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444A - 소독수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소독수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444A
KR20230024444A KR1020210092878A KR20210092878A KR20230024444A KR 20230024444 A KR20230024444 A KR 20230024444A KR 1020210092878 A KR1020210092878 A KR 1020210092878A KR 20210092878 A KR20210092878 A KR 20210092878A KR 20230024444 A KR20230024444 A KR 20230024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electrode plates
water suppl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172B1 (ko
Inventor
이선호
박준형
박재영
성시원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노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노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노바
Priority to KR1020210092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172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소독수 공급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공급 장치는, 유입부를 통해 일반수가 유입되며, 토출부를 통해 일반수 또는 소독수를 배출하는 베이스 라인; 일단이 제1 밸브를 통해 상기 베이스 라인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베이스 라인 중 제1 밸브 하류 지점에 연결되는 소독수 생성 라인; 상기 소독수 생성 라인으로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 공급부; 및 상기 소독수 생성 라인에 마련되며, 일반수와 염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포함하는 소독수를 생성하는 관형 전기분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형 전기분해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전극판; 상기 다수의 전극판의 간격을 유지시키며, 상기 다수의 전극판으로 외부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도체;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전도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지지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독수 공급 장치{DISINFECTION WAT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소독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포함하는 소독수 또는 일반수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소독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음식업소 등에서 식기, 과일이나 채소 등의 음식물을 세척하기 위해 별도의 전용 합성세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2차적인 수질오염을 일으키는 최대 원인 중 하나이다.
또한 최근에는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상당수의 채소에서 살충제, 제초제 성분이 검출되고, 특히 병원성 대장균이나 살모넬라균 장염 비브리오 등 각종 균에 오염된 채소로 인한 식중독 발생이 문제되고 있어 식재료에 대한 적절한 수준의 소독이 필요한 실정이다.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은 정수장, 하수처리장의 살균장치, 일반화학 공장의 냉각용수 보일러, 담수화 공정 처리수, 발전소의 냉각수 처리, 수영장 및 가정용 표백제 등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염소계 소독제이다.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발생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전기분해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는 설비의 복잡화 및 대형화로 인해 가정이나 식당 등과 같은 소형화된 설비가 필요한 곳에는 적용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1254호(2020.06.04 등록)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포함하는 소독수 또는 일반수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소독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독수 공급 장치는, 유입부를 통해 일반수가 유입되며, 토출부를 통해 일반수 또는 소독수를 배출하는 베이스 라인; 일단이 제1 밸브를 통해 상기 베이스 라인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베이스 라인 중 제1 밸브 하류 지점에 연결되는 소독수 생성 라인; 상기 소독수 생성 라인으로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 공급부; 및 상기 소독수 생성 라인에 마련되며, 일반수와 염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포함하는 소독수를 생성하는 관형 전기분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형 전기분해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전극판; 상기 다수의 전극판의 간격을 유지시키며, 상기 다수의 전극판으로 외부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도체;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전도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 배관 형상이며, 상기 고정 지지대는, 외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내면에 상기 전도체가 고정되며, 상기 전도체는, 외면이 상기 고정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내면에 다수의 전극판이 고정되는 고정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 배관 형상이며, 상기 고정 지지대는, 외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밀착되는 호(arc) 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 지지대의 내면은 평탄한 제1 평탄부와 상기 제1 평탄부의 양단에서 각각 바깥 방향을 향해 경사지는 제1 경사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도체는, 외면이 상기 제1 평탄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평탄부와 상기 제1 경사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경사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도체의 내면은 상기 다수의 전극판이 고정되는 고정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전극판 중 가장 바깥에 위치한 전극판은 중앙에 위치한 전극판보다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도체로 외부 전원을 인가시키는 외부 전원 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전원 핀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도입되어 상기 전도체에 형성된 결합 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원 핀을 감싸며, 상기 관통홀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O-R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라인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일반수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일반수에 포함된 중금속을 제거하는 제1 필터; 상기 제1 필터를 통과한 일반수에 포함된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는 제2 필터; 및 상기 제2 필터를 통과한 일반수에 포함된 염소를 제거하는 제3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베이스 라인 중 상기 제3 필터 하류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베이스 라인 중 제2 필터와 제3 필터 사이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관형 전기분해부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의 동작 및 상기 관형 전기분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반수를 이용하는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베이스 라인에서 상기 소독수 생성 라인으로 일반수가 유통되지 않도록 제1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관형 전기분해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소독수를 이용하는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베이스 라인에서 상기 소독수 생성 라인으로 일반수가 유통되도록 제1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관형 전기분해부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염수 공급부는, 상기 관형 전기분해부보다 높은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 배관 형상이며, 상기 다수의 전극판은, 제1 그룹의 전극판과 제2 그룹의 전극판으로 구성되고, 같은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제1 그룹의 전극판이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서부터 바깥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되기 전까지 복수개가 설치되고,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상기 제2 그룹의 전극판이 상기 제1 그룹의 전극판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전극판들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되기 전까지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독수 공급 장치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포함하는 소독수 또는 일반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 전기분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 전기분해부의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링(O-Ring)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 전기분해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 전기분해부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체와 고정 지지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공급 장치가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공급 장치가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공급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공급 장치(100)는, 베이스 라인(110)과, 소독수 생성 라인(120)과, 염수 공급부(130)와, 관형 전기분해부(140) 및 필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라인(110)은 유입부(10) 및 토출부(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유입부(10)는 일반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일반수는 정수장 등에서 공급되는 원수로, 일 예로서 염소이온의 농도가 0.7ppm 이하인 물일 수 있다.
