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330A - 환기식 시약장 - Google Patents

환기식 시약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330A
KR20110020330A KR1020090077889A KR20090077889A KR20110020330A KR 20110020330 A KR20110020330 A KR 20110020330A KR 1020090077889 A KR1020090077889 A KR 1020090077889A KR 20090077889 A KR20090077889 A KR 20090077889A KR 20110020330 A KR20110020330 A KR 20110020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gent
discharge
chamber
harmful gas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칠
Original Assignee
윤주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주칠 filed Critical 윤주칠
Priority to KR1020090077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0330A/ko
Publication of KR20110020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50Enclosures; Chambers for storing hazardous materials in the laboratory, e.g. cupboards, wast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47B2067/025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having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4Venting, avoiding backpressure, avoid gas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2Handling hazard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8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enabling gas exchange, e.g.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0Means to control humidity and/or other gases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식 시약장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시약(11)을 보관하도록 'ㄷ'형상으로 복수의 시약실(12)이 형성되어 상기 시약실(12)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선반(13)이 설치되고, 상기 시약실(12)의 전면이 개구되어 개구된 전면을 밀폐하거나 개방하도록 복수의 문(15)이 설치되어 있는 시약장(10)에 있어서, 상기 시약(11)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상기 시약실(12)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제 1배출부(20)와 제 2배출부(3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배출부(20)와 제 2배출부(30)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상기 시약장(10)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인 환기식 시약장에 따르면, 시약장의 문을 열면서 시약실 내부의 유해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가능하다.
환기식, 시약장, 배출팬

