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454B1 -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454B1
KR102504454B1 KR1020220100146A KR20220100146A KR102504454B1 KR 102504454 B1 KR102504454 B1 KR 102504454B1 KR 1020220100146 A KR1020220100146 A KR 1020220100146A KR 20220100146 A KR20220100146 A KR 20220100146A KR 102504454 B1 KR102504454 B1 KR 102504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lass
terminal
server module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석
임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Priority to KR1020220100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7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questions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참가자 간의 대면 수업을 온라인 상에서 보조하기 위한 수업도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 제1 활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단말; 상기 참가자의 인증신호, 제2 활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단말;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교사 인증이 완료되면, 클래스 툴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자동 생성하며, 상기 서버모듈에 상기 제1,2 단말이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활동신호의 실시간 입력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가 상기 클래스 툴에 모두 반영되도록 하고, 상기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2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알림부는, 상기 수업과 관련한 교과목이, 요일별 및 교시별로 복수개 배열된 임의의 시간표 형태로 일정 영역을 차지한 교사용 웹의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스케줄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교과목의 선정, 추가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환경을 제공하면서 상기 교과목들의 배열을 조정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교과목 당 임의의 교과 사이트 링크를 선택적으로 부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ONLINE CLASS TOOL SERVICE PROVISION SYSTEM WITH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FOR TEACHERS}
본 발명은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참가자 간의 대면 수업을 온라인 상에서 보조하기 위한 수업도구 서비스에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과 온라인 퀴즈 소통기능이 함께 구비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흥미로운 교육환경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사의 편의성 향상과 참가자의 수업흥미도 유발을 기대할 수 있는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19의 여파로 비대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업계는 에듀테크 확산을 위해 발빠르게 대처하고 있으며, 온라인 상에서 교육을 제공하는 다양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의 인기가 폭발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교육 서비스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디지털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식을 의미한다.
온라인 교육 서비스 이용자(즉, 학습자)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원하는 교육 콘텐츠를 반복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도 대부분, 학습자의 학습능력, 학습특성이나 학습일정에 관계없이, 학습자가 선택한 교육 콘텐츠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과목의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하는 과목의 교사 또는 강사가 칠판 앞에 서서 미리 설정된 학습일정에 따라 교육을 진행하는 동영상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따라서,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능력, 학습일정에 따라 적절한 교육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을지라도, 학습자는 정해진 온라인 교육시간 내내 교사의 일방적인 설명과 문제풀이 모습을 보게 되므로, 학습자와 교사의 양방향의 소통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이는 지루한 수업환경을 야기하게 될 수도 있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즉, 오프라인 상의 교육과 같은 원활한 소통방식의 양방향 교육을 실현하면서도, 온라인 교육 서비스의 다양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고, 실제로 코로나 사태 이후, 직접 서로 대면하게 될 오프라인 교육에서도 흥미롭고 편리한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를 보조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교사의 편의성 향상은 물론,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6822호(발명의 명칭: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참가자 간의 대면 수업을 온라인 상에서 보조하기 위한 수업도구 서비스에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과 온라인 퀴즈 소통기능이 함께 구비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흥미로운 교육환경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사의 편의성 향상과 참가자의 수업흥미도 유발을 기대할 수 있는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참가자 간의 대면 수업을 온라인 상에서 보조하기 위한 수업도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 교과목 선택신호, 시간표 설정신호, 제1 활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단말; 상기 참가자의 인증신호, 제2 활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단말; 상기 제1,2 단말 및 웹, 외부 서버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신하면서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교사 인증이 완료되면, 미리 설정된 클래스 툴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자동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2 단말이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활동신호의 실시간 입력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가 상기 클래스 툴에 모두 반영되도록 하고, 상기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2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알림부는, 상기 수업과 관련한 교과목이, 요일별 및 교시별로 복수개 배열된 임의의 시간표 형태로 일정 영역을 차지한 교사용 