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959A - 연결 유닛, 연결 장치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연결 유닛, 연결 장치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9959A KR20230009959A KR1020227043380A KR20227043380A KR20230009959A KR 20230009959 A KR20230009959 A KR 20230009959A KR 1020227043380 A KR1020227043380 A KR 1020227043380A KR 20227043380 A KR20227043380 A KR 20227043380A KR 20230009959 A KR20230009959 A KR 202300099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contact element
- finger guard
- connection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2—Knife-and-clip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the spring member surrounding the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2—Knife-and-clip contacts
- H01H2001/425—Knife-and-clip contacts with separate contact pressure spring confined between two contact knifes and urging the knifes onto a mating contac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2—Their counterpar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2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100)으로서, 하우징(110), 제1 접촉 요소(114), 제1 접촉 요소(114)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2 접촉 요소(115), 및 제1 접촉 요소(114)와 제2 접촉 요소(115)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200)를 클램핑 고정하기 위해 제1 접촉 요소(114)와 제2 접촉 요소(115)의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용 공간(116, 117)의 영역에서 제1 접촉 요소(114)와 제2 접촉 요소(115)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 가드 요소(132)를 포함하며, 제1 접촉 요소(114), 제2 접촉 요소(115), 및 핑거 가드 요소(132)가 하우징(110) 내에 플로팅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인, 연결 유닛(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 장치 및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예로서, EP 2 846 411 B1에는 연결 요소, 예를 들어, 버스바(busbar), 버스 도전체(bus conductor), 또는 평면형 접점(flat contact)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연결 유닛은 한 쌍의 도전성 구성요소 및 한 쌍의 도전성 구성요소의 사이에 끼워지며 한 쌍의 도전성 구성요소를 서로를 향해 편향시키는 편향부를 구비한다. 연결 유닛은 한 쌍의 도전성 구성요소의 사이에 결합 대상물을 유지함으로써 한 쌍의 도전성 구성요소의 사이에 삽입된 결합 대상물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쌍의 각각의 도전성 구성요소는 기부 부분 및 기부 부분 상에 형성되며 편향부에 결합되는 부착 부분을 가지며, 도전성 구성요소 중 하나의 기부 부분과 다른 하나의 도전성 구성요소의 기부 부분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도전성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부분을 구비하며, 이 지지 부분이 기부 부분과 일체형이며 다른 하나의 도전성 구성요소와 접촉하여 지지하기 위해 기부 부분측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도전성 구성요소를 향해 연장된다. 또한, 상기 쌍의 각각의 도전성 구성요소는 상기 결합 대상물과 접촉하기 위한 제1 접촉 부분 및 다른 접촉 대상물과 접촉하기 위한 제2 접촉 부분을 구비하며, 제2 접촉 부분은 접촉 부분들 사이에 부착 부분이 개재되는 상태로 제1 접촉 부분의 반대측에 형성된다. 한 쌍의 도전성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의 도전성 구성요소의 측면에 대면하는 위치에, 결합 대상물 상에 형성된 결합 대상물측 맞물림 부분과 맞물리기 위한 비탄성의 접촉측 맞물림 부분을 일체형으로 구비하며, 접촉측 맞물림 부분은 부착 부분에 대해 제1 접촉 부분측에 형성된다. 한 쌍의 도전성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기울기 제어 부분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 기울기 제어 부분은 다른 하나의 도전성 구성요소에 대면하는 위치에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결합 대상물과 접점 사이의 상대 기울기를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기울기 제어 부분은 지지 부분과 접촉측 맞물림 부분의 사이에서 부착 부분에 대해 제1 접촉 부분측 상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연결 유닛은 전체 폭이 커서, 설치 공간이 많이 필요하다. 또한, 구성요소의 수가 많고 굴곡부의 수가 많아 제조가 복잡하고 비용 집약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높은 안전 수준을 제공하는 동시에 구성이 단순하다는 점에서 구별되는 연결 유닛, 연결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항은 본 발명의 편리한 실시예 및 유리한 발전을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유닛은 하우징, 제1 접촉 요소, 및 상기 제1 접촉 요소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2 접촉 요소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수용 공간이 상기 제1 접촉 요소와 상기 제2 접촉 요소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클램핑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제1 접촉 요소와 상기 제2 접촉 요소의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연결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공간의 영역에서 상기 제1 접촉 요소와 상기 제2 접촉 요소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 가드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접촉 요소, 상기 제2 접촉 요소, 및 상기 핑거 가드 요소가 플로팅(floating)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지지된다.
