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998B1 -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 - Google Patents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998B1
KR102567998B1 KR1020230058162A KR20230058162A KR102567998B1 KR 102567998 B1 KR102567998 B1 KR 102567998B1 KR 1020230058162 A KR1020230058162 A KR 1020230058162A KR 20230058162 A KR20230058162 A KR 20230058162A KR 102567998 B1 KR102567998 B1 KR 102567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astening
reinforcing
cap
circumferenti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8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
Original Assignee
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 filed Critical 이호
Priority to KR1020230058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998B1/ko
Priority to CN202311227988.0A priority patent/CN117302100A/zh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파이프의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폭발장치의 폭발로 인해 파이프가 파손되거나 파이프의 클로징 작업에 의해 파이프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폭발장치가 파이프 밖으로 배출되어 폭발장치의 폭발력이 파이프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작동볼 이외의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캡이며, 특히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파이프의 확관부를 지난 위치에 고정되어 폭발력의 폭발로 인해 확관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이다.

Description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Pipe reinforcement cap for seat belt}
본 발명은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파이프의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폭발장치의 폭발로 인해 파이프가 파손되거나 파이프의 클로징 작업에 의해 파이프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폭발장치가 파이프 밖으로 배출되어 폭발장치의 폭발력이 파이프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작동볼 이외의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캡이며, 특히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파이프의 확관부를 지난 위치에 고정되어 폭발력의 폭발로 인해 확관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안전벨트는 탑승자의 허리를 감싸 보호하는 허리벨트와 어깨 및 가슴 부위를 감싸는 어깨벨트로 된 3점식 안전벨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어깨벨트에는 가이드풀리가 결합되고, 차량의 센터필러부에는 벨트를 풀거나 감아주는 리트랙터가 설치되며, 상기 허리벨트는 통상 로커패널에 장착된다.
상기 리트랙터(retracror)는 급격한 충격이 일어났을 때 안전벨트가 급격하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차량의 좌석에 고정되는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에 수납되며 벨트가 감기는 가이드드럼(31)과, 상기 가이드드럼(31)의 회전을 위한 피니언기어(32)와, 상기 피니언기어(32)의 구동을 위한 파이프(P)와, 상기 하우징(30)에 체결되는 커버(34)와, 상기 파이프(P) 내에 수납되어 클로징 작업에 의해 고정되는 폭발장치(35)와, 상기 파이프(P) 내에 수납되어 폭발장치(35)의 폭발에 의해 파이프(P)를 따라 이동되어 피니언기어(32)를 회전시키는 작동볼(B)로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P)는 커버(34)에 형성된 체결홈에 끼움체결방식에 의해 고정되거나, 핀 등에 의해 고정플레이트(33)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의 리트랙터는 급격한 충격이 일어났을 때 화약이 들어가 있는 폭발장치(35)가 폭발하면서 파이프(P) 내부에 들어가 있는 작동볼(B)을 피니언기어(32) 쪽으로 발사시키고, 상기 작동볼(B)이 피니언기어(32)를 급격히 회전시켜 가이드드럼(31)에 감겨 있는 안전벨트를 신속히 감아줌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파이프(P)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폭발장치(35)가 폭발할 경우 정상적인 폭발력은 파이프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다수의 작동볼(B) 쪽으로 작용하여 작동볼(B)이 피니언기어(32) 쪽으로 빠른 속도로 이동되게 되는데, 파이프의 내구성이 떨어질 경우 폭발장치(35)의 폭발로 인해 파이프의 확관부(P 1) 부분이 절개되거나 폭발장치의 고정을 위해 클로징 작업이 되어 있는 파이프 부분이 파손되어 폭발장치 자체가 파이프 외부로 배출되는 등 폭발장치의 폭발력이 작동볼(B) 이외에 사방으로 전달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작동볼(B)에 가해지는 힘이 줄어들게 되어 피니언기어(32)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떨어질 수 있고, 이는 차량의 충돌 등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안전벨트의 정상적인 권취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종래기술로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 제10-2426942호에 제안되어 있는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이 있다.
