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827A -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827A
KR20230017827A KR1020227045492A KR20227045492A KR20230017827A KR 20230017827 A KR20230017827 A KR 20230017827A KR 1020227045492 A KR1020227045492 A KR 1020227045492A KR 20227045492 A KR20227045492 A KR 20227045492A KR 20230017827 A KR20230017827 A KR 20230017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dend
performance
performer
investment
ho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루 키쿠치
Original Assignee
아카미디어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카미디어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카미디어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17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퍼포머가 피로한 퍼포먼스에 대해서, 후일에 계속적인 배당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 선행투자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퍼포머에게도 수익이 계속해서 배분되는,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시청자 단말(302)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100)은, 애드혹 전달된 퍼포먼스가 나중에 수익을 내는 양태로 공개되었을 때의, 그 수익에 대한 배당권의 구입 신청을 시청자 단말로부터 접수하는 출자 접수부(12)와, 상기 수익으로부터의, 배당권의 구입자에 대한 배당을 결정하는 배당 결정부(15)를 갖춘다. 배당 결정부(15)는, 배당권의 구입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각 구입자의 배당권의 지분 비율에 근거하여, 배당을 결정한다. 배당권의 지분 비율은, 배당권의 구입 대가에 따라서 결정된다.

Description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
본 발명은, 아티스트 등에 의한 퍼포먼스(Performance)에 대해서, 출자(出資)에 의한 금전적인 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년, 인터넷을 통해 동영상을 전달(配信)하는 시스템이 보급되어 있고, 다양한 컨텐츠를 시청(視聽)할 수 있다. 종래의 동영상 전달 시스템에서, 예를 들면, 매월 정액(定額) 등의 일률적인 요금을 징수하는 것 외에, 개개의 프로그램마다 시청자로부터 시청료를 징수하는 구조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1-309346호 공보
최근, 신형(新型) 감염증의 세계적인 유행에 따라, 감염 확대를 방지하기 위해, 외출이나 많은 사람이 모이는 이벤트 개최의 자숙(自肅)이 요구된 결과, 콘서트나 연극 등의 라이브 퍼포먼스가 전부 중지되어, 퍼포머(Performer)(공연자)나, 이른바, 배후(裏方)의 스탭 등의 관계자의 수입이 거의 완전히 없어진다고 하는, 미증유(未曾有)의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서, 일부의 아티스트는, 인터넷 상에서의 동영상 전달에 의해 퍼포먼스를 공개해, 동영상 전달의 광고 수입이나, 동영상의 시청자로부터의 전자 결제를 통한 수익을 얻는 것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구조에서는, 단발(單發)의 퍼포먼스로 충분한 수익을 얻는 것은 곤란하며, 아티스트 등에게 충분하고 지속적인 수익을 확보하게 하기 위한 플랫폼의 시급한 구축이 요망되고 있다.
이상의 과제를 감안하여, 본 개시의 목적은, 퍼포먼스를 인터넷 상에서 공개해, 그 퍼포먼스를 마음에 들어 한 시청자가, 단발의 시청료나 지원금을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후일(後日)에 계속적인 배당(配當)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 선행투자(先行投資)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퍼포머에게도 수익이 계속해서 배분되는,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시청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퍼포머 지원 시스템은, 시청자 단말로 퍼포먼스를 애드혹 전달하는 애드혹 전달부와, 애드혹 전달된 퍼포먼스가 나중에 수익을 내는 양태로 공개되었을 때의, 그 수익에 대한 배당권(配當權)의 구입 신청을 시청자 단말로부터 접수(接受)하는 출자 접수부와, 상기 수익으로부터의, 배당권의 구입자에 대한 배당을 결정하는 배당 결정부를 갖춘다. 배당 결정부는, 배당권의 구입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각 구입자의 배당권의 지분(持分) 비율에 근거하여, 배당을 결정한다. 배당권의 지분 비율은, 배당권의 구입 대가에 따라서 결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애드혹 전달된 퍼포먼스에 대해서 단발의 시청료 또는 지원금을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향후의 배당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 선행투자가 가능한,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관객을 모은 리얼한 라이브를 실시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시청자가 배당권을 구입할 때 지불한 대가의 적어도 일부를, 퍼포머에게 지불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애드혹 전달된 퍼포먼스는, 나중에, 수익을 내는 양태로 공개되어, 그 수익의 적어도 일부가, 배당권의 구입자에게 배당으로서 배분된다. 이것에 의해, 배당권의 구입자는, 출자에 대한 담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에 의하면, 퍼포머와, 배당권 구입자와의 양쪽 모두가, 애드혹 전달 시의 1회 한정이 아니라, 퍼포먼스의 후의 공개에 근거해, 계속적인 이익을 받을 수 있다.
[도 1]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시청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라이브 중계 열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 퍼포머 등록부에 등록된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 시청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라이브 중계 열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 퍼포머 지원 시스템에서의 배당권자의 결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 제5 실시 형태에서 시청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신청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이하,「퍼포머 지원 시스템」이라고 칭한다.)은, 우선, 인터넷을 통해서, 퍼포먼스의 애드혹 전달을 실시한다. 「애드혹(ad-hoc) 전달」이란, 1회 한정의 전달, 혹은, 한정된 횟수 내 또는 한정된 기간 내의 전달을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애드혹 전달의 일례로서, 먼저, 라이브 중계에 의해 퍼포먼스가 전달되는 예를 설명한다. 라이브 중계이므로, 이 전달은 1회 한정이다.
투자(출자) 대상이 되는 퍼포먼스의 장르 및 내용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음악 연주, 가창, DJ, 연극, 뮤지컬, 댄스 퍼포먼스, 마술매직쇼, 라쿠고(落語), 만담(漫才), 콩트 등의 예능 엔터테인먼트 외에, 요가나 근육 트레이닝, 요리 강습, 메이크업 강습, 패션 코디네이터 강습, 옷치레(Dressing up) 강습 등의 다양한 강습, 나아가서는, 음식점이 피로(披露)하는 라이브 쿠킹 등의, 다양한 퍼포먼스를 생각할 수 있다.
퍼포먼스의 라이브 중계는, 예를 들면, WEB 컨텐츠 열람 앱이나 동영상 열람 앱을 이용하여, 누구나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애드혹 전달되고 있는 라이브 중계는, 녹화하여 보존된다. 녹화된 퍼포먼스는, 후일, 인터넷 상의 녹화 전달 플랫폼을 이용하여, 수익이 얻어지는 양태로 전달된다. 녹화 전달에 수반하는 수익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녹화의 전달 시에 열람 화면에 표시되는 광고의 광고료로부터 얻어진다. 광고료 이외에, 동영상의 시청료나 동영상 전달 앱의 사용료로부터 수익을 얻도록 해도 무방하다.
덧붙여, 퍼포먼스의 애드혹 전달을 보고, 그 퍼포먼스를 마음에 들어 한 시청자는, 엔젤(출자자)로서, 그 퍼포먼스에 대해서, 정액 또는 임의의 금액으로 출자의 신청을 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애드혹 전달은, 엔젤을 모집하기 위한 전달이다. 엔젤로부터의 출자의 신청은, 라이브 중계(中繼)하는 동안 또는 라이브 중계가 종료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 내에, 시청자의 단말(302)에서, 라이브 중계의 열람 화면에서 실시할 수 있다. 이 출자의 신청은, 녹화 전달에 수반하는 수익으로부터의 배당을 받을 권리(배당권)의 구입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엔젤이 출자액을 임의로 결정할 수 있지만, 출자액은 일률적이어도 무방하고, 1구(口)당 고정 요금의 출자범위를, 소망한 구수(口數)만큼 구입하는 구조여도 무방하다. 엔젤은, 녹화 전달의 수익으로부터, 출자액(배당권의 지분 비율)에 상응한 배당을 받을 수 있다. 엔젤에 의한 출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및 녹화 전달에 수반하는 수익의 일부는, 퍼포머에게도 배분된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애드혹 전달 중에 퍼포먼스에 대한 출자를 엔젤로부터 접수하여, 후일의 녹화 전달에 수반해 얻어지는 수익의 일부를, 배당으로서 엔젤에게 환원할 수 있다. 또한, 퍼포머에게도, 출자금의 적어도 일부에 더하여, 녹화 전달에 수반하는 수익의 일부가 배분되므로, 퍼포먼스를 피로(披露)했을 때의 일시적인 수입 뿐만이 아니라, 퍼포먼스로부터 후일에 만들어지는 수익에 근거해, 계속적인 수입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상기의 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본 실시 형태의 퍼포머 지원 시스템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퍼포머 지원 시스템의 기능적인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퍼포머 지원 시스템(100)은, 라이브 중계부(11), 출자 접수부(12), 녹화 전달부(13), 과금부(14), 배당 결정부(15), 통신부(16), 데이터 기억부(17)를 갖추고 있다. 덧붙여, 이러한 각부의 기능은,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이러한 각부는, 1대의 서버에 구현되어도 무방하고, 복수대의 서버에 분산해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퍼포머 지원 시스템(100)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0)를 통해서, 퍼포머의 단말(301)(단말(301a, 301b, …)) 및 시청자의 단말(302)(단말(302a, 302b, 302c, …))과 통신 가능하다. 단말(301) 및 단말(302)의 각각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임의의 하드웨어로 구성할 수 있다. 덧붙여,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퍼포머의 단말과 시청자의 단말을 나누어 나타내고 있지만, 동일 인물이, 퍼포머이기도 하고, 또한, 다른 퍼포머의 퍼포먼스를 시청하는 시청자일 수도 있다.
