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411A - 배신 시스템, 배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배신 시스템, 배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411A
KR20230007411A KR1020227040814A KR20227040814A KR20230007411A KR 20230007411 A KR20230007411 A KR 20230007411A KR 1020227040814 A KR1020227040814 A KR 1020227040814A KR 20227040814 A KR20227040814 A KR 20227040814A KR 20230007411 A KR20230007411 A KR 20230007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ata
video
distribution
retur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코 나리타
시게루 치바
아키라 사카이
가이 이노우에
츠구오 신포
도시아키 가나하라
준키 히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49201A external-priority patent/JP708243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ublication of KR20230007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6Watching games played by other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for prompting the player, e.g. by displaying a game menu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63F13/65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by importing photos, e.g. of the p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7Communicating with other players during game play, e.g. by e-mail or cha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시청 영상을 시청자인 복수의 유저 각각의 유저 단말기에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100)은, 각 유저 단말기(20)로부터 입력된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용 수단(111)과,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복수의 배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신 데이터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131)과, 선택 수단이 선택한 배신 데이터를, 적어도 유저 조작이 입력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하는 데이터 배신 수단(132)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배신 시스템, 배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본 발명은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배신 데이터를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 배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동영상 투고 시청 애플리케이션이, 시청 유저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배신 중인 가창 동영상을 장식하는 투전 이펙트 화상의 표시 지시를 접수하고, 투전 이펙트 화상을 가창 동영상에 중첩시키는 투전 이펙트 기능을 갖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당해 투전 이펙트 기능은, 시청 유저가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조작 아이콘이 클릭된 후에,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가창 동영상에 투전 이펙트 화상을 중첩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이펙트 중첩 가창 동영상은 서버에 기억되고, 동영상 투고 사이트를 통해 투전 입력을 행한 시청 유저뿐만 아니라, 다른 시청 유저도 시청 가능하도록 배신된다.
특허문헌 2에는, 동영상 배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프트 요구 처리부가, 시청 유저로부터 특정 장착 오브젝트의 표시 요구를 접수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당해 표시 요구에 기초하여, 배신 유저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에 표시 지시 오브젝트가 표시된다. 표시 지시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기프트 요구 처리부는, 선택된 표시 지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장착 오브젝트를 배신 중인 동영상에 표시시킨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공연 동영상의 경우에 장착 기프트를 기프팅할 때, 시청 유저가, 공연 동영상에서 공연하고 있는 배신 유저 중 어느 쪽에 대하여 기프팅을 행할지를 지정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동영상 생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투입 제어 서버의 투입 실시부가, 수신부로부터 생방송 동영상에 대한 아이템 투입의 실시 요구를 수취하고, 대가와 맞바꾸어 당해 동영상에 대하여 당해 실시 요구의 대상이 되는 아이템을 투입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투입 실시부는, 아이템 투입 요구를 발행한다. 그리고, 아이템 투입 요구를 수신한 생방송 서버는, 생방송 동영상에 아이템 화상 등을 중첩시키는 가공을 행하여, 배신자 단말기 및 관객 단말기에 배신한다.
특허문헌 4에는,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유저의 게임 상황에 따라 자동적으로 메시지 후보가 선택되어, 유저에 의해 지정된 송신처에 송신되는 메시지 내용 제어 기능이 마련되어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송신처는, 특정 유저나, 대국 상대의 유저, 동료 등록된 유저 등이며, 이들을 적절히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후보는, 게임 상황의 타입, 예를 들어, 유저의 대전 성적, 대국 중인 전황의 상황, 대국하고 있는 상대와의 관계, 유저가 게임 플레이하고 있는 시간대 혹은 요일, 또는 플레이 중의 날씨의 상황 등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20-017870호 공보 일본 특허 제654340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20-01714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76424호 공보
특허문헌 1 내지 3에 있어서는, 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유저가 조작을 행하면, 당해 조작의 리액션으로서 화상 또는 영상이 표시된다. 조작으로서는, 예를 들어, 투전, 기프트 요구, 및 아이템 요구 등이다. 또한, 특허문헌 4에 있어서는, 게임 상황에 따라 메시지가 송신된다. 이들 리액션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 등은, 조작에 대한 답례로서의 역할을 갖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표시되는 화상 등이 정형 리액션이면, 시청자인 유저의 흥미를 끌기가 어렵고, 답례에 의해 유저를 충분히 만족시키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배신 시스템은, 시청 영상을 시청자인 복수의 유저 각각의 유저 단말기에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으로서, 각 유저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용 수단과, 상기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복수의 배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신 데이터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이 선택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적어도 상기 유저 조작이 입력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하는 데이터 배신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제어 방법은, 시청 영상을 시청자인 복수의 유저 각각의 유저 단말기에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각 유저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고, 상기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복수의 배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신 데이터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적어도 상기 유저 조작이 입력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구비하고, 시청 영상을 시청자인 복수의 유저 각각의 유저 단말기에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를, 각 유저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용 수단과, 상기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복수의 배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신 데이터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이 선택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적어도 상기 유저 조작이 입력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하는 데이터 배신 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관한 배신 시스템은, 시청 영상을 시청자인 복수의 유저 각각의 유저 단말기에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으로서, 게임 장치와, 상기 게임 장치가 제공하는 게임의 게임 영상으로부터 상기 시청 영상을 생성하여 각 유저 단말기에 배신하는 영상 배신 수단과, 각 유저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용 수단과, 상기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복수의 배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신 데이터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이 선택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적어도 상기 유저 조작이 입력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하는 데이터 배신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시청 영상을 시청하는 유저의 조작에 대하여, 복수의 배신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배신 데이터를 배신하여, 유저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배신 시스템의 개략 전체도.
도 2는 배신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
도 3은 답례 데이터 그룹의 개략 설명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답례 데이터의 배신의 흐름도.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답례 데이터의 배신의 흐름도.
도 6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예에 관한 시청 영상의 일례.
도 7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예에 관한 시청 영상의 일례.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하는 치수, 재료, 형상 및 구성 요소의 상대적인 위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 또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구체적으로 기재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청 영상을 시청자인 복수의 유저(이하, 시청 유저라고도 함) 각각의 유저 단말기에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100)은, 유저에 의한 유저 조작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배신 시스템(100)은, 유저 단말기의 일례인 재생 단말기(20)와, 시청 영상을 배신하는 배신 서버(30)와, 게임 서버(60)와, 게임 장치의 일례로서의 게임 단말기(70)를 구비하고 있다. 재생 단말기(20)는 소정의 네트워크(50)를 통해 관리 서버(10) 및 배신 서버(30)에 접속 가능하다. 일례로서, 시청 유저는, 게임 대회의 회장, 또는 시청 유저의 자택 등에 있어서 재생 단말기(20)를 사용한다. 또한, 게임 단말기(70)는 게임 서버(60)에 소정의 네트워크(50)를 통해 접속 가능하다. 일례로서, 게임의 플레이어는, 게임 대회의 회장, 또는 점포 등의 소정의 시설에 있어서 게임 단말기(70)를 사용한다.
관리 서버(10), 배신 서버(30), 및 게임 서버(60)는 복수의 컴퓨터로서의 서버 유닛이 조합됨으로써 1대의 논리적인 서버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단, 단일의 서버 유닛에 의해, 관리 서버(10), 배신 서버(30), 및 게임 서버(60)가 구성되어도 된다. 혹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10), 배신 서버(30), 및 게임 서버(60)가 논리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관리 서버(10), 배신 서버(30), 및 게임 서버(60) 중 적어도 2개를, 1대의 서버에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를 배신 서버(30)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게임 서버(60)를 관리 서버(10) 및 배신 서버(30)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다.
관리 서버(10)는 시청 유저가 재생 단말기(20)로부터 입력한 유저 조작을 접수하여, 조작 정보를 생성하여 배신 서버(30)에 송신한다. 관리 서버(10)는 각 시청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에 연관지어진 시청 유저마다의 고유 정보를 보존 및 관리한다. 일례로서, 조작 정보는, 유저 식별 정보, 각 재생 단말기(20)를 식별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 입력된 코멘트의 내용 등의 입력 정보, 및 유저 조작의 종류를 식별하는 조작 식별 정보 등의, 유저 조작과 관련된 정보이다. 시청 영상의 시청 유저는, 재생 단말기(20)를 사용하여 유저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단말기(20)에 표시된 코멘트의 입력란에 있어서, 시청 유저는, 플레이어에 대한 응원 코멘트를 투고하는 유저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재생 단말기(20)에 표시된 보수 아이콘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시청 유저는, 플레이어 등에 보수를 제공 또는 기부하는 유저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유저 조작을 접수한 관리 서버(10)는, 유저 식별 정보, 조작 식별 정보, 및 입력 정보 등을 연관시킨 조작 정보를 생성하여 배신 서버(30)에 송신한다. 또한, 시청 유저가 코멘트의 투고 혹은 보수를 제공 또는 기부하는 대상인 지원 대상은, 영상 등을 업로드한 배신자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지원 대상에는, 배신자 외에, 출연자, 또는 배신자 혹은 출연자의 소속 그룹 등이 포함된다. 배신자가 단순한 스탭인 경우 등은, 배신자가 지원 대상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배신 서버(30)는 재생 단말기(20) 또는 재생 단말기(20)를 소유하는 시청 유저에 대하여 시청 영상을 시청시키는 배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배신 서버(30)는 게임 서버(60)로부터 게임 영상을 취득하여, 시청 영상을 생성하여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한다. 또한, 배신 서버(30)는 답례용의 화상 또는 영상 등의 배신 데이터를 보존하고 있다. 그리고, 배신 서버(30)는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배신 데이터를 선택함과 함께, 배신 데이터를 게임 영상에 중첩시켜 시청 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배신 서비스는, 네트워크(50)를 통해 재생 단말기(20)를 위한 프로그램 혹은 데이터를 배신하고, 갱신하는 배신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다. 배신 서버(30)는 이 배신 서비스를 통하여, 각 재생 단말기(20)에 시청 영상의 시청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혹은 데이터를 적절하게 배신한다. 일례로서, 배신되는 시청 영상은, 게임 영상 등의 시청용의 영상, 조작용의 배신 화면, 및 배신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게임 영상에는, 게임 단말기(70)에 의해 플레이되고 있는 게임의 게임 영상, 게임 화면 등을 촬영하여 작성된 게임 영상, 및 게임의 플레이어 또는 게임을 관전하는 관객 등을 촬영한 영상 등의 게임의 관련 영상이 포함된다. 시청 영상에 포함되는 영상은, 배신자가 배신하는 것이면 되고, 배신자 자신이 작성한 영상,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및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등의 다른 영상, 및 시청 유저가 투고한 코멘트 또는 화상 등의 입력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시청 영상이 게임 영상을 포함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배신 서버(30)는 네트워크(50)를 통해 재생 단말기(20)의 유저에 Web 서비스를 제공한다. 당해 Web 서비스에 있어서는, 배신 서버(30)가 배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재생 단말기(20)에 있어서 재생되는 시청 영상이 배신된다. 또한, Web 서비스는, 시청 영상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청 유저에 의한 정보 발신, 교환, 및 공유와 같은 교류의 장을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및 각 시청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유저 식별 정보를 부여하는 서비스 등의 다른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배신 서버(30)는 게임 서버(60)가 생성한 게임 영상을 배신한다. 대체적으로, 배신 서버(30)는 게임 서버(60) 이외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배신해도 된다. 일례로서, 배신 서버(30)는 게임의 플레이어 또는 다른 배신자가 작성한 게임 영상을 배신해도 된다. 이 경우, 배신 서버(30)는 플레이어 또는 다른 배신자가 업로드한 게임 영상을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한다.
게임 서버(60)는 게임 단말기(70) 또는 게임 단말기(70)의 유저에 대하여, 게임 장치용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네트워크(50)를 통해 게임 단말기(70)를 위한 프로그램 혹은 데이터를 배신하고, 갱신하는 배신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다. 게임 서버(60)은 이 배신 서비스를 통하여, 각 게임 단말기(70)에 게임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혹은 데이터를 적절하게 배신한다.
게임 서버(60)는 일례로서, 스포츠 게임용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게임 서버(60)는 스포츠 게임으로서, 야구 선수를 육성하는 육성 파트와, 육성한 야구 선수가 소속된 팀을 상대팀과 대전시키는 대전 파트를 포함하는 야구 게임용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게임 서버(60)는 FPS(퍼스트 퍼슨 슈팅) 게임, TPS(서드 퍼슨 슈팅) 게임, RTS(실시간 스트래티지) 게임, MOBA(멀티플레이 온라인 배틀 아레나) 게임, MMORPG(매시블리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 격투 게임, 레이싱 게임, 퍼즐 게임, 트레이딩 카드 게임, 및 온라인 스트래티지 게임 등의 다른 게임용의 서비스를 제공해도 된다.
또한, 게임 서버(60)가 제공하는 게임 장치용의 서비스는, 게임 단말기(70)로부터 플레이어의 플레이어 식별 정보를 게임 서버(60)가 수취하여, 플레이어를 인증하는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게임 장치용의 서비스는, 게임 화면의 영상, 또는 인증한 플레이어의 플레이 결과를 포함하는 플레이 데이터를, 게임 단말기(70)로부터 게임 서버(60)가 수취하여 보존하는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게임 장치용의 서비스는, 게임 서버(60)가 보존하는 플레이 데이터를, 게임 단말기(70)에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밖에, 게임 장치용의 서비스는, 네트워크(50)를 통해 복수의 플레이어가 공통의 게임을 플레이할 때, 게임 서버(60)가 플레이어끼리를 매칭하는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게임 장치용의 서비스는, 게임 서버(60)가 플레이어로부터 요금을 징수하는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네트워크(50)는 관리 서버(10) 및 배신 서버(30)와, 게임 서버(60)에, 재생 단말기(20)와 게임 단말기(70)를 각각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례로서, 네트워크(50)는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실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LAN(52)이, 관리 서버(10), 배신 서버(30), 및 게임 서버(60) 각각과, 인터넷(51)을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WAN으로서의 인터넷(51)과 LAN(52)이, 라우터(53)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재생 단말기(20) 및 게임 단말기(70)도, 인터넷(51)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관리 서버(10), 배신 서버(30), 및 게임 서버(60)와, 재생 단말기(20) 및 게임 단말기(70)는, LAN(52) 대신에 또는 그에 더하여 인터넷(51)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가는 선이 인터넷(51)에 대한 접속을 나타내고, 굵은 선이 제공되는 서비스 및 송신되는 정보 등을 나타내고 있다. 굵은 선은, 장치끼리 직접 통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장치끼리는, 직접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재생 단말기(20) 및 게임 단말기(70)는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 장치이다. 예를 들어, 재생 단말기(20) 및 게임 단말기(70)는 거치형 또는 노트북형의 퍼스널 컴퓨터(54), 및 휴대 전화(스마트폰을 포함함)와 같은 모바일 단말 장치(55)를 포함한다. 그 외에도, 거치형의 가정용 게임 장치, 휴대형 게임 장치, 및 휴대형 태블릿 단말 장치 등의 각종 컴퓨터 장치가, 재생 단말기(20) 및 게임 단말기(70)에 포함된다. 재생 단말기(20)와 게임 단말기(70)는, 각종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실장함으로써, 관리 서버(10) 및 배신 서버(30)와 게임 서버(60)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유저에 향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생 단말기(20)는 영상 재생용의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시청 영상의 표시 단말기로서 기능한다. 또한, 게임 단말기(70)는 게임 장치용의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게임 장치로서 기능한다. 또한, 재생 단말기(20) 및 게임 단말기(70)는 아케이드 게임기여도 된다.
일례로서, 배신 시스템(100)에 있어서는, 게임 서버(60)가 게임 단말기(70)에 게임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게임 서버(60)는 게임 단말기(70)에 의해 플레이되고 있는 게임의 게임 영상, 또는 게임 화면 등을 촬영하여 작성된 게임 영상을 기록한다. 게임 영상은, 게임의 플레이어 또는 게임을 관전하는 관객을 촬영한 영상 등의, 게임의 관련 영상이어도 된다. 게임 서버(60)는 취득 또는 작성한 게임 영상을, 배신 서버(30)에 송신한다. 그리고, 배신 서버(30)는 수신한 게임 영상을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한다.
