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689A -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689A
KR20230022689A KR1020210104754A KR20210104754A KR20230022689A KR 20230022689 A KR20230022689 A KR 20230022689A KR 1020210104754 A KR1020210104754 A KR 1020210104754A KR 20210104754 A KR20210104754 A KR 20210104754A KR 20230022689 A KR20230022689 A KR 20230022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hoistway
elevator
boarding
c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0126B1 (ko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김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원 filed Critical 김동원
Priority to KR1020210104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126B1/ko
Publication of KR20230022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33For elevator systems with a single shaft and multipl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7Tandem operation of multiple elevator cars in the sam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8Ganged elevator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이동통로를 통해 다수의 카(car)를 운행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승하차 신속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승강영역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승강영역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중심 포스트;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리니어 가이드가 마련된 다수의 카(car); 상기 카의 상기 리니어 가이드를 수직으로 안내하는 수직 승강로와 상기 리니어 가이드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수평 승강로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면서 원통형을 이루는 승강로 외벽; 및 상기 중심 포스트와 상기 카를 연결하고 상기 카의 상하이동 및 좌우 회전이동을 위해 구동하는 리니어 액츄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Revolving and Overtaking 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빌딩용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 건축법에서 승용승강기 설치 기준은 6층 이상 시 의무적으로 설치하게 되어 있다. 최근에는 편의를 위해 층수와 상관없이 많은 건물에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고 있다.
건축 설계시 주차장이나 1층으로 연결된 건물 출입구를 통하여 다른 층으로 이동 시 엘리베이터를 주로 활용하게 되므로, 건물 평면을 계획할 때 엘리베이터의 위치, 대수 등은 중요한 검토 사항이다. 특히 초고층 빌딩의 경우 여러 대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므로 엘리베이터 계획이 더욱 중요하다.
종래의 초고층 빌딩에 설치되는 일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고층 빌딩은 대부분 도심지에 있기에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하는 것은 필수조건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는 수직이동을 위하여 반드시 건물에 설치해야 할 공간이므로, 만일 사용하는데 지장없이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다면 경제적 파급효과는 매우 크다.
도 1은 주요 초고층 빌딩의 엘리베이터 배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초고층 빌딩의 엘리베이터는 대부분 건물의 중심부에 집중되어 설치되어 있고, 그 면적 또한 건물의 많은 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각 층별 엘리베이터 홀의 면적이 바닥면적의 20∼30%나 되는 많은 면적을 차지하므로, 이 면적 비중을 줄이는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 초고층빌딩 설계에는 동일 승강로에 2개 카(CAR)가 아래위로 붙어서 함께 움직이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가 21%(예를 들어 1,099대 중 234대 설치)나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초고층빌딩에 동일 승강로를 여러 대의 카(Car)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배치는 이용객들이 사용하는데 편리해야 한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배치는 4대의 출입문을 모두 확인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사용자의 도착순서에 관계없이 탑승하는 불합리한 문제도 제기된다.
그리고 통상의 엘리베이터의 출입문의 폭은 대략 1∼1.1m로서, 일반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릴 때에는 대부분 1명씩 타고 내린다. 또한 뒤에 서있는 탑승자 앞에 서 있는 탑승자보다 먼저 내릴 때에는 앞에 서 있는 탑승자가 잠시 내렸다가 다시 타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타고 내릴 때 어깨를 부딪치거나 밀려서 넘어지는 안전사고의 문제도 제기된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55393호(공개일자: 1999년 07월 15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이동통로를 통해 다수의 카(car)를 운행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승하차 신속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건물의 승강영역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승강영역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중심 포스트;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리니어 가이드가 마련된 다수의 카(car); 상기 카의 상기 리니어 가이드를 수직으로 안내하는 수직 승강로와 상기 리니어 가이드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수평 승강로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면서 원통형을 이루는 승강로 외벽; 및 상기 중심 포스트와 상기 카를 연결하고 상기 카의 상하이동 및 좌우 회전이동을 위해 구동하는 리니어 액츄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승강영역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는 입구 측으로 갈수록 넓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카의 입구 측에는 승강홀과 연결되는 도어부가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방법으로서, 탑승 카의 입구 측이 승강홀에 위치하도록 회전하여 상기 도어부를 개방하여 탑승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 