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395A - 이미지 획득 방법, 장치 및 전자 설비 - Google Patents

이미지 획득 방법, 장치 및 전자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395A
KR20230024395A KR1020237001570A KR20237001570A KR20230024395A KR 20230024395 A KR20230024395 A KR 20230024395A KR 1020237001570 A KR1020237001570 A KR 1020237001570A KR 20237001570 A KR20237001570 A KR 20237001570A KR 20230024395 A KR20230024395 A KR 20230024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image
mo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 딩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24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전자 설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지 획득 방법, 장치 및 전자 설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전자 설비는 상기 케이스에 투광홀과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투광홀은 상기 케이스의 제 1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구는 상기 케이스의 제 2 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은 인접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를 포함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안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는 상기 투광홀과 마주보고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밖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투광홀과 마주보고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획득 방법, 장치 및 전자 설비
본 출원은 2020년 6월 24일에 중국에서 제출된 중국 특허출원번호가 No. 202010589107.X인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그 내용은 전부 본 출원에 원용된다.
본 출원은 전자 설비 기술 분야에 속하고 구체적으로 이미지 획득 방법, 장치 및 전자 설비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의 기능이 점점 강해지고 사용자의 수요도 점점 높아지면서 기존의 통화 및 인터넷 기능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휴대폰의 사진 촬영 체험에 대한 요구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휴대폰은 카메라의 고화소 요구로 인해 카메라가 점점 두껍게 만들고 있으며 휴대폰은 단일 카메라에서 멀티 카메라로 발전하여 더 많은 사진 촬영의 재미와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가져왔고 현재의 발전 방향으로 되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실제 후면 카메라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모든 카메라에 대해 모두 강렬하게 필요하는 것은 아니고, 가장 자주 사용하는 주요 카메라는 후면 메인 카메라와 그중의 어느 한 카메라(예: 광각 카메라)뿐이고, 기타 카메라에 대한 수요는 그다지 많지는 않다. 기존의 휴대폰 디자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후면 카메라를 위해 각각 개구를 내는다. 동시에 카메라 액세서리는 백커버로부터 많이 튀어나와 있을 뿐만 아니라 면적도 크다. 구체적으로 후면 카메라 전체 위치의 개구가 너무 많고 카메라 액세서리 위치의 돌출 면적이 커서 케이스의 구조적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쉽게 끊어지거나 변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미지 획득 방법, 장치 및 전자 설비에 관한 것이고, 카메라 위치의 개구가 너무 많고 카메라 액세서리 위치의 돌출 면적이 커서 케이스의 구조적 강도에 영향을 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 1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설비에 관한 것이고, 이 전자 설비는,
상기 케이스에 투광홀과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투광홀은 상기 케이스의 제 1 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는 상기 케이스의 제 2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은 인접되어 있는 케이스;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를 포함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안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는 상기 투광홀과 마주보고 있으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밖으로 나와 있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투광홀과 마주보고 있다.
제 2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전자 설비에 적용되는 이미지 획득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방법은,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설비의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컨트롤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1 카메라 및/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2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전자 설비에 적용되는 이미지 획득 장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장치는,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제 1 수신 모듈;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설비의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컨트롤하는 제 1 제어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1 카메라 및/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2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1 획득 모듈;을 포함한다.