[배신 서비스의 개요]
배신 시스템(100)에 있어서의 배신 서비스에 있어서, 시청 유저가 코멘트의 투고, 또는 보수를 제공 혹은 기부하는 유저 조작을 한 경우, 배신 서버(30)는 배신 서버(30)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배신 데이터, 예를 들어, 복수의 답례 영상 중에서 하나의 영상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시청 영상에 포함되는 게임 영상을 업로드한 배신자(예를 들어 실황자)는 복수의 답례 영상을 배신 서버(30)에 업로드한다. 그리고, 배신 서버(30)는 배신자가 업로드한 복수의 답례 영상 중에서 답례 영상을 선택한다. 일례로서, 배신자가 업로드한 복수의 답례 영상은, 각 배신자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예를 들어, 배신자 ID)와 관련지어 보존된다. 이에 의해, 당해 배신자가 라이브 배신을 행하고 있을 때, 시청 유저가 코멘트의 투고 등을 실행하면, 배신 서버(30)는 당해 배신자의 배신자 ID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답례 영상 중에서 답례 영상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답례 영상이, 시청 유저에 배신된다. 또한, 복수의 답례 영상에는, 각 서버의 관리자 등이 업로드한 영상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배신 서버(30)가 기억하고 있는 답례 영상은, 시청 영상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예를 들어, 배신 ID)에 관련지어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당해 답례 영상은 배신자 ID에 관련지어짐과 함께, 배신 ID와도 관련지어진다.
또한, 배신 서버(30)가 기억하고 있는 답례 영상은, 임의로 작성된 그룹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어도 된다. 일례로서, 당해 그룹은, 배신자가 소속된 회사 또는 다른 배신자를 포함하는 그룹 등이다. 복수의 배신자가 그룹으로 작성한 1개의 답례 영상은, 개개의 배신자의 배신자 ID와, 그룹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예를 들어 그룹 ID)에 관련지어진다. 그리고, 다른 배신자가 라이브 배신한 경우, 배신 서버(30)는 그룹으로 작성한 답례 영상을 선택해도 된다. 즉, 하나의 답례 영상은, 복수 종류의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답례 영상은, 반드시 배신자의 배신자 ID와 관련지어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시청 영상의 출연자와 배신자가 상이한 경우, 답례 영상은, 출연자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져도 된다. 이 경우, 시청 유저가, 지원 대상이 되는 출연자를 특정하여 코멘트의 투고 등을 하면, 시청 유저의 식별 정보, 시청 영상을 특정하는 정보, 및 코멘트의 투고 대상이 되는 출연자를 특정하는 정보가, 재생 단말기(20)로부터 관리 서버(10)에 송신되어 조작 정보의 생성에 사용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배신 데이터를, 답례 데이터라고도 한다. 답례 영상은, 시청 영상과 비교하면 재생 시간이 짧은 영상이다. 대체적으로, 예를 들어 답례 영상이 시청 영상과 동시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 답례 영상은, 시청 영상보다도 재생 시간이 긴 영상이어도 된다. 배신 서버(30)는 선택한 답례 영상을 시청 유저가 소유하는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동영상 배신 서비스 또는 라이브 배신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는, 시청 유저가, 코멘트의 투고 또는 보수의 기부를 행하는 유저 조작을 입력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들 유저 조작이 입력된 경우, 시청 유저의 유저 단말기에는, 입력한 시청 유저의 유저명과 함께, 시청 영상에 포함되는 양태로 코멘트의 내용 또는 보수의 내용이 배신된다. 라이브 배신의 경우, 배신자, 예를 들어 게임의 플레이어는, 시청 영상을 보고 코멘트 또는 보수에 대한 답례를 말하거나 또는 답례의 코멘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당해 답례는, 게임 영상과 함께 배신되고, 시청 유저는 답례를 시청한다. 이와 같이, 쌍방향의 액션이 성립됨으로써, 시청 유저에 현장감 및 친근감을 부여할 수 있다.
쌍방향의 액션이 성립되지 않는 예로서, 예를 들어, 단시간에 많은 유저 조작이 입력되는 케이스가 있다. 이 경우, 플레이어가 일부의 코멘트 등을 인식할 수 없거나, 또는 플레이어에 의한 답례가 늦음으로써, 플레이어로부터 답례받지 않는 시청 유저가 발생해 버린다. 그리고, 유저 조작을 행한 시청 유저는, 플레이어로부터 답례받지 않는 경우에는, 불만감을 느껴 버려, 유저 조작의 횟수를 줄여 버린다. 한편, 플레이어의 인식 능력 또는 대응 능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쌍방향의 액션이 성립되지 않는 케이스가 발생해 버릴 가능성은 없앨 수 없다.
특히, e스포츠(electronic sports)의 게임 영상을 라이브 배신하는 경우, 시청 유저가 응원하는 대상은 게임 대전을 하고 있는 플레이어이다. 그리고, 대전 중인 플레이어는, 게임에 집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청 유저에 의한 유저 조작에 대하여 답례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게임을 중단하고 답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해도, 플레이어의 대응 능력에는 한계가 있다. 그 때문에, 쌍방향의 액션이 성립되지 않는 케이스가 발생해 버릴 가능성은 없앨 수 없다. 그래서, 시청 유저가 불만감을 느끼는 것을 줄여, 유저 조작의 횟수의 감소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음악의 연주를 라이브 배신하는 경우, 연주자 또는 회장 등에 있는 스탭이 배신자가 될 수 있다. 연주자와 배신자가 상이한 경우에도, 시청 유저에 의한 유저 조작에 대한 답례를 즉시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배신 시스템(100)에 있어서의 배신 서비스에 있어서는, 시청 유저가 유저 조작을 행하면, 미리 설정된 복수의 답례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선택된다. 그리고, 선택된 답례 영상이, 적어도 투고 등의 유저 조작을 한 시청 유저가 유저 조작에 사용한 재생 단말기(20)에 배신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배신 시스템(100)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례로서, 각 시청 유저의 재생 단말기(20)에는, 상호 통신을 행하는 게임 단말기(70)끼리에 있어서 플레이되는 게임의 게임 영상이 배신된다. 게임 서버(60)는 게임 단말기(70)로부터 게임 화면을 취득하여 게임 영상을 생성함과 함께, 게임에 있어서의 승패의 관리 등의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게임 영상은, 게임 서버(60)에 있어서 기록되고, 게임 서버(60)가 배신 서버(30)에 업로드한다. 대체적으로, 타인의 게임을 실시간 중계하는 실황자가 자신의 서버로부터 배신 서버(30)에 실황 영상을 업로드해도 된다. 이 경우, 시청 유저가 코멘트의 투고 및 보수의 기부 등을 행하는 대상은 실황자여도 된다.
배신 서버(30)는 각 시청 유저의 재생 단말기(20)에 시청 영상을 배신한다. 각 시청 유저는, 자신의 재생 단말기(20)를 사용하여 시청 영상을 재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또한, 각 시청 유저는, 재생 단말기(20)를 사용하여, 코멘트의 투고 등의 유저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유저 조작은, 재생 단말기(20)에 미리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능에 의해 실현된다.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배신 서버(30), 관리 서버(10), 게임 서버(60), 및 기타의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유저 조작은, 배신 서버(30)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의 기능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관리 서버(10)는 시청 유저로부터 투고된 코멘트의 관리 및 기부된 보수의 관리 등을 행한다. 또한, 관리 서버(10)는 시청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 및 코멘트 내용 등의 입력 정보를 포함하는 조작 정보를 배신 서버(30)에 송신한다.
또한, 플레이어는, 상호 통신을 행하는 게임 단말기(70)에 있어서 게임의 대전을 행한다. 그리고, 게임 서버(60)는 대전 중인 게임 화면을 수시로 취득하여 게임 영상으로서 기록한다. 일례로서, 격투 게임 및 스포츠 게임 등과 같이, 양쪽 플레이어가 동일한 게임 화면을 보고 있는 경우, 게임 서버(60)는 양쪽 게임 단말기(70) 중 한쪽으로부터 게임 화면을 취득한다. FPS 게임 및 TPS 게임 등과 같이, 양쪽 플레이어가 상이한 게임 화면을 보고 있는 경우, 게임 서버(60)는 양쪽 게임 단말기(70) 각각으로부터 게임 화면을 취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게임 서버(60)는 플레이어끼리의 매칭 등의 대전 관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게임 서버(60)는 플레이어의 관리로서, 예를 들어, 각 플레이어의 플레이어 식별 정보에 관련지은 승패 수 및 대전 상대 등의 대전 이력 정보를 기억 및 관리해도 된다.
게임 서버(60)는 취득한 게임 화면으로부터 게임 영상을 생성하여 배신 서버(30)에 송신한다. 또한, 게임 서버(60)는 대전하고 있는 플레이어를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카메라 영상을 취득해도 된다. 게임 서버(60)는 취득한 카메라 영상을, 게임 영상으로서, 또는 게임 화면의 일부에 중첩시킨 게임 영상으로서, 배신 서버(30)에 송신한다. 대체적으로, 배신 서버(30)가 대전하고 있는 플레이어를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카메라 영상을 취득해도 된다. 이 경우, 배신 서버(30)는 게임 화면과 카메라 영상을 소정의 영역에 담은 시청 영상을 생성함과 함께, 시청 영상을 시청 유저의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한다. 또는, 배신 서버(30)는 취득한 카메라 영상을, 시청 영상으로서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한다. 다른 예로서, 배신 서버(30)가 별개의 시청 영상으로서, 게임 영상과 카메라 영상을 배신하여, 재생 단말기(20)에 있어서 양쪽 영상이 각각 표시되거나, 재생 단말기(20)가 양쪽 영상을 합성하여 동시에 표시해도 된다. 양쪽 영상은, 미리 재생 단말기(20)에 인스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서버(60)는 플레이어에 의한 게임 조작 정보, 및 NPC가 있는 경우의 NPC 제어 정보 등을, 게임 단말기(70)로부터 수신해도 된다. 이 경우, 게임 서버(60)는 게임을 기동하여, 수신한 게임 조작 정보 등에 기초하여 게임 화면을 재생성함으로써, 게임 영상을 생성한다. 이에 의해, 게임 단말기(70)로부터 게임 서버(60)로의 통신량을 삭감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배신 서버(30)가 게임 서버(60)를 통해 게임 단말기(70)로부터 게임 조작 정보 등을 취득해도 된다. 이 경우, 배신 서버(30)는 게임 화면을 재생성함으로써 게임 영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배신 서버(30)는 시청 영상을 라이브 배신함과 함께, 시청 유저가 투고한 코멘트 등을 각 시청 유저의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한다. 미리 시청 유저의 재생 단말기(20)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고, 시청 유저는,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코멘트의 투고 등의 유저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 유저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면, 재생 단말기(20)에는, 시청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 영역과, 코멘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란 및 보수의 기부 등을 행하는 보수 아이콘 등의 조작 영역이 표시된다. 또한, 재생 단말기(20)에는, 배신된 코멘트가 표시되는 코멘트 영역이 표시된다. 영상 영역, 조작 영역, 및 코멘트 영역은, 구별하여 표시되고, 시청 유저는, 유저 조작을 조작 영역에 있어서 행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마찬가지의 영역의 구분 및 조작의 입력이, 배신 서버(30)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있어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시청 유저가 투고한 코멘트 등은, 배신자용 화면에 있어서, 시청 화상의 표시 영역에 별도로 마련된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도 된다. 배신자는, 당해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코멘트 등을 보고, 라이브 배신 중에 답례를 말하거나 또는 답례의 코멘트를 입력하는 등의 액션을 실행한다. 또한, 특별한 시청 유저(예를 들어, 투고 수가 많은 시청 유저)로부터의 액션이 있으면, 배신자용 화면에 있어서, 당해 액션이 있었다는 취지가 강조되어 표시되어도 된다.
시청 유저는, 시청 영상의 배신 중에, 자신의 재생 단말기(20)로부터 코멘트의 투고 또는 보수의 기부 등의 유저 조작을 행한다. 재생 단말기(20)는 입력된 코멘트의 내용 또는 선택된 보수의 내용 등을 관리 서버(10)에 송신한다. 재생 단말기(20)는 코멘트의 내용 또는 보수의 내용을, 각 시청 유저에 할당된 유저 식별 정보(예를 들어 유저 ID)와 함께 송신해도 된다. 또한, 플레이어 등에 제공되는 보수는, 일례로서, 금전, 대용 화폐, 가상 통화, 암호 자산, 전자 화폐, 및 포인트 등의 소비 매체이다. 대체적으로, 보수는, 게임 서버(60)가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게임 내 통화, 또는 아이템 등의 특전이어도 된다. 또한, 보수는, 물품 등의 유체물이어도 된다.
관리 서버(10)는,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면 조작 정보를 생성한다. 일례로서, 관리 서버(10)는 시청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와, 유저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코멘트의 내용 등의 입력 정보를 포함하도록 조작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관리 서버(10)는 선택된 보수의 종류를 식별하는 조작 식별 정보(예를 들어 조작 ID)와, 조작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지는 유저 식별 정보를 포함하도록 조작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는 시청 유저가 로그인했을 때 유저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대체적으로, 배신 서버(30)가 코멘트의 내용 등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조작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또한, 답례 데이터를 배신할 수 있으면 되므로, 관리 서버(10)는, 유저 식별 정보 대신에, 각 시청 유저의 재생 단말기(20)를 식별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 ID)를 재생 단말기(20)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대체적으로, 관리 서버(10)는 단말기 식별 정보로서,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를 취득해도 된다. 그리고, 관리 서버(10)는 생성한 조작 정보를 배신 서버(30)에 송신한다.
관리 서버(10)로부터 조작 정보를 수신하면, 배신 서버(30)는 미리 기억하고 있는 복수의 답례 영상 중에서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여 배신한다. 예를 들어, 배신 서버(30)는 각 답례 영상을 식별하는 영상 식별 정보(예를 들어 영상 ID)를 랜덤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배신 서버(30)는 선택한 영상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답례 영상을 배신한다. 여기서, 답례 영상은, 시청 유저로부터의 코멘트 등에 대하여 배신자(예를 들어 플레이어)가 답례할 수 없는 경우에 대비하여 미리 준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답례 영상은, 5초 정도의 영상으로서, 플레이어가 감사의 말을 하고 있거나 또는 감사의 포즈를 취하고 있는 씬을 촬영하여 얻어진 영상이다. 대체적으로, 감사를 의미하는 문자열 또는 화상 등, 혹은 감사의 말을 하고 있거나 또는 감사의 포즈를 취하고 있는 애니메이션이 배신되어도 된다.
답례 영상의 선택 시에는, 코멘트의 투고 등이 대전하고 있는 어느 플레이어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지가 참조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시청 유저는, 응원하는 플레이어 또는 응원하는 플레이어가 속하는 팀을 미리 선택해 둔다. 시청 유저는, 당해 플레이어의 선택을, 시청 유저가 코멘트를 투고할 때 행해도 된다. 이 경우, 재생 단말기(20)는 플레이어를 특정하는 정보를 관리 서버(10)에 송신한다. 또한, 시청 유저는, 당해 플레이어의 선택을 미리 행하여, 관리 서버(10)에 기억시켜도 된다. 이 경우, 관리 서버(10)는 플레이어를 특정하는 정보(예를 들어 플레이어 ID)를 유저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 기억한다. 그리고, 배신 서버(30)는 플레이어를 특정하는 정보를 참조하여, 당해 플레이어와 관련된 답례 영상을 배신 데이터 그룹의 일례인 답례 데이터 그룹 RD(도 2) 중에서 선택한다. 또한, 시청 유저가, 대전하고 있는 양쪽의 플레이어를 선택할 수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양쪽 플레이어에 대하여 코멘트를 투고하기를 원하는 시청 유저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배신 서버(30)는 양쪽 플레이어와 관련된 답례 영상, 예를 들어, 양쪽 플레이어를 촬영하여 얻어진 영상을 답례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선택한다. 또한, 예를 들어, 배신자가 음악 라이브의 회장 스탭인 경우에는, 스탭이 연주자의 답례 영상을 업로드해 둔다. 그리고, 당해 연주자를 특정하는 정보와 관련지어진 답례 영상은, 음악 라이브 개최 중에 있어서의 시청 유저에 의한 코멘트의 투고 등에 대해서만 선택되어도 된다.