웹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스케줄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교과목의 선정, 추가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환경을 제공하면서 상기 교과목들의 배열을 조정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교과목 당 임의의 교과 사이트 링크를 선택적으로 부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케줄 에디터 프로그램은, 상기 교과목의 선정에 있어서, 학년정보, 과목정보, 출판사 정보를 순차적으로 선택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교사용 웹 상의 해당 교과목마다, 상기 학년정보에 대응하는 숫자 텍스트와, 상기 과목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아이콘과, 상기 출판사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색상이 매핑처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사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단말에 대해서만 상기 교과목이 포함된 교사용 웹으로의 접근을 허용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알림부에서 상기 교사용 웹이 제한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교사가 상기 스케줄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임의의 기초 시간표를 설정하고자 하는 시간표 설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시간표 설정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교과목의 선정, 추가, 삭제 및 상기 교과목들의 배열 조정 중 적어도 하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시간표 설정신호에 상기 교과목의 선정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출판사 정보를 선택 시, 해당 교과목에 상기 출판사와 관련한 교과 사이트로 접속 가능한 하이퍼링크를 생성하되, 상기 교사가 상기 설정이 완료된 기초 시간표 중 어느 하나의 교과목을 선택하는 교과목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교과목에 대응하여 생성된 하이퍼링크를 통해 해당 교과 사이트로 이동시키는 스케줄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모듈의 생성과 동시에, 상기 제1 단말을 상기 서버모듈에 자동 접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서버모듈을 상기 제1 단말이 우선적으로 접속된 상태일 경우에만 상기 제2 단말이 접속가능하게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모듈을 복수개의 상기 제2 단말이 다중 접속가능하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서버모듈로부터 접속 해제된 이후 30분간, 상기 접속 해제 직전의 기존 서버모듈에 기접속된 기존 제2 단말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되, 신규 제2 단말의 접속시도는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서버모듈로부터 접속 해제된 이후 30분 이내에 재접속을 시도할 경우, 상기 접속 해제 직전의 기존 서버모듈로 자동 접속시키되, 상기 제1 단말의 재접속 이후에는 상기 기존 서버모듈로 다시 신규 제2 단말이 접속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서버모듈로부터 접속 해재된 이후 30분을 초과하면, 상기 접속 해제 직전의 기존 서버모듈을 자동 소멸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래스 툴은, 상기 수업과 관련하여 주관식, 객관식, OX 선택식 중 어느 하나의 문제유형으로 퀴즈를 출제 및 제출하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을 지원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활동신호는, 상기 클래스 툴을 구성하는 임의의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클래스 정보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서버모듈의 고유 식별 데이터에 대한 클래스 정보를 확인 및 수정하고자 하는 클래스 관리신호; 상기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참가자 정보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제2 단말들에 대한 참가자 정보를 확인 및 수정하고자 하는 참가자 관리신호; 상기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퀴즈 생성 아이콘을 선택하여, 자동 제공되는 퀴즈 설정 플랫폼을 따라 상기 퀴즈를 제작 및 출제하고자 하는 퀴즈 생성신호; 및 상기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발표자 선정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참가자 인원 중 어느 1명의 참가자를 발표자로 랜덤 선정하고자 하는 발표 요구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래스 정보는, 상기 교사 및 상기 참가자의 학급, 담임명, 수업단원, 수업주제, 수업목표 중 적어도 하나의 공통된 요소를 표현하기 위한 텍스트 데이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서버모듈로의 접속을 위해 상기 서버모듈의 생성과 동시에 자동 부여되는 QR 코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QR 코드 인식을 통한 접속과 개별적인 경로로 상기 서버모듈로의 접속을 위해 랜덤 생성 또는 상기 클래스 관리신호에 따라 직접 입력되는 클래스 코드; 및 상기 교사가 희망하는 참가자만을 모집하기 위해 상기 클래스 관리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가능한 암호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참가자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각각에 대응하는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교사의 인증 또는 상기 참가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완료신호를 출력하는 인증 관리부; 상기 교사의 인증이 완료된 인증완료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클래스 툴을 이용한 퀴즈 생성권한을 부여하고, 미리 설정된 클래스 툴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자동 생성하면서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2 단말이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단말의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서버모듈 관리부; 상기 제1,2 단말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제1,2 활동신호를 데이터화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2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따라 실시간 반응하기 위한 상기 클래스 툴을 미리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서버모듈 관리부에 의해 부여된 식별정보에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제1,2 활동신호의 데이터를 매핑하여 상기 클래스 툴에 반영되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알림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활동신호는, 상기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주의집중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제2 단말들에 대한 상기 알림부의 디스플레이 환경변화를 통해 상기 참가자의 주의집중을 유도하고자 하는 주의집중 요구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매핑되는 제1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주의집중 