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808A - 차량 새시 및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새시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9808A
KR20230019808A KR1020220171897A KR20220171897A KR20230019808A KR 20230019808 A KR20230019808 A KR 20230019808A KR 1020220171897 A KR1020220171897 A KR 1020220171897A KR 20220171897 A KR20220171897 A KR 20220171897A KR 20230019808 A KR20230019808 A KR 20230019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steering
vehicle
vehicle chassis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1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푸칭 장
송 장
신 푸
푸추앙 우
아이후아 리우
Original Assignee
아폴로 인텔리전트 커넥티비티 (베이징)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1502370.1A external-priority patent/CN114030527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23087181.0U external-priority patent/CN216916011U/zh
Application filed by 아폴로 인텔리전트 커넥티비티 (베이징)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아폴로 인텔리전트 커넥티비티 (베이징)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019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in which the main member is plate-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9Means for mounting load bea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01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the wheel being mounted for sliding movement, e.g. in or on a vertical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6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 B60T1/067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employing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initiated by contact of vehicle, e.g. bumper, with an external object, e.g. another vehicle, or by means of contactless obstacle detectors mounted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18Electric motor acting on road wheel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4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8Means for stabilising antennas on an unstable plat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91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in or on other locations inside the vehicle or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43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on near the vehicle wheel, or between the differential gear unit and th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2Active or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Distance control
    • B60T2201/022Collision avoidanc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21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21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 B62D5/0424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the axes of motor and final driven element of steering gear, e.g. rack, being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차량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율주행 분야 및 운전 테스트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새시 및 차량을 제공한다. 차량 새시는 새시 브라켓, 스티어링 시스템, 전기 시스템, 구동 시스템, 및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을 포함하고, 새시 브라켓에는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 및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 및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는 차량 새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설치되고,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 중의 제1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는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와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 사이에 설치되고,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 중의 제2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는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와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사이에 설치되며,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구동 시스템 및 스티어링 시스템은 모두 전기 시스템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Description

차량 새시 및 차량 {VEHICLE CHASSIS AND VEHICLE}
본 개시는 차량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율주행 분야 및 운전 테스트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새시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 및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자율주행 기술은 인터넷 분야 및 차량 분야의 중요한 발전방향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성숙된 자율주행 기술은 운전자의 두 손을 해방할 수 있고, 어느 정도 교통사고를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도 있다. 자율주행 기술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자율주행 차량은 출하되기 전에 일반적으로 대량의 테스트 및 시험을 거쳐야 한다.
본 개시는 보다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한 차량 새시 및 차량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 의하면, 새시 브라켓, 스티어링 시스템, 전기 시스템, 구동 시스템, 및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을 포함하고, 새시 브라켓에는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 및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 새시로서,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 및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는 차량 새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설치되고,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 중의 제1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는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와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사이에 설치되고,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 중의 제2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는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와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사이에 설치되며,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구동 시스템 및 스티어링 시스템은 모두 상기 전기 시스템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 새시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하우징 및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되는 차량 새시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차량 새시 상측을 커버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내용은 그 목적이 본 개시의 실시예의 핵심 또는 중요한 특징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또한, 본 개시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들은 하기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 도면은 본 기술방안을 보다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새시 및 차량의 응용장면 예시도이다.
도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새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새시 브라켓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어샘블리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킹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모듈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휠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세부사항을 포함하게 되는데, 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범위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여러가지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는, 차량 새시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 새시는 새시 브라켓, 스티어링 시스템, 전기 시스템, 구동 시스템, 및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을 포함하고, 새시 브라켓에는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 및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 및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는 차량 새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설치된다.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 중의 제1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는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와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사이에 설치된다.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 중의 제2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는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와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사이에 설치된다.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구동 시스템 및 스티어링 시스템은 모두 상기 전기 시스템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되는 차량 새시 및 차량의 응용장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새시 및 차량의 응용장면 예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응용장면(100)에는 테스트 타겟 차량(110) 및 자율주행 차량(120)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응용장면(100)에 있어서, 자율주행 차량(120)은 출하되기 전의 차량일 수 있고, 출하된 후 수리가 필요한 차량일 수도 있다. 자율주행 차량(120)을 테스트할 때, 테스트 타겟 차량(110)을 가상도로에서 주행중인 차량으로 삼아, 자율주행 차량(120)의 장애물 회피 등 기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 타겟 차량(110)을 자율주행 차량(120)이 있는 도로위에 설치하여, 자율주행 차량(120)이 테스트 타겟 차량(110) 근처까지 주행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차도를 변경하거나 감속할 수 있는 지 등을 테스트하여, 자율주행 안전 테스트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테스트 타겟 차량(110)은 예를 들어 자동적으로 지면에서 주행하고 있는 로봇일 수 있고, 상기 테스트 타겟 차량(110)은 모터의 구동을 통해 지정된 속도에 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백 그라운드에서 사전에 테스트 타겟 차량(110)을 위해 주행 노선을 계획할 수 있고, 테스트 타겟 차량(110)은 해당 주행 노선에 따라 주행함으로써, 실제 도로 상황의 차량을 모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테스트 타겟 차량(110)은 물체를 운반하는 장면에 응용되어, 충돌로 인해 파손된 타겟 차량 또는 테스트 타겟 차량(110)에 탑재될 수 있는 임의의 물체를 운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테스트 타겟 차량(110)은 지능 운반 로봇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테스트 타겟 차량(110)은 차량 새시 및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2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상기 차량 새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상기 도2 내지 도11에 도시된 차량 새시는 자율주행 승용차, 지능 운반 로봇 등 AI 주행 차량의 차량 새시일 수도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새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 새시(20)는 새시 브라켓(210), 스티어링 시스템(220), 전기 시스템(230), 구동 시스템(240) 및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2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새시 브라켓(210)에는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 및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가 설치되어, 각각 스티어링 시스템(220), 전기 시스템(230), 구동 시스템(240) 및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250)을 장착하고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 및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는 차량 새시(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설치됨으로써, 스티어링 시스템, 전기 시스템 및 구동 시스템이 상기 차량 새시(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설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 중의 제1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는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와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스티어링 시스템(220)과 전기 시스템(230)사이의 방치된 공간에 제1 브레이킹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 제1 브레이킹 시스템은 스티어링 시스템(220)에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차량 새시(20)를 포함하는 차량의 프런트 브레이킹 기능을 구현한다.
여기서,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 중의 제2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는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와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사이에 설치됨으로써, 구동 시스템(240)과 전기 시스템(230)사이의 방치된 공간에 제2 브레이킹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 제2 브레이킹 시스템은 구동 시스템(240)에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차량 새시(20)를 포함한 차량의 리어 브레이킹 기능을 구현한다.
여기서, 전기 시스템(230)은 전원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티어링 시스템(220), 구동 시스템(240) 및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250) 중의 각 전기 장비는 모두 전원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전원 모듈은 이들 전기 장비를 위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스티어링 시스템(220), 구동 시스템(240) 및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250) 중의 각 전기 장비는 모두 제어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들 전자장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스티어링 휠 및 구동 휠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킹 성능 향상에 유리하다. 또한, 스티어링 시스템,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전기 시스템 및 구동 시스템의 장착 위치를 제한함으로써, 차량 새시의 소형화 및 편평화 설계에 유리하고, 해당 차량 새시를 포함하는 차량의 응용장면을 넓히는데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새시(20)는 2개의 안테나 모듈(26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 모듈(260)은 차량의 조합 네이비게이션 장치 중의 표시 장비, 라디오, 차량 탑재 전화 등 장비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안테나 모듈(260)은 모두 전기 시스템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전기 시스템 중의 통신장치 등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신된 신호를 표시 장비, 라디오, 차량 탑재 전화 등 장비로 재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새시 브라켓(210)에는 2개의 안테나 장착 위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안테나 장착 위치 중의 제1 안테나 장착 위치는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와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2개의 안테나 장착 위치 중의 제2 안테나 장착 위치는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와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안테나 장착 위치 및 제1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는 차량 새시(20)의 폭 방향을 따라 차례로 설치될 수 있고, 제2 안테나 장착 위치 및 제2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는 차량 새시의 폭 방향을 따라 차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하나의 안테나 모듈을 스티어링 시스템(220)과 전기 시스템(230)사이의 공간에 설치하고, 다른 하나의 안테나 모듈을 구동 시스템(240)과 전기 시스템(230)사이의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스티어링 시스템과 전기 시스템사이, 및 구동 시스템과 전기 시스템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새시에 각 시스템을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차량 새시 및 차량 새시를 포함하는 차량의 소형화 설계에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새시(20)는 덮개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덮개판은 착탈가능하게 새시 브라켓(210)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여기서, 덮개판은 상측 덮개판, 앞 덮개판, 뒷 덮개판 및 2개의 측면 덮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측 덮개판은 앞에서 설명한 각 장착 위치 상측을 커버한다. 2개의 측면 덮개판은 새시 브라켓(210)의 폭 방향의 양측에서 새시 브라켓(210)의 각 장착 위치를 커버한다. 앞 덮개판 및 뒷 덮개판은 각각 새시 브라켓(210)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서 새시 브라켓(210)의 각 장착 위치를 커버한다. 덮개판의 두께는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덮개판을 설치함으로써, 차량 새시 중의 각 시스템을 위해 보호작용을 제공하여, 비바람으로부터 차량 새시 중의 각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 시스템(230)을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에 장착할 경우, 전기 시스템(230)의 외부에 설치되어야 할 전기 공급용 인터페이스 및/또는 통신용 인터페이스 등은 덮개판으로부터 노출됨으로써, 차량의 차량 새시 중의 전기 장비 외의 다른 전기 장비가 상기 전기 공급용 인터페이스 및/또는 통신용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새시 브라켓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새시 브라켓(310)의 각 장착 위치 외의 다른 영역에 복수의 제1 보강 리브(311)를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보강 리브(311)는 새시 브라켓으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외부의 눌림으로부터 새시 브라켓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보강 리브의 높이는 예를 들어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 및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의 높이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이로써, 차량 새시 전체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새시의 높이를 5cm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상기 차량 새시의 높이는 단지 본 개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상기 차량 새시의 높이는 예를 들어 3cm, 2cm 등일 수도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새시 브라켓(31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차량 새시의 견고성을 향상시켜, 차량 새시가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경이 비교적 작은 스티어링 휠 및 구동 휠을 사용함으로써, 차량 새시의 높이를 줄일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차량 새시를 포함하는 차량의 응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 타겟 차량에 비교적 낮은 차량 새시를 설치함으로써, 새시가 비교적 낮은 피 테스트 자율주행 차량을 테스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시 브라켓(310)은 양단이 편평하고, 중간이 돌출된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새시 브라켓(310)의 길이 방향의 양단은 경사면 구조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 새시를 테스트 타겟 차량의 새시로 사용할 경우, 상기 경사면 구조는 테스트할 자율주행 차량이 쉽게 누르고 지나가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시 브라켓(310)은 수직 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측판(312)을 통해 앞에서 설명한 각 장착 위치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측판에는 복수의 와이어 통과용 구멍을 설치하여, 시스템 중의 전기 장비사이의 전선 및 통신 케이블 등이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차량 새시에 포함된 2개의 안테나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 모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안테나 모듈(460)은 안테나 어샘블리 및 안테나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브라켓은 제1 고정판(4611),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 적어도 2개의 제1 탄성 부재(4613) 및 제2 고정판(46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의 일단은 제1 고정판(4611)에 고정되고, 제2 고정판(4614)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제1 탄성 부재(4613)도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탄성 부재(4613)의 일단은 제1 고정판(4611)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탄성 부재(4613)의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은 제2 고정판(4614)에 고정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탄성 부재(4613)의 타단은 자유단 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2개의 제1 탄성 부재(4613)는 제1 고정판(4611)과 제2 고정판(4614)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고정판(4614)은,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에서 적어도 2개의 제1 탄성 부재(4613)보다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의 타단에 근접한 영역에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의 타단은 예를 들어 자유단 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의 타단은 제1 가이드 로드의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를 가진 외측 변두리 구조를 포함하여, 제2 고정판(4614)의 이동을 제한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고정판(4614)은 압력이 가해질 경우,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를 따라 제1 고정판(461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어도 2개의 제1 탄성 부재(4613)를 압축시킬 수 있다. 압력이 제거된 후,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탄성 부재(4613)의 탄성력에 의해, 제2 고정판(4614)은 다시 제1 고정판(46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어샘블리(420)는 안테나 브라켓 중의 제2 고정판(4614)에 설치된 고정 부재를 통해 안테나 브라켓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고정판(4614)에 설치된 고정 부재가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를 포함하면, 상기 안테나 어샘블리에는 이에 대응하여 나사 구멍이 설치되어야 하고,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와 나사 구멍의 나사 체결을 통해, 안테나 브라켓과 안테나 어샘블리를 연결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어샘블리는 안테나 헤드(4621) 및 안테나 포트(46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헤드(4621)는 예를 들어 버슷 모양의 구조를 가진 헤드일 수 있고, 구형 헤드 일 수도 있다. 상기 안테나 포트(4622)에는 예를 들어 변환 케이블을 설치함으로써, 수신된 신호를 라디오, 차량 탑재 전화 등 장비가 수신가능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포트(4622)는 예를 들어 안테나 헤드(462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 어샘블리는 차량중의 조합 네비게이션 장치에 포함된 안테나 어샘블리일 수 있고, 예를 들어, GPS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어샘블리는 버슷 모양의 구조 등일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어샘블리는 차량중의 라디오, 차량 탑재 전화 등 장비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상기 안테나 어샘블리의 유형은 단지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안테나 모듈(460)은, 안테나 어샘블리에 안테나 브라켓을 설치함으로써, 안테나 어샘블리에 압력이 가해질 때, 안테나 어샘블리로 하여금 하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안테나 모듈(460)을 포함하는 장비의 하우징내로 되돌아가도록 하며, 안테나 어샘블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력이 제거된 후에는, 안테나 브라켓의 제1 탄성 부재의 작용하에, 안테나 어샘블리로 하여금 다시 상기 안테나 모듈(460)을 포함하는 장비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위치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어, 안테나 어샘블리가 신호를 수신하는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고정판(4614)에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 홀이 설치될 수 있고,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는 각각 상기 적어도 2개의 가이드 홀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제2 고정판(4614)을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에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고정판(4614)에는 제2 고정판(4614)에 탑재된 물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예를 들어 제2 고정판(4614)의 중심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 부재는 복수개 일 수 있고, 제2 고정판(4614)상에 균일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예를 들어 나사산이 형성된 슬리브, 볼트 등일 수 있고, 상기 고정 부재는 제2 고정판(4614)의 제1 고정판(4611)측과 반대측의 표면에 고정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연결은 예를 들어 용접 등을 통해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고정판(4614)에는 위치 결정 홀이 설치될 수 있고, 고정 부재는 베이스 및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를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는 상기 제2 고정판(4614)의 제1 고정판(4611)에 대향한 면에 고정 연결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는 상기 위치 결정 홀을 통과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고정판(4614)에 탑재된 물체는 상기 안테나 브라켓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로드 고정 부재를 통해 제1 고정판(4611)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각 가이드 로드 고정 부재는 예를 들어 일체로 성형된 스냅 링 및 고정판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가이드 로드는 스냅 링을 통해 제1 고정판(4611)에 체결된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상기 가이드 로드 고정 부재의 구조는 단지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종래기술의 임의의 구조의 가이드 로드 고정 부재을 사용할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 및 적어도 2개의 제1 탄성 부재(4613)의 개수는 각각 3개일 수 있고, 3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는 균일하게 분포되어 제1 고정판(4611)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개수를 설정함으로써, 안테나 브라켓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안테나 브라켓은 제1 고정판(4611),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 적어도 2개의 제1 탄성 부재(4613) 및 제2 고정판(4614) 외에도, 적어도 2개의 직선 베어링(46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정판(4614)에는 예를 들어 적어도 2개의 가이드 홀이 설치될 수 있고, 적어도 2개의 직선 베어링(4615)은 각각 상기 적어도 2개의 가이드 홀에 설치하되,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에 삽입 설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직선 베어링(4615)은 지지판 등을 통해 제2 고정판(4614)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고정판(4614)의 적어도 2개의 가이드 홀 및 적어도 2개의 직선 베어링(4615)은 각각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에 삽입 설치되고, 제1 가이드 로드(4612)에 삽입 설치된 직선 베어링(4615)은 제2 고정판(4614)의 가이드 홀과 제1 가이드 로드(4612)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직선 베어링(4615)을 설치함으로써, 제2 고정판(4614)이 제1 가이드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제2 고정판(4614)의 이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상기 직선 베어링(4615)의 구조는 종래기술의 임의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직선 베어링(4615)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일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안테나 브라켓은 제1 고정판(4611),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 적어도 2개의 제1 탄성 부재(4613) 및 제2 고정판(4614) 외에도, 적어도 2개의 패드(46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패드(4616)는 각각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의 제1 고정판(461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패드(4616)의 재질은 고무 또는 금속 등일 수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패드(4616)를 설치함으로써, 제2 고정판(4614)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패드(4616)의 재질은 고무일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고정판(4614)이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의 제1 고정판(461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까지 이동하였을 때,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4612)의 제1 고정판(461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에 대한 충격력을 감소시켜, 안테나 브라켓 전체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안테나 브라켓은, 제1 고정판(4611)에 복수의 고정 홀을 설치할 수 있고, 외장된 고정 부재와 상기 복수의 고정 홀의 결합을 통해, 예를 들어, 안테나 브라켓을 다른 물체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물체는 제2 고정판(4614)에 탑재된 물체를 제외한 다른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물체는 차량 새시의 하우징 등에 설치된 장착 위치일 수 있고, 상기 장착 위치는 제2 고정판(4614)에 탑재된 물체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외부에 설치된 고정 부재는 예를 들어 나사, 볼트 등의 고정 부재일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안테나 브라켓에서, 제2 고정판(4614)은 오목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오목 다각형의 변의 수는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의 수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의 수가 n일 경우, 상기 오목 다각형의 변의 수는 (n+1)일 수 있다. n개의 제1 가이드 로드는 각각 오목 다각형의 n개의 정점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n개의 정점은 정각의 각도가 180°보다 작은 정점이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안테나 어샘블리가 안테나 브라켓에 연결될 경우, 상기 안테나 포트(4622)는 제2 고정판의 협각이 180°보다 큰 2개의 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고정판을 오목 다각형으로 설정하여, 안테나 어샘블리가 안테나 브라켓에 연결될 때의 안테나 포트의 위치를 한정함으로써, 어느 정도 안테나 모듈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고, 안테나 어샘블리가 눌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테나 모듈의 소형화 설계에도 유리하다.
