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240B1 -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 - Google Patents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240B1
KR101621240B1 KR1020140193191A KR20140193191A KR101621240B1 KR 101621240 B1 KR101621240 B1 KR 101621240B1 KR 1020140193191 A KR1020140193191 A KR 1020140193191A KR 20140193191 A KR20140193191 A KR 20140193191A KR 101621240 B1 KR101621240 B1 KR 101621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ide wall
wall portion
mol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걸
강성훈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3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성형하기 위한 공시체 몰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마나 캐핑하는 과정 없이 압축시험기의 가압판이 닿는 공시체 상하면을 평평하게 하여 종래의 공시체 몰드로 제작이 어려웠던 고유동성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이 개방된 반원통체 한 쌍이 개방된 측 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원통 형상을 이루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양단을 폐쇄하는 한 쌍의 마구리판; 으로 구성되되, 상기 측벽부의 상부 일측에는 콘크리트 주입을 위한 충전공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마구리판은 각각 측벽부 단부에 위치하되, 측벽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측벽부 외측에서 복수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Testing Mold for High Fluidity Conc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성형하기 위한 공시체 몰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마나 캐핑하는 과정 없이 압축시험기의 가압판이 닿는 공시체 상하면을 평평하게 성형하여 종래의 공시체 몰드로 제작이 어려웠던 고유동성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에 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건축물을 구축할 때, 특히 그 골격을 이루는 기둥은 건축물의 하중을 충분히 이겨낼 수 있는 압축강도를 지녀야 한다.
콘크리트 건축물의 안전도를 예측할 수 있도록 국가기술표준원에서는 한국산업표준인 KS F 2405에 적용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을 제시하고 있다. 이 시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KS F 2403의 규격에 맞는 원통형 공시체(공시체 지름 표준 100㎜, 125㎜, 150㎜)를 공시체 몰드를 이용하여 제작해야 한다.
종래에 사용되던 일반적인 공시체 몰드는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반원통체와 탈부착이 가능한 밑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반원통체가 원통형상이 되도록 결합되면 그 내부 지름이 상기 제시된 원통형 공시체 규격에 해당한다.
밑판과 한 쌍의 반원통체가 완전히 결합하면 상기 몰드의 일면은 개방되어 이를 통해 콘크리트 시료를 채워넣는 방법으로 원통형 공시체가 만들어진다.
그 후 상기 개방된 일면은 흙손으로 다듬는 처리과정을 거치거나 강제인 캐핑을 해당 면 위에 덮어 평평하도록 제작한다.
공시체의 정확한 압축강도 시험을 위해 KS F 2405에 명시된 바와 같이, 압축시험기의 가압판 평편도가 매우 중요하며 가압판과 바로 맞닿는 공시체 면의 표면 상태에 따라 측정 압축강도의 편차가 발생해 시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종래 흙손으로 공시체의 표면상태를 고르게 하는 방법은 기계가 아닌 사람 손으로 하는 방식인 만큼 그 정확도가 떨어진다.
캐핑 또한 강제 캡 안에 고무패드를 삽입하여 공시체 표면과의 사이에 공기가 남아 있지 않도록 공시체 상면의 요철을 메워야 한다. 이와 같은 추가 처리과정이 더 요구되어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자중경감이나 부재단면을 축소시켜 유효공간을 더 확보하기 위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향상된 초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유동성은 일반 콘크리트와 다르게 다짐이 필요 없거나 다짐을 거의 하지 않아도 철근 등이 배근된 거푸집 내에서 치밀하게 충전되도록 높은 유동성과 간극 투과성을 갖고, 또한 유동 중에 재료의 분리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필요한 균질성이 확보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의 기준에 맞춰지고 있다.
고유동성 콘크리트란 자기충전형 고유동 콘크리트라고도 하며 대단히 높은 유동성을 가진 콘크리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통상 슬럼프 플로우 600㎜ 내외를 기준으로 그 이상의 슬럼프 플로우를 갖는 콘크리트를 고유동 콘크리트라고 하는데, 이러한 기술을 접목시켜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있다.
상기 고유동성 콘크리트에는 내부에 인장강도와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불연속의 강섬유 등을 혼입시켜 보강한다.
