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637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637A
KR20230029637A KR1020227043946A KR20227043946A KR20230029637A KR 20230029637 A KR20230029637 A KR 20230029637A KR 1020227043946 A KR1020227043946 A KR 1020227043946A KR 20227043946 A KR20227043946 A KR 20227043946A KR 20230029637 A KR20230029637 A KR 20230029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absorbent
absorbent article
display portion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무 미야마에
겐토 나시키
미츠히로 데구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29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adjustable by adding or removing material, e.g. umbilical cord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separable parts, e.g. combination of disposable and reus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한쌍의 샘방지 커프를 가지며 흡수 패드를 장착 가능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기립부의 비피부면측에 흡수 패드를 넣는 것을 유도하기 쉬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10)은,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고, 또한 흡수성 물품(10)의 폭 중심(WC)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샘방지 커프(60)를 갖는다. 샘방지 커프(60)는, 전후 방향(L)에서의 수축에 의해 기립단 가장자리(60WE)로부터 피부면측(T1)을 향해 기립 가능한 기립부(61)와, 기립부(61)보다 전후 방향(L)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피부면측(T1)을 향해 기립 불가능하게 접합된 전후 접합부(62)를 갖는다. 흡수성 물품(10)은 흡수 패드(100)를 장착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0)은, 전후 방향(L)에서의 흡수 패드(100)의 단부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패드 표시부(30)를 갖는다.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는, 기립단 가장자리(60WE)보다 폭 방향(W의) 외측이면서 전후 접합부(62)보다 전후 방향(L)의 내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한쌍의 샘방지 커프를 가지며 흡수 패드를 장착 가능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한쌍의 샘방지 커프를 가지며 흡수 패드를 장착 가능한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샘방지 커프는, 전후 방향에서의 수축에 의해 피부면측을 향해 기립 가능한 기립부를 갖는다. 장착 보조자는, 흡수성 물품에 흡수 패드를 장착할 때에, 기립부의 비피부면측에 흡수 패드를 넣음으로써, 기립부 사이에 흡수 패드가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배설물이 흡수 패드로부터 폭 방향으로 새어 나왔다 하더라도, 흡수성 물품의 기립부에 의해 가로막을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8-122014호 공보
그러나, 흡수성 물품의 장착 전의 상태에서는, 기립부가 확실하게 기립하지 않았고, 장착 보조자는 샘방지 커프를 의식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장착 보조자는, 흡수성 물품에 흡수 패드를 장착할 때에, 기립부의 비피부면측에 흡수 패드를 넣지 않고, 흡수 패드를 샘방지 커프 위(즉, 기립부의 피부면측)에 얹는 경우가 있었다. 이 경우, 흡수 패드에 의해 기립부의 기립이 방해되기 때문에, 배설물이 옆으로 새기 쉬웠다. 또한, 흡수 패드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흡수 패드가 틀어져, 흡수성 물품의 장착감이 악화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한쌍의 샘방지 커프를 가지며 흡수 패드를 장착 가능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기립부의 비피부면측에 흡수 패드를 넣는 것을 유도하기 쉬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 및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흡수성 물품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인 폭 중심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샘방지 커프를 갖는다. 상기 샘방지 커프는,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수축에 의해 기립단 가장자리로부터 피부면측을 향해 기립 가능한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보다 상기 전후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피부면측을 향해 기립 불가능하게 접합된 전후 접합부를 갖는다. 흡수성 물품은 흡수 패드를 장착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은,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흡수 패드의 단부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갖는다.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립단 가장자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이면서 상기 전후 접합부보다 상기 전후 방향의 내측에 배치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피부면측에서 본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F2-F2선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피부면측에서 본 모식적인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F4-F4선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a는,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흡수 패드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을 피부면측에서 본 모식적인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흡수성 물품의 모식적인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실시형태의 개요
일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 및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흡수성 물품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인 폭 중심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샘방지 커프를 갖는다. 상기 샘방지 커프는,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수축에 의해 기립단 가장자리로부터 피부면측을 향해 기립 가능한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보다 상기 전후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피부면측을 향해 기립 불가능하게 접합된 전후 접합부를 갖는다. 흡수성 물품은 흡수 패드를 장착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은,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흡수 패드의 단부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갖는다.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립단 가장자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이면서 상기 전후 접합부보다 상기 전후 방향의 내측에 배치된다.
장착 보조자가,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배치 위치에 흡수 패드의 단부의 위치를 맞출 때에, 표시부를 시인할 뿐만 아니라, 흡수성 물품의 폭 중심에 흡수 패드의 폭 방향의 중심의 위치를 맞추기 위해 폭 중심을 시인한다. 따라서, 전술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가, 기립단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이면서 전후 접합부보다 전후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장착 보조자가, 표시부와 폭 중심을 시인하면서 흡수 패드의 장착 위치를 조정할 때에, 기립부가 시각에 들어오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장착 보조자가 기립부를 시인함으로써, 샘방지 커프를 의식하기 쉬워져, 장착 보조자가 기립부의 비피부면측에 흡수 패드를 넣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전후 접합부로부터 상기 표시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표시부의 최대 길이보다 짧아도 좋다. 이것에 의해, 표시부가 전후 접합부 근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 방향에서의 기립부의 기립단 가장자리(즉, 전후 접합부의 내측 단가장자리)와 폭 방향에서의 기립부의 기립단 가장자리에 의해 구성되는 포켓(공간)의 모서리부가 시각에 들어오기 쉬워진다. 흡수 패드의 단부의 외측 가장자리(즉, 모서리부)는, 포켓의 모서리부 부근에 넣기 쉬우므로, 장착 보조자에게 포켓의 모서리부를 의식시킴으로써, 장착 보조자가 기립부의 비피부면측에 흡수 패드를 넣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포켓의 모서리부는, 기립부가 기립하기 시작하는 부분이므로, 포켓의 모서리부 주변은, 기립부의 기립 높이가 낮아진다. 흡수 패드를 포켓의 모서리부 부근에 넣음으로써, 흡수 패드가 폭 방향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도 틀어지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흡수 패드의 흡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거나, 흡수 패드의 틀어짐에 의한 장착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은, 앞쪽 몸통둘레 영역, 뒤쪽 몸통둘레 영역, 및 상기 앞쪽 몸통둘레 영역 및 상기 뒤쪽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에 배치된 가랑이 영역과, 상기 뒤쪽 몸통둘레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앞쪽 몸통둘레 영역에 접착 고정되는 패스닝 테이프를 가져도 좋다.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패스닝 테이프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패스닝 테이프가 앞쪽 몸통둘레 영역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패스닝 테이프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뒤쪽의 영역이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기 때문에, 흡수 패드가 이상적인 위치로부터 틀어지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흡수 패드의 흡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거나, 흡수 패드의 틀어짐에 의한 장착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패스닝 테이프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흡수 패드의 위치를 표시부에 맞춘 상태에서, 패스닝 테이프가 앞쪽 몸통둘레 영역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패스닝 테이프의 전단 가장자리와 후단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이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기 때문에, 흡수 패드의 단부의 위치가 표시부로부터 더욱 틀어지기 어려워진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은 흡수 코어를 가져도 좋다.