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176A -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176A
KR20230011176A KR1020210091877A KR20210091877A KR20230011176A KR 20230011176 A KR20230011176 A KR 20230011176A KR 1020210091877 A KR1020210091877 A KR 1020210091877A KR 20210091877 A KR20210091877 A KR 20210091877A KR 20230011176 A KR20230011176 A KR 20230011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ecimen
leaching test
automation system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3766B1 (ko
Inventor
오윤도
유동한
이현규
홍대석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91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766B1/ko
Publication of KR20230011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81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relatively moving the transfer device and the containers in an horizontal pla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4Purifying; Clea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55Concentrating samples by solubility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65Multiple transfer devices
    • G01N35/1074Multiple transfer devices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array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은 제1 용기에 저장된 시험수에 시편을 소정의 시간 동안 침지하여 생성되는 침출수를 분석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부면에 상기 제1 용기가 수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가 구비되는 회전 유닛; 상기 회전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편을 세척하는 세척 유닛; 상기 시편이 담긴 상기 제1 용기로부터 상기 시편을 인출하여 상기 세척 유닛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1 용기에 저장된 상기 침출수를 추출하며, 세척된 상기 시편을 다시 상기 회전 유닛으로 이송하여 상기 회전 유닛에 수용된 다른 제1 용기에 인입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회전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LEACHING TEST AUTOMATION SYSTEM}
본 발명은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편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시험수에 침지하여 생성된 침출수를 분석하는 침출 시험 과정을 자동화한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침출 시험이란, 시편을 소정의 시간 동안 시험수에 침지하여 시편에 함유된 성분을 시험수에 용해함으로써 생성되는 침출수를 분석하여 시편의 물성 또는 함유 성분을 측정하는 시험을 말한다.
이러한 침출 시험은 다양한 기술분야에 사용되는데, 예를 들면, 방사성 폐기물을 처분장에서 인수할 때 침출 시험을 통해 방사성 폐기물의 처분장 인수 기준 만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침출 시험은 샘플 시료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침출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침출수를 반복적으로 분석하여 방사성 폐기물의 처분장 인수 기준 만족여부를 판단한다. 다만, 방사성 폐기물의 처분장 인수 기준 만족 여부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나 절차는 정립되어 있으나, 실제 측정을 위한 장비에 대한 개발이 미비하다.
특히, 반복적인 시험과정을 거쳐야 되는 침출 시험에서 시험수행자가 수작업으로 시험을 진행하는 경우, 침출 시간, 재료 교체 과정이나 세척 과정에서 시험의 인적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시험수행자가 방사성 폐기물에 노출될 수 있어서 시험수행자의 방사선 피폭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반복적인 시험과정을 자동화하여 시험의 인적오류를 줄일 뿐만 아니라, 시험수행자의 관여를 최소화하여 시험수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022892호(방사성 폐기물에서 시험체로의 침수 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침출 시험의 반복되는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의 크기를 최소화한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편을 다양한 각도에서 세척할 수 있어 시험의 정확도를 높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은 제1 용기에 저장된 시험수에 시편을 소정의 시간 동안 침지하여 생성되는 침출수를 분석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부면에 상기 제1 용기가 수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가 구비되는 회전 유닛; 상기 회전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편을 세척하는 세척 유닛; 상기 시편이 담긴 상기 제1 용기로부터 상기 시편을 인출하여 상기 세척 유닛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1 용기에 저장된 상기 침출수를 추출하며, 세척된 상기 시편을 다시 상기 회전 유닛으로 이송하여 상기 회전 유닛에 수용된 다른 제1 용기에 인입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회전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 유닛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일 꼭지점이 상기 제1 회전축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용부는 상기 회전 유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용부는 N개(N은 3이상의 자연수)로 구비되고, N개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에 의하여 상기 세척 유닛으로 이송된 상기 시편이 세척되는 동안 상기 회전 유닛을 360/N도만틈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 유닛의 상기 수용부는 복수의 상기 제1 용기가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수용홈은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세척 유닛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세척 유닛 본체; 상기 세척 유닛 본체의 내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세척 유닛 본체의 중심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기; 및 상기 분사기로부터 분사된 상기 세척수가 상기 세척 유닛 본체의 하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분사기로부터 분사된 상기 세척수가 여과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 상측에 배치되는 필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 및 상기 배출구가 상기 밸브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세척 유닛 본체의 내부에 저장되는 상기 세척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수위 센서에서 측정된 수위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편이 상기 제1 용기에 저장된 상기 시험수의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시편이 거치된 채로 상기 제1 용기에 삽입되는 시편 거치 유닛;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편 거치 유닛은 상기 용기의 상단부의 단면적 