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037A - 전자 팽창 밸브 - Google Patents

전자 팽창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037A
KR20230023037A KR1020237001625A KR20237001625A KR20230023037A KR 20230023037 A KR20230023037 A KR 20230023037A KR 1020237001625 A KR1020237001625 A KR 1020237001625A KR 20237001625 A KR20237001625 A KR 20237001625A KR 20230023037 A KR20230023037 A KR 20230023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top device
stop
boss
valv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오쥔 잔
즈치앙 디
Original Assignee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23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전자 팽창 밸브는, 밸브 포트(11)를 구비하는 밸브 시트(10); 밸브 시트(10)와 연결되는 너트(20); 너트(20) 내에 관통 설치되며, 밸브 포트(11)의 개도를 제어할 수 있는 밸브 니들(30); 밸브 시트(10)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너트(20) 외측에 위치한 자기 회전자(40); 자기 회전자(40)의 내벽과 연결되고, 자기 회전자(40)와 일체로 설치되어 함께 동기적으로 회전하는 스톱 장치(50) - 밸브 니들(30)은 스톱 장치(50) 상에 관통 설치됨 - ; 및 스톱 장치(50)와 밸브 니들(30) 사이에 설치되고, 스톱 장치(50) 및 밸브 니들(30)과 일체로 설치되어 함께 동기적으로 회전하는 연결 슬리브(60)가 포함된다. 상기 밸브는 종래 기술에서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가 비교적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Description

전자 팽창 밸브
본 출원은 밸브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팽창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 팽창 밸브 구조는 회전자 연결판과 자석강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된다. 스톱 장치는 사출 성형된 후 회전자 연결판의 위치결정 홀과 조립되고 함께 핫멜트 리벳팅되어야 한다(3개의 핫멜트 점). 이 공정은 비교적 복잡하며 안정성이 우수하지 않다. 또한 회전자 연결판은 스크류 로드와 용접 고정해야 하며, 용접 시 거리가 너무 가까워 스톱 장치가 열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전자 팽창 밸브는 완전히 폐쇄되어 유동이 허용되지 않는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 사전 조임 스프링의 사전 압축량을 이용하여 밸브 니들의 테이퍼면을 밸브 포트와 효과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밀봉 신뢰성을 보장한다. 사전 조임 스프링은 필수 불가결한 부품이다.
상술한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전자 팽창 밸브는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공정도 비교적 복잡하며 안정성이 좋지 않다.
본 출원의 주요 목적은 전자 팽창 밸브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가 비교적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의 선택적 일 실시방식은 전자 팽창 밸브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밸브 포트를 구비하는 밸브 시트; 밸브 시트와 연결되는 너트; 너트 내에 관통 설치되며, 밸브 포트의 개도를 제어할 수 있는 밸브 니들; 밸브 시트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너트 외측에 위치한 자기 회전자; 자기 회전자의 내벽과 연결되고, 자기 회전자와 일체로 설치되어 함께 동기적으로 회전하는 스톱 장치 - 밸브 니들은 스톱 장치 상에 관통 설치됨 - ; 및 스톱 장치와 밸브 니들 사이에 설치되고, 스톱 장치 및 밸브 니들과 일체로 설치되어 함께 동기적으로 회전하는 연결 슬리브가 포함된다.
선택적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슬리브는 밸브 포트에서 먼 일단에 돌출 구간이 구비된다. 돌출 구간은 밸브 니들의 둘레측을 포위한다. 또한 돌출 구간은 스톱 장치의 밸브 포트에서 먼 일측의 표면에 돌출된다.
선택적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슬리브의 측면에는 환형 홈이 개설된다. 환형 홈 내에는 노치가 설치된다. 스톱 장치의 내벽은 돌기를 구비하며, 돌기는 환형 홈 및 노치 내에 연장된다.
선택적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톱 장치는 비원형 구조이다.
선택적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슬리브는 금속 슬리브이다.
선택적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너트 외측에는 중간 스톱 보스가 구비된다. 스톱 장치는 제1 스톱 보스를 구비한다. 스톱 장치 또는 자기 회전자는 제2 스톱 보스를 구비한다. 중간 스톱 보스는 제1 스톱 보스와 제2 스톱 보스 사이에 위치한다. 자기 회전자, 스톱 장치, 연결 슬리브 및 밸브 니들이 함께 폐쇄 한계 위치 또는 개방 한계 위치까지 회전하면, 제1 스톱 보스 또는 제2 스톱 보스가 중간 스톱 보스와 맞닿아, 밸브 니들의 운동 범위를 제어한다.
