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782A -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782A
KR20230021782A KR1020210103550A KR20210103550A KR20230021782A KR 20230021782 A KR20230021782 A KR 20230021782A KR 1020210103550 A KR1020210103550 A KR 1020210103550A KR 20210103550 A KR20210103550 A KR 20210103550A KR 20230021782 A KR20230021782 A KR 20230021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air
booths
door
respiratory viru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김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대 filed Critical 김영대
Priority to KR1020210103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1782A/ko
Priority to PCT/KR2022/011473 priority patent/WO2023014080A1/ko
Publication of KR20230021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47B83/023Booth-type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3/00Special devices for ventilating gasproof shel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3Clean air work stations, i.e. selected areas within a space which filtered air is pa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내부 공간에 착석하여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개인별 업무 공간을 제공하되,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통해 부스의 내부 상측에서 하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부스의 내부 공간을 양압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부스 내부 공간으로 외부 오염된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부스 일측면에 수납부가 구비되어 결재서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 전달이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근무자 상호간에 접촉을 최소화하여 집단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PROTECTIVE SYSTEM FOR OFFICE TO PREVENTING RESPIRATORY VIRUSES}
본 발명은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내부 공간에 착석하여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개인별 업무 공간을 제공하되,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통해 부스의 내부 상측에서 하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부스의 내부 공간을 양압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부스 내부 공간으로 외부 오염된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부스 일측면에 수납부가 구비되어 결재서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 전달이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근무자 상호간에 접촉을 최소화하여 집단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000년대 들어서면서 사스,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감염병이 빈번하게 창궐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 발생된 감염병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감염병으로 인한 인명피해 뿐만 아니라,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발생한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실내 공간에서 강력한 전파력으로 인하여 콜센터 등 사무실 내 집단감염을 유발하여 큰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상기 콜센터와 같은 직종의 경우, 낮은 칸막이를 사이에 두고 다수의 상담원이 밀집된 형태로 근무하게 되는데, 마스크를 쓰고 고객과 전화상담을 하는 경우, 전달이 용이하지 않음에 따라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 조차 어려워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에 매우 취약한 근무 환경에 놓여져 있다.
따라서,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벽체일체형 환기장치'가 공개특허 제10-2013-0096586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벽체일체형 환기장치'는, 환기장치 본체(10)를 구비하여 건물의 벽체에 삽입 설치되는 벽체일체형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 본체(10)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 내부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20)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20)의 우측과 상기 하우징(11) 사이에는 우측 공기통로(11A)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에 설치되는 외기흡입구(14)와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기(20)의 상부와 상기 하우징(11) 사이에는 상측 공기통로(11B)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에 설치되는 실내공기배출구(13)와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기(20)의 좌측과 상기 하우징(11) 사이에는 좌측 공기통로(11C)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에 설치되는 외기배출구(12)와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기(20)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11) 사이에는 흡입그릴이 설치된 실내공기유입구(15)가 형성되고, 상기 외기배출구(12)는 흡기팬(40B)과 실내의 천장에 설치된 다수 개의 토출그릴에 연결되며, 상기 실내공기배출구(13)는 천장 내부에 설치된 배기팬(40A)과 연결되고, 상기 외기흡입구(14)는 외기 흡입그릴과 연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특허문헌1은 학교 등과 같은 공동건물의 벽체 내에 삽입 설치되어 실내외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동시에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배기열을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단순히 실내외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에 불과하여, 회사와 같이 다수의 인원이 모여 근무를 하는 경우, 근무자간 호흡기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지 못함에 따라, 여전히 집단감염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무자별 개인 공간을 제공하여 호흡기 바이러스에 노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658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내부 공간에 착석하여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개인별 업무 공간을 제공하되,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통해 부스의 내부 상측에서 하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부스의 내부 공간을 양압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부스 내부 공간으로 외부 오염된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부스 일측면에 수납부가 구비되어 결재서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 전달이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근무자 상호간에 접촉을 최소화하여 집단감염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은, 사용자가 내부 공간에 착석하여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개인별 공간을 제공하며, 정화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부스; 상기 부스의 상부에 위치하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된 공기를 상기 부스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및 상기 부스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결재서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공급부를 통해 상기 부스의 내부 