요구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의 알림부에, 텍스트 형태로 상기 주의집중 상태임을 나타내는 대기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과 함께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상기 제2 단말의 알림부에, 블랙아웃 처리된 대기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매핑되는 제1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클래스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클래스 관리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의 알림부에, 상기 클래스 정보 중 QR 코드 및 클래스 코드가 확대 표시된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매핑되는 제1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퀴즈를 출제하고자 하는 퀴즈 생성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과 함께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상기 제2 단말의 알림부에, 상기 퀴즈 생성신호에 기반하여 출제된 퀴즈에 대한 상기 참가자의 답안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퀴즈 풀이 플랫폼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제2 활동신호는, 상기 퀴즈 풀이 플랫폼을 따라 상기 퀴즈를 해답 및 제출하고자 하는 퀴즈 응답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매핑되는 제2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퀴즈를 제출하고자 하는 퀴즈 응답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2 활동신호를 기반으로 임의의 통계 알고리즘에 의해 통계 처리된 응답 통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해당 제2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2 단말과 함께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상기 제1 단말의 알림부에, 상기 추출된 응답 통계정보에 대응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참가자 간의 대면 수업을 온라인 상에서 보조하기 위한 수업도구 서비스에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과 온라인 퀴즈 소통기능이 함께 구비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흥미로운 교육환경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사의 편의성 향상과 참가자의 수업흥미도 유발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상기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내지 도 9는 상기 제어부의 스케줄 관리부와 관련한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
도 10은 도 1에 따른 상기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1,2 단말 및 그의 알림부를 나타낸 이미지.
도 11은 상기 제1 단말을 이용하는 교사 시점에서의 상기 제어부의 클래스 툴에 대한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상기 제2 단말을 이용하는 참가자 시점에서의 상기 클래스 툴에 대한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
도 13은 상기 제1,2 단말 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상기 클래스 툴에 대한 유기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
도 14는 상기 제어부의 인증 관리부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
도 15 및 도 16은 상기 교사의 제1 활동신호 중 클래스 관리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
도 17 및 도 18은 상기 제1 활동신호 중 참가자 관리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
도 19는 상기 제1 활동신호 중 퀴즈 생성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
도 20 및 도 21은 상기 참가자의 제2 활동신호 중 퀴즈 응답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
도 22는 상기 제1 활동신호 중 발표 요구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
도 23 및 도 24는 상기 제1 활동신호 중 주의집중 요구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상기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 내지 도 9는 상기 제어부의 스케줄 관리부와 관련한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10은 도 1에 따른 상기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1,2 단말 및 그의 알림부를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11은 상기 제1 단말을 이용하는 교사 시점에서의 상기 제어부의 클래스 툴에 대한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2는 상기 제2 단말을 이용하는 참가자 시점에서의 상기 클래스 툴에 대한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3은 상기 제1,2 단말 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상기 클래스 툴에 대한 유기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4는 상기 제어부의 인증 관리부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15 및 도 16은 상기 교사의 제1 활동신호 중 클래스 관리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17 및 도 18은 상기 제1 활동신호 중 참가자 관리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19는 상기 제1 활동신호 중 퀴즈 생성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20 및 도 21은 상기 참가자의 제2 활동신호 중 퀴즈 응답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22는 상기 제1 활동신호 중 발표 요구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23 및 도 24는 상기 제1 활동신호 중 주의집중 요구신호와 관련한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참가자 간의 대면 수업을 온라인 상에서 보조하기 위한 수업도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단말(110), 제2 단말(120), 웹(130), 외부 서버(140), 제어부(150) 및 알림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본 발명을 위해 필수적인 최소한의 구성일뿐, 이보다 더 부가적인 구성요소들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110)은 키보드, 패드, 마우스 등 다양한 공지의 입력기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교사에게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기를 통한 교사의 인증신호, 교과목 선택신호, 시간표 설정신호, 제1 활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웹(130), 외부 서버(140) 및 제어부(150)에 입력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120)은 상술한 제1 단말(110)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그 구성요소는 상기 제1 단말(110)과 동일하게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참가자에게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기를 통한 참가자의 인증신호, 제2 활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웹(130), 