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470A - 견인기 프리텐셔너 조립체 - Google Patents

견인기 프리텐셔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470A
KR20230009470A KR1020227043252A KR20227043252A KR20230009470A KR 20230009470 A KR20230009470 A KR 20230009470A KR 1020227043252 A KR1020227043252 A KR 1020227043252A KR 20227043252 A KR20227043252 A KR 20227043252A KR 20230009470 A KR20230009470 A KR 20230009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tensioner
seat belt
rod
pist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 왕
크리스토퍼 디. 홀
존 버라우
켄 콜든도퍼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filed Critical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09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2/1954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2/1955Linear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022/4642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the gas directly propelling a flexible driving means, e.g. a plurality of successive masses, in a tubular cha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시트 벨트 프리텐셔닝 견인기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는, 가스 생성기와 유체 연통하는 프리텐셔너 튜브, 및 프리텐셔너 튜브 내부에 배치된 피스톤을 가지며 가요성 세장형 로드로 형성되는 구동 요소를 포함한다. 프리텐셔너 튜브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세장형 로드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은, 스프로킷이 세장형 로드와 맞물릴 때 가스 생성기로부터의 가스 압력이 피스톤에 인가되어 프리텐셔너 튜브 내의 피스톤과 가스 생성기 사이의 정의된 작동 체적의 과압 상태를 야기하는 경우에 변형된 세장형 로드에 의해 충전될 적어도 하나의 클리어런스 공간을 정의한다.

Description

견인기 프리텐셔너 조립체
관련 출원들과의 상호 참조
본 PCT 국제 출원은 2020년 5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875,698호에 대해 35 U.S.C. § 119 하에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러한 출원의 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차량의 탑승자를 구속하기 위한 시트벨트 구속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트벨트를 프리텐셔닝(pretensioning)하기 위한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본 섹션에서의 기재는 단지 본 발명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하고,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차량 시트에 탑승자를 구속하기 위한 시트벨트 구속 시스템들은 차량 충돌 상황에서 탑승자 부상을 감소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트벨트 구속 시스템들에서, 벨트 견인기는 전형적으로 벨트 웨빙(webbing)을 저장하기 위해 제공되며, 충돌 상황에서 벨트 인장 하중들을 관리하도록 추가로 역할할 수 있다. 탑승자에 의해 수동으로 전개되는(소위 "액티브" 유형) 시트벨트 구속 시스템들은 또한 전형적으로 고정 장치(anchorage)에 의해 차량 본체 구조체에 부착되는 버클을 포함한다. 벨트 웨빙에 부착된 래치(latch) 플레이트는, 벨트 시스템이 구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체결되고 차량으로부터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게 위해 체결해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버클에 의해 수용된다. 따라서, 시트벨트 구속 시스템들은, 전개될 때, 충돌 시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구속한다.
OEM 차량 제조업체들은 종종, 탑승자 구속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량의 충격 시에 또는 심지어 충격 전에 시트벨트를 인장하는 프리텐셔닝 디바이스들("프리텐셔너(pretensioner)"로도 알려짐)을 갖는 시트벨트 구속 시스템들을 제공한다. 프리텐셔너는 웨빙의 느슨함을 제거하고, 벨트 구속 시스템이 충돌 시퀀스에서 초기에 탑승자와 결합할 수 있게 한다. 한 가지 유형의 프리텐셔너는 웨빙 견인기에 작용하여 벨트를 인장한다.
팽창 가스를 생성하기 위해 불꽃 장약(pyrotechnic charge)을 사용하는 가스 생성기를 포함하는 로토-프리텐셔너(roto-pretensioner)로서 알려진 유형을 포함하여, 현재 다양한 설계의 견인기 프리텐셔너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로토-프리텐셔너의 예들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 의해 공통적으로 소유되고 이로써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1995년 4월 11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번호 제5,881,962호, 2005년 4월 27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6/0243843호, 2010년 7월 6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12/0006925호 및 2011년 8월 2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번호 제7,988,084호에서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불꽃 장약 또는 다른 가연성 재료의 점화는, 웨빙을 견인하기 위해 견인기 스풀(spool) 프리텐셔너 휠과 맞물리고 이를 감는, 프리텐셔너 튜브 내에 배치된 피스톤, 랙 및 피니언, 또는 일련의 볼들 또는 로드(rod) 요소와 같은 구동 요소에 모션을 전달하기 위한 피스톤을 갖는 챔버에서 가스 압력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시트벨트 프리텐셔닝 시스템의 정상 상태에서, 프리텐셔너는 탑승자가 프리텐셔닝 힘보다 높은 힘으로 시트벨트에 하중을 가할 때 트리거된다. 트리거될 때, 가스 생성기가 활성화되고, 피스톤은 프리텐셔너 튜브 내부에서 생성된 가스에 의해 이동하기 시작한다. 피스톤이 이동하기 시작할 때, 프리텐셔너 튜브 내부의 챔버 체적이 성장할 것이고, 챔버 체적의 가스 압력이 떨어질 것이다. 그러나, 프리텐셔닝 권취 메커니즘이 차단되는 경우, 챔버 체적이 증가할 수 없을 것이며, 따라서 챔버 내부의 가스 압력은, 구조적 구성요소들이 유지할 수 있는 것보다 높을 수 있다.
