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054A -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054A
KR20230008054A KR1020227037285A KR20227037285A KR20230008054A KR 20230008054 A KR20230008054 A KR 20230008054A KR 1020227037285 A KR1020227037285 A KR 1020227037285A KR 20227037285 A KR20227037285 A KR 20227037285A KR 20230008054 A KR20230008054 A KR 20230008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resin
particulate water
water
resin composition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시 타케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08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05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bound to another nitrogen atom
    • C08K5/24Derivatives of hydraz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5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modified or post-treated polymers
    • B01J20/267Cross-linked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4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1Other properties, e.g. density, crush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16Particl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26Particles within, immobilised, dispersed, entrapped in or on a matrix, e.g. a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2Adsorbed ingredients, e.g. ingredients on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C08L101/14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water soluble or water swellable, e.g. aqueou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40Aspects relating to the composition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46Materials comprising a mixtur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50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68Superabsorb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아세트알데히드 악취와 더불어, 트리메틸아민 악취를 억제할 수 있는, 즉, 복합악취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와, 입자상 흡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입자상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이, 100 ~ 600μm인, 입자상 흡수성 수지.

Description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 기저귀, 생리대, 요실금 패드 등의 위생 재료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흡수체(吸收體)를 구성하는 입자상 흡수성(吸水性) 수지 조성물, 및 흡수체를 이용한 흡수성(吸收性)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수지는, 최근, 종이 기저귀, 생리대, 요실금 패드 등의 위생 재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흡수성 수지로서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체의 가교물,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의 중합체의 가교물이, 뛰어난 흡수능(吸水能)을 갖는 동시에, 그 원료인 아크릴산의 공업적인 입수가 용이하기 때문에, 품질이 일정하고, 또한, 염가로 제조할 수 있고, 게다가 부패나 열화가 일어나기 어려운 등의 여러 가지 이점을 갖는 것으로, 바람직한 흡수성 수지로 여겨지고 있다.
한편, 종이 기저귀, 생리대, 요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은, 주로, 중심부에 배치된, 신체에서 배설되는 소변, 생리혈 등의 체액을 흡수, 유지하는 흡수체와; 신체에 접하는 측에 배치된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톱 시트)와; 신체와 접하는 반대측에 배치된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백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흡수체는, 통상적으로, 펄프 등의 친수성 섬유와 흡수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흡수체가 예를 들면 위생 재료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체액, 특히 소변, 혈액, 땀 등을 흡수한 흡수체로부터,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불쾌한 냄새를 억제하는 수법으로서, 예를 들면, 히드라지드 화합물 등의 유기 아민 화합물을 알데히드 화합물의 흡착제로서, 흡수성 수지에 첨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1-323155호 공보
상기와 같은 흡수체에는, 아세트알데히드에 기초한 불쾌한 냄새의 소취(消臭) 외에, 트리메틸아민에 기초한 불쾌한 냄새의 소취도 기대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히드라지드 화합물은 아세트알데히드 악취의 억제에는 유효하지만, 트리메틸아민 악취의 억제 효과는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은, 아세트알데히드 악취에 더해, 트리메틸아민 악취를 억제할 수 있는, 즉, 복합악취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검토했다. 그 결과, 히드라지드 화합물을 담지시킨 담지체를 입자상의 흡수성 수지와 함께 이용함으로써, 복합악취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음을 찾아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더 예의검토를 거듭하여 완성한 발명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구성을 구비하는 발명을 제공한다.
항 1.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와, 입자상 흡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입자상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이, 100 ~ 600μm인,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항 2. 상기 입자상 흡수성 수지의 형태가, 대략 구상, 부정형 파쇄상, 또는 판상인 1차 입자의 형태, 및 상기 1차 입자가 응집된 2차 입자의 형태 중 적어도 1종으로부터 선택되는 입자상 흡수성 수지인, 항 1에 기재된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항 3. 상기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가, 입자상 흡수성 수지의 표면 및 내부 중 적어도 한 쪽에 존재하고 있는, 항 1 또는 2에 기재된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항 4. 상기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의 담체가, 규산 및 규산염 중 적어도 한 쪽인, 항 1 ~ 3에 기재된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항 5.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의 함유율이, 0.001 ~ 10질량%인, 항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항 6. 상기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에 있어서의 히드라지드 화합물의 함유율이, 0.1 ~ 30질량%인, 항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항 7. 아세트알데히드 및 트리메틸아민에 기인하는 악취의 소취에 이용되는, 항 1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항 8. 항 1 ~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흡수체.
