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815B1 -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815B1
KR102372815B1 KR1020200031277A KR20200031277A KR102372815B1 KR 102372815 B1 KR102372815 B1 KR 102372815B1 KR 1020200031277 A KR1020200031277 A KR 1020200031277A KR 20200031277 A KR20200031277 A KR 20200031277A KR 102372815 B1 KR102372815 B1 KR 102372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skin
attached thin
mixed solutio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455A (ko
Inventor
정준호
전소희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31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81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026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36Remov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56Biocompatible, e.g. biopolymers or bio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1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having irregular or rough surfaces

Landscapes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을 제작하기 위하여 혼합액이 수용되는 캐스트부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돌출 필라를 형성함으로써 건조공정 이후 돌출 필라 상면에 복수개의 박막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공간에 혼합액이 수용 가능하도록 ㄷ자로 형성되되, 하면부와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액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캐스트부와, 상기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 필라를 포함하는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Mold for manufacturing thin film attached to ski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hin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막을 제작하기 위하여 혼합액이 수용되는 캐스트부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돌출 필라를 형성함으로써 건조공정 이후 돌출 필라 상면에 복수개의 박막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약물은 경구로 투여된다. 그러나, 일부 약물, 특히, 단백질 및 펩티드 약물은, 위장관 내에서의 격심한 분해, 장 세포막에서의 빈약한 흡수 및/또는 간에 의한 초회통과의 중단 때문에 이 방법으로는 효과적으로 흡착될 수 없다.
다른 약물 투여 기술은, 표준 시린지 또는 카테터를 사용하는 비경구 주입이다. 주사바늘 주입은 많은 환자들에서 주사바늘 공포증, 실질적인 통증, 피부에 국소적인 손상을 일으킨다. 진단 목적을 위한 혈액과 같은 체액의 회수는 유사한 불안함을 일으킨다. 또한, 주사바늘 주입은 약물의 지속적인 전달, 또는 지속적인 진단을 위해 이상적이지 않다.
또 다른 약물 전달 기술은, 보통 피부를 가로질러 약물의 확산에 의존하는 경피 전달이다. 이 방법은 많은 약물의 부족한 피부 투과성 때문에 널리 적용되지 않는다. 피부의 가장 바깥층, 각질층은 경피 약물 침투에 대한 주 장벽을 나타낸다. 일단 약물이 진피 깊이(상피층 아래)에 도달하면, 약물은 혈액 순환을 통해 깊은 조직층 및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 신속하게 확산한다.
피부를 통한 단백질 약물 전달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시도에서, 화학적 인핸서, 이온삼투요법(iontophoresis), 전기 천공법(electroporation), 초음파, 및 열 소자가 약물 전달을 보충하는데 사용되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작되는 박막은 농도가 낮은(30%이하) 용액을 몰드에 주입 후 대기, 진공, 송풍, 열풍 등에 의한 건조과정으로 미세 박막을 형성하는 박막성형공정 시에, 건조된 박막은 수축에 의해 뒤틀리거나 몰드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몰드 표면에서 분리된 박막은 후공정이 어렵고 정밀하고 평평한 박막을 형성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000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50580호(발명의 명칭 : 약물 입자 및/또는 약물 흡착된 입자를 함유하는 고용체퍼포레이터, 2008. 06. 09. 공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박막을 제작하기 위하여 혼합액이 수용되는 캐스트부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돌출 필라를 형성함으로써 건조공정 이후 돌출 필라 상면에 복수개의 박막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공간에 혼합액이 수용 가능하도록 ㄷ자로 형성되되, 하면부와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액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캐스트부와, 상기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 필라를 포함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 필라의 상면에는 제1 미세 구조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필라의 상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필라의 상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수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부의 상기 돌출 필라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폐곡선으로 돌출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의 제2 수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부의 상기 돌출 필라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중 상기 제2 수용돌기로 둘러쌓인 내측 영역의 표면에 제2 미세 구조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을 상기 캐스트부에 공급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혼합액을 수용하는 혼합액 수용단계와, 상기 캐스트부에 공급된 상기 혼합액이 피부 부착 박막으로 변화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혼합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형성된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을 상기 캐스트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박막 획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박막 획득단계에서 획득되는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은 돌출 필라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막 획득단계에서 획득되는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은 상기 제2 수용돌기로 둘러쌓인 내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을 상기 캐스트부에 공급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혼합액을 수용하는 혼합액 수용단계와, 상기 캐스트부에 공급된 상기 혼합액이 피부 부착 박막으로 변화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혼합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피부 부착 박막에 기능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도포하는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와, 상기 도포된 기능성 물질이 고형화 되도록 건조시키는 고형화단계와, 상기 건조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형성된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을 상기 캐스트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박막 획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박막을 제작하기 위하여 혼합액이 수용되는 캐스트부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돌출 필라를 형성함으로써 건조공정 이후 돌출 필라 상면에 복수개의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돌출 필라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제1 돌출 필라와 제2 돌출 필라를 포함함으로써 한 번의 공정과정을 통해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미세구조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3 실시예에서 제2 미세 구조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서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미세구조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1 실시예는 캐스트부(100)와 돌출 필라(200)를 포함한다.
