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664A - 픽셀 유닛, 광전기 센서, 촬영 모듈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픽셀 유닛, 광전기 센서, 촬영 모듈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664A
KR20230016664A KR1020227045489A KR20227045489A KR20230016664A KR 20230016664 A KR20230016664 A KR 20230016664A KR 1020227045489 A KR1020227045489 A KR 1020227045489A KR 20227045489 A KR20227045489 A KR 20227045489A KR 20230016664 A KR20230016664 A KR 20230016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anel
exit surface
light exit
light
photosensitive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5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안밍 구오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16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3Special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elements, address-lines or gate-electr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H04N23/13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with multiple sensors
    • H04N23/16Optical arrangements associated therewith, e.g. for beam-splitting or for colour cor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 G02B27/1013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for colour or multispectral image sensors, e.g. splitting an image into monochromatic image components on respective sens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3Special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elements, address-lines or gate-electrodes
    • H01L27/14607Geometry of the photosensitiv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43Photodiode arrays; MOS imagers
    • H01L27/14645Colour ima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1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for transforming different wavelengths into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2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raction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부에 설치 공간이 구비된 기판;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하게 구비되는 적색 감광 다이오드,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남색 감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감광 다이오드; 베이스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설치 공간 내에 위치하며, 광 입사면, 제1 광 출사면, 제2 광 출사면과 제3 광 출사면을 구비하고, 광 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선을 분산시킨 후 제1 광 출사면, 제2 광 출사면과 제3 광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며, 제1 광 출사면은 적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고, 제2 광 출사면은 녹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며, 제3 광 출사면은 남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는 분광기;를 포함하는 픽셀 유닛, 광전기 센서, 촬영 모듈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픽셀 유닛, 광전기 센서, 촬영 모듈 및 전자 장치
본 발명은 광전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픽셀 유닛, 광전식 센서, 촬영 모듈 및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의 상호 인용
본 발명은 2020년 05월 26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되고, 출원번호가 2020104561602이며, 발명의 명칭이 "픽셀 유닛, 광전기 센서, 촬영 모듈 및 전자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요구하며, 본 출원에서는 그 모든 내용을 인용하고 있다.
현재 카메라의 광전기 센서의 감광 방식은 사람의 눈과 유사한 바, 광전기 센서의 픽셀 상에 커버된 삼원색(Red-Green-Blue, RGB)의 세 가지 컬러 필터 어레이(color filer array, CFA)는 사람 눈의 세 가지 추상 세포를 시뮬레이션하고, 스펙트럼 반사 곡선에 대하여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를 형성한 후, 이미지 신호 처리(Image Signal Processing, ISP)의 처리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이미지로 된다.
상기 광전기 센서의 감광 방식과 사람의 눈의 감광 방식의 차이점은, 광전기 센서의 각 픽셀은 단지 RGB 중의 하나만 획득할 수 있지만, 사람의 눈의 추상 세포는 분포가 아주 밀집하여 각 픽셀이 동시에 RGB 세개 신호를 획득하는 것과 등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광전기 센서를 사용하면 생성한 이미지가 사람의 눈이 감지하는 이미지의 세부 사항에 비하여 거짓 색상이 나타날 수 있는 바, 즉 이미지 중에 심각한 인공 흔적, 예를 들면 채색 테두리 등 허위 색상 효과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광전기 센서의 허위 색상 효과를 해결하는 것이 시급하게 극복하여야 하는 기술적 과제로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촬영 모듈의 광전기 센서의 허위 색상 효과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픽셀 유닛, 광전기 센서, 촬영 모듈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부에 설치 공간이 구비된 기판;
상기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하게 구비되는 적색 감광 다이오드,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남색 감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감광 다이오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설치 공간 내에 위치하며, 광 입사면, 제1 광 출사면, 제2 광 출사면과 제3 광 출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광 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선을 분산시킨 후 상기 제1 광 출사면, 제2 광 출사면과 제3 광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며, 상기 제1 광 출사면은 상기 적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고, 상기 제2 광 출사면은 상기 녹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며, 상기 제3 광 출사면은 상기 남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는 분광기;를 포함하는 픽셀 유닛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는,
밑판, 제1 사이드 패널, 제2 사이드 패널, 제3 사이드 패널과 제4 사이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이드 패널, 상기 제2 사이드 패널, 상기 제3 사이드 패널과 상기 제4 사이드 패널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링형을 이루며, 상기 제1 사이드 패널, 상기 제2 사이드 패널, 상기 제3 사이드 패널과 상기 제4 사이드 패널은 각각 상기 밑판의 변두리에 연결되고, 상기 밑판, 상기 제1 사이드 패널, 상기 제2 사이드 패널, 상기 제3 사이드 패널과 상기 제4 사이드 패널 사이에는 상기 설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감광 다이오드와 상기 분광기는 상기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는,
밑판, 제1 사이드 패널과 제3 사이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이드 패널과 상기 제3 사이드 패널은 마주하게 구비되고 모두 밑판의 변두리에 연결되며, 상기 밑판, 상기 제1 사이드 패널과 상기 제3 사이드 패널 사이에는 상기 설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 공간은 오목형 구조이며, 상기 감광 다이오드와 상기 분광기는 상기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밑판, 상기 제1 사이드 패널과 상기 제3 사이드 패널에는 각각 상기 적색 감광 다이오드, 상기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상기 남색 감광 다이오드 세 가지 중의 하나가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분광기의 횡단면은 사다리꼴이며, 상기 사다리꼴의 하나의 변이 소재하는 면을 상기 광 입사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사다리꼴의 다른 하나의 변이 소재하는 면 및 상기 사다리꼴의 두 허리가 소재하는 면을 각각 상기 제1 광 출사면, 제2 광 출사면과 제3 광 출사면 세 가지 중의 하나로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설치 공간은 외부와 연통되는 광 투과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분광기는 상기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분광기의 횡단면은 등변사다리꼴이고, 상기 등변사다리꼴의 아래 변은 상기 광 투과 개구를 향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는 규소 고무 부품이다.
