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0747A -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 장비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 장비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0747A
KR20230010747A KR1020227044103A KR20227044103A KR20230010747A KR 20230010747 A KR20230010747 A KR 20230010747A KR 1020227044103 A KR1020227044103 A KR 1020227044103A KR 20227044103 A KR20227044103 A KR 20227044103A KR 20230010747 A KR20230010747 A KR 20230010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data
bluetooth data
timeslot
mast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린팅 셰
징파 류
Original Assignee
선전 블루트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블루트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블루트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1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79Formats for control data
    • H04L1/0082Formats for control data fields explicitly indicating existence of error in data being transmitted, e.g. so that downstream stations can avoid decoding erroneous packet;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이고, 장비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한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 무선 장비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그 중에, 무선 장비의 통신방법은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가 송신자로 하고 다른 하나가 수신자로 하며, 수신자가 상기 송신자의 블루투스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를 취득하는 것;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만이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미리 정한 하류 타임슬롯에서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성공자는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실패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 장비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본 출원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 무선 장비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이 발전하고 현대인의 삶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블루투스 무선 장비는 플레이어에서 이어폰 본체로 연결되는 링크 와이어에서 벗어나 널리 사랑받고 있다. 블루투스 무선 장비는 특히 운동이나 기타 활동을 할 때 착용하기에 적합하며 선체 감김으로 인한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어 편리한다.
기존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를 포함)과 단말기의 일종의 통신방식은 단말기가 마스터 장비와 제1 블루투스 링크를 확립하고 마스터 장비가 슬레이브 장비와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확립하고, 슬레이브 장비가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제1 블루투스 링크의 링크 정보를 얻고, 단말기가 제1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마스터 장비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슬레이브 장비가 제1 블루투스 링크의 링크 정보에 따라 제1 블루투스 링크를 감청하고, 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블루투스 링크 통신을 통해 이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재생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무선 장비의 통신방식에서는 마스터 장비 또는 슬레이브 장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데이터 수신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 데이터 재전송을 한다고 단말기에 통보해야 하며,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는 수신 및 감청이 필요하여 단말기 및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부담을 증가시킨다. 또한 단말기가 수신에 실패한 데이터를 재전송을 완료할 때까지 기다려야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 시간 길이가 길어지고 전송 효율이 떨어진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 무선 장비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양태에서, 마스터 장비가 단말기와 제1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통신을 확립하고, 슬레이브 장비와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통신을 확립하고, 상기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상기 슬레이브 장비에 상기 제1 블루투스 링크의 링크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슬레이브 장비가 상기 제1 블루투스 링크를 감청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마스터 장비로 송신하는 블루투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마스터 장비 및 슬레이브 장비가 구비되는 무선 장비의 통신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장비의 통신방법은
상기 마스터 장비와 상기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가 송신자로 하고, 다른 하나가 수신자로 하며, 상기 수신자는 상기 송신자의 블루투스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를 취득하는 것;
상기 마스터 장비와 상기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만이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미리 정한 하류 타임슬롯에서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성공자는 상기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실패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가능한 실시 방식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에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은
상기 마스터 장비와 상기 슬레이브 장비 중에 적어도 하나가 현재 타임슬롯에서 송신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상기 수신자는 상기 단말기를 새로운 블루투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제1 응답을 현재 타임슬롯에서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능한 실시 방식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에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은
상기 마스터 장비와 상기 슬레이브 장비 모두가 제2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수신자는 상기 단말기를 상기 제2 블루투스 데이터를 재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제2 응답을 현재 타임슬롯에서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능한 실시 방식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에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은
상기 마스터 장비와 상기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만이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수신자는 자신이 성공적으로 수신한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에 보완표지등록을 하고, 자신이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에 결실표지등록을 함으로써, 상기 수신자가 미리 정한 하류 타임슬롯에 상기 보완표지등록을 갖는 블루투스 데이터를 상기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송신자에 전달하며, 상기 송신자에게 결실표지등록을 갖는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상기 수신자로 송신한다고 청구하도록 하는 것;
또는 상기 마스터 장비와 상기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만이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무선 장비에서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실패자가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에 결실표지등록을 함으로써 상기 실패자가 미리 정한 하류 타임슬롯에 상기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성공자에 상기 결실표지등록을 갖는 블루투스 데이터를 상기 실패자로 전달한다고 청구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능한 실시 방식으로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무선 장비로 송신하는 블루투스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본 출원의 실시예 중에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은
상기 무선 장비가 상기 단말기에 송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지하는 것;
상기 무선 장비가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코딩할 때, 오디오 데이터가 결실된 경우가 존재하면, 디코딩 작업을 일시 중단하고, 결실된 오디오 데이터를 보완한 후에 보완 후의 디코딩 작업을 계속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능한 실시 방식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에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은
상기 무선 장비가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코딩할 때, 디코딩 작업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결실된 오디오 데이터의 순서 표지에 따라 상기 하류 타임슬롯과 현재 타임슬롯의 시간 간격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능한 실시 방식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에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은
상류 타임슬롯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결실된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의 수량 또는/및 그 총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하류 타임슬롯과 현재 타임슬롯의 시간 간격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능한 실시 방식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에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은
상류 타임슬롯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결실된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의 수량 또는/및 그 총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하류 타임슬롯의 시간 길이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능한 실시 방식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본 출원의 실시예 중에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은
