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235A -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에 대한 벨트 스트랩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에 대한 벨트 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235A
KR20230017235A KR1020227044436A KR20227044436A KR20230017235A KR 20230017235 A KR20230017235 A KR 20230017235A KR 1020227044436 A KR1020227044436 A KR 1020227044436A KR 20227044436 A KR20227044436 A KR 20227044436A KR 20230017235 A KR20230017235 A KR 20230017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s
belt
weave
fabric layers
belt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오안 이오니타
카이-스테판 뮬러
크리나 티론
윌리 웰즈
미하엘라 코스티아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30017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05Woven fabrics for safet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2Safety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구성요소들 및/또는 라인들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5)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섹션(14)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에 대한 벨트 스트랩(1)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캐비티(5)는 2개의 직물 층들(6, 7)에 의해 형성되고, 직물 층들(6, 7)은 복수의 날실들(11) 및 씨실들(10)에 의해 형성된다. 직물 층들(6, 7)은 에지 직조 실들(12)에 의해 외부 에지 섹션들(3, 4)에서 서로 연결된다. 단일 층 섹션(15)은 적어도 하나의 중공 섹션(14)에 인접하고, 여기서 직물 층들(6, 7)은 복수의 중심 직조 실들(13)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중공 섹션(14)의 중심 직조 실들(13)은 직물 층들(6, 7) 중 하나에서만 함께 직조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에 대한 벨트 스트랩
본 발명은,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부들을 갖는,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에 대한 벨트 스트랩(belt strap)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들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들의 벨트 스트랩들은 더 심각한 부상을 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사고 시에 자동차들에서 탑승자들을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안전 벨트 디바이스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벨트 스트랩의 하나의 단부를 감아 올릴 수 있는 벨트 스풀(belt spool)과 함께 차량에 고정된 방식으로 체결된 벨트 견인기를 갖는다. 벨트 스트랩의 다른 단부는 차량에 고정된 방식으로 체결된 벨트 버클 내에 벨트 텅(belt tongue)을 통해 잠길 수 있거나 또는 마찬가지로 단부 피팅을 통해 차량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단부가 단부 피팅을 통해 차량에 고정된 방식으로 체결되는 한, 안전 벨트 디바이스는 또한 벨트 스트랩 상에서 변위가능하게 가이드되는 벨트 텅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어 벨트 스트랩의 3점식 기하학적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차량에 고정된 벨트 버클에 잠길 수 있다.
탑승자를 구속하는 목적으로 인해, 벨트 스트랩들은 그들 자체가 인장 강도, 표면 마감, 에지 상태 등과 관련하여 다양한 요건들을 충족해야 한다.
최신 자동차들에는 센서들, 액추에이터들, 모니터들, 음향 유닛들, 가열 및 냉각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다수의 전자 구성요소들이 추가로 장착되며, 이들의 수는 자동차들이 그들의 구동 유닛들, 제어 유닛들, 및 편의 디바이스들로 점점 자동화됨에 따라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추가로 전기 라인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야 하고 대응하는 전원들 및 제어 디바이스들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자 구성요소들 및 라인들이 안전 벨트 디바이스의 부분인 한, 이들은 안전 벨트 디바이스들의 사용 또는 기능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안전 벨트 디바이스들에 그에 따라 배열되어야 한다.
전자 구성요소들이 호스 세그먼트 내로 도입될 수 있는, 벨트 스트랩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호스 세그먼트를 갖는 벨트 스트랩을 제공하는 것이 이미 DE 10 2011 009 318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벨트 스트랩의 호스 섹션이 제조되는 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는 간행물에서 발견될 수 없다.
