이 기판(SUB) 위에 배치될 수 있고, 편광층(POL)은 봉지 기판(EN)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버퍼층(BUF)은 어레이 기판(SUB)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대전층(ELL)은 버퍼층(BUF)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구동 부재(COP)는 어레이 기판(SUB)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구동 부재(PCB)는 대전층(ELL)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 기판(EN), 편광층(POL), 버퍼층(BUF), 대전층(ELL), 제1 구동 부재(COP) 및 제2 구동 부재(PCB)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봉지 기판(EN), 편광층(POL), 버퍼층(BUF), 대전층(ELL), 제1 구동 부재(COP) 및 제2 구동 부재(PCB)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FPC)은 복수의 연결 배선들(TL) 및 더미 연결 배선(DTL)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FPC), 복수의 연결 배선들(TL) 및 더미 연결 배선(DTL)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배선들(TL)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패드 전극들(P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연결 배선들(TL)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제2 구동 부재(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연결 배선들(TL)은 복수의 패드 전극들(PDE)과 제2 구동 부재(PCB)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더미 연결 배선(DTL)은 복수의 패드 전극들(P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더미 연결 배선(DTL)은 복수의 화소들(PX), 복수의 패드 전극들(PDE), 제1 구동 부재(COP) 및 복수의 연결 배선들(TL) 각각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더미 연결 배선(DTL)은 제2 구동 부재(PCB)에 포함된 접지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2000)는 도전성 연결부(CCP`)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연결부(CCP`)는 연성 회로 필름(FPC)을 관통하여 더미 연결 배선(DT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버 부재(CV`)는 패드 영역(PDA)에서 제1 구동 부재(COP) 및 연성 회로 필름(FPC)을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CV`)는 제1 구동 부재(COP) 및 연성 회로 필름(FPC)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커버 부재(CV`)는 더미 연결 배선(DT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부재(CV`)는 도전성 연결부(CCP`)를 통해 더미 연결 배선(DT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부재(CV`)는 복수의 화소들(PX), 복수의 패드 전극들(PDE), 제1 구동 부재(COP) 및 복수의 연결 배선들(TL) 각각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부재(CV`)는 제1 커버 부재(CV1`) 및 제2 커버 부재(CV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 부재(CV1`)는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 부재(CV1`)는 연성 회로 필름(FPC) 및 제1 구동 부재(COP)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커버 부재(CV2`)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버 부재(CV2`)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버 부재(CV2`)는 더미 연결 배선(DT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커버 부재(CV2`)는 복수의 화소들(PX), 복수의 패드 전극들(PDE), 제1 구동 부재(COP) 및 복수의 연결 배선들(TL) 각각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제2 커버 부재(CV2`)는 제1 커버 부재(CV1`)를 관통함으로써 더미 연결 배선(DT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커버 부재(CV1`)는 제2 커버 부재(CV2`)를 관통하는 관통홀(TH`) 내부로 연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전성 연결부(CCP`)를 통해 더미 연결 배선(DT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부재(CV`)의 적어도 일부는 봉지 기판(EN)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버 부재(CV2`)의 적어도 일부는 주변 영역(PA)에서 봉지 기판(EN)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봉지 기판(EN)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는 커버 부재(CV`)를 통해서 더미 연결 배선(DTL)으로 유도될 수 있다.
전면 커버 부재(FC) 및 배면 커버 부재(BC)는 표시 장치(2000)의 전면 및 배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전면 커버 부재(FC) 및 배면 커버 부재(BC)는 표시 장치(2000) 사용자에게 직접 시인되는 구성들일 수 있다. 전면 커버 부재(FC)는 편광층(POL)과 접촉할 수 있다. 배면 커버 부재(BC)와 제2 구동 부재(PCB) 사이에는 제2 구동 부재(PCB)를 커버하는 제3 커버 부재(CV3)가 배치될 수 있다. 배면 커버 부재(BC)는 제3 커버 부재(CV3)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텔레비전 등에 적용될 수 있다.
1000, 2000 : 표시 장치 SUB : 어레이 기판
EN : 봉지 기판 POL : 편광층
BUF : 버퍼층 ELL : 대전층
COP : 제1 구동 부재 PCB : 제2 구동 부재
FPC : 연성 회로 필름 CV, CV` : 커버 부재
CV1, CV1` : 제1 커버 부재 CV2, CV2` : 제2 커버 부재
CV3 : 제3 커버 부재 TL : 연결 배선
DTL : 더미 연결 배선 CCP, CCP` : 도전성 연결부
FC : 전면 커버 부재 BC : 배면 커버 부재
DA : 표시 영역 PA : 주변 영역
PDA : 패드 영역 PX : 화소
PDE : 패드 전극