라이브 중계부(11)는, 퍼포머의 단말(301)로부터 퍼포먼스의 동영상을 수신해, 라이브 중계한다. 이때, 라이브 중계부(11)는, 수신한 동영상을 중계하는 동시에, 라이브 중계부(11)의 내부 또는 외부의 기억 장치에, 라이브 동영상의 녹화(錄畵, Video Recording)를 보존한다. 시청자는, 라이브 중계부(11)에, 네트워크(10)를 통해 단말(302)로부터 액세스해, 라이브 중계를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라이브 중계가 실시되고 있는 동안, 단말(302)에는, 도 2에 도시한 라이브 중계 열람 화면(32)이 표시된다. 도 2의 예에서는, 라이브 중계 열람 화면(32)에는, 퍼포먼스의 라이브 중계 화상(32a)과 함께, 이 퍼포먼스에 엔젤로서 출자할지 여부를 시청자에게 선택하게 하는 선택란(32b)과, 출자액을 입력하게 하는 금액 입력란(32c)이 표시되어 있다. 시청자는, 엔젤로서 이 퍼포먼스에 출자하려는 경우에는, 선택란(32b)에서 체크를 입력하고, 금액 입력란(32c)에 출자액을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10,000엔이 출자액으로서 입력되어 있다. 덧붙여, 라이브 중계 열람 화면(32)에, 퍼포머의 프로필이나 코멘트 등을 표시시키도록 하면, 시청자의 흥미를 끌어당기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라이브 중계 열람 화면(32)에서, 현시점에서의 엔젤 수나, 엔젤로부터의 출자 총액을 표시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단말(302)에서의 라이브 중계 열람 화면(32)의 표시 등은, 단말(302)에 다운로드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제어된다. 혹은, 퍼포머 지원 시스템(100)에서 제공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단말(302)의 브라우저를 통해 이용함으로써, 라이브 중계 열람 화면(32)의 표시 등이 실시되도록 해도 무방하다.
출자액의 입력은, 라이브 중계가 종료할 때까지 가능하다. 라이브 중계가 종료하고 나서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출자가 가능하게 해도 무방하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302)에서 라이브 중계 열람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해서는, 미리 유저 등록이 필요하다. 유저 등록은 실명이어도 익명이어도 무방하지만, 시청자를 일의(一意)에 특정할 수 있는 로그인 정보(시청자ID 및 패스워드 등)와, 전자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시청자에게 미리 유저 등록을 시킴으로써, 출자(배당권의 구입)를 실시한 시청자를 일의에 특정할 수 있다. 덧붙여, 로그인 정보는, 다른 시스템(SNS, OS, 또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등)의 로그인 정보를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덧붙여, 퍼포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퍼포머 마다, 퍼포머를 특정하기 위한 퍼포머ID가 할당된다. 다만, 시청자ID와 퍼포머ID는 공통이어도 무방하다.
라이브 중계 열람 화면에서 출자액이 입력되면, 그 시청자를 특정하는 정보와 함께, 단말(302)로부터 출자 접수부(12)에, 출자액 데이터가 송신된다. 엔젤로부터의 출자액은, 전자 결제에 의해, 출자한 엔젤로부터 징수되고, 그 전액 또는 일부가, 라이브 중계에 의한 퍼포먼스 피로의 대가(출연료)로서, 퍼포머에게 지불된다.
출자 접수부(12)는, 시청자의 단말(302)로부터, 엔젤(시청자)을 특정하는 정보와 출자액 데이터를 수취(受取)하면, 출자 대상의 퍼포먼스를 특정하는 정보(퍼포먼스ID)와 함께, 데이터 기억부(17)에 기억한다. 퍼포먼스ID는, 시스템에 의해 각각의 퍼포먼스에 대해서 고유하게 할당되는 ID이다. 도 3에, 데이터 기억부(17)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의 예에서는, 3개의 퍼포먼스에 대한 엔젤과, 각각의 엔젤에 의한 출자액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기억부(17)에는, 각각의 엔젤에 대한 배당 비율도 기억되어 있다. 배당 비율은, 출자의 신청이 마감된 후에, 출자 접수부(12)에 의해서 계산되어, 데이터 기억부(17)에 기억된다. 즉, 이 배당 비율이, 각 엔젤의 배당권의 지분 비율을 나타낸다.
녹화 전달부(13)는, 동영상 전달 플랫폼으로서, 퍼포먼스의 녹화를 전달한다. 퍼포머는, 라이브 중계가 종료한 후, 소정의 기간 내에, 녹화 전달부(13)에 전달용 녹화를 등록해야 한다. 전달용 녹화는, 라이브 중계된 퍼포먼스의 동영상 그 자체여도 무방하고, 퍼포머가 어떠한 편집을 더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퍼포머가 녹화를 편집하는 경우에는, 라이브 중계부(11)로부터, 녹화된 퍼포먼스 동영상을, 퍼포머의 단말(301)로 다운로드하고, 편집 완료된 동영상을 녹화 전달부(13)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기간이 경과하면, 편집의 유무에 관계없이, 라이브 중계부(11)에서 녹화된 동영상이, 녹화 전달부(13)에 강제적으로 등록되도록 해도 무방하다. 등록된 퍼포먼스 녹화는, 녹화 전달부(13)의 내부 또는 외부의 기억 장치에 기록된다.
덧붙여, 시청자는, 단말(302)로부터, 퍼포먼스의 녹화를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다만, 퍼포먼스 녹화의 재생 시에는, 광고도 함께 표시되고, 녹화 전달 업자에게는, 각각의 퍼포먼스의 녹화 재생횟수에 따라서, 광고주로부터의 광고 수입이 들어온다. 과금부(14)는, 녹화 전달부(13)에 대한 액세스가 있어, 1개의 퍼포먼스 녹화가 시청될 때마다, 그 퍼포먼스 녹화의 재생횟수 카운터에 1을 가산한다. 과금부(14)는, 소정의 타이밍(예를 들면, 매월 말일)에, 퍼포먼스 녹화 마다, 예를 들면, 대상 기간 내의 재생횟수에 광고료 단가를 승산(乘算)함으로써, 녹화 전달 수입을 산출한다. 덧붙여, 녹화 전달 수입의 산출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광고의 소구(訴求) 효과를 가미한 산출 방법 등,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산출된 녹화 전달 수입은, 광고주로부터 징수된다. 이 녹화 전달 수입의 적어도 일부가, 퍼포머와 엔젤과의 사이에 분배된다. 퍼포머와 엔젤과의 분배 비율은, 소정의 비율 또는 소정의 규칙에 따른 비율로, 미리 정해져 있다. 예를 들면, 1개의 퍼포먼스 녹화에 대해서, 녹화 전달 수입의 50%를 퍼포머에게 지불하고, 나머지의 50%를 엔젤로의 지불 분(分)으로 해도 무방하다. 혹은,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예를 들면, 녹화 전달 수입의 금액에 따라서, 퍼포머와 엔젤과의 분배 비율이 변동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덧붙여, 퍼포머와 엔젤 이외의 제3자(예를 들면, 퍼포머 지원 시스템의 운영자)에게도, 녹화 전달 수입의 일부가 분배되도록 해도 무방하다.
