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855A - 천연 성분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성분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855A
KR20230007855A KR1020210088670A KR20210088670A KR20230007855A KR 20230007855 A KR20230007855 A KR 20230007855A KR 1020210088670 A KR1020210088670 A KR 1020210088670A KR 20210088670 A KR20210088670 A KR 20210088670A KR 20230007855 A KR20230007855 A KR 20230007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air
weight
hair growth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9715B1 (ko
Inventor
김무영
Original Assignee
(주)젠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젠셀 filed Critical (주)젠셀
Priority to KR1020210088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71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8867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59715B1/ko
Priority to PCT/KR2021/013978 priority patent/WO2023282391A1/ko
Publication of KR20230007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Abstract

본 발명은,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신규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황금 누에 고치에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접종한 발효물; 세절된 황금 누에 고치에 누룩균인 Aspergillus oryzae을 접종하고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파파인을 첨가하여 수득한 가수분해물; 및 회화나무꽃 염화메틸린 분획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연 성분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NATURAL INGREDIENTS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연 성분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머리보호, 외향에 대한 영향, 머리의 온도유지 등 인체에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생명유지에 중요한 기관은 아니지만, 건강상태의 척도이자 외모를 결정짓는 신체의 중요한 일부분이다.
인체의 모발은 10만~15만개 정도로,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며 정상모발의 90%를 차지하는 성장기(anagen, growing phase), 생장정지와 모근이 위축되는 퇴행기(catagen, transitional phase), 모구가 건조되고 곤봉모가 되는 휴지기(telogen, resting phase) 등의 모주기(hair cycle)를 거치면서 모발은 성장과 탈모를 거듭한다. 이러한 주기는 3~6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그 결과 정상적으로 하루 평균 50~100개의 모발이 탈락하게 된다.
탈모(alopecia)는 모발의 성장 주기에서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의 탈락이 증가하고, 정상적으로 자라던 모발이 어떤 원인에 의해 빠지게 되는 현상을 일컫는다. 스트레스나 질병으로 인한 탈모가 아닌 대부분의 탈모는 모발이 영양을 잃어가며 자연스럽게 굵기가 가늘어지고 약해져서 빠지게 되고, 이런 주기가 빨라지면서 모발이 재생되지 않는 탈모가 되는 것이다. 탈모는 불균형한 식생활, 과다한 음주와 흡연, 약물복용, 수면부족, 스트레스, 출산, 환경오염, 유전, 잦은 파마와 염색, 호르몬의 불균형 등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탈모의 치료방법으로는 국소도포제, 경구복용제, 건강보조식품, 모발 이식수술 등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사용범위가 한정되어 있고, 지속적인 탈모완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약물치료의 효과도 일시적이며, 두피 혹은 피지의 생성을 오히려 가속화시키기도 한다.
탈모를 치료하기 위해서 성장기(Anagen)의 모낭세포를 증가시키고, 퇴행기(Catagen)와 휴지기(Telogen)의 세포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다. 탈모진행과정에서 감소하는 Wnt/β-catenin을 활성화시키고, 모발성장 인자인 IGF-1, VEGF를 증가시킴으로써 모발 형성에 관여하는 세포를 분화시킨다.
