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680A -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 - Google Patents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680A
KR20230016680A KR1020227045948A KR20227045948A KR20230016680A KR 20230016680 A KR20230016680 A KR 20230016680A KR 1020227045948 A KR1020227045948 A KR 1020227045948A KR 20227045948 A KR20227045948 A KR 20227045948A KR 20230016680 A KR20230016680 A KR 20230016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ows
pump
piston
pump head
return str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5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빈 괴트케
그웨나엘 더린
파스칼 헤네만
Original Assignee
프로멍스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2008086.7A external-priority patent/GB202008086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2019553.3A external-priority patent/GB202019553D0/en
Application filed by 프로멍스 에스아 filed Critical 프로멍스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230016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6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89Dispens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3Actuation means combined with means, other than pressure, for automatically opening a valve during actuation; combined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removing closures or covers from the discharge nozzle during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05B11/1069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the valve being made of a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or being urged in a closed position by a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4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having inlet or outlet valves not being actuated by pressure or having no inlet or outlet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05B15/656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whereby the flow conduit length is change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9/00Machines or 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17/00
    • F04B19/04Pumps for speci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4Pistons, piston-rods or piston-ro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1)에 관한 것이며, 펌프는 펌프 헤드(2), 피스톤을 갖는 피스톤 본체(15), 펌프 챔버 본체(14)에 의해 제한되는 펌프 챔버(13), 유입 밸브(12), 및 유출 밸브(16)를 가지며, 피스톤은 상부 시작 포지션과 하부 종료 포지션 사이에서 펌프 헤드(2)의 개개의 이동에 의해 이동가능하며, 하부 종료 포지션으로부터 상부 시작 포지션으로의 복귀 스트로크를 위한 복귀 스트로크 힘은 벨로우즈(18)에 의해 제공되고, 추가적으로, 2개의 벨로우즈들 ─ 제1 벨로우즈 및 제2 벨로우즈 ─ 은 포개어져 배열되며, 벨로우즈들(18) 각각은, 펌프 헤드(2)에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하부 종료 포지션으로 펌프 헤드(2)를 이동시킬 때 접혀지고, 제1 벨로우즈는 펌프 헤드(2)와의 직접적인 맞물림에 의해 압축력을 수용하며, 제2 벨로우즈는 단지 제1 벨로우즈와의 맞물림에 의해 압축력을 수용한다.

Description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
본 발명은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에 관한 것으로, 이 펌프는 펌프 헤드, 피스톤을 갖는 피스톤 본체, 펌프 챔버 본체에 의해 제한되는 펌프 챔버, 유입 밸브, 및 유출 밸브를 가지며, 피스톤은 상부 시작 포지션과 하부 종료 포지션 사이의 펌프 헤드의 개개의 이동에 의해 이동가능하며, 추가적으로, 하부 종료 포지션으로부터 상부 시작 포지션으로의 복귀 스트로크(return stroke)를 위한 복귀 스트로크 힘이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펌프들, 특히, 복원 수단으로서 벨로우즈를 가지는 펌프들은 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US 2018/0 056 314 A1 및 US 2004/0 188 464 A1이 참조된다. 관련 펌프들은 추가적으로, US 2003/0 230 600 A1 및 US 6 053 364 A를 참조한다. EP 1 384 517 A2는 포개어져 있는 2개의 벨로우즈들을 갖는 펌프를 개시한다. 상부 벨로우즈는 유출 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것이다. 유출 밸브가 개방된 후에, 상부 벨로우즈는 추가적으로 압축되지 않는 반면, 하부 벨로우즈는, 단지 유출 밸브가 개방된 후에 시작하는, 펌핑 스트로크 동안에 단지 압축된다. 하부 벨로우즈는 펌프 헤드에 의해 직접적으로 맞물림된다.
복귀 스트로크 힘을 제공하기 위한 벨로우즈를 가지는 펌프의 관점에서, 특히 제조 제한들로 인해, 복귀 스트로크 통로는 오히려, 사용자가 보다 큰 펌핑 및 복귀 스트로크를 허용하기에 충분히 긴 길이를 가지는 벨로우즈에 대한 보다 높은 제조 비용들을 현저하게 받아들이지 않을 것인 경우에 제한된다.
벨로우즈는, 압축될 때, 벨로우즈의 원주부 및 높이에 걸쳐 불균일한 래핑 거동을 더 가질 수 있다.
피스톤이, 보통, 단면으로 보는 경우, 펌프 스트로크 동안 그리고 심지어 상부 시작 포지션에서 펌프 챔버를 밀봉하기 위해 펌프 챔버 본체의 내부 표면에 맞물리는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립들을 가지는 반면, 이러한 밀봉은 항상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특히, 복원 수단으로서 벨로우즈를 가질 때, 기밀성의 추가 개선예가 목적이다.
따라서, 언급되는 종래 기술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복원 수단으로서 벨로우즈들을 사용할 때, 유리하게 제조하기에 심지어 비교적 큰 압축 스트로크를 갖는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의 목적은 복원 수단으로서 벨로우즈를 가지는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이러한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때 벨로우즈는 그의 벌지들을 고려하여 유리하게 압축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추가의 목적은, 피스톤 및 이에 의해 펌프 챔버에 관한 개선된 밀봉성을 가지는 복원 수단들로서 벨로우즈를 갖는 벨로우즈를 갖는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이러한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이러한 펌프에 관한 것이며, 펌프 헤드 스커트와 펌프 하우징 부품 사이에 밀봉부가 존재하며, 펌프 헤드 스커트는, 개선된 밀봉성을 가지는, 펌프 하우징 부품과의 밀봉 맞물림 상태에서 적어도 시작 포지션에 있다.
개략적으로 설명된 문제들 중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가능하게는 확대된 펌핑 스트로크를 고려하여, 2개의 벨로우즈들 ─ 제1 벨로우즈 및 제2 벨로우즈 ─ 이 포개어져 배열된다. 벨로우즈들 각각은, 펌프 헤드를 하부 종료 포지션으로 이동시킬 때, 펌프 헤드에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접히며, 제1 벨로우즈는 펌프 헤드와의 직접적인 맞물림에 의해 압축력을 수용하며, 제2 벨로우즈는 제1 벨로우즈와의 맞물림에 의해 압축력을 수용한다.
이에 의해, 펌프가 제안되며, 이 펌프는 연달아 직렬로 배열되는 2개의 벨로우즈들을 가져, 벨로우즈들은 사용 시에 긴 연속적인 벨로우즈들로서 기능할 수 있다. 펌프의 통상적인 사용 시에, 2개의 벨로우즈들은 포개어져 있다. 펌핑 스트로크 동안, 양자 모두의 벨로우즈들은 연속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게 접힌다. 그 후, 벨로우즈들 중 각각의 하나의 경우, 단독으로, 훨씬 더 긴 스트로크가 가능하다. 펌프 헤드는 단지 벨로우즈들 중 하나 상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예컨대 벨로우즈들 중 하나의 하부 단부는 단지 펌핑 스트로크 동안 고정되는 펌프 부품과 직접 접촉하여, 이러한 벨로우즈 및 이들 벨로우즈들 둘 모두를 위한 하부 받침부를 나타낸다.