배신 서버(30)는 답례 영상을 선택하면, 게임 영상의 일부(예를 들어 게임 영상의 우측 상단)에 답례 영상이 중첩되도록 시청 영상을 생성하여, 각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한다. 이 경우, 코멘트의 투고 등의 유저 조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시청 유저에도 답례 영상이 배신된다. 단, 배신 서버(30)는 유저 조작을 행한 시청 유저에게만 답례 영상을 배신해도 된다. 생성된 시청 영상에 있어서는, 게임 영상과 답례 영상이 합성되어 있다. 또한, 각 답례 영상은, 조작 정보를 수신했을 때 자동적으로 생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조작 정보에 시청 유저의 유저명을 포함시켜, 배신 서버(30)가 유저명을 포함하는 답례 영상을 생성해도 된다. 답례 영상의 배신 타이밍은, 코멘트의 투고 등의 유저 조작이 행해진 직후이지만, 유저 조작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지연시킨 타이밍, 또는 시청 영상의 배신 종료 직전 등의 미리 설정된 타이밍이어도 된다.
[배신 시스템의 제어계]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시청 영상을 시청자인 복수의 유저 각각의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100)의 제어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관리 서버(10)는 서버 제어부(11), 서버 기억부(12), 및 도시하지 않은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서버 제어부(11)는 재생 단말기(20)로부터 시청 유저에 의한 유저 조작을 접수하면, 조작 정보를 생성하여 배신 서버(30)에 송신하기 위한 각종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서버 기억부(12)는 관리 프로그램 PG1과, 시청 유저의 관리에 사용되는 관리용 데이터 MD를 기억하고 있다.
배신 서버(30)는 배신 제어부(31), 배신 기억부(32), 및 도시하지 않은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배신 제어부(31)는 게임 서버(60)로부터 수신한 게임 영상을 배신하기 위한 각종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배신 기억부(32)는 배신 프로그램 PG2와, 답례 데이터 그룹 RD를 포함하는 배신용 데이터 DD를 기억하고 있다. 배신 서버(30)에 의한 시청 영상의 배신은, 각 유저에 일제히 배신하는 형식이면 되고, 실시간으로의 영상 배신인 라이브 배신의 형식이어도 되고, 실시간이 아니라, 예를 들어 녹화 또는 편집된 영상을 배신하는 형식이어도 된다. 또한, 일제히 배신하는 형식에 한정되지 않고, 각 유저의 조작에 의해 개별적으로 배신이 행해지는 온 디맨드 배신의 형식이어도 된다.
게임 서버(60)는 게임 제어부(61), 게임 기억부(62), 및 도시하지 않은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게임 제어부(61)는 게임 단말기(70)에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게임 제어부(61)는 게임 화면을 기록하여 게임 기억부(62)에 기억시키고, 게임 영상으로서 배신 서버(30)에 업로드한다. 또한, 게임 기억부(62)는 게임 서버(60)의 제어 프로그램과, 게임의 플레이어와 관련된 정보인 플레이어 데이터와, 게임과 관련된 정보인 게임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일례로서, 플레이어 데이터는, 플레이어 식별 정보 및 플레이어의 개인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게임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BGM 데이터, 및 플레이어의 플레이 데이터와 같은 각종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플레이 데이터는, 플레이어의 플레이 이력(예를 들어 과거의 실적) 등의 각 플레이어에 고유한 내용을 다음 번 이후에 잇기 위한 데이터이다.
서버 제어부(11), 배신 제어부(31), 및 게임 제어부(61)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연산 처리 및 동작 제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내부 메모리와, 기타의 주변 장치를 조합한 컴퓨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일례로서, 이들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MPU(Micro-Processing Unit)이며, 소정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장치 전체를 제어함과 함께, 각종 처리에 대해서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서버 기억부(12), 배신 기억부(32), 및 게임 기억부(62)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억 매체를 포함한 기억 장치이다. 그리고, 서버 기억부(12), 배신 기억부(32), 및 게임 기억부(62)는 프로세서가 동작하기 위한 시스템 워크 메모리인 RAM(Random Access Memory), 그리고 프로그램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ROM(Read Only Memory), HDD(Hard Disc Drive) 및 SSD(Solid State Drive) 등의 기억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ROM 또는 HDD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연산, 제어, 및 판단 등의 처리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관리 프로그램 PG1 및 배신 프로그램 PG2는, 협동하여 배신 시스템(100)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서버 기억부(12), 배신 기억부(32), 및 게임 기억부(62)는 하나의 기억 장치에 모든 데이터를 보유해도 되고, 복수의 기억 장치에 데이터를 분산하여 기억해도 된다.
서버 제어부(11), 배신 제어부(31), 및 게임 제어부(61)에는, 장치의 입력 상태, 설정 상태, 계측 결과, 및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서버 기억부(12), 배신 기억부(32), 및 게임 기억부(62)에는, 소정의 지령 및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보드 또는 각종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 장치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11), 배신 제어부(31), 및 게임 제어부(61)는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CF(Compact Flash) 카드, 및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등의 이동식 기록 매체, 또는 인터넷 상의 서버 등의 외부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재생 단말기(20)는 재생 제어부(21), 재생 기억부(22), 조작 장치로서의 조작부(23), 표시 장치로서의 표시부(24), 음성 출력 장치로서의 스피커(25), 및 도시하지 않은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재생 기억부(22)는 재생 단말기(20)의 제어 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일례인 시청 영상의 재생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재생 제어부(21)는 재생 단말기(20)를 제어함과 함께,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시청 영상을 표시부(24)에 표시시킨다. 또한, 조작부(23)는 컨트롤러, 또는 터치 패널 등의 조작 장치이며, 시청 유저에 의한 유저 조작의 입력을 접수한다. 또한, 표시부(24)는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 패널 등의 표시 장치이며, 유저가 시청하는 시청 영상을 표시한다. 조작부(23) 및 표시부(24)는 터치 패널 등의 표시 조작부로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스피커(25)는 시청 영상의 재생에 수반하여, 게임 음성 등의 관련된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조작부(23), 표시부(24), 및 스피커(25)는 재생 단말기(20)와 일체여도 되고, 별체여도 된다.
게임 단말기(70)는 단말기 제어부(71), 단말기 기억부(72), 게임 조작부(73), 게임 표시부(74), 및 도시하지 않은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단말기 기억부(72)는 게임 단말기(70)의 제어 프로그램과, 게임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단말기 제어부(71)는 게임 단말기(70)를 제어함과 함께,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플레이어에 게임을 플레이시킨다. 또한, 게임 조작부(73)는 컨트롤러, 또는 터치 패널 등의 조작 장치이며, 플레이어에 의한 게임 조작의 입력을 접수한다. 게임 조작부(73) 및 게임 표시부(74)는 터치 패널 등의 표시 조작부로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게임 단말기(70)는 플레이어 등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게임 단말기(70)는 게임 화면과 함께, 카메라가 촬영한 카메라 영상을, 게임 서버(60)에 송신한다. 대체적으로, 카메라는, 게임 단말기(70)와는 별도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카메라는, 게임 서버(60)에 카메라 영상을 송신해도 되고, 배신 서버(30)에 송신해도 된다.
게임 표시부(74)는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 패널 등의 표시 장치이며, 플레이어가 플레이하는 게임의 게임 화면을 표시한다. 게임 조작부(73) 및 게임 표시부(74)는 게임 단말기(70)와 일체여도 되고, 별체여도 된다. 또한, 게임 단말기(70)는 도시하지 않은 음성 출력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71)는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지만, 게임 제어부(61)와 협동하여 게임의 진행을 제어해도 된다. 예를 들어, 게임 제어부(61)가 게임의 적어도 일부의 진행을 제어하고, 단말기 제어부(71)는 그 결과를 게임 표시부(74)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게임 제어부(61)는 게임 단말기(70)로부터 플레이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플레이 데이터를 관리한다. 또한, 게임 서버(60)의 게임 제어부(61)는 게임 단말기(70)로부터, 게임 영상, 또는 게임 영상을 재구성하기 위한 게임 조작 정보 등을 수집한다.
재생 제어부(21) 및 단말기 제어부(71)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연산 처리 및 동작 제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내부 메모리와, 기타의 주변 장치를 조합한 컴퓨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일례로서, 이들 프로세서는, CPU, 또는 MPU이며, 소정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장치 전체를 제어함과 함께, 각종 처리에 대해서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재생 제어부(21) 및 단말기 제어부(71)는 CD, DVD, CF 카드, 및 USB 메모리 등의 이동식 기록 매체, 또는 인터넷 상의 서버 등의 외부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재생 기억부(22) 및 단말기 기억부(72)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억 매체를 포함한 기억 장치이다. 그리고, 재생 기억부(22) 및 단말기 기억부(72)는 프로세서가 동작하기 위한 시스템 워크 메모리인 RAM, 그리고 프로그램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ROM, HDD 및 SSD 등의 기억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ROM 또는 HDD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연산, 제어, 및 판별 등의 처리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재생 기억부(22) 및 단말기 기억부(72)는 하나의 기억 장치에 모든 데이터를 보유해도 되고, 복수의 기억 장치에 데이터를 분산하여 기억해도 된다.
[관리 서버]
관리 서버(10)의 서버 제어부(11)는 각 재생 단말기(20)로부터 입력된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용 수단의 일례인 조작 수용부(1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11)는 조작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수단의 일례인 정보 생성부(112)와, 유저 조작에 대한 대가의 지불을 받아들이는 대가 수용 수단의 일례인 대가 수용부(113)를 갖고 있다. 조작 수용부(111), 정보 생성부(112), 및 대가 수용부(113)는 서버 제어부(11)의 하드웨어 자원과, 소프트웨어 자원으로서의 관리 프로그램 PG1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는 논리적 장치이다. 유저 조작은, 영상의 시청에 관련하여 행해지는 조작이며, 일례로서, 코멘트의 입력 또는 보수의 기부 등을 행하는 조작이다.
조작 수용부(111)는 재생 단말기(20)에 입력된 시청 유저에 의한 유저 조작을 받아들인다. 구체적으로, 조작 수용부(111)는 유저 조작의 종류를 식별하는 조작 식별 정보(예를 들어 조작 ID)와, 단말기 식별 정보 또는 유저 식별 정보를, 재생 단말기(20)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조작 수용부(111)는 재생 단말기(20)로부터 코멘트의 내용 등의 입력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조작 수용부(111)는 취득한 정보를 정보 생성부(112)에 전달한다. 또한, 조작 수용부(111)는 유저에 의한 조작으로서, 시청 영상의 재생 속도의 변경, 영상 영역의 사이즈 변경, 및 재생의 개시 또는 정지 등의 조작을 받아들일 수 있다. 일례로서, 시청 유저는, 배신 화면에 있어서 영상 영역과 겹쳐서 또는 나란히 배치되는 아이콘 등을 선택함으로써 각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수용부(111)는 유저 조작으로서 특수 커맨드의 입력 조작을 받아들여도 된다. 예를 들어, 시청 유저가 코멘트 중에 미리 설정된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면, 조작 수용부(111)는 특수 커맨드에 대응하는 조작 식별 정보를, 재생 단말기(20)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조작 수용부(111)는 취득한 조작 식별 정보를 정보 생성부(112)에 전달한다. 정보 생성부(112)는 취득한 조작 식별 정보를 포함하도록 조작 정보를 생성한다. 대체적으로, 조작 수용부(111)가 코멘트 중에 미리 설정된 특정 키워드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해도 된다. 이 경우, 조작 수용부(111)는 특정 키워드가 포함된다고 판단하면, 특수 커맨드에 대응하는 조작 식별 정보를 정보 생성부(112)에 전달한다. 그리고, 배신 서버(30)는 키워드에 대응한 답례 영상을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한다.
이에 의해, 시청 유저에 대하여, 특수 커맨드를 찾는다는, 보물 찾기와 같은 즐거움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 조건, 예를 들어, 후술하는 조작 속성에 대응하는 답례 영상의 선택 조건과, 특수 커맨드에 대응하는 답례 영상의 선택 조건이 중복된 경우, 특수 커맨드에 대응하는 답례 영상의 선택 조건을 우선해도 된다. 그러면, 시청 유저는, 돌연 익숙치 않은 답례 영상을 보게 되어, 신선한 기분을 얻을 수 있다.
정보 생성부(112)는 조작 정보를 생성하고, 서버 제어부(11)는 생성된 조작 정보를 배신 서버(30)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생성부(112)는 관리용 데이터 MD를 참조하여, 조작 수용부(111)로부터 받아들인 정보에 기초한 조작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정보 생성부(112)는 관리용 데이터 MD를 참조하여 속성 특정 정보를 특정하고, 당해 속성 특정 정보를 포함하도록 조작 정보를 생성한다. 일례로서, 속성은, 유저 조작의 조작 속성, 코멘트의 코멘트 속성, 또는 각 유저의 유저 속성이다. 그리고, 속성 특정 정보는, 조작 속성, 코멘트 속성, 또는 유저 속성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조작 속성은, 코멘트의 입력 또는 보수의 기부 등의 각 유저 조작의 종류에 대응하는 속성이다. 또한, 보수의 기부에 대응하는 속성은, 보수의 액수 또는 종류에 따라 속성이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정보 생성부(112)는 조작 수용부(111)로부터 보수의 액수에 따른 조작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조작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속성은, 코멘트 또는 보수의 기부 등의 대상이 되는 플레이어마다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 A에 대한 코멘트의 입력과, 플레이어 A와 대전하고 있는 플레이어 B에 대한 코멘트의 입력에서, 조작 식별 정보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코멘트 속성은, 좋음, 나쁨, 재미있음, 또는 시시함 등의 코멘트의 성질에 따라 나누어진 속성이다. 또한, 유저 속성은, 성별 및 연령 등의 각 유저에 대응하는 속성이다.
예를 들어, 조작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특정 정보는 조작 식별 정보이며, 정보 생성부(112)는 조작 수용부(111)로부터 조작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정보 생성부(112)는 선택된 보수의 종류를 식별하는 조작 식별 정보와, 조작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지는 유저 식별 정보를 포함하도록 조작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코멘트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특정 정보는 코멘트 식별 정보(예를 들어 코멘트 ID)이며, 정보 생성부(112)는 코멘트의 내용을 판단하고, 조작 정보에 코멘트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 예를 들어, 정보 생성부(112)는 코멘트에 포함되는 문장을 해석하여, 「힘내라」, 「기대하고 있어」, 및 「나이스 캐치」 등의 기대 또는 응원을 의미하는 문자가 코멘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긍정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코멘트 식별 정보를 조작 정보에 포함시킨다. 또한, 정보 생성부(112)는 야유 또는 비난 등을 의미하는 문자가 코멘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부정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코멘트 식별 정보를 조작 정보에 포함시킨다. 그리고, 정보 생성부(112)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분류할 수 없는 문자만이 코멘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중립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코멘트 식별 정보를 조작 정보에 포함시킨다.
