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172A -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172A
KR20230004172A KR1020210086101A KR20210086101A KR20230004172A KR 20230004172 A KR20230004172 A KR 20230004172A KR 1020210086101 A KR1020210086101 A KR 1020210086101A KR 20210086101 A KR20210086101 A KR 20210086101A KR 20230004172 A KR20230004172 A KR 20230004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fall
preventing
safety device
tubul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시동
양순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86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4172A/ko
Publication of KR20230004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형지지물의 아암파트에 대해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부와 안전와이어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수평 이동경로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함과 더불어, 철탑구조물의 주주재로부터 아암파트로 연결되는 부위에 이동용 안전발판부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이동경로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추락사고의 위험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철탑구조물의 주주재로부터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아암파트, 상기 아암파트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부, 상기 안전난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와이어, 및 상기 안전와이어에 설치되는 작업용 이동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철탑구조물의 주주재로부터 아암파트로 이동할 때 상기 작업용 이동로프의 인터락키는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의 키-락장치 본체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preventing fall of pipe type structures}
본 발명은 관형지지물에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탑구조물의 관형지지물에 대해 안전난간부와 안전와이어 및 안전발판부를 각각 설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관형지지물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탑구조물과 같이 고공에서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안전장치가 구비된다.
일례로, 종래에는 철탑구조물에 대해 수직 이동용 안전로프와 수평 이동용 안전로프를 각각 설치하고, 키-락(Key-Lock) 시스템을 적용하여 안전로프가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대와 한번 체결되면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철탑구조물에서 작업자가 이동하는 경로 중에는 추락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발판 형태의 안전 구조물이 설치되기도 한다.
그런데 철탑구조물의 주주재와 주주재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파트의 부재가 관형상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승하탑용 사다리에 대해 수직 가이드레일이 적용되어 있어 작업자가 승하탑할 때 안전의 확보가 가능한 반면에, 주요 작업장소이면서 작업자가 이동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아암파트는 이동 및 작업성이 떨어지는데 반해 영구적인 안전 시설물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키-락(Key-Lock) 시스템의 적용이 불가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승하탑용 수직사다리에서 아암파트의 부재인 관형지지물로 이동시 안전발판이 없기 때문에 추락사고에 대한 위험성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관련 기준의 변경에 따라 향후 관형지지물의 설치개소 확대가 예상되므로, 작업자의 시공 안전성의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한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21-003962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관형지지물에 대해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부와 안전와이어를 설치하여 고소작업자의 전체 이동경로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함과 더불어, 철탑구조물의 주주재로부터 아암파트로 연결되는 부위에 이동용 안전발판부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이동경로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추락사고의 위험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탑구조물의 주주재로부터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아암파트, 상기 아암파트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부, 상기 안전난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와이어, 및 상기 안전와이어에 설치되는 작업용 이동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철탑구조물의 주주재로부터 아암파트로 이동할 때 상기 작업용 이동로프의 인터락키는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의 키-락장치 본체와 체결되어 작업자는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철탑구조물의 승강용 사다리로부터 상기 아암파트로 연결되는 부위와 사다리 반대측 아암파트 간을 연결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발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안전발판부는 메쉬구조물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안전발판부에는 승강용 사다리를 이용한 작업자의 이동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승강용 사다리와 교통 가능한 형태의 관통형 개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안전발판부는 승강용 사다리와의 간섭 회피를 위해 승강용 사다리로부터 이격된 부위에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분할형 발판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부는 상기 안전발판부의 양단부에서 적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부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레일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기둥부재와 상기 레일부재 사이를 경사방향으로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레일부재의 양단부에서 상기 기둥부재와 동일하게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는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락방지용 안전와이어는 상기 장착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안전난간부의 레일부재는 전력선과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아암파트의 자유단부에 위치한 레일부재의 높이가 상기 주주재와 인접한 부위에 위치한 레일부재의 높이 보다 더 낮게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철탑구조물의 주주재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아암파트에 대해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난간부와 안전와이어를 설치함으로써 승탑작업자의 전체 이동경로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철탑구조물의 주주재로부터 아암파트로 연결되는 부위에 이동용 안전발판부를 설치함으로써 주주재를 이용한 작업자의 수직 이동경로와 아암파트를 이용한 작업자의 수평 이동경로 사이를 연결하는 작업자의 전이 이동경로에 대한 이동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추락사고의 위험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적용되는 철탑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있어,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부와 안전와이어 및 안전발판부의 설치상태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있어,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부와 안전와이어 및 안전발판부의 설치상태를 부분 확대하여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있어,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부의 높이 설정에 따른 실시예에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있어, 추락방지용 안전발판부의 설치상태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작업자가 이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있어, 추락방지용 안전발판부의 설치상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있어, 추락방지용 안전와이어에 설치되는 작업용 이동로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있어,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대의 키-락장치 본체에 작업용 이동로프에 구비되는 