연결 유닛은 2개의 접촉 요소를 구비하며, 접촉 요소는 전기 접촉 방식으로 접촉 요소 사이에 1개 또는 2개의 연결 요소를 클램핑 고정하기 위해 서로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2개의 접촉 요소의 제1 단부 영역 상에 제1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2개의 접촉 요소의 제2 단부 영역 상에 제2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단부 영역은 제1 단부 영역의 반대측에 있다. 각각의 수용 공간의 영역에서,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연결될 연결 요소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개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삽입 개구가 하우징에 슬롯 방식으로 형성된다. 연결 요소가 사용자에게 안전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연결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핑거 가드 요소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핑거 가드 요소가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비도전성 절연 재료로 형성된다. 핑거 가드 요소는, 연결 요소가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거나 수용 공간 내로 밀어질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 요소 중 하나와 접촉할 수 없는 방식으로, 수용 공간 중 하나에서 2개의 접촉 요소를 덮도록 위치한다. 연결 유닛은, 특히, 2개의 접촉 요소와 또한 핑거 가드 요소가 플로팅 방식으로 하우징 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로팅 방식의 지지로 인해, 접촉 요소와 핑거 가드 요소가, 특히 하우징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접촉 요소가 서로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핑거 가드 요소도 2개의 접촉 요소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촉 요소의 위치 및 핑거 가드 요소의 위치가 삽입된 연결 요소에 따라, 특히 삽입된 연결 요소의 치수 및 연결 요소가 수용 공간 내로 밀어지는 각도에 따라 최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접촉 요소와 핑거 가드 요소는 플로팅 방식으로 지지되므로 하우징 내부에 고정 회전 축선을 갖지 않는다. 플로팅 방식의 지지로 인해, 하우징에 배치된 접촉 요소와 핑거 가드 요소가 하우징에 간극을 가지며, 그 결과, 핑거 가드 요소와 접촉 요소가 또한, 특히 순수하게 병진 운동할 수 있다. 특히, 접촉 요소는 또한, 고정 회전 중심 없이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유닛은 사용자에 대한 높은 수준의 안전성과 간단한 연결 유닛 구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연결될 연결 요소에 상당히 적응 가능하다.
접촉 요소와 핑거 가드 요소가 간단한 방식으로 하우징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하우징이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이 디스크 형상을 가지며, 이것은 연결 유닛의 전체 폭을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연결 유닛에 필요한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핑거 가드 요소가 2개의 접촉 요소에 직접 부착되며; 이러한 부착은 상기 제1 접촉 요소 상에 및 상기 제2 접촉 요소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핑거 가드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핑거 가드 요소가 접촉 요소에 대해 동시에 상대 이동할 수 있는 동안 핑거 가드 요소가 접촉 요소 상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상기 핑거 가드 요소는 제1 레그 및 상기 제1 레그와 평행하게 형성된 제2 레그를 갖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레그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제1 접촉 요소를 덮을 수 있으며, 상기 제2 레그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제2 접촉 요소를 덮을 수 있다. 2개의 레그에 의해, 핑거 가드 요소가 제1 접촉 요소와 제2 접촉 요소 모두에 대한 핑거 보호구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레그가 각각, 접촉 요소의 길이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레그가 연결 요소의 삽입 방향과 평행하게 수용 공간 내로 연장된다. 핑거 가드 요소의 2개의 레그가 삽입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결합 부분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삽입 방향에서는, 결합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연결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후방에서 연장된다.
특히 2개의 접촉 요소 상의 핑거 가드 요소의 조립을 단순화하기 위해, 상기 핑거 가드 요소가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립 동안, 핑거 가드 요소가 밀봉되기 전에 2개의 접촉 요소가 핑거 가드 요소에 배치될 수 있다. 핑거 가드 요소의 2개의 부품이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접촉 요소가 핑거 가드 요소에 배치될 때 핑거 가드 요소의 2개의 부품이 플러깅 및/또는 래칭(latching) 연결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핑거 가드 요소가 원반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핑거 가드 요소가 비교적 작은 두께를 갖는다.
