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964A -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 Google Patents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964A
KR20230007964A KR1020220082729A KR20220082729A KR20230007964A KR 20230007964 A KR20230007964 A KR 20230007964A KR 1020220082729 A KR1020220082729 A KR 1020220082729A KR 20220082729 A KR20220082729 A KR 20220082729A KR 20230007964 A KR20230007964 A KR 20230007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cap unit
stopp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타 이마무라
다케시 다마노우치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230007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 A47J41/0011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the stopper being completely removed from the opening during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18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rigi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65D81/384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지수 패킹이 장출부 내로 깊게 들어가는 것을 간소한 구조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는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로부터 용기 본체(2)의 내측에 끼워 넣어지는 중간 마개(12)가 마련된 덮개체(11)와, 중간 마개(12)의 외주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 장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내측에 마련된 장출부(9)와 중간 마개(12)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16)을 구비하고, 덮개체(11)가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하는 구조를 가지고, 덮개체(11)는, 중간 마개(12)의 하부에 배치되고, 장출부(9)에 대해서 상측부터 맞닿는 맞닿음부(21)를 가진다.

Description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Cap unit and cap-equipped container}
본 발명은,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캡 유닛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3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캡 유닛은,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 내에 끼워 넣어지는 중간 마개가 마련된 덮개체와, 중간 마개의 외주(外周)부에 장착되고, 용기 본체의 내측에 마련된 장출(張出)부와 중간 마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止水) 패킹을 구비하고, 용기 본체의 암 나사부와, 중간 마개의 수 나사부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된 덮개체가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하는 구조를 가진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지수 패킹이 장출부에 상측으로부터 접촉하고, 또한 장출부의 내측으로 끼어 들어가는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사용자가,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덮개체에 의해 마개를 닫을 때에, 덮개체를 닫힘 방향으로 너무 돌리면(지나치게 밀어 넣으면), 지수 패킹이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장출부 내로 깊게 들어가, 다음에 마개를 열 때의 개전(開栓) 토크가 증대하는 경우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용기 본체에 수납한 고온의 음료의 온도가 저하되어, 용기 본체 내가 감압되어, 중간 마개 및 지수 패킹에 하방으로의 인입력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지수 패킹이 장출부 내로 깊게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또, 지수 패킹이 장출부 내로 깊게 들어간 상태에서, 중간 마개가 열팽창에 의해서 지름이 확대되면, 개전 토크가 보다 증대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에, 특허 문헌 2에서는, 외부 덮개의 주벽부(周壁)부의 하단을 외부 용기의 어깨부에 상측부터 맞닿게 함으로써, 지수 패킹이 장출부 내로 깊게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 특허 문헌 3에서는,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의 상단(주연(周緣)부)과, 외부 덮개의 상벽부의 하면을 접촉시킴으로써, 지수 패킹이 장출부 내로 깊게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서는, 마개를 닫을 때에,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의 상단이 외부 덮개의 상벽부의 하면으로 파고 들어가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상부 개구부의 상단에 있어서,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중 어느 한쪽을 접어 구부려(둥글게) 용접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0-186014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0-193036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0-189678호 공보
이런 종류의 캡 유닛에서는, 마개 닫음시의 덮개체의 밀어 넣음의 정도나 용기 본체의 내압 변동 등에 관계없이, 지수 패킹이 장출부 내로 깊게 들어가는 것을, 간소한 구조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지수 패킹이 장출부 내로 깊게 들어가는 것을 간소한 구조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는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캡 유닛의 하나의 양태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에 끼워 넣어지는 중간 마개가 마련된 덮개체와,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에 마련된 장출부와 상기 중간 마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가 상기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덮개체는, 상기 중간 마개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장출부에 대해서 상측부터 맞닿는 맞닿음부를 가진다.  
상기 캡 유닛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 유닛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맞닿음부의 하측 또한 상기 지수 패킹의 상측에 배치되는 단부(段部)를 가지고, 상기 단부는, 상기 장출부와 대향하고, 상기 맞닿음부보다도 내측으로 움푹하고, 상기 장출부와는 비접촉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 유닛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개는,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마련된 수 나사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부에 마련된 암 나사부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 유닛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중간 마개의 상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중간 마개보다도 외경(外俓) 치수가 큰 천개(天蓋)를 가지고, 상기 천개는, 상기 상부 개구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장출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천개와 상기 상부 개구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 유닛에 있어서, 상기 천개의 외경 치수가, 상기 용기 본체의 외경 치수보다도 작고, 상기 상부 개구부의 내경 치수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캡 부착 용기의 하나의 양태는, 상술의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상기 용기 본체를 구비한다.