2개의 벨로우즈들(이들 각각은 제조하기에 양호함)은 보다 긴 펌핑 스트로크를 허용하기 위해 포개어져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태를 가지는 벨로우즈들은, 벨로우즈들이 포개어져 배열될 때 추가들 없이 함께 끼워맞춤하도록, 적어도 일반적으로 동일한 내경 및 외경을 갖는다.
이러한 벨로우즈의 유리하게 압축성을 고려하여, 이러한 펌프에서, 1개 또는 2개의 벨로우즈들이 제공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본 발명의 추가 교시에 따라, 그의 벌지들 중 하나 이상 또는 모두의 표면들, 상부 및 하부 표면에 대해 상이한 각도들을 갖는 벨로우즈가 제안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벌지는 단면에서 일반적으로 상부 직선 표면 및 하부 직선 표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표면들은 바람직하게는 만곡부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뿐만 아니라 반경방향 내측에서 병합된다.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병합하는 것에 관하여, 벌지 또는 벨로우즈 자체의 길이방향 단면에서 상기 직선 표면들을 보는 경우, 상부 직선 표면과 압축 방향 또는 벨로우즈의 중간 길이방향 축에 대해 직각인 라인 사이에서의 상기 단면에서의 제1 예각 각도는 하부 직선 표면과 상기 라인 사이의 상기 단면에서의 제2 예각 각도보다 더 크다. 이에 의해, 벌지의 압축 동안, 제어된 래핑이 개시된다. 보다 작은 예각 각도를 가지는 직선 표면은 보다 큰 예각 각도를 가지는 표면보다 덜 강성적이고, 그리고 따라서, 개개의 힘에 대해 우선적으로 구부러질 것이다.
압축 방향은, 벨로우즈의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 사이에서, 벨로우즈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일치한다. 조립된 펌프, 특히 가능한 실시예로서 여기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펌프에서, 벨로우즈의 길이방향 길이 축은 바람직하게는 펌프 자체의 중간 축과 일치할 것이다.
이러한 벨로우즈들로, 서로 위에 있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벨로우즈들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또는 벨로우즈가 전에 대략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벌지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에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각도를 가지는 여부와는 독립적으로,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이와 조합되어,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러한 벌지들의 스레드형 연장부를 제공한다. 벌지들 중 하나 이상은 벨로우즈들의 원주방향으로 스레드와 같이 연장될 것이다. 언급된 바와 같이, 또한 이러한 스레드형 연장 벌지들을 위해, 이전에 개시된 바와 같은 상기 각도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러한 각도들을 고려하여 이전에 개략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은 배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 및 특히 펌프 챔버의 밀봉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추가 교시는, 피스톤 또는 피스톤 본체 각각의 맞물림 부품에 의해 시작 포지션으로 맞물림가능한 밀봉 립을 하부 단부 상에 가지는 벨로우즈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벨로우즈와 피스톤 또는 피스톤 본체 사이의 직접적인 밀봉이 가능하다.
펌프 챔버 본체의 내부 표면에 대해 밀봉하기 위해 피스톤에 제공되는 립들에 대한 누출이 존재할 것인 경우에도, 기밀성은 유지될 수 있거나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밀봉은, 바람직하게는 벨로우즈를 갖는 하나의 부품이고 그리고 벨로우즈와 재료적으로 균일한 벨로우즈의 부품에 의해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시작 포지션에서, 펌프의 유리하게 밀봉을 가지는 것을 고려하여, 복원 스프링으로서 벨로우즈를 반드시 가지지 않은 본 발명의 추가 교시는 펌프 헤드 스커트 상의 밀봉 숄더와의 밀봉 맞물림 상태에서 밀봉 림을 가지는 펌프 하우징 부품에 의해 주어지며, 펌프 헤드 스커트는, 펌프가 시작 포지션에 있을 때, 복원 스프링에 의해 밀봉 맞물림 상태에서 편향된다.
포개어져 배열되는 2개 이상의 벨로우즈들에 관한 추가 상세에서, 상부 벨로우즈의 하부 단부 표면이 하부 벨로우즈의 상부 단부 표면 상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바로 놓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부 표면들은 바람직하게는 통합형으로 제조되고 그리고 개개의 벨로우즈 각각과 재료적으로 균일하다.
추가적으로,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면들은 함께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표면들 중 둘 모두는 단면에서 단차형 윤곽부, 상부 단차형 윤곽부, 및 하부 단차형 윤곽부 또는 외부 단차형 윤곽부 그리고 내부 단차형 윤곽부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벨로우즈들 중 하나는 외부 단차부를 가지며, 여기서 다른 벨로우즈는 내부 단차부와 함께 놓인다. 이에 의해, 특히, 벨로우즈들의 접합부에서 반경방향으로의 양호한 안정성이 주어진다.
이러한 단차형 구성은 또한, 개개의 경사 표면들에 의해 상이한 실시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사진 표면들뿐만 아니라 단차형 윤곽부들의 개개의 부품 표면들은 바람직하게는, 직선으로 이어지고 있어, 벨로우즈들은 이러한 경사 표면들의 특정 길이에 걸쳐 서로 상에 놓인다. 단면에서, 경사 표면은, 상부 반경방향 바깥쪽 지점으로부터 하부 반경방향 안쪽 지점까지 또는 그 반대로 이어질 수 있다.
아래에서 그리고 이후에 상부 및 하부로 지칭되는 한, 이는, 항상 여기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이러한 펌프로 펌핑된 유체의 바깥쪽 운반 방향으로 인 것이 의미된다. 펌프 챔버로부터 펌프 헤드로까지 그리고 최종적으로 유출 개구를 통한 유체의 바깥쪽 방향과 관한 것은 상부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으로서 또한 지칭된다.
포개어져 배열되는 2개의 벨로우즈들에 관하여, 또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스레드형으로 이어지는 벌지들을 가지는 이러한 벨로우즈들 중 양자 모두를 제공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경우에, 스레드들이 반대편 피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레드형 러닝 벌지들을 가지는 벨로우즈를 압축할 때, 스레드형 연장부로 인해, 벨로우즈의 상부 표면 및/또는 하부 표면 상에서 초래되는 특정한 원주방향 힘이 존재할 수 있다. 반대 피치들을 갖는 서로 위에 이러한 벨로우즈들 중 2개를 가지는 경우, 상기 효과들이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는 것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벌지들의 스레드형 배향으로 인해 유해한 효과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다음을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들을 고려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단지 원칙적으로 표시된 리셉터클에 할당되는 펌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측면도로 도 1에 따른 펌프를 도시한다.
도 3은 정면도로 도 1 또는 도 2에 따른 펌프를 도시한다.
도 4a는 펌프의 부품들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펌프 헤드 상의 아래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펌프를 통한 수직 섹션을 도시하며, 피스톤 및 펌프는 상부 시작 포지션에 있었고, 펌프 헤드는 상부 포지션에 잠금된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도면을 도시하며, 펌프는 잠금해제된 포지션에 있었다.