제2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면에 따른 픽셀 유닛인 픽셀 유닛;
제1 감광 제어 회로, 제2 감광 제어 회로와 제3 감광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감광 다이오드, 상기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상기 남색 감광 다이오드는 각각 상기 제1 감광 제어 회로, 상기 제2 감광 제어 회로와 상기 제3 감광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수신된 광 신호를 각각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감광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광전기 센서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감광 제어 회로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광전기 센서는 복수의 상기 픽셀 유닛을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픽셀 유닛은 상호 연결되고 어레이로 배치되며, 여기서 상기 픽셀 유닛은 제1 면에 따른 픽셀 유닛이다.
선택적으로, 인접한 상기 픽셀 유닛은 상기 베이스를 공용한다.
제3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회로판, 렌즈와 광전기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광전기 센서는 상기 회로판 상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광전기 센서는 제2 면에 따른 광전기 센서이며;
상기 렌즈는 상기 광전기 센서의 상기 회로판과 멀리 떨어진 일측에 구비되는 촬영 모듈을 제공한다.
제4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3 면에 따른 촬영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셀 유닛은 상기 분광기의 광선을 방향이 서로 다른 세 개의 광선으로 나뉘고, 각각 적색 감광 다이오드,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남색 감광 다이오드로 진입함으로써 해당 픽셀 유닛이 동시에 RGB 세 개 신호를 획득하도록 하여, 광전기 센서의 허위 색상 효과를 효과적으로 극복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될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도면은 단지 본 발명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창조적인 노력 없이도 이러한 도면을 통해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셀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첫번째 베이스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번째 베이스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광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광기가 분광하는 구현 원리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기 센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픽셀 유닛, 광전기 센서, 촬영 모듈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본 발명 중의 기술방안을 더욱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하는 바, 기재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고 전부가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창조성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픽셀 유닛을 제공하는 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픽셀 유닛(100)의 정면 단면도로서, 베이스(101), 적색 감광 다이오드(1021), 남색 감광 다이오드(1023), 녹색 감광 다이오드(1022)와 분광기(103)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베이스(101) 내에는 설치 공간이 구비되고, 적색 감광 다이오드(1021), 남색 감광 다이오드(1023), 녹색 감광 다이오드(1022)는 상기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며, 분광기(103)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 상기 분광기(103)가 설치 공간 내에 위치하며, 분광기(103)는 광 입사면(1031), 제1 광 출사면(1032), 제2 광 출사면(1033)과 제3 광 출사면(1034)을 구비하고, 분광기(103)는 광 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선을 분산시킨 후 제1 광 출사면(1032), 제2 광 출사면(1033)과 제3 광 출사면(1034)으로부터 출사시키며, 여기서, 제1 광 출사면(1032)은 적색 감광 다이오드(1021)를 향하고, 제2 광 출사면(1033)은 녹색 감광 다이오드(1022)를 향하며, 제3 광 출사면(1034)은 남색 감광 다이오드(1023)를 향한다. 이로써, 상기 분광기(103)의 광선이 세 개의 서로 다른 방향의 광선으로 나뉘고, 각각 적색 감광 다이오드(1021), 녹색 감광 다이오드(1022)와 남색 감광 다이오드(1023)로 진입하는 것을 통하여, 해당 픽셀 유닛(100)이 동시에 RGB 세 개 신호를 획득하도록 하여, 광전기 센서의 허위 색상 효과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1)는 두 개의 사이드 패널과 하나의 밑판(1010)의 오목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사이드 패널은 제1 사이드 패널(1011)과 제3 사이드 패널(1013)을 포함하고, 제1 사이드 패널(1011)과 제3 사이드 패널(1013)은 마주하게 구비되고 또한 모두 상기 밑판(1010)의 변두리에 연결되며, 상기 밑판(1010), 상기 제1 사이드 패널(1011)과 상기 제3 사이드 패널(1013) 사이에는 상기 설치 공간을 형성하고, 해당 설치 공간은 오목형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감광 다이오드와 상기 분광기는 모두 상기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된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1)는 또한 하나의 밑판(1010)과 4 개의 사이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상기 4 개의 사이드 패널은 제1 사이드 패널(1011), 제2 사이드 패널(1012), 제3 사이드 패널(1013)과 제4 사이드 패널(101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이드 패널(1011), 제2 사이드 패널(1012), 제3 사이드 패널(1013)과 제4 사이드 패널(1014)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링형을 이루며, 또한 상기 제1 사이드 패널(1011), 제2 사이드 패널(1012), 제3 사이드 패널(1013)과 제4 사이드 패널(1014)각각 상기 밑판(1010)의 변두리에 연결된다. 상기 밑판(1010), 상기 제1 사이드 패널(1011), 상기 제2 사이드 패널(1012), 상기 제3 사이드 패널(1013)과 상기 제4 사이드 패널(1014) 사이에는 상기 설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감광 다이오드와 상기 분광기는 모두 상기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된다.