이러한 배경에 대해, 본 발명은, 설계와 관련하여 가능한 한 간단해야 하고 추가적으로 제조하기에 저렴해야 하는, 전자 구성요소들 및 라인들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를 갖는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에 대한 벨트 스트랩을 제공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항의 특징부들을 갖는 벨트 스트랩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개발들은 종속항들, 도면들 및 첨부된 명세서로부터 학습될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에 따르면, 벨트 스트랩의 중공 섹션에 형성된 캐비티는, 벨트 스트랩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에지 직조 실(weave thread)(들)에 의해 외부 에지 섹션들에서 서로 연결된 2개의 직물 층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중공 섹션은 벨트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적이지 않고; 오히려, 중공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단일 층 섹션에 의해 인접한다. 이러한 단일 층 섹션은 중공 섹션과 동일한 직물 층으로 형성되며, 이들은 복수의 날실(warp thread)들 및 씨실(weft thread)들에 의해 각각 연속적으로 직조된다. 에지 직조 실(들)은 마찬가지로 중공 섹션 및 단일 층 섹션 둘 모두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이에 의해, 벨트 스트랩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중심 직조 실들이 에지 섹션들 사이에 배열된 중심 영역에 제공되며, 이러한 중심 직조 실들은 단일 층 섹션에서 직물 층들을 서로 연결하고 중공 섹션에서는 하나의 직물 층에서만 함께 직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달성을 통해, 캐비티는 벨트 스트랩의 직조 시에 이미 제조될 수 있다. 벨트 스트랩의 기본 구조에서, 벨트 스트랩은 서로 독립적인 2개의 직물 층들로 직조되며, 이러한 직물 층들은 에지 직조 실들에 의해 에지 섹션들에서만 중공 영역에서 서로 연결된다. 단일 층 섹션에서, 직물 층들은 벨트 스트랩의 전체 폭에 걸쳐 에지 직조 실들 및 중심 직조 실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반면, 중공 섹션에서, 중심 직조 실들은 하나의 직물 층 내에서 이어지고 따라서 직물 층들 사이에 캐비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2개의 직물 층들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연결 실들은 직조 시 동시에 직조될 수 있으므로 직물 층들의 연결이 직조 시에 바로 실현되고, 직물 층들을 연결하기 위한 추가의 별도의 작업 단계가 필요하지 않다. 직조 실들이 2개의 직물 층들을 연결하는 역할만을 하지만, 구속 시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종전과 같이 날실들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직조 실들이 2개의 직물 층들의 신뢰할 만한 연결 관점에서만 설계되고 배열되는 경우 이것으로 충분하다. 이에 의해, 직물 층들의 얀(yarn) 두께, 결합 실들의 얀 두께, 직조 실들의 재료, 및 또한 직조 실들의 수는 직물 층들의 연결을 위한 설계 파라미터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벨트 스트랩의 전체 영역이 중공 섹션으로서 형성되지 않고, 오히려, 예를 들어, 복수의 짧은 중공 섹션들이 또한 단일 층 섹션들과 교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캐비티는 전자 기능이 요구되는 벨트 스트랩의 영역에만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안전 벨트 디바이스의 개선된 수축(retraction) 및 구속 속성들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 층들이 복수의 날실들 및 씨실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날실들은 벨트 스트랩의 길이 방향 방향으로 이어지고, 평면 직물을 형성하기 위해 씨실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날실들은 완성된 직포(woven fabric)의 직물 층들의 표면들을 형성하는 반면, 씨실들은 날실들 사이에서 이어지고, 그에 따라 조밀한 직물이 주어지면 외부로부터 볼 수 없다. 날실들은 대응하는 인장 강도를 갖도록 설계되고 벨트 스트랩의 길이 방향으로 인장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씨실들은 더 미세하고 날실을 함께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벨트 스트랩이 40 내지 50 mm, 바람직하게는 46 내지 48 mm의 폭을 가지며, 직물 층들이 직조 실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에지 섹션들이 각각 적어도 2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 mm의 폭을 갖는 것이 추가로 제안된다. 벨트 스트랩의 제안된 폭은 표준 벨트 스트랩 폭에 대응한다. 에지 섹션들의 제안된 치수 결정을 통해, 벨트 스트랩이 전단력의 영향 하에서 벨트 스트랩의 평면 형태를 상실하는 것과 이에 의해 주름이 벨트 스트랩에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이에 의해, 2개의 직물 층들을 갖는 벨트 스트랩이 길이 방향으로 에지 섹션들의 측방향 풀림 하에서 비틀리거나 또는 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에지 섹션들의 폭, 및 에지 섹션들에서의 직물 층들의 연관된 평면 연결은 특히 직조 실들의 수 및 배열의 대응하는 선택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중공 섹션은 1300 내지 1700 mm의 길이를 가지며, 중공 섹션에 배열된 캐비티는 10 내지 37 mm의 폭을 갖는 것이 추가로 제안된다. 캐비티 폭의 제안된 치수 결정을 통해, 캐비티는 이용된 활용에 대해 적응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전기 라인들을 배선하기 위한 캐비티가 매우 좁게 치수가 결정될 수 있다. 표준에 따르면, 자동차들에 대한 안전 벨트 디바이스의 벨트 스트랩은 길이가 3500 mm이다. 중공 섹션의 바람직한 길이 범위로 인해, 벨트 스트랩은 필요한 영역에서만 기능성이 주어질 수 있다.
