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113A - 발보호커버 - Google Patents

발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113A
KR20230004113A KR1020210085970A KR20210085970A KR20230004113A KR 20230004113 A KR20230004113 A KR 20230004113A KR 1020210085970 A KR1020210085970 A KR 1020210085970A KR 20210085970 A KR20210085970 A KR 20210085970A KR 20230004113 A KR20230004113 A KR 20230004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protection cover
toe
cover
foot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길
Original Assignee
이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길 filed Critical 이병길
Priority to KR1020210085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4113A/ko
Publication of KR20230004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71/12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1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ombined with heel stiffener, toe stiffener, or shank stiffen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71/12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 A63B2071/1283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for the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발보호커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는, 탄성을 갖고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양말의 내측에서 사용자의 발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발보호커버는 발톱 및 발가락뼈(Phalanges)를 덮되, 쐐기뼈(Cuneiform bones) 및 입방뼈(cuboid bone)와 그 뒤쪽을 덮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발보호커버는 발가락들의 전면 및 상면을 덮되, 발의 하면을 덮지않도록 이루어진다. 발보호커버가 발에 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양말을 착용하고 신발을 신을 수 있으며, 발보호커버는 발가락의 윗면, 앞면 및 양 옆면을 커버하되 발의 밑면을 커버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축구, 농구, 핸드볼과 같은 운동경기시 다른 사람(선수)에 의해 발톱 또는 발을 밟히는 경우 발톱을 포함한 발가락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이때, 발이 불필요하게 죄이거나, 앞꿈치 및 발바닥에서 이물감 및 불편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보호커버{FOOT PROTECTION COVER}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에 직접 밀착되어 발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진 발보호커버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및 양말을 착용하는 축구, 농구, 핸드볼과 같은 운동경기시 양말 안쪽에 위치하면서 선수의 발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지는 발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운동경기시 운동선수들은 통상 규정된 복장 및 장비를 갖춘 상태에서 경기에 임하게 된다. 예컨대, 축구경기시 선수들은, 셔츠, 반바지, 양말, 정강이 보호대 및 축구화 등을 착용하게 된다. 축구화의 밑창에는 징 모양으로 돌출된 스터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터드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등 신발의 성능을 높여준다.
이러한 복장 및 장비들은, 원활한 경기가 이루어지도록 돕고, 또한 경기 중의 선수들을 보호한다.
축구는 발과 다리를 주로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경기인만큼 선수들의 발과 다리의 보호는 매우 중요하다.
양말 및 축구화를 착용한 경우에도 다른 선수에 의해 발이 밟히는 경우, 발의 부상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축구화의 밑창에는 스터드가 형성되어 있어, 스터드에 의해 발이 밟히는 경우, 발의 심각한 부상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발톱이 밟혀 발톱이 손상되는 경우 발톱을 제거해야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101266호(이하, '선행문헌'이라고 함)는 스포츠 활동 중 발바닥 패딩을 보호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선행문헌에 따른 보호 장치는 쿠션 및 탄성 밴드를 포함하고, 쿠션 및 탄성 밴드는 2개의 대향 개구부를 갖는 슬리브를 형성한다. 이처럼, 상기 선행문헌에 따른 보호 장치는 발바닥 및 발등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발바닥 패딩(plantar padding)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선행문헌에 따른 보호 장치와 같이, 발을 둘러싸도록 이루어지는 형태의 보호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발을 압박하여 죄일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혈액순환을 방해하거나 불편함 또는 이물감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발바닥을 둘러싸도록 이루어지는 보호 장치를 착용할 경우, 발바닥과 보호 장치 간의 불필요한 마찰이 발생되거나, 불필요한 미끄러짐이 발생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01266호(공개일: 2017.09.0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축구, 농구, 핸드볼과 같은 운동경기에서 선수의 발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발등 및 발바닥을 모두 둘러싸지 않는 형태로 이루어지지면서도 양말 내측에서 발에 안정되게 밀착고정되고, 발가락이 밟히는 경우에 발가락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발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사용자의 발바닥 쪽에서의 이물감 또는 불편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양말을 신는 과정에서 발보호커버가 발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걸림구조를 갖는 발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중량 및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발톱, 발가락뼈 및 발허리뼈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발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새끼발가락 쪽의 발가락뼈 및 발허리뼈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발등의 바깥쪽을 이용하여 볼을 차는 경우에도 볼의 진행 방향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발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발가락뼈 및 발허리뼈를 커버하여 보호하면서도, 발가락뼈와 발허리뼈를 연결하는 관절부분에서의 움직임에 맞는 변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발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는, 탄성을 갖고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양말의 내측에서 사용자의 발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발보호커버는, 발톱 및 발가락뼈(Phalanges)를 덮되, 쐐기뼈(Cuneiform bones) 및 입방뼈(cuboid bone)와 그 뒤쪽을 덮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발보호커버는, 발가락들의 전면 및 상면을 덮되, 발의 하면을 덮지않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발보호커버는, 발톱 및 발가락들의 