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698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698A
KR20230012698A KR1020210093240A KR20210093240A KR20230012698A KR 20230012698 A KR20230012698 A KR 20230012698A KR 1020210093240 A KR1020210093240 A KR 1020210093240A KR 20210093240 A KR20210093240 A KR 20210093240A KR 20230012698 A KR20230012698 A KR 20230012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isplay device
mounting
mounting protrusion
diame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2698A/ko
Priority to US17/864,009 priority patent/US11856717B2/en
Priority to CN202210840943.XA priority patent/CN115620625A/zh
Publication of KR20230012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와 결합하고, 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 커버에 수용되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및 디스플레이부에 결합하고, 커버에 수용되고,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제1장착돌기가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제1장착돌기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고, 각각의 인쇄회로기판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제1장착돌기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홈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간효율이 향상된 구조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여러가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 전력화 등의 성능을 개발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퀀텀 닷 디스플레이 장치(Quantum Dot Display Panel Device, Q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 습윤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이러한 디스플레이부에 재생되는 화상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커버가 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면적은 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비교적 작은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커버의 면적도 디스플레이부의 면적에 대응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인쇄회로기판의 경우, 다양한 부품소자의 크기와 개수, 장착공간을 고려하면 크기에 제한이 있어, 커버의 수용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하는 것에는 제한이 있다.
또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경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차지하는 전체 면적이 커버의 수용면적보다 더 커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쇄회로기판의 면적을 줄여 커버에 수용해야 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의 크기를 용이하게 줄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의 면적의 총합이 커버의 수용면적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커버가 이들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전후방향으로 서로 중첩시키고 또한 이격시킨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부, 커버, 인쇄회로기판 및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영상 또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고, 대략적으로 그리고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는 디스플레이부와 결합하고, 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상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싱은 장착부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커버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케이싱은 제1케이싱의 가장자리에서 제1케이싱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의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화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커버에 수용되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인쇄회로기판은 그 크기, 형상이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은 제1기판, 제2기판 및 제3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은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기판은 각 기판들 중에서 디스플레이부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기판은 제1기판의 후방에 배치되고, 대략적으로 사각형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기판은 제2기판의 후방에 배치되고, 대략적으로 사각형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제2기판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비교적 큰 사이즈로 구비되어 면적의 총합이 커버의 수용면적을 초과하는 복수의 기판들을 커버에 수용하기 위해, 기판들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커버에 수용될 수 있다.
장착부는 디스플레이부에 결합하고, 커버에 수용될 수 있다. 장착부는 대략적으로 판형으로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결합할 수 있다.
장착부에는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제1장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장착돌기는 장착부의 후면에서 장착부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장착돌기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즉, 제1기판, 제2기판 및 제3기판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장착돌기는 각각의 인쇄회로기판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제1장착돌기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기판들을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제1장착돌기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제1장착돌기는 장착부에서 제1장착돌기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장착홈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장착홈 각각에는 제1기판, 제2기판 및 제3기판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 장착홈의 전후방향 이격거리에 의해 각 기판들의 전후방향 이격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제1장착돌기는 체결을 위해 제1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홈은 제1장착돌기의 단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제1장착돌기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스크류볼트 등의 체결기구가 삽입될 수 있다.
제1케이싱은 제1체결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체결기구가 삽입되는 관통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기구는 제1케이싱의 관통결합부와 제1장착돌기의 제1체결홈에 체결되고 이에 따라 커버와 장착부는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장착돌기는 제1소경부, 제2소경부, 제3소경부, 제1대경부 및 제2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장착돌기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소경부와 대경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소경부에 해당하는 부위가 장착홈이 되어, 복수의 장착홈이 제1장착돌기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소경부는 제1기판이 안착하는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기판은 다른 기판들에 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최전방에 배치되므로, 제1소경부는 다른 소경부들에 비해 제1장착돌기에서 최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소경부는 제1장착돌기의 길이방향으로 제1소경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제2기판이 안착하는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소경부는 제1장착돌기의 전후방향으로 제1소경부와 제3소경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소경부는 제1장착돌기의 길이방향으로 제2소경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제3기판이 안착하는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3소경부의 단부에는 대경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각 기판들은 장착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함몰부와 관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기판에는 제1함몰부가. 제2기판에는 제2함몰부가 제3기판에는 제1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기판과 제3기판을 장착부에 더욱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장착부에는 제2장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장착돌기는 제1장착돌기와 함께 제2기판과 제3기판을 장착부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장착돌기는 장착부의 후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장착돌기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제2장착돌기는 장착부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판 또는 제3기판은 제2장착돌기의 단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스크류볼트 등의 결합기구가 체결되어 제2장착돌기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장착돌기는 단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제2장착돌기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체결기구가 삽입되는 제2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장착돌기는 제1보스와 제2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보스는 제2기판이 결합하고 제2기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보스는 제3기판이 결합하고 제2기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보스 또는 제2보스는 각 기판들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1보스 또는 복수의 제2보스는 각각 장착부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판과 제3기판은 각각 제1보스와 제2보스와 결합기구에 의해 결합하기 위해, 체결홀을 구비할 수 있다.
