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4208A -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 및 그의 피스톤 몸체 - Google Patents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 및 그의 피스톤 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4208A
KR20210124208A KR1020217021355A KR20217021355A KR20210124208A KR 20210124208 A KR20210124208 A KR 20210124208A KR 1020217021355 A KR1020217021355 A KR 1020217021355A KR 20217021355 A KR20217021355 A KR 20217021355A KR 20210124208 A KR20210124208 A KR 20210124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ody
stepped side
tensioning device
tube
conca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1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너스 칼 악셀 라손
유에 유
지유안 슈
사가르 바사랄루 벤카테쉬
샤피 울라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10124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100) 및 그의 피스톤 몸체(110)로서, 상기 피스톤 몸체(110)는 충돌 발생 시, 상기 회전 텐셔닝 장치(100)의 튜브(120) 내의 질량체(130)가 상기 튜브(120)를 이탈하여 상기 회전 텐셔닝 장치(100)의 구동휠로 진입하도록 구동시켜, 구동휠을 상기 안전벨트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 몸체(110)의 상기 질량체(130)와 접촉되기 위한 접촉 단면(C)은 상기 피스톤 몸체(110)의 축방향과 수직인 평탄한 표면 또는 상기 질량체(130)를 향해 융기하는 돌출형 표면으로 설계된다. 상기 피스톤 몸체(110)의 구조를 기반으로 양호한 밀봉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정적으로 조작될 수 있는 회전 텐셔닝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 및 그의 피스톤 몸체
본 발명은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 및 그의 피스톤 몸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는 이미 충돌 발생 시, 특히 충돌 초기에 일단 센서가 감지한 감속도가 임계치보다 높으면, 가스발생기가 트리거 되어 반응가스를 발생하고, 회전 텐셔닝 장치를 안전벨트를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후 충격력이 피크값을 지났거나 또는 승객이 에어백의 보호를 받았을 경우, 안전벨트가 적당히 느슨해지는 회전 텐셔닝 장치에 프리텐셔닝 장치가 장착된 안전벨트가 존재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회전 텐셔닝 장치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회전 텐셔닝 장치가 안전벨트를 조이는 과정을 소개한다. 전자 점화기를 통해 튜브(1)의 일단(11)에 위치한 가스발생기(미도시)가 작동되면, 가스발생기는 화약 폭발을 통해 가스를 방출시킨다. 상기 가스는 튜브(1)에 저장된 피스톤 몸체를 통과하여 튜브(1) 중의 질량체(2)를 향해 힘을 인가하며, 이에 따라, 질량체(2)는 튜브의 타단(12) 부근의 출구(13)를 통과하여 튜브로부터 이탈하여, 구동휠(3)의 홈(31)으로 진입하도록 구동한다. 질량체(2)는 서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구동휠(3)의 홈(31)에 연속적으로 진입하여 구동휠(3)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휠(3)과 함께 고정된 벨트 와인딩 샤프트(4)를 안전벨트를 조여주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회전 텐셔닝 장치가 벨트 와인딩 샤프트 상의 안전벨트를 조여주게 된다.
