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665A - 모빌리티 허브 - Google Patents

모빌리티 허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665A
KR20230005665A KR1020210086657A KR20210086657A KR20230005665A KR 20230005665 A KR20230005665 A KR 20230005665A KR 1020210086657 A KR1020210086657 A KR 1020210086657A KR 20210086657 A KR20210086657 A KR 20210086657A KR 20230005665 A KR20230005665 A KR 20230005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ity
hub
ground
wat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호
차동은
이상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6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5665A/ko
Priority to US17/698,183 priority patent/US11833871B2/en
Priority to DE102022203358.2A priority patent/DE102022203358A1/de
Priority to CN202210361126.6A priority patent/CN115556885A/zh
Publication of KR20230005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4/00Buildings for combinations of different purpos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main groups E04H1/00-E04H13/00 of this subclass, e.g. for double purpose; Buildings of the drive-i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5/00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 B60F5/02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convertible into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5/00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5/00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 B60F5/003Off the road or amphibian vehicles adaptable for air or space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25Mod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25Modular or prefabricated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32Severable or jettisonable parts of fuselage facilitating emergency esc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7/00Convertible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07Helicopter portable landing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for storing aircraft, e.g. in hanga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CSHIP-LIFTING DEVICES OR MECHANISMS
    • E02C5/00Mechanisms for lifting ships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4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for storing aircraft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211/00Modular constructions of airplanes or helico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항공모빌리티 또는 지상모빌리티 또는 수상모빌리티의 터미널 역할을 수행하는 모빌리티 허브로서, 수면과 연결되며 수상모빌리티의 출입구가 마련된 수상레이어 또는 항공모빌리티의 이착륙장이 마련된 포트레이어 또는 지상과 연결되며 지상모빌리티의 출입구가 마련된 지상레이어의 조합을 통해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고, 각각의 레이어 사이에는 승강통로가 마련되며, 승강통로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은 각각의 레이어와 연결되며 내부공간을 통해 항공모빌리티 또는 지상모빌리티 또는 수상모빌리티가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허브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모빌리티 허브{HUB OF MOBILITY VEHICLE}
본 발명은 강 또는 바다 등의 수면에 마련되는 모빌리티 허브로서, 수면에서 수상모빌리티가 출입하는 수상레이어, 수상레이어의 상층에서 지상과 연결되어 지상모빌리티가 출입하는 지상레이어, 지상레이어의 상층에서 항공모빌리티의 이착륙장이 마련되는 포트레이어가 구비된 육해공 모빌리티의 복합 환승거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빌리티 허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은 단순히 사용자가 직접 운전을 하여 지상에서의 주행을 통해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하는 기초적인 운송수단에 해당하였다. 하지만, 최근 자율주행 기술과 이에 따른 다양한 모빌리티의 개발로 인하여 단순히 각각의 모빌리티를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용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모빌리티를 활용하여 먼 거리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동하는 개념이 제시되고 있다.