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시편 거치 유닛 본체; 상기 시편 거치 유닛 본체의 하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시편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 및 상기 복수의 기둥의 하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시편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받침;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둥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기둥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걸림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에는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걸림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홀; 상기 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둘레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되 폭이 상기 걸림부의 단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가이드홀; 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편 거치 유닛은 상기 걸림부와 기둥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기둥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이음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홀의 폭은 상기 이음부의 단면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편 거치 유닛은 상기 시편을 상기 기둥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시편과 상기 기둥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시편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부재 몸체 및 상기 고정 부재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둥에 끼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제1 회전축에 평행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는 시편 이송암; 및 상기 시편을 상기 제1 용기로 인입 또는 상기 제1 용기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시편 이송암에 설치되고 상기 시편 거치 유닛 본체에 결합될 수 있는 집게부; 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집게부는 상기 시편 이송암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집게부 몸체; 상기 집게부 몸체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시편 거치 유닛 본체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시편 거치 유닛 본체의 외주면 측 및 외측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이동 부재; 상기 한 쌍의 이동 부재의 각 하단부로부터 상기 시편 거치 유닛 본체 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 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이동 부재는 각각 상기 시편 거치 유닛 본체의 일측 및 타측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제1 회전축에 평행한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회전하는 침출수 추출암; 및 상기 침출수 추출암에 설치되고 상기 시편이 상기 세척 유닛에서 세척되는 동안 상기 제1 용기로부터 침출수를 수집하는 수집부; 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집부는 상기 침출수 추출암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집부 몸체; 및 상기 수집부 몸체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침출수를 흡입하는 흡입 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흡입 부재는 소수성(hydrophobic)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은, 제어 유닛을 통하여 회전 유닛, 이송 유닛 및 세척 유닛을 제어함으로써 침출 시험의 반복되는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은, 시편이 수용되는 제1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시스템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은, 복수의 시편을 동시에 시험할 수 있으면서도, 시편을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시편을 다양한 각도에서 세척할 수 있어 시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시편 인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시편 세척 상태 및 침출수 추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시편 거치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받침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고정 부재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집게부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을 따라 단면을 확대하여 집게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수집부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세척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세척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 1의 X축은 우측 방향, Y축은 전방, Z축은 상측 방향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구성의 특징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나 크기를 과장되게 나타내었으며, 도면에서 나타낸 구성의 두께나 크기를 실제와 같이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시편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시험수에 침지하여 생성된 침출수를 분석하는 침출 시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침출 시험 과정을 자동화하여 실험자가 시편을 시험수에 침지하는 과정을 직접 하지 않더라도 반복적으로 시험을 진행할 수 있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반복된 침출 시험 과정에서는 침출 시험 후 다음 침출 시험 전 시편을 세척하여야 하는 세척과정 또한 실험자가 직접 세척하지 않더라도 시편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시편 인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시편 세척 상태 및 침출수 추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시편 거치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받침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고정 부재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은 회전 유닛(100), 시편 거치 유닛(400), 이송 유닛(200), 세척 유닛(300) 및 제어 유닛(500)을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유닛(100)은 제1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이다. 회전 유닛(100)의 상부에는 시험 대상인 시편(6)이 침지될 수 있는 시험수가 내부에 저장되는 제1 용기(2)가 수용된다. 이에 따라, 제1 용기(2)는 회전 유닛(100)과 함께 제1 회전축(120)을 충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회전 유닛(100)은 제1 용기(2)가 수용되는 수용부(110)를 포함한다. 수용부(110)는 제1 회전축(120)에 수직한 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삼각형의 세 꼭지점 중 어느 한 꼭지점이 제1 회전축(120) 측에 배치된다.