충돌이 발생한 초기에 가스발생기가 발생시킨 가스가 질량체를 성공적으로 구동시켜 튜브를 이탈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스발생기에서 발생한 거의 모든 가스가 누출 없이 피스톤 몸체에 작용하도록 피스톤 몸체와 튜브 내벽 사이에 밀봉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회전 텐셔닝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피스톤 몸체가 튜브 내에서 튜브의 만곡부까지 이동 시, 피스톤 몸체가 튜브에 대해 기울어지면서 피스톤 몸체와 튜브 사이의 밀봉 효력이 상실되기가 쉬우며, 이에 따라 질량체가 충분한 큰 힘을 받지 못해 튜브를 성공적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텐셔닝 장치의 안정적인 안전벨트 조임 작동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회전 텐셔닝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회전 텐셔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의 피스톤 몸체를 제공하며,
상기 피스톤 몸체는 충돌 발생 시, 상기 회전 텐셔닝 장치의 튜브 내의 질량체가 상기 튜브를 이탈하여 상기 회전 텐셔닝 장치의 구동휠로 진입하도록 구동시켜, 구동휠을 상기 안전벨트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 몸체의 상기 질량체와 접촉되기 위한 접촉 단면은 상기 피스톤 몸체의 축방향과 수직인 평탄한 표면 또는 상기 질량체를 향해 융기하는 돌출형 표면으로 설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단면이 돌출형 표면일 때, 상기 피스톤 몸체의 축선을 지나는 종방향 단면 중, 상기 접촉 단면의 윤곽 곡선은 한 구간의 원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단면의 윤곽 곡선의 원호의 반경은 5.4mm보다 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단면의 윤곽 곡선의 원호의 반경은 15mm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 몸체는 적어도 제1 계단형 측면과 제2 계단형 측면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 계단형 측면은 상기 제2 계단형 측면보다 상기 접촉 단면에서 멀고, 상기 제1 계단형 측면의 외경은 상기 제2 계단형 측면의 외경보다 크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 몸체의 축방향에서 상기 제1 계단형 측면의 크기는 축방향에서 상기 피스톤 몸체 크기의 절반으로 설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 몸체는 상기 제1 계단형 측면과 상기 제2 계단형 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3 계단형 측면을 더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3 계단형 측면의 외경은 상기 제2 계단형 측면의 외경보다 크고 제1 계단형 측면의 외경보다 작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 몸체의 측면에 오목홈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은 제1 오목홈, 제2 오목홈과 제3 오목홈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 오목홈, 상기 제2 오목홈과 상기 제3 오목홈은 상기 피스톤 몸체의 원주방향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 몸체의 상기 제1 계단형 측면의 상기 접촉 단면에서 먼 원주방향 가장자리에 밀봉 립(sealing lip)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튜브 및 상기 튜브 내에 수납되는 질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텐셔닝 장치는 상기 튜브에 수납되는 어느 하나의 전술한 피스톤 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몸체의 상기 접촉 단면은 상기 질량체와 접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피스톤 몸체는 충돌 발생 시, 상기 회전 텐셔닝 장치의 상기 튜브 내의 상기 질량체가 상기 튜브를 이탈하여 상기 회전 텐셔닝 장치의 구동휠로 진입하도록 구동시켜, 구동휠을 상기 안전벨트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 몸체는 적어도 제1 계단형 측면과 제2 계단형 측면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 계단형 측면은 상기 제2 계단형 측면보다 상기 질량체에서 멀고, 상기 제1 계단형 측면의 외경은 상기 제2 계단형 측면의 외경 및 상기 튜브의 내경보다 크도록 설계되며, 또한, 상기 제2 계단형 측면의 외경은 상기 튜브의 내경보다 작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 몸체의 측면에 제1 오목홈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제1 오목홈은 상기 피스톤 몸체가 상기 튜브의 만곡부에 위치할 경우 상기 튜브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튜브의 만곡부에 의해 확정되는 원호의 반경은 20mm~25mm이다.
본 발명의 회전 텐셔닝 장치는 양호한 밀봉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정적인 조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 중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해 예시적으로 설명하며,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 중의 회전 텐셔닝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 몸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텐셔닝 장치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 및 그의 피스톤 몸체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설명한다. 아래의 상세한 기재 및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기재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다.