또는 상기 베이스는 또한 하나의 밑판과 복수의 사이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여기서, 상기 복수의 사이드 패널을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링형을 이루고, 또한 상기 복수의 사이드 패널은 각각 상기 밑판의 변두리에 연결되며, 상기 밑판과 상기 복수의 사이드 패널 사이에는 상기 설치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감광 다이오드와 상기 분광기는 모두 상기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상기 복수의 사이드 패널은 5 개 사이드 패널일 수 있고, 또한 6 개의 사이드 패널일 수 있는 등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기 사이드 패널의 수량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서, 밑판, 제1 사이드 패널과 제3 사이드 패널 상에는 각각 상기 적색 감광 다이오드,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남색 감광 다이오드 세 가지 중의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색 감광 다이오드를 제1 사이드 패널의 내벽에 설치할 수 있고, 남색 감광 다이오드를 제3 사이드 패널의 내벽에 설치할 수 있으며, 녹색 감광 다이오드를 밑판의 내벽에 설치할 수 있고, 또는 적색 감광 다이오드를 밑판의 내벽에 설치할 수 있고, 남색 감광 다이오드를 제1 사이드 패널의 내벽에 설치할 수 있으며, 녹색 감광 다이오드를 제3 사이드 패널의 내벽에 설치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감광 다이오드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상기 분광기(103)의 구조는 상기 감광 다이오드를 베이스(101) 상에 설치하는 구체적인 위치와 연관된다. 상기 베이스(101) 내의 설치 공간은 외부와 연통되는 광 투과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분광기(103)는 해당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어, 분광기(103)를 투과한 광선을 세 개의 방향이 다른 광선으로 분산시켜, 각각 설치 공간에 설치된 세 개의 감관 다이오드로 입사시킬 수 있다.
실시에서, 상기 베이스가 하나의 밑판과 4 개의 사이드 패널을 포함하고, 여기서, 적색 감광 다이오드,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남색 감광 다이오드 세 개에서, 하나는 밑판에 설치되고, 하나는 제1 사이드 패널에 설치되며, 다른 하나는 제3 사이드 패널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면, 상기 분광기의 횡단면은 제형 구조일 수 있고, 상기 사다리꼴의 하나의 변이 소재하는 면을 광 입사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사다리꼴의 다른 하나의 변이 소재하는 면 및 상기 사다리꼴의 두 허리가 소재하는 면을 각각 상기 제1 광 출사면, 제2 광 출사면과 제3 광 출사면 세 가지 중의 하나로 형성한다.
나아가, 상기 설치 공간은 외부와 연통되는 광 투과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분광기는 상기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분광기의 횡단면은 등변사다리꼴이고, 상기 등변사다리꼴의 아래 변은 상기 광 투과 개구를 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가 하나의 밑판과 4 개의 사이드 패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밑판, 상기 제1 사이드 패널과 상기 제3 사이트 패널에 각각 적색 감광 다이오드,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남색 감광 다이오드 세 개 중의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광기(103)의 구조 모식도이고, 해당 베이스(101)와 대응되는 분광기(103)의 구조는 등변사다리꼴 구조이며, 하나의 광 입사면(1031), 제1 광 출사면(1032), 제2 광 출사면(1033)과 제3 광 출사면(1034)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등변사다리꼴의 아래 변(즉 광 입사면(1031))은 상기 광 투과 개구를 향하며, 등변사다리꼴의 위 변(즉 제1 광 출사면(1032)이 각각 상기 제2 광 출사면(1033)과 제3 광 출사면(1034)과 사이의 협각은 45 도이고, 상기 제2 광 출사면(1033)과 제3 광 출사면(1034)는 광 입사면(1031)을 투과하고 제2 광 출사면(1033)과 제3 광 출사면(1034)에 조사된 광선을 90 도로 굴절시켜, 상기 제2 광 출사면(1033)과 제3 광 출사면(1034)과 대응되게 상기 설치 공간에 위치하는 감광 다이오드로 입사되며; 상기 제1 광 출사면(1032)을 투과한 광선은 상기 설치 공간 밑판에 위치하는 감광 다이오드로 입사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선은 해당 분광기(103)의 광 입사면(1031)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101) 내부의 설치 공간으로 입사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1 광 출사면(1032)을 투과한 광선은 직접 베이스 밑판(1010)에 위치하는 적색 감광 다이오드(1021)에 입사할 수 있으며; 분광기(103)의 제2 광 출사면(1033)과 제3 광 출사면(1034)을 통과한 광선은, 상기 제2 광 출사면(1033)과 제3 광 출사면(1034)에 의하여 90 도로 굴절되어, 상기 제2 광 출사면(1033)과 제3 광 출사면(1034)과 대응되게 상기 베이스(101)의 제1 사이드 패널(1011)에 위치하는 녹색 감광 다이오드(1022)와 제3 사이드 패널(1013)에 위치하는 남색 감광 다이오드(1023)로 입사된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는 규소 고무 부품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셀 유닛에서, 상기 픽셀 유닛은, 내부에 설치 공간이 구비된 기판;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하게 구비되는 적색 감광 다이오드,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남색 감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감광 다이오드; 베이스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설치 공간 내에 위치하며, 광 입사면, 제1 광 출사면, 제2 광 출사면과 제3 광 출사면을 구비하고, 광 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선을 분산시킨 후 제1 광 출사면, 제2 광 출사면과 제3 광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며, 제1 광 출사면은 적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고, 제2 광 출사면은 녹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며, 제3 광 출사면은 남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는 분광기를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분광기의 광선이 세 개의 서로 다른 방향의 광선으로 나뉘고, 각각 적색 감광 