덧붙여, 1개의 퍼포먼스 녹화에 대해 엔젤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배당 결정부(15)가, 엔젤에게 분배된 녹화 전달 수입을, 각 엔젤의 배당권의 지분 비율(배당 비율)에 따라 분할함으로써, 배당의 금액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3의 예에 의하면, 퍼포먼스ID가 A0011의 퍼포먼스에 대한, 녹화 전달 수입으로부터의 엔젤로의 배당은, 4명의 엔젤에 대해서, 11.5%, 5.7%, 25.3%, 57.5%로 분할해 각각 지불된다. 또한, 퍼포먼스ID가 C0005의 퍼포먼스에 대해서는, 엔젤은 1명 뿐이므로, 상기 엔젤은, 녹화 전달 수입으로부터의 엔젤로의 배당 전액을 수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엔젤은, 출자액의 비율에 따라서, 공평하게 배당을 수취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녹화의 시청은 무료이며, 녹화 전달 수입은 광고 수입에 근거하는 것으로 했지만, 녹화의 시청을 유료로 하여, 시청료를 녹화 전달 수입에 충당하는 것으로 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누구나 무료로 라이브 중계의 시청이 가능한 것으로 했지만, 이를 유료로 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도, 라이브 중계의 시청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퍼포머에게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엔젤이 금전 출자를 하는 것으로 했지만, 금전과 동등한 가치를 가지고, 본 시스템 내에서의 이용 및/또는 다른 시스템에서의 호환 이용이 가능한 포인트로, 출자를 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퍼포머 지원 시스템(100) 내에 녹화 전달부(13)를 갖춘 구성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녹화 전달부(13)의 기능을 퍼포머 지원 시스템(100) 내에 가지지 않고, 외부 업자의 동영상 전달 플랫폼에 녹화 전달을 위탁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YouTube(등록상표) 등의 대규모의 동영상 전달 플랫폼에 녹화 전달을 위탁하면, 예상 시청자수가 현격히 커지므로, 녹화 전달에 의한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과 함께, 퍼포머의 지명도(知名度)의 향상에도 이어진다. 이 경우에는, 퍼포머 지원 시스템(100)은, 그 외부 업자의 시스템으로부터, 각 퍼포먼스 녹화의 전달에 근거한 수익 데이터를 수취해, 배당 결정부(15)에서, 퍼포머 및 엔젤에의 배당을 계산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퍼포머 지원 시스템(100)에 의하면, 인터넷 상에서 라이브 중계를 본 시청자가, 마음에 든 퍼포먼스에 대해 엔젤로서 출자를 실시하면, 그 출자액의 전부 또는 일부가 출연료로서 퍼포머에게 지불될 뿐만 아니라, 후일, 라이브 중계의 녹화 전달 수입의 적어도 일부가, 엔젤 간에 배분된다. 또한, 녹화 전달 수입은, 퍼포머에게도 배분된다. 따라서, 퍼포머에게는, 라이브 중계의 출연료 뿐만 아니라, 후일의 녹화 전달에 근거한 수익이 계속적으로 들어오게 되어, 퍼포먼스에 의한 수입을 안정적으로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엔젤은, 녹화 전달 수입으로부터, 출자액에 상응한 배당을 얻을 수 있으므로, 퍼포머에의 지원에 대한 담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엔젤은, 출자 대상의 퍼포머를 탐색할 때에, 재능을 가지고 있는데 지명도가 없고, 아직 출자자가 적은 퍼포머에게 출자하려고 하는 심리 작용이 작용하므로, 본 시스템에는, 새로운 재능에 대한 주목이나 인재 발굴에 이어진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 형태의 퍼포머 지원 시스템(100)은, 새로운 재능이 세상에 날개를 치게 하는 플랫폼으로서의 기능도 겸비하고 있다.
종래, 퍼포머를 지원하는 구조로서, 클라우드 펀딩도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클라우드 펀딩에서는, 출자자에 대한 담보(대가나 답례)를 그 때 마다 생각해서 제시해야 하는 수고가 든다. 또한, 펀딩이 달성되지 않았을 경우나, 어떠한 이유에 의해 프로젝트의 계속이 불가능해진 경우에는, 출자자는 담보를 얻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에 더하여, 그 담보가 얻어지는 것은, 통상, 한 번 뿐이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의 퍼포머 지원 시스템(100)에 의하면, 1회 한정의 퍼포먼스(라이브 중계)의 결과가, 퍼포먼스 녹화로서, 계속적인 수익을 내는 장소(상기의 예에서는, 녹화 전달부(13) 또는 외부의 동영상 전달 플랫폼)와 제휴되고, 출자자(엔젤)는, 거기서부터 생기는 수익의 일부를, 대가·답례로서 계속적으로 수취할 수 있다. 또한, 수익으로부터의 배당은, 출자액에 따라서 공평성을 유지하면서 각 엔젤에게 배분된다.
덧붙여, 상기의 예에서는, 라이브 중계된 퍼포먼스의 녹화를 작성하고, 후일에 동영상 전달 플랫폼에서 녹화 전달을 실시함으로써, 광고 수입이나 시청료로부터 수익을 내는 구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수익을 내는 장소는, 인터넷 상의 녹화 전달 플랫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갤러리나 전시장, 콘서트홀, 극장, 영화관 등의 리얼 회장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입장료나 광고주에 의한 스폰서료 등이 수익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진 공유 사이트나, EC 사이트 등도, 퍼포먼스의 내용에 따라서는, 수익을 내는 장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종래, 인터넷 상에서 퍼포먼스를 전달하는 아티스트에 대해서, 시청자가, 「던져주는 돈(投錢, social tipping)」이라고 부르는 금전 대가나 유료 기프트 등을 제공하는 구조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던져주는 돈 시스템도, 퍼포머에의 던져주는 돈이 가능한 것은 중계시 뿐이며, 계속적인 배당은 아니다. 또한, 던져주는 돈을 실시한 시청자에 대해, 어떠한 담보가 생기는 것도 아니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의 퍼포머 지원 시스템(100)은, 라이브 중계에 대해서 출자라는 형태로 시청자로부터 지불이 실시되면, 지불 대상이 된 라이브 중계의 녹화 전달에 의해서 후일 수익이 만들어지고, 만들어진 수익은 출자자(엔젤)에게 리턴된다고 하는, 순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 관점에서도, 퍼포머 지원 시스템(100)은, 종래의 던져주는 돈 시스템에는 없는 효과를 가진다.
덧붙여, 상기의 예에서는, 애드혹 전달의 컨텐츠는 퍼포먼스의 라이브 중계인 것으로 했지만, 애드혹 전달의 컨텐츠는 라이브 중계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콘서트나 라이브 연주의 녹화(미공개의 것)나, 드라마나 영화 등의 영상 작품(미공개 작품)을 애드혹 전달에서 피로(披露)함으로써, 엔젤을 모집해도 무방하다. 애드혹 전달이 종료한 후, 이러한 컨텐츠는, 인터넷 상의 동영상 전달 플랫폼이나 극장 등에서, 수익을 내는 양태로 공개된다. 그리고, 그 수익이, 컨텐츠의 작성에 관련된 사람(이것들로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제작회사, 감독, 각본가, 프로듀서/디렉터, 출연자 등)과 엔젤에게 분배된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퍼포먼스가 시각(視覺)으로 검지될 수 있는 것이며, 나중에 수익을 내는 양태에 의한 해당 퍼포먼스의 공개가, 녹화 전달에 의한 것인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음악이나 낭독 등의 퍼포먼스의 경우, 후일의 공개를, 음악 재생 플랫폼 등에서의 녹음 음원의 재생으로 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덧붙여, 전술의 실시 형태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기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하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엔젤은 일반 시청자이며, 출자의 대가(배당)의 원자(原資)는 녹화 전달에 수반하는 광고 수입 또는 녹화의 시청료였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녹화 전달에 광고를 넣으려는 광고주가 엔젤이 되고, 배당권의 지분 비율에 따라서, 전달되는 퍼포먼스 녹화에서의 광고 출현 빈도가 결정된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퍼포먼스 녹화의 재생 시에 광고 표시를 실시할 권리가, 엔젤로서의 광고주에게 배당권으로서 주어진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도, 엔젤로서의 광고주는, 라이브 중계하는 동안 또는 라이브 중계가 종료하고 나서 소정의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라이브 중계 열람 화면으로부터 출자액을 입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퍼포머 지원 시스템(200)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퍼포머 지원 시스템(200)은, 과금부(14)를 갖추지 않고, 배당 결정부(15)의 대신에 배당 결정부(25)를 갖추고 있다. 배당 결정부(25)는, 엔젤이 출자한 금액에 따라 정해지는 배당 비율에 따라서, 퍼포먼스 녹화의 재생 시에, 상기 엔젤의 광고가 표시되는 횟수(표시 빈도)를 결정한다. 또한, 퍼포머 지원 시스템(200)은, 광고 관리부(24)를 갖추고 있다. 광고 관리부(24)는, 배당 결정부(25)에 의해 결정된 표시 빈도에 따라서, 녹화 전달부(13)가 전달하는 퍼포먼스 녹화에, 각 엔젤의 광고를 삽입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퍼포먼스ID가 A00112의 퍼포먼스에 대해서, 3명의 엔젤이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이들 엔젤은 모두, A00112의 퍼포먼스의 녹화의 전달 시에 광고를 넣으려는 광고주이다. 3명의 엔젤의 배당 비율은, 출자액에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20%, 10%, 70%이다. 이 경우, 배당 결정부(25)는, 광고 관리부(24)에, 3명의 엔젤의 광고의 출현 빈도가 각각 20%, 10%, 70%가 되도록 지시를 보낸다.
광고 관리부(24)는, 상기의 지시를 받아서, 예를 들면, 연속하는 10회의 녹화 전달에서, 엔젤 c00011의 광고를 2회, 엔젤 c00021의 광고를 1회, 엔젤 c00015의 광고를 7회 표시하도록, 녹화 전달부(13)로 지시를 보낸다.
