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154A - 온라인 교육 플랫폼 - Google Patents

온라인 교육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154A
KR20230029154A KR1020210111319A KR20210111319A KR20230029154A KR 20230029154 A KR20230029154 A KR 20230029154A KR 1020210111319 A KR1020210111319 A KR 1020210111319A KR 20210111319 A KR20210111319 A KR 20210111319A KR 20230029154 A KR20230029154 A KR 20230029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r
main
online education
education platform
oper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6139B1 (ko
Inventor
정희용
Original Assignee
정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용 filed Critical 정희용
Priority to KR1020210111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139B1/ko
Priority to US17/643,693 priority patent/US20230060202A1/en
Publication of KR20230029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different stations being capable of presenting different information simultaneou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플랫폼은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 및 학습 관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은 주강사의 강의영상을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에 단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은 주강사의 강의영상에 기초하여 주강사용 영상 송출 시스템 및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 로부터 생성되는 이벤트 신호에 따라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의 각각과 쌍방향 화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학습 관리 시스템은 주강사용 영상 송출 시스템 및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 로부터 생성되는 이벤트 신호 및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지원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 플랫폼은 단방향 영상을 제공하는 주강사용 영상 송출 시스템 및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로부터 생성되는 이벤트 신호에 따라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의 각각과 쌍방향 화상 영상을 제공하는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원격 화상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전체 플랫폼에 걸리는 부하(DATA TRAFFIC)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교육 플랫폼{ON-LINE EDUCATION PLATFORM}
본 발명은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생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학원 등을 포함한 교육기관에서 집합교육에 많은 어려움이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집합교육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 다양한 온라인 교육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허공개문헌) KR 제10-2001-0074254 (공개일자, 2001.08.0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방향 영상을 제공하는 주강사용 영상 송출 시스템 및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로부터 생성되는 이벤트 신호에 따라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의 각각과 쌍방향 화상 영상을 제공하는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원격 화상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DATA TRAFFIC)를 감소시킬 수 있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플랫폼은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 및 학습 관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은 주강사의 강의영상을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에 단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은 상기 주강사의 강의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주강사용 영상 송출 시스템 및 상기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 로부터 생성되는 이벤트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의 각각과 쌍방향 화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학습 관리 시스템은 상기 주강사용 영상 송출 시스템 및 상기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 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이벤트 신호 및 상기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지원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교육 플랫폼은 복수의 동작모드들로 동작하고,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1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학습 관리 시스템이 상기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과 상기 학생용 단말기를 연결하여 상기 주강사의 강의영상을 상기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의 각각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2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주강사용 영상 송출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이벤트 신호 중 제1 이벤트 신호 및 상기 학생용 단말기들의 각각에서 제공되는 상기 이벤트 신호 중 제2 이벤트 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과 상기 학생용 단말기를 연결하여 상기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과 상기 학생용 단말기 사이에 상기 쌍방향 화상 영상을 통해서 요청사항들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 이벤트 신호는 상기 학습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신호 중 제1 제어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학생용 단말기들의 각각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2 이벤트 신호는 상기 학습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신호 중 제2 제어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강사의 강의하는 중간에 실습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은 상기 제1 이벤트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온라인 교육 플랫폼의 동작모드를 상기 제1 