또한, 공간 관련 용어(예를 들어 "상", "하", "좌" 및 "우" 등)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소자와 다른 소자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공간 관련 용어는 사용 시 도면에 도시된 방향과 다른 방향에 응용될 수 있다. 비록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든 이러한 공간 관련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가리키지만, 당업자라면 도면에 도시된 방향과 다른 방향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 몸체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몸체를 소개한다. 이해하여야 할 점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몸체는 안전벨트의 회전 텐셔닝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앞에서 이미 소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 몸체는 충돌 발생 시, 회전 텐셔닝 장치의 튜브 내의 질량체가 튜브를 이탈하여 회전 텐셔닝 장치의 구동휠로 진입하도록 구동시켜, 구동휠을 안전벨트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몸체(110)는 접촉 단면(C), 제1 계단형 측면(111)과 제2 계단형 측면(112)을 포함한다. 질량체와 접촉되기 위한 접촉 단면(C)은 융기된 돌출형 표면으로 설계되며(도 2에서는 아래로 융기된 돌출형 표면), 구체적으로, 피스톤 몸체(110)의 축선을 지나는 종방향 단면에서 접촉 단면(C)의 윤곽 곡선은 한 구간의 원호이다(즉, 화살표 C가 가리키는 곡선은 원호이다). 제1 계단형 측면(111)은 제2 계단형 측면(112)보다 접촉 단면(C)에서 멀고, 또한 제1 계단형 측면(111)의 외경은 제2 계단형 측면(112)의 외경보다 크도록 설계되어, 피스톤 몸체(110)가 전체적으로 피스톤 몸체(110)의 축방향을 따라 아래로 좁아지는 형태를 띤다. 또한, 피스톤 몸체(110)의 축방향에서 제1 계단형 측면(111)의 크기는 축방향에서 피스톤 몸체(110)의 크기의 절반으로 설계된다. 즉, 제1 계단형 측면(111)과 제2 계단형 측면(112)은 피스톤 몸체(110)의 축방향에서의 크기가 서로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몸체(110)의 측면에 3개의 오목홈, 즉 제1 오목홈(114), 제2 오목홈과 제3 오목홈(제2 오목홈과 제3 오목홈은 모두 도 2에 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며, 또한, 제1 오목홈(114), 제2 오목홈과 제3 오목홈은 피스톤 몸체(110)의 원주 방향에서 균일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즉, 피스톤 몸체의 원주방향에서, 3개의 오목홈은 서로 120도만큼 간격을 둔다). 당업자라면, 충돌이 발생한 상황에서, 충격력이 피크값을 지났거나 또는 승객이 이미 에어백에 의해 보호를 받았을 때, 안전벨트가 적당히 느슨해지게 되고, 이때 이전에 구동휠로 진입했던 질량체가 튜브로 복귀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질량체가 튜브 내로 성공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피스톤 몸체의 측면에 설치된 오목홈이 질량체가 성공적으로 튜브를 이탈하여 구동휠로 진입한 후, 튜브 중의 가스를 방출하도록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몸체(110)의 제1 계단형 측면(111) 중 접촉 단면(C)에서 먼 원주방향 가장자리(즉, 도 2에 도시된 제1 계단형 측면(111) 상면의 축방향 가장자리)에 밀봉 립(113)이 설치된다. 밀봉 립(113)은 튜브와 밀봉을 형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피스톤 몸체(110)의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 중에서의 작동 과정은 아래의 회전 텐셔닝 장치와 결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텐셔닝 장치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텐셔닝 장치를 소개한다. 이해하여야 할 점으로, 도 3에 도시된 회전 텐셔닝 장치는 충돌 발생 시, 회전 텐셔닝 장치가 안전벨트를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해야 하는 상황이며(이하 프리텐셔닝 단계라 칭함), 상기 상황에서, 질량체는 가스발생기가 발생시킨 가스에 의해 피스톤 몸체를 거쳐 튜브를 이탈하게 된다. 이와 상응하게, 가스발생기가 발생시킨 가스가 누출 없이 거의 전부 피스톤 몸체에 작용되도록, 피스톤 몸체와 튜브 사이는 밀봉이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가스발생기가 발생시킨 가스는 질량체를 성공적으로 튜브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텐셔닝 장치(100)는 피스톤 몸체(110), 튜브(120)와 질량체(130)를 포함한다. 피스톤 몸체(110)의 구체적인 구조는 이미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지적해야 할 점으로, 피스톤 몸체(110)에 포함된 제1 계단형 측면(111)과 제2 계단형 측면(112)에 대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계단형 측면(111)의 외경은 제2 계단형 측면(112)의 외경보다 클 뿐만 아니라, 튜브(120)의 내경보다 크도록 설계되며, 제2 계단형 측면(112)의 외경은 튜브(120)의 내경보다 작게 설계된다. 