이하, 도5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차량 새시에 포함된 스티어링 시스템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티어링 시스템(520)은 2개의 스티어링 휠 장치(521) 및 스티어링 구동 장치(5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티어링 휠 장치(521)는 앵글 조인트(52121), 스티어링 휠 허브 및 스티어링 휠(5213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티어링 구동 장치(522)는 모터 어샘블리(5221), 스티어링 부재(5222) 및 2개의 동력 전달 로드(52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앵글 조인트(52121)의 일단은 2개의 동력 전달 로드 중 하나의 동력 전달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앵글 조인트(52121)의 타단은 스티어링 휠 허브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앵글 조인트(52121)의 일단은 상기 하나의 동력 전달 로드의 모터로부터 떨어진 타단에 연결되고, 스티어링 휠 허브는 상기 앵글 조인트(52121)의 타단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티어링 휠(52131)은 스티어링 휠 허브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터의 구동하에 동력 전달 로드가 동력 전달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동력 전달 로드는 앵글 조인트(52121)를 구동하여 회전하도록 할 수 있고, 앵글 조인트(52121)는 스티어링 휠 허브 및 스티어링 휠(52131)을 위해 현재 회전 방향에 수직되는 작용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스티어링 휠 허브 및 스티어링 휠(52131)로 하여금 회전 방향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앵글 조인트(52121)의 일단에는 고정 홀을 설치할 수 있고, 동력 전달 로드는 연결 부재와 상기 고정 홀의 결합을 통해, 동력 전달 로드를 앵글 조인트(52121)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 어샘블리(5221)는 예를 들어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어링 부재(5222)의 작용은 모터 어샘블리(5221)로부터 제공되는 스티어링 모멘트 및 스티어링 각을 적당하게 변경(주로 감속 및 모멘트를 증가)하여, 다시 동력 전달 로드로 출력함으로써, 동력 전달 로드의 작용을 통해 스티어링 휠 장치를 당겨 회전 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이다. 스티어링 부재(5222)는 기어-랙 구조, 리서큘레이팅 볼 구조, 캠-레버 구조, 동력 스티어링 부재 등 다양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티어링 부재(5222)의 입력단은 모터 어샘블리(5221)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상기 스티어링 부재(5222)는 2개의 출력단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부재(5222)는 기어-랙 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기어는 모터 어샘블리(5221)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랙의 양단은 각각 2개의 동력 전달 로드에 연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어는 모터 어샘블리(5221)의 출력축의 구동을 통해 회전함으로써, 랙으로 하여금 기어의 중심축을 에워싸고 좌우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2개의 동력 전달 로드를 구동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티어링 부재(5222)의 입력단은 모터 어샘블리(5221)의 구동을 통해 회전함으로써, 스티어링 부재(5222)의 2개의 출력단을 구동하여 입력단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동력 전달 로드(5223)의 일단은 예를 들어 스티어링 부재의 2개의 출력단에 힌지 결합되거나 또는 고정 연결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동력 전달 로드(5223)의 타단은 각각 2개의 스티어링 휠 장치에 힌지 결합되거나 또는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티어링 부재의 2개의 출력단이 입력단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2개의 동력 전달 로드(5223)가 이에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다. 2개의 동력 전달 로드(5223)의 이동을 통해, 2개의 동력 전달 로드(5223)에 각각 연결된 2개의 스티어링 휠 장치에 회전 방향에 수직되는 작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스티어링 휠 장치(521)는 스티어링 휠을 포함할 수 있고, 스티어링 구동 장치(522)를 통해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스티어링 시스템(520)을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구동 장치(522)는 고정판 및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판을 차량 새시에 고정 연결함으로써, 스티어링 구동 장치를 차량 새시에 고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스티어링 시스템은, 스티어링 부재 및 동력 전달 로드만으로 스티어링 휠을 구동하여 회전시킬 수 있고, 전자기식 클러치 등과 같은 스티어링 구동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장치의 구조를 간소하할 수 있어, 스티어링 시스템 및 차량의 소형화 설계에 유리하다. 또한, 하나의 모터 어샘블리를 통해 2개의 스티어링 휠 장치를 구동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스티어링 시스템 및 차량의 소형화 설계에 더욱 유리하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모터 어샘블리는 모터 외에도, 예를 들어 감속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로써, 모터와 스티어링 부재사이에서 회전속도를 매칭시키고 토크를 전달하는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를 설치함으로써, 스티어링 구동 장치의 안정적인 동작에 유리하고, 스티어링 휠 장치에 대한 제어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속기의 입력축은 모터의 출력축에 고정 연결될 수 있고, 감속기의 출력축은 스티어링 부재의 입력단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터의 동력은 감속기의 입력축상의 잇수가 적은 기어를 통해 감속기의 출력축상의 큰 기어에 맞물림으로써, 감속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실제 수요에 따라, 다른 유형의 감속기를 선택할 수 있고, 본 개시는 감속기의 유형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 기어 감속기, 원추형 기어 감속기 또는 원추-원통 기어 감속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감속기는 직각 감속기일 수 있고, 상기 감속기를 통해 모터가 제공하는 동력 방향을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티어링 휠 장치의 제어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티어링 구동 장치를 차량 새시에 장착할 때 차량 새시의 길이 방향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므로, 차량의 소형화 설계에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터 어샘블리는 모터 및 감속기 외에도, 샤프트 커플링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스티어링 부재와 모터 어샘블리사이의 장착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고, 스티어링 구동 장치가 변형되거나 또는 열 팽창 등 원인으로 인한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어샘블리는 모터(52211), 감속기(52212) 및 샤프트 커플링(52213)을 포함한다. 여기서, 감속기(52212)는 직각 감속기이고, 감속기(52212)의 입력축은 모터(52211)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감속기(52212)의 출력축은 샤프트 커플링(52213)의 일단에 연결되고, 샤프트 커플링(52213)의 타단은 스티어링 부재(5222)에 연결된다. 즉, 샤프트 커플링(52213)은 스티어링 부재(5222)와 감속기(52212)사이에 설치된다. 이로써, 스티어링 부재와 모터 어샘블리사이의 장착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 커플링은 2개의 반원형 고리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반원형 고리는 키 피트 또는 타이트 피팅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스티어링 구동 장치를 장착할 때, 우선 상기 2개의 반원형 고리를 감속기(52212) 및 스티어링 부재의 입력단에 삽입 설치하고, 연결 부재 등을 통해 상기 2개의 반원형 고리를 타이트 피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구동 장치(522)는 로터리 인코더(5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인코더(5224)의 출력축은 컨베이어를 통해 감속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감속기(52212)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리 인코더(5224)를 설치함으로써,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로터리 인코더(5224)는 감속기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PWM 기술과 결합하여 감속기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에 대한 신속한 조절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인코더(5224)는 동기화 플랜지 타입 인코더를 사용할 수 있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본 개시는 상기 로터리 인코더(5224)의 유형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실제 수요에 따라, 임의의 유형의 인코더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티어링 구동 장치(522)는 동력 전달 어샘블리(522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력 전달 어샘블리(5225)는 2개의 타이밍 풀리 및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타이밍 풀리 중의 하나의 타이밍 풀리는 로터리 인코더(5224)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2개의 타이밍 풀리 중의 다른 하나의 타이밍 풀리는 감속기(52212)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컨베이어는 상기 2개의 타이밍 풀리에 삽입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로터리 인코더(5224)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감속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의 동력 전달 어샘블리(5225)의 구조는 단지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서로 다른 인코더 유형에 따라, 임의의 구조의 동력 전달 어샘블리를 사용할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로터리 인코더(5224)는 고정판을 통해 차량 새시에 고정 연결될 수도 있고, 고정판을 통해 차량 새시에 고정된 감속기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로터리 인코더(5224)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인코더(5224)는 예를 들어 모터(52211)와 함께 감속기(52212)의 동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티어링 구동 장치를 차량 새시에 장착할 때 차량 새시의 폭 방향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차량의 소형화 설계에 더욱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구동 장치(522)는 2개의 방진(防塵) 부재(5226)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2개의 방진 부재(5226)는 예를 들어 슬리브와 비슷한 구조를 사용하여, 스티어링 부재(5222)의 2개의 출력단의 외측에 각각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방진 부재(5226)는 각각 2개의 동력 전달 로드(5223)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출력단의 외측에 삽입 설치 될 수 있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2개의 방진 부재(5226)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 재질 등일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방진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출력축이 먼지 등 이물질의 영향으로 인해 동력 전달 로드와의 힌지 결합 관계가 안정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모터 어샘블리가 제공하는 구동력의 동력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스티어링 휠 장치에 대한 스티어링 구동 장치의 스티어링 구동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티어링 부재(5222)의 2개의 출력단에는 예를 들어 구형(球形) 홈을 설치할 수 있고, 이로써 2개의 동력 전달 로드(5223)와 쉽게 힌지 결합할 수 있고, 2개의 동력 전달 로드(5223)는 스티어링 부재를 상대로 어느 정도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식에 의하면, 스티어링 구동 장치와 스티어링 휠 장치사이의 연결 유연성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고, 스티어링 휠 장치의 사용 수명을 늘리는데도 어느 정도 유리하다. 이에 대응하여, 동력 전달 로드는 구형 헤드 로드를 사용함으로써, 동력 전달 로드와 스티어링 부재 사이의 힌지 결합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앞에서 설명한 2개의 동력 전달 로드 중 어느 하나의 동력 전달 로드를 예로 들어, 동력 전달 로드의 구조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력 전달 로드(5223)는 구형 헤드 연결 부재, 빔 및 코너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형 헤드 연결 부재는 구형 헤드 단 및 비 구형 헤드 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형 헤드 연결 부재의 구형 헤드 단은 2개의 출력단 중 하나의 출력단에 설치된 구형 홈에 삽입된다. 구형 헤드 연결 부재의 비 구형 헤드 단은 빔에 고정 연결된다. 여기서, 빔의 일단에는 홈이 설치될 수 있고, 구형 헤드 연결 부재의 비 구형 헤드 단은 플러그로서 상기 빔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빔의 홈의 측벽에는 나사산을 설치할 수 있고, 구형 헤드 연결 부재의 비 구형 헤드 단에도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구형 헤드 연결 부재와 빔은 나사산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코너 커넥터의 일단은 빔의 홈이 설치된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코너 커넥터의 타단은 스티어링 휠 장치(521)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의 타단에는 범프(bump)를 설치할 수 있고, 코너 커넥터의 일단에는 홈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범프와 홈의 결합을 통해, 빔과 코너 커넥터의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빔과 코너 커넥터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임의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코너 커넥터는 예를 들어 직각 구조일 수 있고, 이로써 스티어링 부재가 제공하는 동력을 90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스티어링 휠 장치에 쉽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코너 커넥터는 서로 수직되게 설치되는 제1 연결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 부재의 일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빔의 타단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타단에는 예를 들어 구형 홈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연결 부재는 구형 헤드 연결 부재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구형 헤드 단은 상기 구형 홈에 삽입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연결 부재와 제1 연결 부재는 힌지 결합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연결 부재는 제1 연결 부재에 대해 어느 정도 슬라이딩할 수 있으므로, 스티어링 구동 장치와 스티어링 휠 장치사이의 연결의 유연성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어느 정도 스티어링 휠 장치의 사용 수명을 늘리는데 유리하다. 여기서, 제2 연결 부재의 구형 헤드 단에 대향되는 타단을 커넥터로 사용하여 스티어링 휠 장치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앞에서 설명한 스티어링 휠 장치 중의 앵글 조인트의 일단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사이에 와셔를 설치할 수도 있다. 2개의 연결 부재를 연결할 때, 우선 상기 와셔를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구형 헤드에 삽입 설치한 다음, 구형 헤드를 제1 연결 부재의 구형 홈에 억지 끼움으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와셔를 설치함으로써, 2개의 연결 부재의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티어링 시스템을 배치할 때, 모터(52211)의 출력축을 감속기(52212)의 입력축에 연결하고, 감속기(52212)의 출력축을 샤프트 커플링(52213)의 일단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로터리 인코더(5224)를 감속기(52212)의 출력축에 동력 전달 부재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샤프트 커플링(52213)의 타단은 스티어링 부재(5222)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스티어링 부재(5222)의 2개의 출력단은 각각 2개의 동력 전달 로드에 포함된 2개의 구형 헤드 연결 부재에 연결된다. 구형 헤드 연결 부재는 빔에 연결되고, 빔은 코너 커넥터에 연결된다. 코너 커넥터는 스티어링 휠 장치(521) 중의 앵글 조인트(52121)에 고정 연결된다. 구형 헤드 연결 부재는 빔에 연결되고, 빔은 코너 커넥터에 연결된다. 코너 커넥터는 스티어링 휠 장치(521) 중의 앵글 조인트(52121)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 스티어링 구동 장치와 스티어링 휠 장치를 조합함으로써, 모터(52211)가 동작할 경우, 모터(52211)는 감속기(52212)의 출력축을 연동시켜 회전하도록 할 수 있고, 감속기(52212)의 출력축은 샤프트 커플링(52213)을 거쳐 스티어링 부재의 입력단을 연동시켜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스티어링 부재의 2개의 출력단을 연동시켜 감속기(52212)의 출력축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2개의 출력축이 이동함으로써, 2개의 구형 헤드 연결 부재가 연동되어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빔이 구형 헤드 연결 부재에 연?壅퓸? 이동하는 동시에, 구형 헤드 연결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한다. 구형 헤드 연결 부재의 이동은 코너 커넥터를 연동시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앵글 조인트(52121)에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에 수직되는 작용력을 제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앵글 조인트(52121)는 상기 작용력을 스티어링 휠에 전달하여,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스티어링 구동 장치와 스티어링 휠 장치를 조합함으로써, 구동 시스템의 전체 구조가 작아지고, 차량의 소형화 및 편평화 설계에 유리하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상기의 임의의 2개의 기계 부재를 연결할 때, 와셔 등의 완충 부재를 삽입 설치하여 연결함으로써, 구동 시스템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형 헤드 연결 부재의 구형 헤드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구형 헤드의 사이즈는 구형 홈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구형 헤드와 구형 홈을 억지 끼움으로 체결하여, 스티어링 구동 장치 중의 기계 부재사이의 연결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되는 스티어링 휠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티어링 휠 장치(621)는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6211), 연결 어샘블리(6212) 및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621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어샘블리(6212)는 앞에서 설명한 앵글 조인트를 포함하고,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6213)는 앞에서 설명한 스티어링 휠 허브 및 스티어링 휠을 포함한다.
