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400A -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400A
KR20090004400A KR1020080000348A KR20080000348A KR20090004400A KR 20090004400 A KR20090004400 A KR 20090004400A KR 1020080000348 A KR1020080000348 A KR 1020080000348A KR 20080000348 A KR20080000348 A KR 20080000348A KR 20090004400 A KR20090004400 A KR 20090004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d
content
information
subscriber
inve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런
주식회사 프리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런, 주식회사 프리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런
Publication of KR20090004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 사업자의 투자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컨텐츠; 펀드; 컨텐츠 펀드;

Description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시스템 및 방법{DIGITAL CONTENTS FU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ONLINE}
본 발명은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 사업자의 투자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공지된 온라인 기반의 펀드 운용시스템 및 방법의 예로는 한국특허 제365,195호, 한국특허 제364,454호, 한국특허 제406,018호를 들 수 있다.
먼저, 상기 한국특허 제365,195호는 네트워크상에서 각 컴퓨터 사용자들이 각종 수익증권의 구매 및 뮤추얼 펀드 청약을 위한 거래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허는 불특정 다수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수익증권 및 뮤추얼 펀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와 접속한 후 사용자들의 수익증권 매수 또는 뮤추얼 펀드 청약 선택에 따라 서버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수익증권 또는 뮤추얼 펀드의 상품 정보를 입력받아 수익증권 매수 윈도우 또는 뮤 추얼 펀드 청약 윈도우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수익증권 매수 윈도우 또는 뮤추얼 펀드 청약 윈도우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특정 수익증권 또는 뮤추얼 펀드의 상품선택 데이터, 사용자 인증 데이터, 출금계좌 및 매수금액 선택 데이터, 투자 설명서 조회 및 동의 데이터, 최종 확인 데이터를 서버 컴퓨터로 출력하는 복수의 사용자 컴퓨터; 및 복수의 수익증권 또는 뮤추얼 펀드의 상품 정보 및 투자 설명서와 사용자들의 인증 데이터 및 출금계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고, 사용자의 수익증권 매수 또는 뮤추얼 펀드 청약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복수의 수익증권 또는 뮤추얼 펀드의 상품 정보를 해당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하고, 특정 수익증권 또는 뮤추얼 펀드 상품을 선택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증 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사용자의 출금계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해당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하고, 해당 사용자에 의해 출금계좌 및 매수금액이 선택된 후 투자 설명서 조회가 요청되면 해당 수익증권 또는 뮤추얼 펀드의 투자 설명서를 출력하며, 해당 사용자의 투자 설명서 동의 및 최종 확인에 따라 수익증권 매수 또는 뮤추얼 펀드 청약을 수행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수익증권 및 뮤추얼 펀드 거래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특허 제364,454호는 경매대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지급 또는 후지불할 수 있도록 하는 경매펀드 운영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허는 네트워크망에 의해 접속된 복수의 입찰자 단말, 복수의 피입찰자 단말, 경매를 중계하는 경매서버, 인터넷 뱅킹서버로 구성된 기존의 네트워크 시스 템에 있어서, 상기 경매서버는 상기 입찰자 단말로부터 수령한 경매물품의 가격과, 실제 창고에 입고된 물품의 품질에 근거하여 경매물품에 대한 판매대금의 일부를 낙찰전에 상기 입찰자에게 미리 지급하도록 상기 인터넷 뱅킹서버에 요청하는 판매대금 선지급 요청수단과; 상기 경매물품을 온라인상에 공개하고, 상기 복수의 피입찰자 단말로부터 응찰정보를 수령하여 경매물품의 낙찰을 유도하는 경매관리수단과; 상기 경매물품의 낙찰성립시 상기 피입찰자의 신용정보에 근거하여 구매대금의 입금과 상관없이 상기 구매대금을 상기 경매물품의 입찰자에게 지급하도록 상기 인터넷 뱅킹서버에 요청하는 구매대금 지급 요청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매펀드 운영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한국특허 제406,018호는 