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상기 폭 방향의 내측에서 상기 흡수 코어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일반적으로, 흡수 패드의 단부는, 흡수 패드로부터 배설물이 새어 나와도 흡수 코어가 새어 나온 배설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배치된다.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가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흡수 패드의 단부가 흡수 코어와 중첩되도록, 장착 보조자가 흡수성 물품에 흡수 패드를 정확하게 장착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샘방지 커프를 구성하는 시트보다 비피부면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표시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부에 기인한 착용자의 피부에 미치는 영향(예컨대, 표시부가 잉크에 의한 인자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피부에 잉크가 묻는 것 또는 잉크에 의한 피부 손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립단 가장자리에 걸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기립단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내측의 영역에서는, 표시부를 기립부에 의해 확실하게는 시인할 수 없는 한편, 기립단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의 영역에서는, 샘방지 커프를 구성하는 시트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부가 시트보다 비피부면측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상기 내측의 영역보다 표시부를 명료하게 시인하기 쉽다. 이 때문에, 장착 보조자가, 내측의 영역에서의 표시부를 명료하게 시인하려고 하여 기립부를 젖히기 쉬워진다. 기립부를 젖히는 것을 유도함으로써, 장착 보조자가 기립부의 비피부면측에 흡수 패드를 넣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은, 수축성을 갖는 수축 부재를 가져도 좋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축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표시부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 수축 부재의 수축에 의해 수축되기 어려워져, 표시부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흡수 패드의 단부의 배치 위치의 상기 전후 방향의 범위를 나타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장착 보조자는, 표시부로 표시된 범위 내에서 흡수 패드의 단부의 배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을 상기할 수 있다. 적절한 장착을 위해 흡수 패드의 단부를 핀 포인트에 배치해야 한다고 하는 장착 보조자의 정신적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흡수 패드의 단부를 핀 포인트에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흡수 패드의 단부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는 시간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 시간을 단축하기 쉬워진다. 또한, 흡수 패드의 사이즈는, 흡수 패드를 제조하는 제조업자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장착 보조자는, 표시부로 표시된 범위 내에서 흡수 패드의 단부의 배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에 장착되는 흡수 패드가 제한되기 어려워짐과 더불어, 흡수 패드를 보다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장착 보조자가 착용자에게 흡수성 물품을 장착하는 경우에도, 표시부가 흡수 패드의 단부의 배치 위치를 핀 포인트로 나타내는 경우와 비교하여, 각 장착 보조자가 표시부로 표시된 범위 내에, 흡수 패드의 단부의 배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장착 보조자 각각이, 흡수성 물품에 흡수 패드를 적절하게 장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흡수 패드를 장착하기 위한 표시인 것을 도형에 의해 나타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장착 보조자는, 표시부가 흡수 패드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기 쉬워진다. 착용자의 신체 등의 다른 것을 표시부에 맞추기 어려워져, 흡수성 물품에 흡수 패드를 적절하게 장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흡수 패드를 장착하기 위한 표시인 것을 문자에 의해 나타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문자를 시인한 장착 보조자는, 표시부에 의해 흡수 패드를 배치해야 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 보조자가, 표시부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신체 등의 다른 것을 잘못하여 배치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표시부와 상이한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다른 표시부를 가져도 좋다. 상기 표시부와 상기 다른 표시부란,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떨어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착용자는, 표시부가 다른 표시부와 상이한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기 쉬워져, 흡수 패드의 단부를 잘못하여 다른 표시부의 위치에 맞추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다른 표시부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다른 표시부를 발견했을 때에, 시선을 전후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표시부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 보조자가 표시부를 발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를 발견한 장착 보조자는, 표시부를 기준으로 흡수 패드의 단부의 위치를 맞추기 때문에, 샘방지 커프를 의식하기 쉬워져, 장착 보조자가 기립부의 비피부면측에 흡수 패드를 넣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청구항에 기재된 「표시부」는 패드 표시부에 대응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다른 표시부」는 신체 표시부에 대응한다.
(2) 흡수성 물품의 전체 개략 구성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를 붙였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과는 다른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길이나 위치 관계를 비교할 때에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신축성 부재에 의한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흡수성 물품을 신장시킨 신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이용한다. 또,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F4-F4선에 있어서, 후술하는 기립부(61)가 기립한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어른용의 일회용 기저귀이다. 흡수성 물품은, 예컨대 간병인과 같은 장착 보조자가 요간병인과 같은 착용자(특히 고령자)에게 장착시키는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0)은 흡수 패드(100)를 장착할 수 있다. 흡수 패드(100)는, 흡수성 물품(10)의 피부면측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0)에 장착된다.
흡수성 물품(10)은,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을 갖는다. 전후 방향(L)은, 착용자의 신체 앞쪽과 신체 뒤쪽으로 연장된다. 폭 방향(W)은, 전후 방향(L)에 직교한다. 흡수성 물품(10)은,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에 직교하는 두께 방향(T)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면측」은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쪽에 상당한다. 「비피부면측」은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로 향해지는 쪽에 상당한다. 두께 방향(T)은 피부면측(T1)과 비피부면측(T2)으로 연장된다.
흡수성 물품(10)은, 앞쪽 몸통둘레 영역(S1)과, 뒤쪽 몸통둘레 영역(S2)과, 가랑이 영역(S3)을 갖는다. 앞쪽 몸통둘레 영역(S1)은, 사용시에 착용자의 신체 앞쪽에 면한다. 뒤쪽 몸통둘레 영역(S2)은, 사용시에 착용자의 신체 뒤쪽에 면한다. 가랑이 영역(S3)은, 앞쪽 몸통둘레 영역(S1)과 뒤쪽 몸통둘레 영역(S2) 사이에 배치된다. 가랑이 영역(S3)은, 사용시에 착용자의 가랑이에 배치된다. 가랑이 영역(S3)은 다리 둘레 개구부(15)가 마련된 영역이며, 앞쪽 몸통둘레 영역(S1)과 가랑이 영역(S3)의 경계는, 다리 둘레 개구부(15)의 전단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고, 뒤쪽 몸통둘레 영역(S2)과 가랑이 영역(S3)의 경계는, 다리 둘레 개구부(15)의 후단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10)은, 적어도 가랑이 영역(S3)에 배치된 흡수 코어(50)를 가져도 좋다. 흡수 코어(50)는, 가랑이 영역(S3)으로부터 앞쪽 몸통둘레 영역(S1) 및 뒤쪽 몸통둘레 영역(S2)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 코어(50)는, 예컨대 분쇄 펄프 혹은 고흡수성 폴리머(SA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흡수성 재료의 적층체이어도 좋다. 또, 흡수 코어(50)의 외측 가장자리(50E)는, 폭 방향(W)에 있어서 가장 내측의 외측 가장자리(50IE)를 갖는다. 흡수성 물품(10)은, 흡수 코어(50)와, 도시하지 않은 코어랩을 포함하는 흡수체를 가져도 좋다. 코어랩은, 흡수 코어(50)를 덮도록 배치되고, 예컨대, 티슈나 부직포 시트이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10)은, 흡수 코어(50)의 피부면측(T1)에 위치하는 피부면 시트(41)와, 흡수 코어(50)의 비피부면측(T2)에 위치하는 비피부면 시트(42)를 가져도 좋다. 피부면 시트(41)는, 톱 시트(41a)와 사이드 시트(41b)를 가져도 좋다. 톱 시트(41a)는, 액투과성을 가지며, 흡수 코어(50)의 적어도 폭 방향(W)의 중심을 덮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사이드 시트(41b)는, 소수성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흡수 코어(50)의 폭 방향(W)의 중심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있어서, 폭 방향(W)에서의 톱 시트(41a)의 양측부를 덮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비피부면 시트(42)는, 액불투과성을 가지며, 흡수 코어(50)보다 비피부면측에 마련되어도 좋다. 비피부면 시트(42)는, 액불투과성의 백필름(42a)과, 백필름(42a)의 비피부면측에 배치된 백부직포(42b)를 가져도 좋다.