도 7은 펌핑 스트로크의 시작에서의 도 6에 따른 도면을 도시하며, 유출 밸브는 개방 포지션에 있다.
도 8은 펌핑 스트로크의 종료에서의 도 7에 따른 추가 도면을 도시하며, 유출 밸브는 여전히 개방 포지션에 있으며 그리고 유입 밸브는 폐쇄되어 있다.
도 8a는 벨로우즈의 밀봉 립의 밀봉 맞물림이 되게 할 수 있는 펌프 부품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복귀 스트로크의 시작의 경우의 도 8에 따른 도면을 도시하며, 유출 밸브가 폐쇄되어 있으며 그리고 유입 밸브가 여전히 폐쇄되어 있다.
도 10은 복귀 스트로크의 종료에서의 도 9에 따른 추가 도면을 도시하며, 유입 밸브는 개방 포지션에 있다.
도 11은 도 6의 파선 라인(XI)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하지만, 도 7에서 파선 라인(XII)에 따른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0의 선(XIII - XIII)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14는 특히, 펌프 헤드의 시작 포지션에서 잠금하기 위한 설계를 도시하는, 펌프 헤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잠금을 보전하는 펌프 헤드에서 림을 위한 수용 공간을 가지는 펌프 부품의 위로부터의 부분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5에서 표시된 선(XVI - XVI)을 따른 펌프 헤드를 통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17은 잠금해제된 포지션에서 약 90°에 대해 회전되는 펌프 헤드를 가진 후, 도 16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8은 서로 위의 배열로 도시되는 펌프의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실시예로서 2개의 벨로우즈들을 도시한다.
도 19는 압축된 상태의 도 18에 따른 벨로우즈를 도시한다.
도 20은 도 18의 파선 라인(XX)의 부품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개방 포지션의 유출 밸브(제1 실시예)의 부분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추가의 실시예에 관한, 폐쇄된 포지션의 출구 밸브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23은, 개방 포지션의 도 22에 따른 유출 밸브를 도시한다.
우선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펌프 헤드(2) 및 펌프 하우징 부품(3)을 갖는 펌프(1)가 도시되고 그리고 설명된다. 펌프는 실시예들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흡입 튜브(4)를 더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펌프(1)는 또한 흡입 튜브(4) 없이 작동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펌프 하우징 부품(3) 아래에서, 펌프 챔버 부품(5)이 보일 수 있다. 펌프 챔버 부품(5)은 그의 하부 부품에 흡입 튜브(4)를 수용하고 그리고 유지하기 위한 중공형 수용 부품(6)(예를 들어, 도 5 참조)을 가질 수 있다. 수용 부품이 가지는 것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펌프 챔버를 구축하는 펌프 챔버 부품 사이의 전환 영역에서, 외부에서 보이는 리브(7)가 제공될 수 있다.
리브(7)는 안정화 목적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펌프를 조립할 때 펌프의 배향을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위에서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펌프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부품들로서 대부분의 또는 모든 부품들을 가지는 펌프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부품들의 대부분 또는 모두는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다. 복원 수단들은, 특히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벨로우즈를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펌프는 수 밀리리터, 예를 들어, 1.5 내지 3ml, 더 바람직하게는 2ml의 펌핑 스트로크에서의 분배 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훨씬 더 큰 부피, 예컨대 예를 들어 4ml 이상이 처리될 수 있다.
펌프 헤드(2)는 유출 개구(8)를 더 갖는다.
펌프(1)는 도 1의 파선에 의해 도시되는 리셉터클(9)에 할당될 수 있다. 리셉터클은 매우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펌프(1)와 리셉터클(9)의 조합은 실시예들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나사 채택의 수단일 수 있다. 채택은 또한, 예를 들어, 크림프 온되거나(crimped on) 프레스 온됨(pressed on)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리셉터클(9)에서, 로션 유체, 비누 또는 유사물과 같은 유체(11)가 보유될 수 있으며, 이는 펌프(1)에 의해 리셉터클(9) 밖으로 펌핑가능하다. 유체는 펌프 헤드의 출구 개구(8)를 통해 분배될 것이다. 이제,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여, 유출 개구(8)는 펌프 헤드(2)에서 유출 채널(10)의 단부이다.
도 5를 추가로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리셉터클(9) 밖으로 펌핑될 유체는 흡입 튜브(4)를 통해 유동할 수 있으며, 유입 밸브(12)는, 펌프 챔버(13)의 하부 부품에서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아래로 예를 들어,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하부 종료 포지션까지 펌프 피스톤(15)을 가지는 피스톤 본체(14)와 함께 펌프 헤드(2)를 이동시키는 펌핑 스트로크 시에, 유체는, 출구 개구(8)에서 최종적으로 분배되기 위해 펌프 헤드 유체 채널(10)을 통해 내부 중공형 피스톤 본체(14) 및 펌프 챔버(13)의 출구 밸브(16)를 통해 추가적으로 유동할 것이다.
주로 펌프 헤드 유체 채널(10)을 가지는 펌프 헤드 부품은 유체 채널(10)에 대해 외부에 안정화 리브(17)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안정화 리브에는, 유체 채널(10)에 대해 외부에 있는 둘 모두의 측면들 상에서 유체 채널(10)의 길이방향으로의 연장부가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안정화 리브는 파형 패턴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펌프(1)는 이러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특히 도 4a 내지 도 10 및 도 18 내지 도 2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벨로우즈(18)에 의해 주어지는 복원 수단을 가질 수 있다. 대신에, 또한, 적어도 통상적인 스프링, 특히 플라스틱 스프링이 제공되는, 그 후, 이러한 스프링의 하부 숄더 부품에 있을 수 있는, 밀봉 립(34)을 가지는 설명된 단지 하나의 벨로우즈를 갖는 실시예에 관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프링은 언급된 밀봉 립을 갖지 않는 것은, 예를 들어, WO 2020/156933 A1을 참조한다.
펌프(1)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동심인 수개의 대체로 원통형인 부품들에 의해 구축된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기하학적 축(A)과 일치하는, 일치하는 중간 축으로 모두 배열된다.
도 4a에서 그리고 도 5 내지 도 10에서 더 상세히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도면들에서 지금까지 도시된 실시예에서, 포개어져 배열되는 2개의 벨로우즈들(18)이 제공된다. 벨로우즈들은 특정 수의, 예를 들어, 3개 내지 7개, 더 바람직하게는 각각 약 5개의 벌지들(19)을 갖는다. 벨로우즈들 중 각각의 하나에서 훨씬 더, 최대 10개 또는 그 초과의 벌지들(19)이 실현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벌지들을 제공하는 벨로우즈의 벽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전체 수직 그리고 원주방향 연장부에 걸친 폐쇄된 벽이다.
벨로우즈(18)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독립적인 벨로우이다. 바람직하게는, 벨로우즈들은 심지어 예를 들어 도 7에서 도시되는 조립된 상태에 있으며, 서로에 대해 연결되지 않지만, 단지 상부 및 하부 받침 표면들(20, 21)과 서로 위에 놓여있다.
