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509A - 헤어드라이어 홀더 - Google Patents

헤어드라이어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509A
KR20230026509A KR1020237003074A KR20237003074A KR20230026509A KR 20230026509 A KR20230026509 A KR 20230026509A KR 1020237003074 A KR1020237003074 A KR 1020237003074A KR 20237003074 A KR20237003074 A KR 20237003074A KR 20230026509 A KR20230026509 A KR 20230026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shaped
holder body
hol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레나 이고레프나 카잔체바
Original Assignee
엘레나 이고레프나 카잔체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레나 이고레프나 카잔체바 filed Critical 엘레나 이고레프나 카잔체바
Publication of KR20230026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20/126Stands therefor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적 결과는 이동성과 헤어드라이어의 보다 안정적인 고정이다. 헤어드라이어용 홀더는 단면이 U자형이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긴 본체; 상기 홀더 본체의 체결단부의 편평한 측면에는 상기 홀더 본체의 축을 수용하기 위한 대향 홀이 형성되고, 상기 축은 상기 본체의 양 측면의 외측에서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홀더 본체 축의 일단은 홀더 본체의 측면을 서로에 대해 누르거나 해제하도록 설계된 고정 스크류와 연결되는 나사산이 있다. 홀더 본체는 홀더 본체의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홀더 본체의 대향 단부의 측면에는 탄성 벨트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대향 홀이 제공되어 홀더 본체의 내면과 헤어드라이어의 손잡이를 수용하기 위한 벨트 사이에 개구가 형성된다. 홀더 본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스탠드가 홀더 본체의 축을 중심으로 홀더 본체의 측면 사이에 고정된다.

Description

헤어드라이어 홀더
본 발명은 머리를 빗고 스타일링할 때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헤어드라이어를 고정하도록 고안된 장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허 US 8151481은 헤어드라이어, 베이스를 평평한 표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흡입 수단을 갖는 베이스, 흡입 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레버; 베이스에서 연장되는 길이를 따라 선택적으로 구부릴 수 있는 또 다른 유연한 조절식 레버 스탠드; 헤어 드라이어 핸들이 베이스 반대편의 레버-스탠드의 단부에 고정되도록 삽입되는 개구부를 한정하는 와이어 프레임 홀더;를 포함하는 만능 헤어 드라이어 홀더를 개시하고 있고, 상기 와이어 프레임의 반대편에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루프가 제공되며, 내부에서 미끄러질 가능성이 있는 루프에 배치된 탄성 코드를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헤어드라이어 외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설계되었으며, 상기 탄성 코드는 단부에 헤어 드라이어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루프보다 더 큰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코드는 홀더에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즉, 재킷의 후드 레이스에 잠금 부재를 부착하는 알려진 원리에 따라 탄성 코드에 연결된 잠금 부재를 제거함으로써)하며, 상기 흡입 수단은 지지 표면에 평행한 편평한 측면과 지지 표면 위로 부분적으로 올라간 측면 사이를 이동하여 이들 사이에 진공을 생성하고 베이스를 표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고 있다.
특허 US 8151481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 홀더의 단점은 평평한 표면에만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이 제한된다는 것이다. 또한, 공지된 홀더의 단점은 헤어 드라이어 장착의 신뢰성이 없다는 것인데, 헤어 드라이어의 위치가 단단히 고정되어 있지 않아 작동 중에 헤어 드라이어가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다.
특허 US 7077370는 2개의 면 즉, 상부 외면과 하부 외면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 외면에 공통으로 형성되고, 베이스의 상부 외면의 대향 모서리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대응하는 내면, 외면, 및 외면에 각각 형성된 오목 영역을 가지고 그 내면과 외면에 있는 오목 영역은 바닥 역할을 하며, 여기에 공통 대칭축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부착 이어; 2개의 와셔를 포함하는 2개의 부착 어셈블리; 두 개의 잠금 와셔; 및 두 개의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와셔와 잠금 와셔는 상기 오목 영역에 일렬로 장착되며, 상기 잠금 와셔는 상기 오목 영역의 바닥에 놓여 있는 핸드 헬드 헤어 드라이어 지지대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핸드 헬드 헤어 드라이어 지지대는 또한 리테이너 이어의 구멍에 삽입된 축에 대해 베이스의 상부 표면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들 사이에 중간 공간을 갖는 2개의 평행한 만곡면을 갖는 리테이너; 기단부; 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말단부는 리테이너 이어 사이에 장착되고 리테이너 이어의 구멍과 리테이너 측면에 만들어진 구멍을 통과하는 축에 장착되어 있다.
특허 US 7077370에 따른 홀더가 본 발명에 가장 근접한 유사품(prototype)으로 선택된다.