상기 캐스트부(100)는 내부 공간에 피부 부착 박막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액(도 8의 S)이 수용 가능하도록, 상면이 개구된 ㄷ자로 형성되며, 하면부(110)와 상기 하면부(110)의 외측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부(120)의 높이는 형성하고자 하는 피부 부착 박막(도 8의 T)의 두께의 최대값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이는, 상기 캐스트부(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혼합액의 양, 즉 상기 혼합액의 깊이에 따라, 후술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두께가 결정되므로, 피부 부착 박막의 두께의 최대값은 상기 측면부(120)의 높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돌출 필라(200)는 상기 하면부(110)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복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 필라(200)가 복수개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캐스트부(100)의 내부 공간에 혼합액이 한번 수용되고 건조과정을 거침에 따라 생성되는 피부 부착 박막의 개수는 상기 돌출 필라(200)의 개수만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돌출 필라(200) 상면(200U)의 형상 및 크기는 제작하고자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형상 및 크기에 부합되도록 변형 가능하다.
즉, 돌출 필라(200)의 상면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 형성하고자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형상 및 크기 제한 없이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200U)은 친수성으로 표면처리 됨으로써 혼합액의 건조단계(S200)에서 상기 혼합액이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성을 가지며 피부 부착 박막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이 혼합액의 종류에 따라 기본적으로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부착되는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어 부착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필라의 형상은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이 평행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의 (c) 및 (d)와 같이, 상기 돌출 필라의 상면의 면적이 하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 필라(200')의 형상은 측면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진 형상의 돌출 필라(200'')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필라(200', 200'')의 형상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면적이 좁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하부면(110) 중 상기 돌출 필라(200', 20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넓어져 후술하는 제2 수용돌기(도 4의 400)가 돌출형성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며, 상기 제2 수용돌기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 필라(200)는 상면에 제1 미세 구조체(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미세 구조체(210)는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 미세 구조체(210)의 형상은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서 기능성 물질 도포가 수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자유롭게 변형가능하고, 상기 제1 미세 구조체(210)의 직경은 수nm 내지 수mm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캐스트부(100)의 하면부(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 필라(200)가 형성되고, 돌출 필라(200)의 상면에 제1 미세 구조체(210)가 형성될 수 있는 내용은 동일하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2 실시예는 제1 수용돌기(300)를 더 포함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용돌기(300)는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출 필라(200) 상면에 상기 혼합액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200U)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1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친수성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수용돌기(300)의 내주면(300S)은 소수성으로 형성되어 건조시 상기 제1 수용돌기(300)의 내주면(300S)에 박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형성된 피부 부착 박막이 상기 제1 수용돌기(300)에 의하여 단차지게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3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캐스트부(100)의 하면부(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 필라(200)가 형성되고, 돌출 필라(200)의 상면에 제1 미세 구조체(210)가 형성될 수 있는 내용은 동일하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3 실시예는 제2 수용돌기(400)를 더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수용돌기(400)는 상기 하면부(110)의 상기 돌출 필라(20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폐곡선으로 돌출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용돌기(400) 내부에 상기 혼합액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술한 돌출 필라(200)의 상면 뿐만 아니라, 상기 캐스트부(100)의 하면부(110)에서도 피부 부착 박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수용돌기(400)의 형상 및 크기는 제작하고자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형상 및 크기에 부합되도록 변형 가능함으로써 형성하고자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형상 및 크기 제한 없이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면부(110)의 상기 돌출 필라(20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중 상기 제2 수용돌기(400)로 둘러쌓인 내측 영역의 표면(110U)은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200U)과 같이 친수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용돌기(400)의 내주면(400S)은 소수성으로 형성되어 건조시 상기 제2 수용돌기(400)의 내주면(400S)에 박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형성된 피부 부착 박막이 상기 제2 수용돌기(400)에 의하여 단차지지 않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하면부(110)의 상기 돌출 필라(20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중 상기 제2 수용돌기(400)로 둘러쌓인 내측 영역의 표면에는 제2 미세 구조체(4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미세 구조체(410)는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 미세 구조체(410)의 형상은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서 기능성 물질 도포가 수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자유롭게 변형가능하며, 상기 제2 미세 구조체(410)의 직경은 수nm 내지 