여기서,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6211)는 장착 랙, 제2 탄성 부재, 제2 가이드 로드 및 제1 고정 블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연결 어샘블리(6212)는 예를 들어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6211)를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6213)에 힌지 결합함으로써,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6213)로 하여금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621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6211) 중의 제2 탄성 부재가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6213)에 연동되어 압축되거나 늘어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어샘블리(6212)는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6211) 중의 제2 탄성 부재에 고정 연결되어,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6213)가 상하로 이동할 때 연결 어샘블리에 가한 수직 방향의 작용력을 상기 제2 탄성 부재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6213)는 스티어링 휠 및 허브를 포함할 수 있고, 스티어링 휠은 허브에 삽입 설치되고, 연결 어샘블리는 허브를 통해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와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사이의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어샘블리는 예를 들어 스티어링 구동 장치에 고정 연결되어, 스티어링 구동 장치가 제공하는 스티어링 작용력을 스티어링 휠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스티어링 휠 장치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도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어샘블리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어샘블리(7212)는 지지 부재(72121), 회전축 로드(72122) 및 앵글 조인트(72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부재(72121)는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 중의 제2 탄성 부재에 고정 연결될 수 있고, 회전축 로드(72122)는 지지 부재(72121)에 고정 연결될 수 있고, 앵글 조인트(72123)는 회전축 로드(72122)에 삽입 설치하되 스티어링 휠 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앵글 조인트(72123)는 예를 들어 외부에서 가한 작용력에 의해 회전축 로드(72122)의 중심축을 에워싸고 회전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티어링 휠 장치는 앵글 조인트(72123)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상하로 흔들릴 때, 상기 앵글 조인트(72123)에 수직 방향의 작용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작용력은 회전축 로드(72122) 및 지지 부재(72121)를 거쳐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 중의 제2 탄성 부재에 전달되어, 제2 탄성 부재를 압축하거나 늘어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글 조인트(72123)는 스티어링 구동 장치에 고정 연결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스티어링 구동 장치가 제공하는 스티어링 작용력에 의해, 앵글 조인트(72123)는 회전축 로드(72122)의 중심축을 에워싸고 회전할 수 있고, 스티어링 휠 장치에 회전 방향에 수직되는 작용력을 제공하여, 스티어링 휠 장치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72121)는 지지판(72121-1) 및 2개의 고정판(7212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판(72121-1)은 제2 탄성 부재에 고정 연결된다. 2개의 고정판(72121-2)은 지지판(72121-1)에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고정판(72121-2)은 예를 들어 앵글 조인트(72123)와 함께 지지판(72121-1)의 동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고정판(72121-2)에는 고정 홀이 설치될 수 있고, 회전축 로드(72122)는 상기 2개의 고정판의 고정 홀내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 로드(72122)는 로드 모양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로드 모양 구조의 양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축 로드(72122)로 하여금 2개의 고정판의 고정 홀을 관통하도록 한 후, 너트 등 고정 부재와 회전축 로드(72122) 양단의 수나사의 나사 결합을 통해, 회전축 로드(72122)를 지지 부재(72121)에 고정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 로드(72122)는 기둥 모양 구조일 수도 있고, 상기 기둥 모양 구조의 양단에는 수나사를 형성함으로써, 앵글 조인트가 상기 회전축 로드(72122)의 중심축을 에워싸고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앵글 조인트(72123)가 회전축 로드(72122)에 삽입 설치할 경우, 우선 2개의 고정판사이에서 회전축 로드(72122)의 외측에 회전 베어링을 삽입 설치할 수 있다. 그 다음, 앵글 조인트(72123)를 회전 베어링의 외측에 삽입 설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앵글 조인트(72123)가 회전축 로드(72122)의 중심축을 에워싸고 회전할 때의 마찰 계수를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앵글 조인트(72123)의 회전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앵글 조인트(72123)는 예를 들어 원호형 앵글 조인트일 수도 있고, 상기 원호형 앵글 조인트는 원호형 앵글을 구비하고, 상기 원호형 앵글 조인트의 원호형 앵글에는 관통 홀이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 로드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할 경우, 상기 원호형 앵글 조인트의 원호형 앵글 부분을 2개의 고정판(72121-2)사이에 설치하고, 회전축 로드(72122)로 하여금 상기 원호형 앵글에 위치한 관통 홀내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원호형 앵글 조인트의 일단은 허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스티어링 휠로 하여금 원호형 앵글 조인트를 에워싸고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원호형 앵글 조인트의 타단은 스티어링 구동 장치에 고정 연결되어, 스티어링 구동 장치에 연동됨으로써, 원호형 앵글 조인트로 하여금 회전축 로드(72122)의 중심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원호형 앵글 조인트의 허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일단을 통해 허브에 허브의 회전 방향에 수직되는 힘을 가하여,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호형 앵글 조인트는 원호형 앵글 블록 및 서로 수직되는 2개의 고정 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고정 로드는 모두 상기 원호형 앵글 블록에 고정 연결된다. 2개의 고정 로드 중 하나의 고정 로드는 원기둥모양의 로드이고, 상기 원기둥 모양의 로드는 허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2개의 고정 로드 중 다른 하나의 고정 로드는 판 모양의 구조일 수 있고, 상기 다른 하나의 고정 로드는 스티어링 구동 장치에 고정 연결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티어링 휠 장치에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눌려졌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눌려졌을 경우, 차량의 제어 시스템으로 눌림 신호를 송신하여, 제어 시스템으로 하여금 차량을 브레이킹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차량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차량이 장기간 눌려짐으로 인한 차량의 수명 단축, 차량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 장치는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 연결 어샘블리 및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 외에도, 거리 감지 어샘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 감지 어샘블리는 가림 판, 센서 고정 부재 및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가림 판은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의 장착 랙에 포함된 제1 장착판의 측벽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센서 고정 부재는 연결 어샘블리의 측벽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센서 고정 부재는 가림 판과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센서는 상기 센서 고정 부재를 통해 연결 어샘블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센서는 예를 들어 거리 센서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의 장착 랙이 차량 새시에 고정 연결된 상태에서 차량이 눌려졌을 경우,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의 장착 랙은 차량 새시의 하강과 함께 동반 하강함으로써 연결 부재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라 하향 이동하고, 가림 판과 센서사이의 거리는 작아진다. 센서는 가림 판과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보다 작아진 것을 감지하였을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제어 시스템으로 눌림 신호를 송신하여, 제어 시스템으로 하여금 차량을 브레이킹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차량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 중의 장착 랙의 높이를 합리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상기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와 연결 어샘블리 및 연결 어샘블리와 스티어링 휠 장치사이의 연결 관계를 통해, 차량이 눌려졌을 경우, 차량 새시가 지면에 접촉할 때까지 차량 새시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 새시로 하여금 차량의 스티어링 휠 및 구동 휠이 받는 압력을 분담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스티어링 휠 및 구동 휠이 받는 압력이 너무 커서 파손되는 상황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8을 참조하여 스티어링 휠 장치 중의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8211)는 장착 랙(82111), 제2 탄성 부재(82112), 제2 가이드 로드(82113) 및 제1 고정 블록(821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착 랙(82111)은 차량의 차량 새시에 고정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장착 랙(82111)은 제1 장착판(82111-1) 및 제2 장착판(82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개의 장착판은 연결 부재를 통해 차량 새시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를 차량 새시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이드 로드(82113)의 양단은 각각 제1 장착판(82111-1) 및 제2 장착판(82111-2)에 고정된다. 제2 탄성 부재(82112)는 상기 제2 가이드 로드(82113)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82112)의 일단은 제1 장착판(82111-1)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 제1 장착판(82111-1)은 수직 방향에서 제2 장착판(82111-2)보다 높다. 제1 고정 블록(82114)은 제2 가이드 로드(82113)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 블록(82114)은 제2 탄성 부재(82112)의 타단을 고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고정 블록(82114)에는 관통 홀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관통 홀의 사이즈를 제2 가이드 로드(82113)의 사이즈보다 약간 크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고정 블록(82114)은 제2 가이드 로드(82113)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탄성 부재(82112)는 상기 제1 고정 블록(82114)을 통해 앞에서 설명한 연결 어샘블리에 연결됨으로써, 제2 탄성 부재는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에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면이 평탄하지 않음으로 인해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가 상하로 운동할 경우, 상기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는 연결 어샘블리에 상향 또는 하향의 작용력을 가함으로써, 연결 부재로 하여금 제1 고정 블록을 연동시켜 제2 가이드 로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제2 탄성 부재를 압축하거나 늘어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이 지면상의 돌출된 부분을 통과할 때, 제2 탄성 부재는 압축되므로, 제2 탄성 부재(82112)는 장착 랙(82111)을 통해 차량 새시에 상향의 작용력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새시와 스티어링 휠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유지하도록 한다. 스티어링 휠이 지면상의 옴폭하게 파인 부분을 통과할 때, 제2 탄성 부재는 늘어나므로, 제2 탄성 부재(82112)는 장착 랙(82111)을 통해 차량 새시에 하향의 작용력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새시와 스티어링 휠사이의 간격을 최대한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런 방식을 통해, 지면에 대한 차량의 적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지면이 평탄하지 않음으로 인해 차량이 흔들리는 정도를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어, 차량을 위해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의 탄성 부재 양측에 이동 가이드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제2 탄성 부재가 이동 과정에 제2 가이드 로드의 중심축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편향이동하여,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가 차량의 중심 위치에 대해 편향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가이드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주행과정에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8211)는 장착 랙(82111), 제2 탄성 부재(82112), 제2 가이드 로드(82113) 및 제1 고정 블록(82114) 외에도, 제3 가이드 로드(82115) 및 슬라이더(82116)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3 가이드 로드(82115)의 양단은 각각 제1 장착판(82111-1) 및 제2 장착판(82111-2)에 고정 연결된다. 슬라이더(82116)는 상기 제3 가이드 로드(82115)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3 가이드 로드(82115)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더(82116)는 앞에서 설명한 제1 고정 블록과 비슷하게, 관통 홀이 설치될 수 있고, 제3 가이드 로드(82115)는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된 후 제1 장착판(82111-1), 제2 장착판(82111-2)에 고정 연결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82116)가 제1 장착판(82111-1)과 제2 장착판(82111-2)사이에 설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슬라이더(82116)는 예를 들어 앞에서 설명한 연결 어샘블리를 통해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슬라이더(82116)는 제1 고정 블록과 비슷하게,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가 상하로 운동하는 과정에, 슬라이더(82116)는 연결 어샘블리에 연동되어 제3 가이드 로드(82115)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슬라이더(82116)는 제1 고정 블록과 동기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고정 블록의 이동 그리고 제2 탄성 부재의 압축 방향 및 늘어나는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가이드 로드(82115) 및 슬라이더(82116)는 각각 2개일 수 있고, 2개의 제3 가이드 로드(82115)는 각각 제2 가이드 로드(82113)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슬라이더는 각각 2개의 제3 가이드 로드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탄성 부재의 압축되는 방향/늘어나는 방향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탄성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지면에 대한 차량의 적응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옴폭하게 파인 부분을 통과할 때 탄성 부재가 늘어나도록 하기 위해, 제2 탄성 부재의 자연 상태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탄성 부재의 자연 상태의 길이를 소정의 길이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길이는 제1 장착판과 제2 장착판사이의 거리에서 제1 고정 블록의 높이를 뺀 수치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고정 블록이 제2 장착 블록에 밀착될 경우, 제2 탄성 부재는 늘어난 상태이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자연 상태의 길이 및 제2 탄성 부재의 탄성 계수는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탄성 부재의 자연 상태의 길이를 합리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차량이 눌려졌을 때, 차량 새시로 하여금 지면에 접촉될 때까지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8211)는 로킹 부재를 더 포함하여 제3 가이드 로드를 로킹함으로써, 제3 가이드 로드와 장착 랙의 연결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8211)는 장착 랙(82111), 제2 탄성 부재(82112), 제2 가이드 로드(82113), 제1 고정 블록(82114), 제3 가이드 로드(82115) 및 슬라이더(82116) 외에도, 제1 로킹 부재(82117) 및 제2 로킹 부재(82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로킹 부재(82117)는 제1 장착판(82111-1)에 착탈가능하게연결될 수 있다. 제3 가이드 로드(82115)의 일단은 상기 제1 로킹 부재(82117)와 제1 장착판(82111-1)사이에 끼어져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착판(82111-1)에는 반원기둥형 홈 및 나사 구멍이 설치될 수 있고, 제1 로킹 부재(82117)에도 반원기둥형 홈 및 나사 구멍이 설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를 통해 제1 로킹 부재(82117)상의 반원기둥형 홈을 제1 장착판(82111-1)의 반원기둥형 홈에 맞춰서 고정하면, 제3 가이드 로드(82115)를 제1 로킹 부재(82117)와 제1 장착판(82111-1)사이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제2 로킹 부재(82118)는 제2 장착판(82111-2)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 가이드 로드(82115)의 타단은 제2 장착판(82111-2)과 제2 로킹 부재(82118)사이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로킹 부재(82118)의 구조는 제1 로킹 부재(82117)의 구조와 비슷하고, 제1 장착판(82111-1)의 구조는 제2 장착판(82111-2)의 구조와 비슷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제3 가이드 로드(82115)가 2개일 경우, 제2 로킹 부재(82118) 및 제1 로킹 부재(82117)는 각각 2개일 수 있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이동시 장착 랙에 대한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장착판 및 제2 장착판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서 제1 가이드 로드 및 제2 가이드 로드를 고정하는 위치에 와셔 등 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티어링 휠 장치는 예를 들어 드럼 브레이킹 원리를 사용하여 브레이킹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9를 참조하여 드럼 브레이킹 원리를 사용하여 브레이킹을 실현하는 스티어링 휠 장치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티어링 휠 장치(921)는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9214), 제1 회전축(9215), 제1 고정축 및 제1 풀 로드(9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9214)는 스티어링 휠(92131)과 스티어링 휠 허브(92132)사이에서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스티어링 휠 허브(92132)는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9214)에 둘러싸인 공간에 설치되고, 스티어링 휠(92131)은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9214)의 외측에 씌어져 설치된다. 제1 회전축(9215) 및 제1 고정축은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9214)사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 회전축(9215)은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9214)의 서로 근접한 2개의 제1 단사이에 설치되고, 제1 고정축은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9214)의 서로 근접한 2개의 제2 단사이에 설치된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도9에서는 제1 고정축의 위치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고정축과 제1 회전축(9215)은 스티어링 휠 허브(92132)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92131)은 타이어, 림 및 스포크를 포함할 수 있고, 스티어링 휠 허브(92132)의 2개의 드럼 브레이크 패드로부터 돌출된 부분은 스포크에 고정 연결되어, 스티어링 휠(92131)을 연동시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풀 로드(9216)는 제1 회전축(9215)에 고정 연결되고, 또한, 차량의 브레이킹 케이블에 고정 연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브레이킹 케이블이 팽팽하게 당겨질 경우, 브레이킹 케이블은 제1 풀 로드(9216) 및 제1 회전축(9215)을 연동시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9215)을 회전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에 작용력을 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의 2개의 제1 단사이의 간격을 증대시켜,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와 스티어링 휠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반대로, 브레이킹 케이블이 풀려지게 되면, 브레이킹 케이블을 통해 제1 풀 로드(9216) 및 제1 회전축(9215)을 연동시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의 2개의 제1 단사이의 간격을 감소시켜,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와 스티어링 휠(92131)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9215)의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9214)사이에 설치된 부분은, 서로 다른 방향의 사이즈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회전축(9215) 및 제1 풀 로드(9216)를 장착할 경우, 풀림 상태의 브레이킹 케이블을 제1 풀 로드(9216)에 고정 연결하고, 제1 회전축(9215)의 사이즈가 작은 방향에 수직되는 2개의 면을 각각 2개의 제1 단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브레이킹 케이블이 팽팽하게 당겨질 경우, 제1 회전축(9215)을 연동시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2개의 제1 단사이의 간격을 증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드럼 브레이크 패드, 회전축 및 풀 로드의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 구동 휠의 제동을 실현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브레이킹 기능을 가진 구동 시스템에 필요한 공간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테스트 타겟 차량의 소형화 및 편평화 설계에 유리하다.