항 9. 항 8에 기재된 흡수체를, 액체 투과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 사이에 유지시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
본 발명에 의하면, 아세트알데히드 악취 및 트리메틸아민 악취를 바람직하게 억제하는,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당해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흡수성 물품 및 흡수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종래, 히드라지드 화합물은, 물 등의 액체가 제공된 상태에서 아세트알데히드에 대한 효과를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히드라지드 화합물을 흡수성 수지에 첨가했을 경우, 흡수성 수지가 액체를 끌어당기는 것으로, 히드라지드 화합물은 아세트알데히드에 대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흡수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히드라지드 화합물이 담지체로서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으며,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에 액체가 제공되지 않아도 아세트알데히드에 대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흡수성 물품이나 흡수체에 이용했을 경우, 흡수하지 않은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의 부분에 대해서도, 아세트알데히드 악취, 나아가서는 트리메틸아민 악취를 억제한다는 부가적인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1.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은,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와 입자상 흡수성 수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자상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이, 100 ~ 6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에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가 포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 악취 및 트리메틸아민 악취를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 상술한다.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
본 발명의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는, 히드라지드 화합물이 담체에 담지된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적절하게 발휘하는 관점에서, 히드라지드 화합물은, 포름히드라지드, 아세트히드라지드, 프로피온산히드라지드, 4-메틸벤조히드라지드, 비페닐-4-카복실산히드라지드, 2-브로모벤조히드라지드, 3-브로모벤조히드라지드, 4-브로모벤조히드라지드, 2-클로로벤조히드라지드, 3-클로로벤조히드라지드, 4-클로로벤조히드라지드, 3,4-디클로로벤조히드라지드, 2,4-디클로로벤조히드라지드, 2,4-디히드록시벤조히드라지드, 3-히드록시벤조히드라지드, 4-히드록시벤조히드라지드, 이소부티르산히드라지드, 3-메톡시벤조히드라지드, 4-메톡시벤조히드라지드, 메틸말레산히드라지드, 1-나프토히드라지드, 니코틴산히드라지드, 3-니트로벤즈히드라지드, 4-니트로벤즈히드라지드, 3-니트로프탈산히드라지드, 4-니트로프탈산히드라지드, n-옥타노히드라지드, 팔미트산히드라지드, 2-페녹시벤조히드라지드, 페닐초산히드라지드, 2-피리딘카복실산히드라지드, 스테아르산히드라지드, 2-티오펜카복실산히드라지드, L-티로신히드라지드 등의 모노히드라지드 화합물; 말론산디히드라지드, 숙신산디히드라지드, 아디프산디히드라지드, 카보히드라지드, 이소프탈산디히드라지드, 프탈산디히드라지드, 테레프탈산디히드라지드, 아젤라산디히드라지드, 세바스산디히드라지드, 옥살산디히드라지드, 도데칸디오산디히드라지드, 옥살릴디히드라지드, 아디프산디히드라지드 등의 디히드라지드 화합물; 또한 트리, 테트라 및 그 이상의 히드라지드기를 갖는 다가 히드라지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히드라지드 화합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말론산디히드라지드, 숙신산디히드라지드, 아디프산디히드라지드, 카보히드라지드, 이소프탈산디히드라지드, 프탈산디히드라지드, 테레프탈산디히드라지드, 아젤라산디히드라지드, 세바스산디히드라지드, 옥살산디히드라지드, 도데칸디오산디히드라지드, 옥살릴디히드라지드 등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말론산디히드라지드이다. 담체에 담지되어 있는 히드라지드 화합물은, 1종류여도 되고, 2종류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히드라지드 화합물을 담지시키는 담체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적절하게 발휘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규산염, 규산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규산염이다. 또한, 규산염은, 바람직하게는 층상 규산염 광물(필로 규산염 광물)이다. 또한, 층상 규산염 광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카올린(kaolin)(예를 들면, 리자다이트(lizardite)(Mg3Si2O5(OH)4), 카올리나이트(kaolinite)(Al2Si2O5(OH)4), 부르켈린(Burchellin)(Fe2.5Al0.5)[Si1.5Al0.5O5(OH)4] 등), 운모 점도 광물(예를 들면, 불소 금운모(KMg3(AlSi3)O10F2), 금운모(KMg3(AlSi3)O10(F,OH)2), 폴리리티오나이트(KLi2AlSi4O10(F,OH)2), 이스토나이트(KMg2Al(Al2Si2)O10(F,OH)2) 등 불소를 포함한 것), 스멕타이트(예를 들면, 몬모릴로나이트((Ca/2,Na) 0.3(Mg,Fe2+)3(Si,Al)4O10(OH)2/4H2O 등)), 혼합층 광물, 사문석 광물(예를 들면, 사문석(Mg3Si2O5(OH)4), 탈크(Mg3Si4O10(OH)2), 녹니석(예를 들면, 클리노클로어((Mg,Fe2+)5Al(Si3Al)O10(OH)8), 샤모사이트((Fe2+,Mg,Fe3+)5Al(Si3Al)O10(OH)8) 등), 버미큘라이트 등이다. 히드라지드 화합물을 담지시키는 담체는, 1종류여도 되고, 2종류 이상이어도 된다.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는, 말론산디히드라지드 담지의 규산염(특히, 말론산디히드라지드를 담지시킨 층상 규산염 광물)을 들 수 있다.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는, 공지의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요건을 만족하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적절하게 발휘하는 관점에서,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에 있어서의 히드라지드 화합물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0.1 ~ 3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2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0 ~ 10질량%이다.
또한,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의 중위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1 ~ 10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50μm, 더 바람직하게는 1.0 ~ 10μm이다.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의 중위 입자 직경은, 레이저 회절·산란법(JIS Z8825: 2013)에 따라 측정되는 값이다.
본 발명의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0.001 ~ 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5.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0.05 ~ 2.0질량%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수성 수지 조성물은, 입자상이다.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는, 입자상 흡수성 수지의 표면 및 내부 중 적어도 한 쪽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자상 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입자상 흡수성 수지와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를 고체상의 상태로 혼합하는 것에 의해,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의 표면에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를 존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를 액상 매체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상태로, 입자상 흡수성 수지와 혼합하여 본 발명의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조제해도 된다. 또한, 입자상 흡수성 수지의 내부에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를 포함시켜도 된다.