외부 서버(140) 및 제어부(150)에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2 단말(110, 120)은 바람직하게는, 태블릿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PC, 스마트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2 단말(110, 120)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게재된 통상의 단말장치에 해당하므로, 세부 구성은 도면에 미도시 하였음은 물론, 그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웹(130)은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음향, 비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터넷 서비스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2 단말(110, 120)과 연결되어 상기 제1,2 단말(110, 120)을 각각 이용하는 교사 및 참가자에게 다양한 공지의 교육용 미디어가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서버(140)는 상술한 웹(130)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2 단말(110, 120), 웹(130) 및 제어부(150)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따르면, e-학습터, EBS 온라인클래스, HiClass(하이클래스), 클래스팅, BAND(밴드) 등의 다양한 공지의 교육용 서버와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의 다양한 공지의 SNS 서버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외부 서버(140)는 웹(130)과 연동하여 제어부(150)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을 서비스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소통과 관련된 메신저 프로그램 및 교육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로 이루어진 교육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공지의 기술로서,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150)는 교사의 교육과 관련한 일정표 및 다양한 학습소통유형의 퀴즈 콘텐츠를 맞춤 제작하여 서비스하기 위한 제어서버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 단말(110, 120) 및 상기 웹(130), 외부 서버(140)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50)는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110)을 통해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교사 인증이 완료되면, 미리 설정된 클래스 툴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자동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2 단말(110, 120)이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활동신호의 실시간 입력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가 상기 클래스 툴에 모두 반영되도록 하며, 상기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클래스 툴은 수업과 관련하여 주관식, 객관식, OX 선택식 중 어느 하나의 문제유형으로 퀴즈를 출제 및 제출하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을 지원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도 3 내지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저장된 스케줄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후술될 교과목의 선정, 추가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환경을 제공하면서 상기 교과목들의 배열을 조정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교과목 당 임의의 교과 사이트 링크를 선택적으로 부여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케줄 에디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교과목의 선정에 있어서, 학년정보, 과목정보, 출판사 정보를 순차적으로 선택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50)는 더 바람직하게는, 후술될 알림부(160)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교사용 웹 상의 해당 교과목마다, 상기 학년정보에 대응하는 숫자 텍스트와, 상기 과목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아이콘과, 상기 출판사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색상이 매핑처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사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단말에 대해서만 상기 교과목이 포함된 교사용 웹으로의 접근을 허용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알림부에서 상기 교사용 웹이 제한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교사가 상기 스케줄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희망 시간표를 설정하고자 하는 시간표 설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시간표 설정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교과목의 선정, 추가, 삭제 및 상기 교과목들의 배열 조정 중 적어도 하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시간표 설정신호에 상기 교과목의 선정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출판사 정보를 선택 시, 해당 교과목에 상기 출판사와 관련한 교과 사이트로 접속 가능한 하이퍼링크를 생성하는 스케줄 관리부(1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150)는 상술한 서버모듈의 생성과 동시에, 상기 제1 단말(110)을 서버모듈에 자동 접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서버모듈을 제1 단말(110)이 우선적으로 접속된 상태일 경우에만 상기 제2 단말(120)이 접속가능하게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모듈을 복수개의 상기 제2 단말(120)이 다중 접속가능하게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150)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단말(110)이 서버모듈로부터 접속 해제된 이후 30분간, 상기 접속 해제 직전의 기존 서버모듈에 기접속된 기존 제2 단말(120)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되, 신규 제2 단말(120)의 접속시도는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제1 단말(110)이 서버모듈로부터 접속 해제된 이후 30분 이내에 재접속을 시도할 경우, 상기 접속 해제 직전의 기존 서버모듈로 자동 접속시키되, 상기 제1 단말(110)의 재접속 이후에는 상기 기존 서버모듈로 다시 신규 제2 단말(120)이 접속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말(110)이 서버모듈로부터 접속 해재된 이후 30분을 초과하면, 상기 접속 해제 직전의 기존 서버모듈을 자동 소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활동신호는 클래스 관리신호, 참가자 관리신호, 퀴즈 생성신호 및 발표 요구신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래스 관리신호는 전술한 클래스 툴을 구성하는 임의의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클래스 정보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서버모듈의 고유 식별 데이터에 대한 클래스 정보를 확인 및 수정(도 15 참조)하고자 하는 신호이다.
