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325A -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325A
KR20230014325A KR1020210095533A KR20210095533A KR20230014325A KR 20230014325 A KR20230014325 A KR 20230014325A KR 1020210095533 A KR1020210095533 A KR 1020210095533A KR 20210095533 A KR20210095533 A KR 20210095533A KR 20230014325 A KR20230014325 A KR 20230014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skin
manufacturing
attached thin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호
전소희
황순형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95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4325A/ko
Priority to PCT/KR2021/020225 priority patent/WO2023003108A1/ko
Priority to EP21951056.7A priority patent/EP4374909A1/en
Publication of KR20230014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2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46Solid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53Methods for produc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44Micromachined materials, e.g. made from silicon wafer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or comprising nanotechn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 A61M2207/10Device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2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29C2043/02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 B29C2043/025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ing a microstructure, i.e. fine patte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2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29C2043/026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having functional projections, e.g. faste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을 제작하기 위하여 혼합액이 수용되는 캐스트부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돌출 필라를 형성함으로써 건조공정 이후 돌출 필라 상면에 복수개의 박막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공간에 혼합액이 수용 가능하도록 ㄷ자로 형성되되, 하면부와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액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캐스트부와, 상기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 필라를 포함하는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Mold for manufacturing thin film attached to ski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hin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막을 제작하기 위하여 혼합액이 수용되는 캐스트부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돌출 필라를 형성함으로써 건조공정 이후 돌출 필라 상면에 복수개의 박막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약물은 경구로 투여된다. 그러나, 일부 약물, 특히, 단백질 및 펩티드 약물은, 위장관 내에서의 격심한 분해, 장 세포막에서의 빈약한 흡수 및/또는 간에 의한 초회통과의 중단 때문에 이 방법으로는 효과적으로 흡착될 수 없다.
다른 약물 투여 기술은, 표준 시린지 또는 카테터를 사용하는 비경구 주입이다. 주사바늘 주입은 많은 환자들에서 주사바늘 공포증, 실질적인 통증, 피부에 국소적인 손상을 일으킨다. 진단 목적을 위한 혈액과 같은 체액의 회수는 유사한 불안함을 일으킨다. 또한, 주사바늘 주입은 약물의 지속적인 전달, 또는 지속적인 진단을 위해 이상적이지 않다.
또 다른 약물 전달 기술은, 보통 피부를 가로질러 약물의 확산에 의존하는 경피 전달이다. 이 방법은 많은 약물의 부족한 피부 투과성 때문에 널리 적용되지 않는다. 피부의 가장 바깥층, 각질층은 경피 약물 침투에 대한 주 장벽을 나타낸다. 일단 약물이 진피 깊이(상피층 아래)에 도달하면, 약물은 혈액 순환을 통해 깊은 조직층 및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 신속하게 확산한다. 피부를 통한 단백질 약물 전달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시도에서, 화학적 인핸서, 이온삼투요법(iontophoresis), 전기 천공법(electroporation), 초음파, 및 열소자가 약물 전달을 보충하는데 사용되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작되는 박막은 농도가 낮은(30%이하) 용액을 몰드에 주입 후 대기, 진공, 송풍, 열풍 등에 의한 건조과정으로 미세 박막을 형성하는 박막성형공정 시에, 건조된 박막은 수축에 의해 뒤틀리거나 몰드 표면으로부터 분리 된다.