관통결합부는 가압부 및 제3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는 제1케이싱의 후면이 함몰되고 전면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을 가압할 수 있다. 제3체결홀은 가압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체결기구가 삽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와 결합하고, 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 커버에 수용되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및 디스플레이부에 결합하고, 커버에 수용되고,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제1장착돌기가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제1장착돌기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고, 각각의 인쇄회로기판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제1장착돌기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비교적 큰 인쇄회로기판을 용이하게 커버에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의 전체 면적이 커버의 수용면적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인쇄회로기판을 커버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버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즈로부터 자유로운 구조를 가지므로,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즈를 무리하게 줄일 필요가 없고,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즈를 줄이는 과정에서 부품소자, 회로구조의 무리한 생략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결합돌기에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홈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장착홈에 장착되는 각각의 인쇄회로기판 사이가 충분이 이격되어, 각 기판들 사이의 간섭 또는 접촉으로 인한 파손, 성능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와 장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버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장착된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일부를 확대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1기판이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2기판이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2기판이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커버가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하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좌우방향"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방향" 또는 "측방향"은 좌우방향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이들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혼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0)와 장착부(4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퀀텀 닷 디스플레이 장치(Quantum Dot Display Panel Device; Q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 습윤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00), 커버(200), 인쇄회로기판(300) 및 장착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는 영상 또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디스플레이부(100)는 대략적으로 그리고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2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와 결합하고, 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와 커버(200)는 예를 들어 스크류볼트 등의 결합기구에 의하거나, 접착제에 의하거나 또는 레이저 멜팅(melting) 등의 방법으로 서로 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200)는 내식성, 내구성, 제작성이 양호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 또는 사출성형이 용이한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2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상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1케이싱(210)과 제2케이싱(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싱(210)은 후술하는 장착부(400)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커버(2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케이싱(220)은 상기 제1케이싱(21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케이싱(210)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케이싱(220)은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면 가장자리 부위와 접촉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싱(2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인쇄회로기판(300)이 수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0)은 디스플레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화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0)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디스플레이부(100)에 전기를 공급하고, 디스플레이부(100)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능동소자와 수동소자를 포함하는 각종의 부품소자와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0)은 상기 커버(200)에 수용되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인쇄회로기판(300)은 그 크기, 형상이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300)은 제1기판(310), 제2기판(320) 및 제3기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기판(310), 제2기판(320) 및 제3기판(33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이 각각의 기판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310), 제2기판(320) 및 제3기판(330) 각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서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기판(31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기판(310)은 각 기판들 중에서 디스플레이부(100)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판(310)은 제2기판(320) 및 제3기판(330)과 비교하여 폭이 더 짧고 높이가 더 높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310)은 디스플레이부(100)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상기 제1기판(310)과 디스플레이부(100)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1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11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용이하게 폴딩(folding)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기판(320)은 상기 제1기판(310)의 후방에 배치되고, 대략적으로 사각형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기판(330)은 상기 제2기판(320)의 후방에 배치되고, 대략적으로 사각형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상기 제2기판(320)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기판(310), 제2기판(320) 및 제3기판(330)의 전체면적을 총합하면, 디스플레이부(100)와 제1케이싱(210)의 면적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기판(310), 제2기판(320) 및 제3기판(330)이 커버(200)에 전부 수용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기판들의 사이즈 즉, 면적을 줄여 커버(200)에 수용할 수 있다. 그러한 이에 의하면, 각 기판들의 사이즈가 작아지므로 각 기판들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부품소자, 배선들의 일부를 생략해야 하고, 이러한 경우 기판의 성능이 저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전술한 이유로 인해, 기판의 사이즈를 줄이기 어려우므로, 비교적 큰 면적을 가진 기판들을 커버(200)에 수용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실시예에서는, 비교적 큰 면적의 기판들의 사이즈를 줄이지 않고, 상기 커버(200)에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한다.
