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673A - 좌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좌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673A
KR20230018673A KR1020210100493A KR20210100493A KR20230018673A KR 20230018673 A KR20230018673 A KR 20230018673A KR 1020210100493 A KR1020210100493 A KR 1020210100493A KR 20210100493 A KR20210100493 A KR 20210100493A KR 20230018673 A KR20230018673 A KR 20230018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lever
case
sliding part
link pin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주)사이즈오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사이즈오브 filed Critical (주)사이즈오브
Priority to KR1020210100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8673A/ko
Publication of KR20230018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9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slidingly movable in the base frame, e.g. by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47C7/142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by flui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좌판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상기 좌판 어셈블리는: 좌판 베이스; 상기 좌판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어, 등판 각도를 조절하는 등판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좌판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어, 좌판의 전후 방향 이동을 조절하는 슬라이딩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좌판 어셈블리{Seat assembly}
본 개시 내용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의자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 가능하고 좌판의 슬라이딩이 가능한 좌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의자나 책상용 의자는 좌판, 다리 및 등받이를 포함한다. 추가로, 의자에는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 받침과 팔을 편안하게 지지하는 팔걸이가 구비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체형이나 작업환경에 따라 좌판의 전후 방향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하거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관련 특허문헌으로 의자 어셈블리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관련 특허문헌에는 상하부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의자 어셈블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등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수단, 등판의 기울기 정도를 다단으로 제한하는 틸팅제한수단, 원하는 틸팅각도로 고정시키는 틸팅락킹수단, 틸팅수단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 케이스 양측에 각각 축설치되는 승강레버 및 락킹레버, 다단 틸팅할 수 있게 케이스 선단부에 설치되는 리미트레버 및 승강레버에 축설치되는 탄성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의자 어셈블리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관련 특허문헌에는 좌판의 슬라이딩 기능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1454호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뿐만 아니라, 좌판의 슬라이딩 기능까지 제공하는 좌판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좌판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상기 좌판 어셈블리는: 좌판 베이스; 상기 좌판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어, 등판 각도를 조절하는 등판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좌판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어, 좌판의 전후 방향 이동을 조절하는 슬라이딩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판 각도 조절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2단으로 절곡되어 일단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일단이 상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조절레버; 상기 제 1 조절레버의 일단에 결합되는 스프링 형태의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재에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링크핀; 상기 링크핀의 후단에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링크핀의 전단 부분에 상기 링크핀이 안착되도록 'ㄴ'형태로 절곡된 제 1 안착부재; 및 상기 제 1 조절레버의 일단에 밀착되며, 'ㅗ'자 형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조절레버의 일단에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마찰력을 제공하며 내부가 비어 있는 'ㅁ'자 형태로 상기 걸림돌기의 높이 길이보다 더 긴 내부를 갖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좌우 방향의 제 1 격벽과 제 2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격벽에는 가압부재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격벽에는 링크핀 홀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핀은 상기 링크핀 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타단이 상기 가압부재 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조절부는, 상기 좌판이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4 개의 제 1 관통 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상부와 볼트 결합되고, 상기 좌판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4 개의 제 2 관통 홀을 통해 상기 좌판의 하부와 결합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딩 되는 축과 수직한 양 측면에 설치되는 톱니형 돌기; 상기 톱니형 돌기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전후 방향 이동을 조절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3단으로 