상부 벨로우즈(18)는 펌프 헤드(2)와 받침 맞물림한다. 이러한 점에서, 상부 벨로우즈는, 상부 벨로우즈가 실시예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숄더(22)를 가질 수 있다. 숄더는 도면들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벨로우즈(18)의 확대된 단자 부품일 수 있다. 숄더는 받침 표면(23)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받침 표면은,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더 바람직하게는, 중간 축(A)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펌프 헤드(2)에 주어진 카운터 받침 표면(24)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방식으로 연장된다.
하부 벨로우즈(18)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품(26)과 받침 맞물림하는 하부 숄더(25)를 갖는다. 하우징 부품(26)은, 이 하우징 부품이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또한 주어지는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펌프 챔버 부품(5)이다. 하우징 부품(26) 또는 펌프 챔버 부품(5)은 각각, 하부 벨로우즈(18)의 하부 숄더(25)가 놓일 수 있는 안쪽 돌출 레스트 숄더(protruding inward rest shoulder)(27)를 갖는다.
하우징 부품(26)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펌프 챔버 부품(5)은 각각, 리셉터클(9)에 대한 펌핑 스트로크 동안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피스톤 본체(14)는 바람직하게는 그의 하부 단부에 피스톤(15)을 갖는다. 피스톤(15)은, 펌핑 스트로크 동안에, 예를 들어,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상부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예를 들어,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하부 종료 포지션까지 이동할 때, 주로 펌프 챔버(13)의 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피스톤(15)은 펌프 챔버 부품(5)의 내부 표면과 밀봉 맞물림하는 하나 이상의 밀봉 립들(28)을 갖는다.
피스톤 본체(14)는 피스톤(15)으로부터 나오고 그리고 유출 밸브(16)에서 또는 유출 밸브(16)와 함께 종료되는 튜브형 연장부(29)를 더 갖는다.
튜브형 연장부는 튜브형 벽(30)에 의해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벨로우즈들은 바람직하게는, 벽(30)의 외부 표면과 연장부(29)의 유체(11)의 분배 방향에 대해 아래로 연장하는, 펌프 헤드(2)의 벽(31)의 내부 표면 및/또는 펌프 부품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펌프 챔버 부품(5)의 내부 표면 사이에서 제공되는 각도 룸(angular room) 내에 수용된다. 펌프 부품의 이러한 내부 표면은 펌프 챔버 부품(5)의 벽 구역 위에 있으며, 이 벽 구역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밀봉 립들에 의해, 피스톤(15)이 밀봉 맞물림하는 펌프 챔버(13)를 위한 내부 표면을 실제로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도면들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벨로우즈들은 우선적으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벨로우즈들은 바람직하게는 분배될 유체와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나, 특히 피스톤과 협동하여 밀봉, 주어진 경우에 부가의 밀봉을 제공하는 관점에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추가의 목적이 또한 주어질 수 있다.
벨로우즈,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부 벨로우즈(18)는 피스톤(15) 또는 피스톤의 개개의 부품과의 맞물림을 위한 밀봉 립(32)을 가질 수 있다.
밀봉 립(32)은 바람직하게는 원주방향의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일반적으로 벨로우즈의 하부 숄더(25)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원통형 부품이다. 벨로우즈는 탄성적인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따라서, 립(32)은 또한 탄성이 있다.
밀봉 립(32)은 피스톤의 외부 표면과 맞물릴 수 있으며, 이 외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피스톤의 밀봉 립(28)에 대해 반경방향 안쪽에 있다. 상부 및 하부 밀봉 립들(28)이 존재하는 경우에, 더 바람직하게는, 맞물림은 피스톤(15)의 상부 밀봉 립(28)에 대해 반경방향 안쪽에 있다.
피스톤(15)은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주어진 홈(33)을 가질 수 있으며, 홈(33)의 외벽은 밀봉 립(28)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리고 홈(33)의 내벽은 피스톤(15)의 상기 상부, 시작 포지션에서 밀봉 립(32)과 밀봉 맞물리는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립(32)과 맞물리는 피스톤(28)의 표면은, 그의 추가의 내부 측면 상에 제2 홈(34)을 가질 수 있는 직립 벽에서 또한 주어질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립(32)은 맞물림하는, 립(32) 및/또는 피스톤(15)의 표면은 단차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원칙적으로 도 8a에서, 피스톤이 하부 종료 포지션에 있는 포지션으로, 여기서 도시된다.
보는 바와 같이, 피스톤의 각각의 벽 부품은 도 8a에서 도시되는 수직 섹션에서 단차부(s)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위로의 피스톤의 추가 이동 시에, 우선적으로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부품의 외부 표면이 립(32)과 밀봉 접촉하게 될 것이고, 그리고 이후에 상부 시작 포지션으로의 피스톤의 추가 이동시에, 부품은 중간 축(A)에 대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의 보다 넓은 연장부를 가지거나, 상부 부품보다 더 바깥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에 의해, 립(32)과의 가능한 2개의 스테이지 밀봉 맞물림이 도달될 수 있다.
이는, 벨로우즈(18)의 복원력이 피스톤을 보다 높은 밀봉력으로 제2 포지션으로 이동시키기에 항상 충분히 강한 경우일 수 있다. 이는 또한, 정상 사용 동안에, 제2 밀봉 포지션이 도달되지 않지만, 이러한 제2 밀봉 포지션이 이러한 펌프가 공장을 떠나는 충전된 리셉터클에 단지 한번 제공되는 경우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송 등 동안, 사용자에 의한 처음 사용까지, 매우 단단한 밀봉이 제공될 수 있다.
있는 그대로, 예를 들어, 도 18 및 도 1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벨로우즈(18)는 스레드형 러닝 벌지들(thread-like running bulges)(19)을 가질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2개의 벨로우즈들(18)의 경우에, 이러한 스레드형 러닝 벌지들의 피치(p)는 포개어져 있는 벨로우즈들(18) 양자 모두 상에서 반대편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벨로우즈들(18)을 압축할 때, 가능한 회전 동작은 이에 의해 균형을 이룬다.
벨로우즈에 관한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각각, 이러한 벌지들의 표면들의 표면 각도(α 또는 β)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벨로우즈(18)는 벌지(19)의 표면들, 상부 표면(35) 및 하부 표면(36)에 대해 상이한 각도들을 갖는다. 벌지들(19) 중 하나 이상 또는 모두는 이러한 종류의 상이한 각도들을 가질 수 있다.
벌지(19)는 단면에서 일반적으로 상부 직선 표면(37) 및 하부 직선 표면(38)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표면들(37, 37)은 도시되는 바와 같은 만곡부에 의해 반경방향 바깥쪽뿐만 아니라 반경방향 안쪽으로 병합된다. 이러한 벌지 또는 벨로우즈 자체의 길이방향 단면에서 상기 직선 표면들을 보는 경우, 상부 직선 표면(35)과 압축 방향 또는 길이방향 축(A)에 대해 직각인 선(L) 사이에서 상기 단면에서의 제1 예각 각도(α)는, 상기 하부 직선 표면(36)과 선(L) 사이의 상기 단면에서 제2 예각 각도(β)보다 더 크다. 이에 의해, 벌지(19)의 압축 동안, 제어된 래핑이 개시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직선 표면에 관하여 보다 작은 예각 각도를 가지는 벽 부품은, 보다 큰 예각 각도를 가지는 표면을 갖는 벨로우즈의 벽 부품보다 덜 강하고 그리고 따라서 우선적으로 개개의 힘에 대해 구부러질 것이다.