현재 가장 많이 알려져있는 모발성장 촉진제제로서 미녹시딜(minoxidil, 경피도포제) 및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경구복용제) 등이 FDA 승인을 얻어 임상적으로 상용되고 있다. 특히 미녹시딜은 1970년 초에 혈관확장제로 최초로 소개되어 약물효과 이외의 부작용이 발모임이 밝혀져 현재 발모촉진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피나스테리드제제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개발로부터 유래된 5α-reductase 억제효과를 가진 탈모 억제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주로 사용되는 발모제의 약물 이상반응이 보고되고 있어 적극적 치료에 상당한 제한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부작용의 최소화를 위해 천연 성분을 활용한 탈모완화 및 발모 촉진 조성물들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10-1196523호에는, 솔잎, 미역, 콩 및 산초를 혼합하여 추출한 후 추출액에 락토바실루스속 젖산균을 접종하는 천연물 발효추출물이 개시되어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6156호에서는 볏집 및 들깨 꼬투리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제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7329호에서는 솔잎, 하수오, 당귀, 흑임자, 생지황, 측백엽, 숙지황, 검은콩, 녹차, 다시마, 미역, 시금치 등을 각각 분쇄하여 사용하는, 발모촉진용 생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천연 성분을 활용한 발모 촉진 조성물이 연구되어 왔으나, 여전히 발모 촉진 효과가 우수하며 새로운 천연 성분을 활용한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9652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615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73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신규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황금 누에 고치에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접종한 발효물; 세절된 황금 누에 고치에 누룩균인 Aspergillus oryzae을 접종하고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파파인을 첨가하여 수득한 가수분해물; 및 회화나무꽃 염화메틸린 분획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황금 누에 고치에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접종한 발효물; 세절된 황금 누에 고치에 누룩균인 Aspergillus oryzae을 접종하고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파파인을 첨가하여 수득한 가수분해물; 회화나무꽃 염화메틸린 분획물; 검은깨, 검은콩, 천초, 고삼, 들국화, 민들레 및 천궁의 혼합물; 및 피마자 오일,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살구씨 오일 및 호호바 오일의 혼합 오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황금 누에 고치에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접종한 발효물 10 내지 30중량부; 세절된 황금 누에 고치에 누룩균인 Aspergillus oryzae을 접종하고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파파인을 첨가하여 수득한 가수분해물 10 내지 20중량부; 회화나무꽃 염화메틸린 분획물 10 내지 30중량부; 검은깨, 검은콩, 천초, 고삼, 들국화, 민들레 및 천궁의 혼합물 5 내지 10중량부; 및 피마자 오일,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살구씨 오일 및 호호바 오일의 혼합 오일 20 내지 40중량부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 토닉, 헤어 샴푸, 헤어 컨디셔너, 헤어 에센스, 헤어 오일 및 헤어 비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 상기 황금 누에 고치에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접종한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1) 황금 누에 고치에 정제수를 첨가하고 멸균하는 단계; (2) 꽃송이 버섯 균사체를 접종하는 단계; (3) 25℃~40℃에서 10~15일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II) 상기 세절된 황금 누에 고치에 누룩균인 Aspergillus oryzae을 접종하고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파파인을 첨가하여 수득한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1) 세절된 황금 누에 고치에 정제수를 첨가하고 멸균하는 단계; (2) 누룩균(Aspergillus)을 접종하는 단계; (3) 25℃~40℃에서 3~5일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III) 상기 검은깨, 검은콩, 천초, 고삼, 들국화, 민들레 및 천궁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1) 검은깨, 검은콩, 천초, 고삼, 들국화, 민들레 및 천궁에 정제수를 첨가하고 멸균하는 단계; 및 (2) 멸균된 검은깨, 검은콩, 천초, 고삼, 들국화, 민들레 및 천궁을 믹서기에 넣고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IV) 상기 (I)~(III)에서 제조된 발효물, 가수분해물 및 혼합물과 피마자 오일,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살구씨 오일 및 호호바 오일의 혼합 오일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IV) 단계는, 황금 누에 고치에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접종한 발효물 10 내지 30중량부; 세절된 황금 누에 고치에 누룩균인 Aspergillus oryzae을 접종하고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파파인을 첨가하여 수득한 가수분해물 10 내지 20중량부; 회화나무꽃 염화메틸린 분획물 10 내지 30중량부; 검은깨, 검은콩, 천초, 고삼, 들국화, 민들레 및 천궁의 혼합물 5 내지 10중량부; 및 피마자 오일,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살구씨 오일 및 호호바 오일의 혼합 오일 20 내지 40중량부를 교반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황금 누에 고치에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접종한 발효물; 황금 누에 고치 가수분해물; 및 회화나무꽃 염화메틸린 분획물을 포함함으로써, 발모 촉진 효과를 제공하여 다양한 화장품 내지 의약외품의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황금 누에 고치에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접종한 발효물; 황금 누에 고치 가수분해물; 및 회화나무꽃 염화메틸린 분획물과 함께 검은깨, 검은콩, 천초, 고삼, 들국화, 민들레 및 천궁의 혼합물; 및 피마자 오일,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살구씨 오일 및 호호바 오일의 혼합 오일을 포함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발모 촉진 효과를 제공하여 다양한 화장품 내지 의약외품의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람에게 처리하였을 때 발모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은, 세절된 황금 누에 고치에 누룩균인 Aspergillus oryzae을 접종하고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파파인을 첨가하여 수득한 가수분해물; 세절된 황금 누에 고치에 누룩균을 접종한 발효물; 및 회화나무꽃 염화메틸린 분획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검은깨, 검은콩, 천초, 고삼, 들국화, 민들레 및 천궁의 혼합물; 및 피마자 오일,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살구씨 오일 및 호호바 오일의 혼합 오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황금 누에 고치란, 대한민국 농촌진흥청이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일본종계 잠311(JS169)과 중국종계 잠312(CS186)을 교잡하여 육성한 품종인 "골든실크"에 의해 지어진 황색 고치로서, 일반 누에고치보다 세리신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꽃송이버섯 균사체란, 꽃송이버섯의 균사체를 의미하며, 상기 꽃송이버섯은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꽃송이버섯과의 버섯으로서, 한국, 일본, 유럽, 북아메리카 및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자생하며, 베타간을 다량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회화나무꽃 염화메틸렌 분획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회화나무꽃에 용매로서 메탄올을 첨가하여 추출한 추출물에 물을 가한 다음, 유기용매인 염화메틸렌을 부가한 후 진탕하여 유기용매층과 물층을 분리하여 수득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1. 시중에서 구매한 1kg의 황금 누에 고치에 10kg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37℃에서 3시간 교반후, 교반 혼합물을 120~140℃에서 10~20분간 멸균한다. 이후 멸균된 황금 누에 고치에 꽃송이 버섯 균사체 300g을 접종하고 30℃를 유지하는 배양기에서 10일간 배양한다.