Description

환기식 시약장{A Depository Reagent}
본 발명은 환기식 시약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약장의 문을 열면서 작동하는 제 1배출부를 통해 시약장 외부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사용자가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환기식 시약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약장은 화학 및 생물 실험을 하는 학교나 연구소 등과 같은 곳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시약장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화학약품(시약)에 의하여 유해가스가 발생하고 시약장내에 그대로 머무르게 되어 보관 중인 시약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문을 열면 시약장 내에 유출된 유해가스를 흡입하게 됨과 동시에 인체의 피부에 확산되어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약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시약장 외부로 내보내는 환기식 시약장이 많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환기식 시약장은 시약장 내부의 유해가스를 모두 환기시키지 못했다. 특히 환기되지 못하고 미량의 유해가스가 다시 시약실로 유입되거나 미처 환기되지 못하고 시약실에 남아 있는 유해가스는 사용자가 문을 여는 동시에 시약 장 외부의 공기와 시약실 내부의 유해가스가 서로 뒤섞이면서 시약장 외부로 배출되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시약을 꺼내다 유해가스를 흡입하게 되고, 계속되는 미량의 유해가스 흡입은 가스 중독으로 인체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약실 내부에 제 1배출부와 제 2배출부를 형성하여 문을 열었을 경우 유해가스가 시약장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상기 제 1배출부가 작동하는 것이 가능한 환기식 시약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환기식 시약장은 내부에 시약(11)을 보관하도록 'ㄷ'형상으로 복수의 시약실(12)이 형성되어 상기 시약실(12)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선반(13)이 설치되고, 상기 시약실(12)의 전면이 개구되어 개구된 전면을 밀폐하거나 개방하도록 복수의 문(15)이 설치되어 있는 시약장(10)에 있어서, 상기 시약(11)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상기 시약실(12)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제 1배출부(20)와 제 2배출부(3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배출부(20)와 제 2배출부(30)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상기 시약장(10)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배출부(20)는 상기 시약실(12) 내부의 유해가스가 흡입되는 흡입구(21)가 형성된 배출팬실(24)과, 상기 배출팬실(24)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21)로 유해가스를 흡입하고, 통로(23)로 내보내도록 회전하는 배출팬(22)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배출부(30)는 상기 시약실(12) 내부의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31)와, 상기 배출구(31)를 통해 배출되는 유해가스가 상기 시약실(12) 내부로 재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류방지마개(32)와, 상기 역류방지마개(32)를 고정하는 고정부(34)와, 상기 고정부(34) 타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역류방지마개(32)가 일측으로만 열리도록 하는 스토퍼(33)와, 상기 통로(23)와 연결되어 유해가스가 상기 배기부(40)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이동관(35)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부(40)는 카본필터(42)와, 체류실(41), 연결관(43), 배기팬실(44), 배기팬(45) 및 배기관(46)을 결합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환기식 시약장은 상기 제 1배출부(20)는 상기 시약실(12) 전면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문(15)의 개폐에 따라 상기 배출팬(22)의 작동을 제어하는 릴레이(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환기식 시약장에 따르면, 시약장의 문을 열면서 시약실 내부의 유해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시약장을 사용토록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약실 내부는 전·후면에서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제 1배출부와 제 2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시약실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이동관 또는 배기부 등에 잔류하고 있는 유해가스가 시약실 내부로 재유입되지 않도록 역류방지마개를 설치하여 시약실 내부의 유해가스로 인해 폭발과 같은 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식 시약장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식 시약장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약장(10)의 내부에 시약(11)을 보관하도록 'ㄷ'형상으로 복수의 시약실(12)이 형성된다. 상기 시약실(12)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선반(13)이 설치되고, 상기 선반(13)을 받치는 복수의 받침부(1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시약실(12)의 전면이 개구되어 개구된 전면을 밀폐하거나 개방하도록 복수의 문(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약실(12)에 보관되는 상기 시약(11)에서 유해가스가 발생되는데 발생된 유해가스를 상기 시약실(12)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제 1배출부(20)와 제 2배출부(3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배출부(20)와 제 2배출부(30)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상기 시약장(10)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부(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시약실(12) 내부의 유해가스가 배출되면서 시약장(10) 내부로 공기가 들어오도록 상기 시약장(10) 측벽(16)에 유입구(17)가 형성된다. 또한, 공기가 들어오면서 먼지나 벌레와 같은 이물질과 함께 들어오지 못하도록 상기 유입구(17)와 측벽(16) 사이에 거름망(18)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름망(18)을 통하여 상기 시약실(12)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배출부(20)는 상기 시약실(12) 내부의 유해가스가 흡입되는 흡입구(21)가 형성된 배출팬실(24)과, 상기 배출팬실(24)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21)로 유해가스를 흡입하고 통로(23)로 내보내도록 회전하는 배출팬(22)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팬(22)은 상기 문(15)이 열릴 때마다 작동되어 상기 시약장(10) 외부의 공기와 상기 시약실(12) 내부의 유해가스가 뒤섞이면서 상기 시약실(12) 외부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흡입하고 상기 통로(23)로 내보내어 지는 것이다.