또한, 피스톤 몸체(110)는 회전 텐셔닝 장치(100)에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 피스톤 몸체(110)의 접촉 단면(C)은 질량체(130)와 접촉되기 위한 것이고, 피스톤 몸체(1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 오목홈(114)은 피스톤 몸체(110)가 튜브(120)의 만곡부에 위치할 경우 튜브(120)의 만곡부(P)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당업자라면, "튜브의 만곡부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한다"란 튜브(120)의 만곡부(P)가 소재하는 평면 내, 즉 도 3의 도면 평면 내에서, 튜브(120)의 우상측 방향을 가리키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튜브의 만곡부의 반경방향 외측 방향은 튜브의 좌하측 방향을 가리키며, 피스톤 몸체(110)의 측면 상의 제1 오목홈(114)은 튜브(120)의 만곡부(P)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위치를 향하도록 위치 결정된다(만곡부(P)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분이 만곡부의 반경방향 내측이고, 상기 부분과 반대되는 부분이 만곡부의 반경방향 외측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피스톤 몸체와 튜브 사이의 밀봉을 보조하기 위하여, 만곡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밀봉 립이 설치된다. 또한, 튜브(120)의 만곡부(P)가 확정하는 원호의 반경은 20mm~25mm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텐셔닝 장치에서, 피스톤 몸체의 접촉 단면은 돌출형 표면으로 설계되며, 튜브의 만곡부 부위에서 피스톤 몸체와 질량체의 접촉에 의해 피스톤 몸체가 튜브의 중심선에 대해 한쪽으로 치우쳐 기울어지지 않고 여전히 튜브와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회전 텐셔닝 장치는 튜브의 만곡부에서 피스톤 몸체와 튜브 사이에 양호한 밀봉을 확보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회전 텐셔닝 장치에서, 피스톤 몸체의 접촉 단면은 피스톤 몸체의 축방향과 수직인 평탄한 표면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마찬가지로 튜브의 만곡부에서 피스톤 몸체와 튜브 사이에 양호한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계단형 측면의 외경이 튜브의 내경보다 크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피스톤 몸체가 튜브 내에 설치될 때, 피스톤 몸체의 제1 계단형 측면이 튜브의 내표면에 밀착 가압되며, 이에 따라, 제1 계단형 측면은 튜브와 밀봉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밀봉 립 역시 튜브와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묘사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회전 텐셔닝 장치는 양호한 밀봉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정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몸체의 축선을 지나는 종방향 단면 중, 접촉 단면의 윤곽 곡선의 원호 반경은 5.4mm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몸체의 축선을 지나는 종방향 단면 중, 접촉 단면의 윤곽 곡선의 원호 반경은 15mm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의 피스톤 몸체의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피스톤 몸체는 상기 예시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피스톤 몸체는 제1 계단형 측면과 제2 계단형 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3 계단형 측면을 더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으며, 또한 제3 계단형 측면의 외경은 제2 계단형 측면의 외경보다 크고 제1 계단형 측면의 외경보다 작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피스톤 몸체는 밀봉 립이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피스톤 몸체의 접촉 단면은 피스톤 몸체의 축선을 지나는 종방향 단면 중의 윤곽 곡선이 원호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돌출형 윤곽 곡선, 예를 들어 포물선일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의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회전 텐셔닝 장치는 상기 예시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회전 텐셔닝 장치는 피스톤 몸체에 제1 계단형 측면과 제2 계단형 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3 계단형 측면이 더 포함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으며, 또한, 제3 계단형 측면의 외경은 제2 계단형 측면의 외경 및 튜브의 내경보다 크고 제1 계단형 측면의 외경보다 작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회전 텐셔닝 장치의 피스톤 몸체의 측면상의 오목홈은 3개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더 많거나 더 적은 오목홈이 설치될 수 있으나, 제1 오목홈(114)과 튜브(120)의 상기 배치와 같은 위치 결정을 위해 하나의 오목홈은 확보하여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록 명세서에서 이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마땅히 청구항 및 그와 동등한 의미에 의해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의 피스톤 몸체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몸체는 충돌 발생 시, 상기 회전 텐셔닝 장치의 튜브 내의 질량체가 상기 튜브를 이탈하여 상기 회전 텐셔닝 장치의 구동휠로 진입하도록 구동시켜, 구동휠을 상기 안전벨트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 몸체의 상기 