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121A -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121A
KR20230013121A KR1020227044749A KR20227044749A KR20230013121A KR 20230013121 A KR20230013121 A KR 20230013121A KR 1020227044749 A KR1020227044749 A KR 1020227044749A KR 20227044749 A KR20227044749 A KR 20227044749A KR 20230013121 A KR20230013121 A KR 20230013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operation request
apply
request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샌딥 푸라네
가즈키 히로야마
히로마사 사토
히로무 나루카와
야스히로 야마모토
마사토 우노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1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08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travel,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40Failsafe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34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40Screw-and-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0Cables or chains, e.g. Bowden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 F16D51/2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 F16D51/22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mechan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2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apart from the br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전동 액츄에이터의 동작 판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차륜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체에 대하여 마찰 부재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전동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어플라이 처리와, 회전체로부터 마찰 부재를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전동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릴리스 처리를 실행 가능하다.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어플라이 처리 또는 릴리스 처리의 개시로부터 처리가 완료하기까지의 동안(시각(t1∼t5)), 전동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아도(시각(t12)), 그 작동 요구에 기초한 전동 액츄에이터의 동작 변경을 실행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
본 개시는 차륜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체에 대하여 마찰 부재를 압박하는 방향과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전동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로서, 회전체인 로터에 대하여 마찰 부재인 패드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전동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어플라이 처리와, 로터로부터 패드를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전동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릴리스 처리를 실행 가능한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제6466473호 공보 참조). 구체적으로, 이 기술에서는,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어플라이 처리의 실행 중에 있어서, 패드와 로터가 접촉하기 전에, 릴리스 처리의 요구를 받으면, 패드와 로터가 접촉할 때까지는 릴리스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패드와 로터가 접촉한 후에, 릴리스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릴리스 처리의 실행 중에 있어서, 패드가 로터로부터 이격하기 전에,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를 받으면, 패드와 로터가 이격할 때까지는 어플라이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패드와 로터가 이격한 후에, 어플라이 처리를 실행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패드와 로터가 접촉 또는 이격한 후라도, 어플라이 처리 또는 릴리스 처리가 완료하기 전에 도중에 처리를 멈추고, 다른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전동 액츄에이터의 동작 판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전동 액츄에이터의 동작 판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배경을 감안하여, 차륜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체에 대하여 마찰 부재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전동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어플라이 처리와, 상기 회전체로부터 상기 마찰 부재를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릴리스 처리를 실행 가능한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어플라이 처리 또는 상기 릴리스 처리의 개시로부터 처리가 완료하기까지의 동안,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아도, 그 작동 요구에 기초한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의 동작 변경을 실행하지 않는다.
이 구성에 따르면, 어플라이 처리 또는 릴리스 처리의 개시로부터 처리가 완료하기까지의 동안,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아도, 그 작동 요구에 기초한 전동 액츄에이터의 동작 변경을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전동 액츄에이터의 동작 판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어플라이 처리 또는 상기 릴리스 처리의 개시로부터 처리가 완료하기까지의 동안에, 현재 실행 중인 처리와는 다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은 경우에는, 현재의 처리가 완료한 후, 상기 새로운 작동 요구에 기초한 처리를 실행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어플라이 처리 또는 릴리스 처리의 실행 중에 있어서, 현재 실행 중인 처리와는 다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작동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현재 실행 중인 처리가 완료한 후에 새로운 작동 요구에 기초한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구에 빠르게 응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어플라이 처리 또는 상기 릴리스 처리의 개시로부터 처리가 완료하기까지의 동안에, 현재 실행 중인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은 경우에는, 현재의 처리가 완료한 후, 상기 새로운 작동 요구에 기초한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어플라이 처리 또는 릴리스 처리의 실행 중에 있어서, 현재 실행 중인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작동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현재 실행 중인 처리가 완료한 후에 새로운 작동 요구에 기초한 처리가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반복해서 동일한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상기 어플라이 처리 또는 상기 릴리스 처리의 개시로부터 처리가 완료하기까지의 동안에, 복수의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은 경우에는, 현재의 처리가 완료한 후에, 상기 복수의 새로운 작동 요구 중 마지막으로 받은 작동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를 제어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어플라이 처리 또는 릴리스 처리의 실행 중에 있어서 받은 복수의 새로운 작동 요구 중 마지막으로 받은 작동 요구에 기초하여 전동 액츄에이터가 제어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사에 대응하도록 전동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드럼 브레이크와 파킹 브레이크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브레이크가 걸려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a)와, 파킹 브레이크 기구에 의해 브레이크가 걸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이다.
