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486A - 수직식생장치 - Google Patents

수직식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486A
KR20230030486A KR1020210136316A KR20210136316A KR20230030486A KR 20230030486 A KR20230030486 A KR 20230030486A KR 1020210136316 A KR1020210136316 A KR 1020210136316A KR 20210136316 A KR20210136316 A KR 20210136316A KR 20230030486 A KR20230030486 A KR 20230030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velcro tape
shape
pillar memb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승철
Original Assignee
기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승철 filed Critical 기승철
Publication of KR20230030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수직식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수직식생장치(10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설 되거나 수직으로 공중에 메달리는 수직기둥부재; 상기 수직기둥 부재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커버 벨크로테이프;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 표면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물; 상기 식물을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에 탈,착토록 하는 고정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기둥부재는
a). 경질 소재 또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지며, 하나로 구성되는 단일체 또는 복수로 구성되어 분리 조립돠는 분리체의 구성 중에서 선택되고,
b).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관 형태, 그 내부의 공간이 채워진 패널 형태, 그 내부의 공간에 공기가 주입, 배출되는 튜브 형태의 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서
상기 관, 패널, 튜브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은 연속되는 S자 또는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골 형상 또는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의 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수직식생장치이다.

Description

수직식생장치{omitted}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수직식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미세먼지 발생과 바이러스 균으로 인한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하여 공기정화와 습도유지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또한 건강을 위한 육류 소비를 줄이고 채식을 활용한 건강을 고려한 채식문화가 점차 확대되면서 친환경 식물재배에 대한 관심도 점차 커져가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실내의 습도관리 및 식물을 재배하는데 있어서, 편리한 식물의 식재 및 재배 그리고 수확의 관리가 절실한 실정이다.
또한, 요즘 일반화되고 있는 수경재배방식으로 습도를 관리하거나 식물을 재배하는 장치는 지속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물을 흘려 보내야 함으로 물 사용량이 과다하고, 식물을 수직으로 기둥부재에 안착하기 위해 기둥부재에 관통홀을 성형하는 공정 및 별도의 식물을 식재하는 포트 사용해야는 불편함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2227513호 "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및 식물재배장치의 화분모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의 공기정화와 습도관리 기능과 식물의 식재 및 재배 그리고 수확의 편리성을 제공하여 인건비 지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식물들을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설 또는 수직으로 공중에 메달리며 식물을 편리하게 재배 및 수확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수직식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에에 의한 수직식생장치(10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설 되거나 수직으로 공중에 메달리는 수직기둥부재;
상기 수직기둥부재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커버 벨크로테이프;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 표면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물;
상기 식물을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에 탈,착토록 하는 고정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기둥부재는
a). 경질 소재 또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지며, 하나로 구성되는 단일체 또는 복수로 구성되어 분리 조립되는 분리체의 구성 중에서 선택되고,
b).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관 형태, 그 내부의 공간이 채워진 패널 형태, 그 내부의 공간에 공기가 주입, 배출되는 튜브 형태의 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서
상기 관, 패널, 튜브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은 연속되는 S자 또는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골 형상 또는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의 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또한,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설 되거나 수직으로 공중에 메달리는 수직기둥부재;