수mm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4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캐스트부(100)의 하면부(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 필라(200)가 형성되고, 돌출 필라(200)의 상면에 제1 미세 구조체(210)가 형성될 수 있는 내용은 동일하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4 실시예는 필라 끼움블럭(510, 520)을 더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라 끼움블럭(510, 520)은 상기 돌출 필라(200)에 끼워져, 상기 돌출 필라(200)로부터 제작할 수 있는 피부 부착 박막의 크기보다 더 큰 피부 부착 박막을 획득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필라 끼움블럭(510, 520)의 내경은 상기 돌출 필라(20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필라 끼움블럭(510, 520)이 상기 돌출 필라(200)에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필라 끼움블럭(510, 520)의 외경은 상기 돌출 필라(2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필라 끼움블럭(510, 520)의 상면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필라 끼움블럭(510, 520) 상면의 형상은 여러가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라 끼움블럭(510, 520)의 상면에는 상술한 제1 미세 구조체(210) 및 제2 미세 구조체(410)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제3 미세 구조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 끼움 블럭의 상면에는 상술한 제1 수용돌기(300) 및 제2 수용돌기(400)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제3 수용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 끼움블럭의 길이는 상기 돌출 필라(200)의 측면을 전체적으로 덮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510에 해당),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부의 일부분만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520에 해당), 이는 상기 캐스트부(100)의 하면부(110)에 형성된 제2 수용돌기(400)에 의하여 형성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생성을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필라 끼움블럭(510, 520)은 상기 돌출 필라(200)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에 따라 한 번의 공정 과정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박막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5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캐스트부(100)의 하면부(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 필라(200)가 형성되고, 돌출 필라(200)의 상면에 제1 미세 구조체(210)가 형성될 수 있는 내용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5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 필라는 제1 돌출(200A) 필라 및 제2 돌출 필라(200B)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돌출 필라(200A)와 제2 돌출 필라(200B)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 필라(200A)와 제2 돌출 필라(200B)의 높이 차이에 따라 형성되는 피부 부착 박막의 두께가 달라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제5 실시예로부터 한번의 공정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피부 부착 박막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의 구성은 단일 실시예에서만 사용 가능한 것이 아니라, 실시예별 구성이 다른 실시예에 적용가능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1000)를 이용한 것이며,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1000)의 구성의 도번은 도 1 내지 도 7의 기재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은 혼합액 수용단계(S100), 건조단계(S200) 및 박막 획득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액 수용단계(S100)에서는 상기 혼합액(S)을 상기 캐스트부(100)에 공급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혼합액(S)을 수용한다.
상기 혼합액 수용단계(S100)에서는 상기 혼합액(S)을 상기 캐스트부(100)에 수용한 상태에서 진공처리하며, 진공처리함에 따라 상기 캐스트부(100)에서 상기 혼합액(S)의 수용 상태를 안정화시키거나, 상기 혼합액(S) 내의 기포를 제거하거나, 상기 혼합액(S)의 건조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액(S)을 상기 캐스트부(100)에 공급하기 전부터 진공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액(S)의 용질은 생체 내에서 용해 또는 분해가 가능한 소재로, 핵산(nucleic acid), 데옥시리보 핵산(DeoxyriboNucleic Acid, DNA), 리보핵산(RiboNucleic Acid, RNA),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륨(Polydeoxyribonucleotide, PDR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알긴산(alginic acid), 펙틴, 카라기난, 콘드로이틴(설페이트), 콘드로이틴황산(chondroitin sulfate), 글리코겐(glycogen), 덱스트란(설페이트), 덱스트란(dextran), 덱스트린(dextrin), 키토산, 폴리라이신(polylysine), 콜라겐, 젤라틴, 카르 복시메틸 키틴(carboxymethyl chitin), 피브린, 아가로스, 풀루란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PGA), 폴리락타이드-글리코라이드 공중합체(PLGA), 히아루로닉 산(hyaluronic acid), 알지닉 산(alginic acid), 펙틴, 카라기난, 콘드로이틴(설페이트), 덱스트란(설페이트), 키틴(chitin), 키토산, 폴리라이신(polylysine), 콜라겐, 젤라틴, 카르복시메틸 키틴(carboxymethyl chitin), 피브린, 아가로스, 풀루란(pullulan) 등의 다당류나 콜라겐(collagen), 젤라틴(gelatin) 및 이들의 가수분해물 등의 단백질, 풀루란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 쏘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에테르에스테르(polyetherester),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에스테르아마이드(polyesteramide), 폴리(뷰티릭 산), 폴리(발레릭 산),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 아크릴 치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비-분해성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풀루오라이드, 폴리(비닐 이미다졸),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올레핀(chlorosulphonatepolyolefins),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카르복시비닐 중합체(carboxylvinylpolymer),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카복시메틸셀루로스, 싸이클로덱스트린 및 이러한 고분자를 형성하는 단량체들의 공중합체 및 셀룰로오스의 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액(S)의 용질은 휘발성을 가지는 물과 같은 무기용매와 에탄올(ethan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등의 유기용매에 녹을 수 있는 소재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건조단계(S200)에서는 상기 캐스트부(100)에 공급된 상기 혼합액(S)이 피부 부착 박막(T)으로 변화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혼합액(S)을 건조시킨다.
