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9867A - 흡착판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흡착판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9867A
KR20080079867A KR1020070020426A KR20070020426A KR20080079867A KR 20080079867 A KR20080079867 A KR 20080079867A KR 1020070020426 A KR1020070020426 A KR 1020070020426A KR 20070020426 A KR20070020426 A KR 20070020426A KR 20080079867 A KR20080079867 A KR 20080079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housing
coupled
fixing pin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0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9867A/ko
Priority to EP08003462A priority patent/EP1964723A3/en
Priority to CNA200810081576XA priority patent/CN101255889A/zh
Priority to US12/039,439 priority patent/US20080217826A1/en
Publication of KR20080079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착판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흡착판은 일측으로 관통되는 관통공(16)이 각각 형성된 보스(14)가 일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의 하부에 상기 하우징(12)에 대하여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스(14)의 내부에 삽입되는 중심축(26)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26)에는 일측으로 관통되는 중심공(28)이 형성되는 흡착부(22)와, 상기 중심축(26)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부(22)과 하우징(12)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1)와, 상기 하우징(12)에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2)과 흡착부(22)의 상대이동을 조절하는 구동레버(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용 거치대를 손쉽게 원하는 위치에 부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되는 차량용 기기를 회동시켜 원하는 시야각을 확보하는 것이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차량용 거치대, 흡착판, 고정핀

Description

흡착판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Sucking plate and Cradle for automobil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흡착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의 결합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흡착판의 흡착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 상부의 분해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해 차량용 거치대 상부가 조립되는 것을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량용 거치대 10 : 흡착판
12 : 하우징 14 : 보스
16 : 관통공 18 : 걸림돌기
22 : 흡착부 24 : 해제손잡이
26 : 중심축 28 : 중심공
31 : 탄성부재 32 : 구동레버
34 : 삽입링 36 : 요입부
38 : 캠돌기 38a : 경사면
38b : 상부안착면 38c : 하부안착면
40 : 스토퍼 42 : 고정핀
50 : 지지몸체 52 : 헤드부
60 : 장착플레이트 62 : 결합부
70 : 홀더 170 : 와셔
180 : 고정소켓
본 발명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서 사용하는 각종 차량용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흡착판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운전 중에 운전자에게 GPS 위성을 사용하여 도로교통에 관한 전반적인 상황을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또는 주행 중에 위성을 통해 각종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지상파 디엠비, 위성 디엠비 등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차량의 주행 중에 각종 편의를 제공하는 차량용기기를 차량 내부에 설치하여 이 용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상술한 차량용기기들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차량용기기를 차량 내부에 거치하기 위한 차량용 거치대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는 차량용 거치대의 몇 가지 예를 살펴보면, 차량용 거치대가 장착되는 부분이 접착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차량용 거치대를 바닥면에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받침판의 저면을 테이프 등을 이용해 접착식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차량용 거치대를 지지하는 몸체가 관절식으로 결합된 구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몸체의 두 부분을 관절식으로 구성하여 한 부분에서는 전후방향으로 거치대를 회동시킬 수 있고, 다른 부분에서는 좌우방향으로 거치대를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거치대를 회동시키면서 원하는 시야각을 확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차량용 거치대를 바닥면에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받침판을 접착식으로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최초에 차량 내부에 거치대를 장착한 후에 다른 곳으로 옮겨 장착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다른 곳으로 옮겨 장착하다 보면 받침판의 접착력이 떨어져 차량용 거치대가 단단하게 고정되지 못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용 거치대를 지지하는 몸체를 두 부분에서 관절식으로 구성할 경우 두 부분을 잘 조절하면 원하는 시야각으로 차량용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몸체의 두 부분을 각각 조절하여 원하는 시야각을 확보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용 거치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흡착판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용 거치대에 거치된 차량용기기의 시야각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흡착판은 일측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보스가 일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중심축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에는 일측으로 관통되는 중심공이 형성되는 흡착부와;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판과 하우징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흡착부의 상대이동을 조절하는 구동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심축이 상기 보스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 및 중심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고정핀의 상하이동궤적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장공이고, 상기 중심공은 상기 고정핀의 지름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상기 구동레버는, 상기 보스에 삽입되어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회전가능하고, 상기 고정핀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캠돌기가 형성되는 삽입링과; 상기 삽입링의 일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캠돌기는, 상기 고정핀의 상하이동시에 상기 고정핀을 직접적으로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고정핀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안착되는 상부안착면과; 상기 고정핀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안착되는 하부안착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삽입링에는 상기 고정핀이 상기 상부안착면 또는 하부안착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중심축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스프링보스에 삽입된다.
