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926A -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926A
KR20230032926A KR1020220104790A KR20220104790A KR20230032926A KR 20230032926 A KR20230032926 A KR 20230032926A KR 1020220104790 A KR1020220104790 A KR 1020220104790A KR 20220104790 A KR20220104790 A KR 20220104790A KR 20230032926 A KR20230032926 A KR 20230032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image forming
toner
ho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로 토바
히로시 타카라다
히로유키 무네츠구
고시 오자키
소타 스기모토
미츠히로 사토
신이치 니시다
유이치 후쿠이
유키오 쿠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20588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3035775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32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2215/0668Toner discharging opening at one axial en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2Bag-type non-rigid contai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2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slidable sealing member, e.g. shut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토너 용기를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토너 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로서, 상기 토너 용기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받아들이는 수입구와, 상기 수입구를 통해 받아들인 토너가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관통 구멍이 설치된 통로와, 상기 관통 구멍을 덮도록 설치되고 에어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상기 장착부와, 상기 수입구를 통해 받아들인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중력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상기 수입구와 오버랩되어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본 발명은,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 드럼의 표면에 형성한 토너상을, 전사 매체로서의 전사재에 전사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토너의 보급 방식은, 예를 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이나 토너 보급(보충) 방식이 알려져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은, 감광 드럼과 현상(현상제) 용기를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일체화하고, 토너가 다 떨어지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신품으로 교환하는 방식이다.
한편, 토너 보급 방식은, 토너가 다 떨어지면, 새롭게 토너를 현상 용기에 보급(보충)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2021-26218호 공보에는, 현상 용기에 설치된 장착부에 장착 가능한 토너 팩을 사용하여 현상 용기에 토너를 보급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특허공개 2021-26218호 공보에 기재된 토너 팩은, 사용자에 의해 토너 팩의 봉투체가 짜내어짐으로써 토너가 배출되는데, 이 때, 토너 팩으로부터는 토너와 함께 에어가 배출된다. 토너 팩으로부터 에어가 배출되면, 현상 용기의 내압이 상승하여, 토너의 보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토너 용기를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 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로서, 상기 토너 용기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받아들이는 수입구(受入口; receiving port)와, 상기 수입구를 통해 받아들인 토너가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관통 구멍이 설치된 통로와, 상기 관통 구멍을 덮도록 설치되고 에어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필터부를 가지는 상기 장착부와, 상기 수입구를 통해 받아들인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중력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상기 수입구와 오버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시스템에 있어서, 토너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토너의 배출을 허용하는 배출구가 설치된 배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수용부의 용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에어와 함께 토너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된 토너 용기와, 상기 토너 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로서, 상기 토너 용기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받아들이는 수입구와, 상기 수입구를 통해 받아들인 토너가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관통 구멍이 설치된 통로와, 상기 관통 구멍을 덮도록 설치되고 에어의 통과를 허용하는 필터부를 가지는 상기 장착부와, 상기 수입구를 통해 받아들인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중력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상기 수입구와 오버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실시형태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b)는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개폐 부재 및 보급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팩측 셔터가 차폐 위치에 있을 때의 토너 팩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팩측 셔터가 차폐 위치에 있을 때의 토너 팩을 나타내는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팩측 셔터가 차폐 위치에 있을 때의 토너 팩을 나타내는 사시도, (b)는 팩측 셔터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토너 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장착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통기 시트 및 통기 필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b)는 통기 시트 및 통기 필터를 나타내는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닫힘 위치에 위치하는 조작 레버를 포함하는 장착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열림 위치에 위치하는 조작 레버를 포함하는 장착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의 H-H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장착부에 토너 팩을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장착부에 토너 팩을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11의 (a)는 조작 레버가 닫힘 위치에 위치할 때의 토너 팩 및 장착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조작 레버가 열림 위치에 위치할 때의 토너 팩 및 장착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의 J-J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유로(E)의 진로(E2)를 도 12와는 다른 형태로 기재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통기 시트 및 통기 필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프로세스 유닛 및 토너 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장착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장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장착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필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필터부의 주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의 (b)는, 화상 형성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개폐 부재(83) 및 보급구(32a)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재(P)에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크롬 프린터이다. 기록재(P)에는, 보통지 및 두꺼운 종이 등의 종이, 오버헤드 프로젝터용 시트 등의 플라스틱 필름, 봉투나 인덱스지 등의 특수 형상의 시트, 및 천 등의, 재질이 다른 다양한 시트재가 포함된다.
[전체 구성]
화상 형성 장치(1)는, 도 1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2)와, 장치 본체(2)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는 판독 장치(200)와, 장치 본체(2)의 외장면에 부착된 조작부(300)를 가지고 있다. 장치 본체(2)는, 기록재에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10)와, 화상 형성부(10)에 기록재를 급송하는 급송부(60)와, 화상 형성부(10)에 의해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재에 정착시키는 정착부(70)와, 배출 롤러쌍(80)을 가지고 있다.
화상 형성부(10)는, 스캐너 유닛(11)과, 전자 사진 방식의 프로세스 유닛(20)과, 프로세스 유닛(20)의 감광 드럼(21)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사 롤러(12)를 가지고 있다. 프로세스 유닛(20)은, 감광 드럼(21)과, 감광 드럼(21)의 주위에 배치된 대전 롤러(22)와, 전노광(pre-exposure) 장치(23)와, 현상 롤러(31)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30)를 가지고 있다.
감광 드럼(21)은, 원통형으로 성형된 감광체이다. 본 실시형태의 감광 드럼(21)은, 알루미늄으로 성형된 드럼 형상의 기재 상에, 음의 대전성의 유기 감광체로 형성된 감광층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21)은, 모터에 의해 소정의 방향(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프로세스 스피드로 회전 구동된다.
대전 롤러(22)는, 감광 드럼(21)에 소정의 압접력으로 접촉하여, 대전부를 형성한다. 또한, 대전 롤러(22)는, 대전 고압 전원에 의해 원하는 대전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감광 드럼(21)의 표면을 소정의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광 드럼(21)은 대전 롤러(22)에 의해 음의 극성으로 대전된다. 전노광 장치(23)는, 대전부에서 안정된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대전부의 앞쪽의 위치에서 감광 드럼(21)의 표면 전위를 제전한다.
스캐너 유닛(11)은, 외부 기기 또는 판독 장치(200)로부터 입력된 화상 정보에 대응한 레이저광을, 폴리곤 미러를 사용하여 감광 드럼(21)에 조사함으로써, 감광 드럼(21)의 표면을 주사 노광한다. 이 노광에 의해, 감광 드럼(21)의 표면에 화상 정보에 따른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한편, 스캐너 유닛(11)은, 레이저 스캐너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감광 드럼(21)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LED가 배열된 LED 어레이를 가지는 LED 노광 장치를 채용해도 된다.
현상 장치(30)는,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31)와, 현상 장치(30)의 케이스가 되는 현상 용기(32)와, 현상 롤러(31)에 현상제를 공급 가능한 공급 롤러(33)를 구비하고 있다. 현상 롤러(31) 및 공급 롤러(33)는, 현상 용기(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또한, 현상 롤러(31)는, 제1 회전 축선으로서의 롤러 축선(31a)(도 15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감광 드럼(21)에 대향하도록, 현상 용기(32)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있다. 공급 롤러(33)는 현상 롤러(31)에 회전 가능하게 당접하고 있고, 현상 용기(32)에 수용되어 있는 현상제로서의 토너는 공급 롤러(33)에 의해 현상 롤러(31)의 표면에 도포된다. 한편, 현상 롤러(31)에 충분히 토너를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공급 롤러(33)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현상 장치(30)는, 현상 방식으로서 접촉 현상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즉, 현상 롤러(31)에 담지된 토너층이, 감광 드럼(21)과 현상 롤러(31)가 대향하는 현상부(현상 영역)에서 감광 드럼(21)과 접촉한다. 현상 롤러(31)에는 현상 고압 전원에 의해 현상 전압이 인가된다. 현상 전압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현상 롤러(31)에 담지된 토너가 감광 드럼(21)의 표면 전위 분포에 따라 현상 롤러(31)로부터 드럼 표면에 전이함으로써, 정전 잠상이 토너상으로 현상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전 현상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즉, 대전 공정에 의해 대전된 후, 노광 공정에 의해 노광됨으로써 전하량이 감쇠한 감광 드럼(21)의 표면 영역에 토너가 부착됨으로써 토너상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경이 6 [μm]이고, 정규의 대전 극성이 음의 극성인 토너를 사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토너는 일 예로서 중합법에 의해 생성된 중합 토너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토너는 자성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주로 분자간력이나 정전기력(거울상 힘)에 의해 토너가 현상 롤러(31)에 담지되는, 소위 비자성의 1성분 현상제이다. 단, 자성 성분을 함유하는 1성분 현상제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1성분 현상제에는, 토너 입자 이외에도 토너의 유동성이나 대전 성능을 조정하기 위한 첨가물(예를 들면, 왁스나 실리카 미립자)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현상제로서 비자성의 토너와 자성을 가지는 캐리어에 의해 구성된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해도 된다. 자성을 가지는 현상제를 사용하는 경우, 현상제 담지체로서는, 예를 들면 내측에 마그넷이 배치된 원통 형상의 현상 슬리브가 사용된다.