상기 수직기둥부재의 외부면에 상호 간에 간극을 두고 배열되며 결합되는 다수개의 커버 벨크로테이프;
상기 수직기둥부재의 간극면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물;
상기 식물을 상기 간극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에 탈,착되며 식물을 고정, 분리시키는 고정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기둥부재는
a). 경질 소재 또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지며, 하나로 구성되는 단일체 또는 복수로 구성되어 분리 조립되는 분리체의 구성 중에서 선택되고,
b).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관 형태, 그 내부의 공간이 채워진 패널 형태, 그 내부의 공간에 공기가 주입, 배출되는 튜브 형태의 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서
상기 관, 패널, 튜브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은 연속되는 S자 또는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골 형상 또는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의 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는 합성섬유 원단 표면을 긁거나 뽑아 원단의 표면에 보풀이 형태 또는 루프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는 상기 수직기둥부재 외부 둘레면 전체를 감싸며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기둥부재와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 사이에 물 또는 영양액을 흡수하는 흡수수단이 내설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기둥부재는 관 형태가 선택되어, 상기 수직기둥부재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기둥부재의 상부에는 물을 하향으로 흘려보내는 물공급부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물공급부에서 흘러내린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기둥부재 하부에는 상부로 수분을 분사하는 분사장치가 구비되는데, 상기 분사장치는
a). 상부로 수분을 분사하는 미세분무노즐 형태 또는 물 입자를 수증기 형태로 변환하는 초음파진동자 형태의 구성 중에서 선택되면서
b). 상기 미세분무노즐, 초음파진동자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 측에는 상부로 수분을 상승시키는 송풍팬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식생장치에 의하면,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와 습도관리 기능과 아울러 식용을 위한 식물을 재배함에 있어, 식물재배를 위한 중요한 설치물인 수직기둥부재를 지면으로부터 입설 또는 공중에 메달아 설치함으로써, 동일한 면적에서 다량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경제성 확보는 물론 특히,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기둥부재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튜브형태 일때, 수직기둥부재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할 수 있어서, 부피가 큰 수직기둥부재의 이동, 보관, 설치가 용이하고, 식물을 식재 또는 수거할 때, 수직기둥부재의 외부면에 결합된 커버 벨크로테이프와 고정 벨크로테이프에서 식물을 손쉽게 고정 분리하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식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직식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기둥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직기둥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일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인 수직식생장치(100)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일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직식생장치 그리고 수직기둥부재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식생장치(100)는 크게 수직기둥부재(400), 커버 벨크로테이프(330), 식물(320), 고정 벨크로테이프(340), 흡수수단(600), 물저장부(210), 개방부(410), 물공급부(300), 분사장치(미도시) 간극면(8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기둥부재(40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설 되거나 수직으로 공중에 메달려서 설치되는 구성으로, 특히, 상기 수직기둥부재(400)는 경질 소재 또는 연질 소재로 이루지며, 하나로 구성되는 단일체 또는 복수로 구성되어 분리 조립되는 분리체의 구성 중에서 선택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수직기둥부재(400) 설치 장소의 높이가 높을 때는 분리된 수직기둥부재(400)들을 현장에서 조립 설치하는 것이 편리하고, 수직기둥부재(400) 설치 장소의 높이가 낮은 때는 하나의 단일체로 설치가 가능하여 다양한 설치 장소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수직기둥부재(4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관 형태 또는 내부의 공간이 채워진 패널 형태 또는 내부의 공간에 공기가 주입, 배출되는 튜브 형태의 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즉, 이러한 상기의 수직기둥부재(400)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은 식물(320)의 종류에 따른 뿌리 및 잎의 구조와 생육특성 및 생육조건을 고려한 것이며, 또한 식물(320)을 재배하는 현장 여건 특히, 수직기둥부재(400)의 설치, 보관, 운송 등의 다양한 목적을 충족하기 위한 방법이다.