제 4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설비에 관한 것이고, 이 전자 설비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2 측면에서 제공한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 5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고,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2 측면에서 제공한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 6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칩에 관한 것이고, 상기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가 포함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며 제 2 측면에서 제공한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투광홀과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투광홀은 상기 케이스의 제 1 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는 상기 케이스의 제 2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은 인접되어 있는 케이스;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를 포함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안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구동 장치;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는 상기 투광홀과 마주보고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밖으로 나와 있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투광홀과 마주보고 있도록 설정하여 일부 카메라에 대해서만 개구를 내고 나머지 카메라는 케이스에 숨겨있도록 구현하여 카메라 위치의 개구를 줄이고 카메라 액세서리 위치의 돌출 면적을 줄이며 케이스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하고 끊어지거나 변형될 가능성을 줄이며 가공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전자 설비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설비의 구조도 1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설비의 구조도 2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설비의 구조도 3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설비의 구조도 4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설비의 구조도 5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의 구조 약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설비의 구조도 6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반으로, 본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창조성 노력이 없는 전제하에서 취득한 기타 모든 실시예는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의 용어 “제 1”, “제 2” 등은 특정한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이렇게 사용된 데이터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것 이외의 순서로 구현될 수 있도록 적절한 상황에서 서로 교환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및/또는”은 연결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고, 문자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연관 대상이 일종의 “또는”이란 관계를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그 응용 환경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법, 장치 및 전자 설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기술적 문제에 대하여 본 출원은 전자 설비에 관한 것이고,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에 투광홀(light transmission hole, 2)과 개구(opening, 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투광홀(2)은 상기 케이스(1)의 제 1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구(3)는 상기 케이스(1)의 제 2 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은 인접되어 있는 케이스(1);
상기 카메라 모듈(4)에 제 1 카메라(7)와 제 2 카메라(8)를 포함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 안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4);
상기 카메라 모듈(4)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 모듈(4)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구동 장치(driving mechanism, 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4)이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7)는 상기 투광홀(2)과 마주보고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4)이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7)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구(3)를 통해 상기 케이스(1) 밖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2 카메라(8)는 상기 투광홀(2)과 마주보고 있다.
여기서, 제 1 카메라(7)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카메라(8)도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카메라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설비는 상기 케이스에 투광홀과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투광홀은 상기 케이스의 제 1 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는 상기 케이스의 제 2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은 인접되어 있는 케이스;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를 포함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안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구동 장치;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는 상기 투광홀과 마주보고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밖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투광홀과 마주보고 있게 설치하여 일부 카메라에 대해서만 개구를 내고(구체적으로 상기 투광홀을 내는 것이고, 여기서는 하나의 동작으로 상기 개구(3)를 가리키지 않음) 나머지 카메라를 하우징에 숨김으로써 카메라 위치의 개구 및 카메라 장식 위치의 돌출 면적을 줄이고 하우징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키며 부러지거나 변형될 가능성을 줄이고 가공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는 동일한 받침대(base)에 설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받침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예시를 제공하였다.
첫번째 예시에서, 도2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카메라(7)와 상기 제 2 카메라(8)는 제 1 받침대(12)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 장치(6)는 상기 제 1 받침대(12)를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제 1 카메라(7)가 상기 케이스(1) 밖으로 나가는 방향이다. 이렇게 하면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장치는 모터(9), 나선형 기둥(screw threaded stud, 10)과 너트(nut, 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9)는 상기 나선형 기둥(10)에 고정 연결되어 있다; 상기 나선형 기둥(10)은 상기 너트(11)에 결합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너트(11)는 상기 나선형 기둥(10)에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너트(11)는 상기 제 1 받침대(12)에 고정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카메라가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구현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장치는 또한 너트 연결 블록(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너트(11)와 상기 제 1 받침대(12) 사이는 상기 너트 연결 블록(13)을 통해 고정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너트와 제 1 받침대 사이의 연결 강도를 한층 더 보장할 수 있다.