현상 용기(32)에는, 제2 수용부로서의 수용부(36)와, 수용부(36)의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 부재(34)가 설치되어 있다. 교반 부재(34)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 구동되어 제2 회전 축선으로서의 회전 축선(34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축부재(34b)와, 축부재(34b)에 각각 고정되는 시트 부재(34c, 34d)를 가진다. 반송 부재로서의 교반 부재(34)는, 회전함으로써, 현상 용기(32) 내의 토너를 교반하고, 현상 롤러(31) 및 공급 롤러(33)를 향해, 토너를 반송한다. 또한, 교반 부재(34)는, 현상에 사용되지 않고 현상 롤러(31)로부터 박리된 토너를 현상 용기 내에서 순환시켜, 현상 용기 내의 토너를 균일화하는 역할을 가진다. 한편, 교반 부재(34)는, 회전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요동하는 형태의 교반 부재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시트 부재(34c, 34d)는, 어느 일방만이어도 되고, 시트 부재를 3개 이상 설치해도 된다.
또한, 현상 롤러(31)가 배치되는 현상 용기(32)의 개구부에는, 현상 롤러(31)에 담지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현상 블레이드(35)가 배치되어 있다. 현상 롤러(31)의 표면에 공급된 토너는, 현상 롤러(31)의 회전에 따라 현상 블레이드(35)와의 대향부를 통과함으로써, 균일하게 박층화되고, 또 마찰 대전에 의해 음의 극성으로 대전된다.
급송부(60)는, 도 1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2)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론트 도어(61)와, 트레이부(62)와, 중판(63)과, 트레이 스프링(64)과, 픽업 롤러(65)를 가지고 있다. 트레이부(62)는, 프론트 도어(61)가 열림으로써 나타나는 기록재수용 공간의 저면을 구성하고 있고, 중판(63)은, 트레이부(62)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트레이 스프링(64)은, 중판(63)을 상방으로 가압하고 있고, 중판(63)에 적재된 기록재(P)를 픽업 롤러(65)에 밀어붙인다. 한편, 프론트 도어(61)는, 장치 본체(2)에 대해 닫힌 상태에서 기록재 수용 공간을 폐쇄하고, 장치 본체(2)에 대해 열린 상태에서 트레이부(62), 중판(63)과 함께 기록재(P)를 지지한다.
정착부(70)는, 기록재 상의 토너를 가열하여 용융시킴으로써 화상의 정착 처리를 행하는 열 정착 방식의 것이다. 정착부(70)는, 정착 필름(71)과, 정착 필름(71)을 가열하는 세라믹 히터 등의 정착 히터와, 정착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서미스터와, 정착 필름(71)에 압접하는 가압 롤러(72)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1)의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에 화상 형성의 지령이 입력되면, 화상 형성 장치(1)에 접속된 외부의 컴퓨터 또는 판독 장치(200)로부터 입력된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부(10)에 의한 화상 형성 프로세스가 개시된다. 스캐너 유닛(11)은, 입력된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21)을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 때 감광 드럼(21)은, 대전 롤러(22)에 의해 미리 대전되어 있고, 레이저광이 조사됨으로써 감광 드럼(21) 상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그 후, 현상 롤러(31)에 의해 이 정전 잠상이 현상되어, 감광 드럼(21) 상에 토너상이 형성된다.
상술한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병행하여, 급송부(60)의 픽업 롤러(65)는, 프론트 도어(61), 트레이부(62) 및 중판(63)에 지지된 기록재(P)를 보낸다. 기록재(P)는, 픽업 롤러(65)에 의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15)에 급송되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15)의 닙에 부딪침으로써 사행이 보정된다. 그리고,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15)은, 토너상의 전사 타이밍에 맞춰서 구동되어, 기록재(P)를 전사 롤러(12) 및 감광 드럼(21)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 닙을 향해 반송한다.
전사 롤러(12)에는, 전사 고압 전원으로부터 전사 전압이 인가되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15)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재(P)에 감광 드럼(21)에 담지되어 있는 토너상이 전사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재(P)는, 정착부(70)에 반송되고, 정착부(70)의 정착 필름(71)과 가압 롤러(72)의 사이의 닙부를 통과할 때에 토너상이 가열 및 가압된다. 이에 의해 토너 입자가 용융되고, 그 후 고착함으로써, 토너상이 기록재(P)에 정착한다. 정착부(70)를 통과한 기록재(P)는, 배출 롤러쌍(80)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의 외부 (프린터 외부)로 배출되어, 장치 본체(2)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 트레이(81)에 적재된다. 배출 롤러로서의 배출 롤러쌍(80)은, 배출 트레이(81) 상에 기록재(P)를 배출 방향(DD)으로 배출한다.
배출 트레이(81)는, 기록재의 배출 방향에서의 하류를 향해 위로 경사져 있고, 배출 트레이(81)에 배출된 기록재는, 배출 트레이(81)를 미끄러져 내려감으로써, 후단이 규제면(84)에 의해 정합된다.
판독 장치(200)는,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판독부를 내장하는 판독 유닛(201)과, 판독 유닛(201)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는 압력판(202)을 가지고 있다. 판독 유닛(201)의 상면에는, 판독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투과하고, 원고가 재치되는 원고대 글래스(203)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 장치(200)에 의해 판독시키는 경우에는, 압력판(202)을 연 상태에서 원고대 글래스(203) 상에 원고를 재치한다. 그리고, 압력판(202)을 닫음으로써 원고대 글래스(203) 상의 원고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예를 들면 조작부(300)를 조작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에 판독 지령을 출력한다. 판독 동작이 개시되면, 판독 유닛(201) 내의 판독부가 부주사 방향, 즉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1)의 조작부(300)를 정면으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판독부가 왕복 이동한다. 판독부는, 발광부로부터 원고를 향해 광을 출사하면서, 원고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광부에 의해 수광하고, 광전 변환함으로써 원고의 화상을 판독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조작부(300)를 정면으로 마주보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규정한다.