이 때, 수용부(110)의 제1 회전축(120)에 수직한 단면은 이등변 삼각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110)의 동일한 길이의 모서리가 만나는 꼭지각이 제1 회전축(120)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110)의 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수용부(110)는 제1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으로 n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n은 3 이상의 자연수이다. 이에 따라, 복수의 수용부(110)를 포함하는 회전 유닛(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시편(6)에 대한 침출 횟수에 따라 수용부(110)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고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방사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시험에 대한 규정상 총 10번의 침출 시험을 반복하여 수행하여야 하므로, 회전 유닛(100)은 10개의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 유닛(100)이 n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것보다 부피가 줄어들어 시스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방사성 폐기물을 실험하기 위한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추후 사용기간 도과 또는 고장에 의하여 시스템을 폐기 시 방사성 폐기물로 처리되어야 하므로 방사성 폐기물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복수의 수용부(110)는 각각 회전 유닛(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부(110)가 회전 유닛(100)과 별도로 분리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수용부(110)가 고장 시 고장이 난 수용부(110)만을 교체하여 시스템을 유지보수 하거나, 필요에 따라 고장난 수용부(110)를 제외하고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수용부(110)의 상부면에는 시험수가 저장된 제1 용기(2)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이 때, 수용홈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각 수용홈에는 복수의 제1 용기(2)가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수용부(110)에서 수용홈의 개수만큼의 시편(6)에 대한 침출 시험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제1 용기(2)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0)의 제1 회전축(120)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엇갈려 배치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용부(110)의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일 때 제1 회전축(120)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제1 회전축(120)에 인접 배치되는 꼭지점의 양측에 형성되는 일 모서리와 타 모서리를 번갈아가며 인접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수용부(110)에 복수의 제1 용기(2)가 수용되고, 복수의 제1 용기(2)에 각각 수용된 복수의 시편(6)이 침출 과정을 거친 후 후술하는 세척 유닛(300)으로 이동되는 경우, 복수의 시편(6)이 배치되더라도 지그재그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4방향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인접한 시편(6)에 의하여 가려짐이 없이 모든 방향에서 세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6)은 제1 용기(2)에 저장된 시험수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효율적으로 침지될 수 있도록 시편 거치 유닛(400)에 의하여 제1 용기(2)의 내부에서 지지된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시편 거치 유닛(400)은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 기둥(420) 및 받침(450)을 구비한다.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는 도 4를 참조하면, 판형으로 형성되면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는 제1 용기(2)의 상단부 단면보다 단면의 크기가 크게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가 제1 용기(2)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고 제1 용기(2)의 상단부에 의하여 지지된다.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의 하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기둥(420)이 형성된다. 기둥(420)은 복수 개로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기둥(420)의 내측에 시편(6)이 배치된다. 즉, 시편(6)의 외주면이 복수의 기둥(420)에 의하여 지지된다. 다만, 기둥(420)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기둥이 형성된다. 4개의 기둥의 경우 시편(6)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고정 부재(460)가 설치되기에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복수의 기둥(420)는 시편(6)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기둥(420)에 의하여 둘러 쌓인 시편(6)은 제1 용기(2)의 상부 개구를 통해 제1 용기(2)로 삽입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기둥(420)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기둥(420) 사이에 배치되는 시편(6)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받침(45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기둥(420)의 하단부에는 기둥(420)의 길이 방향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넓은 걸림부(440)가 형성된다.
받침(450)에는 걸림부(44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홀(452)이 걸림부(44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기둥(420)의 하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부(440)는 받침(450)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452)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450)의 복수의 홀(452)의 일측에는 복수의 홀(452)로부터 받침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홀(454)이 형성된다. 이 때, 가이드홀(454)의 폭의 넓이는 걸림부(440)의 단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걸림부(440)가 홀(452)을 관통한 상태에서 받침(450)을 가이드홀(454)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이드홀(454)을 따라 기둥(420)이 이동한다. 이 때, 가이드홀(454)의 폭이 걸림부(440)의 단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받침(450)이 기둥(420)의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시편 거치 유닛(400)은 이음부(4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음부(430)는 기둥(420)의 하단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이음부(430)의 하단부에 걸림부(440)가 배치된다. 이음부(430)의 연장 길이는 받침(45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45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454)의 폭은 이음부(43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걸림부(440)가 홀(452)을 통해 관통된 상태에서 받침(450)을 가이드홀(454)의 형성 방향 측으로 회전시키면 이음부(430)가 가이드홀(45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받침(450)는 가이드홀(454)의 테두리부가 기둥(420)의 하단면에 지지되어 받침(450)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받침(450)이 기둥(420)에 고정됨으로써 기둥(420) 및 받침(450)에 의하여 지지되는 시편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시험수에 침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시편 거치 유닛(400)은 고정 부재(4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정 부재(460)는 시편(6)의 크기가 작은 경우 기둥(420)과 시편(6) 사이에 배치되어 시편(6)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고정 부재(4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 몸체(462) 및 연결 고리(464)를 구비한다.