또한, 정보 생성부(112)는 플레이어의 이름 등의, 플레이어를 특정 가능한 문자가 코멘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코멘트 식별 정보를 조작 정보에 포함시킨다. 대체적으로, 속성 특정 정보는, 답례 데이터를 배신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배신 서버(30)의 선택부(131)(후술)는 답례 데이터를 선택하지 않기 때문에, 답례 데이터가 배신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보 생성부(112)는 존재하지 않는 키워드, 예를 들어 이전 시합의 플레이어의 이름 등이 코멘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코멘트가 무시되어야 하며 답례 데이터를 배신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코멘트 식별 정보를 조작 정보에 포함시킨다. 또한, 정보 생성부(112)는 시청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와, 유저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코멘트의 내용을 포함하도록 조작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또한, 유저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특정 정보는 속성 식별 정보(예를 들어 속성 ID)이며, 정보 생성부(112)는 관리용 데이터 MD의 유저 정보 UI를 참조하여, 조작 정보에 속성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 예를 들어, 유저 정보 UI는, 유저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유저의 성별 또는 연령을 포함하고 있다. 정보 생성부(112)는 조작 수용부(111)로부터 유저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유저 정보 UI로서 성별 또는 연령을 특정한다. 그리고, 정보 생성부(112)는 특정한 유저 정보 UI에 대응하는 속성 식별 정보를 포함하도록 조작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정보 생성부(112)는 유저 정보 UI를 참조하여, 조작 정보에 조작 이력으로서의 이력 식별 정보(예를 들어 이력 ID)를 포함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유저 정보 UI는, 유저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정보로서,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코멘트의 투고 횟수, 또는 보수의 토탈 기부 액수 등의 시청 유저의 조작 이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정보 생성부(112)는 조작 수용부(111)로부터 유저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유저 정보 UI로부터 투고 횟수 또는 토탈 기부 액수를 특정한다. 그리고, 정보 생성부(112)는 특정한 투고 횟수 또는 토탈 기부 액수에 대응하는 이력 식별 정보를 포함하도록 조작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정보 생성부(112)는 특정한 투고 횟수가 소정 횟수보다도 많다고 판단하면, 소정 횟수보다도 많음을 나타내는 이력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 정보 생성부(112)는 특정한 투고 횟수가 소정 횟수보다도 적다고 판단하면, 소정 횟수보다도 적음을 나타내는 이력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다.
대가 수용부(113)는 조작 수용부(111)가 재생 단말기(20)로부터 보수의 기부 또는 제공에 대응하는 조작 식별 정보를 접수하면, 대가의 지불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대가 수용부(113)는 유저 조작에 대한 대가의 지불 화면(도시하지 않음)을 재생 단말기(20)의 표시부(24)에 표시시킨다. 시청 유저는, 지불 화면을 통해, 표시된 보수의 금액을 선택한다. 그리고, 재생 단말기(20)는 선택된 유저 조작을 식별하는 고유의 과금 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도시하지 않은 결제 서버에 송신한다. 결제 서버는, 과금 대상 정보에 대응하는 과금 대상 대가를 소비시키는 결제 처리를 행하고, 결제 처리의 결과를 재생 단말기(20) 및 관리 서버(10)에 송신한다. 또한, 대가 수용부(113)는 결제 서버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의 링크 아이콘을 표시부(24)에 표시시켜도 된다. 유저가 링크 아이콘을 터치 조작하면, 결제 서버가 제공하는 웹페이지가 표시되고, 당해 웹페이지를 통해 결제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유저는, 금전 외에, 신용 카드 또는 직불 카드 등의 카드 매체에 관한 정보, 또는 대용 화폐, 가상 통화, 암호 자산, 전자 화폐, 및 포인트 등의 소비 매체를 소비하여 대가를 지불할 수 있다.
결제가 완료되면, 재생 단말기(20)는 결제 처리의 결과를 표시부(24)에 표시시킨다. 또한 결제가 완료되어 대가가 지불된 경우, 대가 수용부(113)는 대가의 지불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지불의 완료를 정보 생성부(112)에 통지한다. 그리고, 정보 생성부(112)는 선택된 보수의 종류를 식별하는 조작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조작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11)가 당해 조작 정보를 배신 서버(30)에 송신하면, 배신 서버(30)는 보수에 대한 답례의 내용을 포함하는 화상 또는 영상 등을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한다. 또한, 대가 수용부(113)는 시청 영상 또는 답례 데이터의 시청에 필요한 대가의 지불을 받아들여도 된다.
[배신 서버]
배신 서버(30)의 배신 제어부(31)는,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시청 영상과는 다른 복수의 답례 데이터를 포함하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도 3)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답례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의 일례인 선택부(131)를 구비하고 있다. 즉, 선택부(131)는, 시청 영상을 선택하는 조작과는 다른 유저 조작에 의한 조작 정보의 취득을 트리거로 하여, 복수의 답례 데이터를 포함하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랜덤으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하거나 또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여기서, 답례 데이터는, 영상, 음성, 화상, 및 이들의 조합 등이다. 선택부(131)는 복수의 답례 데이터를 선택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복수의 답례 데이터가 배신된다. 또한, 답례 데이터 그룹 RD는, 복수의 답례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서브 데이터 그룹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배신 제어부(31)는 선택부(131)가 선택한 답례 데이터를, 적어도 유저 조작이 입력된 재생 단말기(20)에 대하여 배신하는 데이터 배신 수단의 일례인 배신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배신 제어부(31)는 속성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속성 취득 수단, 유저 조작이 입력된 재생 단말기(20)를 식별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 또는 유저 조작을 입력한 입력 유저인 시청 유저의 조작 이력을 취득하는 이력 취득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취득부(133)를 구비하고 있다. 선택부(131), 배신부(132), 및 취득부(133)는 배신 제어부(31)의 하드웨어 자원과, 소프트웨어 자원으로서의 배신 프로그램 PG2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는 논리적 장치이다.
일례로서,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답례 데이터를 랜덤으로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버 기억부(12)가 답례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예를 들어 데이터 ID)를 답례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도록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취득부(133)가 조작 정보를 관리 서버(10)로부터 취득하면, 선택부(131)는 난수표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 식별 정보를 랜덤으로 특정한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특정한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배신부(132)는 선택부(131)가 선택한 답례 데이터를, 적어도 유저 조작이 입력된 재생 단말기(20)에 대하여 배신한다. 또한, 배신부(132)는 유저 조작이 입력된 재생 단말기(20)에만 답례 데이터를 배신해도 되고, 전체 시청 유저의 재생 단말기(20)에 답례 데이터를 배신해도 된다.
또한, 답례 데이터 그룹 RD는, 각각이 상이한 속성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서브 데이터 그룹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선택부(131)는 속성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속성을 특정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답례 데이터로서, 특정한 속성에 관련지어진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또한, 서브 데이터 그룹끼리 관련지어진 속성은, 일부가 공통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속성은, 유저 조작의 조작 속성, 각 유저의 유저 속성, 또는 코멘트의 코멘트 속성에 기초하여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서브 데이터 그룹 각각은, 소정의 공통되는 속성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답례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내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는, 데이터 ID1과 속성 1 및 3에 관련지어진 답례 데이터 1과, 데이터 ID2와 속성 1 및 3에 관련지어진 답례 데이터 2를 포함하고 있는 서브 데이터 그룹 G1을 포함한다. 또한, 답례 데이터 그룹 RD는, 답례 데이터 1 및 2와, 데이터 ID3과 속성 2 및 3에 관련지어진 답례 데이터 3을 포함하고 있는 서브 데이터 그룹 G2를 포함한다. 그리고, 속성 1 내지 속성 3 각각에는, 상이한 속성 식별 정보가 할당되어 있다. 속성이 시청 유저의 유저 속성인 경우, 예를 들어, 속성 1은 여성을 나타내고, 속성 2는 남성을 나타내고, 속성 3은 20대의 연령을 나타낸다.
속성 취득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취득부(133)는 속성 특정 정보로서 속성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10)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부(133)는 속성 식별 정보를 선택부(131)에 전달한다. 선택부(131)는 속성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속성을 특정하고, 특정한 유저 속성, 예를 들어 성별에 관련지어진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도 3의 예에 있어서는, 특정한 속성이 여성이면, 선택부(131)는 서브 데이터 그룹 G1 중에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즉, 서브 데이터 그룹 G1에 포함되는 답례 데이터 1 및 답례 데이터 2는 여성을 위한 화상, 음성, 또는 영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선택부(131)에 의한 답례 데이터의 선택은, 복수의 선택 방법의 조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선택부(131)는, 특정한 유저 속성에 기초하여 서브 데이터 그룹 G1을 특정하고, 서브 데이터 그룹 G1 중에서 랜덤으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해도 된다.
일례로서, 답례 데이터 그룹 RD의 서브 데이터 그룹은, 성별, 연령, 거주지, 출신지, 출신 고교, 및 출신 대학 등의 개인 정보, 또는 VIP 회원 혹은 유료 회원인 것 등의 시청 유저의 속성에 따라 준비된 답례 영상을 포함하고 있고, 선택부(131)는 당해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영상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미리 등록되어 있는 플레이어의 개인 정보와 시청 유저의 개인 정보에서 공통되는 속성이 있으면, 조작 정보에는 당해 공통되는 속성에 대응하는 속성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되는 속성의 예는, 플레이어와 시청 유저의 출신 대학 또는 출신지가 동일한 경우의, 출신 대학 또는 거주하는 시이다. 이 경우에 선택되는 서브 데이터 그룹은, 출신 대학 또는 출신지에 따라 준비된 답례 영상을 포함하고 있고, 선택부(131)는 당해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영상을 선택한다. 또한, 공통의 속성은, 유저 정보 UI에 있어서의 시청 유저의 개인 정보 중 비교에 필요한 정보와, 미리 서버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플레이어의 개인 정보 중 비교에 필요한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된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의 개인 정보는, 플레이어를 특정하는 정보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다. 또한, 시청 유저의 개인 정보는, 유저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어, 출신지가 공통되는 경우, 그 지방의 방언을 말하고 있는 답례 영상이, 서브 데이터 그룹에 포함할 수 있다. 선택부(131)가 이러한 답례 영상을 선택하면, 당해 답례 영상을 시청한 시청 유저는, 플레이어에 대하여 친근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시청 유저는, 일례로서, 배신 서비스에 대하여 소비한 소비 금액의 합계가 소정 액수에 달하고 있는 등의 조건을 만족시킴으로써, VIP 회원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시청 유저는, 월 정액 회원 또는 프리미엄 회원이 되어 있는 경우에, VIP 회원이 될 수 있다. VIP 회원이 되면, 당해 시청 유저의 유저 정보 UI에는 VIP 속성이 부여된다. 예를 들어, VIP 회원인 시청 유저가 코멘트의 투고 등을 한 경우, 선택부(131)는 VIP 회원을 위한 특별한 답례 영상을 포함하는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영상을 선택한다. 대체적으로, 특별한 답례 영상이 1종만 준비되어 있고, 선택부(131)는 당해 특별한 답례 영상을 선택해도 된다.
속성 식별 정보는, 플레이어마다, 시청 유저의 개인 정보마다, 또는 회원의 종별마다 상이해도 된다. 또한, 1회의 유저 조작의 조작 정보에 복수의 속성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는,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속성 식별 정보와, 개인 정보를 나타내는 속성 식별 정보와, 회원의 종별을 나타내는 속성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어도 된다. 회원의 종별을 나타내는 속성 식별 정보는, 답례 영상이 VIP 회원용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속성 식별 정보는, 답례 영상이 어느 플레이어와 관련되는 것인지를 나타낸다. 또한,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속성 식별 정보는, 모든 답례 영상에 대하여, 각각의 데이터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속성이 유저 조작의 조작 속성인 경우, 예를 들어, 속성 1은 코멘트의 입력을 나타내고, 속성 2는 고액의 보수의 기부를 나타내고, 속성 3은 저액의 보수 기부를 나타낸다. 속성 취득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취득부(133)는 속성 특정 정보로서 조작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10)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부(133)는 조작 식별 정보를 선택부(131)에 전달한다. 선택부(131)는, 조작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 속성을 특정하고, 특정한 조작 속성, 예를 들어 코멘트의 입력에 관련지어진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도 3의 예에 있어서는, 특정한 속성이 코멘트의 입력이면, 선택부(131)는 서브 데이터 그룹 G1 중에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즉, 서브 데이터 그룹 G1에 포함되는 답례 데이터 1 및 답례 데이터 2는 코멘트의 입력에 대한 답례로 되어 있다.
즉, 답례 데이터 그룹 RD의 서브 데이터 그룹은, 코멘트의 투고 등의 유저 조작의 종류에 따라 준비된 답례 영상을 포함하고 있고, 선택부(131)는 당해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영상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가 코멘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 선택부(131)는 코멘트에 대한 답례 영상을 포함하는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영상을 선택한다. 또한, 관리 서버(10)가 보수의 기부를 접수한 경우, 선택부(131)는 보수에 대한 답례 영상을 포함하는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영상을 선택한다. 또한, 보수가 기프트인 경우, 예를 들어, 시청 유저가 대가를 지불하여 기프트를 구입하고, 당해 기프트를 플레이어에 제공하는 경우, 선택부(131)는 기프트의 종류에 따른 답례 영상을 포함하는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영상을 선택해도 된다. 또한, 선택부(131)는 보수의 금액에 따른 답례 영상을 포함하는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영상을 선택해도 된다.
또한, 속성이 코멘트의 코멘트 속성인 경우, 예를 들어, 속성 1은 긍정적인 성질을 나타내고, 속성 2는 부정적인 성질을 나타내고, 속성 3은 중립적인 성질을 나타낸다. 속성 취득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취득부(133)는 속성 특정 정보로서 코멘트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10)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부(133)는 코멘트 식별 정보를 선택부(131)에 전달한다. 선택부(131)는 코멘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코멘트 속성을 특정하고, 특정한 코멘트 속성, 예를 들어 긍정적인 성질에 관련지어진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도 3의 예에 있어서는, 특정한 속성이 긍정적인 성질이면, 선택부(131)는 서브 데이터 그룹 G1 중에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즉, 서브 데이터 그룹 G1에 포함되는 답례 데이터 1 및 답례 데이터 2는 긍정적인 성질의 코멘트에 대한 답례가 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즉, 답례 데이터 그룹 RD의 서브 데이터 그룹은, 코멘트의 내용에 따라 준비된 답례 영상을 포함하고 있고, 선택부(131)는 당해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영상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에 있어서 코멘트를 해석한 결과, 기대 또는 응원 등의 긍정적인 성질의 코멘트라고 판단되면, 선택부(131)는 긍정적인 성질의 코멘트에 대한 답례 영상을 포함하는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영상을 선택한다. 한편, 야유 또는 비난 등의 부정적인 성질의 코멘트라고 판단되면, 선택부(131)는 부정적인 성질의 코멘트에 대한 답례 영상을 포함하는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영상을 선택한다.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성질의 코멘트라고 판단되면, 선택부(131)는 답례 영상을 선택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코멘트 식별 정보는, 답례 데이터를 배신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는 정보가 된다.
또한, 코멘트 속성은, 특정 인물에 대한 코멘트임을 나타내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에 있어서 코멘트를 해석한 결과, 인물, 예를 들어 특정 플레이어를 특정하는 문자가 포함되는 경우, 당해 플레이어에 대한 코멘트임을 나타내는 코멘트 식별 정보가 조작 정보에 포함된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당해 플레이어와 관련된 답례 영상을 포함하는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영상을 선택한다. 또한, 당해 플레이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이전 시합의 플레이어인 경우에는, 답례 데이터를 배신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코멘트 식별 정보가 조작 정보에 포함되고, 선택부(131)는 답례 영상을 선택하지 않는다.
또한, 답례 데이터 그룹 RD는, 각각이 상이한 행동 종류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서브 데이터 그룹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내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에 있어서는, 답례 데이터가 종류 1 내지 종류 3의 행동 종류에 관련지어져 있다. 그리고, 답례 데이터 그룹 RD는, 데이터 ID4와 종류 1 및 2에 관련지어진 답례 데이터 4와, 데이터 ID5와 종류 1 및 2에 관련지어진 답례 데이터 5를 포함하고 있는 서브 데이터 그룹 G3을 포함한다. 또한, 답례 데이터 그룹 RD는, 답례 데이터 4 및 답례 데이터 5와, 데이터 ID6과 종류 2 및 3에 관련지어진 답례 데이터 6을 포함하고 있는 서브 데이터 그룹 G4를 포함한다. 일례로서, 종류 1은 소정 기간 내의 투고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종류 2는 소정 기간 내의 투고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종류 3은 토탈 기부 액수가 소정 금액을 초과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종류 1 내지 종류 3 각각에는, 상이한 이력 식별 정보가 할당되어 있다.