(입자상 흡수성 수지)
본 발명의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입자상 흡수성 수지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물을 가교한 것, 즉,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가교 중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입자상 흡수성 수지는, 그 중위 입자 직경이 100 ~ 600μm이고, 200 ~ 50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 ~ 450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 ~ 425μm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입자상 흡수성 수지는, 각각이 단일 입자로 이루어지는 형태 외에, 미세한 입자(1차 입자)가 응집된 형태(2차 입자)여도 된다. 1차 입자의 형상으로서는, 대략 구상, 부정형 파쇄상, 판상 등을 들 수 있다. 역상현탁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1차 입자인 경우에는, 진구상(眞球狀), 타원 구상 등과 같은 원활한 표면 형상을 갖는 대략 구상인 단일 입자 형상을 들 수 있지만, 이러한 형상의 1차 입자는, 표면 형상이 원활한 것에 의해, 분체로서의 유동성이 높아지는 데다 응집된 입자가 조밀하게 충전되기 쉬우므로 충격을 받아도 파괴되기 어렵고, 입자 강도가 높은 흡수성 수지가 된다.
입자상의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은, JIS 표준체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한 값이다.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 방법은, 대표적인 중합법인 수용액중합법, 유화중합법, 역상현탁중합법 등이 이용된다. 수용액중합법에서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을, 필요에 따라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것에 의해 중합이 행해진다. 또한, 역상현탁중합법에서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 교반하에서 가열하는 것에 의해 중합이 행해진다. 정밀한 중합 반응 제어와 광범한 입자 직경의 제어가 가능한 관점에서 역상현탁중합법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입자상 흡수성 수지에 관하여, 그 제조 방법의 일례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입자상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서 역상현탁중합시켜 입자상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중합을 실시하는 공정과, 중합에서 얻어진 함수 겔상 물질에, 후가교제의 존재하에서 후가교하는 공정을 갖는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입자상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내부 가교제를 첨가하여 내부 가교 구조를 갖는 함수 겔상 물질로 해도 된다.
<중합 공정>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합해서 "(메타)아크릴"로 표기한다. 이하, 동일하다) 및 그의 염; 2-(메타)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및 그의 염;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비이온성 단량체;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노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및 그의 4차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중에서도, 공업적으로 입수가 용이한 점 등의 관점에서, (메타)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가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산 및 그의 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산 및 그의 염이 흡수성 수지의 원재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아크릴산 및/또는 그의 염에, 전술한 다른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공중합시켜서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아크릴산 및/또는 그의 염은, 주가 되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 총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대해 70 ~ 100몰%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수용액의 상태에서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 분산되고 역상현탁중합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수용액으로 함으로써,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서의 분산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러한 수용액에 있어서의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농도로서는, 20질량% 내지 포화 농도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농도로서는, 5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4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한편,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농도로서는, 2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8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등과 같이 산기(酸基)를 갖는 경우, 필요에 따라 그 산기가 알칼리성 중화제에 의해 미리 중화된 것을 이용해도 된다. 이러한 알칼리성 중화제로서는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칼륨 등의 알칼리금속염; 암모니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알칼리성 중화제는, 중화조작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수용액의 상태로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알칼리성 중화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알칼리성 중화제에 의한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중화도로서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갖는 모든 산기에 대한 중화도로서, 10 ~ 10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90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 85몰%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0 ~ 80몰%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
당해 중합 공정에 첨가되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황산나트륨 등의 과황산염류,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메틸이소부틸케톤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t-부틸큐밀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t-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과산화수소 등의 과산화물류, 및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2염산염, 2,2'-아조비스[2-(N-페닐아미디노)프로판]2염산염, 2,2'-아조비스[2-(N-알릴아미디노)프로판]2염산염, 2,2'-아조비스{2-[1-(2-히드록시에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2염산염, 2,2'-아조비스{2-메틸-N-[1,1-비스(히드록시메틸)-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4,4'-아조비스(4-시아노길초산) 등의 아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라디칼 중합 개시제 중에서도, 입수가 용이하고 취급하기 쉬운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황산나트륨 및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2염산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아황산나트륨, 아황산수소나트륨, 황산제일철, 및 L-아스코르브산 등의 환원제와 병용하여, 산화 환원 중합 개시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예를 들어,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몰에 대해 0.00005 ~ 0.01몰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사용량을 충족함으로써, 급격한 중합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회피하고, 또한, 중합 반응을 적절한 시간으로 완료할 수 있다.