각도(α)가 35° 내지 50°, 더 구체적으로 38° 내지 48°, 훨씬 더 구체적으로 40° 내지 45°의 범위에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43°일 수 있는 반면, 각도(β)는 20° 내지 34°, 더 구체적으로 25° 내지 32°, 훨씬 더 구체적으로 28° 내지 32°의 범위에 있을 수 있고 그리고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30°일 수 있다.
표면들(20 및 21)에 관하여, 예를 들어, 이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표면들이 중심 축(A)을 고려하여 경사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표면의 외부 부품 상에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이는 도 5로부터 또한 보이는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에, 상부 벨로우즈(18)는 하부 벨로우즈들(18)을 중심에 있게 하여, 하부 벨로우즈들이 함께 안착되고 그리고 반경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러한 경사 표면들은 축(A)에 대해 수평으로 또는 직각으로 연장하는 표면으로 병합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단지 하나의 벨로우즈 또는 심지어 플라스틱 스프링을 가지는 실시예가 또한 제공될 수 있는 훨씬 더 유리하게는 밀봉 특징부가 추가적으로 중요하다. 그러나, 더 바람직하게는, 밀봉 특징부는 여기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개의 벨로우즈들과 조합되어 주어진다.
추가적으로, 밀봉 특징부는, 밀봉 립(32)을 갖거나 가지지 않는, 이러한 벨로우즈 또는 플라스틱 스프링과 조합될 수 있다.
가능한 추가의 밀봉에 관한 이러한 특징부는,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작 포지션에서 펌프 헤드의 외부 표면의 일부를 제공하는, 펌프 헤드, 보다 구체적으로는, 펌프 헤드의 벽(31)과 펌프 부품(3), 바람직하게는 캡, 예컨대 스크류 캡 사이에 있다.
펌프 부품(3) 또는 캡은 각각, 그의 내부 에지에, 맞물림 벽(37), 및 예를 들어,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단면에서, 경사진 연장하는 자유 종료 벽 부품(38)을 갖는다. 벽 부품(38)은 축(A)에 대해 경사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의 각도로,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45°로 연장되어, 벽 부품은 보다 높은 반경방향 바깥쪽 반경으로부터 보다 낮은 반경방향 안쪽 반경으로 이어진다. ‘보다 낮다’는, 이에 의해, 중공형 피스톤 부품에서 유체의 분배 방향에 반대인 것으로 지칭된다.
따라서, 벽 부품(38)은, 첫째로, 펌프 헤드가 아래로 이동할 때 벽 부품(38)과 가능하게는 맞물릴 때, 예컨대 특정 가요성, 둘째로, 특히 벽(31)에 제공되는 숄더(39)에 맞물릴 때, 펌프 헤드(2)의 위로의 이동에서 특정 강성도를 갖는다. 숄더(39)가 이러한 경우에 벽(37)을 위로 구부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는 벽(37)의 내부 자유 에지(40)에서 자유 직경의 좁아지는 것을 초래하고, 그리고 따라서 벽(37)과 벽(31) 사이의 맞물림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맞물림은 하나 이상의 벨로우즈들(18) 또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주어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벨로우즈(18) 또는 스프링이 일부 프리로드(preload)로 펌프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심지어 가장 연장된 포지션에서, 일반적으로 언급된 상부 시작 포지션에서, 벨로우즈가 완전히 연장되지 않지만 여전히 일부 편향을 실시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벽 부품(38)과 벽(31) 사이의 맞물림을 구성하는 벽 부품(38)의 비교적 작은 자유 에지 표면으로 인해, 예컨대, 또한 상기 부품들 사이의 양호한 밀봉을 위해 구성하는 비교적 높은 표면 압력이 도달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본체(14)는 통합형이며,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펌프 피스톤(15)으로 제조된 재료 균일 일체이며, 피스톤 본체(14)는 특히, 설명된 바와 같은 유출 채널 내로 유체를 운반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튜브형 연장부를 제공한다.
출구 밸브는 제1 실시예에 관한 도 5 내지 도 12 및 제2 실시예에 관한 도 21 내지 도 23에서 특히 도시된다.
바람직하게는, 펌프 피스톤(15)과의 일체형 설계와 반드시 조합될 필요는 없으며, 피스톤 본체(14)는 유출 밸브(16)와 통합형 일체이다. 이것이 도 5 내지 도 12 및 도 21 내지 도 23에서 더 상세히 도시되는 경우, 유출 밸브(16)는, 바람직하게는 원주방향 외부의 위로 돌출하는 림 부품(42)을 가지는 디스크형 밸브 부품(4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크형 판 부품(41)의 중앙에 스템 부픔(43)이 제공될 수 있다. 스템 부품(43)은 림 부품(42) 위에서 위로 추가로 돌출할 수 있다. 스템 부품(43)은 유출 밸브(16)의 개방 포지션에서 상부 정지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방 포지션은 부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또한 펌프 본체의 상부 부품에서 제공되는 받침 숄더(45) 상에, 특히 펌프 본체의 내부 동심 벽(29)에서 내부 스커트, 바람직하게는 제2 내부 스커트(44)의 받침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펌프(1)를 고려하여, "위에" 또는 "아래에"가 참조되는 한, 이는 항상 펌핑 스트로크 상의 유체 유동과 관련하여 의미된다. 유체는, 펌프 본체 내에서 아래로부터 위로 유동하고, 그 후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유출 밸브(16)의 영역을 통과하고 그리고 중심 기하학적 축(A)에 대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유동한다.
출구 밸브(16)는 펌프 헤드(2)에 제공되는 밀봉 림(46)과 추가적으로 협동한다. 특히, 밀봉 림(46)은 펌프 헤드에 유출 채널(10)의 개구(47)에 의해 주어진다. 개구(47)는 바람직하게는 펌프 헤드(2)의 짧은 축방향 튜브형 구역이다. 개구(47)는 펌프 채널(10)의 하부 내부 표면에 추가적으로 주어진다. 유출 밸브(16)는 짧은 축방향 튜브형 구역 내에서 그리고 적어도 개방 포지션에서 짧은 축방향 튜브형 구역을 통해 연장한다.
디스크형 밸브 부품(41)은, 실시예들 중 하나(특히 도 11을 참조)에서, 디스크형 밸브 부품(41)의 외부 표면에 설계되는 에지(48)에 의해 상기 림(46) 상에 놓인다. 특히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표면은 도시된 단면에서 볼록하게 설계되어, 이러한 에지(48)를 제공한다.
아마도, 도 5에서 또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출 밸브(16)의 폐쇄 포지션에서, 디스크형 밸브 부품(41)의 상부 부품은 유출 밸브의 폐쇄 포지션으로 여전히 펌프 채널(10) 내에 있다.