이에 따라, 몰드 표면에서 분리된 박막은 후공정이 어렵고 정밀하고 평평한 박막을 형성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박막을 제작하기 위하여 혼합액이 수용되는 캐스트부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돌출 필라를 형성함으로써 건조공정 이후 돌출 필라 상면에 복수개의 박막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는 내부 공간에 혼합액을 수용하는 캐스트부; 및 상기 캐스트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피부 부착 박막이 상면에서 제조되는 돌출 필라를 포함하며, 상기 캐스트부는 바닥을 형성하는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 필라는 상기 하면부로부터 복수개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 필라의 상면에는 제1 미세 구조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필라의 상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 필라의 상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수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의 상기 돌출 필라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폐곡선으로 돌출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의 제2 수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부의 상기 돌출 필라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중 상기 제2 수용돌기로 둘러쌓인 내측 영역의 표면에 제2 미세 구조체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스트부는, 돌출 필라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스트부는, 돌출 필라 사이에 개폐 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술한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은, 상기 혼합액을 상기 캐스트부에 공급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혼합액을 수용하는 혼합액 수용단계; 상기 캐스트부에 공급된 상기 혼합액이 피부 부착 박막으로 변화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혼합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형성된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을 상기 캐스트 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박막 획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박막 획득단계에서 획득되는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은 돌출 필라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막 획득단계에서 획득되는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은 상기 제2 수용돌기로 둘러쌓인 내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술한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를 이용한 다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은, 상기 혼합액을 상기 캐스트부에 공급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혼합액을 수용하는 혼합액 수용단계; 상기 캐스트부에 공급된 상기 혼합액이 피부 부착 박막으로 변화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혼합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피부 부착 박막에 기능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도포하는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 상기 도포된 기능성 물질이 고형화 되도록 건조시키는 고형화단계; 상기 건조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형성된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을 상기 캐스트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박막 획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는, 피부 부착 박막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을 집결시키기 위해 수용액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액을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액을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박막 획득단계는, 접착제를 포함한 접착필름을 상기 캐스트부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을 상기 캐스트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필름은, 상기 캐스트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 또는 상기 캐스트부의 길이보다는 짧되 돌출 필라 간 거리보다는 길게 제조되어 복수개의 피부 부착 박막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착필름은, 상기 돌출 필라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 또는 상기 돌출 필라의 길이보다는 길되 돌출 필라 간 거리보다는 짧게 제조되어 피부 부착 박막을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박막을 제작하기 위하여 혼합액이 수용되는 캐스트부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돌출 필라를 형성함으로써 건조공정 이후 돌출 필라 상면에 복수개의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돌출 필라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제1 돌출 필라와 제2 돌출 필라를 포함함으로써 한 번의 공정과정을 통해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1 실시 예에서 제1 미세구조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3 실시예에서 제2 미세 구조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서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를 도시한 제 1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서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를 도시한 제 2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서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를 도시한 제 3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서 박막 획든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미세구조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1 실시예는 캐스트부(100)와 돌출 필라(200)를 포함한다.
상기 캐스트부(100)는 내부 공간에 피부 부착 박막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액(도 10의 S)이 수용 가능하도록, 상면이 개구된 ㄷ자로 형성되며, 하면부(110)와 상기 하면부(110)의 외측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부(120)의 높이는 형성하고자 하는 피부 부착 박막(도 10의 T)의 두께의 최대값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이는, 상기 캐스트부(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혼합액의 양, 즉 상기 혼합액의 깊이에 따라, 후술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두께가 결정되므로, 피부 부착 박막의 두께의 최대값은 상기 측면부(120)의 높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돌출 필라(200)는 상기 하면부(110)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수를 가진다.
상기 돌출 필라(200)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캐스트부(100)의 내부 공간에 혼합액이 한번 수용되고 건조과정을 거침에 따라 생성되는 피부 부착 박막의 개수는 상기 돌출 필라(200)의 개수만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돌출 필라(200) 상면(200U)의 형상 및 크기는 제작하고자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형상 및 크기에 부합되도록 변형 가능하다.
