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057A - 폐마스크 회수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마스크 회수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057A
KR20230020057A KR1020210101437A KR20210101437A KR20230020057A KR 20230020057 A KR20230020057 A KR 20230020057A KR 1020210101437 A KR1020210101437 A KR 1020210101437A KR 20210101437 A KR20210101437 A KR 20210101437A KR 20230020057 A KR20230020057 A KR 20230020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mask
mask
unit
waste
recove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364B1 (ko
Inventor
김종광
우원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부테크
Priority to KR1020210101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364B1/ko
Publication of KR20230020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1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with comparison of measurements at specific and non-specific waveleng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폐마스크를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회수하고 폐기할 수 있는 폐마스크 회수장치 및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폐마스크 회수장치는, 폐마스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어 투입구로 투입된 폐마스크를 이송하는 이송유닛과, 본체에 설치되며, 폐마스크에 검사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와, 검사광이 폐마스크를 투과하며 폐마스크에 의해 필터링된 투과광을 측정하여 폐마스크의 물성을 인식하는 물성측정부를 포함하는 분류유닛과, 분류유닛을 통과한 폐마스크를 파쇄하는 파쇄유닛과, 파쇄유닛을 통과하여 생성된 파쇄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마스크 회수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Mask processing equipment and mask process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폐마스크 회수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마스크를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회수하고 폐기할 수 있는 폐마스크 회수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 시대가 도래하면서, 마스크는 일상생활 속에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이전에는 미세먼지가 심한 날이거나 얼굴의 일부를 가리기 위해 일부의 사람들만 간간이 마스크를 착용하였지만, 이제는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사람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모두가 마스크를 착용한다. 이에 따라, 마스크에 대한 수요와 생산이 급등하였다.
마스크는 꾸준히 생산되어 소비되고 있으나, 적절한 폐기 방법은 마땅하지 않아 모두 일반 쓰레기로 분류되어 폐기되고 있다. 다만, 사용한 마스크를 일반쓰레기로 분류하여 버리게 되면 일반 쓰레기 전체로 바이러스가 퍼져 감염경로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마스크가 생활화된 현시점에서 폐마스크를 적절히 폐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마스크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한데 대표적으로 얇은 덴탈마스크와 필터가 함유된 KF 마스크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색상 혹은 재질에 따라 화이트 색상 혹은 블랙 색상, 더 나아가, 블루나 핑크 색상 등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로 구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폐마스크를 감염 걱정없이 안전하게 수거하되 수거되는 폐마스크의 종류를 구분하고 분석하여 마스크의 사용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마스크 회수 장치가 필요하다. 특히, 널리 사용되기 위해 폐마스크의 종류를 빠르고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는 기술도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91323호 (2002.12.0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마스크를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회수하고 폐기할 수 있는 폐마스크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폐마스크를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회수하고 폐기할 수 있는 폐마스크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폐마스크 회수장치는, 폐마스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상기 폐마스크를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폐마스크에 검사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와, 상기 검사광이 상기 폐마스크를 투과하며 상기 폐마스크에 의해 필터링된 투과광을 측정하여 상기 폐마스크의 물성을 인식하는 물성측정부를 포함하는 분류유닛, 상기 분류유닛을 통과한 상기 폐마스크를 파쇄하는 파쇄유닛, 상기 파쇄유닛을 통과하여 생성된 파쇄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류유닛은, 상기 투과광 중 특정파장 영역을 갖는 검사파장에 대한 이득값을 산출하고 상기 이득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폐마스크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분류유닛은, 기준 파장범위 내에서 선택된 복수 개의 상기 검사파장 별로 각각 상기 이득값을 산출하고, 상기 이득값을 상기 기준값과 각각 비교하여 상기 폐마스크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기준 파장범위는, 가시광선 영역 중 상기 투과광의 상기 이득값이 피크를 형성하는 파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파장범위는 