이하, 도10을 참조하여 차량 새시에 포함된 구동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동 시스템(1040)은 구동 휠 장치 및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구동 장치는 구동 휠 장치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휠 장치는 구동 휠 허브 및 구동 휠을 포함할 수 있고, 구동 장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모터의 출력축을 구동 휠 허브에 고정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구동 모터가 동작할 때, 구동 모터의 출력축은 구동 휠 허브를 연동시켜 회전하도록 할 수 있고, 구동 휠 허브는 구동 휠을 연동시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휠은 예를 들어 구동 휠 허브에 삽입 설치되어, 구동 휠 허브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장치는 구동 모터 외에도, 예를 들어 구동 모터와 구동 휠 허브사이에서 회전 속도를 매칭시키고 토크를 전달하는 작용을 하는 감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속기의 입력축은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감속기의 출력축은 구동 휠 허브에 연결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구동 장치는 구동 모터(10421), 동력 전달 어샘블리(10422), 제3 장착판(10423) 및 충격 흡수 어샘블리(104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 모터(10421)는 영구 자기식 직류 서브 모터, 영구 자기식 권선 타입 직류 모터 또는 영구 자기식 브러시리스 직류 서브 모터 등일 수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10421)는 임의의 유형의 모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동력 전달 어샘블리(10422)는 구동 모터의 출력축, 즉, 차량의 구동 휠 허브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 전달 어샘블리(10422)는 구동 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을 구동 휠 허브에 전달하여, 구동 휠을 연동시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력 전달 어샘블리(10422)는 샤프트 커플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샤프트 커플링의 양단에는 각각 구동 모터의 출력축 및 구동 휠 허브가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동력 전달 어샘블리(10422)는 타이밍 풀리 및 컨베이어를 포함한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타이밍 풀리는 적어도 2개이어야 하고, 적어도 2개의 타이밍 풀리 중 하나의 타이밍 풀리는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타이밍 풀리는 차 바퀴의 허브에 연결된다. 상기 적어도 2개의 타이밍 풀리는 동기화 벨트의 동력 전달에 의해 거의 동기적으로 회전한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도10에서는 타이밍 풀리와 컨베이어를 결합한 구조로 동력 전달 어샘블리(10422)를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동력 전달 어샘블리(10422)의 구조는 단지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3 장착판(10423)은 구동 모터(10421)를 새시 브라켓에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3 장착판(10423)을 통해, 구동 모터(10421)를 새시 브라켓의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 중의 모터 장착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3 장착판(10423)은 예를 들어 나사, 너트 등 연결 부재를 통해 새시 브라켓의 측판에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 흡수 어샘블리(10424)는 예를 들어 제3 장착판(10423)에 고정 연결되는 회전축(10424-1) 및 회전축(10424-1)에 연결되는 회전 암(10424-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전 암(10424-2)은 회전축(10424-1)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10424-1)의 연장 방향은 동력 전달 어샘블리(10422)가 구동 휠을 연동시켜 회전하도록 하는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구동 휠이 평탄하지 않은 지면을 만나 흔들릴 때, 제3 장착판(10423)이 새시 브라켓에 연결되어 있고, 회전축(10424-1)이 제3 장착판(1042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축(10424-1)에 대한 회전 암(10424-2)의 회전을 통해, 차량 새시가 구동 휠을 따라 흔들리는 정도를 완화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의 구동 장치에 의하면, 차량 주행 과정에 지면이 평탄하지 않음으로 인한 차체의 흔들림을 경감시킬 수 있고, 차량에 충격 흡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력 전달 어샘블리(10422)는 2개의 타이밍 풀리 및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타이밍 풀리는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 수직되는 수평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이들 중 하나의 타이밍 풀리는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타이밍 풀리는 구동 휠 허브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하나의 타이밍 풀리는 동력 전달 베어링을 통해 구동 휠 허브에 연결됨으로써, 연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동력 전달 과정에서의 마찰 계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회전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다른 하나의 타이밍 풀리의 휠 축은 동력 전달 베어링에 연결되고, 구동 휠 허브는 상기 동력 전달 베어링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상기 다른 하나의 타이밍 풀리와 구동 휠 허브의 연결을 실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컨베이어는 2개의 타이밍 풀리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하나의 타이밍 풀리가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 연동하여 회전할 경우, 컨베이어와 상기 하나의 타이밍 풀리사이의 마찰력을 통해, 상기 하나의 타이밍 풀리가 컨베이어를 통해 다른 하나의 타이밍 풀리를 연동시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하나의 타이밍 풀리로 하여금 구동 휠을 연동시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구동 장치는 제4 장착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4 장착판은 장착판(10425-1) 및 장착판(10425-2)을 포함할 수 있고, 장착판(10425-2)은 구동 모터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장착판(10425-1)은 충격 흡수 어샘블리 및 구동 휠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동력 전달 어샘블리(10422)는 장착판(10425-1)과 장착판(10425-2)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장착판(10425-1) 및 장착판(10425-2)에는 동력 전달 베어링, 연결 부재 등의 장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홀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판(10425-1)은 복수의 연결 부재(10426)를 통해 장착판(10425-2)에 연결됨으로써, 동력 전달 어샘블리(10422)를 상기 2개의 장착판사이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10426)는 예를 들어 슬리브 등일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장치는 제2 브레이킹 시스템 중의 제2 브레이킹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브레이킹 케이블 고정 클램프(10427)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브레이킹 케이블의 배선이 혼잡함으로 인해 동력 전달에 추가적인 마찰을 일으키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킹 케이블 고정 클램프(10427)는 예를 들어 장착판(10425-1)에 장착될 수 있고, 컨베이어에 접촉하지 않도록 장착 위치를 설정하여야 한다. 상기 브레이킹 케이블 고정 클램프(10427)를 통해, 예를 들어, 브레이킹 케이블이 장착판(10425-1)에 밀착하게 배선하여, 브레이킹 케이블과 타이밍 풀리, 컨베이어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 암으로서 탄성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충격 흡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암은 스프링 등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은 2개의 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2개의 축은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있고, 탄성 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2개의 축에 연결되며, 상기 2개의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개의 축은 모두 제3 장착판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 바퀴가 상하로 흔들릴 때, 탄성 부재가 2개의 축을 에워싸고 회전함으로써, 탄성 부재를 압축하거나 또는 탄성 부재가 늘어나도록 하여, 충격 흡수 어샘블리(10424)가 차량의 자동차 프레임에 가하는 작용력을 증대할 수 있고, 충격 흡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 바퀴의 흔들림이 정지된 후, 자동차 프레임과 차 바퀴 사이의 간격은 탄성 부재의 탄성력의 작용하에 흔들리기 전의 수치로 회복될 수 있어, 후속적인 주행 과정에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력 전달 어샘블리(10422)가 2개의 타이밍 풀리를 포함하면, 2개의 축 중의 하나의 축은 2개의 타이밍 풀리 중 구동 휠 허브에 연결된 타이밍 풀리에 근접하게 설치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축은 2개의 타이밍 풀리 중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타이밍 풀리에 근접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축에 있어서, 동력 전달 어샘블리(10422)가 구동 휠 허브에 연결될 경우, 구동 휠 허브에 근접한 하나의 축의 설치 위치는 구동 휠 허브로부터 떨어져 있는 다른 하나의 축의 설치 위치보다 낮다. 이렇게 함으로써, 구동 휠이 지면의 돌출된 부분에 이동하였을 때, 탄성 부재의 구동 휠에 근접한 일단은 들려지게 되고, 탄성 부재의 양단은 2개의 축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탄성 부재는 압축되고, 탄성 부재의 길이는 짧아진다. 탄성 부재가 다른 하나의 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는 과정에, 탄성 부재가 상기 다른 하나의 축에 가하는 작용력은 지면에 수직되게 아래로 향하는 작용력을 포함하고, 상기 지면에 수직되게 아래로 향하는 작용력은 제1 장착판을 통해 새시 브라켓에 가해질 수 있으므로, 새시 브라켓이 구동 휠을 따라 흔들리는데 저항력을 제공하여, 새시 브라켓의 흔들림을 경감시킬 수 있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반대로, 구동 휠이 지면의 옴폭하게 파인 부분에 이동하였을 때, 탄성 부재는 늘어나고, 탄성 부재가 다른 하나의 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는 과정에, 탄성 부재가 상기 다른 하나의 축에 가하는 작용력은 지면에 수직되게 아래로 향하는 작용력을 포함하고, 상기 지면에 수직되게 아래로 향하는 작용력은 제3 장착판을 통해 새시 브라켓에 가해질 수 있으므로, 새시 브라켓이 구동 휠을 따라 흔들리는데 저항력을 제공하여, 새시 브라켓의 흔들림을 경감시킬 수 있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부재의 양단에는 고리모양의 훅 구조를 구비할 수 있고, 탄성 부재는 상기 고리모양의 훅 구조를 통해 2개의 축에 연결된다. 또는, 탄성 부재는 2개의 연결 로드에 삽입 설치될 수도 있다. 즉, 회전 암은 상기 2개의 연결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연결 로드는 중공 구조이며, 2개의 연결 로드 중 하나의 연결 로드의 외경은 다른 하나의 연결 로드의 내경과 매칭되고, 2개의 연결 로드 중 다른 하나의 연결 로드의 일단은 하나의 연결 로드의 외측에 씌워져 있고, 2개의 연결 로드의 타단에는 각각 연결 로드의 길이 방향에 수직되는 관통 홀을 형성하여, 각각 2개의 축 중의 하나의 축을 삽입할 수 있다. 이로써, 회전 암이 2개의 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는 과정에, 상기 2개의 연결 로드가 중첩되는 영역은 커지거나 작아지면서, 탄성 부재가 늘어나도록 하거나 탄성 부재를 압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충격 흡수 어샘블리는 탄성 부재 외에도,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제3 장착판(10423)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3 장착판(10423)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제1 고정판(10424-3), 및 제1 고정판에 평행되고, 모터의 출력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2개의 제2 고정판(1042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제2 고정판(10424-4)은 모두 제1 고정판(10424-3)에 연결된다. 회전축에 포함되는 다른 하나의 축은 상기 2개의 제2 고정판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에 포함되는 하나의 축은 장착판(10425-1)에 고정 연결된다. 예를 들어, 충격 흡수 어샘블리는 지지 부재들 더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축은 상기 지지 부재를 통해 장착판(10425-1)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판 및 제2 고정판을 구비한 충격 흡수 어샘블리를 설치함으로써, 충격 흡수 어샘블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2개의 축을 모두 제3 장착판에 고정 연결하는 형태에 비해, 탄성 부재가 차체의 흔들림에 따라 압축되거나 늘어나는 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축의 위치가 구동 휠의 영향을 받고, 다른 하나의 축의 위치가 자동차 프레임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충격 흡수 효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구동 장치에 방열 팬(fan)을 더 설치함으로써, 모터에 대해 방열하여, 차량의 구동 장치의 사용 수명 및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구동 장치(1040)는 구동 모터(10421), 동력 전달 어샘블리(10422), 제3 장착판(10423) 및 충격 흡수 어샘블리(10424) 외에도, 방열 팬(10428) 및 팬 고정대(104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열 팬(10428)과 구동 휠 장치는 구동 모터(10421)의 서로 다른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방열 팬은 구동 모터(10421)의 차 바퀴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팬(10428)은 구동 모터(10421)에 근접하게 설치함으로써,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팬 고정대(10429)는 방열 팬(10428)을 새시 브라켓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팬 고정대(10429)는 제3 장착판(10423)에 고정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팬 고정대(10429)는 구동 모터(10421)에 근접한 영역에 예를 들어 방열 판을 더 포함하여, 방열 효율 및 방열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팬(10428)의 개수는 실제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열 팬(10428)은 예를 들어 풍냉 방식 또는 액체 냉각 방식을 사용하여 방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실제 수요에 따라 방열 팬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휠 장치는 구동 휠, 구동 휠 허브,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 제2 회전축, 제2 고정축 및 제2 풀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 제2 회전축, 제2 고정축, 제2 풀 로드의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 제1 회전축, 제1 고정축, 제1 풀 로드의 구조와 비슷하다.