두번째 예시(도면에 표시되지 않음)에서 상기 제 1 카메라는 제 2 받침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제 3 받침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장치는 제 2 받침대와 상기 제 3 받침대의 움직임을 구동한다. 이렇게 하면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의 이동 거리를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제 2 받침대와 상기 제 3 받침대를 동시에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제 1 카메라가 상기 케이스 밖으로 나가는 방향이고, 상기 제 2 받침대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는 상기 제 3 받침대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보다 크다. 이렇게 하면 제 1 카메라가 케이스 밖으로 나가고, 제 2 카메라가 투광홀에 맞추도록 구현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제 2 받침대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제 3 받침대가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제 1 카메라가 상기 케이스 밖으로 나가는 방향이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다르다. 이렇게 하면 카메라의 이동을 다양하게 제어하도록 구현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 장치는 모터, 나선형 기둥과 적어도 두개의 너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는 상기 나선형 기둥에 고정 연결되어 있다; 상기 나선형 기둥은 상기 적어도 두개의 너트에 결합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너트는 상기 나선형 기둥에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받침대와 제 3 받침대는 각각 서로 다른 상기 너트에 고정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카메라가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구현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의 이미지 획득 매개변수(image collection parameters)는 다르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는 컬러 카메라이고 컬러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 2 카메라는 흑백 카메라이다; 또는 제 1 카메라는 광각 카메라이고 제 2 카메라는 깊이 카메라 등이다.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에 구성된 매개변수가 다르고, 사용자의 수요에 따라 적절한 카메라를 원활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면서 더 다양한 촬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설비에 대해 추가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은 후면 카메라 모듈(즉, 후방에 장착한 카메라 모듈)을 예로 들고, 카메라의 수는 4개, 2세트(즉,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에 각각 2개의 카메라가 포함되어 있음)를 예로 들며,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는 모두 제 1 받침대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전자 설비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후면 카메라(즉, 상기 제 1 카메라(7))만 위해 개구를 내고, 기타 자주 사용하지 않는 카메라(예: 상기 제 2 카메라(8))를 백커버 아래(즉, 상기 케이스(1))에 숨겨두고, 주요 목적은 백커버 위에 있는 투광홀(2)을 줄이고 카메라 액세서리(5)의 면적을 줄이기 위해서 이며,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지 않는 카메라를 사용해야 할 때 신축형 카메라 방식으로 카메라 전체를 케이스(1) 밖으로 밀어내어 백커버 아래에 숨겨진 카메라를 기존 자주 사용하는 카메라의 개구 위치에 맞춰 멀티 카메라를 동시에 조합되어 작동하는 상태로 만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안은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①, 카메라 ②, 카메라 ③ 및 카메라 ④등과 같은 4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①, 카메라 ②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카메라로 그의 원래 상태는 카메라 액세서리(5) 아래에 있고, 투광홀(2)에 맞추어 상기 제 1 카메라(7)를 구성한다; 카메라 ③, 카메라 ④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지 않는 카메라의 원래 상태에서 전자 설비의 후면 커버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카메라(8)을 구성하였고, 완제품의 배면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면에서 번호 5는 카메라 액세서리를 나타내고, 번호 14는 전자 설비의 후면을 나타내며, 도 3 내지 도 6에서도 동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는 백커버 개구의 면적을 줄이고 구조적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외관상의 미적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방안에서 사용자가 카메라 ③, 카메라 ④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신축형 카메라의 원리를 적용하여 기계적 구조(즉, 상기 구동 장치(6))를 통해 카메라 ①, 카메라 ②를 케이스(1) 밖으로 밀어내는 동시에 카메라 ③, 카메라 ④를 기존 카메라 ①, 카메라 ②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구동하여 투광홀(2)과 맞추어 멀티 카메라의 조합 사진 촬영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도 3에서 카메라 홀더(17)을 팝업하여 카메라 ①, 카메라 ②가 케이스(1) 밖에 위치하도록 함).
본 방안의 구체적인 구조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방안의 정면도 구조로 여기서 포함된 주요 부품은 나선형 기둥(10)을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하단 모터(즉, 상기 모터(9)), 나선이 새겨 있는 나사대인 나선형 기둥(10), 모터(9)의 구동으로 나선형 기둥(10)이 회전할 때 너트(11)가 나선형 기둥(10)을 따라 회전할 수 있어(가로로 빈공간 없음) 나선의 방향에 따라 위아래로만 이동할 수 밖에 없는 가동 부품인 너트(11); 카메라 모듈(4)을 연결하고 카메라 모듈(4)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시키고 너트(11)에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모듈 고정 블록(즉, 상기 제 1 받침대(12));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번호 15는 카메라 액세서리의 하단 가장자리를 나타난다.