고정 부재 몸체(462)는 시편(6)과 기둥(420) 사이에 배치되고 시편(6)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고정 부재 몸체(462)는 시편(6)의 크기에 따라 다른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 몸체(462)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시편(6)의 양 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연결 고리(464)는 고정 부재 몸체(462)의 일측에 형성된다. 연결 고리(464)와 고정 부재 몸체(462)는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고리(464)는 기둥(420)에 끼움 결합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고리(464)에 기둥(420)이 삽입되어 연결 고리(464)가 기둥에 고정되게 된다. 연결 고리(464)의 개수는 기둥(420)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기둥이 배치되며 이에 따라 각 고정 부재 몸체(462)에는 2개의 연결 고리(464)가 형성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집게부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는 도 7의 A-A선을 따라 단면을 확대하여 집게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수집부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한편, 이송 유닛(200)은 하나의 수용부(110)의 수용된 복수의 제1 용기(2)에 담긴 시편(6)을 세척 유닛(300)으로 이송하고, 복수의 제1 용기(2)에 생성된 침출수를 추출한다. 또한, 세척이 끝난 시편(6)은 필요에 따라 반복 시험을 위하여 회전 유닛(100)으로 다시 이송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이송 유닛(200)은 시편 이송암(220), 집게부(230), 침출수 추출암(250) 및 수집부(260)를 구비한다.
시편 이송암(2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유닛(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할 수 있도록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때, 제2 회전축(2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축(12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 이송암(220)은 제2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게 되며, 수용부(110) 상부와 후술하는 세척 유닛(300)의 상측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 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 이송암(220)의 하측에는 집게부(230)가 설치된다. 집게부(230)는 회전 유닛(100)에 구비되는 어느 한 수용부(110) 상에 수용되는 제1 용기(2) 내부로부터 시편 거치 유닛(400)을 인출하거나, 시편 거치 유닛(400)을 제1 용기(2) 내부로 인입한다.
시편 거치 유닛(400)을 제1 용기(2)로 인입 또는 제1 용기(2)로부터 인출하기 위하여 집게부(230)는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집게부(2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집게부(230)의 개수는 수용부(110)에 수용될 수 있는 시편(6)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집게부(230)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집게부(230)는 집게부 몸체(232), 한 쌍의 이동 부재(234) 및 한 쌍의 지지 부재(235)를 구비한다.
집게부 몸체(232)는 시편 이송암(220)의 하부면에 배치된다. 집게부 몸체(2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유닛(100) 또는 세척 유닛(300) 측으로 시편 거치 유닛(40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시편 이송암(220)에 설치된다.
이 때, 집게부 몸체(23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구조는 공지된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집게부 몸체(232)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집게부 몸체(232)의 하부면에는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의 상부면이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가 집게부 몸체(232)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집게부 몸체(232)에는 한 쌍의 이동 부재(234)가 구비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동 부재(234)는 집게부 몸체(232)의 하측에 배치되며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의 외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이동 부재(234)는 각각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의 일측과 타측은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동 부재(234)는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거나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의 외주면 측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다. 이 때, 한 쌍의 이동 부재(234)는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의 중심을 지나는 연장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동 부재(234)는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의 일측 및 타측의 외주면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가 원판형인 경우 한 쌍의 이동 부재(234)는 원판형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굽힘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이동 부재(234)가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를 넓은 면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시편 거치 유닛(400)의 이동 중 시편 거치 유닛(400)이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동 부재(234)의 하단부에는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 측으로 한 쌍의 지지 부재(235)가 각각 돌출된다. 이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동 부재(234)가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지 부재(235)는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의 테두리부 하측으로 이동하며, 이동된 지지 부재(235)는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의 테두리부 하부면을 지지함으로써 시편 거치 유닛(400)이 집게부(2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시편 이송암(220)의 일측에 배치되는 침출수 추출암(2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유닛(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3 회전축(240)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할 수 있도록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때, 제3 회전축(2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축(120) 및 제2 회전축(21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출수 추출암(250)은 제3 회전축(240)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게 되며, 수용부(110) 상부와 후술하는 외부에 배치되는 제2 용기(4) 상부를 왕복하여 운동하게 된다. 이 때, 제2 용기(4)는 제1 용기(2)에 저장된 시험수에 소정의 시간동안 침지된 시편(6)을 제거한 뒤 제1 용기(2)에 생성된 침출수를 옮겨 분석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이 때,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출수 추출암(250)의 하측에는 수집부(260)가 설치된다. 수집부(260)는 회전 유닛(100)에 구비되는 어느 한 수용부(110) 상에 수용되는 제1 용기(2) 내부로부터 침출수를 추출하여 제2 용기(4)로 이동시킨다.
