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583A - 비데 - Google Patents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583A
KR20230032583A KR1020210115580A KR20210115580A KR20230032583A KR 20230032583 A KR20230032583 A KR 20230032583A KR 1020210115580 A KR1020210115580 A KR 1020210115580A KR 20210115580 A KR20210115580 A KR 20210115580A KR 20230032583 A KR20230032583 A KR 20230032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sterilization mode
nozzle
amount
bid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환
김기철
김종우
김진우
전우송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5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2583A/ko
Publication of KR20230032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the weight of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sponsive to level or volum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a reservoir o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액을 수용할 수 있는 세척통; 사용자를 향하여 세정수를 토출하는 세정노즐을 향해 상기 세척액을 토출하는 노즐세척부 및 도기 내부를 향하여 상기 세척액을 토출하는 도기세척부를 포함하는 세척조립체; 상기 세척통의 교체 또는 충전을 위한 교체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알람부; 및 상기 세척조립체 및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데{BIDET}
본 발명은 비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변기의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신체를 세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비데는 사용자를 향하여 세정수를 토출할 수 있는 세정용 노즐을 포함하며, 소정의 압력으로 세정수를 분사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비데에는 도기 및 세정용 노즐 등을 살균 세척하기 위해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척용 노즐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세척용 노즐은 세척통에 수용된 세척액을 도기 또는 세정용 노즐을 향하여 토출하여 도기 또는 세정용 노즐을 세척할 수 있다.
한편, 도기 및 세정용 노즐 등을 살균 세척하기 위한 세척액은 세척통에 수용되며, 살균 기능이 수행되면 세척통으로부터 토출된다. 이러한 세척통은 세척액이 소진된 경우 새것으로 교체 또는 충전되어야 하는바, 비데의 프레임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인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40236 "비데"(특허문헌1)는 프레임에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척통을 개시한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세척통은 세척액이 모두 소모된 경우 프레임으로부터 탈착되어 새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비데는 세척통 내부에 세척액이 모두 소모되었을 때, 세척액이 소모된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리지 못한다. 다시 말해, 세척통 사용자가 세척통을 직접 열어보지 않으면 세척통에 세척액이 소모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세척액이 모두 소모되었을 때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이를 인지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세척액이 모두 소모된 상태에서 세척용 노즐이 작동하여 도기 및 세정용 노즐이 제대로 살균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세척통 내부에 세척액이 소정량 이하가 되었을 때, 교체알람을 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비데의 필요성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8-0040236 (2018.04.20 출원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세척통 내부에 세척액이 소정량 이하가 되었을 때, 교체알람을 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비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척액을 수용할 수 있는 세척통; 사용자를 향하여 세정수를 토출하는 세정노즐을 향해 상기 세척액을 토출하는 노즐세척부 및 도기 내부를 향하여 상기 세척액을 토출하는 도기세척부를 포함하는 세척조립체; 상기 세척통의 교체 또는 충전을 위한 교체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알람부; 및 상기 세척조립체 및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세척조립체가 기 설정된 제1 세척량만큼 상기 세척액을 토출하는 제1 살균모드 및 상기 세척조립체가 기 설정된 제2 세척량만큼 상기 세척액을 토출하는 제2 살균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하되, 상기 제1 살균모드가 기 설정된 기준횟수만큼 수행된 이후에는 상기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되도록 상기 세척조립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살균모드 및 상기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된 산출값이 기 설정된 임계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교체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아래의 [수식 1]에 따라 상기 산출값을 산출하는, [수식 1] A = B + C x D (A는 상기 산출값, B는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 C는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 