하류 타임슬롯에서 마스터 장비 및 슬레이브 장비 각각에 결실된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의 수량에 따라 상기 무선 장비 중의 신분을 재결정하되,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가 결실된 수량이 적은 이어폰을 마스터 장비로 하며;
또는 하류 타임슬롯에서 마스터 장비 및 슬레이브 장비의 전력량에 따라 상기 무선 장비 중의 신분을 재결정하되, 전력량이 높은 장비를 마스터 장비로 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양태는 제1 양태 및 제1 양태 중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 방식 중의 단계를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구현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양태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제1 양태 및 제1 양태 중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 방식 중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출원에 제공되는 무선 장비의 통신방법은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 하나만이 하나의 블루투스 데이터(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에 결실된 제1 블루투스 데이터가 미리 정한 하류 타임슬롯에서 서로에 의해 보완되어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가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말기의 데이터를 재전송할 필요가 없어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소비전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도 1은 본 출원에 제공되는 무선 장비의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와 단말기의 통신 아키텍처의 모식도;
도 2는 본 출원에 제공되는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의 일 실시예의 모식도;
도 3은 실시예 1에서, 본 출원에 제공되는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을 실행할 때에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와 단말기의 타이밍도;
도 4a, 4b는 실시예 2에서, 본 출원에 제공되는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을 실행할 때에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와 단말기의 타이밍도;
도 5는 실시예 3에서, 본 출원에 제공되는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을 실행할 때에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와 단말기의 타이밍도;
도 6a는 실시예 4에서, 마스터 슬레이브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와 단말기의 타이밍도;
도 6b는 실시예 4에서, 마스터 슬레이브 전환이 이루어진 후의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와 단말기의 타이밍도이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에 기술적 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물론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는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해당 분야의 기술자가 창조적인 노동 없이 획득한 다른 모든 실시예들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항들이 및 상기 첨부된 도면 중의 용어 “제1”, “제2”, “제3”, “제4” 등(존재하면)은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며 특정 순서 또는 선후 차례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다. 이렇게 사용된 용어는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내용 이외의 순서로 구현될 수 있도록 적절한 상황에서 교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는 용어 “포함하다” 및 “구비하다” 및 이들의 모든 변형은 배타적이지 않은 포함을 포괄하도록 의도되며,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 또는 단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비는 명확하게 나열된 단계들 또는 단위들에 한정될 필요가 없으며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았거나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장비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 방안의 기초 통신방식을 나타내며, 마스터 장비는 제1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단말기와 통신을 확립하고,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슬레이브 장비와 통신을 확립하는 바, 마스터 장비는 제1 블루투스 링크 및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확립한 후에 제1 블루투스 링크의 관련 링크 정보를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슬레이브 장비로 송신하고, 슬레이브 장비가 제1 블루투스 링크의 관련 링크 정보에 따라 마스터 장비와 단말기의 통신을 감청하고 마스터 장비와 단말기의 통신 내용을 획득한다.
일반적으로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는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타이밍 동기화를 하고, 슬레이브 장비가 마스터 장비와 단말기의 약속된 통신 시간에 통신 내용을 감청할 수 있도록 하며,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는 모두 블루투스 데이터(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 후 동기적으로 디코딩하게 한다.
본 출원의 무선 장비가 블루투스 이어폰일 수 있고, 또는 블루투스 무전기, 블루투스 오디오 박스 등과 같은 기타 블루투스 장비일 수도 있다는 점에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구체적인 제한이 없다.
상술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본 출원은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바,
201,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가 송신자로 하고, 다른 하나가 수신자로 하며, 수신자는 송신자의 블루투스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를 취득하는 것;
구체적으로, 송신자는 단말기에 송신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 블루투스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성공 또는 실패)를 수신자에 송신한다. 송신자는 단말기에 매번 송신되는 블루투스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를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수신자에 직접 송신할 수 있으며, 송신자는 단말기에 송신되는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을 때만 이번 수신 성공을 지시하는 수신 결과를 송신하며, 단말기에 송신되는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을 때는 수신 결과를 송신하지 않아 이번 수신 불성공을 지시할 수 있다.
202,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만이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미리 정한 하류 타임슬롯에서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성공자는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실패자에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방안에서는 4가지 역할 포지셔닝, 즉 수신자, 송신자, 성공자 및 실패자 각각을 언급하며, 4가지 역할 포지셔닝은 마스터 장비 또는 슬레이브 장비 간의 통신(수신자, 송신자) 및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와 단말기 간의 통신 결과(성공자, 실패자)에 따라 결정되고 각각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를 특별히 지시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 간의 통신에서 상기 블루투스 데이터의 수신 결과에 대해, 슬레이브 장비는 자신의 수신 결과를 마스터 장비로 송신하여 마스터 장비에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 여부를 통보한다. 이때 슬레이브 장비는 송신자가 되고 마스터 장비는 수신자가 된다. 그 중에, 슬레이브 장비는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마스터 장비는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면, 슬레이브 장비는 성공자가 되고 마스터 장비는 실패자가 되며, 슬레이브 장비는 미리 정한 하류 타임슬롯에서 마스터 장비에 블루투스 데이터를 전달하여 마스터 장비에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보완한다. 이 예시 중의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역할도 서로 변환될 수 있으며, 마스터 장비가 송신자와 성공자, 슬레이브 장비가 수신자와 실패자로 되고, 또는 마스터 장비가 송신자와 실패자, 슬레이브 장비가 수신자와 성공자로 되고, 또는 마스터 장비가 수신자와 성공자, 슬레이브 장비가 송신자와 실패자로 되며, 이는 본 출원에 상술한 방안의 실시하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무선 장비의 통신방법은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만이 하나의 블루투스 데이터(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에 결실된 제1 블루투스 데이터가 미리 정한 하류 타임슬롯에서 서로 보완됨으로써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한 쪽이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기의 데이터를 재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줄인다.
본 출원의 타임슬롯은 단말기 타임슬롯을 시간분할의 근거로 하며, 하나의 단말기 타임슬롯(하나의 slot),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와 단말기의 통신 및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 간의 통신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 타임슬롯을 시간 주기로 하여, 데이터의 송신, 결과의 응답 등을 하나의 주기 또는 여러 주기 내에 완료한다.
상기 방법은 블루투스 데이터에 대한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수신 결과를 결정한 후, 수신하기 실패하는 경우 데이터 재전송 또는 수신하기 성공하는 경우 새로운 데이터 전송을 지시한다고 단말기에 반영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상기 방법은 수신자가 현재 타임슬롯에서 블루투스 데이터에 대한 자체 및 송신자의 수신 결과에 따라 단말기에 응답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타임슬롯에서, 현재 타임슬롯에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가 모두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수신자는 현재 타임슬롯에서 단말기에 응답하여 단말기를 블루투스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지시하며;
그리고,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타임슬롯에서, 현재 타임슬롯에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에 적어도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수신자는 현재 타임슬롯에서 단말기에 응답하여 단말기를 새로운 블루투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지시한다.