과가압된(over-pressured) 챔버의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영구 압력 릴리프(relief) 밸브(예를 들어, 항상 개방된 작은 홀) 또는 안전 밸브 (예를 들어, 정상 프리텐셔닝 이벤트들에서는 밸브가 폐쇄되지만, 밸브는 챔버가 과가압될 때 개방될 수 있음)가 챔버 내부의 가스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프리텐셔너로부터 방출된 고온 및 가연성 가스는 화재 위험의 원인이거나 또는 탑승자가 흡입할 경우 건강 위험의 원인일 수 있다.
과가압된 챔버의 위험을 완화하는 다른 방법은 과부하 클러치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과부하 클러치들은 프리텐셔닝 시스템에서 중량 및 비용을 추가하고, 패키징 크기가 또한 프리텐셔너 시스템에서 증가해야 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시트 벨트 프리텐셔닝 견인기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는 일반적으로 로토프리텐셔너 유형이며, 가스 생성기와 유체 연통하는 프리텐셔너 튜브, 프리텐셔너 튜브 내부에 배치되는 피스톤을 가지며, 프리텐셔너 튜브 내부에서 피스톤 및 가스 생성기에 의해 경계가 결정된 작동 체적 내로 작동 가스를 생성하기 위해 가스 생성기의 작동 시에 하우징 내의 스프로킷(sprocket)을 향해 프리텐셔너 튜브 내에서 이동하도록 적응된 구동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가요성 세장형 로드 형태의 구동 요소는 스프로킷을 향해 배치된 원위 단부 부분 및 원위 단부 부분 반대쪽에 배치된 근위 단부 부분을 갖고, 근위 단부 부분으로부터 원위 단부 부분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는, 검출된 차량 충격 또는 전복 상태의 이벤트에서 프리텐셔너의 작동 시에 견인기 스프로킷이 잠기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로토프리텐셔너 스프로킷이 원하는 방식으로 회전하지 않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소위 과압 상태를 수용하기 위한 특징부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프리텐셔너 튜브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세장형 로드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클리어런스(clearance) 공간을 정의한다. 세장형 로드는, 스프로킷이 세장형 로드와 맞물릴 때 가스 생성기로부터의 가스 압력이 피스톤에 인가되어 작동 체적의 과압 상태를 야기하는 경우에 근위 단부 부분과 원위 단부 부분 사이의 압축에 의해 변형되고 클리어런스 공간의 적어도 일 부분을 채우도록 구성되며, 작동 체적은 세장형 로드의 변형으로 인해 확장되어(즉, 클리어런스 공간은 작동 가스의 추가적인 확장을 위한 체적을 제공함) 과압 상태를 완화하기 위해 작동 체적 내의 가스 압력을 감소시킨다.
작동 체적 내의 감소된 가스 압력은 프리텐셔너 튜브의 구조가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과압 상태에서, 작동 체적의 크기는 과압 상태에서의 세장형 로드 및 피스톤의 변형, 세장형 로드의 이동된 거리로 인해 적어도 15%만큼 증가된다. 작동 체적의 증가된 크기는 과압 상태를 완화하기 위해 작동 체적 내의 가스 압력을 감소시킨다.
세장형 로드의 외부 표면의 부분은 클리어런스 공간을 정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recess)를 갖도록 형성된다. 리세스를 정의하는 리세스된 부분은 대체로 세장형 로드의 제1 측면 상에서 외부 표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리세스된 섹션(section)은 리세스된 부분에 대향되는 제2 측면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외부 표면을 따라 연장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세장형 로드의 외부 표면의 부분은 클리어런스 공간을 정의하기 위한 방사상 깊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홈을 갖도록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환형 홈은 세장형 로드의 근위 단부 부분에 배치된다.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된 2개 이상의 환형 홈들은 대체로 세장형 로드의 전체 길이에 배치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세장형 로드의 외부 표면의 부분은 클리어런스 공간을 정의하기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길이 방향 홈을 갖도록 형성된다. 2개 이상의 길이 방향 홈들은 세장형 로드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하게 이격된다.
세장형 로드는 세장형 로드의 제1 측면 상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최원위 단부의 길이를 따라 내측으로 테이퍼진(tapered) 챔퍼(chamfer)를 갖는 최원위 단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구동 요소는 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다.
과압 상태에서, 팽창가능 피스톤은 고압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작동 체적 내의 가스 압력을 유지하도록 작동가능하다.
