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793A - 차량용 콘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콘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793A
KR20230011793A KR1020210092472A KR20210092472A KR20230011793A KR 20230011793 A KR20230011793 A KR 20230011793A KR 1020210092472 A KR1020210092472 A KR 1020210092472A KR 20210092472 A KR20210092472 A KR 20210092472A KR 20230011793 A KR20230011793 A KR 20230011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le
armrest
lever
slider
rotary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민우
우정훈
이관우
허상구
조병기
임양묵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2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1793A/ko
Priority to US17/828,445 priority patent/US20230020916A1/en
Priority to DE102022206151.9A priority patent/DE102022206151A1/de
Priority to CN202210742652.7A priority patent/CN115610326A/zh
Publication of KR20230011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2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console boxes, e.g. between passenger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콘솔장치에 관한 것으로, 콘솔 암레스트(300)가 마찰힌지기구(200)의 마찰력에 의해 개폐동작을 하는 구조에서 콘솔박스(100)에 록킹기구(400)가 추가로 구비된 구성으로,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상태일 때 록킹기구(400)는 작동하지 않아서 콘솔 암레스트(300)는 마찰힌지기구(200)에 의한 마찰력으로 개방동작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고, 충돌사고시에만 록킹기구(400)가 작동해서 콘솔 암레스트(300)가 개방되지 못하도록 구속하게 되고, 이를 통해 콘솔 암레스트(300)는 충돌사고시에도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콘솔장치{CONSOLE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콘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찰힌지기구를 구비한 구조에서 충돌사고 발생시에만 콘솔 암레스트를 구속해서 콘솔 암레스트의 개방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콘솔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인 승용 차량의 경우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센터콘솔이 설치된다.
센터콘솔의 중간 부분에는 변속레버, 컵홀더 등이 설치되고, 후방 부분에는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콘솔박스가 구비되며, 콘솔박스의 상부를 개폐시켜주는 커버가 구비된다.
콘솔박스의 커버는 쿠션재 및 외피재를 더 구비하여 운전자 및 조수석 승객의 팔을 지지해주는 암레스트로 이용되며, 이로 인해 콘솔 암레스트로 불리우기도 한다.
콘솔 암레스트는 후방 단부가 힌지기구를 매개로 콘솔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 단부가 자유단이 되어서 후방의 힌지기구를 중심으로 전방이 상하로 회전하는 구조가 된다.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기구 중 마찰력을 이용해서 콘솔 암레스트의 개방각을 조절하는 마찰힌지구조가 있다.
즉, 콘솔 암레스트의 마찰힌지기구는 샤프트 및 샤프트와 접촉해서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샤프트의 회전시 마찰부재와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해서 콘솔 암레스트를 고정시키고, 이를 통해 콘솔 암레스트의 개방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찰힌지기구를 구비한 콘솔장치는 콘솔 암레스트가 마찰력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되므로, 노브를 구비한 록킹기구는 필요없게 되어 록킹기구를 설치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마찰힌지기구를 구비한 종래의 콘솔장치는 별도의 록킹기구가 없어서 충돌사고 발생시의 관성력에 의해 콘솔 암레스트가 스스로 개방되게 회전을 하게 되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콘솔박스내의 물품이 외부로 이탈되거나 또는 개방된 콘솔 암레스트에 의해 승객의 부상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20-0046889호
본 발명은, 콘솔 암레스트가 마찰힌지기구의 마찰력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에서 충돌사고 발생시 관성에 의해 작동하는 록킹기구에 의해 콘솔 암레스트가 개방동작을 하지 못하도록 구속되는 콘솔장치로서,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상태에서는 마찰력에 의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방동작을 통해 사용상의 편의성은 그대로 유지하고, 충돌사고가 발생한 때에만 록킹기구에 의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방동작을 방지함으로써 콘솔박스내의 물품이탈 방지 및 콘솔 암레스트에 의한 승객의 부상 방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콘솔장치는, 물건수납을 위한 공간이 구비된 콘솔박스; 상기 콘솔박스와 힌지기구를 매개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콘솔박스를 계폐시키는 콘솔 암레스트; 및 상기 힌지기구의 반대쪽 위치에서 콘솔박스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충돌사고시 발생한 관성에 의해 동작해서 콘솔 암레스트가 개방되지 못하도록 콘솔 암레스트를 구속하는 록킹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기구는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상태일 