또한, 광고 관리부(24)는, 녹화 전달부(13)에서의, 각 엔젤의 광고가 들어간 퍼포먼스 녹화의 재생횟수를, 일정 기간 마다(예를 들면, 매월)에 카운트한다. 그리고, 재생횟수에 상응한 광고료를 산출해, 광고주인 각 엔젤로부터 징수한다. 징수된 광고료 수입의 전부 또는 일부가, 퍼포머에게 수익으로서 분배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퍼포머 지원 시스템(200)에 의하면, 광고주가 엔젤이 되어, 광고를 넣으려는 퍼포먼스를 선택해, 출자를 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주는, 자신의 상품이나 서비스의 광고에 어울리는 인상(印象)이나 세계관을 가지는 퍼포먼스를, 광고의 출고처(出稿處)로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수입의 적어도 일부가 퍼포머의 수익이 됨에 따라, 퍼포머는, 라이브 중계 후의 녹화 전달에 의해, 계속적인 수입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퍼포머 지원 시스템(200)에서의 퍼포머와 광고주와의 관계성은 종래와 달리, 퍼포머에게 있어서 이하와 같은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에 의한 TV 프로그램이나, 인터넷을 이용한 프로그램 방영(放映)에 있어서의 구조에서는, 통상, 프로그램을 제작해 전달하는 방송국, 그 프로그램에 대해서 광고를 출고(出稿)하려는 스폰서,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출연자 또는 출연자를 제공하는 사무소에 의해 성립된다. 출연자에의 개런티(출연료)는, 출연자의 과거의 실적이나, 그 출연자가 출연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시청률 등에 따라, 방영국과 출연자(사무소)와의 교섭으로 정해진다.
이에 대해서, 퍼포머 지원 시스템(200)에서는, 라이브 중계된 퍼포먼스를 광고 출고처로서 마음에 들어 한 스폰서가, 그 퍼포먼스에 대해 출자의 신청을 실시하고, 후일 전달되는 녹화 내에서의 광고 표시 빈도가, 배당권의 지분 비율에 따라서 결정된다. 즉, 전달 녹화 내에서의 광고 표시가, 출자의 대가 내지는 담보로서 배당된다. 또한, 퍼포머에게는, 광고 수입을 원자(原資)로 해서 수익이 분배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소속되는 사무소 주도의 부적합한 출연료에 응하지 않을 수 없거나, 또는, 사무소로부터 출연료가 지불되지 않는, 등의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퍼포머에 대해서, 본인의 가치·평가에 적합한 대가가 직접 부여됨으로써, 보다 안정된 생활 기반을 구축할 수 있어, 작품 만들기나 출연 활동에서의 환경·조건의 향상을 전망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밴드, 극단, 또는 아이돌 그룹 등과 같이, 그룹 내에 퍼포머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시청자가 특정 퍼포머를 선택해 출자를 할 수 있는 퍼포머 지원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퍼포머 지원 시스템(300)은,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실시 형태의 퍼포머 지원 시스템(100)과 비교하면, 퍼포머 등록부(38)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퍼포머 지원 시스템(300)에서는, 애드혹 전달(여기에서는, 밴드 연주의 라이브 중계인 것으로 한다)을 시작하기 전에, 예를 들면, 밴드의 리더 또는 매니저(초대자)가, 밴드의 어카운트를 작성한 후, 자신의 단말(301)로부터, 밴드의 멤버 전원의 단말(301)에, 각각 초대를 보낸다. 각 멤버는, 퍼포머 지원 시스템(300) 상에서 개별 어카운트를 유지하고 있고, 초대자의 단말(301)로부터, 각 멤버의 개별 어카운트 앞으로 초대가 보내진다.
초대를 수취한 멤버가, 단말(301)에서 「승낙」조작을 하면, 해당 멤버의 어카운트ID가 단말(301)로부터 퍼포머 등록부(38)로 보내지고, 퍼포머ID로서 등록된다. 도 7은, 퍼포머 등록부(38)에 등록된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퍼포먼스 마다, 그 퍼포먼스를 실시하는 복수의 퍼포머가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여기에서는, 어느 밴드가 5명의 멤버로 구성되어 있고, 도 7에 도시한 A00113라는 퍼포먼스ID가 할당된 퍼포먼스(밴드 연주의 라이브 중계)를, 지금부터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밴드 연주의 애드혹 전달이 라이브 중계에 의해 개시되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단말(302)로부터 이 라이브 중계를 본 시청자는, 엔젤로서 출자를 신청할 수 있다. 다만, 제1 실시 형태와 달리,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라이브 중계 열람 화면(32)의 선택란(32b)에는, 출자 대상의 밴드 멤버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표시된다. 엔젤로서 출자를 희망하는 시청자는, 선택란(32b)에서 출자 대상의 멤버를 선택하고, 금액 입력란(32c)에 출자금액을 입력한다. 덧붙여, 선택란(32b)에서 복수의 멤버를 동시에 선택해, 개개의 멤버에 대한 출자금액을 별개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해도 무방하다. 출자 접수부(12)는, 이러한 입력을 시청자의 단말(302)로부터 접수하면, 엔젤을 특정하는 정보 및 출자 대상의 퍼포먼스를 특정하는 정보(퍼포먼스ID)와 관련지어, 데이터 기억부(17)에 기억한다.
도 9는, 퍼포머 지원 시스템(300)에서, 이 퍼포먼스(퍼포먼스ID: A00113)에 관해서 데이터 기억부(17)에 기억된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의 예에서는, 5명의 밴드 멤버(퍼포머)의 각각에, 복수의 엔젤이 존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애드혹 전달(밴드 연주의 라이브 중계)은 녹화되어, 후일, 동영상 전달 플랫폼에서 수익을 내는 양태로 전달된다.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녹화 전달의 수익의 원자는 시청료 또는 광고료 등이지만, 그 수익은, 밴드 어카운트와, 밴드 멤버 개인의 어카운트와, 배당권자(엔젤)에게 배분된다. 예를 들면, 녹화 전달에 의한 수익 중, 15%를 밴드 어카운트에, 35%를 밴드 멤버 개인의 어카운트에, 50%를 엔젤에게 배분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엔젤에게 배분되는 50%의 수익은 또한, 도 9에 도시한 배당 비율(배당권의 지분 비율)에 근거해 분할되어, 각각의 엔젤에게 배분된다. 또한, 밴드 멤버 개인에의 배분 비율을, 각 멤버에 대한 엔젤로부터의 출자액의 비율에 근거해서 결정해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퍼포머에 의해 구성되는 퍼포먼스의 경우에, 시청자는, 마음에 드는 퍼포머를 지정해 출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밴드 멤버의 각각에 대한 배분의 비율을, 엔젤로부터의 출자액의 비율에 근거해 결정하도록 하면, 인기가 높은(엔젤로부터의 출자액이 많은) 밴드 멤버가 보다 많은 배분을 얻을 수 있게 되어, 공평감이 있는 이익 배분이 실현될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 밴드 멤버의 각각에 대한 배분의 비율(즉, 멤버 마다의 출자액의 비율)을, 밴드 어카운트 및 밴드 멤버에게도 비공개로 하면, 밴드 멤버는 서로 이익 배분을 알 수 없다. 이것에 의해, 밴드 멤버 사이에서의 이익에 관한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고, 이익 배분을 둘러싼 다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덧붙여, 상기의 예에서는, 밴드의 리더 또는 매니저가, 그룹 전체의 어카운트(밴드 어카운트)를 작성해, 밴드 멤버에게 초대(참가의뢰)를 하는 것으로 했지만, 그룹 어카운트의 작성자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다. 예를 들면, 라이브 하우스나 극장 등의, 퍼포먼스의 공개 장소가 될 수 있는 시설형 서비스업자가 그룹 어카운트를 작성하고, 이 시설을 이용해 퍼포먼스를 피로하는 퍼포머(그룹 또는 개인)에게, 초대(참가의뢰)를 해도 무방하다. 시설형 서비스업자로는, 상기의 라이브 하우스나 극장 외에,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지만, 이벤트·콘서트 회장, 렌탈 스튜디오, 렌탈 스페이스, 가라오케점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러한 시설형 서비스업자에게도 수익이 분배되므로, 신형 감염증 등에 의한 영업 자숙 하에서도, 이익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실시 형태]
제1~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애드혹 전달의 시청자 중, 엔젤로서의 출자를 신청한 사람은 모두 배당권을 획득할 수 있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대해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출자 신청에 대해 두 단계의 옥션을 실시해서, 배당권자를 결정한다. 이 두 단계의 옥션의 상세는, 본원의 출원인의 선행출원(일본 특원 2019-165679호)에 근거한 일본 특허 제6664726호 공보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고, 그 개시의 내용은, 참조에 의해 전부 본 명세서에 포함(取入)된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퍼포머 지원 시스템(400)은,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출자 접수부(12)의 대신에, 옥션 실행부(42)를 갖추고 있다. 옥션 실행부(42)는, 애드혹 전달의 시청자로부터의 출자 신청에 대해서, 두 단계의 옥션을 실시해, 배당권자를 결정한다.