모빌리티는 지상에서 주행하는 지상모빌리티, 상공에서 비행하는 항공모빌리티, 해상에서 항해하는 수상모빌리티 등을 의미하게 되는데, 종래는 각각의 모빌리티는 별도의 개념으로써, 다른 모빌리티로의 환승시 별도의 터미널 등에서 승객이 직접 환승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각종 모빌리티들이 통합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이는 다시 말해 승객이 직접 환승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모빌리티가 직접 환승 거점으로 이동하여 승객은 그대로 있고, 승객이 탑승한 이동 수단이 변경되는 개념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승객이 항공, 지상, 수상모빌리티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승객이 각각의 모빌리티에 신속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환승할 수 있으며, 각각의 모빌리티가 하나의 통합된 허브에서 관리될 수 있는 복합적인 모빌리티 허브의 개발이 요구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5-0110171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면에서 수상모빌리티가 출입하는 수상레이어, 수상레이어의 상층에서 지상과 연결되어 지상모빌리티가 출입하는 지상레이어, 지상레이어의 상층에서 항공모빌리티의 이착륙장이 마련되는 포트레이어가 구비된 육해공 모빌리티의 복합 환승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내부공간을 통해 항공모빌리티, 지상모빌리티 및 수상모빌리티가 각각의 레이어 사이에서 승하강되고 다른 종류에 모빌리티로 전환되어 승객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모빌리티를 환승할 수 있는 모빌리티 허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는 항공모빌리티 또는 지상모빌리티 또는 수상모빌리티의 터미널 역할을 수행하는 모빌리티 허브로서, 수면과 연결되며 수상모빌리티의 출입구가 마련된 수상레이어 또는 항공모빌리티의 이착륙장이 마련된 포트레이어 또는 지상과 연결되며 지상모빌리티의 출입구가 마련된 지상레이어의 조합을 통해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고, 각각의 레이어 사이에는 승강통로가 마련되며, 승강통로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은 각각의 레이어와 연결되며 내부공간을 통해 항공모빌리티 또는 지상모빌리티 또는 수상모빌리티가 승하강될 수 있다.
항공모빌리티는 승객이 탑승하는 캐빈룸과 캐빈룸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공에서 비행하는 비행모듈을 포함하며, 캐빈룸과 비행모듈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지상모빌리티는 승객이 탑승하는 캐빈룸과 캐빈룸의 하단에 마련되며 지상에서 주행하는 주행모듈을 포함하며, 캐빈룸과 주행모듈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수상모빌리티는 승객이 탑승하는 캐빈룸과 캐빈룸의 하단에 마련되며 수상에서 항행하는 항행모듈을 포함하며, 캐빈룸과 항행모듈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승강통로의 내부공간에는 항공모빌리티 또는 지상모빌리티 또는 수상모빌리티와 결합되는 승강부가 구비되고, 승강부는 항공모빌리티 또는 지상모빌리티 또는 수상모빌리티가 결합되는 경우 항공모빌리티 또는 지상모빌리티 또는 수상모빌리티를 승강통로에서 승하강시킬 수 있다.
승강통로를 통해 승하강된 항공모빌리티 또는 지상모빌리티 또는 수상모빌리티는 승하강되어 도달한 각각의 레이어의 용도에 따라 항공모빌리티 또는 지상모빌리티 또는 수상모빌리티로 전환될 수 있다.
포트레이어의 이착륙장 또는 지상레이어의 출입구 또는 수상레이어의 출입구는 각각의 레이어에서 이격된 지점에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수상레이어는 수면의 상단에 마련되며, 수상레이어의 하단에는 수중으로 확장되어 승객에게 활동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수상레이어의 외벽에는 상방으로 오픈되어 지상레이어의 일부를 이루는 확장부가 마련되며, 확장부는 지상과 연결될 수 있다.
확장부의 단부에는 스프링, 영구자석 및 전자석을 포함하는 자기력부가 마련되며, 자기력부는 자기력을 통해 확장부를 지상에 로킹할 수 있다.
모빌리티 허브는 제1허브 및 제2허브를 포함하며, 제1허브의 수상레이어에 마련되는 제1확장부 및 제2허브의 수상레이어에 마련되는 제2확장부는 각각 서로를 향해 오픈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제1허브의 지상레이어 및 제2허브의 지상레이어를 연결할 수 있다.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의 단부에는 스프링, 영구자석 및 전자석을 포함하는 자기력부가 각각 마련되며,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가 접촉되는 경우 자기력부를 통해 상호 로킹될 수 있다.
수상레이어의 하단에는 추진부가 마련되며, 추진부는 수중에서 모빌리티 허브를 추진하여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추진부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스크류는 회전되어 모빌리티 허브를 복수의 방향으로 추진할 수 있다.