계속해서, 상기 수직기둥부재(400)의 다양한 형태를 설명하면 우선, 관 형태는 연질 소재 또는 경질 소재의 프리스틱 또는 금속 등을 이용하면 그 외형의 성형이 용이하다
특히, 연질 소재의 프라스틱은 유연성이 있어 구부러지는 플라스틱으로, 깨지거나 부러지지 않고 가벼워 공중에 메달기가 쉬우며, 경질 소재 프라스턱과 금속 소재는 내구성이 탁월하며, 지지력과 휨강도 및 풍하중이 우수한 기능과 아울러 내부에 공간이 구성되어 외형이 크게 확장되며 수직으로 높이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외부면의 표면적이 확장되어 다량의 식물(320)을 식재할 수 있는 장점과 아울러 관 형태 내부의 공간으로 물을 공급할 때, 관 형태 외부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관 형태 외부면의 커버 벨크로테이프(330) 상부에서 물을 하향 공급될 때, 커버 벨크로테이프(330) 표면층에 물이 골고루 흡수되어 식물(320)의 뿌리에 물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직기둥부재(400)가 관 형태일 때, 상기 수직기둥부재(400) 내측면 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개방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개의 개방부(410)가 수직기둥부재(400)에 형성되면 내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수직기둥부재(400) 외측면의 커버 벨크로테이프(330)로 전달이 용이한 잇점 과 아울러 상기 개방부(410)을 통하여 수직기둥부재(400) 내부로 식물(320)의 뿌리를 내설 고정시키며, 식물(320)의 뿌리에 물 공급을 할 수 있는 장점과 상기 개방부(410)의 틈새로 수증기 형태의 습기가 유통되어 실내의 습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 형태는 스치로폼과 같이 무게가 가벼우면서, 부피는 크기 때문에 표면에 많은 식물(320)을 식재할 수 있으며, 특히 목재 등의 목질계소재를 이용하면 표면 가공성이 편리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외형의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며, 실내에서 목질계 소재의 독특한 향과 인체에 유익한 물질이 방출되고, 습도유지가 용이한 친환경적인 식물(320)의 재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튜브 형태는 내부의 공간에 공기를 주입, 배출할 수 있어서, 수직기둥부재(400)의 보관, 운송, 설치가 용이하고, 가벼워서 지면으로부터 공중에 메달리며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직기둥부재(400)의 단면 형상은 연속되는 S자 또는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골 형상 또는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의 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즉, 상기의 구성은 일 표면에만 구성되는 평면구조의 수직구조체 형상보다 다 각도로 향하는 표면이 형성된 본 발명의 수직기둥부재(400)에 다량의 식물(320)이 다양한 방향으로 식재되어도 입사되는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광합성 작용을 용이하도록 하기위한 방법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특히, S자 또는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골 형상의 특징을 설명하면, 수직기둥부재(400) 외형이 골 형상으로 구성되면 일정 깊이의 요홈면이 형성되어, 그 요홈면에 식물(320)의 뿌리가 배열되면 그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서, 산소공급이 원활하고, 뿌리의 외부 노출이 최소화되고, 뿌리가 수직으로 하향되며 길게 활착되어 식물(320)의 생육환경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수직기둥부재(400)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커버 벨크로데이프(330),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330) 표면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물(320), 상기 식물(320)을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330)에 탈,착토록 하는 고정 벨크로테이프(340)가 구비되는 구성 그리고, 도 2,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수직기둥부재(400)의 외부면에 상호 간에 간극을 두고 배열되며 결합되는 다수개의 커버 벨크로테이프(330), 상기 수직기둥부재(400)의 간극면(800)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물(320), 상기 식물(320)을 상기 간극면(80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330)에 탈,착되며 식물(320)을 고정, 분리시키는 고정 벨크로테이프(340)가 구비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설명한다.
즉,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330)와 고정 벨크로테이프(340)는 표면에 후크구조 또는 루프구조 중에서 선택되어 형성된다.
상기 식물(320)은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330)의 표면 위치하여 배열되거나, 수직기둥부재(400) 일 측면의 커버 벨크로테이프(330)의 인접한 수직기둥부재(400)의 간극면(800)에 식물(320)이 위치하여 배열되고, 상기 고정 베크로테이프(340)는 상기 식물(320)을 고정시키며,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330)와 상호 탈,착되며 식물(320)을 식재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커버 벨크로테이프(330)과 고정 벨크로테이프(340)는 상호 간에 탈,착되는 구성으로 각각 루프구조 또는 후크구조 중에서 선택적으로 구성되며, 루프구조와 후크구조의 형상 및 소재는 상호 탈,착되는 구조이면 어떠한 제한도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더하여, 상기의 고정 벨크로테이프(340)는 평면형태 또는 입체형태의 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데, 평면형태의 고정 벨크로테이프(340)는 식물(320)의 뿌리가 적은 식물(320)의 종류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입체형태의 고정 벨크로테이프(340)는 