여기서,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는 구동 휠과 구동 휠 허브사이에서 대향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에 둘러싸인 공간에 구동 휠을 설치하고, 구동 휠은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의 외측에 씌어져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휠은 타이어, 림 및 스포크를 포함할 수 있고, 구동 휠 허브의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은 스포크에 고정 연결되어, 구동 휠을 연동시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회전축 및 제2 고정축은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를 고정하여,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를 일체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회전축은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의 제1 단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의 제1 단은 서로 근접한다. 제2 고정축은 2개의 드럼 브레이크 패드의 제2 단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드럼 브레이크 패드의 제2 단은 서로 근접한다.
여기서, 제2 풀 로드는 제2 회전축에 고정 연결되고, 제2 브레이킹 시스템 중의 제2 브레이킹 케이블에 고정 연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브레이킹 케이블이 팽팽하게 당겨질 경우, 브레이킹 케이블은 제2 풀 로드 및 제2 회전축을 연동시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축을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어,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에 작용력을 가하여,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의 2개의 제1 단사이의 간격을 증대시켜,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와 구동 휠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2 브레이킹 케이블가 풀려지게 되면, 제2 브레이킹 케이블을 통해 제2 풀 로드 및 제2 회전축을 연동시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의 2개의 제1 단사이의 간격을 감소시켜,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와 구동 휠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의 2개의 드럼 브레이크 패드사이에 설치된 부분은, 서로 다른 방향에서의 사이즈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2 회전축 및 제2 풀 로드를 장착할 경우, 풀림 상태의 제2 브레이킹 케이블을 제2 풀 로드에 고정 연결하고, 제2 회전축의 사이즈가 작은 방향에 수직되는 2개의 면을 각각 2개의 제1 단에 접촉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브레이킹 케이블이 팽팽하게 당겨질 경우, 제2 회전축이 연동되어 회전함으로써, 2개의 제1 단사이의 간격을 증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드럼 브레이크 패드, 회전축 및 풀 로드의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 구동 휠의 제동을 실현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브레이킹 기능을 가진 구동 시스템에 필요한 공간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테스트 타겟 차량의 소형화 및 편평화 설계에 유리하다.
이하, 도11을 참조하여, 차량 새시에 포함된 제1 브레이킹 시스템 및 제2 브레이킹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브레이킹 시스템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킹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브레이킹 시스템(1150)은 동력 어샘블리(1151), 동력 전달 어샘블리(1152),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1154) 및 브레이킹 어샘블리(11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력 어샘블리(1151)는 예를 들어 브레이킹 모터일 수 있다. 동력 전달 어샘블리(1152)는 동력 어샘블리(1151)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구체적으로는, 브레이킹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어샘블리(1152)는 예를 들어 브레이킹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을 평행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어샘블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력 전달 어샘블리(1152)는 크랭크 슬라이더 어샘블리, 기어랙 어샘블리, 크랭크 슬라이더 기구 등일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는 동력 전달 어샘블리(1152)에 연결되고, 상기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는 추진력의 작용을 받아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기계 부재일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1154)는 예를 들어 탄성 부재 등과 같은 기계 부재일 수 있고, 압력의 작용하에 압축되고, 압력이 해제된 후 자동적으로 원래의 길이로 회복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는 평행 이동 어샘블리의 구동하에 에너지를 축적한다.
여기서, 브레이킹 어샘블리(1155)는 예를 들어 브레이킹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브레이킹 어샘블리는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 및 구동 휠 장치/스티어링 휠 장치에 연결되고,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의 작용하에 팽팽하게 당겨지거나 풀려진다. 예를 들어, 브레이킹 케이블의 일단은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에 고정되고, 브레이킹 케이블의 타단은 앞에서 설명한 구동 휠 장치/스티어링 휠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브레이킹 케이블의 타단은 앞에서 설명한 구동 휠 장치/스티어링 휠 장치의 풀 로드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가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1154)를 압축할 경우, 브레이킹 케이블은 풀려진다.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1154)에 저장된 에너지가 방출되면, 평행 이동 어샘블리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브레이킹 케이블을 당겨, 풀 로드를 회전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앞에서 설명한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와 이들이 속하는 휠 장치의 타이어 내면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구동 휠/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저항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동력 어샘블리를 제어함으로써, 동력 전달 어샘블리가 평행 이동 어샘블리에 제공하는 추진력과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가 평행 이동 어샘블리에 가하는 작용력이 평형되도록 하여,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가 에너지를 저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차량의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 동력 어샘블리에 대한 전기 공급도 차단되므로, 동력 전달 어샘블리가 평행 이동 어샘블리에 제공하는 추진력이 사라지게 되고, 평행 이동 어샘블리는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가 가한 작용력에 의해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브레이킹 케이블는 팽팽하게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는 차량의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에너지를 방출하여, 브레이킹 어샘블리가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하고,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를 연동시켜 스티어링 휠/구동 휠에 작용력을 가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브레이킹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은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브레이킹을 실행하여,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차량이 관성에 의해 계속하여 주행함으로 인한 안전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의 차량의 브레이킹 시스템에 의하면,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주행의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자율주행 차량이 시장에 투입되는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력 전달 어샘블리는 예를 들어 스크류 너트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스크류의 일단은 동력 어샘블리의 출력축에 연결될 수 있다. 너트는 스크류과 결합한다. 스크류가 동력 어샘블리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할 때, 너트는 스크류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평행 이동 어샘블리는 스크류에 삽입 설치될 수 있고, 너트보다 스크류의 타단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너트가 스크류의 타단으로 이동할 때, 평행 이동 어샘블리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력 전달 어샘블리는 타이밍 풀리 및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구조를 사용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평행 이동 어샘블리 및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는 동력 어샘블리의 높이 방향에서의 일측에 설치됨으로써, 브레이킹 시스템의 전체 구조의 수평 방향에서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 새시 및 차량의 소형화 설계에 유리하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동력 전달 어샘블리(1152)는 2개의 타이밍 풀리, 컨베이어, 스크류, 너트 및 회전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타이밍 풀리 중의 하나의 타이밍 풀리는 동력 어샘블리(1151)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동력 어샘블리(1151)에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타이밍 풀리는 스크류의 일단에 고정 연결될 수 있고, 컨베이어는 2개의 타이밍 풀리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하나의 타이밍 풀리가 동력 어샘블리(1151)에 연동되어 회전할 때, 상기 하나의 타이밍 풀리는 컨베이어를 통해 다른 하나의 타이밍 풀리를 연동시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하나의 타이밍 풀리로 하여금 스크류를 연동시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크류상의 너트는 스크류에 대해 스크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류의 타단은 회전 블록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 및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1154)는 다른 하나의 타이밍 풀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차례로 스크류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너트는 난사 등 연결 부재를 통해 평행 이동 어샘블리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회전 블록은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1154)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너트가 스크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크류의 타단으로 이동하면,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를 밀어서 이동시키고,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1154)를 압축함으로써,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1154)로 하여금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전달 어샘블리(1152)는 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타이밍 풀리는 나사 등 연결 부재를 통해 고정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은 차량 새시 중의 새시 브라켓에 고정 연결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 및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1154)를 동력 어샘블리(1151)의 높이 방향의 일측에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력 전달 어샘블리(1152)는 예를 들어 2개의 인장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인장 풀리는 고정판에 고정되고, 높이 방향에서 2개의 타이밍 풀리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2개의 인장 풀리는 2개의 타이밍 풀리의 회전축의 연결선 방향에 대해 대칭되게 설치되고, 모두 컨베이어에 접촉하여 컨베이어를 누름으로써, 컨베이어가 2개의 인장 풀리사이에 접촉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2개의 인장 풀리를 설치함으로써, 컨베이어로 하여금 인장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동작 시간이 너무 길어 컨베이어가 느슨해져 브레이킹 효과가 안정적이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에 전자석을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전자석은 전기가 공급될 경우 자기력을 발생시키고, 흡인력을 통해 회전 블록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스크류상에서의 너트의 위치를 제한한다. 상기 형태에 의하면, 동력 어샘블리가 동력을 제공할 필요 없이,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가 에너지를 저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전기 공급이 차단되면, 전자석의 자기력은 사라지므로,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는 에너지를 방출하여 평행 이동 어샘블리 및 너트를 밀어서 이동시킴으로써, 회전 블록이 회전하도록 하고, 평행 이동 어샘블리에 연결된 브레이킹 어샘블리가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한다. 여기서, 회전 블록은 예를 들어 페라이트 자성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전자석이 자기력을 발생하였을 때, 전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회전을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스크류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의 위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한하여, 에너지 저장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에는 제1 고정 베이스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고정 베이스에 고정 연결되고, 탄성 부재의 타단은 평행 이동 어샘블리에 고정 연결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1154)는 제3 탄성 부재, 제1 고정 베이스 및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탄성 부재는 스크류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3 탄성 부재의 일단은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3 탄성 부재의 타단은 제1 고정 베이스에 고정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고정 베이스에는 관통 홀이 설치될 수 있고, 스크류는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한 후 회전 블록에 고정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기판을 더 설치할 수 있고, 상기 기판은 동력 어샘블리(1151)와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1154)사이에 설치되고, 차량 새시의 새시 브라켓에 고정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제1 고정 베이스는 상기 기판에 고정됨으로써, 전체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자석은 회전 블록의 제1 고정 베이스로부터 떨어진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회전 블록은 전자석과 제1 고정 베이스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전자석이 제공하는 흡인력과 제3 탄성 부재가 압축될 때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에 제공하는 탄성력의 방향이 반대되도록 한다. 상기 전자석은 예를 들어 임의의 형태로 앞에서 설명한 기판에 고정 연결되거나 또는 차량 새시의 새시 브라켓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은 회전 블록과 함께 동력 어샘블리의 동일측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전자석은 전기가 공급되었을 때 회전 블록을 흡인하고, 전기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회전 블록을 놓아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는 전자석을 위해 이동축을 배치하고, 전자석은 상기 이동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자석에 전기가 공급될때, 전자석은 이동축을 따라 회전축에 접근하도록 이동하여, 회전축을 흡착할 수 있다. 즉, 전자석은 전기가 공급될 때 회전 블록을 흡착할 수 있고, 전기 공급이 차단될 때 회전 블록을 놓아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에는 제2 고정 베이스 및 제4 탄성 부재를 더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제4 탄성 부재는 전자석에 회전 블록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작용력을 제공함으로써, 브레이킹이 필요할 때 전자석과 회전 블록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서 회전 블록의 회전에 저항력을 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1154)는 제3 탄성 부재, 제1 고정 베이스 및 전자석 외에도, 예를 들어 제2 고정 베이스, 제4 가이드 로드 및 제4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정 베이스는 전자석의 회전 블록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4 가이드 로드의 일단은 상기 제2 고정 베이스를 통과하여 전자석에 고정 연결되고, 제4 탄성 부재는 상기 제4 가이드 로드에 삽입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4 탄성 부재의 일단은 제2 고정 베이스에 고정 연결되고, 제4 탄성 부재의 타단은 제4 가이드 로드의 전자석으로부터 떨어진 타단에 접촉 연결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고정 베이스에는 관통 홀이 설치 될 수 있고, 제4 가이드 로드는 상기 관통 홀을 경유하여 상기 제2 고정 베이스를 통과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4 탄성 부재는 전자석에 전기가 공급될 때 압축 상태에 처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기 공급이 차단될 경우, 상기 제4 탄성 부재는 제4 가이드 로드의 타단에 작용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전자석이 제2 고정 베이스에 밀착할 때까지, 상기 제4 가이드 로드가 전자석을 연동시켜 제2 고정 베이스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석과 제2 고정 베이스가 밀착할 때, 제2 고정 베이스와 제4 가이드 로드의 타단사이의 거리는 제4 탄성 부재의 자연상태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전기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전자석과 제2 고정 베이스사이의 안정적인 밀착을 위해, 전자석이 제2 고정 베이스에 밀착하였을 때에도, 제2 고정 베이스와 제4 가이드 로드의 타단사이의 거리는 여전히 제4 탄성 부재의 자연 상태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석이 제4 가이드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1154)에 2개의 측판을 배치할 수 있고, 상기 2개의 측판은 제1 고정 베이스에 고정 연결된다. 제2 고정 베이스는 상기 2개의 측판에 고정 연결됨으로써 설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측판은 제1 고정 베이스 및 제2 고정 베이스에 수직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전자석은 상기 2개의 측판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4 가이드 로드 및 제4 탄성 부재의 개수는 2개 또는 복수 개일 수 있고, 이로써 전자석에 제공하는 회전 블록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작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력 어샘블리(1151)는 브레이킹 모터 외에도, 예를 들어 감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속기의 입력축은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감속기의 출력축은 동력 전달 어샘블리(1152)에 연결된다. 여기서, 동력 전달 어샘블리(1152)는 예를 들어 앞에서 설명한 2개의 타이밍 풀리 및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감속기의 출력축은 2개의 타이밍 풀리 중 설치 위치가 비교적 낮은 타이밍 풀리에 연결될 수 있다. 동력 어샘블리(1151)에 감속기를 설치함으로써, 모터와 타이밍 풀리사이에서 회전 속도를 매칭시키고 토크를 전달하도록 작용할 수 있고, 이로써 어느 정도 동력 전달 어샘블리의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레이킹 어샘블리(1155)는 예를 들어 브레이킹 케이블 수용 부재(11551), 브레이킹 케이블 고정 부재(11552) 및 브레이킹 케이블(115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레이킹 케이블 수용 부재(11551)는 차량 새시의 새시 브라켓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브레이킹 어샘블리가 풀려질 경우, 상기 브레이킹 케이블 수용 부재(11551)에는 일부 브레이킹 케이블이 수용될 수 있다. 브레이킹 케이블 고정 부재(11552)는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에 고정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브레이킹 케이블(11553)은 브레이킹 케이블 수용 부재(11551)로부터 인출된 후 상기 브레이킹 케이블 고정 부재(11552)를 통과하여, 브레이킹 케이블 고정 부재(11552)의 위치로부터 휠 장치까지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브레이킹 케이블(11553)의 브레이킹 케이블 수용 부재(11551)로부터 떨어진 일단은 앞에서 설명한 제1 풀 로드/제2 풀 로드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브레이킹 케이블 고정 부재(11552)는 브레이킹 케이블(11553)이 브레이킹 케이블 고정 부재(11552)에 고정된 위치를 평행 이동 어샘블리를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브레이킹 케이블이 당겨지거나 풀리도록 할 수 있고, 이로써, 브레이킹 케이블은 회전축을 당겨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브레이킹 시스템(1150)은 동력 어샘블리(1151), 동력 전달 어샘블리(1152),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1154) 및 브레이킹 어샘블리(1155) 외에도, 거리 센서(1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브레이킹 어샘블리(1155)가 완전히 풀려졌는지 검사할 수 있다. 완전히 풀려졌을 경우, 전자석에 전기를 공급하여, 차량이 브레이킹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시동에 유리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거리 센서(1156)는 예를 들어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1154)에 포함된 제1 고정 베이스에 설치되어, 제1 고정 베이스와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차량 시동시, 동력 어샘블리(1151) 중의 브레이킹 모터가 동작하기 시작하여, 동력 전달 어샘블리(1152) 중의 너트로 하여금 스크류를 따라 타이밍 풀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를 밀어 제1 고정 베이스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와 제1 고정 베이스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보다 작으면, 거리 센서(1156)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차량의 중앙 제어기는 예를 들어 제어 회로를 통해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1154) 중의 전자석에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전자석으로 하여금 동력 전달 어샘블리(1152) 중의 회전 블록을 흡착하도록 하여,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1154) 중의 제3 탄성 부재는 압축된 상태로 되고, 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킹 시스템(1150)은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에 거리 측정 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거리 센서(1156)가 상기 평행 이동 어샘블리(1153)와 제1 고정 베이스사이의 거리를 쉽게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브레이킹 시스템에 의하면, 구동 휠 및/또는 스티어링 휠에 대한 브레이킹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브레이킹 시스템에 비해, 브레이킹 시스템의 전체 구조의 사이즈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의 소형화 설계에 유리하다.