상기 참가자 관리신호는 상술한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참가자 정보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제2 단말(120)들에 대한 참가자 정보를 확인 및 수정(도 17 및 도 18 참조)하고자 하는 신호이다.
상기 퀴즈 생성신호는 상술한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퀴즈 생성 아이콘을 선택하여, 자동 제공되는 퀴즈 설정 플랫폼을 따라 상기 퀴즈를 제작 및 출제(도 19 참조)하고자 하는 신호이다.
상기 발표 요구신호는 상술한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발표자 선정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참가자 인원 중 어느 1명의 참가자를 발표자로 랜덤 선정(도 22 참조)하고자 하는 신호이다.
이때, 상기 클래스 정보는 교사 및 상기 참가자의 학급, 담임명, 수업단원, 수업주제, 수업목표 중 적어도 하나의 공통된 요소를 표현하기 위한 텍스트 데이터와, 상기 제2 단말(120)이 서버모듈로의 접속을 위해 상기 서버모듈의 생성과 동시에 자동 부여되는 QR 코드와, 상기 제2 단말(120)이 QR 코드 인식을 통한 접속과 개별적인 경로로 상기 서버모듈로의 접속을 위해 랜덤 생성 또는 상기 클래스 관리신호에 따라 직접 입력되는 클래스 코드와, 상기 교사가 희망하는 참가자만을 모집하기 위해 상기 클래스 관리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가능한 암호코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인증 관리부(152), 서버모듈 관리부(153), 데이터 생성부(154), 데이터 베이스부(155), 데이터 처리부(156) 및 알림신호 출력부(15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증 관리부(152)는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110)로부터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참가자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각각에 대응하는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교사의 인증 또는 상기 참가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완료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 프로그램은 웹(130)을 통한 회원가입으로 로그인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공지의 인증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는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서버모듈 관리부(153)는 교사의 인증이 완료된 상기 인증완료신호에 따라 제1 단말(110)에 상기 클래스 툴을 이용한 퀴즈 생성권한을 부여하고, 미리 설정된 클래스 툴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자동 생성하면서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2 단말(110, 120)이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단말(110, 120)의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를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생성부(154)는 제1,2 단말(110, 120)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제1,2 활동신호를 데이터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55)는 데이터 생성부(154)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2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따라 실시간 반응하기 위한 상기 클래스 툴을 미리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56)는 서버모듈 관리부(153)에 의해 부여된 식별정보에 상기 데이터 생성부(154)에 의해 생성된 제1,2 활동신호의 데이터를 매핑하여 상기 클래스 툴에 반영되도록 한다.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157)는 데이터 처리부(156)를 통해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제1 활동신호는 상기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주의집중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제2 단말(120)들에 대한 상기 알림부(160)의 디스플레이 환경변화를 통해 상기 참가자의 주의집중을 유도하고자 하는 주의집중 요구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157)는 데이터 처리부(155)를 통해 매핑되는 제1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주의집중 요구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110)의 알림부(160)에, 텍스트 형태로 상기 주의집중 상태임을 나타내는 대기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도 23 참조)하되, 상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110)과 함께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상기 제2 단말(120)의 알림부(160)에, 블랙아웃 처리된 대기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도 24 참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157)는 데이터 처리부(156)를 통해 매핑되는 제1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클래스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클래스 관리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110)의 알림부(160)에, 상기 클래스 정보 중 QR 코드 및 클래스 코드가 확대 표시된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도 16 참조)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157)는 데이터 처리부(156)를 통해 매핑되는 제1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퀴즈를 출제하고자 하는 퀴즈 생성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110)과 함께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상기 제2 단말(120)의 알림부(160)에, 상기 퀴즈 생성신호에 기반하여 출제된 퀴즈에 대한 상기 참가자의 답안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퀴즈 풀이 플랫폼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도 20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활동신호는 상술한 퀴즈 풀이 