착용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의 편향기 또는 벨트 텅의 영역에 배열되거나, 또는 버클 해제(unbuckling) 후 벨트 견인기 상으로 감아 올려질 벨트 스트랩의 섹션은 단일 층 섹션이라는 것이 추가로 제안된다. 제안된 개발들은 안전 벨트 디바이스의 개선된 수축 및 구속 속성들을 초래한다. 원칙적으로, 이때 단일 층 섹션은, 주어진 중공 섹션들과 같이 서로의 상단에 놓이고 서로에 대해 미끄러질 수 있는 직물 층들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단일 층 섹션이 주어지면, 벨트 스트랩이 비틀릴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지며, 벨트 스트랩은 스풀 상에서 훨씬 더 콤팩트하고 주름이 없는 벨트 코일로 감길 수 있다. 이에 의해, 벨트 스트랩은 또한, 발생하는 횡방향 힘이 주어진 편향기의 영역에서 그리고 벨트 텅의 편향의 영역에서 웨이브(wave)들을 생성하는 경향을 갖지 않는다. 이에 의해, 벨트 스트랩이 이러한 섹션들에서 단일 직물 층으로 직조된다는 점에서, 또는 이러한 섹션에서 2개의 직물 층들이 직조 실들에 의해 평면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단일 층 섹션이 이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에지 직조 실은 바람직하게는 씨실들과 규칙적인 직조(regular weave)로, 예를 들어 2/2 직조 또는 4/4 직조로 직조되며, 이에 의해 최적으로 균질하고 매끄러운 표면 구조를 갖는 직물 층들의 균일한 연결이 이뤄질 수 있다. 이에 의해, 4/4 직조는, 직조 동안 2개의 직물 층들의 2개의 셰드(shed)들과 관련된 측면들의 변경으로 인해, 에지 직조 실이 항상 하나의 측면 상의 4개의 연속적인 씨실들 상에 그리고 벨트 스트랩의 다른 측면 상의 다음의 2개의 씨실들 상에 주기적으로 배열되는 직조로서 이해된다. 이에 의해, 각각의 바로 인접한 에지 직조 실들, 또는 심지어 복수의 인접하게 배열된 에지 직조 실들의 그룹들은 바람직하게는, 이들이, 직조 동안, 셰드의 대향되는 측면들 상에, 그리고 따라서 씨실들의 대향되는 측면들 상에 각각 배열되는 방식으로 정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바로 인접한 에지 직조 실들은 또한 하나 또는 2개의 씨실들에 의해 각각 오프셋될 수 있다. 따라서, 직조 실들에 의해 이뤄지는 상이한 직물 층들의 씨실들의 연결로 인해, 날실들은 또한 직조 실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그렇지 않았다면 서로 독립적이었을 2개의 직물 층들 사이의 견고한 결합이 에지 섹션들을 야기한다. 에지 섹션들에서, 직물 층들의 긴밀한 평면 연결은 전체 벨트 스트랩의 평면 안정화에 가장 효과적이다. 단일 층 섹션에서, 직물 층들의 씨실들과의 중심 직조 실들의 직조는 에지 직조 실들의 특히 안정화 직조들로부터 벗어날 수 있지만, 마찬가지로 연결하는 안정화 표면 효과를 갖는다.
직물 층들 중 하나 내의 중공 섹션 내의 캐비티의 영역에서의 중심 직조 실들은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직물 층에 속하는 날실들과 동일한 직조로 직조된다. 이에 의해, 직물 층들은, 캐비티의 영역에서 표면의 외관 및 느낌에서의 어떠한 변경도 나타내지 않으면서, 단일 층 섹션으로부터 중공 섹션으로 연속적으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중심 직조 실들은, 연결의 목적을 위해 직물 층들 둘 모두를 통해 중심 직조 실들을 가이드하는 직조로부터 단일 층 직조로 변경된다. 에지 직조 실들 및 날실들과 대조적으로, 중심 직조 실들은 섹션 전환부에서 불연속적으로 이어지며, 단일 층 섹션들 및 중공 섹션들에서 상이한 주기성 및 상이한 직조 깊이 둘 모두, 2-층 또는 단일 층을 갖는다.