수집부(2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수집부(260)의 개수는 수용부(110)에 수용될 수 있는 시편(6)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이송 유닛(200)의 수집부(260)는 수집부 몸체(262) 및 흡입 부재(264)를 구비한다.
수집부 몸체(262)는 침출수 추출암(250)의 하부면에 배치된다. 수집부 몸체(26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용기(2)로부터 제2 용기(4)로 침출수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침출수 추출암(250)에 설치된다.
이 때, 수집부 몸체(26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구조는 공지된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수집부 몸체(262)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부 몸체(262)의 하부에는 흡입 부재(264)가 배치된다. 흡입 부재(264)는 수집부 몸체(262)가 하강하여 제1 용기(2) 측으로 이동하면 침출수(8)에 잠기게 된다. 이 때, 흡입 부재(264)는 침출수(8)를 흡입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저장한다. 흡입 부재(264)는 예를 들면 전자 제어되는 피펫일 수 있다.
이 때, 흡입 부재(264)는 침출수(8)이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침출수(8)가 흡입 부재(264)의 외부에 묻힌 상태로 침출수 추출암(250)이 이동하게 되면 침출수(8)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흡입 부재(264)는 소수성(hydrophobic)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소수성 재질로 형성된 흡입 부재(264)가 침출수(8)에 담기더라도 침출수(8)의 외부면에 침출수(8)가 묻힌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됨으로써 침출수(8) 이동 과정에서 흡입 부재(264)의 외부에 묻은 침출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방사성 폐기물 시편(6)을 사용하는 경우, 침출수(8)도 방사성 폐기물이 되므로 소수성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방사성 폐기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세척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세척 유닛의 정면도이다.
세척 유닛(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유닛(100)의 일측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척 유닛(300)이 회전 유닛(100)의 일측에 배치됨에 따라 제2 회전축(210)이 회전 유닛(100)과 세척 유닛(3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시편 이송암(220)은 제2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여 회전 유닛(100)과 세척 유닛(300)을 왕복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유닛(300)은 시편 이송암(220)에 구비된 복수의 집게부(230)에 각각 결합되어 세척 유닛(300)으로 이송된 복수의 시편 거치 유닛(400) 내부에 배치된 시편(6)을 세척한다. 이는 침출 시험을 반복하기 위하여 새로운 시험수에 시편(6)을 침지하기 전 이전 시험수의 잔여량을 제거하여 시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세척 유닛(300)은 세척 유닛 본체(310), 분사기(350), 배출구 및 밸브(330)를 구비한다.
세척 유닛 본체(3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세척 유닛 본체(310)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세척 유닛 본체(310)의 내부 공간으로 세척이 필요한 시편(6)이 이송될 수 있다. 이 때, 세척 유닛 본체(31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세척 유닛 본체(310)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분사기(350)가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다. 이 때, 분사기(350)를 통하여 시편(6)으로 세척수가 분사된다. 분사기(350)는 복수 개가 배치되면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와 같이 시편(6)을 충분히 세척하여 시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4 방면에 각각 1개의 분사기(350), 즉 4개의 분사기(35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유닛 본체(310)의 하부에는 분사기(350)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를 세척 유닛 본체(3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320)가 형성된다. 이 때, 세척 유닛 본체(310)의 하부는 배출구(320) 측으로 갈수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수는 세척 유닛 본체(310)의 내부에 고이지 않고 배출구(320)를 통해 모두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배출구(320)에는 밸브(330)가 구비된다. 밸브(330)는 배출구(320)의 개폐를 제어한다. 밸브(330)는 배출구(320)가 외부의 폐기물 처리부(미도시)로 상시 연결되지 않는 경우, 배출구(320)를 통해 세척수가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세척 유닛(300)은 필터 부재(360) 및 수위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필터 부재(36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320)의 상측에 배치되어 분사기(350)를 통해 분사된 세척수가 시편(6)을 세척한 뒤 필터 부재(36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뒤 배출구(32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 때, 필터 부재(360)에 사용되는 필터는 공지된 다양한 필터가 배치될 수 있으며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수위 센서는 폐기할 세척수의 수위를 측정하여 세척 유닛 본체(310) 내부의 세척수(w)가 소정의 양을 초과하는 경우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신호를 통해 밸브(330)의 개폐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한편, 제어 유닛(500)은 회전 유닛(100), 시편 거치 유닛(400), 이송 유닛(200) 및 세척 유닛(300)을 제어하여 시편의 침출 시험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아래에서는 제어 유닛(500)의 제어를 침출 시험 단계를 통하여 설명한다.