500nm ~ 650n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분류유닛의 신호에 따라 순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폐마스크를 상기 파쇄유닛으로 이송하거나,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폐마스크를 상기 투입구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물성측정부는 각각 상기 이송유닛을 사이에 두고 위아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이송유닛은 중앙에 상기 검사광이 조사되는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히 배열된 한 쌍의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쇄유닛과 상기 저장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파쇄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투입구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폐마스크의 투입 여부를 인식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은, 상기 폐마스크 회수장치, 상기 폐마스크 회수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폐마스크 회수장치로부터 상기 폐마스크 회수장치가 설치된 위치의 정보 및 회수되는 폐마스크 정보를 전송 받아 위치에 따른 마스크회수율 또는 선호하는 마스크의 종류를 포함하는 마스크 회수정보를 산출하는 폐마스크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가지 물품 중에서 마스크만을 식별하여 회수할 수 있으며, 회수된 마스크는 파쇄하고 살균하여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다. 특히, 변별된 폐마스크 중에서도 마스크의 종류를 재질이나 색상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수되는 마스크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식별 과정에서 마스크를 통과하며 필터링된 투과광을 분석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마스크를 식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여러가지 물품 중에서 마스크로 식별되지 않은 물품의 경우 컨베이어 벨트를 역으로 회전시켜 물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순수 마스크만을 회수하고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수되는 마스크의 회수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시중에서 실제 사용되는 마스크의 종류 및 비율 등을 파악하여 다양한 통계자료로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마스크 회수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폐마스크 회수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이송유닛과 분류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는 검사광의 파장값에 따른 투과광의 기준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4의 그래프의 일 구간에 검사파장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종류별 마스크에 대한 검사광의 파장값에 다른 투과광의 기준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1의 폐마스크 회수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마스크 회수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폐마스크 회수장치(1)는, 폐마스크가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에 설치되어 투입구(11)로 투입된 폐마스크를 이송하는 이송유닛(100)과, 본체(10)에 설치되며, 폐마스크에 검사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210)와, 검사광이 폐마스크를 투과하며 폐마스크에 의해 필터링된 투과광을 측정하여 폐마스크의 물성을 인식하는 물성측정부(220)를 포함하는 분류유닛(200)과, 분류유닛(200)을 통과한 폐마스크를 파쇄하는 파쇄유닛(300)과, 파쇄유닛(300)을 통과하여 생성된 파쇄물을 저장하는 저장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폐마스크 회수장치(1)는 폐마스크를 파쇄하고 회수하기 위한 장치로 삽입되는 다양한 물품 중에서 폐마스크만을 식별하여 회수한다. 폐마스크는 이송유닛(100)을 따라 회수되는데, 그 과정에서 분류유닛(200)에 의해 마스크가 아닌 물품으로 식별되는 경우 이송유닛(100)이 역방향으로 물품을 이송하고 배출할 수 있다. 반면, 분류유닛(200)에 의해 물품이 마스크로 식별되는 경우 이송유닛(100)은 마스크를 파쇄유닛(300)으로 전달한다 파쇄유닛(300)은 전달된 마스크를 파쇄하며 파쇄된 파쇄물은 저장부(400)에 수용되어 일정량에 도달하면 한번에 처리가 가능하다. 특히, 분류유닛(200)이 마스크의 종류를 식별하는 과정에서, 광조사부(210)는 이송유닛(100)을 따라 이동하는 폐마스크(A)에 빛을 조사하고, 분류유닛(200)은 마스크를 통과한 빛을 분석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3과 같이, 광조사부(210)에서 마스크로 조사하는 빛을 검사광이라 칭하고, 검사광이 마스크를 통과하여 필터링된 빛을 투과광이라 칭한다. 본 발명은 마스크를 회수하기 이전에 별도의 공간에서 각종 시료들에 대한 투과광을 분석하여 물성을 측정하고 기준값을 결정한다. 시료들은, 예를 들어, 비닐, 종이, 플라스틱, 마스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폐마스크 회수장치(1)는 삽입되는 물질의 투과광의 측정값을 미리 측정한 기준값과 비교하여 마스크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에 대한 기준값도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여, 마스크의 색상, 재질 등에 따라서도 구분이 가능하다.
우선, 본체(10)는 내측이 빈 상자 형상으로, 폐마스크 회수장치(1)의 외측 프레임 역할을 한다. 본체(10)는 폐마스크를 회수하고자 하는 공간에 설치되거나 폐마스크 회수 작업이 실행되는 작업공간 등에 설치가 가능하다. 본체(10)는 일측에 개방된 투입구(11)가 형성되어, 투입구(11)를 통해 폐마스크가 삽입될 수 있다. 투입구(11)는 폐마스크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더 나아가, 투입구(11)는 플라스틱 혹은 천과 같은 가림막으로 가려진 상태일 수 있다. 가림막은 사용자가 본체(10) 내부를 들여다보지 못하도록 시야를 차단하고 외부의 이물질 또한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가림막은 본체(10)에 힌지결합되어 폐마스크를 삽입하는 경우 본체(10)의 내측으로 밀려 회전할 수 있다.
