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497A -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 및 이를 이용한 인양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 및 이를 이용한 인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497A
KR20230031497A KR1020210113805A KR20210113805A KR20230031497A KR 20230031497 A KR20230031497 A KR 20230031497A KR 1020210113805 A KR1020210113805 A KR 1020210113805A KR 20210113805 A KR20210113805 A KR 20210113805A KR 20230031497 A KR20230031497 A KR 20230031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lifting
piers
reinforcing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811B1 (ko
Inventor
원용석
정준
안덕원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3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8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31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 및 이를 이용한 인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는 환상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철근이 띠철근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교각용 철근망을 인양하기 위한 거치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철근망의 띠철근에 결속되도록 환상형으로 형성되는 인양링; 주철근이 안착되도록 인양링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안착홈; 및 상기 인양링에 연결되어 체결 수단에 의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적어도 한 쌍으로 형성되는 걸림 고리;를 포함한다.
이로써, 교각용 철근망에 대한 체결 안정성과 인양 작업의 편리성을 기대할 수 있고, 체결 해제를 자동으로 구현하여 원격 무인 시공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 및 이를 이용한 인양방법{Rebar Net Lifting Device for Remote Construction and Lifting Methods using it}
본 발명은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 및 이를 이용한 인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각용 철근망을 인양링으로 결속하여 안착홈에 의해 구속이 유지된 상태로 체결 수단에 체결되어 체결 안정성과 인양 작업의 편리성을 기대할 수 있고, 체결 해제를 자동으로 구현하여 원격 무인 시공이 가능한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 및 이를 이용한 인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에서는 중량물의 낙하나, 고소 작업에 의한 추락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최근에는 건설 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최우선시하는 문화가 자리잡고 있으며,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그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많은 산업 현장에서는 작업자의 안전 교육과 현장 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위험작업의 경우에는 장비 관리자나 운전자를 제외하고는 작업자의 수를 최소화하거나, 현장에 자동화 기계를 투입하여 작업자 안전과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다른 산업 현장들과는 달리 대부분의 건설 현장은 획일화된 장소에서 반복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현장의 특수한 조건에 부합하도록 유연한 작업이 요구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건설 현장은 높은 안전사고의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기계를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줄이고, 작업 효율성을 도모하는 것에 많은 제약이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교량 구조물을 시공하는 건설 현장의 경우에는 일정 높이 이상으로 교각을 직립 설치하고, 거더를 교각 사이에 거치하며, 거더의 상부에 데크나 상판 구조물을 추가적으로 배치하는 등 일련의 고소작업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어려움이 있다.
대부분의 건설 현장에서는 교량 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타워 크레인을 이용하지만, 건설 자재를 타워 크레인의 로프에 결속하거나 이를 해제하는 작업은 작업자에 수작업에 의존하는 한계가 있었으며, 무엇보다 거더나 철근망을 현장의 정위치에 배치하는 작업은 고소 작업으로 진행되면서도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므로 작업자의 개입이 불가피하였다.
결국, 이러한 작업자에 의존한 고소작업은 필연적으로 작업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안전사고의 발생율을 높이는 원인이 될 수밖에 없었다.