상면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상측부; 발가락들의 전면에 밀착되어 걸리도록 상기 상측부의 앞쪽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전방테두리부; 엄지발가락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측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방테두리부와 연결되는 내측테두리부; 및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측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방테두리부와 연결되는 외측테두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측부는, 엄지발가락 쪽을 덮되, 엄지발가락의 발허리뼈(Metatarsal bone)의 베이스(base)를 덮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제1 영역; 및 엄지발가락의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들 쪽을 덮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발허리뼈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영역보다 발의 뒤쪽으로 더 연장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발허리뼈의 헤드(head)를 덮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멀어질수록 발의 뒤쪽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후단 테두리는 발의 앞쪽으로 오목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의 후단 테두리는 상기 제1 영역과 멀어질수록 발의 뒤쪽으로 더 길게 연장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후단 테두리와 상기 제2 영역의 후단 테두리가 서로 연속하여 연결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보호커버는, 엄지발가락에서 새끼발가락 쪽을 향할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측부는, 엄지발가락 쪽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제1 영역; 및 엄지발가락의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들 쪽을 덮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은, 새끼발가락 쪽을 향할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측부의 내측면에는,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로 돌출되는 지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부의 외측면에는, 각 발가락에서 발가락뼈와 발허리뼈의 관절을 연결하는 방향과 나란하고, 오목한 골(groove) 형태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접힘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보호커버의 내측면에는, 각 발가락이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이 반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부는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2 관통홀은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상측부를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별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상측부를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좌우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1 관통홀은 상대적으로 앞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은 상대적으로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부, 상기 전방테두리부, 상기 내측테두리부 및 상기 외측테두리부는 각각 최고두께가 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부, 상기 내측테두리부 및 상기 외측테두리부는 각각 발의 뒤쪽을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는, 탄성을 갖고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발에 직접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발보호커버는, 발가락뼈(Phalanges)를 덮되 쐐기뼈(Cuneiform bones) 및 입방뼈(cuboid bone)와 그 뒤쪽을 덮지 않도록 이루어지고, 발가락들의 전면 및 상면을 덮되 발의 하면을 덮지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발보호커버는 신발(축구화 등) 및 양말 내측에서 사용자의 발에 안정되게 밀착될 수 있으며, 발톱 및 발가락이 다른 사람에 의해 밟히는 경우에 발톱 및 발가락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는, 발가락의 상면 및 발등쪽을 덮되 발가락의 하면 및 발바닥쪽은 덮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즉, 발보호커버는 발을 둘러 감싸는 형태(둥근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발바닥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발보호커버를 발에 밀착시켜 양말을 신는 경우, 발보호커버가 발을 압박하지 않으며, 발보호커버의 내측면이 전체적으로 발의 외측면에 안정되게 밀착하게 된다.
또한, 발보호커버의 사이즈 및 내측면의 모양이, 사용자의 발의 사이즈 및 외측면의 모양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발보호커버를 착용시 발보호커버의 모양이 변형되면서 사용자의 발에 안정되게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는, 상측부, 전방테두리부, 내측테두리부 및 외측테두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발보호커버는 발가락 및 발등을 보호하고, 전방테두리부, 내측테두리부 및 외측테두리부는 발의 앞쪽 및 좌우 양쪽에 걸리는 걸림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발보호커버를 발 위에 안착시켜 양말을 신는 경우 발보호커버가 발에서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고, 사용자가 운동경기를 할 때 발바닥 쪽에서 발보호커버에 의한 이물감 또는 불편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에서 상측부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발허리뼈의 헤드(head)를 덮도록 이루어지며, 제2 영역은 제1 영역과 멀어질수록 발의 뒤쪽으로 더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발보호커버의 중량 및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발가락뼈 및 발허리뼈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발보호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의 후단 테두리는 발의 앞쪽으로 오목하게 이루어지고, 제2 영역의 후단 테두리는 제1 영역과 멀어질수록 발의 뒤쪽으로 더 길게 연장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영역의 후단 테두리와 제2 영역의 후단 테두리가 서로 연속하여 연결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엄지발가락의 발허리뼈는 발의 뒤쪽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제1 영역의 후단 테두리가 발의 앞쪽으로 오목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제1 영역이 엄지발가락의 발허리뼈를 중심으로 안정되게 발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의 후단 테두리가 발의 뒤쪽으로 길게 이루어짐으로써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들의 발허리뼈 부분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는 엄지발가락에서 새끼발가락 쪽을 향할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발보호커버의 상측부가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될 때, 제2 영역은 새끼발가락 쪽을 향할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약한 새끼발가락 쪽의 발가락뼈 및 발허리뼈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발등의 바깥쪽을 이용하여 볼을 차는 경우에도 볼의 진행 방향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의 외측면에는, 발가락뼈와 발허리뼈의 관절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오목한 골(groove) 형태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접힘골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보호커버가 발가락뼈 및 발허리뼈를 함께 커버하여 보호하면서도, 발가락뼈와 발허리뼈를 연결하는 관절부분에서의 움직임에 맞게 발보호커버의 변형(굽힘, 휨 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의 상측부에는 복수 개의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된다. 