질량체와 접촉되기 위한 접촉 단면은 상기 피스톤 몸체의 축방향과 수직인 평탄한 표면 또는 돌출형 표면으로 설계되는,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의 피스톤 몸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면이 돌출형 표면일 때, 상기 피스톤 몸체의 축선을 지나는 종방향 단면 중, 상기 접촉 단면의 윤곽 곡선은 한 구간의 원호인, 피스톤 몸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면의 윤곽 곡선의 원호의 반경은 5.4mm보다 큰, 피스톤 몸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면의 윤곽 곡선의 원호의 반경은 15mm인, 피스톤 몸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몸체는 적어도 제1 계단형 측면과 제2 계단형 측면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 계단형 측면은 상기 제2 계단형 측면보다 상기 접촉 단면에서 멀고, 상기 제1 계단형 측면의 외경은 상기 제2 계단형 측면의 외경보다 크도록 설계된, 피스톤 몸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몸체의 축방향에서 상기 제1 계단형 측면의 크기는 축방향에서 상기 피스톤 몸체 크기의 절반으로 설계된, 피스톤 몸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몸체는 상기 제1 계단형 측면과 상기 제2 계단형 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3 계단형 측면을 더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3 계단형 측면의 외경은 상기 제2 계단형 측면의 외경보다 크고 제1 계단형 측면의 외경보다 작도록 설계된, 피스톤 몸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몸체의 측면에 오목홈이 설치되는, 피스톤 몸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제1 오목홈, 제2 오목홈과 제3 오목홈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 오목홈, 상기 제2 오목홈과 상기 제3 오목홈은 상기 피스톤 몸체의 원주방향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피스톤 몸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몸체의 상기 제1 계단형 측면의 상기 접촉 단면에서 먼 원주방향 가장자리에 밀봉 립이 설치되는, 피스톤 몸체.
  11.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에 있어서, 튜브 및 상기 튜브 내에 수납되는 질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는 상기 튜브에 수납되는 제1항에 따른 피스톤 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몸체의 상기 접촉 단면은 상기 질량체와 접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피스톤 몸체는 충돌 발생 시, 상기 회전 텐셔닝 장치의 상기 튜브 내의 상기 질량체가 상기 튜브를 이탈하여 상기 회전 텐셔닝 장치의 구동휠로 진입하도록 구동시켜, 구동휠을 상기 안전벨트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 텐셔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면이 돌출형 표면일 때, 상기 피스톤 몸체의 축선을 지나는 종방향 단면 중, 상기 접촉 단면의 윤곽 곡선은 한 구간의 원호인, 회전 텐셔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몸체는 적어도 제1 계단형 측면과 제2 계단형 측면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 계단형 측면은 상기 제2 계단형 측면보다 상기 접촉 단면에서 멀고, 상기 제1 계단형 측면의 외경은 상기 제2 계단형 측면의 외경보다 크도록 설계된, 회전 텐셔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몸체의 축방향에서 상기 제1 계단형 측면의 크기는 축방향에서 상기 피스톤 몸체 크기의 절반으로 설계된, 회전 텐셔닝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몸체는 상기 제1 계단형 측면과 상기 제2 계단형 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3 계단형 측면을 더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3 계단형 측면의 외경은 상기 제2 계단형 측면의 외경보다 크고 제1 계단형 측면의 외경보다 작도록 설계된, 회전 텐셔닝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몸체의 측면에 오목홈이 설치되는, 회전 텐셔닝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제1 오목홈, 제2 오목홈과 제3 오목홈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 오목홈, 상기 제2 오목홈과 상기 제3 오목홈은 상기 피스톤 몸체의 원주방향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회전 텐셔닝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몸체의 상기 제1 계단형 측면의 상기 접촉 단면에서 먼 원주방향 가장자리에 밀봉 립이 설치되는, 회전 텐셔닝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단형 측면의 외경은 상기 제2 계단형 측면의 외경 및 상기 튜브의 내경보다 크도록 설계되고, 또한 상기 제2 계단형 측면의 외경은 상기 튜브의 내경보다 작도록 설계된, 회전 텐셔닝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몸체의 측면에 상기 제1 오목홈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제1 오목홈은 상기 피스톤 몸체가 상기 튜브의 만곡부에 위치할 경우 상기 튜브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 텐셔닝 장치.