한편, 최근에는 건설 분야에서도 제어로봇을 개발 및 활용하고자 하는 추세이나, 여전히 그 활용도는 건설 자재의 생산과 관련된 공정에 국한되거나, 일부 현장에서 사용되더라도 안전 점검이나 유지 관리의 목적으로 활용되는 것에 국한되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된 이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시행하고 한국도로공사가 총괄하는 "스마트건설기술개발 국가R&D사업(과제번호 21SMIP-A158708-02)”의 지원으로 수행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교각용 철근망을 안정적으로 결속할 수 있고, 원격으로 체결 해제가 가능하여 고소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의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는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 및 이를 이용한 인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C)는, 환상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철근(R1)이 띠철근(R2)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교각용 철근망(RN)을 인양하기 위한 거치구(C)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철근망(RN)의 띠철근(R2)에 결속되도록 환상형으로 형성되는 인양링(10); 주철근(R1)이 구비되도록 인양링(10)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안착홈(20); 및 상기 인양링(10)에 연결되어 체결 수단에 의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적어도 한 쌍으로 형성되는 걸림 고리(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양링(1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상하로 돌출된 보강 웨브링(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20)은 인양링(1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고리(30)의 일측에는 체결 수단의 체결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레일(51)이 마련된 가이드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50)는 한 쌍의 가이드편(50a)이 직립되게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편(50a) 사이에 안내 레일(51)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철근망 거치구를 이용한 원격 시공방법(M)은, 환상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철근(R1)이 띠철근(R2)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교각용 철근망(RN)을 청구항 1의 거치구(C)로 인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교각용 철근망(RN)이 거치되도록 환상형 인양링(10)을 띠철근(R2)에 결속하는 인양링 결속단계(S10); 인양장치(L)의 체결 수단(70)을 걸림 고리(30)에 체결하는 거치구 체결단계(S20); 상기 인양장치(L)를 작동하여 목적하는 위치로 인양하는 인양단계(S30); 및 상기 인양장치(L)의 체결 수단(70)을 걸림 고리(30)로부터 이탈시키는 체결 해제단계(S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양링 구비단계(S10) 이전에, 양측으로 띠철근(R2)을 감싸는 수평 절곡편(61)과 주철근(R1)을 감싸는 수직 절곡편(62)이 일체로 형성된 결속 보강편(60)을 이용하여 상기 교각용 철근망(RN)의 주철근(R1)과 띠철근(R2)의 교차점(CP)을 보강하는 철근망 보강단계(S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양장치(L)는 와이어(W)의 하단에 적어도 한 쌍의 체결 수단(70)이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W)에는 체결 수단(70)의 상단이 결속되어 하단의 상대적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기본 위치는 자중에 의하여 하방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 수단(70)은 금속로드(71)의 하단에 후크(7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 및 이를 이용한 인양방법에 의하면, 띠철근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환상형의 인양링이 띠철근에 결속되므로 교각용 철근망의 안정적 결속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양링에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체결 과정이 편리하고, 인양 과정에서는 결속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인양링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보강 웨브링이 형성되어 인양링에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인양링의 변형에 따른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양링에 걸림 고리를 연결하여 걸림 수단의 결속이 구현됨은 물론 그 과정에서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걸림 수단의 결속이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체결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양방법에 의하면, 인양장치의 체결 수단을 걸림 고리로부터 원격으로 체결 해제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편의성이 확보됨은 물론 고소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결속 보강편을 이용하여 교각용 철근망의 주철근과 띠철근을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거치구를 이용한 인양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각용 철근망에 거치구를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각용 철근망에 거치구를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구를 이용한 인양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구를 이용한 인양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 보강편의 (a) 절곡 전과 (b) 절곡 후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C)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철근(R1)이 띠철근(R2)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교각용 철근망(RN)을 거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량용 교각은 단위 교각용 철근망(RN)이 거푸집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연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교각의 특성상 슬립폼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상부로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배치하고, 상기 거푸집의 내측에도 교각용 철근망(RN)을 상부로 적층 배치하여 시공하게 된다.
상기 교각용 철근망(RN)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한 후에 크레인으로 인양되어 정위치에 거치된다. 그러나, 상기 교각용 철근망(RN)을 인양하기 위하여 크레인을 이용하더라도 크레인의 로프에 교각용 철근망(RN)을 연결하고 이를 해제하는 것에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무엇보다 교각용 철근망(RN)을 현장의 정위치에 배치하는 작업은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C)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용 철근망(RN)을 쉽고 안전하면서도 작업자의 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 인양링(10), 안착홈(20) 및 걸림 고리(30)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교각용 철근(RN)은 지상의 작업과정에서 횡으로 눕혀서 진행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상부'와 '하부'는 교각용 철근망(RN)이 직립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상기 인양링(10)은 상기 교각용 철근망(RN)의 띠철근(R2)에 결속되도록 환상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띠철근(R2)과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띠철근(R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양링(10)은 추후에 교각용 철근망(RN)과 함께 콘크리트에 매립되므로 링형상의 금속판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교각용 철근망(RN)의 띠철근(R2)과는 철선이나 케이블을 이용하여 결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거치구(C)를 교각용 철근망(RN)의 띠철근(R2)에 근접 배치하기 위해서는 인양장치(L)를 이용하여 거치구(C)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때, 