시험수행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6)을 시편 거치 유닛(400)의 받침(450) 위에 배치하고 받침(450)을 복수의 기둥(420)에 결합한다. 이 때, 시편(6)의 크기에 따라 고정 부재(460)를 부가하여 기둥(4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시편 거치 유닛(400)에 시편(6)이 거치된 뒤 이송 유닛(200)에 시편 거치 유닛(400)이 결합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 유닛(500)은 집게부 몸체(232)를 하강시키고 집게부 몸체(232)가 시편 거치 유닛(400)의 상부에 도달하면, 이동 부재(234)를 시편 거치 유닛 본체(410) 측으로 이동시켜 시편 거치 유닛(400)을 집게부(230)에 결합시킨다.
제어 유닛(500)는 집게부(230)에 시편 거치 유닛(400)이 결합되는 집게부 몸체(232)를 상승시킨 뒤, 회전 유닛(100)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시편 거치 유닛(40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유닛(100)의 상부로 이동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 거치 유닛(400)을 제1 용기(2)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하여 집게부 몸체(232)를 하강시킨다.
소정의 기간이 도과되면 제어 유닛(500)은 집게부 몸체(232)를 상승시켜 시편 거치 유닛(400)을 제1 용기(2) 내부로부터 인출시킨다.
인출된 시편 거치 유닛(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 이송암(220)을 통해 세척 유닛(300)으로 이동된다. 제어 유닛(500)은 세척 유닛(300)으로 이동된 집게부 몸체(232)를 하강시켜 시편 거치 유닛(400)을 세척 유닛(30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 때, 제어 유닛(500)은 세척 유닛(300)의 밸브(330)를 닫고 세척 유닛(300)의 분사기(350)를 통해 세척수(w)를 분사하여 시편(6)을 세척하게 된다. 제어 유닛(500)은 수위 센서를 통하여 세척 유닛(300)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w)의 수위를 측정하고 수위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밸브(330)를 개방하여 배출구(320)를 통하여 세척수(w)를 배출한다.
제어 유닛(500)은 시편(6)을 세척하는 동안 이송 유닛(200)의 침출수 추출암(250)을 제3 회전축(240)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회전 유닛(100)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제어 유닛(500)은 수집부 몸체(262)를 하강하여 흡입 부재(264)가 제1 용기(2)의 내부에 배치된 침출수에 잠기도록 한다.
제어 유닛(500)은 흡입 부재(264)를 이용하여 흡입 부재(264)의 내부로 침출수를 흡입한다. 흡입 부재(264) 내부로 침출수가 충분히 흡입되면 수집부 몸체(262)를 다시 상승시키고, 침출수 추출암(250)을 제2 용기(4) 상부로 이동시킨다.
침출수 추출암(250)이 제2 용기(4) 상부로 이동되면 수집부 몸체(262)를 하강시켜 제2 용기(4) 내부로 흡입 부재(264)를 이동시키고 흡입 부재(264) 내부에 저장된 침출수를 제2 용기(4)로 배출한다.
한편, 수용부(110)의 개수가 10개일 때 제어 유닛(500)은 회전 유닛(100)을 360/10인 36도만큼 회전시킨다. 회전 유닛(100)이 회전된 상태에서 제어 유닛(500)은 세척된 시편(6)을 다시 회전 유닛(100)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시편 이송암(220)을 회전시킨다.