베이스 라인(110)은 유입부(10)를 통해 일반수가 유입될 수 있다. 베이스 라인(110)은 유입부(10)를 통해 일반수가 유입되며, 토출부(20)를 통해 일반수 또는 소독수를 배출할 수 있다. 베이스 라인(110)은 일 예로서, 파이프 라인 또는 배관 라인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토출부(20)는 관형 전기분해부(140)에 의해 생성된 소독수 또는 유입부(10)로부터 공급되는 일반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토출부(20)의 일 예로서 토출부(20)는 싱크대의 주방 수전에 연결되어 싱크대로 일반수 또는 소독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소독수 생성 라인(120)은 일단이 제1 밸브(V1)를 통해 베이스 라인(110)에 연결되며, 타단이 베이스 라인(110) 중 제1 밸브(V1) 하류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밸브(V1)는 삼방향(3-way) 밸브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염수 공급부(130)는 소독수 생성 라인(120)으로 염수를 공급할 수 있다. 염수 공급부(130)는 염수 공급 라인(131)을 통해 소독수 생성 라인(120)으로 염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염수 공급 라인(131)은 소독수 생성 라인(120) 중 관형 전기분해부(140)보다 상류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염수 공급부(130)를 통해 공급된 염수가 소독수 생성 라인(120)을 통해 관형 전기분해부(14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염수 공급부(130)는 관형 전기분해부(140)보다 높은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염수 공급부(130)는 관형 전기분해부(140)보다 높은 곳에 배치됨으로써, 중력의 영향으로 염수 공급부(130)에서 관형 전기분해부(140)로 염수가 자동적으로 보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염수는 전해질인 소금(NaCl)이 포함된 액체를 의미하는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염수는 전해질인 소금(NaCl) 그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염수가 전해질인 소금(NaCl)이 포함된 액체인 경우, 염수 공급부(130)로부터 전해질인 소금(NaCl)이 포함된 염수가 소독수 생성 라인(1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염수가 소금(NaCl) 그 자체인 경우, 염수 공급부(130)로부터 전해질인 소금이 소독수 생성 라인(130)으로 공급되어 소독수 생성 라인(120)에서 용해될 수도 있다.염수 공급부(130)는 전해질인 소금(NaCl)이 포함된 염수를 소독수 생성 라인(120)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일반수와 염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관형 전기분해부(140)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관형 전기분해부(140)에 전류인가시 NaCl은 Na+와 Cl-로 전기분해되고, 관형 전기분해부(140)의 내부에서 양극판(142a)에서는 산화반응이 일어나고 음극판(142b)에서는 환원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주요 화학식은 다음과 같다.