감지센서(12)는 본체(10)에 설치되어 폐마스크의 삽입 유무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감지센서(12)는 투입구(11)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미지센서, 스위치센서, 초음파센서 등 투입구(11)에 폐마스크가 삽입되는 유무만 판단할 수 있으면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감지센서(12)는 전술한 플라스틱 재질의 가림막이 설치된 경우 스위치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폐마스크를 투입구(11)에 밀어 넣을 때 가림막이 본체(10) 내측으로 회동하여 스위치센서와 접하며 삽입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센서(12)는 폐마스크의 삽입이 감지되는 경우, 이송유닛(100)에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송유닛(100)은 본체(10)에 설치되어 투입구(11)로 투입되는 폐마스크를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송유닛(100)은 투입구(11)로 투입되는 폐마스크(A)를 본체(10) 내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유닛(100)은 평소 정지된 상태일 수 있으며, 감지센서(12)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폐마스크(A)가 삽입되면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송유닛(100)은 폐마스크가 투입되면 폐마스크를 본체(10)의 내측으로 이송하는 방향으로 동작한다. 이송유닛(100)에 의해 일정 거리만큼 이송된 폐마스크는, 이송유닛(100)에 안착된 상태로 분류유닛(200)에 의해 물성이 식별된다. 분류유닛(200)은 이송유닛(100)을 따라 이동하는 폐마스크에 검사광(L1)을 조사하고 폐마스크에서 필터링된 투과광(L2)을 측정하여 폐마스크의 물성을 식별할 수 있다. 이송유닛(100)은 이러한 분류유닛(200)과 중첩되도록 위치하여, 이송유닛(100)을 따라 이송되던 폐마스크는 분류유닛(200)과 중첩되는 구간에서 물성이 식별된다. 이때, 이송유닛(100)은 분류유닛(200)과 중첩되는 구간에서 짧은 시간동안 정지하여 정확한 식별이 가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이송유닛(100)은 분류유닛(200)과 중첩되는 구간에서 이송속도를 낮춰 식별 시간을 확보할 수도.
또한, 이송유닛(100)은 폐마스크가 분류유닛(200)에 의해 물성이 식별된 결과 폐마스크가 아니라고 판단이 되면 폐마스크(A)를 본체 내측의 파쇄유닛(300) 방향으로 이송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폐마스크를 투입구(11)측으로 배출하는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이송유닛(100)은 폐기하고자 하는 물체가 폐마스크가 아닌 경우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여 물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송유닛(100)의 작동방향은 분류유닛(200)에 의해 결정되며, 이송유닛(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송유닛(100)은 한 쌍의 컨베이어(110)로 구성된다.
한 쌍의 컨베이어(110)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동일 평면상에 나란히 배치되어 서로 동일한 방향과 속도로 폐마스크를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한 쌍의 컨베이어(110)는 모터(130)에 의해 동일한 방향과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한 쌍의 컨베이어(11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충분한 양의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틈새(120)가 형성된다. 한 쌍의 컨베이어(110) 사이에 위치하는 틈새(120)는 폐마스크가 쉽게 끼이지 않을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틈새(120)는 한 쌍의 컨베이어(110)의 상단에 폐마스크가 가로방향 혹은 세로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되어도 빠지지 않을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틈새(120)는 빛을 통과시키기 위한 공간으로, 후술할 광조사부(210)에서 조사된 검사광이 관통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컨베이어(110)는 일 구간에서 빛이 컨베이어(110)를 관통하여 폐마스크에 빛이 도달할 수 있도록 일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빈 공간은 한 쌍의 컨베이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된 틈새(120)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틈새(1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컨베이어(110)가 롤러 컨베이어로 형성되어 각 롤러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틈새(120)는 컨베이어(110)의 일부 면적이 관통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 쌍의 컨베이어(110)와 틈새(120)의 형상은 컨베이어(110)를 빛이 관통할 수 있는 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3은 이송유닛과 분류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2를 참조하면, 분류유닛(200)은 이송유닛(100)을 따라 이동하는 폐마스크의 물성을 식별하는 기능을 한다. 분류유닛(200)은 이송유닛(100)을 따라 이동하는 폐마스크에 검사광을 조사하고, 폐마스크를 통과한 투과광을 측정하여 폐마스크의 물성을 측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유닛(100)은 분류유닛(200)의 물성 측정값에 따라 폐마스크로 판단되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폐마스크를 파쇄유닛(300)측으로 이송한다. 반대로, 분류유닛(200)에 의해 폐마스크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폐마스크를 투입구(11)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분류유닛(200)은 광조사부(210)와 물성측정부(220)로 구성된다.
광조사부(210)는 폐마스크에 검사광을 조사하는 기능을 한다. 광조사부(210)는 이송유닛(100)을 따라 이송되는 폐마스크에 검사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조사부(210)는 이송유닛(10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검사광이 틈새(120)를 관통하여 직진할 수 있도록 틈새(12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광조사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며, 복수 개의 LED로 구성되는 경우 보다 넓은 면적으로 검사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광조사부(210)는 LED 중에서도 고휘도LED를 사용하여 저전력으로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여 별도의 교체없이도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즉, 광조사부(210)는 이송유닛(100)의 일측에서 틈새(120)를 향해 검사광을 조사한다. 검사광은 폐마스크를 통과하며 파장값들이 필터링되어 투과광 형태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투과광은 물성측정부(220)로 입사되어 분석된다.