도 3은 파킹 브레이크 기구의 전동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어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어플라이 요구 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릴리스 요구 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어플라이 처리 중에 받은 새로운 작동 요구가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인 경우의 제어부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8은 어플라이 처리 중에 받은 새로운 작동 요구가 릴리스 처리의 요구인 경우의 제어부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9는 릴리스 처리 중에 받은 새로운 작동 요구가 릴리스 처리의 요구인 경우의 제어부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10은 릴리스 처리 중에 받은 새로운 작동 요구가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인 경우의 제어부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적절하게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CR)은, 드럼 브레이크(D)와, 파킹 브레이크 기구(200)와, 차량용 브레이크 액압 제어 장치(100)를 구비하고 있다.
드럼 브레이크(D)는, 4개의 차륜(W)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파킹 브레이크 기구(200)는, 드럼 브레이크(D)를 기계적으로 동작시키는 기구이며, 후측의 2개의 차륜(W)에 마련된 드럼 브레이크(D)에 대하여 마련되어 있다.
차량용 브레이크 액압 제어 장치(100)는, 차량(CR)의 각 차륜(W)에 부여하는 제동력을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차량용 브레이크 액압 제어 장치(100)는, 오일로(액압로)나 각종 부품이 마련된 액압 유닛(10)과, 액압 유닛(10) 내의 각종 부품을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0)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액압 유닛(10)은, 브레이크 페달(BP)의 답입에 의해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MC)에 오일로를 통해 접속되며, 각 드럼 브레이크(D)의 휠 실린더(D4)에 오일로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액압 유닛(10)은, 휠 실린더(D4)에 부여되는 브레이크 액압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나 펌프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20)는,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일례이다. 제어부(20)는, 파킹 브레이크 기구(200)를 동작시키는 전동 액츄에이터(240)의 구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것 외에, 액압 유닛(10) 내의 밸브나 펌프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제어부(20)에는, 차륜속 센서(91)와, 파킹 스위치(92)가 접속되어 있다. 차륜속 센서(91)는, 차륜(W)의 차륜 속도를 검출한다. 파킹 스위치(92)는, 파킹 브레이크 기구(200)의 상태를 어플라이 상태와 릴리스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어플라이 상태란, 파킹 브레이크 기구(200)가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릴리스 상태란, 파킹 브레이크 기구(200)가 제동력을 해제하는 상태를 말한다.
파킹 스위치(92)는, 어플라이 위치와 릴리스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파킹 스위치(92)는, 어플라이 위치에 위치할 때에 파킹 브레이크 기구(200)를 어플라이 상태로 하기 위한 어플라이 신호를 제어부(20)에 출력하고, 릴리스 위치에 위치할 때에 파킹 브레이크 기구(200)를 릴리스 상태로 하기 위한 릴리스 신호를 제어부(20)에 출력한다.
제어부(20)는, 예컨대, CPU, RAM, ROM 및 입출력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차륜속 센서(91)나 파킹 스위치(92) 등으로부터의 입력과,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연산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어를 실행한다.
도 2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 브레이크(D)는, 회전체의 일례로서의 드럼(D1)과, 마찰 부재의 일례로서의 브레이크 슈(D2)와, 리턴 스프링(D3)과, 휠 실린더(D4)를 구비하고 있다. 드럼(D1)은, 차륜(W)과 일체로 회전하는 원통형의 부위를 갖는 부재이다.
브레이크 슈(D2)는, 드럼(D1)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원호형의 부재이며, 드럼(D1)의 내주면에 압박됨으로써 차륜(W)에 제동력을 부여한다. 브레이크 슈(D2)는, 드럼(D1)의 내주면을 따라 2개 마련되어 있다. 2개의 브레이크 슈(D2)는, 각각 일단부가 지지 부재(D5)에 의해 회전 운동 가능에 지지됨으로써, 서로 근접하는 방향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리턴 스프링(D3)은, 2개의 브레이크 슈(D2)의 타단부를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휠 실린더(D4)는, 액압 유닛(10)으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 액압에 의해, 2개의 브레이크 슈(D2)를 드럼(D1)의 내주면을 향하여 가압한다.