이력 취득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취득부(133)는 조작 이력으로서의 이력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10)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부(133)는 이력 식별 정보를 선택부(131)에 전달한다. 선택부(131)는 속성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유저의 행동 종류를 판단한다. 또한, 선택부(131)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답례 데이터로서, 판단한 행동 종류에 관련지어진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도 3의 예에 있어서는, 특정한 행동 종류가 소정 기간 내의 투고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하고 있는 것이면, 선택부(131)는 서브 데이터 그룹 G3 중에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즉, 서브 데이터 그룹 G3에 포함되는 답례 데이터 4 및 답례 데이터 5는 투고 횟수가 많은 시청 유저를 위한 화상, 음성, 또는 영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조작 수용부(111)가 특수 커맨드의 입력 조작을 받아들인 경우,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답례 데이터로서 특수 커맨드에 관련지어진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선택부(131)는 특수 커맨드에 대응하는 조작 식별 정보를 취득부(133)로부터 취득하면, 당해 조작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 속성을 특정한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특정한 조작 속성, 예를 들어 특수 커맨드의 입력에 관련지어진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또한, 답례 데이터의 선택 양태에는, 복수의 조건이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시청 유저에 의한 1회의 코멘트의 투고 등이 복수의 선택 조건에 해당해도 된다. 이 경우, 조작 정보에는 복수 종류의 속성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임의의 속성 등이 우선되도록,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선택부(131)가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배신부(132)는, 배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게임 영상과 배신 화면을 합성한 시청 영상을 생성하여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한다. 일례로서, 배신부(132)는 시청 유저가 액세스하는 웹페이지에, 게임 영상과 배신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시청 유저는, 재생 단말기(2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입력란 및 조작용의 아이콘 등을 조작하여 유저 조작을 입력한다. 대체적으로, 시청 유저는, 배신 화면의 입력란 및 조작용의 아이콘 등을 조작하여 유저 조작을 입력해도 된다. 또한, 배신부(132)는 선택부(131)가 선택한 답례 데이터를, 적어도 유저 조작이 입력된 재생 단말기(20)에 대하여 배신한다. 일례로서, 배신부(132)는 답례 데이터의 일례인 답례 영상과 게임 영상을 합성한 시청 영상을 생성하여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한다. 배신부(132)는 유저 조작이 입력된 재생 단말기(20)에만 답례 데이터를 배신해도 되고, 당해 재생 단말기(20)를 포함하는 모든 재생 단말기(20)에 답례 데이터를 배신해도 된다. 또한, 배신부(132)는 시청 영상과는 별도로 답례 데이터를 배신해도 되고, 시청 영상에 합성하지 않고 답례 데이터를 배신해도 된다.
답례 데이터, 예를 들어 답례 영상과, 게임 영상이 다른 경우, 답례 영상이 재생되는 영역은, 반드시 게임 영상의 일부와 중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답례 영상은, 배신 화면의 게임 영상의 표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에, 게임 영상과 함께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답례 영상과 게임 영상이 다른 경우, 배신 서버(30)는 게임 영상과 답례 영상을 별개로 배신해도 된다. 이 경우, 재생 단말기(20)는 게임 영상과 답례 영상을 따로따로 표시해도 되고, 게임 영상에 답례 영상을 합성하여 표시해도 된다. 또한, 답례 데이터는, 시청 개시 전에 미리 재생 단말기(20)에 다운로드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배신부(132)는 선택부(131)가 선택한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를 재생 단말기(20)에 송신한다. 그리고, 재생 단말기(20)는 데이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답례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 경우에도, 재생 단말기(20)는 게임 영상과 답례 데이터를 따로따로 표시해도 되고, 게임 영상에 답례 데이터를 합성하여 표시해도 된다.
또한, 재생 단말기(20)는 배신 서버(30)로부터 취득한 데이터 식별 정보로서, 예를 들어 영상 식별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이 경우, 배신 기억부(32)는, 시청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 당해 시청 유저에 의한 유저 조작에 따라 선택된 답례 영상의 영상 식별 정보를 기억한다. 그리고, 시청 유저는, 재생 단말기(20)로부터 로그인하면, 한 번 선택된 답례 영상을 언제라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재생 단말기(20)는 영상 식별 정보만을 기억해도 되고, 영상 식별 정보와 함께, 영상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답례 영상을 기억해도 된다. 또한, 한 번 답례 영상이 선택되고 나서 일정 기간은, 코멘트의 투고 등을 행하지 않아도, 시청 유저가 언제라도 답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단, 한 번 선택된 답례 영상의 시청 가능 기간 중이어도, 코멘트의 재투고 등의 경우에 한 번 선택된 답례 영상이 재선택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시청 유저가 단기간에 다수의 유저 조작을 행한 경우에도, 선택되는 답례 영상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답례 데이터를 시청 영상에 합성하는 경우, 배신부(132)는 화면 생성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화면 생성 수단은, 배신 기억부(32)의 배신용 데이터 DD에 포함되는 화면 구성의 데이터 등을 취득하여, 게임 영상과 동시에 표시되는 배신 화면을 생성한다. 배신 화면은, 화상 또는 영상으로서 생성된다. 예를 들어, 화면 생성 수단은, MPEG 형식 등의 각종 포맷으로 배신 화면을 생성한다. 일례로서, 화면 생성 수단은, 게임 영상에 생성한 배신 화면을 중첩시켜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화면 생성 수단은, 게임 영상의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하부 레이어에, 배신 화면을 포함하는 상부 레이어를 중첩시킨다. 상부 레이어는, 게임 영상의 표시를 방해하지 않도록 투명한 화상으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 레이어에는, 코멘트의 표시란 등이, 각각을 표시하는 타이밍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코멘트가 투고되면, 상부 레이어에 투고된 코멘트의 내용이 표시된다. 대체적으로, 화면 생성 수단은, 게임 영상과 겹치지 않도록 배신 화면을 배치해도 된다.
또한, 화면 생성 수단은, 선택부(131)가 답례 데이터를 선택하면, 선택된 답례 데이터, 예를 들어, 답례 영상을 포함하는 상부 레이어를, 게임 영상의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하부 레이어에 중첩시킨다. 이에 의해, 답례 영상은, 게임 영상의 일부에 중첩되도록 표시된다. 대체적으로, 화면 생성 수단은, 게임 영상과 겹치지 않도록 답례 영상을 배치해도 된다.
또한, 배신부(132)는 유저 조작이 입력된 재생 단말기(20)를 식별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정보 취득 수단으로서의 취득부(133)가 취득하면, 단말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재생 단말기(20)에, 답례 데이터를 배신한다. 일례로서, 배신부(132)는 취득부(133)로부터 단말기 ID를 취득하여, 당해 단말기 ID에 의해 특정되는 재생 단말기(20)에만 답례 데이터를 배신한다.
또한, 배신 시스템(100)은, 촬상 장치의 일례인 카메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촬상된 관련 영상을 추가로 취득하여 각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해도 된다. 예를 들어, 관련 영상의 일례인 카메라 영상, 플레이어 영상, 및 실황 영상 등의 게임과 관련된 영상을 송신하는 송신 장치와, 카메라가, 게임 대회의 회장에 설치되어 있다. 송신 장치는, 일례로서, 카메라 및 네트워크(50)에 접속 가능한 컴퓨터 장치이며, 카메라로부터 취득한 관련 영상을 배신 서버(30)에 송신한다. 그리고, 배신 서버(30)는 취득한 관련 영상을 각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한다. 대체적으로, 촬상 장치는, 게임 단말기(70)에 설치된 카메라여도 된다. 게임 단말기(70)는 직접 또는 게임 서버(60)를 통해 관련 영상을 배신 서버(30)에 송신한다.
[배신 시스템에 의한 처리 플로]
도 4를 참조하여 배신 시스템(100)에 의한 처리 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신 시스템(100)은, 소정의 개시 조건이 만족되면 처리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배신 시스템(100)은, 라이브 배신하는 경우, 배신 서버(30)가 게임 서버(60)로부터 게임 영상을 취득하면 처리를 개시한다.
배신 서버(30)의 배신 제어부(31)는 게임 서버(60)로부터 게임 영상을 취득한다(S101). 그리고, 배신 서버(30)의 배신부(132)는 시청 영상을 생성한다(S102). 계속해서, 배신부(132)는 시청 영상을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한다(S103). 그리고, 재생 단말기(20)는 표시부(24)에 시청 영상을 표시시킨다. 시청 유저가 관리 서버(10)에 로그인하여 재생 단말기(20)로부터 유저 조작을 입력하면, 관리 서버(10)의 조작 수용부(111)는 유저 조작을 접수한다(S201). 그리고, 관리 서버(10)의 정보 생성부(112)는 조작 정보를 생성함과 함께(S202), 생성한 조작 정보를 배신 서버(30)에 송신한다(S203). 그 후, 새로운 유저 조작이 있으면(S204에서 "예"), 조작 수용부(111)는 유저 조작을 접수한다(S201). 한편, 새로운 유저 조작이 없으면(S204에서 "아니오"), 관리 서버(10)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관리 서버(10)로부터 조작 정보를 취득하지 않은 경우(S104에서 "아니오"), 배신부(132)는 시청 영상의 생성(S102)과, 시청 영상의 배신(S103)을 계속한다. 한편, 배신 서버(30)의 취득부(133)가 조작 정보를 취득하면(S104에서 "예"), 예를 들어,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를 랜덤으로 특정한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특정된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답례 데이터를 답례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선택한다(S105). 또한, 선택부(131)는 출신지 등의 속성에 따라 준비된 답례 영상을 포함하는 서브 데이터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한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영상을 선택해도 된다. 계속해서, 배신부(132)는 선택부(131)가 선택한 답례 데이터를, 적어도 유저 조작이 입력된 재생 단말기(20)에 대하여 배신한다(S106). 또한, 선택부(131)는 상술한 각 선택 양태에 따라 선택된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해도 된다.
그 후, 시청 영상이 최후까지 재생되었거나 하는 등의 이유에 의해 배신을 종료하는 경우(S107에서 "예"), 배신 시스템(100)은,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배신을 계속하는 경우(S107에서 "아니오"), 배신부(132)는 시청 영상의 생성(S102)과, 시청 영상의 배신(S103)을 계속한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저 조작에 대한 답례로서 재생 단말기(20)에 배신되는 답례 데이터는, 복수의 답례 데이터를 포함하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선택된다. 이에 의해, 시청 영상을 시청하는 유저의 조작에 대하여, 복수의 답례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답례 데이터를 배신하여, 유저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시청 영상을 시청자인 복수의 유저 각각의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100)은, 게임 장치의 일례인 게임 단말기(70)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배신 시스템(100)은, 게임 단말기(70)가 제공하는 게임의 게임 영상으로부터 시청 영상을 생성하여 각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하는 영상 배신 수단의 일례인 배신부(132)를 구비한다. 또한, 배신 시스템(100)은, 각 재생 단말기(20)로부터 입력된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용부(111)와,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복수의 답례 데이터를 포함하는 답례 데이터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답례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부(131)를 구비한다. 그리고, 배신부(132)는 선택부(131)가 선택한 답례 데이터를, 적어도 유저 조작이 입력된 재생 단말기(20)에 대하여 배신하는 데이터 배신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이러한 배신 시스템(100)이어도, 시청 영상을 시청하는 유저의 조작에 대하여, 복수의 답례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답례 데이터를 배신하여, 유저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서버 장치, 또는 서버 기능을 갖는 하나의 기기가, 배신 시스템(100)으로서 기능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당해 장치 또는 기기는, 각 재생 단말기(20)로부터 입력된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용부(111)와,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복수의 답례 데이터를 포함하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답례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부(131)를 구비한다. 또한, 당해 장치 또는 기기는, 선택부(131)가 선택한 답례 데이터를, 적어도 유저 조작이 입력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하는 데이터 배신 수단의 일례인 배신부(132)를 구비한다.
[제2 실시 형태]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고,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 구성 요소는 대략 동일한 동작 및 기능을 발휘하고, 그 작용 효과도 대략 동일하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답례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할 때, 선택부(131)가 설정된 레어러티에 따른 추첨을 실행한다. 선택부(131)는 추첨에 의해 데이터 식별 정보를 특정하고, 특정한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답례 데이터 각각에는 레어러티가 설정되어 있고, 데이터 식별 정보에 레어러티가 관련지어져 있다. 레어러티는, 테이블 또는 리스트의 형식으로, 배신 기억부(32)에 기억되어 있어도 되고, 답례 데이터에 레어러티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레어러티에 따른 추첨을 행하여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즉, 미리 각각의 답례 데이터에는 레어러티로서, 추첨에 있어서의 당선 확률이 설정되어 있다. 선택부(131)는 당선 확률에 따른 추첨을 행하여, 데이터 식별 정보를 특정한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특정한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 추첨법은, 공지의 방법으로 실현 가능하다. 또한, 추첨에 의해 한 번 뽑힌 답례 데이터는, 다음 추첨의 대상에서 제외되도록 추첨을 복수회 실행해도 된다. 이에 의해, 답례 데이터의 수와 동일한 횟수의 추첨을 실행하면, 모든 답례 데이터가 당선된다. 그 때문에, 복수회의 추첨을 행하면, 반드시 원하는 답례 데이터가 선택된다. 이에 의해, 레어러티가 높아 당선 확률이 낮은 답례 데이터여도,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반드시 당선된다. 그 때문에, 시청 유저에 의한 유저 조작의 모티베이션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선택부(131)는, 조작 정보가 소정의 속성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추첨을 실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선택부(131)는, 시청 유저가 VIP 회원임을 나타내는 속성 식별 정보를 조작 정보가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추첨을 실행한다. VIP 회원인 시청 유저가 코멘트의 투고 등을 행한 경우, 선택부(131)는 VIP 회원용의 복수의 답례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추첨의 실행 결과로서 선택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배신 시스템에 의한 처리 플로]
도 5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의 배신 시스템(100)에 의한 처리 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신 시스템(100)은, 소정의 개시 조건이 만족되면 처리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배신 시스템(100)은, 라이브 배신하는 경우, 배신 서버(30)가 게임 서버(60)로부터 게임 영상을 취득하면 처리를 개시한다.
배신 서버(30)의 배신 제어부(31)는 게임 서버(60)로부터 게임 영상을 취득한다(S301). 그리고, 배신 서버(30)의 배신부(132)는 시청 영상을 생성한다(S302). 계속해서, 배신부(132)는 시청 영상을 재생 단말기(20)에 배신한다(S303). 그리고, 재생 단말기(20)는 표시부(24)에 시청 영상을 표시시킨다. 시청 유저가 관리 서버(10)에 로그인하여 재생 단말기(20)로부터 유저 조작을 입력하면, 관리 서버(10)의 조작 수용부(111)는 유저 조작을 접수한다(S201). 그리고, 관리 서버(10)의 정보 생성부(112)는 조작 정보를 생성함과 함께(S202), 생성한 조작 정보를 배신 서버(30)에 송신한다(S203). 그 후, 새로운 유저 조작이 있으면(S204에서 "예"), 조작 수용부(111)는 유저 조작을 접수한다(S201). 한편, 새로운 유저 조작이 없으면(S204에서 "아니오"), 관리 서버(10)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관리 서버(10)로부터 조작 정보를 취득하지 않은 경우(S304에서 "아니오"), 배신부(132)는 시청 영상의 생성(S302)과, 시청 영상의 배신(S303)을 계속한다. 한편, 배신 서버(30)의 취득부(133)가 조작 정보를 취득하면(S304에서 "예"),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를 추첨에 의해 특정한다(S305). 그리고, 선택부(131)는 추첨 결과에 따른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답례 데이터를 답례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선택한다(S306). 계속해서, 배신부(132)는 선택부(131)가 선택한 답례 데이터를, 적어도 유저 조작이 입력된 재생 단말기(20)에 대하여 배신한다(S307).