장치 본체(2)의 상부에는, 톱 커버(82)가 설치되어 있고, 톱 커버(82)의 상면에는, 배출 트레이(81)가 형성되어 있다. 톱 커버(82)에는, 도 1의 (b)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부재(83)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축(83a)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톱 커버(82)의 배출 트레이(81)에는, 상방으로 개구한 개구부(82a)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 부재(83)는, 토너 팩(100)을 현상 용기(32)에 장착할 수 없도록 보급구(32a)를 덮는 닫힘 위치와, 토너 팩(100)을 현상 용기(32)에 장착할 수 있도록 보급구(32a)를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개폐 부재(83)는, 닫힘 위치에서, 배출 트레이(81)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개폐 부재(83) 및 개구부(82a)는, 배출 트레이(81)의 좌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 부재(83)는, 톱 커버(82)에 설치된 홈부(82b)로부터 손가락을 걸면 왼쪽 방향으로 열린다. 개폐 부재(83)는, 톱 커버(82)의 형상을 따라,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출 트레이(81)의 개구부(82a)는, 현상 용기(32)의 상부에 형성된 토너 보급용의 보급구(32a)가 노출되도록 개구하고 있고, 개폐 부재(83)가 열림으로써, 사용자는 보급구(32a)에 액세스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현상 장치(30)가 화상 형성 장치(1)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인 채로, 사용자가 보급용의 토너가 충전되어 있는 토너 팩(100)(도 1의 (a)(b)참조)으로부터 현상 장치(30)로 토너를 보급하는 방식(직접 보급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토너 팩(100)은, 화상 형성 장치(1)의 장착부(106)(도 6참조)에 장착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로세스 유닛(20)의 토너 잔량이 적어진 경우에, 프로세스 유닛(20)을 장치 본체(2)로부터 취출하여 신품의 프로세스 유닛으로 교환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 유닛(20) 전체를 교환하는 것 보다 저렴하게 현상 용기(32)에 토너를 보급할 수 있다. 한편, 직접 보급 방식은, 프로세스 유닛(20)의 현상 장치(30)만을 교환하는 경우에 비해서도, 각종의 롤러나 기어 등을 교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 및 토너 팩(100)은, 화상 형성 시스템(1000)을 구성하고 있다.
[토너 팩의 구성]
다음으로, 도 3∼도 5의 (b)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에 착탈 가능하고,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팩(100)의 기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토너 용기로서의 토너 팩(100)은, 후술하는 장착부(106)에 장착된다. 도 3은, 팩측 셔터(103)가 차폐 위치에 있을 때의 토너 팩(100)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팩측 셔터(103)가 차폐 위치에 있을 때의 토너 팩(100)을 나타내는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팩측 셔터(103)가 차폐 위치에 있을 때의 토너 팩(100)의 사시도이다. 도 5의 (b)는, 팩측 셔터(103)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토너 팩(100)의 사시도이다.
토너 팩(100)은, 도 3 내지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를 수용하는 파우치(101)와, 파우치(101)에 결합되는 노즐(102)과, 팩측 셔터(103)를 가진다. 제1 수용부로서의 파우치(101)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고, 팩측 셔터(103)의 회전 축선인 회전 축선(A)을 따른 축선 방향(D1)에서의 토너 팩(100)의 일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노즐(102) 및 팩측 셔터(103)는, 축선 방향(D1)에서의 토너 팩(100)의 타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파우치(101)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시트가 파우치 가공됨으로써 형성되고, 또한 일단부가 개방된 봉투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한편, 파우치(101)는, 수지제의 보틀이나 종이제나 비닐 등의 용기여도 된다.
배출부로서의 노즐(102)은, 파우치(101)에 대해 결합되어 있지만, 결합 방법은 어떤 것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결합 방법으로서는, 핫멜트(hot-melt) 등의 각종 접착제를 사용한 방법이나, 노즐(102)의 외주에 대해 파우치(101)를 열 용착하여 결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축선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노즐(102)의 측면(102c)에는, 파우치(101)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구성된 배출구(102a)와, 오목부(102e)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102e)는, 팩측 셔터(103)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배출구(102a)와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파우치(101)에 수용된 토너는, 파우치(101)가 사용자에 의해 압축되어(짜내져) 파우치(101)의 용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에어와 함께 배출구(102a)를 통해 토너 팩(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노즐(102)은, 1부재가 아니고,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노즐(102)의 측면(102c)의 외측에는, 팩측 셔터(103)가 배치되어 있다. 팩측 셔터(103)는, 축선 방향(D1)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선(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축선(A)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에서 측면(102c)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팩측 셔터(103)의 내측의 면, 즉 측면(102c)에 대향하는 면은, 노즐(102)의 측면(102c)을 따른 곡면이며, 대략 사각형 형상의 팩측 시일(105)이 장착되어 있다.
팩측 셔터(103)는, 팩측 시일(105)이 노즐(102)의 배출구(102a)를 차폐하는 차폐 위치와, 배출구(102a)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팩측 셔터(103)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팩측 셔터(103)에 형성되는 개구(103a)로부터 노즐(102)의 배출구(102a)가 노출된다. 또한, 도 3 및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팩측 셔터(103)가 차폐 위치에 있을 때에, 노즐(102)의 오목부(102e)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103a)를 통해 팩측 셔터(103)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팩측 셔터(103)의 개구(103a)와는 반대측에는, 후술하는 조작 레버(108)의 구동 전달부(108a)에 계합 가능한 피구동 전달부(103b)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차폐 위치에 있는 팩측 셔터(103)가 회전 축선(A)을 중심으로 화살표(K) 방향으로 회전되면, 팩측 셔터(103)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개방 위치에 이른다. 반대로, 개방 위치에 있는 팩측 셔터(103)가 화살표(L) 방향으로 회전되면, 팩측 셔터(103)는 차폐 위치에 이른다. 팩측 셔터(103)의 회전 동작에 있어서, 팩측 셔터(103)는 팩측 시일(105)을 통해 노즐(102)의 측면(102c)을 슬라이딩한다.
[장착부]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토너 팩(100)이 장착되는 장착부(106)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착부(106)는, 토너 팩(100)을 장착하기 위한 유닛이며, 화상 형성 장치(1)(도 1의 (a) 참조)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부(106)는, 화상 형성 장치(1)의 현상 용기(32)에 연결되어 있다.
도 6은, 장착부(10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의 (a)(b)는, 통기 시트(112) 및 통기 필터(116)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닫힘 위치에 위치하는 조작 레버(108)를 포함하는 장착부(106)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의 (b)는, 열림 위치에 위치하는 조작 레버(108)를 포함하는 장착부(106)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의 H-H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106)는, 본체 베이스부(3)와, 조작 레버(108)와, 장치측 셔터(109)를 가지고 있다. 본체 베이스부(3)는, 제1 프레임(107), 제2 프레임(117), 커버 부재(110), 셔터 시트(121), 통기 시트(112) 및 통기 필터(116)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107) 및 제2 프레임(117)은, 프레임(150)을 구성하고 있고, 프레임(150)은, 현상 용기(32)와는 별체로 구성되어, 장치측 셔터(109)의 축선 방향(D2)에서의 이동을 규제한다. 즉, 현상 용기(32)는, 장착부(106)와는 별체로 구성된다.
커버 부재(110) 및 제2 프레임(117)은, 제1 프레임(107)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제1 프레임(107), 커버 부재(110) 및 제2 프레임(117)은 별도의 부재가 아니라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프레임(117)에는, 장치측 개구(117a)가 설치되어 있고, 장치측 개구(117a)는, 현상 용기(32)의 수용부(36)(도 1의 (a) 참조)와 연통하고 있다.
조작 레버(108) 및 장치측 셔터(109)는, 각각, 본체 베이스부(3)에 대해 셔터 회전 축선으로서의 회전 축선(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1 프레임(107)에는, 위치 결정부(107a)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107a)는, 회전 축선(B)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에서, 제1 프레임(107)의 회전 축선(B)을 중심으로 하는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108)에는, 보급구(32a), 구동 전달부(108a) 및 조작부(108b)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108)의 구동 전달부(108a)는, 회전 축선(B)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에서, 조작 레버(108)의 회전 축선(B)을 중심으로 하는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이다.
사용자는, 조작부(108b)를 조작함으로써, 조작 레버(108)를 본체 베이스부(3)에 대해 회전 축선(B)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레버(108)는, 도 8의 (a)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와, 도 8의 (b)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술하지만, 조작 레버(108)가 닫힘 위치에 위치할 때에, 팩측 셔터(103) 및 장치측 셔터(109)는 차폐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조작 레버(108)가 닫힘 위치부터 열림 위치로 조작됨으로써, 팩측 셔터(103) 및 장치측 셔터(109)는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셔터로서의 장치측 셔터(109)는, 내주면(109h)과, 내주면(109h)에 형성되고, 토너 팩(100)으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받아들이는 수입구(109a)와, 외주면(109f)과, 피구동 전달부(109e)를 가진다. 내주면(109h)에는, 수입구(109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장치측 시일(111)가 첩부되어 있다. 피구동 전달부(109e)는, 팩측 셔터(103)의 피구동 전달부(103b)에 계합 가능하다. 장치측 셔터(109)는, 외주면(109f)이 제1 프레임(107)의 내주면(107c)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되고 있다.