상기 건조단계(S200)는 상기 혼합액(S)이 수용된 상기 캐스트부(100)를 별도의 건조유닛(미도시)에서 일정 건조온도, 일정 건조시간동안 대기, 진공, 송풍, 열풍등을 사용하여 건조시킨다.
물론, 건조단계(S200)에서 수행되는 건조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 가능한 건조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S200)에서의 건조온도와 건조시간은 상기 혼합액(S)의 종류 및 상기 캐스트부(100)에 수용된 상기 혼합액(S)의 용량에 따라 조절된다.
또한, 상기 건조단계(S200)에서는 피펫팅유닛(미도시)을 통해 상기 캐스트부(100)에 수용된 상기 혼합액(S) 내의 버블을 제거함으로써 높은 퀄리티의 피부 부착 박막(T)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박막 획득단계(S300)에서는 상기 건조단계(S200)가 수행됨에 따라 형성된 상기 피부 부착 박막(T)을 상기 캐스트부(100)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박막 획득단계(S300)에서는 별도의 접착성이 있는 필름을 사용하여 박막(T)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막 획득단계(S300)에서 획득되는 상기 피부 부착 박막(T)은 돌출 필라(200)의 상면, 상기 제2 수용돌기(400)로 둘러쌓인 내측 영역에 형성된 피부 부착 박막(T) 뿐만 아니라, 상기 필라 끼움블럭(510, 520)의 상면에 형성된 피부 부착 박막(T)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은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S200') 및 고형화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S200')는 상기 건조단계(S200)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S200')에서는 피부 부착 박막(T)의 상면에 혼합액(S) 또는 기능성 이종물질(이하, 기능성 물질(F)이라 합니다.)을 선택적으로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물질(F)은 인체의 유효특성을 나타내는 약물, 기계적,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S200')에서 상기 기능성 물질(F)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돌출 필라(200)의 상면에 형성된 플랫(flat)한 피부 부착 박막(T1)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도포될 수도 있고 또는 제1 미세구조체 내지 제3 미세구조체에 의하여 상기 피부 부착 박막(T2)에 형성된 홈부(H)에 선택적으로 도포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고형화단계에서 상기 피부 부착 박막(T1, T2)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F)이 고형화되도록 건조시킨 후, 상기 박막 획득단계(도 8의 S300과 동일)를 수행하여, 상기 기능성 물질(F)이 포함되는 피부 부착 박막(T1, T2)을 획득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캐스트부
110: 하면부
120: 측면부
200: 돌출 필라
210: 제1 미세 구조체
300: 제1 수용돌기
400: 제2 수용돌기
410: 제2 미세 구조체
510, 520: 필라 끼움블럭

Claims (10)

  1. 내부 공간에 혼합액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캐스트부; 및
    상기 캐스트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피부 부착 박막이 상면에서 제조되는 돌출 필라를 포함하되,
    상기 캐스트부는 바닥을 형성하는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 필라는 상기 하면부로부터 복수개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필라의 상면에는 제1 미세 구조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필라의 상면은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필라의 상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수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의 상기 돌출 필라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폐곡선으로 돌출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의 제2 수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의 상기 돌출 필라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중 상기 제2 수용돌기로 둘러쌓인 내측 영역의 표면에 제2 미세 구조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을 상기 캐스트부에 공급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혼합액을 수용하는 혼합액 수용단계;
    상기 캐스트부에 공급된 상기 혼합액이 피부 부착 박막으로 변화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혼합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형성된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을 상기 캐스트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박막 획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획득단계에서 획득되는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은 돌출 필라의 상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획득단계에서 획득되는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은 상기 제2 수용돌기로 둘러쌓인 내측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 몰드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을 상기 캐스트부에 공급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혼합액을 수용하는 혼합액 수용단계;
    상기 캐스트부에 공급된 상기 혼합액이 피부 부착 박막으로 변화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혼합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피부 부착 박막에 기능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도포하는 기능성 물질 도포단계;
    상기 도포된 기능성 물질이 고형화 되도록 건조시키는 고형화단계;