절곡되어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조절레버;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 측면에 상기 제 2 조절레버가 안착되도록 'ㄴ'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조절레버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통 홀을 가지며, 상기 관통 홀이 마주보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용접 결합되는 2 개의 제 2 안착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 2 안착부재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조절레버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조절레버의 위치를 원복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판 어셈블리는, 상기 좌판 베이스가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의자의 다리부 상단에 설치된 실린더의 상단을 수용하여, 상기 실린더와 축 결합되는 결합 홀; 및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2단으로 절곡되어 일단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3 조절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조절레버, 상기 제 2 조절레버 및 상기 제 3 조절레버 각각은, 외부로 노출된 타단에 손잡이가 결합되고, 상기 타단에 상기 손잡이가 고정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 홀은, 상기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딩 가능한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의 장축을 갖는 타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톱니형 돌기는, 상기 제 2 조절레버의 일단을 부드럽게 수용하도록 모서리가 둥근 형태를 갖는 기 설정된 개수의 돌기들로 형성되고, 두 개의 돌기 사이에 상기 제 2 조절레버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좌판 어셈블리는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 기능 및 좌판의 슬라이딩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조절레버의 일단 및 탄성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2 조절레버의 일단 및 톱니형 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의자 어셈블리는 좌판 베이스, 좌판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어, 등판 각도를 조절하는 등판 각도 조절부 및 좌판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어, 좌판의 전후 방향 이동을 조절하는 슬라이딩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의자 어셈블리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의자 어셈블리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등판 각도 조절부에 대한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조절부에 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조절레버의 일단 및 탄성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등받이 각도 조절부는 케이스(100), 제 1 조절레버(200), 가압부재(300), 링크핀(400) 및 탄성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등받이 각도 조절부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등받이 각도 조절부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제 1 격벽(110)과 제 2 격벽(120)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는 상기 제 1 격벽(110)을 경계로 상부 영역과 조절장치가 있는 하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조절장치가 있는 하부 영역에는 제 1 조절레버(200)가 위치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 1 조절레버(200)는 2단으로 절곡되어 제 1 조절레버 일단(210)이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하고 제 1 조절레버 타단(220)이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노출되어 끝에 손잡이(23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 1 조절레버 일단(210)에 가압부재(300)가 감싸져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300)의 일단(310)은 제 2 격벽(120) 안의 중앙에 세로로 형성된 전/후 운동이 가능한 링크핀(400)의 후단에 있는 구멍을 지나 상기 링크핀(400) 외측으로 나와 있을 수 있다.
제 1 조절레버 일단에 좌/우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00)가 상기 제 1 조절레버 일단(210)에 밀착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링크핀(400)은 제 1 격벽(110) 중앙에 위치한 링크핀 홀(130)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링크핀(400)의 전/후 운동은 상면에 걸림부재(410)가 돌출 형성되어 링크핀(400)이 전(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 1 격벽(110)에 밀착되어 상기 링크핀(40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링크핀(400)의 전단 부분에 링크핀(400)이 안착되도록 'ㄴ'자 형태로 절곡된 안착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링크핀(400)의 전(앞)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링크핀(400)이 후(뒤)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걸림부재(410)가 제 2 격벽(120)에 밀착되어 링크핀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제 1 조절레버 손잡이(230)는 좌판 베이스의 외측 하부 영역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좌판에 앉은 자세에서 용이하게 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조절레버 손잡이(230)는 좌판 베이스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타측단이 회전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조절레버 일단(210)은 상/하 수직방향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500)는 제 1 조절레버 일단(210)에 밀착되도록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ㅗ'자 형상의 걸림돌기(510)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걸림돌기의 높이 길이에 비해 상기 탄성부재(500) 내부의 길이가 더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조절레버 일단(210)의 좌/우 운동이 상기 탄성부재(500)의 전면에 마찰력을 제공할 때 이 가해지는 힘이 상기 걸림돌기(510)를 극복함으로써 제 1 조절레버 일단(210)의 운동이 전환되어 전달될 수 있다. 