특허 US 7077370에 따른 홀더의 단점은 홀더를 앞뒤로 기울이는 것에 의해서만 헤어드라이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기능이 제한된다는 것이다. 또한, 알려진 홀더는 영구적인 연결을 사용하는 평평한 표면에만 부착될 수 있다. 홀더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고 해도 나사 연결을 해제하거나 접착 테이프를 제거하는 등 다소 복잡한 조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고정 수단을 사용하면 홀더가 부착되는 표면이 손상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기술적 문제는 다양한 표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사용하기 쉽고, 간단하고 신뢰성이 있으며, 양호한 이동성과 소비자를 위해 편리한 장소에 설치하기 좋은 모바일 형태의 소형 헤어드라이어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단면이 U자형이고 탄성 재질의 긴 본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홀더이고, 상기 홀더 본체의 체결 단부의 편평한 측면에는 홀더 본체 양측 외측에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기 홀더 본체의 축을 수용하기 위한 대향 홀이 형성되고, 홀더 본체의 축의 일단에는 홀더 본체의 측면을 서로에 대해 가압 또는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고정 스크류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구비되며, 홀더 본체는 홀더 본체의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홀더 본체의 내면과 탄성 벨트 사이에는 헤어 드라이어의 핸들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홀더 본체의 대향 단부의 측면에는 상기 탄성 벨트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대향 구멍이 제공되는 헤어드라이어 홀더에 있어서,
홀더 본체의 측면 사이의 축에는 홀더 본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스탠드가 고정되어 있고, 이를 위해 스탠드의 일단에는 구멍이 있는 2개 이상의 평행한 편평 돌출부가 구비되어 스탠드가 홀더 본체의 축에 배치되고, 스탠드의 가로 치수는 홀더 본체의 측면 사이의 고정 단부 상의 홀더 본체 내부에서 홀더 본체의 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인서트가 견고하게 장착되어 고정되며, 인서트는 별도의 부재로 제공되거나 홀더 본체와 일체형으로 제공되며, 인서트에는 W자형의 종단면이 제공되며, 인서트의 수직 측면은 홀더 본체의 종단면으로서, 스탠드의 편평 돌출부가 W자형 인서트의 홈에 배치되고, 스탠드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더 본체와 편평 돌출부에 의해 연결되는 스탠드의 일부는 T자형의 종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탠드의 다른 일부는 H자형의 종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T자형의 수직 부분은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상부 홈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스탠드의 T자형 부분의 수직 부분의 치수는 스탠드의 상부 홈의 치수와 대응하도록 하여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홈 내부에서 T자형 부분의 수직 부분이 제한 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상단면과 스탠드의 T자형 부분의 상기 수직부 주위에 배치된 수평면이 상호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스탠드의 T자형 부분의 수직 부분에는 중앙에 종방향 나사공이 형성되고,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수평 부분에는 스탠드의 T자형 부분에 제공된 세로 나사 구멍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중앙 관통 구멍이 제공되며, 상기 스탠드의 두 부분은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하단 홈 쪽에 설치되는 스크류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는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수평 부분에 있는 중앙 구멍을 자유롭게 통과하여 스탠드의 T 자형 부분의 수직 부분에 있는 세로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고, 스크류 다리의 자유부의 길이(헤드에서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수평 부분까지의 길이)가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하단 홈에 배치 될 수 있도록 스크류 다리의 길이는 두 구멍을 합친 높이보다 크고, 스탠드의 H형 부분의 면과 T형 부분의 면 사이의 접촉은 한쪽 접촉 면의 지그재그 돌출부를 다른 접촉 면의 지그재그 홈에 배열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제공되고, 스크류의 헤드와 상기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수평 부분 사이에 해당하는 스크류 다리의 자유부에는 정상적으로 압축된 상태의 제1스프링이 배치되고, 제1 T자형 부재의 수평부는 스탠드의 H자형 부의 수평부와 대면하고, 제1 T자형 부재의 수평부에는 캐비티가 제공되며, 상기 캐비티에는 제1 T자형 부재의 수평 부분을 따라 향하는 종축을 갖는 정상적으로 해제된 상태의 제2 스프링이 배열되고, 제1 T자형 부재의 수평 부분의 측면에는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하부 수직부에 형성된 제1 구멍과 연통하기 위한 구멍이 제공되며, 이들 구멍은 이들 구멍과 맞물릴 때 제1 T형 부재에 대한 스토퍼 역할을 하는 길쭉한 형상의 외향 연장 버튼을 수용하며, 버튼은 제2 스프링에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버튼의 종방향으로의 이동이 제2 스프링에 상응하는 압축을 유발하여 버튼이 구멍과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되어 버튼이 캐비티 안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스탠드의 H형 부분의 하측 수직부에 구비된 상기 제1홀에서 분리된 버튼과 배치되고, 스탠드의 H형 부분의 수평부와 스탠드와 동축인 제1 T형 부재의 수평부 사이의 H형 부분의 하부 홈에는 버튼이 구멍과의 맞물림이 해제될 때 제1 T형 부재를 밖으로 밀어내도록 하는 정상적으로 압축된 제3 스프링이 배치되고, 제1 T형 부재가 완전히 확장된 위치에 있을 때, 두 개의 T형 부재를 연결하는 축은 외부에 위치하고, 스탠드의 H형 부분의 하측 수직부에 형성되어 제2 구멍 아래에 배열된 제2 구멍과 버튼의 맞물림에 의해 제1 T형 부재가 확장된 위치에 고정되고, 제1 T형 부재의 수평부가 구멍의 레벨에 도달하고 버튼과 구멍의 축이 일치할 때 버튼과 제2 구멍의 맞물림이 발생하며, 압축된 제2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버튼이 구멍 내로 확장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홀더가 제공된다.
제2 T자형 부재의 수평 부분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스탠드를 지지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과 연결하기 위한 중앙 나사 구멍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를 편평한 수평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스탠드는 제2 T자형 부재 수평 부분의 외부 표면에 구비되고 상기 중앙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산 지지 핀이 제공된 진공 컵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T자형 부재는 제2 T자형 부재의 수평 부분의 외부 표면에 제공되어 중앙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산 지지 핀이 제공된 클로 클램프에 연결될 수 있다.