날실들이 7/1 직조로 씨실들에 연결되는 것이 추가로 제안된다. 에지 직조 실의 직조의 상기 정의에 이어서, 7/1 직조는, 날실들이 직물 층의 셰드의 일 측면 상에서 7개의 연속적인 씨실들 동안 주기적인 시퀀스로 배열되고, 이들이 다음의 7개의 씨실들에 대한 시퀀스의 반복을 위해 셰드의 다른 측면 상에 다시 배열되기 전에 이들이 후속 씨실에 대해 셰드의 측면을 변경하는, 씨실들과 날실들의 직조로서 이해된다. 햅틱 및 마찰과 관련하여 최적화된 표면은 날실들 및 씨실들의 제안된 직조를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안된 직조로 직조 실에 의해 서로 특히 잘 연결될 수 있어 각각의 직물 층들이 또한 이뤄질 수 있어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다.
중공 영역에서, 2개의 직물 층들은 에지 섹션들 사이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중심 섹션들에서 서로 추가로 연결되어 서로 분리된 2개 이상의 캐비티들을 형성할 수 있다. 제안된 추가 연결 섹션들을 통해, 한편으로 직물 층들의 연결이 추가로 개선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예를 들어, 의도적으로 분리된 라인들의 배선 또는 전기 구성요소들의 분리된 배열의 목적을 위한 서로 분리된 복수의 캐비티들이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공 영역은 벨트 스트랩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2개의 캐비티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2개의 캐비티들 사이에 형성된 직물 층들의 연결 영역은, 여기서 단지 하나의 직물 층에서만 날실들의 직조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단일 층 섹션에서와 같이 2개의 직물 층들을 서로 추가로 연결하는 중심 직조 실들의 일 부분에 의해 실현된다. 이에 의해, 2개의 캐비티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10 내지 18.5 mm의 폭을 갖는다. 추가적인 실시예는, 동일한 치수 결정이 주어질 때, 각각 10 내지 12 mm의 폭을 갖는 평행하게 이어지는 3개의 캐비티들을 포함한다. 원칙적으로, 추가적인 캐비티들, 예를 들어 4개 또는 5개의 캐비티들을 갖는 추가 실시예가 또한 고려될 수 있지만,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캐비티들의 총 폭은 37 mm의 단일 캐비티의 바람직한 최대 폭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따라서 에지 섹션들은 여전히 전체 벨트 스트랩의 평면 안정화를 위해 충분한 폭을 갖는다. 평행하게 이어지는 더 많은 수의 캐비티들이 주어지면, 개별 캐비티들의 사용가능 공간이 또한 점점 더 작아지고 따라서, 특히 캐비티들 사이의 더 많은 다수의 연결 영역들이 또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쓸모가 없어진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다음이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스트랩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평행하게 이어지는 1개, 2개, 및 3개의 캐비티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스트랩의 치수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벨트 스트랩의 직물 층들을 통한 길이 방향 단면의 확대된 분해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스트랩(1)의 중공 섹션(14)은 평면도에서 그리고 단면도의 우측 예시에서 볼 수 있다. 벨트 스트랩(1)은, 중심 섹션(2)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고 2개의 외부 에지 섹션들(3 및 4)에서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직물 층들(6, 7)을 갖는다. 벨트 스트랩(1)은 추가로 46 내지 48 mm의 폭(A)을 가지며, 반면 에지 섹션들(3 및 4)은 각각 2 mm, 바람직하게는 4 mm의 폭(B)을 갖는다.
벨트 스트랩(1)은, 직물 층들(6 및7)을 형성하기 위해 날실들에 수직으로 이어지는 씨실들(10)과 직조되는, 벨트 스트랩(1)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날실들(11)을 갖는다. 이에 의해, 직물 층들(6 및 7)의 각각은, 서로 독립적인 직물 층들(6 및 7)을 형성하도록 서로 분리된 날실들(11) 및 씨실들(10)을 갖는다. 직물 층들(6 및 7)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에지 섹션들(3 및 4)에서 서로 연결되어 캐비티(5)가 직물 층들(6 및 7) 사이에 형성되고, 이러한 캐비티는 에지 섹션들(3 및 4)에서 연결에 의해 에지 측면들을 향해 경계가 정해진다. 전기 라인들 또는 추가적인 전자 구성요소들, 예컨대 더 작은 제어 또는 저장 유닛들, 간단한 스위치들, 음향 재생 디바이스들, 가열 디바이스들 등이 캐비티(5)에 배열될 수 있다.