서로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는 동시에 지지될 2개의 접촉 요소에 대해, 상기 제1 접촉 요소와 상기 제2 접촉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스프링 요소가 구부러진 와이어 스프링 또는 나선형 스프링일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2개의 접촉 요소에 형성된 개구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스프링 요소가 제공되어, 이에 의해 2개의 접촉 요소가 함께 결합된다. 2개의 스프링 요소가 제공되면, 이들 스프링 요소가 2개의 접촉 요소 상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런 다음 제1 스프링 요소가 2개의 접촉 요소의 제1 단부 영역에 부착될 수 있고, 제2 스프링 요소가 2개의 접촉 요소의 제2 단부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스프링 요소가 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 상에 핑거 가드 요소의 지탱부에 인접하게 직접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접촉 요소와 상기 제2 접촉 요소가 각각, 제1 지탱 지점 및 상기 제1 지탱 지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2 지탱 지점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접촉 요소와 상기 제2 접촉 요소가 상기 제1 지탱 지점에 의해 상기 핑거 가드 요소 상에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제1 접촉 요소와 상기 제2 접촉 요소가 상기 제2 지탱 지점에 의해 상기 하우징 상에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접촉 요소가 핑거 가드 요소와 하우징 모두 상에 지지될 수 있고; 2개의 접촉 요소가 제1 단부 영역에서 핑거 가드 요소 상에 지지되며 따라서 핑거 가드 요소에 부착될 수 있고, 제2 단부 영역에서 하우징 상에 지지되며/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핑거 가드 요소 상의 접촉 요소의 지탱부의 영역에서는, 접촉 요소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에 직접 결합되지 않는다.
상기 2개의 접촉 요소의 상기 제1 지탱 지점 및 상기 제2 지탱 지점 모두가 각각, 슬롯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핀이 하우징 상에 형성될 수 있어, 하우징 상에 접촉 요소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제2 지탱 지점에 있는 관련 슬롯을 통해 돌출된다. 예컨대, 핀이 또한 핑거 가드 요소 상에 형성될 수 있어, 핑거 가드 요소 상에 2개의 접촉 요소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제1 지탱 지점에서 관련 슬롯을 통해 돌출된다. 슬롯으로 인해, 접점 요소가 하우징 또는 핑거 가드 요소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는 규정된 운동 범위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핑거 가드 요소가 슬롯형 가이드에 의해 플로팅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지지될 수 있다. 하우징의 벽이 핑거 가드 요소의 운동 범위를 획정하며 제한하므로, 슬롯형 가이드가 하우징에 의해 또는 하우징의 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슬롯형 가이드는 핑거 가드 요소가 획정된 경계 내부에서 복수의 축선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슬롯형 가이드는 핑거 가드 요소가 삽입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접촉 요소는 구부러진 부품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며, 오히려 상기 제1 접촉 요소와 상기 제2 접촉 요소가 각각, 단지 일 평면 내에서 연장되는 장방형 금속 시트의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접촉 요소가 매우 콤팩트하고 평평한 디자인을 가지며, 그 결과 연결 유닛의 설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접촉 요소가 상당한 노력 없이 그리고 복잡한 후속 굽힘 가공 공정을 제공할 필요 없이 간단한 펀칭으로 생산될 수 있다. 2개의 접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크기와 형태가 동일하다. 2개의 접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유닛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서로 거울 대칭형이다.
접촉 요소와 연결될 연결 요소 사이에 양호한 규정된 접촉을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접촉 요소와 상기 제2 접촉 요소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수용 공간의 영역에 접촉 영역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접촉 영역은 적어도 일부 부분에서 둥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된 연결 요소가 제1 접촉 요소의 접촉 영역과 제2 접촉 요소의 접촉 영역의 사이에 클램핑 고정되도록 접촉 요소가 접촉 영역에 의해 연결 요소와 직접 인접한다. 접촉 영역이 둥글게 형성됨으로 인해, 연결 요소가 둥근 부분을 따라 수용 공간 내부의 원하는 위치로 안내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접촉 요소 사이의 수용 공간 내로 연결 요소를 삽입하는 것이 또한 더 간단해질 수 있다. 수용 공간이 삽입 방향으로 점차 가늘어지게 형성될 수 있도록 2개의 접촉 요소의 접촉 영역이 서로에 대해 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위에서 설명되고, 형성 및 개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연결 유닛을 구비한 연결 장치에 의해 추가로 달성된다.
연결 유닛이 특히 매우 좁은 디자인을 갖기 때문에, 복수의 연결 유닛이 서로 나란히 콤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필요한 설치 공간을 추가로 줄이기 위해, 하나의 연결 유닛의 내부가 이 연결 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된 연결 유닛의 하우징에 의해 덮어지고 밀봉될 수 있도록 일렬로 배치된 연결 유닛이 서로를 덮을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이 하우징을 밀봉하기 위한 하우징 커버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연결 유닛 열의 마지막 연결 유닛의 하우징만이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될 것이다.