상기 인양링(10)의 외경은 띠철근(R2)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거치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상기 띠철근(R2)에 상응하는 직경으로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방을 통해 띠철근(R2)을 지지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양링(10)을 띠철근(R2)과 결속하기 위하여 근접 배치하는 과정에서 주철근(R1)에 의한 간섭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양링(10)에는 주철근(R1)이 구비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홈(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각용 철근망(RN)은 통상적으로 주철근(R1)의 외측을 감싸도록 띠철근(R2)이 결합되므로 상기 띠철근(R2)과 결속되는 인양링(10)의 내주면에 반원형의 형상으로 안착홈(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인양링(10)의 크기나 직경에 따라서는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안착홈(20)은 주철근(R1)이 인양링(10)을 완전히 관통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안착홈(20)은 거치구(C)를 구비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주철근(R1)과의 간섭을 해소하는 것은 물론 인양과정에서는 안착홈(20)에 주철근(R1)이 안착 구비되도록 기능하므로 교각용 철근망(RN)에 유동이 발생하거나, 인양링(10)에 변형이 야기됨에 따른 이탈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인양링(10)은 한 쌍의 반원링으로 구성되어 철근망(RN)의 띠철근(R2)에 거치함에 있어서 상,하부가 아닌 측면에서 바로 거치되도록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반원링의 일단에는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체결구가 형성되고, 타단이 힌지 회동되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양단에 모두 체결구가 형성되는 실시형태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거치구(C)는 인양장치(L)의 와이어(W)에 연결된 체결 수단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인양링(10)에는 걸림 고리(30)가 연결 형성되어 체결 수단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 고리(30)는 안정적 인양을 위하여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얇은 철선으로 형성하여 용접 결합 등의 방법으로 인양링(10)에 직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양링(10)은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중량의 교각용 철근망(RN)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절곡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양링(1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상하로 돌출된 보강 웨브링(4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 웨브링(40)은 거치구(C)의 전체적인 강성을 보강함은 물론 인양과정에서 띠철근(R2)을 구속함으로써 유동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 고리(30)의 일측에는 체결 수단의 체결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레일(51)이 마련된 가이드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양장치(L)의 와이어(W)에 연결된 체결 수단을 걸림 고리(3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체결 수단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50)에 마련된 안내 레일(51)이 체결 수단을 정위치로 안내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가이드부(50)는 한 쌍의 가이드편(50a)이 직립되게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편(50a) 사이에 안내 레일(51)이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상기 안내 레일(51)은 체결 수단이 걸림 고리(30)에 안정적으로 체결되도록 안내함은 물론 체결을 해제함에 있어서도 역방향 분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거치구를 이용한 교각용 철근망의 원격 인양방법(M)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의 교각용 철근망 인양방법(M)은 환상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철근(R1)이 띠철근(R2)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교각용 철근망(RN)을 상술한 거치구(C)를 이용하여 인양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링 결속단계(S10), 거치구 체결단계(S20), 인양단계(S30) 및 체결 해제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인양링 결속단계(S10)는 상기 교각용 철근망(RN)이 거치되도록 환상형 인양링(10)을 띠철근(R2)에 결속하는 단계이다. 상기 인양링(10)은 띠철근(R2)과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띠철근(R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교각용 철근망(RN)의 띠철근(R2)과는 철선이나 케이블을 이용하여 결속될 수 있다.
이후 진행되는 거치구 체결단계(S20)는 인양장치(L)의 체결 수단(70)을 걸림 고리(30)에 체결하는 단계이다. 상기 인양장치(L)는 크레인에 거치되는 와이어(W)와 상기 와이어(W)의 하단에 결속된 체결 수단(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구 체결단계(S20)는 교각용 철근망(RN)을 지상에 구비한 상태로 진행되므로 작업자가 걸림 고리(30)에 체결 수단(70)이 정위치하도록 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구 체결단계(S20)가 완료되면, 상기 인양장치(L)를 작동하여 목적하는 위치로 인양하는 인양단계(S30)가 진행된다. 즉, 관리자가 인양장치(L)를 원격 제어함으로서 교각용 철근망(RN)을 목적하는 높은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이후 진행되는 체결 해제단계(S40)는 상기 인양장치(L)의 체결 수단(70)을 걸림 고리(30)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로, 관리자는 상기 인양장치(L)를 원격 제어함으로써 체결 수단(70)이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 수단(70)은 자중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거치구(C)의 걸림 고리(30)로부터 이탈되어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원격 인양방법(M)에 의하면, 인양장치(L)의 체결 수단(70)을 걸림 고리(30)로부터 원격으로 체결 해제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편의성이 확보됨은 물론 고소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인양장치(L)의 와이어(W) 하단에 결속되는 체결 수단(70)은 상기 걸림 고리(30)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수단(70)은 체결 해제를 위하여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이탈될 수 있도록 기본 위치는 자중에 의하여 하방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체결 수단(70)의 상단이 와이어(W)의 하방에 결속되고, 상기 체결 수단(70)의 하단은 결속된 상단을 중심으로 상대적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 수단(7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금속로드(71)의 하단에 후크(7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수단(70)은 비중이 큰 금속로드(71)로 구성되어 자중에 의하여 하방을 향하게 되며, 체결 과정에서는 상기 금속로드(71)의 하단을 위치 조정하여 상기 걸림 고리(30)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거치구(C)에 형성되는 가이드부(50)는 안내 레일(51)이 마련될 수 있으므로, 상기 체결 수단(70)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체결 해제함에 있어서 체결 수단(70)이 안내 레일(51)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체결을 해제함에 있어서도 역방향 분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원격 인양방법(M)에 의하면, 상기 인양링 구비단계(S10) 이전에 철근망 보강단계(S00)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철근망 보강단계(S00)는 공장 제작된 교각용 철근망(RN)에 있어서 상기 교각용 철근망(RN)을 구성하는 주철근(R1)과 띠철근(R2)이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교차점(CP)을 결속 보강편(60)으로 보강하는 단계이다.