파킹 브레이크 기구(200)는, 스트럿(210)과, 파킹 레버(220)와, 와이어(230)와, 도 3에 나타내는 전동 액츄에이터(240)를 구비하고 있다. 스트럿(210)은, 2개의 브레이크 슈(D2)의 각각의 타단부에 걸어맞춰져 있다.
파킹 레버(220)의 일단부는, 한쪽의 브레이크 슈(D2)에 핀(221)에 의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파킹 레버(220)의 타단부에는, 와이어(230)가 연결되어 있다. 파킹 레버(22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부위로서, 일단부 근처의 부위는, 스트럿(210)에 걸어맞춰져 있다.
와이어(230)가 도시 우방향으로 인장되면, 파킹 레버(220)가 핀(22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파킹 레버(220)가 스트럿(210)를 통해 다른쪽의 브레이크 슈(D2)를 드럼(D1)의 내주면에 압박한다. 또한, 와이어(230)가 인장되면, 파킹 레버(220)가 스트럿(210)과의 걸어맞춤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파킹 레버(220)가 핀(221)을 통해 한쪽의 브레이크 슈(D2)를 드럼(D1)의 내주면에 압박한다.
이에 의해, 와이어(230)의 인장 동작에 의해, 각 브레이크 슈(D2)가 드럼(D1)의 내주면에 압박된다. 또한, 와이어(230)를 도시 좌방향으로 느슨하게 하면, 리턴 스프링(D3)의 가압력에 의해, 각 브레이크 슈(D2)가 드럼(D1)의 내주면으로부터 떨어진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액츄에이터(240)는, 와이어(230)를 견인하기 위한 장치이다. 전동 액츄에이터(240)는, 모터(241)와, 복수의 기어(242)와, 너트(243)와, 나사축(244)과, 하우징(245)과, 리테이너(246)와, 복수의 접시 스프링(247)을 구비하고 있다.
너트(243)는, 복수의 기어(242)를 통해 모터(241)에 연결되어 있다. 너트(243)는, 나사축(244)의 수나사부(244A)와 맞물리는 암나사부(243A)를 갖고 있다. 나사축(244)은, 하우징(245)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선단에 와이어(230)가 고정되어 있다. 나사축(244)의 선단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244B)가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246)는, 중심에 구멍을 갖는 원판의 부재이며, 나사축(244)의 플랜지부(244B)에 나사축(244)의 선단측으로부터 걸어맞춰져 있다. 복수의 접시 스프링(247)은, 나사축(244)의 축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244B)와 너트(24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전동 액츄에이터(240)에서는, 모터(241)를 정회전시키면, 나사축(244)이 하우징(245) 내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와이어(230)가 인장되어, 파킹 브레이크 기구(200)가, 파킹 브레이크가 적용된 어플라이 상태가 된다. 또한, 모터(241)를 역회전시키면, 나사축(244)이 하우징(245)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와이어(230)가 느슨해져, 파킹 브레이크 기구(200)가, 파킹 브레이크가 해제된 릴리스 상태가 된다. 또한, 릴리스 상태에 있어서는, 리테이너(246)와 너트(243)의 사이에서, 복수의 접시 스프링(247)이 변형한 상태로 협지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파킹 브레이크 기구(200)가 어플라이 상태로 되어있을 때의 나사축(244)의 위치를, 「어플라이 위치」라고도 칭하고, 파킹 브레이크 기구(200)가 릴리스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나사축(244)의 위치를, 「릴리스 위치」라고도 칭한다. 구체적으로, 릴리스 위치는, 도 3에 나타내는 위치이고, 어플라이 위치는, 도 3에 나타내는 나사축(244)이 도면의 위치보다 도시 우측으로 이동한 위치이다.