각각의 레이어에서 모빌리티의 교통량을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를 더 포함하고, 관제서버는 모빌리티의 교통량에 따라 모빌리티 허브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추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빌리티 허브에 따르면, 수면에서 수상모빌리티가 출입하는 수상레이어, 수상레이어의 상층에서 지상과 연결되어 지상모빌리티가 출입하는 지상레이어, 지상레이어의 상층에서 항공모빌리티의 이착륙장이 마련되는 포트레이어가 구비된 육해공 모빌리티의 복합 환승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내부공간을 통해 항공모빌리티, 지상모빌리티 및 수상모빌리티가 각각의 레이어 사이에서 승하강되고 다른 종류에 모빌리티로 전환되어 승객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모빌리티를 환승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항공모빌리티, 지상모빌리티, 수상모빌리티가 만들어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모빌리티 허브의 내부공간이 표현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확장부 및 확장부간에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확장부에 마련되는 자기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수상레이어의 하단에 마련되는 추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항공모빌리티, 지상모빌리티, 수상모빌리티가 만들어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모빌리티 허브의 내부공간이 표현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확장부 및 확장부간에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확장부에 마련되는 자기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수상레이어의 하단에 마련되는 추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항공모빌리티, 지상모빌리티, 수상모빌리티가 만들어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는 항공모빌리티 또는 지상모빌리티 또는 수상모빌리티의 터미널 역할을 수행하는 모빌리티 허브로서, 수면과 연결되며 수상모빌리티(30)의 출입구가 마련된 수상레이어(300) 또는 항공모빌리티(10)의 이착륙장이 마련된 포트레이어(100) 또는 지상과 연결되며 지상모빌리티(20)의 출입구가 마련된 지상레이어(200)의 조합을 통해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고, 각각의 레이어 사이에는 승강통로(500)가 마련되며, 승강통로(5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은 각각의 레이어와 연결되며 내부공간을 통해 항공모빌리티(10) 또는 지상모빌리티(20) 또는 수상모빌리티(30)가 승하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는 수상레이어(300)를 기준으로 지상레이어(200) 또는 포트레이어(100)가 결합된 형태 또는 수상레이어(300), 지상레이어(200) 및 포트레이어(100)가 모두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의 항공모빌리티(10)는 승객이 탑승하는 캐빈룸(5)과 캐빈룸(5)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공에서 비행하는 비행모듈(15)을 포함하며, 캐빈룸(5)과 비행모듈(15)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의 지상모빌리티(20)는 승객이 탑승하는 캐빈룸(5)과 캐빈룸(5)의 하단에 마련되며 지상에서 주행하는 주행모듈(25)을 포함하며, 캐빈룸(5)과 주행모듈(25)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의 수상모빌리티(30)는 승객이 탑승하는 캐빈룸(5)과 캐빈룸(5)의 하단에 마련되며 수상에서 항행하는 항행모듈(35)을 포함하며, 캐빈룸(5)과 항행모듈(35)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는 육, 해, 공을 아우르는 종합 모빌리티 거점의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수면위에 위치하여 건물 등의 공간적 제약에서 비교적 자유롭고, 승객이 모빌리티 허브에서 원하는 항공, 지상, 수상 모빌리티로 쉽게 탑승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포트, 지상, 수상레이어를 통해 각각의 모빌리티가 승하강되며 승객이 탑승하는 캐빈룸(5)은 각각의 비행(15), 주행(25), 항행모듈(35)과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승객은 직접 움직여 환승하지 않고도, 캐빈룸(5)에 탑승한 상태에서 모듈만 교체됨에 따라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모빌리티 허브의 내부공간이 표현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승강통로(500)의 내부공간에는 항공모빌리티(10) 또는 지상모빌리티(20) 또는 수상모빌리티(30)와 결합되는 승강부(600)가 구비되고, 승강부(600)는 항공모빌리티(10) 또는 지상모빌리티(20) 또는 수상모빌리티(30)가 결합되는 경우 항공모빌리티(10) 또는 지상모빌리티(20) 또는 수상모빌리티(30)를 승강통로(500)에서 