동작모드로부터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강사의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에게 질문사항이 발생한 경우, 상기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의 각각은 제2 이벤트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온라인 교육 플랫폼의 동작모드를 상기 제1 동작모드로부터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의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보조강사용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3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대회 이벤트 신호에 따라 상기 학생용 단말기들에 문제를 제공하고, 상기 학생용 단말기들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답안을 상기 학생용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교육 프랫폼은 출석 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석 관리 시스템은 일정한 영역으로 구분되는 출석처리 영역 및 음성으로 본인을 인증하는 음성인식 장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학생들의 출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교육 플랫폼이 동작하는 동안, 상기 출석 관리 시스템은 상기 출석처리 영역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학생들의 각각이 이탈한 거리에 따라 집중, 비집중 및 화면이탈로 구분하여 상기 복수의 학생들의 출석을 관리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 플랫폼은 단방향 영상을 제공하는 주강사용 영상 송출 시스템 및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로부터 생성되는 이벤트 신호에 따라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의 각각과 쌍방향 화상 영상을 제공하는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원격 화상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전체 플랫폼에 걸리는 부하(DATA TRAFFIC)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강의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 적용되는 동작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의 동작모드들 중 제2 동작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동작모드들 중 제2 동작모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 포함되는 학생용 단말기들 및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 포함되는 출석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10은 도 8의 출석관리 시스템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강의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 적용되는 동작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플랫폼(10)은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100),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300) 및 학습 관리 시스템(400)을 포함할 수 있다.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100)은 주강사의 강의영상(MTI)을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200)에 단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주강사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 플랫폼(10)을 이용하여 복수의 학생들에게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일 수 있다. 후술하는 도 7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200)은 제1 학생용 단말기(210), 제2 학생용 단말기(220) 내지 제N 학생용 단말기(230)(N은 자연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 플랫폼(10)을 통해서 주강사가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100)을 통해서 강의영상(MTI)을 제공하는 경우,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100)으로부터 제1 학생용 단말기(210), 제2 학생용 단말기(220) 내지 제N 학생용 단말기(230)로 강의영상(MTI)이 단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고, 제1 학생용 단말기(210), 제2 학생용 단말기(220) 내지 제N 학생용 단말기(230)로부터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100)으로 복수의 학생들의 영상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100) 및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200) 사이에 양방향으로 영상을 전달하는 경우,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하여 강의영상(MTI)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 플랫폼(10)에서는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100)을 통해서 강의영상(MTI)만을 제공하고,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300)을 통해서 학생용 단말기들(200)과 개별적으로 쌍방향 영상을 전달함으로써 온라인 교육 플랫폼(10)에 포함되는 시스템의 데이터 트래픽을 분산하고, 온라인 교육 플랫폼(10)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다만, 주강사용 영상 송출 시스템은 학생들의 영상을 수신하지는 않지만, 학생용 단말기는 데이터 트래픽이 작은 텍스트를 이용하여 강의영상(MTI)에 포함되는 채팅창(CW)에 표시할 수는 있다. 예를 들어, 주강사용 영상 송출 시스템(100)은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 강의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온라인 교육 플랫폼(10)은 복수의 동작모드들(MD)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동작모드들(MD) 중 제1 동작모드(MD1)에서는 학습 관리 시스템(400)이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100)과 학생용 단말기들(200)를 연결하여 주강사의 강의영상(MTI)을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200)의 각각에 제공할 수 있다.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300)은 주강사의 강의영상(MTI)에 기초하여 주강사용 영상 송출 시스템(100) 및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200)로부터 생성되는 이벤트 신호(IV)에 따라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200)의 각각과 쌍방향 화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300)은 주강사를 보조하기 위하여 보조강사가 사용하는 시스템으로써 줌을 통해서 보조강사 및 학생이 쌍방향 화상영상 및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동작모드들(MD) 중 제2 동작모드(MD2)에서는 주강사용 영상 송출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이벤트 신호(IV) 중 제1 이벤트 신호(IV1) 및 학생용 단말기들(200)의 각각에서 제공되는 이벤트 신호(IV) 중 제2 이벤트 신호(IV2)에 따라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300)과 학생용 단말기를 연결하여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300)과 학생용 단말기 사이에 쌍방향 화상 영상 및 음성을 통해서 요청사항들을 전달할 수 있다.