인터넷에서의 무체재산권 펀드 운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허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검색하고, 사용자가 그 데이터를 수행하도록 한 단말장치;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각 장치를 동작하게 하는 운영시스템; 상기 운영시스템에 의해 운영되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요구된 데이터를 전송하며 사용자가 등록한 데이터를 평가하여 관리 및 운용 저장하는 인터넷상에서 무체재산권 펀드 운용을 관리하며 그 투자 포트폴리오 데이터를 관리하는 무체재산권 펀드 운용 수단을 포함하는 펀드운영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의 무체재산권 펀드 운용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한편, 상기 특허들 이외에 한국특허 제358.487호에서는 사이버머니를 이용한 펀드 운용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허는 펀드 정보를 제공하 고, 체결된 금융 거래 조건하에서 펀드 업무를 수행하는 펀드 업체 서버; 제휴 업체의 상품 정보 및 상기 제휴 업체의 이용 실적에 따라 제공되는 사이버 머니 정보를 공급하는 제휴 업체 서버; 상기 펀드 정보 및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한 사용자의 설정 정보 및 사용자의 고객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컴퓨터; 상기 제휴 업체와의 거래를 통해 사용자별로 적립된 상기 사이버 머니를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화된 사이버 머니를 사용가능한 금전적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사용자 설정 정보 및 사용자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금전적 정보를 상기 펀드 업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펀드 업체 서버로부터 재테크가 이루어진 결과에 기초한 수익성 금전에 상응한 정보를 생성하는 운영자 서버; 및 상기 운영자 서버로부터 생성된 상기 수익성 금전에 상응한 정보를 현금으로 환산하여 이체할 수 있도록 이미 금융 거래가 체결된 은행 관리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드백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다양한 펀드 운용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들이 제안되었으나, 디지털 컨텐츠의 합리적 운용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은 제안되고 있지 아니하다. 특히,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 사업자의 투자위험을 감소시키고, 디지털 컨텐츠, 특히 디지털 영화 컨텐츠 또는 디지털 게임 컨텐츠를 기반으로 한 일반투자자의 모집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은 제안되지 않고 있다.
지난 몇 년간 국내 영화가 흥행에 성공하면서 국내에도 영화 제작비에 투자하는 영화펀드가 인기를 모았다. 종래의 영화펀드는 시나리오와 출연배우, 감독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고 영화제작 비용을 마련하기 자본가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투자자를 모집하고, 향후 수익이 발행하면 분배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최근 국내 영화가 조금씩 부진해지고, 스크린쿼터 제도의 시행으로 더욱 국내영화가 위축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온라인을 통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의 보호가 점차 강화되고, 온라인 컨텐츠의 합리적 이용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됨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IPTV의 도입을 앞두고 있는 인터넷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회사들은 고객 흡입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양질의 최신 영화를 수급하고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이에 따라 영화 컨텐츠를 소유하고 있는 판권자는 새로운 수익모델로서 접근하며 점점 높은 가격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극장 개봉 후 DVD, 비디오 시장, 그리고 인터넷 사업자 순으로 배급되던 관행이 점차 극장 개봉 직후나 동시 개봉 또는 극장 개봉 전에도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시장이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고가의 판권료가 요구되며, 극심한 수급 경쟁으로 인해 인터넷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회사들은 컨텐츠 판권 확보에 점점 더 많은 자본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 사업자의 투자위험을 절감시키면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일반 투자자의 참여를 합리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요청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일반 투자자의 참여를 합리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라인을 