상측에서 하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부스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부스의 내부 공간을 양압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부스 내부 공간으로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납부를 통해 서류결재 및 물품전달이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부스의 외측에 위치하여 결재서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을 부스 내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외측도어; 상기 부스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외측도어를 통해 전달되는 결재서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함; 상기 부스의 내측에서 상기 수납함을 개폐하는 내측도어; 및 상기 내측도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외측도어 개방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입자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사용자가 내부 공간에 착석하여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개인별 공간을 제공하며, 정화된 외부 공기가 유입되되, 상호 인접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제1,2부스; 상기 제1,2부스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된 공기를 상기 제1,2부스 내부로 각각 공급하는 제1,2공기공급부; 및 상기 제1,2부스가 맞닿는 벽면의 내측에 각각 위치하여 결재서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제1,2수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2공기공급부를 통해 상기 제1,2부스의 내부 상측에서 각각 하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제1,2부스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제1,2부스의 내부 공간을 각각 양압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제1,2부스 내부 공간으로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2수납부를 통해 서류결재 및 물품전달이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수납부는, 상기 제1,2부스 내측에 각각 위치하여 결재서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이 수납되는 제1,2수납함; 상기 제1,2부스의 내측에서 상기 제1,2수납함을 각각 개폐하는 제1,2도어; 및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의 개방에 의해 상기 제1부스 또는 제2부스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입자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수납부는, 상기 제1,2부스 사이에 위치하여 결재서류가 수납되도록 하방향으로 공간을 형성하며, 그 상부에 수납된 결재서류의 인출을 위한 인출홈이 형성되는 수납함; 상기 제1,2부스의 내측에서 상기 수납함을 각각 개폐하는 제1,2도어; 및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의 개방에 의해 상기 제1부스 또는 제2부스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입자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내부 공간에 착석하여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개인별 업무 공간을 제공하되,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통해 부스의 내부 상측에서 하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부스의 내부 공간을 양압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부스 내부 공간으로 외부 오염된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부스 일측면에 수납부가 구비되어 결재서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 전달이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근무자 상호간에 접촉을 최소화하여 집단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의 수납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의 수납부 개폐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의 공기 흐름 구조를 보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의 수납부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의 수납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의 수납부 개폐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의 수납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의 수납부 개폐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의 수납부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의 수납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의 수납부 개폐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의 수납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의 수납부 개폐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의 공기 흐름 구조를 보인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의 수납부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은, 부스(100), 공기공급부(200), 수납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부스(100)는 사용자가 내부 공간에 착석하여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개인별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근무자의 근무상태를 확인하거나, 근무자가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부 상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스(100)의 상부에는 정화된 외부 공기가 부스(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기공급부(200)가 구비되는데, 공기공급부(200)를 통해 정화된 외부 공기가 부스(100)의 내부 상측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부스(100)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부스(100)의 내부 공간을 양압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부스(100) 내부 공간으로 오염된 외부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호흡기 바이러스로부터 사용자의 호흡기가 노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부스(100)는 그 상단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그 하면 일부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부스(100)의 전면, 후면 또는 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사용자가 출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출입문(110)이 설치되며, 상기 출입문(110)의 하부에는 출입문(110)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개폐가이드부(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개폐가이드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부스(100) 내부로 들어가거나 외부로 나오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그 상면이 라운드 형태의 부드러운 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스(100)는 그 크기에 따른 이동 및 설치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수가 분할된 상태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하는 DIY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공기공급부(200)는 상기 부스(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된 공기를 부스(100) 내부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큰 오염입자를 1차로 필터링하기 위한 제1필터(210)와, 상기 제1필터(210)의 후면에서 초미세 오염입자를 2차로 필터링하기 위한 제2필터(220) 및 상기 제2필터(220)의 후면에 위치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1필터(210)와 제2필터(220)를 통과하며 정화된 공기를 부스(100) 내부로 이송시키는 송풍기(230)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필터(210)는 