그 후, 시청 영상이 최후까지 재생되었거나 하는 등의 이유에 의해 배신을 종료하는 경우(S308에서 "예"), 배신 시스템(100)은,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배신을 계속하는 경우(S308에서 "아니오"), 배신부(132)는 시청 영상의 생성(S302)과, 시청 영상의 배신(S303)을 계속한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저 조작에 대한 답례로서 재생 단말기(20)에 배신되는 답례 데이터는, 복수의 답례 데이터를 포함하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추첨 결과에 따라 선택된다. 이에 의해, 시청 영상을 시청하는 유저의 조작에 대하여, 복수의 답례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답례 데이터를 배신하여, 유저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레어러티가 높은 답례 데이터를 당선시킨다는, 유저 조작의 모티베이션을 시청 유저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 또는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해 추첨을 실행한다. 그 때문에, 선택부(131)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특정되는 속성 또는 행동 종류에 관련지어진 서브 데이터 그룹을 모집단으로서 선택하고,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해 추첨을 실행해도 된다. 또한, 배신 서버(30)는 추첨을 행하여 한 번 당선된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를, 유저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 소정의 기간에 걸쳐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한 번 당선된 답례 데이터, 예를 들어 답례 영상 등을, 재차의 유저 조작, 예를 들어 보수의 기부 등을 행하지 않아도 반복하여 시청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계속해서,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고,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 구성 요소는 대략 동일한 동작 및 기능을 발휘하고, 그 작용 효과도 대략 동일하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선택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답례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선택 대상에서 제외되는 제외 조건을 만족시키는 답례 데이터를 특정한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특정한 답례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중에서, 유저 조작이 입력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되어야 할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선택부(131)는 각 답례 데이터에 설정된 재생 유효 기한을 경과한 경우에, 제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재생 유효 기한을 경과한 답례 데이터를 특정하여 선택 대상에서 제외한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나머지 답례 데이터 중에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되어야 할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답례 데이터의 종류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한 경우에도, 오래된 답례 데이터가 배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오래된 답례 데이터가 배신된 경우에는, 시청 유저가 답례 데이터를 시청하는 흥미가 감퇴해 버린다. 예를 들어, 시기에 벗어난 오래된 답례 데이터로서, 작년 시즌에 작성된 오래된 답례 데이터(일례로서 작년 시즌에 우승한 플레이어가 감사의 말을 하는 영상)는 이번 시즌 중의 시청 영상에 있어서의 플레이어의 상황(일례로서 이번 시즌의 도중 상황)에 대하여, 시기가 벗어나 있다. 이러한 영상이 배신되면, 시청 유저는, 답례 데이터와 시청 영상의 상황의 상위에 위화감을 느껴, 답례 데이터를 시청하는 흥미가 감퇴해 버린다. 그래서, 이러한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답례 데이터를 시청하는 흥미의 감퇴를 억제할 수 있다.
답례 데이터에 대한 재생 유효 기한(예를 들어, 재생 종료 일시, 또는 업로드 시기로부터의 경과 시간)의 설정은, 답례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시청 영상의 배신자 등이 행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유효 기한은, 변경이 가능해도 된다. 배신 기억부(32)는,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예를 들어 데이터 ID)와 관련지어 재생 유효 기한을 기억한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재생 유효 기한을 경과한 답례 데이터를 특정하여 선택 대상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답례 데이터 중에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되어야 할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또한, 배신 기억부(32)는 데이터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 데이터 작성 시기 또는 업로드 시기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데이터 작성 시기 또는 업로드 시기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답례 데이터의 선택 시에 재생 유효 기한(예를 들어, 1년 또는 1개월간)에 달하고 있는 경우, 제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한다.
또한, 재생 유효 기한은, 게임 중에 발생한 이벤트로부터의 소정의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야구 게임의 게임 영상을 배신하는 경우, 홈런 등의 특정 이벤트가 게임 내에서 발생하면,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1분) 동안은, 유저 조작에 대한 특별한 답례 데이터로서 홈런을 기뻐하는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답례 영상을, 선택부(131)가 선택한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면, 선택부(131)는 이벤트를 식별하는 정보와 관련지어져 있는 특별한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한다. 일례로서, 이벤트의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발생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는, 게임 단말기(70)로부터 게임 서버(60)를 통해 배신 서버(30)가 수신한다. 선택부(131)는 당해 신호를 수신한 타이밍 또는 발생 타이밍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특별한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한다. 즉, 게임 단말기(70)로부터의 신호 또는 정보에 기초하여, 답례 데이터의 배신이 소정의 시간에 걸쳐 해금된다. 또한, 소정의 시간 내에 시청 유저가 코멘트의 투고 등을 행한 경우에도, 홈런을 친 팀의 대전 팀을 응원하는 시청 유저는, 홈런을 기뻐하는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답례 영상의 배신을 바라지 않는다. 그래서, 선택부(131)는 코멘트의 투고 등의 특정 액션에 대해서는, 특별한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해도 된다. 혹은, 선택부(131)는 미리 시청 유저가 설정한 플레이어 또는 응원 팀을 식별하는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지 않은 특별한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해도 된다. 이에 의해, 이벤트(예를 들어 홈런)를 발생시킨 팀을 응원 대상으로서 설정한 시청 유저가 소정의 시간 내에 액션을 행한 경우에만, 응원 대상과 관련된 특별한 답례 데이터가 배신된다. 또한, 이벤트는, 홈런에 한정되지 않고, 득점을 낸 것, 사이클 히트, 더블 플레이, 노히트 노런, 또는 완전 시합의 달성 등이어도 된다. 즉, 이벤트는,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 게임 단말기(70)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송신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으면 된다. 또한, 이벤트는, 야구 게임 내의 이벤트에 한정되지 않고, 축구 게임에 있어서 득점을 낸 것, 또는 대전 게임에 있어서 캐릭터가 승리한 것 등이어도 된다.
또한, 제외 조건은, 재생 유효 기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선택부(131)는, 데이터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계절(예를 들어, 봄, 여름, 가을 또는 겨울)이 답례 데이터의 선택 시의 계절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당해 일치하지 않는 계절에 관련지어진 답례 데이터를 제외해도 된다. 일례로서, 선택부(131)는 배신 서버(30)의 실시간 클록으로부터 일시를 취득하여 선택 시의 계절을 판단하여, 데이터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계절과의 일치 또는 불일치를 판단한다. 이에 의해, 계절에 벗어난 답례 데이터가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131)는, 취득한 유저 식별 정보가, 미리 데이터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재생 불능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당해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답례 데이터를 제외해도 된다. 일례로서, 재생 불능 유저는, 소정의 답례 데이터의 시청이 금지되어 있는 시청 유저이며, 배신자가 선택하여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무허가로 답례 데이터의 내용을 공개한 시청 유저 등에 대하여, 배신자는, 답례 데이터의 배신을 개별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의 재생 횟수를 취득하여, 당해 재생 횟수가 데이터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재생 가능 횟수(예를 들어, 1회 또는 3회 등)에 달하고 있는 경우, 당해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답례 데이터를 제외해도 된다. 일례로서, 배신 기억부(32)는, 시청 유저마다, 유저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각 답례 데이터가 재생된 횟수를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유저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답례 데이터의 재생 횟수가, 답례 데이터의 재생 가능 횟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도달한 경우에는, 당해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에 설정된 재생 가능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재생 유효 기한을 경과한 경우)에, 제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재생 가능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답례 데이터를 특정하여 선택 대상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답례 데이터 중에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되어야 할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그런데, 시청 유저는, 특정 시청 영상에 대하여 복수회의 유저 조작(예를 들어, 코멘트의 투고 또는 보수의 기부)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연속하여 동일한 답례 데이터가 배신되면, 시청 유저가 답례 데이터를 시청하는 흥미가 감퇴해 버린다. 그래서, 동일한 답례 데이터가 연속하여 재생되지 않도록,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재생 가능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답례 데이터를 특정하여 선택 대상에서 제외해도 된다. 또한, 앞서 배신한 시청 영상에 있어서 시청 유저에 배신한 답례 데이터와, 그 후에 배신하는 시청 영상에 있어서 시청 유저에 배신하는 답례 데이터가 상이하도록, 선택부(131)는 앞서 배신한 답례 데이터를 특정하여 선택 대상에서 제외해도 된다. 예를 들어, 소정의 기간(일례로서 1개월) 동안에 답례 데이터의 배신이 복수회 행해지는 경우에, 선택부(131)는 앞서 배신한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한다. 이 경우, 배신 기억부(32)는, 시청 유저마다 또는 배신자마다, 배신한 답례 데이터를 식별하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각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에는, 재생 가능 조건으로서, 1회 재생된 후의 다른 답례 데이터의 재생 횟수가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배신 기억부(32)는, 시청 영상마다, 유저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답례 데이터가 재생된 횟수를 기억하고 있다. 선택부(131)는, 특정 답례 데이터를 재생한 후의 다른 답례 데이터의 재생 횟수가, 특정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에 설정되어 있는 재생 횟수(예를 들어 3회)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도달하지 않은 경우, 선택부(131)는 당해 특정 답례 데이터를 제외한다. 즉, 선택부(131)는, 한 번 답례 데이터가 재생되면, 설정되어 있는 재생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당해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한다. 그리고, 설정되어 있는 재생 횟수에 도달한 경우, 선택부(131)는 당해 특정 답례 데이터를 다시 선택 대상에 포함시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특정 답례 데이터를 재생한 후에, 다른 답례 데이터를 3회 재생한 경우, 다음 답례 데이터를 선택할 때에는, 특정 답례 데이터가 다시 선택 대상에 포함된다. 즉, 특정 답례 데이터가 재생된 경우, 이 특정 답례 데이터가 다시 선택 대상에 포함될 때까지 소정 횟수의 다른 답례 데이터의 재생이 행해지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관리는, 시청 영상마다, 각 시청 유저에 대하여 행해진다.
또한, 각 답례 데이터에는, 재생 가능 조건으로서, 1회 재생한 답례 데이터의 재생 재개 시기가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의 선택 시가, 데이터 식별 정보에 설정되어 있는 재생 재개 시기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당해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답례 데이터를 제외한다. 이러한 관리는, 시청 영상마다, 각 시청 유저에 대하여 행해진다. 또한, 특정 답례 데이터가 재생된 경우에, 선택 대상에 포함되는 답례 데이터에 재생 개시 시기가 설정되어 있으면, 재생 개시 시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답례 데이터가 배신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이른 시기에 답례 데이터를 시청한 유저가, 스토리의 전개를 공개해 버리는 것을 재생 개시 시기까지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재생 가능 조건으로서, 답례 데이터를 재생했을 때로부터의 경과 기간이 재생 불능 기간으로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배신 기억부(32)는 유저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답례 데이터를 재생한 일시를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특정 답례 데이터를 재생한 일시로부터 다음 답례 데이터의 선택 시까지의 경과 기간이, 설정되어 있는 재생 불능 기간을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 당해 특정 답례 데이터를 제외한다. 또한, 복수의 재생 가능 조건 중 적어도 2개가 중복되어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제외되는 답례 데이터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에 포함되는 일부의 답례 데이터여도 되지만, 답례 데이터 그룹 RD에 포함되는 모든 답례 데이터여도 된다. 모든 답례 데이터여도, 동일한 답례 데이터가 연속하여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외적으로, 특정 시청 유저가 단기간에 많은 코멘트의 투고 또는 보수의 기부 등의 유저 조작을 실행한 경우에, 당해 시청 유저에 대하여 재생 가능한 답례 데이터가 없어져 버린 때에는, 답례 데이터의 제외를 해제해도 된다. 제외가 해제되는 답례 데이터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에 포함되는 일부의 답례 데이터여도 되고, 답례 데이터 그룹 RD에 포함되는 모든 답례 데이터여도 된다.
또한, 재생 불능 기간은, 답례 데이터의 업로드로부터 답례 데이터의 재생 개시까지의 기간이어도 된다. 이 경우, 배신 기억부(32)는,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재생 개시 일시, 또는 업로드로부터의 경과 기간(예를 들어 1개월)을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의 선택 시에, 설정된 재생 개시 일시에 이르지 않은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한다. 또는, 선택부(131)는, 특정 답례 데이터를 업로드한 일시로부터 답례 데이터의 선택 시까지의 경과 기간이, 설정되어 있는 경과 기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당해 특정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한다.
또한, 재생 가능 조건은, 특정 답례 데이터가 재생된 것이어도 된다. 즉, 복수의 답례 데이터로 구성되는 일군의 답례 데이터에 대하여, 각 답례 데이터의 재생 순서가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배신 기억부(32)는, 일군의 답례 데이터를 재생하는 시청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재생 순서의 몇 번째까지를 재생 완료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다음 재생 대상이 되는 답례 데이터를 특정 가능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다음 재생 대상이 되는 답례 데이터를 특정 가능한 정보(예를 들어, 데이터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된 답례 데이터 이외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한다. 이에 의해, 시청 유저가 내용적으로 연결을 느끼는 복수의 답례 데이터를, 순번으로 재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답례 데이터에 스토리성을 갖게 하면, 시청 유저에 스토리를 즐기는 체험을 부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시청 유저에 의한 액션(예를 들어 코멘트의 투고 또는 보수의 기부)의 동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답례 데이터가 재생된 경우에, 당해 특정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다음에 재생되어야 할 답례 데이터에 재생 가능 플래그가 설정되어도 된다. 선택부(131)는 재생 가능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답례 데이터를 제외한다. 이에 의해, 스토리를 따르도록, 답례 데이터를 순번으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131)는 재생 순서가 설정되어 있는 일군의 답례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 포함시켜 선택을 실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선택부(131)는 스토리를 구성하지 않는 다른 답례 데이터와, 일군의 답례 데이터 중, 첫 번째로 순번이 설정되어 있는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 포함시켜 선택을 실행한다. 여기서, 일군의 답례 데이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첫 번째로 순번이 설정되어 있는 답례 데이터가 복수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선택부(131)가 첫 번째로 순번이 설정되어 있는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 경우, 당해 답례 데이터가 포함되는 일군의 답례 데이터 중, 마지막으로 순번이 설정되어 있는 답례 데이터가 재생될 때까지, 선택부(131)는 일군의 답례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다른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한다. 대체적으로, 선택부(131)는 일군의 답례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재생 유효 기한이 경과할 때까지, 일군의 답례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다른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해도 된다.
또한, 재생 가능 조건으로서 재생 횟수가 설정되는 경우, 일군의 답례 데이터의 전체에 대하여 다른 답례 데이터의 재생 횟수가 설정되어도 된다. 즉, 일군의 답례 데이터가 반복하여 연속하여 재생되지 않도록, 선택부(131)는 일군의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한다. 그리고, 설정되어 있는 재생 횟수에 도달한 경우, 선택부(131)는 당해 일군의 답례 데이터를 다시 선택 대상에 포함시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또한, 일군의 답례 데이터, 혹은 일군의 답례 데이터의 각 답례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 불능 기간이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일군의 답례 데이터 중, 순번이 먼저인 답례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재생 개시 일시에 대하여, 그 다음으로 순번이 설정되어 있는 답례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재생 개시 일시가 소정 기간만큼 후여도 된다. 이에 의해, 모든 시청 유저는, 소정 기간을 경과한 후가 아니면, 다음으로 순번이 설정되어 있는 답례 데이터를 시청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재빨리 답례 데이터를 시청한 유저가, 스토리의 내용을 공개해 버려, 그것을 본 다른 유저의 시청 의욕을 감퇴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답례 데이터에 대하여 다음으로 재생되어야 할 특정 답례 데이터가 복수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답례 데이터를 순번으로 재생하면, 순번에 따라 스토리가 상이한 멀티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재빨리 답례 데이터를 시청한 유저가, 스토리의 내용을 공개해 버렸다고 해도, 시청 유저마다 스토리 전개가 상이하기 때문에, 다른 유저의 답례 데이터의 시청 의욕을 감퇴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재생 가능 조건은, 시청 유저 전체에 대하여 동일해도 된다. 예를 들어, 재생 가능 조건으로서, 특정 재생 가능 속성(예를 들어, 거주지 또는 성별 등)이 답례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재생 가능 속성은, 단독의 속성이 설정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의 속성이 중복되어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배신되는 답례 데이터를 일괄하여 관리하거나, 또는 복수의 시청 유저를 일괄하여 진행을 관리할 수 있다. 일례로서, 배신 기억부(32)는, 특정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에 관련지은 재생 가능 지역으로서, 특정 지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미리 취득되어 있는 시청 유저의 개인 정보(예를 들어 속성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거성지(居城地)가, 당해 특정 지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당해 특정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한다. 또는, 배신 기억부(32)는, 특정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에 관련지은 재생 가능 속성으로서, 남성 또는 여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미리 취득되어 있는 시청 유저의 개인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성별(예를 들어 남성)이 재생 가능 속성에 의해 식별되는 성별(예를 들어 여성)과 다른 경우, 당해 특정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한다.