실시예에서, 비교적 큰 사이즈로 구비되어 면적의 총합이 커버(200)의 수용면적을 초과하는 복수의 기판들을 커버(200)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기판들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200)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제1기판(310), 제2기판(320) 및 제3기판(330)은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기판(32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기판(310)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기판(33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2기판(320)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 기판들이 서로 중첩되는 부위에서는 각 기판들에 장착되는 부품소자들이 서로 부딪히지 않고, 기판들 간의 접촉으로 인해 전기적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 기판들은 전후방향으로 적절한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복수의 기판들이 전후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되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장착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조를 위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장착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장착부(4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결합하고, 상기 커버(200)에 수용될 수 있다. 장착부(400)는 대략적으로 판형으로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면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부(400)와 디스플레이부(100)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착부(40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이 장착되는 제1장착돌기(4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장착돌기(410)는 상기 장착부(400)의 후면에서 상기 장착부(400)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장착돌기(410)는 복수의 상기 인쇄회로기판(300) 즉, 제1기판(310), 제2기판(320) 및 제3기판(330)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장착돌기(410)는 각각의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제1장착돌기(4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홈(41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장착돌기(410)는 길이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기판들을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상기 제1장착돌기(41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제1장착돌기(410)는 상기 장착부(400)에서 상기 제1장착돌기(4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1장착돌기(410)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버(200)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장착홈(411)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장착홈(411) 각각에는 제1기판(310), 제2기판(320) 및 제3기판(330)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 장착홈(411)의 전후방향 이격거리에 의해 상기 각 기판들의 전후방향 이격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장착돌기(410)는 체결을 위해 제1체결홈(4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홈(412)은 제1장착돌기(410)의 단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장착돌기(4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스크류볼트 등의 체결기구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싱(210)은 상기 제1체결홈(4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체결기구가 삽입되는 관통결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기구는 상기 제1케이싱(210)의 관통결합부(211)와 제1장착돌기(410)의 제1체결홈(412)에 체결되고 이에 따라 커버(200)와 장착부(400)는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착돌기(410)는 제1소경부(413), 제2소경부(414), 제3소경부(415), 제1대경부(416) 및 제2대경부(4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경부는 그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대경부는 그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제1장착돌기(41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소경부와 대경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소경부에 해당하는 부위가 장착홈(411)이 되어, 복수의 장착홈(411)이 상기 제1장착돌기(4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장착돌기(410)의 길이방향으로 측정되는 각 소경부의 길이는 각 기판의 두께에 대응하는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소경부(413)는 상기 제1기판(310)이 안착하는 상기 장착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기판(310)은 다른 기판들에 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최전방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1소경부(413)는 다른 소경부들에 비해 제1장착돌기(410)에서 최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소경부(414)는 상기 제1장착돌기(4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소경부(41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기판(320)이 안착하는 상기 장착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소경부(414)는 제1장착돌기(410)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소경부(413)와 제3소경부(41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소경부(415)는 상기 제1장착돌기(4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소경부(41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3기판(330)이 안착하는 상기 장착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소경부(415)의 단부에는 대경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기판(330)은 상기 제3소경부(415)가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제1관통부(33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의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장착돌기(410)에 끼워지는 제1기판(310) 및 제3기판(330)과는 달리, 상기 제3기판(330)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3소경부(415)에 안착함으로써 상기 제1장착돌기(410)에 끼워질 수 있다.