때 동작하지 않아서 콘솔 암레스트를 구속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기구는 콘솔박스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서 충돌사고 발생시에만 콘솔 암레스트를 구속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기구는 콘솔박스의 전면에 고정되게 결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레버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레버; 및 상기 레버핀의 위쪽에서 회전레버의 상단과 연결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레버는 충돌사고시 발생한 관성에 의해 레버핀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회전레버의 회전시 직선 이동해서 하우징을 관통한 후 콘솔 암레스트의 록킹홀로 삽입됨에 따라 콘솔 암레스트를 구속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기구는 레버핀의 측부에서 회전레버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충돌사고시 회전레버가 레버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레버에 회전 관성을 발생시키는 질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량체가 결합된 회전레버는 충돌사고시의 관성에 의해 레버핀을 중심으로 슬라이더를 밀어주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기구는 하우징에 일단이 결합되고 회전레버에 타단이 결합된 것으로 회전레버가 레버핀을 중심으로 슬라이더를 당기는 방향인 하측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레버에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기구는 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된 것으로 회전레버가 레버스프링의 스프링력으로 회전력을 받을 때 회전레버와의 접촉으로 소음을 방지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레버의 상단에서 연결핀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핀구멍은 회전레버와 슬라이더사이의 작동에 대한 편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타원형상의 슬롯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에는 경사돌기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돌기와 대면하는 콘솔 암레스트의 내면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록킹홀을 관통하면서 콘솔 암레스트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동할 때에 경사돌기와 경사부는 서로 접촉해서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끝에서 경사돌기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가 록킹홀을 관통한 후 콘솔 암레스트에 걸려져서 고정됨에 따라 슬라이더에 의한 콘솔 암레스트의 구속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홀을 관통한 후 콘솔 암레스트에 걸려진 걸림부를 경사돌기가 형성된 방향으로 밀어주면 걸림부의 걸림이 해제됨에 따라 콘솔 암레스트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기구는 마찰력을 이용해서 콘솔 암레스트의 개방각을 조절하는 마찰힌지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콘솔장치는, 콘솔 암레스트가 마찰힌지기구의 마찰력에 의해 개폐동작을 하는 구조에서 콘솔박스에 록킹기구가 추가로 구비된 구성으로,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상태일 때 록킹기구는 작동하지 않고, 이로 인해 록킹기구에 의한 콘솔 암레스트의 구속은 발생하지 않으며, 콘솔 암레스트는 마찰힌지기구에 의한 마찰력으로 개방동작을 원활히 수행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은 그대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콘솔장치는, 충돌사고시 발생한 관성에 의해 록킹기구가 작동해서 콘솔 암레스트를 구속하게 되고, 이로 인해 콘솔 암레스트는 개방동작을 하지 못하게 되며, 이를 통해 콘솔 암레스트는 충돌사고시에도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콘솔박스내의 물품이탈 방지 및 콘솔 암레스트에 의한 승객의 부상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콘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기구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도,
도 6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로서 콘솔 암레스트가 슬라이더에 의해 구속되지 않은 충돌사고 발생전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6에서 충돌사고 발생으로 콘솔 암레스트가 슬라이더에 의해 구속된 상태의 도면,
도 8은 도 2의 Ⅱ-Ⅱ선 단면도로서 콘솔 암레스트가 슬라이더에 의해 구속되지 않은 충돌사고 발생전 상태의 도면,
도 9는 도 8에서 충돌사고 발생시 슬라이더가 콘솔 암레스트의 록킹홀을 관통하도록 이동한 상태의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슬라이더가 콘솔 암레스트의 록킹홀을 관통한 후 걸림부가 콘솔 암레스트에 걸려져서 고정된 상태의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콘솔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콘솔장치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건수납을 위한 공간이 구비된 콘솔박스(100); 상기 콘솔박스(100)와 마찰힌지기구(200)를 매개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콘솔박스(100)를 계폐시키는 콘솔 암레스트(300); 및 상기 마찰힌지기구(200)의 반대쪽 위치에서 콘솔박스(100)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충돌사고시 발생한 관성에 의해 동작해서 콘솔 암레스트(300)가 개방되지 못하도록 콘솔 암레스트(300)를 구속하는 록킹기구(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솔장치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 센터콘솔이 될 수 있다.
