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913A -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913A
KR20230021913A KR1020210103882A KR20210103882A KR20230021913A KR 20230021913 A KR20230021913 A KR 20230021913A KR 1020210103882 A KR1020210103882 A KR 1020210103882A KR 20210103882 A KR20210103882 A KR 20210103882A KR 20230021913 A KR20230021913 A KR 20230021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pact
predetermined
condition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1913A/ko
Publication of KR20230021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도어류 개폐센서; 시트 착좌 감지센서; 스마트키 제어기; 알림장치; 차량의 주차 상태 및 정차 상태를 판단하는 주정차판단부;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하면, 상기 주정차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차량의 주정차 상태에 따라, 상기 스마트키 제어기 및 상기 센서들의 출력을 이용하여, 소정의 주차 시 조건과 소정의 정차 시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조건판단부; 상기 조건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알림장치를 구동하는 알림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 및 방법{VIHICLE IMPACT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주차 및 정차 상황의 차량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주차되어 있는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원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에게도 이러한 충격 발생의 사실을 알려주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 발생 알림 장치가 최근의 차량에 탑재되고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도어나 트렁크를 개폐하는 정상적인 상황에서도 이를 충격으로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알람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7642050000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정상적인 차량 사용에 따른 충격의 발생은 사용자에게 불필요하게 알리지 않고, 그 이외의 경우에 대해서만 사용자에게 충격 발생의 사실을 안내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의 제공으로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차량의 신뢰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는,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도어류 개폐센서;
시트 착좌 감지센서;
스마트키 제어기;
알림장치;
차량의 주차 상태 및 정차 상태를 판단하는 주정차판단부;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하면, 상기 주정차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차량의 주정차 상태에 따라, 상기 스마트키 제어기 및 상기 센서들의 출력을 이용하여, 소정의 주차 시 조건과 소정의 정차 시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조건판단부;
상기 조건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알림장치를 구동하는 알림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류 개폐센서는, 차량의 도어 개폐센서, 트렁크 개폐센서, 테일게이트 개폐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주정차판단부는
차량이 KEY OFF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이 KEY ON되어 있으나, 차속이 0이면 상기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차 시 조건은
운전자와 차간거리가 소정의 기준거리 이내이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도어류 개폐 전후 소정의 제1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차량 시트의 이석 또는 착석 전후 소정의 제2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차량이 KEY OFF된 후 소정의 제3기준시간범위 이내이면;
충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정차 시 조건은
운전자와 차간거리가 소정의 기준거리 이내이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도어류 개폐 전후 소정의 제1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차량 시트의 이석 또는 착석 전후 소정의 제2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면;
충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알림구동부는 상기 조건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주차 시 조건과 정차 시 조건이 모두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알림장치를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방법은,
차량에서 충격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차량이 주차 중인지 정차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 소정의 주차 시 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 소정의 정차 시 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차 시 조건과 정차 시 조건이 모두 충족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충격 발생을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이 KEY OFF된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이 KEY ON되어 있으나, 차속이 0이면 상기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주차 시 조건은
운전자와 차간거리가 소정의 기준거리 이내이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도어류 개폐 전후 소정의 제1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차량 시트의 이석 또는 착석 전후 소정의 제2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차량이 KEY OFF된 후 소정의 제3기준시간범위 이내이면;
충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정차 시 조건은
운전자와 차간거리가 소정의 기준거리 이내이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도어류 개폐 전후 소정의 제1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차량 시트의 이석 또는 착석 전후 소정의 제2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면;
충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상적인 차량 사용에 따른 충격의 발생은 사용자에게 불필요하게 알리지 않고, 그 이외의 경우에 대해서만 사용자에게 충격 발생의 사실을 안내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의 제공으로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차량의 신뢰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는,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1); 도어류 개폐센서(3); 시트 착좌 감지센서(5); 스마트키 제어기(7); 알림장치(9); 차량의 주차 상태 및 정차 상태를 판단하는 주정차판단부(11); 상기 충격감지센서(1)가 충격을 감지하면, 상기 주정차판단부(11)에 의해 판단된 차량의 주정차 상태에 따라, 상기 스마트키 제어기(7) 및 상기 센서들의 출력을 이용하여, 소정의 주차 시 조건과 소정의 정차 시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조건판단부(13); 상기 조건판단부(13)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알림장치(9)를 구동하는 알림구동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상기 충격감지센서(1)에 의해, 차량에서 충격이 발생하면 이를 상기 알림장치(9)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되, 차량의 주차 시와 정차 시를 구분하여, 상기 센서들의 정보를 이용한 소정의 조건들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정상적인 차량 사용에 의해 발생된 충격의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그 이외의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여, 부적절한 알림에 의한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차량의 신뢰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도어류 개폐센서(3)는, 차량의 도어 개폐센서, 트렁크 개폐센서, 테일게이트 개폐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센서는 도어의 개방 시나 폐쇄 시에 온오프되는 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트렁크 개폐센서는 트렁크의 개폐 시에 온오프되는 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고, 상기 테일게이트 개폐센서도, 테일게이트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스마트키 제어기(7)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키(17)와 무선 통신하여, 차량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조건판단부(13)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주정차판단부(11)는 차량이 KEY OFF 상태인 경우, 차량이 주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이 KEY ON되어 있으나, 차속이 0이면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에는 엔진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인 경우에 차량이 주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엔진의 시동이 걸려 있으나 아이들 상태로서 차속이 0이면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한편, 전기차나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READY OFF 상태인 경우, 차량이 주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RDADY ON 상태로서 차속이 0이면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KEY ON과 KEY OFF는 내연기관 차량이나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차에서 차량이 즉각적인 출발이 가능한 상태를 KEY ON 상태, 차량의 장시간 주차할 수 있는 상태를 KEY OFF 상태로 표현하는 것이다.