장치측 셔터(109)는, 본체 베이스부(3)에 대해, 차폐 위치와, 개방 위치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치측 셔터(109)는, 차폐 위치에 있어서, 장치측 시일(111)과 커버 부재(110)에 의해 수입구(109a)가 차폐되고, 개방 위치에 있어서, 수입구(109a)가 커버 부재(11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개방된다. 즉, 수입구(109a)는, 장치측 셔터(109)가 차폐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제2 프레임(117)의 장치측 개구(117a)에 연통하지 않고, 장치측 셔터(109)가 차폐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제2 프레임(117)의 장치측 개구(117a)에 연통한다. 장치측 셔터(109)가 개방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수입구(109a)를 통해 토너 팩(100)으로부터 현상 용기(32)의 수용부(36)로 토너를 보급(공급)할 수 있다.
한편, 조작 레버(108)와 장치측 셔터(109)는 구동이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토너 팩(100)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 레버(108)를 조작해도, 장치측 셔터(109)는 회전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07)에는, 제1 관통 구멍으로서의 관통 구멍(107b)과, 통기 시트 좌면(107d)과, 규제면(107e)이 설치되어 있다. 통기 시트 좌면(107d)에는, 통기 시트(112)가 열용착되어 있고, 통기 시트(112)는, 관통 구멍(107b)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기 시트(112)는, 부직포로부터 구성되지만, 부직포 이외의 재질로 구성되어도 된다. 한편, 제1 필터로서의 통기 시트(112)는, 통기 시트 좌면(107d)에 대해 열용착 이외의 방법으로 부착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도 된다.
제2 프레임(117)에는, 상술한 장치측 개구(117a) 이외에, 벽부(117b)와, 규제면(117d)이 설치되어 있다. 장치측 셔터(109)는, 제1 프레임(107)의 규제면(107e)과, 제2 프레임(117)의 규제면(117d)에 의해 회전 축선(B)을 따른 축선 방향(D2)에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제1 프레임(107)은, 장치측 셔터(109)의 축선 방향(D2)에서의 일방측의 이동을 규제하고, 제2 프레임(117)은, 장치측 셔터(109)의 축선 방향(D2)에서의 타방측의 이동을 규제한다.
벽부(117b)에는, 제2 관통 구멍으로서의 관통 구멍(117c)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관통 구멍(117c)을 덮도록 통기 필터(116)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필터로서의 통기 필터(116)는, 우레탄 폼, 즉 우레탄으로 구성되지만, 우레탄 이외의 재질로 구성되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통기 시트(112)와는 다른 재질로 구성된다.
통기 필터(116)의 토너가 접하는 측의 면(116a)의 일부는, 벽부(117b)에 대해, 도시하지 않은 양면 테이프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통기 시트(112) 및 통기 필터(116)는, 관통 구멍(107b, 117c)을 덮도록 설치되고, 에어의 통과를 허용하는 필터부(140)를 구성하고 있다. 관통 구멍(107b, 117c)은, 상방을 향해 개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 시트(112) 및 통기 필터(116)로 구성되는 필터부(140)는, 제1 프레임(107)과 제2 프레임(117)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통기 필터(116)의 두께는, 90μm∼250μm가 바람직하고, 통기 시트(112)의 두께는, 1mm∼20mm가 바람직하다.
한편, 통기 필터(116)는, 통기 시트(112)보다 눈이 성기고, 통기성이 높다. 통기 시트(112) 및 통기 필터(116)의 통기성은, 예를 들면 프레지어형법에 의해 측정된다. 프레지어형법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먼저, 약200mm×200mm의 시험편을 5장 준비하여 프레지어형 시험기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경사형 기압계가 125Pa의 압력이 되도록 흡입 팬 및 공기 구멍을 조정하고, 그 때의 수직형 기압계가 나타내는 압력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한 압력과 사용한 공기 구멍의 종류로부터, 시험기에 부속되어 있는 환산표에 의해 시험편을 통과하는 공기량(cm3/cm2·sec)을 구한다. 시험편을 통과하는 공기량이 많을수록, 통기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토너 팩의 장착부에의 장착]
다음으로, 도 10의 (a) 내지 도 11의 (b)를 사용하여, 장착부(106)에 토너 팩(100)을 장착할 때의 상태를 설명한다. 도 10의 (a)는, 장착부(106)에 토너 팩(100)을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의 (b)는, 장착부(106)에 토너 팩(100)을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이들 도 10의 (a)(b)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108)는 닫힘 위치에 위치하고, 팩측 셔터(103) 및 장치측 셔터(109)는 차폐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11의 (a)는, 조작 레버(108)가 닫힘 위치에 위치할 때의 토너 팩(100) 및 장착부(106)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1의 (b)는, 조작 레버(108)가 열림 위치에 위치할 때의 토너 팩(100) 및 장착부(106)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도 10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측 셔터(109)가 차폐 위치에 있는 상태의 장착부(106)에 대해, 팩측 셔터(103)가 차폐 위치에 있는 상태의 토너 팩(100)을 장착 방향(N)으로 이동시켜 장착한다. 이 때, 사용자는, 노즐(102)의 오목부(102e) 및 팩측 셔터(103)의 개구(103a)와, 제1 프레임(107)의 위치 결정부(107a)를 위치맞춤한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는, 팩측 셔터(103)의 피구동 전달부(103b)와, 조작 레버(108)의 구동 전달부(108a)의 위치도 맞춘다.
이러한 토너 팩(100)과 장착부(106)의 위치맞춤 후, 사용자는, 토너 팩(100)을 장착 방향(N)으로 이동시켜 장착부(106)에 장착해 간다. 그러면, 팩측 셔터(103)의 피구동 전달부(103b)는, 장치측 셔터(109)의 피구동 전달부(109e) 및 조작 레버(108)의 구동 전달부(108a)에 계합한다. 이에 의해, 팩측 셔터(103)의 회전 축선(A)과, 장치측 셔터(109)의 회전 축선(B)이 대략 동축이 된다. 또한, 노즐(102)의 오목부(102e)가 커버 부재(110)의 단면에 계합하기 때문에, 토너 팩(100)의 노즐(102)이 커버 부재(110)를 포함하는 본체 베이스부(3)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조작 레버(108), 팩측 셔터(103) 및 장치측 셔터(109)는, 본체 베이스부(3) 및 노즐(102)에 대해, 회전 축선(A, B)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일체가 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1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8)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화살표(D) 방향으로 회전되면, 조작 레버(108)의 구동 전달부(108a)가, 팩측 셔터(103)의 피구동 전달부(103b)를 압압한다. 이에 의해, 팩측 셔터(103)는, 조작 레버(108)와 함께 차폐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된다. 또한, 차폐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되는 팩측 셔터(103)의 피구동 전달부(103b)가, 장치측 셔터(109)의 피구동 전달부(109e)를 압압한다. 이에 의해, 장치측 셔터(109)는, 팩측 셔터(103)와 함께 차폐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된다. 따라서, 토너 팩(100)의 파우치(101)와 수용부(36)가, 배출구(102a), 수입구(109a) 및 장치측 개구(117a)를 통해 연통한다.
반대로, 조작 레버(108)가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회전되면, 조작 레버(108)의 구동 전달부(108a)가 팩측 셔터(103)의 피구동 전달부(103b)를 압압한다. 이에 의해, 팩측 셔터(103)는, 조작 레버(108)와 함께 개방 위치로부터 차폐 위치로 회전된다. 또한, 개방 위치로부터 차폐 위치로 회전되는 팩측 셔터(103)의 피구동 전달부(103b)가 장치측 셔터(109)의 피구동 전달부(109e)를 압압한다. 이에 의해, 장치측 셔터(109)는, 팩측 셔터(103)와 함께 개방 위치로부터 차폐 위치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조작 레버(108)를 조작함으로써, 팩측 셔터(103) 및 장치측 셔터(109)를 차폐 위치와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시킬 수 있고, 토너 팩(100)으로부터 현상 용기(32)로의 토너의 보급을 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토너 팩(100)으로부터 현상 용기(32)로의 토너의 보급이 완료되면, 조작 레버(108)를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회전시키고, 토너 팩(100)을 장착부(106)로부터 빼낸다.