상기 결속 보강편(60)은 상기 주철근(R1)과 띠철근(R2)의 교차점(CP)을 보다 견고하게 결속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 보강편(60)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띠철근(R2)을 감싸는 수평 절곡편(61)과 주철근(R1)을 감싸는 수직 절곡편(62)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 보강편(60)은 절곡 변형이 용이하도록 박판 금속부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T자형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수평 절곡편(61)과 수직 절곡편(62)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연결부(63)가 Y자 내지 V자로 형성되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절곡편(61)과 수직 절곡편(62)이 각각 띠철근(R2)과 주철근(R1)을 감싸도록 절곡함에 있어서 절곡 변형의 용이성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절곡편(61)과 수직 절곡편(62)은 사전에 일정한 곡률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교차점(CP)을 형성하는 주철근(R1)과 띠철근(R2)에 거치한 상태로 절곡기를 이용하여 (b)와 같이 절곡하여 결속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철근(R1)의 외측을 감싸도록 띠철근(R2)이 결합되므로 소정의 높이 차이가 있으므로, 상기 수평 절곡편(61)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감싸도록 절곡 변형되는 반면, 상기 수직 절곡편(62)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감싸도록 절곡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C) 및 이를 이용한 인양방법(M)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 기술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거치구 RN:교각용 철근망
10:인양링 20:안착홈
30:걸림 고리 40:보강 웨브링
50:가이드부 51:안내 레일
50a:가이드편
M:인양방법
S10:인양링 결속단계 S20:거치구 체결단계
S30:인양단계 S40:체결 해제단계
L:인양장치 W:와이어
60:결속 보강편 61:수평 절곡편
62:수직 절곡편 70:체결 수단
71:금속로드 72:후크

Claims (9)

  1. 환상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철근(R1)이 띠철근(R2)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교각용 철근망(RN)을 인양하기 위한 거치구(C)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철근망(RN)의 띠철근(R2)에 결속되도록 환상형으로 형성되는 인양링(10);
    주철근(R1)이 구비되도록 인양링(10)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안착홈(20); 및
    상기 인양링(10)에 연결되어 체결 수단에 의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적어도 한 쌍으로 형성되는 걸림 고리(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링(1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상하로 돌출된 보강 웨브링(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20)은 인양링(1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고리(30)의 일측에는 체결 수단의 체결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레일(51)이 마련된 가이드부(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50)는 한 쌍의 가이드편(50a)이 직립되게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편(50a) 사이에 안내 레일(51)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
  6. 환상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철근(R1)이 띠철근(R2)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교각용 철근망(RN)을 청구항 1의 거치구(C)로 인양하기 위한 방법(M)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교각용 철근망(RN)이 거치되도록 환상형 인양링(10)을 띠철근(R2)에 결속하는 인양링 결속단계(S10);
    인양장치(L)의 체결 수단(70)을 걸림 고리(30)에 체결하는 거치구 체결단계(S20);
    상기 인양장치(L)를 작동하여 목적하는 위치로 인양하는 인양단계(S30); 및
    상기 인양장치(L)의 체결 수단(70)을 걸림 고리(30)로부터 이탈시키는 체결 해제단계(S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망 거치구를 이용한 원격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링 구비단계(S10) 이전에,
    양측으로 띠철근(R2)을 감싸는 수평 절곡편(61)과 주철근(R1)을 감싸는 수직 절곡편(62)이 일체로 형성된 결속 보강편(60)을 이용하여 상기 교각용 철근망(RN)의 주철근(R1)과 띠철근(R2)의 교차점(CP)을 보강하는 철근망 보강단계(S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망 거치구를 이용한 원격 시공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장치(L)는 와이어(W)의 하단에 적어도 한 쌍의 체결 수단(70)이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W)에는 체결 수단(70)의 상단이 결속되어 하단의 상대적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기본 위치는 자중에 의하여 하방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망 거치구를 이용한 원격 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70)은 금속로드(71)의 하단에 후크(7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망 거치구를 이용한 원격 시공방법.