통해 소액의 투자자들에게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합리적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컨텐츠 펀드에 가입 및 투자하는 각 가입자가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가입자 단말기,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이 등록한 컨텐츠에 대하여 컨텐츠 펀드를 생성하고 펀드 투자자를 유치하여 펀드를 운용하는 펀드 운용 시스템 및 펀드 운용 시스템에 컨텐츠 펀드를 운용할 컨텐츠를 등록하고 상기 컨텐츠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을 포함하는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시스템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시스템 및 방법은, 컨텐츠 서비스 사업자가 보다 빠르게 투자자금을 회수할 수 있으며, 투자자는 해당 컨텐츠의 성공에 따른 수익금을 정해진 기간마다 받을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컨텐츠 서비스 사업자는 투자자를 대신해서 컨텐츠를 활용할 수 있으며, 투자자금을 빠르게 회수함으로써 자금 유동성이 개선되므로 다른 컨텐츠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투자자는 컨텐츠에 쉽게 투자할 수 있으며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및 연동관계를 도시한 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시스템의 구성은, 컨텐츠 펀드에 가입 및 투자하는 각 가입자가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가입자 단말기(10),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이 등록한 컨텐츠에 대하여 컨텐츠 펀드를 생성하고 펀드 투자자를 유치하여 펀드를 운용하는 펀드 운용 시스템(20) 및 펀드 운용 시스템에 컨텐츠 펀드를 운용할 컨텐츠를 등록하고 상기 컨텐츠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 텐츠 펀드는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이 제작/서비스/운영하는 컨텐츠에 투자하는 펀드로서, 다수의 가입자로부터 투자금을 유치하여 상기 컨텐츠에 투자하고 상기 컨텐츠를 통해 발생한 수익을 투자한 가입자에게 배분하는 개념의 펀드이다. 이때, 컨텐츠 펀드가 생성되는 컨텐츠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다른 컨텐츠 서비스 사업자에게 판매되어 수익을 발생할 수 있는 컨텐츠로서, 예를 들어 게임, 영화, 음악, TV 컨텐츠, UCC 및 소설 등 다양한 컨텐츠가 포함된다.
가입자 단말기(10)는, 펀드 운용 시스템(20)에 의해 운용되는 컨텐츠 펀드에 가입 및 투자하는 가입자가 구비하는 단말기로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펀드 운용 시스템에 접속하여 펀드 운용 시스템으로부터 이벤트 정보(컨텐츠 펀드 가입에 대한 홍보성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가입자의 입력 및 선택을 펀드 운용 시스템에 전송한다. 가입자 단말기(10)로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출력장치 및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단말기이면 별도의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한데, 예를 들어 컴퓨터, 셋톱박스, 휴대전화, PDA, 네비게이션 및 DMB 단말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가입자가 컨텐츠 펀드에 가입 후 투자를 위하여 투자금을 펀드 운용 시스템(20)에 예치하게 되는데, 이때 투자금의 입금 및 계좌이체를 위하여 가입자 단말기(10)에는 공인인증서 등 가입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펀드 운용 시스템(20)은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으로부터 컨텐츠 펀드 운용을 원하는 컨텐츠를 등록받아 해당 컨텐츠에 대한 펀드를 생성한 후, 투자자를 유치하고 투자금을 받아서 컨텐츠 펀드를 운용하는 시스템이다. 펀드 운용 시스 템(20)은, 컨텐츠 관리부(21), 펀드 생성부(22), 이벤트 정보 발생부(23), 가입자 관리부(24), 펀드 운용부(25),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6),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7) 및 펀드 정보 데이터베이스(28)를 포함한다. 각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컨텐츠 관리부(21)는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이 등록한 컨텐츠에 대하여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6)에 등록 및 저장한 후 각 컨텐츠를 유지 및 관리한다.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6)에 저장되는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이 등록 및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되는데, 구체적으로 컨텐츠 식별정보, 컨텐츠 종류, 컨텐츠 이름, 컨텐츠 개요정보 및 컨텐츠 사업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한다. 컨텐츠 식별정보는 각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값으로서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이 컨텐츠를 등록할 때 컨텐츠 관리부(21)에 의해 부여된다. 