도 11은, 퍼포머 지원 시스템(400)에서의 배당권자의 결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애드혹 전달이 퍼포먼스의 라이브 중계인 것으로 한다. 애드혹 전달이 개시되면, 라이브 중계의 영상이 라이브 중계부(11)로 보내지는 것과 함께,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출자 신청의 접수 개시를 지시하는 신호가, 퍼포머 단말(301)로부터 옥션 실행부(42)로 보내진다(스텝(S1001)).
옥션 실행부(42)는, 접수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 애드혹 전달이 실시되고 있는 동안, 또는 애드혹 전달이 종료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 시청자 단말(302)로부터의 출자의 신청(입찰 응모)을 수신한다(스텝(S1002)). 입찰 응모를 수신하면, 옥션 실행부(42)는, 퍼포머 지원 시스템(400)의 등록 유저의 데이터베이스를 조합(照合)하고(스텝(S1003)), 입찰 응모에 포함되는 입찰 금액(출자액)과, 등록 유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입찰자 정보를, 퍼포머 단말(301)에 송신한다(스텝(S1004)).
그 후, 퍼포머 단말(301)에서, 퍼포머는, 입찰 금액 및 입찰자 정보에 근거해 입찰 참가자의 심사(제1 단계 옥션)를 실시해서, 통과자를 결정한다(스텝(S1005)). 이 제1 단계 옥션의 심사 기준은, 퍼포머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블랙 리스트에 실려 있지 않는 등의 최저한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입찰자를 모두 통과시켜도 무방하고, 입찰 금액(출자액)에 상한 및/또는 하한을 마련해도 무방하다. 제1 단계 옥션의 심사 기준을 적절히 설정하면, 예를 들면, 입찰 금액이 너무 높은/너무 낮은 입찰자를 제외하는 것 등에 의해, 장난 입찰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단계 옥션의 결과(참가자 선별 결과)는, 퍼포머 단말(301)로부터 옥션 실행부(42)에 보내지고, 옥션 실행부(42)의 내부 또는 외부의 기억 장치에 기억된다. 옥션 실행부(42)는, 참가자 선별 결과에 근거해, 제1 단계 옥션을 통과한 시청자의 단말(302)로, 심사를 통과한 취지를 통지한다(스텝(S1007)). 이때, 심사를 통과하지 않은 시청자에게도, 그 취지를 통지해도 무방하다.
그 후, 제1 단계 옥션을 통과한 입찰자 만으로, 제2 단계 옥션이 실시된다. 이 제2 단계 옥션은, 애드혹 전달이 종료한 후에 행해진다. 옥션 실행부(42)는, 제1 단계 옥션을 통과한 입찰자의 단말(302)에만, 제2 단계 옥션 개최 정보를 송신한다(스텝(S1008)). 제2 단계 옥션 개최 정보에는, 예를 들면, 낙찰 최저가격이나 입찰 종료시각, 및 입찰액의 입력란 등이 포함된다. 덧붙여, 이 제2 단계 옥션이 개최되고 있는 것은, 퍼포머 지원 시스템(400)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302)로부터, 모든 시청자가 볼 수 있다. 그러나, 제2 단계 옥션의 경과(입찰 상황)는, 제2 단계 옥션에의 참가자만, 즉, 제2 단계 옥션 개최 정보를 수취한 사람만이, 단말(302)로부터 열람할 수 있고, 그 이외의 사람이 이것을 볼 수는 없다.
옥션 개최 정보를 수취한 입찰자는, 단말(302)로부터 입찰을 실시한다(스텝(S1009)). 입찰자는, 애드혹 전달의 시점에서 입력한 출자액과는 다른 금액을, 입찰액으로서 입력해도 무방하다. 옥션 실행부(42)는, 입찰자의 단말(302)에서 보내오는 입찰 통지를 입찰 DB(도시하지 않음)에 등록한다(스텝(S1010)).
그 후, 옥션 실행부(42)는, 입찰 DB에 등록된 입찰 정보에 근거하여, 제2 단계 옥션을 실시한다(스텝(S1011)). 덧붙여, 입찰 DB는, 옥션 개최 기간 내에 옥션 실행부(42)가 입찰 통지를 수신할 때마다, 수시 갱신된다. 제2 단계 옥션의 입찰자의 단말(302)에서, 입찰 화면은, 입찰 상황에 따라서 수시 갱신된다. 입찰자는, 이 입찰 상황을 단말(302)로 보고, 입찰 기간 중이면 입찰 금액을 변경해 재입찰을 할 수 있다. 이 스텝(S1008)~스텝(S1011)까지의 처리는, 옥션이 종료할 때까지 반복된다(루프(10)). 옥션 실행부(42)는, 입찰 기간이 완료되면, 새로운 입찰의 접수를 정지함으로써, 옥션을 종료한다.
또한, 옥션 실행부(42)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서, 배당권의 낙찰자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입찰 DB에 등록된 입찰 중, 가장 높은 입찰액을 제시한 사람부터 순서대로 소정 수의 입찰자를, 낙찰자로서 결정한다. 즉, 여기서 결정된 낙찰자가, 배당권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퍼포먼스의 수익으로부터의 배당은, 이 제2 단계 옥션에서의 입찰액에 근거해 산출되는 배당권의 지분 비율에 따라서 결정된다. 덧붙여, 낙찰자가 누구인지와, 낙찰자의 입찰액은, 제2 단계 옥션의 입찰자에게만 공개되고, 그 이외의 사람에게는 공개되지 않는다.
낙찰자가 결정되면, 옥션 실행부(42)로부터 퍼포머의 단말(301)로, 낙찰 통지가 송신된다(스텝(S1012)). 또한, 옥션 실행부(42)는, 낙찰자의 단말(302)로도 낙찰 통지를 송신한다(스텝(S1013)). 덧붙여, 여기에서는, 옥션 실행부(42)가 입찰액에 따라 자동적으로 낙찰자를 결정하는 것으로 했지만, 퍼포머가 낙찰자를 결정하는 것으로 해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제4 실시 형태의 퍼포머 지원 시스템(400)에 의하면, 엔젤로서 출자를 신청한 시청자 중, 두 단계 옥션을 거쳐 결정된 사람만이, 배당권을 획득할 수 있다. 어떠한 이유에 의해, 엔젤의 인원 수에 제한을 마련하려는 경우에는, 이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한 계책이다. 왜냐하면, 본 실시 형태의 두 단계 옥션에 의하면, 1회째의 입찰에 근거한 제1 단계 옥션에 의해, 제2 단계 옥션에 참가할 수 있는 입찰자가 좁혀진다. 게다가, 제2 단계 옥션은, 이 제2 단계 옥션에의 참가가 허가된 입찰자 만으로 행해지고, 또한, 그 내용은 비공개로 된다. 이 구조는, 낙찰자나 낙찰가격을 공개하고 싶지 않은 경우에, 특히 유익하다. 예를 들면, 가수나 악기 연주자나 댄서 등의 아티스트나 연예인의 경우, 일반적인 옥션 형식으로 엔젤을 결정해, 그 출자액(입찰액)이 밝혀지면, 그 아티스트의 개런티(출연료)에 대해 사실상의 시세가 완성되어 버린다(출연료의 고정화 또는 표준화가 일어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아티스트나 연예인에게 있어서는, 상황에 따라 출연료 등을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퍼포머로의 출자자(엔젤)를 결정할 때에 두 단계 옥션을 적용함으로써, 낙찰가격을 은닉하는 것이 가능해져, 출연료 등의 고정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는, TV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퍼포머 지원 시스템이다. 도 12에,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퍼포머 지원 시스템(5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한 것처럼, 퍼포머 지원 시스템(500)은, 예를 들면,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퍼포머 지원 시스템(100)과 비교해, 라이브 중계부(11)를 갖추지 않은 점에서 상이하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출자자를 모집하기 위한 애드혹 전달은, 퍼포머 지원 시스템(500)으로부터가 아니라, 텔레비전 방송국(텔레비국)의 방송 관리 시스템(600)으로부터 TV 프로그램으로서 방송된다. 이 TV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신인 발굴 오디션 프로그램으로서 구성될 수 있지만, 라이브 중계여도 무방하고, 녹화의 재생이어도 무방하다. 퍼포머가 텔레비국 등의 스튜디오를 향하여 퍼포먼스를 실시해도 무방하고, 퍼포머가 자택이나 소망한 장소에서 수록한 퍼포먼스를 텔레비국에 보내서 텔레비국이 이를 라이브 중계해도 무방하다. 혹은, 퍼포머가 보낸 퍼포먼스 영상을, 텔레비국이 편집한 후에 방송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 TV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의해서 시청되지만, 시청자의 단말(302)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해도 무방하다. 덧붙여, 이하의 구체적인 예에서는, 시청자가, 텔레비전 수상기로, TV 프로그램으로서 방송되는 애드혹 전달을 보면서, 단말(302)을 이용해 배당권의 구입 신청을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것처럼, 퍼포머 지원 시스템(500)은, 텔레비국의 방송 관리 시스템(600)과 네트워크(10)를 통해 접속 가능하다. 단, 퍼포먼스의 애드혹 전달은, 전술한 것처럼, 텔레비전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서 텔레비전 수상기로 시청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의 퍼포먼스의 애드혹 전달(TV 프로그램)은, 네트워크(10)를 통해 시청자의 단말(302)로 전달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텔레비전 방송 네트워크는, 지상파 방송, 위성방송, 및 유선(케이블) 방송 중 어느 하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도 12에서는, 텔레비국의 방송 관리 시스템(600)을 1개만 도시하고 있지만, 퍼포머 지원 시스템(500)은, 복수의 텔레비국의 시스템과 접속 가능하다.