상기 흡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흡착부가 흡착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흡착부를 쉽게 떼어내기 위한 해제손잡이가 구비된다.
상기 보스에는 상기 삽입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링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요입부가 요입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면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에 헤드부가 구비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헤드부와 피벗 결합되는 결합부가 일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헤드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의 외면을 조이도록 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결합부의 선단을 죄이기 위한 압축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차량용 기기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면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에는 목부에 의해 연결되는 헤드부가 구비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상단에 구비된 헤드부와 피벗 결합되는 결합부가 일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목부에 끼워져 상기 결합부의 선단에 걸림으로써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는 와셔와; 상기 헤드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셔는 상기 헤드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고, 상기 목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에는 체결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소켓의 양측에는 체결보스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날개 및 체결보스에는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어 스크류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용 거치대를 손쉽게 원하는 위치에 부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되는 차량용 기기를 회동시켜 원하는 시야각을 확보하는 것이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의 제 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흡착판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의 결합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용 거치대(1)는 크게 거치대(1)를 바닥면에 부착시키고 지지하는 흡착판(10)과, 상기 흡착판(10)의 상부에서 연결되어 거치대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몸체(50)와, 상기 지지몸체(50)의 상단과 연결되어 각종 차량용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장착플레이트(60)와, 상기 장착플레이트(60)에 결합되는 홀더(7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상기 흡착판(1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상기 흡착판(10)에는 흡착판(1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2)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2)을 구성하는 하우징몸체(13)는 원판을 일방으로 요입되게 형성한 접시 형상이다. 상기 하우징몸체(13)의 요입된 부분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흡착부(22)가 상하방으로 상기 하우징몸체(13)에 대해 상대이동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3)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게 보스(14)가 구비된다. 상기 보스(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중심축(26)이 삽입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스(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레버(32)가 삽입되어 회전된다. 한편, 상기 보스(14)에는 일측으로 관통되는 관통공(16)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6)은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핀(42)이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관통공(16)은 한 쌍이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6) 상에서 고정핀(42)이 상하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관통공(16)은 고정핀(42)의 이동궤적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보스(14)의 외면에는 걸림돌기(18)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8)는 한 쌍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8)는 구동레버(32)가 걸어지는 부분으로서, 구동레버(32)가 상기 보스(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몸체(13)의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몸체(50)가 안착되는 결합면(19)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면(19)은 상기 지지몸체(50)의 저면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면(19)의 일측에는 한 쌍의 결합공(2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20)은 상기 지지몸체(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스크류 등에 의해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공(20)은 구동레버(32)가 회전시에 간섭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하우징(12)의 하부에는 흡착부(22)가 상기 하우징(12)에 대해 상하방으로 상대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흡착부(22)는 상기 하우징(12)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고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핀(42)에 의해 상대이동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흡착부(22)는 실질적으로 선반이나 바닥면 등에 흡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흡착부(22)는 합성수지, 고무, 유연한 재질의 물질 등으로 형성되어 흡착력을 이용해 상기 거치대(1)를 바닥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흡착부(22)가 바닥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레버(32)에 의해 조작되면 상기 흡착부(22)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이 상승하면서 흡착력으로 상기 거치대(1)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22)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해제손잡이(24)가 구비된다. 상기 해제손잡이(24)는 상기 흡착부(22)의 흡착해제상태에서 상기 흡착부(22)의 일측을 들어올림으로써 남아있는 흡착력을 제거하여 상기 흡착부(22)가 바닥면으로부터 완전하게 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착부(22)의 상면에는 중심축(26)이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중심축(26)은 상기 보스(14)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중심축(26)에는 일방으로 관통되게 중심공(28)이 형성된다. 상기 중심공(28)에는 상기 관통공(16)과 동축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핀(42)이 삽입된다. 상기 중심공(28)은 상기 관통공(16)과 달리 고정핀(42)의 지름과 같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축(26)의 상단에는 탄성부재(31)가 삽입되는 스프링보스(30)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31)는 상기 하우징(12)과 흡착부(2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보스(14)에는 상기 흡착부(22)의 상대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레버(32)가 삽입된다. 상기 구동레버(32)는 상기 흡착판(10)이 조립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구동레버(32)를 회전시키면, 상기 흡착부(22)가 상기 하우징(12)에 대해 상대이동하면서 바닥면에 흡착부(22)가 흡착되거나 흡착해제된다.