2 개의 직물 층들(6 및 7)은 에지 섹션들(3 및 4)에 제공된 에지 직조 실들(12)에 의해 함께 직조되며, 이들은 에지 섹션들(3 및 4)에서 직물 층들(6 및 7)의 연결 섹션들(8 및 9)을 형성한다. 에지 직조 실들(12)은 에지 섹션들(3 및 4)의 전체 폭에 걸쳐 제공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가능한 가장 부드러운 에지를 실현하기 위해 벨트 스트랩(1)의 에지의 영역에서 특수 직조가 제공되는 한, 에지 섹션들(3 및 4)의 외부 에지 영역에서의 에지 직조 실들(12)은 또한, 이것이 직물 층들(6 및 7)의 연결에 불리하지 않은 한 생략될 수 있다. 중심 직조 실들(13)은 중심 영역(2)에 제공되지만, 여기에 도시된 중공 영역(14)에서, 중심 직조 실들은 직물 층들(6 및 7)의 연결에 기여하지 않고, 오히려 캐비티(5)의 형성을 실현하기 위해 직물 층(6 또는 7) 내에서만 직조된다.
에지 섹션들(3 및 4)의 폭(B)은, 에지 섹션들(3 및 4)에서의 연결이 전체 벨트 스트랩(1)에 평면 형태를 부과하도록 의도적으로 2 mm로 선택된다. 이에 의해, 이러한 효과는, 에지 섹션들(3, 4)의 폭이 훨씬 더 크게, 예를 들어, 4 mm 또는 훨씬 더 큰 폭(B)으로 선택된다는 점에서 더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에지 섹션들(3 및 4)의 에지들의 풀림 시에 횡방향 힘들의 작용이 주어지면, 벨트 스트랩(1)이 벨트 스트랩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비틀리거나 또는 뒤틀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합리적인 한, 에지 섹션들(3 및 4)은 또한 폭(B)에서 훨씬 더 크게 치수가 결정될 수 있지만, 그러나 이에 의해 캐비티(5)의 크기가 감소된다. 이는, 예를 들어, 캐비티(5)가 의도적으로 채널 형태로 보다 더 좁게 실현되어 벨트 스트랩(1)의 라인들의 배열 및 코스가 미리 결정되거나 정의될 수 있는 경우에, 합리적일 수 있다.
다양한 중공 섹션들(14)에 대한 벨트 스트랩의 치수들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들에 대한 전형적인 3점식 안전 벨트 디바이스의 벨트 스트랩의 총 길이(L0)는 일반적으로 3500 mm이다. 전체 벨트 스트랩(1)의 폭(A)은 바람직하게는 46 내지 48 mm이다. 도 2a의 캐비티(5)의 총 폭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벨트 스트랩(1)의 평면 형태를 보장하는 충분히 큰 에지 영역들(3, 4)을 유지하기 위해 최대 37 mm이다. 따라서, 도 2b에서 평행하게 이어지는 2개의 캐비티들(5)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각 10 내지 18.5 mm의 폭(C1, C2)을 가지며, 도 2c에서 평행하게 이어지는 3개의 캐비티들(5)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10 내지 12 mm의 폭(C1, C2, C3)을 갖는다. 도시된 중공 섹션(14), 또는 캐비티들(5)의 길이(L1)는 바람직하게는 1300 내지 1700 mm이다. 그러나, 각각 하나의 중공 섹션(14)만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단일 층 섹션들(15)에 의해 중단되는 더 많은 중공 섹션들(14)이 벨트 스트랩(1)의 전체 길이(L0)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3점식 벨트 기하학적 구조가 주어지면, 안전 벨트가 착용될 때, 중공 섹션들(14)이 가슴 영역 및 엉덩이 영역에서만 제공되고, 변위가능 벨트 텅이 벨트 버클에 고정될 때 중공 섹션들이 변위가능 벨트 텅의 영역에서는 제공되지 않으며, 특히 벨트 견인기 및 구속 디바이스의 영역에서는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영역들에서, 단일 층 섹션들(15)의 배열이 더 유리하다. 또한, 벨트 스트랩이 차량에 고정된 편향기를 통과하는 영역에서 벨트 스트랩(1)이 단일 층 섹션(15)으로서 형성되는 방식으로 중공 섹션들(14)이 설계되고 배열되거나 또는 중공 섹션이 설계되고 배열되는 경우 유리하다. 