제1대경부(416)는 상기 제1소경부(413)와 상기 제2소경부(414)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대경부(417)는 상기 제2소경부(414)와 상기 제3소경부(415)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각 대경부들은 각 소경부들을 제1장착돌기(4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소경부들에 장착되는 각 기판들은 제1장착돌기(4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각 기판들은 서로 간섭 또는 접촉하지 않고 커버(200)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각 대경부의 제1장착돌기(410)의 길이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는 각 기판의 전후방향 이격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대경부의 길이는 각 기판의 두께 등 형상적인 특징과 각 기판에 장착되는 부품소자의 크기 기타 제반사항을 고려하여 각 기판들이 서로 접촉 또는 간섭하지 않도록 적절한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한편, 각 기판들은 상기 장착홈(4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함몰부와 관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기판(310)에는 제1함몰부(311)가. 제2기판(320)에는 제2함몰부(321)가 제3기판(330)에는 제1관통부(3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310)은 가장자리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소경부(413)에 장착되는 제1함몰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320)은 가장자리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소경부(414)에 장착되는 제2함몰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함몰부(311)와 제2함몰부(321)는 각 기판의 가장자리에 대략적으로 반원형의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기판(310)과 제2기판(32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각각 제1함몰부(311)와 제2함몰부(321)가 장착홈(411)이 되는 제1소경부(413)와 제2소경부(414)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제1장착돌기(41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3기판(330)은 상기 제3기판(33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소경부(415)에 안착되는 제1관통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기판(33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3소경부(415)가 제1관통부(331)에 삽입됨으로써 제1장착돌기(410)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제2기판(320)과 제3기판(330)을 장착부(400)에 더욱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장착부(400)에는 제2장착돌기(4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장착돌기(420)는 제1장착돌기(410)와 함께 제2기판(320)과 제3기판(330)을 장착부(400)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장착부(4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기판(320) 또는 상기 제3기판(330) 중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는 제2장착돌기(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장착돌기(420)는 장착부(400)의 후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착돌기(42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제2장착돌기(420)는 장착부(400)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장착돌기(420)에는 단부에 상기 제2기판(320) 또는 제3기판(330)의 일면이 접촉함으로써, 따라서, 제2기판(320) 또는 제3기판(330)은 제2장착돌기(4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기판(320) 또는 제3기판(330)은 제2장착돌기(420)의 단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스크류볼트 등의 결합기구가 체결되어 상기 제2장착돌기(420)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장착돌기(420)는 단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장착돌기(4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체결기구가 삽입되는 제2체결홈(4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홈(421)에 결합기구가 체결됨으로써 제2장착돌기(420)와 제2기판(320) 또는 제3기판(330)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2장착돌기(420)는 제1보스(420a)와 제2보스(4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보스(420a)는 상기 제2기판(320)이 결합하고 제2기판(3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보스(420b)는 상기 제3기판(330)이 결합하고 제2기판(3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보스(420a) 또는 제2보스(420b)는 각 기판들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1보스(420a) 또는 복수의 제2보스(420b)는 각각 장착부(400)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스(420a)와 상기 제2보스(420b)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2기판(320)은 제3기판(330)보다 전방에, 제3기판(330)은 제2기판(32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기판(320)이 제3기판(330)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제2기판(320)을 지지하는 제1보스(420a)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게, 제3기판(330)을 지지하는 제2보스(420b)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보스(420b)는 상기 제1보스(420a)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기판(320)과 제3기판(330)은 각각 제1보스(420a)와 제2보스(420b)와 결합기구에 의해 결합하기 위해, 체결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320)은 상기 제1보스(420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체결기구가 삽입되는 제1체결홀(32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기판(330)은 상기 제2보스(420b)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체결기구가 삽입되는 제2체결홀(33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보스(420a)의 제2체결홈(421)과 제2기판(320)의 제1체결홀(322)에 결합기구가 체결되어, 제2기판(320)은 제1보스(420a)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보스(420b)의 제2체결홈(421)과 제3기판(330)의 제2체결홀(332)에 결합기구가 체결되어, 제3기판(330)은 제2보스(420b)에 결합할 수 있다.
제1보스(420a)와 제2보스(420b)의 길이 차이는 제2기판(320)과 제3기판(330)의 전후방향 이격거리를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보스(420a)와 제2보스(420b)의 길이의 차이값은 상기 제2대경부(417)의 길이와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00)가 장착된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일부를 확대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결합부(211)는 가압부(2111) 및 제3체결홀(211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2111)는 상기 제1케이싱(210)의 후면이 함몰되고 전면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일면을 가압할 수 있다. 제3체결홀(2112)은 상기 가압부(2111)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체결기구가 삽입될 수 있다.