연결 장치가 유지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고, 여기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연결 유닛이 유지 프레임 내에 유지될 수 있다. 유지 프레임은 묶음으로 배치된 연결 유닛이 돌출될 수 있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유지 프레임이 일렬로 배치된 연결 유닛을 에워싸거나 둘러쌀 수 있다. 일 예로서, 연결 유닛이 유지 프레임을 통해 벽 개구를 통과하여 안내되며 벽 개구 내에 유지될 수 있도록 유지 프레임이 벽의 벽 개구에 조립될 수 있다. 벽이, 예컨대 전자 장치의 벽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위에서 설명되고, 형성 및 개발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유닛 및/또는 위에서 설명되고, 형성 및 개발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2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도 1에 도시된 연결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부분적으로 조립된, 도 1에 도시된 연결 장치의 추가의 개략도이고,
도 4는 핑거 가드 요소가 아래로 이동된 상태의 도 3에 도시된 연결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5는 핑거 가드 요소가 위로 이동된 상태의 도 3에 도시된 연결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6은 연결 요소가 삽입된 상태의 도 4에 도시된 연결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7은 연결 요소가 삽입된 상태의 도 5에 도시된 연결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8은 벽 개구에 조립된, 도 1에 도시된 연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2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도 1에 도시된 연결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부분적으로 조립된, 도 1에 도시된 연결 장치의 추가의 개략도이고,
도 4는 핑거 가드 요소가 아래로 이동된 상태의 도 3에 도시된 연결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5는 핑거 가드 요소가 위로 이동된 상태의 도 3에 도시된 연결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6은 연결 요소가 삽입된 상태의 도 4에 도시된 연결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7은 연결 요소가 삽입된 상태의 도 5에 도시된 연결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8은 벽 개구에 조립된, 도 1에 도시된 연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은 연결 장치(300)의 분해도이다. 연결 장치(300)는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연결 유닛(100)을 구비하며(여기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2개의 연결 요소(200)가 연결 유닛(100) 상에 수용될 수 있고), 연결 유닛은 2개의 연결 요소(200)가 연결 유닛(100)의 양측 상에 수용되어 클램핑 고정 방식으로 접촉됨으로써 전기 접촉 방식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 요소(200)는 버스바의 형태이다.
각각의 연결 유닛(100)이, 바람직하게는 절연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110)을 구비한다. 각각의 하우징(110)은 양측 상에 형성된 2개의 삽입 개구(111)를 가지며, 삽입 개구를 통해 연결 요소(200)가 삽입될 수 있다.
조립 동안 연결 유닛(100)의 다른 부분들이 하우징(110)의 내부(112)에 배치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이 일측 상에서 개방되어 있다. 하나의 연결 유닛(100)의 하우징(110)이 하우징에 인접하게 배치된 연결 유닛(100)의 하우징(110)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해당 열의 마지막 연결 유닛(100)의 하우징(110)은 하우징 커버(113)에 의해 밀봉된다.
2개의 접촉 요소(114, 115)가 연결 유닛(100)의 하우징(110)의 내부(112)에 배치된다. 접촉 요소(114, 115)는 크기와 형태가 동일하다. 접촉 요소(114, 115)는 각각, 단지 일 평면 내에서 연장되는 장방형 금속 시트의 형태이다. 접촉 요소(114, 115)는 도 3에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은 적어도 시작 상태에서 연결 요소(200)의 삽입 방향(E)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결 유닛(100) 내로 연장되도록 하우징(110)에 위치된다.
이 경우, 각각 연결 요소(200)가 삽입될 수 있는 2개의 수용 공간(116, 117)이 2개의 접촉 요소(114, 115)의 사이에 형성된다. 2개의 접촉 요소(114, 115)의 제1 단부 영역(118, 119) 상에 제1 수용 공간(116)이 형성되며, 2개의 접촉 요소(114, 115)의, 제1 단부 영역(118, 119)의 반대측에 있는 제2 단부 영역(120, 121) 상에 제2 수용 공간(117)이 형성된다.