플랫폼을 따라 상기 퀴즈를 해답 및 제출하고자 하는 퀴즈 응답신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157)는 데이터 처리부(156)를 통해 매핑되는 제2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퀴즈를 제출하고자 하는 퀴즈 응답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2 활동신호를 기반으로 임의의 통계 알고리즘에 의해 통계 처리된 응답 통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해당 제2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2 단말(120)과 함께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상기 제1 단말(110)의 알림부(160)에, 상기 추출된 응답 통계정보에 대응하는 알림신호를 출력(도 21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160)는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된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사의 제1 단말(110), 상기 참가자의 제2 단말(120)에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말(110)의 알림부(160)는 교실 내에 미리 설치된 대형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알림부(160)는 상술한 제어부(150)에 의해 상기 수업과 관련한 교과목이, 요일별 및 교시별로 복수개 배열된 임의의 시간표 형태로 일정 영역을 차지한 교사용 웹의 화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알림부(16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 제1 단말
120 : 제2 단말 130 : 웹
140 : 외부 서버 150 : 제어부
151 : 스케줄 관리부 152 : 인증 관리부
153 : 서버모듈 관리부 154 : 데이터 생성부
155 : 데이터 베이스부 156 : 데이터 처리부
157 : 알림신호 출력부 160 : 알림부

Claims (12)

  1.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참가자 간의 대면 수업을 온라인 상에서 보조하기 위한 수업도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 교과목 선택신호, 시간표 설정신호, 제1 활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단말;
    상기 참가자의 인증신호, 제2 활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단말;
    상기 제1,2 단말 및 웹, 외부 서버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신하면서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교사 인증이 완료되면, 미리 설정된 클래스 툴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자동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2 단말이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활동신호의 실시간 입력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가 상기 클래스 툴에 모두 반영되도록 하고, 상기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2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알림부는,
    상기 수업과 관련한 교과목이, 요일별 및 교시별로 복수개 배열된 임의의 시간표 형태로 일정 영역을 차지한 교사용 웹의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스케줄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교과목의 선정, 추가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환경을 제공하면서 상기 교과목들의 배열을 조정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교과목 당 임의의 교과 사이트 링크를 선택적으로 부여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케줄 에디터 프로그램은,
    상기 교과목의 선정에 있어서, 학년정보, 과목정보, 출판사 정보를 순차적으로 선택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부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교사용 웹 상의 해당 교과목마다, 상기 학년정보에 대응하는 숫자 텍스트와, 상기 과목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아이콘과, 상기 출판사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색상이 매핑처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교사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단말에 대해서만 상기 교과목이 포함된 교사용 웹으로의 접근을 허용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알림부에서 상기 교사용 웹이 제한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교사가 상기 스케줄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임의의 기초 시간표를 설정하고자 하는 시간표 설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시간표 설정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교과목의 선정, 추가, 삭제 및 상기 교과목들의 배열 조정 중 적어도 하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시간표 설정신호에 상기 교과목의 선정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출판사 정보를 선택 시, 해당 교과목에 상기 출판사와 관련한 교과 사이트로 접속 가능한 하이퍼링크를 생성하되, 상기 교사가 상기 설정이 완료된 기초 시간표 중 어느 하나의 교과목을 선택하는 교과목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교과목에 대응하여 생성된 하이퍼링크를 통해 해당 교과 사이트로 이동시키는 스케줄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모듈의 생성과 동시에, 상기 제1 단말을 상기 서버모듈에 자동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서버모듈을 상기 제1 단말이 우선적으로 접속된 상태일 경우에만 상기 제2 단말이 접속가능하게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모듈을 복수개의 상기 제2 단말이 다중 접속가능하게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서버모듈로부터 접속 해제된 이후 30분간, 상기 접속 해제 직전의 기존 서버모듈에 기접속된 기존 제2 단말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되, 신규 제2 단말의 접속시도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서버모듈로부터 접속 해제된 이후 30분 이내에 재접속을 시도할 경우, 상기 접속 해제 직전의 기존 서버모듈로 자동 접속시키되, 상기 제1 단말의 재접속 이후에는 상기 기존 서버모듈로 다시 신규 제2 단말이 접속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서버모듈로부터 접속 해재된 이후 30분을 초과하면, 상기 접속 해제 직전의 기존 서버모듈을 자동 소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클래스 툴은,