선택적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톱 장치의 하표면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연장 구간 및 제2 연장 구간을 구비한다. 제1 연장 구간은 밸브 니들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 연장 구간은 제1 연장 구간의 스톱 장치 하표면에서 먼 일단과 연결되고, 밸브 니들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 연장 구간은 제2 스톱 보스를 구비한다.
선택적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톱 장치는 공정 홀을 더 구비한다. 공정 홀은 밸브 니들의 축 방향을 따라 스톱 장치를 관통한다. 제2 스톱 보스는 밸브 니들의 축 방향을 따라 스톱 장치 표면 상에서의 투영이 공정 홀 내에 위치한다.
선택적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너트의 꼭대기부 표면에는 기준 보스가 설치된다. 기준 보스는 스톱 장치의 하표면과 맞닿아, 스톱 장치에 대해 초기화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니들의 밸브 포트에서 근접한 일단에는 테이퍼면 구간이 구비된다. 테이퍼면 구간은 밸브 포트와 매칭되어, 밸브 포트의 개도를 제어한다. 테이퍼면 구간과 밸브 포트 사이에는 항상 갭이 구비된다.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을 적용함에 있어서, 밸브 니들, 자기 회전자, 스톱 장치 및 연결 슬리브가 설치된다. 또한 스톱 장치와 자기 회전자가 일체로, 연결 슬리브와 스톱 장치가 일체로, 밸브 니들과 연결 슬리브가 일체로, 이들 4개 부재 사이가 일체로 설치되어 하나의 동기적으로 운동하는 전체가 형성된다. 또한 밸브 니들이 직접 너트 및 연결 슬리브와 매칭되어, 밸브 니들에 스프링 등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적 복잡도를 더욱 단순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설치 방식을 통해, 한편으로는 전자 팽창 밸브 전체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전자 팽창 밸브의 가공과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전체 구조의 단순화로 인해 전자 팽창 밸브 가공 시 자기 회전자, 스톱 장치 및 연결 슬리브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연결 슬리브와 밸브 니들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이는 가공 공정도 크게 개선하며 종래 공정의 문제를 방지하고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명세서 첨부 도면은 본 출원의 추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 및 그에 대한 설명은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본 출원을 제한하지 않는다. 첨부 도면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출원 실시예 1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전자 팽창 밸브의 자기 회전자와 스톱 장치가 매칭된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전자 팽창 밸브의 스톱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전자 팽창 밸브의 연결 슬리브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전자 팽창 밸브의 너트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출원 실시예 2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전자 팽창 밸브의 자기 회전자와 스톱 장치가 매칭된 구조도이다.
여기에서 상기 첨부 도면에는 하기의 참조 번호가 포함된다.
10은 밸브 시트, 11은 밸브 포트, 20은 너트, 21은 중간 스톱 보스, 30은 밸브 니들, 40은 자기 회전자, 50은 스톱 장치, 51은 제1 스톱 보스, 52는 제2 스톱 보스, 53은 공정 홀, 60은 연결 슬리브, 61은 돌출 구간, 62는 환형 홈, 63은 노치이다.
충돌이 없는 경우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의 특징은 서로 결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서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가 비교적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전자 팽창 밸브를 제공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 팽창 밸브는 밸브 시트(10), 너트(20), 밸브 니들(30), 자기 회전자(40), 스톱 장치(50) 및 연결 슬리브(60)를 포함한다. 밸브 시트(10)는 밸브 포트(11)를 구비한다. 너트(20)는 밸브 시트(10)와 연결된다. 밸브 니들(30)은 너트(20) 내에 관통 설치되며, 밸브 포트(11)의 개도를 제어할 수 있다. 자기 회전자(40)는 밸브 시트(10)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너트(20) 외측에 위치한다. 스톱 장치(50)는 자기 회전자(40)의 내벽과 연결되고, 자기 회전자(40)와 일체로 설치되어 함께 동기적으로 회전한다. 밸브 니들(30)은 스톱 장치(50) 상에 관통 설치된다. 연결 슬리브(60)는 스톱 장치(50)와 밸브 니들(30) 사이에 설치된다. 연결 슬리브(60), 스톱 장치(50) 및 밸브 니들(30)은 일체로 설치되며, 이들 셋은 동기적으로 회전한다.