카가 승강 또는 하강하여 목적 층으로 이동한 후 상기 도어부를 개방하여 하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운행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수직 승강로 상에 승객이 탑승한 선행 탑승 카에 의해 간섭되는 경우,탑승 카의 상기 도어부를 개방하여 탑승하는 단계; 상기 탑성 카를 상기 수평 승강로를 따라 회전이동시키고 상기 수직 승강로를 따라 상기 선행 탑승 카를 추월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 카가 목적 층에 도착한 후 상기 수평 승강로를 따라 회전하여 상기 승강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 승강로 상에 승객이 탑승하지 않는 선행 빈카에 의해 간섭되는 경우, 탑승 카의 상기 도어부를 개방하여 탑승하는 단계; 상기 선행 빈카를 상기 수평 승강로를 따라 회전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직 승강로를 따라 상기 선행 빈카를 추월한 후 상기 승강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이동통로(승강로)를 통해 다수의 카(car)를 운행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승하차 신속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주요 초고층 빌딩의 엘리베이터 배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배치에 따른 탑승 조건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의 이동구성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사용상태 비교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다른 엘리베이터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상태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승차 층과 하차 층 사이에 다른 엘리베이터와 간섭이 발생되는 경우의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1. 주요구성에 대한 설명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건물에 마련된 승강영역(15)에 중심 포스트(10)가 설치되고, 중심 포스트(1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카(51a,51b,51c,51d)가 배치된다. 여기서 카(51a,51b,51c,51d)는 입구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평면상에서 부채꼴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한편 다수의 카(51a,51b,51c,51d)는 중심 포스트(10)에 리니어 액츄레이터(21)에 의해 연결된다. 중심 포스트(10)에는 수직 레일부(31)가 형성되고, 이 수직 레일부(31)에 리니어 액츄레이터(21)가 장착된다. 여기서 리니어 액츄레이터(21)는 카(51a,51b,51c,51d)의 수직이동 및 수평이동(수평방향으로 회전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리니어 액츄레이터(21)는 전자석을 이용한 이동매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카(51a,51b,51c,51d)의 외주방향 측으로는 승강로 외벽(16)이 원통형으로 마련된다. 승강로 외벽(16)은 카(51a,51b,51c,51d)의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마련된 리니어 가이드(22,23)를 통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승강로 외벽(16)은 수직 승강로(15a)와 수평 승강로(15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리니어 가이드(22,23)는 전자석을 이용한 이동매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카(51a,51b,51c,51d)는 리니어 가이드(22,23)가 승강로 외벽(16)의 수직 승강로(15a)와 수평 승강로(15b)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카(51a,51b,51c,51d)는 각각 수직 승강로(15a)를 따라 승하강이동이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 수평 승강로(15b)를 따라 수평회전이동도 가능하다.
한편 카(51a,51b,51c,51d)의 전방으로는 승하차시 개폐체인 도어부(71)가 마련되고, 도어부(71)는 승강홀(8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리니어 액츄레이터(21)와 리니어 가이드(22,23)를 통해 수직 승강로(15a)를 따라 하나의 승강영역(15)을 통해 이동하면서 층간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수평 승강로(15b)를 통해 회전이동함으로써 다수의 카(51a,51b,51c,51d) 중 선택적인 승하차가 가능하게 운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건물에서 승강영역(승강로)은 건물의 최하층에서 최상층까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일반 엘리베이터의 경우 건물에서 승강영역이 차지하고 있는 체적의 비중이 크다. 일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본 발명의 회전출원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하나 당 카(car) 1대가 수직으로 운행되므로 건물의 매층마다 각각의 출입구 및 승강홀이 필요하나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는 승강영역 하나에 부채꼴 모양의 카 4대 이상이 중심축을 따라 수평 회전 및 수직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의 승하차 시는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수평회전을 하고 수직 이동시에는 동서남북 4 방향 중 어느 곳이나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1개의 승강영역(승강로)에 4대 이상의 카(E1~E4)를 운영할 수 있어 건물의 모든 층에서 승강영역 및 승강홀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카들은 동일 출입문을 사용하므로 층별 엘리베이터 출입문 숫자를 약 75%까지 줄일 수 있다.
2. 운행방법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전추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 수송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존 엘리베이터에는 없던 운행 방식을
검토하였다. 즉, 카의 회전과 추월을 통하여 엘리베이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도 7에서 2번 엘리베이터(E2), 1, 3, 4번 엘리베이터(E1,E3,E4)는 탑승자의 승하차하는 경우 2번 엘리베이터(E2) 방향으로 수평 회전을 해야 한다. 또한 수직 이동 시 다른 엘리베이터와 간섭 발생시 옆 레일로 수평 회전 후 추월 운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은 승차 층과 하차 층 사이에 다른 카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전제로 운행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의 (a) 경우, 1번 엘리베이터(E1)는 회전하여 출입구측으로 수평이동(회전이동)하여 탑승이 이루어지고, 해당 측으로 승강이나 하강이동한 다음 탑승객이 하차하는 방식으로 운행된다.
도 7의 (b) 경우, 2번 엘리베이터(E2)는 운행시작부터 출입구측 배치되어 있어 앞선 실시예와는 달리 회전이동을 하지 않고 바로 승차가 이루어지고, 해당 층으로 승강이나 하강한 뒤 하차가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운행된다.