제1 관통홀은 별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관통홀의 직경은 축구화의 스터드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관통홀은 좌우로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고, 전후폭은 축구화의 스터드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발보호커버를 착용하는 경우, 제1 관통홀의 주변에서 상측부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측부의 내측면이 사용자의 발에 안정되게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관통홀을 중심으로 상측부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관통홀의 형성방향을 따라 상측부의 구부러짐 내지는 접힘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발의 움직임에 맞게 발보호커버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가 사용자의 발에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의 내측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와 발등 쪽에서 바라본 발 및 발뼈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와 발바닥 쪽에서 바라본 발 및 발뼈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가 사용자의 발에 안착된 모습을 위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가 사용자의 발에 안착된 모습을 위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를 위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를 뒤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와 관련하여 첨부된 도면에는, 사용자의 오른쪽 발(F) 및 이에 적용되는 형태로 발보호커버(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는 사용자의 왼쪽 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때(왼쪽 발에 적용될 때)의 발보호커버는, 도 1a 내지 도 12에 도시된 형태와 좌우대칭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가 사용자의 발(F)에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의 내측면(1a)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는 사람의 발(F)의 일부를 덮어 발(F)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발(F)과 관련하여 상하방향을 설명에 있어서,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발바닥이 아래쪽을 향하고 발등이 위쪽을 향하도록 발이 놓인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발(F)과 관련하여 전후방향을 설명에 있어서,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발톱쪽을 앞쪽으로 하고 뒤꿈치쪽을 뒤쪽으로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는 사용자가 양말(S)을 착용하는 경우 양말(S)의 내측에서 사용자의 발(F)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는 운동경기시 선수의 발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때 운동경기는 선수가 신발(FW) 및 양말(S)을 착용하는 운동경기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는, 풋살, 축구, 농구, 핸드볼과 같은 운동시 선수의 발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축구화(신발(FW)) 및 축구양말(S)을 착용하는 축구선수인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발보호커버(1)는 사용자의 발(F)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먼저 발보호커버(1)를 발가락(TO)의 위쪽에 안착시킨 상태에서(도 1a 참조) 양말(S) 및 신발(FW)을 착용한다(도 3 참조). 양말(S) 및 신발(FW)을 착용하고 신발끈을 묶은 상태에서 발보호커버(1)는 사용자의 발(F)에 밀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는 그 자체로 사용자의 발(F)에 완전히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양말(S)을 착용함으로써 양말(S)에 의하여 발보호커버(1)가 사용자의 발(F)에 고정된다. 나아가, 사용자가 양말(S) 및 신발(FW)을 착용함으로써 양말(S) 및 신발(FW)에 의하여 발보호커버(1)가 사용자의 발(F)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는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발보호커버(1)는 비교적 얇은 막 또는 패드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보호커버(1)는 발등 쪽에서 발을 덮도록 이루어지고, 발톱(TN)을 포함한 발가락(TO) 부분을 충분히 덮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발보호커버(1)의 내측면(1a)은 발(F)과 접촉하는 쪽의 면이고, 발보호커버(1)의 외측면(1b)은 그 반대쪽의 면으로서 양말(S)과 접촉하는 쪽의 면이다.
발보호커버(1)는 탄성을 갖고 유연하게 휘어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보호커버(1)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지거나 고무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발보호커버(1)는 천연고무 소재 또는 합성고무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발보호커버(1)는 라텍스, 또는 실리콘고무 등의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발보호커버(1)가 실리콘고무로 이루어질 때, 발보호커버(1)는 사용자의 발(F)의 모양에 맞게 변형되면서 발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고, 이때 발보호커버(1)의 내측면(1a)과 발(F)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발보호커버(1)가 발(F)을 상대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발보호커버(1)의 탄성력에 의하여 외부충격으로부터 발(F)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발보호커버(1)의 내측면(1a)은 사용자의 발(F)의 외측면의 모양에 사응하도록 그 대체적인 모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발보호커버(1)의 외측면(1b)은 사용자의 발(F)의 외측면의 모양에 사응하도록 그 대체적인 모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는, 발(F)의 모든 부분을 다 커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발(F)의 앞쪽 부분(발톱(TN)을 포함한 발가락(TO) 부분)을 위주로 발을 커버하도록 이루어진다.
발보호커버(1)의 하측(내측)에는 수용공간(70)이 구비된다. 이러한 수용공간(70)에 발의 앞쪽 부분이 위치하고 발가락(TO)이 수용된다. 발보호커버(1)의 수용공간(70)은 아래쪽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또한 뒤쪽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와 발등 쪽에서 바라본 발 및 발뼈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와 발바닥 쪽에서 바라본 발 및 발뼈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발보호커버(1)는 전체 발가락(TO1, TO2, TO3, TO4, TO5)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발보호커버(1)는 발가락뼈(Phalanges)(P1, P2, P3, P4, P5)를 덮도록 이루어진다.