2. 한편, 시중에서 구매한 황금 누에 고치 1kg을 믹서기에 넣고 분쇄하여 세절된 황금 누에 고치를 준비한다. 세절된 황금 누에 고치에 10kg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37℃에서 3시간 교반시킨 후에 누룩균으로서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배양액 200g을 첨가한 후에 37℃에서 2일간 발효시켰다. 이 후 이 발효혼합물에 단백질 분해효소인 파파인 10kg을 첨가하고 70℃에서 1일간 가수분해하였다. 이후 이 가수분해물을 1 ㎛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를 수행하여 미반응 고형분을 제거하였다.
3. 한편, 회화나무꽃을 잘 건조시키고 분말 300g을 제조한 한 다음, 메탄올로 가열하면서 3시간 추출하였다. 용매와 물을 모두 증발시킨 후, 동결건조기로 건조하여 분말로 된 추출물을 얻었다. 또한, 상기 메탄올 추출물에 물을 가한 다음, 유기용매인 염화메틸렌을 부가한 후 진탕하여 유기용매층과 물층을 분리하여 수득하였다.
4. 한편, 검은깨, 검은콩, 천초, 고삼, 들국화, 민들레 및 천궁 각 500g에 정제수를 첨가하고, 1~4시간 동안 110~140℃에서 멸균한다. 멸균된 검은깨, 검은콩, 천초, 고삼, 들국화, 민들레 및 천궁을 믹서기에 넣고 교반하여 혼합한다.
5. 상기 1.에서 제조한 발효물 30중량부, 2.에서 제조한 가수분해물 20중량부, 3.에서 제조한 분획물 20중량부, 4.에서 제조한 혼합물 10중량부를 혼합한 후, 피마자 오일,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살구씨 오일 및 호호바 오일의 혼합 오일 20중량부를 믹서기에 넣고 교반하여 혼합함으로써,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
상기 실시에 1과 같이 제조하되, 성분 비율을 아래와 같이 변경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아래 표에서, 발효물은 황금 누에 고치에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접종한 발효물을, 가수분해물은 세절된 황금 누에 고치에 누룩균인 Aspergillus oryzae을 접종하고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파파인을 첨가하여 수득한 가수분해물, 분획물은 회화나무꽃 염화메틸린 분획물, 혼합물은 검은깨, 검은콩, 천초, 고삼, 들국화, 민들레 및 천궁의 혼합물, 그리고 혼합 오일은 피마자 오일,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살구씨 오일 및 호호바 오일의 혼합 오일을 의미한다. 또한, 단위는 중량부이다.