수직 평면에 스탠드를 고정하는 것은 스탠드의 H형 부분의 수직 부분에 아래 위로 하나씩 제공되는 나사산 구멍에 나사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지지핀이 제공되는 두 개의 진공 컵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초기 위치에서 제2 T자형 부재의 수평 부분은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하부 홈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 본체는 탄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홀더 본체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인서트는 탄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
인서트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청구된 헤어드라이어용 홀더는 전술한 프로토타입과 같이 U자형 단면을 갖는 가늘고 긴 홀더 본체인 상부 부분을 포함한다. 홀더 본체의 고정 단부의 편평한 측면에는 홀더 본체의 축이 통과하는 대향 구멍이 제공되며, 분리 가능하게 양 단부에 고정된다. 홀더 바디 축의 양단은 홀더 바디의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나사산이 형성되어 홀더 바디 축의 일단은 고정 스크류에 연결되고 홀더 바디 축의 타단은 스크류 또는 너트 기타 유사한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 스크류는 홀더 본체의 측면을 서로를 향해 누르거나 또는 그 반대로 눌러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홀더 본체를 홀더 본체의 축에 위치시키면 홀더를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홀더 본체를 기울여 헤어드라이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홀더 본체의 반대쪽 자유 단부의 측면에는 반대쪽 구멍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멍은 탄성 코드(또는 밴드, 벨트, 벨크로가 있는 코드)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만들어지며, 홀더 본체의 내부 표면과 벨트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며, 여기에 헤어드라이어 손잡이가 수용된다. 홀더 본체의 외부 가장자리는 탄성 코드 또는 밴드 또는 벨크로가 있는 벨트나 코드를 쉽게 배치할 수 있도록 볼록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탄성 코드 또는 밴드 또는 벨크로가 있는 벨트 또는 코드를 사용하고 고정 스크류로 측면을 누르거나 풀 수 있기 때문에 홀더 본체의 내부 크기를 다양한 사이즈의 핸들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홀더 본체의 양측 사이에는 홀더 본체의 축에 고정되어 홀더 본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탠드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스탠드의 한쪽 끝에는 구멍이 있는 2개 이상의 평행한 편평 돌출부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스탠드가 홀더 본체의 축에 배치된다. 적어도 2개의 이러한 평행한 편평 돌출부의 존재는 홀더 본체의 축에 대한 스탠드 위치의 보다 확실한 고정 및 스탠드에 대한 홀더 본체의 제어되지 않은 측방향 기울어짐에 대한 가능성을 감소시킬 필요성에 의해 야기된다.
홀더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 스탠드는 홀더 본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고무줄 또는 중심축의 고정 스크류에 의해 홀더 본체 내부에 고정된다. 이 경우, 홀더의 전체 치수가 거의 두 배로 줄어든다.
스탠드를 본체 내부로 접는 기능을 유지하면서 본체 축에 홀더 본체를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스탠드에 대한 홀더 본체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한다.
본체의 고정 단부의 내부에는 홀더 본체와 같은 탄성 재질로 만들어진 인서트가 본체에 대해 단단히 장착되고 고정된다. 인서트는 홀더 본체와 일체형으로 만들 수 있다. 탄성 재료는 탄성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또는 다른 탄성 재료일 수 있다.
인서트의 종단면은 W자형으로 형성되며, W자형 인서트의 모든 측면은 홀더 본체의 체결단 측면에 형성된 홀과 반대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다. 이들 구멍은 홀더 몸체의 축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W형 인서트의 홈은 스탠드의 편평 돌출부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스탠드는 홀더 본체의 축을 중심으로 W자형 인서트의 홈 내부에서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 스크류는 인서트의 측면과 수직 부재가 스탠드의 편평 세로 돌출부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스탠드에 대한 본체의 위치를 고정한다.
홀더 본체와 스탠드의 세로축 사이의 각도를 변경하여 홀더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탠드의 세로축을 중심으로 홀더 본체가 회전할 수 있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스탠드의 길이를 늘릴 수 있다.
스탠드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 원통형이다. 홀더 본체와 연결되는 스탠드 부분은 T자형의 종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원통형 스탠드의 다른 부분은 H자형의 종단면으로 이루어진다.
스탠드의 T자형 부분의 수평부의 외측면에 상술한 편평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스탠드의 T자형 부분의 수직부는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상부 홈에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스탠드의 T자형 부분의 수직부의 치수는 스탠드 내부의 T자형 부분의 수직부가 무제한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스탠드의 H자 부분의 상단 홈 치수에 대응한다.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상단 표면과 스탠드의 수직부 주위에 배열된 T자형 부분의 수평면 사이의 접촉을 제공한다.
스탠드의 두 부분은 다음과 같이 함께 연결된다. 스탠드의 T자형 부분의 수직부에는 중앙 세로 나사산 구멍이 있다. 스탠드의 H형 부분의 수평부에는 중앙 관통 구멍이 제공되며, 그 직경은 스탠드의 다른 부분에 제공된 세로 나사 구멍의 직경에 대응한다.
스탠드의 양쪽 부분은 스탠드의 H 자형 부분의 하단 홈 측면에 설치된 스크류에 의해 연결된다. 스크류는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수평부에 있는 중앙 구멍을 자유롭게 통과하고 스탠드의 T자 부분의 수직부에 있는 중앙 세로 나사 구멍에서 멈출 때까지 초기 위치에서 나사 결합된다.