[내부 가교제]
내부 가교제로서는, 사용되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체를 가교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란 "폴리"의 접두어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하, 동일하다],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글리세린 등의 디올, 트리올 등의 폴리올류와 (메타)아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등의 불포화산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류;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등의 비스아크릴아미드류; 폴리에폭시드와 (메타)아크릴산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디(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또는 트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류;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디(메타)아크릴산카르바밀에스테르류; 알릴화 전분, 알릴화 셀룰로오스, 디알릴프탈레이트, N,N',N"-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디비닐벤젠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디글리시딜 화합물, 트리글리시딜 화합물 등의 폴리글리시딜 화합물; 에피클로로히드린, 에피브로모히드린, α-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 등의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반응성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 3-메틸-3-옥세탄메탄올, 3-에틸-3-옥세탄메탄올, 3-부틸-3-옥세탄메탄올, 3-메틸-3-옥세탄에탄올, 3-에틸-3-옥세탄에탄올, 3-부틸-3-옥세탄에탄올 등의 옥세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내부 가교제 중에서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류, 또는 폴리글리시딜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부 가교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내부 가교제의 사용량으로서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몰에 대해, 0.000001 ~ 0.02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01 ~ 0.01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001 ~ 0.005몰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0.00005 ~ 0.002몰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탄화수소 분산매]
탄화수소 분산매로서는, 예를 들어, n-헥산, n-헵탄, 2-메틸헥산, 3-메틸헥산, 2,3-디메틸펜탄, 3-에틸펜탄, n-옥탄 등의 탄소수 6 ~ 8인 지방족 탄화수소; 사이클로헥산, 메틸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메틸사이클로펜탄, 트랜스-1,2-디메틸사이클로펜탄, 시스-1,3-디메틸사이클로펜탄, 트랜스-1,3-디메틸사이클로펜탄 등의 지환족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서도, 특히, 공업적으로 입수가 용이하고, 품질이 안정적이고, 또한, 저렴한 점에서, n-헥산, n-헵탄, 사이클로헥산이 적절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탄화수소 분산매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한, 탄화수소 분산매의 혼합물의 예로서는 엑솔헵탄(엑슨모빌사제; 헵탄 및 그의 이성체의 탄화수소 75 ~ 85질량% 함유) 등의 시판품을 이용해도 적절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탄화수소 분산매의 사용량으로서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중합 온도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제1단계의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00질량부에 대해, 100 ~ 15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 140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지만, 역상현탁중합은 1단계(단일단계) 혹은 2단계 이상의 다단계로 행해지고, 전술한 제1단계의 중합이란, 단일단계 중합 혹은 다단계 중합에 있어서의 첫 번째 단계의 중합 반응을 의미한다(이하, 동일하다).
[분산 안정제]
(계면활성제)
역상현탁중합에서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서의 분산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산 안정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분산 안정제로서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알킬알릴포름알데하이드 축합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코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알킬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글루코시드, N-알킬글루콘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인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의 인산 에스테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특히, 단량체의 분산 안정성의 면에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으로서는, 제1단계의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 ~ 3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 2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분자계 분산제)
또한, 역상현탁중합에서 이용되는 분산 안정제로서는, 전술한 계면활성제와 함께 고분자계 분산제를 병용해도 된다.
고분자계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 변성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부타디엔, 무수 말레산·에틸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산화형 폴리에틸렌, 산화형 폴리프로필렌, 산화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셀룰로오스,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계 분산제 중에서도, 특히, 단량체의 분산 안정성의 면에서,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산화형 폴리에틸렌, 산화형 폴리프로필렌, 산화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분자계 분산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고분자계 분산제의 사용량으로서는, 제1단계의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00질량부에 대해, 0.1 ~ 3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 2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외의 성분]
입자상 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그 외의 성분을,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첨가하여 역상현탁중합을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그 외의 성분으로서는, 증점제, 연쇄이동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일례로서,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대해 증점제를 첨가하여 역상현탁중합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점제를 첨가하여 수용액 점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역상현탁중합에 있어서 얻어지는 중위 입자 직경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부분) 중화물,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이민, 덱스트린, 알긴산나트륨,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중합시의 교반 속도가 동일하면,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수용액의 점도가 높을수록 얻어지는 입자의 1차 입자 및/또는 2차 입자는 커지는 경향이 있다.
[역상현탁중합]
역상현탁중합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예를 들어, 분산 안정제의 존재하에서,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수용액을, 탄화수소 분산매에 분산시킨다. 이 때, 중합 반응이 개시되기 전이라면, 분산 안정제(계면활성제나 고분자계 분산제)의 첨가 시기는, 단량체 수용액을 첨가하기 전후의 어느 쪽이든 상관없다.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입자상 흡수성 수지에 잔존하는 탄화수소 분산매의 양을 저감시키기 쉬운 관점에서, 고분자계 분산제를 분산시킨 탄화수소 분산매에 단량체 수용액을 분산시킨 후에, 계면활성제를 더 분산시키고 나서 중합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역상현탁중합은 1단계 혹은 2단계 이상의 다단계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생산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2 내지 3단계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단계 이상의 다단계로 역상현탁중합을 실시할 경우에는, 첫 번째 단계의 역상현탁중합을 실시한 후, 첫 번째 단계의 중합 반응에서 얻어진 반응 혼합물에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첫 번째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두 번째 단계 이후의 역상현탁중합을 실시하면 된다. 두 번째 단계 이후의 각 단계에 있어서의 역상현탁중합에서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외에,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두 번째 단계 이후의 각 단계에 있어서의 역상현탁중합시에 첨가하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전술한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대한 각 성분의 몰비의 범위 내에서 첨가하여 역상현탁중합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 번째 단계 이후의 중합에 있어서도, 필요에 따라,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내부 가교제를 첨가해도 된다.
중합 반응의 반응 온도로서는, 중합을 신속하게 진행시켜, 중합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에 의해, 경제성을 높임과 함께 용이하게 중합열을 제거하여 원활하게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관점에서, 20 ~ 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9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후가교 공정>
다음으로, 입자상 흡수성 수지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진 내부 가교 구조를 갖는 함수 겔상 물질에 대해, 후가교제를 첨가하여 가교하는 것(후가교 반응)으로 얻을 수 있다. 이 후가교 반응은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 이후에 후가교제의 존재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합 이후에, 내부 가교 구조를 갖는 함수 겔상 물질에 대해 후가교 반응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입자상 흡수성 수지의 표면 근방의 가교 밀도를 높여서 하중(荷重) 하의 흡수능 등의 제반 성능을 높인 입자상 흡수성 수지를 얻을 수 있다.