흡수성 물품(10)은, 한쌍의 샘방지 커프(60)를 가져도 좋다. 한쌍의 샘방지 커프(60)는, 적어도 가랑이 영역(S3)에 있어서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쌍의 샘방지 커프(60)는, 흡수성 물품(10)의 폭 방향(W)의 중심인 폭 중심(WC)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샘방지 커프(60)는, 기립부(61)와, 전후 접합부(62)와, 폭 접합부(63)와, 샘방지 탄성 부재(65)를 가져도 좋다.
기립부(61)는, 전후 방향(L)에서의 수축에 의해 피부면측(T1)을 향해 기립 가능하다. 전후 접합부(62)는, 기립부(61)보다 전후 방향(L)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피부면측(T1)을 향해 기립 불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전후 접합부(62)는, 폭 중심(WC)측에 위치하는 내측 가장자리(62E)와, 고간부측에 위치하는 내측 단가장자리(즉, 뒤쪽 몸통둘레 영역(S2)에서의 전후 접합부(62)의 전단 가장자리(62F))를 갖는다. 폭 접합부(63)는, 기립부(61)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피부면측(T1)을 향해 기립 불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샘방지 탄성 부재(65)는, 전후 방향(L)으로 신장된 상태로 사이드 시트(41b)에 배치되어 있다. 샘방지 탄성 부재(65)는, 사이드 시트(41b)에 끼워져 고정되어도 좋다. 샘방지 탄성 부재(65)의 수축에 의해, 기립부(61)가 전후 방향(L)으로 수축하고, 기립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립부(61)는, 폭 방향(W)에서의 기립단 가장자리(61WE)로부터 기립을 시작한다. 기립단 가장자리(61WE)는, 폭 방향(W)에서의 폭 접합부(63)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기립부(61)는, 전후 방향(L)에서의 기립단 가장자리(61LE)로부터 기립을 시작한다. 기립단 가장자리(61LE)는, 전후 방향(L)에서의 전후 접합부(62)의 고간부측에 위치하는 내측 단가장자리에 의해 구성된다.
흡수성 물품(10)은, 다리 둘레 개구부(15)에 배치되고 또한 전후 방향(L)으로 신축성을 갖는 다리 둘레 탄성 부재(16)를 가져도 좋다. 다리 둘레 탄성 부재(16)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고, 다리 둘레 개구부(15)를 따라 배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다리 둘레 개구부(15)를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피트시킨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0)은, 뒤쪽 몸통둘레 영역(S2)에 있어서 폭 방향(W)으로 신축성을 갖는 허리 탄성 부재(17)를 가져도 좋다. 허리 탄성 부재(17)는,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 있고, 흡수성 물품(10)의 폭 방향(W)의 중심에 걸쳐 있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10)은, 흡수성 본체(11)와 패스닝 테이프(90)를 갖는다. 흡수성 본체(11)는, 적어도 흡수 코어(50), 피부면 시트(41), 비피부면 시트(42)에 의해 구성된다. 패스닝 테이프(90)는, 뒤쪽 몸통둘레 영역(S2)에 배치되고 또한 앞쪽 몸통둘레 영역(S1)에 접착 고정된다. 패스닝 테이프(90)는, 뒤쪽 몸통둘레 영역(S2)의 폭 방향(W)의 양 외측부에 마련된다. 패스닝 테이프(90)는, 뒤쪽 몸통둘레 영역(S2)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1)의 외측 가장자리(11E)로부터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패스닝 테이프(90)는, 패스닝 테이프(90)의 외측부의 일부가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92)를 가져도 좋다. 연장부(92)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패스닝 테이프(90)의 전후 방향(L)의 길이보다 짧다. 연장부(92)는, 제1 연장부(921)와, 제1 연장부(921)보다 전후 방향(L)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연장부(922)를 가져도 좋다.
패스닝 테이프(90)는, 앞쪽 몸통둘레 영역(S1)에 결합하는 결합부(96)를 갖는다. 결합부(96)가 앞쪽 몸통둘레 영역(S1)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패스닝 테이프(90)가 접착 고정된다. 결합부(96)는 연장부(92)에 마련되어도 좋다. 결합부(96)는, 앞쪽 몸통둘레 영역(S1)에 결합하는 제1 결합부(961)와, 제1 결합부(961)보다 전후 방향(L)의 내측에서 앞쪽 몸통둘레 영역(S1)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962)를 갖는다. 제1 결합부(961)는 제1 연장부(921)에 마련되고, 제2 결합부(962)는 제2 연장부(922)에 마련되어도 좋다.
(3) 패드 표시부
다음으로, 패드 표시부(30)에 관해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10)은, 전후 방향(L)에서의 흡수 패드(100)의 단부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패드 표시부(30)를 갖는다. 패드 표시부(30)는, 흡수성 물품(10)에 대하여 흡수 패드(100)를 적절한 위치에서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패드 표시부(30)는, 흡수 패드(100)의 후단부(100R)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도 좋다. 또한, 패드 표시부(30)는, 흡수 패드(100)의 후단부(100R)와 외측부(100E)에 의해 구성되는 모서리부(100C)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는, 폭 방향(W)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0)의 폭 중심(WC)의 양 외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패드 표시부(30)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는, 흡수성 물품(10)의 피부면측(T1)으로부터 시인 가능하다. 패드 표시부(30)는, 육안으로 인식 가능하면 된다. 예컨대, L*a*b* 표색계에 있어서, 패드 표시부(30)에 인접하는 주위에 대한 색차 ΔE가 8 이상인 패드 표시부(30)는 시인 가능하다. 패드 표시부(30)는, 예컨대, 유성의 잉크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10)에 인쇄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패드 표시부(30)는, 착색된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전단 가장자리(30F)와, 전후 방향(L)에 있어서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후단 가장자리(30R)를 가져도 좋다(도 5b 참조). 또한, 패드 표시부(30)는, 폭 방향(W)에 있어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가장자리(30I)와, 폭 방향(W)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가장자리(30O)를 가져도 좋다(도 5b 참조). 전후 방향(L)에서의 패드 표시부(30)의 최대 길이(즉, 전단 가장자리(30F)로부터 후단 가장자리(30R)까지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예컨대, 20 mm 이상이어도 좋고, 80 mm 이하이어도 좋다. 폭 방향(W)에서의 패드 표시부(30)의 최대 폭(즉, 내측 가장자리(30I)로부터 외측 가장자리(30O)까지의 폭 방향(W)의 길이)은, 예컨대, 20 mm 이상이어도 좋고, 80 mm 이하이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의 최대 길이 및/또는 최대 폭이 20 mm 이상임으로써, 육안으로 패드 표시부(30)를 확실하게 확인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패드 표시부(30)의 최대 길이 및/또는 최대 폭이 80 mm 이하임으로써, 흡수 패드(100)의 단부의 배치 위치에 대하여, 패드 표시부(30)의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지 않기 때문에, 장착 보조자가 흡수 패드(100)의 단부의 배치 위치의 범위를 파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드 표시부(30)는, 흡수 패드(100)의 단부의 배치 위치의 전후 방향(L)의 범위를 나타내는 제1 패드 표시부(31)를 가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패드 표시부(30)는, 흡수 패드(100)의 단부의 배치 위치의 전후 방향(L)의 범위를 나타내도 좋다. 