헤드에서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수평부까지로 정의되는 스크류의 다리의 길이는 두 개의 구멍을 합친 높이보다 크므로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아래쪽 홈에 스크류의 다리의 일부가 수용된다.
스탠드의 H형 부분과 T형 부분의 서로의 접촉면은 지그재그 형태로 제공되어 한쪽 접촉면의 지그재그 돌출부가 다른 쪽 접촉면의 지그재그 홈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H자형 부분에 대한 스탠드의 T자형 부분의 위치가 고정되고 서로에 대한 자발적인 자유 회전이 방지된다.
나사 머리와 스탠드의 H형 부분의 수평부 사이의 나사 다리의 자유 부분에는 일반적으로 압축된 상태의 제1 스프링이 배열되어 있다. 스탠드의 T 자형 부분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수직부가 나사산을 따라 회전 운동을 하여 스탠드 H 자형 부분의 아래쪽 홈에 위치한 나사 다리의 자유 부분 길이가 늘어난다. 동시에 스탠드의 T자형 부분이 H자형 부분에 대해 회전하면 서로 접촉하는 지그재그 표면이 서로에 대해 이동한다. 지그재그 표면 간에 이러한 이동은 제1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며, 이는 나사 다리의 자유로운 위치 지정으로 인해 H형 부분과 관련하여 스탠드의 T형 부분의 상승을 가능하게 한다. H자형 부분에 대한 스탠드의 T자형 부분의 필요한 회전이 수행된 후, T자형 부분의 회전이 정지되고, 이때 제1스프링의 압축력으로 인해 T자형 부분이 한쪽 지그재그 면의 돌출부가 다른 쪽 지그재그 면의 홈에 위치하는 위치에서 스탠드의 H자형 부분에 대해 압박된다.
스탠드 확장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아래쪽 홈에는 두 개의 T자형 부재가 배열되어 있는데, 그 수직부는 T자형 부재가 회전할 수 있는 축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호 연결로 인해 두 T자형 부재의 수평부는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다.
제1 T자형 부재의 수평부는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수평부와 대면한다. 제1 T자형 부재의 수평 부분에는 캐비티가 제공되고, 캐비티에는 정상적으로 해제된 제2 스프링이 배열되며, 그 세로축은 제1 T자형 부재의 수평 부분을 따라 배향한다. 제1 T자형 부재의 수평부의 측면에는 H자형 부재의 하부 수직부에 제공된 제1 구멍과 연통하는 구멍이 제공된다. 상기 구멍은 가늘고 긴 모양을 가지며 초기 위치에서 상부 T자형 부재에 대한 스토퍼 역할을 하는 외부로 확장된 버튼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버튼 스템이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하측 수직부에 만들어진 제1 구멍에 배치될 때 수직 이동을 방지한다. 버튼은 제2 스프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이에 의해 버튼의 종방향 이동이 제2 스프링의 상응하는 압축을 유발하고 버튼이 캐비티 내로 이동하며, 제2 스프링은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하단 수직부분 제공된 제1 구멍과의 결합이 해제된 버튼과 배열된다.
정상적으로 압축된 제3 스프링은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수평부와 제1 T자형 부재의 수평부 사이의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하부 홈에 배치된다. 버튼이 제2 스프링이 배치된 캐비티로 이동되고 버튼이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하단 수직부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되면, 제3 스프링의 영향 하에 있는 제1 T자형 부재는 스탠드 H자형 부분의 하단 홈에서 바깥쪽으로 밀리고 제2 T자형 부재를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T자형 부재가 완전히 확장된 외부 위치에서는 이들을 연결하는 축은 외부에 위치하여 두 T자형 부재의 수직부의 세로축 사이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준다.
초기 위치에 대해 제1 T자형 부재의 위치를 확장된 상태로 고정하는 것은 제1 T자형 부재의 수평부가 하부 수직부에 제공되는 버튼을 수용할 수 있는 스탠드의 H자형 부분 제2 구멍이 있는 레벨에 도달할 때 수행된다. 버튼과 제2 구멍의 축이 일치할 때, 팽창하는 경향이 있는 압축된 제2 스프링의 작용 하에 있는 버튼이 제2 구멍으로 연장되어 맞물리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T자형 부재의 확장된 위치가 고정된다.
제2 T자형 부재의 수평부의 외부 표면에는 나사산이 있는 중앙 구멍이 형성되어 지지 표면에 스탠드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과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스탠드를 편평 수평면에 고정하기 위해, 제2 T자형 부재의 수평부의 외부 표면에 만들어진 중앙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산 지지핀이 구비된 진공 컵에 스탠드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T자형 부재의 수평부의 외면에 형성된 중앙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산 지지핀이 구비된 클로 클램프에 제2 T자형 부재가 연결될 수 있고, 스탠드를 헤드 보드, 파이프 등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수직부에 위 아래로 만들어진 나사산 구멍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지지핀이 있는 두 개의 진공 컵을 사용하여 스탠드가 수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두 부재의 T자 형태의 형상으로 한 것은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하단 홈에서 움직일 때 마찰력을 줄여야 하기 때문이다. 제2 T자형 부재의 수평부는 고정 수단이 쉽게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하부 홈의 외측에 위치하는 초기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두 T자형 부재의 수직부를 회전축으로 연결하면 확장 위치에서 제2 T자형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면에 대한 스탠드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고, 두 T 자형 부재의 경사각 고정은 나사 또는 기타 고정 방법 예를 들어 텅 앤 그루브(tongue-and-groove)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홀더가 카메라 등의 거치대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일체화된 2차 T자형 부재의 외면에 중앙 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결과는 기능성 범위의 증가, 이동성, 조작의 용이성 향상, 헤어드라이어 고정에 대한 신뢰성 증가이다.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 홀더는 접힌 상태로 보관되므로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용 홀더에서는 홀더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가능한 한 최대한의 변형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어떤 표면, 치수 조건에도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홀더는 사용하기 쉽고 인체 공학적이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리고 설명을 완료하기 위해 도면이 제공된다. 첨부의 도면은 설명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하고 본 발명의 구현예를 예시한다.