상기 주차 시 조건은, 운전자와 차간거리가 소정의 기준거리 이내이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도어류 개폐 전후 소정의 제1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차량 시트의 이석 또는 착석 전후 소정의 제2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차량이 KEY OFF된 후 소정의 제3기준시간범위 이내이면 충족된다.
즉, 충격이 감지되었을 때, 운전자와 차간거리가 소정의 기준거리 이내라면, 이는 사용자에 의한 정상적인 차량의 사용에서 비롯된 충격일 가능성이 높고, 또한 운전자가 가까운 거리에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알려야 할 수준의 충격이 차량에 발생한 경우, 운전자가 자각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상기 충격감지센서(1)로 감지된 충격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준거리는 상기한 바와 같은 취지에 따라 실험 및 해석에 의해 설계적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인 바, 예컨대 10M 내외의 거리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와 운전자는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사용자는 운전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도어류 개폐 전후 소정의 제1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한다면, 이 경우 상기 충격은 상기 도어류의 개폐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상기 충격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기준시간범위는 차량의 도어, 트렁크, 테일게이트 등을 개폐할 때, 상기 도어류 개폐센서(3)가 도어류의 개폐를 감지하는 시점과 그에 의해 충격이 발생하는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다수의 실험 및 해석에 의해 적절히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기준시간범위는 예컨대 충격 발생 시점 이전 2초부터, 충격 발생 시점 이후 2초까지 등으로 설정되어, 도어의 개방 시 도어의 개방이 먼저 센싱된 후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나, 도어의 폐쇄 시 도어의 닫힘이 먼저 센싱된 후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도 모두 도어의 개폐에 의해 충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차량 시트의 이석 또는 착석 전후 소정의 제2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한다면, 이 경우 상기 충격은 상기 시트에 앉거나 일어서는 사람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거나, 적어도 그 충격의 발생을 상기 시트를 사용하는 사람이 인지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충격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기준시간범위는 시트에 사람이 앉거나 일어서는 등의 움직임이 있을 때, 통상적으로 충격으로 인지될 만한 상황이 발생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될 수 있을 것인 바, 예컨대, 충격 발생 시점 이전 3초부터, 충격 발생 시점 이후 2초까지 등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차량이 KEY OFF된 후 소정의 제3기준시간범위 이내이면, 상기 충격은 사용자나 운전자가 이를 직접 인지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충격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3기준시간범위를 차량의 KEY OFF 후, 5초 등과 같이 설정하면,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멀리 떠나기 전에 발생한 충격이므로, 이는 굳이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아도 운전자가 그 충격 발생을 인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정차 시 조건은 운전자와 차간거리가 소정의 기준거리 이내이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도어류 개폐 전후 소정의 제1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차량 시트의 이석 또는 착석 전후 소정의 제2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면 충족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거리, 제1기준시간범위 및 제2기준시간범위는 상기 주차 시 조건에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알림구동부(15)는 상기 조건판단부(13)의 판단결과, 상기 주차 시 조건과 정차 시 조건이 모두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알림장치(9)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차량에서 충격이 발생한 것을 상기 충격감지센서(1)가 감지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상기 주차 시 조건과 정차 시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는 경우라면, 상기 알림장치(9)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알림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알림장치(9)는 사용자의 휴대폰 등과 같은 사용자 소지 장비에 무선으로 상기 충격 발생 사실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통신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차량에서 충격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0); 차량이 주차 중인지 정차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S20);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 소정의 주차 시 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 소정의 정차 시 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주차 시 조건과 정차 시 조건이 모두 충족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충격 발생을 알리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면, 차량이 주차 중인지 정차 중인지 판단하고, 그 상태에 따라 상기 주차 시 조건 또는 정차 시 조건을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충격 발생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알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비록 차량의 충격이 감지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알릴 필요가 없는 충격인 경우는, 상기 주차 시 조건과 정차 시 조건에 의해 판단하여, 불필요한 알림이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주차 시 조건과 정차 시 조건은 상기한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에서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충격감지센서
3; 도어류 개폐센서
5; 시트 착좌 감지센서
7; 스마트키 제어기
9; 알림장치
11; 주정차판단부
13; 조건판단부
15; 알림구동부
17; 스마트키

Claims (10)

  1.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도어류 개폐센서;
    시트 착좌 감지센서;
    스마트키 제어기;
    알림장치;
    차량의 주차 상태 및 정차 상태를 판단하는 주정차판단부;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하면, 상기 주정차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차량의 주정차 상태에 따라, 상기 스마트키 제어기 및 상기 센서들의 출력을 이용하여, 소정의 주차 시 조건과 소정의 정차 시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조건판단부;