발보호커버(1)는, 사용자의 발(F)의 엄지발가락(TO1)(첫번째 발가락)부터 새끼발가락(TO5)(다섯번째 발가락) 까지의 좌우폭과 같거나 조금 넓은 좌우폭을 가지고, 사용자의 전체 발가락(TO1, TO2, TO3, TO4, TO5)의 전후길이와 같거나 더 긴 전후길이를 갖는다.
발보호커버(1)는 발가락(TO1, TO2, TO3, TO4, TO5)의 앞쪽 끝에서부터 발허리뼈(Metatarsal bone)(M1, M2, M3, M4, M5)까지 덮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발보호커버(1)는, 쐐기뼈(Cuneiform bones)(C1, C2, C3), 입방뼈(cuboid bone)(C4) 및 그 뒤쪽부분을 덮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발보호커버(1)는, 발가락(TO1, TO2, TO3, TO4, TO5)의 앞쪽 끝에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어 발허리뼈(M1, M2, M3, M4, M5)의 일부까지 덮도록 그 전후 길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발보호커버(1)는, 발가락뼈(P1, P2, P3, P4, P5)의 전부 및 발허리뼈(M1, M2, M3, M4, M5)의 일부를 덮도록 그 전후 길이가 정하여질 수 있다.
사용자의 발(F)에 발보호커버(1)가 착용된 상태에서 발보호커버(1)의 후단은 발허리뼈(M1, M2, M3, M4, M5)의 베이스(MB1, MB2, MB3, MB4, MB5)보다 앞쪽에 위치할 수 있고 발허리뼈(M1, M2, M3, M4, M5)의 헤드(MH1, MH2, MH3, MH4, MH5)보다 뒤쪽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는, 발가락들(TO1, TO2, TO3, TO4, TO5)의 전면(FS2) 및 상면(FS1)을 덮되, 발(F)의 하면(FS3)(발가락(TO1, TO2, TO3, TO4, TO5)의 하면(FS3) 및 발바닥)을 덮지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발보호커버(1)는 상측부(10), 전방테두리부(20), 내측테두리부(30) 및 외측테두리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측부(10), 전방테두리부(20), 내측테두리부(30) 및 외측테두리부(40)는 서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부(10)는 발보호커버(1)의 위쪽면을 이루고 발톱(TN)을 포함한 발가락들(TO1, TO2, TO3, TO4, TO5)의 상면(FS1)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상측부(10)는, 위쪽에서 바라볼 때, 전체 발가락(TO1, TO2, TO3, TO4, TO5)이 이루는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전방테두리부(20)는 발보호커버(1)의 앞쪽면을 이룬다. 전방테두리부(20)는 상측부(10)의 앞쪽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측부(10)에서 굽어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전방테두리부(20)는 발가락들(TO1, TO2, TO3, TO4, TO5)의 전면(FS2)에 밀착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전방테두리부(20)는 상측부(10)의 앞쪽 단부에서 곡면을 이루며 굽어질 수 있다.
전방테두리부(20)의 상하높이는, 발가락들(TO1, TO2, TO3, TO4, TO5)의 전면(FS2)에 걸리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테두리부(20)의 하단은 사용자의 발가락(TO)의 하단까지 이르도록 그 상하높이가 형성될 수 있다.(도 2a 및 도 8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테두리부(20)의 하단은 사용자의 발가락(TO)의 하단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그 상하높이가 형성될 수 있다.(도 2b 및 도 12 참조) 예컨대, 전방테두리부(20)의 상하높이는 사용자의 발가락(TO)의 상하높이의 1/3~2/3로 이루어지거나 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쪽에서 바라볼 때, 전방테두리부(20)의 외측면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곡선을 이루는 형태(예컨대, 반원형태, 아치형태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4a 참조)
이와 달리, 위쪽에서 바라볼 때, 전방테두리부(20)의 외측면은 각 발가락(TO1, TO2, TO3, TO4, TO5)의 모양에 대응되는 형태(예컨대, 물결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7a 참조)
내측테두리부(30)는 엄지발가락(TO1)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측부(10)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발(F)에서 엄지발가락(TO1)이 형성되는 쪽을 내측, 새끼발가락(TO5)이 형성되는 쪽을 외측이라고 할 때, 내측테두리부(30)는 상측부(10)의 내측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내측테두리부(30)의 앞쪽 단부는 전방테두리부(20)의 내측 단부에 연결된다.
외측테두리부(40)는 새끼발가락(TO5)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측부(10)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발(F)에서 엄지발가락(TO1)이 형성되는 쪽을 내측, 새끼발가락(TO5)이 형성되는 쪽을 외측이라고 할 때, 외측테두리부(40)는 상측부(10)의 외측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외측테두리부(40)의 앞쪽 단부는 전방테두리부(20)의 외측 단부에 연결된다.