콘솔 암레스트(300)는 쿠션재 및 외피재를 포함해서 구성되며 운전자 및 조수석 승객의 팔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콘솔박스(100)의 후방과 콘솔 암레스트(300)의 후방단이 마찰힌지기구(200)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콘솔 암레스트(300)의 전방단은 자유단이 되어서 후방의 마찰힌지기구(200)를 중심으로 전방이 상하로 회전하는 구조가 된다.
콘솔 암레스트(300)의 회전을 도와주는 마찰힌지기구(200)는 콘솔박스(100)에 결합된 로워브라켓, 콘솔 암레스트(300)에 결합된 어퍼브라켓, 로워브라켓과 어퍼브라켓을 관통하는 샤프트, 샤프트의 회전시 샤프트와의 접촉으로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한다.
콘솔 암레스트(300)의 회전시 샤프트와 마찰부재의접촉으로 발생한 마찰력에 의해 콘솔 암레스트(300)의 개방각도는 다양하게 조절되며, 또한 마찰력에 의해 콘솔 암레스트(300)는 개방된 상태에서 그 위치의 고정이 가능하다.
마찰힌지기구(200)를 구비한 종래의 콘솔장치는 콘솔 암레스트(300)의 록킹기구가 없어서 충돌사고 발생시의 관성에 의해 콘솔 암레스트(300)가 스스로 개방되게 회전하고, 이로 인해 콘솔박스(100)내의 물품이 외부로 이탈되거나 또는 개방된 콘솔 암레스트(300)에 의해 승객이 부상을 당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콘솔장치는 마찰힌지기구(200)를 구비한 구조에서 록킹기구(400)를 추가로 구비한 구성이다.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상태일 때 록킹기구(400)는 작동하지 않고, 이로 인해 록킹기구(400)에 의한 콘솔 암레스트(300)의 구속은 발생하지 않으며, 콘솔 암레스트(300)는 마찰힌지기구(200)에 의한 마찰력으로 개방동작을 원활히 수행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은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반면에,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이때 발생한 관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록킹기구(400)가 작동해서 콘솔 암레스트(300)를 구속하게 되고, 이로 인해 콘솔 암레스트(300)는 개방동작을 하지 못하게 되며, 이를 통해 콘솔 암레스트(300)는 충돌사고시에도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콘솔박스(100)내의 물품이탈 방지 및 콘솔 암레스트(300)에 의한 승객의 부상 방지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록킹기구(400)는 콘솔박스(100)의 전면에 고정되게 결합된 하우징(410); 상기 하우징(410)에 레버핀(42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레버(430); 및 상기 레버핀(420)의 위쪽에서 회전레버(430)의 상단과 연결핀(44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450)를 포함한다.
회전레버(430)는 충돌사고시 발생한 관성에 의해 레버핀(42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슬라이더(450)는 회전레버(430)의 회전시 직선 이동해서 하우징(410)을 관통한 후 콘솔 암레스트(300)의 록킹홀(310)로 삽입됨에 따라 콘솔 암레스트(300)를 구속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록킹기구(400)는 레버핀(420)의 측부에서 회전레버(43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충돌사고시 회전레버(430)가 레버핀(42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레버(430)에 회전 관성을 발생시키는 질량체(460)를 더 포함한다.
질량체(460)가 결합된 회전레버(430)는 충돌사고시의 관성에 의해 도 7과 같이 레버핀(420)을 중심으로 슬라이더를 밀어주는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슬라이더(450)는 회전레버(43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화살표 M1과 같이 우측으로 직선 이동해서 하우징(410)을 관통한 후 콘솔 암레스트(300)의 록킹홀(310)로 삽입됨에 따라 콘솔 암레스트(300)를 구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록킹기구(400)는 레버핀(420)이 중심을 관통한 상태로 하우징(410)에 일단이 결합되고 회전레버(430)에 타단이 결합된 것으로 회전레버(430)가 레버핀(420)을 중심으로 슬라이더(450)를 당기는 방향인 하측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레버(430)에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470)을 더 포함한다.
레버스프링(470)의 스프링력에 의해 회전레버(430)는 도 6과 같이 레버핀(420)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게 되고, 슬라이더(450)는 회전레버(430)의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화살표 M2와 같이 당겨져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슬라이더(450)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더(450)는 콘솔 암레스트(300)의 록킹홀(310)로부터 빠지게 되는 바, 이를 통해 콘솔 암레스트(300)는 슬라이더(45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다.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상태일 때에 슬라이더(450)는 도 6과 같이 콘솔 암레스트(300)의 록킹홀(310)로부터 빠진 상태가 되어서 콘솔 암레스트(300)는 슬라이더(45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록킹기구(400)는 하우징(410)에 고정되게 설치된 것으로 회전레버(430)가 레버스프링(470)의 스프링력으로 회전력을 받을 때 회전레버(430)와의 접촉으로 소음을 방지하는 댐퍼(480)를 더 포함한다.