승하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의 승강통로(500)는 포트레이어(100), 지상레이어(200) 및 수상레이어(300)를 중앙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승강통로(500)를 통해 항공모빌리티(10) 또는 지상모빌리티(20) 또는 수상모빌리티(30)가 각각의 레이어 사이에서 승하강되어 승객이 기존에 탑승하던 모빌리티에서 다른 종류의 모빌리티로 환승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승강통로(500)의 내부공간에는 항공모빌리티(10) 또는 지상모빌리티(20) 또는 수상모빌리티(30)와 결합되어 함께 승강통로(500)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600)가 마련되며, 각각의 모빌리티의 캐빈룸(5)의 상단에는 결합부(700)가 마련되어 캐빈룸(5)이 결합부(700)를 통해 승강부(600)와 결합되어 승하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승강통로(500)를 통해 승하강된 항공모빌리티(10) 또는 지상모빌리티(20) 또는 수상모빌리티(30)는 승하강되어 도달한 각각의 레이어의 용도에 따라 항공모빌리티(10) 또는 지상모빌리티(20) 또는 수상모빌리티(30)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빈룸(5)은 결합부(700)를 통해 비행모듈(15)와 결합되어 상공에서 비행할 수 있는 것이고, 캐빈룸(5)이 승강부(600)와 결합되어 승강될 시에 주행모듈(25)이나 항행모듈(35)와 분리되어 이동되는 레이어에 별도로 마련되는 주행모듈(25) 또는 항행모듈(35)과 결합되어 승객이 캐빈룸(5)에 탑승한 상태에서 모듈이 교체됨으로써 간편하게 모빌리티 환승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를 통해 모빌리티 종합 환승 거점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고, 승객은 번거로움이 최소화되며 원하는 목적지까지 효율적인 경로 및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편안하게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포트레이어의 이착륙장 또는 지상레이어의 출입구 또는 수상레이어의 출입구는 각각의 레이어에서 이격된 지점에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수상레이어(300)는 수면의 상단에 마련되며, 수상레이어의 하단에는 수중으로 확장되어 승객에게 활동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각각의 레이어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상레이어(300)부터 지상레이어(200) 포트레이어(100)까지 점점 그 면적은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레이어에서 출입구는 예를 들어 동서남북에 하나씩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상레이어(300) 하단에 수중으로 확장된 활동공간은 도 1을 참고하면 수상레이어(300)하단에 하방으로 돌출된 원형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공간에서 휴식이나 다른 활동을 원하는 승객에게 휴식 등의 활동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확장부 및 확장부간에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확장부에 마련되는 자기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수상레이어(300)의 외벽에는 상방으로 오픈되어 지상레이어(200)의 일부를 이루는 확장부(310)가 마련되며, 확장부(310)는 지상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확장부(310)의 단부에는 스프링, 영구자석 및 전자석을 포함하는 자기력부(320)가 마련되며, 자기력부(320)는 자기력을 통해 확장부(310)를 지상에 로킹할 수 있다. 자기력부(320)는 마그네틱 모듈로서 전압에 따라 전자석의 자극이 변화됨으로써 아마추어에 자기력부(320) 자기력에 의해 강력하게 고정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더욱 강한 고정력을 위해 자기력부(320)는 확장부(310) 단부에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확장부(310)는 수상레이어(300)의 외벽에서 하단이 유압 시스템을 통해 지지 및 상방으로 오픈 될 수 있고, 이는 지상레이어(200)와 동일 평면까지 상승되어 지상레이어(200)를 확장하고 지상모빌리티(20)가 지상레이어(200)에서 지상에 도달할 수 있는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는 제1허브 및 제2허브를 포함하며, 제1허브의 수상레이어(300)에 마련되는 제1확장부 및 제2허브의 수상레이어(300)에 마련되는 제2확장부는 각각 서로를 향해 오픈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제1허브의 지상레이어(200) 및 제2허브의 지상레이어(20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의 단부에는 스프링, 영구자석 및 전자석을 포함하는 자기력부(320)가 각각 마련되며,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가 접촉되는 경우 자기력부(320)를 통해 상호 로킹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는 확장부(310)를 통해 복수의 모빌리티 허브를 통합하여 원하는 만큼 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는 