다른 타임슬롯에서의 블루투스 데이터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현재 타임슬롯에서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가 모두 단말기에 송신된 하나의 블루투스 데이터(제2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현재 타임슬롯에서 단말기에 응답하여 단말기를 다음 타임슬롯에서 해당 블루투스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지시하는 바, 단말기가 현재 타임슬롯과 다음 타임슬롯에서 송신한 블루투스 데이터는 동일하며;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 중에 적어도 하나가 단말기에 송신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현재 타임슬롯에서 단말기에 응답하여, 단말기를 다음 타임슬롯에 새로운 블루투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지시하는 바, 단말기가 현재 타임슬롯과 다음 타임슬롯에서 송신한 블루투스 데이터는 다르다.
수신자는 블루투스 데이터에 대한 송신자에 송신된 수신 결과를 수신한 후, 해당 블루투스 데이터에 대한 자신의 수신 결과를 결합하여 자신과 송신자의 종합 수신 결과를 알게 된며, 이 종합 수신 결과는 1, 자신이 실패자, 송신자가 실패자; 2, 자신이 성공자, 송신자가 성공자; 3, 자신이 성공자, 송신자가 실패자; 4, 자신이 실패자, 송신자가 성공자; 등 4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신자는 현재 타임슬롯에서 단말기에 응답할 때, 수신자와 송신자가 모두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즉 앞의 상황 1, NACK(제2응답)를 응답하여 단말기에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실패했음을 지시하고, 해당 블루투스 데이터를 재전송한다고 청구하며; 수신자와 송신자 중 적어도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즉 앞의 상황 2, 3, 4, ACK(제1응답)를 응답하여 단말기에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지시하고 새로운 블루투스 데이터를 송신한다고 청구한다.
이 중에, 슬레이브 장비가 수신자인 경우, 슬레이브 장비는 획득한 제1 블루투스 링크의 파라미터에 따라 제1 응답 또는 제2 응답을 단말기로 직접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를 바탕으로, 송신자는 해당 블루투스 데이터에 대한 자신의 수신 결과만을 알고 수신자의 응답을 알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방법에서 송신자는 수신자가 단말기로 송신하는 응답을 추가로 감청할 수 있다.
송신자는 수신자가 단말기로 송신하는 응답을 감청한 후 자신의 수신 결과를 결합하여 a, 자신이 실패자이고 응답이 NACK이면, 수신자가 실패자가 되며; b, 자신이 실패자이고 응답이 ACK이면, 수신자가 성공자가 되며; c, 자신이 성공자이고 응답이 ACK이면, 수신자가 성공자 또는 실패자 모두 가능하다고 추론할 수 있다.
위의 분석을 통해 수신자에서는 현재 타임슬롯에서의 블루투스 데이터에 대한 자신과 송신자의 수신 결과를 명확하게 알 수 있지만, 송신자에서는 성공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수신자에서 결실 여부를 확인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실패자는 블루투스 데이터에 결실표지등록을 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으로서,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는 상대방이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자신이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상대방에게 알려야 한다. 따라서 하류 타임슬롯에서 실패자는 등록된 결실표지에 따라 성공자에게 결실표지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전달한다고 지시한다.
수신자에서는 자신이 성공자로서, 상기 상황 2와 상황 3을 포함하고 결실표지 등록을 할 필요가 없으며; 자신이 실패자로서 상기 상황 1과 상황 4를 포함하되, 상기 상황 1에서는 수신자 자신이 실패자가 되고 송신자도 실패자가 되고, 이때 실패자는 결실표시등록을 할 필요가 없고, 이는 수신자가 단말기에 NACK를 응답하여 단말기에 블루투스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을 지시하고 결실표지등록을 하는지 여부는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후에 결정하기 때문이다. 상기 상황 4에서는 수신자 자신이 실패자가 되고, 송신자가 성공자가 되고, 이때 실패자, 즉 수신자가 결실표지 등록을 해야 하며, 하류 타임슬롯에서 성공자에게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알려주고, 전달하기를 지시한다.
송신자에서는 자신이 성공자로서, 상기 상황c를 포함하고, 결실표지 등록을 할 필요가 없으며; 자신이 실패자로서 상기 상황a와 상황b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a에서는 송신자 자신이 실패자가 되고, 수신자가 단말기에 NACK를 응답하여 수신자도 실패자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이때 실패자가 결실표지 등록을 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상황b에서는 송신자가 자신이 실패자가 되고, 수신자가 단말기에 ACK를 응답하여 수신자가 성공자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어, 이때 실패자는 결실표지 등록을 해야 하고 실패자가 미리 정한 하류 타임슬롯에서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성공자에게 결실표지 등록을 갖는 블루투스 데이터를 실패자로 전달하는 것을 청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실패자는 등록된 결실표지를 성공자에게 송신하는 타임슬롯은, 본 출원에서 하류 타임슬롯이 바람직하며, 실패자는 하류 타임슬롯에서 여러 개의 결실표지를 함께 성공자에게 송신할 수 있으며; 현재 타임슬롯이어도 되고, 수신자는 실패자를 결정하고 결실표지 등록이 필요한 경우 자신이 실패자일 경우 직접 결실표지 등록을 수행하고, 만약 송신자가 실패자일 경우 송신자에게 통보하여 현재 타임슬롯의 블루투스 데이터에 대해 결실표지 등록을 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하류 타임슬롯에서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는 서로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보완하기 위해 서로 등록된 결실표지를 상대방에게 송신한다.
또 다른 가능한 실시 방식으로서, 수신자는 누가 실패자가고 누가 성공자인지 명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송신자가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자체에 표지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하고 수신자가 성공자인 경우, 수신자는 블루투스 데이터에 보완표지 등록을 한다.