[토너의 보급]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5를 사용하여, 토너 팩(100)으로부터 현상 용기(32)로의 토너의 보급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도 11의 (b)의 J-J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즉, 도 12에 있어서, 조작 레버(108)는 열림 위치에 위치하고, 팩측 셔터(103) 및 장치측 셔터(109)는 개방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13은, 유로(E)의 진로(E2)를 도 12와는 다른 형태로 기재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통기 시트(112) 및 통기 필터(116)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프로세스 유닛(20) 및 토너 팩(1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5는, 현상 롤러(31)의 롤러 축선(31a)의 축선 방향(D4)(도 15 참조) 및 수평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팩(100)의 파우치(101)와 현상 용기(32)의 수용부(36)는, 배출구(102a), 수입구(109a) 및 장치측 개구(117a)를 통하여, 서로 연통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우치(101)를 압축함으로써, 토너 팩(100)의 파우치(101)에 수용된 토너는, 수용부(36)로 공급된다. 장착부(106)에는, 토너 및 공기가 통과 가능하도록 형성된 중공의 통로(400)가 형성되어 있고, 도 12에 있어서, 유로(E)는, 토너 팩(100)으로부터 수용부(36)로의 토너의 흐름을 나타낸다. 한편, 통로(400)는, 주로 제1 프레임(107)의 내벽 및 제2 프레임(117)의 내벽에 의해 형성된다.
유로(E)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토너는, 파우치(101)로부터 노즐(102) 내로 중력 방향(G)으로 진행되고(진로(E1)), 노즐(102)의 내벽인 가이드면(102f)에 가이드되어, 배출구(102a) 및 수입구(109a)로 진행한다(진로(E2)). 가이드면(102f)은,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수평 방향에서 수입구(109a)에 가까워지도록, 중력 방향(G)에 대해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토너는, 통기 필터(116)의 면(116a)에 부딪쳐서 중력 방향(G)으로 진행하여(진로(E3)), 수용부(36)로 공급된다.
그런데, 토너 팩(100)으로부터 수용부(36)로 토너의 보급을 행할 때에, 파우치(101)는, 압축됨으로써 내부의 용적이 감소하도록 변형된다. 이 때문에, 토너 팩(100)에 수용된 토너와 함께, 토너 팩(100) 내의 에어가 유로(E)를 통해 수용부(36)로 향한다. 즉, 토너가 혼합된 에어의 일부는, 상술한 유로(E)를 구성하는 진로(E1, E2)로 진행되어, 배출구(102a) 및 수입구(109a)로부터 장착부(106) 내로 배출된다. 그리고, 해당 에어는, 관통 구멍(117c)을 통과하여 통기 필터(116)에 도달한다.
이 때, 토너는 통기 필터(116)에 의해 포집되고, 남은 에어의 일부는 통기 필터(116) 및 통기 시트(112)를 통과한다. 그리고, 해당 에어는, 유로(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 구멍(107b)을 통과하여 장착부(106)의 외부로 배출된다. 에어의 일부가 관통 구멍(107b)으로부터 장착부(106)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수용부(36)로 배출되는 에어의 양이 억제되어, 수용부(36)의 내압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토너 팩(100)의 파우치(101)를 압축하기 쉬워져, 수용부(36)에의 토너의 보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축선 방향(D2)에 있어서, 수입구(109a)가 존재하는 영역을 영역(X), 관통 구멍(107b)이 존재하는 영역을 영역(Y), 영역(X)과 영역(Y)이 오버랩된 영역을 영역(Z)이라 한다. 한편, 토너 팩(100)이 장착부(106)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축선 방향(D2)은, 중력 방향(G)과 대략 평행하다. 즉, 회전 축선(A, B)은, 중력 방향(G)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우치(101)를 변형시켰을 때의 압력에 의해, 토너가 혼합된 에어의 일부는, 수입구(109a)를 통과한다. 즉, 에어는, 영역(X)을 통과한다.
또한, 수입구(109a)를 통과한 에어의 일부는, 유로(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 구멍(107b)을 통과하여 장착부(106)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에어는, 영역(Y)을 통과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선 방향(D2)에 있어서, 영역(X) 및 영역(Y)이 영역(Z)에서 오버랩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도 12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 구멍(107b)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 예를 들면 중력 방향(G) 및 현상 롤러(31)의 롤러 축선(31a)의 축선 방향(D4)에 각각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수입구(109a)와 오버랩되어 있다. 상기 중력 방향(G) 및 현상 롤러(31)의 롤러 축선(31a)의 축선 방향(D4)에 각각 직교하는 방향은, 화상 형성 장치(1)의 전후 방향이다. 관통 구멍(107b)과 마찬가지로, 관통 구멍(117c)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수입구(109a)와 오버랩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107b, 117c)은, 장착부(106)와 현상 용기(32)의 연결 부분(117e)보다 상방에 배치된다. 연결 부분(117e)은, 제2 프레임(117)과 현상 용기(32)가 비스 등에 의해 연결되는 부분이다.
또한, 관통 구멍(107b, 117c)의 적어도 일부는, 중력 방향(G)에서 수입구(109a)와 현상 롤러(31)의 롤러 축선(31a)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관통 구멍(107b, 117c)의 적어도 일부는, 중력 방향(G)에서 수입구(109a)와 교반 부재(34)의 회전 축선(34a)의 사이에 위치한다. 관통 구멍(107b, 117c)은, 회전 축선(A)에 직교하는 방향(현상 롤러(31)의 축선 방향(D4))에서 보았을 경우에, 토너 팩(100)이 삽입되는 보급구(32a)보다 하방이고 현상 롤러(31)의 롤러 축선(31a)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관통 구멍(107b, 117c)은, 회전 축선(A)에 직교하는 방향(현상 롤러(31)의 축선 방향(D4))에서 보았을 경우에, 토너 팩(100)이 삽입되는 보급구(32a)보다 하방이고 교반 부재(34)의 회전 축선(34a)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도 15에 있어서, 보급구(32a)를 통과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직선(L1), 롤러 축선(31a)을 통과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직선(L2), 회전 축선(34a)을 통과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직선(L3)으로 한다. 또한, 수입구(109a)의 하단을 통과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직선(L4), 수입구(109a)를 통과하고, 중력 방향(G)(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직선(L5)으로 한다. 롤러 축선(31a)을 통과하고, 중력 방향(G)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직선(L6), 회전 축선(34a)을 통과하고, 중력 방향(G)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직선(L7)으로 한다.