제어부(20)는, 파킹 스위치(9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241)의 정회전·역회전·정지를 제어하고 있다. 제어부(20)는, 어플라이 처리와, 릴리스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파킹 스위치(92)로부터의 어플라이 신호의 출력을,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라고도 칭하고, 파킹 스위치(92)로부터의 릴리스 신호의 출력을, 「릴리스 처리의 요구」라고도 칭하고, 이들 각 처리의 요구를 총칭하여 「작동 요구」라고도 칭한다.
어플라이 처리는, 파킹 브레이크 기구(200)가 어플라이 상태가 되도록 전동 액츄에이터(240)를 구동시키는 처리이다. 바꾸어 말하면, 어플라이 처리는, 드럼(D1)에 대하여 브레이크 슈(D2)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전동 액츄에이터(240)를 제어하는 처리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를 받으면, 모터(241)를 정회전시켜 나사축(244)을 어플라이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파킹 브레이크 기구(200)를 어플라이 상태로 한다.
자세하게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A)를 받으면, 모터(241)를 정회전시키기 위한 전류를 모터(241)에 공급함으로써, 어플라이 처리를 개시한다(시각(t1)). 모터(241)에의 통전 개시 시에는, 돌입 전류가 발생하지만, 돌입 전류는 소정 시간 후에 수속한다(시각(t2)). 돌입 전류가 수속하면, 모터(241)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에 의해, 나사축(244)이 릴리스 위치로부터 어플라이 위치를 향하여 이동을 시작한다. 나사축(244)이 릴리스 위치로부터 어플라이 위치를 향하여 이동해 가면, 접시 스프링(247)으로부터 나사축(244)에 걸리는 부하가 서서히 작아져 가기 때문에, 전류는 서서히 작아진다. 나사축(244)이 리테이너(246)로부터 떨어지면, 나사축(244)에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고(시각(t3)), 그 후, 전류가 일정해진다.
그 후, 브레이크 슈(D2)가 드럼(D1)에 접촉하면(시각(t4)), 나사축(244)에 걸리는 부하가 서서히 커져 가, 모터(241)에 공급하는 전류가 상승해 간다. 그 후, 제어부(20)는, 전류가 어플라이 임계값(IA) 이상이 되면(시각(t5)), 통전을 정지하여, 어플라이 처리를 완료시킨다.
릴리스 처리는, 파킹 브레이크 기구(200)가 릴리스 상태가 되도록 전동 액츄에이터(240)를 구동시키는 처리이다. 바꾸어 말하면, 릴리스 처리는, 드럼(D1)으로부터 브레이크 슈(D2)를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전동 액츄에이터(240)를 제어하는 처리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릴리스 처리의 요구를 받으면, 모터(241)를 역회전시켜 나사축(244)을 릴리스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파킹 브레이크 기구(200)를 릴리스 상태로 한다.
자세하게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릴리스 처리의 요구(R)를 받으면, 모터(241)를 역회전시키기 위한 전류를 모터(241)에 공급함으로써, 릴리스 처리를 개시한다(시각(t51)). 모터(241)에의 통전 개시 시에는, 돌입 전류가 발생하지만, 돌입 전류는 소정 시간 후에 수속한다(시각(t52)). 돌입 전류가 수속하면, 모터(241)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에 의해, 나사축(244)이 어플라이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를 향하여 이동해 가, 브레이크 슈(D2)가 드럼(D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나사축(244)이 어플라이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를 향하여 이동해 가면, 브레이크 슈(D2)로부터 나사축(244)에 걸리는 부하가 서서히 작아져 가기 때문에, 전류는 서서히 작아진다. 브레이크 슈(D2)가 드럼(D1)으로부터 이격하면, 나사축(244)에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고(시각(t53)), 그 후, 전류가 일정해진다.
그 후, 나사축(244)이 리테이너(246)에 접촉하면(시각(t54)), 접시 스프링(247)으로부터 나사축(244)에 걸리는 부하가 서서히 커져 가, 모터(241)에 공급하는 전류가 상승해 간다. 그 후, 제어부(20)는, 전류가 릴리스 임계값(IR) 이상이 되면(시각(t55)), 통전을 정지하여, 릴리스 처리를 완료시킨다.