학습 관리 시스템(400)은 주강사용 영상 송출 시스템(100) 및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200)로부터 생성되는 이벤트 신호(IV) 및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300)으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지원 신호(RC)에 기초하여 제어신호(CS)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이벤트 신호(IV)는 제1 이벤트 신호(IV1)일 수 있고,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200)로부터 제공되는 이벤트 신호(IV)는 제2 이벤트 신호(IV2)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이벤트 신호(IV1), 제2 이벤트 신호(IV2) 및 화상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지원 신호(RC)는 학습 관리 시스템(4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학습 관리 시스템(400)은 제1 이벤트 신호(IV1), 제2 이벤트 신호(IV2) 및 원격지원 신호(RC)에 상응하는 제어신호(CS)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신호(CS)는 제1 제어신호(CS1) 및 제2 제어신호(CS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 플랫폼(10)은 단방향 영상을 제공하는 주강사용 영상 송출 시스템(100) 및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200)로부터 생성되는 이벤트 신호(IV)에 따라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200)의 각각과 쌍방향 화상 영상을 제공하는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300)을 이용하여 주강사의 영상강의를 보조하는 원격 화상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전체 플랫폼에 걸리는 부하(DATA TRAFFIC)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의 동작모드들(MD) 중 제2 동작모드(MD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동작모드들(MD) 중 제2 동작모드(MD2)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 포함되는 학생용 단말기들 및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제1 이벤트 신호(IV1)는 학습 관리 시스템(400)에서 제어신호(CS) 중 제1 제어신호(CS1)로 변환되고, 제1 동작모드(MD1)에서 제2 동작모드(MD2)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강사의 강의하는 중간에 실습이 요구되는 경우,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100)은 제1 이벤트 신호(IV1)를 제공하여 온라인 교육 플랫폼(10)의 동작모드를 제1 동작모드(MD1)로부터 제2 동작모드(MD2)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학생용 단말기들(200)의 각각에서 제공되는 제2 이벤트 신호(IV2)는 학습 관리 시스템(400)에서 제어신호(CS) 중 제2 제어신호(CS2)로 변환되고, 제1 동작모드(MD1)에서 제2 동작모드(MD2)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강사의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에게 질문사항이 발생한 경우,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200)의 각각은 제2 이벤트 신호(IV2)를 제공하여 온라인 교육 플랫폼(10)의 동작모드를 제1 동작모드(MD1)로부터 제2 동작모드(MD2)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300)은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200)의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보조강사용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200)은 제1 학생용 단말기(210), 제2 학생용 단말기(220) 내지 제N 학생용 단말기(230)(N은 자연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보조강사용 단말기들은 제1 보조강사용 단말기(310), 제2 보조강사용 단말기(320) 내지 제N 보조강사용 단말기(330)(N은 자연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 플랫폼(10)이 복수의 동작모드들(MD) 중 제2 동작모드(MD2)의 실습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 학생용 단말기(210)은 제1 보조강사용 단말기(3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학생용 단말기(210)은 제1 보조강사용 단말기(310)와 연결되면, 제1 학생용 단말기(210)를 사용하는 제1 학생의 영상 및 음성(IM1_1)은 제1 보조강사용 단말기(310)로 전달될 수 있고, 제1 보조강사용 단말기(310)를 사용하는 제1 보조강사의 영상 및 음성(IM2_1)은 제1 학생용 단말기(210)로 전달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200)과 복수의 보조강사용 단말기들 사이에 쌍방향으로 영상 및 음성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200)과 복수의 보조강사용 단말기들을 1:1로 매칭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보조강사용 단말기와 연결되는 학생용 단말기들(200)의 수가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동작모드들(MD) 중 제3 동작모드에서는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되는 대회 이벤트 신호에 따라 학생용 단말기들(200)에 문제를 제공하고, 학생용 단말기들(200)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답안을 학생용 단말기를 통해서 온라인 교육 플랫폼(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 포함되는 출석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 및 10은 도 8의 출석관리 시스템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10를 참조하면, 온라인 교육 플랫폼(10)은 출석 관리 시스템(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석 관리 시스템(410)은 미리 정해진 일정한 영역으로 구분되는 출석처리 영역(PR) 및 음성으로 본인을 인증하는 음성인식 장치(255)에 기초하여 복수의 학생들의 출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용 단말기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에는 출석처리 영역(PR) 및 음성인식 장치(255)가 표시될 수 있다. 