본 실시예는 밸브 니들(30), 전자 회전자(40), 스톱 장치(50) 및 연결 슬리브(60)가 설치된다. 또한 스톱 장치(50)와 자기 회전자(40)가 일체로, 연결 슬리브(60)와 스톱 장치(50)가 일체로, 밸브 니들(30)과 연결 슬리브(60)가 일체로, 이들 4개 부재 사이가 일체로 설치되어 하나의 동기적으로 운동하는 전체가 형성된다. 또한 밸브 니들(30)이 직접 너트(20) 및 연결 슬리브(60)와 매칭되어, 밸브 니들(30)에 스프링 등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적 복잡도를 더욱 단순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설치 방식을 통해, 한편으로는 전자 팽창 밸브 전체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전자 팽창 밸브의 가공과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전체 구조의 단순화로 인해 전자 팽창 밸브 가공 시 자기 회전자(40), 스톱 장치(50) 및 연결 슬리브(6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연결 슬리브(60)와 밸브 니들(30)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이는 가공 공정도 크게 개선하며 종래 공정의 문제를 방지하고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슬리브(60)는 소켓형이다. 연결 슬리브(60)의 밸브 포트(11)에서 먼 일단에는 동일하게 환형인 돌출 구간(61)이 구비된다. 돌출 구간(61)은 밸브 니들(30)의 둘레측을 씌우도록 설치되어 포위한다. 또한 돌출 구간(61)은 스톱 장치(50)의 밸브 포트(11)에서 먼 일측의 표면에서 돌출된다. 즉, 도 2에서 연결 슬리브(60) 꼭대기부의 돌출 구간(61)은 스톱 장치(50)의 상표면보다 높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접 시 연결 슬리브(60)가 열을 받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공 공정이 개선된다.
본 실시예는 연결 슬리브(60)의 측면에 환형 홈(62)이 개설된다. 환형 홈(62) 내에는 노치(63)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선삭 가공의 방식을 통해 연결 슬리브(60)의 측면에 하나의 환형 홈(62)을 밀링하고, 환형 홈(62)의 측면에 평면형인 노치(63)를 밀링함으로써, D형 개구를 형성한다. 이에 상응하도록, 스톱 장치(50)의 내벽에는 환형 홈(62) 및 노치(63)와 매칭되는 돌기가 구비된다. 돌기는 환형 홈(62) 및 노치(63) 내에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톱 장치(50)와 연결 슬리브(60) 사이 사출 성형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톱 장치(50)와 연결 슬리브(60) 결합이 우수하도록 보장하고, 토크 전달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슬리브(60)는 밸브 니들(30)과의 사이를 용접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슬리브(60)를 금속 슬리브로 설치하고, 스톱 장치(50)를 플라스틱 재질로 사용하여, 이 둘을 일체로 사출 성형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톱 장치(50)는 비원형 구조이다. 이에 상응하도록, 자기 회전자(40) 상에서 스톱 장치(50)와 매칭되는 부분도 동일한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자기 회전자(40)가 자력 작용 하에서 회전하면, 자기 회전자(40)의 회전력이 스톱 장치(50)에 더욱 잘 전달될 수 있다. 이는 자기 회전자(40)와 스톱 장치(50) 결합이 우수하도록 보장하며, 토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미끄러운 상황이 발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20) 외측에는 중간 스톱 보스(21)가 구비된다. 스톱 장치(50)는 제1 스톱 보스(51) 및 제2 스톱 보스(52)를 구비한다. 제1 스톱 보스(51)는 제2 스톱 보스(52)보다 밸브 포트(11)에서 멀다. 중간 스톱 보스(21)는 제1 스톱 보스(51)와 제2 스톱 보스(52) 사이에 위치한다. 너트(20)가 밸브 시트(10)에 상대적으로 고정 연결되므로, 너트(20)는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자기 회전자(40)가 자력 작용 하에서 회전하면, 자기 회전자(40)는 스톱 장치(50), 연결 슬리브(60) 및 밸브 니들(30)이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시킨다. 이 때 제1 스톱 보스(51)와 제2 스톱 보스(52) 둘과 중간 스톱 보스(21) 사이의 위치 관계가 바뀔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 니들(30)이 밸브 포트(11)에 가까이 폐쇄 한계 위치까지 운동하면, 제1 스톱 보스(51)는 중간 스톱 보스(21)와 맞닿는다. 따라서 밸브 니들(30)이 계속해서 밸브 포트(11)에 가까워지지 않는다. 이때 밸브 니들(30)과 밸브 포트(11) 사이에는 여전히 갭이 형성된다. 이때의 갭은 이들 둘이 형성할 수 있는 최소 갭이다. 밸브 니들(30)이 밸브 포트(11)에서 멀리 개방 한계 위치까지 운동하면, 제2 스톱 보스(52)는 중간 스톱 보스(21)와 맞닿는다. 따라서 밸브 니들(30)이 계속해서 밸브 포트(11)에서 멀어지지 않는다. 이를 통해 밸브 니들(30)의 운동 범위를 제어한다. 상술한 설치를 통해 전자 팽창 밸브 완전 폐쇄 상태 및 완전 개방 상태의 두 위치의 위치제한 기능을 구현한다. 따라서 전자 팽창 밸브의 완전 폐쇄에서 완전 개방까지의 스트로크가 일관되고 제어 가능하도록 보장하고, 전자 팽창 밸브 작업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위치제한 시의 물리적 접촉으로 인해, 상술한 3개의 스톱 보스의 재질 강도에 대한 요건이 비교적 높다. 따라서 스톱 장치(50)와 너트(20)는 일반적으로 PPS 재질로 사출 성형한다.