상기 구동레버(32)에는 상기 보스(14)에 삽입되는 삽입링(34)이 구비된다. 상기 삽입링(34)은 상기 보스(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링(34)의 내면 일부는 서로 대칭되게 요입되어 요입부(36)를 형성한다. 상기 요입부(36)는 상기 걸림돌기(18)가 삽입되기 위해 형성된 부분으로서, 상기 삽입링(34)이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상기 요입부(36)를 제외한 내주면이 상기 걸림돌기(18)에 걸어져 상기 구동레버(34)가 보스(14)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링(34)의 상면을 따라서는 한 쌍의 캠돌기(38)가 형성된다. 상기 캠돌기(38)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핀(42)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캠돌기(38)에는 고정핀(42)의 상하이동을 직접적으로 안내하는 경사면(38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38a)의 상부에 인접하게 상부안착면(38b)이 형성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경사면(38a)의 하부에 인접하게 하부안착면(38c)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안착면(38b)과 하부안착면(38c)은 각각 고정핀(42)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안착되는 부분이다.
또한, 고정핀(42)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40)가 각각 상기 상부안착면(38b)과 하부안착면(38c)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삽입링(34)의 일측에는 핸들(41)이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핸들(41)은 상기 구동레버(32)를 조작할 때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잡는 부분이다.
상기 관통공(16)과 중심공(28)이 동축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를 관통하여 고정핀(42)이 삽입된다. 상기 고정핀(42)은 대략 봉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흡착부(22)가 상하방으로 상대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핀(42)의 중앙에는 상기 중심공(28)과의 마찰력을 높여 중심공(28)에 고정핀(42)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부(44)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흡착판(10)에는 상기 거치대(1)의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몸체(5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몸체(50)는 상기 결합면(19)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지지몸체(50)는 대략 소정의 각도로 휜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플레이트(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몸체(50)의 하단부는 상기 흡착판(10)과 결합할 수 있도록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50)의 상단부에는 구 형상의 헤드부(5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몸체(50)와 헤드부(52)는 상기 헤드부(52)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목부(51)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50)의 헤드부(52)는 상기 장착플레이트(60)와 피벗 결합된다. 상기 장착플레이트(60)는 네비게이션, 디엠비 등의 차량용기기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플레이트(60)의 일면에는 상기 헤드부(52)가 결합되는 결합부(62)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62)에는 상기 헤드부(52)와 외주면이 접한 상태로 다양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의 안착면(6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62)의 외주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70)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6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62)는 홀더(70)와 나사결합될 때 홀더(70)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장착플레이트(60)의 일면 즉, 상기 결합부(62)가 형성된 면의 반 대면에는 네비게이션, 디엠비 등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돌기(66)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돌기(66)는 상기 장착플레이트(60)에 네 개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62)에는 상기 헤드부(52)가 결합된 상태에서 홀더(70)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70)의 내주면에도 상기 나사산(62')에 대응되는 나사산(7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70)의 선단 내주면 즉, 상기 홀더(70)에서 상기 장착플레이트(6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압축경사면(72)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압축경사면(72)은 상기 결합부(62)에 나사결합될 때 결합부(62)의 외면을 압축하여 상기 헤드부(52)를 단단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62)가 내측으로 탄성변형 된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에서, 상기 결합부(62) 및 홀더(70)는 다음과 같은 강도를 가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먼저, 상기 거치대(1)가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하면 상기 장착플레이트(60)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을 정도로 죄어져야 한다. 또한, 상기 장착플레이트(60)가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회전된 후에는 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장착플레이트(60) 및 이에 장착된 네비게이션 등을 지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죄어져야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흡착판의 조립과정 및 작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흡착부(22)를 바닥면에 놓은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보스(30)에 탄성부재(31)를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흡착부(22)를 덮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스(14)에 상기 구동레버(32)의 삽입 링(34)이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핀(42)이 상기 관통공(16) 및 중심공(28)을 관통하도록 삽입한다. 이때, 상기 고정핀(42)은 상기 하부안착면(38c) 상에 위치하도록 삽입하여야 한다. 상기 고정핀(42)은 상기 나사부(44)가 상기 중심공(28)에 마찰에 의해 걸릴때까지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흡착판(10)이 조립된 상태가 상기 흡착판(10)의 흡착해제상태이다. 이 상태가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흡착판(10)의 흡착해제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41)을 도 3a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레버(32)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핀(42)이 상기 경사면(38a)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상부안착면(38b)에 안착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흡착부(22)는 상기 탄성부재(31)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상기 흡착부(22)는 흡착부(22) 전체가 상승하는 것이 아니고 상기 흡착부(22)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심부가 상승하면서 흡착력으로 바닥면에 고정된다. 