관통 구멍(107b, 117c)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도 12의 영역(Y) 중, 영역(Z) 이외의 영역)은, 직선(L4)과 직선(L2)의 사이, 그리고 직선(L4)과 직선(L3)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관통 구멍(107b, 117c)은, 직선(L1)보다 하방이고 직선(L2, L3)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관통 구멍(107b, 117c) 전부에 한정되지 않고, 관통 구멍(107b, 117c)의 적어도 일부가, 보급구(32a)보다 하방이고 현상 롤러(31)의 롤러 축선(31a) 및 교반 부재(34)의 회전 축선(34a)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관통 구멍(107b, 117c)은, 수평 방향에서, 수입구(109a)와 롤러 축선(31a)의 사이에 위치한다. 즉, 관통 구멍(107b, 117c)은, 직선(L5)과 직선(L6)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관통 구멍(107b, 117c)은, 수평 방향에서, 수입구(109a)와 회전 축선(34a)의 사이에 위치한다. 즉, 관통 구멍(107b, 117c)은, 직선(L5)과 직선(L7)의 사이에 위치한다. 한편, 관통 구멍(107b, 117c) 전부에 한정되지 않고, 관통 구멍(107b, 117c)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 방향에서, 수입구(109a)와 롤러 축선(31a)의 사이나, 수입구(109a)와 회전 축선(34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
도 1의 (a)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롤러(31)의 롤러 축선(31a), 교반 부재(34)의 회전 축선(34a), 관통 구멍(107b, 117c), 수입구(109a)는, 배출 방향(DD)에서 이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에 관통 구멍(107b, 117c)을 배치함으로써, 토너가 혼합된 에어의 일부를 효율적으로 장착부(106)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수용부(36)의 내압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토너의 보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107b)이 연결 부분(117e)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현상 용기(32)에 한번 수용된 토너가 관통 구멍(107b)으로 역류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토너가 혼합된 에어는, 통기 필터(116)의 면(116a)에 맞부딪치지만, 면(116a)은, 수입구(109a)를 마주보고,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수평 방향에서 수입구(109a)로부터 멀어지도록, 중력 방향(G)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관통 구멍(107b, 117c)이 설치되어 있는 통로(400)의 벽(400a)(도 15 참조)은, 수평 방향에서 수입구(109a)로부터 현상 롤러(31)를 향함에 따라서 중력 방향(G)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통기 필터(116)는, 토너를 포집한 후, 포집한 토너를 중력 방향(G), 즉 수용부(36)를 향해 떨어뜨리기 쉬워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통기 필터(116)의 막힘을 억제하여, 통기 필터(116)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통기 필터(116)의 교환 빈도를 억제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이나 부품의 교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통기 필터(116) 및 통기 시트(112)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 등을 통하지 않고 각각 제2 프레임(117) 및 제1 프레임(107)에 부착된다. 통기 시트(112)는, 통기 필터(116)보다 눈이 미세하고, 또한 통기 필터(116)를 사이에 두고 통로(400)와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토너는, 비록 통기 필터(116)를 통과하였다고 해도 통기 시트(112)에 의해 포집되어, 토너가 관통 구멍(117c, 107b)을 통해 장착부(106)의 외부로 비산해 버리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2에서는, 유로(E)의 진로(E2)를 모식적으로 기재하고 있고, 진로(E2)가 1점에서 방향 전환하도록 기재되어 있었다. 도 13은, 유로(E)의 진로(E2)를 보다 부드럽게 기재한 것으로, 노즐(102)의 가이드면(102f)은, 토너 및 에어를 진로(E2)를 따라 가이드한다. 진로(E2)에 있어서, 수입구(109a)에서 에어는 에어 진입 방향(D3)으로 진행한다. 즉, 에어는, 수입구(109a)에서, 가이드면(102f)에 의해 에어 진입 방향(D3)으로 가이드된다.
이 때, 관통 구멍(107b)의 적어도 일부는, 에어 진입 방향(D3)에서, 수입구(109a)와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토너가 혼합된 에어의 일부를, 관통 구멍(107b)을 통해 효율적으로 장착부(106)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수용부(36)의 내압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의 필터부(14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이 때문에,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 또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장착부(2106)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장착부(2106)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도 17의 단면은, 도 8의 (a)의 H-H단면과 마찬가지이다. 도 18은, 장착부(2106)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필터부(214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필터부(2140)의 주위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필터부(2140)는, 제3 필터로서의 통기 시트(112)와, 제4 필터로서의 비산 방지 시트(2113)와, 양면 테이프(2114)와,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를 가지고 있다. 한편, 필터부(2140) 이외의, 장착부(2106)의 다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장착부(106)와 마찬가지이다.
프레임(150)의 제1 프레임(107) 및 제2 프레임(117)에는, 각각 관통 구멍(107b, 117c)이 설치되어 있다. 통기 시트(112)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프레임(107)의 내면에 설치된 통기 시트 좌면(107d)에, 열용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비산 방지 시트(2113)는, 제1 프레임(107)의 외면에 설치된 비산 방지 시트 좌면(107g)에, 도시하지 않은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비산 방지 시트(2113)의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인 구멍부(2113h)가 설치되어 있다.
비산 방지 시트(2113) 상에는, U자 형상의 양면 테이프(2114)에 의해,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양면 테이프(2114)는, 비산 방지 시트(2113)의 구멍부(2113h)에 겹치지 않도록, 비산 방지 시트(2113)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는, 통기 시트(112)와 동등한 필터재가 사용되고 있고, 그 통기도는 2∼80(cc/cm2·sec)이다. 또한, 비산 방지 시트(2113)는, 예를 들면 두께가 25μm∼3.0mm의 범위의 필름재나 시트재이며, 통기 시트(112) 및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보다 토너의 통과량이 적다. 즉, 비산 방지 시트(2113)의 구멍부(2113h) 이외의 부분에 부딪친 토너는, 비산 방지 시트(2113)를 거의 투과하지 않는다.
이들 통기 시트(112), 비산 방지 시트(2113) 및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는, 관통 구멍(107b)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고, 관통 구멍(107b)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5 필터로서의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는, 비산 방지 시트(2113)를 사이에 두고 통기 시트(112) 및 통로(400)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통기 시트(112), 비산 방지 시트(2113) 및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는, 관통 구멍(107b)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관통 구멍(107b)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통기 시트(112) 및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는, 비산 방지 시트(2113)의 개구부로서의 구멍부(2113h)를 덮고 있다.
또한, 접착부로서의 양면 테이프(2114)는, 제1 직선부(2114a)와, 제2 직선부(2114b)와, 이들 제1 직선부(2114a)와 제2 직선부(2114b)를 접속하는 제3 직선부(2115c)를 가지고,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양면 테이프(2114)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구멍부(2113h)의 주위의 일부에만 위치하고, 구멍부(2113h)의 주위의 전체 둘레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바꿔 말하면, 양면 테이프(2114)는, 일방이 개방되어 개방부(2114f)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양면 테이프(2114)가 존재하는 부분에서는, 비산 방지 시트(2113)와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가 접착되어 있지만, 개방부(2114f)에서는 비산 방지 시트(2113)와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가 접착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부(2114f)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비산 방지 시트(2113)와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의 사이의 미소한 간극으로부터, 화살표(K) 방향으로 에어가 빠져나가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양면 테이프(2114)는, 구멍부(2113h)를 빠져나온 에어가 양면 테이프(2114)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인 개방부(2114f)로부터 비산 방지 시트(2113)와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화살표(K) 방향은, 구멍부(2113h)로부터 개방부(2114f)를 향하는 방향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보급시에는, 에어와 함께 미소한 토너가 통기 시트(112)를 통과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부(2113h)와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부터 통기 시트(112)를 통과한 토너(T)는, 비산 방지 시트(2113)에 부딪쳐, 통기 시트(112)와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107f)에 고인다. 비산 방지 시트(2113) 및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는, 관통 구멍(107b)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고, 간극(107f)은, 관통 구멍(107b)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일부이다. 바꿔 말하면, 통기 시트(112) 및 비산 방지 시트(2113)는, 통기 시트(112)와 비산 방지 시트(2113)의 사이에, 그리고 구멍부(2113h)의 아래쪽에 간극(107f)이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구멍부(2113h)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통기 시트(112)를 통과한 토너는, 매우 미량이며, 구멍부(2113h)를 통과하여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117c, 107b)을 통과한 토너가, 장착부(2106)의 외부로 비산해 버리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화상 형성 장치(1)가 이동되는 물류시나, 토너 팩(100)으로부터 현상 용기(32)로의 토너 보급시에는, 현상 용기(32) 내의 토너가 떠오르기 쉬운데, 상기 필터부(2140)에 의해 장착부(2106)의 외부로 비산해 버리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토너의 흐름은 일 예에 불과하고, 예를 들면 구멍부(2113h)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통기 시트(112)를 통과한 토너가, 비산 방지 시트(2113)에 부딪쳐, 간극(107f)에 고여도 된다.
통기 시트(112)를 통과한 에어의 대부분은, 비산 방지 시트(2113)의 구멍부(2113h)를 통과한다. 비산 방지 시트(2113)에는, 구멍부(2113h)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기성이 양호하고, 수용부(18)의 내압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한편, 구멍부(2113h)는, 에어를 충분히 통기할 수 있으면 그 형상이나 크기는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직경 2mm∼15mm의 둥근 구멍이라면 바람직하다. 또한, 구멍부(2113h)는, 예를 들면 사각형 등의 다각형 구멍이라도 된다.