디스크형 밸브 부품(41)(그리고 이는, 설명된 이러한 점에서, 둘 모두의 설명들에 대해 주어짐)은 하나 이상의 필라 부품들(49)을 가지며, 이 필라 부품들은 피스톤 본체,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본체의 튜브형 벽과 유출 밸브(16)를 조합한다. 수개의 필라 부품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필라들은, 유체가 필라 부품들 주위에서 그리고 출구 밸브의 개방 포지션에서, 추가적으로 펌프 헤드 유체 채널(10) 내로 최종적으로 가기 위한 디스크형 밸브 부품(41)의 외부 표면 주위에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필라들 사이에 자유 공간 및 필라들 주위에 자유 공간을 남긴다.
하나의 필라 부품(49)의 경우에, 하나의 필라 부품(49)은 또한, 필라 부품이 표시된 방식으로 유체의 주위 유동을 허용하도록 배열된다.
하나 또는 수개의 필라 부품들(49)은 벽(29) 내의 영역으로부터 펌프 본체의 상부 림(50) 위로까지 연장한다. 디스크형 밸브 부품(41)은 바람직하게는, 실시예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림 위로, 상기 상부 림에 대한 거리로 연장하고 있다.
상부 림(50)은 펌프 본체, 특히 상기 내부 동심 벽의 상부 단부를 더 제공하는 가요성 립 부품에 의해 구축될 수 있다. 가요성 립 부품은 각각의 스커트 부품, 바람직하게는 펌프 헤드(2)의 제3 내부 스커트 부품의 내부 표면에 밀봉식으로 맞물릴 수 있다.
유입 밸브(12)는 특히, 예컨대, 도 7에서 추가로 도시된다. 이러한 제1 실시예의 유입 밸브(12)는, 바람직하게는 포트 벽에 대해, 펌프 챔버의 저부 부품의 축방향 개구 내로 연장하는 하향으로 연장하는 밀봉 벽을 제공하는 상대적으로 보다 큰 직경(D1)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포트형 밀봉 부품(51)을 갖는다. 직경(D1)은, 펌프 피스톤이 이동하고 있는 동일한 직경(D2)인 것과 같은 펌프 챔버의 직경(D2)을 고려하여 비교적 크다. 관계(D1/D2)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0.4이다.
상기 직경(D1)을 가지는, 유입 밸브(12)의 내부 밀봉 부품(51)은 가요성 아암들(53)에 의해 유입 밸브(12)의 외부 부착 부품(52)에 결속된다. 가요성 아암들(53)은 가요성 아암들(53)의 보다 큰 길이를 가지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연장한다.
외부 부착 부품(52)은 슬리브형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내부 밀봉 부품(50) 아래로 더 연장한다. 부착 부품(52)의 내부 표면은, 펌프 챔버의 저부의 상승 벽 부품(55)의 외부 표면에 맞물림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리브들(54)을 갖도록 구조화된다. 상승 벽 부품(55)은, 예를 들어 도 7에서 도시되는 섹션에서, 바람직하게는, 제공되는 한, 흡입 튜브(4)를 유지하거나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품(52) 내로 그의 내부 레그와 함께 연장하는 전체적으로 U-형상인 벽의 외부 레그이다. 대신에, 상승 벽 부품은 또한, 단지 리셉터클 내로의 전환 부분 또는 구체적으로는 리셉터클의 저장 룸일 수 있다.
부착 부품(52)은 부착 부품(52)의 외부 표면과 펌프 챔버의 내부 표면 사이에 원주방향 공간(56)을 추가적으로 남긴다. 이러한 원주방향 공간은 밀봉 립, 주어진 경우에 피스톤의 하부 밀봉 립을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어, 피스톤이 펌핑 스트로크시에 하부 종료 포지션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실시예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스톤은 2개의 밀봉 립들(28), 다시 말해, 하부 밀봉 립 및 상부 밀봉 립을 갖는다. 밀봉 립들은 피스톤의 판형 중간 부분으로부터 시작하여 반대 방향들로 연장한다.
피스톤의 상부 포지션 및 펌프 헤드의 시작 포지션에서, 상부 밀봉 립은 복원 수단, 특히 벨로우즈 또는 스프링의 받침 부품 또는 숄더 각각의 하부 표면에 대해 안착할 수 있다. 이는, 밀봉 립(32)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또한 주어질 수 있다.
펌프 챔버에서, 본체에는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개구(56)가 제공되며, 이 개구는 더 바람직하게는 비가동된 포지션, 펌프 헤드 및 펌프 본체의 상부 포지션에서, 피스톤의 상기 밀봉 립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의해 중첩된다. 따라서, 이러한 포지션에서, 외기는 펌프 챔버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펌프 본체 및 펌프 헤드의 보다 낮은 포지션에서, 예를 들어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구(56)는 중첩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며, 그리고 압축에 의해 주어진 공기는 밖으로 유동할 수 있고, 그리고 추가적으로, 하부 종료 포지션으로부터 시작 포지션으로 이동할 때, 피스톤 본체 및 피스톤의 특정 경로에 걸쳐 다시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는, 펌프 하우징 부품(3)과 리셉터클 사이의 부착부를 통해 유동할 수 있으며, 이 부착부는 공기가 유동할 수 없을 정도로 밀착되게 제조되지 않는다.
리셉터클(9)은 도 5에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네크(57)를 가질 수 있다. 네크(57)의 상부 표면과 개개의 펌프 부품, 주어진 실시예에서, 펌프 챔버 부품(5)의 숄더 사이에, 밀봉 링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는, 상부 시작 포지션의 펌핑 헤드의 잠금이 설명된다.
펌프 헤드(2)는, 예를 들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그의 펌프 헤드 스커트(31)에서, 바람직하게는 벽(38)의 자유 단부에 의해 펌프 하우징 부품(3)에서 제공되는 정지부와 펌프 챔버 본체(5)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숄더(59) 사이에서 도 5에서 또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잠금된 포지션에 수용되는 스커트 림을 가질 수 있다.
잠금된 포지션은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펌프 챔버 본체(5) 또는 다른 각각의 펌프 부품에서 또한 제공되는 정지부(60)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제한된다. 스커트 림(58)의 단부 표면(61)은, 펌프 헤드(2)가 잠금된 포지션으로 완전히 회전될 때 정지부(60)에 대해 안착할 수 있다.
잠금해제된 포지션으로의 펌프 헤드의 회전을 제한하는 추가 정지부(62)가 제공될 수 있다.
유출 밸브(16)의 추가 실시예는 각각 폐쇄 또는 개방 포지션의 도 22 및 도 23에서 더 상세히 도시된다. 이러한 유출 밸브(16)는, 디스크형 밸브 부품(41)이 훨씬 더 보울형 형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도 2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출 밸브(16)의 폐쇄된 포지션에서 개구(47)에 완전히 수용된다는 점에서 제1 설명된 유출 밸브(16)와 상이하다. 추가적으로, 이는 ─ 이는 유출 밸브의 제1 설명된 실시예에 대해 또한 가능함 ─ 디스크형 밸브 부품(40)의 상부 표면이 도 2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출 밸브의 개방 포지션을 위한 정지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스템 부품(43)은 디스크형 밸브 부품(41)의 상부 표면으로 위로 연장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둘 모두의 실시예들에서, 스템 부품(43)은 디스크형 밸브 부품(41)의 안정화를 제공한다. 도 22 및 도 23에 따른 유출 밸브의 실시예는, 보다 높은 개방 힘들이 요구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보다 높은 밀봉 효율과 조합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의 제2 실시예는, 유출 채널(10)에서 개구의 전체 또는 상당한 길이에 걸쳐 제공되는, 폐쇄 포지션의 비교적 긴 다소 원통형인 밀봉 표면을 갖는다.