이러한 해법들의 이점은, 이에 의해 벨트 스트랩(1)이 변위가능 벨트 텅의 영역에서 또는 차량에 고정된 편향기를 통과하는 통로의 영역에서 비틀릴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원칙적으로, 중공 섹션들(14)이 주어지면, 2개의 직물 층들이 서로 분리되고 따라서 전단력 또는 횡방향 힘의 작용이 주어지면 뒤틀릴 위험이 있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벨트 스트랩(1)을 단일 층 섹션(15)으로서 형성함으로써 제안된 영역들에서 감소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따르는 한, 제안된 영역들은, 여기에서 횡방향 힘의 발생 가능성이 특히 높거나(편향기, 벨트 텅) 또는 비틀림이 특히 불리하기(벨트 견인기, 편향기 및 벨트 텅) 때문에,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벨트 스트랩(1)은 도 3의 단면도에서 보일 수 있다. 2 개의 직물 층들(6 및 7)은 7/1 직조로 직조된다. 직물 층(6 또는 7)의 직조기(loom)에서 셰드의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으로의 날실들(11)의 변경은, 7개의 씨실들(10)이 셰드를 통해 발사되는(shot) 동안 날실들이 먼저 셰드의 하나의 측면 상에 주기적인 시퀀스로 배열되도록 선택된다. 그런 다음, 다음 주기의 후속하는 7개의 씨실들(10)에 대한 직조 리듬을 반복하기 위해 다시 셰드의 다른 측면으로 변경하기 이전에, 날실들(11)은 다음 씨실(10)의 발사를 위해 씨실에 대한 셰드의 다른 측면으로 변경된다. 이것은, 리듬이 반복되기 전에, 하나 측면을 향해 날실들(11)을 커버하는 7개의 각각의 씨실들(10) 및 이어서 다른 측면에서 날실들(11)을 커버하는 씨실(10)을 갖는 리듬을 초래한다. 직물 층(6 및 7)의 날실들(11)은 다발들(멀티필라멘트들)로 직조되거나 또는 모노필라멘트들로서 개별적으로 직조된다. 이에 의해, 날실들(11)의 제1 다발이 설명된 리듬으로 직조되는 반면, 날실들(11)의 인접한 제2 다발은 동일하지만 오프셋된 리듬으로 직조된다. 2개의 상이한 직물 층들(6 및 7)의 날실들(11)은 동일한 설명된 직조 리듬으로, 그렇지만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오프셋된 방식으로 추가로 직조된다.
설명된 7/1 직조 대신에, 원칙적으로 100 내지 1100 dtex의 얀 카운트의 씨실들(10)이 모노필라멘트들 또는 멀티필라멘트들로서 사용될 수 있는5/1/1 직조 또는 3/1 직조 또는 5/1/1/1 직조가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별도로 직조된 2개의 직물 층들(6 및 7)은 도시된 에지 섹션(3)에서 적어도 하나의 에지 직조 실(1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에지 직조 실(12)은 2개의 직물 층들(6 및 7)의 씨실들(10)과 4/4 직조로 직조되며, 즉, 에지 직조 실(12)은 직물 층들(6 또는 7) 중 하나의 셰드의 하나 측면에서 2개의 직물 층들(6 및 7)의 4개의 씨실들(10)에 대해 가이드되고, 이어서 다른 직물 층(6 또는 7)의 셰드의 대향되는 측면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완성된 직조 벨트 스트랩(1)에서, 에지 직조 실(12)은 예시에서 하부 직물 층(6)의 밑면 상의 4개의 씨실들(10)에 대해, 그리고 예시에 도시된 상부 직물 층(7)의 상부 측면 상의 다음 4개의 씨실들(10)에 대해 주기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에지 직조 실은 직물 층들(6 및 7)의 2개의 자유 표면들 상에서 주기적으로 교번하여 이어지며, 이에 따라 에지 직조 실이 다른 자유 표면쪽으로 직물 층들(6 및 7) 둘 모두의 씨실들(10)을 통과한다는 점에서 에지 직조 실은 측면들을 변경한다. 이에 의해, 에지 직조 실들(12)은, 2개의 직물 층들(6 및 7)이 단일 전체 직물 층을 형성하기 위해 벨트 스트랩의 전체 표면에 걸쳐 연결되는 단일 층 섹션(15) 및 캐비티(5)가 제공되는 중공 섹션(14) 둘 모두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에지 직조 실(12)은 또한 멀티필라멘트들로서 다발들로 직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또한 각각 서로로부터 오프셋되어 직조될 수 있는 다수의 다발들 또는 개별적인 에지 직조 실들(12)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폭(B)을 갖는 에지 섹션들(3, 4)의 상응하는 평면 형태를 동시에 실현하기 위해 에지 섹션들(3, 4)의 폭(B)을 실현하는 데 특히 합리적이다.