비산 방지 시트(2113)를 통과하여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에 부딪친 에어는, 양면 테이프(2114)의 개방부(2114f)로부터 화살표(K) 방향으로 배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에어는, 개방부(2114f)에서, 비산 방지 시트(2113)와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의 사이로부터 화살표(K) 방향으로 배출된다. 이 에어에는, 토너가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다. 한편,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에 통기 성능의 필터재를 적용했을 경우에는, 에어의 일부가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를 통과하여 장착부(2106)의 외부로 배출되어도 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를 상방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필터부(2140)의 안쪽에는 감광 드럼(21)이 배치되어 있고, 필터부(2140)의 앞쪽에는, 토너 팩(100)이 장착되기 위한 보급구(32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필터부(2140)의 우측에는 노광부로서의 스캐너 유닛(11)이 배치되어 있고, 필터부(2140)의 좌측에는 장치 본체(2)의 좌측판(401)이 배치되어 있다. 좌측판(401)은, 장치 본체(2)의 프레임의 일부이다. 바꿔 말하면, 양면 테이프(2114)의 제1 직선부(2114a)는, 비산 방지 시트(2113)의 구멍부(2113h)와 감광 드럼(2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직선부(2114b)는, 구멍부(2113h)와 보급구(32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직선부(2114c)는, 구멍부(2113h)와 스캐너 유닛(1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화살표(K) 방향은, 필터부(2140)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의 좌측, 즉 좌측판(401)을 향하는 방향이다. 개방부(2114f)로부터 화살표(K) 방향으로 배출된 에어에는, 거의 토너가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극미량의 토너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필터부(2140)의 안쪽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 감광 드럼(21) 및 스캐너 유닛(11)은, 토너가 부착되면 화상 형성 불량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필터부(2140)의 앞쪽에 배치된 보급구(32a)에 토너가 부착되면, 토너 보급시에 사용자에게 토너가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방부(2114f)로부터 좌측판(401)을 향하여 화살표(K) 방향으로 에어가 배출되도록 구성하였다. 좌측판(401)과 개방부(2114f)의 사이에는, 화상 형성 불량이나 사용자에의 토너의 부착의 원인이 되는 구성은 없기 때문에, 화상 형성 불량이나 사용자에의 토너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좌측판(401)에는, 에어가 빠져나가기 위한 개구가 적절히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너 보급시에 토너가 통과하는 통로(400)를 구성하는 프레임(150)에 관통 구멍(107b, 117c)을 설치하고, 또한 관통 구멍(107b)을 필터부(2140)에 의해 덮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토너 보급시에는, 토너 팩(100)의 파우치(101)가 압축됨으로써, 토너와 함께 에어가 통로(400)를 통과한다. 이 에어는, 관통 구멍(107b, 117c) 및 필터부(2140)를 통과하여, 장착부(2106)의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수용부(36)의 내압 상승을 억제하고, 토너의 보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부(2140)는, 통기 시트(112), 비산 방지 시트(2113), 양면 테이프(2114) 및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에어에 포함되는 토너는, 이들 통기 시트(112), 비산 방지 시트(2113) 및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에 의해, 순차 포집되어, 토너가 장착부(2106)의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비산 방지 시트(2113)와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를 접착하는 양면 테이프(2114)가,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산 방지 시트(2113)를 통과한 에어의 대부분은, 양면 테이프(2114)의 개방부(2114f)로부터 화살표(K) 방향으로 배출된다. 또한, 비산 방지 시트(2113)는, 구멍부(2113h)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기성이 양호하다. 이에 의해, 필터부(2140)의 통기성을 향상시켜, 수용부(36)의 내압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방부(2114f)로부터 화살표(K) 방향으로 배출된 에어는, 좌측판(401)을 향해 진행하기 때문에, 화상 형성 불량이나 사용자에의 토너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한편, 제1 실시형태에서는, 축선 방향(D2)에서 수입구(109a)가 존재하는 영역을 영역(X)으로 했지만, 배출구(102a)가 존재하는 영역을 영역(X)으로 해도 된다. 즉, 배출구(102a)와 관통 구멍(107b)이 축선 방향(D2)에서 오버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장착부(106)로부터 에어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통기 시트(112) 및 통기 필터(116)는, 제1 프레임(107)과 제2 프레임(117)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통기 시트(112) 및 통기 필터(116)는, 관통 구멍(107b, 117c)의 적어도 일방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통기 필터(116)는, 관통 구멍(117c)보다 유로(E)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필터부(140)는, 통기 시트(112) 및 통기 필터(116)의 2개의 통기 필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지만, 1개 또는 3개 이상의 통기 필터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는, 통기도가 2∼80(cc/cm2·sec)인 필터재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는, 통기 시트(112)를 통과하는 토너량이나 수용부(36)의 내압 상승을 감안하여, 통기 성능이 없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트나 PO(폴리올레핀) 시트를 적용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비산 방지 시트(2113) 및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를 제1 프레임(107)과는 별체로 구성하고 있지만, 제1 프레임(107)과 일체 성형해도 된다.
단, 이 경우,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가 제1 프레임(107)과 동일 재질이 되기 때문에, 통기성이 있는 필터재를 사용했을 경우보다는 내압 상승하게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통기 시트(112)에, 보다 통기성이 높은 것을 적용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관통 구멍(107b)을 사이에 두고, 통로(400)측에 통기 시트(112)를 배치하고, 통로(400)와는 반대측에 비산 방지 시트(2113) 및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를 배치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비산 방지 시트(2113)는, 관통 구멍(107b)에 대해 통로(400)측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U자 형상의 양면 테이프(2114)는, 제1 프레임(107)의 비산 방지 시트 좌면(107g)과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를 접착해도 된다. 또한, 통기 시트(112), 비산 방지 시트(2113) 및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 모두가, 제1 프레임(107)의 비산 방지 시트 좌면(107g) 측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U자 형상의 양면 테이프(2114)에 의해 비산 방지 시트(2113)와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를 접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 대신에, 접착제 등에 의해 비산 방지 시트(2113)와 비산 방지 보조 시트(2115)를 서로 접착해도 된다. 또한, 양면 테이프(2114)의 형상도, U자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L자 형상이나 V자 형상 등이어도 된다.
 또한, 이미 서술한 모든 형태에 있어서, 프레임(150)은, 제1 프레임(107) 및 제2 프레임(117)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레임(150)은, 1부재로 구성되어도 되고, 또한 3부재 이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이미 서술한 모든 형태에 있어서, 제1 프레임(107) 및 제2 프레임(117)에 각각 관통 구멍(107b, 117c)을 설치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프레임(117)에 관통 구멍(117c)을 설치하지 않고, 제1 프레임(107)에만 관통 구멍(107b)을 설치해도 된다. 즉, 관통 구멍(107b)은, 프레임(150)의 어느 장소에 설치되면 된다. 이 경우, 제2 프레임(117)의 벽부(117b)는 생략해도 된다.
또한, 이미 서술한 모든 형태에 있어서, 수입구(109a)는, 장치측 셔터(109)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입구(109a)는, 장치측 셔터(109)와는 다른 부재에 설치되어도 되고, 장치측 셔터(109)에 의해 수입구(109a)가 차폐 또는 개방되어도 된다.