D는 상기 제1 세척량에 대한 상기 제2 세척량의 비율)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아래의 [수식 2]에 따라 상기 산출값을 산출하며, 상기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B)를 리셋하고, 상기 세척통이 교체 또는 충전되면 상기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B) 및 상기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C)를 리셋하는, [수식 2] A = B + C x D + C x E (A는 상기 산출값, B는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 C는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 D는 상기 제1 세척량에 대한 상기 제2 세척량의 비율, E는 상기 기준횟수)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세정노즐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사용자를 향하여 세정수를 토출하면, 상기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되도록 상기 세척조립체를 제어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살균모드는 상기 노즐세척부가 상기 세척액을 토출하는 살균모드이고, 상기 제2 살균모드는 상기 노즐세척부 및 상기 도기세척부가 상기 세척액을 토출하는 살균모드인,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세척량은 상기 제1 세척량의 두 배이며, 상기 제2 살균모드에서 상기 노즐세척부 및 상기 도기세척부가 각각 상기 제1 세척량만큼 상기 세척액을 토출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조립체는, 상기 세척액이 상기 세척통으로부터 토출되도록 작동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1 살균모드에서 1회 작동할 때와, 상기 제2 살균모드에서 1회 작동할 때에 동일한 양의 상기 세척액을 상기 세척통으로부터 토출하며 상기 제1 살균모드보다 상기 제2 살균모드에서 더 많은 횟수로 작동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척통 내부에 세척액이 소정량 이하가 되었을 때, 교체알람을 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노즐조립체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유동', '토출'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유동, 토출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1)는 사용자를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비데(1)는 도기(2)에 세척액을 분사하여 도기(2)를 살균/세척할 수 있다. 이러한 비데(1)는 프레임(100), 입력부(200), 세척조립체(300), 세정노즐(400), 세척통(500), 알람부(600) 및 제어장치(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입력부(200), 세척조립체(300), 세정노즐(400) 및 세척통(5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은 도기(2)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00)은 프레임바디(110), 커버(120) 및 좌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바디(110)는 도기(2)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세척조립체(300) 및 세정노즐(4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바디(110)에는 세척통(500)이 교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커버(120)는 프레임바디(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도기(2) 내부를 외부에 대하여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20)는 프레임바디(1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좌판(130)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부분을 제공하며, 프레임바디(110)와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동작을 입력 받기 위한 복수 개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부(200)를 통하여 비데(1)에 필요한 구동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200)는 프레임(100)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세척조립체(300)는 도기(2) 및 세정노즐(400)을 살균/세척하기 위하여 도기(2) 및 세정노즐(400)을 향하여 세척액을 토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세척액은 살균/세척 기능을 갖은 액체이며, 일 예로, 단순 수돗물일 수 있으며, 살균/세척의 효과를 갖는 전기분해 살균수, 세제 그 자체 또는 세제 등이 수돗물에 포함된 혼합액일 수도 있다. 다만, 이로 인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살균/세척 기능을 갖는 액체라면 제한없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세척조립체(300)는 노즐세척부(310), 도기세척부(320) 및 펌프(330)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세척부(310)는 세정노즐(400)을 살균/세척하기 위하여 세정노즐(400)을 향해 세척액을 토출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세척부(310)는 세정노즐(400)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노즐세척부(310)는 일 예로, 덕트 또는 노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노즐세척부(310)는 세정노즐(400)을 세척할 때, 세정노즐(400)과 상호 교차되도록 이동하며 세정노즐(400)을 향하여 세척액을 토출할 수 있다.
도기세척부(320)는 도기(2) 내부를 살균/세척하기 위하여 도기(2) 내부를 향해 세척액을 토출할 수 있다. 이러한 도기세척부(320)는 프레임바디(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프레임바디(110)의 외부를 향하여 진퇴할 수 있다. 또한, 도기세척부(32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하는 동안 세척액을 토출할 수 있다.