마찬가지로, 도 3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좌측 영역에 도시된 단일 층 섹션(15)에서, 2/1/1/1/2 직조로 2개의 직물 층들(6 및 7)을 서로 연결하는 중심 직조 실들(13)이다. 따라서, 중심 직조 실들(13)은 처음에는 직물 층들(6 및 7)의 자유 표면들 둘 모두에서 각각 교번하도록 주기적으로 이어지며, 이에 의해 중심 직조 실들이 다른 자유 표면쪽으로 2개의 직물 층들(6 및 7)의 씨실들(10)을 통과한다는 점에서 측면들을 변경한다. 단일 층 섹션(15)으로부터 우측에 도시된 중공 섹션(14)으로의 전환부에서, 중심 직조 실들(13)의 주기적 직조 패턴이 중단되고 새로운 주기적 직조 패턴으로 불연속적으로 전환되며, 이는 이제 단지 하나의 직물 층(6 또는 7)으로 직조되고 바람직하게는 날실들(11)의 주기적 직조에 대응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는 7/1 직조이다.
원칙적으로 직조 실들은 연결을 실현하기 위해 날실들(11)과는 상이한 임무를 갖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직조 실들(12, 13)은 재료, 얀 두께, 색상, 신장 및 다양한 다른 속성들에서 날실들(11)과는 상이할 수 있다. 직조 실들(12, 13)은, 예를 들어, 하중 하에서 임의의 인장력을 흡수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직조 실들은 날실들(11)보다 더 얇은 얀 두께를 갖는 얀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예시에서, 직물 층들(6, 7)은, 날실들(11), 씨실들(10) 및 직조 실들(12, 13)의 진행에서, 직조 패턴이 더 명확하도록 2개의 직물 층들(6, 7)의 씨실들(10)이 각각 하나의 평면에 배열된 상태로 분리되었다. 그러나, 완성된 벨트 스트랩(1)에서, 날실들(11), 씨실들(10), 및 직조 실들(12, 13)은 평면 직조로 함께 상당히 더 조밀하게 존재하며, 여기서 벨트 스트랩(1)의 길이의 cm당 대략 10 내지 15개의 씨실들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8)

  1.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에 대한 벨트 스트랩(1)으로서,
    - 전자 구성요소들 및/또는 라인들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5)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섹션(14)을 포함하며,
    - 상기 캐비티(5)는 2개의 직물 층들(6, 7)에 의해 형성되고,
    - 상기 직물 층들(6, 7)은 복수의 날실들(11) 및 씨실들(10)에 의해 형성되며,
    - 상기 직물 층들(6, 7)은 상기 벨트 스트랩(1)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에지 직조 실(들)(12)에 의해 외부 에지 섹션들(3, 4)에서 서로 연결되고,
    - 적어도 하나의 단일 층 섹션(15)은 상기 벨트 스트랩(1)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섹션(14)에 인접하며, 상기 단일 층 섹션(15)은 상기 2개의 직물 층들(6, 7)에 의해 형성되고,
    - 상기 에지 섹션들(3, 4) 사이에 위치된 중심 섹션들(2)에서 상기 직물 층들(6, 7)은 상기 벨트 스트랩(1)의 상기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중심 직조 실들(13)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 상기 중공 섹션(14)의 상기 중심 직조 실들(13)은 상기 직물 층들(6, 7) 중 하나에서만 함께 직조되는, 벨트 스트랩(1).
  2.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스트랩(1)은 40 내지 50 mm, 바람직하게는 46 내지 48 mm의 폭(A)을 가지며, 상기 에지 직조 실들(12)에 의해 상기 직물 층들(6, 7)이 서로 연결되는 상기 에지 섹션들(3, 4)은 각각 적어도 2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 mm의 폭(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1).