프리필터(prefilt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필터(220)는 울파필터(ULPAfilt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송풍기(230)가 제2필터(22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필터(2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필터(210) 및 제2필터(220)는 청소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그 끝단에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공기공급부(200)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부스(100) 내부로 진입시 이를 감지하여 송풍기(230)가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부(200)는 주름관과 같은 이송수단 없이 부스(100)의 상단에 직결로 연결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제1필터(210)와 제2필터(220)를 거쳐 송풍기(230)에서 이송수단을 통해 부스(100)로 정화된 공기가 이동하는 경우, 이송수단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구간의 내경이 좁아짐에 따라 풍속이 올라가고, 이송수단을 지나가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공기공급부(200)가 부스(10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부스(100)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소음을 최소화하여 조용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200)는 부스(100)의 내부 상측에서 하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공기공급부(200)를 통해 부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정화된 공기가 부스(100)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부스(100)의 내부 공간을 양압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부스(100) 내부 공간으로 오염된 외부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수납부(300)는 상기 부스(100)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결재서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f)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부스(100)의 외측에 위치하여 결재서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f)을 부스 내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외측도어(310)와, 상기 부스(10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외측도어(310)를 통해 전달되는 결재서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f)이 수납되는 수납함(320)과, 상기 부스(100)의 내측에서 상기 수납함(320)을 개폐하는 내측도어(330) 및 상기 내측도어(3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외측도어(310) 개방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입자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부(300)는 외측도어(310)를 상기 부스(100)의 외측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외측고정판(350)을 포함하며, 수납함(320) 및 내측도어(330)를 부스(100)의 내측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내측고정판(36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부스(100)의 일측면에 수납부(300)가 구비됨으로써, 근무자 상호간에 서류 결재 및 물품전달 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호 접촉 없이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100)의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가 외측도어(310)를 개방하여 수납함(320)에 결재서류를 포함한 물품(f)을 수납하면, 부스(100)의 내부에 위치한 사용자가 내측도어(330)를 개방하여 수납함(320)에 수납된 결재서류를 포함한 물품(f)을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근무자 상호간에 접촉을 최소화하여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한 집단감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도어(330)가 폐쇄된 상태에서 외측도어(310)를 개방한 상태로 부스(100)의 내/외부에 위치한 사용자간에 필터부재(340)를 사이에 두고 대화가 가능하다.
한편,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포터블 방호 시스템은 수납함(320)에 결재서류만 수납 가능하도록 수납함(320)을 내측고정판(360)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수납함(320)의 상부에는 결재서류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인출홈(3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납함(320)은 부스(100) 내부로 돌출 형성되지 않고, 내측고정판(360)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부스(100)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포터블 방호 시스템은, 상호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2부스(400,400')가 맞닿는 벽면의 내측에 제1,2수납부(600,600')가 각각 구비되어 서류결재 및 물품전달이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제1,2수납부(600,600')는 상기 제1,2부스(400,400') 내측에 각각 위치하여 결재서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이 수납되는 제1,2수납함(610,610')과, 상기 제1,2부스(400,400')의 내측에서 상기 제1,2수납함(610,610')을 각각 개폐하는 제1,2도어(620,620') 및 상기 제1도어(620) 또는 제2도어(620')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도어(620) 또는 제2도어(620')의 개방에 의해 상기 제1부스(400) 또는 제2부스(400')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입자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630)를 포함하는데, 상기 필터부재(630)는 바람직하게는 제1,2도어(620,620')에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포터블 방호 시스템은 제1,2부스(400,400')를 통해 인접한 근무자별 개별적인 공간을 제공하고, 제1,2공기공급부(500,50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제1,2부스(400,400') 각각으로 공급함으로써, 호흡기 바이러스에 근무자가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전화통화 등 편안한 근무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2수납부(600,600')를 통해 근무자 상호간에 서류결재 및 물품전달 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호 접촉 없이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근무자 상호간에 접촉을 최소화하여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한 집단감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포터블 방호 시스템은 수납함(320)에 결재서류만 수납 가능하도록 하방향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함(320)을 제1부스(400)와 제2부스(40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수납함(320)의 상부에는 결재서류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인출홈(3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납함(320)은 부스(100) 내부로 돌출 형성되지 않고, 제1부스(400)와 제2부스(40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부스(100)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2공기공급부(500,500')에 관한 구조 및 기능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부스 110: 출입문
120: 개폐가이드부 200: 공기공급부
210: 제1필터 220: 제2필터
230: 송풍기 300: 수납부
310: 외측도어 320: 수납함
321: 인출홈 330: 내측도어
340: 필터부재 350: 외측고정판
360: 내측고정판 400,400': 제1,2부스
500,500': 제1,2공기공급부 600,600': 제1,2수납부
610,610': 제1,2수납함 620,620': 제1,2도어
630: 필터부재 640,640': 제1,2고정판

Claims (5)

  1. 사용자가 내부 공간에 착석하여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개인별 공간을 제공하며, 정화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부스;