상기 캡 부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의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에 의하면, 지수 패킹이 장출부 내로 깊게 들어가는 것을 간소한 구조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캡 부착 용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캡 부착 용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캡 유닛의 덮개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캡 유닛의 덮개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캡 유닛의 덮개체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캡 유닛(1) 및 캡 부착 용기(100)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캡 유닛(1)과, 이 캡 유닛(1)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저부(底部)를 갖는 통 모양의 용기 본체(2)와, 캡 유닛(1)을 덮은 상태에서, 용기 본체(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컵(3)을 구비한다.  
캡 유닛(1), 용기 본체(2) 및 컵(3)은,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여 동축(同軸)에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심축(C)이 연장되는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한다. 상하 방향 중, 용기 본체(2)의 저면부(2a)로부터 컵(3)을 향하는 방향을 상측이라 하고, 컵(3)으로부터 저면부(2a)를 향하는 방향을 하측이라 한다.
중심축(C)과 직교하는 방향을 지름 방향이라고 한다. 지름 방향 중, 중심축(C)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지름 방향 내측 또는 간단하게 내측이라고 하고, 중심축(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름 방향 외측 또는 간단하게 외측이라고 한다.
중심축(C)을 중심으로 주회(周回)하는 방향을 원주 방향이라고 한다.  
캡 부착 용기(100)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이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액체)를 보온 또는 보냉하는 것이 가능한 음료용 용기이다. 용기 본체(2)는, 상부가 개구된 저부를 갖는 통 모양이다. 또한 용기 본체(2)에는, 음료 이외의 내용물이 수용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이 용기 본체(2)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부를 갖는 통 모양의 외부 용기(4) 및 내부 용기(5)를 가지고, 외부 용기(4)의 내측에 내부 용기(5)를 수용한 상태에서 서로의 입가부를 접합한 이중 구조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외부 용기(4)의 상단(上段) 통부 내에는, 내부 용기(5)의 상단 통부가 감합(勘合, 끼워 맞춤)되고, 이 감합 상태에서 각 상단 통부끼리가 용접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는,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이른바 「배접 용접 구조」라고 하는 첨예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외부 용기(4)와 내부 용기(5)와의 사이에는, 진공 단열층(6)이 마련되어 있다. 진공 단열층(6)은, 예를 들면, 고 진공으로 감압(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서, 외부 용기(4)의 저면(底面) 중앙부에 마련된 탈기공을 막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용기 본체(2)는, 대략 원형 모양의 저면부(2a)와, 저면부(2a)의 외주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기립(起立)한 몸통부(2b)와, 몸통부(2b)의 상부측에 있어서 지름이 축소된 대략 원통 모양의 입경(口頸)부(2c)를 가지고 있다. 또, 입경부(2c)의 상단부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로서, 원형 모양으로 개구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입경부(2c)의 내주부는, 몸통부(2b)의 내주면보다도 지름이 축소되어 있다. 또, 입경부(2c)의 외주부에는, 수 나사부(7)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입경부(2c)의 내주부에는, 암 나사부(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암 나사부(8)의 하방에는, 장출부(9)가 용기 본체(2)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장출부(9)는, 용기 본체(2)의 내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원주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된다. 장출부(9)는,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는 고리 모양이다. 장출부(9)는, 상부 경사면(9a)과, 원통면(9b)과, 하부 경사면(9c)을 가진다.  
상부 경사면(9a)은, 장출부(9) 중 상단부에 위치한다. 상부 경사면(9a)은, 입경부(2c)의 내주 하단부와 접속되고, 입경부(2c)와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함에 따라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상부 경사면(9a)은, 하측으로 향함에 따라 지름이 축소되는 테이퍼면 모양이다.  
원통면(9b)은, 상부 경사면(9a)의 하단부에 접속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원통면(9b)은,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 모양이다. 또한, 원통면(9b)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술한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하측으로 향함에 따라 지름이 축소된 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원통면(9b)은, 테이퍼면(9b)이라고 바꿔 말해도 된다.  
하부 경사면(9c)은, 원통면(9b)의 하단부에 접속되고, 원통면(9b)과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함에 따라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하부 경사면(9c)은, 하측으로 향함에 따라 지름의 확대되는 테이퍼면 모양이다.  