이때, 도면 5와 6을 참조하면, 상기 문(15)의 개폐에 따라 상기 배출팬(22)의 작동을 제어하는 릴레이(2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릴레이(25)와 문(15)은 서로 대향되도록 시약실(12)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문(15)과 릴레이(25)의 접촉 유무에 따라 배출팬(22)을 제어한다.
즉, 상기 릴레이(25)는 상기 문(15)이 닫히면서 접촉하면 작동되지 않고, 상기 문(15)이 열리면서 상기 릴레이(25)와 비접촉하면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릴레이(25)는 상기 시약실(12)을 개폐시키는 문(15)의 개수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팬(22)을 개별 작동한다. 이로써, 각각의 시약실(12) 전면을 개폐하는 문(15)을 열 때마다 작동되는 상기 배출팬(22)에 의하여 사용자가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시약실(12) 내부 상측에 설치된 제 1배출부(20)와 대응하도록 하측에 추가로 상기 제 1배출부(2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시약(11)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는 비중에 따라 공기보다 가벼운 유해가스와 무거운 유해가스로 분류된다. 가벼운 유해가스는 상기 시약실(12) 상측에 설치된 상기 제 1배출부(20)를 통하여 배출되고, 무거운 유해가스는 상기 시약실(12) 하측에 설치된 상기 제 1배출부(2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2배출부(30)는 상기 시약실(12) 내부의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31)와, 상기 배출구(31)를 통해 배출되는 유해가스가 상기 시약실(12) 내부로 재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류방지마개(32)와, 상기 역류방지마개(32)를 고정하는 고정부(34)와, 상기 고정부(34) 타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역류방지마개(32)가 일측으로만 열리도록 하는 스토퍼(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로(23)와 연결되어 유해가스가 상기 배기부(40)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이동관(35)을 포함한다.
즉, 상기 시약실(12)의 유해가스가 배출될 때 상기 역류방지마개(32)는 상기 스토퍼(33)와 떨어져 유해가스가 배출되도록 하고, 배출되지 않을 땐 상기 이동관(35)을 통하고 배기부(40)를 거쳐 배기되지 못한 상기 이동관(35)에 남은 유해가스가 상기 시약실(12)로 재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관(35)을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역류방지마개(32)가 열리고 닫치도록 유연하고 탄성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부(34)는 상기 역류방지마개(32)가 열리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잘 열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이동관 또는 배기부 등에 잔류하고 있는 유해가스가 시약실 내부로 재유입되지 않아 상기 시약장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시약장(10) 상부에는 상기 이동관(35)과 연결되는 카본필터(42)가 설치되고, 상기 카본필터(42)를 통해 정화된 유해가스는 체류실(41)에 모인다. 정화되어 모인 유해가스는 연결관(43)을 통해 배기팬실(44)로 이동하고 배기팬(45)의 작동으로 배기관(46)을 통해 시약장(10)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상기 배기팬(45)의 작동으로 복수의 상기 시약실에 설치되 상기 제 2배출부에서 배출이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관(35)을 통해 상기 배기관(46)까지 유해가스가 이동하여 상기 시약장(10) 외부로 배기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식 시약장에 있어서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필요로 하고자 하는 시약(11)을 꺼내기 위해 문(15)을 열게 된다. 이때, 상기 문(15)과 접촉하고 있는 릴레이(25)는 비접촉이 되면서 제 1배출부(20)의 배출팬(22)이 작동된다. 상기 배출팬(22)의 작동으로 상기 시약실(12) 내부의 유해가스가 시약장(10)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를 흡입구(21)를 통해 흡입하게 되고 통로(23)로 배출한다.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시약(11)을 꺼낸 뒤 상기 문(15)을 닫으면 상기 릴레이(25)와 접촉을 하면서 상기 배출팬(22)의 작동은 멈추게 된다.
상기 문(15)을 닫은 후 정기적으로 작동하는 배기팬(45)에 의해 제 2배기부로 유해가스가 배출된다. 이때 역류방지마개(32)는 열리게 되며 상기 배기팬(45)이 중지되면 상기 역류방지마개(32)는 스토퍼(33)와 달라붙어 미처 배기되지 않은 유해가스가 시약실(12)로 재유입되지 않는다.
이로써, 상기 제 1배출부는 사용자는 상기 시약실(12) 내부에 미량으로 남아 있는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제 2배출부는 시약실(12) 내부로 유해가스의 재유입을 방지하여 사용자는 안전하게 시약장(10)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식 시약장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환기식 시약장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환기식 시약장의 측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환기식 시약장의 제 1배출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환기식 시약장의 제 2배출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환기식 시약장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를 절개한 측면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환기식 시약장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를 절개한 측면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환기식 시약장의 이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를 절개한 측면 부분 단면도.