도 5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 수직된 방향의 단면도로, 해당 도면은 카메라 모듈이 신축 전후의 상태를 보여주었고, 카메라 모듈의 기본 상태에서 카메라 ①(및 카메라 ②)는 백커버에 있는 카메라 액세서리(5)의 투광홀(2)을 향하고 있으며, 이때 카메라 ③(및 카메라 ④)는 모두 전자 설비의 백커버 내부에 있고, 이때 외부에서는 카메라 ③(및 카메라 ④의 존재)가 보이지 않으며, 사용자가 카메라 ① 및 카메라 ②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때 카메라 모듈은 원래 상태(즉, 카메라 모듈(4)이 제 1 위치에 있고, 상기 구동 장치(6)는 미작동 상태임)이고 카메라를 승강하지 않아도 된다. 도면에서 번호 16은 카메라 액세서리의 상단 가장자리를 나타나고, 번호 18은 카메라 액세서리의 개구를 나타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카메라가 이미지를 획득할 때도 카메라 액세서리의 개구(18)에 맞추어 있고, 카메라 액세서리(5)과 케이스(1)의 투광홀(2) 사이는 서로 맞물려 있어 카메라의 정상적인 이미지 획득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카메라 ③과 카메라 ④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이때 사용자는 전자 설비의 스위치를 통해 대응되는 사진 촬영 기능(예: 아웃포커스 또는 매크로)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이미지 획득 매개변수를 확정한다. 이때 전자 설비는 모터(9)를 제어하여 카메라를 케이스(1) 밖으로 밀어내어 카메라 ③과 카메라 ④가 카메라 액세서리(5)의 투광홀(2)을 향하게 하고, 이때 카메라 ①, ②, ④, ④는 모두 정상적으로 이미징(즉, 모두 별도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음)할 수 있고 멀티 카메라의 통합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안은 카메라를 승강시키는 원리를 통해 카메라 액세서리의 면적과 카메라의 개구를 더 효과적으로 줄이고, 구조적 성능을 향상시키고 외관을 더 이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방안은 전면 카메라를 활용하였고 멀티 전면 카메라 방안에서의 전면 화면의 화면 비율을 더 잘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안을 구현할 때 카메라 유형은 후면 카메라에 국한되지 않고, 전면 카메라 또는 기타 유형의 카메라일 수 있다; 수량도 4개 카메라에 국한되지 않고 4개 미만이나 4개 초과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상기 전자 설비에 적용되는 이미지 획득 방법에 관한 것이고,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71: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 1 입력은 구체적으로 이미지 획득 매개변수의 입력을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이미지 획득 매개변수에는 사용자가 획득하려는 이미지 유형의 여러 매개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72: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설비의 카메라 모듈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설비의 카메라 모듈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필요한 카메라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 설비의 구동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필요한 카메라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지를 확정하는 단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필요한 카메라가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면 필요한 카메라 모듈만 노출시키면 되고, 기타 불필요한 카메라 모듈은 전자 설비의 케이스 안에 계속 있으면서 이미지 획득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필요한 카메라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카메라와 자주 사용하지 않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장치의 상태는 구체적으로 승강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는 지와 작동 상태 일 때 몇 번째 작동 상태인지 일 수 있다; 승강 장치의 상태와 전자 설비 내에서의 카메라 모듈 위치의 대응 관계에 관하여 그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근거로 다른 하나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 설비의 구동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필요한 카메라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설비의 구동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필요한 카메라가 상기 전자 설비의 케이스 외부에 위치하여 있는지 또는 상기 케이스의 투광홀에 맞추었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또한 상기 투광홀이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를 포함한다. 위치하여 있거나 맞춘 경우, 상기 필요한 카메라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걸로 확정한다; 위치하지 않거나 맞추지 못한 경우, 상기 필요한 카메라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는 걸로 확정한다. 이렇게 하면 필요한 카메라 모듈의 현재 상태가 정상적으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지를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확정할 있다.