상기 특허에는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파이프의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캡(10)에 있어서, 상기 보강캡(10)은 원통형의 원주부(11)와, 상기 원주부(11)의 양측 단면에 형성된 절곡부(13, 15)로 구성되며, 상기 원주부(11)가 파이프(P)의 원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파이프(P)의 일단부에 고정 체결되며, 상기 보강캡(10)의 원주부(11) 일측에는 체결돌기(14)가 형성되고, 타측의 원주부(11)에는 상기 체결돌기(14)가 끼워질 수 있는 체결홈(16)이 형성되어 있어서, 보강캡(10)의 외경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체결돌기(14)가 체결홈(16)에 끼워지면서 원주부(11)의 양쪽이 고정되는 것이 특징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이 제안되어 있는데, 원주부에 형성된 상부절곡부(13)에 의해 파이프 내부에 수납된 폭발장치의 폭발이 일어나도 그 폭발력이 파이프 내부쪽으로 전달되어 볼의 이동에 사용되지만, 하부절곡부(15)가 파이프의 확관부(P1)에 고정되어 있어서 폭발장치의 폭발시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확관부(P1)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보강캡과 관련된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 제10-2515136호에 개시되어 있는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의 보강구조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의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캡(10)은 원통형의 원주부(11)와, 상기 원주부(11)의 양측 단면에 형성된 절곡부(13, 15)로 구성되며, 상기 원주부(11)가 파이프(P)의 원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파이프(P)의 일단부에 고정 체결되며, 상기 보강캡(10)의 외부에는 보강캡(10)을 둘러싸는 형태로 보강캡슐(20)이 보강캡(10)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보강캡(10)의 원주면에는 끼움홀(17)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보강캡슐(20)에는 상기 끼움홀(17)에 끼워지도록 끼움돌기(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의 보강구조가 제안되어 있는데, 폭발장치의 폭발력이 파이프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잡아주는 보강효과는 매우 뛰어나지만 이 역시 보강캡이 파이프의 확관부에 고정되어 있어서 폭발장치의 폭발시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확관부(P1)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26942호(2022. 7. 2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515136호(2023. 3. 27.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파이프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폭발장치의 폭발로 인해 파이프가 파손되거나 파이프의 클로징 작업에 의해 파이프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폭발장치가 파이프 밖으로 배출되어 폭발장치의 폭발력이 파이프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작동볼 이외의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캡이며, 특히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파이프의 확관부를 지난 위치에 고정되어 폭발력의 폭발로 인해 확관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보강캡은 원통형의 원주부와, 상기 원주부의 일측 단면에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원주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부로 구성하여, 하나의 철판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어서 제작공정을 간편히 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하며, 설치과정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안전벨트용 파이프의 경사부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경사부를 지난 위치로 파이프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폭발장치의 폭발력이 파이프의 확관부 쪽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확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은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파이프의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캡에 있어서, 상기 보강캡은 원통형의 원주부와, 상기 원주부의 일측 단면에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원주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부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은 파이프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폭발장치의 폭발로 인해 파이프가 파손되거나 파이프의 클로징 작업에 의해 파이프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폭발장치가 파이프 밖으로 배출되어 폭발장치의 폭발력이 파이프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작동볼 이외의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캡이며, 특히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파이프의 확관부를 지난 위치에 고정되어 폭발력의 폭발로 인해 확관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보강캡은 원통형의 원주부와, 상기 원주부의 일측 단면에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원주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부로 구성하여, 하나의 철판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어서 제작공정을 간편히 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하며, 설치과정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와 함께, 상기 연장부는 안전벨트용 파이프의 경사부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경사부를 지난 위치로 파이프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폭발장치의 폭발력이 파이프의 확관부 쪽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확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안전벨트용 리트랙터의 구성예시도