    상기 건조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형성된 상기 피부 부착 박막을 상기 캐스트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박막 획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KR1020200031277A 2020-03-13 2020-03-13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KR102372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277A KR102372815B1 (ko) 2020-03-13 2020-03-13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277A KR102372815B1 (ko) 2020-03-13 2020-03-13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455A KR20210115455A (ko) 2021-09-27
KR102372815B1 true KR102372815B1 (ko) 2022-03-10

Family

ID=77925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277A KR102372815B1 (ko) 2020-03-13 2020-03-13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8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325A (ko) * 2021-07-21 2023-01-30 한국기계연구원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8029A (ja) * 2008-07-16 2011-11-10 ロケット・フルーレ セル状フィルムを直接製造する方法
JP5892611B2 (ja) 2010-08-25 2016-03-23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生物資源研究所 ハイドロゲル乾燥体、ビトリゲル膜乾燥体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2017209156A (ja) * 2016-05-23 2017-11-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経皮吸収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9158996A (ja) 2018-03-09 2019-09-19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蛍光体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056627B1 (ko) 2019-08-26 2019-12-17 주식회사 니코메디칼 이형지 필름 상에 드레싱재를 다수개 부착시킨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6525B2 (ja) * 2004-12-27 2007-10-03 株式会社 アグル 経皮貼り剤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90035446A1 (en) 2005-09-06 2009-02-05 Theraject, Inc. Solid Solution Perforator Containing Drug Particle and/or Drug-Adsorbed Particles
TWI491953B (zh) * 2006-07-18 2015-07-11 Sipix Imaging Inc 電泳顯示器
KR102088651B1 (ko) * 2012-02-29 2020-03-16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침상체 및 침상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8029A (ja) * 2008-07-16 2011-11-10 ロケット・フルーレ セル状フィルムを直接製造する方法
JP5892611B2 (ja) 2010-08-25 2016-03-23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生物資源研究所 ハイドロゲル乾燥体、ビトリゲル膜乾燥体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2017209156A (ja) * 2016-05-23 2017-11-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経皮吸収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9158996A (ja) 2018-03-09 2019-09-19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蛍光体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056627B1 (ko) 2019-08-26 2019-12-17 주식회사 니코메디칼 이형지 필름 상에 드레싱재를 다수개 부착시킨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455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738B1 (ko) 송풍에 의한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
CN108697882B (zh) 利用生物相容性高分子的微针的制备方法
US9302903B2 (en) Microneedle devices and production thereof
EP2429627B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microprojection arrays
CN105407956B (zh) 具有斜面开口的空心微针
KR101633137B1 (ko) 약물 전달을 위한 리포좀-마이크로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11318292B2 (en) Microneedle patch for transdermal injections
EP317847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microstructure
JP2012505164A (ja) 相転移重合体マイクロニードル
US20180326195A1 (en) Microneedle array and microneedle sheet
Narayan Transdermal delivery of insulin via microneedles
KR20180096610A (ko) 마이크로 니들 및 마이크로 니들 패치
KR101853308B1 (ko) 미세방 마이크로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88397B1 (ko) 음압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마이크로구조체
EP3381498A1 (en) Microneed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15116335A (ja) 経皮薬剤投与システム及び経皮薬剤投与システムの製造方法
CN108939283B (zh) 一种人体安全可降解的微针阵列及其制造方法和模具
KR102372815B1 (ko) 피부 부착 박막의 제조를 위한 성형몰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부착 박막 제조 방법
EP3854441A1 (en) Microstructure-based drug injec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4374909A1 (en) Mold for manufacturing thin film attachable to sk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film attached to skin by using same
TWI645870B (zh) 經皮吸收用微結構體及其製造方法
KR101713119B1 (ko) 연어핵산필름의 제조방법과, 연어핵산필름을 이용한 약물주입장치
KR20170138291A (ko)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마이크로구조체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KR20170067637A (ko)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