제어부(20)는, 어플라이 처리 또는 릴리스 처리의 개시로부터 처리가 완료하기까지의 동안, 전동 액츄에이터(2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아도, 그 작동 요구에 기초한 전동 액츄에이터(240)의 동작 변경을 실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어플라이 처리 또는 릴리스 처리의 개시로부터 처리가 완료하기까지의 동안에, 현재 실행 중인 처리와는 다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은 경우에는, 현재의 처리가 완료한 후, 새로운 작동 요구에 기초한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8 및 도 10 참조).
또한, 제어부(20)는, 어플라이 처리 또는 릴리스 처리의 개시로부터 처리가 완료하기까지의 동안에, 현재 실행 중인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은 경우에는, 현재의 처리가 완료한 후, 새로운 작동 요구에 기초한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7 및 도 9 참조). 또한, 제어부(20)는, 어플라이 처리 또는 릴리스 처리의 개시로부터 처리가 완료하기까지의 동안에, 복수의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은 경우에는, 현재의 처리가 완료한 후에, 복수의 새로운 작동 요구 중 마지막으로 받은 작동 요구에 기초하여, 전동 액츄에이터(2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어부(20)의 처리에 대해서, 도 4∼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20)는, 도 4에 나타내는 처리를 상시 반복 실행하고 있다.
도 4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먼저, 전동 액츄에이터(2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 단계 S1에 있어서 작동 요구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아니오"), 제어부(20)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에 있어서 작동 요구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예"), 제어부(20)는, 작동 요구가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 단계 S2에 있어서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라고 판정한 경우에는("예"), 제어부(20)는, 어플라이 요구 시 처리를 실행한다(S3). 여기서, 어플라이 요구 시 처리란,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를 받았을 때에 행하는 도 5에 나타내는 처리이며, 뒤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단계 S2에 있어서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아니오"), 제어부(20)는, 릴리스 요구 시 처리를 실행한다(S4). 여기서, 릴리스 요구 시 처리란, 릴리스 처리의 요구를 받았을 때에 행하는 도 6에 나타내는 처리이며, 뒤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단계 S3 또는 단계 S4의 후, 제어부(20)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플라이 요구 시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단계 S11∼S15에서 나타내는 어플라이 처리를 실행한 후, 단계 S16∼S18에 나타내는, 어플라이 처리 중에 받은 새로운 작동 요구에 기초하여 전동 액츄에이터(240)를 제어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어플라이 요구 시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먼저, 어플라이 처리용의 통전을 개시한다(S11). 자세하게는, 단계 S11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모터(241)를 정회전시키기 위한 전류를 모터(241)에 공급한다.
단계 S11의 후, 제어부(20)는, 새로운 작동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2). 단계 S12에 있어서 새로운 작동 요구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예"), 제어부(20)는, 새로운 작동 요구를 기억한다(S13).
단계 S13의 후, 또는, 단계 S12에 있어서 새로운 작동 요구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아니오"), 제어부(20)는, 어플라이 처리의 개시로부터 제1 시간(T1)(도 7 참조)이 경과한 후의 전류가 어플라이 임계값(IA) 이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4).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단계 S14에 있어서, 어플라이 처리의 개시로부터 제1 시간(T1)이 경과하였다고 하는 조건과, 전류가 어플라이 임계값(IA) 이상이 되었다고 하는 조건이, 함께 만족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제1 시간(T1)은, 어플라이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개시 시에 발생한 돌입 전류가 수속한 후로서, 전류가 어플라이 임계값(IA)보다 충분히 작아지기까지의 시간이며, 실험이나 시뮬레이션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다.
단계 S14에 있어서 제1 시간(T1) 경과 후의 전류가 어플라이 임계값(IA)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아니오"), 제어부(20)는, 단계 S1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14에 있어서 제1 시간(T1) 경과 후의 전류가 어플라이 임계값(IA) 이상이 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예"), 제어부(20)는, 통전을 오프(OFF)로 하여, 어플라이 처리를 완료시킨다(S15).
단계 S15의 후, 제어부(20)는, 이번에 완료시킨 어플라이 처리 중에 있어서 새로운 작동 요구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6). 단계 S16에 있어서 새로운 작동 요구가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예"), 제어부(20)는, 새로운 작동 요구가 릴리스 처리의 요구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7). 자세하게는, 제어부(20)는, 어플라이 처리 중에 받은 새로운 작동 요구가 하나인 경우에는, 그 작동 요구가 릴리스 처리의 요구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7).