이상, 설명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선택부(131)는, 제외 조건을 만족시키는 답례 데이터를 제외하여 얻어진 나머지 답례 데이터 중에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되어야 할 답례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청 유저가 답례 데이터를 시청하는 흥미, 또는 시청 의욕의 감퇴를 억제할 수 있다. 또는, 답례 데이터에 스토리성을 갖게 하여, 시청 유저에 의한 액션을 유인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131)는 선택 대상에서 제외하는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외 후보 리스트를 작성해도 된다. 배신 서버(30)의 관리자 또는 배신자 등은, 제외 후보 리스트를 확인하여, 선택 대상에서 제외하는 답례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택 대상이 되는 답례 데이터의 후보의 수를 적절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계속해서,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고,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 구성 요소는 대략 동일한 동작 및 기능을 발휘하고, 그 작용 효과도 대략 동일하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시청 유저는, 답례 데이터의 재생 개시 후에, 자신의 재생 단말기(20)로부터 답례 데이터에 대한 코멘트의 투고, 보수의 기부, 또는 평가의 입력 등의 유저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당해 유저 조작은, 답례 데이터의 재생 중 또는 재생 종료 후의 어느 타이밍에 행할 수 있어도 된다. 재생 단말기(20)는 입력된 코멘트의 내용, 선택된 보수의 내용, 또는 평가의 내용 등을 관리 서버(10)에 송신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0)는,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면 조작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한 조작 정보를 배신 서버(30)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화면 생성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배신부(132)는, 게임 영상에 대한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선택부(131)가 선택한 답례 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에, 답례 데이터에 대한 유저 조작의 입력란을 합성한다.
제1 예에서는, 시청 영상의 한 장면을 도시하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면에, 답례 데이터의 표시란 D1과, 답례 데이터에 대한 유저 조작의 입력란 IA1과, 게임 영상의 표시란 D2와, 게임 영상에 대한 유저 조작의 입력란 IA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란 IA1에는, 답례 데이터에 대한 코멘트의 투고 버튼 B1, 및 보수의 기부 버튼 B2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시청 유저가 답례 데이터에 대하여 코멘트의 투고 또는 보수의 기부를 희망하는 경우에, 답례 데이터에 대한 유저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입력란 IA2에도, 게임 영상에 대한 코멘트의 투고 버튼 B1, 및 보수의 기부 버튼 B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일례로서, 도 6에서는 녹화 영상(적절히 편집이 실시되어 있어도 되는 영상)의 배신이기 때문에, 입력란 IA2에는, 재생 개시 버튼, 빨리 감기 버튼, 및 음량 조정 버튼 등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정지 버튼, 일시 정지 버튼 및 빨리 되감기 버튼 등이 입력란 IA2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반해 라이브 배신의 경우에는, 재생 개시 버튼, 빨리 감기 버튼 등의 불필요한 버튼은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공격 측을 지원 대상으로서 선택한 시청 유저가 유저 조작을 행한 상태를 나타내고, 표시란 D1이 공격 측에 하나만 나타내어져 있다. 수비 측을 선택한 시청 유저가 유저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표시란 D1이 수비 측에 표시된다. 그리고, 표시란 D1은, 답례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되면 표시되지 않게 된다. 단, 유저 조작이 답례 데이터의 재생 종료 후에 행해지는 경우, 유저 조작의 입력란 IA1은 계속하여 표시된다.
도 6에 있어서의 좌측과 우측에는, 대전 중인 플레이어를 촬영하여 얻어진 카메라 영상 CV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화면의 일부이며 또한 게임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과는 다른 영역에, 일시적으로 답례 데이터의 표시란 D1이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표시란 D1의 하부에 「코멘트」의 문자가 붙여진 투고 버튼 B1, 및 「보수」의 문자가 붙여진 기부 버튼 B2 등이 마련된다. 투고 버튼 B1이 조작된 경우에는, 코멘트의 입력란이 추가로 표시된다(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시청 유저는, 코멘트의 입력란에 코멘트를 입력한다. 또한, 기부 버튼 B2가 조작된 경우, 보수의 기부 액수 등을 입력하는 선택 화면이 추가로 표시된다(도시하지 않음). 시청 유저는, 기부 액수의 선택 화면에 있어서 금액을 선택한다.
또한, 답례 데이터에 대한 유저 조작이 행해져서 관리 서버(10)로부터 조작 정보를 수신하면,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에 대한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답례 데이터를 다시 선택한다. 일례로서, 선택부(131)는 당해 유저 조작에 의한 조작 정보의 취득을 트리거로 하여 답례 데이터의 선택을 실행한다. 답례 데이터에 대한 유저 조작인 것은, 조작 정보에 포함되는 조작 식별 정보에 의해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시청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와,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가, 재생 단말기(20)로부터 관리 서버(10)를 거쳐 배신 서버(30)에 송신된다. 그리고, 배신부(132)는 선택부(131)가 선택한 답례 데이터를 재생 단말기(20)에 대하여 배신한다. 즉, 답례 데이터에 대하여 코멘트의 투고 또는 보수의 기부 등의 유저 조작이 행해진 경우, 당해 유저 조작에 대하여, 추가로 답례 데이터의 선택 및 배신이 실행된다. 이에 의해, 답례 데이터에 대한 유저 조작을 실행하는 동기를, 시청 유저에 부여할 수 있다. 즉, 유저 조작과, 답례 데이터의 배신을 반복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에 대한 유저 조작을 식별하는 조작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조작 정보를, 취득부(133)를 통해 관리 서버(10)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조작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 속성을 특정하고, 특정한 조작 속성, 예를 들어 답례 데이터에 대한 코멘트의 입력에 관련지어진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일례로서, 스토리의 일부를 구성하는 답례 데이터에 대한 유저 조작이면, 선택부(131)는 당해 스토리와 관련된 다른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의 촬영 모습 등의 무대 뒤를 촬영하여 얻어진 영상을 답례 데이터로서 선택해도 된다. 대체적으로, 선택부(131)는, 답례 데이터에 대한 유저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답례 데이터에 대한 유저 조작에 관련지어져 있지 않은 답례 데이터를 선택해도 된다.
또한, 도 6에서는 게임 영상의 표시란 D2에 중첩되도록 카메라 영상 CV, 답례 동영상의 표시란 D1이 표시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게임 영상의 표시란 D2와 카메라 영상 CV, 답례 동영상의 표시란 D1은 중첩되지 않도록 표시되어도 된다. 표시란의 위치 관계는 적절해도 된다. 후술하는 도 7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2 예에서는, 시청 영상의 한 장면을 도시하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면에, 답례 데이터의 표시란 D1과, 답례 데이터에 대한 유저 조작의 입력란 IA1과, 게임 영상의 표시란 D2와, 게임 영상에 대한 유저 조작의 입력란 IA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란 IA1에는, 답례 데이터에 대한 평가를 입력하는 평가 버튼 B3, B4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시청 유저가 답례 데이터의 평가를 행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답례 데이터에 대한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답례 데이터에 대한 평가를 입력하는 유저 조작이 행해진 경우, 선택부(131)는 평가에 따라 선택 대상을 달리 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신 데이터를 선택한다. 또한, 입력란 IA2에도, 게임 영상에 대한 좋은 평가를 입력하는 평가 버튼 B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입력란 IA1 및 입력란 IA2에는, 코멘트의 투고 버튼 및 보수의 기부 버튼이 더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도 7에 있어서의 좌측과 우측에는, 카메라 영상 CV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화면의 일부이며 또한 게임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과는 다른 영역에, 일시적으로 답례 데이터의 표시란 D1이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표시란 D1의 하부에, 좋은 평가를 입력하는 「GOOD」의 문자열이 붙여진 평가 버튼 B3과, 나쁜 평가를 입력하는 「BLOCK」의 문자열이 붙여진 평가 버튼 B4가 마련되어 있다. 시청 유저가, 좋은 평가를 입력하는 평가 버튼 B3을 조작하면, 재생 중인 답례 데이터에 대한 좋은 평가가 집계된다. 즉, 배신 기억부(32)는,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좋은 평가의 누적 횟수를 기억한다. 이 평가의 정보는, 예를 들어 답례 영상을 작성하는 배신자에게 통지되어, 이후의 답례 영상의 작성 시의 참고 정보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혹은, 시청 유저에 의한 평가가 행해진 후, 당해 시청 유저가 유저 조작을 행한 경우, 선택부(131)는 좋은 평가의 누적 횟수가 소정의 횟수를 초과한 답례 데이터 중에서, 배신되어야 할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선택부(131)는 좋은 평가에 따라 선택 대상을 달리 한다. 또한, 좋은 평가의 누적 횟수는, 시청 유저마다 집계되어도 되고, 시청 유저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집계되어도 된다. 또한, 좋은 평가의 누적 횟수는, 배신자마다 집계되어도 된다.
시청 유저가, 답례 데이터의 재생 중에, 나쁜 평가를 입력하는 평가 버튼 B4를 조작하면, 나쁜 평가를 나타내는 정보가 당해 시청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와 당해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와 함께 배신 서버(30)에 송신된다. 그리고, 배신 기억부(32)는, 당해 시청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와, 당해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가 관련지어진 배신 금지 데이터(예를 들어 블록 리스트)를 작성하여 기억한다. 그 후, 당해 시청 유저가 유저 조작을 행한 경우, 선택부(131)는 배신 금지 데이터를 참조하여, 배신 금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한다. 이에 의해, 선택부(131)는 나쁜 평가에 따라 선택 대상을 달리 하고, 시청 유저는, 자신이 시청을 희망하지 않는 답례 데이터의 배신을 배제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시청 유저가, 나쁜 평가를 입력하는 평가 버튼 B4를 조작하면, 재생 중인 답례 데이터에 대한 나쁜 평가가 집계되어도 된다. 즉, 배신 기억부(32)는,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나쁜 평가의 누적 횟수를 기억한다. 또한, 선택부(131)는 나쁜 평가의 누적 횟수가 소정의 횟수를 초과한 답례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해도 된다. 이에 의해, 선택부(131)는 나쁜 평가에 따라 선택 대상을 달리 한다. 또한, 나쁜 평가의 누적 횟수는, 시청 유저마다 집계되어도 되고, 시청 유저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집계되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답례 데이터에 대한 유저 조작을 실행하는 동기를, 시청 유저에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저 조작과, 답례 데이터의 배신을 반복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시청 유저가 답례 데이터의 평가를 행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답례 데이터에 대한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로서, 선택부(131)는 각 유저 조작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단독의 답례 데이터를 선택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답례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답례 데이터를 배신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답례 데이터에 대한 유저 조작을 실행하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거나, 또는 답례 데이터에 대한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계속해서, 제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고,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 구성 요소는 대략 동일한 동작 및 기능을 발휘하고, 그 작용 효과도 대략 동일하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선택부(131)는, 유저 조작에 대한 답례 데이터로서, 복수의 1차 답례 데이터를 포함하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1차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그리고, 1차 답례 데이터의 배신 후, 선택부(131)는, 1차 답례 데이터를 배신한 시청 유저 중,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시청 유저에 대해서는, 1차 답례 데이터에 이은 답례 데이터로서, 추가로 2차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추가의 2차 답례 데이터의 배신 타이밍을 지연시킬 수 있고, 또한 원하는 시청 유저에 대하여 특별한 2차 답례 데이터를 배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답례 데이터의 수가 적은 경우에, 후일 추가의 2차 답례 데이터를 배신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답례 데이터의 배신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답례 데이터를 창작하는 시간적인 여유를 배신자 등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기부한 보수의 액수가 큰 시청 유저, 또는 코멘트의 투고 혹은 상술한 좋은 평가의 횟수가 많은 시청 유저에 대하여 통상과는 다른 특별한 답례 데이터를 배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원하는 시청 유저에 대하여 자신이 우대받고 있는 만족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일례로서, 배신 기억부(32)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시청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당해 유저 식별 정보는, 배신자 등이 설정해도 되고, 배신 제어부(31)가 자동적으로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배신자가 시청 유저를 지정하여 1차 답례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설정하는 경우, 배신자는, 미리 시청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를 배신 기억부(32)에 기억시켜 둔다. 또한, 배신 가능한 답례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1차 답례 데이터를 배신한 경우, 배신 제어부(31)는 1차 답례 데이터를 배신한 시청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를 배신 기억부(32)에 기억시킨다. 소정의 조건이란, 배신자 등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것, 기부한 보수의 액수가 소정 액수를 초과하고 있는 것, 또는 코멘트의 투고 혹은 좋은 평가의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하고 있는 것 등이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배신 기억부(32)가 기억하고 있는 유저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유저 조작을 실행한 시청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1차 답례 데이터로 구성되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들 1차 답례 데이터는, 예를 들어 「후일 제대로 답례하겠습니다」 등의 2차 답례를 시사하는 내용이나 당해 시청 유저를 특별 취급하는 내용의 음성 또는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배신 기억부(32)는, 1차 답례 데이터를 배신한 시청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와, 입력 정보(예를 들어 코멘트의 내용 등) 또는 조작 식별 정보(예를 들어 기부 액수를 식별하는 식별 ID)를 관련지어 기억한다. 이에 의해, 배신자 등은, 나중에 코멘트 내용이나 기부된 보수의 액수 등을 열람할 수 있다.
그 후, 배신자 등은, 기억되어 있는 입력 정보를 참조한다. 그리고, 배신자 등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시청 유저마다의 유저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지도록, 2차 답례 데이터를 업로드하거나, 또는 미리 업로드되어 있는 답례 데이터를 2차 답례 데이터로서 설정하여 2차 배신의 준비를 한다. 그리고, 배신 기억부(32)는, 당해 유저 식별 정보를, 2차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와 관련지은 레코드를 기억한다. 그 후, 소정의 타이밍에, 선택부(131)는 기억되어 있는 유저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져 있는 2차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또한, 2차 답례 데이터가 하나인 경우, 선택 처리가 생략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소정의 타이밍은, 기억되어 있는 유저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시청 유저가, 유저 조작을 실행했을 때이다. 또한, 소정의 타이밍은, 배신자 등이 2차 배신의 준비를 했을 때 등의 임의의 타이밍이어도 된다.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시청 유저는, 배신 제어부(31)가 판별하여, 그 유저 식별 정보를 배신 기억부(32)에 기억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배신 제어부(31)는 단계적인 조건, 예를 들어, 투고 횟수가, 5회의 레벨, 10회의 레벨, 또는 15회의 레벨 등을 만족시키는 시청 유저를, 레벨마다 판별해도 된다. 그리고, 배신 제어부(31)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시청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를, 2차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와 관련지은 레코드를 배신 기억부(32)에 기억시킨다.