컨텐츠 종류 및 컨텐츠 이름은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이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및 저장된다. 컨텐츠 개요정보는 해당 컨텐츠를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보로서, 시놉시스, 프리뷰 및 줄거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컨텐츠 사업자 식별정보는 해당 컨텐츠를 등록하는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나타낸다. 한편,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6)에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이 등록한 컨텐츠를 저장하거나 상기 컨텐츠가 저장된 주소(접속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펀드 생성부(22)는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이 등록한 컨텐츠에 대하여 컨 텐츠 펀드를 생성한 후, 펀드 정보를 펀드 정보 데이터베이스(28)에 저장한다. 펀드 정보 데이터베이스(28)에 저장되는 펀드 정보는 각 컨텐츠 펀드의 펀드 식별정보, 펀드 운용정보 및 펀드 실적정보 등을 포함한다. 펀드 식별정보는 각 컨텐츠 펀드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값으로서 컨텐츠 펀드 생성시 펀드 생성부(22)에 의해 부여된다. 또한, 펀드 운용정보는, 컨텐츠 식별정보, 컨텐츠 사업자 식별정보, 펀드 수수료, 배당이율 정보, 환매수수료 및 기타 펀드운용을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컨텐츠 식별정보 및 컨텐츠 사업자 식별정보는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6)에 저장되는 값과 동일한 값으로서, 각 컨텐츠 펀드에 대한 컨텐츠의 상세정보는 컨텐츠 식별정보를 키 값으로 하여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펀드 수수료는 펀드 운용 시스템(20)에 컨텐츠를 등록하는 각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과 컨텐츠 펀드에 투자하는 각 가입자에게 부과되는 수수료이고, 배당이율 정보는 각 컨텐츠의 운영실적에 따라 각 가입자에게 수익을 배당하기 위한 기준정보이다. 이때, 펀드 운용정보는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과의 약정 또는 펀드 운용 시스템의 자체적인 기준에 따라 생성된다. 또한, 펀드 실적정보는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이 해당 컨텐츠를 운영하여 발생한 매출 및 수익에 대한 정보로서,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기간 단위로 제공받는다.
이벤트 정보 발생부(23)는 펀드 생성부(22)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펀드를 각 가입자에게 안내하고 펀드 가입을 유도하기 위하여 펀드 정보 데이터베이스(28)와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6)를 참조하여 홍보성 이벤트 정보를 생성 및 전송한다. 이때, 이벤트 정보는, 펀드 운용 시스템(20)의 전체 가입자 또는 일반 투자자 를 대상으로 해당 컨텐츠 펀드에 예비 가입할 예비 투자자를 모집하기 위한 제 1 이벤트 정보와, 해당 컨텐츠 펀드의 예비 투자자를 대상으로 해당 컨텐츠 펀드에 실제 가입 및 투자할 펀드 투자자를 모집하기 위한 제 2 이벤트 정보를 포함한다. 제 1 이벤트 정보는 펀드 운용 시스템(30)에 가입된 전체 가입자 또는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생성 및 전송되며, 해당 컨텐츠 펀드를 각 가입자에게 홍보하고 가입을 유치하기 위한 일종의 광고 정보이다. 제 1 이벤트 정보에는, 해당 컨텐츠 펀드에 대하여 개략적인 정보를 소개하기 위하여, 해당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 이름 및 컨텐츠 개요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제 1 이벤트 정보에 해당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의 이름 및 배당이율 정보 등과 같이 펀드 운용정보 중 개략적인 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이벤트 정보는 이메일, SMS 또는 MMS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 가입자가 제 1 이벤트 정보에 응답하여 펀드 운용 시스템(20)에 접속 및 해당 컨텐츠 펀드에의 예비 가입을 신청할 수 있도록 콜 백 유알엘(Call Back URL) 등의 형태로 펀드 운용 시스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제 1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 가입자가 이에 응답하여 해당 컨텐츠 펀드의 예비 투자자로 예비 가입하면, 이벤트 정보 발생부(23)는 예비 투자자를 대상으로 제 2 이벤트 정보를 생성 및 전송한다. 제 2 이벤트 정보는 해당 컨텐츠 펀드의 예비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여 해당 컨텐츠 펀드에 실제로 가입 및 투자할 펀드 투자자를 모집하기 위한 광고 정보이다. 이벤트 정보 발생부(23)는 제 2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때 제 2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예비 투자자가 해당 컨텐츠 펀드의 가입 여부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해당 컨텐츠를 함께 제공하도록 한다. 