다이오드,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남색 감광 다이오드로 진입하는 것을 통하여, 해당 픽셀 유닛이 동시에 RGB 세 개 신호를 획득하도록 하여, 광전기 센서의 허위 색상 효과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공개하는 픽셀 유닛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광전기 센서를 제공하는 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기 센서(200)로서, 해당 광전기 센서(200)는 복수의 상기 실시예의 상기 픽셀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픽셀 유닛(100)은 상호 연결되고 또한 어레이로 배치되며, 해당 광전기 센서(200)는 오목형 배열 구조이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해당 광전기 센서(200)를 구성하는 픽셀 유닛(100)이 다름에 따라, 픽셀 유닛(100)의 수량이 다르고, 픽셀 유닛(100)의 배열 방식도 다르기 때문에, 해당 광전기 센서(200)를 구성하는 오목형 배열 구조 모식도 여러 가지일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며,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나아가, 상기 광전기 센서는 픽셀 유닛과 감광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픽셀 유닛은 상기 실시예 중의 임의의 픽셀 유닛일 수 있다. 해당 감광 제어 회로는 제1 감광 제어 회로, 제2 감광 제어 회로와 제3 감광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색 감광 다이오드, 상기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상기 남색 감광 다이오드는 각각 상기 제1 감광 제어 회로, 상기 제2 감광 제어 회로와 상기 제3 감광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수신된 광 신호를 각각 전기 신호로 전환한다.
나아가, 상기 감광 제어 회로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여기서, 상기 감광 제어 회로는 금속 회로일 수 있다.
실시에서, 상기 베이스는 감광 제어 회로(예를 들면 금속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감광 제어 회로는 감광 다이오드와 연결되어, 수신된 감광 다이오드가 전환한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적색 감광 다이오드는 적색 광선(파장이 다름)을 획득하고, 서로 다른 강도의 적색 광선의 광 신호를 서로 다른 강도의 아날로그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으며, 녹색 감광 다이오드는 녹색 광선(파장이 다름)을 획득하고, 서로 다른 강도의 녹색 광선의 광 신호를 서로 다른 강도의 아날로그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으며, 남색 감광 다이오드는 남색 광선(파장이 다름)을 획득하고, 서로 다른 강도의 남색 광선의 광 신호를 서로 다른 강도의 아날로그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내부에는 또한 감광 제어 회로(예를 들면 금속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감광 제어 회로는 제1 감광 제어 회로, 제2 감광 제어 회로와 제3 감광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색 감광 다이오드, 상기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상기 남색 감광 다이오드는 각각 상기 제1 감광 제어 회로, 상기 제2 감광 제어 회로와 상기 제3 감광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수신된 광 신호를 각각 전기 신호로 전환한다.
나아가, 인접된 상기 픽셀 유닛은 상기 베이스를 공용한다.
실시예에서, 인접된 두 개의 픽셀 유닛에는 단지 하나의 사이드 패널만 있을 수 있고, 해당 사이드 패널 상에는 인접된 두 개의 픽셀 유닛의 감광 제어 회로가 구비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기 센서에서, 해당 광전기 센서는 복수의 픽셀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해당 픽셀 유닛은, 내부에 설치 공간이 구비된 기판;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하게 구비되는 적색 감광 다이오드,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남색 감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감광 다이오드; 베이스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설치 공간 내에 위치하며, 광 입사면, 제1 광 출사면, 제2 광 출사면과 제3 광 출사면을 구비하고, 광 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선을 분산시킨 후 제1 광 출사면, 제2 광 출사면과 제3 광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며, 제1 광 출사면은 적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고, 제2 광 출사면은 녹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며, 제3 광 출사면은 남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는 분광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분광기의 광선이 세 개의 서로 다른 방향의 광선으로 나뉘고, 각각 적색 감광 다이오드,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남색 감광 다이오드로 진입하는 것을 통하여, 해당 픽셀 유닛이 동시에 RGB 세 개 신호를 획득하도록 하여, 광전기 센서의 허위 색상 효과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
나아가, 상기 광전기 센서가 상기 실시예 중의 픽셀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해당 광전기 센서가 오목형 배열 구조이기 때문에, 동일한 크기의 광전기 센서 상에 효과적으로 감광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해당 광전기 센서가 더욱 풍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하여, 나아가 이미지 왜곡을 감소시키고, 광전기 센서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공개하는 광전기 센서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촬영 모듈을 제공하는 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촬영 모듈은 상기 실시예의 상기 광전기 센서(200), 렌즈(301)와 회로판(305)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전기 센서(200)는 상기 회로판(305)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회로판(3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광전기 센서(200)는 상기 실시예의 상기 광전기 센서이며; 상기 렌즈(301)는 상기 광전기 센서(200)의 상기 회로판(305)과 멀리 떨어진 일측에 구비된다.