이와 같이, 배신 기억부(32)는, 1차 답례 데이터를 배신한 시청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와, 당해 시청 유저에 대하여 배신되어야 할 2차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선택부(131)는 2차 답례 데이터를 선택하고, 배신부(132)는 1차 답례 데이터를 배신한 시청 유저의 재생 단말기(20)에 2차 답례 데이터를 배신한다. 또한, 2차 답례 데이터의 선택 및 배신의 타이밍은, 자동적으로 결정되어도 된다. 단, 당해 타이밍에 있어서, 시청 유저가 답례 데이터를 시청할 수 있는 상황에 있는 것만은 아니다. 그 때문에, 배신 제어부(31)는, 2차 답례 데이터가 배신되기 전에, 시청 유저에 통지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일례로서, 통지 정보는, 2차 답례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것, 또는 소정의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는 것 등의 통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통지 정보를 받아 시청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행한 경우에, 2차 답례 데이터의 선택 및 배신이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선택부(131)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시청 유저를 구별하지 않고, 모든 시청 유저의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1차 답례 데이터를 선택해도 된다. 이 경우, 배신자 등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시청 유저마다 각각의 유저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지도록, 2차 답례 데이터를 업로드하거나, 또는 미리 업로드되어 있는 답례 데이터를 2차 답례 데이터로서 설정하여 2차 배신의 준비를 한다. 그리고, 배신 기억부(32)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시청 유저의 유저 식별 정보를, 2차 답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와 관련지은 레코드를 기억한다. 그 후, 소정의 타이밍에, 선택부(131)는 당해 유저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져 있는 2차 답례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상, 설명한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면, 추가의 2차 답례 데이터의 배신 타이밍을 지연시킬 수 있거나, 또는 원하는 시청 유저에 대하여 특별한 2차 답례 데이터를 배신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131)는 복수의 2차 답례 데이터를 포함하는 답례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답례 데이터를 선택해도 된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로서, 선택부(131)는 각 유저 조작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단독의 1차 답례 데이터를 선택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1차 답례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1차 답례 데이터를 배신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추가의 2차 답례 데이터의 배신 타이밍을 지연시킬 수 있거나, 또는 원하는 시청 유저에 대하여 특별한 2차 답례 데이터를 배신할 수 있다.
이상, 각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된 발명, 및 본 발명과 균등의 발명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 및 각 변형 형태는, 본 발명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시 형태 또는 제4 실시 형태와, 제5 실시 형태를 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외 조건을 만족시키는 답례 데이터를 제외하고 선택된 답례 데이터의 배신, 또는 답례 데이터에 대한 유저 조작에 기인하는 답례 데이터의 배신이 실행된 결과, 배신 가능한 답례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1차 답례 데이터가 배신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스톡되어 있는 답례 데이터의 수가 충분하지 않는 경우에도, 새로운 답례 데이터를 조기에 준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각 기능부의 적어도 일부는, 관리 서버(10), 배신 서버(30), 게임 서버(60), 및 다른 외부 서버 중 어느 것에 마련되어도 된다. 다른 서버에 마련된 각 기능부는, 협동하여 배신 시스템(100)으로서 기능한다. 이 경우, 각 서버의 제어 프로그램이, 협동하여 배신 시스템(100)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능한다.
이하, 상술한 각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로부터 도출되는 각종 양태를 기재한다. 또한, 각 양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첨부 도면에 도시된 참조 부호를 부기한다. 단, 참조 부호는, 본 발명을 도시의 형태에 한정할 의도로 부기하는 것은 아니다.
배신 시스템(100)은, 시청 영상을 시청자인 복수의 유저 각각의 유저 단말기(20)에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으로서, 각 유저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용 수단(111)과, 상기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복수의 배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신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131)과, 상기 선택 수단이 선택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적어도 상기 유저 조작이 입력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하는 데이터 배신 수단(132)을 구비한다.
배신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은, 시청 영상을 시청자인 복수의 유저 각각의 유저 단말기(20)에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각 유저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고, 상기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복수의 배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신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적어도 상기 유저 조작이 입력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한다.
배신 시스템(100)의 컴퓨터 프로그램 PG1, PG2는, 컴퓨터(11, 31)를 구비하고, 시청 영상을 시청자인 복수의 유저 각각의 유저 단말기(20)에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를, 각 유저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용 수단(111)과, 상기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복수의 배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신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131)과, 상기 선택 수단이 선택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적어도 상기 유저 조작이 입력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하는 데이터 배신 수단(132)으로서 기능시킨다.
배신 시스템(100)은, 시청 영상을 시청자인 복수의 유저 각각의 유저 단말기(20)에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으로서, 게임 장치(70)와, 상기 게임 장치가 제공하는 게임의 게임 영상으로부터 상기 시청 영상을 생성하여 각 유저 단말기에 배신하는 영상 배신 수단(132)과, 각 유저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용 수단(111)과, 상기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복수의 배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신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131)과, 상기 선택 수단이 선택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적어도 상기 유저 조작이 입력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하는 데이터 배신 수단(132)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유저 조작에 대한 답례로서 재생 단말기(20)에 배신되는 배신 데이터는, 복수의 배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신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선택된다. 그 때문에, 시청 영상을 시청하는 유저의 조작에 대하여, 복수의 배신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배신 데이터를 배신하여, 유저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선택 수단(131)은, 상기 배신 데이터를 랜덤으로 선택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배신 데이터 각각에는 레어러티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선택 수단(131)은, 상기 레어러티에 따른 추첨을 행하여, 상기 배신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레어러티가 높은 배신 데이터를 당선시킨다는, 유저 조작의 모티베이션을 시청 유저에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배신 데이터 그룹 RD는, 각각이 상이한 속성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서브 데이터 그룹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속성을 특정하는 속성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속성 취득 수단(133)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 수단(131)은, 상기 속성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속성을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속성에 관련지어진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선택한다.
상기 속성은, 상기 유저 조작의 조작 속성에 기초하여 나누어져 있고, 상기 속성 특정 정보는, 상기 조작 속성을 나타내고, 상기 선택 수단(131)은, 상기 속성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속성을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조작 속성에 관련지어진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선택한다.
상기 조작 수용 수단(111)은, 상기 유저 조작으로서 코멘트의 입력 조작을 받아들이고, 상기 속성은, 상기 코멘트의 코멘트 속성에 기초하여 나누어져 있고, 상기 선택 수단(131)은, 상기 속성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코멘트 속성을 특정하고, 상기 코멘트 속성에 관련지어진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선택한다.
상기 속성은, 각 유저의 유저 속성에 기초하여 나누어져 있고, 상기 속성 특정 정보는, 상기 유저 속성을 나타내고, 상기 선택 수단(131)은, 상기 속성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속성을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유저 속성에 관련지어진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속성과 관련된 배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신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배신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시청 유저에 흥미를 갖게 할 수 있어, 유저의 만족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수단(131)은, 상기 속성 특정 정보가 상기 배신 데이터를 배신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상기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지 않는다.
상기 유저 조작이 입력된 상기 유저 단말기(20)를 식별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133)을 더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배신 수단(132)은,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상기 유저 단말기에, 상기 배신 데이터를 배신한다. 이에 의해, 유저 조작이 입력된 재생 단말기(20)에 배신 데이터를 배신할 수 있다.
상기 배신 시스템(100)은,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관련 영상을 추가로 취득하여 각 유저 단말기(20)에 배신한다. 이에 의해, 게임 영상에 더하여, 촬영된 게임 관련 영상을 배신할 수 있다.
상기 배신 데이터 그룹 RD는, 각각이 상이한 행동 종류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서브 데이터 그룹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유저 조작을 입력한 입력 유저의 조작 이력을 취득하는 이력 취득 수단(133)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 수단(131)은, 상기 조작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유저의 상기 행동 종류를 판단함과 함께, 상기 행동 종류에 관련지어진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행동 종류와 관련된 배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신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배신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시청 유저에 흥미를 갖게 할 수 있어, 유저의 만족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조작 수용 수단(111)은, 상기 유저 조작으로서 특수 커맨드의 입력 조작을 받아들이고, 상기 선택 수단(131)은, 상기 배신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상기 특수 커맨드에 관련지어진 상기 배신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시청 유저에 대하여, 특수 커맨드를 찾는다는, 보물 찾기와 같은 즐거움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수단(131)은, 상기 배신 데이터 그룹 RD 중에서 선택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배신 데이터를 특정함과 함께, 상기 특정한 배신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한 나머지 중에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시청 유저가 답례 데이터를 시청하는 흥미의 감퇴, 또는 시청 의욕의 감퇴를 억제할 수 있다. 또는, 답례 데이터에 스토리성을 갖게 하여, 시청 유저에 의한 액션을 유인할 수 있다.
11: 서버 제어부(컴퓨터)
20: 재생 단말기(유저 단말기)
31: 배신 제어부(컴퓨터)
70: 게임 단말기(게임 장치)
100: 배신 시스템
111: 조작 수용부(조작 수용 수단)
131: 선택부(선택 수단)
132: 배신부(데이터 배신 수단, 영상 배신 수단)
133: 취득부(속성 취득 수단, 정보 취득 수단, 이력 취득 수단)
PG1: 관리 프로그램(컴퓨터 프로그램)
PG2: 배신 프로그램(컴퓨터 프로그램)
RD: 배신 데이터 그룹

Claims (16)

  1. 시청 영상을 시청자인 복수의 유저 각각의 유저 단말기에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으로서,
    각 유저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용 수단과,
    상기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복수의 배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신 데이터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이 선택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적어도 상기 유저 조작이 입력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하는 데이터 배신 수단을 구비하는, 배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배신 데이터를 랜덤으로 선택하는, 배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신 데이터 각각에는 레어러티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레어러티에 따른 추첨을 행하여, 상기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배신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신 데이터 그룹은, 각각이 상이한 속성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서브 데이터 그룹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속성을 특정하는 속성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속성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속성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속성을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속성에 관련지어진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배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은, 상기 유저 조작의 조작 속성에 기초하여 나누어져 있고,
    상기 속성 특정 정보는, 상기 조작 속성을 나타내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속성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속성을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조작 속성에 관련지어진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배신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용 수단은, 상기 유저 조작으로서 코멘트의 입력 조작을 받아들이고,
    상기 속성은, 상기 코멘트의 코멘트 속성에 기초하여 나누어져 있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속성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코멘트 속성을 특정하고, 상기 코멘트 속성에 관련지어진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배신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은, 각 유저의 유저 속성에 기초하여 나누어져 있고,
    상기 속성 특정 정보는, 상기 유저 속성을 나타내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속성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속성을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유저 속성에 관련지어진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배신 시스템.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속성 특정 정보가 상기 배신 데이터를 배신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상기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지 않는, 배신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조작이 입력된 상기 유저 단말기를 식별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배신 수단은,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상기 유저 단말기에, 상기 배신 데이터를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신 시스템은,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관련 영상을 추가로 취득하여 각 유저 단말기에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신 데이터 그룹은, 각각이 상이한 행동 종류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서브 데이터 그룹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유저 조작을 입력한 입력 유저의 조작 이력을 취득하는 이력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조작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유저의 상기 행동 종류를 판단함과 함께, 상기 행동 종류에 관련지어진 서브 데이터 그룹 중에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배신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용 수단은, 상기 유저 조작으로서 특수 커맨드의 입력 조작을 받아들이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배신 데이터 그룹 중에서 상기 특수 커맨드에 관련지어진 상기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배신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배신 데이터 그룹 중에서 선택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배신 데이터를 특정함과 함께, 상기 특정한 배신 데이터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한 나머지 중에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배신 시스템.
  14. 시청 영상을 시청자인 복수의 유저 각각의 유저 단말기에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각 유저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고,
    상기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복수의 배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신 데이터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적어도 상기 유저 조작이 입력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하는, 제어 방법.
  15. 컴퓨터를 구비하고, 시청 영상을 시청자인 복수의 유저 각각의 유저 단말기에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를,
    각 유저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용 수단과,
    상기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복수의 배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신 데이터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이 선택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적어도 상기 유저 조작이 입력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하는 데이터 배신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16. 시청 영상을 시청자인 복수의 유저 각각의 유저 단말기에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으로서,
    게임 장치와,
    상기 게임 장치가 제공하는 게임의 게임 영상으로부터 상기 시청 영상을 생성하여 각 유저 단말기에 배신하는 영상 배신 수단과,
    각 유저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유저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용 수단과,
    상기 유저 조작에 대응하여, 복수의 배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신 데이터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이 선택한 상기 배신 데이터를, 적어도 상기 유저 조작이 입력된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배신하는 데이터 배신 수단을 구비하는, 배신 시스템.
KR1020227040814A 2020-05-29 2021-05-11 배신 시스템, 배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 KR202300074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94772 2020-05-29
JP2020094772 2020-05-29
JP2020149201A JP7082431B2 (ja) 2020-05-29 2020-09-04 配信システム、配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JP-P-2020-149201 2020-09-04
PCT/JP2021/017941 WO2021241209A1 (ja) 2020-05-29 2021-05-11 配信システム、配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411A true KR20230007411A (ko) 2023-01-12

Family

ID=7874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814A KR20230007411A (ko) 2020-05-29 2021-05-11 배신 시스템, 배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79509A1 (ko)
JP (1) JP2022113697A (ko)
KR (1) KR20230007411A (ko)
CN (1) CN115916359A (ko)
TW (1) TWI793616B (ko)
WO (1) WO202124120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6424A (ja) 2013-03-13 2014-09-25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543403B1 (ja) 2018-12-12 2019-07-10 グリー株式会社 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2020017146A (ja) 2018-07-26 2020-01-30 株式会社ドワンゴ 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017870A (ja) 2018-07-25 2020-01-30 株式会社ミクシィ 情報処理装置、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3543B2 (ja) * 2009-10-01 2014-05-0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視聴者識別に基づく映像配信サービス実現装置、映像配信サービス実現方法、映像配信サービス実現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6605827B2 (ja) * 2015-03-30 2019-11-13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サーバシステム
CN105872830B (zh) * 2016-05-31 2019-04-09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直播频道中的互动方法及装置
JP7160513B2 (ja) * 2016-06-06 2022-10-25 ヤフー株式会社 端末プログラム、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0556185B2 (en) * 2017-09-29 2020-02-11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 Llc Virtual reality presentation of real world space
CN108419140B (zh) * 2018-03-01 2019-07-23 广州虎牙信息科技有限公司 直播互动方法、装置、服务器、终端和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6424A (ja) 2013-03-13 2014-09-25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0017870A (ja) 2018-07-25 2020-01-30 株式会社ミクシィ 情報処理装置、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2020017146A (ja) 2018-07-26 2020-01-30 株式会社ドワンゴ 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6543403B1 (ja) 2018-12-12 2019-07-10 グリー株式会社 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47856A (zh) 2021-12-16
CN115916359A (zh) 2023-04-04
TWI793616B (zh) 2023-02-21
JP2022113697A (ja) 2022-08-04
US20230079509A1 (en) 2023-03-16
WO2021241209A1 (ja)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86009B (zh) 基于所记录的游戏玩法自动产生为云游戏建议的小游戏
van Ditmarsch Video games as a spectator sport
US20150231506A1 (en) Celebrity video gaming network
JP7482548B2 (ja) 観戦システム、観戦システム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観戦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7411437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KR20230007411A (ko) 배신 시스템, 배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
JP7082431B2 (ja) 配信システム、配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2102152A (ja) 配信システム、配信システム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US20230179836A1 (en) Server, method and terminal
JP7237361B2 (ja) 観戦システム、観戦システム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観戦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7154609B2 (ja) 観戦システム、観戦システム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観戦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7212277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イベントの管理方法
WO2023223669A1 (ja) 配信システム、配信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US202400336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Online Video Game Tournaments and Matches
JP7216315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32922B2 (ja) 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40165512A1 (en) Tipping gift for games
JP2022102174A (ja) 配信システム、配信システム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2023170093A (ja) 配信システム、配信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2023170087A (ja) 配信システム、配信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2022103752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サー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2302374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22156250A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4010566A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22056812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公開制御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