단계 73: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1 카메라 및/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2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미지 획득 방법은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설비의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1 카메라 및/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2 카메라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를 통해 필요한 카메라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상태에 있고 나머지 카메라는 전자 설비의 케이스 안에 있고 노출되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설비를 지지하여 일부 카메라에 대해서만 개구를 내고 나머지 카메라를 케이스 안에 숨겨 카메라 위치의 개구와 카메라 액세서리 위치의 돌출 면적을 줄여 케이스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하고 끊어지거나 변형될 가능성을 줄이며 가공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법의 실행 주체는 이미지 획득 장치 또는 해당 이미지 획득 장치 중 이미지 획득 방법을 실행하는 제어 모듈일 수 있다는 점에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미지 획득 장치로 이미지 획득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법의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상기 전자 설비에 적용되는 이미지 획득 장치에 관한 것이고,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제 1 수신 모듈(81);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설비의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컨트롤하는 제 1 제어 모듈(82);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1 카메라 및/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2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1 획득 모듈(8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제어 모듈은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필요한 카메라를 확정하는 데 사용되는 제 1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전자 설비의 구동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필요한 카메라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지를 확정하는 데 사용되는 제 2 확정 서브 모듈;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필요한 카메라가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제 1 제어 서브 모듈;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제 2 제어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이렇게 하면 필요한 카메라만 노출시키면 되고, 기타 불필요한 카메라는 전자 설비의 케이스 안에 계속 있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획득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미지 획득 장치는 장치일 수 있고 단말의 부품, 집적 회로 또는 칩일 수 있다. 해당 장치는 모바일 전자 설비일 수 있고 비-모바일 전자 설비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모바일 전자 설비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용 전자 설비, 웨어러블, 울트라 모바일 퍼스널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 디지털 비서(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일 수 있고, 비-모바일 전자 설비는 서버,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Network Attached Storage, NAS),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인출기 또는 자동판매기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 획득 장치는 구체적으로 운영체제가 있는 장치일 수 있다. 해당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일 수 있고 ios 운영체제일 수 있으며, 기타 가능한 운영체제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는 도 7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로 구현하는 여러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는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설비의 카메라 모듈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1 카메라 및/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2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를 통해 필요한 카메라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상태에 있고 나머지 카메라는 전자 설비의 케이스 안에 있고 노출되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설비를 지지하여 일부 카메라에 대해서만 개구를 내고 나머지 카메라를 케이스 안에 숨겨 카메라 위치의 개구와 카메라 액세서리 위치의 돌출 면적을 줄여 케이스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하고 끊어지거나 변형될 가능성을 줄이며 가공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전자 설비에 관한 것이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910), 메모리(99), 메모리(99)에 저장되고 프로세서(9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9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이미지 획득 방법 실시예 중의 여러 과정이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실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전자 설비는 상기 모바일 전자 설비와 비-모바일 전자 설비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전자 설비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해당 전자 설비(90)는 무선 주파수 유닛(91), 네트워크 모듈(92), 오디오 출력 유닛(93), 입력 유닛(94), 센서(95), 디스플레이 유닛(96), 사용자 입력 유닛(97), 인터페이스 유닛(98), 메모리(99), 프로세서(910) 등 부품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은 전자 설비(90)는 또한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예: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고,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910)에 논리적으로 연결하여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전자 설비 구조는 전자 설비를 제한하는 요건으로 되지 않고 전자 설비는 도면보다 많거나 적은 부품을 포함하거나 어떤 부품을 조합하거나 부품을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프로세서(910)는 사용자 입력 유닛(97)을 통해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데 단계;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설비의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1 카메라 및/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2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설비의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1 카메라 및/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2 카메라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를 통해 필요한 카메라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상태에 있고 나머지 카메라는 전자 설비의 케이스 안에 있고 노출되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설비를 지지하여 일부 카메라에 대해서만 개구를 내고 나머지 카메라를 케이스 안에 숨겨 카메라 위치의 개구와 카메라 액세서리 위치의 돌출 면적을 줄여 케이스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하고 끊어지거나 변형될 가능성을 줄이며 가공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9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필요한 카메라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 설비의 구동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필요한 카메라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지를 확정하는 단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필요한 카메라가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단계;에 사용된다.