물성측정부(220)는 폐마스크를 통과한 투과광을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물성측정부(220)는 이송유닛(100)을 사이에 두고 광조사부(210)와 마주하게 배치되어, 광조사부(210)의 반대측에서 투과광을 측정한다. 즉, 광조사부(210)와 물성측정부(220)는 각각 폐마스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다. 또한, 광조사부(210)와 물성측정부(220)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사이에 위치하는 틈새(120) 또한 동일 평면상에 함께 위치할 수 있다. 즉, 광조사부(210), 틈새(120), 폐마스크(A), 물성측정부(220)는 일직선 상에 위치하여 광조사부(210)로부터 조사된 빛이 틈새(120)와 폐마스크(A)를 지나 물성측정부(220)에 도달하는 구조일 수 있다. 특히, 물성측정부(220)는 특정 파장영역을 갖는 파장값에 대한 이득값을 측정한다. 검사광은 특정 영역을 갖는 파장을 폐마스크에 조사하며, 투과광은 특정 영역을 갖는 파장값이 폐마스크를 통과하며 필터링된다. 물성측정부(220)는 이러한 투과광의 필터링된 파장값의 이득값을 측정하고 계산한다. 이득값은 해당하는 각 파장에 대응하는 빛의 세기 정도로 상대적인 값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폐마스크 회수장치(1)는 이러한 투과광의 이득값을 비교 분석하여 폐마스크의 종류를 판별하는 특징이 있다. 이득값의 비교 분석 방법은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쇄유닛(300)은 본체(10)에 설치되어 폐마스크를 파쇄하는 기능을 한다. 파쇄유닛(300)은 이송유닛(100)을 기준으로 감지센서(12)와 반대측에 위치하여, 이송유닛(100)을 따라 이송되는 폐마스크를 파쇄한다. 폐마스크는 분류유닛(200)에 의해 마스크로 식별되어야만 이송유닛(100)을 따라 파쇄유닛(300)측으로 이송될 수 있기 때문에, 파쇄유닛(300)은 분류유닛(200)에 의해 마스크로 식별된 폐마스크만을 파쇄할 수 있다. 파쇄유닛(300)은 이송유닛(100)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여 별도의 폐마스크 공급 장치 없이, 이송유닛(100)의 끝단에서 낙하하는 폐마스크를 공급받아 파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파쇄유닛(300)은 각진 한 쌍의 파쇄기둥이 서로 맞물려 맞물린 틈으로 폐마스크를 파쇄하는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쇄유닛(300)은 폐마스크를 조각내어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는 장치라면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저장부(400)는 파쇄유닛(300)의 하단에 위치하여 파쇄유닛(300)에서 파쇄된 폐마스크의 파쇄물을 수용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저장부(400)는 상단부가 개방된 빈 박스 형상으로 내측에 저장공간(410)을 형성한다. 저장부(400)는 파쇄유닛(300)으로부터 낙하하는 파쇄물을 저장공간(41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00)는 본체(10)에 설치된다. 특히, 저장부(400)는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공간(410)에 파쇄물이 가득차는 경우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파쇄물을 용이하게 비워낼 수 있다. 이때, 무게측정부(420)는 저장부(400)의 하단에 위치하여, 저장부(40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무게측정부(420)에서 측정한 저장부(400)의 무게는 제어부(600)와 연동되며, 제어부(600)에서 무게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기준 무게에 근접하는 경우 저장부(400)가 가득 찼음을 알림 신호로 출력해낼 수 있다.
자외선살균부(500)는 저장부(400)에 수용된 파쇄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파쇄물들을 살균하는 기능을 한다. 파쇄물은 폐마스크의 파쇄물로, 각종 바이러스가 묻어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자외선살균부(500)는 이러한 바이러스를 소독하고 살균하여 파쇄물로부터의 각종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파쇄물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자외선살균부(500)는 파쇄유닛(300)과 저장부(400) 사이에 위치하여, 파쇄유닛(300)으로부터 낙하하는 파쇄물을 대상으로 살균할 수 있다. 자외선살균부(500)는 낙하하는 파쇄물에 직접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저장공간(410)에 쌓여있는 파쇄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파쇄물을 살균할 수 있다. 자외선살균부(500)는 저장공간(410)이 비어있을 경우, 무게측정부(420)와 연동되어 자외선 조사를 일시적으로 멈춰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살균부(500)는 무게측정부(420)의 측정값이 기준 무게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 자동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파쇄물을 살균할 수 있다.