상기 고유동성 콘크리트에 해당되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공시체를 종래 공시체 몰드를 이용하여 제작할 경우, 일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보다 5배 이상 높고 균열저항성 섬유가 다량으로 혼입되어 있어 상면을 평평하게 하기 위한 연마를 실행하기 어렵다. 또한, 캐핑의 강도가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보다 약하기 때문에 실험시 캐핑이 깨질 가능성이 높아 정확한 시험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유동성 강섬유보강 콘크리트 연마시 내부 강섬유가 파손되어 공시체 표면에 국부적으로 실균열이 발생됨에 따라 정확한 시험 결과를 도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강섬유보강 콘크리트 연마시 고강도의 섬유와 연마날이 직접 접촉하여 연마날 및 연마기 모터에 많은 부담을 주어 연마기의 내구성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축시험기의 가압판과 바로 맞닿는 공시체 표면을 연마나 캐핑의 과정 없이 평평하게 할 수 있어, 정확한 압축강도 시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공시체 성형이 가능한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일측이 개방된 반원통체 한 쌍이 개방된 측 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원통 형상을 이루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양단을 폐쇄하는 한 쌍의 마구리판; 으로 구성되되, 상기 측벽부의 상부 일측에는 콘크리트 주입을 위한 충전공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마구리판은 각각 측벽부 단부에 위치하되, 측벽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측벽부 외측에서 복수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부재는 한 쌍의 마구리판을 서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장볼트 및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일단은 일측 마구리판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타측 마구리판 측단에 형성된 삽입축에 삽입되어 너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마구리판 일측에는 마구리판 평탄부가 형성되어 공시체 몰드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상기 마구리판의 측벽부와 만나는 부위에는 측벽부 내측으로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되거나, 측벽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공의 상부에는 상부로 갈수록 벌어져 콘크리트의 충전을 안내하는 콘크리트 유입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상기 콘크리트 유입부의 하부에는 상기 충전공의 내측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유입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시체 몰드의 측벽부 양단에 한 쌍의 마구리판을 위치시켜 공시체의 상하면에 평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연마나 캐핑의 과정없이 가압판에 면하는 공시체의 표면이 고른 편평도를 유지하므로, 공시체 제작 과정이 보다 간단해지고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시체 몰드는 양단이 한 쌍의 마구리판으로 폐쇄되고 측면에 형성된 충전공을 통하여 재료를 주입하기 때문에, 다짐이 필요 없는 고유동성 콘크리트의 공시체 몰드로 적합하다.
그리고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공시체를 무연마로 제작하여 연마기가 필요하지 않고, 균열 없이 공시체 표면을 평평하게 제작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 공시체 몰드에 충전공 등을 구비하여 사용 가능함으로써 종래의 공시체 몰드를 이용하면서 금형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측벽부가 개방된 본 발명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사시도.
도 4는 평탄부가 구비된 본 발명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마구리판, 장볼트 및 너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본 발명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사시도.
도 7은 마구리판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본 발명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사시도.
도 8은 돌출부가 구비된 본 발명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삽입홈부가 구비된 본 발명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콘크리트 유입부가 결합된 본 발명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단면도.
도 11은 탈부착 가능한 콘크리트 유입부와 본 발명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이 개방된 반원통체 한 쌍이 개방된 측 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통형상을 이루는 측벽부(1); 및 상기 측벽부(1)의 양단을 폐쇄하는 한 쌍의 마구리판(2); 으로 구성되되, 상기 측벽부(1)의 상부 일측에는 콘크리트 주입을 위한 충전공(3)이 구비된다.
상기 측벽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일측 단부가 힌지결합으로 연결된 한 쌍의 반원통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결합된 일측 단부의 타측이 서로 대응되어 결합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원통형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1)는 금속 혹은 PVC 등의 재질로 성형되며, 종래 공시체 몰드의 한 쌍의 반원통체로도 대체 사용 가능하다
상기 마구리판(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판으로 상기 측벽부(1)와 동일한 재질로 성형된다. 상기 마구리판(2)의 지름은 결합시 상기 측벽부(1)의 양단이 폐쇄되도록 측벽부(1) 내측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마구리판(2)은 상기 측벽부(1)의 양단에 공시체 몰드 내부에 콘크리트 주입시 콘크리트가 새지 않도록 결합된다.