또한, 이미 서술한 모든 형태에 있어서, 프레임(150)과, 현상 용기(32)를 별체로 구성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프레임(150) 및 현상 용기(3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미 서술한 모든 형태에 있어서, 프로세스 유닛(20)은 장치 본체(2)에 대해 교환 불능으로 장착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프로세스 유닛(20)은, 장치 본체(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토너의 보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예시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예시된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는 모든 변경, 등가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범위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0)

  1. 토너 용기를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 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로서, 상기 토너 용기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받아들이는 수입구(受入口; receiving port)와, 상기 수입구를 통해 받아들인 토너가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관통 구멍이 설치된 통로와, 상기 관통 구멍을 덮도록 설치되고 에어의 통과를 허용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상기 장착부와,
    상기 수입구를 통해 받아들인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중력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상기 수입구와 오버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담지하고,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현상 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관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입구와 상기 회전 축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평 방향에서, 상기 수입구와 상기 회전 축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선은 제1 회전 축선이며,
    상기 현상 롤러를 향해 토너를 반송하고, 제2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반송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관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력 방향에서 상기 수입구와 상기 제2 회전 축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평 방향에서 상기 수입구와 상기 제2 회전 축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기록재를 적재하도록 구성된 배출 트레이와,
    상기 배출 트레이 위로 기록재를 배출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 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 축선, 상기 제2 회전 축선, 상기 관통 구멍, 및상기 수입구는, 상기 배출 방향에서 이 순서로 나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상기 통로의 벽은, 상기 수평 방향에서 상기 수입구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를 향함에 따라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제1 필터와, 상기 제1 필터보다 통기성이 높은 제2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는, 상기 제2 필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통로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는, 부직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필터는, 우레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제3 필터와, 개구부를 가지는 제4 필터와, 상기 제4 필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필터 및 상기 통로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5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필터 및 상기 제5 필터는, 상기 제4 필터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필터 및 상기 제4 필터는, 상기 제3 필터와 상기 제4 필터의 사이, 그리고 상기 개구부의 아래쪽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필터 및 상기 제5 필터는, 상기 관통 구멍을 사이에 두고, 상기 통로와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5 필터는, 상기 제4 필터에 대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4 필터와 상기 제5 필터를 접착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개구부의 주위의 일부에만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를 빠져나온 에어가 상기 접착부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4 필터와 상기 제5 필터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와,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를 접속하는 제3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직선부, 상기 제2 직선부, 및 상기 제3 직선부에 의해 구성되는 U자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상을 담지하도록 구성된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를 노광하여 상기 상담지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노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토너 용기가 장착되기 위한 보급구를 포함하고,
    평면에서 보았을때, 상기 제1 직선부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상담지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직선부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보급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직선부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노광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양면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방을 향해 개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수입구를 차폐하는 차폐 위치와, 상기 수입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셔터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차폐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셔터 회전 축선은, 상기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토너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토너의 배출을 허용하는 배출구가 설치된 배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수용부의 용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에어와 함께 토너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된 토너 용기와,
    상기 토너 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로서, 상기 토너 용기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받아들이는 수입구와, 상기 수입구를 통해 받아들인 토너가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관통 구멍이 설치된 통로와, 상기 관통 구멍을 덮도록 설치되고 에어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상기 장착부와,
    상기 수입구를 통해 받아들인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중력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상기 수입구와 오버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파우치이며, 상기 토너 용기는, 상기 파우치가 압축됨으로써 상기 배출구를 통해 에어와 함께 토너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담지하고,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현상 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관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력 방향에서 상기 수입구와 상기 회전 축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평 방향에서, 상기 수입구와 상기 회전 축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선은 제1 회전 축선이며,
    상기 현상 롤러를 향해 토너를 반송하고, 제2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반송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관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력 방향에서 상기 수입구와 상기 제2 회전 축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평 방향에서 상기 수입구와 상기 제2 회전 축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26. 제24항에 있어서,
    기록재를 적재하도록 구성된 배출 트레이와,
    상기 배출 트레이 위로 기록재를 배출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 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 축선, 상기 제2 회전 축선, 상기 관통 구멍, 및상기 수입구는, 상기 배출 방향에서 이 순서로 나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상기 통로의 벽은, 상기 수평 방향에서 상기 수입구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를 향함에 따라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제1 필터와, 상기 제1 필터보다 통기성이 높은 제2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는, 상기 제2 필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통로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는, 부직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필터는, 우레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제3 필터와, 개구부를 가지는 제4 필터와, 상기 제4 필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필터 및 상기 통로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5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필터 및 상기 제5 필터는, 상기 제4 필터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필터 및 상기 제4 필터는, 상기 제3 필터와 상기 제4 필터의 사이, 그리고 상기 개구부의 아래쪽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필터 및 상기 제5 필터는, 상기 관통 구멍을 사이에 두고, 상기 통로와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5 필터는, 상기 제4 필터에 대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4 필터와 상기 제5 필터를 접착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개구부의 주위의 일부에만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를 빠져나온 에어가 상기 접착부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4 필터와 상기 제5 필터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와,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를 접속하는 제3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직선부, 상기 제2 직선부, 및 상기 제3 직선부에 의해 구성되는 U자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상을 담지하도록 구성된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를 노광하여 상기 상담지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노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토너 용기가 장착되기 위한 보급구를 가지고,
    평면에서 보았을때, 상기 제1 직선부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상담지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직선부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보급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직선부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노광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양면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3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방을 향해 개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3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수입구를 차폐하는 차폐 위치와, 상기 수입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셔터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차폐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셔터 회전 축선은, 상기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40. 제20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KR1020220104790A 2021-08-31 2022-08-22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KR202300329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41732 2021-08-31
JP2021141732 2021-08-31
JPJP-P-2021-205884 2021-12-20
JP2021205884A JP2023035775A (ja) 2021-08-31 2021-12-20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926A true KR20230032926A (ko) 2023-03-07

Family

ID=8305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790A KR20230032926A (ko) 2021-08-31 2022-08-22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77344B2 (ko)
EP (1) EP4141560A1 (ko)
KR (1) KR20230032926A (ko)
CN (1) CN115729072A (ko)
BR (1) BR102022016846A2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8576B2 (ja) 2005-10-18 2011-08-1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429594B2 (ja) * 2007-09-13 2014-02-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並び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ための電子写真現像剤並びに現像剤用キャリア
JP6460389B2 (ja) 2015-01-30 2019-0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構造体
US9411309B1 (en) * 2015-06-03 2016-08-09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JP6663587B2 (ja) 2015-10-16 2020-03-13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733265B2 (ja) * 2016-03-31 2020-07-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2018060177A (ja) 2016-09-29 2018-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200012213A (ko) * 2018-07-26 2020-02-0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충전시에 현상 카트리지의 내부 압력을 해제하는 구조
JP7200655B2 (ja) * 2018-12-19 2023-01-10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現像装置、現像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1269266B2 (en) 2019-08-05 2022-03-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replenishment thereof
JP7453803B2 (ja) 2019-08-05 2024-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の補給容器
JP7297589B2 (ja) 2019-08-09 202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17908343A (zh) 2019-08-09 2024-04-19 佳能株式会社 调色剂容器
US11422484B2 (en) 2019-10-11 2022-08-23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supply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374712B2 (ja) 2019-10-11 2023-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2178965A (ja) * 2021-05-21 2022-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04738A1 (en) 2022-12-22
EP4141560A1 (en) 2023-03-01
BR102022016846A2 (pt) 2023-03-14
US11977344B2 (en) 2024-05-07
CN115729072A (zh)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96202A1 (en)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system
US20190250533A1 (en) Developer container, developing devic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564029B2 (en) Cartridge having developer supply open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able therewith
EP118474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supply container removably mountable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264073A (ja) トナー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不足検知方法
US8023858B2 (en) Material supplying container having sealing member, and image forming unit including same
US20130322927A1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2000187382A (ja) トナー補給装置
CN113253584A (zh) 成像装置
US11520250B2 (en) Developing device with filter and a plurality of air exit path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994974B2 (ja) 現像装置
KR20230032926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
JP202303577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0262236A (ja) 画像形成装置
US2024016012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40126188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782360B2 (en) Developer accommodating device, developing device,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8416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unit
US12001155B2 (en) Container with shield for shielding a discharge opening thereof
US10890863B2 (en) Developing device and remanufacturing method of developing device
US20230096298A1 (en) Container
US20240045367A1 (en) Attachment and image forming system
WO2023106053A1 (ja) 現像剤容器及び現像剤容器の製造方法
CN107436548B (zh) 调色剂容器以及具有该调色剂容器的图像形成装置
JP2005195883A (ja)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