도 2는 안전벨트용 리트랙터의 분리구성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캡의 사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캡의 정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캡의 일부분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캡의 저면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캡의 전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 예시도
본 발명은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파이프의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폭발장치의 폭발로 인해 파이프가 파손되거나 파이프의 클로징 작업에 의해 파이프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폭발장치가 파이프 밖으로 배출되어 폭발장치의 폭발력이 파이프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작동볼 이외의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캡이며, 특히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파이프의 확관부를 지난 위치에 고정되어 폭발력의 폭발로 인해 확관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10)은 안전벨트의 리트랙트에 사용되는 파이프(P)가 폭발장치(35)의 폭발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주기 위해 파이프(P)의 일측 외주면에 설치되며, 도 4와 같이 상부절곡부가 파이프의 단면과 밀착되고, 체결부가 파이프의 확관부와 경사부를 지나서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캡의 사시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캡의 정면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캡의 일부분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캡의 저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은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파이프(P)의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캡(10)에 있어서, 상기 보강캡(10)은 원통형의 원주부(11)와, 상기 원주부(11)의 일측 단면에 형성된 절곡부(13)와, 상기 원주부(11)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16)와, 상기 연장부(16)와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부(17)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원주부(11)는 파이프(P)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파이프(P)의 외경과 일치하거나 조금 큰 내경을 가지며 파이프(P)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폭발장치(35) 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원주부(11)의 일측 단면에는 절곡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부(13)에는 철판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의 홈(1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주부(11)의 절곡부(13) 반대편에는 원주부(11)와 일체로 연장부(16)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7)는 연장부(16)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파이프(P)에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캡(10)의 원주부(11) 일측에는 체결돌기(14)가 형성되고, 타측의 원주부(11)에는 상기 체결돌기(14)가 끼워질 수 있는 체결홈(15)이 형성되어 있어서, 보강캡(10)의 외경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체결돌기(14)가 체결홈(15)에 끼워지면서 원주부(11)의 양쪽이 고정되게 된다.
즉, 보강캡(10)의 원주부(11) 일측에는 철(凸)의 형상으로 체결돌기(14)가 형성되고, 타측의 원주부(11)에는 상기 체결돌기(14)가 끼워질 수 있도록 요(凹)의 형상으로 체결홈(15)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14)가 체결홈(15)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데, 체결돌기(14)를 체결홈(15)에 고정하는 방법은 보강캡(10)의 외경을 축소하는 방향 즉, 체결돌기(14)를 체결홈(15) 쪽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체결돌기(14)가 체결홈(15) 쪽으로 들어가서 원주부(11)의 양쪽이 완전히 고정되게 된다.
부연하면, 원주부(11)는 체결돌기(14)가 체결홈(15)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절곡부(13)의 관점에서 볼 경우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게 되는데, 체결돌기(14)가 체결홈(15)에 완전히 결합되게 되면 원주부(11)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원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원주부(11)는 연결부(12)를 중심으로 체결돌기(14)가 형성된 돌기원주부(11a)와, 체결홈(15)이 형성된 홈원주부(11b)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12)는 돌기원주부(11a)와 홈원주부(11b)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돌기원주부(11a)와 홈원주부(11b)를 가깝게 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타원형의 보강캡(10)이 원통형으로 형상이 변하고, 원주부(11)와 연결부(12)의 형상이 변하면서 체결돌기(14)가 체결홈(15)에 끼워지게 된다.
즉, 원주부(11)의 중심쪽에는 원주부(11)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진 연결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12)에는 2개의 관통홈(12a)이 형성되어 있어서 타원 형태의 원주부(11)에 외력을 가하면 원주부(11)의 형상변화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원주부(11)는 연결부(12)를 중심으로 일측은 체결돌기(14)가 형성된 돌기원주부(11a)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체결돌기(14)가 끼워질 수 있도록 체결홈(15)이 형성된 홈원주부(11b)로 구성된다.