컵(3)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대략 원형 모양의 저벽(底壁)부(3a)와, 저벽부(3a)의 주위로부터 상방(도 1 및 도 2에서는 하방)을 향해 솟은 통 모양의 주벽부(3b)를 가지고, 전체로서 저부를 갖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컵(3)에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제로 이루어지는 커버가 접착제 등에 의해 일체로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컵(3)이 이중 통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컵(3)의 내면측의 저부를 갖는 통 모양 부재가 내열성 수지제이며, 컵(3)의 외면측의 저부를 갖는 통 모양 부재가 스테인리스제이며, 이들 부재가 서로 감합된 상태에서 접착 등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컵(3)은, 저벽부(3a)를 상측을 향한 상태(상하 반전한 물구나무 자세)로, 용기 본체(2)의 입경부(2c)의 외측에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벽부(3b)의 내주부에는, 수 나사부(7)와 나사 결합되는 암 나사부(1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는, 전체로서 대략 원통 모양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캡 부착 용기(100)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이즈나 디자인 등에 맞춰,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용기 본체(2) 및 컵(3)의 외주면에는, 도장이나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은, 도 2~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하는 덮개체(11)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체(11)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로부터 용기 본체(2)의 내측에 끼워 넣어지는 중간 마개(12)와, 중간 마개(12)의 상단부에 접속되고, 중간 마개(12)보다도 외경 치수가 큰 천개(13)를 가진다.  
덮개체(11)는, 천개(13)의 일부(외주부) 및 중간 마개(12)를 구성하는 저부를 갖는 대략 원통 모양의 하측 덮개 부재(14a)와, 천개(13)의 다른 일부(외주부보다도 내측의 부분)를 구성하는 대략 원판 모양의 상측 덮개 부재(14b)를 가진다. 덮개체(11)는, 상측 덮개 부재(14b)의 하면에 하측 덮개 부재(14a)가 초음파 용착이나 고주파 용착 등에 의해 일체로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체(11)의 내부는, 단열재(S)를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단열층이 되는 공기여도 된다.  
중간 마개(12)의 외주부에는, 용기 본체(2)의 암 나사부(8)와 나사 결합되는 수 나사부(15)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체(11)는, 이들 암 나사부(8)와 수 나사부(15)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용기 본체(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이들 암 나사부(8)와 수 나사부(15)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된 덮개체(11)가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는, 중간 마개(12)에 마련된 수 나사부(15)가 용기 본체(2)의 암 나사부(8)에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천개(13)에, 천개(13)의 외주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통 모양의 주벽부를 마련하고, 천개(13)의 주벽부의 내주부에 마련된 암 나사부와, 용기 본체(2)의 입경부(2c)의 외주부에 마련된 수 나사부(7)가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됨으로써, 덮개체(11)가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하는 구조로 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중간 마개(12)의 하단부에는, 지수 패킹(16)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캡 유닛(1)은, 지수 패킹(16)을 구비한다. 지수 패킹(16)은, 링 모양의 씰 부재이며,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중간 마개(12)의 하단부에는, 플랜지부(12a)가 전체 둘레에 걸쳐 지름의 확대 방향(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지수 패킹(16)은, 이 플랜지부(12a)에 전체 둘레에 걸쳐 끼워 장착되어 있다.  
또, 지수 패킹(16)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선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탄성 플랜지부(16a)가 전체 둘레에 걸쳐 지름의 확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지수 패킹(16)은, 용기 본체(2)에 덮개체(11)가 장착되었을 때에, 탄성 플랜지부(16a)가 탄성 변형하면서, 용기 본체(2)의 장출부(9)에 전체 둘레에 걸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지수 패킹(16)은, 중간 마개(12)의 외주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 장착된 상태에서, 장출부(9)(용기 본체(2))와 중간 마개(12)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지수 패킹(16)의 장출부(9)에 밀착시키기 위한 형상에 대해서는, 상술한 탄성 플랜지부(16a)의 형상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형상이나 수 등에 대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지수 패킹(16)은, 그 자체를 탄성 변형시키는(끌어 당겨 늘리는) 것에 의해서, 플랜지부(12a)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지수 패킹(16)과 중간 마개(12)를 각각 따로 세정할 수 있어, 지수 패킹(16)과 중간 마개(12)와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수 패킹(16)에 대해서는, 상술한 중간 마개(1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고, 중간 마개(12)와의 일체 성형이나 접착에 의해 중간 마개(12)와 일체로 장착된 구성이어도 된다.  