학생이 출석을 체크하고자 하는 경우, 학생은 위치를 조정하여 출석처리 영역(PR)에 자신의 얼굴을 포함한 몸을 맞출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음성인식 장치(255)의 버튼을 클릭하여 자신의 음성을 기록할 수 있고, 출석 관리 시스템(410)은 학생의 음성과 이미 저장된 음성을 비교하여 동일인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학생이 이미 저장한 단어 및 문장을 말함으로써 동일인임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온라인 교육 플랫폼(10)이 동작하는 동안, 출석 관리 시스템(410)은 출석처리 영역(PR)으로부터 복수의 학생들의 각각이 이탈한 거리에 따라 집중, 비집중 및 화면이탈로 구분하여 복수의 학생들의 출석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 중에 학생이 출석처리 영역(PR)으로부터 이탈한 거리가 10~50cm 범위 내에 있다면 출석 관리 시스템(410)은 해당 학생이 집중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학생이 출석처리 영역(PR)으로부터 이탈한 거리가 50~100cm 범위 내에 있다면 출석 관리 시스템(410)은 해당 학생이 비집중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여 해당 학생용 단말기에 경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학생이 출석처리 영역(PR)으로부터 이탈한 거리가 100cm를 초과하는 범위에 있다면 출석 관리 시스템(410)은 해당 학생이 화면이탈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화면이탈 시간을 체크할 수 있다. 해당 학생의 화면이탈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에 해당하는 기준시간 이상인 경우, 출석 관리 시스템(410)은 해당 학생을 결석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육 플랫폼(10)은 단방향 영상을 제공하는 주강사용 영상 송출 시스템 및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200)로부터 생성되는 이벤트 신호(IV)에 따라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200)의 각각과 쌍방향 화상 영상을 제공하는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300)을 이용하여 원격 화상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전체 플랫폼에 걸리는 부하(DATA TRAFFIC)를 감소시킬 수 있다.
10: 온라인 교육 플랫폼 100: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
200: 학생용 단말기들 300: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
400: 학습관리 시스템

Claims (10)

  1. 주강사의 강의영상을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에 단방향으로 제공하는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
    상기 주강사의 강의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주강사용 영상 송출 시스템 및 상기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 로부터 생성되는 이벤트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의 각각과 쌍방향 화상 영상을 제공하는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 및
    상기 주강사용 영상 송출 시스템 및 상기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 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이벤트 신호 및 상기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지원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학습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교육 플랫폼은 복수의 동작모드들로 동작하고,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1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학습 관리 시스템이 상기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과 상기 학생용 단말기를 연결하여 상기 주강사의 강의영상을 상기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의 각각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2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주강사용 영상 송출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이벤트 신호 중 제1 이벤트 신호 및 상기 학생용 단말기들의 각각에서 제공되는 상기 이벤트 신호 중 제2 이벤트 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과 상기 학생용 단말기를 연결하여 상기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과 상기 학생용 단말기 사이에 상기 쌍방향 화상 영상을 통해서 요청사항들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 이벤트 신호는 상기 학습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신호 중 제1 제어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용 단말기들의 각각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2 이벤트 신호는 상기 학습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신호 중 제2 제어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강사의 강의하는 중간에 실습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은 상기 제1 이벤트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온라인 교육 플랫폼의 동작모드를 상기 제1 동작모드로부터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강사의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에게 질문사항이 발생한 경우, 상기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의 각각은 제2 이벤트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온라인 교육 플랫폼의 동작모드를 상기 제1 동작모드로부터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
  7. 제6항에 있어서,
    보조강사용 화상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학생용 단말기들의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보조강사용 단말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3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주강사용 영상 송출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대회 이벤트 신호에 따라 상기 학생용 단말기들에 문제를 제공하고, 상기 학생용 단말기들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답안을 상기 학생용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교육 프랫폼은,
    일정한 영역으로 구분되는 출석처리 영역 및 음성으로 본인을 인증하는 음성인식 장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학생들의 출석여부를 판단하는 출석 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교육 플랫폼이 동작하는 동안, 상기 출석 관리 시스템은 상기 출석처리 영역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학생들의 각각이 이탈한 거리에 따라 집중, 비집중 및 화면이탈로 구분하여 상기 복수의 학생들의 출석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