KR1020217021355A 2018-12-12 2019-11-19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 및 그의 피스톤 몸체 KR202101242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518431.1 2018-12-12
CN201811518431.1A CN111301340A (zh) 2018-12-12 2018-12-12 用于安全带的旋转收紧装置及其活塞体
PCT/CN2019/119470 WO2020119405A1 (zh) 2018-12-12 2019-11-19 用于安全带的旋转收紧装置及其活塞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208A true KR20210124208A (ko) 2021-10-14

Family

ID=71076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355A KR20210124208A (ko) 2018-12-12 2019-11-19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 및 그의 피스톤 몸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10124208A (ko)
CN (1) CN111301340A (ko)
WO (1) WO20201194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4890B (zh) * 2022-02-23 2023-07-18 阜宁裕隆环保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耐高温作用的布袋除尘器及其固定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43625T3 (es) * 1994-04-11 2000-05-16 Autoliv Dev Accionamiento de masas para un dispositivo tensor giratorio.
WO2005025949A1 (en) * 2003-09-16 2005-03-24 Autoliv Ifb India Pvt Ltd A web spool tightener
DE102007028980A1 (de) * 2007-06-23 2009-01-02 Autoliv Development Ab Gurtstraffer mit becherförmigem Antriebskolben
DE102008018124B4 (de) * 2008-04-09 2010-06-17 Autoliv Development Ab Straffer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US9114780B2 (en) * 2009-10-30 2015-08-25 Autoliv Development Ab Pretensioner device for a seat belt
DE102009051451B4 (de) * 2009-10-30 2018-01-11 Autoliv Development Ab Straffer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JP5317946B2 (ja) * 2009-12-15 2013-10-16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12007801B4 (de) * 2012-04-20 2021-12-30 Zf Automotive Germany Gmbh Gurtstraffer mit pyrotechnischem Antrieb
DE102012214936B4 (de) * 2012-08-22 2016-09-15 Autoliv Development Ab Pyrotechnische Straff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r Sicherheitsgurteinrichtung mit einer Kraftbegrenzungseinrichtung
DE102014114653B3 (de) * 2014-08-05 2015-07-02 Autoliv Development Ab Gurtstraffer mit einer Sicke an dem Strafferrohr
JP2016112981A (ja) * 2014-12-12 2016-06-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DE102015209252B4 (de) * 2015-05-20 2016-05-12 Takata AG Strafferantrieb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DE102015212317B4 (de) * 2015-07-01 2019-10-10 Autoliv Development Ab Straffer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9405A1 (zh) 2020-06-18
CN111301340A (zh)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7150B2 (en)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apparatus
US4444010A (en) Rotary power element
JP3628217B2 (ja) 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
US6446897B1 (en) Seat belt system
US20100181408A1 (en) Belt Tensioner With a Cup-Shaped Drive Piston
JP2001063519A (ja) プリテンショナ
EP0809582B1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20080054617A1 (en) Vehicle Having At Least One Seat For At Least One Vehicle Occupant And A Belt System
JP6775361B2 (ja) プリテンショナ、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H1044935A (ja) 車輌乗員拘束装置用のベルト予緊張装置
KR20210124208A (ko) 안전벨트용 회전 텐셔닝 장치 및 그의 피스톤 몸체
JPWO2009008039A1 (ja) プリテンショナ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10647A (ko) 시트 벨트 사전인장기
JPH10167004A (ja) 車両安全拘束リトラクター用プリテンショナー装置
US5924640A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KR20080003201A (ko) 목 보호용 에어백 장치
JP2963883B2 (ja) 一体化されたベルトテンショナーを備えている車両シート
JPS5836984B2 (ja) カイテンクドウブザイ
KR20180112559A (ko) 차량의 안전벨트용 프리텐셔너
CN111347994B (zh) 安全带卷收装置及安全带组件
US10800376B2 (en) Belt retractor for a safety belt device
KR20170012949A (ko) 프리텐셔너 장치
US10759380B2 (en) Belt tightener, safety belt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safety belt device
EP3433137B1 (en) A safety belt retractor, a vehicle safety belt and a vehicle
KR101316391B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리트렉터 통합 프리텐셔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