(양극)
2Cl- -> Cl2 + 2e
(음극)
2H2O + 2e -> H2 + 2OH-
2Na+ + 2OH- -> 2NaOH
즉, 음극판(142b) 측에서는 수소(H2)가 발생하고 나트륨이온(Na+)과 수산화이온(OH-)으로 수산화나트륨(NaOH)가 발생하게 된다. 이 수산화나트륨(NaOH)는 양극판(142a)에서 생성된 염소(Cl2)와 반응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이 제조될 수 있다.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성반응)
Cl2 + 2NaOH -> NaOCl + NaCl + H2O
이러한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은 음용수 처리, 식물 및 채소, 육류가공, 수영장 및 가정용 표백제 등으로 사용되는 염소계 소독제이다. 본 발명의 관형 전기분해부(140)에서 생산된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포함하는 소독수는 토출부(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관형 전기분해부(14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소독수 생성 라인(120)에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관형 전기분해부(140)는 3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관형 전기분해부(140)가 1개 또는 복수개로 마련된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형 전기분해부(140)가 3개로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관형 전기분해부(140)는 하우징(141), 전극판(142), 전도체(143) 및 고정 지지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하우징(141)은 원통형 배관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141)은 부도체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41)은 전단부에 제1 커버(141a)가 결합될 수 있으며, 후단부에 제2 커버(141b)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버(141a)는 유입구(141a-1)가 구비되어 제1 커버(141a)의 유입구(141a-1)를 통해 하우징(141)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제2 커버(141b)는 유출구(142b-1)가 구비되어 제2 커버(141b)의 유출구(142b-1)를 통해 하우징(141)에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즉, 관형 전기분해부(140)는 소독수 생성 라인(120)에 구비되어 소독수 생성 라인(120)을 통과하는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다.
제1 커버(141a)는 하우징(141)에 PVC 본드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하우징(14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버(141b)는 하우징(141)에 PVC 본드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하우징(141)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제2 커버(141b)의 유출구(142b-1)는 제1 커버(141a)의 유입구(141a-1)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버(141a)의 유입구(141a-1)를 통해 유입된 물이 하우징(141)을 가득 채우게 되고, 하우징(141) 내부에 구비되는 전극판(142)이 모두 물에 잠길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전기분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 전기분해부(140)는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이웃하는 관형 전기분해부(140)가 외부 전원 핀(P)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하나의 외부 전원을 통해서도 복수의 관형 전기분해부(140)를 동시에 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는 차별화되는 구조를 갖는다.
다수의 전극판(142)은 하우징(141) 내부에 설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전극판(142)은 복수의 양극판(142a) 및 복수의 음극판(14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양극판(142a)과 복수의 음극판(142b)이 교번하여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다.
양극판(142a)은 티타늄 기재에 루테늄, 이리듐 등의 백금족 원소를 코팅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음극판(142b)은 티타늄 기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도체(143)는 다수의 전극판(142)의 간격을 유지시키며, 다수의 전극판(142)으로 외부 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도체(143)는 한 쌍(143', 143")이 마련되어 전극판(142)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전극판(142)에 결합될 수 있다. 전도체(143)는 티타늄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전류가 통전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도체(143)를 지지하는 고정 지지대(144) 역시도 한 쌍(144', 144")이 마련되어 상방의 전도체(143") 및 하방의 전도체(143')를 각각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된 도면부호 "S"는 다수의 전극판(142) 사이에 마련되는 스페이서를 나타내며, 스페이서는 전극판(142)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스페이서는 이웃하는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서 전류가 통전되지 않도록 테프론 재질의 부도체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재질의 부도체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고정 지지대(144)는 하우징(141) 내부에서 전도체(14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 지지대(144)는 전류가 통전되지 않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 지지대(144)는 외면(144a)이 하우징(141)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정 지지대(144)는 외면(144a)이 하우징(141)의 내주면을 따라 밀착되는 호(arc)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지지대(144)는 내면(144b)에 전도체(143)가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지지대(144)의 내면(144b)은 평탄한 제1 평탄부(144b-1)와 제1 평탄부(144b-1)의 양단에서 각각 바깥을 향해 경사지는 제1 경사부(144b-2)로 구성될 수 있다.