또한, 평평한 마구리판(2)과 맞닿아 제작된 공시체는 그 상하면의 표면이 골라 흙손을 이용한 연마나 캐핑 등의 제작과정이 생략되어 공시체 제작 소요시간을 줄이면서 정밀한 공시체를 형성한다.
상기 충전공(3)은 상기 측벽부(1)의 상부 일측이 일부 관통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공시체 몰드 내부로 콘크리트 시료를 주입하는 주입구로 사용된다.
종래 공시체 몰드는 골재가 들어간 콘크리트를 시료로 제작하기 때문에 다짐을 위해 상단이 개방된 형태였으나, 이건발명은 골재가 없거나 작아서 다짐이 필요없는 고유동성 콘크리트로 측벽부(1)의 양단을 상기 마구리판(2)으로 폐쇄하고 측면에 시료를 주입할 수 있도록 충전공(3)이 장공의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고유동성 콘크리트는 잔골재 또는 불연속의 짧은 강섬유를 혼입시켜 보강하는데, 그 크기가 미세하기 때문에 상기 충전공(3)으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1)를 종래 공시체 몰드의 한 쌍의 반원통체로 대체 사용한 경우, 일측 일부가 관통되도록 충전공(3)을 구비하여 추가적인 금형비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충전공(3)을 긴 타원형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형태에 대한 제한은 없다.
도 3은 측벽부가 개방된 본 발명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마구리판(2)은 각각 측벽부(1) 단부 내측에 삽입되어 측벽부(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구리판(2)의 지름은 공시체의 지름 즉, 상기 측벽부(1)의 내측 지름보다는 크나 측벽부(1)의 외측 지름보다는 작게 제작한다. 마구리판(2)은 측벽부(1)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다른 결합부재(21) 없이 상기 개방된 원통형상의 측벽부(1)를 폐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마구리판(2)이 이탈되지 않고 측벽부(1)와 결합되어 공시체의 상하면이 평평하게 제작되도록 한다.
도 4는 평탄부가 구비된 본 발명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1)의 충전공(3) 반대측에는 평탄부(11)가 형성되어 공시체 몰드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평탄부(11)는 상기 측벽부(1)에 형성된 상기 충전공(3)의 반대측 면에 공시체 몰드가 흔들림 없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평평한 면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지면에 다른 받침이나 도구 없이 공시체 몰드를 고정할 수 있어, 콘크리트 시료 주입시부터 공시체의 완성시까지 흔들림 없이 공시체 몰드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마구리판(2)과 상기 측벽부(1)의 내부는 원통형을 그대로 유지하여 규격에 맞는 공시체를 제작한다.
도 5는 마구리판, 장볼트 및 너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마구리판(2)은 각각 측벽부(1) 단부에 위치하되, 측벽부(1)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측벽부(1) 외측에서 복수의 결합부재(21)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마구리판(2)은 상기 측벽부(1)의 외부 지름보다 더 큰 크기의 지름을 갖는 원형의 판으로, 측벽부(1) 양단을 외측에서 결합하여 측벽부(1) 내부가 원통형이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마구리판(2)은 상기 결합부재(21)에 의해 서로 결합되되,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21)로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21)는 끈이나 볼트와 너트(N) 등으로 상기 측벽부(1) 양단 외측으로 돌출된 마구리판(2) 부분을 상호 연결하여 가압해 측벽부(1) 내부를 폐쇄하도록 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21)는 한 쌍의 마구리판(2)을 서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장볼트(V) 및 너트(N)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1)는 장볼트(V)와 너트(N)로 구성되되, 상기 장볼트는(V)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1)와 상기 마구리판(2)이 결합된 길이보다 그 길이가 더 긴 볼트로 구비된다.
각각의 마구리판(2)은 장볼트(V)의 지름에 대응되는 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장볼트(V)의 일단에 너트(N)가 결합되어 상기 마구리판(2)들을 가압하여 상기 측벽부(1)의 내부가 폐쇄되도록 한다.