후가교제로서는, 반응성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폴리글리세린 등의 폴리올류;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의 폴리글리시딜 화합물; 에피클로로히드린, 에피브로모히드린, α-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 등의 할로에폭시 화합물;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메틸-3-옥세탄메탄올, 3-에틸-3-옥세탄메탄올, 3-부틸-3-옥세탄메탄올, 3-메틸-3-옥세탄에탄올, 3-에틸-3-옥세탄에탄올, 3-부틸-3-옥세탄에탄올 등의 옥세탄 화합물; 1,2-에틸렌비스옥사졸린 등의 옥사졸린 화합물; 에틸렌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 화합물; 비스[N,N-디(β-히드록시에틸)]아디프아미드 등의 히드록시알킬아미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후가교제 중에서도,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의 폴리글리시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후가교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후가교제의 사용량으로서는, 중합에 사용된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총량 1몰에 대해, 0.00001 ~ 0.01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05 ~ 0.005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01 ~ 0.002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후가교제의 첨가 방법으로서는, 후가교제를 그대로 첨가해도, 수용액으로 해서 첨가해도 되지만, 필요에 따라, 용매로서 친수성 유기 용매를 이용한 용액으로 해서 첨가해도 된다. 친수성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저급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친수성 유기 용매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거나, 또는 물과의 혼합 용매로서 이용해도 된다.
후가교제의 첨가 시기로서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 반응이 거의 종료된 후이면 되고,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00질량부에 대해, 1 ~ 400질량부의 범위의 수분 존재하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 200질량부의 범위의 수분 존재하에서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100질량부의 범위의 수분 존재하에서 첨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20 ~ 60질량부의 범위의 수분 존재하에서 첨가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수분의 양은 반응계에 포함되는 수분과 후가교제를 첨가할 때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수분과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후가교 반응에 있어서의 반응 온도로서는, 50 ~ 250℃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 1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 140℃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70 ~ 12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후가교 반응의 반응 시간으로서는, 1 ~ 300분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200분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건조 공정>
전술한 역상현탁중합을 실시한 후, 열 등의 에너지를 외부로부터 가함으로써, 물, 탄화수소 분산매 등을 증류에 의해 제거하는 건조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역상현탁중합 후의 함수 겔에서 탈수를 실시할 경우,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 함수 겔이 분산되어 있는 계를 가열하는 것으로, 물과 탄화수소 분산매를 공비증류에 의해 계 외부로 일단 증류 제거한다. 이때, 증류 제거한 탄화수소 분산매만을 계 내부로 반송하면, 연속적인 공비증류가 가능해진다. 이 경우, 건조 중인 계 내부의 온도가, 탄화수소 분산매와의 공비 온도 이하로 유지되기 때문에, 수지가 열화되기 어려운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물 및 탄화수소 분산매를 증류 제거함으로써, 흡수성 수지의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중합 후에 있어서의 건조 공정의 처리 조건을 제어하여 탈수량을 조정함으로써, 얻어지는 입자상 흡수성 수지의 제반 성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건조 공정에서는 증류에 의한 건조 처리를 상압(常壓)하에서 실시해도 되고, 감압(減壓)하에서 실시해도 된다. 또한, 건조 효율을 높이는 관점에서, 질소 등의 기류하에서 실시해도 된다. 건조 처리를 상압하에서 실시하는 경우에는, 건조 온도로서는 70 ~ 250℃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1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 140℃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90 ~ 13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 처리를 감압하에서 실시할 경우에는, 건조 온도로서는 40 ~ 16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1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역상현탁중합에 의해 단량체의 중합을 실시한 후에 후가교제에 의한 후가교 공정을 실시했을 경우에는, 그 후가교 공정의 종료 후에, 전술한 증류에 의한 건조 공정을 실시하도록 한다. 또는, 후가교 공정과 건조 공정을 동시에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에 더하여, 목적에 따른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무기 분말, 계면활성제, 산화제, 환원제, 금속 킬레이트제, 라디칼 연쇄 금지제, 산화방지제, 항균제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무기 분말로서 0.05 ~ 5질량부의 비정질 실리카를 첨가함으로써, 흡수성 수지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입자상 흡수성 수지(첨가제를 제외한다)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98질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은, 아세트알데히드 및 트리메틸아민에 기인하는 악취의 억제에 적합에 이용된다.