이 상태가 바로 상기 흡착판(10)의 흡착상태로서 도 3b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흡착판(10)의 흡착상태에서 상기 거치대(1)를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위해 흡착상태를 해제하려면, 상기 핸들(41)을 반대방향 즉, 도 3b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레버(32)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핀(42)은 상기 경사면(38a)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42)이 상기 하부안착면(38c)에 안착되면 상기 흡착판(10)의 흡착상태가 해제된다. 사용자는 상기 흡착판(10)의 흡착해제상태에서 상기 해제손잡이(24)를 들어올려 흡착판(10)을 바닥면으로부터 완전하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몸체(50)와 장착플레이트(60)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는 상기 홀더(70)가 상기 헤드부(52)를 통과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52)는 상기 결합부(60)의 안착면(64)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부(52)가 상기 결합부(60)에 의해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헤드부(52)를 통과한 홀더(70)는 상기 결합부(60)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홀더(70)는 상기 결합부(60)와 나사산(62',70')을 통해 나사결합되면서 죄어진다. 상기 홀더(70)를 죄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압축경사면(72)이 상기 결합부(60)의 외면을 압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60)의 선단에 해당하는 부분이 상기 결합부(60)의 내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헤드부(52)를 조이는 것이다. 물론, 본 도면에서 상기 홀더(70)는 작업자에 의해 더 죄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홀더(70)가 결합되면 상기 헤드부(52)는 상기 장착플레이트(60)에 대해 피벗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홀더(70)및 결합부(62)가 상기 헤드부(52)를 죄는 강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일정한 힘을 가하여 상기 헤드부(52)를 피벗할 수 있고 피벗된 상태에서는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의 제 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 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 상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용 거치대(101)는 크게 거치대(101)를 바닥면에 부착시키고 지지하는 흡착판(110)과, 상기 흡착판(110)의 상부에서 연결되어 거치대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몸체(150)와, 상기 지지몸체(150)의 상단에는 차량용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장착플레이트(16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흡착판(110) 및 지지몸체(15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같은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장착플레이트(160)의 일면에는 헤드부(152)와 결합되는 결합부(162)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62)는 대략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면 일측에는 각각 체결날개(164)가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날개(164)에는 체결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보스(182)가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류에 의해 체결된다. 한편, 상기 장착플레이트(160)의 양단에는 각각 차량용기기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돌기(16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62)의 선단에는 와셔(170)가 끼워진다. 동시에 상기 상기 와셔(170)는 상기 헤드부(152)가 결합부(162)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와셔(170)는 상기 결합부(162)의 선단에 걸릴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셔(170)는 상기 헤드부(152)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목부(151)보다는 큰 지름을 가지고, 상기 목부(151)에 삽입되기 위해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162)에는 상기 헤드부(152) 및 와셔(170)가 결합된 상태 에서 고정소켓(180)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소켓(180)의 양측에는 상기 체결날개(164)에 대응되는 체결보스(182)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보스(182)에는 상기 체결날개(164)의 체결공(도시되지 않음)에 대응되는 체결공(182')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해 차량용 거치대가 조립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흡착판(110)이 조립되는 과정은 제 1실시예에서 살펴본 바 생략하고,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상기 지지몸체(150)와 장착플레이트(160)가 조립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우선, 작업자는 상기 헤드부(152)가 상기 결합부(162)의 선단 쪽에서 결합부(162)를 통과하도록 한다(도 7a). 이 상태에서 상기 목부(151)로 상기 와셔(170)를 끼운다(도 7b). 상기 와셔(170)는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와셔(170)를 쉽게 상기 목부(151)에 끼울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와셔(170)의 단차진 부분이 상기 결합부(162)의 선단에 걸릴 때까지 상기 지지몸체(150)를 끌어 당긴후에 상기 고정소켓(180)을 상기 결합부(162)에 결합시킨다(도 7c). 이때, 상기 와셔(170)의 단차진 부분의 반대부분은 상기 헤드부(152)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소켓(180)은 상기 체결공(182')에 스크류를 결합하여 조립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몸체(150)와 장착플레이트(160)가 결합되면 상기 장착플레이트(160)가 지지몸체(150)에 대해 피벗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장착플레이트(160)는 상기 지지몸체(150)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피벗할 수 있고, 피벗된 상태에서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 을 정도의 힘으로 죄어질 수 있도록 결합부위가 설계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거치대를 바닥면에 지지하는 부분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는 흡착판으로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구동레버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쉽게 차량용 거치대를 차량 내부에 착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차량용 거치대를 차량 내부의 원하는 부분에 착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기기가 장착되는 장착플레이트가 지지몸체와 피벗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착플레이트의 회전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다양한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5)