나아가, 촬영 성능을 향상시키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공개하는 촬영 모듈은 광학 필터(303)를 더 포함하는 바, 광학 필터(303)는 상기 광전기 센서(200)의 상방에 위치하여, 여분의 적외선과 자외선을 필터링하고, 상기 광학 필터(303)는 또한 칼러 필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 렌즈(301)를 투과하여 입사되는 광선에서, 일부 광선은 상기 광전기 센서(200)에 조사되기 전 광학 필터(303)를 거치고, 광학 필터(303)는 필터링의 역할을 하여 여분의 적외선과 자외선을 필터링하여, 광전기 센서(200)의 감광 영역에서 필요로 하지 않는 광선을 필터링시켜, 광전기 센서(200)가 촬영 과정에 허위 색상 또는 파문을 형성하지 않게 하고, 나아가 이미지의 유효 해상도와 칼러의 환원성을 향상시킨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공개하는 촬영 모듈은 또한 모터(302)를 더 포함하는 바, 상기 모터(302)는 상기 렌즈(301)와 연결되어 렌즈(301)의 이동을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 해당 모터(302)는 상기 렌즈(301) 하방에 위치하여, 렌즈(301) 상의 구동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렌즈(301)의 이동을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302)는 줌 모터일 수 있어, 줌 모터가 렌즈를 구동시켜 이동하는 과정에 줌 기능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모터(302)는 또한 기타 종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모터의 종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공개하는 촬영 모듈은 또한 베드(304)를 더 포함하는 바, 상기 베드(304)는 상기 회로판(305)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모터(302)가 해당 베드(304) 상에 구비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을 포함하고, 해당 촬영 모듈은 광전기 센서를 포함하며, 해당 광전기 센서는 복수의 픽셀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해당 픽셀 유닛은, 내부에 설치 공간이 구비된 기판;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하게 구비되는 적색 감광 다이오드,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남색 감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감광 다이오드; 베이스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설치 공간 내에 위치하며, 광 입사면, 제1 광 출사면, 제2 광 출사면과 제3 광 출사면을 구비하고, 광 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선을 분산시킨 후 제1 광 출사면, 제2 광 출사면과 제3 광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며, 제1 광 출사면은 적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고, 제2 광 출사면은 녹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며, 제3 광 출사면은 남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는 분광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분광기의 광선이 세 개의 서로 다른 방향의 광선으로 나뉘고, 각각 적색 감광 다이오드,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남색 감광 다이오드로 진입하는 것을 통하여, 해당 픽셀 유닛이 동시에 RGB 세 개 신호를 획득하도록 하여, 광전기 센서의 허위 색상 효과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공개하는 촬영 모듈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장치를 공개하는 바, 공개된 전자 장치는 상기 실시예의 상기 촬영 모듈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일 전자 장치를 구현하는 하드웨어 구조 모식도로서, 해당 전자 장치는 상기 실시예 중의 촬영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해당 전자 장치는 무선 주파수 유닛(401), 네트워크 모듈(402), 오디오 출력 유닛(403), 입력 유닛(404), 센서(405), 디스플레이 유닛(406), 사용자 입력 유닛(407), 인터페이스 유닛(408), 메모리(409), 프로세서(410) 및 전원(411) 등 부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도 8에 도시된 전자 장치 구조가 전자 장치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전자 장치는 도시된 것보다 더욱 많거나 더욱 적은 부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부품 또는 서로 다른 부품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핸드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장치 및 계보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하고, 해당 촬영 모듈은 회로판, 렌즈와 상기 실시예의 상기 광전기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광전기 센서는 상기 회로판 상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회로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광전기 센서는 상기 실시예의 상기 광전기 센서이며; 상기 렌즈는 상기 광전기 센서의 상기 회로판과 멀리 떨어진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해당 전자 장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하고, 해당 촬영 모듈은 광전기 센서를 포함하며, 해당 광전기 센서는 복수의 픽셀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해당 픽셀 유닛은, 내부에 설치 공간이 구비된 기판;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하게 구비되는 적색 감광 다이오드,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남색 감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감광 다이오드; 베이스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설치 공간 내에 위치하며, 광 입사면, 제1 광 출사면, 제2 광 출사면과 제3 광 출사면을 구비하고, 광 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선을 분산시킨 후 제1 광 출사면, 제2 광 출사면과 제3 광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며, 제1 광 출사면은 적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고, 제2 광 출사면은 녹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며, 제3 광 출사면은 남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는 분광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분광기의 광선이 세 개의 서로 다른 방향의 광선으로 나뉘고, 각각 적색 감광 다이오드,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남색 감광 다이오드로 진입하는 것을 통하여, 해당 픽셀 유닛이 동시에 RGB 세 개 신호를 획득하도록 하여, 광전기 센서의 허위 색상 효과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40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신 과정의 신호의 수신과 송신을 진행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지국으로부터 온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410)로 전송하여 처리를 진행하며;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4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소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40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네트워크 및 기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 모듈(402)을 통하여 사용자를 위하여 무선의 광대역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바, 예를 들면 사용자를 도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 접속하며, 스트림 미디어를 접속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403)은 무선 주파수 유닛(401) 또는 네트워크 모듈(402)이 수신한 또는 메모리(4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전환하고 또한 소리로 출력한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유닛(403)은 또한 전자 장치(400)가 실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를 들면, 콜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403)은 스피커, 부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4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 유닛(404)은 그래픽 처리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4041)와 마이크(404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처리장치(4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가 취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수행한다. 처리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유닛(406)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미지 처리장치(4041)의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4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401) 또는 네트워크 모듈(402)을 거쳐 송신을 진행한다. 마이크(40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 후의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 무선 주파수 유닛(401)을 거쳐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는 포맷으로 전환되어 출력된다.