발보호커버(1)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전방테두리부(20)와 내측테두리부(30)의 연결부분과, 전방테두리부(20)와 외측테두리부(40)의 연결부분은 각각 곡면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는, 탄성을 갖고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발(F)에 직접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발보호커버(1)는, 발가락뼈(P1, P2, P3, P4, P5)를 덮되 쐐기뼈(C1, C2, C3) 및 입방뼈(C4)와 그 뒤쪽을 덮지 않도록 이루어지고, 발가락들(TO1, TO2, TO3, TO4, TO5)의 전면(FS2) 및 상면(FS1)을 덮되 발의 하면(FS3)을 덮지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발보호커버(1)는 신발(FW) 및 양말(S) 내측에서 사용자의 발(F)에 안정되게 밀착될 수 있으며, 발톱(TN) 및/또는 발가락(TO1, TO2, TO3, TO4, TO5)이 다른 사람(예컨대, 선수)에 의해 밟히는 경우에 발톱(TN)을 포함한 발가락(TO1, TO2, TO3, TO4, TO5) 및 발가락뼈(P1, P2, P3, P4, P5)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는, 상측부(10), 전방테두리부(20), 내측테두리부(30) 및 외측테두리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발보호커버(1)는 발가락(TO1, TO2, TO3, TO4, TO5) 및 발등을 보호하고, 전방테두리부(20), 내측테두리부(30) 및 외측테두리부(40)는 발(F)의 앞쪽 및 좌우 양쪽에 걸리는 걸림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발보호커버(1)를 발(F)의 위에 안착시켜 양말(S)을 신는 경우 전방테두리부(20)가 발가락(TO1, TO2, TO3, TO4, TO5)의 앞쪽에 걸리고 또한 내측테두리부(30) 및 외측테두리부(40)가 발(F)의 좌우 양쪽에서 걸리므로 발보호커버(1)가 발(F)에서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고, 사용자가 운동경기를 할 때 발바닥 쪽에서 발보호커버(1)에 의한 이물감 또는 불편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는, 발(F)을 둘러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발바닥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발보호커버(1)를 발(F)에 밀착시켜 양말(S)을 신는 경우, 발보호커버(1)가 발(F)을 전혀 압박하지 않으며, 발보호커버(1)의 내측면이 전체적으로 발(F)의 외측면에 안정되게 밀착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발(F)이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도, 발(F)의 움직임에 맞게 발보호커버(1)가 변형되면서 발보호커버(1)가 발(F)에 밀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발보호커버(1)의 사이즈 및 내측면의 모양이, 사용자의 발(F)의 사이즈 및 외측면의 모양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발보호커버(1)를 착용시 발보호커버의 모양이 변형되면서 사용자의 발(F)에 안정되게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달리, 발보호커버가 사용자의 발을 완전히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발보호커버의 사이즈가 사용자의 발보다 작은 경우, 발보호커버가 인장되어 늘어날 수 있지만 발보호커버는 사용자의 발을 압박하여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반대로, 발보호커버의 사이즈가 사용자의 발보다 큰 경우, 발보호커버의 일부가 사용자의 발에 밀착되지 않거나 발보호커버가 휘어져 변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양말 및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의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에서, 상측부(10), 내측테두리부(30) 및 외측테두리부(40)는 각각 발(F)의 뒤쪽을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부(10), 내측테두리부(30) 및 외측테두리부(40) 각각의 후단이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부(10), 내측테두리부(30) 및 외측테두리부(40)의 후단은 매우 얇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부(10), 내측테두리부(30) 및 외측테두리부(40) 각각의 후단에서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양말(S), 발보호커버(1) 및 발(F) 간의 안정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도 6a 및 도 6b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가 사용자의 발(F)에 안착된 모습을 위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도 6a 및 도 6b에는 각각, 발허리뼈(M1, M2, M3, M4, M5)의 헤드(MH1, MH2, MH3, MH4, MH5)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이 각각의 점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측부(10)는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11)은 엄지발가락(TO1)을 위에서 덮는 영역이고, 제2 영역(12)은 엄지발가락(TO1)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TO2, TO3, TO4, TO5)을 위에서 덮는 영역이다.
도 5, 도 6a 및 도 6b에는, 상측부(10)의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을 구분하는 경계선(B)이 개략적으로 표시도어 있다.