수신자에서는, 송신자가 성공자로서 앞의 상황 2와 상황 4를 포함하고, 송신자가 실패자로서 앞의 상황 1과 상황 3을 포함한다. 상술한 상황 1에서는 수신자 자신이 실패자가 되고 송신자도 실패자가 되며, 이때 결실표지 등록을 필요하지 않고 보완표지 등록도 필요하지 않으며, 왜냐하면 수신자가 단말기에 NACK를 응답하여 단말기를 블루투스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지시하며 결실표지 등록과 보완표지 등록을 하는지 여부는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후에 결정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상황 2에서는 수신자 자신이 성공자가 되며, 송신자도 성공자가 되므로 결실표지 등록과 보완표지 등록이 필요하지 않으며; 상술한 상황 3에서는 수신자 자신이 성공자가 되고, 송신자가 실패자가 되며, 이때 보완표지 등록이 필요하여, 성공자가 미리 정한 하류 슬롯에서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보완표지 등록을 갖는 블루투스 데이터를 실패자로 전달해야 하도록 한다. 상술한 상황 4에서는 수신자 자신이 실패자가 되고, 송신자가 성공자가 되고, 이때 결실표지 등록이 필요하여 하류 타임슬롯에서 성공자에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알려야 한다.
상기 방법은 전달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자에서 실패자로 전달한 후, 실패자는 전달된 블루투스 데이터에 대한 자신의 수신 결과에 따라 성공자에 응답한다. 실패자가 전달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실패하면 성공자에 전달된 오디오 주파수를 재전송하도록 지시하며, 실패자가 전달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성공하면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에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가 보완된다.
진일보로, 상기 방법에서, 상류 타임슬롯과 하류 타임슬롯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타임슬롯을 포함하고, 상류 타임슬롯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타임슬롯 중에,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의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하류 타임슬롯에서 성공자에서 실패자로 블루투스 데이터를 전달한다.
상류 타임슬롯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타임슬롯을 포함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하류 타임슬롯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타임슬롯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류 타임슬롯은 마스터 장비와 단말기의 통신, 슬레이브 장비의 감청에 사용되며, 하류 타임슬롯은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에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에 보완하기에 사용된다. 상기 방법은 상류 타임슬롯과 하류 타임슬롯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타임슬롯을 주기로 하며, 주기 내에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블루투스 데이터의 전달, 보완 및 서로 보충을 수행한다.
블루투스 장비에서, 데이터가 수신된 후 캐시 공간에 저장되고 디코딩을 한 후에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는데, 상기 방법은 블루투스 데이터가 결실된 경우,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의 프론트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백 데이터를 계속 디코딩하면 데이터 오류가 발생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류 타임슬롯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타임슬롯에서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가 각각의 타임슬롯에 수신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지하고, 나아가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가 순차적으로 표지된 블루투스 데이터에 따라 블루투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코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는 블루투스 데이터를 디코딩할 때, 블루투스 데이터가 결실된 경우 디코딩 작업을 중단하고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보완한 후 보완 후의 디코딩 작업을 계속한다.
위에서 언급한 통신 방법의 최적화로서 하류 타임슬롯의 위치는 조정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례로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타임슬롯에,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 어느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할 때, 제1 블루투스 데이터의 결실된 경우의 수 또는 그 총 데이터량에 따라 하류 타임슬롯의 위치를 동적으로 조정한다. 그 중에, 본 출원에서 하류 타임슬롯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은 하류 타임슬롯과 현재 타임슬롯 사이의 시간 간격을 조정하여 하류 타임슬롯의 데이터 보완 작업을 미리 또는 나중에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총 데이터량은 통계 주기 내에 결실된 모든 제1 블루투스 데이터가 차지하는 저장 공간의 크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한 수량, 즉 상기 수신자 및 송신자의 결실표지의 총 수량, 또는 수신자의 결실표지 및 보완 표지의 총 수량에 따라, 하류 타임슬롯의 위치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가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하류 타임슬롯에서 전달해야 하는 블루투스 데이터의 총 수량과 구체적인 전달 시점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총 수량이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하지 않았지만 전달 시점에 도달하면 하류 타임슬롯의 위치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전달 시점을 적절하게 지연시킬 수 있으며; 총 수량이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했지만 전달 시점에 도달하지 않으면 하류 타임슬롯의 위치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전달 시점을 적절하게 앞당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 중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할 때, 발생된 경우 중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블루투스 데이터의 크기, 즉 상기 실패자가 결실표지를 갖는 블루투스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하류 타임슬롯의 위치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가 작동하기 전에 하류 타임슬롯에서 필요한 전달 블루투스 데이터 크기와 특정 전달 시점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필요한 전달 블루투스 데이터 크기가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하지 않았지만 전달 시점에 도달한 경우 하류 타임슬롯의 위치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전달 시점을 적절하게 지연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전달 블루투스 데이터 크기가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했지만 전달 시점에 도달하지 않으면 하류 타임슬롯의 위치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전달 시점을 적절하게 앞당길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타임슬롯에서 마스터 장비 및 슬레이브 장비 중 어느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할 때,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의 순차적 표지에 따라 하류 타임슬롯의 위치를 동적으로 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는 각 타임슬롯에 수신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지하여 순차적으로 디코딩하고 재생을 제공하며,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하면,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의 순차적 표지가 더 앞서는 경우 하류 타임슬롯의 위치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전달 시점을 적절하게 앞당겨 후속 디코딩 및 재생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의 순차적 표지가 더 뒤인 경우 하류 타임슬롯의 위치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전달 시점을 적절하게 지연시킬 수 있다.
블루투스 장비에서 데이터가 수신되고 캐싱되고 재생되기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되며 상류 슬롯과 미리 정한 하류 슬롯의 중첩 시간은 이 시간보다 길지 않아야 한다는 것으로 유의해야 한다.