도 1은 수직면에 고정된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용 홀더의 일반적인 형태를 도시한다.
도 2는 접은 형태의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용 홀더를 도시한다.
도 3은 클로 클램프 클로(claw clamp claw)의 형태의 고정 수단을 갖는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용 홀더의 일반적인 형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용 홀더의 원래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구부려진 위치에서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용 홀더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수평 평면에 고정된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용 홀더의 일반적인 형태를 도시한다.
도 7은 길이가 연장된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용 홀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도면에 비추어, 그리고 채택된 도면 부호에 따라, 아래에서 상세히 표시되고 설명되는 부품 및 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관찰할 수 있다.
헤어드라이어용 홀더는 탄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U자형 단면을 갖는 긴 형상의 본체(1)를 포함한다. 홀더 본체는 탄성 재료(예: 플라스틱, 금속, 알루미늄, 탄소 섬유, 복합 재료, 목재)로 만들 수도 있다.
홀더 본체(1)의 체결단부의 편평한 측면(2)에는 홀더 본체(1)의 양측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축(4)을 수용하기 위한 대향 홀(3)이 형성된다.
홀더 본체(1)의 축(4)의 일단에는 홀더 본체의 측면(2)을 서로에 대해 가압하거나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고정 스크류(5)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구비된다. 홀더 본체(1)는 축(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홀더 본체(1)의 내면과 탄성 벨트(6) 사이에는 헤어드라이어의 핸들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8)가 형성되고 홀더 본체의 대향 단부의 측면(2)에는 탄성 벨트(7)(벨트는 탄성 코드, 리본, 스트립 형태로 만들 수 있다)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대향 구멍(6)이 형성된다.
홀더 본체의 측면(2) 사이에는 축(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스탠드(9)가 축(4)에 고정되어 있다. 이를 위해 스탠드(9)의 일단에는 구멍이 있는 2개 이상의 평행한 편평 돌출부(10)가 구비되고, 이를 통해 스탠드(9)는 축(4)에 배치된다. 스탠드(9)의 가로 치수는 홀더 본체의 측면(2)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측면(2) 사이의 고정 단부에 있는 본체(1)의 내부에는 탄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인서트(11)가 견고하게 장착되어 고정된다. 인서트(11)는 홀더 본체(1)와 일체로 만들어진다. 인서트(11)는 종단면이 W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W형 인서트의 종단면의 수직 변(12)에는 축(4)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 홀이 구비되며, 스탠드(9)의 편평 돌출부(10)가 W형 인서트(11)의 홈(13)에 배치된다.
원통형상의 스탠드(9)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스탠드(9)에서 편평 돌출부(10)에 의해 홀더 본체에 연결되는 부분(14)은 T자형 종단면으로 형성되고, 스탠드의 다른 부분(15)은 H자형 종단면으로 형성된다. 스탠드(9)의 T자형 부분의 수직부(16)는 스탠드(9)의 H자형 부분의 상부 홈(17)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스탠드의 T자형 부분의 수직부(16)의 치수는 스탠드의 H자형부의 상부 홈(17)의 치수에 대응함으로써 스탠드의 H자형 홈 내에서 스탠드의 T자형 부분의 수직부의 무제한적 회전을 허용하고, 동시에,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상단면과 스탠드의 T자형 부분의 상기 수직부 주위에 배치된 수평면이 상호 접촉되도록 한다.
스탠드의 T자형 부분의 수직부(16)에는 중앙에 세로 나사 구멍(18)이 제공되고,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수평 부분에는 중앙 관통공(19)이 구비되며, 그 직경은 세로 나사 구멍(18)의 직경에 대응한다. 스탠드(9)의 두 부분(14, 15)은 스탠드의 H형 부분(15)의 하부 홈 쪽에 장착되는 스크류(2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중앙 관통공(19)을 자유롭게 통과하는 스크류(20)는 세로 나사 구멍(18)에 나사 결합된다. 스크류(20)의 다리의 길이는 두 구멍(18, 19)이 결합되는 높이보다 크므로 자유부(21)의 길이가 헤드에서 H형 부분의 수평 부분까지 측정되는 스크류(20)의 다리는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하단 홈에 배치 가능하다.
스탠드의 H형 부분과 T형 부분의 서로간의 접촉면은 지그재그 형태로 제공되어 한쪽 접촉면의 지그재그 돌출부가 다른 쪽 접촉면의 지그재그 홈에 배열될 수 있다. 스크류 다리(20)의 자유부(21)에는 정상 압축 상태의 제1 스프링(22)이 배치된다.