즉, 돌출 필라(200)의 상면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 형성하고자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형상 및 크기 제한 없이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200U)은 친수성으로 표면처리 됨으로써 혼합액의 건조단계(S110)에서 상기 혼합액이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성을 가지며 피부 부착 박막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이 혼합액의 종류에 따라 기본적으로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부착되는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어 부착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필라의 형상은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이 평행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의 (c) 및 (d)와 같이, 상기 돌출 필라의 상면의 면적이 하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 필라(200')의 형상은 측면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진 형상의 돌출 필라(200'')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필라(200', 200'')의 형상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면적이 좁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하부면(110) 중 상기 돌출 필라(200', 20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넓어져 후술하는 제2 수용돌기(도 4의 400)가 돌출형성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며, 상기 제2 수용돌기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 필라(200)는 상면에 제1 미세 구조체(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미세 구조체(210)는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 미세 구조체(210)의 형상은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서 기능성 물질 도포가 수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자유롭게 변형가능하고, 상기 제1 미세 구조체(210)의 직경은 수nm 내지 수mm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캐스트부(100)의 하면부(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 필라(200)가 형성되고, 돌출 필라(200)의 상면에 제1 미세 구조체(210)가 형성될 수 있는 내용은 동일하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2 실시예는 제1 수용돌기(300)를 더 포함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용돌기(300)는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출 필라(200) 상면에 상기 혼합액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200U)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1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친수성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수용돌기(300)의 내주면(300S)은 소수성으로 형성되어 건조시 상기 제1 수용돌기(300)의 내주면(300S)에 박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형성된 피부 부착 박막이 상기 제1 수용돌기(300)에 의하여 단차지게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3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캐스트부(100)의 하면부(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 필라(200)가 형성되고, 돌출 필라(200)의 상면에 제1 미세 구조체(210)가 형성될 수 있는 내용은 동일하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3 실시예는 제2 수용돌기(400)를 더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수용돌기(400)는 상기 하면부(110)의 상기 돌출 필라(20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폐곡선으로 돌출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용돌기(400) 내부에 상기 혼합액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술한 돌출 필라(200)의 상면뿐만 아니라, 상기 캐스트부(100)의 하면부(110)에서도 피부 부착 박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수용돌기(400)의 형상 및 크기는 제작하고자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형상 및 크기에 부합되도록 변형 가능함으로써 형성하고자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형상 및 크기 제한 없이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면부(110)의 상기 돌출 필라(20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중 상기 제2 수용돌기(400)로 둘러쌓인 내측 영역의 표면(110U)은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200U)과 같이 친수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용돌기(400)의 내주면(400S)은 소수성으로 형성되어 건조시 상기 제2 수용돌기(400)의 내주면(400S)에 박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형성된 피부 부착 박막이 상기 제2 수용돌기(400)에 의하여 단차지지 않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하면부(110)의 상기 돌출 필라(20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중 상기 제2 수용돌기(400)로 둘러쌓인 내측 영역의 표면에는 제2 미세 구조체(4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미세 구조체(410)는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 미세 구조체(410)의 형상은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서 기능성 물질 도포가 수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자유롭게 변형가능하며, 상기 제2 미세 구조체(410)의 직경은 수nm 내지 수mm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4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캐스트부(100)의 하면부(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 필라(200)가 형성되고, 돌출 필라(200)의 상면에 제1 미세 구조체(210)가 형성될 수 있는 내용은 동일하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4 실시예는 필라 끼움블럭(510, 520)을 더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라 끼움블럭(510, 520)은 상기 돌출 필라(200)에 끼워져, 상기 돌출 필라(200)로부터 제작할 수 있는 피부 부착 박막의 크기보다 더 큰 피부 부착 박막을 획득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필라 끼움블럭(510, 520)의 내경은 상기 돌출 필라(20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필라 끼움블럭(510, 520)이 상기 돌출필라(200)에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필라 끼움블럭(510, 520)의 외경은 상기 돌출 필라(2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필라 끼움블럭(510, 520)의 상면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필라 끼움블럭(510, 520) 상면의 형상은 여러가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라 끼움블럭(510, 520)의 상면에는 상술한 제1 미세 구조체(210) 및 제2 미세 구조체(410)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제3 미세 구조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 끼움 블럭의 상면에는 상술한 제1 수용돌기(300) 및 제2 수용돌기(400)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제3 수용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 끼움블럭의 길이는 상기 돌출 필라(200)의 측면을 전체적으로 덮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510에 해당),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부의 일부분만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520에 해당), 이는 상기 캐스트부(100)의 하면부(110)에 형성된 제2 수용돌기(400)에 의하여 형성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생성을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필라 끼움블럭(510, 520)은 상기 돌출 필라(200)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에 따라 한 번의 공정 과정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박막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5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캐스트부(100)의 하면부(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 필라(200)가 형성되고, 돌출 필라(200)의 상면에 제1 미세 구조체(210)가 형성될 수 있는 내용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5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 필라는 제1 돌출(200A) 필라 및 제2 돌출 필라(200B)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돌출 필라(200A)와 제2 돌출 필라(200B)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 필라(200A)와 제2 돌출 필라(200B)의 높이 차이에 따라 형성되는 피부 부착 박막의 두께가 달라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5 실시예로부터 한번의 공정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피부 부착 박막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6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캐스트부(100)의 하면부(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 필라(200)가 형성되고, 돌출 필라(200)의 상면에 제1 미세 구조체(210)가 형성될 수 있는 내용은 동일하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6 실시예는 복수개의 분리막(60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분리막(600)은 돌출 필라(2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스트부(100)의 측벽과 돌출 필라(20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분리막(600)은 후술하는 혼합액의 건조 단계에서 수축에 의해 피부 부착 박막으로 변화되는 혼합액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분리막(600)의 높이는 캐스트부(100)의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다.