Figure pat00001
시험예 1: 모유두 세포 증식 촉진 효과 시험
모발을 구성하는 케라틴 단백질은 모근부 케라틴 형성세포(keratinocyte)에서 생성되며, 이 케라틴 형성세포는 모유두 세포로부터 분화된다. 따라서, 모유두 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를 시험하면, 발모 촉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쥐수염 모유두세포(Rat Vibrissa dermal papillae cell; 온도 민감 T 항원을 인코딩한 폴리오마바이러스 라지 T 유전자(polyomavirus large T gene)를 PVG 쥐수염 모유두세포(vibrissa dermal papilla cell)에 트랜스펙션하여 만든 PVGDPLTt sa 6이다. 이하, DP 세포라 한다.)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모유두 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먼저 DP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한 웰 당 약 104 세포/웰의 농도가 되도록 준비하였다. 본 발명의 비교예 및 실시예의 조성물을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에탄올에 각각 용해시킨 후, 5% FBS 세럼 농도를 가지는 DMEM 배지로 순차적 희석(serial dilution)하여 최종 농도가 10ppm이 되도록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20% 에탄올로 추출한 콩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비교예 및 실시예의 조성물이 첨가된 배지 200㎕를 각각 웰 당 첨가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약 3일간 배양하였다. 2㎎/㎖의 농도로 조제된 MTT 용액을 각 웰 당 50㎕씩 첨가한 후, 동일한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MTT 시약이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 흡수되었다고 판단되면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를 150㎕ 첨가한 다음, 10분간 교반하여 균일하게 프로마잔(formazan) 염색(dye)을 녹여내었다. 그런 다음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515nm 파장에서 OD 값을 측정하고, 미리 만들어둔 표준 곡선에 맞추어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세포 수를 기초로 본 발명의 비교예 및 실시예의 모유두 세포 증식 촉진능(%)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시험예 2: 동물모델 모발성장 효과 시험
실험동물로서 SD(Sprague Dawley) 실험용 쥐 6주령 수컷을 Orient Bio(Sung-nam,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온도 20±2℃, 습도 55±5%, 12시간 명암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실험동물은 구입 후 1주일 동안 순화한 다음, 각 군당 2마리씩 배치하여 총 10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쥐의 등을 제모한 후 1%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TXN)으로 1주일간 도포하여 발모를 억제시켰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1일 1회씩 0.2㎖의 양으로 제모한 실험용 쥐의 등에 도포하였다. 양성대조군은 동일한 방법으로 5% 미녹시딜을 도포하였고, 대조군은 동일한 스트레스를 주기 위하여 일정량의 생리식염수를 스프레이로 도포하였다. 상기 도포는 5주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시험 후 모발길이를 버니어캘리퍼스(디지매틱 캘리퍼스 500-181-30, Mitutoyo, Japan)로 0.01㎜ 단위까지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예의 시험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아래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의 조성물은 양성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모발이 성장하였으며,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은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모발이 성장하였다.
Figure pat00003
시험예 3: 사람 대상으로 한 모발성장 효과 시험
상기 시험예 1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탈모가 진행 중인 남성 및 여성 실험자 20명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각각 함유한 헤어토닉을 하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하여 두피부위를 모발굵기와 밀도가 비슷한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부위별로 매일 아침 1회 및 저녁 1회(일일 2회) 5ml씩 사용하도록 하였다. 상기 헤어토닉을 1개월 동안 및 2개월 동안 사용한 후에 포토트리코그램(phototrichogram)을 이용하여 모발의 굵기(직경)의 변화량과 모발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모발 굵기 변화량은 헤어토닉을 사용하기 전에 측정한 굵기를 기준으로 헤어토닉을 1개월 및 2개월 동안 사용한 후에 측정한 굵기의 차이를 계산한 것이고, 모발 밀도는 1cm2 당 모발수를 계산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이용한 임상 시험에 참여한 20대 여성의 두발 사진을 도 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의약외품을 위한 제형예를 예시한다.