이하, 도12를 참조하여 차량 새시에 포함되는 전기 시스템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기 시스템(1230)은 전원 모듈(1231), 제1 모터 구동 모듈(1232), 제2 모터 구동 모듈(1233), 통신 모듈(1234) 및 제어 모듈(123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 모듈(1231)은 예를 들어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직렬연결 및/또는 병렬연결하여 구성된 배터리 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1231)은 전선 연결용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고, 전선을 통해 전기 시스템 중 전원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원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1231)은 충전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충전 포스트의 충전 건을 상기 충전 포트에 삽입하여 상기 전원 모듈(1231)을 충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 모듈 중의 배터리 모듈은 예를 들어 리튬 배터리, 납 축전지 또는 니켈 수소 전지 등 복수의 축전지를 직렬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새시 중의 서로 다른 전자 소자의 정격 전압에 차이가 있는 점을 감안하면, 각 전자 소자에 안정적인 전압을 쉽게 제공하고 각 전자 소자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 전원 모듈은 예를 들어 전압 변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모듈 중의 전자 소자의 정격 전압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크고, 통신 모듈 및 제어 모듈 중의 각 전자 소자의 정격 전압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작다.
여기서, 제1 모터 구동 모듈(1232)은 예를 들어 전원 모듈(1231)의 제1 방향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시스템을 차량 새시의 새시 브라켓에 장착할 때, 상기 제1 방향은 예를 들어 차량 새시의 폭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모터 구동 모듈(1232)은 차량 새시 중 구동 시스템에 포함되는 동력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모터 구동 모듈(1233)은 전원 모듈(1231)의 제1 방향의 타측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모터 구동 모듈(1233)은 제1 모터 구동 모듈(1233)의 제2 방향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 시스템(1230)이 차량 새시 중의 새시 브라켓에 장착되었을 경우, 상기 제2 모터 구동 모듈(1233)은 제1 모터 구동 모듈(1232)보다 차량 새시 중의 스티어링 시스템에 더 근접하게 된다. 상기 제2 모터 구동 모듈(1233)는 차량 새시 중의 스티어링 모터 및 브레이킹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모터 구동 모듈(1233)은 스티어링 모터 드라이버 및 브레이킹 모터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모터 드라이버 및 브레이킹 모터 드라이버를 하나의 모듈에 집적화한 것은, 스티어링 모터 드라이버 및 브레이킹 모터 드라이버가 동력 모터 드라이버에 비해, 일반적으로 부피가 작기 때문이다. 하나의 모듈에 집적화하여 설치하면, 차량 새시 중의 장착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는데 유리하다. 예를 들어, 차량 새시에 각각 구동 휠 및 스티어링 휠을 제어하는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이 존재하면, 상기 제2 모터 구동 모듈(1233) 중의 모터 드라이버는 하나의 스티어링 모터 드라이버와 2개의 브레이킹 모터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수직된다.
여기서, 통신 모듈(1234)은 제1 모터 구동 모듈(1232)의 제2 방향에서의 일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통신 모듈(1234)과 제2 모터 구동 모듈(1233)은 제1 모터 구동 모듈(1232)의 제2 방향에서의 동일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1234)은 전원 모듈(1231)의 제1 방향에서의 일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통신 모듈(1234)과 제1 모터 구동 모듈(1232)은 전원 모듈(1231)의 제1 방향에서의 동일측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모듈(1234)은 원격 조종 센서 및 인터넷 장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모듈(1235)은 제2 모터 구동 모듈(1233)의 제2 방향에서 전원 모듈(1231)에 근접한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235)은 예를 들어 중앙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235)은 예를 들어 CAN 네트워크를 통해 전기 시스템 중의 다른 모듈과 통신함으로써, 전기 시스템 중 제어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235) 중의 중앙 제어기에는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을 집적하여, 전원 모듈(1231)의 배터리 팩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시스템 중의 각 모듈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전기 시스템 중 전원 모듈을 제외한 다른 모듈을 전원 모듈에 인접하도록 설치할 수 있어, 전기 시스템 중 각 전자 소자의 집중화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차량 새시의 소형화 설계에 유리하다. 또한, 각 전자 소자는 높이 방향에서 중첩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량 새시의 편평화 설계에 유리하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도12에서, 통신 모듈(1234)과 전원 모듈(1231)사이의 공간에는 예를 들어 각종 배선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선 및 통신 케이블의 배선을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통신 모듈(1234)과 전원 모듈(1231)사이의 공간에는, 네이비게이션 모듈 또는 트랜시버 모듈 등 차량을 위해 보조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모듈을 설치할 수도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기 시스템(1230)에서, 전원 모듈(1231)은 배터리 팩(12311), 전압 변환기(12312) 및 릴레이(123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팩(12311)은 제1 방향에서 제1 모터 구동 모듈(1232)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전압 변환기(12312) 및 릴레이(12313)는 제1 방향에서 차례로 통신 모듈(1234)과 제어 모듈(1235)사이에 설치하되, 배터리 팩(12311)이 제2 방향에서 통신 모듈(1234)에 근접하는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통신 모듈(1234)과 제어 모듈(1235)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 전기 시스템의 집중화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압 변환기(12312)와 릴레이(12313)는 배터리 팩(12311)에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변환기(12312)의 입력단의 배터리 팩(1231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릴레이(12313)의 입력단도 배터리 팩(12311)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전압 변환기(12312)의 출력단은 제어 모듈(12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터리 팩(12311)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전압 변환기(12312)를 거쳐 제어 모듈(1235)에 적합하는 전압으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12313)의 출력단은 제1 모터 구동 모듈(1232) 및 제2 모터 구동 모듈(12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릴레이에서 실행되는 미세한 제어량을 통해, 구동 모듈 중의 하이 파워 회로에 대한 효과적인 제어를 달성할 수 있고, 구동 모듈 중의 회로의 파워가 너무 커서 회로가 훼손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모듈(1231)은 예를 들어 필터(1231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필터(12314)는 전압 변환기(12312)와 통신 모듈(1234)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압 변환기(12312)의 입력단은 상기 필터(12314)를 통해 배터리 팩(123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압 변환기(12312)에 안정적인 전압을 제공할 수 있어, 전압 변환기(12312)의 성능 및 사용 수명에 대한 전자기 간섭 등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모듈(1231)은 예를 들어 보호 장치(123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장치(12315)는 배터리 팩(12311)과 릴레이(12313)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12313)의 출력단은 상기 보호 장치(12315)를 거쳐 제1 모터 구동 모듈(1232), 제2 모터 구동 모듈(12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과전류 보호 작용을 실현하여, 전기 시스템의 사용 안전성 및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 시스템(1230)은 예를 들어 트랜시버 모듈(1236)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트랜시버 모듈(1236)은 통신 모듈(1234)과 전압 변환기(12312)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트랜시버 모듈(1236)은 예를 들어 전압 변환기(12312)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압 변환기(12312)는 트랜시버 모듈(1236)에 적합한 전압을 제공하여, 트랜시버 모듈(1236)의 동작을 위해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 시스템(1230)은 예를 들어 네이비게이션 모듈(1237)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네이비게이션 모듈(1237)은 예를 들어 차량 탑재 조합 네이비게이션시스템(Car Integrated Navigation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이비게이션 모듈(1237)은 예를 들어 통신 모듈(1234)과 전압 변환기(12312)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네이비게이션 모듈(1237)은 전압 변환기(12312)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압 변환기(12312)는 네이비게이션 모듈(1237)에 적합한 전압을 제공하여, 네이비게이션 모듈(1237)의 동작을 위해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상기 전기 시스템(1230)이 트랜시버 모듈(1236) 뿐만 아니라 네이비게이션 모듈(1237)도 포함할 경우, 상기 트랜시버 모듈(1236) 및 네이비게이션 모듈(1237)은 예를 들어 임의의 형태로 통신 모듈(1234)과 전압 변환기(12312)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트랜시버 모듈(1236) 및/또는 네이비게이션 모듈(1237)을 통신 모듈과 전압 변환기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트랜시버 모듈(1236) 및/또는 네이비게이션 모듈(1237)에 전력을 쉽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트랜시버 모듈(1236) 및/또는 네이비게이션 모듈(1237)은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와 쉽게 통신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선 길이를 감소시켜, 공간을 보다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전기 시스템 및 차량 새시의 소형화 설계에 유리하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배터리 팩(12311)과 전압 변환기(12312)사이에는 예를 들어 전류 단자 또는 전압 단자 등 전자 소자를 더 설치하여, 전기 공급 파라미터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 시스템 중의 전원 모듈 및 제어 모듈은 예를 들어 실제 수요에 따라 각종 연결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모듈은 전원 연결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차량 중의 각 전기 장비와 상기 전원 모듈의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은 전원 연결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방열 장치 등의 중앙 제어기의 주변 전기 장비를 쉽게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은 입력/출력 인터페이스(I/O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거리 센서, 이미지 센서 등을 연결함으로써, 데이터의 입력/출력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은 버스 규격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CAN 버스 규격 인터페이스를 구비함으로써, 쉽게 드라이버 도는 인코더 등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모터 구동 모듈은 좌측 서브 모터 드라이버 및 우측 서브 모터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터 구동 모듈은 스티어링 모터 드라이버, 프런트 휠 브레이킹 모터 드라이버(즉, 제1 브레이킹 시스템 중의 브레이킹 모터를 구동하는 드라이버), 라이터 휠 브레이킹 모터 드라이버(즉, 제2 브레이킹 시스템 중의 브레이킹 모터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인터넷 장비 및 원격 조종 센서를 포함한다. 제어 모듈은 중앙 제어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터넷 장비 및 원격 조종 센서는 모두 전압 변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 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전압으로 동작한다. 상기 인터넷 장비는 예를 들어 차량 중의 WIFI 안테나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인터넷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원격 조종 센서는 차량 중의 원격 조종 안테나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원격 조종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시버 모듈(1236) 및 네이비게이션 모듈(1237)은 모두 전압 변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압 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전압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네이비게이션 모듈(1237)은 앞에서 설명한 안테나 어샘블리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위성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차량의 위치 결정 및 네이비게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넷 장비, 원격 조종 센서, 네이비게이션 모듈(1237) 및 트랜시버 모듈(1236)은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앙 제어기에 연결되어, 중앙 제어기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할 수 있어, 차량에 대해 쉽게 통일적으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모듈에는 제1 버스 규격 인터페이스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스 규격 인터페이스을 통해, 제어 모듈은 제1 모터 구동 모듈(1232) 및 제2 모터 구동 모듈(1233)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2개의 모터 구동 모듈 중의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제어기는 CAN 버스 규격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CAN 버스 규격 인터페이스는 CAN 네트워크를 통해 좌측 서브 모터 드라이버, 우측 서브 모터 드라이버, 스티어링 모터 드라이버, 프런트 휠 브레이킹 모터 드라이버, 라이터 휠 브레이킹 모터 드라이버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들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서브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함으로써, 구동 시스템 중의 차량의 좌측 구동 휠을 구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좌측 서브 모터(즉, 앞에서 설명한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우측 서브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함으로써, 구동 시스템 중의 차량의 우측 구동 휠을 구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우측 서브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이로써 차량의 주행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함으로써, 스티어링 시스템 중의 스티어링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이로써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런트 휠 브레이킹 모터 드라이버/리어 휠 브레이킹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함으로써, 제1 브레이킹 시스템/제2 브레이킹 시스템 중의 브레이킹 모터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할 수 있고, 이로써 차량에 대해 브레이킹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티어링 시스템은 로터리 인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로터리 인코더는 스티어링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다. 상기 로터리 인코더를 통해,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어 모듈은 예를 들어 제2 버스 규격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로터리 인코더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제어기에 다른 하나의 CAN 버스 규격 인터페이스를 설치하고, 로터리 인코더는 CAN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다른 하나의 CAN 버스 규격 인터페이스에 연결됨으로써, 중앙 제어기로 하여금 상기 로터리 인코더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모듈의 중앙 제어기에는 예를 들어 BMS가 집적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앞에서 설명한 다른 하나의 버스 규격 인터페이스 또는 별도로 설치된 버스 규격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원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전원 모듈 중의 전류 단자 등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전원 모듈 중의 배터리 팩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은 차량 새시 외에도, 신호 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운전자에게 지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시스템은 전기 공급 제어 지시등, 시스템 전기 공급 지시등 및 버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신호 시스템 중의 각 전자 소자는 중앙 제어기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은 상기 신호 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한 제1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제어기는 제1 I/O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전기 공급 제어 지시등, 시스템 전기 공급 지시등 및 버즐 등은 상기 제1 I/O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중앙 제어기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회로의 제어하에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 시스템은 이동 통신장비를 연결하기 위한 예비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차량의 지능화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팩(12311)은 차량의 급 브레이킹 버튼의 회로, 키 스위치의 회로 및 필터를 직렬연결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의하면, 급 브레이킹 버튼의 회로가 온되고, 키 스위치의 회로가 온 되었을 경우에만, 필터 및 전압 변환기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브레이킹 시스템/제2 브레이킹 시스템은 예를 들어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자석은 제어 모듈에 연결되고, 전압 변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은 제2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석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제어기는 제2 I/O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전자석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전자석과 전압 변환기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함으로써, 전자석의 전기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석에 전기가 공급될 경우, 예를 들어 자력을 생성하여 페라이트 자성체를 흡인함으로써, 제1 브레이킹 케이블/제2 브레이킹 케이블이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하여, 차량의 브레이킹을 제어한다. 상기 전자석의 전기 공급 여부는 예를 들어 중앙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거나, 또는 기계적 동력 전달을 통해 온/오프가 가능한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를 통해 전자석의 전기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모듈은 제3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새시 중의 센서에 연결됨으로써, 센서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새시 중의 센서는 예를 들어 거리 센서,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 시스템은 방열 장치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 방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기 방열 장치는 예를 들어 제어 모듈 근처에 설치되어, 중앙 제어기 등에 대해 방열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전원 모듈은 제1 전원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기 방열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방열 장치는 예를 들어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앙 제어기에 연결되어, 중앙 제어기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새시의 온도가 높을 경우, 제어기 방열 장치의 회전 속도를 높여,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 시스템은 모터 방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 방열 장치는 예를 들어 좌측/우측 서브 모터(즉, 구동 모터), 스티어링 모터 및 프런트 휠/리어 휠 브레이킹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근처에 설치되어, 모터 등에 대해 방열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전원 모듈은 제2 전원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모터 방열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 방열 장치는 예를 들어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앙 제어기에 연결되어, 중앙 제어기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 속도가 높을 경우, 모터 방열 장치의 회전 속도를 높여,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도13을 참조하여 전기 시스템 중의 전원 모듈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모듈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모듈의 배터리 팩(13311)은 배터리 수용 장치(13311-1) 및 복수의 배터리 모듈(133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모듈(13311-2)은 예를 들어 복수의 배터리 코어를 병렬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코어는 예를 들어 고 에너지 밀도 배터리 코어일 수 있고, 이로써, 배터리 모듈(13311-2)이 저장가능한 전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배터리 모듈(13311-2)의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코어는 리튬 이온 또는 리튬 폴리머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수용 장치(13311-1)는 수용 캐비티, 복수의 제2 보강 리브 및 복수의 가이드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 캐비티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캐비티는 저면 및 4개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측벽은 순차적으로 연결하되, 4개의 측벽은 모두 저면에 고정 연결됨으로써, 수용 캐비티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복수의 제2 보강 리브 중의 각 제2 보강 리브는 수용 캐비티의 2개의 대향하는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강 리브는 4개의 측벽 중 길이가 긴 2개의 대향하는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2 보강 리브의 연장방향은 제1 방향이고, 상기 제1 방향은 개구부의 폭 방향일 수 있다. 