방송 관리 시스템(600)은, 퍼포먼스의 TV 프로그램의 스케줄 정보를, 네트워크(10)를 통해 퍼포머 지원 시스템(500)에 보낸다. 스케줄 정보에는, 텔레비국을 특정하는 ID, TV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대, TV 프로그램의 타이틀, TV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각 퍼포머의 명칭, 퍼포먼스를 피로하는 시간대 등이 포함된다. 이것에 의해, 퍼포머 지원 시스템(500)에서, 퍼포먼스의 TV 프로그램이, 어느 채널에서 언제 방송되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시청자는, 텔레비전 수상기로 퍼포먼스를 보면서, 단말(302)을 조작하여, 배당권의 구입 신청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302)에는, 도 13에 도시한 신청 화면(52)이 표시된다. 이 신청 화면(52)은, 제1 실시 형태에서 도 2를 참조해 설명한 라이브 중계 열람 화면(32)과 마찬가지로, 단말(302)에 인스톨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되는 것이어도 무방하고, 퍼포머 지원 시스템(500)으로부터 제공되는 SaaS에 의해 표시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덧붙여, TV 프로그램의 방송 중에,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의 일부에 판독용 QR코드(등록상표) 등을 표시해, 단말(302)에서 이 코드를 판독함으로써, 해당 TV 프로그램용의 신청 화면(52)이 단말(302)에 표시되도록 해도 무방하다. 혹은, 단말(302)에 TV 프로그램표를 표시해, 단말(302)에서 시청자가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선택된 프로그램의 신청 화면(52)이 단말(302)에 표시되도록 해도 무방하다.
신청 화면(52)에는,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프로그램명 표시란(52d), 퍼포머 표시란(52a), 이 퍼포먼스에 엔젤로서 출자할지 여부를 시청자에게 선택하게 하는 선택란(52b), 및 출자액을 입력하게 하는 금액 입력란(52c)이 표시된다. 시청자는, 엔젤로서 이 퍼포먼스에 출자하려는 경우에는, 선택란(52b) 에서 체크를 입력하고, 금액 입력란(52c)에 출자액을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다.
프로그램명 표시란(52d)에는, 방송 관리 시스템(600)에서 퍼포머 지원 시스템(500)으로 보내진 TV 프로그램의 스케줄 정보에 근거해, 텔레비국명, 방송 일시, TV 프로그램명이 표시되고, 「엔젤 접수 중」의 문자가 표시된다. 퍼포머 표시란(52a)에는, 그 시점에 있어서 TV 프로그램에서 퍼포먼스를 피로 중인 퍼포머의 이름(아티스트명)이 표시된다. 퍼포머 표시란(52a)에는,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시청자가 퍼포머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방송 중의 영상 또는 상기 퍼포머의 섬네일(Thumbnail) 화상 등을 표시하는 화면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퍼포머 표시란(52a)에, 상기 퍼포머의 프로필이나 코멘트 등을 표시시키도록 하면, 시청자의 흥미를 끌어당기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신청 화면(52)에서, 현시점에서의 엔젤 수나, 엔젤로부터의 출자 총액을 표시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출자액의 입력은, TV 프로그램이 종료할 때까지 가능하다. 혹은, TV 프로그램이 종료하고 나서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출자가 가능하게 해도 무방하다. 또는, TV 프로그램의 진행과 단말(302)을 연동시켜, TV 프로그램 중에서, 모든 퍼포먼스가 종료되었을 때 「신청 시간」을 마련해, 엔젤로부터 각 퍼포머로의 출자 상황을 텔레비전 화면에서 리얼타임으로 중계하는 등으로 해도 무방하다.
신청 화면(52)에서 출자액이 입력되면, 그 시청자를 특정하는 정보와 함께, 단말(302)로부터 출자 접수부(12)에, 출자액 데이터가 송신된다. 엔젤로부터의 출자액은, 전자 결제에 의해, 출자한 엔젤로부터 징수되어, 그 전액 또는 일부가, 텔레비전 출연에 의한 퍼포먼스 피로의 대가(출연료)로서, 퍼포머에게 지불되도록 해도 무방하다.
출자 접수부(12)는, 시청자의 단말(302)로부터, 엔젤(시청자)을 특정하는 정보와 출자액 데이터를 수취하면, 출자 대상의 퍼포먼스를 특정하는 정보(퍼포먼스ID)와 함께, 데이터 기억부(17)에 기억한다. 퍼포먼스ID는, 각각의 퍼포먼스에 대해 고유하게 할당되는 ID이며, 제1 실시 형태에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녹화 전달부(13)는, 동영상 전달 플랫폼으로서, 퍼포먼스의 녹화를 전달한다. 전달되는 녹화는, 텔레비국 또는 퍼포머로부터 퍼포머 지원 시스템(500)으로 업로드되어, 녹화 전달부(13)에 등록된다. 전달용 녹화는, 텔레비전 방송된 퍼포먼스의 동영상 그 자체여도 무방하고, 퍼포머 또는 텔레비국이 어떠한 편집을 더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시청자는, 단말(302)로부터, 퍼포먼스의 녹화를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다만, 퍼포먼스 녹화의 재생 시에는, 광고도 함께 표시되고, 녹화 전달 업자에게는, 각각의 퍼포먼스의 녹화 재생횟수에 따라서, 광고주로부터의 광고 수입이 들어온다. 과금부(14)는, 녹화 전달부(13)에 대한 액세스가 있어, 1개의 퍼포먼스 녹화가 시청될 때마다, 그 퍼포먼스 녹화의 재생횟수 카운터에 1을 가산한다. 과금부(14)는, 소정의 타이밍(예를 들면, 매월 말일)에, 퍼포먼스 녹화 마다, 예를 들면, 대상 기간 내의 재생횟수에 광고료 단가를 승산함으로써, 녹화 전달 수입을 산출한다. 덧붙여, 녹화 전달 수입의 산출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광고의 소구(訴求) 효과를 가미한 산출 방법 등,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산출된 녹화 전달 수입은, 광고주로부터 징수된다. 이 녹화 전달 수입의 적어도 일부가, 퍼포머와 엔젤과의 사이에 분배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퍼포머 지원 시스템(500) 내에 녹화 전달부(13)를 갖춘 구성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처럼, 녹화 전달부(13)의 기능을 퍼포머 지원 시스템(500) 내에 가지지 않고, 외부 업자의 동영상 전달 플랫폼에 녹화 전달을 위탁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퍼포머 지원 시스템(500)은, 외부 업자의 시스템으로부터, 각 퍼포먼스 녹화의 전달에 근거한 수익 데이터를 수취해, 배당 결정부(15)에서, 퍼포머 및 엔젤로의 배당을 계산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TV 프로그램과 연동한 상태에서, 퍼포머에 대한 투자를 모집할 수 있다. 종래, 신인 발굴 오디션 프로그램은 널리 알려져 있고, 무명의 아티스트가 일약 각광을 받는 계기가 되고 있었다. 그러한 신인 발굴 오디션 프로그램 중에는, 일반 시청자로부터의 투표로 승자를 결정하는 것도 있었지만, 투표한 시청자가 그 후에 담보를 얻는 것은 없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퍼포머 지원 시스템(500)에서는, 퍼포머에게 출자한 시청자(엔젤)는, 후일, 상기 퍼포머의 녹화 전달 수입의 적어도 일부를 배당으로서 얻을 수 있으므로, 퍼포머와 시청자의 양쪽 모두에 있어서 메리트가 있다.