덮개체(11)는, 도 4~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중간 마개(12)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제1 통액(通液)홈(17) 및 제2 통액홈(18)을 가지고 있다. 제1 통액홈(17)과 제2 통액홈(18)은,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180°회전 대칭 위치에 배치된다. 제1 통액홈(17) 및 제2 통액홈(18)은, 각각의 저면(17a, 18a)을 사이에 둔 원주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솟은 한 쌍의 측면(17b, 18b)을 가지고, 중간 마개(12)의 외주부를 상하 방향에 걸쳐 수 나사부(15)를 노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통액홈(17) 및 제2 통액홈(18)은, 천개(13)의 하면측의 일부를 노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통액홈(17) 및 제2 통액홈(18)의 각 상단부는, 천개(13)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한다. 제1 통액홈(17) 및 제2 통액홈(18)의 각 하단부는, 중간 마개(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하측을 향해서 개구된다.  
제1 통액홈(17)과 제2 통액홈(18)은, 서로의 크기가 다르다. 즉, 제1 통액홈(17)과 제2 통액홈(18)은, 서로 원주 방향의 폭 치수가 다르며, 구체적으로는, 제1 통액홈(17)의 폭 치수가, 제2 통액홈(18)의 폭 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또, 천개(13)의 외주부에는,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20)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20)는, 원주 방향으로 늘어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천개(13)의 미끄럼방지 구조에 대해서는, 이러한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20)를 마련한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천개(13)는, 상하 방향의 치수가 작은 평평한 정부(頂部)를 가진 원통 모양, 또는 원판 모양이다. 천개(13)는, 상부 개구부(2d)의 상측에 위치한다. 천개(13)의 외주부는, 상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부 개구부(2d)와 겹친다. 천개(13)의 외경 치수는, 용기 본체(2)(외부 용기(4))의 외경 치수보다도 작고, 상부 개구부(2d)의 내경 치수보다도 크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천개(13)와 상부 개구부(2d)(입경부(2c))가, 서로 대략 같은 지름이다.  
또, 덮개체(11)는, 맞닿음부(21)와, 단부(22)를 가진다.  
맞닿음부(21)는, 중간 마개(12)의 하부에 배치되고, 장출부(9)에 대해서 상측부터 맞닿는다. 구체적으로, 맞닿음부(21)는, 중간 마개(12)의 외주부의 하부 중, 수 나사부(15)보다도 하측 또한 플랜지부(12a)보다도 상측에 배치되고, 장출부(9)의 상부 경사면(9a)에 대해서 상측부터 접촉한다. 맞닿음부(2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수 나사부(15)와 지수 패킹(16)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맞닿음부(21)의 외경 치수는, 수 나사부(15)의 외경 치수보다도 작고, 플랜지부(12a)의 외경 치수보다는 크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맞닿음부(21)의 외경 치수가, 탄성 변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지수 패킹(16)의 외경 치수보다도 크다.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중심축(C)과 평행한 종단면에서 볼 때, 맞닿음부(21)는, 지름 방향 외측 또한 하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볼록 형상이다.  
맞닿음부(21)가 장출부(9)에 맞닿은 상태에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천개(13)와 상부 개구부(2d)와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간극(G)이 마련된다. 간극(G)은, 중심축(C) 둘레의 원주 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 마련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극(G)의 상하 방향의 치수가, 통액홈(17, 18) 이외의 부분에서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하게 된다.  
도 4~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맞닿음부(21)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맞닿음부(21)가, 중간 마개(12)의 외주 하단부에 있어서, 통액홈(17, 18)으로 분단되도록 원호(圓弧) 모양으로 연장된다.  
단부(22)는, 중간 마개(12)의 하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단부(22)는,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중간 마개(12)의 외주부의 하부 중, 맞닿음부(21)의 하측 또한 지수 패킹(16)의 상측에 배치된다. 단부(22)는, 맞닿음부(21)의 하측에 인접해서 배치된다. 단부(22)는, 맞닿음부(21)보다도 내측으로 패인 오목한 모양이다. 단부(22)는, 장출부(9)의 상부 경사면(9a)과 간극을 두고 대향한다. 즉, 단부(22)는, 장출부(9)와는 비접촉으로 된다.  