위에서 언급한 통신 방법의 최적화로서, 하류 타임슬롯에서 블루투스 데이터가 성공자에서 실패자로 전달되는 통신 시간 길이는 조정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례로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타임슬롯에서,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할 때, 수신자는 발생된 상황 중 자신이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수량에 따라 하류 타임슬롯의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통신 시간 길이(하류 타임슬롯의 시간 길이)를 동적으로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장비 및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의 발생한 수량, 즉 상기 수신자와 송신자의 결실표지의 총 수량, 또는 수신자의 결실표지 및 보완표지의 총 수량에 따라, 하류 타임슬롯의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통신 시간 길 이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가 작동하기 전에, 하류 타임슬롯에서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통신 시간 길이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통신 시간 길이는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일정 횟수(수)의 발생 경우에 대응하며, 이 통신 시간 길이가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통신 시간 길이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통신 시간 길이를 적절하게 연장할 수 있으며; 통신 시간 길이가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하지 않으면 통신 시간 길이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통신 시간을 적절하게 단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타임슬롯에서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할 때, 수신자는 발생된 상황 중에 자신이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수에 의거하여, 송신자 자신이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수와 결합하여 하류 타임슬롯의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통신 시간 길이를 동적으로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할 때, 수신자는 발생된 상황에서 자신이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블루투스 데이터의 크기와 송신자 자신이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모한 블루투스 데이터의 크기, 즉 상기 수신자의 결실표지를 갖는 블루투스 데이터의 크기와 상기 송신자의 결실표지를 갖는 블루투스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블루투스 데이터를 전달할 때의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통신 시간 길이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가 작동하기 전에 하류 타임슬롯에서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통신 시간 길이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통신 시간 길이는 일정한 크기의 전달 블루투스 데이터에 해당하며, 수신자와 송신자가 상대방에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서로 전달하는 통신 시간 길이가 미리 설정된 통신 시간 길이보다 길면, 통신 시간 길이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통신 시간 길이를 적절하게 연장할 수 있으며; 수신자와 송신자가 상대방에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서로 전달하는 통신 시간 길이가 미리 설정된 통신 시간 길이보다 작으면 통신 시간 길이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통신 시간 길이를 적절하게 단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할 때, 수신자는 발생된 상황에서 자신이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블루투스 데이터의 크기와 자신이 성공적으로 수신한 블루투스 데이터의 크기, 즉 상기 수신자의 결실표지와 보완표지를 갖는 블루투스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블루투스 데이터를 전달할 때의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통신 시간 길이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통신시간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수신자와 송신자가 서로 상대방에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시간이 미리 설정된 통신시간보다 길면 통신 시간 길이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통신 시간 길이를 적절하게 연장할 수 있으며; 수신자와 송신자가 서로 상대방에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시간이 미리 설정된 통신시간보다 작으면 통신 시간 길이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통신 시간 길이를 적절하게 단축할 수 있다.
이상 하류 타임슬롯의 위치 조정 및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가 하류 타임슬롯에 통신 시간 길이 조정에 관한 내용은 위치 및/또는 통신 시간 길이를 조정하기 전에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가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통신 협상해야 하며 서로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에 따라 특정 하류 타임슬롯 위치와 특정 통신 시간 길이를 약정해야 하며; 협상 시점이 미리 설정된 하류 타임슬롯의 이전 타임슬롯일 수도 있고 각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가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을 때의 현재 타임슬롯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유의해야 할 점은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가 하류 타임슬롯에서 서로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보완할 때, 단말기와의 통신이 중단되고, 단말기가 새로운 블루투스 데이터를 송신한 후 응답을 취득하지 않을 때 데이터를 재전송하고 재전송의 횟수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에서 최대 시도 횟수를 가지므로 하류 타임슬롯의 시간 길이는 단말기가 동일한 블루투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최대 시도 횟수의 시간 길이보다 짧아야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가 서로 블루투스 데이터의 보완을 완료한 후 단말기와 통신하고 새로운 블루투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시간을 보장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에서 수신자는 단말기와의 통신을 담임하는 동시에 송신자와의 통신도 담임하며, 송신자보다 전력소모가 높으며, 이는 마스터 장비로 또는 슬레이브 장비로 담당하거나, 마스터 장비 또는 슬레이브 장비가 교대로 담당할 수 있다.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가 교대로 담당할 때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전력소비의 균형을 맞출 수 있지만, 매번 교체될 때마다 권한 이양을 위해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 간의 통신교류가 필요하므로 번거롭고 복잡하며, 비록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전력소비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데, 여러 번의 교체통신으로 여전히 전력소모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보다 간단한 방법은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가 고정적으로 담당하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고정적으로 수신자의 역할을 담당하는 한 쪽이 전력 소비가 비교적 크고 전력 소비의 균형을 맞출 수 없다. 또한, 마스터 장비와 단말기의 통신에 있어서 마스터 장비와 단말기의 통신이 불량할 경우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데이터 수신 결과에 영향을 미쳐 상기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가 너무 많아 통신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하류 타임슬롯을 지난 후에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가 마스터 슬레이브 역할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하류 타임슬롯에서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가 각각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의 양에 따라 마스터 슬레이브 역할을 재결정할 수 있으며,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는 하나의 하류 타임슬롯에서 각각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통계하여(또는 수신자에서 결실표지 및 보완 표지의 각각의 수를 통계하여), 다른 측면으로부터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 각각이 단말기와의 통신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는데, 결실된 블루투스 데이터가 적을수록 단말기와의 통신이 안정적이고 통신 효율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전력량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마스터 슬레이브 역할을 재결정할 수도 있어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전력량을 균형 있게 조정한다.