    상기 조건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알림장치를 구동하는 알림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류 개폐센서는, 차량의 도어 개폐센서, 트렁크 개폐센서, 테일게이트 개폐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정차판단부는
    차량이 KEY OFF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이 KEY ON되어 있으나, 차속이 0이면 상기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차 시 조건은
    운전자와 차간거리가 소정의 기준거리 이내이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도어류 개폐 전후 소정의 제1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차량 시트의 이석 또는 착석 전후 소정의 제2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차량이 KEY OFF된 후 소정의 제3기준시간범위 이내이면;
    충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차 시 조건은
    운전자와 차간거리가 소정의 기준거리 이내이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도어류 개폐 전후 소정의 제1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차량 시트의 이석 또는 착석 전후 소정의 제2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면;
    충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림구동부는 상기 조건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주차 시 조건과 정차 시 조건이 모두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알림장치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
  7. 차량에서 충격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차량이 주차 중인지 정차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 소정의 주차 시 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 소정의 정차 시 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차 시 조건과 정차 시 조건이 모두 충족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충격 발생을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차량이 KEY OFF된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이 KEY ON되어 있으나, 차속이 0이면 상기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주차 시 조건은
    운전자와 차간거리가 소정의 기준거리 이내이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도어류 개폐 전후 소정의 제1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차량 시트의 이석 또는 착석 전후 소정의 제2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차량이 KEY OFF된 후 소정의 제3기준시간범위 이내이면;
    충족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차 시 조건은
    운전자와 차간거리가 소정의 기준거리 이내이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도어류 개폐 전후 소정의 제1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거나;
    상기 충격 발생 시점이, 차량 시트의 이석 또는 착석 전후 소정의 제2기준시간범위 내에 속하면;
    충족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방법.
KR1020210103882A 2021-08-06 2021-08-06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230021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882A KR20230021913A (ko) 2021-08-06 2021-08-06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882A KR20230021913A (ko) 2021-08-06 2021-08-06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913A true KR20230021913A (ko) 2023-02-14

Family

ID=8522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882A KR20230021913A (ko) 2021-08-06 2021-08-06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19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205B1 (ko) 2017-04-05 2017-08-02 (주)씨앤아이피 주차된 차량의 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205B1 (ko) 2017-04-05 2017-08-02 (주)씨앤아이피 주차된 차량의 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09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 free operation of at least one vehicle door
KR100766188B1 (ko)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
CN103381775B (zh) 控制车外后视镜从展开位置进入叠起位置中的方法和装置
CN108238003B (zh) 车辆及其车门锁控制方法、车门锁控制系统及存储介质
US87817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restarting of vehicle
CN105484608A (zh) 汽车车窗的操控方法、车窗控制设备及移动终端
CN105059243A (zh) 一种汽车自动锁闭门窗系统及方法
CN104859651A (zh) 一种提高停车开门安全性的危险探测与预防方法
US108157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 free operation of at least one vehicle door
KR20090120780A (ko) 타이어위치 자동인식 시스템
US11365580B2 (en) Method and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a vehicle adjusting part with output status information
JP2007076415A (ja) 車両制御装置
CN113561938A (zh) 终端、车辆控制系统及车辆控制方法
JP2010138543A (ja) 車両用ドアロックシステム、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ロック制御方法
CN114347948B (zh) 车辆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2285350B (zh) 碰撞判定装置、碰撞判定方法和乘员保护装置
KR20230021913A (ko)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 및 방법
JP4900090B2 (ja) 車両用始動制御装置
JP3835293B2 (ja) 車両の制御装置
KR20230021914A (ko) 차량의 충격 발생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2429499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 장치 및 방법
JP2005212506A (ja) 車両用ドア制御装置
US20220203932A1 (en) Functionality limiting system for a motorized vehicle and method for limiting the functionality of a motorized vehicle
JP2009074325A (ja) パワーウィンドウ装置
KR20120129594A (ko) 차량용 사이드 도어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