    상기 부스의 상부에 위치하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된 공기를 상기 부스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및
    상기 부스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결재서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공급부를 통해 상기 부스의 내부 상측에서 하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부스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부스의 내부 공간을 양압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부스 내부 공간으로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납부를 통해 서류결재 및 물품전달이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
  2. 사용자가 내부 공간에 착석하여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개인별 공간을 제공하며, 정화된 외부 공기가 유입되되, 상호 인접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제1,2부스;
    상기 제1,2부스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된 공기를 상기 제1,2부스 내부로 각각 공급하는 제1,2공기공급부; 및
    상기 제1,2부스가 맞닿는 벽면의 내측에 각각 위치하여 결재서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제1,2수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2공기공급부를 통해 상기 제1,2부스의 내부 상측에서 각각 하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제1,2부스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제1,2부스의 내부 공간을 각각 양압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제1,2부스 내부 공간으로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2수납부를 통해 서류결재 및 물품전달이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부스의 외측에 위치하여 결재서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을 부스 내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외측도어;
    상기 부스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외측도어를 통해 전달되는 결재서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함;
    상기 부스의 내측에서 상기 수납함을 개폐하는 내측도어; 및
    상기 내측도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외측도어 개방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입자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수납부는,
    상기 제1,2부스 내측에 각각 위치하여 결재서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이 수납되는 제1,2수납함;
    상기 제1,2부스의 내측에서 상기 제1,2수납함을 각각 개폐하는 제1,2도어; 및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의 개방에 의해 상기 제1부스 또는 제2부스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입자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수납부는,
    상기 제1,2부스 사이에 위치하여 결재서류가 수납되도록 하방향으로 공간을 형성하며, 그 상부에 수납된 결재서류의 인출을 위한 인출홈이 형성되는 수납함;
    상기 제1,2부스의 내측에서 상기 수납함을 각각 개폐하는 제1,2도어; 및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의 개방에 의해 상기 제1부스 또는 제2부스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입자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
KR1020210103550A 2021-08-06 2021-08-06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 KR20230021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550A KR20230021782A (ko) 2021-08-06 2021-08-06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
PCT/KR2022/011473 WO2023014080A1 (ko) 2021-08-06 2022-08-03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550A KR20230021782A (ko) 2021-08-06 2021-08-06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782A true KR20230021782A (ko) 2023-02-14

Family

ID=85155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550A KR20230021782A (ko) 2021-08-06 2021-08-06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21782A (ko)
WO (1) WO202301408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586A (ko) 2012-02-22 2013-08-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벽체일체형 환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1684A (ja) * 1991-04-03 1993-09-07 Aoki Corp パーソナルクリーンブース
KR20080050552A (ko) * 2008-05-13 2008-06-09 이세라 인명보호용 다기능챔버
JP5520758B2 (ja) * 2010-09-15 2014-06-11 株式会社エアレックス パスボックス及びこのパスボックスを備えたアイソレーター装置
KR102259366B1 (ko) * 2019-07-31 2021-05-31 이정민 환기 기능이 탑재된 다용도 도어
KR102165792B1 (ko) * 2020-03-04 2020-10-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감염병 진료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586A (ko) 2012-02-22 2013-08-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벽체일체형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4080A1 (ko)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1986A (en) Contamination reducing airlock and entry system
RU234714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ентиляции и воздушного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путем перемешивания с приточным и вытяжным потоками, настилающимися за счет эффекта коанды
US5971839A (en) Dust containment vacuum system
US6632260B1 (en) Adjustable clean-air flow environment
WO1993008934A1 (en) Smoker's booth, modular wall, and furniture ventilation
US11226122B1 (en) Modular recycling air curtain device to replace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 (PPE) for reduction in the spread of viruses such as Covid-19
DE102020120046A1 (de) Vorrichtung zur Desinfektion von Luft
US6821310B2 (en) Device and method for air filtration
JP2007255778A (ja) エアシャワー装置
JPH0649279B2 (ja) 清浄作業台
JP6978291B2 (ja) クリーンブース
KR20230021782A (ko)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사무실용 방호 시스템
US6857956B2 (en) Airlock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toxic-free area
JP3410389B2 (ja) クリーンルーム
JP7039123B2 (ja) クリーンブース
KR102426540B1 (ko) 코로나바이러스 및 호흡기질병 확산 방지를 위한 소독기능이 포함된 환기시스템
US20220111108A1 (en) Enhanced air cleaning computer monitor
JP3533649B2 (ja) 安全キャビネット
JP2022028621A (ja) ダクトレス吹上型エアーカーテン装置
JP7133768B1 (ja) 店舗用局所換気システム
JP2023019220A (ja) 屋内雰囲気浄化システム
GB2597968A (en) Furniture
KR20220008134A (ko) 공기 청정 부스
KR20110020330A (ko) 환기식 시약장
US20220316725A1 (en) Air-circulating conference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079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411

Effective date: 2023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