제3체결홀(2112)에 결합기구가 체결되어 제3기판(330)과 커버(200)가 서로 결합하는 경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가압부(2111)는 제3기판(330)을 가압하고, 제3기판(330)의 후면과 제1케이싱(210)의 전면을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가압부(2111)는 제3기판(330)과 제1케이싱(21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공간에 의해 제3기판(330)의 후면에 장착되고 의미있는 부피를 가진 부품소자가 상기 제1케이싱(210)에 접촉하거나 이로부터 간섭받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1기판(310)이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2기판(320)이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2기판(320)이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커버(200)가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도 9 및 도10에 도시된 화살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시 각 기판들이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순서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310)을 장착부(400)의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기판(310)의 제1함몰부(311)를 제1장착돌기(410)의 제1소경부(413)에 끼워넣어, 제1기판(310)을 제1장착돌기(410)에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판(320)을 장착부(400)의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기판(320)의 제2함몰부(321)를 제1장착돌기(410)의 제2소경부(414)에 끼워넣어, 제2기판(320)을 제1장착돌기(410)에 결합시킨다.
또한, 제1보스(420a)의 제2체결홈(421)과 제2기판(320)의 제1체결홀(322)에 결합기구를 삽입하여 제2기판(320)을 제1보스(420a)에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기판(330)을 장착부(400)의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3기판(330)의 제1관통부(331)에 제1장착돌기(410)의 제3소경부(415)를 삽입하여, 제3기판(330)을 제1장착돌기(410)에 결합시킨다.
또한, 제2보스(420b)의 제2체결홈(421)과 제3기판(330)의 제2체결홀(332)에 결합기구를 삽입하여 제3기판(330)을 제2보스(420b)에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면을 커버(200)로 덮고, 제1케이싱(210)의 관통결합부(211)와 제1결합돌기의 제1체결홈(412)에 결합기구를 삽입하여, 커버(200)를 제1결합돌기에 결합시킨다.
필요한 경우, 상기 커버(200)와 디스플레이부(100)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면과 커버(200)의 제2케이싱(220)의 단부 사이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서로 부착시킬 수 있으나, 필수적인 과정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300)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비교적 큰 인쇄회로기판(300)을 용이하게 커버(200)에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300)의 전체 면적이 커버(200)의 수용면적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인쇄회로기판(300)을 커버(200)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버(200)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쇄회로기판(300)의 사이즈로부터 자유로운 구조를 가지므로, 인쇄회로기판(300)의 사이즈를 무리하게 줄일 필요가 없고, 인쇄회로기판(300)의 사이즈를 줄이는 과정에서 부품소자, 회로구조의 무리한 생략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결합돌기에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홈(41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장착홈(411)에 장착되는 각각의 인쇄회로기판(300) 사이가 충분이 이격되어, 각 기판들 사이의 간섭 또는 접촉으로 인한 파손, 성능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디스플레이부 110: 커넥터
200: 커버 210: 제1케이싱
211: 관통결합부 2111: 가압부
2112: 제3체결홀 220: 제2케이싱
300: 인쇄회로기판 310: 제1기판
311: 제1함몰부 320: 제2기판
321: 제2함몰부 322: 제1체결홀
330: 제3기판 331: 제1관통부
332: 제2체결홀 400: 장착부
410: 제1장착돌기 411: 장착홈
412: 제1체결홈 413: 제1소경부
414: 제2소경부 415: 제3소경부
416: 제1대경부 417: 제2대경부
420: 제2장착돌기 420a: 제1보스
420b: 제2보스 421: 제2체결홈

Claims (16)

  1.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결합하고, 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수용되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결합하고, 상기 커버에 수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제1장착돌기가 형성되는 장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장착돌기는,
    복수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고, 각각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제1장착돌기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홈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돌기는,
    길이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돌기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1장착돌기는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제1장착돌기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장착홈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돌기는,
    단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장착돌기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체결기구가 삽입되는 제1체결홈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장착부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커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케이싱; 및
    상기 제1케이싱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케이싱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케이싱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은 상기 제1체결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체결기구가 삽입되는 관통결합부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의 후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기판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기판; 및
    상기 제2기판의 후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2기판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3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기판 또는 상기 제3기판 중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는 제2장착돌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돌기는,
    상기 제1기판이 안착하는 상기 장착홈이 형성되는 제1소경부;
    상기 제1장착돌기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소경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기판이 안착하는 상기 장착홈이 형성되는 제2소경부;
    상기 제1장착돌기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소경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3기판이 안착하는 상기 장착홈이 형성되는 제3소경부;