제1 영역(11)은 엄지발가락(TO1)의 발허리뼈(M1)의 헤드(MH1)를 덮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영역(12)은 엄지발가락(TO1)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TO2, TO3, TO4, TO5)의 발허리뼈(M2, M3, M4, M5)의 헤드(MH2, MH3, MH4, MH5)를 덮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영역(11)은 엄지발가락(TO1)의 발허리뼈(M1)의 베이스(MB1)를 덮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영역(12)은 엄지발가락(TO1)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TO2, TO3, TO4, TO5)의 발허리뼈(M2, M3, M4, M5)의 베이스(MB2, MB3, MB4, MB5)를 덮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보호커버(1)의 후단 테두리가 각 발가락(TO1, TO2, TO3, TO4, TO5)의 발허리뼈(M1, M2, M3, M4, M5)의 헤드(MH1, MH2, MH3, MH4, MH5)의 바로 뒤에 위치하도록, 발보호커버(1)의 전후길이는 비교적 짧게 형성될 수 있다.(제1 실시예, 도 5 참조) 이 경우, 발보호커버(1)는 모든 발가락뼈(P1, P2, P3, P4, P5)를 커버하고, 아울러 발가락뼈(P1, P2, P3, P4, P5)와 발허리뼈(M1, M2, M3, M4, M5)의 관절 부분을 모두 커버하게 되며, 발보호커버(1)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발의 취약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보호커버(1)의 후단 테두리가 각 발가락(TO1, TO2, TO3, TO4, TO5)의 발허리뼈(M1, M2, M3, M4, M5)의 헤드(MH1, MH2, MH3, MH4, MH5)와 베이스(MB1, MB2, MB3, MB4, MB5)의 중간 지점 정도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할 때, 발보호커버(1)의 전후길이가 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제2 실시예, 도 6a 참조) 이 경우, 발보호커버(1)는 모든 발가락뼈(P1, P2, P3, P4, P5)와, 발가락뼈(P1, P2, P3, P4, P5)와 발허리뼈(M1, M2, M3, M4, M5)의 관절 부분을 모두 커버하게 되고, 아울러 발허리뼈(M1, M2, M3, M4, M5)의 상당부분을 커버하게 되며, 발허리뼈(M1, M2, M3, M4, M5)의 보호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제2 실시예, 도 6a 참조), 제2 영역(12)은 발허리뼈(M2, M3, M4, M5)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이루어지되, 제1 영역(11)보다 발의 뒤쪽으로 더 연장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영역(12)은, 제1 영역(11)과 멀어질수록 발(F)의 뒤쪽으로 더 길게 돌출되거나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엄지발가락(TO1)의 발허리뼈(M1)는 새끼발가락(TO5)의 발허리뼈(M5)보다 높게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엄지발가락(TO1)의 발허리뼈(M1)를 커버하는 면적을 상대적으로 줄이고, 새끼발가락(TO5) 쪽을 향할수록 발허리뼈(M2, M3, M4, M5)를 커버하는 면적을 상대적으로 넓힘으로써, 사용자가 발보호커버(1)를 착용함에 있어서 발생될 수 있는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엄지발가락(TO1)의 발허리뼈(M1)와 비교할 때 엄지발가락(TO1)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TO2, TO3, TO4, TO5)의 발허리뼈(M2, M3, M4, M5)는 상대적으로 약하며, 새끼발가락(TO5)쪽을 향할수록 발허리뼈(M2, M3, M4, M5)가 약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제2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발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영역(11)의 후단 테두리는 발의 앞쪽으로 오목하게 이루어지고, 제2 영역(12)의 후단 테두리는 제1 영역(11)과 멀어질수록 발의 뒤쪽으로 더 길게 연장되며, 제1 영역(11)의 후단 테두리와 제2 영역(12)의 후단 테두리가 서로 연속하여 연결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제3 실시예, 도 6b 참조)
제1 영역(11)의 후단 테두리는, 엄지발가락(TO1)의 발가락뼈(P1) 및 발허리뼈(M1)를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선분(TL)과 교차하는 부분이 발(F)의 앞쪽으로 오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엄지발가락(TO1)의 발허리뼈(M1)는 발(F)의 뒤쪽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다른 발허리뼈(M2, M3, M4, M5)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영역(11)의 후단 테두리가 발의 앞쪽으로 오목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위쪽으로 돌출되는 엄지발가락(TO1)의 발허리뼈(M1) 부분을 중심으로 제1 영역(11)이 둘러 배치되게 되므로, 발보호커버(1)가 인체공학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제1 영역(11)이 엄지발가락(TO1)의 발허리뼈(M1)를 중심으로 안정되게 발(F)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제3 실시예, 도 6b 참조), 제2 영역(12)은 제1 영역(11)보다 발(F)의 뒤쪽으로 길게 이루어지면서 제1 영역(11)에서 멀어질수록 발의 뒤쪽으로 더 연장되게 이루어짐으로써, 발허리뼈(M2, M3, M4, M5)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고, 사용자가 발보호커버(1)를 착용함에 있어서 발생될 수 있는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에 의하면, 발보호커버(1)의 중량 및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발톱(TN), 발가락뼈(P1, P2, P3, P4, P5) 및 발허리뼈(M1, M2, M3, M4, M5)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발보호커버(1)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를 위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는, 발가락뼈(P1, P2, P3, P4, P5)와 발허리뼈(M1, M2, M3, M4, M5)의 각 관절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J1, J2, J3, J4, J5)이 각각의 점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의 상측부(10)의 외측면에는 접힘골(60)이 형성될 수 있다.