추가의 적용가능 분야가 본 명세서에 제공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설명 및 특정 예들이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의도되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잘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주어지는 본 발명의 다양한 형태가 이제 기술될 것이고, 첨부 도면이 참조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프리텐셔너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트벨트 견인기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리텐셔너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트벨트 견인기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가스 생성기의 작동 전의 프리텐셔너 시스템을 포함하는 프리텐셔너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가스 생성기의 작동 후의 프리텐셔너 시스템을 포함하는 프리텐셔너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의 프리텐셔너 시스템의 세장형 로드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프리텐셔너 튜브를 갖는 도 5a의 선 5a-5a를 따라 취해진 세장형 로드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세장형 로드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프리텐셔너 튜브를 갖는 도 6a의 선 6a-6a를 따라 취해진 세장형 로드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세장형 로드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프리텐셔너 튜브를 갖는 도 7a의 선 7a-7a를 따라 취해진 세장형 로드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세장형 로드의 평면도이고, 도 8b는 프리텐셔너 튜브를 갖는 도 8a의 선 8a-8a를 따라 취해진 세장형 로드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세장형 로드의 평면도이고, 도 9b는 프리텐셔너 튜브를 갖는 도 9a의 선 9a-9a를 따라 취해진 세장형 로드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도면은 단지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하기 설명은 본질적으로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 적용 또는 용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면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도면 부호가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부분 및 특징부를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견인기 조립체(10)의 구성요소들의 일 부분이 도시된다. 견인기 조립체(10)는 공통 프레임(18)에 장착된 시트벨트 프리텐셔너(12), 스풀 조립체(14), 및 가스 생성기(16)를 포함한다. 스풀 조립체(14)는 어깨 벨트 부분(도시되지 않음)의 웨빙과 연결되며 이를 수납하고, 반면 웨빙의 랩(lap) 벨트 부분의 단부는 차량의 고정 지점(도시되지 않음)과 고정적으로 맞물린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조립체(14)는, 시트벨트 웨빙의 어깨 벨트 부분과 맞물리고 시트벨트 웨빙(도시되지 않음)을 감아 올리거나 또는 풀기 위해 회전하는 스핀들(spindle)(20)을 포함한다.
차량의 정상적인 작동 동안, 견인기 조립체(10)는 탑승자에게 어느 정도의 움직임의 자유를 주기 위해 시트벨트 웨빙의 풀림을 허용한다. 그러나, 충격 또는 잠재적인 충격 상황이 검출되는 경우, 견인기 조립체(10)는 풀림을 방지하고 시트에 탑승자를 고정하기 위해 잠긴다. 예를 들어, 차량이 미리 결정된 속도로 감속하는 경우, 견인기 조립체(10)가 잠긴다. 부분적으로 시트벨트 웨빙의 자유로운 풀림으로 인해, 시트벨트 조립체는 정상적인 사용 중에 종종 느슨해 진다.
도 2를 참조하면, 견인기 조립체(10)의 특정 구성요소들의 분해도가 도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르면, 견인기 조립체(10)는, 스풀 조립체(14)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리텐셔닝을 위해 스핀들(20)을 회전시키도록 작동가능한 시트벨트 프리텐셔너(12)를 포함한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견인기 프리텐셔너는 검출된 차량 충격의 초기 단계들에서 탑승자에 대해 더 엄격한 상태로 시트벨트 웨빙을 감는다. 이는 차량 충격 또는 전복의 감속력에 응답하여 탑승자의 전방 모션 또는 편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벨트 프리텐셔너(12)는 프리텐셔너 튜브(22)의 제1 튜브 단부(21)에서 가스 생성기(16)와 연통하는 프리텐셔너 튜브(22)를 포함한다. 가스 생성기(16)는 발사 신호에 응답하여 팽창 가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차량은 충격 이벤트, 충돌 또는 전복과 같은 긴급 이벤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 어레이를 포함한다. 차량 센서는 특정 충격 센서일 수 있거나, 또는 전통적인 차량 센서(예를 들어, 길이 방향 또는 측방향 가속도 센서 또는 다수의 센서들의 세트를 갖는 제어 시스템의 다른 부분)일 수 있다.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었거나 또는 공지될 임의의 다른 충격 센서가 또한 시트벨트 조립체(도시되지 않음)와 함께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중앙 프로세싱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다른 제어기와 같은 전자 제어 유닛은 신호를 수신하고, (예를 들어, 시트벨트 프리텐셔너의 활성화를 통해)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을 조임으로써 응답하도록 시트벨트 조립체를 제어한다.
도 2에서, 프리텐셔너 튜브(22)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튜브(22) 내에서 가요성인 구동 요소(100), 예를 들어, 튜브 내부에 배치된 세장형 로드 또는 소성 변형가능 중합체 로드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세장형 로드(100)는, 삽입 전에 프리텐셔너 튜브(22) 외부에 배치될 때, 대체로 직선 형상을 가지며, 튜브(22) 내에 삽입될 때, 도 2의 분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22)의 구불구불한 형상에 따라 구부러지고 휘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기 조립체(10)는 공통 프레임(18)에 장착된 스풀 조립체(14)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풀 조립체(14)는 스풀 조립체(14)에 부착된 시트벨트 웨빙을 감기 위해 공통 프레임(18)에 대해 회전할 것이다. 공통 프레임(18)은 하우징(24) 내부에 시트벨트 프리텐셔너(12)의 구성요소들을 배치하기 위한 하우징(24)을 포함한다. 또한, 시트벨트 프리텐셔너(12)는 하우징(24) 내에 배치되고 스핀들(20)에 부착된 스프로킷(26)을 포함한다. 스프로킷(26)의 회전은 부착된 스핀들(20)이 회전하게 하여 스핀들(20)에 부착된 시트벨트 웨빙을 감을 것이다.