Claims (4)

  1. 내부에 시약(11)을 보관하도록 'ㄷ'형상으로 복수의 시약실(12)이 형성되어 상기 시약실(12)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선반(13)이 설치되고, 상기 시약실(12)의 전면이 개구되어 개구된 전면을 밀폐하거나 개방하도록 복수의 문(15)이 설치되어 있는 시약장(10)에 있어서,
    상기 시약(11)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상기 시약실(12)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제 1배출부(20)와 제 2배출부(3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배출부(20)와 제 2배출부(30)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상기 시약장(10)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배출부(20)는 상기 시약실(12) 내부의 유해가스가 흡입되는 흡입구(21)가 형성된 배출팬실(24)과, 상기 배출팬실(24)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21)로 유해가스를 흡입하고 통로(23)로 내보내도록 회전하는 배출팬(22)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배출부(30)는 상기 시약실(12) 내부의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31)와, 상기 배출구(31)를 통해 배출되는 유해가스가 상기 시약실(12) 내부로 재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류방지마개(32)와, 상기 역류방지마개(32)를 고정하는 고정부(34)와, 상기 고정부(34) 타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역류방지마개(32)가 일측으로만 열리도록 하는 스토퍼(33)와, 상기 통로(23)와 연결되어 유해가스가 상기 배기부(40)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이동관(35)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부(40)는 카본필터(42)와, 체류실(41), 연결관(43), 배기팬실(44), 배기판(45) 및 배기관(46)을 결합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식 시약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배출부(20)는 상기 시약실(12) 전면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문(15)의 개폐에 따라 상기 배출팬(22)의 작동을 제어하는 릴레이(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식 시약장.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25)는 상기 시약실(12)을 개폐시키는 문(15)의 개수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팬(22)을 개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식 시약장.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약실(12) 내부 상측 설치된 제 1배출부(20)와 대응하도록 하측에 추가로 상기 제 1배출부(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식 시약장.
KR1020090077889A 2009-08-22 2009-08-22 환기식 시약장 KR201100203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889A KR20110020330A (ko) 2009-08-22 2009-08-22 환기식 시약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889A KR20110020330A (ko) 2009-08-22 2009-08-22 환기식 시약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330A true KR20110020330A (ko) 2011-03-03

Family

ID=4392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889A KR20110020330A (ko) 2009-08-22 2009-08-22 환기식 시약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03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5393A (zh) * 2016-08-31 2017-02-22 王轶珂 一种电气设备防爆柜的三无防爆方法
KR20200114538A (ko) * 2019-03-29 2020-10-07 최진선 오염공기의 외부 배출을 방지하는 시약장
CN115211674A (zh) * 2021-04-21 2022-10-21 杨永华 药品柜自动排气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5393A (zh) * 2016-08-31 2017-02-22 王轶珂 一种电气设备防爆柜的三无防爆方法
KR20200114538A (ko) * 2019-03-29 2020-10-07 최진선 오염공기의 외부 배출을 방지하는 시약장
CN115211674A (zh) * 2021-04-21 2022-10-21 杨永华 药品柜自动排气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258B1 (ko) 슬림형 공기처리장치
JP4191565B2 (ja) 動物飼育ラック
JP2005513407A (ja) 台所用排気フード
KR20110020330A (ko) 환기식 시약장
KR100466663B1 (ko) 슬라이드타입 레인지후드
KR200461141Y1 (ko) 휴면용 산소캡슐
WO2013150684A1 (ja) 動物飼育用安全キャビネット
KR102159103B1 (ko) 주방용 레인지 후드 시스템
KR200385424Y1 (ko) 환기식 시약장
KR20190000367U (ko) 실외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공기정화기
KR20210063916A (ko) 공기청정형 디퓨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기청정시스템
CN113019481A (zh) 生物安全柜
JP2006250396A (ja) 空気清浄機能付喫煙室
KR20180132025A (ko) 실내 배기형 생물 안전 작업대
KR20200036141A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KR20110020329A (ko) 에어커튼이 구비된 시약장
KR101500923B1 (ko) 필터식 겸용 환기식 시약장
CN111017440B (zh) 具有空气净化功能的排污桶及护理系统
CN209465060U (zh) 一种用于生物医药研究使用的通风柜
CN208419082U (zh) 空气污染物过滤送风装置
KR102500454B1 (ko) 실험실 흄후드
KR20150118455A (ko) 바닥층 환풍장치가 장착된 씽크대
JP4087170B2 (ja) 空気清浄装置
KR20110011809A (ko) 환기식 시약장
JP2010139128A (ja) メンテナンス性を高めた換気装置及び同換気装置に使用するフィルター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