[제6 실시 형태]
제6 실시 형태에서는, 녹화 전달부(13)에 VOD(Video On Demand)로서 기억된 퍼포먼스 녹화가, 소정의 기간을 경과한 시점에 미리 정해진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녹화 전달부(13)로부터 삭제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면, 퍼포먼스 녹화가 녹화 전달부(13)에 기록된 후, 녹화 전달부(13)는, (1)그 퍼포먼스 녹화에 대해 출자한 엔젤의 수, (2)그 퍼포먼스 녹화에 대한 엔젤로부터의 출자 총액, (3)그 퍼포먼스 녹화의 시청수(시청자수 또는 시청횟수), 등의 평가용 데이터를 집적(集積)한다. 덧붙여, (3)에서, 1개의 퍼포먼스 녹화의 시청수에는, 상기 퍼포먼스의 라이브 전달 중의 시청수를 합산해도 무방하다. 또한, 1명의 시청자가 동일한 퍼포먼스 녹화를 복수회 시청했을 경우에, 그 복수회 분의 시청수를 연장 횟수로서 합산해도 무방하다. 또한, 평가용 데이터는 상기의 (1)~(3)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임의의 평가용 데이터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녹화 전달부(13)는, 퍼포먼스 녹화가 녹화 전달부(13)에 기록되고 나서 소정의 기간(예를 들면, 1개월 등)이 경과한 시점에, 집적한 평가용 데이터에 근거해, 미리 정해진 평가 기준으로, 상기 퍼포먼스 녹화의 전달을 향후에도 계속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덧붙여, 소정의 기간으로는, 상기의 1개월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녹화 전달부(13)는,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는 퍼포먼스 녹화를 삭제하고, 퍼포머(및 엔젤)에게 통지한다. 이 통지는, 삭제 전이어도 무방하고, 삭제 후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소정의 기간을 경과한 후에, 일정한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는 퍼포먼스 녹화를 삭제함으로써, 녹화 전달부(13)의 용량이 무제한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는 퍼포먼스 녹화를 잘라버림으로써,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 내지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 상기의 소정의 기간 내에는, 배당 결정부(15)가, 배당의 분배를 실시하지 않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에 삭제되는 것이 결정된 퍼포먼스 녹화에 대해서, 엔젤로의 배당은 없다. 이와 같이, 평가 기준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된 후에 처음으로 배당의 분배가 실시되도록 하면,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고 삭제된 퍼포먼스에 관한 배당을, 나중에 되돌려 받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상술한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술한 실시의 형태를 적당히 변형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를 조합해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덧붙여, 여기에 개시한 발명은, 이하와 같이 설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구성에 따른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시청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이며, 퍼포먼스가 애드혹 전달되고 있는 동안 또는 상기 애드혹 전달 후의 소정 기간 내에, 애드혹 전달된 퍼포먼스가 나중에 수익을 내는 양태로 공개되었을 때의, 그 수익에 대한 배당권의 구입 신청을 시청자 단말로부터 접수하는 출자 접수부와, 상기 수익으로부터의, 배당권의 구입자에 대한 배당을 결정하는 배당 결정부를 갖추고, 상기 배당 결정부는, 배당권의 구입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각 구입자의 배당권의 지분 비율에 근거하여, 배당을 결정하고, 상기 배당권의 지분 비율은, 배당권의 구입 대가에 따라서 결정된다.
이 제1 구성에 의하면, 시청자는, 퍼포먼스의 애드혹 전달을 시청하고, 마음에 든 퍼포먼스에 대해서, 출자(배당권의 구입 신청)를 실시할 수 있다. 배당권의 구입자는, 애드혹 전달된 퍼포먼스가, 나중에 수익을 내는 양태로 공개되었을 경우에, 배당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각 구입자가 수취하는 배당은, 배당권의 지분 비율에 근거해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애드혹 전달된 퍼포먼스에 대해서 단발의 시청료 또는 지원금을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향후의 배당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 선행투자가 가능한,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관객을 모은 리얼한 라이브를 실시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시청자가 배당권을 구입할 때에 지불한 대가의 적어도 일부를, 퍼포머에게 지불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시스템에 의하면, 퍼포머와, 배당권의 구입자와의 양쪽 모두가, 애드혹 전달 시의 1회 한정이 아니라, 퍼포먼스의 후의 공개에 근거해, 계속적인 이익을 받게 된다.
제2 구성에 따른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은, 제1 구성에 있어서, 애드혹 전달은, 퍼포먼스의 라이브 중계이고, 수익을 내는 양태는, 라이브 중계의 녹화 전달이고, 상기 수익은, 녹화 전달에 대한 시청료 또는 녹화 전달 시의 광고료이다.
이 제2 구성에서는, 퍼포먼스의 라이브 중계를 애드혹 전달함으로써, 라이브 중계를 본 시청자로부터, 출자자(엔젤)를 모집할 수 있다. 또한, 퍼포먼스의 라이브 중계를 녹화해 두고, 후일에 녹화 전달을 실시함으로써, 녹화 전달의 시청료 또는 광고료를 원자(原資)로서, 퍼포머 및 엔젤의 양쪽 모두에, 계속적인 이익 배분을 실시할 수 있다.
제3 구성에 따른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은, 제1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배당권은, 퍼포먼스가 나중에 수익을 내는 양태로 공개될 때에 광고를 부여할 권리이고, 상기 배당 결정부는, 배당권의 구입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각 구입자의 배당권의 지분 비율에 근거하여, 광고의 출현 빈도를 결정한다.
제3 구성에서는, 애드혹 전달을 본 광고주가, 마음에 든 퍼포먼스의 배당권을 구입함으로써, 그 퍼포먼스 후의 공개 시에, 광고를 부여할 권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배당권의 구입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배당권의 지분 비율에 따라서, 광고의 출현 빈도가 결정되므로, 배당권자의 사이에서의 공평성을 담보할 수 있다.
제4 구성에 따른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은, 제1~ 제3의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퍼포먼스가 복수의 퍼포머의 그룹에 의해서 피로(披露)되고, 상기 출자 접수부는, 그룹 내의 복수의 퍼포머의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출자를 접수하고, 상기 배당 결정부는, 그룹 전체에 대한 출자 총액에 대한 각각의 퍼포머에 대한 출자액의 비율에 근거하여, 배당을 결정한다.
제4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퍼포머로 구성되는 그룹에 대해서, 마음에 드는 특정 퍼포머에 대해 개별적으로 지원을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지원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것과 함께, 인기가 높은 퍼포머에 대한 이익 배분이 커지므로, 퍼포머의 모티베이션(Motivation) 향상에도 이어진다.
제5 구성에 따른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은, 제1~ 제4의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출자 접수부가, 두 단계 옥션을 실시해, 배당권의 구입자를 결정하고, 상기 두 단계 옥션은, 출자를 신청한 시청자 중에서, 제2 단계 옥션에의 참가자를 선택하는 제1 단계 옥션과, 제1 단계 옥션에서 선택된 참가자 만으로 비공개 옥션을 실시해, 배당권의 구입자를 결정하는 제2 단계 옥션을 포함한다.
제5 구성에 의하면, 배당권의 구입자를 좁힐 필요가 있는 경우에, 두 단계 옥션을 실시한다. 즉, 제1 단계에서 선택된 참가자 만으로 제2 단계의 비공개 옥션을 실시해, 배당권의 구입자를 결정하므로, 낙찰자 및 낙찰액을 은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낙찰액이 공개된 것에 의해, 퍼포머에 대한 개런티에 대해 사실상의 시세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낙찰자의 프라이버시도 지켜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6 구성에 따른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은, 제1~ 제5의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시청자 단말에 퍼포먼스를 애드혹 전달하는 애드혹 전달부를 더 갖추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퍼포머가 스스로의 퍼포먼스 동영상 등을 이 시스템에 업로드함으로써, 시스템으로부터의 애드혹 전달이 가능해진다.
제7 구성에 따른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은, 제1~ 제5의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애드혹 전달이 텔레비전 방송국에 의해 TV 프로그램으로서 방송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TV 프로그램과의 연동에 의해, 배당권의 구입자를 모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8 구성에 따른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은, 제1~ 제7의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가, 상기 퍼포먼스에 대한 평가용 데이터를 집적하고,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평가용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퍼포먼스가 미리 정해진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는 퍼포먼스의 기록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삭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데이터 기억부의 기억용량이 계속해서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는 퍼포먼스를 잘라버림으로써, 양질의 퍼포먼스 만이 제공되므로,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 내지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한 시청자 단말에, 퍼포먼스를 애드혹 전달하는 단계와, 애드혹 전달된 퍼포먼스가 나중에 수익을 내는 양태로 공개되었을 때의, 그 수익에 대한 배당권의 구입 신청을 시청자 단말로부터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수익으로부터의, 배당권의 구입자에 대한 배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당은, 배당권의 구입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각 구입자의 배당권의 지분 비율에 근거해 결정되고, 상기 배당권의 지분 비율은, 배당권의 구입 대가에 따라서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한 시청자 단말에, 퍼포먼스를 애드혹 전달하는 단계와, 애드혹 전달된 퍼포먼스가 나중에 수익을 내는 양태로 공개되었을 때의, 그 수익에 대한 배당권의 구입 신청을 시청자 단말로부터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수익으로부터의, 배당권의 구입자에 대한 배당을 결정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며, 상기 배당은, 배당권의 구입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각 구입자의 배당권의 지분 비율에 근거해 결정되고, 상기 배당권의 지분 비율은, 배당권의 구입 대가에 따라서 결정된다.
또한, 상기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도, 본 발명의 일 양태이다.