댐퍼(480)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410)의 바닥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회전레버(430)가 레버스프링(470)의 스프링력으로 화살표 R2와 같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을 때 하우징(410)과 회전레버(43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해서 충격방지 및 소음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421과 441은 레버핀(420)의 단부 및 연결핀(44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클립부재이고, 클립부재(421,441)의 결합에 의해 레버핀(420) 및 연결핀(440)은 빠짐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회전레버(430)의 상단에서 연결핀(440)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핀구멍(431)은 회전레버(430)와 슬라이더(450)사이의 작동에 대한 편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타원형상의 슬롯홀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에 핀구멍(431)이 정원으로 형성되면, 슬라이더(450)의 일단에서 연결핀(440)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이 타원형상의 슬롯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450)에는 경사돌기(451)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돌기(451)와 대면하는 콘솔 암레스트(300)의 내면에는 경사부(320)가 형성된다.
충돌사고시 발생한 관성에 의해 회전레버(430)가 레버핀(42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회전레버(430)의 회전으로 슬라이더(450)가 콘솔 암레스트(300)의 록킹홀(310)을 관통하면서 콘솔 암레스트(30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동할 때에 경사돌기(451)와 경사부(320)는 서로 접촉해서 슬라이더(4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10과 같이 슬라이더(450)의 전방끝에서 경사돌기(451)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걸림부(45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452)가 록킹홀(310)을 관통한 후 콘솔 암레스트(300)에 걸려져서 고정됨에 따라 콘솔 암레스트(300)는 슬라이더(450)에 의한 구속상태가 유지되는 구조가 된다.
그리고, 록킹홀(310)을 관통한 후 콘솔 암레스트(300)에 걸려진 걸림부(452)를 경사돌기(451)가 형성된 방향 즉 화살표 M3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걸림부(452)의 걸림이 해제되며, 이를 통해 슬라이더(450)에 의한 콘솔 암레스트(300)의 구속상태가 해제되어서 도 6과 같은 충돌전의 상황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콘솔장치는, 콘솔 암레스트(300)가 마찰힌지기구(200)의 마찰력에 의해 개폐동작을 하는 구조에서 콘솔박스(100)에 록킹기구(400)가 추가로 구비된 구성으로,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상태일 때 록킹기구(400)는 작동하지 않고, 이로 인해 록킹기구(400)에 의한 콘솔 암레스트(300)의 구속은 발생하지 않으며, 콘솔 암레스트(300)는 마찰힌지기구(200)에 의한 마찰력으로 개방동작을 원활히 수행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은 그대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콘솔장치는, 충돌사고시 발생한 관성에 의해 록킹기구(400)가 작동해서 콘솔 암레스트(300)를 구속하게 되고, 이로 인해 콘솔 암레스트(300)는 개방동작을 하지 못하게 되며, 이를 통해 콘솔 암레스트(300)는 충돌사고시에도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콘솔박스(100)내의 물품이탈 방지 및 콘솔 암레스트(300)에 의한 승객의 부상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콘솔박스 200 - 마찰힌지기구
300 - 콘솔 암레스트 310 - 록킹홀
320 - 경사부 400 - 록킹기구
410 - 하우징 420 - 레버핀
421 - 클립부재 430 - 회전레버
431 - 핀구멍 440 - 연결핀
441 - 클립부재 450 - 슬라이더
451 - 경사돌기 452 - 걸림부
460 - 질량체 470 - 레버스프링
480 - 댐퍼

Claims (13)

  1. 물건수납을 위한 공간이 구비된 콘솔박스;
    상기 콘솔박스와 힌지기구를 매개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콘솔박스를 계폐시키는 콘솔 암레스트; 및
    상기 힌지기구의 반대쪽 위치에서 콘솔박스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충돌사고시 발생한 관성에 의해 동작해서 콘솔 암레스트가 개방되지 못하도록 콘솔 암레스트를 구속하는 록킹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콘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기구는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상태일 때 동작하지 않아서 콘솔 암레스트를 구속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콘솔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기구는 콘솔박스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서 충돌사고 발생시에만 콘솔 암레스트를 구속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콘솔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기구는 콘솔박스의 전면에 고정되게 결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레버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레버; 및