따라서, 돌기원주부(11a)와 홈원주부(11b)를 가깝게 하는 방향 즉, 체결돌기(14)와 체결홈(15)의 거리를 가깝게 하는 방향으로 외력(P)을 가하면 타원형으로 성형되어 있던 원주부(11)가 원형으로 변하게 되고, 이러한 형상변화에 의해 체결돌기(14)가 체결홈(15)에 끼워짐으로써 돌기원주부(11a)와 홈원주부(11b)의 단면끼리 서로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돌기(14)의 일측에는 경사면(14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5)의 일측에도 경사면(15a)이 형성되어, 원주부(11)의 외경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체결돌기(14)의 경사면(14a)과 체결홈(15)의 경사면이 맞닿으면서 체결돌기(14)가 체결홈(15)에 삽입되어 원주부(11)의 분리된 양쪽 단면이 고정되게 된다.
즉, 체결돌기(14)의 일측에는 경사면(14a)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홈(15)의 일측에도 경사면(15a)이 형성되어 있어서, 체결돌기(14)를 체결홈(15) 쪽으로 이동하도록 외력을 가해주게 되면 체결돌기(14)의 경사면(14a)과 체결홈(15)의 경사면(15a)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체결돌기(14)가 이동되고, 체결돌기(14)가 이동되다가 체결홈(15)의 경사면(15a)을 지나게 되면 체결돌기(14) 자체의 탄성에 의해 체결돌기(14)가 체결홈(15) 쪽으로 들어감으로써 돌기원주부(11a)와 홈원주부(11b)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부연하면, 체결돌기(14)와 체결홈(15)의 거리를 가깝게 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해주게 되면 원주부(11) 자체의 곡률로 인해 체결돌기(14)와 체결홈(15)의 경사면끼리 맞닿은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는 체결홈(15)의 경사면(15a)이 체결돌기(14)를 원주부(11)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밀어주는 힘이 가해지게 되며, 이후 체결돌기(14)가 체결홈(15) 쪽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체결돌기(14)를 밀어주는 힘이 제거됨으로써 탄성에 의해 체결돌기(14)가 체결홈(15)에 완전히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16)에는 연장부(16)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절개홈(16d, 16e)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16d, 16e)은 원주부(11)의 연결부(12) 하부와 체결돌기(14)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연장부(16)는 원주부(11)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 있는 상부경사부(16a)와, 상기 상부경사부(16a)와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어 있는 하부경사부(16c)와, 상기 상부경사부(16a)와 하부경사부(16c) 사이의 중심부(16b)로 구성되며, 이러한 상부경사부(16a) 및 하부경사부(16c)의 경사면 각도는 파이프(P)의 경사부 각도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연장부(16)의 길이방향 전체에는 2개의 절개홈(16d, 16e)이 앞뒤로 형성되어 있다.
부연하면, 상기 절개홈(16d, 16e)은 연장부(16)의 좌우측을 각각 나누어주게 되며, 도시된 실시예는 연결부(12) 하부에 절개홈(16d)이 형성되고, 연결부(12)의 반대쪽 체결돌기(14)의 하부에도 절개홈(16e)이 형성되어 있어서, 파이프(P)의 직경이 어느 정도의 범위 이내이면 직경에 관계없이 연장부(16)가 파이프(P)를 감싸는 형태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17)는 체결부(17)의 일단면에서 절곡되는 제1체결판(17a)과, 상기 체결부(17)의 타단면에서 반구형으로 절곡되는 아크체결판(18)과, 상기 아크체결판(18)에서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는 제2체결판(17b)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체결판(17a)과 제2체결판(17b)에는 볼트홀이 각각 형성되어 제1체결판(17a)과 제2체결판(17b)은 체결볼트(19)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17)는 보강캡(10)을 실제 안전벨트용 파이프(P)에 고정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제1체결판(17a)은 체결부(17)의 일단면에서 보강캡(10)의 바깥쪽으로 대략 90°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아크체결판(18)은 체결부의 타단면에서 반구형으로 절곡되어 분할부(17c)의 내경을 축소시켜 보강캡(10)과 파이프(P)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는 구성으로 허리띠와 같이 분할부(17c)의 절반 정도를 휘감는 구성이며, 상기 제2체결판(17b)은 아크체결판(18)에서 보강캡(10)의 바깥쪽으로 대략 90°로 절곡되어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판(17a)과 제2체결판(17b)에는 각각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체결판(17a)과 제2체결판(17b)은 체결볼트(19)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판(17a)과 제2체결판(17b)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홀에는 모두 나사산을 형성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제1체결판(17a)에만 체결볼트(19)와 대응되는 형상과 치수의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으며, 너트를 부가적인 체결수단으로 구성하여 체결볼트를 고정해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16)는 안전벨트용 파이프의 경사부(P2)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7)는 상기 경사부(P2)를 지난 위치로 파이프(P)에 고정 설치된다.