펌프(330)는 세척액이 세척통(500)으로부터 토출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펌프(330)는 세척통(500)에 수용된 세척액을 노즐세척부(310) 및 도기세척부(320)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펌프(330)는 후술할 제1 살균모드에서 1회 작동할 때와, 후술할 제2 살균모드에서 작동할 때에 동일한 양의 세척액을 세척통(500)으로부터 토출하도록 작동한다. 다시 말해, 펌프(330)가 1회 작동할 때, 토출되는 세척액의 양은 일정하다. 또한, 펌프(330)는 제1 살균모드보다 제2 살균모드에서 더 많은 횟수로 작동한다. 예를 들어, 펌프(330)는 제1 살균모드에서 1회 작동하고, 제2 살균모드에서 2회 작동할 수 있다.
세정노즐(400)은 사용자의 신체를 세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세정수를 토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세정수는 세정 기능을 갖는 액체이며, 일 예로, 단순 수돗물일 수 있으며, 세정의 효과를 갖는 전해수일 수 있다. 다만, 이로 인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정 기능을 갖는 액체라면 제한없이 해당될 수 있다.
세척통(500)은 세척액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세척통(500)은 프레임바디(110)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시 말해, 세척통(500)은 세척액이 소정양 이하로 잔류하는 경우 프레임바디(11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알람부(600)는 세척통(500)의 교체 또는 충전이 필요한 경우 세척통(500)의 교체 또는 충전을 위한 교체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600)는 일 예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스피커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장치(700)는 세척조립체(300), 세정노즐(400) 및 알람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700)는 제1 살균모드 및 제2 살균모드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도록 세척조립체(3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살균모드는 노즐세척부(310)가 기 설정된 제1 세척량만큼 세척액을 토출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700)는 제1 살균모드에서 노즐세척부(310)가 세정노즐(400)을 향하여 제1 세척량만큼 세척액을 토출하도록 세척조립체(300)를 제어한다. 더 자세한 예시로, 제1 세척량은 1cc일 수 있으며, 제1 살균모드에서 노즐세척부(310)로부터 토출되는 세척액은 1cc일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700)는 제1 살균모드에서 펌프(330)가 1회 작동할 때, 제1 세척량만큼 세척액이 세척통(500)으로부터 토출되도록 펌프(3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세정노즐(400)이 기 설정된 세정횟수만큼 사용자를 향하여 세정수를 토출하면, 제1 살균모드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700)는 세정노즐(400)이 사용자를 향하여 세정수를 12회 토출하면, 제1 살균모드를 수행하도록 세척조립체(300)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되면 세정횟수를 리셋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되면 세정횟수는 0이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2 살균모드는 노즐세척부(310)와 도기세척부(320)가 기 설정된 제2 세척량만큼 세척액을 토출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700)는 노즐세척부(310)와 도기세척부(320)가 세정노즐(400) 및 도기(2)를 향하여 제2 세척량만큼 세척액을 토출하도록 세척조립체(300)를 제어한다.
또한, 제2 세척량은 일 예로, 제1 세척량의 두 배이다. 이 경우 제어장치(700)는 제2 살균모드에서 노즐세척부(310) 및 도기세척부(320)가 각각 세정노즐(400) 및 도기(2)를 향하여 제1 세척량만큼 세척액을 토출하도록 세척조립체(300)를 제어한다. 더 자세한 예시로, 제2 세척량은 2cc일 수 있으며, 제2 살균모드에서 노즐세척부(310)와 도기세척부(320)는 각각 1cc의 세척액을 토출한다.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제1 살균모드가 기 설정된 기준횟수(E)만큼 수행된 이후에는,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되도록 세척조립체(30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기준횟수(E)는 4회일 수 있으며, 제어장치(700)는 제1 살균모드가 4회 수행된 이후에는,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되도록 세척조립체(300)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장치(700)는 제1 살균모드 및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값(A)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아래의 [수식 1]에 따라 산출값(A)을 산출할 수 있다.