제 1 조절레버 일단(210)이 걸림돌기(510)를 극복하여 좌우로 움직일 때 탄성부재(500)가 가진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원형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조절레버 일단(210)의 운동은 가압부재(300)에 의해 링크핀(4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제 1 조절레버 일단(210)의 좌/우 운동은 링크핀(400)의 전/후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1 조절레버 손잡이(230)를 위로 올리면 케이스(100) 내부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제 1 조절레버 일단(210)이 좌측으로 움직이는데 이 때 밀착된 상기 탄성부재(500) 전면의 'ㅗ'자 형상의 걸림돌기(510)를 극복하여 이동하게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 1 조절레버 일단(210)을 감싸고 있는 가압부재(300)의 일단(310)도 같이 좌측으로 움직여 이에 결합된 상기 링크핀(400)이 전(앞) 방향으로 움직이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자 등판을 원하는 각도에 위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등판의 각도 조정이 완료되어 사용자가 제 1 조절레버 손잡이(230)를 아래로 내리면 제 1 조절레버 일단(210)이 상기 탄성부재(500) 전면의 'ㅗ'자 형상의 상기 걸림돌기(510)를 극복하고 우측으로 움직이며, 그에 따라 제 1 조절레버 일단(210)을 감싸고 있는 가압부재(300)의 일단(310)도 같이 우측으로 움직여 이에 결합된 링크핀(400)이 후(뒤)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 경우, 등판의 움직임이 고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2 조절레버의 일단 및 톱니형 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조절부는 슬라이딩부(600), 톱니형 돌기(610), 제 2 조절레버(620), 제 2 안착부재(630), 스프링(640), 결합 홀(700) 및 제 3 조절레버(7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슬라이딩 조절부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슬라이딩 조절부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딩부(600)는 좌판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4 개의 제 1 관통 홀(602)을 통해 케이스(100)의 상부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관통 홀(602)은 슬라이딩부(600)가 슬라이딩 가능한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의 장축을 갖는 타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좌판은 4 개의 제 2 관통 홀(601)을 통해 슬라이딩부(60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좌판의 하부와 슬라이딩부(600)의 상부가 제 2 관통 홀(601)을 통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톱니형 돌기(610)는 슬라이딩부(600)를 고정하도록 슬라이딩부(600)의 하부와 케이스(100)의 상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톱니형 돌기(610)는 케이스(100)에서 슬라이딩부(600)가 슬라이딩 되는 축과 수직한 양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톱니형 돌기(610)는 제 2 조절레버(620)의 일단을 부드럽게 수용하도록 모서리가 둥근 'U' 형태를 갖는 기 설정된 개수의 돌기들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톱니형 돌기(610)는 두 개의 돌기 사이에 제 2 조절레버(620)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다.
제 2 조절레버(620)는 톱니형 돌기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부의 전후 방향 이동을 조절하도록 슬라이딩부(600)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조절레버(620)는 3단으로 절곡되어 일단이 슬라이딩부(600)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슬라이딩부(6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조절레버(620)의 일단이 톱니형 돌기(610)의 두 개의 돌기 사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부(600)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조절레버(620)의 일단은 모서리가 둥근 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조절레버(620)의 일단은 보다 부드럽게 두 개의 돌기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제 2 조절레버(620)는 슬라이딩부(600)의 외부로 노출된 타단에 손잡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 2 조절레버(620)의 타단에는 손잡이가 고정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술한 제 1 조절레버(200)) 및 후술될 제 3 조절레버(710) 또한 외부로 노출된 타단에 손잡이가 고정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안착부재(630)는 슬라이딩부(600)의 일 측면에 제 2 조절레버(620)가 안착되도록 'ㄴ'형태로 절곡되고, 제 2 조절레버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통 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안착부재(630)는 관통 홀이 마주보도록 슬라이딩부(600)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안착부재(630)는 2 개가 구비되어, 제 2 조절레버(620)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스프링(640)은 일단이 제 2 안착부재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 2 조절레버(620)에 설치되어, 제 2 조절레버(620)의 위치를 원복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2 조절레버(620)의 일단에 결합된 손잡이를 위로 올리면 제 2 조절레버(620)의 일단이 톱니형 돌기(10)의 두 개의 돌기 사이에서 탈출 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부(600)의 고정이 해제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 2 조절레버(620)의 일단에 결합된 손잡이를 놓으면, 스프링(640)에 의해 제 2 조절레버(620)의 위치가 원복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조절레버(620)의 일단이 톱니형 돌기(610)의 두 개의 돌기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부(600)가 고정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슬라이딩부(600)와 결합된 의자의 좌판을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좌판 어셈블리에 포함된 결합 홀(700)은 좌판 베이스가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의자의 다리부 상단에 설치된 실린더(미도시)의 상단을 수용하여, 실린더와 축 결합될 수 있다.