도 4는 검사광의 파장값에 따른 투과광의 기준값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도 4의 그래프의 일 구간을 확대하여 검사파장을 표시한 그래프이며, 도 6은 종류별 마스크에 대한 검사광의 파장값에 따른 투과광의 기준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3을 참조하면, 물성측정부(220)는 투과광(L2)을 측정하며, 투과광(L2)중에서 기준 파장범위(W) 구간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준 파장범위(W)는 320nm~880nm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시광선 전체, 적외선의 일부, 자외선의 일부 영역을 포함한다. 물성측정부(220)는 기준 파장범위(W) 구간에서 투과광(L2)의 이득값을 측정 한다. 즉, 물성측정부(220)가 측정하는 대상은 투과광(L2)이고, 측정범위는 기준 파장범위(W)이며, 측정 결과는 투과광(L2)의 이득값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폐마스크 회수장치(1)는 도 4와 같이 다양한 시료에 대한 이득값을 측정하여 기준값을 설정한 후, 물성측정부(220)에서 측정된 폐마스크(A)의 이득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폐마스크(A)의 물성을 식별한다. 즉, 투과광(L2)의 이득값은 투과광(L2)의 측정값이며, 기준값은 시료의 종류에 따른 이득값의 표본이 되는 값을 의미한다. 도 4는 미리 측정한 다양한 시료에 대한 기준값을 나타낸 그래프로, x축은 투과광(L2)의 파장을 의미하고, y축은 투과광(L2)의 이득값을 의미한다. 이득값은 해당하는 파장에 대한 투과광(L2)의 세기를 측정한 값으로 기준 파장범위(W) 내에서 상대적인 값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이득값은 투과광의 상대적인 세기값으로 이해할 수 있다. 투과광(L2)은 검사광(L1)이 투과하는 대상에 따라 고유한 값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투과 대상에서 필터링 된 투과광(L2)을 측정해 대상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도 4의 그래프는 다양한 시료의 기준값을 나타낸 것으로, 시료는 마스크, 종이 A4, 종이 Slim, 비닐 투명, 비닐 RED, 비닐 BLU로 구성된다. 즉, 마스크, 종이, 비닐 세 종류에 따른 이득값의 차이를 통해 비교가 가능하며, 종이는 표준적인 A4 종이와 얇은 Slim 종이로 세분화하고, 비닐은 투명한 비닐과 빨강색 RED 비닐, 파란색 BLU 비닐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들의 기준값은 기준 파장범위(W) 내에서 각각 다른 형상의 그래프로 표현되며, 재질의 종류에 따라 유사한 형상을 갖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비닐의 이득값은 마스크와 종이의 이득값보다 큰 경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모든 시료들은 동일한 구간에서 이득값이 피크(P)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피크(P)가 형성된 구간에서는 시료들 사이의 이득값 차이가 두드러지기 때문에 시료 비교에 용이한 구간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시료들의 차이가 두드러지는 구간은 400nm~670nm로, 기준 파장범위(W)를 400nm~670nm로 축소하여 보다 정밀하게 이득값을 비교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3을 참조하면, 기준 파장범위(W)를 400nm~670nm로 축소하면, 시료들 사이의 이득값의 차이를 보다 정밀하게 비교할 수 있다. 특히, 축소된 기준 파장범위(W) 내에서 검사파장(X)을 지정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시료들을 식별할 수 있다. 검사파장(X)은 피크(P)가 형성된 구간 내에서 이득값의 차이가 큰 특정 파장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검사파장(X)은 시료 구분이 용이한 파장값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지정한 것으로, 각각 450nm, 520nm, 558nm, 567nm, 585nm, 602nm로 지정하였다. 해당하는 검사파장(X)에 대한 시료들의 이득값을 측정하고 비교하였으며 이는 5%의 측정편차를 감안한 값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총 6개의 검사파장(X)을 지정하였으며, 각각의 파장에 대응하는 마스크, 종이 A4, 종이 Slim, 비닐 투명, 비닐 RED의 이득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파장
[nm]
마스크 종이 A4 종이 Slim 비닐 투명 비닐 RED
451.495 28,116 15,844 27,692 62,309 62,226
520.339 13,295 8,917 14,300 35,153 31,274
557.865 17,978 10,388 19,834 49,915 43,573
567.025 18,163 10,512 20,224 50,605 43,456
585.069 16,777 9,616 18,533 44,524 37,575
602.739 15,315 9,572 17,322 41,989 40,187
표 1에서와 같이, 하나의 검사파장(X)에 대응하는 각 시료들은 이득값 사이의 차이가 명확히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은 도 5의 데이터 값의 일부를 수치화하여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그래프를 참고하면, 마스크와 종이 Slim의 이득값이 일부 겹쳐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이득값을 표 1를 통해 살펴보면, 이득값의 차이가 크게는 2,000까지 벌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득값이 차이가 1,000 이상만 되더라도 각 시료들을 명확히 구분해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스크와 종이 Slim 또한 명확히 구분해낼 수 있다. 