접힘골(60)은 상측부(10)의 외측면에서 오목하고 긴 골(groove) 형태로 이루어진다.
접힘골(60)은 대체로 상측부(10)를 좌우로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접힘골(60)은 엄지발가락(TO1)에서 새끼발가락(TO5)을 향하는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의 발(F)의 각 발가락(TO1, TO2, TO3, TO4, TO5)에는 발가락뼈(P1, P2, P3, P4, P5)와 발허리뼈(M1, M2, M3, M4, M5)를 연결하는 관절(J1, J2, J3, J4, J5)이 있고, 엄지발가락(TO1)의 관절(J1), 검지발가락(TO2) 관절(J2), 중지발가락(TO3)의 관절(J3), 약지발가락(TO4) 관절(J4) 및 새끼발가락(TO5)의 관절(J5)을 서로 이으면 소정의 곡선(L)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힘골(60)은, 상기 관절들(J1, J2, J3, J4, J5)을 잇는 곡선(L)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힘골(60)은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접힘골(60)은 각 관절(J1, J2, J3, J4, J5)을 연결하는 상기 라인(곡선(L))과 완전히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곡선(L)보다 조금 앞에 형성되거나 조금 뒤에 형성될 수 있다.
발보호커버(1)는 접힘골(60)을 기준으로 앞쪽 부분과 뒤쪽 부분으로 구분되고, 접힘골(60)을 중심으로 앞쪽 부분과 뒤쪽 부분이 서로 상대회전하면서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즉, 접힘골(60)이 형성하는 라인을 중심으로, 발보호커버(1)와 앞쪽 부분과 뒤쪽 부분이 상대회전하는 형태로 굽어질 수 있다.
발보호커버(1)에서 접힘골(60)은 1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접힘골(60)이 복수 개로 형성될 때, 각 접힘골(60)은 서로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발가락 및 앞꿈치를 바닥에 지지하고 뒤꿈치를 바닥에서 들면, 발가락뼈와 발허리뼈를 연결하는 관절부분(J1, J2, J3, J4, J5)에서 발(F)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축구경기에서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일반적인 보행을 하거나 달릴 때 이러한 발(F)의 회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접힘골(60)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발(F)의 움직임에 따라 발보호커버(1)가 자연스럽게 휘어져 변형될 수 있고, 이때 발보호커버(1)의 내측면(1a)이 발에 밀착된 상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물감을 최소화하면서 발가락(TO1, TO2, TO3, TO4, TO5)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측부(10)는 제1 관통홀(63) 및 제2 관통홀(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관통홀(63) 및 상기 제2 관통홀(65)은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관통홀(63)은, 상측부(10)를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별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관통홀(63)은 서로 이격된다. 제1 관통홀(63)이 별모양으로 이루어질 때, 제1 관통홀(63)은, 삼각별, 사각별, 오각별, 육각별 등, 다양한 각의 별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관통홀(63)의 직경은, 축구화의 스터드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고, 축구화의 스터드의 직경의 약 1/2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관통홀(63)의 직경은, 1㎝ 이하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관통홀(63)의 직경은 약 0.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부(10)에 제1 관통홀(63)이 형성됨으로써, 제1 관통홀(63)을 중심으로 상측부가 용이하게 변형(인장 또는 수축)될 수 있으며, 상측부(10)가 사용자의 발(F)에 안정되게 밀착될 수 있다. 특히, 상측부(10)에 별모양의 제1 관통홀(63)이 형성될 때, 이러한 변형은 더욱 우수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관통홀(65)은 서로 이격된다.