즉,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16)의 길이에 따라 체결부(17)에 의한 보강캡(10)의 고정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16)를 파이프의 경사부(P2)까지 연장함에 따라 폭발장치의 폭발력이 파이프의 확관부(P1)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캡의 전개도이고, 도 10은 성형이 완료된 보강캡의 대략적인 평면구성도로서, 일정한 두께의 철판을 이용해 도 9와 같은 형상으로 만든 다음, 도 10과 같이 원주부(11), 연장부(16) 및 체결부(17)의 형상을 대략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하고, 이후 안전벨트용 파이프에 체결할 때에는 체결돌기(14)를 체결홈(15)에 끼우고, 제1체결판(17a)과 제2체결판(17b)을 서로 밀착시킨 다음 체결볼트(19)에 의해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보강캡(1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점선은 원주부(11), 연결부(12), 절곡부(13), 연장부(16), 체결부(17), 아크체결판(18) 및 제1, 2체결판(17a, 17b)의 구성을 나누어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선이며, 실제의 보강캡(10)은 위의 모든 구성들이 하나의 철판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은 파이프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폭발장치의 폭발로 인해 파이프가 파손되거나 파이프의 클로징 작업에 의해 파이프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폭발장치가 파이프 밖으로 배출되어 폭발장치의 폭발력이 파이프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작동볼 이외의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캡이며, 특히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파이프의 확관부를 지난 위치에 고정되어 폭발력의 폭발로 인해 확관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보강캡은 원통형의 원주부와, 상기 원주부의 일측 단면에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원주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부로 구성하여, 하나의 철판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어서 제작공정을 간편히 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하며, 설치과정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와 함께, 상기 연장부는 안전벨트용 파이프의 경사부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경사부를 지난 위치로 파이프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폭발장치의 폭발력이 파이프의 확관부 쪽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확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보강캡
11. 원주부 11a. 돌기원주부 11b. 홈원주부
12. 연결부 12a. 관통홈 12b. 탄성돌기
13. 절곡부 13a. 홈
14. 체결돌기 14a. 경사면
15. 체결홈 15a. 경사면
16. 연장부 16a. 상부경사부 16b. 중심부
16c. 하부경사부 16d. 절개홈 16e. 절개홈
17. 체결부 17a. 제1체결판 17b. 제2체결판
17c. 분할부
18. 아크체결판 19. 체결볼트
30. 하우징 31. 가이드드럼
32. 피니언기어 33. 고정플레이트
34. 커버 35. 폭발장치
P. 파이프 P1. 확관부 P2. 경사부
B. 작동볼

Claims (4)

  1.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파이프(P)의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캡(10)에 있어서,
    상기 보강캡(10)은 원통형의 원주부(11)와, 상기 원주부(11)의 일측 단면에 형성된 절곡부(13)와, 상기 원주부(11)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16)와, 상기 연장부(16)와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부(17)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17)는 체결부(17)의 일단면에서 절곡되는 제1체결판(17a)과, 상기 체결부(17)의 타단면에서 반구형으로 절곡되는 아크체결판(18)과, 상기 아크체결판(18)에서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는 제2체결판(17b)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체결판(17a)과 제2체결판(17b)에는 볼트홀이 각각 형성되어 제1체결판(17a)과 제2체결판(17b)은 체결볼트(19)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아크체결판(18)은 체결부(17)의 타단면에서 반구형으로 절곡되어 분할부(17c)의 내경을 축소시켜 보강캡(10)과 파이프(P)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인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6)에는 연장부(16)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절개홈(16d, 16e)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16d, 16e)은 원주부(11)의 연결부(12) 하부와 체결돌기(14)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6)는 안전벨트용 파이프의 경사부(P2)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7)는 상기 경사부(P2)를 지난 위치로 파이프(P)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특징인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