도 2에서, 시트벨트 프리텐셔너(12)는 하우징(24) 내부에 위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28)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 플레이트(28)는 스프로킷(26)과 유사한 하우징(24) 내에 배치된 가이드 부분(30)을 포함한다. 대체로 아치형 랜딩 표면(32)을 갖는 가이드 부분(30)은 튜브(22)의 출구 단부(23)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스프로킷(26)은 가이드 부분(30)과 튜브(22)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튜브(22)를 빠져나가는 세장형 로드(100)는 가이드 부분(30)의 랜딩 표면(32)과 접촉하기 전에 스프로킷(26)과 접촉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벨트 프리텐셔너(12)는 대체로 환형 형상을 갖는 본체 부분(40)을 갖는 스프로킷(26)을 포함한다. 스프로킷(26)은 하나의 측면(25)에서 스프로킷(26)을 스핀들(20)에 작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스핀들(2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측면(27)에서 스프링 단부 캡(38)과 작동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로킷(26)은, 본체 부분(4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각각 돌출하는 복수의 베인(vane)들(42)을 포함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로킷(26)은, 로드(100)가 스프로킷(26)의 복수의 베인들(42)과 맞물릴 때 세장형 로드(100)를 가이드하기 위한 플랜지들(44)을 더 포함한다. 스프로킷(26)의 플랜지들(44)은 양 측면들(25 및 27)에서 본체 부분(4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더 연장된다. 따라서, 베인들(42)은 본체 부분(40)의 회전의 중심 축(X)으로부터 연장되는 방사상들을 따라 플랜지들(44)의 쌍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2 참조). 또한, 스프로킷(26)의 플랜지들(44)은 스프로킷(26)의 베인들(42)과 맞물린 로드(100)가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및 도 4는 스프로킷(26)과 맞물리기 전에 그리고 스프로킷(26)과 맞물린 후에 프리텐셔너 튜브(22) 내부에 스토퍼(stopper)(34)를 갖는 세장형 로드(100)를 도시한다. 스토퍼(34)는 세장형 로드(100)의 근위 단부 부분(102)과 결합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스토퍼(34)는 간섭 끼워맞춤(예를 들어, 압축 끼워맞춤), 접착제 또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세장형 로드(100)의 근위 단부 부분(102)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스토퍼(34)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지만, 강철, 다른 금속 또는 금속 합금, 또는 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충분한 강도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스토퍼(34)는 세장형 로드(100)의 근위 단부 부분(102)의 둘레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외부 둘레를 갖는다.
도 3 및 도 4는 피스톤(36)과 같은 밀봉 부재를 추가로 도시한다. 피스톤(36)은 하나의 접근법에서 대체로 원통형 외부 표면을 갖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접근법에서, 피스톤(36)은 밀봉을 위해 대체로 구형 외부 표면을 갖는 구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피스톤(36)은 일반적으로 탄성 구조를 정의하며, 임의의 적합한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고무, 열가소성 또는 다른 탄성 또는 변형가능 재료)와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36)은 금속, 플라스틱,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부터 다이 캐스트, 단조 또는 성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탄성 구조는 피스톤(36)의 형상이 압력에 응답하여 약간 변경될 수 있도록 하여 피스톤이 제공하는 밀봉을 개선한다. 피스톤(36)은 튜브(22) 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고, 작동 방향을 따라 세장형 로드(100)를 구동하도록 작동가능하다. 피스톤(36)은 튜브(22) 내부에 압입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끼워진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6)은 가스 생성기(16)에 인접하고/하거나 이로부터 이격된 근위 단부(35), 및 스토퍼(34) 및 세장형 로드(100)를 향해 지향된 원위 단부(37)를 정의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기 조립체(10)는 발사 신호에 응답하여 팽창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 생성기(16)를 포함한다. 팽창 가스는 튜브(22) 내의 압력의 증가를 야기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세장형 로드(100)가 가스 생성기(16)로부터 튜브(22)를 통해 강제로 멀어지게 한다. 스토퍼(34) 및 피스톤(36)은, 프리텐셔너 튜브(22) 내의 가스 생성기(16)와 피스톤(36) 사이의 공간으로서 정의된 가스 챔버(46)의 증가된 압력으로부터 세장형 로드(100)로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협력한다. 가스 생성기(16)의 활성화는 피스톤(36)이 세장형 로드(100)를 강제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피스톤(36)이 팽창되게 하며, 이는 가스가 피스톤(36)을 지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피스톤(36)은 높은 밀봉 압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튜브(22) 내의 잔류 가스 압력을 유지하도록 작동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세장형 로드(100)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라 대체로 원형 단면을 갖는다. 다른 예시적인 형태들에 따르면, 세장형 로드(100)는, 로드(100)가 프리텐셔너 튜브(22) 내로 삽입되고 삽입될 때 튜브(22)의 구불구불한 형상에 적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직사각형 단면, 삼각형 단면, 또는 다른 다각형 단면과 같은 비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각형 단면은 나선형 형상을 생성하기 위해 로드(100)의 길이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로드(100)는, 프리텐셔너 튜브(22) 외부에 배치될 때, 대체로 직선형 형상을 가지며, 근위 단부 부분(102)으로부터 원위 단부 부분(104)까지 길이 방향(200)으로 연장된다. 근위 단부 부분(102)은, 세장형 로드(100)가 시트벨트 프리텐셔너(12) 내에 설치될 때 가스 생성기(16)를 향해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서, 세장형 로드(100)는, 리세스(제1 리세스)(110)를 정의하는 리세스된 부분(108) 및 비-리세스된 부분(106)을 정의하기 위해 세장형 로드의 길이를 따라 변화하는 단면을 갖는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된 부분(108)은 세장형 로드(100)의 전체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근위 단부 부분(102)으로부터 원위 단부 부분(104)까지 연장된다. 또한, 원위 단부 부분(104)은 비-리세스된 부분(106)을 포함한다. 따라서, 근위 단부 부분(102)으로부터의 연장된 리세스(110)는 최원위 단부(112)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종단된다.