인터락키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철탑구조물(10)의 주주재(12)로부터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관형지지물 형태의 아암파트(14)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아암파트(14)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부(20), 상기 안전난간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와이어(30), 및 상기 안전와이어(30)에 설치되는 작업용 이동로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상기 철탑구조물(10)은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주주재(12), 및 상기 주주재(12)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아암파트(14)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아암파트(14)는 주주재(12)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적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수량으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아암파트(14)에는 작업자의 이동중 발생할 수 있는 추락사고를 미연에 차단하기 위해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부(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전난간부(20)는 아암파트(14)가 형성하는 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대해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난간부(20)의 길이는 아암파트(14)의 전체 길이에 비례하여 길게 연장되어 작업자의 전체 작업구간에 걸쳐 추락사고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도 6를 참조로 하면, 상기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부(20)는 작업자의 이동중 발생할 수 있는 추락사고를 보다 확실하게 배제하기 위해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대(50)와의 작업용 이동로프(40)를 매개로 하는 연결을 위해 안전와이어(3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안전와이어(30)는 안전난간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인 부위에 걸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추락방지용 안전와이어(30)는 산업안전 규격에 부합하는 물성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소재로 제작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이용한 작업 과정을 도 6의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철탑구조물(10)의 주주재(12)로부터 아암파트(14)로 이동할 때, 작업자는 자신의 신체부위에 착용한 안전대(50)에 구비되는 키-락장치 본체(51)에 대해 상기 작업용 이동로프(40)의 일측 자유단부에 구비되는 인터락키(41)를 체결하여 안전을 확보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추락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작업용 이동로프(40)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락키(41)의 설치부위와 반대편에 위치한 타측 자유단부에 상기 안전와이어(3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고리(42)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키-락장치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대(50)에 구비되는 키-락(Key Lock)방식의 체결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작업용 이동로프(40)의 인터락키(41)와의 체결을 통해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키-락장치 본체(51)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철탑구조물(10)의 주주재(12)에 설치되는 승강용 사다리(16)를 이용하여 상기 아암파트(14)를 향해 이동할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안전대(50)에 구비되는 키-락장치 본체(51)에 대해 상기 안전난간부(20)에 설치되는 안전와이어(30)에 구비된 작업용 이동로프(40)의 인터락키(41)를 먼저 체결한 다음, 수직 이동용 안전레일(70)에 설치된 다른 작업용 이동로프(40)의 인터락키(41)를 제거함으로써, 주주재(12)의 승강용 사다리(16)를 이용한 수직 이동경로로부터 아암파트(14)를 이용한 수평 이동경로에 이르는 전이 이동경로를 통한 전체적인 이동에 있어 보다 확실한 상태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작업자는 상기 주주재(12)의 승강용 사다리(16)를 통해 승탑할 때 수직 이동용 안전레일(70)에 설치된 작업용 이동로프(40)의 인터락키(41)를 안전대(50)의 키-락장치 본체(51)에 대해 체결함으로써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상기 주주재(12)로부터 아암파트(14)로 이동하는 과정에는 상기 안전와이어(30)에 설치된 작업용 이동로프(40)의 인터락키(41)를 안전대(50)의 키-락장치 본체(51)에 먼저 체결한 다음, 안전대(50)의 키-락장치 본체(51)로부터 수직 이동용 안전레일(70)에 설치된 작업용 이동로프(40)의 인터락키(41)를 제거함으로써,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의 안전대(50)에 구비되는 키-락장치 본체(51)는 수직 이동용 안전레일(70)에 설치된 작업용 이동로프(40)의 인터락키(41)와 안전와이어(30)에 설치된 작업용 이동로프(40)의 인터락키(41) 중 적어도 하나와 항상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상기 철탑구조물(10)의 승강용 사다리(16)로부터 상기 아암파트(14)를 향해 연결되는 부위에 걸쳐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발판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안전발판부(60)는 도 5와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탑구조물(10)의 승강용 사다리(16)로부터 상기 아암파트(14)를 향해 이동하는 작업자의 신체적 하중에 대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적정의 강성을 가지는 메쉬구조물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발판부(60)에는 승강용 사다리(16)를 이용한 작업자의 이동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승강용 사다리(16)와 교통 가능하게 메쉬구조물 중 일부를 절개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구멍 형태의 관통형 개구부(6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안전발판부(60) 중에서 승강용 사다리(16)의 주변에 위치하는 발판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용 사다리(16)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승강용 사다리(16)로부터 이격된 부위에서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분할형 발판부(62)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발판부(60)의 양단부에서 적정의 간격을 두고 상부를 향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부재(21), 및 상기 기둥부재(21)의 상단부 사이를 대체로 수평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레일부재(2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부재(21)와 상기 레일부재(22) 사이를 경사방향으로 연결하여 레일부재(22)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부재(22)의 양단부에서 상기 기둥부재(21)와 동일하게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는 장착부재(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추락방지용 안전와이어(30)는 상기 장착부재(24) 사이를 대체로 수평한 상태로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특히, 상기 추락방지용 안전와이어(30)는 산업안전 규격에 부합하는 물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부(20)에 있어 레일부재(22)의 높이는 전력선과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로 하면, 상기 아암파트(14)의 자유단부에 위치한 기둥부재(21)와 레일부재(22)의 높이는 상기 주주재(12)와 인접한 부위에 위치한 기둥부재(21)와 레일부재(22)의 높이 보다 각각 더 낮게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안전난간부(20)에 있어 레일부재(22)의 전체적인 높이는 주주재(12)와 인접한 부위로부터 상기 아암파트(14)의 자유단부에 이르는 전 경로에 걸쳐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하향 경사진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철탑구조물(10)의 주주재(12)로부터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설치되는 아암파트(14)에 대해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난간부(20)와 안전와이어(30)를 각각 설치함과 더불어 안전와이어(30)를 이용한 작업용 이동로프(40)의 인터락키(41)를 안전대(50)의 키-락장치 본체(51)에 대해 체결할 수 있으므로, 아암파트(14)를 따라 이동하는 작업자의 수평 이동경로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철탑구조물(10)의 주주재(12)로부터 아암파트(14)로 연결되는 부위에 걸쳐 이동용 안전발판부(60)를 설치함으로써 주주재(12)를 이용한 작업자의 수직 이동경로로부터 아암파트(14)를 이용한 작업자의 수평 이동경로 사이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전이 이동경로에 대해 보다 안전한 이동을 위한 동선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추락사고의 위험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게 된다.