즉, 그래프만으로 변별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득값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모두 구분 가능한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물성측정부(220)는 투과광(L2)으로부터 얻어지는 이득값을 기준 파장범위(W) 내에서 모두 비교하는 것 대신 미리 지정한 검사파장(X)에 해당하는 이득값만을 비교하여 보다 빠른 시간안에 폐마스크(A)의 물성을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폐마스크 회수장치(1)는 대량의 폐마스크(A)를 끊임없이 회수함과 동시에 물성을 판별하고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다만, 물성측정부(220)는 하나의 검사파장(X)을 통해 물성을 식별하는 것은 정확도가 낮기 때문에, 복수 개의 검사파장(X)에 대응하는 이득값을 비교하여 폐마스크(A)의 물성을 식별할 수 있다. 물성측정부(220)는 복수 개의 검사파장(X)에 해당하는 이득값을 순차적으로 비교할 수 있으며, 모든 검사파장(X)을 비교하기 전에 폐마스크(A)의 물성이 확실히 식별되면 비교를 중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든 검사파장(X)의 이득값을 비교하지 않아도 일부만으로 폐마스크(A)의 물성을 식별 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도 6을 참조하면, 기준 파장범위(W)와 이득값의 범위를 더욱 축소하여 자세히 비교해보면 마스크 중에서도 마스크의 색상에 따라 혹은 필터의 종류에 따라 기준값이 다르게 측정된다. 즉, 마스크의 색상 혹은 필터의 종류에 따른 식별이 가능하다. 도 6에서 비교한 마스크의 종류는 각각 덴탈 White, KF-94 WHT, 덴탈 BLUE, 덴탈 PINK이며 크게 덴탈 마스크와 KF필터가 구비된 마스크로 구분 가능하다. 한편, 다른 마스크들의 각각의 파장범위(X)에 대응하는 이득값을 측정한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파장[nm] 덴탈 White KF94-WHT 덴탈BLUE 덴탈PINK
451.495 51,081 41,923 53,491 46,249
520.339 22,248 19,568 23,197 19,141
557.865 31,579 27,531 30,084 26,443
567.025 32,445 27,922 29,483 26,722
585.069 29,322 25,185 24,902 24,489
602.739 26,162 22,976 21,666 23,077
표 2를 참조하면, 도 5 및 표 1에 대응하는 검사파장(X)은 마스크의 종류를 구별하는 검사파장(X)으로도 동일하게 사용 가능하다. 즉, 마스크의 종류 또한 도 4 및 도 5와 동일하게, 기준 파장범위(W)를 설정하고 동일한 검사파장(X)을 지정하여 구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파란색 덴탈마스크인 덴탈BLUE와 하얀색 델탈마스크인 덴탈 White의 이득값은 최대 5000까지 차이가 나기 때문에, 물성측정부(220)를 통해 충분히 구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물성측정부(220)는 회수되는 마스크의 종류 또한 식별할 수 있으며, 제어부(600)는 이러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회수되는 마스크 종류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1의 폐마스크 회수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7은 폐마스크를 본체에 삽입하는 상태의 작동도이고, 도 8은 폐마스크의 물성을 식별하는 상태의 작동도이며, 도 9는 폐마스크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의 작동도이고, 도 10은 폐마스크가 파쇄되는 상태의 작동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폐기하고자 하는 폐마스크(A)는 투입구(11)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투입구(11)측에 위치하는 감지센서(12)가 폐마스크(A)의 투입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폐마스크(A)의 투입이 감지되면 이송유닛(100)이 자동으로 동작하여 폐마스크(A)를 본체(10) 내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유닛(100)은 정지한 상태로 위치하며 폐마스크(A)가 삽입된 경우에 감지센서(1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동작할 수 있다. 감지센서(12)와 이송유닛(100)의 동작관계는 제어부(600)에 의해 연동이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폐마스크(A)가 이송유닛(100)에 의해 본체(10) 내측으로 이송되면, 분류유닛(200)이 작동하여 폐마스크(A)의 물성을 식별한다. 분류유닛(200)의 광조사부(210)는 계속해서 검사광(L1)을 조사하고 있거나 혹은 폐마스크(A)가 이송된 경우에만 검사광(L1)을 조사할 수 있다. 광조사부(210)의 동작 방법은 제어부(600)를 통해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작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조사부(210)는 고휘도 LED를 사용하여 저전력으로 작동이 가능하여 계속해서 검사광(L1)을 조사하더하도 오랜 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검사광(L1)은 틈새(120)를 통해 폐마스크(A)를 관통하고 투과광(L2)의 형태로 필터링되어 물성측정부(220)로 입사된다. 물성측정부(220)는 필터링된 투과광(L2)을 감지하여, 투과광(L2)의 이득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폐마스크(A)의 물성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폐마스크(A)의 물성 식별 결과 폐마스크(A)가 마스크가 아닌 다른 물질로 판별되는 경우 폐마스크(A)는 도 9과 같이 외부로 배출된다. 반대로, 폐마스크(A)의 물성 식별 결과 폐마스크(A)가 마스크로 판별되는 경우, 폐마스크(A)는 도 10와 같이 파쇄유닛(300)으로 이송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폐마스크(A)가 물성측정부(220)에 의해 마스크가 아닌 물체로 판별된 경우, 이송유닛(100)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동작하여 삽입된 폐마스크(A)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폐마스크 회수장치(1)는 마스크만을 회수하는 장치로 마스크 외의 물체들은 회수하지 않는다. 