도 5a에서, 세장형 로드(100)는, 길이 방향(200)으로 최원위 단부(112)의 길이를 따라 내측으로 테이퍼지는 최원위 단부(112)에서의 하나 이상의 챔퍼들(114)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챔퍼(114)는, 리세스(110)가 위치되는 세장형 로드(100)의 동일한 측면(제1 측면) 상에 배치된다. 챔퍼(114)는 시트벨트 프리텐셔너(12) 내의 세장형 로드(1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로드의 굽힘 강성을 감소시키고 유리하게는 프리텐셔너 튜브(22) 내의 세장형 로드(100)를 전진시키는 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며, 또한 챔퍼(114)의 더 큰 단면적으로 인해 스프로킷(26)으로 전달될 수 있는 초기 프리텐셔닝 힘을 증가시킨다. 챔퍼(114)는 곡률을 갖는 오목한 형상으로서 형성된다. 챔퍼(114)의 오목한 형상이 스프로킷(26)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챔퍼(114)의 오목한 형상은 프리텐셔닝 동안 스프로킷(26)과 더 잘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로드(100)는, 스프로킷(26)을 향해 병진이동하는 동안 튜브(22)를 통한 세장형 로드(100)의 굽힘을 추가로 용이하게 하고 세장형 로드의 비틀림을 방지하거나 또는 최소화하는 것을 추가로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리세스된 섹션(116)을 포함한다. 특히, 세장형 로드(100)의 리세스(110)에 대향되는 측면(제2 측면) 상에서, 리세스된 섹션(116)은 리세스(제2 리세스)(118)를 정의하고 길이 방향(200)으로 연장된다. 리세스된 섹션(116)은 세장형 로드(100)의 전체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도 5b에서,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르면, 세장형 로드(100)가 프리텐셔너 튜브(22) 외부에 배치될 때, 리세스된 섹션(116)은 제2 리세스(118)를 정의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평면 표면을 갖는다.
세장형 로드(100)는 바람직하게는 다른 로토프리텐셔너들에서 사용되는 금속 볼 구동 요소에 비해 감소된 중량을 갖는 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다. 특정 중합체 재료가 사용자의 특정 요구에 맞도록 선택될 수 있다. 중합체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가스 생성기(16)의 작동에 응답할 뿐만 아니라 초기 설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합체 재료가 프리텐셔너 튜브(22)를 통해 구부러지고 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것이다. 중합체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로드(100)가 시트벨트 프리텐셔너(12)의 스프로킷(26)에 하중을 충분히 전달하도록 작동에 응답하여 튜브(22)를 통해 중합체 재료가 밀어 넣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충분한 강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세장형 로드(100)는 바람직하게는 변형가능한 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다. 작동 동안 및 후에, 세장형 로드(100)는 작동에 응답하여 변형되고 시트벨트 프리텐셔너(12)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접촉할 것이다. 따라서, 스프로킷(26)의 베인들(42)로 인해, 세장형 로드(100)는 로드(100)의 임의의 재료 분리 없이 함몰되어(탄성 및 소성 변형되어), 프리텐셔너(12)의 작동 가스 압력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이 세장형 로드(100)의 변형을 통해 스프로킷(26)으로 완전히 전달된다. 소성 변형은, 시스템 내의 유지된 작동 가스 압력에 완전히 의존하지 않고 로드(100)의 회수(payback)를 방지하거나 또는 제한하기 위해 프리텐셔너(12)를 잠기게 할 것이다. 소성 변형은 또한 로드(100)가 변형되어 스프로킷(26)의 베인들(42)과 맞물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접근법에서, 세장형 로드(100)는 나일론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로드(100)는 또한 지방족 폴리아미드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접근법에서, 로드(100)는 아세탈 재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료와 같은 유사한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4에서, 세장형 로드(100)가 튜브(22)를 통해 구동됨에 따라, 세장형 로드가 스프로킷(26)과 맞물린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프로킷(26)과 세장형 로드(100)의 맞물림은 스핀들(20)(도 2에 도시됨)을 회전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프리텐셔닝을 제공한다. 가스 생성기(16)의 활성화는 피스톤(36)이 가스 누출에 저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 챔버(46)(작동 체적으로 지칭됨) 내의 가압된 가스는 피스톤(36)의 근위 단부(35)가 팽창하게 하며, 이는, 피스톤(36)이 비교적 탄성 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스가 피스톤(36)을 지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시트벨트 프리텐셔너(12)의 정상 작동에서, 세장형 로드(100)로부터 생성된 배압은 스토퍼(34) 및 세장형 로드(100)에 대한 피스톤(36)의 압축으로 인해 피스톤(36)이 원주방향으로 외측으로 팽창하게 한다. 세장형 로드(100)는 작동 중에 세장형 로드가 스프로킷(26)과 맞물림에 따라 저항을 겪으며, 그에 의해 스토퍼(34) 및 피스톤(36)에서 배압을 생성한다. 피스톤(36)의 원주방향 팽창은 피스톤(36)의 외부 표면과 프리텐셔너 튜브(22)의 내부 표면 사이에 팽팽해진 밀봉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피스톤(36)은 상대적으로 높은 밀봉 압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튜브(22) 내의 잔류 가스 압력을 유지하도록 작동가능하다.