[수식 1]
A = B + C x D
(A는 산출값, B는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 C는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 D는 제1 세척량에 대한 제2 세척량의 비율)
예를 들어, 제1 살균모드가 4회 수행되면 제어장치(700)는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B)를 4로 카운트한다. 또한, 제어장치(700)는 제2 살균모드를 수행하고,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C)를 1로 카운트한다. 이 경우 제어장치(700)는 산출값(A)을 6으로 산출한다(제2 세척량이 제1 세척량의 두 배인 경우).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세척통(500)이 교체되면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B) 및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C)를 리셋할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700)는 아래의 [수식 2]에 따라 산출값(A)을 산출할 수도 있다.
[수식 2]
A = B + C x D + C x E
(A는 산출값, B는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 C는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 D는 제1 세척량에 대한 제2 세척량의 비율, E는 기준횟수)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되면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B)를 리셋하고, 세척통(500)이 교체되면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B) 및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C)를 리셋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횟수(E)가 4회이면, 제1 살균모드가 4회 수행된 이후에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된다. 이 경우 제1 살균모드가 4회 수행되면 제어장치(700)는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B)를 0으로 리셋한다. 또한, 제어장치(700)는 제2 살균모드를 수행하고,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C)를 1로 카운트한다. 이 경우 제어장치(700)는 산출값(A)을 6으로 산출한다(제2 세척량이 제1 세척량의 두 배인 경우).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산출된 산출값(A)이 기 설정된 임계횟수에 도달하면 교체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알람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700)는 산출값(A)이 24회에 도달하면 교체알람을 사용자에게 발생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센서 등의 측정장치 및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비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비데(1)를 사용하는 경우 세정노즐(400)은 사용자를 향해 세정수를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700)는 세정노즐(400)이 세정수를 세정횟수인 12회만큼 토출하면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되도록 세척조립체(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장치(700)는 세정횟수를 리셋하며, 산출값(A)을 1로 산출한다.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될 때, 노즐세척부(310)는 세정노즐(400)을 향하여 제1 세척량만큼 세척액을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700)는 노즐세척부(310)가 기준횟수(E)인 4회만큼 세척액을 토출하면,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되도록 세척조립체(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장치(700)는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B)를 리셋한다.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될 때, 노즐세척부(310)와 도기세척부(320)는 각각 세정노즐(400)과 도기(2)를 향하여 제1 세척량만큼 세척액을 토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700)는 제1 살균모드가 리셋된 후, 제2 살균모드가 최초 수행되면 산출값(A)을 6으로 산출한다.
한편, 제어장치(700)는 산출값(A)이 임계횟수 일 예로, 24회에 도달하면 세척통(500)의 교체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교체알람에 의해 사용자가 세척통(500)을 교체하면, 제어장치(700)는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B) 및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C)를 리셋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1)는 세척통(500)을 개폐하지 않더라도 잔류하는 세척액의 용량을 산출하여 세척통(500)의 교체알람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데(1)는 토출되는 횟수에 기초하여 잔류하는 세척액의 용량을 산출함으로써 세척액의 용량을 측정하는 별도의 센서 없이 세척통(500)의 교체 타이밍을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비데(1)는 1회 토출되는 세척액의 양이 극소량이어서 센서가 토출되는 세척액의 양을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비데 2: 도기
100: 프레임 110: 프레임바디
120: 커버 130: 좌판
200: 입력부 300: 세척조립체
310: 노즐세척부 320: 도기세척부
330: 펌프 400: 세정노즐
500: 세척통 600: 알람부
700: 제어장치

Claims (7)

  1. 세척액을 수용할 수 있는 세척통;
    사용자를 향하여 세정수를 토출하는 세정노즐을 향해 상기 세척액을 토출하는 노즐세척부 및 도기 내부를 향하여 상기 세척액을 토출하는 도기세척부를 포함하는 세척조립체;
    상기 세척통의 교체 또는 충전을 위한 교체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알람부; 및