1 펌프
2 펌프 헤드
3 펌프 하우징 부품
4 흡입 튜브
5 펌프 챔버 부품
6 수용 부품
7 리브
8 유출 개구
9 리셉터클
10 유출 채널
11 유체
12 유입 밸브
13 펌프 챔버
14 피스톤 본체
15 펌프 피스톤
16 유출 밸브
17 안정화 리브
18 벨로우즈
19 벌지
20 받침 표면
21 받침 표면
22 상부 숄더
23 받침 표면
24 카운터 받침 표면
25 하부 숄더
26 하우징 부품
27 레스트 숄더
28 밀봉 립
29 튜브형 연장부
30 벽
31 펌프 헤드의 벽
32 밀봉 립
33 홈
34 홈
35 상부 표면
36 하부 표면
37 맞물림 벽
38 벽 부품
39 숄더
40 내부 자유 에지
41 디스크형 밸브 부품
42 림 부품
43 스템
44 내부 스커트
45 받침 숄더
46 림
47 개구
48 에지
49 필라 부품
50 상부 림
51 포트형 밀봉 부품
52 부착 부품
53 가요성 아암
54 리브
55 벽 부품
56 개구
57 네크
58 스커트 림
59 숄더
60 정지부
61 단부 표면
62 추가 정지부
p 피치
A 기하학적 축
s 단차부
α 각도
β 각도
L 라인

Claims (11)

  1.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pump)(1)로서,
    상기 펌프는 펌프 헤드(pump head)(2), 피스톤(piston)을 갖는 피스톤 본체(15), 펌프 챔버 본체(pump chamber body)(14)에 의해 제한되는 펌프 챔버(13), 유입 밸브(12), 및 유출 밸브(16)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은 상부 시작 포지션과 하부 종료 포지션 사이에서 상기 펌프 헤드(2)의 개개의 이동에 의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하부 종료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상부 시작 포지션으로의 복귀 스트로크를 위한 복귀 스트로크 힘은 벨로우즈(bellows)(18)에 의해 제공되고, 추가적으로, 2개의 벨로우즈들 ─ 제1 벨로우즈 및 제2 벨로우즈 ─ 은 포개어져 배열되며, 상기 벨로우즈들(18) 각각은, 상기 펌프 헤드(2)에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하부 종료 포지션으로 상기 펌프 헤드(2)를 이동시킬 때 접혀지고, 상기 제1 벨로우즈는 상기 펌프 헤드(2)와의 직접적인 맞물림에 의해 상기 압축력을 수용하며, 상기 제2 벨로우즈는 단지 상기 제1 벨로우즈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압축력을 수용하는,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1).
  2.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1)로서,
    상기 펌프는 펌프 헤드(2), 피스톤을 갖는 피스톤 본체(15), 펌프 챔버 본체에 의해 제한되는 펌프 챔버(13), 유입 밸브(12), 및 유출 밸브(16)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은 상부 시작 포지션과 하부 종료 포지션 사이의 상기 펌프 헤드(2)의 개개의 이동에 의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하부 종료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상부 시작 포지션으로의 복귀 스트로크(return stroke)를 위한 복귀 스트로크 힘이 벨로우즈들(18)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벨로우즈(18)는, 그의 하부 단부 상에, 상기 피스톤의 맞물림 부품에 의해 상기 시작 포지션에서 맞물림가능한 밀봉 립(32)을 가지는,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1).
  3.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1)로서,
    상기 펌프는 펌프 헤드(2), 피스톤을 갖는 피스톤 본체(15), 펌프 챔버(13)를 제한하는 펌프 챔버 본체(14), 유입 밸브(12), 및 유출 밸브(16)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 본체(15)는 상부 시작 포지션과 하부 종료 포지션 사이에서의 상기 펌프 헤드(2)의 개개의 이동에 의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펌프 헤드(2)는, 상기 펌프 헤드(2)로부터 펌핑 스트로크 및 복귀 스트로크를 동안 고정되는 펌프 하우징 부품(3)까지 미끄럼 맞물림 상태로 아래로 연장하는 펌프 헤드 벽(31)을 가지며, 상기 하부 단부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상부 시작 포지션으로의 상기 복귀 스트로크를 위한 복귀 스트로크는 복원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고, 추가적으로, 상기 펌프 하우징 부품(3)은, 복원 수단(18)에 의해 상기 밀봉 맞물림 상태에서 편향되는, 상기 시작 포지션의 상기 펌프 헤드 벽(31) 상의 밀봉 숄더(39)와의 밀봉 맞물림 상태에 있는 밀봉 림(sealing rim) 또는 벽을 가지는,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1).
  4.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1)로서,
    상기 펌프는 펌프 헤드(2), 피스톤을 갖는 피스톤 본체(15), 펌프 챔버 본체(14)에 의해 제한되는 펌프 챔버(13), 유입 밸브(12), 및 유출 밸브(16)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은 상부 시작 포지션과 하부 종료 포지션 사이에 상기 펌프 헤드(2)의 개개의 이동에 의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하부 종료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상부 시작 포지션으로의 복귀 스트로크를 위한 복귀 스트로크 힘은 벌지들(bulges)을 가지는 벨로우즈(18)에 의해 제공되며, 추가적으로, 상기 벌지들은, 상기 벨로우즈의 원주부 및 축방향 높이에 걸쳐 스레드형으로(thread-like) 연장하는,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1).
  5.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1)로서,
    상기 펌프는 펌프 헤드(2), 피스톤을 갖는 피스톤 본체(15), 펌프 챔버 본체(14)에 의해 제한되는 펌프 챔버(13), 유입 밸브(12), 및 유출 밸브(16)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은, 상부 시작 포지션과 하부 종료 포지션 사이의 상기 펌프 헤드(2)의 개개의 이동에 의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하부 종료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상부 시작 포지션으로의 복귀 스트로크를 위한 복귀 스트로크 힘은 벨로우즈에 의해 제공되며, 이러한 벨로우즈의 벌지는 단면에서, 만곡부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에서 병합하는 상부 직선 표면 및 하부 직선 표면을 가지고, 추가적으로, 상기 상부 직선 표면과 압축 방향 또는 상기 벨로우즈의 길이방향 중간 축 각각에 대해 직각인 라인(line) 사이의 제1 예각 각도는 상기 하부 직선 표면과 상기 라인 사이의 상기 단면에서의 제2 예각 각도보다 더 큰,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1).