시편 이송암(220)이 회전되어 회전 유닛(100) 상부로 이동되면 회전 유닛(100)이 36도만큼 회전 되었기 때문에 다른 수용부(110)의 상부에 집게부(230)가 배치된다. 제어 유닛(500)은 집게부 몸체(232)를 하강시켜 시편(6)을 다른 제1 용기(2)에 인입하여 침출 시험을 반복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는 방사성 폐기물 시편을 시험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분야에 상관없이 시편을 침지하여 생성된 침출수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2 제1 용기 260 수집부
4 제2 용기 262 수집부 몸체
6 시편 264 흡입 부재
8 침출수 300 세척 유닛
100 회전 유닛 310 세척 유닛 본체
110 수용부 312 깔때기
112 제1 홀 320 배출구
114 제2 홀 330 밸브
116 제3 홀 340 배수관
120 제1 회전축 350 분사기
200 이송 유닛 360 필터 부재
210 제2 회전축 400 시편 거치 유닛
220 시편 이송암 410 시편 거치 유닛 본체
230 집게부 420 기둥
232 집게부 몸체 430 이음부
234 이동 부재 440 걸림부
235 지지 부재 450 받침
240 제3 회전축 460 고정 부재
250 침출수 추출암 500 제어 유닛

Claims (19)

  1. 제1 용기에 저장된 시험수에 시편을 소정의 시간 동안 침지하여 생성되는 침출수를 분석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부면에 상기 제1 용기가 수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가 구비되는 회전 유닛;
    상기 회전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편을 세척하는 세척 유닛;
    상기 시편이 담긴 상기 제1 용기로부터 상기 시편을 인출하여 상기 세척 유닛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1 용기에 저장된 상기 침출수를 추출하며, 세척된 상기 시편을 다시 상기 회전 유닛으로 이송하여 상기 회전 유닛에 수용된 다른 제1 용기에 인입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회전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닛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일 꼭지점이 상기 제1 회전축 측에 배치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회전 유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N개(N은 3이상의 자연수)로 구비되고, N개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에 의하여 상기 세척 유닛으로 이송된 상기 시편이 세척되는 동안 상기 회전 유닛을 360/N도만틈 회전시키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닛의 상기 수용부는 복수의 상기 제1 용기가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수용홈은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엇갈려 배치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유닛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세척 유닛 본체;
    상기 세척 유닛 본체의 내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세척 유닛 본체의 중심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기; 및
    상기 분사기로부터 분사된 상기 세척수가 상기 세척 유닛 본체의 하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를 포함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분사기로부터 분사된 상기 세척수가 여과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 상측에 배치되는 필터; 를 더 포함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 및
    상기 배출구가 상기 밸브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세척 유닛 본체의 내부에 저장되는 상기 세척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수위 센서에서 측정된 수위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밸브를 개방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이 상기 제1 용기에 저장된 상기 시험수의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시편이 거치된 채로 상기 제1 용기에 삽입되는 시편 거치 유닛; 를 더 포함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거치 유닛은
    상기 용기의 상단부의 단면적 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시편 거치 유닛 본체;
    상기 시편 거치 유닛 본체의 하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시편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 및
    상기 복수의 기둥의 하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시편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받침; 를 포함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기둥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걸림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에는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걸림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홀;
    상기 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둘레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되 폭이 상기 걸림부의 단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가이드홀; 을 포함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거치 유닛은 상기 걸림부와 기둥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기둥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이음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홀의 폭은 상기 이음부의 단면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거치 유닛은 상기 시편을 상기 기둥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시편과 상기 기둥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시편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부재 몸체 및 상기 고정 부재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둥에 끼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고리를 포함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제1 회전축에 평행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는 시편 이송암; 및