원하는 지점에서 승객의 수요에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허브는 확장부(310)를 통해 지상레이어(200)가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허브를 형성할 수 있으며, 허브 이용량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연결되는 허브의 개수가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는 원형으로 배치되어 동서남북의 4개의 출입구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복수의 허브는 확장부(310)를 통해 각각의 지상레이어(200)가 연결되어 바둑판식으로 확장되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수상레이어의 하단에 마련되는 추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수상레이어(300)의 하단에는 추진부(400)가 마련되며, 추진부(400)는 수중에서 모빌리티 허브를 추진하여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에서 추진부(400)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스크류는 회전되어 모빌리티 허브를 복수의 방향으로 추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는 강, 호수, 바다 등의 수면위에 배치되기 때문에 건물과는 달리 수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추진부(400)를 통해 허브가 원하는 지점에 직접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고 배치되는 장소도 쉽고 간편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의 추진부(400)를 통해 모빌리티 허브를 수면상에서 이동시키고 복수의 허브가 확장부(31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인접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는 각각의 레이어에서 모빌리티의 교통량을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관제서버는 모빌리티의 교통량에 따라 모빌리티 허브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추진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관제서버에서는 항공모빌리티(10), 지상모빌리티(20), 수상모빌리티(20)의 위치나 이동경로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각각의 지역에 위치하는 모빌리티 허브마다 항공모빌리티(10), 지상모빌리티(20), 수상모빌리티(20) 현황 등 모빌리티 허브간에 모빌리티의 교통량을 수집하고, 이를 통해 각 허브별로 모빌리티의 과부하 여부를 파악하고, 과부화된 허브가 발생한 경우 인접한 다른 허브를 과부화 허브가 위치한 장소로 추진시켜 이를 보완할 수 있다.
이 때, 추진되는 허브에 위치하는 항공모빌리티(10), 지상모빌리티(20), 수상모빌리티(20)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허브 이동에 관해 정보를 알리고 탑승객의 동의를 받아 허브를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며, 동의가 없는 탑승자는 하차 또는 환승하도록 안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허브는 수상에 위치하는 수상레이어(300)를 통해 강이나 바다 등 수면 위에 떠서 종합적인 모빌리티의 터미널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도심의 강은 도심 중앙을 통과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발명의 모빌리티 허브를 통해 편리하게 도심으로 이동 할 수 있고, 도로 및 하늘에 모빌리티가 많아지면 교통 정체가 생기고, 이로 인한 대기시간이 발생하기 때문에 만약 해상에 있는 허브를 이용해 다양한 모빌리티로 환승한다면 해상 상공의 공역을 추가로 활용할 수 있어 대기시간 최소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수면에 띄워지는 수상레이어(300)는 지상에 고정되는 허브에 비해 설치가 쉽고, 교통량 발생 상황에 따라 허브를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모빌리티 수요에 대응할 수 있고, 허브간에 연결을 통한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출퇴근 등 복잡한 시간엔 넓은 강 옆 공간 (ex. 고수부지) 을 주차 공간 또는 환승 공간으로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심이나 건물에 위치하는 허브의 경우 모빌리티 증가에 따른 소음 민원이 발생하나, 해상에 위치한다면 상대적으로 소음에 대한 민원이 적을 수 있고, 수상(해상) 지역은 개인 토지가 아니어서 보상비용이 적게 들며, 항공모빌리티 등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한다면 건물이나 유동인구가 많은 곳 보다는 상대적으로 비상상황 대처가 쉽다는(해상을 활용한 비상착륙 등) 효과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5 : 캐빈룸 10 : 항공모빌리티
15 : 비행모듈 20 : 지상모빌리티
25 : 주행모듈 30 : 수상모빌리티
35 : 항행모듈 100 : 포트레이어
200 : 지상레이어 300 : 수상레이어
310 : 확장부 400 : 추진부
500 : 승강통로 600 : 승강부
700 : 결합부

Claims (15)