    상기 수업과 관련하여 주관식, 객관식, OX 선택식 중 어느 하나의 문제유형으로 퀴즈를 출제 및 제출하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을 지원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활동신호는,
    상기 클래스 툴을 구성하는 임의의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클래스 정보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서버모듈의 고유 식별 데이터에 대한 클래스 정보를 확인 및 수정하고자 하는 클래스 관리신호;
    상기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참가자 정보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제2 단말들에 대한 참가자 정보를 확인 및 수정하고자 하는 참가자 관리신호;
    상기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퀴즈 생성 아이콘을 선택하여, 자동 제공되는 퀴즈 설정 플랫폼을 따라 상기 퀴즈를 제작 및 출제하고자 하는 퀴즈 생성신호; 및
    상기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발표자 선정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참가자 인원 중 어느 1명의 참가자를 발표자로 랜덤 선정하고자 하는 발표 요구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클래스 정보는,
    상기 교사 및 상기 참가자의 학급, 담임명, 수업단원, 수업주제, 수업목표 중 적어도 하나의 공통된 요소를 표현하기 위한 텍스트 데이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서버모듈로의 접속을 위해 상기 서버모듈의 생성과 동시에 자동 부여되는 QR 코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QR 코드 인식을 통한 접속과 개별적인 경로로 상기 서버모듈로의 접속을 위해 랜덤 생성 또는 상기 클래스 관리신호에 따라 직접 입력되는 클래스 코드; 및
    상기 교사가 희망하는 참가자만을 모집하기 위해 상기 클래스 관리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가능한 암호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참가자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각각에 대응하는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교사의 인증 또는 상기 참가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완료신호를 출력하는 인증 관리부;
    상기 교사의 인증이 완료된 인증완료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클래스 툴을 이용한 퀴즈 생성권한을 부여하고, 미리 설정된 클래스 툴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자동 생성하면서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2 단말이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단말의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서버모듈 관리부;
    상기 제1,2 단말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제1,2 활동신호를 데이터화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2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따라 실시간 반응하기 위한 상기 클래스 툴을 미리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서버모듈 관리부에 의해 부여된 식별정보에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제1,2 활동신호의 데이터를 매핑하여 상기 클래스 툴에 반영되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알림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활동신호는,
    상기 카테고리별 아이콘 중 주의집중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제2 단말들에 대한 상기 알림부의 디스플레이 환경변화를 통해 상기 참가자의 주의집중을 유도하고자 하는 주의집중 요구신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매핑되는 제1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주의집중 요구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의 알림부에, 텍스트 형태로 상기 주의집중 상태임을 나타내는 대기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과 함께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상기 제2 단말의 알림부에, 블랙아웃 처리된 대기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매핑되는 제1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클래스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클래스 관리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의 알림부에, 상기 클래스 정보 중 QR 코드 및 클래스 코드가 확대 표시된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매핑되는 제1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퀴즈를 출제하고자 하는 퀴즈 생성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1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1 단말과 함께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상기 제2 단말의 알림부에, 상기 퀴즈 생성신호에 기반하여 출제된 퀴즈에 대한 상기 참가자의 답안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퀴즈 풀이 플랫폼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활동신호는,