  6. 벨로우즈로서,
    상기 벨로우즈는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며, 상기 밀봉 립(32) 및/또는 상기 맞물림 부품은, 상기 맞물림 포지션들 중 하나에서, 다른 포지션에서보다 더 높은 밀봉력이 도달되도록, 단차형으로 형성되는,
    벨로우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들은 벌지들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벌지들은, 하나의 벌지가 상기 벨로우즈들의 하부 종료 표면으로부터 상기 벨로우즈들의 상부 종료 표면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상기 벨로우즈들의 원주방향으로 스레드형으로(threadlike) 연장하는,
    벨로우즈.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는 스레드형으로 이어지는 2개 이상의 벌지들을 가지는,
    벨로우즈.
  9. 제6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개어져 배열되는 상기 벨로우즈들은 스레드형으로 이어지는 벌지들을 가지는,
    벨로우즈.
  10. 제6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들 각각의 벌지들은 반대편 피치(pitch)를 가지는,
    벨로우즈.
  11. 제6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들은, 상기 벨로우즈들이 서로 상에 놓이는 표면들 상에 함께 안착되는(nested),
    벨로우즈.
KR1020227045948A 2020-05-29 2021-05-28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 KR202300166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2008086.7A GB202008086D0 (en) 2020-05-29 2020-05-29 Pump
GB2008086.7 2020-05-29
GBGB2019553.3A GB202019553D0 (en) 2020-12-11 2020-12-11 Pump
GB2019553.3 2020-12-11
PCT/EP2021/064439 WO2021239991A1 (en) 2020-05-29 2021-05-28 Pump for dispensing a flu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680A true KR20230016680A (ko) 2023-02-02

Family

ID=787230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948A KR20230016680A (ko) 2020-05-29 2021-05-28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
KR1020227045950A KR20230016056A (ko) 2020-05-29 2021-05-28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950A KR20230016056A (ko) 2020-05-29 2021-05-28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230201852A1 (ko)
EP (2) EP4157545A2 (ko)
KR (2) KR20230016680A (ko)
CN (2) CN115697568A (ko)
BR (2) BR112022023162A2 (ko)
MX (2) MX2022015036A (ko)
WO (2) WO2021239985A2 (k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0613A (en) * 1976-08-31 1977-09-27 Corsette Douglas Frank Manual actuated dispensing pump
US4685594A (en) * 1986-07-03 1987-08-11 Manuel Czech Dispenser for paste-like products
DE3928524C2 (de) * 1989-08-29 1994-02-24 Megaplast Dosiersysteme Spender
DE4041136C2 (de) * 1990-12-21 1994-06-30 Andris Raimund Gmbh & Co Kg Dosier- und Spraypumpe zur Abgabe flüssiger, niederviskoser und pastöser Stoffe
US5505343A (en) * 1994-10-19 1996-04-09 Knickerbocker; Michael G. Manually actuated pump
DE4441263A1 (de) * 1994-11-19 1996-05-23 Caideil M P Teoranta Tormakead Austragvorrichtung für Medien
NL1001366C2 (nl) 1995-10-06 1997-04-08 Airspray Int Bv Inrichting voor het afgeven van een luchtvloeistofmengsel, in het bijzonder schuim en daarvoor bestemde bedieningseenheid.
FR2824538B1 (fr) * 2001-05-10 2004-01-16 Daniel Crosnier Pompe doseuse
JP2003341765A (ja) 2002-05-20 2003-12-03 Katsutoshi Masuda 液体容器の弁機構
JP4021268B2 (ja) 2002-07-24 2007-12-12 勝利 増田 流体吐出ポンプ
DE20304731U1 (de) 2003-03-25 2003-06-26 Megaplast Gmbh & Co Kg Dosierpumpe aus Kunststoff
FR2906233B1 (fr) 2006-09-27 2011-02-11 Valois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DE102007024724A1 (de) * 2007-01-24 2008-07-31 Inotech Kunststofftechnik Gmbh Spendervorrichtung für die Aufnahme und Ausgabe von pastösen Produkten mit einem ein Kopfstück und einen Spenderkolben aufweisenden Spenderkopf
DE102008024181B4 (de) * 2008-05-19 2016-03-03 Megaplast Gmbh & Co. Kg Spender
IT1393228B1 (it) * 2009-03-02 2012-04-11 Taplast Srl Unita' per l'erogazione di fluidi o miscele e relativo dispositivo di erogazione.
IT1404091B1 (it) * 2011-01-31 2013-11-08 Taplast Srl Elemento elastico per un dispositivo per l'erogazione di fluidi o miscele e dipositivo comprendente tale elemento elastico.
WO2014099228A1 (en) * 2012-12-20 2014-06-26 Arminak & Associates, Llc Foam dispenser with an integral piston valve
EP3102336B1 (en) * 2014-01-13 2020-02-19 Silgan Dispensing Systems Corporation Dispensing pump with cup spring
US20170326567A1 (en) * 2014-11-20 2017-11-16 Taplast S.P.A. Elastic element for a device for dispensing fluids or mixtures and method and mould for making said elastic element
DE102015104288A1 (de) 2015-03-23 2016-09-29 Megaplast Gmbh Spender zur Ausgabe flüssiger bis pastöser Massen
CN206827252U (zh) * 2017-05-26 2018-01-02 江苏德晋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液体按压喷头装置
DE102019132345A1 (de) 2019-01-29 2020-07-30 Rpc Bramlage Gmbh Kunststofffeder
KR102044128B1 (ko) * 2019-08-19 2019-11-12 이영주 펌프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697569A (zh) 2023-02-03
BR112022023715A2 (pt) 2023-02-07
WO2021239985A3 (en) 2022-01-27
WO2021239985A2 (en) 2021-12-02
BR112022023162A2 (pt) 2022-12-20
KR20230016056A (ko) 2023-01-31
EP4157545A2 (en) 2023-04-05
EP4157546A1 (en) 2023-04-05
MX2022015036A (es) 2023-01-04
WO2021239991A1 (en) 2021-12-02
US20230201852A1 (en) 2023-06-29
CN115697568A (zh) 2023-02-03
MX2022015035A (es) 2023-01-04
US20230249206A1 (en)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4109B2 (en) Pump dispensers
US4343417A (en) Dispensing pump locking means
US4915601A (en) Dosaging pump with pump bellows on bottles or the like
CN103086032B (zh) 具备反转、折回底壁的合成树脂制容器
US8573448B2 (en) Lotion pump
GB2135396A (en) Liquid dispensing pump
CN109475888B (zh) 泵分配器
JPH0240869B2 (ko)
MXPA05005607A (es) Bomba de precompresion de altura reducida.
KR102502590B1 (ko) 패스티 질량체들에 액체를 방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KR20210047557A (ko) 합성수지제 스프링을 갖는 펌프 구조
KR20230016680A (ko)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
WO2023174094A1 (zh) 容器及其泵组件
US11173506B2 (en) Pump dispensers, especially foam dispensers
JP3216677U (ja) 逆流防止ポンプ
JP2570613Y2 (ja) 吐出量可変ポンプ
KR102556042B1 (ko) 화장품용기
US20050061833A1 (en) Manual pump with integrated compon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