도 7의 (c) 및 (d)의 경우, 앞선 (a)와 마찬가지로 3번 및 4번 엘리베이터(E3,E4)는 회전하여 출입구측으로 수평이동(회전이동)하여 탑승이 이루어지고 해당 측으로 승강이나 하강이동한 다음 탑승객이 하차하는 방식으로 운행된다.
한편 도 9는 승차 층과 하차 사이에 다른 카와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를 전제로 운행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일 예로서, 탑승자가 있는 다른 카(선행 탑승카; EB)와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카(EA)에 승차한 이후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승객이 있는 카(EB)와 다른 수직 승강로를 따라 추월하고 해당 층에 도착하면 출입구 측으로 회전하여 하차하는 방식으로 운행된다.
다른 예로서, 탑승자가 없는 다른 카(빈카; EC)와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탑승자가 없는 해당 카를 회전시킨 다음 탑승 카(EC)를 수직이동시켜 해당 층으로 곧바로 수직이동하여 운행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카의 형상이 기존의 사각형상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변경하고, 리베이터 운행방식이 기존의 수직이동에서 수평회전 및 수직이동으로 변경한 것을 주안점으로 삼고 있다. 이와 같은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는 원형의 승강로에 중심 포스트를 중심으로 부채꼴 모양의 카가 4대 이상 있고, 전자석을 이용하여 수평회전 및 수직으로 원활하게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일반 엘리베이터는 하나의 승강로에 한 대의 카가 운행하며, 더블데크 엘리베이터나 트윈 엘리베이터는 하나의 승강로에 두 대의 카가 운행하지만 본 발명의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는 하나의 승강로에 4대 이상의 카가 운행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엘리베이터는 와이어나 로프가 카에 연결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와이어와 로프 없이 전자석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마찰이 없어 엘리베이터 이용자들을 원하는 목적 층까지 신속하게 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와 일반 엘리베이터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3. 건물의 공간 활용면
예를 들어 24인승 일반 엘리베이터의 경우 카 4대가 일렬로 설치한 경우와 비교할 수 있다. 즉 한 통로에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카 4대를 배치하였을 경우 47%, 8대를 배치하였을 경우 23.5%, 12대를 배치하였을 경우 15.7%로 설치 공간이 많이 줄일 수 있다. 특히 초고층빌딩의 경우 각 층의 바닥면적의 20%∼30%가 엘리베이터 홀 면적이므로 평균 25%로 가정하였을 시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면 바닥면적의 3.93%∼11.75%까지 줄일 수 있어 공간효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4. 엘리베이터 출입문 위치에 따른 이용 편리성
엘리베이터 배치는 이용객들이 사용하는데 편리성 우선해야 한다. 본 발명의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의 경우 출입문이 하나만 확인하면 되므로 확인하는데 불편함이 없고 도착한 순서대로 탑승할 수 있어 합리적이다. 반면 종래 4대의 엘리베이터를 일렬로 설치한 경우나 2대씩 마주보게 설치한 경우에는 4대의 출입문을 모두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과 도착순서와 관계없이 탑승하는 등의 불합리한 점이 제기된다.
5. 엘리베이터 타고 내릴 때 신속성 및 안전성
1개의 승강로에 4대의 카를 운영할 수 있어 건물의 모든 층에서 승강영역 및 승강홀 공간을 줄여 공간 활용에 장점이 있다. 건물의 공간 활용면 분석 결과에서 바닥면적의 20%∼30%가 아닌 3.93%∼11.75%만 사용하면 가능하므로 층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공간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출입문을 사용하므로 층별 엘리베이터 출입문 숫자를 75% 줄일 수 있는데 건물이 60개 층이라 가정하였을 때 문짝 개수가 일반 엘리베이터는 각각 240개이나, 본 발명의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는 60개면되므로 180개나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6. 작용 및 효과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공간을 줄여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초고층빌딩에서 기존 엘리베이터는 각 바닥면적의 20%∼30%를 차지하지만 본 발명의 회전추월
형 엘리베이터는 각 바닥면적의 3.93%∼11.75%만 차지하므로 공간 활용도를 대폭개선할 수 있다.
하나의 승강영역에 있는 4대 이상의 카가 빠르게 순환하여 지정장소에 도착하므로 다른 엘리베이터의 도착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없다.
도착순서와 관계없이 탑승하는 등의 불합리한 점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 시 질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부채꼴 형상의 카 형상에 의해 엘리베이터 문이 넓어 승하차 시간이 단축되고 승하차 시 어깨가 부딪히거나 밀려 넘어질 수 있는 사고위험을 개선할 수 있다.