다만, 분리막은 혼합액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분리막(600)의 상면에 미세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돌출 필라(200)로서 역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분리막(600)을 돌출 필라(200)로서 활용할 경우 더 많은 피부 부착 박막을 획득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7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캐스트부(100)의 하면부(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 필라(200)가 형성되고, 돌출 필라(200)의 상면에 제1 미세 구조체(210)가 형성될 수 있는 내용은 동일하다.
다만,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7 실시예는 개폐 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구멍(70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개폐 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구멍(700)은 돌출 필라(2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스트부(100)의 측벽과 돌출 필라(20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개폐 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구멍(700)은 후술하는 혼합액 수용단계에서 혼합액이 건조되기 전에 구멍의 개폐를 조절하여 혼합액을 캐스트부(100)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혼합액을 재활용할 수 있다.
즉, 개폐 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구멍(700)은 같은 양의 혼합액을 피부 부착 박막을 제조하는데 사용하더라도 혼합액을 재활용함으로써 더 많은 양의 피부 부착 박막을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실시예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구성은 단일 실시예에서만 사용 가능한 것이 아니라, 실시예별 구성이 다른 실시예에 적용가능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1000)를 이용한 것이며,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1000)의 구성의 도번은 도 1 내지 도 9의 기재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은 혼합액 수용단계(S100), 건조단계(S110) 및 박막 획득단계(S120)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액 수용단계(S100)에서는 상기 혼합액(S)을 상기 캐스트부(100)에 공급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혼합액(S)을 수용한다.
상기 혼합액 수용단계(S100)에서는 상기 혼합액(S)을 상기 캐스트부(100)에 수용한 상태에서 진공처리하며, 진공처리함에 따라 상기 캐스트부(100)에서 상기 혼합액(S)의 수용 상태를 안정화시키거나, 상기 혼합액(S) 내의 기포를 제거하거나, 상기 혼합액(S)의 건조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액(S)을 상기 캐스트부(100)에 공급하기 전부터 진공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액(S)의 용질은 생체 내에서 용해 또는 분해가 가능한 소재로, 핵산(nucleic acid), 데옥시리보 핵산(DeoxyriboNucleic Acid, DNA), 리보핵산(RiboNucleic Acid, RNA),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 륨(Polydeoxyribonucleotide, PDR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알긴 산(alginic acid), 펙틴, 카라기난, 콘드로이틴(설페이트), 콘드로이틴황 산(chondroitin sulfate), 글리코겐(glycogen), 덱스트란(설페이트), 덱스트 란(dextran), 덱스트린(dextrin), 키토산, 폴리라이신(polylysine), 콜라겐, 젤라 틴, 카르 복시메틸 키틴(carboxymethyl chitin), 피브린, 아가로스, 풀루란 폴리락 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PGA), 폴리락타이드-글리코라이드 공중합체(PLGA), 히아 루로닉 산(hyaluronic acid), 알지닉 산(alginic acid), 펙틴, 카라기난, 콘드로이 틴(설페이트), 덱스트란(설페이트), 키틴(chitin), 키토산, 폴리라이 신(polylysine), 콜라겐, 젤라틴, 카르복시메틸 키틴(carboxymethyl chitin), 피브 린, 아가로스, 풀루란(pullulan) 등의 다당류나 콜라겐(collagen), 젤라 틴(gelatin) 및 이들의 가수분해물 등의 단백질, 풀루란 폴리안하이드라이 드(polyanhydride), 폴리오르 쏘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에테르에스테 르(polyetherester),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에스테르아마이 드(polyesteramide), 폴리(뷰티릭 산), 폴리(발레릭 산),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 아크릴 치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비- 분해성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풀루오라이드, 폴 리(비닐 이미다졸),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올레핀(chlorosulphonatepolyolefins),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카르복시비닐 중합체(carboxylvinylpolymer),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 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 오스(HPC), 카복시메틸셀루로스, 싸이클로덱스트린 및 이러한 고분자를 형성하는 단량체들의 공중합체 및 셀룰로오스의 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액(S)의 용질은 휘발성을 가지는 물과 같은 무기용매와 에탄올(ethan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등의 유기용매에 녹을 수 있는 소재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건조단계(S110)에서는 상기 캐스트부(100)에 공급된 상기 혼합액(S)이 피부 부착 박막(T)으로 변화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혼합액(S)을 건조시킨다.