  1. 일측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보스가 일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중심축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에는 일측으로 관통되는 중심공이 형성되는 흡착부와;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판과 하우징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흡착부의 상대이동을 조절하는 구동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이 상기 보스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 및 중심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고정핀의 상하이동궤적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장공이고, 상기 중심공은 상기 고정핀의 지름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레버는,
    상기 보스에 삽입되어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회전가능하고, 상기 고정핀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캠돌기가 형성되는 삽입링과;
    상기 삽입링의 일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돌기는,
    상기 고정핀의 상하이동시에 상기 고정핀을 직접적으로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고정핀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안착되는 상부안착면과;
    상기 고정핀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안착되는 하부안착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링에는 상기 고정핀이 상기 상부안착면 또는 하부안착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중심축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스프링보스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흡착부가 흡착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흡착부를 쉽게 떼어내기 위한 해제손잡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에는 상기 삽입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링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요입부가 요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판.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면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에 헤드부가 구비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헤드부와 피벗 결합되는 결합부가 일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헤드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의 외면을 조이도 록 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결합부의 선단을 죄이기 위한 압축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차량용 기기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13.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면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에는 목부에 의해 연결되는 헤드부가 구비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상단에 구비된 헤드부와 피벗 결합되는 결합부가 일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목부에 끼워져 상기 결합부의 선단에 걸림으로써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는 와셔와;
    상기 헤드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헤드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고, 상기 목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체결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소켓의 양측에는 체결보스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날개 및 체결보스에는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어 스크류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KR1020070020426A 2007-02-28 2007-02-28 흡착판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KR20080079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426A KR20080079867A (ko) 2007-02-28 2007-02-28 흡착판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EP08003462A EP1964723A3 (en) 2007-02-28 2008-02-26 Suction plate and cradle for an automobile
CNA200810081576XA CN101255889A (zh) 2007-02-28 2008-02-27 吸板和具有该吸板的用于汽车的支架
US12/039,439 US20080217826A1 (en) 2007-02-28 2008-02-28 Suction plate and cradle for an automobi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426A KR20080079867A (ko) 2007-02-28 2007-02-28 흡착판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867A true KR20080079867A (ko) 2008-09-02

Family

ID=3989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426A KR20080079867A (ko) 2007-02-28 2007-02-28 흡착판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79867A (ko)
CN (1) CN1012558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7477A (zh) * 2012-08-16 2014-02-19 昆达电脑科技(昆山)有限公司 吸盘式车载支架的吸盘固定装置
CN111016809B (zh) * 2019-12-14 2021-09-21 深圳市奇果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gps导航系统
MX2022015170A (es) * 2020-07-15 2023-01-16 Elena Igorevna Kazanceva Soporte para secador de pel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55889A (zh)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17826A1 (en) Suction plate and cradle for an automobile having the same
JP4254846B2 (ja) 吸盤装置
US20090119934A1 (en) Auto chain tensioner
KR20080079867A (ko) 흡착판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US8984987B2 (en) Adaptor for turn signal lever
KR20230002376A (ko) 순응성 행거 어셈블리
KR20080097663A (ko) 흡착판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KR100624064B1 (ko) 차량용 핸즈프리 고정구
JP2001520141A (ja) 携帯電話用のホルダ
JP2004291956A (ja) 自動車用物品キャリヤ及びブラケットアセンブリ
JP5018175B2 (ja) 電子機器
KR200425041Y1 (ko)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JP4827914B2 (ja) モニタースタンド
JP7485363B2 (ja) 車載器取付用ステー及び車載器
KR101007215B1 (ko) 링형 손잡이가 구비된 체결구
JP4840430B2 (ja) 吸盤装置
CN211731241U (zh) 车辆a柱夹具
JP2002144971A (ja) 受像機取付け具
JP3150491U (ja) ボトル装着用キャップ付きボールヘッド
PT790358E (pt) Acessorio de duche
KR0136830Y1 (ko) 카 오디오용 원격 조정기의 설치구조
JPH11151971A (ja) 車輌用灯具の照射角度調整機構
KR20040087291A (ko) 차량의 유리에 탈부착 용이한 차량용 선바이저
KR930007737Y1 (ko) 자동차용 안테나의 부착장치
CN114851970A (zh) 置物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