KR1020230058162A 2023-05-04 2023-05-04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 KR102567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8162A KR102567998B1 (ko) 2023-05-04 2023-05-04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
CN202311227988.0A CN117302100A (zh) 2023-05-04 2023-09-22 增强型安全带用管子的增强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8162A KR102567998B1 (ko) 2023-05-04 2023-05-04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998B1 true KR102567998B1 (ko) 2023-08-16

Family

ID=87848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8162A KR102567998B1 (ko) 2023-05-04 2023-05-04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7998B1 (ko)
CN (1) CN11730210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646Y1 (ko) * 2005-06-22 2005-09-02 주식회사 지오지 파이프 연결용 볼트 타입 소켓
JP2012030774A (ja) * 2010-07-09 2012-02-16 Tokai Rika Co Ltd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2426942B1 (ko) 2022-03-10 2022-07-28 이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
KR102515136B1 (ko) 2022-09-24 2023-03-27 이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의 보강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354B1 (ko) * 2011-11-23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CN102897139B (zh) * 2012-08-21 2014-12-03 延锋百利得(上海)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具有预拉紧功能的紧急锁止式安全带卷收器
CN104890614B (zh) * 2014-03-03 2017-11-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带卷收器及汽车安全带装置
CN104368944B (zh) * 2014-10-31 2016-08-03 哈尔滨朗格斯特节能科技有限公司 预制直埋保温管道系统补口板熔焊接高压夹具及装夹方法
US20210354656A1 (en) * 2020-05-15 2021-11-18 Autoliv Asp, Inc. Flameless retractor pretensioner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646Y1 (ko) * 2005-06-22 2005-09-02 주식회사 지오지 파이프 연결용 볼트 타입 소켓
JP2012030774A (ja) * 2010-07-09 2012-02-16 Tokai Rika Co Ltd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2426942B1 (ko) 2022-03-10 2022-07-28 이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
KR102515136B1 (ko) 2022-09-24 2023-03-27 이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의 보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302100A (zh)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80457B1 (en) Webbing retractor
RU2088440C1 (ru) Механизм втягивания ремня безопасности
US5014927A (en) Webbing retractor
EP1516789B1 (en) Seatbelt retractor
EP0827883B1 (en) Pretensioner
US20230288012A1 (en) Pipe reinforcement cap for seat belt
US6029924A (en) Retractor for a seat belt
KR100299273B1 (ko) 안전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스키드 장치
EP2409882B1 (en) Seatbelt device
US20110297776A1 (en) Seatbelt retractor
KR102515136B1 (ko)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의 보강구조
KR102567998B1 (ko) 보강력을 높인 안전벨트용 파이프 보강캡
US8348307B2 (en) Seatbelt device
EP0600689B1 (en) Seat belt retractor with pre-tensioner
US6405962B1 (en) Retractor for use with a seat belt webbing
US5489072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pre-tensioner
KR20130057111A (ko)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US6659383B2 (en) Seat belt retractor
JP4642982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2567086B1 (ko)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
KR102426941B1 (ko) 안전벨트용 파이프의 보강캡 제조방법
KR20210124208A (ko)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 및 그의 피스톤 몸체
KR101718691B1 (ko) 프리텐셔너
JP6498506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1518955B1 (ko) 차량용 리트랙터 프리텐셔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