상기 도 5는 육각 형상의 너트(N) 부재가 결합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너트(N)는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종류나 두께가 다양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제한은 없다.
도 6은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본 발명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21)의 일단은 일측 마구리판(2)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타측 마구리판(2) 측단에 형성된 삽입축(22)에 삽입되어 너트(N)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1)는 장볼트(V)와 너트(N)로 결합되는 원리이되, 장볼트(V)의 일단은 일측 마구리판(2)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공시체 몰드 제작시 타측 마구리판(2)에 형성된 삽입축(22)에 장볼트(V)의 타단을 삽입하고 타측 마구리판(2) 외측에서 너트(N)가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마구리판(2)을 가압, 고정한다.
도 7은 마구리판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본 발명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사시도이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마구리판(2) 일측에는 마구리판 평탄부(23)가 형성되어 공시체 몰드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마구리판 평탄부(23)는 상기 측벽부(1)에 형성된 상기 충전공(3)의 반대측 면과 평행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다시 말해 한 쌍의 마구리판(2)이 지면과 닿는 측면이 평평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공시체 몰드 내부에 콘크리트 주입시 공시체 몰드가 흔들림 없이 지면에 지지되어, 콘크리트가 충전공(3) 반대 면에서부터 고르게 주입된다.
도 8은 돌출부가 구비된 본 발명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삽입홈부가 구비된 본 발명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구리판(2)의 측벽부(1)와 만나는 부위에는 측벽부(1) 내측으로 끼워지는 돌출부(24)가 형성되거나, 측벽부(1)가 삽입되는 삽입홈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와 결합되도록 맞닿는 마구리판(2)의 일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원형판으로써, 상기 측벽부(1) 양단의 내주면에 끼워지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마구리판(2)이 측벽부(1)에서 이탈되거나 측벽부(1) 내부의 폐쇄된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으므로, 콘크리트를 안정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부(25)는 측벽부(1)와 결합되도록 맞닿는 마구리판(2)의 일면에 측벽부(1)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측벽부(1)가 상기 마구리판(2)의 삽입홈부(25)에 끼워져 삽입되므로, 삽입홈부(25)가 측벽부(1)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더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하면이 평평한 공시체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0은 콘크리트 유입부가 결합된 본 발명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공(3)의 상부에는 상부로 갈수록 벌어져 콘크리트의 충전을 안내하는 콘크리트 유입부(31)가 결합될 수 있다.
연마과정 없이 공시체를 원기둥 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충전공(3)의 폭을 최대한 좁혀야 한다. 이 경우 충전공(3)을 통한 콘크리트 주입 과정이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유입부(31)가 필요하다.
상기 콘크리트 유입부(31)는 두께가 2㎜ 이하의 도금된 철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유입부(31)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너비가 벌어지도록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하며, 그 하부는 상기 충전공(3)과 동일한 형상으로 충전공(3)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유입부(31)의 상부는 하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가로 및 세로의 폭이 각각 1.5 ∼ 2.5배의 범위로 넓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로 및 세로의 폭이 각각 1.5배 이하인 경우 그 폭이 좁아 결합의 의미가 없고, 2.5배 이상이면 상부의 폭이 하부보다 너무 넓어서 콘크리트 시료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콘크리트 유입부(31)가 충전공(3)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형태 및 크기의 콘크리트 유입부(31)가 충전공(3) 상부에 형성되면, 좁은 폭의 충전공(3)이라도 콘크리트 시료를 외부로 누출하지 않고 주입할 수 있다.
도 11은 탈부착 가능한 콘크리트 유입부와 본 발명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유입부(31)의 하부에는 상기 충전공(3)의 내측에 끼워지는 끼움부(3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유입부(31)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유입부(31)는 측벽부(1)와 일체로 결합할 수도 있으나, 상기 콘크리트 유입부(31)가 구비되지 않은 몰드를 사용하면서 금형비도 줄일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끼움부(311)가 상기 콘크리트 유입부(3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충전공(3)의 상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311)의 크기는 상기 충전공(3)의 가로 및 세로의 폭보다 각각 1 ∼ 2㎜ 정도 줄어든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줄어든 폭 길이가 1㎜ 이하이면 끼움부(311)가 충전공(3) 내측으로 들어가기 곤란하고, 2㎜ 이상이면 충전공(3)에 제대로 끼워 고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아래 표 1은 종래 몰드와 본 발명의 몰드를 이용하여 동일한 배합비로 혼합된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공시체를 제작한 다음, 이들의 압축강도를 비교 실험한 결과표이다.