KR1020210113805A 2021-08-27 2021-08-27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 및 이를 이용한 인양방법 KR102584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805A KR102584811B1 (ko) 2021-08-27 2021-08-27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 및 이를 이용한 인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805A KR102584811B1 (ko) 2021-08-27 2021-08-27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 및 이를 이용한 인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497A true KR20230031497A (ko) 2023-03-07
KR102584811B1 KR102584811B1 (ko) 2023-10-06

Family

ID=8551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805A KR102584811B1 (ko) 2021-08-27 2021-08-27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 및 이를 이용한 인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68961A (zh) * 2023-08-16 2023-11-17 济南四建(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工程钢筋笼吊装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226B1 (ko) * 2012-02-14 2012-09-19 (주)케이에스텍 철근망 구조물 연결장치 및 철근망 구조물 연결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4074304A (ja) * 2012-10-05 2014-04-24 Cup Shokai Co Ltd 吊り具装置、鉄筋籠の天端位置決め治具、鉄筋籠の吊り上げ方法、及び鉄筋籠の建込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226B1 (ko) * 2012-02-14 2012-09-19 (주)케이에스텍 철근망 구조물 연결장치 및 철근망 구조물 연결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4074304A (ja) * 2012-10-05 2014-04-24 Cup Shokai Co Ltd 吊り具装置、鉄筋籠の天端位置決め治具、鉄筋籠の吊り上げ方法、及び鉄筋籠の建込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68961A (zh) * 2023-08-16 2023-11-17 济南四建(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工程钢筋笼吊装设备
CN117068961B (zh) * 2023-08-16 2024-03-22 济南四建(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工程钢筋笼吊装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811B1 (ko)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2021B1 (ja) 床施工方法、床版ユニットの吊上用治具、および床版ユニットの吊上げ装置
JP6017083B1 (ja) 床版ユニット、床版地組工法、および床の施工方法
JP2014074304A (ja) 吊り具装置、鉄筋籠の天端位置決め治具、鉄筋籠の吊り上げ方法、及び鉄筋籠の建込方法
KR101941885B1 (ko) 철골 구조물
KR20230031497A (ko) 원격 시공을 위한 교각용 철근망 거치구 및 이를 이용한 인양방법
KR10104202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양중고리 장치 및 이러한 양중고리 장치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CN112709434B (zh) 钢梁安装方法
US11193287B2 (en)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KR20160008694A (ko) 슬래브 동시양중 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JP2023107938A (ja) 飛散防止装置及び飛散防止方法
JP2017031676A (ja) 既存建屋の耐震補強工法及び補強装置
JP6534938B2 (ja) ライニングプレート据付兼雨養生治具及びこの治具を用いたライニングプレート据付方法
KR101734024B1 (ko) 오버헤드 크레인 거더 보강 및 보수작업용 이동데크
CN113445530A (zh) 沉箱钢筋吊运安装工艺及吊装架
CN205918087U (zh) 一种可调式防晃移动平台
CN106049848B (zh) 一种可调式防晃移动平台及其安装方法
KR102490532B1 (ko) 로봇 기반 교각 원격시공용 선조립 철근망 및 이를 이용한 로봇 기반 교각 원격시공방법
CN208345619U (zh) 一种多向调节的建筑施工用起吊装置
JP4372674B2 (ja) 超高筒状構造物の解体方法
JP3826352B2 (ja) デッキユニットの組付方法
JP7512187B2 (ja) 埋設型枠の施工方法
KR20220059108A (ko) 클라이밍 시스템 일체식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JPH0978836A (ja) 壁・梁一体組鉄筋と、それを使用した型枠の形成方法
JP2012207430A (ja) モジュール構造物、モジュール工法
JP2013170389A (ja) 縦材の建て込み方法および吊上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