전도체(143)는 외면(143a)이 고정 지지대(14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전도체(143)는 내면(143c)에 다수의 전극판(142)이 고정되는 고정 슬릿(143e)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슬릿(143e)은 요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고정 슬릿(143e)에 전극판(142)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전도체(143)는 외면(143a)이 제2 평탄부(143a-1)와 제2 경사부(143a-2)로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평탄부(143a-1)는 고정 지지대(144)의 제1 평탄부(144b-1)에 의해 지지되고, 제2 경사부(143a-2)는 제1 경사부(144b-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전도체(143)의 외면(143a)은 고정 지지대(144)의 내면(144b)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도체(143)의 외면(143a)이 고정 지지대(144)의 내면(144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다수의 전극판(142) 중 가장 바깥에 위치한 전극판(142)은 중앙에 위치한 전극판(142)보다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우징(141)은, 원통형 배관 형상이며, 다수의 전극판(142)는 제1 그룹의 전극판(142)과 제2 그룹의 전극판(1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같은 높이를 가지는 제1 그룹의 전극판(142)이 하우징(141)의 중앙에서부터 바깥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되, 하우징(141)의 내주면에 밀착되기 전까지 복수개가 설치되고,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제2 그룹의 전극판(142)이 제1 그룹의 전극판(142)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전극판(142)들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되, 하우징(141)의 내주면에 밀착되기 전까지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형 단면을 가지며, 제한된 공간을 가진 하우징(141)의 내부에서 다수의 전극판(142)이 점유하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공급 장치(100)는 외부 전원 핀(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원 핀(P)은 전도체(143)로 외부 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다. 외부 전원 핀(P)은 하우징(141)에 형성된 관통홀(141c)을 통해 하우징(141)의 외부에서 하우징(141)의 내부로 도입되어 전도체(143)에 형성된 결합 핀(143d)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부 전원 핀(P)은 전압기 또는 정류기 등 전극판(142)으로 외부 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는 수단(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외부 전원 핀(P)을 통해 인가된 전원이 전도체(143)를 통해 전극판(142)으로 인가될 수 있다. 한편, 전극판(142) 중 양극판(142a) 및 음극판(142b)은 각각 양의 전원 및 음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전원 핀(P)은 전도체(143)에 결합 핀(143d)과 결합될 수 있는 슬롯(P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공급 장치(100)는 오링(O, O-R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링(O, O-Ring)은 외부 전원 핀(P)을 감싸며, 관통홀(141c)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오링(O, O-Ring)은 스크류 볼트(B)에 의해 관통홀(141c)에 밀착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외부 전원 핀(P)에 오링(O, O-Ring)을 끼운 상태에서 스크류 볼트(B)를 조이게 되면, 스크류 볼트(B)가 하우징(140)의 관통홀(141c)에 연결되는 경사진 부위(141d)로 오링(O, O-Ring)을 가압하게 되고, 오링(O, O-Ring)이 관통홀(141c)에 밀착되며 조여지게 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크류 볼트(B)는 외부 전원 핀(P)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공급 장치(100)는 필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필터부(150)는 베이스 라인(110)에 마련되며, 유입부(10)를 통해 유입되는 일반수를 필터링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필터부(150)는 제1 필터(151), 제2 필터(152) 및 제3 필터(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151)는 일반수에 포함된 중금속을 제거하는 필터일 수 있다. 제2 필터(152)는 제1 필터(151)를 통과한 일반수에 포함된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는 필터일 수 있다. 제3 필터(153)는 제2 필터(152)를 통과한 일반수에 포함된 염소를 제거하는 필터일 수 있다.
한편, 제1 필터(151), 제2 필터(152) 및 제3 필터(153)의 배치 순서는 전술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공급 장치(100)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밸브(V1)의 동작 및 관형 전기분해부(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공급 장치(100)의 일반수를 이용하는 제1 모드인 경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공급 장치(100)는 사용자가 일반수를 이용하는 제1 모드인 경우, 베이스 라인(110)에서 소독수 생성 라인(120)으로 일반수가 유통되지 않도록 제1 밸브(V1)를 제어하며, 관형 전기분해부(140)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유입부(10)를 통해 베이스 라인(110)으로 유입된 일반수가 필터부(150)를 통과한 뒤, 소독수 생성 라인(120)으로 공급되지 않고 "L1"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L2"의 이동경로를 통과한 뒤 토출부(20)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토출부(20)는 일 실시예로서, 싱크대에 주방 수전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싱크대로 일반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일반수는 필터부(150)를 통과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필터부(150)에 의해 중금속, 유기화합물, 염소 등이 제거된 상태의 정수된 일반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제1 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제2 밸브(V2)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염수 공급부(130)에서 관형 전기분해부(140)로 염수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모드인 경우 제어부는 제3 밸브(V3)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제1 밸브(V1)를 통과한 일반수가 관형 전기분해부(14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공급 장치(100)의 소독수를 이용하는 제2 모드인 경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공급 장치(100)는 사용자가 소독수를 이용하는 제2 모드인 경우, 베이스 라인(110)에서 소독수 생성 라인(120)으로 일반수가 유통되도록 제1 밸브(V1)를 제어하며, 관형 전기분해부(140)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입부(10)를 통해 베이스 라인(110)으로 유입된 일반수가 필터부(150)를 통과한 뒤 곧바로 토출부(20)로 배출되지 않고, 소독수 생성 라인(120)으로 "L1"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공급될 수 있다. 