  1. 항공모빌리티 또는 지상모빌리티 또는 수상모빌리티의 터미널 역할을 수행하는 모빌리티 허브로서,
    수면과 연결되며 수상모빌리티의 출입구가 마련된 수상레이어 또는 항공모빌리티의 이착륙장이 마련된 포트레이어 또는 지상과 연결되며 지상모빌리티의 출입구가 마련된 지상레이어의 조합을 통해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고, 각각의 레이어 사이에는 승강통로가 마련되며, 승강통로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은 각각의 레이어와 연결되며 내부공간을 통해 항공모빌리티 또는 지상모빌리티 또는 수상모빌리티가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허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항공모빌리티는 승객이 탑승하는 캐빈룸과 캐빈룸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공에서 비행하는 비행모듈을 포함하며, 캐빈룸과 비행모듈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허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상모빌리티는 승객이 탑승하는 캐빈룸과 캐빈룸의 하단에 마련되며 지상에서 주행하는 주행모듈을 포함하며, 캐빈룸과 주행모듈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허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상모빌리티는 승객이 탑승하는 캐빈룸과 캐빈룸의 하단에 마련되며 수상에서 항행하는 항행모듈을 포함하며, 캐빈룸과 항행모듈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허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승강통로의 내부공간에는 항공모빌리티 또는 지상모빌리티 또는 수상모빌리티와 결합되는 승강부가 구비되고, 승강부는 항공모빌리티 또는 지상모빌리티 또는 수상모빌리티가 결합되는 경우 항공모빌리티 또는 지상모빌리티 또는 수상모빌리티를 승강통로에서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허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승강통로를 통해 승하강된 항공모빌리티 또는 지상모빌리티 또는 수상모빌리티는 승하강되어 도달한 각각의 레이어의 용도에 따라 항공모빌리티 또는 지상모빌리티 또는 수상모빌리티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허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포트레이어의 이착륙장 또는 지상레이어의 출입구 또는 수상레이어의 출입구는 각각의 레이어에서 이격된 지점에 복수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허브.
  8.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상레이어는 수면의 상단에 마련되며, 수상레이어의 하단에는 수중으로 확장되어 승객에게 활동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허브.
  9.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상레이어의 외벽에는 상방으로 오픈되어 지상레이어의 일부를 이루는 확장부가 마련되며, 확장부는 지상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허브.
  10. 청구항 9에 있어서,
    확장부의 단부에는 스프링, 영구자석 및 전자석을 포함하는 자기력부가 마련되며, 자기력부는 자기력을 통해 확장부를 지상에 로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허브.
  11. 청구항 9에 있어서,
    모빌리티 허브는 제1허브 및 제2허브를 포함하며, 제1허브의 수상레이어에 마련되는 제1확장부 및 제2허브의 수상레이어에 마련되는 제2확장부는 각각 서로를 향해 오픈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제1허브의 지상레이어 및 제2허브의 지상레이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허브.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의 단부에는 스프링, 영구자석 및 전자석을 포함하는 자기력부가 각각 마련되며,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가 접촉되는 경우 자기력부를 통해 상호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허브.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상레이어의 하단에는 추진부가 마련되며, 추진부는 수중에서 모빌리티 허브를 추진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허브.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추진부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스크류는 회전되어 모빌리티 허브를 복수의 방향으로 추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허브.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각각의 레이어에서 모빌리티의 교통량을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를 더 포함하고, 관제서버는 모빌리티의 교통량에 따라 모빌리티 허브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추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허브.