이와 같이 마스터 슬레이브 역할 전환 후 새로운 블루투스 데이터의 수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확보하기 위해 하류 타임슬롯 시간 길이와 마스터 슬레이브 역할 전환에 필요한 시간의 중첩 시간 길이는 단말기가 동일한 블루투스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최대 시도 횟수의 시간 길이보다 짧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은 오디오 데이터를 블루투스 데이터로서 통신 전송을 하는 구체적인 적용 실시예를 제공하며, 아래에 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일 뿐이며, 해당 분야의 기술자가 상기 내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본 출원의 기본 실시예로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방법을 수행할 때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와 단말기의 타이밍도를 나타내며, 도면에서 slot 1~slot n-m-1은 상류 타임슬롯이고, slot n-m은 하류 타임슬롯이며,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오디오 데이터의 보완은 n-m개의 타임슬롯을 주기로 하며, 마스터 장비는 상류 타임슬롯에서 단말기와 통신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슬레이브 장비는 오디오 데이터를 감청하여 수신하며, 마스터 장비는 수신자가 되고, 슬레이브 장비는 송신자가 되며, 하류 타임슬롯에서 결실된 오디오 데이터의 보완을 수행한다.
도 3과 같이, 상류 타임슬롯의 slot 1에서는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데이터 data1가 마스터 장비에서 수신되기 실패(fail)하여, 슬레이브 장비가 동시에 감청하여 수신하기 실패하며, 마스터 장비가 슬레이브 장비의 수신 결과를 수신한 후 현재 타임슬롯 slot 1에 단말기에 NACK를 응답하여 다음 타임슬롯 slot 2에서 오디오 데이터 data1을 재전송하도록 지시한다. slot 2에서 단말기는 오디오 데이터 data1을 재전송하되, 이때 마스터 장비에서 수신하기 성공(success)하여 슬레이브 장비가 감청하여 수신하기 실패하며, 마스터 장비가 슬레이브 장비의 수신 결과를 수신한 후, 현재 타임슬롯 slot 2에 단말기에 ACK를 응답하여 다음 타임슬롯에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동시에 오디오 데이터 data1에 보완표지 등록을 하며, 상류 타임슬롯의 여러 개의 타임슬롯을 거친 후, 하류 타임슬롯 slot n-m에서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는 결실된 오디오 데이터를 보완하고 도 3에 도시된 슬레이브 장비에 결실된 오디오 데이터는 data1이며, 마스터 장비는 보완 표지에 따라 슬레이브 장비로 오디오 데이터 data1을 전달하고, 슬레이브 장비는 마스터 장비에 의해 전달된 오디오 데이터 data1을 수신한 후 마스터 장비에 그 수신 결과를 응답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의 더욱 최적화된 실시예로서, 하류 타임슬롯 위치를 동적으로 조정한다는 점에 실시예 1과 차이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류 타임슬롯에서 전달해야 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비교적 적은 경우 하류 타임슬롯의 위치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전달 시점을 적절하게 지연시킬 수 있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도면에 도시된 slot1 ~ slot n-1은 상류 타임슬롯, slot n은 하류 타임슬롯이며,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오디오 데이터의 보완은 n개의 타임슬롯을 주기로 한다. 상류 타임슬롯의 slot 1에서는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데이터 data1가 마스터 장비에서 수신되기 실패하고, 슬레이브 장비에서 수신되기 실패하며, 타임슬롯 slot 2에서 데이터 재전송을 하고, 마스터 장비에서 수신되기 성공하고 슬레이브 장비에서 수신되기 실패하며, 마스터 장비가 오디오 데이터 data1에 보완표지 등록을 한다.
어떤 경우에는 하류 타임슬롯의 위치를 동적으로 조정한 후, 도 4a와 같이, 상류 타임슬롯의 후속의 하나의 타임슬롯에서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데이터 data k가 마스터 장비에서 수신되기 성공하고, 슬레이브 장비에서 수신되기 실패하면, 마스터 장비는 오디오 데이터 data k에 보완표지 등록을 하고; 다음에 하류 타임슬롯 slot n에서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가 결실된 오디오 데이터를 보완하고, 도면에 도시된 슬레이브 장비에 결실된 오디오 데이터는 data1과 data k이며, 마스터 장비는 보완표지에 따라 슬레이브 장비로 오디오 데이터 data1+data k를 전달하고, 슬레이브 장비는 마스터 장비에 의해 전달된 오디오 데이터 data1를 수신한 후, 마스터 장비에 그 수신 결과를 응답한다.
또 다른 경우, 하류 타임슬롯의 위치를 동적으로 조정한 후, 도 4b와 같이, 상류 타임슬롯의 후속의 하나의 타임슬롯에서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데이터 data i가 마스터 장비에서 수신되기 실패하고, 슬레이브 장비에서 수신되기 성공한데, 마스터 장비가 오디오 데이터 data i에 결실 표지를 등록하고; 다음에 하류 타임슬롯 slot n에서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가 결실된 오디오 데이터를 보완하고, 도면에서 도시된 슬레이브 장비에 결실된 오디오 데이터는 data1이며, 마스터 장비에 결실된 오디오 데이터는 data i이며, 마스터 장비는 보완 표지에 따라 슬레이브 장비로 오디오 데이터 data1를 전달하고, 결실표지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 data i를 전달하도록 슬레이브 장비에 통보하며,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를 통해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결실된 오디오 데이터의 보완을 달성한다. 마찬가지로 전달 완료된 후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 각자는 전달 당사자에게 그 수신 결과를 응답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의 더욱 최적화된 실시예로서, 하류 타임슬롯에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통신 시간 길이를 동적 조정한다는 점에 실시예 1과 차이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류 타임슬롯에서 전달해야 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비교적 많은 경우, 하류 타임슬롯에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통신 시간 길이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통신 시간을 적절하게 연장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도면에 도시된 slot1~slot n-1은 상류 타임슬롯이며, slot n 및 slot n+1은 하류 타임슬롯이며,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오디오 데이터의 보완은 n+1개의 타임슬롯을 주기로 한다. 상류 타임슬롯의 slot 1에서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데이터 data1는 마스터 장비에서 수신되기 성공하고, 슬레이브 장비에서 수신되기 실패하며, 오디오 데이터 data2가 마스터 장비에서 수신되기 성공하고, 슬레이브 장비에서 수신되기 실패하며, 이에 의해 마스터 장비가 오디오 데이터 data1와 data2에 보완표지를 등록하고; 이와 유사하게 오디오 데이터 data k는 마스터 장비에서 수신되기 실패하고, 슬레이브 장비에서 수신되기 성공하며, 오디오 데이터 data i는 마스터 장비에서 수신되기 실패하고, 슬레이브 장비에서 수신되기 성공한데, 마스터 장비가 오디오 데이터 data k와 data i에 결실표지를 등록한다.