제1 패드 표시부(31)는, 흡수 패드(100)의 후단부(100R)의 배치 위치의 전후 방향(L)의 범위를 나타내도 좋다. 제1 패드 표시부(31)는, 예컨대,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양 화살표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양 화살표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양 화살표의 후단 가장자리까지의 길이에 의해, 흡수 패드(100)의 단부의 배치 위치의 전후 방향(L)의 범위가 나타나도 좋다. 전후 방향(L)에서의 제1 패드 표시부(31)의 길이는, 예컨대 20 mm 이상이어도 좋고, 80 mm 이하이어도 좋다. 전후 방향(L)에서의 제1 패드 표시부(31)의 길이는, 예컨대, 흡수성 물품(10)이 S 사이즈 및 M 사이즈인 경우, 20 mm 이상 60 mm 이하이어도 좋고, 흡수성 물품(10)이 L 사이즈인 경우, 60 mm 이상 80 mm 이하이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는, 패드 표시부(30)가 흡수 패드(100)를 장착하기 위한 표시인 것을 도형에 의해 나타내는 제2 패드 표시부(32)를 가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패드 표시부(30)는, 패드 표시부(30)가 흡수 패드(100)를 장착하기 위한 표시인 것을 도형에 의해 나타내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패드 표시부(32)는, 흡수 패드(100)의 도형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제2 패드 표시부(32)는, 흡수 패드(100)의 도형에 더하여, 폭 방향의 내측으로 향하는 화살표의 도형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는, 패드 표시부(30)가 흡수 패드(100)를 장착하기 위한 표시인 것을 문자에 의해 나타내는 제3 패드 표시부(33)를 가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패드 표시부(30)는, 패드 표시부(30)가 흡수 패드(100)를 장착하기 위한 표시인 것을 문자에 의해 나타내도 좋다. 실시형태에서는, 제3 패드 표시부(33)는 「패드 단부」의 문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3 패드 표시부(33)는, 예컨대 「패드」, 「흡수 패드」 등의 문자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제3 패드 표시부(33)를 구성하는 문자는, 일본어로 표기되어도 좋고, 영어로 표기되어도 좋고, 다른 언어(예컨대 중국어)로 표기되어도 좋다.
실시형태에서는, 패드 표시부(30)는, 제1 패드 표시부(31)와, 제2 패드 표시부(32)와, 제3 패드 표시부(3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패드 표시부(31)는, 제2 패드 표시부(32) 및 제3 패드 표시부(33)보다 폭 방향(W)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제3 패드 표시부(33)는, 제2 패드 표시부(32)보다 전후 방향(L)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는, 전후 접합부(62)보다 전후 방향(L)의 내측에 배치된다. 패드 표시부(30)는, 전후 접합부(62)보다 전후 방향(L)의 외측에 배치되지 않고 전후 접합부(62)보다 전후 방향(L)의 내측에 배치된다. 실시형태에서는,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는, 전후 접합부(62)의 전단 가장자리(62F)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패드 표시부(30)는, 전후 접합부(62)의 전단 가장자리(62F)보다 후방에 배치되지 않고 전단 가장자리(62F)보다 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는, 뒤쪽 몸통둘레 영역(S2)에 배치되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는, 가랑이 영역(S3)에 배치되지 않고, 뒤쪽 몸통둘레 영역(S2)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는, 패스닝 테이프(90)의 전단 가장자리(90F)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의 전단 가장자리(30F)는, 패스닝 테이프(90)의 전단 가장자리(90F)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는, (a) 패스닝 테이프(90)의 전후 방향(L)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고, (b) 제2 결합부(962)의 전단 가장자리(962F)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고, (c) 제2 결합부(962)의 후단 가장자리(962R)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고, (d) 제1 결합부(961)의 전단 가장자리(961F)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고, (e) 제1 결합부(961)의 후단 가장자리(961R)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의 전단 가장자리(30F)는, (a) 패스닝 테이프(90)의 전후 방향(L)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고, (b) 제2 결합부(962)의 전단 가장자리(962F)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고, (c) 제2 결합부(962)의 후단 가장자리(962R)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고, (d) 제1 결합부(961)의 전단 가장자리(961F)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고, (e) 제1 결합부(961)의 후단 가장자리(961R)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는, 패스닝 테이프(90)의 후단 가장자리(90R)보다 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는, 패스닝 테이프(90)의 후단 가장자리(90R)보다 후방에 배치되지 않고, 후단 가장자리(90R)보다 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는, (a) 제1 결합부(961)의 후단 가장자리(961R)보다 전방에 배치되어도 좋고, (b) 제1 결합부(961)의 전단 가장자리(961F)보다 전방에 배치되어도 좋고, (c) 제2 결합부(962)의 후단 가장자리(962R)보다 전방에 배치되어도 좋고, (d) 제2 결합부(962)의 전단 가장자리(962F)보다 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의 후단 가장자리(30R)는, (a) 제1 결합부(961)의 후단 가장자리(961R)보다 전방에 배치되어도 좋고, (b) 제1 결합부(961)의 전단 가장자리(961F)보다 전방에 배치되어도 좋고, (c) 제2 결합부(962)의 후단 가장자리(962R)보다 전방에 배치되어도 좋고, (d) 제2 결합부(962)의 전단 가장자리(962F)보다 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는, 허리 탄성 부재(17)의 전단 가장자리(17F)보다 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의 후단 가장자리(30R)는, 허리 탄성 부재(17)의 전단 가장자리(17F)보다 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패드 표시부(30) 전체가, 패스닝 테이프(90)(흡수성 본체(11)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랩)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 내에 배치되어도 좋다.