본 실시예의 밸브 니들(30)과 밸브 포트(11) 사이에는 항상 갭이 형성됨에 유의한다. 즉, 밸브 니들(30)이 폐쇄 한계 위치에 있더라도, 밸브 니들(30)과 밸브 포트(11) 사이에는 여전히 갭이 있다. 따라서 전자 팽창 밸브가 닫힌 밸브에 유동이 허용되는 기능을 갖게 된다.
본 실시예의 스톱 장치(50)는 원판형이다. 그 중간 위치 지점에는 밸브 니들(30)과 연결 슬리브(60)를 관통시키는 홀이 개설된다. 그 일측의 표면에서, 즉 도 3에서 스톱 장치(50)의 하표면은 블록형 구조로 돌출되어 제1 스톱 보스(51)로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해당 측에는 순차적으로 구부러지도록 연결된 제1 연장 구간 및 제2 연장 구간이 더 구비된다. 제1 연장 구간은 밸브 니들(3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 연장 구간은 제1 연장 구간의 스톱 장치(50) 하표면에서 먼 일단과 연결되며, 밸브 니들(3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본 실시예는 제1 연장 구간과 제2 연장 구간 사이를 90도 절곡시켜 연결하며, 제2 연장 구간은 제2 스톱 보스(52)를 구비하여, 중간 스톱 보스(21)와 매칭된다.
선택적으로, 스톱 장치(50)는 공정 홀(53)을 더 구비한다. 공정 홀(53)은 밸브 니들(30)의 축 방향을 따라 스톱 장치(50)를 관통한다. 즉, 공정 홀(53)은 스톱 장치(50)의 두께를 관통하고, 제2 스톱 보스(52)는 밸브 니들(30) 축 방향을 따라 스톱 장치(50) 표면 상에서의 투영이 공정 홀(53)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2 스톱 보스(52)의 탈형 가공이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너트(20)의 꼭대기부 표면에는 기준 보스가 설치된다. 전자 팽창 밸브의 각 부재에 대해 초기화 조정을 수행할 때, 기준 보스는 스톱 장치(50)의 하표면과 맞닿아, 스톱 장치(50)의 위치에 대해 초기화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니들(30)의 밸브 포트(11)에서 근접한 일단에는 테이퍼면 구간이 구비된다. 테이퍼면 구간은 밸브 포트(11)와 매칭되어, 밸브 포트(11)의 개도를 제어한다. 또한 테이퍼면 구간과 밸브 포트(11) 사이에는 항상 갭이 구비된다. 제1 스톱 보스(51)와 중간 스톱 보스(21)가 맞닿으면, 테이퍼면 구간의 외벽과 밸브 포트(11)의 내벽 사이에 여전히 갭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자 팽창 밸브가 닫힌 밸브일 때 여전히 유동이 허용될 수 있다. 물론 전자 팽창 밸브를 닫힌 밸브일 때 유동이 허용되지 않는 형태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밸브 시트(10)는 시트체 및 소켓의 두 부분을 포함한다. 이들 둘은 함께 밸브 니들(30), 자기 회전자(40), 스톱 장치(50) 및 연결 슬리브(60) 등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캐비티를 형성한다. 밸브 시트(10)는 밸브 포트 시트를 더 포함한다. 시트체 상에는 개구가 설치된다. 밸브 포트 시트는 개구 지점에 장착되며, 밸브 포트 시트는 밸브 포트(11)를 형성하며 밸브 니들(30)과 매칭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의 차이점은, 제2 스톱 보스(52)의 구조가 다르다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톱 장치(50) 상에는 제1 스톱 보스(51)만 설치된다. 제2 스톱 보스(52)는 스톱 장치(50) 상에 설치되지 않고, 자기 회전자(40)의 내측에 설치된다. 즉, 자기 회전자(40)의 내측에는 반경 방향으로 보스가 연장되며, 상기 보스가 바로 제2 스톱 보스(52)이다. 상기와 같은 설치 방식을 채택하면, 스톱 장치(50) 상에 제2 스톱 보스(52)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연장 구간과 제2 연장 구간도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원판형의 스톱 장치(50)는 하표면에 제1 스톱 보스(51)만 설치되면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복수는 적어도 2개를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는 하기 기술적 효과를 구현한다.