압축강도 비교 실험을 위해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각각 종래 몰드와 상기 발명한 몰드에 투입한다. 이때 사용되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재료 및 배합은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제26권 제1호(2014년 2월)”에 실린 강성훈, 홍성걸의 『상온 양생한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의 경화전과 후의 성능관계』의 Table 3. Mix proportion of UHPC의 배합비를 따랐다.
표준 고온양생법을 적용하여 24시간은 상온에서 습윤양생한 뒤, 48시간은 고온에서 증기양생하여 지름 100㎜, 높이 200㎜의 공시체 몰드를 완성한다.
실험 방법은 KS F 2008 압축강도 시험법에 의하며, 각 몰드당 3개의 공시체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Figure 112014127739200-pat00001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몰드로 제작된 공시체들은 상하면의 표면처리에 따라 압축강도의 편차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공시체 몰드를 이용하여 제작된 공시체는 상하면의 표면처리가 따로 필요하지 않으므로 표면마감성의 변수가 적어 비교적 균일하고 정확한 압축강도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시체 몰드를 이용하여 제작된 공시체는 종래 몰드를 이용하여 제작된 공시체보다 압축강도의 평균이 더 높게 나와 압축강도 면에서도 유리하다.
1: 측벽부 11: 평탄부
2: 마구리판 21: 결합부재
22: 삽입축 23: 마구리판 평탄부
24: 돌출부 25: 삽입홈부
3: 충전공 31: 콘크리트 유입부
311: 끼움부
V: 장볼트 N: 너트

Claims (10)

  1. 일측이 개방된 반원통체 한 쌍이 개방된 측 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원통 형상을 이루는 측벽부(1); 및
    상기 측벽부(1)의 양단을 폐쇄하는 한 쌍의 마구리판(2); 으로 구성되되,
    상기 측벽부(1)의 상부 일측에는 콘크리트 주입을 위한 충전공(3)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마구리판(2)은 각각 측벽부(1) 단부에 위치하되, 측벽부(1)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측벽부(1) 외측에서 복수의 결합부재(21)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결합부재(21)는 한 쌍의 마구리판(2)을 서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장볼트(V) 및 너트(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
  6. 제1항에서,
    상기 결합부재(21)의 일단은 일측 마구리판(2)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타측 마구리판(2) 측단에 형성된 삽입축(22)에 삽입되어 너트(N)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
  7. 제1항에서,
    상기 한 쌍의 마구리판(2) 일측에는 마구리판 평탄부(23)가 형성되어 공시체 몰드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
  8. 제1항에서,
    상기 마구리판(2)의 측벽부(1)와 만나는 부위에는 측벽부(1) 내측으로 끼워지는 돌출부(24)가 형성되거나, 측벽부(1)가 삽입되는 삽입홈부(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
  9.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충전공(3)의 상부에는 상부로 갈수록 벌어져 콘크리트의 충전을 안내하는 콘크리트 유입부(3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
  10. 제9항에서,
    상기 콘크리트 유입부(31)의 하부에는 상기 충전공(3)의 내측에 끼워지는 끼움부(3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유입부(31)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
KR1020140193191A 2014-12-30 2014-12-30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 KR101621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191A KR101621240B1 (ko) 2014-12-30 2014-12-30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191A KR101621240B1 (ko) 2014-12-30 2014-12-30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240B1 true KR101621240B1 (ko) 2016-05-16

Family

ID=5610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191A KR101621240B1 (ko) 2014-12-30 2014-12-30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2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6343A (zh) * 2017-11-30 2018-04-27 沈阳工业大学 用于pva纤维束与水泥基材料粘结试验的可拆卸模具
CN108593390A (zh) * 2018-07-20 2018-09-28 南京工程学院 预制砂浆裂缝试件制作模具及其使用方法
CN111251449A (zh) * 2020-01-21 2020-06-09 储幸高 一种钢筋预制中的浇筑模具