전후 방향(L)에 있어서, 패드 표시부(30)의 전단 가장자리(30F)는, 패스닝 테이프(90)의 전후 방향(L)의 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패드 표시부(30)의 후단 가장자리(30R)는, 패스닝 테이프(90)의 전후 방향(L)의 중심보다 후방에 위치해도 좋다. 또한, 전후 방향(L)에 있어서, 패드 표시부(30)의 전단 가장자리(30F)는, 결합부(96)의 가장 후방의 후단 가장자리(실시형태에서는, 제1 결합부(961)의 후단 가장자리(961R))와 결합부(96)의 가장 전방의 전단 가장자리(실시형태에서는, 제2 결합부(962)의 전단 가장자리(962F))의 전후 방향(L)의 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패드 표시부(30)의 후단 가장자리(30R)는, 상기 중심보다 후방에 위치해도 좋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는, 기립단 가장자리(61WE)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된다. 패드 표시부(30)의 내측 가장자리(30I)는, 기립단 가장자리(61WE)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혹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드 표시부(30)는, 기립단 가장자리(61WE)에 걸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따라서, 패드 표시부(30)의 내측 가장자리(30I)는, 기립단 가장자리(61WE)보다 폭 방향(W)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좋고, 패드 표시부(30)의 외측 가장자리(30O)는, 기립단 가장자리(61WE)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 코어(50)의 외측 가장자리(50E)보다 폭 방향(W)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의 외측 가장자리(30O)는, 흡수 코어(50)의 외측 가장자리(50E)보다 폭 방향(W)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 코어(50)의 외측 가장자리(50E)보다 폭 방향(W)의 내측에서 흡수 코어(50)와 두께 방향(T)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의 외측 가장자리(30O)는, (a) 톱 시트(41a)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W)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좋고, (b) 폭 접합부(63)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W)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전후 접합부(62)로부터 패드 표시부(30)까지의 길이는, 전후 방향(L)에서의 패드 표시부(30)의 최대 길이보다 짧아도 좋다. 도 1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뒤쪽 몸통둘레 영역(S2)에서는, 전후 접합부(62)로부터 패드 표시부(30)까지의 길이는, 전후 방향(L)의 내측으로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전후 접합부(62)의 전단 가장자리(62F)로부터 패드 표시부(30)의 후단 가장자리(30R)까지의 길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드 표시부(30)는, 전후 접합부(62)의 전단 가장자리(62F)에 걸쳐 있기 때문에, 전후 접합부(62)로부터 패드 표시부(30)까지의 길이는 0이다. 전후 접합부(62)로부터 패드 표시부(30)까지의 길이는, 예컨대 80 mm 이하이어도 좋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드 표시부(30)는, 샘방지 커프(60)를 구성하는 시트보다 비피부면측(T2)에 배치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시트는 사이드 시트(41b)이다. 상기 시트는 광투과성을 갖는다. 시트는, 예컨대, 부직포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광투과성을 가져도 좋다. 패드 표시부(30)는, 톱 시트(41a)의 비피부면에 마련되어 있다. 패드 표시부(30)는, 톱 시트(41a)의 피부면에 마련되어도 좋고, 사이드 시트(41b)의 비피부면에 마련되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는, 흡수 코어(50)보다 피부면측(T1)에 마련되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10)은, 수축성을 갖는 수축 부재를 가져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축 부재는, 다리 둘레 탄성 부재(16), 허리 탄성 부재(17) 및 샘방지 탄성 부재(65)이다. 이들 탄성 부재는, 신장된 상태로 흡수성 물품(10)을 구성하는 구성 부재에 고정되기 때문에 수축성을 갖는다. 패드 표시부(30)는, 수축 부재와 두께 방향(T)으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다.
(4) 신체 표시부
다음으로, 신체 표시부(20)에 관해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10)은, 착용자의 신체 일부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신체 표시부(20)를 갖는다. 신체 표시부(20)는, 착용자가 적절한 위치에서 흡수성 물품(10)을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신체 표시부(20)는, 흡수성 물품(10)의 피부면측(T1)으로부터 시인 가능하다. 신체 표시부(20)는, 육안으로 인식 가능하면 된다. 신체 표시부(20)는, 예컨대, 유성의 잉크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10)에 인쇄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신체 표시부(20)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전단 가장자리(20F)와, 전후 방향(L)에 있어서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후단 가장자리(20R)를 가져도 좋다(도 5b 참조). 또한, 신체 표시부(20)는, 폭 방향(W)에 있어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가장자리(20I)와, 폭 방향(W)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가장자리(20O)를 가져도 좋다(도 5b 참조). 전후 방향(L)에서의 신체 표시부(20)의 최대 길이(즉, 전단 가장자리(20F)로부터 후단 가장자리(20R)까지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예컨대, 20 mm 이상이어도 좋고, 70 mm 이하이어도 좋다. 폭 방향(W)에서의 신체 표시부(20)의 최대 폭(즉, 내측 가장자리(20I)로부터 외측 가장자리(20O)까지의 폭 방향(W)의 길이)는, 예컨대, 20 mm 이상이어도 좋고, 70 mm 이하이어도 좋다.
신체 표시부(20)의 적어도 일부는, 착용자의 뼈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고, 또한 폭 방향(W)에서의 흡수성 물품(10)의 중앙 영역(CR)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다. 신체 표시부(20)는, 착용자의 장골릉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체 표시부(20)는, 착용자의 뼈로서 착용자의 장골릉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케이스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신체 표시부(20)는, 폭 방향(W)에 있어서 중앙 영역(CR)의 양 외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신체 표시부(20)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 중앙 영역(CR)은, (a) 흡수성 물품(10)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샘방지 커프(60)의 한쪽의 내측 가장자리(60E)로부터 다른 쪽의 내측 가장자리(60E)까지의 사이의 샘방지 커프(60) 사이의 영역, 및, (b) 폭 방향(W)에 있어서 흡수 코어(50)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한쪽의 외측 가장자리(50IE)로부터 다른 쪽의 외측 가장자리(50IE)까지의 흡수 코어(50) 사이의 영역(즉, 흡수 코어(50)의 최단폭의 영역)의 어느 한쪽의 영역이다. 중앙 영역(CR)은, 샘방지 커프(60) 사이의 영역과 흡수 코어(50) 사이의 영역 중 폭 방향(W)의 길이가 좁은 영역이어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체 표시부(20)는, 착용자의 뼈의 배치 위치의 전후 방향(L)의 범위를 나타내는 제1 신체 표시부(21)를 가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신체 표시부(20)는, 착용자의 뼈의 배치 위치의 전후 방향(L)의 범위를 나타내도 좋다. 제1 신체 표시부(21)는, 예컨대, 전후 방향(L)의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211)과, 제1 부분(211)으로부터 전후 방향(L)의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212)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제1 부분(211)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제2 부분의 후단 가장자리까지의 길이에 의해, 착용자의 뼈의 배치 위치의 전후 방향(L)의 범위가 나타나도 좋다. 신체 표시부(20)는, 흡수성 물품(10)이 장착되는 장착 부위와 착용자의 뼈의 배치 위치를 도형에 의해 나타내는 제2 신체 표시부(22)를 가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신체 표시부(20)는, 장착 부위와 착용자의 뼈의 배치 위치를 도형에 의해 나타내도 좋다. 신체 표시부(20)는, 신체 표시부(20)에 의해 나타나는 배치 위치에 배치해야 할 착용자의 뼈를 문자에 의해 나타내는 제3 신체 표시부(23)를 가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신체 표시부(20)는, 배치해야 할 착용자의 뼈를 문자에 의해 나타내도 좋다. 실시형태에서는, 제3 신체 표시부(23)는 「허리뼈」의 문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신체 표시부(20)의 적어도 일부는, 뒤쪽 몸통둘레 영역(S2)에 배치되어도 좋다. 신체 표시부(20)는, 가랑이 영역(S3)에 배치되지 않고, 뒤쪽 몸통둘레 영역(S2)에 배치되어도 좋다. 신체 표시부(20)는, 뒤쪽 몸통둘레 영역(S2)에 배치되어도 좋다.