상기 건조단계(S110)는 상기 혼합액(S)이 수용된 상기 캐스트부(100)를 별도의 건조유닛(미도시)에서 일정 건조온도, 일정 건조시간동안 대기, 진공, 송풍, 열풍등을 사용하여 건조시킨다.
물론, 건조단계(S110)에서 수행되는 건조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 가능한 건조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S110)에서의 건조온도와 건조시간은 상기 혼합액(S)의 종류 및 상기 캐스트부(100)에 수용된 상기 혼합액(S)의 용량에 따라 조절된다.
또한, 상기 건조단계(S110)에서는 피펫팅유닛(미도시)을 통해 상기 캐스트부(100)에 수용된 상기 혼합액(S) 내의 버블을 제거함으로써 높은 퀄리티의 피부 부착 박막(T)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박막 획득단계(S120)에서는 상기 건조단계(S110)가 수행됨에 따라 형성된 상기 피부 부착 박막(T)을 상기 캐스트부(100)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박막 획득단계(S120)에서는 별도의 접착성이 있는 필름을 사용하여 박막(T)을 분리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박막 획득단계(S120)에서 획득되는 상기 피부 부착 박막(T)은 돌출 필라(200)의 상면, 상기 제2 수용돌기(400)로 둘러쌓인 내측 영역에 형성된 피부 부착 박막(T)뿐만 아니라, 상기 필라 끼움블럭(510, 520)의 상면에 형성된 피부 부착 박막(T)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은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S110') 및 고형화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S110')는 상기 건조단계(S110)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S110')에서는 피부 부착 박막(T)의 상면에 혼합액(S) 또는 기능성 이종물질(이하, 기능성 물질(F)이라 합니다.)을 선택적으로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물질(F)은 인체의 유효특성을 나타내는 약물, 기계적,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S110')에서 상기 기능성 물질(F)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에 형성된 플랫(flat)한 피부 부착 박막(T1)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도포될 수도 있고 또는 제1 미세구조체 내지 제3 미세구조체에 의하여 상기 피부 부착 박막(T2)에 형성된 홈부(H)에 선택적으로 도포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고형화단계에서 상기 피부 부착 박막(T1, T2)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F)이 고형화되도록 건조시킨 후, 상기 박막 획득단계(도 10의 S120과 동일)를 수행하여, 상기 기능성 물질(F)이 포함되는 피부 부착 박막(T1, T2)을 획득한다.
도 11 및 도 12(a) 내지 (c)를 참조하면, 상기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S210`)에서 상기 기능성 물질(F)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에 형성된 플랫(flat)한 피부 부착 박막(T1)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도포될 수도 있고 또는 제1 미세구조체 내지 제3 미세구조체에 의하여 상기 피부 부착 박막(T2)에 형성된 홈부(H)에 선택적으로 도포될 수도 있다.