즉, 일반수가 소독수 생성 라인(1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염수 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염수와 일반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제2 밸브(V2)를 통과하여 관형 전기분해부(140)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제2 밸브(V2)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관형 전기분해부(140)를 통과하며 전기분해된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포함하는 소독수는 제3 밸브(V3)를 통과한 뒤 경로 "L2"를 따라서 토출부(20)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토출부(20)는 일 실시예로서, 싱크대에 주방 수전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싱크대로 소독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소독수는 필터부(150) 및 관형 전기분해부(140)를 통과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필터부(150)에 의해 중금속, 유기화합물, 염소 등이 제거된 상태이며, 관형 전기분해부(140)에 의해 소독 능력을 가진 소독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공급 장치(100)가 소독수를 공급하는 제2 모드를 구현하는 경우, 생성된 소독수는 유효염소농도가 4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사용자가 변경하려는 경우, 싱크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풋 스위치를 사용자가 밟음으로써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가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달리 별도의 푸쉬 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푸쉬 버튼을 눌름으로써 제1 모드 제2 모드가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9 내지 10과 같이 제1 밸브(V1)는 일 실시예로서, 베이스 라인(110) 중 필터부(150) 하류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 공급 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밸브(V1)는 베이스 라인(110) 중 제2 필터(152)와 제3 필터(153) 사이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밸브(V1)가 베이스 라인(110) 중 제2 필터(152)와 제3 필터(153) 사이에 마련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우선, 일반수를 이용하는 제1 모드인 경우, 일반수가 제3 필터(153)를 통과한 뒤 토출부(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중금속, 유기화합물, 염소 등이 제거된 정수된 일반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소독수를 이용하는 제2 모드인 경우, 일반수가 제3 필터(153)를 통과하지 않고 소독수 공급 라인(120)으로 공급되도록 제1 밸브(V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수에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염소가 관형 전기분해부(140)로 도입됨으로써, 일반수에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염소를 전기분해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유입부 20: 토출부
100: 소독수 공급 장치 110: 베이스 라인
120: 소독수 생성 라인 130: 염수 공급부
140: 관형 전기분해부

Claims (14)

  1. 유입부를 통해 일반수가 유입되며, 토출부를 통해 일반수 또는 소독수를 배출하는 베이스 라인;
    일단이 제1 밸브를 통해 상기 베이스 라인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베이스 라인 중 제1 밸브 하류 지점에 연결되는 소독수 생성 라인;
    상기 소독수 생성 라인으로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 공급부; 및
    상기 소독수 생성 라인에 마련되며, 일반수와 염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포함하는 소독수를 생성하는 관형 전기분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형 전기분해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전극판;
    상기 다수의 전극판의 간격을 유지시키며, 상기 다수의 전극판으로 외부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도체;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전도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수 공급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 배관 형상이며,
    상기 고정 지지대는, 외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내면에 상기 전도체가 고정되며,
    상기 전도체는, 외면이 상기 고정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내면에 다수의 전극판이 고정되는 고정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수 공급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 배관 형상이며,
    상기 고정 지지대는, 외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밀착되는 호(arc) 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 지지대의 내면은 평탄한 제1 평탄부와 상기 제1 평탄부의 양단에서 각각 바깥 방향을 향해 경사지는 제1 경사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도체는, 외면이 상기 제1 평탄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평탄부와 상기 제1 경사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경사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도체의 내면은 상기 다수의 전극판이 고정되는 고정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수 공급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극판 중 가장 바깥에 위치한 전극판은 중앙에 위치한 전극판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수 공급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로 외부 전원을 인가시키는 외부 전원 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전원 핀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도입되어 상기 전도체에 형성된 결합 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수 공급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 핀을 감싸며, 상기 관통홀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O-Rin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수 공급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라인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일반수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수 공급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일반수에 포함된 중금속을 제거하는 제1 필터;
    상기 제1 필터를 통과한 일반수에 포함된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는 제2 필터; 및
    상기 제2 필터를 통과한 일반수에 포함된 염소를 제거하는 제3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수 공급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베이스 라인 중 상기 제3 필터 하류 지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수 공급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베이스 라인 중 제2 필터와 제3 필터 사이 지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수 공급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전기분해부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수 공급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의 동작 및 상기 관형 전기분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반수를 이용하는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베이스 라인에서 상기 소독수 생성 라인으로 일반수가 유통되지 않도록 제1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관형 전기분해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소독수를 이용하는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베이스 라인에서 상기 소독수 생성 라인으로 일반수가 유통되도록 제1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관형 전기분해부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수 공급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 공급부는, 상기 관형 전기분해부보다 높은 곳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수 공급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 배관 형상이며,
    상기 다수의 전극판은, 제1 그룹의 전극판과 제2 그룹의 전극판으로 구성되고,
    같은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제1 그룹의 전극판이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서부터 바깥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되기 전까지 복수개가 설치되고,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상기 제2 그룹의 전극판이 상기 제1 그룹의 전극판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전극판들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되기 전까지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수 공급 장치.