스탠드의 H형 부분의 하부 홈에는 두 개의 T형 부재(23, 24)가 배열되어 있으며, 그 수직 부분은 축(2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T형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두 개의 T형 부재(23, 24)의 수평 부분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다.
제1 T형 부재(23)의 수평 부분은 스탠드의 H형 부분(15)의 수평 부분과 대면하고 있다. 제1 T형 부재(23)의 수평 부분에는 캐비티(26)가 구비되고, 여기에 제1 T자 부재(23)의 수평 부분을 따라 향하는 종축을 가지는 정상적으로 해제된 제2 스프링(27)이 배치된다.
제1 T형 부재(23)의 수평 부분의 측면에는 스탠드의 H형 부분(15)의 하부 수직부에 형성된 제1 구멍(29)과 연통하는 구멍(28)이 제공된다. 이들 구멍(28, 29)은 상기 구멍(28, 29)과 맞물릴 때 상부 T형 부재(23)에 대한 스토퍼 역할을 하는 길쭉한 형상의 외향 연장 버튼(30)을 수용한다.
버튼(30)은 제2 스프링(27)에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버튼(30)의 종방향으로의 이동이 제2 스프링(27)에 상응하는 압축을 유발하여 버튼이 구멍(29)과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되어 버튼(30)이 캐비티(26) 안으로 이동한다.
스탠드의 H형 부분(15)의 수평부와 스탠드(9)와 동축인 제1 T형 부재(23)의 수평부 사이의 H형 부분(15)의 하부 홈에는 버튼(30)이 구멍(29)과의 맞물림이 해제될 때 제1 T형 부재(23)를 밖으로 밀어내도록 하는 정상적으로 압축된 제3 스프링(31)이 배치되어 있다.
제1 T형 부재(23)가 완전히 확장된 위치에 있을 때, 두 개의 T형 부재를 연결하는 축(25)은 외부에 위치한다. 스탠드의 H형 부분(15)의 하측 수직부에 형성되어 제2 구멍(29) 아래에 배열된 제2 구멍(32)과 버튼(30)의 맞물림에 의해 제1 T형 부재(23)가 확장된 위치에 고정된다.
제1 T형 부재(23)의 수평부가 구멍(32)의 레벨에 도달하고 버튼(30)과 구멍(32)의 축이 일치할 때 버튼(30)과 제2 구멍(32)의 맞물림이 발생하며, 압축된 제2 스프링(27)의 작용에 의해, 버튼(30)이 구멍(32) 내로 확장되어 결합된다.
제2 T자형 부재(24)의 수평 부분의 외부 표면에는 스탠드를 지지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과 연결하기 위한 중앙 나사 구멍(33)이 제공된다. 스탠드를 편평 수평면에 고정하기 위해, 스탠드(9)는 중앙 나사 구멍(33)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 지지 핀이 제공된 진공 컵(34)에 연결된다. 스탠드를 튜브 형상으로 리브를 구비한 표면(tubular, ribbed surfaces)에 연결하기 위해, 제2 T자형 부재(24)는 구멍(33)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식 지지 핀(36)이 제공된 클로 클램프(claw clamp; 35)에 연결된다. 클로 클램프는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아래 소스에서 제공된다: https://batareika36.ru/derzhatel-telefona/derzhatel-telefona-s022-ph03-kleshnya-udlin.html, https://dm-opt.ru/accessories/derzhateli-krepleniia/avtomobilnye-derzhateli-1/3804--2200000077356/.
수직 표면에 대한 스탠드(9)의 고정은 나사산 구멍(39, 40)에 나사 결합을 위해 스탠드의 H형 부분(15)의 수직 부분에서 다른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만들어지는 지지 핀(38)이 제공되는 두 개의 진공 컵(37)에 의해 제공된다. 초기 위치에서 제2 T자형 부재(24)의 수평 부분은 스탠드의 H자형 부분(15)의 하부 홈 외부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용 홀더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스탠드는 특정 환경에서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표면에 고정된다. 헤어드라이어의 핸들은 개구부(8)에 있다. 본체(1)는 축(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원하는 대로 기울어지고 스탠드(9)에 대한 본체(1)의 필요한 위치는 스크류(5)에 의해 고정된다. 본체(1)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해서는, 스탠드의 T자형부(14)를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스탠드의 T자형부(14)가 하강할 때 스탠드의 H자형부(15)상에 하강하여 스탠드의 양쪽 부분(14 및 15)의 각 지그재그 접촉면의 돌출부 및 홈을 상호 배치함으로써 고정된다.
홀더의 높이는 구멍(29)을 넘어 가라앉을 때까지 버튼(30)을 눌러 조정되며, 여기서 스프링(31)의 작용 하에 스탠드의 T자형 부분(14)은 구멍(29, 32)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바깥쪽으로 밀려난다. 버튼(30)이 구멍(32)에 도달하면 스프링(27)의 작용 하에 버튼이 공동(26)으로부터 구멍(32)의 내부로 밀려나와 맞물린다.
이러한 배열에서, 버튼(30)은 T자형 부재(23, 24)의 종방향으로 추가적인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T자형 부재(23, 24)의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액슬(25)은 외부에 위치하게 되고, T자형 부재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원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사용 후에는, 장착된 표면에서 헤어 드라이어 홀더는 제거되고, 고정 부재는 축(4)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본체(1) 내부에 배치되는 스탠드(9)로부터 나사 결합이 해제된다. 헤어 드라이어 홀더는 접힌 상태로 보관되므로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용 홀더에서는 홀더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가능한 한 최대한의 변형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어떤 표면, 치수 조건에도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홀더는 사용하기 쉽고 인체 공학적이다.