식물(320)의 뿌리가 많은 식물(320)에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식물(320)들의 뿌리 형태에 적절히 대응하여 식물(320)의 뿌리 활착에 효율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정 벨크로테이프(340)가 입체형태로 구성될 때, 입체형태로 성형된 부재에 고정 벨크로테이프를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기둥부재(400)와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330) 사이에 물 또는 영양액을 흡수하는 흡수수단(600)이 내설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흡수수단(600)을 통하여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330)에 물을 용이하게 전달하여 식물(320)의 뿌리에 적절한 수분을 공급하여 식물(320)의 생육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실내의 습도유지 및 식물(320)의 수분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흡수수단(600)의 소재로는 합성섬유 부직포 형태, 스펀지형태 또는 식물성 화이버로 이루어져 성형된 매트 형태, 펠트 형태 등의 수분의 흡수가 탁월하고, 수분의 유지력이 우수한 소재이면 형태의 제한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330)는 합성섬유 원단 표면을 긁거나 뽑아 원단의 표면에 보풀이 형태 또는 루프 형태로 성형된 된 것으로 상기 수직기둥부재(400) 외부 둘레면 전체를 감싸며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330)가 상기 수직기둥부재(400)의 외부 둘레면에 전체를 감싸며 구성되면 식물(320)들이 커버 벨크로테이프(330)의 표면에 배열 고정될 때, 위치 선정이 자유로우며, 식물(320)들의 성장에 따른 위치의 변경이 용이하여, 식물(320)들의 잎 부분이 서로 덜 겹치며 식물(320)들의 잎들이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며 생육될 수 있어서, 입사되는 광원을 보다 많이 받을 수 있어 식물(320)들의 광합성에 유익하여 식물(320)들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과 커버 벨크로테이프(330)에 물 흡수가 탁월한 다양한 원사를 이용한 소재로 직조가 가능하여 다양한 소재의 선택과 더 많은 수분흡수 기능으로 습도유지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직기둥부재(400)의 상부에는 물을 하향으로 흘려보내는 물공급부(300)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물공급부(300)에서 흘러내린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수직기둥부재(400) 상부의 물공급부(300)에서 하향으로 물을 흘려보내면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330) 또는 상기의 흡수수단(600)에 일정량의 물이 흡수 저장되며 식물(330)의 뿌리에 수분을 공급하고 나머지 물은 상기 수직기둥부재(400) 하부의 물저장부(210)에 저장되고, 펌프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물 공급과 물 저장을 오랜 시간 동안 지속할 수 있어 식물(320)의 생육에 유익한 장점과 실내의 습도유지에 유익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편리하게 식물(320)을 재배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수직기둥부재(400) 하부에는 상부로 수분을 분사하는 분사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상기 분사장치(미도시)는 상부로 수분을 분사하는 미세분무노즐 형태 또는 물 입자를 수증기 형태로 변환하는 초음파진동자 형태의 구성 중에서 선택되면서 상기 미세분무노즐, 초음파진동자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 측에는 상부로 수분을 상승시키는 송풍팬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미도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물을 미세하게 쪼개어 수증기 형태로 분사하여, 물 사용량을 적게하여 물 관리가 편리하며, 송풍팬에 의해 수분과 함께 산소가 식물(320)의 뿌리에 공급되어 뿌리의 활착에 도움을 주고, 식물(320) 뿌리에 과습을 예방하여 식물의 성장에 효과적으로 대처한다.
2) 분무되는 수증기 형태의 수분이 식물(320)들의 주변으로 퍼져나가 주변의 습도를 적절히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일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수직식생장치 210 : 저장부 300 : 물공급부 320 : 식물 330 : 커버 벨크로테이프
340 : 고정 벨크로테이프 400 : 수직기둥부재 410 : 개방부 600 : 흡수수단
700 : 분사장치 800 : 간극면

Claims (8)

  1.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설 되거나 수직으로 공중에 메달리는 수직기둥부재;
    상기 수직기둥부재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커버 벨크로테이프;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 표면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물;
    상기 식물을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에 탈,착토록 하는 고정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기둥부재는
    a). 경질 소재 또는 연질 소재로 이루지며, 하나로 구성되는 단일체 또는 복수로 구성되어 분리 조립되는 분리체의 구성 중에서 선택되고,
    b).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관 형태, 그 내부의 공간이 채워진 패널 형태, 그 내부의 공간에 공기가 주입, 배출되는 튜브 형태의 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서
    상기 관, 패널, 튜브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은 연속되는 S자 또는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골 형상 또는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의 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식생장치.