    상기 시편을 상기 제1 용기로 인입 또는 상기 제1 용기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시편 이송암에 설치되고 상기 시편 거치 유닛 본체에 결합될 수 있는 집게부; 을 포함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상기 시편 이송암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집게부 몸체;
    상기 집게부 몸체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시편 거치 유닛 본체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시편 거치 유닛 본체의 외주면 측 및 외측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이동 부재;
    상기 한 쌍의 이동 부재의 각 하단부로부터 상기 시편 거치 유닛 본체 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 부재; 를 포함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동 부재는 각각 상기 시편 거치 유닛 본체의 일측 및 타측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제1 회전축에 평행한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회전하는 침출수 추출암; 및
    상기 침출수 추출암에 설치되고 상기 시편이 상기 세척 유닛에서 세척되는 동안 상기 제1 용기로부터 침출수를 수집하는 수집부; 을 포함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침출수 추출암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집부 몸체; 및
    상기 수집부 몸체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침출수를 흡입하는 흡입 부재; 를 포함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부재는 소수성(hydrophobic)재질로 형성되는,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KR1020210091877A 2021-07-13 2021-07-13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KR102553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877A KR102553766B1 (ko) 2021-07-13 2021-07-13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877A KR102553766B1 (ko) 2021-07-13 2021-07-13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176A true KR20230011176A (ko) 2023-01-20
KR102553766B1 KR102553766B1 (ko) 2023-07-10

Family

ID=8510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877A KR102553766B1 (ko) 2021-07-13 2021-07-13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76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4716A (en) * 1988-05-19 1990-05-15 Erweka Apparatebau Gmbh Dissolution testing apparatus
JP2002022892A (ja) 2000-07-04 2002-01-23 Ohbayashi Corp 放射性廃棄物における試験体への冠水方法
JP2006284529A (ja) * 2005-04-05 2006-10-19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船底防汚塗料の溶出試験装置
KR101116029B1 (ko) * 2009-09-10 2012-02-22 국방과학연구소 인장 시험 장치 및 인장 시험 방법
KR101473193B1 (ko) * 2013-07-18 2014-12-17 김영일 자동 용출시험기
KR101621240B1 (ko) * 2014-12-30 2016-05-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
CN109030144A (zh) * 2018-07-18 2018-12-18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一种松散体水下板结规律模拟试验装置及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4716A (en) * 1988-05-19 1990-05-15 Erweka Apparatebau Gmbh Dissolution testing apparatus
JP2002022892A (ja) 2000-07-04 2002-01-23 Ohbayashi Corp 放射性廃棄物における試験体への冠水方法
JP2006284529A (ja) * 2005-04-05 2006-10-19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船底防汚塗料の溶出試験装置
KR101116029B1 (ko) * 2009-09-10 2012-02-22 국방과학연구소 인장 시험 장치 및 인장 시험 방법
KR101473193B1 (ko) * 2013-07-18 2014-12-17 김영일 자동 용출시험기
KR101621240B1 (ko) * 2014-12-30 2016-05-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
CN109030144A (zh) * 2018-07-18 2018-12-18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一种松散体水下板结规律模拟试验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766B1 (ko) 202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9420B2 (ja) プローブ洗浄カップおよび方法
JP4486644B2 (ja) 自動アナライザで使用済みの反応キュベットを選択的に洗浄する方法
EP0825444B1 (en) Washing device for automatic biochemical analyzer
US200402506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scade impactor testing of inhalable drug therapies recovery for chemical analysis
JP2554701B2 (ja) 歩進回転コンベヤー及びこのようなコンベヤーを組込んだ液体サンプル採取設備
JPH027420B2 (ko)
US2008009905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 Liquid Aspiration and Dispense Probe
JP2763468B2 (ja) 光散乱を用いた液体内の粒子分類装置
SK159698A3 (en) Apparatus for performing laboratory tests
KR101148509B1 (ko)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자동 샘플 충전 기구 및 방법
CN110320380B (zh) 自动分析装置和自动分析方法
KR102553766B1 (ko)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JPS58137758A (ja) 血液撹拌装置
WO1999064838A1 (en) Collector for an automated on-line bath analysis system
JPH063364A (ja) 分析用液体の分注装置
KR101348678B1 (ko) 의료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자동진단장치
JPH04256857A (ja) 分析装置等における自動滴定装置
JP2583007Y2 (ja) 自動化学アナライザ
JP2005127896A (ja) 血液等の試料サンプリング装置およびサンプリング方法
CN108144660B (zh) 用于容纳小体积液体样品的样品容器
CN111788488A (zh) 用于样品分析仪的具有多种构型的探针洗涤布置及其使用方法
CN208314001U (zh) 全自动生物过程分析仪的流路系统
GB2371861A (en) Sample recovery from a cascade impactor
JP2796352B2 (ja) 粒子計数装置
CN211871963U (zh) 植物病原真菌孢子捕捉装置以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