그러나, 무염(flameless) 견인기 프리텐셔너 조립체(10)에서의 시트 벨트의 프리텐셔닝 동안, 프리텐셔너 튜브(22) 내부의 과압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압 상태는, 어떤 이유로 견인기 조립체(10)의 스핀들(20)이 프리텐셔닝될 수 없고 세장형 로드(100)와 같은 구동 요소들이 프리텐셔닝 스트로크의 단부를 향해 전진하려고 시도할 때 상당한 저항을 경험할 때(즉,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프리텐셔닝 권취 메커니즘이 막히거나 또는 정지되지만 고장나거나 또는 분리되지는 않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팽창하여 구동 요소들을 밀어내기 위해 전진되는 가스 생성기로부터의 작동 가스의 압력의 상당한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무염 견인기 조립체(10)에서의 프리텐셔닝 동안, 프리텐셔너 튜브(22) 내의 피스톤(36) 및 가스 생성기(16)에 의해 경계가 결정된 가스 챔버(46)(작동 체적) 내부의 작동 가스의 압력이 증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염 견인기 조립체(10)의 과압 상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원주방향으로 팽창된 피스톤(36)으로 인해 완전히 밀봉된 프리텐셔닝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자체-압력 릴리프 특징부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일 형태에 따르면, 도 5a 및 도 5b의 세장형 로드(100)는 근위 단부 부분(102)과 원위 단부 부분(104) 사이의 압축에 의해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서, 가요성 세장형 로드(100)가 프리텐셔닝 튜브(22) 내부에 배치될 때, 적어도 하나의 클리어런스 공간(48)이 프리텐셔너 튜브(22)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세장형 로드(100)의 적어도 일 부분에 정의된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서, 세장형 로드(100) 상에 형성된 리세스된 부분(108) 및 리세스 섹션(116)의 각각에 적어도 2개의 클리어런스 공간들(48)이 정의된다. 따라서, 세장형 로드(100)와 프리텐셔너 튜브(22) 사이에 형성된 클리어런스 공간들(48)은, 세장형 로드(100)가 변형되고 클리어런스 공간들(48)에 충전되기 때문에 가스 챔버(46)가 과압 상태에서 더 큰 부피로 확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과압 상태에서, 예를 들어, 작동 체적(46)의 크기는, 세장형 로드(100) 및 피스톤(36)의 변형, 및 세장형 로드(100)가 차단될 때까지의 세장형 로드(100)의 이동(또는 견인기 조립체(10)의 구조에 의해 허용된 최소 로드 이동)으로 인해 적어도 15%만큼 증가된다.
변형된 세장형 로드(100)는, 피스톤(36)과 가스 생성기(16) 사이의 작동 체적(가스 챔버(46))이 팽창되어 과압 상태를 완화하기 위해 작동 체적 내의 가스 압력을 감소시키도록 클리어런스 공간들(48)의 일 부분에 충전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자체-압력 릴리프 특징부는 구조적 무결성을 위한 프리텐셔너 안전 마진을 제공하고, 또한 충돌-후 탑승자 대피 및 차량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연장된 기간 동안 가스 챔버(46) 내에 더 낮은 압력의 고온 가스를 유지한다. 가스 챔버(46) 내부의 더 낮은 압력의 가스로 인해, 과압 상태에서 자체-압력 릴리프 특징부는 프리텐셔너의 구조적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텐셔너 튜브(22) 내의 클리어런스 공간들(48)의 부분을 포함하는 자체-압력 릴리프 특징부는, 프리텐셔너 튜브(22)의 구조가 작동 체적 내의 감소된 가스 압력에 의해 파열되거나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6a 내지 도 9b는, 프리텐셔너 튜브(22)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클리어런스 공간(48)을 갖기 위한, 환형 홈들, 리세스들, 또는 길이 방향 홈들 등과 같은 세장형 로드(100)의 외부 표면들 상의 다양한 형상들을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형태에 따르면, 도 6a 및 도 6b는 로드(16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세장형 로드(160)의 외부 표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환형 홈(166)이 형성된 세장형 로드(160)를 도시한다. 환형 홈(166)은, 환형 홈(166)의 직경(d)이 세장형 로드(100)의 원래의 외부 표면 상의 직경(D)보다 작도록 방사상 깊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6a에서, 2개의 환형 홈들(166)은, 세장형 로드(100)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 방사상 깊이로 인해 2개의 클리어런스 공간들(48)이 세장형 로드(160)와 프리텐셔너 튜브(22)의 내부 표면 사이에 정의되도록 세장형 로드(160)의 근위 단부 부분(162) 상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리어런스 공간들(48)은, 스프로킷(26)과 맞물린 로드(160)가 차단될 때 과압 상태에서 변형된 세장형 로드(160)에 의해 충전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 형태에 따르면, 도 7a 및 도 7b는 세장형 로드(160)의 적어도 하나의 환형 홈(166)과 세장형 로드(100)의 리세스된 부분(108) 및/또는 리세스된 섹션(116)을 결합하도록 형성된 세장형 로드(170)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7a에서, 더 많은 클리어런스 공간들(48)이 세장형 로드(170)와 프리텐셔너 튜브(22)의 내부 표면 사이에 정의되고, 변형된 세장형 로드(170)가 전술한 바와 같이 과압 상태에서 클리어런스 공간들(48)에 충전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단부 부분(172) 상에 환형 홈(166)을 갖는 세장형 로드(170)에서, 세장형 로드(170)의 외부 표면 상의 리세스된 부분(108) 및 리세스된 섹션(116) 각각의 길이는 세장형 로드(170)의 길이 방향(200)을 따라 감소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 형태에 따르면, 도 8a 및 도 8b는 로드(180)의 길이 방향(200)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길이 방향 홈(186)이 형성된 세장형 로드(180)를 도시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세장형 로드(180)는, 세장형 로드(18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 2개 이상의 길이 방향 홈들(186)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로드(180)는 세장형 로드(180)의 단면도에서 세로 홈이 있는 형상 또는 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리어런스 공간들(48)은, 변형된 세장형 로드(180)가 과압 상태에서 길이 방향 홈들(186)에 의해 형성된 클리어런스 공간들(48)에 충전되도록 세장형 로드(180)와 프리텐셔너 튜브(22)의 내부 표면 사이에 정의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 형태에 따르면, 도 9a 및 도 9b는 세장형 로드(190)의 외부 표면 상에서 길이 방향(200)을 따라 물결 형상(196)으로서 형성된 세장형 로드(190)를 도시한다. 물결 형상(196)은, 세장형 로드(190)의 전체 길이를 따라 방사상 깊이를 갖는 2개 이상의 환형 홈들(166)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리어런스 공간들(48)은 물결 형상(196)을 갖는 세장형 로드(190)와 프리텐셔너 튜브(22)의 내부 표면 사이에 정의되고, 변형된 세장형 로드(190)는 과압 상태에서 클리어런스 공간들(48)에 충전된다.