    상기 퀴즈 풀이 플랫폼을 따라 상기 퀴즈를 해답 및 제출하고자 하는 퀴즈 응답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매핑되는 제2 활동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퀴즈를 제출하고자 하는 퀴즈 응답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제2 활동신호를 기반으로 임의의 통계 알고리즘에 의해 통계 처리된 응답 통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해당 제2 활동신호가 입력된 제2 단말과 함께 상기 서버모듈에 접속된 상기 제1 단말의 알림부에, 상기 추출된 응답 통계정보에 대응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100146A 2022-08-10 2022-08-10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04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146A KR102504454B1 (ko) 2022-08-10 2022-08-10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146A KR102504454B1 (ko) 2022-08-10 2022-08-10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454B1 true KR102504454B1 (ko) 2023-03-07

Family

ID=8551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146A KR102504454B1 (ko) 2022-08-10 2022-08-10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4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822B1 (ko) 2017-05-04 2019-12-17 주식회사 매스프레소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44421A (ko)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데카몬 온라인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KR102377282B1 (ko) * 2020-09-18 2022-03-22 주식회사 유비온 온라인 수업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403701B1 (ko) * 2021-08-25 2022-05-31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쌍방향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822B1 (ko) 2017-05-04 2019-12-17 주식회사 매스프레소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44421A (ko)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데카몬 온라인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KR102377282B1 (ko) * 2020-09-18 2022-03-22 주식회사 유비온 온라인 수업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403701B1 (ko) * 2021-08-25 2022-05-31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쌍방향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monson et al. Distance education 3rd edition: Definition and glossary of terms
Ludi Introducing accessibility requirements through external stakeholder utilization in an undergraduate requirements engineering course
US20140024005A1 (en) Multi-Platform Learning Environment
KR102499155B1 (ko) 참가자의 향상된 수업참여도를 달성할 수 있는 소통형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Tecce DeCarlo et al. " IT'S A HEAVY LIFT": HOW UNIVERSITY FACULTY AND STUDENTS EXPERIENCED EMERGENCY REMOTE TEACHING DURING COVID-19.
KR102493045B1 (ko) 온라인 상의 수업도구 서비스에 온라인 퀴즈 소통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MacIntosh Learner concerns and teaching strategies for video-conferencing
EP1449183A1 (en) A dynamically configurable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Haddad ICTs for Education
KR102504454B1 (ko)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Mufarrahatus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 of E-learning and Blended Learning
Omatseye Teaching through tele-conferencing: Some curriculum challenges
KR102502209B1 (ko) 교육용 웹 유도기능 및 온라인 퀴즈 소통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rkhadov et al. How a Multilingual Remote Teaching System Can Take into Account the Specifics of National Education
Stewart Student engagement in bot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online learning
Ogannisya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stant educational technologies for bachelors
KR102530740B1 (ko) 퀴즈 게임을 이용한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elly et al. Using screen recording platforms to increase instructor presence in an online classroom
Burton et al. Understanding and Applying Technology in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Kovtoniuk et al. Virtual educational environments: major trends in the use of modern digital technologi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Gudanescu E-learning in Higher and Adult Education
Zaid et al. FACULTY MEMBERS’AWARENESS OF E-LEARNING QUALITY STANDARDS
Armstrong Applying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and adult learning theory in the development of training for business and industry
KR20240021607A (ko) 자리배치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Sabey et al. From soap opera to research methods teaching: developing an interactive website/DVD to teach research in health and social 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