2개의 접촉 요소(114, 115)는 각각의 수용 공간(116, 117)의 영역에 접촉 영역(122, 123, 124, 125)을 구비한다. 접촉 영역(122, 123, 124, 125)은 각각, 접촉 요소(114, 115)의 단부 영역(118, 119, 120, 121)에 형성된다. 접촉 영역(122, 123, 124, 125)은 각각, 접촉 요소(114, 115)의 가장자리 표면을 따라 연장된다. 접촉 영역(122, 123, 124, 125)은 일부 부분에서 둥근 형태를 갖는다. 수용 공간(116, 117)이 삽입 방향(E)으로 점차 가늘어지게 형성될 수 있도록 2개의 접촉 요소(114, 115)의 접촉 영역(122, 123, 124, 125)이 서로에 대해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된다.
2개의 접촉 요소(114, 115)는 2개의 스프링 요소(126, 127)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이 경우, 2개의 스프링 요소(126, 127)는 구부러진 와이어 스프링으로서 형성된다. 스프링 요소(126, 127)는 각각, U-자형으로 구부러져 있다. 접촉 요소(114, 115)에는, 스프링 요소(126, 127)가 후크 결합되며 이에 의해 접촉 요소(114, 115)에 부착되는, 개구(128, 129, 130, 131)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스프링 요소(126, 127)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연결 요소(200)가 연결 영역(116, 117) 중 하나 내로 밀어지거나 삽입될 때, 접촉 요소(114, 115)가 특정 스프링 요소(126, 127)의 스프링 힘에 반작용으로 연결 요소(200)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연결 요소(200)가 관련 수용 공간(116, 117) 내로 밀어질 때, 접촉 요소(114, 115)가 연결 요소(200)를 접촉식으로 클램핑 고정하기 위해 스프링 요소(126, 127)의 스프링 힘에 의해 삽입된 연결 요소(200)에 맞대어 접촉 영역(122, 123, 124, 125)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접촉 요소(114, 115)가 서로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으며 접촉 요소(114, 115)가 고정 회전 축선 없이 플로팅 방식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상이한 구성의, 특히 상이한 두께의 연결 요소(200)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 유닛(100)은 각각, 핑거 가드 요소(132)를 구비한다. 이 경우, 핑거 가드 요소(132)는 제1 수용 공간(116)의 영역에만 배치된다. 그러나, 추가의 핑거 가드 요소(132)가 또한 제2 수용 공간(117)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핑거 가드 요소(132)는 수용 공간(116)의 영역에서 2개의 접촉 요소(114, 115)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는다.
핑거 가드 요소(132)는, 핑거 가드 요소(132)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레그(133, 134) 및 2개의 레그(133, 134)를 함께 결합하는 결합 부분(135)을 갖는, U-자 형상을 갖는다. 2개의 레그(133, 134)가 삽입 방향(E)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결합 부분(135)은 삽입 방향(E)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레그(133)가 제1 접촉 요소(114)의 주위에 맞물리며, 제2 레그(134)가 제2 접촉 요소(115)의 주위에 맞물린다. 2개의 레그(133, 134)는 각각, 접촉 요소(114, 115)가 접촉 영역(122, 123, 124, 125)에 의해 돌출할 수 있는 슬롯형 개구를 갖는다. 레그(133, 134)는 그 자유 단부에 삽입 경사면(136, 137)을 구비하여, 연결 요소(200)가 수용 공간(116, 117) 내로 더 간단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핑거 가드 요소(132)는 플러깅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매우 좁게 형성되어, 핑거 가드 요소(132)가 디스크 형상을 형성한다.
2개의 접촉 요소(114, 115) 상에 핑거 가드 요소(132)를 더 간단하게 조립하기 위해, 핑거 가드 요소(132)가 2개의 부품, 즉 제1 부품(138)과 제2 부품(139)으로 이루어진다. 2개의 부품(138, 139)은 실질적으로 서로 크기와 형태가 동일하며, 각각 2개의 레그(133, 134)의 일 부품과 결합 부분(135)의 일 부품을 형성한다. 조립 동안, 2개의 접촉 요소(114, 115)가 제1 부품(138)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제2 부품(139)이 제1 부품(138) 상에 조립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2개의 접촉 요소(114, 115)가 핑거 가드 요소(132)의 2개의 부품(138, 139)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2 내지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접촉 요소(114, 115)와 핑거 가드 요소(132)가 플로팅 방식으로 하우징(110)에 지지되어, 접촉 요소(114, 115)와 핑거 가드 요소(132)가 서로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된다.
2개의 접촉 요소(114, 115)는 각각, 제1 지탱 지점(140, 141) 및 제2 지탱 지점(142, 143)을 갖는다.