2. 흡수체,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의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면, 생리 용품, 종이 기저귀 등의 위생 재료에 이용되는 흡수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흡수체는, 본 발명의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흡수체는, 친수성 섬유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흡수체의 구성으로서는, 흡수성 수지를 부직포 상 혹은 복수의 부직포 사이에 고정시킨 형태의 시트상 구조체,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과 친수성 섬유를 균일한 조성이 되도록 혼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혼합 분산체, 층상의 친수성 섬유 사이에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이 끼인 샌드위치 구조체,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과 친수성 섬유를 티슈로 감싼 구조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흡수체에는, 별도의 성분, 예를 들면, 흡수체의 형태 유지성을 높이기 위한 열 융착성 합성 섬유, 핫멜트 접착제, 접착성 에멀젼 등의 접착성 바인더가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흡수체에 있어서의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으로서는, 5 ~ 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9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 90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0 ~ 80질량%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친수성 섬유로서는, 목재에서 얻어지는 면상(綿狀) 펄프, 메커니컬 펄프, 케미컬 펄프, 세미케미칼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인공 셀룰로오스 섬유, 친수화 처리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통상적으로, 0.1 ~ 10mm이며, 또는 0.5 ~ 5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흡수체를,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액체 투과성 시트(톱 시트)와, 액체가 통과할 수 없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백 시트) 사이에 유지시키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으로 할 수 있다. 액체 투과성 시트는, 신체와 접촉하는 측에 배치되고, 액체 불투과성 시트는 신체와 접하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액체 투과성 시트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에어스루(air through)형, 스펀본드(spunbonded)형, 케미컬본드형, 니들펀치형 등의 부직포 및 다공질의 합성 수지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투과성 시트는, 써멀본드(thermal bond)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및 스펀본드/멜트블로운(meltblown)/스펀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투과성 시트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5g/m2 이상 100g/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g/m2 이상 60g/m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액체 투과성 시트에는, 액체의 확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에 엠보싱 가공이나 천공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엠보싱 가공이나 천공 가공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는, 공지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 내수성의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고강도의 스펀본드 부직포 사이에 끼운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SMS) 부직포 등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 이들 합성 수지와 부직포(예를 들면, 스펀본드 부직포, 스펀레이스(spunlace) 부직포)와의 복합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하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는, 예를 들면, 단위 면적당 질량이 10 ~ 50g/m2인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여도 된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시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은, 이하의 각종 시험에서 평가했다. 이하, 각 평가시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중위 입자 직경>
측정은 온도 25±2℃, 습도 50±10%의 환경하에서 실시되었다. JIS 표준체를 위로부터, 체눈 크기 850μm의 체, 체눈 크기 600μm의 체, 체눈 크기 500μm의 체, 체눈 크기 425μm의 체, 체눈 크기 300μm의 체, 체눈 크기 250μm의 체, 체눈 크기 150μm의 체, 및 받침접시의 순서로 조합했다.
조합된 제일 위층의 체에,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50g을 넣고, 로탭(RO-TAP)식 진탕기를 이용하여 10분간 진탕시켜 분급했다. 분급 후, 각 체 상에 남은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의 질량을 전량(全量)에 대한 질량 백분율로서 산출하여 입도 분포를 구했다. 이러한 입도 분포에 관해 입자 직경이 큰 것부터 순서대로 체 상을 적산(積算)하는 것에 의해, 체눈 크기와 체 상에 남은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의 질량 백분율의 적산값과의 관계를 대수 확률지(logarithmprobability paper)에 플롯했다. 확률지 상의 플롯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적산 질량 백분율 50질량%에 상당하는 입자 직경을 중위 입자 직경으로 했다.
<아세트알데히드 및 트리메틸아민을 포함하는 복합악취의 억제 시험>
(복합악취 가스의 조제)
25±2℃의 환경하에서,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19.3ppm로 조정된 표준 가스(스미토모세이카가부시키가이샤제, 질소 희석) 9L를 10L의 테들라 백에 봉입하고, 또한 트리메틸아민 수용액을 기화시킨 가스를 시린지로 봉입하고, 테들라 백 내의 트리메틸아민 농도가 22ppm인 복합악취 가스를 조제했다. 테들라 백 내의 각 악취 성분의 농도는, 기체 검지관(가부시키가이샤가스테크사제, 검지관: 아세트알데히드 92L, 및 트리메틸아민 180)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트리메틸아민 농도는, 검지관에 정해져 있는 보정값을 이용한 아래 식으로 구한 것을 이용하고,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검지관의 표시 농도를 그대로 이용한다.
(트리메틸아민 농도) = (검지관 표시 농도) × (물질 계수: 0.9) × (온도 계수: 0.7)
복합악취의 억제 시험은 25℃±2℃의 환경하에서 실시했다. 내경 10cm, 높이 1.5cm의 플라스틱 샬레에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1.00g을 넣었다.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이 들어 있는 샬레를, 내경 5mm의 실리콘 튜브를 통해 삼방 콕이 부착된 2L-테들라 백(1구 캡 부착)에 넣고, 열접착(heat seal)에 의해 밀폐했다. 이어서, 유리 시린지(항습 유리 주사통, 200mL, 유겐가이샤츠지세이사쿠쇼제)를 삼방 콕에 접속하여, 테들라 백 내의 공기를 전량 뽑아냈다. 그 후, 전술한 유리 시린지를 이용하여, 미리 조제한 복합악취 가스 900mL를 테들라 백에 봉입했다. 복합악취 가스의 봉입 완료부터 60분 후, 테들라 백에서 삼방 콕을 떼어내, 선단을 연 기체 검지관(가부시키가이샤가스테크사제, 검지관: 트리메틸아민 180)을 장착하여, 테들라 백 기상 중의 트리메틸아민 농도를 측정했다. 트리메틸아민 농도의 측정 완료 후, 즉시 전술한 트리메틸아민용 기체 검지관을 떼어내, 동일하게 하여, 선단을 연 별도의 기체 검지관(가부시키가이샤가스테크사제, 검지관: 아세트알데히드 92L)을 장착하여,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했다. 또한, 트리메틸아민 농도는, 검지관에 정해져 있는 보정값을 이용한 아래 식으로 구한 것을 이용하고,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검지관의 표시 농도를 그대로 이용했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트리메틸아민 농도) = (검지관 표시 농도) × (물질 계수: 0.9) × (온도 계수: 0.7)
<입자상 흡수성 수지의 제조>
(제조예 1)
환류 냉각기, 적하(滴下) 깔때기, 질소 가스 도입관, 및 교반기로서, 날개 직경 5cm의 4매 경사 패들 날개를 2단으로 갖는 교반 날개를 구비한 내경 11cm, 2L용적의 환저 원통형 세퍼러블 플라스크를 준비했다. 이 플라스크에, 탄화수소 분산매로서 n-헵탄 293g을 취하고,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미쓰이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하이왁스 1105A) 0.736g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80℃까지 승온시켜서 분산제를 용해시킨 후, 50℃까지 냉각시켰다.