이때, 해당 컨텐츠가 불법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비 투자자가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 상에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해당 컨텐츠가 영화, 음악 또는 TV 컨텐츠 등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방식이 아닌 단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고, 소설 등의 경우 역시 해당 컨텐츠를 사용자가 복사할 수 없도록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이벤트 정보에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여 내용을 볼 수 있는 링크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링크를 통해 예비 투자자가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여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가입자 관리부(24)는 각 가입자의 정보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7)에 저장 및 관리하는 구성부로서, 가입자 관리부는 펀드 운용 시스템(20)에 가입한 일반 가입자, 특정 컨텐츠 펀드에 대한 예비 투자자 및 특정 컨텐츠 펀드에 실제 가입 및 투자한 펀드 투자자를 별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7)에 저장되는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 식별정보, 가입자 신상정보, 인증정보 및 투자정보를 포함한다. 가입자 식별정보는 펀드 운용 시스템(20)에 가입한 각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가입자의 ID 등을 포함한다. 가입자 신상정보는 각 가입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및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한다. 인증정보는 각 가입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이다. 투자정보는 각 가입자가 컨텐츠 펀드에 가입 및 투자한 정보로서, 가입자가 예비 가입한 컨텐츠 펀드의 펀드 식별정보(예비 투자 펀드 식별정보), 가입자가 가입 및 투자한 컨텐츠 펀드의 펀드 식별정보(투자 펀드 식별정보), 해당 가입자의 각 컨텐츠 펀드별 수익률 정보 및 펀드계좌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때, 펀드계좌정보는 해당 펀드 투자자가 가입 및 투자한 컨텐츠 펀드마다 별도로 생성되는 펀드계좌에 대한 정보로서, 펀드 투자자가 각 컨텐츠 펀드에 입금한 투자금 및 각 컨텐츠 펀드의 운용에 따라 해당 펀드 투자자에게 배분된 수익 등이 처리되는 계좌에 대한 정보이다.
펀드 운용부(25)는 펀드 생성부(22)에 의해 생성된 각 컨텐츠 펀드를 운용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펀드 운용부(25)는 각 펀드 투자자가 투자한 투자금을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에 제공하고, 각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통해 발생한 매출 및 수익 등의 보고를 수신하여 펀드 정보 데이터베이스(28)에 펀드 실적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펀드 운용부(25)는, 펀드 정보 데이터베이스(28)의 배당이율 정보 및 펀드 실적정보와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7)의 투자정보를 이용하여 각 펀드 투자자의 수익률을 산출한 후, 펀드 운영에 따른 수익을 각 가입자에게 배분한다.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은 펀드 운용 시스템(20)에 컨텐츠를 등록하고 상기 컨텐츠를 제작/서비스/운영하는 사업자의 시스템이다.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은 자신이 등록한 컨텐츠에 대하여 생성된 해당 컨텐츠 펀드에 투자한 펀드 투자자로부터 투자받은 투자금을 펀드 운용 시스템(20)으로부터 제공받아 해당 컨텐츠를 운영하고, 해당 컨텐츠의 운영에 따른 매출 및 수익 발생 실적을 일정 기간마다 펀드 운용 시스템(20)에 보고한다. 또한,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은 펀드 운용 시스템(20)과 미리 약정된 계약에 의해 해당 컨텐츠를 통해 발생한 수익 중 일정분을 펀드 투자자에게 배분할 수 있도록 펀드 운용 시스템(20)에 제공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과정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각 가입자가 가입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펀드 운용 시스템(20)에 접속한 후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하면, 펀드 운용 시스템(20)의 가입자 관리부(24)는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7)에 가입자 정보를 등록 및 저장한다(ST100, ST102). 구체적으로, 가입자 관리부(24)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7)에 해당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레코드를 생성한 후, ID 등의 가입자 식별정보, 가입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및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하는 가입자 신상정보 및 인증정보를 저장하고, 투자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를 생성한다.