상기 설명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구성하지만,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적절한 범주 및 공정한 의미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수정, 변형 및 변경되기 쉽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6)

  1. 시트 벨트 프리텐셔닝(pretensioning) 견인기 조립체(10)에서 사용하기 위한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pretensioner)는,
    가스 생성기(16)와 유체 연통하는 프리텐셔너 튜브(22);
    상기 프리텐셔너 튜브(22) 내부에 배치된 피스톤(36)을 갖는 구동 요소(100)로서, 상기 구동 요소(100)는, 상기 프리텐셔너 튜브(22) 내부의 상기 피스톤(36) 및 상기 가스 생성기(16)에 의해 경계가 결정된 작동 체적(46) 내로 작동 가스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가스 생성기(16)의 작동 시에 하우징(24) 내의 스프로킷(sprocket)(26)을 향해 상기 프리텐셔너 튜브(22) 내에서 이동하도록 적응되는, 상기 구동 요소(100)를 가지며,
    상기 구동 요소(100)는 상기 스프로킷(26)을 향해 배치된 원위 단부(37, 104) 부분 및 상기 원위 단부(37, 104) 부분에 반대쪽에 배치된 근위 단부 부분을 갖는 가요성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의 형태이며, 상기 구동 요소(100)는 상기 근위 단부 부분으로부터 상기 원위 단부(37, 104) 부분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로서,
    상기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프리텐셔너 튜브(22)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의 클리어런스 공간(clearance space)(48)을 정의하며,
    상기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는, 상기 스프로킷(26)이 상기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와 맞물릴 때 상기 가스 생성기(16)로부터의 가스 압력이 상기 피스톤(36)에 인가되어 상기 작동 체적(46)의 과압 상태를 야기하는 경우에 상기 근위 단부 부분(102)과 상기 원위 단부 부분(37, 104) 사이의 압축에 의해 변형되고 상기 클리어런스 공간(48)의 적어도 일 부분을 충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작동 체적(46)은 상기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의 변형으로 인해 확장되어 상기 과압 상태를 완화하기 위해 상기 작동 체적(46) 내의 상기 가스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체적(46) 내의 상기 감소된 가스 압력은 상기 프리텐셔너 튜브(22)의 구조가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1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의 상기 외부 표면의 상기 부분은 상기 클리어런스 공간(48)을 정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108, 116)를 갖도록 형성되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12).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108, 116)를 정의하는 리세스된 부분(106)은 대체로 상기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의 제1 측면 상에서 상기 외부 표면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12).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세스된 섹션(116)은 상기 리세스된 부분에 대향되는 제2 측면 상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외부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12).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의 상기 외부 표면의 상기 부분은 상기 클리어런스 공간(48)을 정의하기 위한 방사상 깊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홈(166)을 갖도록 형성되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12).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환형 홈(166)은 상기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의 상기 근위 단부 부분에 배치되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12).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환형 홈들(166)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대체로 상기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의 전체 길이에 배치되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12).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의 상기 외부 표면의 상기 부분은 상기 클리어런스 공간(48)을 정의하기 위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길이 방향 홈(186)을 갖도록 형성되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12).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길이 방향 홈(186)은 상기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하게 이격되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12).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는, 상기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의 제1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최원위 단부의 길이를 따라 내측으로 테이퍼지는(tapered) 챔퍼(chamfer)(114)를 갖는 상기 최원위 단부를 더 포함하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12).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압 상태에서, 상기 팽창가능 피스톤(36)은 높은 밀봉 압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작동 체적(46) 내의 상기 가스 압력을 유지하도록 작동가능한,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12).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요소(100)는 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지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12).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텐셔너 튜브(22)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클리어런스 공간(48)을 정의하며,