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체 표시부(20)의 전단 가장자리(20F)는, 패스닝 테이프(90)의 전단 가장자리(90F)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패드 표시부(30)가 패스닝 테이프(90)의 전단 가장자리(90F)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장착 보조자가 패드 표시부(30)를 장착하는 흡수성 물품(10)에 장착할 때에, 신체 표시부(20)를 시인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신체 표시부(20) 전체가, 패스닝 테이프(90)(흡수성 본체(11)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랩)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 내에 배치되어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체 표시부(20)와 패드 표시부(30)는 서로 다른 디자인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신체 표시부(20)와 패드 표시부(30)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 떨어져도 있다. 신체 표시부(20)로부터 패드 표시부(30)까지의 길이(ML)는, 신체 표시부(20)의 전후 방향(L)의 최대 길이의 절반보다 길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신체 표시부(20)와 패드 표시부(30)의 각각을 식별하기 쉽게 해도 좋다. 또한, 길이(ML)는, 신체 표시부(20)의 전후 방향(L)의 최대 길이보다 길어도 좋다. 길이(ML)는, 예컨대, 20 mm 이상 떨어져 있어도 좋다. 또한, 신체 표시부(20)는, 패드 표시부(30)보다 전후 방향(L)의 내측에 위치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흡수 패드(100)가 장착된 후에도 신체 표시부(20)를 시인할 수 있다. 또, 길이(ML)는, 신체 표시부(20)의 전후 방향(L)의 최대 길이의 3배 이하이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장착 보조자가 패드 표시부(30)를 장착하는 흡수성 물품(10)에 장착할 때에, 신체 표시부(20)를 시인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신체 표시부(20)의 적어도 일부는, 패드 표시부(30)와 전후 방향(L)으로 중첩되어 있어도 좋다.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는, 신체 표시부(20)와 전후 방향(L)으로 중첩되어 있어도 좋다. 폭 방향(W)에 있어서, 신체 표시부(20)의 내측 가장자리(20I)는, 패드 표시부(30)의 외측 가장자리(30O)보다 폭 방향(W)의 내측에 위치하고, 신체 표시부(20)의 외측 가장자리(20O)는, 패드 표시부(30)의 내측 가장자리(30I)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해도 좋다. 또한, 패드 표시부(30)의 내측 가장자리(30I)는, 신체 표시부(20)의 외측 가장자리(30O)보다 폭 방향(W)의 내측에 위치하고, 패드 표시부(30)의 외측 가장자리(30O)는, 신체 표시부(20)의 내측 가장자리(20I)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 방향(W)에 있어서, 신체 표시부(20)의 내측 가장자리(20I)는 패드 표시부(30)의 내측 가장자리(30I)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문자에 의해 구성되는 제3 신체 표시부(23)와 제3 패드 표시부(33)는, 전후 방향(L)으로 중첩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문자가 전후 방향(L)을 따라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 보조자가 시선을 전후 방향(L)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만으로 문자를 파악하기 쉬워져, 장착 보조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5) 장착 방법
흡수성 물품(10)의 장착 방법의 일례에 관해 설명한다. 첫째, 장착 보조자는, 흡수성 물품(10)을 전개하고, 패드 표시부(30)를 시인한다. 장착 보조자는, 패드 표시부(30)를 기준으로, 흡수 패드(100)의 후단부(100R)의 위치를 맞춘다. 여기서, 장착 보조자는, 패드 표시부(30)에 의해 나타나는 배치 위치에 흡수 패드(100)의 후단부(100R)의 위치를 맞출 때에, 패드 표시부(30)를 시인할 뿐만 아니라, 흡수성 물품(10)의 폭 중심(WC)에 흡수 패드(100)의 폭 방향(W)의 중심의 위치를 맞추기 위해 폭 중심(WC)을 시인한다. 이것에 의해, 장착 보조자가, 패드 표시부(30)와 폭 중심(WC)을 시인하면서 흡수 패드의 장착 위치를 조정할 때에, 기립부(61)가 시각에 들어가기 쉬워져, 장착 보조자가 기립부(61)의 비피부면측(T2)에 흡수 패드를 넣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보조자는, 흡수 패드(100)의 후단부(100R)를 기립부(61)의 비피부면측(T2)에 넣음으로써, 흡수 패드(100)를 흡수성 물품(10)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장착 보조자는 착용자에게 흡수성 물품(10)을 장착한다. 옆으로 누워 있는 착용자의 등쪽에, 전개된 흡수성 물품(10)을 셋팅한다. 장착 보조자는, 신체 표시부(20)를 기준으로 흡수성 물품(10)의 위치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장착 보조자는, 신체 표시부(20)에 착용자의 뼈의 위치를 맞춘다. 실시형태에서는, 신체 표시부(20)와 장골릉(IC)이 폭 방향(W)에 있어서 중첩되도록, 흡수성 물품(10)을 이동시켜 흡수성 물품(10)의 위치를 조정한다. 장골릉(IC)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가 돌출된 경우에는, 장착 보조자는, 시각에 의해 장골릉(IC)의 위치를 인식해도 좋다. 장착 보조자는, 착용자의 허리 위치를 접촉함으로써 장골릉(IC)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해도 좋다. 또, 장착 보조자는, 패드 표시부(30)에 의해 나타나는 범위 내에서, 흡수 패드(100)의 위치를 조정해도 좋다. 장착 보조자는, 예컨대, 착용자의 둔부의 갈라지는 부분이 가려지도록 흡수 패드(100)의 위치를 조정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신체가 흡수성 물품(10)에 놓이고, 흡수성 물품(10) 상에서 착용자가 위를 향해 눕는다. 다음으로, 흡수 패드(100)의 앞쪽이 착용자의 고간부를 덮도록 흡수 패드(100)의 앞쪽을 들어 올려 착용자의 고간부에 댄다. 그 후, 흡수성 물품(10)의 앞쪽을 들어 올려, 착용자의 고간부 및 복부를 덮도록 흡수성 물품(10)의 앞쪽을 댄다. 이것에 의해,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0)의 앞쪽 몸통둘레 영역(S1)이 착용자의 복부를 덮는다.
다음으로, 패스닝 테이프(90)를 앞쪽 몸통둘레 영역(S1)에 접착 고정한다.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용자는, 제2 결합부(962)를 앞쪽 몸통둘레 영역(S1)에 결합시킨다. 착용자는, 제2 연장부(922)가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도록 제2 결합부(962)를 앞쪽 몸통둘레 영역(S1)에 결합해도 좋고,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연장부(922)가 착용자의 허리측으로 경사지도록 제2 결합부(962)를 앞쪽 몸통둘레 영역(S1)에 결합해도 좋다(소위, 경사 고정). 그 후,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용자는 제1 결합부(961)를 앞쪽 몸통둘레 영역(S1)에 결합시킨다. 착용자는, 제1 연장부(921)가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도록 제1 연장부(921)를 앞쪽 몸통둘레 영역(S1)에 결합해도 좋고,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연장부(921)가 착용자의 가랑이측으로 경사지도록 제1 연장부(921)를 앞쪽 몸통둘레 영역(S1)에 결합해도 좋다(소위, 경사 고정). 착용자는, 패스닝 테이프(90)가 장골릉(IC)에 걸리도록, 제1 연장부(921)가 앞쪽 몸통둘레 영역(S1)에 결합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흡수성 물품(10)이 착용자에게 장착되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는, 기립부(61)의 기립단 가장자리(61WE)보다 폭 방향(W)의 외측이면서 전후 접합부(62)보다 전후 방향(L)의 내측에 배치된다. 장착 보조자가, 패드 표시부(30)에 의해 나타나는 배치 위치에 흡수 패드(100)의 단부의 위치를 맞출 때에, 패드 표시부(30)를 시인할 뿐만 아니고, 흡수성 물품(10)의 폭 중심(WC)에 흡수 패드(100)의 폭 방향(W)의 중심의 위치를 맞추기 위해 폭 중심(WC)을 시인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0)에서는,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가, 기립단 가장자리(61WE)보다 폭 방향(W)의 외측이면서 전후 접합부(62)보다 전후 방향(L)의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장착 보조자가, 패드 표시부(30)와 폭 중심(WC)을 시인하면서 흡수 패드(100)의 장착 위치를 조정할 때에, 기립부(61)가 시각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장착 보조자가 기립부(61)를 시인함으로써, 샘방지 커프(60)를 의식하기 쉬워져, 장착 보조자가 기립부(61)의 비피부면측(T2)에 흡수 패드(100)를 넣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전후 접합부(62)로부터 패드 표시부(30)까지의 길이는, 전후 방향(L)에서의 패드 표시부(30)의 최대 길이보다 짧아도 좋다. 이것에 의해, 패드 표시부(30)가 전후 접합부(62) 근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 방향(L)에서의 기립부(61)의 기립단 가장자리(61LE)(즉, 전후 접합부(62)의 전단 가장자리(62F))와 폭 방향(W)에서의 기립부(61)의 기립단 가장자리(61WE)에 의해 구성되는 포켓(공간)의 모서리부가 시각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흡수 패드(100)의 단부의 외측 가장자리(즉, 모서리부(100C))는, 포켓의 모서리부 부근에 넣기 쉽기 때문에, 장착 보조자에게 포켓의 모서리부를 의식시킴으로써, 장착 보조자가 기립부(61)의 비피부면측(T2)에 흡수 패드(100)를 넣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포켓의 모서리부는, 기립부(61)가 기립하기 시작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포켓의 모서리부의 주변은, 기립부(61)의 기립 높이가 낮아진다. 