이렇게 하면 필요한 카메라만 노출시키면 되고, 기타 불필요한 카메라는 전자 설비의 케이스 안에 계속 있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획득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고,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이미지 획득 방법 실시예 중의 여러 과정이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실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전자 설비의 프로세서이다.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칩에 관한 것이고, 상기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가 포함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면서 상기 이미지 획득 방법 실시예 중의 여러 과정이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실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칩은 또한 시스템 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어 칩으로 지칭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가리키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더 이상의 제한 사항이 없는 상황에서 “1개...포괄한다”라는 문구로 한정한 요소는 이 요소를 포괄하는 과정, 방법, 물건 또는 장치에서 같은 요소가 별도로 존재하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 및 장치의 범위는 도시되거나 논의된 순서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관련된 기능에 따라 기본적으로 동시 수행 또는 반대되는 순서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설명된 순서와 다른 순서에 따라 설명된 방법을 실행할 수 있고 다양한 단계를 추가, 생략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는 점을 밝혀야 한다. 또한, 일부 예시에 설명된 특징을 참조하여 기타 예시에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현 방식의 설명을 통해 본 분야의 기술자는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상황에서 앞의 방법이 더 좋은 구현 방식이라는 점을 분명히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출원의 기술적 수단은 본질상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 ROM/ RAM, 디스크, 광디스크)에 저장되어 있고, 하나의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비 등이 될 수 있음)이 본 출원의 여러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여러 명령을 포함한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위에 설명한 구현 방식은 예시일 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본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출원의 계시에 따라 본 출원의 목적과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다양한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Claims (14)

  1. 투광홀(light transmission hole)과 개구(opening)가 설치되는 케이스(housing) - 상기 투광홀은 상기 케이스의 제 1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케이스의 제 2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은 인접-;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안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driving mechanism);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는 상기 투광홀과 마주보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밖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투광홀과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와 상기 제 2 카메라는 제 1 받침대(first base)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제 1 받침대를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제 1 카메라가 상기 케이스 밖으로 연장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설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모터, 나선형 기둥(screw threaded stud)과 너트(nut)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나선형 기둥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상기 나선형 기둥은 상기 너트에 결합되어 연결되고, 상기 너트는 상기 나선형 기둥에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너트는 상기 제 1 받침대에 고정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설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는 제 2 받침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제 3 받침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제 2 받침대와 상기 제 3 받침대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설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제 2 받침대와 상기 제 3 받침대를 동시에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제 1 카메라가 상기 케이스 밖으로 연장되는 방향이고, 상기 제 2 받침대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는 상기 제 3 받침대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설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제 2 받침대를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제 3 받침대를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제 1 카메라가 상기 케이스 밖으로 연장되는 방향이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설비.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모터, 나선형 기둥과 적어도 두개의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나선형 기둥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상기 나선형 기둥은 상기 적어도 두개의 너트에 결합되어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너트는 상기 나선형 기둥에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 2 받침대와 제 3 받침대는 각각 서로 다른 상기 너트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설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의 이미지 획득 매개변수(image collection parameters)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설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전자 설비에 적용되고,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설비의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컨트롤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1 카메라 및/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2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획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설비의 카메라 모듈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필요한 카메라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 설비의 구동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필요한 카메라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지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필요한 카메라가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획득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전자 설비에 적용되고,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제 1 수신 모듈;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설비의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컨트롤하는 제 1 제어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1 카메라 및/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 중의 제 2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1 획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모듈은,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필요한 카메라를 확정하는 제 1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전자 설비의 구동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필요한 카메라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지를 확정하는 제 2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필요한 카메라가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 서브 모듈; 및
    상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제 2 제어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13.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instruction)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9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미지 획득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설비.