KR1020210111319A 2021-08-24 2021-08-24 온라인 교육 플랫폼 KR102606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319A KR102606139B1 (ko) 2021-08-24 2021-08-24 온라인 교육 플랫폼
US17/643,693 US20230060202A1 (en) 2021-08-24 2021-12-10 On-line education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319A KR102606139B1 (ko) 2021-08-24 2021-08-24 온라인 교육 플랫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154A true KR20230029154A (ko) 2023-03-03
KR102606139B1 KR102606139B1 (ko) 2023-11-23

Family

ID=85288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319A KR102606139B1 (ko) 2021-08-24 2021-08-24 온라인 교육 플랫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060202A1 (ko)
KR (1) KR10260613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254A (ko) 2001-05-03 2001-08-04 이경관 가상체험 방식을 이용한 네트웍 장비의 온라인 교육방법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20010090664A (ko) * 2000-04-10 2001-10-19 남헌기 인터넷망을 이용한 원격교육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30124693A (ko) * 2012-05-07 2013-11-1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협력 학습을 통한 강의 보조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20180099324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로텍스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23163A (ko) * 2017-08-28 2019-03-08 주식회사 로텍스 음성신호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KR20190062169A (ko) * 2018-10-23 2019-06-05 주니어데이비드승준 신 실시간 양방향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57562A (ko) * 2018-11-16 2020-05-26 신철헌 다자간 실시간 화상 강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02730B1 (ko) * 2020-06-24 2021-01-13 주식회사 제너럴이노베이션즈 학습자 행동 분석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664A (ko) * 2000-04-10 2001-10-19 남헌기 인터넷망을 이용한 원격교육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10074254A (ko) 2001-05-03 2001-08-04 이경관 가상체험 방식을 이용한 네트웍 장비의 온라인 교육방법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20130124693A (ko) * 2012-05-07 2013-11-1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협력 학습을 통한 강의 보조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20180099324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로텍스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23163A (ko) * 2017-08-28 2019-03-08 주식회사 로텍스 음성신호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KR20190062169A (ko) * 2018-10-23 2019-06-05 주니어데이비드승준 신 실시간 양방향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57562A (ko) * 2018-11-16 2020-05-26 신철헌 다자간 실시간 화상 강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02730B1 (ko) * 2020-06-24 2021-01-13 주식회사 제너럴이노베이션즈 학습자 행동 분석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60202A1 (en) 2023-03-02
KR102606139B1 (ko)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7841B1 (en) Remot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83486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y of instructional information
US20050003330A1 (en) Interactive virtual classroom
US20030039945A1 (en) Method for imparting knowledge
Hunter et al. Assuring excellence in distance pharmaceutical education
KR20230029154A (ko) 온라인 교육 플랫폼
KR20220067402A (ko) 쌍방향 인터넷 실시간 강의 시스템 및 강의 방법
KR20000049927A (ko) 대화식 실시간 원격 교육 시스템 및 교육 방법
KR100433923B1 (ko) 원격교육평가 방법 및 시스템
Rehatschek Experiences and challenges of building up an open source based livestreaming system with back channel to implement a hybrid classroom scenario
Gao Online AI-guided video extraction for distance education with applications
Hiple et al. Models for distance education in critical languages
KR102409044B1 (ko) 교육 관리 시스템 및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JPH04306934A (ja) 情報伝送システム
KR102504454B1 (ko)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203014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lassroom management
CN106355963A (zh) 一种多媒体视频教学系统
Evans et al. Losing the elearning safety net: teaching an MBA class without an educational technician
KR20010112561A (ko) 인터넷 방송을 이용한 원격 교육 시스템 및 방법
CN108806363A (zh) 一种基于云平台的医疗护理教师机教学系统
KR2000005914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외국어 회화 학습 방법.
Wetsit Emphasizing the human being in distance education
Martins et al. A Proposal for a Remote Interactive Class System with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KR100451957B1 (ko) 실시간 쌍방향 원격교육시스템
Boone Advanced distance education technology and hands-on sc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