하나의 카에 더 많은 인원의 탑승이 가능하여 수송 능력을 개선하고 동일 인원 탑승 시 카 내부 혼잡도 개선할 수 있다.
특이한 엘리베이터 형상 및 구조로 인해 건물 미감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중심 포스트
15: 승강 영역
15a: 수직 승강로
15b: 수평 승강로
16: 승강로 외벽
21: 리니어 액츄레이터
22,23: 리니어 가이드
31: 수직 레일부
51a: 제1 카
51b: 제2 카
51c: 제3 카
51d: 제4 카
71: 도어부
80: 승강홀

Claims (5)

  1. 건물의 승강영역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승강영역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중심 포스트;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리니어 가이드가 마련된 다수의 카(car);
    상기 카의 상기 리니어 가이드를 수직으로 안내하는 수직 승강로와 상기 리니어 가이드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수평 승강로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면서 원통형을 이루는 승강로 외벽; 및
    상기 중심 포스트와 상기 카를 연결하고 상기 카의 상하이동 및 좌우 회전이동을 위해 구동하는 리니어 액츄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영역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는 입구 측으로 갈수록 넓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카의 입구 측에는 승강홀과 연결되는 도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청구항 2에 기재된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방법으로서,
    탑승 카의 입구 측이 승강홀에 위치하도록 회전하여 상기 도어부를 개방하여 탑승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 카가 승강 또는 하강하여 목적 층으로 이동한 후 상기 도어부를 개방하여 하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운행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승강로 상에 승객이 탑승한 선행 탑승 카에 의해 간섭되는 경우,
    탑승 카의 상기 도어부를 개방하여 탑승하는 단계;
    상기 탑성 카를 상기 수평 승강로를 따라 회전이동시키고 상기 수직 승강로를 따라 상기 선행 탑승 카를 추월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 카가 목적 층에 도착한 후 상기 수평 승강로를 따라 회전하여 상기 승강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운행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승강로 상에 승객이 탑승하지 않는 선행 빈카에 의해 간섭되는 경우,
    탑승 카의 상기 도어부를 개방하여 탑승하는 단계;
    상기 선행 빈카를 상기 수평 승강로를 따라 회전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직 승강로를 따라 상기 선행 빈카를 추월한 후 상기 승강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운행방법.
KR1020210104754A 2021-08-09 2021-08-09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540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754A KR102540126B1 (ko) 2021-08-09 2021-08-09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754A KR102540126B1 (ko) 2021-08-09 2021-08-09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689A true KR20230022689A (ko) 2023-02-16
KR102540126B1 KR102540126B1 (ko) 2023-06-05

Family

ID=8532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754A KR102540126B1 (ko) 2021-08-09 2021-08-09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1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660A (ja) * 1991-11-21 1993-06-08 Toshiba Corp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
JPH06144745A (ja) * 1992-11-09 1994-05-24 Toshiba Corp 自走式エレベータ
KR19990055393A (ko) * 1997-12-27 1999-07-15 이종수 엘리베이터용 승강로
CN107265258A (zh) * 2017-08-21 2017-10-20 河南理工大学 一种移动架无绳循环垂直提升机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660A (ja) * 1991-11-21 1993-06-08 Toshiba Corp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
JPH06144745A (ja) * 1992-11-09 1994-05-24 Toshiba Corp 自走式エレベータ
KR19990055393A (ko) * 1997-12-27 1999-07-15 이종수 엘리베이터용 승강로
CN107265258A (zh) * 2017-08-21 2017-10-20 河南理工大学 一种移动架无绳循环垂直提升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126B1 (ko) 202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1929B (fi) Hissiryhmän ohjaus
EP2349901B1 (en) Elevator system
US7650966B2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multiple cars in a hoistway, destination entry control and parking positions
JP515660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0586830C (zh) 电梯系统
KR20050038579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US9522807B2 (en) System of elevator cabs and counterweights that move independently in different sections of a hoistway
JP4961774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20060213727A1 (e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KR102204157B1 (ko) 자체 구동식 4방향 출입구 관통형 엘리베이터
FI88789B (fi) Foerfarande foer val av en hiss i en hissgrupp
KR102540126B1 (ko) 회전추월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JPS59153773A (ja) エレベ−タ
JP5194809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H09165146A (ja) エレベータシャトル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シャトルシステムの乗客移動方法
JP3135760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071160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5170597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H03166187A (ja) 建物用垂直輸送システム
JP7082005B2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装置および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装置の制御方法
CN109665389B (zh) 非接触供电电梯
JP3404440B2 (ja) 昇降機システム
KR102204160B1 (ko) 4방향 출입구 관통형 엘리베이터
CN117842797A (zh) 一种电梯系统的轿厢停靠方法
JP2024008388A (ja) 昇降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