흡수 패드(100)를 포켓의 모서리부 부근에 넣음으로써, 흡수 패드(100)가 폭 방향(W)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L)으로도 틀어지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흡수 패드(100)의 흡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거나, 흡수 패드(100)의 틀어짐에 의한 장착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는, 패스닝 테이프(90)의 전단 가장자리(90F)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패스닝 테이프(90)가 앞쪽 몸통둘레 영역(S1)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패스닝 테이프(90)의 전단 가장자리(90F)보다 뒤쪽의 영역이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기 때문에, 흡수 패드(100)가 이상적인 위치로부터 틀어지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흡수 패드(100)의 흡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거나, 흡수 패드(100)의 틀어짐에 의한 장착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는, 패스닝 테이프(90)의 후단 가장자리(90R)보다 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흡수 패드(100)의 위치를 패드 표시부(30)에 맞춘 상태에서, 패스닝 테이프(90)가 앞쪽 몸통둘레 영역(S1)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패스닝 테이프(90)의 전단 가장자리(90F)와 후단 가장자리(90R) 사이의 영역이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기 때문에, 흡수 패드(100)의 단부의 위치가 패드 표시부(30)로부터 더욱 틀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 코어(50)의 외측 가장자리(50E)보다 폭 방향(W)의 내측에서 흡수 코어(50)와 두께 방향(T)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일반적으로, 흡수 패드(100)의 단부는, 흡수 패드(100)로부터 배설물이 새어 나와도 흡수 코어(50)가 새어 나온 배설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흡수 코어(50)의 외측 가장자리(50E)보다 폭 방향(W)의 내측에 배치된다.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가 흡수 코어(50)의 외측 가장자리(50E)보다 폭 방향(W)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흡수 패드(100)의 단부가 흡수 코어(50)와 중첩되도록, 장착 보조자가 흡수성 물품(10)에 흡수 패드(100)를 정확하게 장착하기 쉬워진다. 또한, 흡수 코어(50)는, 일반적으로 흡수성 물품(10)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 부재보다 두껍기 때문에, 흡수 코어(50)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하여 광투과성이 낮다. 따라서, 패드 표시부(30)가 흡수 코어(50)보다 피부면측(T1)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흡수 코어(50)의 외측 가장자리(50E)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의 시인성이, 흡수성 물품(10)이 놓여 있는 바닥 등의 배치면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패드 표시부(30)는, 샘방지 커프(60)를 구성하는 시트보다 비피부면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패드 표시부(30)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패드 표시부(30)에 기인한 착용자의 피부에 미치는 영향(예컨대, 패드 표시부(30)가 잉크에 의한 인자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피부에 잉크가 묻는 것 또는 잉크에 의한 피부 손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패드 표시부(30)는, 기립단 가장자리(91WE)에 걸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기립단 가장자리(91WE)보다 폭 방향(W)의 내측의 영역에서는, 패드 표시부(30)가 기립부(61)에 의해 확실하게는 시인할 수 없는 한편, 기립단 가장자리(91WE)보다 폭 방향(W)의 외측의 영역에서는, 샘방지 커프(60)를 구성하는 사이드 시트(41b)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패드 표시부(30)가 사이드 시트(41b)보다 비피부면측(T2)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상기 내측의 영역보다 패드 표시부(30)를 명료하게 시인하기 쉽다. 이 때문에, 장착 보조자가, 내측의 영역에서의 패드 표시부(30)를 명료하게 시인하려고 하여 기립부(61)를 젖히기 쉬워진다. 기립부(61)를 젖히는 것을 유도함으로써, 장착 보조자가 기립부(61)의 비피부면측(T2)에 흡수 패드(100)를 넣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패드 표시부(30)는, 수축 부재와 두께 방향(T)으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패드 표시부(30)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 수축 부재의 수축에 의해 수축되기 어려워져, 패드 표시부(30)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패드 표시부(30)는, 흡수 패드(100)의 단부의 배치 위치의 전후 방향(L)의 범위를 나타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장착 보조자는, 패드 표시부(30)로 나타난 범위 내에서 흡수 패드(100)의 단부의 배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을 상기할 수 있다. 적절한 장착을 위해 흡수 패드(100)의 단부를 핀 포인트에 배치해야 한다고 하는 장착 보조자의 정신적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흡수 패드(100)의 단부를 핀 포인트에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흡수 패드(100)의 단부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는 시간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 시간을 단축하기 쉬워진다.
또한, 흡수 패드(100)의 사이즈는, 흡수 패드(100)를 제조하는 제조업자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장착 보조자는, 패드 표시부(30)로 나타난 범위 내에서 흡수 패드(100)의 단부의 배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0)에 장착되는 흡수 패드(100)가 제한되기 어려워짐과 더불어, 흡수 패드(100)를 보다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장착 보조자가 착용자에게 흡수성 물품(10)을 장착하는 경우에도, 패드 표시부(30)가 흡수 패드(100)의 단부의 배치 위치를 핀 포인트로 나타내는 경우와 비교하여, 각 장착 보조자가 패드 표시부(30)로 나타난 범위 내에, 흡수 패드(100)의 단부의 배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장착 보조자 각각이, 흡수성 물품(10)에 흡수 패드(100)를 적절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패드 표시부(30)는, 패드 표시부(30)가 흡수 패드(100)를 장착하기 위한 표시인 것을 도형에 의해 나타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장착 보조자는, 패드 표시부(30)가 흡수 패드(100)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기 쉬워진다. 착용자의 신체 등의 다른 것을 패드 표시부(30)에 맞추기 어려워져, 흡수성 물품(10)에 흡수 패드(100)를 적절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패드 표시부(30)는, 패드 표시부(30)가 흡수 패드(100)를 장착하기 위한 표시인 것을 문자에 의해 나타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문자를 시인한 장착 보조자는, 패드 표시부(30)에 의해 흡수 패드(100)를 배치해야 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 보조자가, 패드 표시부(30)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신체 등의 다른 것을 잘못하여 배치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패드 표시부(30)와 신체 표시부(20)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 떨어져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착용자는, 패드 표시부(30)가 신체 표시부(20)와 상이한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기 쉬워져, 흡수 패드(100)의 단부를 잘못하여 신체 표시부(20)의 위치에 맞추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패드 표시부(30)의 적어도 일부는, 신체 표시부(20)와 전후 방향(L)으로 중첩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신체 표시부(20)를 발견했을 때에, 시선을 전후 방향(L)으로 움직임으로써 패드 표시부(30)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 보조자가 패드 표시부(30)를 발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패드 표시부(30)를 발견한 장착 보조자는, 패드 표시부(30)를 기준으로 흡수 패드(100)의 단부의 위치를 맞추기 때문에, 샘방지 커프(60)를 의식하기 쉬워져, 장착 보조자가 기립부(61)의 비피부면측(T2)에 흡수 패드(100)를 넣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패드 표시부(30)와 신체 표시부(20)는, 패스닝 테이프(90)의 전단 가장자리(90F)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신체 표시부(20)를 발견했을 때에, 시계에 패드 표시부(30)도 들어가기 쉬워지므로, 장착 보조자가 패드 표시부(30)를 발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패드 표시부(30)를 발견한 장착 보조자는, 패드 표시부(30)를 기준으로 흡수 패드(100)의 단부의 위치를 맞추기 때문에, 샘방지 커프(60)를 의식하기 쉬워져, 장착 보조자가 기립부(61)의 비피부면측(T2)에 흡수 패드(100)를 넣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6) 기타 실시형태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전혀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신체 표시부(20)는, 착용자의 뼈로서 착용자의 장골릉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신체 표시부(20)는, 착용자의 뼈로서, 예컨대, 선골, 장골, 요추(예컨대, 제3 요추, 제4 요추, 제5 요추 등), 치골, 미골, 대전자 등의 어느 것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도 좋다.