또는, 제2 보강 리브는 4개의 측벽 중 길이가 짧은 2개의 대향하는 측벽에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제2 보강 리브의 연장방향은 제2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개구부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서로 수직된다. 또는, 일부 제2 보강 리브의 연장 방향이 제1 방향이고, 일부 제2 보강 리브의 연장 방향이 제2 방향일 수도 있다. 제1 방향의 제2 보강 리브 및 제2 방향의 제2 보강 리브는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교차되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제2 보강 리브는 주기적으로 배열됨으로써, 배터리 수용 장치(13311-1)의 서로 다른 영역이 견딜 수 있는 압력이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보강 리브의 형상은 직방체 또는 제형체 등일 수 있다. 복수의 제2 보강 리브는 수용 캐비티에 일체적으로 성형될 수도 있고, 수용 캐비티와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복수의 가이드 로드는 적어도 일부 제2 보강 리브로부터 수용 캐비티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저면까지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로드는 상기 저면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일부 제2 보강 리브 중의 각 제2 보강 리브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 로드가 연장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제2 보강 리브 중의 각 제2 보강 리브에 하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 로드를 연장 설치할 수도 있다.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 제2 보강 리브에 연장 설치된 가이드 로드는 적어도 2개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로드는 제2 보강 리브상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가이드 로드는 예를 들어 기둥 모양 구조일 수도 있고, 직방체 구조 등 일수도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로드는 수용 캐비티의 중심 점에 대해 대칭되게 설치되어, 배터리 수용 장치에 가해지는 압력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로드는 복수의 제2 보강 리브와 일체성형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보강 리브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2 보강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수용 캐비티와 함께 복수의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은 배터리 모듈을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 캐비티의 깊이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배터리 모듈이 복수의 제2 보강 리브의 설치위치보다 낮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터리 수용 장치에 배터리 모듈이 수용되어 있고, 또한, 압력이 가해졌을 경우, 상기 압력은 직접 복수의 제2 보강 리브에 작용하게 되고, 복수의 가이드 로드를 통해 배터리 수용 장치(13311-1)의 저면으로 전달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터리 수용 장치(13311-1)의 압력을 견디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터리 모듈이 압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압력으로 인해 배터리 모듈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배터리 모듈의 전기 공급 안정성 및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수용 장치(13311-1)는 수용 캐비티, 복수의 제2 보강 리브 및 복수의 가이드 로드 외에도,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덮개의 사이즈는 수용 캐비티의 개구부의 사이즈와 매칭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예를 들어 고정 부재를 통해 수용 캐비티에 고정 연결되어, 수용 캐비티의 개구부를 차폐함으로써, 수용 캐비티와 복수의 제2 보강 리브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배터리 모듈을 비바람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배터리 모듈의 사용 수명을 늘리고 전기공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덮개의 사이즈는 수용 캐비티의 개구부의 사이즈보다 약간 크도록 하여, 개구부를 완전히 차폐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용 캐비티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측벽은 개구부에 근접한 일측에 고정 홈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면에 상기 고정 홈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덮개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 홈에 매칭되는 범프가 설치될 수 있다. 덮개와 수용 캐비티를 연결할 때에는, 우선 덮개의 범프를 수용 캐비티의 고정 홈내에 삽입 설치한 후,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덮개와 수용 캐비티를 고정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홈 및 범프를 설치함으로써, 덮개와 수용 캐비티의 연결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수용 장치(13311-1)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실링 부재는 측벽에 설치된 고정 홈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덮개와 수용 캐비티를 고정 연결하면, 외부 이물질(예를 들어, 수분 또는 먼지 등)이 수용 캐비티와 덮개가 접촉하는 접합면으로부터 수용 공간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수용 장치(13311-1)는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구비하게 되어, 배터리 모듈의 전기공급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 부재는 고무 링일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수용 장치(13311-1)에 실링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배터리 수용 장치(13311-1)가 배터리 모듈을 수용한 후, 배터리 모듈은 IP67 레벨의 보호 안전 등급에 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용 캐비티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을 통해 배터리 모듈과 외장 장비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선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선은 예를 들어 전선 또는 통신 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관통 홀은 복수 개일 수 있고, 복수 개의 관통 홀은 측벽에 주기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을 설치함으로써, 편리하게 배선을 배치하고 정열할 수 있으며, 수용 공간의 밀폐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수용 장치(13311-1)는 짝수개의 손잡이를 더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짝수개의 손잡이는 대칭되게 수용 캐비티의 2개의 대향하는 측벽 외측에 설치됨으로써, 배터리 수용 장치(13311-1)를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는 외부로 연장된 변두리를 가진 원호형 부재일 수있고, 상기 손잡이는 외부로 연장된 변두리를 통해 수용 캐비티의 측벽에 고정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는 손잡이 고정 부재 및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는 손잡이 고정 부재를 통해 수용 캐비티의 측벽에 고정 연결된다, 고리는 고정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리를 당겨 배터리 수용 장치를 들어 올릴 수 있다. 배터리 수용 장치를 들어 올릴 필요가 없을 경우, 상기 고리는 수용 캐비티의 측벽에 밀착하여, 배터리 수용 장치(13311-1)의 전체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의 개수가 2개일 경우, 상기 손잡이는 측벽의 중심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의 개수가 4개 또는 이보다 많을 경우, 상기 손잡이는 측벽에 주기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의 설치 위치를 제한함으로써, 배터리 수용 장치를 들어 올릴 때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손잡이와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은 2개의 대향되지 않는 측벽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동일한 측벽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수용 장치(13311-1)는 고정 및 위치 결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및 위치 결정 부재는 수용 캐비티의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 및 위치 결정 부재를 차량의 새시 브라켓 등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배터리 모듈을 차량 등 전동 장비에 집적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는 예를 들어 나사, 볼트 등일 수 있다.
또한,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본 개시는 복수의 보강 리브의 설치 위치, 연장 방향 및 사이즈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보강 리브는 수용 캐비티의 개구부의 폭 방향을 따라 평행되게 설치될 수 있다. 수용 캐비티의 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하는 방안에 비해, 폭 방향을 따라 보강 리브를 설치하는 방안은, 배터리 수용 장치의 압력을 견디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의 폭 방향을 따라 평행되게 설치된 복수의 보강 리브는 주기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개구부의 중심 위치 부근에서 긴밀하게 배열되고, 개구부의 변두리 위치에서는 드물게 배열될 수 있는 등,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보강 리브 중 개구부의 중심 위치에 근접한 보강 리브의 폭은 예를 들어 개구부의 중심 위치로부터 떨어져 있는 보강 리브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터리 수용 장치의 중심 영역으로 하여금 보다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가 제공하는 차량 새시에 기초하여, 본 개시는 차량도 제공한다. 이하, 도14 내지 도16을 참조하여 상기 차량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140)은 하우징(1410) 및 차량 새시(1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410)은 차량 새시(1420)의 상측을 커버한다.
여기서, 하우징(1410)은 예를 들어 차량의 모델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1410)은 벨크로 또는 버클 등 연결 부재를 통해 차량 새시(142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410)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포말 등의 탄성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 새시(1420)이 테스트 타겟 차량의 차량 새시일 경우, 상기 차량 새시(1420) 위에 하우징(1410)을 씌움으로써, 상기 테스트 타겟 차량을 사용하여 자율주행 차량을 테스트하는 과정에 자율주행 차량이 제어 효과가 좋지 않아 테스트 타겟 차량과 충돌하는 경우, 자율주행 차량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테스트 코스트도 절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140)은 하우징(1410) 및 차량 새시(1420) 외에도, 보조 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휠 장치는 착탈가능하게 차량 새시(14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40)을 이전시켜야 할 경우, 또는 고장으로 인해 견인하여 이전하여야 할 경우, 하우징(1410) 을 차량 새시(1420)로부터 분해하고, 보조 휠 장치를 차량 새시(1420)에 장착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조 휠 장치를 통해, 쉽게 차량 새시(1420)를 끌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차량(140)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을 경우, 쉽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보조 휠 장치를 차량 새시(1420)로부터 분해한다.
예를 들어, 차량 새시를 테스트 타겟 차량으로 사용할 경우, 차량 새시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면, 보조 휠 장치를 차량 새시(1420)로부터 분해함으로써, 차량 새시(1420)의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율주행 차량에 대해 자율주행 안전 테스트를 실행할 경우, 자율주행 차량 새시 높이에 대한 요구를 낮출 수 있어, 테스트 타겟 차량의 응용장면을 넓히는데 유리하고, 테스트 조건에 대한 요구도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조 휠 장치는 예를 들어 적어도 2개일 수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보조 휠 장치는 차량 새시에 연결될 때, 균일하게 또는 대칭되게 차량 새시(1420)의 변두리에 근접한 영역에 분포됨으로써, 차량 새시가 견인 작용하에 이동할 때의 안정성 및 평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휠 장치는 4개일 수 있고, 상기 4개의 보조 휠 장치는 대칭되게 차량 새시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새시의 길이 방향의 제1 단에 2개의 보조 휠 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2개의 보조 휠 장치가 차량 새시(1420)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 새시(1420)의 길이 방향의 타단에 2개의 보조 휠 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2개의 보조 휠 장치가 차량 새시(1420)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새시에는 예를 들어 착탈가능하게 보조 휠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 블록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를 통해 제2 고정 블록을 보조 휠 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고, 보조 휠 장치와 제2 고정 블록의 연결을 통해, 보조 휠 장치와 차량 새시를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고정 블록에는 나사 구멍을 설치할 수 있고, 보조 휠 장치는 보조 휠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에도 나사 구멍이 설치된다. 제2 고정 블록과 보조 휠 장치는 볼트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새시(1420)에는 고리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고리는 차량 새시의 테두리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리는 볼트 등 외장 고정 부재를 통해 새시 브라켓의 길이 방향의 일단의 테두리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새시를 끌어당겨야 할 경우, 훅 부재에 고리를 건 후, 훅 부재를 끌어당김으로써 고리에 견인력을 가할 수 있고, 상기 견인력은 차량 새시를 통해 차량 새시에 연결된 보조 휠 장치에 전달됨으로써, 보조 휠 장치 중의 보조 휠을 회전시키고, 차량 새시를 연동시켜 견인력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블록 외에도, 차량(140)은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크류 체결 부재는 차량 새시에 고정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류 체결 부재는 홈을 가진 걸림 블록 및 플랜지 타입의 스크류 너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랜지 타입의 스크류 너트는 걸림 블록의 홈에 걸림으로써, 걸림 블록에 고정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류 체결 부재는 4개일 수 있고, 4개의 스크류 체결 부재는 차량 새시(1420)의 중심 점에 대해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 체결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스크류로 하여금 상기 스크류 체결 부재에서 회전하여, 지면에 접근하거나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스크류를 회전시켜 스크류로 하여금 지면에 접촉하도록 한 후, 계속하여 스크류를 회전시켜, 차량 새시가 지면으로부터 들리도록 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보조 휠 장치를 쉽게 장착하거나 분해할 수 있다.
이하, 도15를 참조하여 보조 휠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휠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조 휠 장치(1530)는 휠 어샘블리(1531) 및 쾌속 분해 어샘블리(1532)를 포함할 수 있다. 휠 어샘블리(1531)는 쾌속 분해 어샘블리(1532)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쾌속 분해 어샘블리(1532)는 고정 베이스(15321) 및 클램핑 부재(1532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 베이스(15321)는 클램핑 부재(15322)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휠 어샘블리(1531)는 고정 베이스(15321)를 통해 휠 어샘블리(1531)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클램핑 부재(15322)는 예를 들어 수직 누름형 클램핑 부재, 수평 누름형 클램핑 부재 등일 수 있다. 상기 클램핑 부재는 평면 4링크 기구 중 더블 로커 메커니즘의 원리에 기초하여 설계한 것이다. 상기 클램핑 부재(15322)는 축 고정 베이스, 핸들, 회전 암 및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축 고정 베이스는 쾌속 분해 어샘블리(1532)의 고정 베이스(15321)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쾌속 분해 어샘블리(1532)의 고정 베이스(15321)에 고정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축 고정 베이스는 2개의 고정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회전축은 2개일 수 있으며, 그중 하나의 회전축은 상기 2개의 고정판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 암의 일단은 상기 하나의 회전축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하나의 회전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암의 타단에는 누름 부재(15323)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암의 양단사이의 외벽에는 연결 부재가 걸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회전 암을 핸들에 힌지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회전축 중 다른 하나의 회전축은 상기 2개의 고정판을 통과하고, 상기 2개의 고정판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른 하나의 회전축의 설치 위치는 회전 암의 외벽에 걸림 연결된 연결 부재의 걸림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핸들은 상기 다른 하나의 회전축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핸들은 외력의 작용하에 상기 다른 하나의 회전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고, 연결 부재를 통해 회전 암을 구동시켜 상기 하나의 회전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암의 회전을 통해, 누름 부재를 구동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누름 부재로 하여금 앞에서 설명한 고정 블록에 접근하고, 상기 고정 블록의 홈을 누르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회전 암의 회전을 통해, 누름 부재로 하여금 고정 블록의 홈으로부터 뽑혀지도록 할 수 있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도15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클램핑 부재(15322)는 로킹 상태이고, 클램핑 부재(15322)가 로킹 상태일 경우, 도1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핸들을 회전시키면, 클램핑 부재(15322)를 풀림상태로 할 수 있다. 클램핑 부재(15322)가 풀림 상태일 경우, 도1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따라 핸들을 회전시키고, 사점(Death point) 위치를 회전시키면, 클램핑 부재(15322)를 로킹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핸들은 예를 들어 도1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회전 암을 구동하여 회전시킬 수 있고, 이로써, 누름 부재를 상향으로 이동시켜 고정 블록의 홈으부터 뽑혀지도록 할 수 있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클램핑 부재는 종래기술의 임의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휠 장치에 쾌속 분해 어샘블리를 설치함으로써, 휠 장치를 신속하게 자동차 프레임에 장착하거나, 또는 신속하게 자동차 프레임으로부터 분해할 수 있으므로, 휠을 장착 및 분해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휠 장치와 자동차 프레임의 연결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데, 이는 클램핑 부재가 사점 클램핑 원리를 이용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누름 부재(15323)의 재질은 예를 들어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이로써, 자동차 프레임의 고정 블록과 억지 끼움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어샘블리(1531)는 예를 들어 보조 휠(15311) 및 고정 부재(153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15312)는 보조 휠(153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고정 부재(15312)는 쾌속 분해 어샘블리(1532)의 고정 베이스(15321)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15312)는 회전축을 통해 보조 휠(153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부재(15312)는 고정판 및 연장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장 부재는 회전 휠을 통해 보조 휠(153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고정판은 쾌속 분해 어샘블리(1532)의 고정 베이스(15321)에 고정 연결된다. 보조 휠(15311)은 상기 고정 부재(1531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도15에 도시된 보조 휠 장치의 구조는 단지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휠 장치(1530)를 장착할 때, 클램핑 부재(15322)는 풀려진 상태이므로, 이때 클램핑 부재(15322)를 차량 새시의 제2 고정 블록을 설치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차량 새시의 제2 고정 블록을 설치하는 영역이 고정 베이스(15321)와 클램핑 부재의 회전 암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도1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따라 클램핑 부재(15322)의 핸들을 밀어, 회전 암에 설치된 누름 부재가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핸들을 사점에 도착할 때까지 밀어, 누름 부재가 제2 고정 블록의 홈에 삽입되어 제2 고정 블록에 억지 끼움으로 체결되도록 한다. 즉, 보조 휠 장치(1530)와 제2 고정 블록으로 하여금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보조 휠 장치를 차량 새시에 고정 연결시킨다.