전자 장치(400)는 또한 적어도 한 가지 센서(405)를 포함하는 바, 예를 들면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광 센서는 환경 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바, 여기서, 환경 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암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06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전자 장치(400)가 귀가로 이동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4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닫을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 센서는 각 방향 상(일반적으로 3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탐지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탐지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 자세(예를 들면 가로/세로 스크린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조절), 진동 식별 관련 기능(예를 들면 계보기, 두드림) 등을 식별할 수 있으며; 센서(405)는 또한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유닛(406)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유닛(406)은 디스플레이 패널(4061)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식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4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전자 장치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사용자 입력 유닛(407)은 터치 패널(4071) 및 다른 입력 장치(4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4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칭하고, 사용자의 그 위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부속품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4071) 상 또는 터치 패널(40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4071)은 터치 탐지 장치와 터치 제어기 두 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검출하고, 또한 터치 조작에 의한 신호를 검출하며,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전송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이를 터치 포인트 좌표로 전환시켜, 다시 프로세서(410)로 전송하고, 프로세서(410)가 전송하는 명령을 수신 및 실행한다. 그리고, 저항식, 전기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 음파 등 여러 유형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40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4071) 외, 사용자 입력 유닛(407)은 또한 다른 입력 장치(40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다른 입력 장치(4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스틱 등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나아가, 터치 패널(4071)은 디스플레이 패널(4061) 상에 커버될 수 있고, 터치 패널(4071)이 그 위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감지한 후, 프로세서(410)로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결정하고, 그 후 프로세서(410)가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061) 상에서 상응한 시각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서 터치 패널(4071)과 디스플레이 패널(4061)은 두 개의 독립적인 부품으로서 전자 장치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하였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4071)과 디스플레이 패널(4061)을 집적시켜 전자 장치의 입력과 플레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여기서 제한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유닛(408)은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40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저장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입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4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또한 수신된 입력을 전자 장치(400)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소자로 전송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400)와 외부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4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여러 가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09)는 주요하게 프로그램 저장 구역과 데이터 저장 구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구역에는 운영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를 들면 사운드 플레이 기능, 이미지 플레이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구역에는 핸드폰의 사용에 따라 구성된 데이터(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 통신록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409)는 고속 무작위 접속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기억 소자, 플래시 소자 또는 기타 휘발성 고체 기억 소자이다.
프로세서(410)는 전자 장치의 제어 센터로서,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와 선로를 이용하여 전체 전자 장치의 각 부분을 연결하고, 메모리(409)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작동 또는 실행하며, 메모리(409)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기기의 여러 가지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자 장치에 대하여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410)에는 응용 프로세서와 변조/복조 프로세서가 집적될 수 있고, 여기서, 응용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운영 시스템, 유저 인터페이스와 어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또한 프로세서(410)에 집적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전자 장치(400)는 또한 각 부품을 위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411)(예를 들면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원(4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프로세서(410)와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모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400)는 일부 도시되지 않은 기능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410), 메모리(409), 메모리(409)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410)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4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 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완전한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한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방면을 결합시킨 실시예의 형식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그 중에 컴퓨터 사용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사용가능한 저장 매체(자기 디스크 메모리, CD-ROM, 광학 메모리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상에서 실시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 실시예의 방법, 장치(시스템)과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럭도를 참조하여 기재된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으로 흐름도 및/또는 블럭도 중의 각 과정 및/또는 블럭, 및 흐름도 및/또는 블럭도 중의 과정 및/또는 블럭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내장형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기계를 생성하여, 범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하여 실행되는 명령이 흐름도의 한 과정 또는 복수개의 과정 및/또는 블럭도의 하나의 블럭 또는 복수개의 블럭 중의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유도하여 특정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되어,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를 포함하는 제조품을 생성하도록 하고, 해당 명령 장치는 흐름도의 한 흐름 또는 복수개의 흐름 및/또는 블럭도의 하나의 블럭 또는 복수개의 블럭 중의 지정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베어링되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 상에서 일련의 조작 단계를 실행하여 컴퓨터 구현가능한 처리를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이 흐름도의 한 과정 또는 복수개의 과정 및/또는 블럭도의 하나의 블럭 또는 복수개의 블럭 중의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하나의 전형적인 구성에서, 컴퓨터 장치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프로세서(CPU), 입출력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메모리가 포함된다.