도 4~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부(22)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부(22)가, 중간 마개(12)의 외주 하단부에 있어서, 통액홈(17, 18)으로 분단되도록 원호 모양으로 연장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 및 캡 부착 용기(100)에 의하면, 중간 마개(12)를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 내에 끼워 넣었을 때, 지수 패킹(16)에 의해 중간 마개(12)와 장출부(9)와의 사이가 밀폐된 상태로 되고, 덮개체(11)의 맞닿음부(21)가, 장출부(9)에 대해서 상측부터 맞닿는다. 이 맞닿음 상태로부터는, 중간 마개(12)가 상부 개구부(2d) 내에 있어서 그 이상으로 하방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기 때문에, 지수 패킹(16)이 장출부(9) 내로 깊게 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 지수 패킹(16)에 의한 상하 방향의 밀폐 위치가 일정하게 되어, 밀폐성(씰성)이 안정된다.  
자세한 것은, 사용자가,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덮개체(11)에 의해 마개를 닫을 때에, 맞닿음부(21)가 장출부(9)에 상방부터 접촉됨으로써, 덮개체(11)를 닫힘 방향으로 너무 돌리는(지나치게 밀어 넣는) 것이 억제된다. 또, 예를 들면, 용기 본체(2)에 수납한 고온의 음료의 온도가 저하되어, 용기 본체(2) 내가 감압되어, 중간 마개(12) 및 지수 패킹(16)에 하방으로의 인입력이 작용해도, 맞닿음부(21)가 장출부(9)에 상방부터 접촉됨으로써, 지수 패킹(16)이 장출부(9) 내로 깊게 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간소한 구조에 의해, 지수 패킹(16)과 장출부(9)가 강하게 접촉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다음에 덮개체(11)를 열림 방향으로 돌려 마개를 열 때에, 개전 토크가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맞닿음부(21)가 장출부(9)에 맞닿는 구성이기 때문에,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의 상단(주연부)과, 덮개체(11)의 천개(13)의 하면을, 서로 비접촉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의 상단(외부 용기(4)와 내부 용기(5)의 접속 부분)이, 본 실시 형태와 같은 이른바 「배접 용접 구조」라고 하는 첨예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이 상단을, 천개(13)로부터 하방으로 거리를 두고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상단이 천개(13)의 하면으로 파고 들어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파고 들어가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상부 개구부(2d)의 상단에 있어서, 외부 용기(4)와 내부 용기(5) 중 어느 한쪽을 접어 구부려(둥글게) 용접하는 복잡한 구조를 채용할 필요도 없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맞닿음부(21)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덮개체(11)를 수지 성형할 때, 성형 후에 금형을 뽑기 쉬워, 제조가 용이하다. 또, 맞닿음부(21)를 원주 방향을 따라서 장출부(9)에 접촉시킴으로써, 맞닿음부(21)에 의한 기능이 보다 안정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맞닿음부(21)의 하측 또한 지수 패킹(16)의 상측에 단부(22)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맞닿음부(21)와 장출부(9)와의 접촉 면적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용기 본체(2) 내의 감압이나 중간 마개(12)의 열팽창 등에 의해, 맞닿음부(21)와 장출부(9)가 강하게 접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개전 토크의 증대를 보다 안정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맞닿음부(21)가 장출부(9)에 상측부터 맞닿음으로써, 중간 마개(12)가 용기 본체(2) 내로 들어가는 깊이가 안정된다. 이 때문에,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와, 천개(13)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극(G)을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간극(G)이 마련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마개 닫음 조작을 행할 때,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와 천개(13)와의 사이에 손가락 등을 끼워 넣는 것이 억제되고, 또한 회동 조작이 간편해져,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천개(13)의 외경 치수가, 용기 본체(2)의 외경 치수보다도 작고, 상부 개구부(2d)의 내경 치수보다도 크다.  
이 경우, 사용자가 천개(13)를 잡고 캡 유닛(1)을 회전시킬 때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천개(13)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천개(13)와 상부 개구부(2d)가 서로 대략 같은 지름이면, 컵(3)을 컴팩트화하여, 컵(3)의 외주면과 용기 본체(2)(외부 용기(4))의 외주면을 대략 같은 면에 형성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하기에 설명하는 것처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구성의 변경 등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맞닿음부(21)가 원주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예를 들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맞닿음부(21)는, 중간 마개(12)의 하부에 배치되고, 장출부(9)에 대해서 상측부터 맞닿는 돌기 모양이어도 된다. 또 맞닿음부(21)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늘어서는 것으로서 복수 마련되어도 된다.