10-철탑구조물 12-주주재
14-아암파트 16-승강용 사다리
20-안전난간부 21-기둥부재
22-레일부재 23-보강부재
24-장착부재 30-안전와이어
40-작업용 이동로프 41-인터락키
42-체결고리 50-안전대
51-키-락장치 본체 60-안전발판부
61-관통형 개구부 62-분할형 발판부
70-수직 이동용 안전레일

Claims (9)

  1. 철탑구조물의 주주재로부터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아암파트;
    상기 아암파트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부;
    상기 안전난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와이어; 및
    상기 안전와이어에 설치되는 작업용 이동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철탑구조물의 주주재로부터 아암파트로 이동할 때 상기 작업용 이동로프의 인터락키는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의 키-락장치 본체와 체결되어 작업자는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탑구조물의 승강용 사다리로부터 상기 아암파트로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발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부는 메쉬구조물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부에는 승강용 사다리를 이용한 작업자의 이동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승강용 사다리와 교통 가능한 형태의 관통형 개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부는 승강용 사다리와의 간섭 회피를 위해 승강용 사다리로부터 이격된 부위에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분할형 발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부는
    상기 안전발판부의 양단부에서 적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부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레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와 상기 레일부재 사이를 경사방향으로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의 양단부에서 상기 기둥부재와 동일하게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는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락방지용 안전와이어는 상기 장착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전난간부의 레일부재는 전력선과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아암파트의 자유단부에 위치한 레일부재의 높이가 상기 주주재와 인접한 부위에 위치한 레일부재의 높이 보다 더 낮게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0210086101A 2021-06-30 2021-06-30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20230004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101A KR20230004172A (ko) 2021-06-30 2021-06-30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101A KR20230004172A (ko) 2021-06-30 2021-06-30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172A true KR20230004172A (ko) 2023-01-06

Family

ID=84924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101A KR20230004172A (ko) 2021-06-30 2021-06-30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417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623A (ko) 2019-10-02 2021-04-12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623A (ko) 2019-10-02 2021-04-12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56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elevator guide rails
US8511039B2 (en) Safety barrier for multi-storey buildings
CN205077885U (zh) 建筑物核心筒液压智能爬升防护平台
JPH0585681A (ja) エレベータホイストウエイ作業プラツトホー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構成部品の据付方法
KR101111164B1 (ko) 낙하방지부를 구비하는 갱폼
CN106150057B (zh) 一种分片式液压提升爬架
KR20230004172A (ko) 관형지지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N203924662U (zh) 一种附着式整体升降脚手架
KR20210117824A (ko) 비계용 안전발판
KR200303835Y1 (ko) 안전체험 교육 구조물
CN210655915U (zh) 爬架与吊塔连通装置
KR101188431B1 (ko) 낙하방지부를 구비하는 갱폼
KR100361604B1 (ko)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교량 점검용 사다리
CN211286608U (zh) 一种超高层建筑工程施工用爬模结构
CN215798038U (zh) 一种桥式起重机安全防护通道
CN211998356U (zh) 穿越外框爬架的施工电梯
KR100508125B1 (ko)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와 그 설치방법 및 이격설치방법
JP6273995B2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4841171B2 (ja) ライズアップ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CN217100414U (zh) 一种箱船舷侧纵壁用的吊篮
CN2741943Y (zh) 安装电梯的专用设备
JP4011722B2 (ja) 吊り階段
CN218231633U (zh) 一种用于塔吊的安全通道
JPH09209672A (ja) 安全帯付き垂直昇降用梯子
KR20140013197A (ko) 철도교량의 궤도공사용 안전장치와 그 조립 및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