한편, 내부 용적 300mL의 비커에,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 80.5질량%의 아크릴산 수용액 92.0g(1.03몰)을 취하고, 얼음물로 냉각시키면서, 20.9질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47.7g을 적하하여 75몰%의 중화를 실시한 후, 증점제로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092g(스미토모세이카가부시키가이샤, HECAW-15F), 수용성 라디칼 중합제로서 과황산칼륨 0.0736g(0.272밀리몰), 내부 가교제로서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0.010g(0.057밀리몰)을 가하여 용해시켜, 첫 번째 단계의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그리고, 상기에서 조제한 단량체 수용액을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첨가하여 10분간 교반한 후, 20mL-바이알병 중에 있어서, n-헵탄 6.62g에 계면활성제로서 HLB3의 수크로스 스테아르산 에스테르(미쓰비시카가쿠푸드가부시키가이샤, 료토슈가에스테르 S-370) 0.736g을 가열 용해시킨 계면활성제 용액을 더 첨가하고, 교반기의 회전수를 550rpm로 하여 교반하면서 계 내를 질소로 충분히 치환한 후, 플라스크를 70℃의 수욕(水浴)에 60분간 침지시켜, 제1단계의 중합 슬러리액을 얻었다.
한편, 별도의 내부 용적 500mL의 비커에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 80.5질량%의 아크릴산 수용액 128.8g(1.43몰)을 취하고, 얼음물로 냉각시키면서, 27질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59.0g을 적하하여 75몰%의 중화를 실시한 후,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 칼륨 0.103g(0.381밀리몰), 내부 가교제로서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0.0116g(0.067밀리몰)을 가하여 용해시켜, 두 번째 단계의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교반기의 회전수를 1000rpm로 하여 교반하면서, 상기의 세퍼러블 플라스크 계 내를 25℃로 냉각시킨 후, 상기 제2단계의 단량체 수용액의 전량을, 제1단계의 중합 슬러리액에 첨가하고, 계 내를 질소로 30분간 치환한 후, 재차, 플라스크를 70℃의 수욕에 60분간 침지시켜, 제2단계의 함수 겔 중합체를 얻었다.
제2단계의 중합 후의 함수 겔 중합체에, 45질량%의 디에틸렌트리아민5초산5 나트륨 수용액 0.589g을 교반하에서 첨가했다. 그 후, 125℃로 설정한 유욕(油浴)에 플라스크를 침지시켜, n-헵탄과 물과의 공비 증류에 의해, n-헵탄을 환류시키면서, 257.7g의 물을 계 외로 뽑아냈다. 그 후, 플라스크에 후가교제로서 2질량%의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수용액 4.42g(0.507밀리몰)을 첨가하여, 83℃에서 2시간 유지시켰다.
그 후, n-헵탄을 125℃에서 증발시켜 건조시킴으로써, 입자상의 가교 중합체(건조품)를 얻었다. 이 입자상 가교 중합체를 체눈 크기 850μm의 체를 통과시켜, 입자상 가교 중합체의 질량에 대해 0.1질량%의 비정질 실리카(오리엔탈실리카즈코퍼레이션, 토쿠씰 NP-S)를 입자상 가교 중합체와 혼합하여, 비정질 실리카를 포함하는 입자상의 흡수성 수지를 228.0g 얻었다. 상기 입자상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은 352μm였다.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입자상 흡수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히드라지드 화합물을 담지시킨 규산염 화합물(가부시키가이샤시나넨제오믹쿠, 대시 라이트 M, 히드라지드 화합물의 담지량; 7질량%, 중위 입자 직경 6μm) 1.0질량부를 분체 혼합하여,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복합악취의 억제 시험 후의 기상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3ppm, 트리메틸아민 농도는 0.5ppm 미만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히드라지드 화합물을 담지한 규산염 화합물을, 입자상 흡수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0.5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복합악취의 억제 시험 후의 기상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11ppm, 트리메틸아민 농도는 4ppm이었다.
(비교예 1)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입자상 흡수성 수지를 비교예 1의 입자상 흡수성 수지로서 소취 시험을 실시했다. 복합악취의 억제 시험 후의 기상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16ppm, 트리메틸아민 농도는 10ppm이었다.
(비교예 2)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입자상 흡수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말론산디히드라지드 0.07질량부를 분체 혼합하여,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복합악취의 억제 시험 후의 기상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13ppm, 트리메틸아민 농도는 12ppm이었다.
(비교예 3)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입자상 흡수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제올라이트(시약으로서 입수할 수 있는 합성 제올라이트, 중위 입자 직경 2μm) 1.0질량부를 분체 혼합하여,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복합악취의 억제 시험 후의 기상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16ppm, 트리메틸아민 농도는 16ppm이었다.
(참고예)
비교 대상으로서,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첨가하지 않고, 샬레만을 테들라 백에 넣은 샘플의 기상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및 트리메틸아민 농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Claims (9)

  1.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와, 입자상 흡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입자상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자 직경이, 100 ~ 600μm인,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상 흡수성 수지의 형태가, 대략 구상, 부정형 파쇄상, 또는 판상인 1차 입자의 형태, 및 상기 1차 입자가 응집된 2차 입자의 형태 중 적어도 1종으로부터 선택되는 입자상 흡수성 수지인,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가, 입자상 흡수성 수지의 표면 및 내부 중 적어도 한 쪽에 존재하고 있는,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의 담체가, 규산 및 규산염 중 적어도 한 쪽인,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의 함유율이, 0.001 ~ 10질량%인,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라지드 화합물 담지체에 있어서의 히드라지드 화합물의 함유율이, 0.1 ~ 30질량%인,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세트알데히드 및 트리메틸아민에 기인하는 악취의 소취(消臭)에 이용되는,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흡수체.