폐마스크 회수장치(1)는 대형마트나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 설치되어 불특정 다수로부터 폐마스크를 회수할 수 있는 장치로, 혹시나 폐마스크가 아닌 물질을 삽입할 우려가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여 폐마스크만을 회수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폐마스크(A)가 물성측정부(220)에 의해 마스크로 판별된 경우, 이송유닛(100)은 폐마스크(A)를 계속해서 이송하여 파쇄유닛(300)으로 공급한다. 폐마스크(A)는 일정 길이를 갖는 이송유닛(100)을 따라 이송되며 끝단에서 낙하하게 된다. 파쇄유닛(300)은 이송유닛(100)의 끝단에 위치하여 낙하하는 폐마스크(A)를 공급받고 파쇄하여 작은 조각 혹은 알갱이의 파쇄물을 생성한다. 파쇄물은 파쇄유닛(300)의 하단으로 낙하하게 되며, 파쇄유닛(300) 하단에 위치하는 저장부(400)에 저장된다. 저장부(400)는 파쇄유닛(300)으로부터 파쇄물을 공급받고 저장하며, 기준량 이상의 파쇄물이 쌓이게 되는 경우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무게측정부(420)는 저장부(400)의 무게를 측정하며, 제어부(600)는 이러한 무게를 모니터링하여 기준값 이상의 무게가 측정되는 경우 저장부(400)에 파쇄물이 가득 찬 것으로 인식하고 외부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살균부(500)는 저장부(400)에 수용된 파쇄물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자외선살균부(500)는 파쇄물에 묻어있을 수 있는 각종 바이러스를 살균하여, 파쇄물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염 위험을 방지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2)은, 하나의 폐마스크관리서버(700)와 복수 개의 폐마스크 회수장치(1)가 연결된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폐마스크관리서버(700)는 적어도 하나의 폐마스크 회수장치(1)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폐마스크 회수장치(1)는 폐마스크 회수장치(1)로 회수되는 마스크의 회수정보를 폐마스크관리서버(700)로 전송한다.
폐마스크관리서버(700)는 복수 개의 폐마스크 회수장치(1)와 연결되어, 각각의 폐마스크 회수장치(1)로 회수되는 폐마스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모든 폐마스크 회수장치(1)로 회수되는 폐마스크의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2)은 폐마스크 회수장치(1)가 설치된 위치 정보도 폐마스크관리서버(700)로 전송하여 설치된 지역에 해당하는 폐마스크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폐마스크 회수장치(1)는 해당하는 지역에 대한 마스크의 회수율이나 선호하는 마스크의 종류 등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단순 판매율과는 다르게 실제 사용된 마스크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실제 사용된 마스크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보건 정책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량과 관계없이 실제 사용되고 있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어, 추후 마스크 공급 정책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폐마스크 회수장치 2: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
10: 본체 11: 투입구
12: 감지센서 100: 이송유닛
110: 컨베이어 120: 틈새
130: 모터 200: 분류유닛
210: 광조사부 220: 물성측정부
300: 파쇄유닛 400: 저장부
410: 저장공간 420: 무게측정부
500: 자외선살균부 600: 제어부
700: 폐마스크관리서버 A: 폐마스크
L1: 검사광 L2: 투과광
P: 피크 W: 기준 파장범위
X: 검사파장

Claims (11)

  1. 폐마스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상기 폐마스크를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폐마스크에 검사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와, 상기 검사광이 상기 폐마스크를 투과하며 상기 폐마스크에 의해 필터링된 투과광을 측정하여 상기 폐마스크의 물성을 인식하는 물성측정부를 포함하는 분류유닛;
    상기 분류유닛을 통과한 상기 폐마스크를 파쇄하는 파쇄유닛; 및
    상기 파쇄유닛을 통과하여 생성된 파쇄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유닛은,
    상기 투과광 중 특정파장 영역을 갖는 검사파장에 대한 이득값을 산출하고 상기 이득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폐마스크를 구분하는 폐마스크 회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유닛은,
    기준 파장범위 내에서 선택된 복수 개의 상기 검사파장 별로 각각 상기 이득값을 산출하고, 상기 이득값을 상기 기준값과 각각 비교하여 상기 폐마스크를 구분하는 폐마스크 회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파장범위는,
    가시광선 영역 중 상기 투과광의 상기 이득값이 피크를 형성하는 파장을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파장범위는 500nm ~ 650nm를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분류유닛의 신호에 따라 순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폐마스크를 상기 파쇄유닛으로 이송하거나,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폐마스크를 상기 투입구로 배출하는 폐마스크 회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물성측정부는 각각 상기 이송유닛을 사이에 두고 위아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이송유닛은 중앙에 상기 검사광이 조사되는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히 배열된 한 쌍의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유닛과 상기 저장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파쇄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투입구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폐마스크의 투입 여부를 인식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폐마스크 회수장치; 및