하류 타임슬롯에서는 전달해야 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비교적 많아 data1, data2, data k 및 data i를 포함하고, 이로 인해 하류 타임슬롯에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통신 시간 길이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연장시킨데, 이 통신 시간 길이는 두 개의 타임슬롯 slot n 및 slot n+1에 걸쳐 있다. 도 5를 계속 참조하면 하류 타임슬롯의 slot n에서, 마스터 장비는 보완표지에 따라 슬레이브 장비로 오디오 데이터 data1+data2를 전달하고 결실표지에 따라 하류 타임슬롯의 slot n+1에서 오디오 데이터 data k+data i를 전달하도록 슬레이브 장비에 통보하며, 시분할 다중화를 통해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에 결실된 오디오 데이터 서로의 보완을 달성한다. 마찬가지로 전달 완료된 후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 각자는 전달 당사자에게 그 수신 결과를 응답한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의 더욱 최적화된 실시예로서, 하류 타임슬롯 후에 마스터 슬레이브 전환을 한다는 점에 실시예 1과 차이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하류 타임슬롯을 지난 후에, 마스터 장비와 슬레이브 장비가 마스터 슬레이브 역할을 전환하도록 한다. 하나의 하류 타임슬롯에서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 각각에 결실된 오디오 데이터의 양에 따라 마스터 슬레이브 역할을 재결정한다는 것일 수 있고;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가 둘의 전력량의 비교 결과에 따라 마스터 슬레이브 역할을 재결정한다는 것일 수도 있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도 6a는 하류 타임슬롯 이후에 마스터 슬레이브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와 단말기의 타이밍도를 나타내고, 도 6b는 하류 타임슬롯 이후에 마스터 슬레이브 전환이 이루어진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와 단말기의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6a와 같이 마스터 슬레이브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마스터 장비는 수신자로서 단말기와의 통신을 담임하면서 슬레이브 장비와의 통신을 담임하며 부담이 비교적 크고 전력 소비가 비교적 높아서,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전력 소비가 불균형하다. 도 6b와 같이, 마스터 슬레이브 전환이 이루어진 후, 원래 마스터 장비는 새로운 슬레이브 장비로 전환되고 원래 슬레이브 장비는 새로운 마스터 장비로 전환되며, 수신자는 더 이상 원래 마스터 장비가 아닌 새로운 마스터 장비에 의해 대체되어, 이로써 마스터 장비, 슬레이브 장비의 전력 소비를 균형하게 한다.
상기 내용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출원은 또한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장비를 제공하되, 상기 메모리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무선 장비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을 구현한다. 장비의 관련 설명은 위에서 언급한 내용의 관련 설명 및 효과에 대응하여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내용 및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출원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비임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을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프로그램에 관련 설명은 위의 내용의 관련 설명 및 효과에 대응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번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방안에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그 기술적 방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매체에 저장되며, 하나의 컴퓨터 장비(개인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에 서술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여러 명령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저장매체는 U디스크, 외장 하드 디스크,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각종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에 대한 제한이 아니다. 비록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 분야의 일반 기술자는 여전히 상기 각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적 방안을 수정하거나 일부 기술적 특징을 동등하게 대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교체는 해당 기술적 방안의 본질을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1)

  1. 마스터 장비가 단말기와 제1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통신을 확립하고, 슬레이브 장비와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통신을 확립하고, 상기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상기 슬레이브 장비에 상기 제1 블루투스 링크의 링크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슬레이브 장비가 상기 제1 블루투스 링크를 감청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마스터 장비로 송신하는 블루투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마스터 장비 및 슬레이브 장비가 구비되는 무선 장비의 통신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장비의 통신방법은
    상기 마스터 장비와 상기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가 송신자로 하고, 다른 하나가 수신자로 하며, 상기 수신자는 상기 송신자의 블루투스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를 취득하는 것;
    상기 마스터 장비와 상기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만이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미리 정한 하류 타임슬롯에서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성공자는 상기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실패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비와 상기 슬레이브 장비 중에 적어도 하나가 현재 타임슬롯에서 송신된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상기 수신자는 상기 단말기를 새로운 블루투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제1 응답을 현재 타임슬롯에서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비와 상기 슬레이브 장비 모두가 제2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수신자는 상기 단말기를 상기 제2 블루투스 데이터를 재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제2 응답을 현재 타임슬롯에서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마스터 장비와 상기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만이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수신자는 자신이 성공적으로 수신한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에 보완표지등록을 하고, 자신이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에 결실표지등록을 함으로써, 상기 수신자가 미리 정한 하류 타임슬롯에 상기 보완표지등록을 갖는 블루투스 데이터를 상기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송신자에 전달하며, 상기 송신자에게 결실표지등록을 갖는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상기 수신자로 송신한다고 청구하도록 하는 것;
    또는 상기 마스터 장비와 상기 슬레이브 장비 중에 하나만이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무선 장비에서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실패자가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에 결실표지등록을 함으로써 상기 실패자가 미리 정한 하류 타임슬롯에 상기 제2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성공자에게 상기 결실표지등록을 갖는 블루투스 데이터를 상기 실패자로 전달한다고 청구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무선 장비로 송신하는 블루투스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장비가 상기 단말기에 송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지하는 것;
    상기 무선 장비가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코딩할 때, 오디오 데이터가 결실된 경우가 존재하면, 디코딩 작업을 일시 중단하고, 결실된 오디오 데이터를 보완한 후에 보완 후의 디코딩 작업을 계속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비가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코딩할 때, 디코딩 작업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결실된 오디오 데이터의 순서 표지에 따라 상기 하류 타임슬롯과 현재 타임슬롯의 시간 간격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류 타임슬롯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결실된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의 수량 또는/및 그 총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하류 타임슬롯과 현재 타임슬롯의 시간 간격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류 타임슬롯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결실된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의 수량 또는/및 그 총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하류 타임슬롯의 시간 길이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하류 타임슬롯에서 마스터 장비 및 슬레이브 장비 각각에 결실된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의 수량에 따라 상기 무선 장비 중의 신분을 재결정하되, 상기 제1 블루투스 데이터가 결실된 수량이 적은 이어폰을 마스터 장비로 하며;
    또는 하류 타임슬롯에서 마스터 장비 및 슬레이브 장비의 전력량에 따라 상기 무선 장비 중의 신분을 재결정하되, 전력량이 높은 장비를 마스터 장비로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비.