100 … 퍼포머 지원 시스템,
10 … 네트워크,
11 … 라이브 중계부,
12 … 출자 접수부,
13 … 녹화 전달부,
14 … 과금부,
15 … 배당 결정부,
16 … 통신부,
17 … 데이터 기억부,
301 … 단말,
302 … 단말

Claims (9)

  1. 네트워크를 통해 시청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퍼포먼스를 애드혹 전달하는 라이브 중계부와,
    상기 퍼포먼스가 애드혹 전달되고 있는 동안 또는 상기 애드혹 전달 후의 소정 기간 내에, 상기 애드혹 전달된 퍼포먼스의 기록 데이터가 나중에 수익을 내는 양태로 공개되었을 때의, 그 수익에 대한 배당권의 구입 신청을, 상기 애드혹 전달되고 있는 퍼포먼스를 시청한 시청자의 시청자 단말로부터 접수하는 출자 접수부와,
    상기 애드혹 전달된 퍼포먼스의 기록 데이터를 수익용 컨텐츠로서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해 두고, 상기 수익용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독출하여, 수익을 내는 양태로 상기 네트워크 상에서 공개하는 전달부와,
    상기 수익용 컨텐츠의 공개에 의해서 얻어진 수익으로부터의, 배당권의 구입자에 대한 배당을 결정하는 배당 결정부
    를 갖추고,
    상기 배당 결정부는,
    배당권의 구입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각 구입자의 배당권의 지분 비율에 근거하여, 배당을 결정하고,
    상기 배당권의 지분 비율은, 배당권의 구입 대가에 따라서 결정되는,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은, 상기 수익용 컨텐츠의 공개에 대한 시청료 또는 상기 수익용 컨텐츠의 공개 시의 광고료인,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당권은, 상기 수익용 컨텐츠가 나중에 수익을 내는 양태로 공개될 때에 광고를 부여할 권리이고,
    상기 배당 결정부는,
    배당권의 구입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각 구입자의 배당권의 지분 비율에 근거하여, 광고의 출현 빈도를 결정하는,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퍼포먼스가 복수의 퍼포머의 그룹에 의해서 피로(披露)되고,
    상기 출자 접수부는,
    그룹 내의 복수의 퍼포머의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출자를 접수하고,
    상기 배당 결정부는,
    그룹 전체에 대한 출자 총액에 대한 각각의 퍼포머에 대한 출자액의 비율에 근거하여, 배당을 결정하는,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자 접수부가,
    두 단계 옥션을 실시해, 배당권의 구입자를 결정하고,
    상기 두 단계 옥션은,
    출자를 신청한 시청자 중에서, 제2 단계 옥션에의 참가자를 선택하는 제1 단계 옥션과,
    제1 단계 옥션에서 선택된 참가자 만으로 비공개 옥션을 실시해, 배당권의 구입자를 결정하는 제2 단계 옥션
    을 포함하는,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퍼포먼스에 대한 평가용 데이터를 집적하고,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평가용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퍼포먼스가 미리 정해진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는 퍼포먼스의 기록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삭제하는,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
  7. 네트워크를 통해 시청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인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는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방법에 있어서,
    퍼포먼스를 애드혹 전달하는 단계와,
    퍼포먼스가 애드혹 전달되고 있는 동안 또는 상기 애드혹 전달 후의 소정 기간 내에, 애드혹 전달된 퍼포먼스의 기록 데이터가 나중에 수익을 내는 양태로 공개되었을 때의, 그 수익에 대한 배당권의 구입 신청을, 상기 애드혹 전달되고 있는 퍼포먼스를 시청한 시청자의 시청자 단말로부터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애드혹 전달된 퍼포먼스의 기록 데이터를 수익용 컨텐츠로서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해 두고, 상기 수익용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독출하여, 수익을 내는 양태로 상기 네트워크 상에서 공개하는 단계와,
    상기 수익용 컨텐츠의 공개에 의해서 얻어진 수익으로부터의, 배당권의 구입자에 대한 배당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배당은, 배당권의 구입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각 구입자의 배당권의 지분 비율에 근거해 결정되고,
    상기 배당권의 지분 비율은, 배당권의 구입 대가에 따라서 결정되는,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방법.
  8. 네트워크를 통해 시청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인 컴퓨터에,
    퍼포먼스를 애드혹 전달하는 단계와,
    퍼포먼스가 애드혹 전달되고 있는 동안 또는 상기 애드혹 전달 후의 소정 기간 내에, 애드혹 전달된 퍼포먼스의 기록 데이터가 나중에 수익을 내는 양태로 공개되었을 때의, 그 수익에 대한 배당권의 구입 신청을, 상기 애드혹 전달되고 있는 퍼포먼스를 시청한 시청자의 시청자 단말로부터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애드혹 전달된 퍼포먼스의 기록 데이터를 수익용 컨텐츠로서 데이터 기억부에 기록해 두고, 상기 수익용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독출하여, 수익을 내는 양태로 상기 네트워크 상에서 공개하는 단계와,
    상기 수익용 컨텐츠의 공개에 의해서 얻어진 수익으로부터의, 배당권의 구입자에 대한 배당을 결정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배당은, 배당권의 구입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각 구입자의 배당권의 지분 비율에 근거해 결정되고,
    상기 배당권의 지분 비율은, 배당권의 구입 대가에 따라서 결정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9. 제8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1020227045492A 2020-05-29 2021-05-27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 KR202300178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94041 2020-05-29
JP2020094041 2020-05-29
JP2020136630A JP6820627B1 (ja) 2020-05-29 2020-08-13 先行投資型パフォーマー支援システム
JPJP-P-2020-136630 2020-08-13
PCT/JP2021/020159 WO2021241675A1 (ja) 2020-05-29 2021-05-27 先行投資型パフォーマー支援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827A true KR20230017827A (ko) 2023-02-06

Family

ID=7420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492A KR20230017827A (ko) 2020-05-29 2021-05-27 선행투자형 퍼포머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6820627B1 (ko)
KR (1) KR20230017827A (ko)
CN (1) CN115917582A (ko)
TW (1) TW202203135A (ko)
WO (1) WO202124167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346A (ja) 2000-04-24 2001-11-02 Koichi Tamaki 動画配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471A (ja) * 2000-05-12 2001-11-22 Tohoku Ricoh Co Ltd アーティスト支援方法、アーティスト支援システム、アーティスト支援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著作物データ記録装置並びに記録媒体
KR20090004400A (ko) * 2007-01-02 2009-01-12 주식회사 셀런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시스템 및 방법
JP2010166491A (ja) * 2009-01-19 2010-07-29 Sharp Corp 放送情報処理装置、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放送情報処理方法、放送情報処理システム、広告システム、画像データならびに放送詳細情報取得指示装置
JP6664726B1 (ja) * 2019-09-11 2020-03-13 アカメディア・ジャパン株式会社 オークション管理システム、オークション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346A (ja) 2000-04-24 2001-11-02 Koichi Tamaki 動画配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90053A (ja) 2021-12-13
CN115917582A (zh) 2023-04-04
WO2021241675A1 (ja) 2021-12-02
JP2021190080A (ja) 2021-12-13
TW202203135A (zh) 2022-01-16
JP6820627B1 (ja)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92215A1 (en) Publication of User-Generated Ticker
US7603321B2 (e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coupling live event ticketing and interactive entries with the sale, distribution and transmission of event recordings, mastering system and intelligent terminal designs
US20070156443A1 (en) Electronic System and Apparatuses Coupling Ticketing on Mobile Devices with Event Sponsorship and Interaction
US201001384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over a network
US20070174385A1 (en) Computer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establishing, managing, evaluating, classifying and storing on a server a set of server client digital media files under direct control of server client for delivery to third parties
US20110022462A1 (en) Digital cinema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targeting films and advertising
US20070168485A1 (en) Computer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establishing, managing, evaluating, classifying and storing on a server a set of server client digital media files under direct control of server client for delivery to third parties
JP5457591B1 (ja) オークション装置、オークション方法及びオークションプログラム
JP2005128478A (ja) 映像による商品広告方法およびシステム並びに広告配信システム
JP5936587B2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Gershon et al. Telecommunications Management
JP5706929B2 (ja) オークション装置、オークション方法及びオークションプログラム
JP5710798B2 (ja) オークション装置、オークション方法及びオークションプログラム
KR20120010219A (ko) 개인 방송 홈페이지 시스템
JP6820627B1 (ja) 先行投資型パフォーマー支援システム
KR102271749B1 (ko) 라이브 언택트 스튜디오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JP2016167271A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JP5710799B2 (ja) コンテンツ生成装置、コンテンツ生成方法及びコンテンツ生成プログラム
JP5793537B2 (ja) オークション装置、オークション方法及びオークションプログラム
CN113095860A (zh) 资源投放的信息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系统
JP2018032441A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Nurse et al. The cultural industries in CARICOM
CA3200392A1 (en) Media processing methods and systems
JP6165639B2 (ja) オークション装置、オークション方法及びオークションプログラム
Pasadilla et al. Audiovisual Services Sector: Can the Philippines Follow" Bollyw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