  9. 제 8 항에 기재된 흡수체를, 액체 투과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 사이에 유지시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
KR1020227037285A 2020-04-27 2021-04-23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KR202300080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78118 2020-04-27
JPJP-P-2020-078118 2020-04-27
PCT/JP2021/016526 WO2021220983A1 (ja) 2020-04-27 2021-04-23 粒子状吸水性樹脂組成物、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054A true KR20230008054A (ko) 2023-01-13

Family

ID=78373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285A KR20230008054A (ko) 2020-04-27 2021-04-23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66238A1 (ko)
EP (1) EP4144792B1 (ko)
JP (1) JPWO2021220983A1 (ko)
KR (1) KR20230008054A (ko)
CN (1) CN115516043B (ko)
WO (1) WO20212209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22276B (zh) * 2022-11-15 2024-06-18 江苏美亚科泽过滤技术有限公司 一种粒状多效吸附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3155A (ja) 2000-05-11 2001-11-20 Sanyo Chem Ind Ltd 化粧材用調湿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化粧材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31670T3 (de) * 1994-12-08 2012-02-23 Nippon Shokubai Co. Ltd. Poröses wasserabsorbierendes Harz
JP3748034B2 (ja) * 2000-06-19 2006-0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ショーツ
AU2003296178A1 (en) * 2002-12-24 2004-07-22 Toagosei Co., Ltd. Deodorant with excellent water resistance
JP3979959B2 (ja) * 2003-04-10 2007-09-19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性樹脂組成物
CN1826174A (zh) * 2003-06-06 2006-08-30 三菱化学株式会社 吸水制品及其制备方法
JP2005036035A (ja) * 2003-07-16 2005-02-10 Sanyo Chem Ind Ltd 着色された吸水性樹脂
JP4976679B2 (ja) * 2005-10-25 2012-07-18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性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67495A (ja) * 2005-12-26 2007-07-05 Nikki Universal Co Ltd アルデヒド含有空気の浄化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91093B1 (ko) * 2006-07-24 2014-04-30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JP2012031278A (ja) * 2010-07-30 2012-02-16 San-Dia Polymer Ltd 吸収性樹脂粒子、これを含有してなる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US9737628B2 (en) * 2014-09-25 2017-08-22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High-coverage, low oder malodor counteractant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JP6304404B2 (ja) * 2014-12-26 2018-04-04 東亞合成株式会社 消臭剤組成物及び消臭製品
JP2017176757A (ja) * 2016-03-31 2017-10-05 大建工業株式会社 消臭建築材料及び消臭システム
WO2018168850A1 (ja) * 2017-03-17 2018-09-20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性樹脂組成物、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JP6526755B2 (ja) * 2017-05-01 2019-06-05 大阪ガスケミカル株式会社 臭気物質吸着剤
JP7035423B2 (ja) * 2017-09-29 2022-03-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体内容物包装用の積層体、及び液体内容物用包装材料、液体内容物用包装体
JP7193285B2 (ja) * 2018-09-26 2022-12-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架橋ポリオレフィン樹脂発泡体及び成形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3155A (ja) 2000-05-11 2001-11-20 Sanyo Chem Ind Ltd 化粧材用調湿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化粧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20983A1 (ja) 2021-11-04
JPWO2021220983A1 (ko) 2021-11-04
EP4144792A4 (en) 2024-03-27
EP4144792A1 (en) 2023-03-08
CN115516043B (zh) 2024-06-28
EP4144792B1 (en) 2025-01-08
CN115516043A (zh) 2022-12-23
US20230166238A1 (en)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615665A (zh) 吸水性樹脂及吸水性樹脂的製造方法
JP7249938B2 (ja) 吸水性樹脂組成物、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KR20230008054A (ko)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WO2023074861A1 (ja) 吸水性樹脂組成物、吸収体、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からの吸水性樹脂粒子の分離処理方法
KR20230008052A (ko) 흡수성 수지 조성물,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JP7165589B2 (ja) 吸水性樹脂組成物、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KR20230008055A (ko) 입자상 흡수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WO2024176759A1 (ja) 吸水性樹脂組成物
JPWO2020129594A1 (ja) 吸水性樹脂、吸収体、吸収性物品、及び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WO2024176758A1 (ja) 吸水性樹脂組成物
WO2024214752A1 (ja) 吸水性樹脂粒子の製造方法、吸水性樹脂粒子、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KR20230008053A (ko) 흡수성 물품
EP4424780A1 (en) Water-absorbing resin composition, absorbent, and absorbent article
WO2023074859A1 (ja) 吸水性樹脂組成物、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WO2025004971A1 (ja) 吸水性樹脂粒子の製造方法、吸水性樹脂粒子、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WO2022085643A1 (ja) 吸水性樹脂、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WO2023074860A1 (ja) 吸水性樹脂組成物、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KR20230042281A (ko) 흡수성 수지 조성물, 흡수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흡수성 수지 입자의 흡수 속도 저속화 방법
WO2024262592A1 (ja) 消臭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