  11.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1020227044103A 2020-08-26 2020-08-26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 장비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202300107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11334 WO2022040974A1 (zh) 2020-08-26 2020-08-26 无线设备的通信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747A true KR20230010747A (ko) 2023-01-19

Family

ID=7403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103A KR20230010747A (ko) 2020-08-26 2020-08-26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 장비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03744A1 (ko)
JP (1) JP7426022B2 (ko)
KR (1) KR20230010747A (ko)
CN (1) CN112205014B (ko)
DE (1) DE112020007547T5 (ko)
WO (1) WO2022040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7820B (zh) * 2021-01-22 2022-06-11 達發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對等端的封包重傳方法及電腦程式產品及裝置
CN113207114B (zh) * 2021-05-06 2022-10-18 南京西觉硕信息科技有限公司 蓝牙音频主设备、从设备、蓝牙通信方法及系统
CN114079896A (zh) * 2021-07-22 2022-02-22 珠海市杰理科技股份有限公司 双发模式下丢包数据纠错方法、装置、设备及系统
CN114499776A (zh) * 2022-01-11 2022-05-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52172A1 (en) * 2011-07-29 2013-01-30 ST-Ericsson SA Control of the transmission of a voice signal over a bluetooth® radio link
CN105898672B (zh) * 2014-05-09 2019-08-09 苹果公司 扩展蓝牙通信模式
US10602397B2 (en) 2016-09-21 2020-03-24 Apple Inc. Real-time relay of wireless communications
CN107018484B (zh) * 2017-06-01 2019-11-12 建荣半导体(深圳)有限公司 蓝牙通信方法、其装置、蓝牙系统及蓝牙设备
US20190104424A1 (en) * 2017-09-29 2019-04-04 Apple Inc. Ultra-low latency audio over bluetooth
US10341758B1 (en) * 2018-11-29 2019-07-02 Bestechnic (Shanghai) Co., Ltd. Wireless audio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audio information using the same
US10887051B2 (en) * 2019-01-03 2021-01-05 Qualcomm Incorporated Real time MIC recovery
KR20200110086A (ko) * 2019-03-15 2020-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링크의 설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0267305B (zh) * 2019-06-13 2022-12-20 重庆物奇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数据重传方法
US10999727B2 (en) * 2019-10-03 2021-05-04 Realtek Semiconductor Corp. Main bluetooth circuit and auxiliary bluetooth circuit of multi-member bluetooth device capable of adaptively switching operation mode in response to data type change of received packets
CN110753284A (zh) * 2019-10-24 2020-02-04 珠海慧联科技有限公司 无线耳机通信方法、系统及无线耳机
CN111436042B (zh) * 2019-10-31 2022-09-23 珠海市杰理科技股份有限公司 蓝牙耳机及其动态主从切换方法及装置和系统
CN111436044B (zh) * 2019-11-06 2023-06-23 珠海市杰理科技股份有限公司 双无线蓝牙通信网络丢包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11435844B (zh) * 2019-11-06 2021-11-23 珠海市杰理科技股份有限公司 双无线蓝牙通信音频数据更正方法、装置、设备及系统
CN110913375B (zh) 2019-11-27 2023-07-04 南京中感微电子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系统及设备
CN111447603A (zh) * 2020-06-18 2020-07-24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1375574B2 (en) * 2020-08-11 2022-06-28 Qualcomm Incorporated Latency re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40974A1 (zh) 2022-03-03
CN112205014A (zh) 2021-01-08
JP7426022B2 (ja) 2024-02-01
DE112020007547T5 (de) 2023-06-15
CN112205014B (zh) 2022-02-11
US20220303744A1 (en) 2022-09-22
JP2023534150A (ja) 202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10747A (ko) 무선 장비의 통신 방법, 장비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CN111435844B (zh) 双无线蓝牙通信音频数据更正方法、装置、设备及系统
CN111436044B (zh) 双无线蓝牙通信网络丢包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1094446B (zh) 移动通信系统和在发生切换时发送数据的方法
JP4574927B2 (ja) 可変容量無線データチャンネルのための無線リンクプロトコルフレーム整列機構
CN112771941B (zh) 数据同步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WO2020107691A1 (zh) 蓝牙连接方法及装置
KR20010074883A (ko) 적은 대기 시간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005021A (ja) 再送制御方法及び装置
TWI358922B (en) Method and apparatus of default timer configuratio
CN111770428B (zh) 一种无线设备的监听方法
RU2015115897A (ru) Кодирование подтверждений приема гибридног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запроса на повторение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с несколькими антеннами
WO2017113339A1 (zh) 下行反馈信息的传输方法、基站以及终端设备
CN112187414B (zh) 指示数据传输情况的方法和装置
CN110719614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和系统
US20170288742A1 (en) Wireless data transmission method, network side device, user equipment, and system
US20230179902A1 (en) Communication method applied to binaural wireless headset, and apparatus
WO2014056198A1 (zh) Harq反馈的传输方法和装置
WO2018082554A1 (zh) 动态harq-ack反馈方法及装置
CN110545151B (zh) 音频端之间状态同步、发送音频数据包的方法及音频设备
CN113068167B (zh) 一种高可靠性蓝牙数据传输系统及方法
CN105101327B (zh) 切换方法和切换装置
CN111601344A (zh) 无线通信方法和装置
CN110933617B (zh) Wifi音频数据发送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298682B2 (ja) 基地局、端末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