단계 S17에 있어서 새로운 작동 요구가 릴리스 처리의 요구라고 판정한 경우에는("예"), 제어부(20)는, 릴리스 요구 시 처리를 실행하여(S18),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단계 S16 또는 단계 S17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제어부(20)는, 그대로 본 처리를 종료한다. 그 때문에, 제어부(20)는, 단계 S17에 있어서 새로운 작동 요구가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인 경우에는, 어플라이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어플라이 처리 중에 복수의 작동 요구를 받은 경우에는, 복수의 새로운 작동 요구 중 마지막으로 받은 작동 요구가 릴리스 처리의 요구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7).
또한, 복수의 새로운 작동 요구 중에서 마지막으로 받은 작동 요구를 특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어떠한 방법이라도 좋다. 예컨대, 단계 S13에 있어서, 새로운 작동 요구와 그 작동 요구를 수신한 시각을 대응시켜 복수 기억해 가, 시각에 기초하여 마지막으로 받은 작동 요구를 특정하여도 좋다. 또한, 단계 S13에 있어서, 새로운 작동 요구를, 전회에 기억한 새로운 작동 요구에 덮어쓰기해 감으로써, 마지막으로 받은 작동 요구를 특정하여도 좋다. 또한, 기억한 새로운 작동 요구는, 예컨대, 어플라이 처리의 개시 시 또는 릴리스 처리의 개시 시에 리셋하면 좋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리스 요구 시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단계 S31∼S35로 나타내는 릴리스 처리를 실행한 후, 단계 S36∼S38에 나타내는, 릴리스 처리 중에 받은 새로운 작동 요구에 기초하여 전동 액츄에이터(240)를 제어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릴리스 요구 시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먼저, 릴리스 처리용의 통전을 개시한다(S31). 자세하게는, 단계 S31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모터(241)를 역회전시키기 위한 전류를 모터(241)에 공급한다.
단계 S31의 후, 제어부(20)는, 새로운 작동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2). 단계 S32에 있어서 새로운 작동 요구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예"), 제어부(20)는, 새로운 작동 요구를 기억한다(S33).
단계 S33의 후, 또는, 단계 S32에 있어서 새로운 작동 요구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아니오"), 제어부(20)는, 릴리스 처리의 개시로부터 제2 시간(T2)(도 9 참조)이 경과한 후의 전류가 릴리스 임계값(IR) 이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4).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단계 S34에 있어서, 릴리스 처리의 개시로부터 제2 시간(T2)이 경과하였다고 하는 조건과, 전류가 릴리스 임계값(IR) 이상이 되었다고 하는 조건이, 함께 만족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제2 시간(T2)은, 릴리스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개시 시에 발생한 돌입 전류가 수속한 후로서, 전류가 릴리스 임계값(IR)보다 충분히 작아지기까지의 시간이며, 실험이나 시뮬레이션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다.
단계 S34에 있어서 제2 시간(T2) 경과 후의 전류가 릴리스 임계값(IR)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아니오"), 제어부(20)는, 단계 S3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34에 있어서 제2 시간(T2) 경과 후의 전류가 릴리스 임계값(IR) 이상이 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예"), 제어부(20)는, 통전을 오프로 하여, 릴리스 처리를 완료시킨다(S35).
단계 S35의 후, 제어부(20)는, 이번에 완료시킨 릴리스 처리 중에 있어서 새로운 작동 요구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6). 단계 S36에 있어서 새로운 작동 요구가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예"), 제어부(20)는, 새로운 작동 요구가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7). 자세하게는, 제어부(20)는, 릴리스 처리 중에 받은 새로운 작동 요구가 하나인 경우에는, 그 작동 요구가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7).
단계 S37에 있어서 새로운 작동 요구가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라고 판정한 경우에는("예"), 제어부(20)는, 어플라이 요구 시 처리를 실행하여(S38),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단계 S36 또는 단계 S37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제어부(20)는, 그대로 본 처리를 종료한다. 그 때문에, 제어부(20)는, 단계 S37에 있어서 새로운 작동 요구가 릴리스 처리의 요구인 경우에는, 릴리스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제어부(20)는, 릴리스 처리 중에 복수의 작동 요구를 받은 경우에는, 복수가 새로운 작동 요구 중 마지막으로 받은 작동 요구가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7).