1. 종래 기술에서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가 비교적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2. 전자 팽창 밸브 전체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전자 팽창 밸브의 가공과 조립을 용이하게 하였다.
3. 전자 팽창 밸브는 가공 조립 시 자기 회전자, 스톱 장치 및 연결 슬리브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고, 연결 슬리브와 밸브 니들을 레이저 용접으로 일체로 성형하기만 하면 된다. 이는 가공 공정을 크게 개선하였으며 종래 공정의 문제를 방지하고 효율을 향상시켰다.
4. 용접 시 연결 슬리브가 열을 받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공 공정을 개선하였다.
5. 자기 회전자와 스톱 장치의 결합 우수성을 보장하며, 토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미끄러운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6. 전자 팽창 밸브 완전 폐쇄 상태 및 완전 개방 상태의 두 위치의 위치제한 기능을 구현한다. 따라서 전자 팽창 밸브의 완전 폐쇄에서 완전 개방까지의 스트로크가 일관되고 제어 가능하도록 보장하고, 전자 팽창 밸브 작업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는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 실시예일 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작업 없이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상기 내용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출원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정신과 원칙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전자 팽창 밸브에 있어서,
    밸브 포트(11)를 구비하는 밸브 시트(10);
    상기 밸브 시트(10)와 연결되는 너트(20);
    상기 너트(20) 내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밸브 포트(11)의 개도를 제어할 수 있는 밸브 니들(30);
    상기 밸브 시트(10)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너트(20) 외측에 위치한 자기 회전자(40);
    상기 자기 회전자(40)의 내벽과 연결되고, 상기 자기 회전자(40)와 일체로 설치되어 함께 동기적으로 회전하는 스톱 장치(50) - 상기 밸브 니들(30)은 상기 스톱 장치(50) 상에 관통 설치됨 - ; 및
    상기 스톱 장치(50)와 상기 밸브 니들(3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스톱 장치(50) 및 상기 밸브 니들(30)과 일체로 설치되어 함께 동기적으로 회전하는 연결 슬리브(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슬리브(60)의 상기 밸브 포트(11)에서 먼 일단에는 돌출 구간(61)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 구간(61)은 상기 밸브 니들(30)의 둘레측을 포위하고, 상기 돌출 구간(61)은 상기 스톱 장치(50)의 상기 밸브 포트(11) 일측에서 먼 표면에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슬리브(60)의 측면에는 환형 홈(62)이 개설되고, 상기 환형 홈(62) 내에는 노치(63)가 설치되고, 상기 스톱 장치(50)의 내벽에는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환형 홈(62) 및 상기 노치(63) 내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장치(50)는 비원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슬리브(60)는 금속 슬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20) 외측에는 중간 스톱 보스(21)가 구비되고, 상기 스톱 장치(50)는 제1 스톱 보스(51)를 구비하고, 상기 스톱 장치(50) 또는 상기 자기 회전자(40)는 제2 스톱 보스(52)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스톱 보스(21)는 상기 제1 스톱 보스(51)와 상기 제2 스톱 보스(5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자기 회전자(40), 상기 스톱 장치(50), 상기 연결 슬리브(60) 및 상기 밸브 니들(30)이 함께 폐쇄 한계 위치 또는 개방 한계 위치까지 회전하면, 상기 제1 스톱 보스(51) 또는 상기 제2 스톱 보스(52)가 상기 중간 스톱 보스(21)와 맞닿아, 상기 밸브 니들(30)의 운동 범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장치(50)의 하표면에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연장 구간 및 제2 연장 구간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연장 구간은 밸브 니들(3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연장 구간은 상기 제1 연장 구간의 상기 스톱 장치(50) 하표면에서 먼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밸브 니들(3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연장 구간은 상기 제2 스톱 