2개의 접촉 요소(114, 115)는 제1 접촉 요소(114)의 제1 지탱 지점(140) 및 제2 접촉 요소(115)의 제1 지탱 지점(141)에 의해 핑거 가드 요소(132) 상에 유지된다. 제1 지탱 지점(140, 141)이 접촉 요소(114, 115) 모두에서 슬롯 방식으로 형성된다. 핀(144, 145)이 핑거 가드 요소(132)의 2개의 레그(133, 134) 각각 상에 형성되며, 상기 핀은 도 3에서 일 예로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지탱 지점(140, 141)으로서 형성된 슬롯 내로 돌출된다. 슬롯으로 인해, 핑거 가드 요소(132)와 접촉 요소(114, 115)가 서로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핑거 가드 요소(132)가 2개의 접촉 요소(114, 115)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슬롯은 길이가 삽입 방향(E)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1 단부 영역(118, 119)에 의해, 2개의 접촉 요소(114, 115)는 핑거 가드 요소(132) 상에만 유지되며, 하우징(110)과 접촉 요소(114, 115)의 사이에는 결합부가 없다.
그러나, 제2 단부 영역(120, 121)에서는 접촉 요소(114, 115)가 하우징(110) 상에 직접 유지된다. 따라서, 제2 단부 영역(120, 121)에 형성된 제2 지탱 지점(142, 143)은 접촉 요소(114, 115)를 하우징(110) 상에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제2 지탱 지점(142, 143)이 접촉 요소(114, 115) 모두에서 슬롯 방식으로 형성된다. 접촉 요소(114, 115)가 공정 중에 하우징(11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우징(110) 상에 형성된 핀(146, 147)이 슬롯 내로 돌출된다. 이러한 슬롯은 또한, 길이가 삽입 방향(E)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핑거 가드 요소(132)는 슬롯형 가이드에 의해 플로팅 방식으로 하우징(110)에 지지된다. 슬롯형 가이드는 하우징(110)의 벽(148)에 의해 형성되며, 이 벽은 하우징(110)의 내부(112)의 내측에서의 핑거 가드 요소(132)의 이동성을 제한한다. 벽(148)은 하우징(110)의 외부 벽에 의해 그리고 또한 삽입 방향(E)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110)의 내부 벽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벽(148)은 핑거 가드 요소(132)가 삽입 방향(E)에 대해 횡방향으로, 따라서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형성되는 반면, 핑거 가드 요소(132)는 삽입 방향(E)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도 4에 도시된 위치에서는, 연결 요소(200)가 제2 수용 공간(117)에 이미 삽입되어 클램핑 고정 방식으로 접촉된다. 연결 요소(200)가 제1 수용 공간(116)에는 삽입되어 있지 않으므로, 접촉 요소(114, 115)가 서로 약간 비스듬한 상태에 있다. 이 경우, 핑거 가드 요소(132)가 아래로 이동되어 있다. 도 6에서는 연결 요소(200)도 제1 수용 공간(116) 내로 삽입되어 있다.
대조적으로, 핑거 가드 요소(132)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구성에서 위로 이동되어 있다.
도 8은 벽(400)의 벽 개구(410)에 조립된 연결 장치(300)를 보여준다. 연결 장치(300)는 프레임 형상인 유지 프레임(310)을 구비한다. 유지 프레임(319)은 일렬로 배치된 연결 유닛(100)이 안내되어 내부에 유지되는 개구(311)를 갖는다. 개구(311)는 창형이다. 유지 프레임(310)은 부착 요소(312)를 구비하며, 이 부착 요소에 의해 유지 프레임(310)이, 예를 들어, 나사 조인트에 의해 벽(400)에 부착될 수 있다.