    상기 세척조립체 및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세척조립체가 기 설정된 제1 세척량만큼 상기 세척액을 토출하는 제1 살균모드 및 상기 세척조립체가 기 설정된 제2 세척량만큼 상기 세척액을 토출하는 제2 살균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하되, 상기 제1 살균모드가 기 설정된 기준횟수만큼 수행된 이후에는 상기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되도록 상기 세척조립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살균모드 및 상기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된 산출값이 기 설정된 임계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교체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는,
    비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아래의 [수식 1]에 따라 상기 산출값을 산출하는,
    [수식 1]
    A = B + C x D
    (A는 상기 산출값, B는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 C는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 D는 상기 제1 세척량에 대한 상기 제2 세척량의 비율)
    비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아래의 [수식 2]에 따라 상기 산출값을 산출하며, 상기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B)를 리셋하고, 상기 세척통이 교체 또는 충전되면 상기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B) 및 상기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C)를 리셋하는,
    [수식 2]
    A = B + C x D + C x E
    (A는 상기 산출값, B는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 C는 제2 살균모드가 수행된 횟수, D는 상기 제1 세척량에 대한 상기 제2 세척량의 비율, E는 상기 기준횟수)
    비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세정노즐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사용자를 향하여 세정수를 토출하면, 상기 제1 살균모드가 수행되도록 상기 세척조립체를 제어하는,
    비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살균모드는 상기 노즐세척부가 상기 세척액을 토출하는 살균모드이고, 상기 제2 살균모드는 상기 노즐세척부 및 상기 도기세척부가 상기 세척액을 토출하는 살균모드인,
    비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척량은 상기 제1 세척량의 두 배이며,
    상기 제2 살균모드에서 상기 노즐세척부 및 상기 도기세척부가 각각 상기 제1 세척량만큼 상기 세척액을 토출하는,
    비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립체는, 상기 세척액이 상기 세척통으로부터 토출되도록 작동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1 살균모드에서 1회 작동할 때와, 상기 제2 살균모드에서 1회 작동할 때에 동일한 양의 상기 세척액을 상기 세척통으로부터 토출하며 상기 제1 살균모드보다 상기 제2 살균모드에서 더 많은 횟수로 작동하는,
    비데.
KR1020210115580A 2021-08-31 2021-08-31 비데 KR20230032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580A KR20230032583A (ko) 2021-08-31 2021-08-31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580A KR20230032583A (ko) 2021-08-31 2021-08-31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583A true KR20230032583A (ko) 2023-03-07

Family

ID=85513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580A KR20230032583A (ko) 2021-08-31 2021-08-31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25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236A (ko) 2016-10-12 2018-04-20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236A (ko) 2016-10-12 2018-04-20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142B1 (ko) 좌변기용 버블공급장치
US7806990B2 (en) Dishwasher
JP5591637B2 (ja) 口腔洗浄装置
JPH1028721A (ja) 水周り設備洗浄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KR20230032583A (ko) 비데
JPH119481A (ja) 浴室清掃装置
JP6105683B2 (ja) 食器洗い機
KR101116473B1 (ko) 전해수 생성 장치
KR20010077879A (ko) 세탁기 및 세탁방법
AU2005324065B2 (en) Water-conducting household appliance
JP2020039271A (ja) 食品洗浄装置
WO2022028065A1 (zh) 洗衣机
KR100859371B1 (ko)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BE1018812A3 (nl) Doseerinrichting voor het doseren van een vloeistof in een vaatwasmachine en vaatwasmachine.
JP2008142420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US8381745B2 (en) Water-conducting appliance having a cleaning agent feeding device
KR200462491Y1 (ko) 은용액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JP4030316B2 (ja) 食器洗い機
JP2019154724A (ja) 浴室システム
KR20140087347A (ko) 변좌 세척기능이 구비된 비데 및 그 제어방법
US8702873B2 (en) Chlorine generating device and related dishwasher
KR101696214B1 (ko) 유로 살균이 가능한 비데
JP7134741B2 (ja) 泡発生装置及び便器装置
KR20230053372A (ko) 비데
JP6891554B2 (ja) 浴室殺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