KR1020210086657A 2021-07-01 2021-07-01 모빌리티 허브 KR20230005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657A KR20230005665A (ko) 2021-07-01 2021-07-01 모빌리티 허브
US17/698,183 US11833871B2 (en) 2021-07-01 2022-03-18 Mobility vehicle hub
DE102022203358.2A DE102022203358A1 (de) 2021-07-01 2022-04-05 Mobilitätsfahrzeug-hub
CN202210361126.6A CN115556885A (zh) 2021-07-01 2022-04-07 机动交通工具枢纽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657A KR20230005665A (ko) 2021-07-01 2021-07-01 모빌리티 허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665A true KR20230005665A (ko) 2023-01-10

Family

ID=8454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657A KR20230005665A (ko) 2021-07-01 2021-07-01 모빌리티 허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33871B2 (ko)
KR (1) KR20230005665A (ko)
CN (1) CN115556885A (ko)
DE (1) DE1020222033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117A (ko) * 2021-06-09 2022-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빌리티 환승 플랫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171A (ko) 2004-05-18 2005-11-23 황태홍 다층형 주차타워 및 주차타워에서의 주차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6151B1 (en) * 1997-02-24 2001-03-06 Bechtel Group, Inc. Device and method for an independent module offshore mobile base
US6341573B1 (en) * 2001-03-09 2002-01-29 Jon Buck Ship to platform transformer
US20030033967A1 (en) * 2001-08-16 2003-02-20 Hayman W. Zack STOVL joint strike fighter carrier
US6912965B2 (en) * 2003-03-12 2005-07-05 Kellogg Brown & Root, Inc. Semisubmersible trimaran
US9457900B1 (en) * 2014-04-07 2016-10-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ultirotor mobile buoy for persistent surface and underwater exploration
EP3344534B1 (en) 2015-08-31 2022-01-19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Universal vehicle with improved stability for safe operation in air, water and terrain environments
US20170197714A1 (en) * 2016-01-13 2017-07-13 Wolf-Tek, Llc Drone capable of operating in an aqueous environment
US20190144090A1 (en) 2017-11-16 2019-05-16 Terrence W. Schmidt Autonomous Submersible Offshore Marine Platform
KR102231574B1 (ko) 2019-10-23 2021-03-2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하는 랜딩패드에 안전하게 착륙 가능한 무인 항공기 착륙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인 항공기 착륙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171A (ko) 2004-05-18 2005-11-23 황태홍 다층형 주차타워 및 주차타워에서의 주차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56885A (zh) 2023-01-03
DE102022203358A1 (de) 2023-01-19
US11833871B2 (en) 2023-12-05
US20230001756A1 (en)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05665A (ko) 모빌리티 허브
US8783192B2 (en) Global rapid transit infrastructure using linear induction drive
CN106032730A (zh) 高架在行车道路上空的且配置了立体车库的楼房或/和场地平台的简化方案的再扩展
JPH05193869A (ja) 自力推進式多経路輸送機関
US20060038069A1 (en) Multi-level vehicle storage facility
US1874423A (en) Aircraft landing
CN211869359U (zh) 一种摆渡式轨道交通乘降系统
US6539887B1 (en) Bus to boat passenger transfer facility
CN102839599A (zh) 多功能廊桥
KR20220166117A (ko) 모빌리티 환승 플랫폼
CN110920633A (zh) 一种摆渡式轨道交通乘降系统及运行方式
KR102556077B1 (ko) 수직 이착륙기를 위한 버티포트시스템
CN2270694Y (zh) 一种飞艇交通设施
US11225762B2 (en) Modular landing port
KR930007544B1 (ko) 다층도로 시스템
CN103276926A (zh) 设置在行车道路上空的配置了立体车库且用于公用设施的建设场地及其简化形式
WO2022264696A1 (ja) 飛行体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飛行体運行管理方法
CN213389543U (zh) 一种由天桥与停车场结合的立体交通结构
JPH06239543A (ja) 自走式エレベータの表示装置
JP2002284100A (ja) 滑走路とターミナル分離型の海上空港
Goodrich Airports as a Factor in City Planning
KR101688420B1 (ko)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
CN115522774A (zh) 一种能够整合资源以使功能叠加的建筑
JPH03176599A (ja) 地下空港システム
JPH0466385A (ja) 水中モノレール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