100 : 연결 유닛
110 : 하우징
111 : 삽입 개구 112 : 내부
113 : 하우징 커버 114 : 접촉 요소
115 : 접촉 요소 116 : 수용 공간
117 : 수용 공간 118 : 단부 영역
119 : 단부 영역 120 : 단부 영역
121 : 단부 영역 122 : 접촉 영역
123 : 접촉 영역 124 : 접촉 영역
125 : 접촉 영역 126 : 스프링 요소
127 : 스프링 요소 128 : 개구
129 : 개구 130 : 개구
131 : 개구 132 : 핑거 가드 요소
133 : 레그 134 : 레그
135 : 결합 부분 136 : 삽입 경사면
137 : 삽입 경사면 138 : 제1 부품
139 : 제2 부품 140 : 제1 지탱 지점
141 : 제1 지탱 지점 142 : 제2 지탱 지점
143 : 제2 지탱 지점 144 : 핀
145 : 핀 146 : 핀
147 : 핀 148 : 벽
200 : 연결 요소 300 : 연결 장치
310 : 유지 프레임 311 : 개구
312 : 부착 요소 400 : 벽
410 : 벽 개구 E : 삽입 방향
111 : 삽입 개구 112 : 내부
113 : 하우징 커버 114 : 접촉 요소
115 : 접촉 요소 116 : 수용 공간
117 : 수용 공간 118 : 단부 영역
119 : 단부 영역 120 : 단부 영역
121 : 단부 영역 122 : 접촉 영역
123 : 접촉 영역 124 : 접촉 영역
125 : 접촉 영역 126 : 스프링 요소
127 : 스프링 요소 128 : 개구
129 : 개구 130 : 개구
131 : 개구 132 : 핑거 가드 요소
133 : 레그 134 : 레그
135 : 결합 부분 136 : 삽입 경사면
137 : 삽입 경사면 138 : 제1 부품
139 : 제2 부품 140 : 제1 지탱 지점
141 : 제1 지탱 지점 142 : 제2 지탱 지점
143 : 제2 지탱 지점 144 : 핀
145 : 핀 146 : 핀
147 : 핀 148 : 벽
200 : 연결 요소 300 : 연결 장치
310 : 유지 프레임 311 : 개구
312 : 부착 요소 400 : 벽
410 : 벽 개구 E : 삽입 방향
Claims (13)
-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2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100)으로서,
- 하우징(110),
- 제1 접촉 요소(114),
- 상기 제1 접촉 요소(114)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2 접촉 요소(115),
- 상기 제1 접촉 요소(114)와 상기 제2 접촉 요소(115)의 사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200)를 클램핑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제1 접촉 요소(114)와 상기 제2 접촉 요소(115)의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용 공간(116, 117),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공간(116, 117)의 영역에서 상기 제1 접촉 요소(114)와 상기 제2 접촉 요소(115)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 가드 요소(132)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 요소(114), 상기 제2 접촉 요소(115) 및 상기 핑거 가드 요소(132)는 플로팅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110) 내에 지지되는 것인 연결 유닛(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가드 요소(132)는 상기 제1 접촉 요소(114) 상에 및 상기 제2 접촉 요소(115)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유닛(100).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가드 요소(132)는 제1 레그(133) 및 상기 제1 레그(133)와 평행하게 형성된 제2 레그(134)를 갖는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레그(133)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제1 접촉 요소(114)를 덮고, 상기 제2 레그(134)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제2 접촉 요소(115)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유닛(100).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가드 요소(132)는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유닛(100).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요소(114)와 상기 제2 접촉 요소(115)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126, 127)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유닛(100).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요소(114)와 상기 제2 접촉 요소(115)는 각각, 제1 지탱 지점(140, 141) 및 상기 제1 지탱 지점(140, 14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2 지탱 지점(142, 143)을 가지며, 상기 제1 접촉 요소(114)와 상기 제2 접촉 요소(115)는 상기 제1 지탱 지점(140, 141)에 의해 상기 핑거 가드 요소(132) 상에 유지되고, 상기 제1 접촉 요소(114)와 상기 제2 접촉 요소(115)는 상기 제2 지탱 지점(142, 143)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 상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유닛(10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접촉 요소(114, 115)의 상기 제1 지탱 지점(140, 141) 및 상기 제2 지탱 지점(142, 143)은 각각, 슬롯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유닛(100).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가드 요소(132)는 슬롯형 가이드에 의해 플로팅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110) 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유닛(100).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요소(114)와 상기 제2 접촉 요소(115)는 각각, 일 평면 내에서 연장되는 장방형 금속 시트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유닛(100).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요소(114)와 상기 제2 접촉 요소(115)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수용 공간(116, 117)의 영역에 접촉 영역(122, 123, 124, 125)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 영역은 적어도 일부 부분에서 둥근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유닛(100).