또한, 복수의 새로운 작동 요구 중에서 마지막으로 받은 작동 요구를 특정하는 방법이나 새로운 작동 요구를 리셋하는 방법은, 어플라이 요구 시 처리와 동일한 방법으로 행하면 좋다.
다음에, 제어부(20)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서, 도 7∼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A)를 받으면, 어플라이 처리를 개시한다(시각(t1)). 어플라이 처리 중(t1∼t5)에 있어서, 도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고, 마지막으로 받은 작동 요구가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A)인 경우에는(시각(t11)), 제어부(20)는, 어플라이 처리의 종료 후에(시각(t5)), 새로운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A)에 기초한 어플라이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또한, 어플라이 처리 중(t1∼t5)에 있어서, 도면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로운 작동 요구로서 어플라이 처리(A)의 요구를 하나만 받은 경우에도(시각(t12)), 제어부(20)는, 어플라이 처리의 종료 후에(시각(t5)), 새로운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A)에 기초한 어플라이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플라이 처리 중(t1∼t5)에 있어서, 도면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고, 마지막으로 받은 작동 요구가 릴리스 처리의 요구(R)인 경우에는(시각(t21)), 제어부(20)는, 어플라이 처리의 종료 후에(시각(t5)), 릴리스 처리를 실행한다(시각(t23)). 또한, 어플라이 처리 중(t1∼t5)에 있어서, 도면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로운 작동 요구로서 릴리스 처리의 요구(R)를 하나만 받은 경우에도(시각(t22)), 제어부(20)는, 어플라이 처리의 종료 후에(시각(t5)), 릴리스 처리를 실행한다(시각(t23)).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릴리스 처리의 요구(R)를 받으면, 릴리스 처리를 개시한다(시각(t51)). 릴리스 처리 중에 있어서(t51∼t55), 도면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고, 마지막으로 받은 작동 요구가 릴리스 처리의 요구(R)인 경우에는(시각(t61)), 제어부(20)는, 릴리스 처리의 종료 후에(시각(t5)), 새로운 릴리스 처리의 요구(R)에 기초한 릴리스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또한, 릴리스 처리 중(t51∼t55)에 있어서, 도면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로운 작동 요구로서 릴리스 처리의 요구(R)를 하나만 받은 경우에도(시각(t62)), 제어부(20)는, 릴리스 처리의 종료 후에(시각(t55)), 새로운 릴리스 처리의 요구(R)에 기초한 릴리스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리스 처리 중(t51∼t55)에 있어서, 도면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고, 마지막으로 받은 작동 요구가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A)인 경우에는(시각(t71)), 제어부(20)는, 릴리스 처리의 종료 후에(시각(t55)), 어플라이 처리를 실행한다(시각(t73)). 또한, 릴리스 처리 중(t51∼t55)에 있어서, 도면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로운 작동 요구로서 어플라이 처리의 요구(A)를 하나만 받은 경우에도(시각(t72)), 제어부(20)는, 릴리스 처리의 종료 후에(시각(t55)), 어플라이 처리를 실행한다(시각(t73)).
이상에 따르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어플라이 처리 또는 릴리스 처리의 개시로부터 처리가 완료하기까지의 동안,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아도, 그 작동 요구에 기초한 전동 액츄에이터(240)의 동작 변경을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전동 액츄에이터(240)의 동작 판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어플라이 처리 또는 릴리스 처리의 실행 중에 있어서, 현재 실행 중인 처리와는 다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작동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현재 실행 중인 처리가 완료한 후에 새로운 작동 요구에 기초한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구에 빠르게 응답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어플라이 처리 또는 릴리스 처리의 실행 중에 있어서, 현재 실행 중인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작동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현재 실행 중인 처리가 완료한 후에 새로운 작동 요구에 기초한 처리가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반복해서 동일한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플라이 처리 또는 릴리스 처리의 실행 중에 있어서 받은 복수의 새로운 작동 요구 중 마지막으로 받은 작동 요구에 기초하여 전동 액츄에이터(240)가 제어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사에 대응하도록 전동 액츄에이터(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로서 차량용 브레이크 액압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20)를 예시하였지만, 차량용 브레이크 액압 제어 장치와는 다른 제어 장치, 예컨대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로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드럼 브레이크(D)에 설치되는 파킹 브레이크 기구(200)를 예시하였지만, 예컨대, 디스크 브레이크에 설치되는 파킹 브레이크 기구여도 좋다. 이 경우, 차륜과 일체로 회전하는 로터가 회전체에 상당하고, 로터에 압박되는 패드가 마찰 부재에 상당한다.