<제형예 1> 헤어 토닉의 제조
Figure pat00005
<제형예 2> 헤어 샴푸의 제조
Figure pat00006

Claims (6)

  1. 황금 누에 고치에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접종한 발효물;
    세절된 황금 누에 고치에 누룩균인 Aspergillus oryzae을 접종하고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파파인을 첨가하여 수득한 가수분해물; 및
    회화나무꽃 염화메틸린 분획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검은깨, 검은콩, 천초, 고삼, 들국화, 민들레 및 천궁의 혼합물; 및
    피마자 오일,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살구씨 오일 및 호호바 오일의 혼합 오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황금 누에 고치에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접종한 발효물 10 내지 30중량부;
    세절된 황금 누에 고치에 누룩균인 Aspergillus oryzae을 접종하고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파파인을 첨가하여 수득한 가수분해물 10 내지 20중량부;
    회화나무꽃 염화메틸린 분획물 10 내지 30중량부;
    검은깨, 검은콩, 천초, 고삼, 들국화, 민들레 및 천궁의 혼합물 5 내지 10중량부; 및
    피마자 오일,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살구씨 오일 및 호호바 오일의 혼합 오일 20 내지 40중량부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 토닉, 헤어 샴푸, 헤어 컨디셔너, 헤어 에센스, 헤어 오일 및 헤어 비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5.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I) 상기 황금 누에 고치에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접종한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1) 황금 누에 고치에 정제수를 첨가하고 멸균하는 단계;
    (2) 꽃송이 버섯 균사체를 접종하는 단계;
    (3) 25℃~40℃에서 10~15일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II) 상기 세절된 황금 누에 고치에 누룩균인 Aspergillus oryzae을 접종하고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파파인을 첨가하여 수득한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1) 세절된 황금 누에 고치에 정제수를 첨가하고 멸균하는 단계;
    (2) 누룩균(Aspergillus)을 접종하는 단계;
    (3) 25℃~40℃에서 3~5일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III) 상기 검은깨, 검은콩, 천초, 고삼, 들국화, 민들레 및 천궁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1) 검은깨, 검은콩, 천초, 고삼, 들국화, 민들레 및 천궁에 정제수를 첨가하고 멸균하는 단계; 및
    (2) 멸균된 검은깨, 검은콩, 천초, 고삼, 들국화, 민들레 및 천궁을 믹서기에 넣고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IV) 상기 (I)~(III)에서 제조된 발효물, 가수분해물 및 혼합물과 피마자 오일,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살구씨 오일 및 호호바 오일의 혼합 오일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IV) 단계는,
    황금 누에 고치에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접종한 발효물 10 내지 30중량부; 세절된 황금 누에 고치에 누룩균인 Aspergillus oryzae을 접종하고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파파인을 첨가하여 수득한 가수분해물 10 내지 20중량부; 회화나무꽃 염화메틸린 분획물 10 내지 30중량부; 검은깨, 검은콩, 천초, 고삼, 들국화, 민들레 및 천궁의 혼합물 5 내지 10중량부; 및 피마자 오일,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살구씨 오일 및 호호바 오일의 혼합 오일 20 내지 40중량부를 교반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10088670A 2021-07-06 2021-07-06 천연 성분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59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670A KR102659715B1 (ko) 2021-07-06 천연 성분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CT/KR2021/013978 WO2023282391A1 (ko) 2021-07-06 2021-10-12 천연 성분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670A KR102659715B1 (ko) 2021-07-06 천연 성분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855A true KR20230007855A (ko) 2023-01-13
KR102659715B1 KR102659715B1 (ko) 2024-05-10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7329A (ko) 2006-05-02 2007-11-07 민영기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56156A (ko) 2009-11-20 2011-05-26 (주)믹스앤매치 볏짚 및 들깨꼬투리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96523B1 (ko) 2009-12-28 2012-11-01 (주) 젠셀 천연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7329A (ko) 2006-05-02 2007-11-07 민영기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56156A (ko) 2009-11-20 2011-05-26 (주)믹스앤매치 볏짚 및 들깨꼬투리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96523B1 (ko) 2009-12-28 2012-11-01 (주) 젠셀 천연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2391A1 (ko)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61915A (ja) 皮膚外用剤
KR101651321B1 (ko) 알로에 베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87531B1 (ko)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662603B1 (ko) 모유두세포 및 모모세포의 활성화능을 갖는 펩톤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형
KR101858217B1 (ko) 발모 촉진 효과를 가지는 건강식품
CN108066237B (zh) 一种具有美白、淡斑功效的组合物及其应用、护肤品
KR101779480B1 (ko) 펩톤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형
KR101206090B1 (ko) 발효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조성물
KR102659715B1 (ko) 천연 성분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05363A (ko)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KR100903283B1 (ko) 녹용 성분을 함유한 발모촉진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007855A (ko) 천연 성분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9546B1 (ko) 무궁화의 꽃, 뿌리, 캘러스 및 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59512B1 (ko) 모낭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는 성장인자를 함유한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KR101710302B1 (ko) 풍란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87369B1 (ko) 탈모방지용 조성물
JP2010222273A (ja) 養毛剤組成物
KR20150085991A (ko) 한방 약재성분의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6247A (ko) 함황 아미노산 및 복합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101790B1 (ko) 신품종 콩 scel-1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KR102088468B1 (ko) 신품종 콩 scel-1 종자, 그의 식물체 및 그 일부 및 그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CN109952111B (zh) 包括假俭草提取物或其分离物作为活性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脱发的药物组合物
KR20130005005A (ko) 항염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바오밥나무, 자근, 참마, 연근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561135B2 (ja) 狼毒抽出物またはその分画物を含む、傷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個体の傷を治療する方法
KR102377447B1 (ko) 폴리페놀 함량이 증대된 칠면초 및 화산송이 복합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