다만, 도 11의 실시예에서 기능성 물질을 도포한 후 고형화단계를 수행하는 것과 달리, 도12(a) 내지 (c)의 실시예에서는 기능성 물질을 도포한 후 다시 캐스트부(100)에 혼합액(S)을 수용하는 단계(S211`)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12(a) 내지 (c)의 실시예에서는 다시 혼합액(S)을 수용한 후 박막 획득단계(S220`, 도 10의 S120과 동일)를 수행함으로써 기능성 물질(F) 아래에 위치하는 피부 부착 박막(T)뿐만 아니라 기능성 물질(F) 위에 위치하는 피부 부착 박막(T')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더 많은 피부 부착 박막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a)와 (b)를 참조하면, 상기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도 12의 S210`와 동일)에서 상기 기능성 물질(F)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에 형성된 플랫(flat)한 피부 부착 박막(T1)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도포될 수도 있고 또는 제1 미세구조체 내지 제3 미세구조체에 의하여 상기 피부 부착 박막(T2)에 형성된 홈부(H)에 선택적으로 도포될 수도 있다.
다만, 도 12의 실시예에서 기능성 물질을 도포한 후 다시 캐스트부(100)에 혼합액(S)을 수용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과 달리, 도13(a)와 (b)의 실시예에서는 기능성 물질을 도포한 후(도12의 S210`와 동일) 기능성 물질 위에 수용액(W)을 도포하는 단계(S311`)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수용액을 도포하는 단계(S311`)는 기능성 물질이 건조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13(a)와 (b)의 실시예에서는 기능성 물질(F) 위에 수용액(W)을 도포함으로써 피부 부착 박막(T)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을 집결(S312`)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상기 돌출 필라(200)의 제1 미세구조체 내지 제3 미세구조체에 의하여 피부 박막(T2)에 형성된 홈부(H)에 기능성 물질(F)이 도포된 경우, 상기 수용액(W)이 상기 홈부(H)의 끝부분으로 상기 기능성 물질(F)을 집결시킬 수 있다.
피부 부착 박막(T2)을 몰드에서 분리하여 피부에 부착하는 경우, 피부 박막(T2)에 형성된 홈부(H)가 피부에 삽입된 후 용해되면서 홈부(H) 포함된 기능성 물질(F)이 피부로 전달된다. 수용액(W)은 홈부(H)의 끝부분으로 기능성 물질(F)을 집결시킴으로써 기능성 물질(F)이 피부 깊이 전달되도록 한다. 이 때, 수용액(W)은 기능성 물질의 건조 단계를 거치면서 증발한다. 도13(a)와 (b)의 실시예에서는 수용액을 도포하는 단계(S311`) 이후 다시 혼합액(S)을 수용하고 박막 획득단계(도 12의 S220`과 동일)를 수행함으로써 기능성 물질(F) 아래에 위치하는 피부 부착 박막(T)뿐만 아니라 기능성 물질(F) 위에 위치하는 피부 부착 박막(T')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더 많은 피부 부착 박막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서 박막 획득단계(도 10의 S120과 동일)는 접착제(810)를 포함한 접착필름(800)을 상기 캐스트부(100)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피부 부착 박막(T, T1, T2 또는 T`)을 상기 캐스트부(1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 때, 접착필름(800)이 상기 캐스트부(100)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캐스트부(100)의 길이보다는 짧되 돌출 필라(200) 간 거리보다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캐스트부(100)의 돌출 필라(200)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피부 부착 박막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필름(800)이 상기 돌출 필라(200)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돌출 필라(200)의 길이보다는 길되 돌출 필라(200) 간 거리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상기 캐스트부(100)의 돌출 필라(200)의 상면에 형성된 하나의 피부 부착 박막만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내부 공간에 혼합액을 수용하는 캐스트부; 및
    상기 캐스트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피부 부착 박막이 상면에서 제조되는 돌출 필라를 포함하며,
    상기 캐스트부는 바닥을 형성하는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 필라는 상기 하면부로부터 복수개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필라의 상면에는 제1 미세 구조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필라의 상면은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필라의 상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수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의 상기 돌출 필라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폐곡선으로 돌출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의 제2 수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의 상기 돌출 필라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중 상기 제2 수용돌기로 둘러쌓인 내측 영역의 표면에 제2 미세 구조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트부는,
    돌출 필라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트부는,
    돌출 필라 사이에 개폐 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구멍을 포함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을 상기 캐스트부에 공급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혼합액을 수용하는 혼합액 수용단계;
    상기 캐스트부에 공급된 상기 혼합액이 피부 부착 박막으로 변화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혼합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형성된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을 상기 캐스트 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박막 획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획득단계에서 획득되는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은 돌출 필라의 상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획득단계에서 획득되는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은 상기 제2 수용돌기로 둘러쌓인 내측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을 상기 캐스트부에 공급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혼합액을 수용하는 혼합액 수용단계;