제 3 조절레버(710)는 실린더의 상단에 압력을 가하도록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2단으로 절곡되어 일단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3 조절레버(710)의 일단에 결합된 손잡이를 위로 올리면 제 3 조절레버(710)의 일단이 실린더의 상단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린더는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자의 좌판을 원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110: 제 1 격벽,
120: 제 2 격벽, 130: 링크핀 홀,
140: 가압부재 홀, 200: 제 1 조절레버,
210: 제 1 조절레버 일단, 220: 제 1 조절레버 타단,
230: 조절레버 손잡이, 300: 가압부재,
310: 가압부재 일단, 320: 가압부재 타단,
400: 링크핀, 410: 걸림부재,
500: 탄성부재, 510: 걸림돌기,
600: 슬라이딩부, 610: 톱니형 돌기,
620: 제 2 조절레버, 630: 제 2 안착부재,
640: 스프링, 700: 결합 홀,
710: 제 3 조절레버

Claims (5)

  1. 좌판 어셈블리에 있어서,
    좌판 베이스;
    상기 좌판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어, 등판 각도를 조절하는 등판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좌판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어, 좌판의 전후 방향 이동을 조절하는 슬라이딩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등판 각도 조절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2단으로 절곡되어 일단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일단이 상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조절레버;
    상기 제 1 조절레버의 일단에 결합되는 스프링 형태의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재에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링크핀;
    상기 링크핀의 후단에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링크핀의 전단 부분에 상기 링크핀이 안착되도록 'ㄴ'형태로 절곡된 제 1 안착부재; 및
    상기 제 1 조절레버의 일단에 밀착되며, 'ㅗ'자 형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조절레버의 일단에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마찰력을 제공하며 내부가 비어 있는 'ㅁ'자 형태로 상기 걸림돌기의 높이 길이보다 더 긴 내부를 갖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좌우 방향의 제 1 격벽과 제 2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격벽에는 가압부재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격벽에는 링크핀 홀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핀은 상기 링크핀 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타단이 상기 가압부재 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조절부는,
    상기 좌판이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4 개의 제 1 관통 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상부와 볼트 결합되고, 상기 좌판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4 개의 제 2 관통 홀을 통해 상기 좌판의 하부와 결합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딩 되는 축과 수직한 양 측면에 설치되는 톱니형 돌기;
    상기 톱니형 돌기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전후 방향 이동을 조절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3단으로 절곡되어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조절레버;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 측면에 상기 제 2 조절레버가 안착되도록 'ㄴ'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조절레버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통 홀을 가지며, 상기 관통 홀이 마주보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용접 결합되는 2 개의 제 2 안착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 2 안착부재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조절레버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조절레버의 위치를 원복시키기 위한 스프링;
    을 포함하는,
    좌판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 베이스가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의자의 다리부 상단에 설치된 실린더의 상단을 수용하여, 상기 실린더와 축 결합되는 결합 홀; 및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2단으로 절곡되어 일단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3 조절레버;
    를 더 포함하는,
    좌판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절레버, 상기 제 2 조절레버 및 상기 제 3 조절레버 각각은,
    외부로 노출된 타단에 손잡이가 결합되고,
    상기 타단에 상기 손잡이가 고정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돌기가 형성되는,
    좌판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 홀은,
    상기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딩 가능한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의 장축을 갖는 타원 형태를 갖는,
    좌판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형 돌기는,
    상기 제 2 조절레버의 일단을 부드럽게 수용하도록 모서리가 둥근 형태를 갖는 기 설정된 개수의 돌기들로 형성되고,
    두 개의 돌기 사이에 상기 제 2 조절레버의 일단을 수용하는,
    좌판 어셈블리.
KR1020210100493A 2021-07-30 2021-07-30 좌판 어셈블리 KR20230018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493A KR20230018673A (ko) 2021-07-30 2021-07-30 좌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493A KR20230018673A (ko) 2021-07-30 2021-07-30 좌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673A true KR20230018673A (ko) 2023-02-07

Family

ID=8522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493A KR20230018673A (ko) 2021-07-30 2021-07-30 좌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86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54B1 (ko) 2007-06-22 2008-01-03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54B1 (ko) 2007-06-22 2008-01-03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9315B1 (en) Chair with adjustable seat depth
KR101398686B1 (ko) 틸팅 타입 의자
US11253077B2 (en) Chair with return force mechanism
KR930004458B1 (ko) 안락 의자
US20050189807A1 (en) Chair with functional armrest
KR20230018673A (ko) 좌판 어셈블리
JP2010051614A (ja) 肘掛け装置
KR101369405B1 (ko) 포워드 슬로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1733981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JPH10313974A (ja) 椅子の肘掛け装置
KR101883622B1 (ko) 옷걸이 기능이 구비된 의자
JP3998222B2 (ja) 椅子の支持機構
KR101484653B1 (ko) 의자용 팔걸이
KR101753786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JP7208766B2 (ja) 椅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41528B1 (ko) 좌판 이동이 가능한 의자
JP7302943B2 (ja) 肘掛け装置
JP4629395B2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における背凭れの傾動装置
JP7023071B2 (ja) 肘掛け装置
JP3637731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7121474B2 (ja) 肘掛け装置
JP2018007727A (ja) 椅子
JP3637732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KR101733985B1 (ko)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JP3675142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