메모리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중의 비영구성 기억장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등 형식, 예를 들면 판독 전용 기억 장치(ROM) 또는 플래시 램(flash RA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예시이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는 영구성 및 비영구적, 이동가능 및 이동불가능 매체가 포함되고,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 저장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의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일 수 있다. 컴퓨터의 저장 매체의 예시에는 상변환 램(PRAM), 정적 랜덤 엑세스 메모리(SRAM), 동적 랜덤 엑세스 메모리(DRAM), 기타 유형의 랜덤 엑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기억장치(ROM), 전기적 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시디롬(CD-ROM),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기타 광학 저장매체,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성 저장 장치 또는 임의의 기타 비전송 매체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접속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중국어 중의 정의에 의하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는 일시적 매체(transitory media), 예를 들면 변조된 데이터 신호와 반송파가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술된 이러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처리 유닛은 하나 또는 다수의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 Device, DSPD),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본 발명의 상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타 전자 유닛 또는 그 조합 중에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기능을 구현하는 모듈을 통하여(예를 들면 과정, 함수 등)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또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잇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문에서, 용어 “포함하다” 또는 이의 임의의 기타 변형체는 비 배타적인 포함을 뜻함으로써,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상품 또는 장치가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 아니라, 또한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은 기타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상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를 포함하도록 한다. 더욱 많은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서, “한... 을(를)을 포함하다”는 구절로 한정되는 요소는 상기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설비에 또한 기타 동일한 요소가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방식에 대한 기재를 통하여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하드웨어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여러 경우 중에서 전자가 더욱 바람직한 실시방식이다. 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를 들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단말(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는 도면을 결부시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단지 예시적일 뿐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힌트 하에서 본 발명의 사상과 청구항이 보호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 하에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변경과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사상과 원칙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수정, 등가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픽셀 유닛
101 : 베이스
1010 : 밑판
1011 : 제1 사이드 패널
1012 : 제2 사이드 패널
1013 : 제3 사이드 패널
1014 : 제4 사이드 패널
1021 : 적색 감광 다이오드
1022 : 녹색 감광 다이오드
1023 : 남색 감광 다이오드
103 : 분광기
1031 : 광 입사면
1032 : 제1 광 출사면
1033 : 제2 광 출사면
1034 : 제3 광 출사면
200 : 광전기 센서
301 : 렌즈
302 : 모터
303 : 광학 필터
304 : 베드
305 : 회로판

Claims (13)

  1. 내부에 설치 공간이 구비된 베이스;
    상기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하게 구비되는 적색 감광 다이오드,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남색 감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감광 다이오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설치 공간 내에 위치하며, 광 입사면, 제1 광 출사면, 제2 광 출사면과 제3 광 출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광 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선을 분산시킨 후 상기 제1 광 출사면, 제2 광 출사면과 제3 광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며, 상기 제1 광 출사면은 상기 적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고, 상기 제2 광 출사면은 상기 녹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며, 상기 제3 광 출사면은 상기 남색 감광 다이오드를 향하는 분광기;를 포함하는 픽셀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밑판, 제1 사이드 패널, 제2 사이드 패널, 제3 사이드 패널과 제4 사이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이드 패널, 상기 제2 사이드 패널, 상기 제3 사이드 패널과 상기 제4 사이드 패널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링형을 이루며, 상기 제1 사이드 패널, 상기 제2 사이드 패널, 상기 제3 사이드 패널과 상기 제4 사이드 패널은 각각 상기 밑판의 변두리에 연결되고, 상기 밑판, 상기 제1 사이드 패널, 상기 제2 사이드 패널, 상기 제3 사이드 패널과 상기 제4 사이드 패널 사이에는 상기 설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감광 다이오드와 상기 분광기는 상기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는 픽셀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밑판, 제1 사이드 패널과 제3 사이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이드 패널과 상기 제3 사이드 패널은 마주하게 구비되고 모두 밑판의 변두리에 연결되며, 상기 밑판, 상기 제1 사이드 패널과 상기 제3 사이드 패널 사이에는 상기 설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 공간은 오목형 구조이며, 상기 감광 다이오드와 상기 분광기는 상기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는 픽셀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 상기 제1 사이드 패널과 상기 제3 사이드 패널에는 각각 상기 적색 감광 다이오드, 상기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상기 남색 감광 다이오드 세 가지 중의 하나가 설치되는 픽셀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광기의 횡단면은 사다리꼴이며, 상기 사다리꼴의 하나의 변이 소재하는 면을 상기 광 입사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사다리꼴의 다른 하나의 변이 소재하는 면 및 상기 사다리꼴의 두 허리가 소재하는 면을 각각 상기 제1 광 출사면, 제2 광 출사면과 제3 광 출사면 세 가지 중의 하나로 형성하는 픽셀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공간은 외부와 연통되는 광 투과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분광기는 상기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분광기의 횡단면은 등변사다리꼴이고, 상기 등변사다리꼴의 아래 변은 상기 광 투과 개구를 향하는 픽셀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규소 고무 부품인 픽셀 유닛.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픽셀 유닛인 픽셀 유닛;
    제1 감광 제어 회로, 제2 감광 제어 회로와 제3 감광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감광 다이오드, 상기 녹색 감광 다이오드와 상기 남색 감광 다이오드는 각각 상기 제1 감광 제어 회로, 상기 제2 감광 제어 회로와 상기 제3 감광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수신된 광 신호를 각각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감광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광전기 센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제어 회로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광전기 센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기 센서는 복수의 상기 픽셀 유닛을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픽셀 유닛은 상호 연결되고 어레이로 배치되는 광전기 센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픽셀 유닛은 상기 베이스를 공용하는 광전기 센서.