Claims (10)

  1. 단면이 U자형이고 탄성 재질의 긴 본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홀더이고, 상기 홀더 본체의 체결 단부의 편평한 측면에는 홀더 본체 양측 외측에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기 홀더 본체의 축을 수용하기 위한 대향 홀이 형성되고, 홀더 본체의 축의 일단에는 홀더 본체의 측면을 서로에 대해 가압 또는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고정 스크류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구비되며, 홀더 본체는 홀더 본체의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홀더 본체의 내면과 탄성 벨트 사이에는 헤어 드라이어의 핸들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홀더 본체의 대향 단부의 측면에는 상기 탄성 벨트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대향 구멍이 제공되는 헤어드라이어 홀더에 있어서,
    홀더 본체의 측면 사이의 축에는 홀더 본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스탠드가 고정되어 있고, 이를 위해 스탠드의 일단에는 구멍이 있는 2개 이상의 평행한 편평 돌출부가 구비되어 스탠드가 홀더 본체의 축에 배치되고, 스탠드의 가로 치수는 홀더 본체의 측면 사이의 고정 단부 상의 홀더 본체 내부에서 홀더 본체의 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인서트가 견고하게 장착되어 고정되며, 인서트는 별도의 부재로 제공되거나 홀더 본체와 일체형으로 제공되며, 인서트에는 W자형의 종단면이 제공되며, 인서트의 수직 측면은 홀더 본체의 종단면으로서, 스탠드의 편평 돌출부가 W자형 인서트의 홈에 배치되고, 스탠드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더 본체와 편평 돌출부에 의해 연결되는 스탠드의 일부는 T자형의 종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탠드의 다른 일부는 H자형의 종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T자형의 수직 부분은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상부 홈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스탠드의 T자형 부분의 수직 부분의 치수는 스탠드의 상부 홈의 치수와 대응하도록 하여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홈 내부에서 T자형 부분의 수직 부분이 제한 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상단면과 스탠드의 T자형 부분의 상기 수직부 주위에 배치된 수평면이 상호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스탠드의 T자형 부분의 수직 부분에는 중앙에 종방향 나사공이 형성되고,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수평 부분에는 스탠드의 T자형 부분에 제공된 세로 나사 구멍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중앙 관통 구멍이 제공되며, 상기 스탠드의 두 부분은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하단 홈 쪽에 설치되는 스크류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는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수평 부분에 있는 중앙 구멍을 자유롭게 통과하여 스탠드의 T 자형 부분의 수직 부분에 있는 세로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고, 스크류 다리의 자유부의 길이(헤드에서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수평 부분까지의 길이)가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하단 홈에 배치 될 수 있도록 스크류 다리의 길이는 두 구멍을 합친 높이보다 크고, 스탠드의 H형 부분의 면과 T형 부분의 면 사이의 접촉은 한쪽 접촉 면의 지그재그 돌출부를 다른 접촉 면의 지그재그 홈에 배열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제공되고, 스크류의 헤드와 상기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수평 부분 사이에 해당하는 스크류 다리의 자유부에는 정상적으로 압축된 상태의 제1스프링이 배치되고, 제1 T자형 부재의 수평부는 스탠드의 H자형 부의 수평부와 대면하고, 제1 T자형 부재의 수평부에는 캐비티가 제공되며, 상기 캐비티에는 제1 T자형 부재의 수평 부분을 따라 향하는 종축을 갖는 정상적으로 해제된 상태의 제2 스프링이 배열되고, 제1 T자형 부재의 수평 부분의 측면에는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하부 수직부에 형성된 제1 구멍과 연통하기 위한 구멍이 제공되며, 이들 구멍은 이들 구멍과 맞물릴 때 제1 T형 부재에 대한 스토퍼 역할을 하는 길쭉한 형상의 외향 연장 버튼을 수용하며, 버튼은 제2 스프링에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버튼의 종방향으로의 이동이 제2 스프링에 상응하는 압축을 유발하여 버튼이 구멍과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되어 버튼이 캐비티 안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스탠드의 H형 부분의 하측 수직부에 구비된 상기 제1홀에서 분리된 버튼과 배치되고, 스탠드의 H형 부분의 수평부와 스탠드와 동축인 제1 T형 부재의 수평부 사이의 H형 부분의 하부 홈에는 버튼이 구멍과의 맞물림이 해제될 때 제1 T형 부재를 밖으로 밀어내도록 하는 정상적으로 압축된 제3 스프링이 배치되고, 제1 T형 부재가 완전히 확장된 위치에 있을 때, 두 개의 T형 부재를 연결하는 축은 외부에 위치하고, 스탠드의 H형 부분의 하측 수직부에 형성되어 제2 구멍 아래에 배열된 제2 구멍과 버튼의 맞물림에 의해 제1 T형 부재가 확장된 위치에 고정되고, 제1 T형 부재의 수평부가 구멍의 레벨에 도달하고 버튼과 구멍의 축이 일치할 때 버튼과 제2 구멍의 맞물림이 발생하며, 압축된 제2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버튼이 구멍 내로 확장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제2 T자형 부재의 수평 부분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스탠드를 지지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과 연결하기 위한 중앙 나사 구멍이 제공되는 헤어드라이어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를 편평한 수평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스탠드는 제2 T자형 부재 수평 부분의 외부 표면에 구비되고 상기 중앙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산 지지 핀이 제공된 진공 컵에 연결되는 헤어드라이어 홀더.