Claims (20)

  1. 복수의 화소들이 배치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과 인접하고 복수의 패드 전극들이 배치되는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
    상기 어레이 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대전층;
    상기 어레이 기판의 상기 패드 영역 위에 배치되는 제1 구동 부재;
    상기 복수의 패드 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 배선들을 포함하는 연성 회로 필름;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어레이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대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연결부; 및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 및 상기 제1 구동 부재를 커버하고, 상기 도전성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화소들, 상기 복수의 패드 전극들, 상기 제1 구동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연결 배선들 각각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절연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 회로 필름 및 상기 제1 구동 부재를 커버하는 제1 커버 부재; 및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도전성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기판 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화소들을 커버하는 봉지 기판; 및
    상기 봉지 기판 위에 배치되는 편광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봉지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 위에 배치되는 전면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 부재는 상기 편광층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층과 상기 어레이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층 아래에 배치되는 제2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복수의 화소들이 배치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과 인접하고 복수의 패드 전극들이 배치되는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
    상기 어레이 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대전층;
    상기 어레이 기판의 상기 패드 영역 위에 배치되는 제1 구동 부재;
    상기 복수의 패드 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 배선들 및 상기 복수의 패드 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더미 연결 배선을 포함하는 연성 회로 필름; 및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 및 상기 제1 구동 부재를 커버하고, 상기 더미 연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연결 배선은,
    상기 복수의 화소들, 상기 제1 구동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연결 배선들 각각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을 관통하여 상기 더미 연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더미 연결 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성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절연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 회로 필름 및 상기 제1 구동 부재를 커버하는 제1 커버 부재; 및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상기 더미 연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기판 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화소들을 커버하는 봉지 기판; 및
    상기 봉지 기판 위에 배치되는 편광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봉지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 위에 배치되는 전면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 부재는 상기 편광층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층 아래에 배치되는 제2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10113289A 2021-08-26 2021-08-26 표시 장치 KR20230033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289A KR20230033070A (ko) 2021-08-26 2021-08-26 표시 장치
US17/889,257 US20230067080A1 (en) 2021-08-26 2022-08-16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202211016717.6A CN115731786A (zh) 2021-08-26 2022-08-24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289A KR20230033070A (ko) 2021-08-26 2021-08-26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070A true KR20230033070A (ko) 2023-03-08

Family

ID=85285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289A KR20230033070A (ko) 2021-08-26 2021-08-2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67080A1 (ko)
KR (1) KR20230033070A (ko)
CN (1) CN115731786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095B1 (ko) * 2010-10-22 2017-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310341B2 (en) * 2015-06-29 2019-06-04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0050252A (zh) * 2016-10-31 2019-07-23 康宁股份有限公司 具有降低的不均效应的单元内嵌混合显示器和降低不均效应的方法
KR102543688B1 (ko) * 2018-04-02 2023-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474751B1 (ko) * 2018-07-20 2022-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기로부터 디스플레이 구동 드라이버를 보호하는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CN114080671A (zh) * 2020-04-30 2022-0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镜面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31786A (zh) 2023-03-03
US20230067080A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19660B (zh)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20230259225A1 (en) Display device having shaped sealing member
CN111048566B (zh)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3904097B (zh) 包括触摸面板的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KR20190056477A (ko) 표시 장치
KR201700053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90079917A1 (en) Liquid crystal panel with static electricity damage prevention
KR20220064353A (ko)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07494B1 (ko)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1625121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622729B1 (ko) 표시 장치
KR20120062178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CN112670319A (zh) 显示设备
KR20200133888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3394355A (zh) 显示装置及终端设备
KR20200031723A (ko) 표시 장치
CN113517262A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230033070A (ko) 표시 장치
KR20120049607A (ko) 표시장치
KR102223784B1 (ko) 연성 회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4255658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53322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WO2020256461A1 (ko) 불투명 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67965B1 (ko) 연성인쇄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220012448A (ko)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