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이 펀드 운용 시스템(20)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등록하고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면, 컨텐츠 관리부(21)는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6)에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등록 및 저장한다(ST104, ST106). 구체적으로, 컨텐츠 관리부(21)는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6)에 해당 컨텐츠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레코드를 생성하고, 해당 컨텐츠에 대하여 컨텐츠 식별정보를 부여한 후, 컨텐츠 식별정보, 컨텐츠 종류, 컨텐츠 이름, 컨텐츠 개요정보 및 컨텐츠 사업자 식별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컨텐츠 개요정보는 해당 컨텐츠의 개략적인 정보로서, 시놉시스, 프리부 및 줄거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으로부터 제공받아 저장된다. 한편, 컨텐츠 관리부(21)는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이 등록한 컨텐츠를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6)에 추가로 저장하거나, 해당 컨텐츠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주소(접속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컨텐츠 관리부(21)에 의해 컨텐츠 등록이 완료되면, 펀드 생성부(22)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펀드를 생성한다(ST108). 이때, 컨텐츠 펀드의 생성은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과의 약정 또는 펀드 운용 시스템(20)의 자체적인 기준에 의해 이루어진다. 펀드 생성부(22)는 생성된 컨텐츠 펀드에 대한 정보를 펀드 정보 데이터베이스(28)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펀드 생성부(22)는 펀드 정보 데이터베이스(28)에 해당 컨텐츠 펀드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레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펀드에 대하여 펀드 식별정보를 부여한 후, 해당 컨텐츠 펀드의 펀드 식별정보, 해당 컨텐츠의 식별정보, 컨텐츠 사업자 식별정보, 펀드 수수료, 배당이율 정보, 환매수수료 및 기타 펀드 운용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펀드 운용정보를 저장하고, 펀드 실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를 생성한다.
펀드 생성부(22)는 생성된 컨텐츠 펀드에 대하여 펀드 생성 및 그 내역을 안내하기 위한 정보를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으로 전송한다(ST110, ST112).
컨텐츠 펀드가 생성되면, 이벤트 정보 발생부(23)는 생성된 컨텐츠 펀드의 가입을 유도하기 위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우선, 이벤트 정보 발생부(23)는 해당 컨텐츠 펀드의 개략적인 정보를 소개하면서 컨텐츠 펀드에 대한 예비 투자자를 모집하기 위한 제 1 이벤트 정보를 생성 하고, 펀드 운용 시스템(20)의 전체 가입자 또는 일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제 1 이벤트 정보를 전송한다(ST114). 이때, 제 1 이벤트 정보와 함께 해당 컨텐츠의 개략적인 정보가 전송되는데, 예를 들어 해당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 이름 및 컨텐츠 개요정보가 제 1 이벤트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이벤트 정보에 해당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의 이름 및 배당이율 정보 등을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제 1 이벤트 정보는 이메일, SMS 또는 MMS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제 1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 가입자가 이에 응답하여 펀드 운용 시스템(2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콜 백 유알엘(Call Back URL) 등의 형태로 펀드 운용 시스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제 1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 가입자는 해당 컨텐츠 펀드에 예비 가입할지 여부를 결정한다(ST116, ST118). 가입자가 해당 컨텐츠 펀드의 예비 가입을 결정하면, 가입자 단말기(10)로부터 해당 컨텐츠 펀드의 예비 가입 신청이 전송되고, 펀드 운용 시스템(20)의 가입자 관리부(24)는 예비 가입 신청한 각 가입자를 해당 컨텐츠 펀드의 예비 투자자로 그룹핑하여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 가입자 단말기(10)로부터 제 1 이벤트 정보에 응답하여 컨텐츠 펀드 예비 가입 신청이 수신되면, 가입자 관리부(24)는 해당 가입자에 대하여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7)의 투자정보 중 예비 투자 펀드 식별정보 필드에 해당 컨텐츠 펀드의 식별정보를 저장한다(ST120, ST122).