  4. 제2항에 있어서,
    제2 T자형 부재는 제2 T자형 부재의 수평 부분의 외부 표면에 제공되어 중앙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산 지지 핀이 제공된 클로 클램프에 연결되는 헤어드라이어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수직 평면에 스탠드를 고정하는 것은 스탠드의 H형 부분의 수직 부분에 아래 위로 하나씩 제공되는 나사산 구멍에 나사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지지핀이 제공되는 두 개의 진공 컵에 의해 제공되는 헤어드라이어 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초기 위치에서 제2 T자형 부재의 수평 부분은 스탠드의 H자형 부분의 하부 홈 외부에 배치되는 헤어드라이어 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홀더 본체는 탄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헤어드라이어 홀더.
  8. 제1항에 있어서,
    홀더 본체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는 헤어드라이어 홀더.
  9. 제1항에 있어서,
    인서트는 탄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헤어드라이어 홀더.
  10. 제1항에 있어서,
    인서트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는 헤어드라이어 홀더.
KR1020237003074A 2020-07-15 2020-07-15 헤어드라이어 홀더 KR202300265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RU2020/000356 WO2022015191A1 (ru) 2020-07-15 2020-07-15 Держатель для фен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509A true KR20230026509A (ko) 2023-02-24

Family

ID=7955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3074A KR20230026509A (ko) 2020-07-15 2020-07-15 헤어드라이어 홀더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30270225A1 (ko)
EP (1) EP4140356A4 (ko)
JP (1) JP2023534000A (ko)
KR (1) KR20230026509A (ko)
CN (1) CN115768305B (ko)
BR (1) BR112022024586A2 (ko)
CA (1) CA3187873A1 (ko)
CU (1) CU20230003A7 (ko)
MX (1) MX2022015170A (ko)
WO (1) WO2022015191A1 (ko)
ZA (1) ZA2022127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036B1 (ko) * 2020-02-28 2021-02-04 (주)샤플 수직으로 기립 및/또는 기립 고정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하우징
CN217503281U (zh) * 2022-05-21 2022-09-27 金华市双星工具有限公司 筋膜枪支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6846U1 (de) * 2002-04-30 2003-09-11 Wolfcraft Gmbh Saugnapfgerät mit Federspannzwinge
CN2620986Y (zh) * 2002-10-15 2004-06-23 公主环球有限公司 吹风机
US20040075033A1 (en) * 2002-10-21 2004-04-22 Sumiko Fujitaka Dryer holder
US7077370B2 (en) 2004-04-08 2006-07-18 Winner Double-H Co., Ltd. Hair dryer stand for a handheld hair dryer
US8151481B2 (en) 2005-09-19 2012-04-10 The Licensing Group, Inc. Universal hand-held hair dryer holder
KR20080079867A (ko) * 2007-02-28 2008-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흡착판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JP2017124135A (ja) * 2016-01-12 2017-07-20 幸夫 古我 ヘアードライヤーホルダー
CN206227903U (zh) * 2016-12-01 2017-06-09 缙云县南瓯堂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能够多角度安装的吹风机架
CN108669759A (zh) * 2018-08-03 2018-10-19 孝感市凯馨智能家居设计有限公司 一种支座吹风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68305B (zh) 2023-08-15
EP4140356A4 (en) 2023-12-27
BR112022024586A2 (pt) 2023-02-07
CU20230003A7 (es) 2023-09-07
WO2022015191A1 (ru) 2022-01-20
CA3187873A1 (en) 2022-01-20
ZA202212753B (en) 2023-02-22
JP2023534000A (ja) 2023-08-07
CN115768305A (zh) 2023-03-07
MX2022015170A (es) 2023-01-16
EP4140356A1 (en) 2023-03-01
US20230270225A1 (en)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6815A (en) Mounting fixture for a hand-held hair dryer
KR20230026509A (ko) 헤어드라이어 홀더
US11369189B2 (en) Combination strap and stand support for tablets and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US5201540A (en) Collapsible golf cart
JP2007506447A (ja) 調整可能なコップ立て
JP2000206893A (ja) 液晶表示器の高さ調整装置
US20210037127A1 (en) Portable device holder
KR101245881B1 (ko) 가방 우산
KR200411603Y1 (ko) 휴대기기의 거치대
US20060278260A1 (en) Locking mechanism for foldable walker
US5323195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camera
GB2366514A (en) Baby seat with adjustable gripping arrangement, mountable onto grippable objects, such as a table edges, of variable thickness
US4241242A (en) Telephone handset holder
RU2805697C1 (ru) Держатель для фена
KR101669923B1 (ko) 악기 스탠드
US4821317A (en) Elastic telephone handset support
US202101389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ing device securing apparatus
EA043869B1 (ru) Держатель для фена
KR20220154983A (ko)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KR101933613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KR101973908B1 (ko) 뒷모습 거울
US6234367B1 (en) Device for bending a cap brim
JP6460277B1 (ja) 杖の自立装置
KR101403278B1 (ko) 볼 헤드
CN218494721U (zh) 人体支撑件及具有其的手持稳定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