- 일렬로 배치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된 복수의 연결 유닛(100)을 포함하는 연결 장치(300).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연결 유닛(100)이 내부에 유지되는 유지 프레임(310)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300).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연결 유닛(100)을 포함하고, 및/또는 제11항 또는 제12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연결 장치(3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BE20205323A BE1028298B1 (de) | 2020-05-12 | 2020-05-12 | Anschlusseinheit, Anschlussanordnung und elektronisches Gerät |
BEBE2020/5323 | 2020-05-12 | ||
PCT/EP2021/061852 WO2021228654A1 (de) | 2020-05-12 | 2021-05-05 | Anschlusseinheit, anschlussanordnung und elektronisches gerä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9959A true KR20230009959A (ko) | 2023-01-17 |
Family
ID=70968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43380A KR20230009959A (ko) | 2020-05-12 | 2021-05-05 | 연결 유닛, 연결 장치 및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208078A1 (ko) |
EP (1) | EP4150714A1 (ko) |
JP (1) | JP2023525325A (ko) |
KR (1) | KR20230009959A (ko) |
CN (1) | CN115552734A (ko) |
BE (1) | BE1028298B1 (ko) |
WO (1) | WO202122865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48518B2 (en) * | 2021-08-26 | 2023-12-19 | Te Connectivity Brasil Industria De Eletronicos Ltda | Header power connector |
US20230064661A1 (en) * | 2021-08-26 | 2023-03-02 |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 Header power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44369U (ko) * | 1975-09-26 | 1977-03-29 | ||
FR2432777A1 (fr) * | 1978-07-31 | 1980-02-29 | Telemecanique Electrique |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des extremites de barres omnibus disposees dans une gaine |
JP2006019025A (ja) * | 2004-06-30 | 2006-01-19 | Fujikura Ltd | コネクタ |
JP4938148B1 (ja) * | 2011-06-27 | 2012-05-23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ンタクトおよびコネクタ |
JP5041563B1 (ja) * | 2011-06-27 | 2012-10-03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コネクタ装置および電池ユニット |
JP5548850B2 (ja) | 2012-07-13 | 2014-07-1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ンタクト、コネクタ、および接続装置 |
JP6702371B2 (ja) * | 2018-07-25 | 2020-06-03 | 株式会社ニコン | 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
-
2020
- 2020-05-12 BE BE20205323A patent/BE1028298B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21
- 2021-05-05 KR KR1020227043380A patent/KR2023000995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1-05-05 CN CN202180034749.6A patent/CN115552734A/zh active Pending
- 2021-05-05 EP EP21723260.2A patent/EP4150714A1/de active Pending
- 2021-05-05 US US17/924,377 patent/US20230208078A1/en active Pending
- 2021-05-05 WO PCT/EP2021/061852 patent/WO2021228654A1/de unknown
- 2021-05-05 JP JP2022568911A patent/JP2023525325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5552734A (zh) | 2022-12-30 |
JP2023525325A (ja) | 2023-06-15 |
US20230208078A1 (en) | 2023-06-29 |
BE1028298B1 (de) | 2021-12-16 |
EP4150714A1 (de) | 2023-03-22 |
WO2021228654A1 (de) | 2021-11-18 |
BE1028298A1 (de) | 2021-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22160414A (ja) | 導体接続端子 | |
US7722404B2 (en) | Plug-i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 |
US5895286A (en) | Terminal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 |
KR20230009959A (ko) | 연결 유닛, 연결 장치 및 전자 장치 | |
JP5718631B2 (ja) | 電子部品の接続構造 | |
US20130010443A1 (en) | Electronic component | |
JP7118654B2 (ja) | シールド載置体を備えた接続コネクタ装置と、壁貫通案内部とから成るアセンブリ | |
KR20130095306A (ko) | 전자부품의 접속구조 및 접속 유닛 | |
CN111613931B (zh) | 用于插塞连接器的保持框架 | |
CN111987521B (zh) | 用于插头的包括显示单元的壳体 | |
US10622743B2 (en) | Terminal module with a conductive obliquely wound coil spring held against an electrical contact member and connector having such a terminal module | |
JP6397864B2 (ja) | 分岐コネクタ | |
JP2019061743A (ja) | オス型端子及び接続構造体 | |
JP2000133353A (ja) | 中間電気コネクタ | |
TW201810819A (zh) | 端子連接機構以及開關 | |
US10645264B2 (en) | Image pickup apparatus and harness-side connector | |
WO2010042579A2 (en) | Coaxial connector and coaxial multi-pole connector | |
JP5232205B2 (ja) |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の組立体 | |
CN111183557B (zh) | 插塞连接部件 | |
TW201941502A (zh) | 端子台 | |
JP5567051B2 (ja) | メス端子、メスコネクタ、及びメス端子の製造方法 | |
WO2017204313A1 (ja) | 分岐コネクタ | |
CN220422248U (zh) | 压线装置、电控盒及空调器 | |
CN111600153B (zh) | 端子结构和电连接器 | |
JP7351687B2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