이벤트 정보 발생부(23)는 제 1 이벤트 정보에 응답하여 해당 컨텐츠 펀드에 예비 가입한 예비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여, 제 2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한 다(ST124). 이때, 해당 컨텐츠 펀드의 예비 투자자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7) 중 예비 투자 펀드 식별정보 필드에 해당 컨텐츠 펀드의 펀드 식별정보가 저장된 가입자를 추출함으로써 필터링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펀드의 예비 투자자의 해당 컨텐츠 펀드 가입 여부 결정을 돕기 위하여, 제 2 이벤트 정보와 함께 해당 컨텐츠를 컨텐츠 펀드의 예비 투자자에게 제공하는데, 컨텐츠의 불법적인 다운로드 및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방식이 아닌 스트리밍 방식이나 특정 웹사이트에서만 열람이 가능한 방식으로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제 2 이벤트 정보 역시 이메일, SMS 또는 MMS 등으로 전송되며, 이를 수신한 예비 투자자의 응답을 위하여 펀드 운용 시스템(20)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이벤트 정보에 해당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링크를 제공한 후, 제 2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 예비 투자자가 상기 링크를 통해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컨텐츠 관리부(21)에 의해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벤트 정보 발생부(23)는 일정 주기마다 해당 컨텐츠 펀드의 예비 투자자를 필터링하여 제 2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거나, 해당 컨텐츠의 예비 투자자가 발생할 때마다 제 2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 1 이벤트 정보 전송시 해당 컨텐츠 펀드의 예비 가입 기간을 미리 설정한 후 예비 가입 기간 만료시 예비 가입한 예비 투자자를 대상으로 제 2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제 1 이벤트 정보와 제 2 이벤트 정보를 연계하여, 가입자가 제 1 이벤트 정보에 응답하여 예비 가입을 선택하면 제 2 이벤트 정보가 자동으로 즉시 전송되거나, 제 2 이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2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 컨텐츠 펀드의 예비 투자자는 함께 제공된 컨텐츠 내용을 확인한 후, 해당 컨텐츠 펀드에 가입할지 여부를 결정한다(ST126, ST128). 컨텐츠 펀드의 예비 투자자가 해당 컨텐츠 펀드의 가입을 결정하면,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펀드의 가입 신청이 전송되고, 가입자 관리부(24)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7)의 투자정보 중 투자 펀드 식별정보에 해당 컨텐츠 펀드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펀드별 수익률 정보 필드 및 펀드계좌정보 필드를 생성한다(ST130, ST132). 또한, 컨텐츠 펀드에 가입한 펀드 투자자가 계좌이체 등의 방식으로 해당 펀드계좌에 투자금을 입금하면, 가입자 관리부(24)는 해당 펀드계좌에 입금을 처리한 후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7)의 펀드계좌정보의 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ST134, ST136).
펀드 운용 시스템(20)은 각 펀드 투자자로부터 유치한 펀드 투자금을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으로 제공하고,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은 해당 펀드 투자금을 받아 해당 컨텐츠를 구입, 제작 또는 운영한다(ST138, ST140).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30)은 해당 컨텐츠를 판매, 대여, 서비스 또는 운영하면서 발생한 매출 및 수익정보를 일정 기간마다 펀드 운용 시스템(20)에 보고하고, 펀드 운용부(25)는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펀드 정보 데이터베이스(28)의 펀드 실적정보를 업데이트한다(ST142, ST144). 펀드 운용부(25)는 펀드 실적정보, 배당이율 정보 및 각 펀드 투자자의 투자정보를 바탕으로 각 펀드 투자자의 수익률을 산출한 후 발생한 수익을 각 펀드 투자자에게 배분한다(ST146, ST148). 컨텐츠 펀드 의 발생 수익 배분은 각 펀드 투자자의 펀드계좌에 해당 수익을 입금 처리함으로써 이루어지며, 가입자 관리부(24)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7)의 펀드별 수익률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및 연동관계를 도시한 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과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가입자 단말기 20: 펀드 운용 시스템
21: 컨텐츠 관리부 22: 펀드 생성부
23: 이벤트 정보 발생부 24: 가입자 관리부
25: 펀드 운용부 26: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
27: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8: 펀드 정보 데이터베이스
30: 컨텐츠 사업자 시스템

Claims (1)

  1. 복수의 단말에, 디지털 컨텐츠의 프리뷰와 함께, 투자참여 의향 이벤트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복수의 단말 중 투자참여 의향 이벤트에 참여한 단말의 정보를 수집하고, 예비투자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정해진 채널을 통해, 상기 예비 투자자 단말에게, 투자 참여 이벤트 정보와 함께, 디지털 컨텐츠를 방송하는 단계,
    상기 예비 투자자 단말 중 투자 참여 다수의 투자자 단말 중 상기 이벤트에 참여한 단말로부터 수신된 투자 정보를 처리하고, 수신된 투자 정보에 기초하여 펀드 가입자 정보를 유지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방법.