또, 맞닿음부(21)는, 원주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상하 방향의 위치가 변화하는 나선 모양 등이어도 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보온·보냉 기능을 갖게 한 캡 부착 용기(100)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들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캡 유닛이 용기 본체의 입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부착 용기에 대해서 폭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 등에서 설명한 각 구성을 조합해도 되고, 또,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그 외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 등에 의해서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1…캡 유닛 2…용기 본체
2d…상부 개구부 8…암 나사부
9…장출부 11…덮개체
12…중간 마개 13…천개
15…수 나사부 16…지수 패킹
21…맞닿음부 22…단부
100…캡 부착 용기 G…간극

Claims (8)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에 끼워 넣어지는 중간 마개가 마련된 덮개체와,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에 마련된 장출부와 상기 중간 마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가 상기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덮개체는, 상기 중간 마개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장출부에 대해서 상측부터 맞닿는 맞닿음부를 가지는,
    캡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캡 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맞닿음부의 하측 또한 상기 지수 패킹의 상측에 배치되는 단부를 가지고,
    상기 단부는, 상기 장출부와 대향하고, 상기 맞닿음부보다도 내측으로 움푹하고, 상기 장출부와는 비접촉으로 되는,
    캡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개는, 상기 중간 마개의 외주부에 마련된 수 나사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부에 마련된 암 나사부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되는,
    캡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중간 마개의 상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중간 마개보다도 외경 치수가 큰 천개(天蓋)를 가지고,
    상기 천개는, 상기 상부 개구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장출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천개와 상기 상부 개구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마련되는,
    캡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천개의 외경 치수가, 상기 용기 본체의 외경 치수보다도 작고, 상기 상부 개구부의 내경 치수보다도 큰,
    캡 유닛.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상기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캡 부착 용기.
KR1020220082729A 2021-07-06 2022-07-05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2300079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12251 2021-07-06
JP2021112251A JP2023008580A (ja) 2021-07-06 2021-07-06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964A true KR20230007964A (ko) 2023-01-13

Family

ID=83192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729A KR20230007964A (ko) 2021-07-06 2022-07-05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116211A1 (ko)
JP (1) JP2023008580A (ko)
KR (1) KR20230007964A (ko)
CN (1) CN115583420A (ko)
TW (1) TWI812327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6014A (ja) 2019-05-10 2020-11-19 サーモス株式会社 蓋付き容器
JP2020189678A (ja) 2019-05-23 2020-11-26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付き容器
JP2020193036A (ja) 2019-05-23 2020-12-03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5352B2 (ja) * 2014-01-22 2017-11-22 ピーコック魔法瓶工業株式会社 食品保温容器
CN207658399U (zh) * 2017-12-13 2018-07-27 珠海先河生物技术有限公司 杯盖和真空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6014A (ja) 2019-05-10 2020-11-19 サーモス株式会社 蓋付き容器
JP2020189678A (ja) 2019-05-23 2020-11-26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付き容器
JP2020193036A (ja) 2019-05-23 2020-12-03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13418A (zh) 2023-04-01
JP2023008580A (ja) 2023-01-19
EP4116211A1 (en) 2023-01-11
TWI812327B (zh) 2023-08-11
CN115583420A (zh)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0130B1 (en) Discharge container
US9919849B2 (en) Closure for a beverage cup
US10349766B2 (en) Cover device for a drink container
KR20180101257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JP6186665B1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7153768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102376066B1 (ko) 단열 용기용 진공 밀봉 리드 인서트
KR20210002186U (ko) 물병의 음료배출구 노즐 구조
KR20230007964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JP7445794B2 (ja) 蓋付き容器
TWI804869B (zh) 蓋組件與帶蓋容器
CN112623516A (zh) 盖单元以及带盖容器
EP3154401B1 (en) Cover device for a drink container
CN111977159A (zh) 带盖容器
CN115959355A (zh) 帽单元以及带帽容器
JP7216792B2 (ja) 蓋付き容器
JP7300964B2 (ja) キャップ
JP2023168900A (ja) 飲食物容器および断熱部品
JP2023168899A (ja) 飲食物容器
JP2023172837A (ja) 蓋付き容器
EP3390875B1 (en) Valve for bag-in-box system or a steel tank system
JP2022151562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CN115384936A (zh) 盖单元以及带盖容器
KR930006633Y1 (ko) 용기의 마개
CN115959372A (zh) 帽单元以及带帽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