  12. 회로판, 렌즈와 광전기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광전기 센서는 상기 회로판 상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광전기 센서는 제8항 또는 제9항에 따른 광전기 센서이며;
    상기 렌즈는 상기 광전기 센서의 상기 회로판과 멀리 떨어진 일측에 구비되는 촬영 모듈.
  13. 제12항에 따른 촬영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27045489A 2020-05-26 2021-05-24 픽셀 유닛, 광전기 센서, 촬영 모듈 및 전자 장치 KR202300166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456160.2A CN111614878B (zh) 2020-05-26 2020-05-26 像素单元、光电传感器、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202010456160.2 2020-05-26
PCT/CN2021/095530 WO2021238869A1 (zh) 2020-05-26 2021-05-24 像素单元、光电传感器、摄像模组及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664A true KR20230016664A (ko) 2023-02-02

Family

ID=72203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489A KR20230016664A (ko) 2020-05-26 2021-05-24 픽셀 유닛, 광전기 센서, 촬영 모듈 및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00569A1 (ko)
EP (1) EP4161052A4 (ko)
JP (1) JP7450070B2 (ko)
KR (1) KR20230016664A (ko)
CN (1) CN111614878B (ko)
WO (1) WO20212388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4878B (zh) * 2020-05-26 2022-04-22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像素单元、光电传感器、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4422730B (zh) * 2022-01-17 2024-03-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传感器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0978A (en) * 1992-09-30 1994-08-23 Lsi Logic Corporation Image-sensing display panels with LCD display panel and photosensitive element array
JPH11313334A (ja) * 1998-04-27 1999-11-09 Nippon Hoso Kyokai <Nhk> 固体撮像装置
JP2000151933A (ja) * 1998-11-06 2000-05-30 Nec Corp 撮像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6882367B1 (en) * 2000-02-29 2005-04-19 Foveon, Inc. High-sensitivity storage pixel sensor having auto-exposure detection
JP2001309395A (ja) 2000-04-21 2001-11-02 Sony Corp 固体撮像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8020899A2 (en) * 2006-04-17 2008-02-21 Cdm Optics, Inc. Arrayed imaging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US20090096900A1 (en) * 2007-10-11 2009-04-16 Chin-Poh Pang Image sensor device
KR20120039501A (ko) * 2009-07-24 2012-04-25 파나소닉 주식회사 촬상 장치 및 고체 촬상 소자
US8792027B2 (en) 2010-01-06 2014-07-29 Panasonic Corporation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imaging device, and dispersing element
CN102510447B (zh) * 2011-09-28 2016-08-10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图像传感器
KR20180077393A (ko) * 2016-12-28 201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센서
CN107613182A (zh) 2017-10-27 2018-01-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摄像头感光组件、摄像头和摄像终端
KR102424652B1 (ko) * 2017-11-17 202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CN107861242B (zh) * 2017-12-20 2019-07-05 嘉兴中润光学科技有限公司 具有多传感器的成像系统
CN111614878B (zh) * 2020-05-26 2022-04-22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像素单元、光电传感器、摄像模组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00569A1 (en) 2023-03-30
WO2021238869A1 (zh) 2021-12-02
EP4161052A4 (en) 2024-03-20
JP7450070B2 (ja) 2024-03-14
EP4161052A1 (en) 2023-04-05
CN111614878A (zh) 2020-09-01
CN111614878B (zh) 2022-04-22
JP2023526971A (ja) 202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00750B (zh) 一种图像传感器及移动终端
US11743605B2 (en) Image sensor, mobile terminal, and image photographing method
CN110798602B (zh) 摄像模组、电子设备、拍摄控制方法及装置
EP3410391A1 (en) Image blurr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WO2020097748A1 (zh) 一种光学传感装置和终端
WO2019091426A1 (zh) 摄像头组件、图像获取方法及移动终端
WO2021057735A1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08965665B (zh) 一种图像传感器及移动终端
KR20230016664A (ko) 픽셀 유닛, 광전기 센서, 촬영 모듈 및 전자 장치
CN109257463B (zh) 一种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867961A (zh) 包括显示器的电子装置
WO2020015626A1 (zh) 移动终端及图像拍摄方法
CN110995971B (zh) 摄像模组、电子设备、拍摄控制方法及装置
CN104597967A (zh) 手持式电子装置及其投影方法
US10694130B2 (en) Imaging element and imaging device
JP2023501608A (ja) 電子機器及びフォーカス方法
WO2022206607A1 (zh) 显示模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US20220367541A1 (en) Image sensor, mobile terminal, and image capturing method
CN109729264B (zh) 一种图像获取方法及移动终端
JP7397966B2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1425294B2 (en) Imaging device having polarizer part, user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acquiring ambient light using the same
CN108550182A (zh) 一种三维建模方法和终端
CN112150357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10503618A (zh) 图像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217508882U (zh) 摄像装置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