  14.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고,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9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미지 획득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237001570A 2020-06-24 2021-06-21 이미지 획득 방법, 장치 및 전자 설비 KR202300243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589107.XA CN111726500B (zh) 2020-06-24 2020-06-24 图像采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202010589107.X 2020-06-24
PCT/CN2021/101162 WO2021259182A1 (zh) 2020-06-24 2021-06-21 图像采集方法、装置和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395A true KR20230024395A (ko) 2023-02-20

Family

ID=72568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570A KR20230024395A (ko) 2020-06-24 2021-06-21 이미지 획득 방법, 장치 및 전자 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23474A1 (ko)
EP (1) EP4175277A4 (ko)
JP (1) JP7404563B2 (ko)
KR (1) KR20230024395A (ko)
CN (1) CN111726500B (ko)
WO (1) WO20212591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26500B (zh) * 2020-06-24 2021-12-03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图像采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2311988B (zh) * 2020-10-29 2021-10-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模组、拍摄控制方法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4948B1 (en) * 2000-10-13 2004-08-10 Sumio Inoue Vertically extensible and retractible lens arm
CN101266394A (zh) * 2007-03-16 2008-09-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片转盘装置及具有镜片转盘装置的相机
WO2012086326A1 (ja) * 2010-12-24 2012-06-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パノラマ画像作成装置、立体パノラマ画像作成方法及び立体パノラマ画像作成プログラム並びに立体パノラマ画像再生装置、立体パノラマ画像再生方法及び立体パノラマ画像再生プログラム、記録媒体
CA2981480C (en) * 2015-04-03 2019-02-26 Red.Com, Llc Modular motion camera
JP6276420B1 (ja) 2016-09-20 2018-02-07 株式会社無有 歯間清掃用具
CN208128326U (zh) * 2018-05-04 2018-11-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8769515B (zh) * 2018-05-29 2021-04-02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9089023B (zh) 2018-07-27 2020-09-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及控制方法
CN112889000B (zh) 2018-10-30 2022-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成像装置和信息终端
CN109862240B (zh) * 2018-12-25 2021-05-07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一种摄像头结构及终端
CN109803074B (zh) * 2018-12-29 2020-09-01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终端设备
CN109714456B (zh) * 2019-02-22 2021-02-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拍摄方法
CN110278362B (zh) * 2019-06-30 2021-03-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控制方法
CN110430347B (zh) * 2019-07-31 2021-05-18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CN110707417A (zh) * 2019-09-25 2020-01-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10784631A (zh) * 2019-11-11 2020-02-11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电子设备
CN210745329U (zh) * 2019-12-12 2020-06-12 广东毓秀科技有限公司 多镜头摄像机
CN111083382B (zh) * 2019-12-30 2021-07-16 联想(北京)有限公司 摄像装置、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11726500B (zh) * 2020-06-24 2021-12-03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图像采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75277A1 (en) 2023-05-03
JP7404563B2 (ja) 2023-12-25
CN111726500A (zh) 2020-09-29
US20230123474A1 (en) 2023-04-20
CN111726500B (zh) 2021-12-03
JP2023532009A (ja) 2023-07-26
EP4175277A4 (en) 2023-12-06
WO2021259182A1 (zh)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48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s
CN104994277B (zh) 一种移动通信终端快速拍照的方法和装置
KR20230024395A (ko) 이미지 획득 방법, 장치 및 전자 설비
WO2019157858A1 (zh) 电子设备及摄像头模组的控制方法
US20210297590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circuit thereof
US20160014367A1 (en) Display apparatus
CN102830584B (zh) 显示屏幕和终端设备
CN111277714B (zh) 连接呼叫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10218830B1 (en) Decoration component, housing component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JP2014021305A (ja) 表示入力装置
WO2020098293A1 (zh) 一种显示装置
CN103546676A (zh) 自动拍照装置及方法
CN111835894A (zh) 摄像头模组及其控制方法和装置、电子设备
CN102148922A (zh) 一种电子设备、图像采集装置及图像采集控制方法
CN209488641U (zh) 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WO2022121937A1 (zh) 摄像模组、电子设备、拍摄控制方法及装置
EP2375304A2 (en) Motion control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12514355B (zh) 一种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04714769B (zh) 一种数据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CN101127036A (zh) 影像识别翻译装置及方法
CN214591630U (zh) 潜望摄像模组及移动终端
US20230179693A1 (en) Full-screen display device
US20210306533A1 (en) Imaging device, user equipment, method for acquiring ambient light, and storage medium
CN101165587A (zh) 投影固定座及应用其的投影系统
CN206977489U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