KR1020210092878A 2021-07-15 2021-07-15 소독수 공급 장치 KR102542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878A KR102542172B1 (ko) 2021-07-15 2021-07-15 소독수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878A KR102542172B1 (ko) 2021-07-15 2021-07-15 소독수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444A true KR20230024444A (ko) 2023-02-21
KR102542172B1 KR102542172B1 (ko) 2023-06-13

Family

ID=8532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878A KR102542172B1 (ko) 2021-07-15 2021-07-15 소독수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1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847A (ko) * 2010-05-19 2018-01-24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KR20180078613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기
KR102104511B1 (ko) * 2019-07-08 2020-05-29 (주)하이클로 소규모 상수시설용 살균장치
KR102121254B1 (ko) 2019-12-04 2020-06-10 (주)하이클로 전기분해조 내에 구비된 티타늄 재질의 열교환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847A (ko) * 2010-05-19 2018-01-24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KR20180078613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기
KR102104511B1 (ko) * 2019-07-08 2020-05-29 (주)하이클로 소규모 상수시설용 살균장치
KR102121254B1 (ko) 2019-12-04 2020-06-10 (주)하이클로 전기분해조 내에 구비된 티타늄 재질의 열교환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172B1 (ko) 202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8929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5954939A (en) Electrolyzing apparatus and electrolyzing method for electrolyzing flowing water containing chlorine ions
JP3988827B2 (ja) 負および正の酸化還元電位(orp)水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6047055A1 (ja) 電解液体生成装置、電解液体生成装置を備える液体改質装置、および電解液体生成装置で生成された電解液体を用いる電気機器
KR100706215B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US20100224483A1 (en) Unit for producing sterilized water, cartridge comprising the unit and washing machine comprising the cartridge
KR100802361B1 (ko) 전해살균 소독수 공급장치
KR101896201B1 (ko) 살균세척수 생성 시스템이 장착된 싱크대
JPH10140384A (ja) 電解による強アルカリ水と次亜塩素酸殺菌水の同時生成装置
KR100634760B1 (ko) 과전위전극 전해셀을 이용한 살균산화수 제조장치
CA2471391C (en) Electrolytic device and method for disinfecting water in a water supply system by means of the generation of active chlorine
US20160097132A1 (en) Reusable spray bottle with integrated dispenser
KR102542172B1 (ko) 소독수 공급 장치
KR200435320Y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JPH08290168A (ja) 塩素イオンを含む流水の電気分解装置および電気分解方法
JP2007014888A (ja) 消毒装置
JP6000673B2 (ja) オゾン水生成装置のリフレッシュ洗浄方法
KR100603536B1 (ko)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전기분해장치
KR101561303B1 (ko) 전극살균모듈을 이용한 식기세척기
KR101744569B1 (ko) 수도수와 살균수가 혼합된 급수시스템
KR102104510B1 (ko) 소규모 상수시설용 살균장치
KR20120028515A (ko) 살균제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EP1226094B1 (en) Device for electrolysis
KR20100106856A (ko) 살균수 생성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KR20120133703A (ko) 살균기능을 가진 수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