상기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 설명한 각 요소를, 임의로 조합하여 실시하여도 좋다.

Claims (4)

  1. 차륜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체에 대하여 마찰 부재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전동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어플라이 처리와, 상기 회전체로부터 상기마찰 부재를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릴리스 처리를 실행 가능한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로서,
    상기 어플라이 처리 또는 상기 릴리스 처리의 개시로부터 처리가 완료하기까지의 동안,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아도, 그 작동 요구에 기초한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의 동작 변경을 실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라이 처리 또는 상기 릴리스 처리의 개시로부터 처리가 완료하기까지의 동안에, 현재 실행 중인 처리와는 다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은 경우에는, 현재의 처리가 완료한 후, 상기 새로운 작동 요구에 기초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라이 처리 또는 상기 릴리스 처리의 개시로부터 처리가 완료하기까지의 동안에, 현재 실행 중인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은 경우에는, 현재의 처리가 완료한 후, 상기 새로운 작동 요구에 기초한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라이 처리 또는 상기 릴리스 처리의 개시로부터 처리가 완료하기까지의 동안에, 복수의 새로운 작동 요구를 받은 경우에는, 현재의 처리가 완료한 후에, 상기 복수의 새로운 작동 요구 중 마지막으로 받은 작동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
KR1020227044749A 2020-07-07 2021-06-29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 KR202300131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17242 2020-07-07
JPJP-P-2020-117242 2020-07-07
PCT/JP2021/024498 WO2022009730A1 (ja) 2020-07-07 2021-06-29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121A true KR20230013121A (ko) 2023-01-26

Family

ID=7955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749A KR20230013121A (ko) 2020-07-07 2021-06-29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49659A1 (ko)
EP (1) EP4180290A4 (ko)
JP (1) JP7488630B2 (ko)
KR (1) KR20230013121A (ko)
CN (1) CN115884905A (ko)
WO (1) WO20220097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7160A (ja) * 1988-02-01 1989-08-08 Mazda Motor Corp 車両の制動制御装置
JPH09240447A (ja) * 1996-03-11 1997-09-16 Toyota Motor Corp 車両運動制御装置
KR102114533B1 (ko) * 2014-12-27 2020-06-26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브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009730A1 (ko) 2022-01-13
EP4180290A1 (en) 2023-05-17
US20230249659A1 (en) 2023-08-10
EP4180290A4 (en) 2023-12-06
JP7488630B2 (ja) 2024-05-22
CN115884905A (zh) 2023-03-31
WO2022009730A1 (ja)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7224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6297883B2 (ja) 電動ブレーキ装置
US8997947B2 (en) Brake device
US10308229B2 (en) Electronic control brak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0024307A1 (ja) 駐車ブレーキ制御装置
WO2018180519A1 (ja) 車両用制御装置
KR102142832B1 (ko) 전자기계식 브레이크의 초기화 장치 및 방법
JP7135410B2 (ja) 制動制御装置
KR20230013121A (ko) 전동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
JP2008143271A (ja) 制動力制御装置、制動力制御方法
JP7425648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装置
JP7431972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装置
US11001235B2 (en) Vehicle control device
JP7425650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装置
JP7425649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装置
JP7230523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7425651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装置
JP6743780B2 (ja) 制動制御装置
WO2018181786A1 (ja) 車両用制動装置
JP7352502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装置
JP2006137257A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および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の擦り合わせ方法
WO2022091928A1 (ja) ブレーキ制御装置
WO2022091929A1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20220049832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