  3.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중공 섹션(14)은 1300 mm 내지 1700 mm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중공 섹션(14)에 배열된 캐비티(5)는 10 내지 37 mm의 폭 (C)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착용될 때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에서 편향기 또는 벨트 텅의 영역에 배열되거나 또는 버클 해제(unbuckling) 후 벨트 견인기 상으로 감아 올려질 상기 벨트 스트랩(1)의 섹션은 단일 층 섹션(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중공 영역(14)에서, 상기 직물 층들(6, 7) 중 하나 내의 상기 중심 직조 실들(13)은 상기 직물 층에 속하는 상기 날실들(11)과 동일한 직조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날실들(11)은 7/1 직조로 상기 씨실들(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2개의 직물 층들(6, 7)은 서로 분리된 2개 이상의 캐비티들(5)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중공 섹션들(14)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전기 라인 및/또는 하나의 전자 구성요소가 상기 캐비티(5)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1).
KR1020227044436A 2020-05-26 2021-04-13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에 대한 벨트 스트랩 KR202300172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206517.9A DE102020206517B3 (de) 2020-05-26 2020-05-26 Gurtband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DEDE102020206517.9 2020-05-26
PCT/EP2021/059522 WO2021239314A1 (de) 2020-05-26 2021-04-13 Gurtband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235A true KR20230017235A (ko) 2023-02-03

Family

ID=7526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436A KR20230017235A (ko) 2020-05-26 2021-04-13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에 대한 벨트 스트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35489A1 (ko)
EP (1) EP4158087B1 (ko)
JP (1) JP2023527732A (ko)
KR (1) KR20230017235A (ko)
CN (1) CN115698403A (ko)
DE (1) DE102020206517B3 (ko)
WO (1) WO2021239314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9318A1 (de) * 2011-01-25 2012-07-26 Paragon Ag Sicherheitsgurt für Kraftfahrzeuge
DE102013210274B4 (de) * 2013-06-03 2014-12-18 Berger Gmbh & Co. Holding Kg Feinfädiges Sicherheitsgurtban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Sicherheitsgurtbands
DE102014222654B4 (de) * 2014-11-06 2022-08-25 Autoliv Development Ab Gurtband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und Sicherheitsgurteinrichtung
DE102018210890B4 (de) * 2018-07-03 2022-10-13 Autoliv Development Ab Gurtband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8118436A1 (de) * 2018-07-31 2020-02-06 Carl Stahl Gmbh & Co. Kg Gurtband für ein Sicherheitsgurtsystem
CN110775014A (zh) * 2019-12-09 2020-02-11 安闻汽车技术(天津)有限公司 座椅安全带加热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9314A1 (de) 2021-12-02
DE102020206517B3 (de) 2021-04-22
EP4158087A1 (de) 2023-04-05
JP2023527732A (ja) 2023-06-30
US20230235489A1 (en) 2023-07-27
CN115698403A (zh) 2023-02-03
EP4158087B1 (de) 202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7861B (zh) 用于安全带装置的安全带和安全带装置
RU2599234C2 (ru) Лента ремня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я устройства ремней безопасности
WO2007100377A1 (en) Woven airbag with integrally woven tethers
US7954847B2 (en) Stretchable webbing, inflatable belt, and inflatable belt apparatus
CA2723253C (en) Seat belt webb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845676B2 (en) Stretchable webbing, inflatable belt, and inflatable belt apparatus
JP4927821B2 (ja) 帯紐ベルト
EP1008680A2 (en) Seat belt webbing
KR102495128B1 (ko)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용 벨트 스트랩
KR20230017235A (ko)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에 대한 벨트 스트랩
US8434527B2 (en) Seat belt webb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377866B1 (ja) 伸縮自在織物構造体
US6370924B1 (en) Warp-knitted fabric for inflatable belt cover
JP2014133468A (ja) シートベルト用ウェビング
JP6617568B2 (ja) シートベルト用ウェビング
JP5604065B2 (ja) シートベルト用細幅織物
JP5384539B2 (ja) シートベルトウェビ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74453B1 (ko) 좌석 벨트 끈 및 좌석 벨트 끈의 제작방법
JP2003182513A (ja) シートベルト
JP2009143441A (ja) 製織ベルト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