  2.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설 되거나 수직으로 공중에 메달리는 수직기둥부재;
    상기 수직기둥부재의 외부면에 상호 간에 간극을 두고 배열되며 결합되는 다수개의 커버 벨크로테이프;
    상기 수직기둥부재의 간극면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물;
    상기 식물을 상기 간극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에 탈,착되며 식물을 고정, 분리시키는 고정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기둥부재는
    a). 경질 소재 또는 연질 소재로 이루지며, 하나로 구성되는 단일체 또는 복수로 구성되어 분리 조립되는 분리체의 구성 중에서 선택되고,
    b).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관 형태, 그 내부의 공간이 채워진 패널 형태, 그 내부의 공간에 공기가 주입, 배출되는 튜브 형태의 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서
    상기 관, 패널, 튜브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은 연속되는 S자 또는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골 형상 또는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의 구성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식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는 합성섬유 원단 표면을 긁거나 뽑아 원단의 표면에 보풀이 형태 또는 루프 형태로 성형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식생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는 상기 수직기둥부재 외부 둘레면 전체를 감싸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식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기둥부재와 상기 커버 벨크로테이프 사이에 물 또는 영양액을 흡수하는 흡수수단이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식생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기둥부재는 관 형태가 선택되어, 상기 수직기둥부재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식생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기둥부재의 상부에는 물을 하향으로 흘려보내는 물공급부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물공급부에서 흘러내린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식생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기둥부재 하부에는 상부로 수분을 분사하는 분사장치가 구비되는데, 상기 분사장치는
    a). 상부로 수분을 분사하는 미세분무노즐 형태 또는 물 입자를 수증기 형태로 변환하는 초음파진동자 형태의 구성 중에서 선택되면서
    b). 상기 미세분무노즐, 초음파진동자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 측에는 상부로 수분을 상승시키는 송풍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식생장치.
KR1020210136316A 2021-08-25 2021-10-14 수직식생장치 KR202300304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109 2021-08-25
KR1020210112109A KR20210113110A (ko) 2021-08-25 2021-08-25 수직식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486A true KR20230030486A (ko) 2023-03-06

Family

ID=777998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109A KR20210113110A (ko) 2021-08-25 2021-08-25 수직식생장치
KR1020210136316A KR20230030486A (ko) 2021-08-25 2021-10-14 수직식생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109A KR20210113110A (ko) 2021-08-25 2021-08-25 수직식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13110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110A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00128A1 (en) Modular hydroponic growing unit
US20130031834A1 (en) Vertical planter system for orchids and epiphytic plants
WO2009122210A1 (en) A planting tray
KR20190137201A (ko) 입형정원 시스템
KR101419119B1 (ko) 수직형 녹화구조물
US20170359969A1 (en) Portable Suspended Trellis and Planter System
JP2022140985A (ja) 挿し穂の発根装置
KR20230030486A (ko) 수직식생장치
KR200405862Y1 (ko) 수경재배기
KR20120019256A (ko) 수경재배기 및 그 수경재배기를 이용한 수경재배시스템
KR200461953Y1 (ko) 조립식 화분
CN210868665U (zh) 一种农业种植用种子发芽培育装置
JP2995275B2 (ja) 鉢植え植物のためのかん水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プランター
KR20210157755A (ko)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
JP3823251B2 (ja) 立体型植栽構造物
KR200461692Y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JP2004337117A (ja) 浮上する毛管吸水体または毛管吸水箱及びその毛管吸水容器
KR200179704Y1 (ko) 식물재배기의 자동수분공급장치
JP2516083B2 (ja) 植物栽培装置
JP2001211739A (ja) イチゴの栽培方法とそれに用いる栽培装置
KR102645814B1 (ko) 식물 공중 식재장치
JPH0137088B2 (ko)
JP3064435U (ja) 壁掛け式植物展示トレ―
TWM631151U (zh) 懸吊式藤蔓類種植裝置
KR200238741Y1 (ko) 화분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