보조 휠 장치(1530)를 분해해야 할 경우, 도1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핸들을 밀기만 하면, 누름 부재가 상향으로 이동하여, 제2 고정 블록의 홈으로부터 뽑혀지게 되고, 보조 휠 장치(1530)는 분해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보조 휠 장치를 장착한 후의 높이는 보조 휠 장치를 장착하기 전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보조 휠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차량 새시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의 어프로치 앵글 및 디파처 앵글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의 장소 이전에 유리하다. 예를 들어, 보조 휠 장치를 장착하기전에는, 차량 새시가 비교적 낮으므로, 차량은 경사 플레이트를 통해 차량을 운송하는 캐리지로 진입할 수 없다. 상기 보조 휠 장치를 장착한 후, 차량은 편리하게 경사 플레이트를 통해 차량을 운반하는 캐리지로 진입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장소 이전이 많이 편리하게 된다.
지적해두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관련되는 사용자 개인 정보의 취득, 수집, 저장, 응용, 가공, 전송, 제공 및 공개 등은 모두 관련 법률과 법규의 규정에 부합되고, 공중도덕에 어긋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보호범위는 상기 다양한 실시 형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설계 요구 및 기타 요소에 의해, 다양한 수정, 조합, 서브 조합 및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의 취지 및 원칙내에서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 등가 교체 및 개선 등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19)

  1. 새시 브라켓, 스티어링 시스템, 전기 시스템, 구동 시스템 및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새시 브라켓에는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 및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 새시로서,
    상기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 상기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 및 상기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는 상기 차량 새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 중의 제1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는 상기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와 상기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 중의 제2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는 상기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와 상기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상기 구동 시스템 및 상기 스티어링 시스템은 모두 상기 전기 시스템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 새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새시는 2개의 안테나 모듈을 더 포함하고, 2개의 상기 안테나 모듈은 모두 상기 전기 시스템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새시 브라켓에는 2개의 안테나 장착 위치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안테나 장착 위치 중의 제1 안테나 장착 위치는 상기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와 상기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2개의 안테나 장착 위치 중의 제2 안테나 장착 위치는 상기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와 상기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안테나 장착 위치 및 상기 제1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는 상기 차량 새시의 폭 방향을 따라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제2 안테나 장착 위치 및 상기 제2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는 상기 차량 새시의 폭 방향을 따라 차례로 설치되는
    차량 새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 어샘블리 및 안테나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브라켓은,
    제1 고정판,
    일단이 상기 제1 고정판에 고정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제2 고정판,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에 각각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판과 상기 제1 고정판사이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 고정판에 고정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판에는 상기 안테나 어샘블리를 고정하도록 배치된 고정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 새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시 브라켓에는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보강 리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보강 리브의 높이는 상기 스티어링 시스템 장착 위치, 상기 전기 시스템 장착 위치, 상기 구동 시스템 장착 위치 및 상기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장착 위치의 높이보다 작거나 같은
    차량 새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시 브라켓을 착탈가능하게 커버하는 덮개판을 더 포함하는
    차량 새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시스템은 2개의 스티어링 휠 장치 및 스티어링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구동 장치는,
    모터 어샘블리,
    입력단이 상기 모터 어샘블리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2개의 출력단을 구비하는 스티어링 부재, 및
    일단이 각각 상기 2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각각 2개의 상기 스티어링 휠 장치에 연결되는 2개의 동력 전달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부재는, 상기 모터 어샘블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입력단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2개의 출력단을 구동하여 상기 입력단에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2개의 상기 스티어링 휠 장치 중의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차량 새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어샘블리는 스티어링 모터 및 감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기의 입력축은 상기 스티어링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상기 스티어링 구동 장치는, 상기 감속기와 상기 스티어링 부재사이에 설치된 샤프트 커플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커플링의 일단은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 커플링의 타단은 상기 스티어링 부재의 입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감속기는 직각 감속기인
    차량 새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 장치는,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
    상기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의 제2 탄성 부재에 고정 연결되는 연결 어샘블리, 및
    스티어링 휠 및 스티어링 휠 허브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은 상기 스티어링 휠 허브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스티어링 휠 허브는 상기 연결 어샘블리에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 새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휠 서스펜션 어샘블리는,
    제1 장착판 및 제2 장착판을 포함하는 장착 랙,
    일단이 상기 제1 장착판에 고정 연결되는 제2 탄성 부재,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장착판 및 상기 제2 장착판에 고정되는 제2 가이드 로드, 및
    상기 제2 가이드 로드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타단에 고정 연결되는 제1 고정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블록은, 연결 어샘블리를 통해 상기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에 연결되고, 상기 스티어링 휠 어샘블리가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에, 상기 제1 고정 블록은 상기 연결 어샘블리에 연동되어 상기 제2 가이드 로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탄성 부재를 압축시키거나 늘어나도록 하는
    차량 새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 장치는,
    상기 스티어링 휠과 상기 스티어링 휠 허브사이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
    상기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의 서로 근접한 2개의 제1 단사이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
    상기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의 서로 근접한 2개의 제2 단사이에 설치되는 제1 고정축, 및
    상기 제1 회전축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 브레이킹 시스템 중의 제1 브레이킹 케이블에 고정 연결되는 제1 풀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 허브는 상기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에 둘러싸인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스티어링 휠 장치는, 상기 제1 브레이킹 케이블이 당겨지거나 풀려질 경우, 상기 제1 풀 로드 및 상기 제1 고정축이 상기 제1 브레이킹 케이블에 연동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2개의 제1 단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상기 2개의 제1 드럼 브레이크 패드와 상기 스티어링 휠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배치되는
    차량 새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2개의 구동 휠 장치 및 상기 2개의 구동 휠 장치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휠 장치는 구동 휠 허브 및 구동 휠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출력축 및 상기 구동 휠 허브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구동 휠 허브에 전달하여, 상기 구동 휠이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동력 전달 어샘블리,
    상기 구동 모터를 상기 차량 새시에 장착하도록 배치되는 제3 장착판, 및
    상기 제3 장착판에 고정 연결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회전 암을 포함하는 충격 흡수 어샘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은 상기 구동 휠이 상기 동력 전달 어샘블리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방향에 수직되는
    차량 새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 장치는,
    상기 구동 휠과 상기 구동 휠 허브사이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
    상기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의 서로 근접한 2개의 제3 단사이에 설치되는 제2 회전축,
    상기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의 서로 근접한 2개의 제4 단사이에 설치되는 제2 고정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브레이킹 시스템의 제2 브레이킹 케이블에 고정 연결되는 제2 풀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휠 허브는 상기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에 둘러싸인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휠 장치는, 상기 제2 브레이킹 케이블이 당겨지거나 풀려질 경우, 상기 제2 풀 로드 및 상기 제2 회전축이 상기 제2 브레이킹 케이블에 연동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2개의 제3 단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상기 2개의 제2 드럼 브레이크 패드와 상기 구동 휠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배치되는
    차량 새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브레이킹 시스템 중의 어느 하나의 브레이킹 시스템은,
    동력 어샘블리,
    상기 동력 어샘블리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동력 전달 어샘블리,
    상기 동력 전달 어샘블리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 전달 어샘블리의 동력 전달에 의해 평행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평행 이동 어샘블리,
    상기 평행 이동 어샘블리에 연결되고, 상기 평행 이동 어샘블리에 밀리면서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배치되는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 및
    상기 평행 이동 어샘블리 및 차량의 휠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평행 이동 어샘블리에 연동되어 당겨지거나 풀려지도록 배치되는 브레이킹 어샘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축적 어샘블리는, 상기 차량 새시를 포함하는 차량의 전기 공급이 차단되었을 경우, 에너지를 방출하여 상기 평행 이동 어샘블리를 밀어 평행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브레이킹 어샘블리가 팽팽하게 당겨지고, 상기 스티어링 시스템/상기 구동 시스템 중의 드럼 브레이크 패드가 이에 연동되어 상기 스티어링 시스템 중의 스티어링 휠/상기 구동 시스템 중의 구동 휠에 작용력을 가하도록 배치되는
    차량 새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시스템은,
    전원 모듈,
    상기 전원 모듈의 제1 방향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 새시 중의 동력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모터 구동 모듈,
    상기 전원 모듈의 상기 제1 방향의 타측에 설치하되, 상기 제1 모터 구동 모듈의 상기 제1방향에 수직되는 제2 방향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 새시 중의 스티어링 모터 및 브레이킹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모터 구동 모듈,
    상기 제1 모터 구동 모듈의 상기 제2 방향의 일측에 설치하되, 상기 전원 모듈의 상기 제1 방향의 일측에 설치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모터 구동 모듈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전원 모듈에 근접한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 구동 모듈, 상기 통신 모듈, 상기 제2 모터 구동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은 모두 상기 전원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량 새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모듈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수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수용 장치는,
    개구부를 구비한 수용 캐비티,
    각각 상기 수용 캐비티의 2개의 대향하는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개구부로보다 돌출되거나 또는 높이가 상기 개구부와 동일한 복수의 제2 보강 리브, 및
    상기 복수의 제2 보강 리브 중 적어도 일부 제2 보강 리브로부터 상기 수용 캐비티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되는 저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보강 리브와 상기 수용 캐비티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모듈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 모듈은 각각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에 고정되는
    차량 새시.
  16. 하우징, 및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항의 차량 새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차량 새시 상측을 커버하는
    차량.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보조 휠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휠 장치는,
    휠 어샘블리, 및
    고정 베이스 및 클램핑 부재를 포함하는 쾌속 분해 어샘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베이스는 상기 클램핑 부재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고정 베이스는 상기 휠 어샘블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클램핑 부재의 회전 암에는 누름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블록은 상기 차량 새시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블록 중의 각 제2 고정 블록에는 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휠 장치 중의 클램핑 부재의 누름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블록의 홈이 각각 억지 끼움으로 체결될 경우, 상기 보조 휠 장치는 상기 차량 새시에 연결되는
    차량.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휠 장치가 상기 차량 새시에 연결되었을 때의 상기 차량의 높이는 제1 높이이고,
    상기 보조 휠 장치가 상기 차량 새시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의 상기 차량의 높이는 제2 높이이며,
    상기 제1 높이는 상기 제2 높이보다 큰
    차량.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착탈가능하게 상기 차량 새시 상측을 커버하고,
    상기 하우징의 재료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220171897A 2021-12-09 2022-12-09 차량 새시 및 차량 KR202300198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502370.1A CN114030527A (zh) 2021-12-09 2021-12-09 车辆底盘和车辆
CN202123087181.0U CN216916011U (zh) 2021-12-09 2021-12-09 车辆底盘和车辆
CN202111502370.1 2021-12-09
CN202123087181.0 2021-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808A true KR20230019808A (ko) 2023-02-09

Family

ID=8448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1897A KR20230019808A (ko) 2021-12-09 2022-12-09 차량 새시 및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08092A1 (ko)
EP (1) EP4147949A3 (ko)
JP (1) JP2023036655A (ko)
KR (1) KR202300198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52470A1 (en) * 2020-01-08 2023-02-16 Sejin-iGB Co., Ltd. Autonomous driving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016B1 (ko) * 2016-04-15 2018-08-31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타겟 운전체
KR101978817B1 (ko) * 2018-02-05 2019-05-15 (주)에스티엠자동화 자율 주행 차량 시험용 더미 운반체
CN108344586A (zh) * 2018-02-28 2018-07-31 航天南洋(浙江)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平台车
EP3782865B1 (en) * 2019-08-14 2022-04-27 Humanetics Austria GmbH Braking system for a test platform
CN110617972A (zh) * 2019-08-22 2019-12-27 武汉理工大学 一种用于智能汽车碰撞试验的目标假车底盘结构
CN111999074B (zh) * 2020-09-07 2021-09-10 吉林大学 车型移动载荷平台
CN113752935A (zh) * 2021-08-26 2021-12-07 中汽研(天津)汽车工程研究院有限公司 智能网联汽车场地测试平板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52470A1 (en) * 2020-01-08 2023-02-16 Sejin-iGB Co., Ltd. Autonomous driving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47949A2 (en) 2023-03-15
US20230108092A1 (en) 2023-04-06
EP4147949A3 (en) 2023-10-18
JP2023036655A (ja)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20674A1 (zh) 物联网控制的电动汽车底盘上的电池包更换和防爆系统
KR20230019808A (ko) 차량 새시 및 차량
NL2019912A (en) Winch including integrated contactor and motor
CN105716585A (zh) 一种基于常规水文缆道的自驱式雷达波测流设备
US7398957B2 (en) Winch having integrated inverter for providing AC power
CN214394180U (zh) 一种防爆智能巡检机器人
CN111846027A (zh) 一种机器人底盘结构
CN216916011U (zh) 车辆底盘和车辆
CN114030527A (zh) 车辆底盘和车辆
CN111098287A (zh) 一种具有警示功能的巡检机器人
CN216529127U (zh) 电池收容装置、电源系统、车辆底盘和车辆
CN105620378A (zh) 一种易于安装的防雨防晒车载定位仪
CN216288923U (zh) 物体支架、天线模组、车辆底盘和车辆
CN205610817U (zh) 建筑工地电力线路远程监控系统
CN220147453U (zh) 一种带避震装置的四驱独立转向机器人底盘
CN220996516U (zh) 底盘结构及机器人
US20240109440A1 (en) Low profile electric connector for a vehicle charging system
CN212695277U (zh) 一种大货车驻车空调专用磷酸铁锂锂电池组
CN214565123U (zh) 一种智能快充车载应急启动电源
CN217305249U (zh) 一种高压电力电缆故障精确定位装置
CN219007610U (zh) 一种履带式移动靶车的动力系统
CN210502306U (zh) 一种用于车辆的接触式充电设备
CN218993264U (zh) 应急充电方舱照明灯塔
JP7177550B2 (ja) バッテリーコンパートメントを有する電気自動車
CN219162830U (zh) 一种具有高度调节功能的信号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