    상기 폐마스크 회수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폐마스크 회수장치로부터 상기 폐마스크 회수장치가 설치된 위치의 정보 및 회수되는 폐마스크 정보를 전송 받아 위치에 따른 마스크회수율 또는 선호하는 마스크의 종류를 포함하는 마스크 회수정보를 산출하는 폐마스크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
KR1020210101437A 2021-08-02 2021-08-02 폐마스크 회수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 KR102552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437A KR102552364B1 (ko) 2021-08-02 2021-08-02 폐마스크 회수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437A KR102552364B1 (ko) 2021-08-02 2021-08-02 폐마스크 회수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057A true KR20230020057A (ko) 2023-02-10
KR102552364B1 KR102552364B1 (ko) 2023-07-07

Family

ID=85223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437A KR102552364B1 (ko) 2021-08-02 2021-08-02 폐마스크 회수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3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8642A (ja) * 2000-09-27 2002-04-05 Hitachi Zosen Corp プラスチックボトル材質選別装置
KR20020091323A (ko) 2001-05-31 2002-12-06 주식회사 이오니아 근적외선에 의한 플라스틱 선별장치
KR20100093905A (ko) * 2009-02-17 2010-08-26 오창호 재활용품 수집 장치와 이를 구비한 재활용품 처리 시스템 및 재활용품 처리 방법
KR20130019818A (ko) * 2011-08-18 2013-02-2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가시광 대역 플라스틱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분류 시스템
KR20130033885A (ko) * 2011-09-27 2013-04-04 (주)천하테크 감염성 폐기물의 분쇄 및 멸균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8642A (ja) * 2000-09-27 2002-04-05 Hitachi Zosen Corp プラスチックボトル材質選別装置
KR20020091323A (ko) 2001-05-31 2002-12-06 주식회사 이오니아 근적외선에 의한 플라스틱 선별장치
KR20100093905A (ko) * 2009-02-17 2010-08-26 오창호 재활용품 수집 장치와 이를 구비한 재활용품 처리 시스템 및 재활용품 처리 방법
KR20130019818A (ko) * 2011-08-18 2013-02-2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가시광 대역 플라스틱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분류 시스템
KR20130033885A (ko) * 2011-09-27 2013-04-04 (주)천하테크 감염성 폐기물의 분쇄 및 멸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364B1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3082B2 (en) Medical waste sorting system with container identification
KR101283071B1 (ko) 병원체 및 입자 검출기 시스템 및 방법
EP0772037B1 (en) Procedure and equipment for classifying or sorting of minerals
AU6991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urface features of translucent objects
KR102397021B1 (ko) 투명 페트 용기 분리수거 시스템
CN112673249B (zh) 检查装置、ptp包装机和ptp片的制造方法
KR102552364B1 (ko) 폐마스크 회수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
WO2019040859A1 (en) AUTOMATED VISUAL INSPECTION FOR PARTICULATE MATTER VISIBLE IN EMPTY FLEXIBLE CONTAINERS
JP3541243B2 (ja) ごみ処理施設におけるごみ搬送装置
ITMN20120010A1 (it) Macchina automatica di cernita senza contatto.
JP2002162358A (ja) 被検出物の変異部検出方法及びその変異部検出装置
WO2023070724A1 (zh) 一种烟丝低色度差塑料异物的脉冲光谱在线成像检测方法及其装置
WO2014018712A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etection of soiling in bank notes
KR101036988B1 (ko) 세라믹검출대와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한 pvc 선별 장치
JP3058196U (ja) 選別装置
TWI424154B (zh) 病原體及顆粒之偵測系統及方法
KR102393031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Gupta et al. A smart handling of bio-medical waste and its segregation with intelligant machine learning model
EP1741496A2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mail pieces containing a threatening material using transmission
Akanksha et al. A Survey on Garbage Management System
KR20230051435A (ko) 투명 페트병의 파쇄 및 압축 수거장치
CN113666032A (zh) 一种社区袋装垃圾处理设备及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