또한, 제1 신체 표시부(21)는 제1 패드 표시부(31)와 마찬가지로, 화살표에 의해 착용자의 뼈의 배치 위치의 전후 방향(L)의 범위를 나타내도 좋다. 제1 패드 표시부(31)는 제1 신체 표시부(21)와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L)의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211)으로부터 전후 방향(L)의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0)은, 신체 표시부(20) 및 패드 표시부(30) 이외의 표시부를 가져도 좋다. 예컨대, 흡수성 물품(10)은, 패스닝 테이프(90)의 접착 고정 위치를 가이드하는 표시부를 가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패스닝 테이프(90)의 경사 고정을 유도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0)은 신체 표시부(20)를 갖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흡수성 물품(10)은 신체 표시부(20)를 갖지 않아도 좋다. 흡수성 물품(10)은, 신체 표시부(20)가 이용되지 않고 착용자에게 장착되어도 좋다.
한편, 2020년 6월 1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0-106505호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삽입된다.
기립부의 비피부면측에 흡수 패드를 넣는 것을 유도하기 쉬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10: 흡수성 물품, 20: 신체 표시부(다른 표시부), 30: 패드 표시부(표시부), 60: 샘방지 커프, 61: 기립부, 61WE: 기립단 가장자리, 62: 전후 접합부, 90: 패스닝 테이프, 96: 결합부, 961: 제1 결합부, 962: 제2 결합부, CR: 중앙 영역, IC: 장골릉, S1: 앞쪽 몸통둘레 영역, S2: 뒤쪽 몸통둘레 영역, S3: 가랑이 영역

Claims (14)

  1. 전후 방향 및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흡수성 물품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인 폭 중심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샘방지 커프를 가지며,
    상기 샘방지 커프는,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수축에 의해 기립단 가장자리로부터 피부면측을 향해 기립 가능한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보다 상기 전후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피부면측을 향해 기립 불가능하게 접합된 전후 접합부를 가지며,
    흡수 패드를 장착 가능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흡수 패드의 단부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가지며,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립단 가장자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이면서 상기 전후 접합부보다 상기 전후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접합부로부터 상기 표시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표시부의 최대 길이보다 짧은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앞쪽 몸통둘레 영역, 뒤쪽 몸통둘레 영역, 및 상기 앞쪽 몸통둘레 영역 및 상기 뒤쪽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에 배치된 가랑이 영역과,
    상기 뒤쪽 몸통둘레 영역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앞쪽 몸통둘레 영역에 접착 고정되는 패스닝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패스닝 테이프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패스닝 테이프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흡수 코어를 가지며,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상기 폭 방향의 내측에서 상기 흡수 코어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샘방지 커프를 구성하는 시트보다 비피부면측에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립단 가장자리에 걸치도록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축성을 갖는 수축 부재를 가지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축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흡수 패드의 단부의 배치 위치의 상기 전후 방향의 범위를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흡수 패드를 장착하기 위한 표시인 것을 도형에 의해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흡수 패드를 장착하기 위한 표시인 것을 문자에 의해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상이한 디자인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다른 표시부를 가지며,
    상기 표시부와 상기 다른 표시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있는 흡수성 물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다른 표시부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4. 제12항에 있어서, 앞쪽 몸통둘레 영역, 뒤쪽 몸통둘레 영역, 및 상기 앞쪽 몸통둘레 영역 및 상기 뒤쪽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에 배치된 가랑이 영역과,
    상기 뒤쪽 몸통둘레 영역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앞쪽 몸통둘레 영역에 접착 고정되는 패스닝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 표시부와 상기 다른 표시부는, 상기 패스닝 테이프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
KR1020227043946A 2020-06-19 2021-06-09 흡수성 물품 KR202300296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06505 2020-06-19
JP2020106505A JP7261765B2 (ja) 2020-06-19 2020-06-19 吸収性物品
PCT/JP2021/021931 WO2021256345A1 (ja) 2020-06-19 2021-06-09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637A true KR20230029637A (ko) 2023-03-03

Family

ID=7924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946A KR20230029637A (ko) 2020-06-19 2021-06-09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61765B2 (ko)
KR (1) KR20230029637A (ko)
CN (1) CN115701961A (ko)
WO (1) WO202125634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22014A (ja) 2017-02-03 2018-08-0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7267B2 (ja) 2001-09-26 2005-07-0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796867B2 (ja) 2006-03-01 2011-10-19 白十字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6704377B2 (ja) 2017-08-01 2020-06-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195844B2 (ja) 2018-09-27 2022-12-26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ッドタイプ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22014A (ja) 2017-02-03 2018-08-0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01961A (zh) 2023-02-14
WO2021256345A1 (ja) 2021-12-23
JP7261765B2 (ja) 2023-04-20
JP2022001111A (ja)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0450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CN101478939B (zh) 带有可用标记的一次性制品
KR20070004146A (ko) 부분적인 결, 색상 또는 패턴을 갖는 일회용 흡수용품
US20050197643A1 (en) Panty
EP0904757A2 (en) Disposable diaper having anti-leakage longitudinal barriers
EP1815831A1 (en) Disposal absorbent product
EP1106150A2 (en) Disposable diaper
US6926702B1 (en) Diaper with legs
JP6324281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TWI788344B (zh) 吸收性物品
KR20230029637A (ko) 흡수성 물품
JP6711739B2 (ja) 吸収性物品
WO2021256344A1 (ja) 吸収性物品
JP6986494B2 (ja) 吸収性物品
JP6925477B2 (ja) 吸収性物品
CN112334104B (zh) 吸收性物品
JP6993133B2 (ja) 吸収性物品
WO2021106310A1 (ja) 3000グラム以下の低体重児用展開型使い捨ておむつ
CN216257822U (zh) 吸收性物品
ES2927343T3 (es) Artículo de incontinencia
WO2021106309A1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24076681A (ja) セパレートおむつの装着方法、及びセパレートおむつの提供方法
JP2024011012A (ja) パンツ型吸収物品
CN115486993A (zh) 吸收性物品
JP2016221236A (ja) 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