보스(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장치(50)는 공정 홀(53)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공정 홀(53)은 상기 밸브 니들(30)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스톱 장치(50)를 관통하고, 상기 제2 스톱 보스(52)는 상기 밸브 니들(30)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스톱 장치(50) 표면 상에서의 투영이 상기 공정 홀(53)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20)의 꼭대기부 표면에는 기준 보스가 설치되고, 상기 기준 보스는 상기 스톱 장치(50)의 하표면과 맞닿아, 상기 스톱 장치(50)에 대해 초기화 조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니들(30)의 상기 밸브 포트(11)에 근접한 일단에는 테이퍼면 구간이 구비되고, 상기 테이퍼면 구간은 상기 밸브 포트(11)와 매칭되어, 상기 밸브 포트(11)의 개도를 제어하고, 상기 테이퍼면 구간과 상기 밸브 포트(11) 사이에는 항상 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KR1020237001625A 2020-08-31 2021-06-29 전자 팽창 밸브 KR202300230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1868628.0 2020-08-31
CN202021868628.0U CN212959909U (zh) 2020-08-31 2020-08-31 电子膨胀阀
PCT/CN2021/103189 WO2022042006A1 (zh) 2020-08-31 2021-06-29 电子膨胀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037A true KR20230023037A (ko) 2023-02-16

Family

ID=7536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625A KR20230023037A (ko) 2020-08-31 2021-06-29 전자 팽창 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528185A (ko)
KR (1) KR20230023037A (ko)
CN (1) CN212959909U (ko)
WO (1) WO20220420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959909U (zh) * 2020-08-31 2021-04-13 盾安环境技术有限公司 电子膨胀阀
CN216242310U (zh) * 2021-11-19 2022-04-08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电子膨胀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089A (ko) * 2000-06-21 2002-01-04 이충전 양방향 제어기능을 갖는 전자 팽창 밸브
JP4669051B2 (ja) * 2008-07-16 2011-04-13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CN105241131B (zh) * 2014-06-17 2019-06-04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
JP2016095109A (ja) * 2014-11-17 2016-05-26 株式会社ヒートポンプ研究所 高速遮断型電子リニアー膨張弁
CN106763989B (zh) * 2015-11-25 2019-11-12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
CN211175578U (zh) * 2019-11-19 2020-08-04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磁转子组件及电子膨胀阀
CN212959909U (zh) * 2020-08-31 2021-04-13 盾安环境技术有限公司 电子膨胀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8185A (ja) 2023-07-04
WO2022042006A1 (zh) 2022-03-03
CN212959909U (zh)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23037A (ko) 전자 팽창 밸브
US7871059B2 (en) Valve for adjusting the flow-rate of fluids, particularly refrigeration fluids
JP5510686B2 (ja) 電動弁及びその止め装置
JP7228694B2 (ja) ボールバルブ
CN210344303U (zh) 一种电动阀
KR102624431B1 (ko) 전자 팽창 밸브 및 이의 설치 방법
JP2020085057A (ja) 開閉弁
KR102639708B1 (ko) 자기 회전자 어셈블리 및 전자 팽창 밸브
KR20230008854A (ko) 전자 팽창 밸브
JP2023528744A (ja) 電子膨張弁
KR102409652B1 (ko) 전자 팽창 밸브
US20200256475A1 (en) Valve
WO2022100569A1 (zh) 电动阀
WO2018036510A1 (zh) 控制阀及空调系统
KR20240055884A (ko) 볼 밸브
CN110966445A (zh) 阀组件、电动阀以及热管理组件
CN110966414A (zh) 电动阀以及热管理组件
CN211261369U (zh) 电子膨胀阀
JP7089041B2 (ja) 電子膨張弁
CN110094520B (zh) 电动阀
CN219841044U (zh) 电子膨胀阀、具有其的热管理系统和车辆
CN112413147B (zh) 电子膨胀阀及其加工方法
CN214888894U (zh) 一种电动阀
CN219345510U (zh) 一种电子膨胀阀
CN114508598A (zh) 一种电动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