    상기 캐스트부에 공급된 상기 혼합액이 피부 부착 박막으로 변화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혼합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피부 부착 박막에 기능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도포하는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
    상기 도포된 기능성 물질이 고형화 되도록 건조시키는 고형화단계;
    상기 건조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형성된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을 상기 캐스트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박막 획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는,
    피부 부착 박막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을 집결시키기 위해 수용액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을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액을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획득단계는,
    접착제를 포함한 접착필름을 상기 캐스트부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을 상기 캐스트부로부터 분리시키는,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필름은,
    상기 캐스트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 또는 상기 캐스트부의 길이보다는 짧되 돌출 필라 간 거리보다는 길게 제조되어 복수개의 피부 부착 박막을 분리시키는,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필름은,
    상기 돌출 필라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 또는 상기 돌출 필라의 길이보다는 길되 돌출 필라 간 거리보다는 짧게 제조되어 피부 부착 박막을 분리시키는,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KR1020210095533A 2021-07-21 2021-07-21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KR20230014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533A KR20230014325A (ko) 2021-07-21 2021-07-21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PCT/KR2021/020225 WO2023003108A1 (ko) 2021-07-21 2021-12-29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EP21951056.7A EP4374909A1 (en) 2021-07-21 2021-12-29 Mold for manufacturing thin film attachable to sk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film attached to skin by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533A KR20230014325A (ko) 2021-07-21 2021-07-21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325A true KR20230014325A (ko) 2023-01-30

Family

ID=8498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533A KR20230014325A (ko) 2021-07-21 2021-07-21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74909A1 (ko)
KR (1) KR20230014325A (ko)
WO (1) WO2023003108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91953B (zh) * 2006-07-18 2015-07-11 Sipix Imaging Inc 電泳顯示器
FR2933959B1 (fr) * 2008-07-16 2010-09-10 Roquette Freres Procede de fabrication de films directement en alveole.
WO2013129028A1 (ja) * 2012-02-29 2013-09-06 凸版印刷株式会社 針状体および針状体の製造方法
JP6588864B2 (ja) * 2016-05-23 2019-10-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経皮吸収シートの製造方法
JP7095937B2 (ja) * 2018-03-09 2022-07-05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蛍光体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372815B1 (ko) * 2020-03-13 2022-03-10 한국기계연구원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74909A1 (en) 2024-05-29
WO2023003108A1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66277A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microprojection arrays
US11083881B2 (en) Method for increasing permeability of a cellular layer of epithelial cells
KR101136738B1 (ko) 송풍에 의한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
CN108697882B (zh) 利用生物相容性高分子的微针的制备方法
JP5860032B2 (ja) 関節リウマチ薬の送達のためのデバイス
CN104117137B (zh) 一种胶囊式中空载药微针阵列及其制备方法
TW458791B (en) Intracutaneous microneedle array apparatus
US9302903B2 (en) Microneedle devices and production thereof
EP3021931B1 (en) Hollow microneedle array article
KR101633137B1 (ko) 약물 전달을 위한 리포좀-마이크로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11318292B2 (en) Microneedle patch for transdermal injections
EP317847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microstructure
JP2012505164A (ja) 相転移重合体マイクロニードル
CN101553275A (zh) 用于活性物质透皮递送和取样的高纵横比微器件和方法
CA2528512A1 (en) Process for producing pad base for transdermal drug administration, pad base for transdermal drug administration and needle
KR20160073337A (ko) 미세방 마이크로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2815B1 (ko)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EP3854441A1 (en) Microstructure-based drug injec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30014325A (ko)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KR20110116110A (ko) 송풍에 의한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US20240350322A1 (en) Mold for manufacturing skin attachable thin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kin attachable thin film by using same
TWI645870B (zh) 經皮吸收用微結構體及其製造方法
EP3918977A1 (en) Minimally invasive skin biopsy method using microneedle p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