    상기 제1소경부와 상기 제2소경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1대경부; 및
    상기 제2소경부와 상기 제3소경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2대경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은,
    가장자리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소경부에 장착되는 제1함몰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은,
    가장자리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소경부에 장착되는 제2함몰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판은,
    상기 제3기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소경부에 안착되는 제1관통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돌기는,
    단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장착돌기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체결기구가 삽입되는 제2체결홈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돌기는 상기 제2기판이 결합하는 제1보스와 상기 제3기판이 결합하는 제2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스는 상기 제1보스보다 길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은 상기 제1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체결기구가 삽입되는 제1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3기판은 상기 제2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체결기구가 삽입되는 제2체결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결합부는,
    상기 제1케이싱의 후면이 함몰되고 전면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체결기구가 삽입되는 제3체결홀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093240A 2021-07-16 2021-07-16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12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240A KR20230012698A (ko) 2021-07-16 2021-07-16 디스플레이 장치
US17/864,009 US11856717B2 (en) 2021-07-16 2022-07-13 Display apparatus
CN202210840943.XA CN115620625A (zh) 2021-07-16 2022-07-18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240A KR20230012698A (ko) 2021-07-16 2021-07-1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698A true KR20230012698A (ko) 2023-01-26

Family

ID=8485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240A KR20230012698A (ko) 2021-07-16 2021-07-16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56717B2 (ko)
KR (1) KR20230012698A (ko)
CN (1) CN115620625A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8982A (en) * 1990-07-25 1991-05-28 Ncr Corporation Adapter for stacking printed circuit boards
KR100655271B1 (ko) * 1999-03-13 2006-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장착구조
US6424537B1 (en) * 2000-10-18 2002-07-23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ounting system for circuit board
KR100592291B1 (ko) * 2004-08-28 2006-06-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2763875Y (zh) * 2004-11-30 2006-03-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路板固定装置
JP4368859B2 (ja) * 2005-02-25 2009-11-18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823196B1 (ko) * 2007-03-26 2008-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30991B1 (ko) 2008-12-31 2011-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의 장착구조 및 이를 적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983057B2 (en) * 2009-04-03 2011-07-19 Oracle America, Inc. PCBA mounting assembly for tool-less attachment and release
KR101619323B1 (ko) 2009-06-29 2016-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5810295B2 (ja) * 2011-03-15 2015-1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携帯端末
KR102116932B1 (ko) * 2015-12-04 2020-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082535A (ja) * 2017-10-30 2019-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591783B1 (ko) * 2018-10-16 2023-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3596468A (zh) * 2021-06-11 2021-11-02 英业达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转码扩充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56717B2 (en) 2023-12-26
CN115620625A (zh) 2023-01-17
US20230014313A1 (en)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565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KR10068472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50400B1 (ko) 액정 표시 장치
US776433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connecting member for push button array
US9301428B2 (en) Display apparatus
EP2397888A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2006013951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399168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중계 커넥터, 백라이트 유닛
JP5857496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7279593A (ja) 液晶表示装置
US10154618B2 (en) Display device
KR20150131453A (ko) 표시장치
EP2343581A1 (en) Backlight unit
JP4046011B2 (ja) 平板型画像表示装置
JP4301229B2 (ja) 電気光学モジュール及び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KR20230012698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5760706B2 (ja) 面状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8730430B2 (en) Backlight assembly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 light-emitting element via a connector and a backlight uni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which use the backlight assembly
EP2244475B1 (en) Switch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
US6517229B2 (en)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having heat sink function
JP2005099563A (ja) 表示装置
JP6333905B2 (ja)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11388842B2 (en) Electric device
US7875817B2 (en) Electronic apparatus
JP4795662B2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