KR1020080000348A 2007-01-02 2008-01-02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44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188 2007-01-02
KR20070000188 2007-0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00A true KR20090004400A (ko) 2009-01-12

Family

ID=4048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348A KR20090004400A (ko) 2007-01-02 2008-01-02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4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2619A1 (ko) * 2010-06-30 2012-01-05 삼성증권 주식회사 투자자금 운영시스템
US8543479B2 (en) 2010-06-30 2013-09-24 Samsung Securities Co., Ltd. System for operating investment money
WO2021241675A1 (ja) * 2020-05-29 2021-12-02 アカメディア・ジャパン株式会社 先行投資型パフォーマー支援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2619A1 (ko) * 2010-06-30 2012-01-05 삼성증권 주식회사 투자자금 운영시스템
US8543479B2 (en) 2010-06-30 2013-09-24 Samsung Securities Co., Ltd. System for operating investment money
WO2021241675A1 (ja) * 2020-05-29 2021-12-02 アカメディア・ジャパン株式会社 先行投資型パフォーマー支援システム
JP2021190053A (ja) * 2020-05-29 2021-12-13 アカメディア・ジャパン株式会社 先行投資型パフォーマー支援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32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network based on uniform code issuance, method therefor, and sensing access device
CN108537627B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版权交易方法及系统
US20120310774A1 (en) Electronic payment system
US200801405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transfer
CN115809375A (zh) 一种基于社交网络搜索的数据处理方法、设备及服务器
EA003681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выполнения платежей и платежных операций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по мобильному телефону
CN107845017A (zh) 一种实现全民创业的电子商务方法
US200701007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conditional sales of investments
CN107862570A (zh) 实现大众创业的电子商务方法
Crowe et al. Mobile payments at the retail point of sale in the United States: prospects for adoption
Shafiyah et al. Review on electronic commerce
CN110210948A (zh) 一种球鞋预售寄存转售闪电交易方法及系统
KR102572638B1 (ko) 아티스트를 위한 디지털 nft 판매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판매 방법
KR102013526B1 (ko) 예술품 대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90174A1 (en) Computer Enabled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Micropayments via Public Networks
US20120072293A1 (en) The apparatus and method of selling goods and digital contents with blog share sales module
KR20090004400A (ko)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펀드 운용 시스템 및 방법
US201102645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ed transaction history
CN114331467A (zh) 一种基于SaaS的产品防伪防窜货系统
KR100376294B1 (ko) 종합유선방송국을 이용한 홈쇼핑회사의 상품거래방법 및시스템
KR101242522B1 (ko) 1인 블로그형 소셜오픈마켓 마켓블로그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280438B1 (ko)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02502A (ko) 구매 이력 기반의 온라인 광고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286045B1 (ko) 블록체인 기반의 택배 가상 화폐 운영 시스템 및 가상 화폐의 채굴 방법
KR20230100991A (ko) 크리에이터 광고수익 수취권 거래 중개 플랫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