KR20230011176A (ko) * 2021-07-13 2023-01-20 한국원자력연구원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1221A (ja) * 2002-07-26 2004-02-26 Japan Found Eng Co Ltd セメント製品強度試験用の供試体型枠及びセメント製品強度試験用の供試体の作製方法
JP2011106977A (ja) * 2009-11-18 2011-06-02 Kfc Ltd セメント体強度試験用供試体の型枠及びセメント体強度試験用供試体の作製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1221A (ja) * 2002-07-26 2004-02-26 Japan Found Eng Co Ltd セメント製品強度試験用の供試体型枠及びセメント製品強度試験用の供試体の作製方法
JP2011106977A (ja) * 2009-11-18 2011-06-02 Kfc Ltd セメント体強度試験用供試体の型枠及びセメント体強度試験用供試体の作製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6343A (zh) * 2017-11-30 2018-04-27 沈阳工业大学 用于pva纤维束与水泥基材料粘结试验的可拆卸模具
CN107966343B (zh) * 2017-11-30 2023-11-07 沈阳工业大学 用于pva纤维束与水泥基材料粘结试验的可拆卸模具
CN108593390A (zh) * 2018-07-20 2018-09-28 南京工程学院 预制砂浆裂缝试件制作模具及其使用方法
CN108593390B (zh) * 2018-07-20 2024-04-02 南京工程学院 预制砂浆裂缝试件制作模具及其使用方法
CN111251449A (zh) * 2020-01-21 2020-06-09 储幸高 一种钢筋预制中的浇筑模具
CN111251449B (zh) * 2020-01-21 2021-11-19 菏泽城建工程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钢筋预制中的浇筑模具
KR20230011176A (ko) * 2021-07-13 2023-01-20 한국원자력연구원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KR102553766B1 (ko) 2021-07-13 2023-07-10 한국원자력연구원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240B1 (ko) 고유동성 콘크리트 공시체 몰드
Gettu et al. Study of the distribution and orientation of fibers in SFRC specimens
Brüdern et al. Multifunctional use of SAP in strain-hardening cement-based composites
KR101668955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섬유 보강 복합재료 구조물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구조물
Liu et al. Analysis of the mechanical performance and damage mechanism for 3D printed concrete based on pore structure
CN107322763B (zh) 一种透水混凝土抗压强度试件成型装置及成型方法
Ding et al. Micromechanics theory guidelines and method exploration for surface treatment of PVA fibers used in high-ductility cementitious composites
CN105418010A (zh) 超高性能混凝土预制构件及其制备方法
CN206614632U (zh) 一种圆柱形钢筋混凝土试件浇筑模具
CN107825567B (zh) 胶结颗粒材料的制样装置、制备胶结颗粒材料试样的方法
Oni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pressure moulded fibre reinforced pervious concrete pavement brick
Nematzadeh et al. Compressing fresh concrete technique and the effect of excess water content on physical–mechanical properties of compressed concrete
KR101720467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섬유 보강 복합재료 구조물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구조물
CN110080550B (zh) 一种墙面结构
CN108414304A (zh) 一种制作用于剪切渗流耦合试验节理试样的模具及方法
CN207215542U (zh) 一种混凝土试模
KR101692017B1 (ko) 보통콘크리트에 기포 혼입 후 숏팅을 통한 섬유보강콘크리트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50631A (ko) 건물 외벽 장식용 경량 콘크리트 몰딩 및 그 제조방법
Al-Maliki Experimental behavior of hollow non-prismatic reinforced concrete beams retrofit with CFRP sheets
Baietti et al. Concrete columns confined with SRP: Effect of the size, cross-sectional shape and amount of confinement
US20170349487A1 (en) Fibers for Reinforcing Concrete
KR200184823Y1 (ko) 콘크리트 실린더 몰드
CN207564654U (zh) 一种透水混凝土抗压强度试件成型装置
Lepissier Tensile Behavior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Under Direct Tension
KR101504218B1 (ko) 유리섬유강화 폴리머 콘크리트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