    상기 레버핀의 위쪽에서 회전레버의 상단과 연결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레버는 충돌사고시 발생한 관성에 의해 레버핀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회전레버의 회전시 직선 이동해서 하우징을 관통한 후 콘솔 암레스트의 록킹홀로 삽입됨에 따라 콘솔 암레스트를 구속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콘솔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록킹기구는 레버핀의 측부에서 회전레버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충돌사고시 회전레버가 레버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레버에 회전 관성을 발생시키는 질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콘솔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가 결합된 회전레버는 충돌사고시의 관성에 의해 레버핀을 중심으로 슬라이더를 밀어주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콘솔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록킹기구는 하우징에 일단이 결합되고 회전레버에 타단이 결합된 것으로 회전레버가 레버핀을 중심으로 슬라이더를 당기는 방향인 하측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레버에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콘솔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록킹기구는 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된 것으로 회전레버가 레버스프링의 스프링력으로 회전력을 받을 때 회전레버와의 접촉으로 소음을 방지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콘솔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의 상단에서 연결핀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핀구멍은 회전레버와 슬라이더사이의 작동에 대한 편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타원형상의 슬롯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콘솔장치.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경사돌기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돌기와 대면하는 콘솔 암레스트의 내면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록킹홀을 관통하면서 콘솔 암레스트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동할 때에 경사돌기와 경사부는 서로 접촉해서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콘솔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끝에서 경사돌기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가 록킹홀을 관통한 후 콘솔 암레스트에 걸려져서 고정됨에 따라 슬라이더에 의한 콘솔 암레스트의 구속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콘솔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록킹홀을 관통한 후 콘솔 암레스트에 걸려진 걸림부를 경사돌기가 형성된 방향으로 밀어주면 걸림부의 걸림이 해제됨에 따라 콘솔 암레스트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콘솔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는 마찰력을 이용해서 콘솔 암레스트의 개방각을 조절하는 마찰힌지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콘솔장치.
KR1020210092472A 2021-07-14 2021-07-14 차량용 콘솔장치 KR20230011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472A KR20230011793A (ko) 2021-07-14 2021-07-14 차량용 콘솔장치
US17/828,445 US20230020916A1 (en) 2021-07-14 2022-05-31 Console apparatus for vehicles
DE102022206151.9A DE102022206151A1 (de) 2021-07-14 2022-06-21 Konsolenvorrichtung für fahrzeuge
CN202210742652.7A CN115610326A (zh) 2021-07-14 2022-06-27 用于车辆的控制台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472A KR20230011793A (ko) 2021-07-14 2021-07-14 차량용 콘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793A true KR20230011793A (ko) 2023-01-25

Family

ID=84546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472A KR20230011793A (ko) 2021-07-14 2021-07-14 차량용 콘솔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20916A1 (ko)
KR (1) KR20230011793A (ko)
CN (1) CN115610326A (ko)
DE (1) DE10202220615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889A (ko)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889A (ko)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20916A1 (en) 2023-01-19
CN115610326A (zh) 2023-01-17
DE102022206151A1 (de)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1395B2 (en) Acceleration/deceleration mechanism and vehicle small article compartment having acceleration/deceleration mechanism
US8123261B2 (en) Lid lock structure of storing box for vehicle
US20050280266A1 (en) Movement prevention device
US8109424B2 (en) Tray apparatus
JP4881717B2 (ja)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US20230340805A1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100836121B1 (ko) 차량 도어의 열림 방지 도어래치 어셈블리
KR20230011793A (ko) 차량용 콘솔장치
JP4776527B2 (ja)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20230070789A (ko) 차량용 콘솔장치
JP6012158B2 (ja) 回動体装置及び収納装置
JP6017333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0946481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핸들
JP2017031739A (ja) インサイド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550403B1 (ko) 차량용 콘솔의 잠금장치
KR100893078B1 (ko) 차량용 더블 폴딩 시트의 폴딩장치
KR20100069467A (ko)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JP4079696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機構
JP6017334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1865585B1 (ko) 시트 암레스트 록킹장치
JP5434135B2 (ja) 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
JP2023114942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6071058B2 (ja) リッド係止機構
JP2021091259A (ja) 車両用シート
KR200147163Y1 (ko) 시트벨트높이조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