    상기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는, 상기 스프로킷(26)이 상기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와 맞물릴 때 상기 가스 생성기(16)로부터의 가스 압력이 상기 피스톤(36)에 인가되어 상기 작동 체적(46)의 과압 상태를 야기하는 경우에 상기 근위 단부 부분과 상기 원위 단부(37, 104) 부분 사이의 압축에 의해 변형되고 상기 클리어런스 공간의 적어도 일 부분을 충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과압 상태에서, 상기 작동 체적(46)의 크기는 적어도 15%만큼 증가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체적(46)의 상기 증가된 크기는 상기 과압 상태를 완화하기 위해 상기 작동 체적(46) 내의 상기 가스 압력을 감소시키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체적(46)의 상기 크기는, 상기 과압 상태에서의 상기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 및 상기 피스톤(36)의 변형, 및 상기 세장형 로드(100, 160, 170, 180, 190)의 이동된 거리로 인해 증가되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KR1020227043252A 2020-05-15 2021-05-13 견인기 프리텐셔너 조립체 KR202300094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75,698 US20210354656A1 (en) 2020-05-15 2020-05-15 Flameless retractor pretensioner assembly
US16/875,698 2020-05-15
PCT/US2021/032266 WO2021231739A1 (en) 2020-05-15 2021-05-13 Retractor pretensioner assembly retractor pretensione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470A true KR20230009470A (ko) 2023-01-17

Family

ID=76744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252A KR20230009470A (ko) 2020-05-15 2021-05-13 견인기 프리텐셔너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54656A1 (ko)
EP (1) EP4149800A1 (ko)
JP (1) JP2023525699A (ko)
KR (1) KR20230009470A (ko)
CN (1) CN115461253B (ko)
BR (1) BR112022021561A2 (ko)
WO (1) WO20212317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3075B1 (en) * 2021-12-13 2023-03-14 Autoliv Asp, Inc. Pretensioner tube in retractor assembly
KR102567998B1 (ko) * 2023-05-04 2023-08-16 이호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1962A (en) 1994-04-11 1999-03-16 Autoliv Development Ab Mass-body drive for a rotary tightening device
US20060243843A1 (en) 2005-04-27 2006-11-02 Autoliv Asp, Inc. Pretensioner device for a seatbelt retractor
US7988084B2 (en) 2008-08-21 2011-08-02 Autoliv Asp, Inc. Device for pretensioning a seatbelt
US20120006925A1 (en) 2010-07-06 2012-01-12 Jon Burrow High Seal Retractor Pretensioner Piston
DE102011016153A1 (de) * 2011-04-05 2012-10-11 Trw Automotive Gmbh Gurtaufroller
DE102014224490B3 (de) * 2014-12-01 2015-12-24 Takata AG Gurtaufroller mit strafferantrieb
US9744940B1 (en) * 2016-04-13 2017-08-29 Autoliv Asp, Inc. Seatbelt pretensioning retractor assembly
JP6732599B2 (ja) * 2016-08-10 2020-07-29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プリテンショナ、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16118464A1 (de) * 2016-09-29 2018-03-29 Trw Automotive Gmbh Gurtstraffer
US10259426B2 (en) * 2017-03-17 2019-04-16 Autoliv Asp, Inc. Seatbelt pretensioning retractor assembly including a piston-safety valve member
US10369963B2 (en) * 2017-03-17 2019-08-06 Autoliv Asp, Inc. Seatbelt pretensioning retractor assembly including a gas release ope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54656A1 (en) 2021-11-18
CN115461253B (zh) 2023-12-12
EP4149800A1 (en) 2023-03-22
JP2023525699A (ja) 2023-06-19
WO2021231739A1 (en) 2021-11-18
CN115461253A (zh) 2022-12-09
BR112022021561A2 (pt)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755B1 (ko) 시트벨트 프리텐셔닝 리트랙터 조립체
US9555768B2 (en) Retractor pretensioner assembly
US9475455B2 (en) Retractor pretensioner assembly
KR102268826B1 (ko) 가스 방출 개구를 포함하는 시트벨트 프리텐셔닝 리트랙터 조립체
KR102615602B1 (ko) 시트벨트 프리텐셔닝 리트랙터 조립체
EP3595941B1 (en) Seatbelt pretensioning retractor assembly including a piston-safety valve member
KR102401534B1 (ko) 리트랙터 프리텐셔너 조립체
KR20230009470A (ko) 견인기 프리텐셔너 조립체
EP3699037B1 (en) Retractor pretensioner assembly
EP3699038B1 (en) Retractor pretensioner assembly
US8770506B2 (en) High seal retractor pretensioner piston
EP3712019B1 (en) Seatbelt pretensioning retractor assembly including a gas release opening
US20190210558A1 (en) Seatbelt pretensioning retractor assembly including a gas release o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