제2 관통홀(65)은 상측부(10)를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좌우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2 관통홀(65) 대체로 좌우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관통홀(65)은 장공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관통홀(65)의 전후폭은 약 0.4~0.5㎝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관통홀(65)의 좌우길이는 약 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부(10)에 제2 관통홀(65)이 형성됨으로써, 제2 관통홀(65)을 중심으로 상측부(10)의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관통홀(65)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상측부(10)의 접힘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부(10)에서, 제1 관통홀(63)은 상대적으로 앞쪽에 형성되고, 제2 관통홀(65)은 상대적으로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측부(10)에 제1 관통홀(63) 및 제2 관통홀(65)이 형성됨으로써, 보다 경량의 발보호커버(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를 뒤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내측테두리부(30)의 상하높이는, 엄지발가락(TO1)의 측면에 밀착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측테두리부(30)의 하단은 엄지발가락(TO1)의 하단까지 이르도록 그 상하높이가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 내측테두리부(30)의 하단은 엄지발가락(TO1)의 하단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그 상하높이가 형성될 수 있다.(도 12 참조) 예컨대, 내측테두리부(30)의 상하높이는 엄지발가락(TO1)의 상하높이의 1/3~2/3로 이루어지거나 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테두리부(40)의 상하높이는, 새끼발가락(TO5)의 측면에 밀착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측테두리부(40)의 하단은 새끼발가락(TO5)의 하단까지 이르도록 그 상하높이가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 외측테두리부(40)의 하단은 새끼발가락(TO5)의 하단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그 상하높이가 형성될 수 있다.(도 12 참조) 예컨대, 외측테두리부(40)의 상하높이는 새끼발가락(TO5)의 상하높이의 1/3~2/3로 이루어지거나 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는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돌기(51, 52, 53, 54)는 상측부(10)의 내측면에서 내측(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돌기(제1 지지돌기(51))는 엄지발가락(TO1)과 검지발가락(TO2) 사이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돌기(51)는 하측을 향할수록 그 좌우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엄지발가락(TO1)과 검지발가락(TO2) 사이로 지지돌기(제1 지지돌기(51))가 돌출됨으로써, 엄지발가락(TO1)과 검지발가락(TO2) 사이에서 제1 지지돌기(51)가 걸려, 발을 상대로 한 발보호커버(1)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 이동이 저지되고, 발등 쪽에 발보호커버(1)가 밀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에서, 상측부(10), 전방테두리부(20), 내측테두리부(30) 및 외측테두리부(40)는 각각 두께가 1~5㎜로 이루어지거나 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측부(10), 전방테두리부(20), 내측테두리부(30) 및 외측테두리부(40)는 각각 대체로 서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예컨대, 약 2㎜의 두께로 이루어지나가 약 3㎜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를 뒤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는, 엄지발가락(TO1)에서 새끼발가락(TO5) 쪽을 향할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발보호커버(1)의 상측부(10)가, 엄지발가락(TO1)에서 새끼발가락(TO5) 쪽을 향할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부(10)가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으로 구분될 때, 제2 영역(12)은, 새끼발가락(TO5) 쪽을 향할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영역(11)의 두께(T1)보다 제2 영역(12)의 두께(T2)가 더 두껍게 이루어지고, 제2 영역(12)의 두께는 제1 영역(11)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두꺼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영역(12)의 최고두께는 제1 영역(11)의 두께보다 2~4배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보호커버(1)는 엄지발가락(TO1)에서 새끼발가락(TO5) 쪽을 향할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발보호커버(1)의 상측부(10)가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으로 구분될 때, 제2 영역(12)은 새끼발가락(TO5) 쪽을 향할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약한 새끼발가락(TO5) 쪽의 발가락뼈(P5) 및 발허리뼈(M5)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발등의 바깥쪽을 이용하여 볼을 차는 경우에도 볼의 진행 방향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를 뒤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에서 제1 지지돌기(51)는 엄지발가락(TO1) 및 검지발가락(TO2)의 하단까지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돌기(51)는 하측을 향할수록 좌우폭이 좁아지다가 다시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제1 지지돌기(51)가 형성됨으로써, 엄지발가락(TO1)과 검지발가락(TO2) 사이에서 제1 지지돌기(51)가 더욱 안정되게 밀착되고 지지될 수 있으며, 발(F)을 상대로 한 발보호커버(1)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 이동, 및 미끄러짐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를 뒤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보호커버(1)는 복수 개의 지지돌기(51, 52, 53, 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지지돌기(51, 52, 53, 54)는, 서로 인접한 발가락의 사이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지지돌기(51)는 엄지발가락(TO1)과 검지발가락(TO2) 사이로 돌출될 수 있고, 제2 지지돌기(52)는 검지발가락(TO2)과 중지발가락(TO3) 사이로 돌출될 수 있고, 제3 지지돌기(53)는 중지발가락(TO3)과 약지발가락(TO4) 사이로 돌출될 수 있고, 제4 지지돌기(54)는 약지발가락(TO4)과 새끼발가락(TO5) 사이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발보호커버(1)의 내측면에는, 각 발가락(TO1, TO2, TO3, TO4, TO5)이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71, 72, 73, 74, 75)이 반복형성될 수 있다. 발보호커버(1)에는 복수 개의 수용홈(71, 72, 73, 74, 75)이 형성될 수 있고, 엄지발가락(TO1)이 수용되는 제1 수용홈(71), 검지발가락(TO2)이 수용되는 제2 수용홈(72), 중지발가락(TO3)이 수용되는 제3 수용홈(73), 약지발가락(TO4)이 수용되는 제4 수용홈(74), 새끼발가락(TO5)이 수용되는 제5 수용홈(75)이 형성될 수 있다.
각 수용홈(71, 72, 73, 74, 75)은, 각 발가락(TO1, TO2, TO3, TO4, TO5)의 상면(FS1)의 모양에 맞게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각 발가락(TO1, TO2, TO3, TO4, TO5)의 전면(FS2)의 모양에 맞게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발보호커버 10 : 상측부
11 : 제1 영역 12 : 제2 영역
20 : 전방테두리부 30 : 내측테두리부
40 : 외측테두리부 51, 52, 53, 54 : 지지돌기
60 : 접힘골 63: 제1 관통홀
65 : 제2 관통홀 70 : 수용공간
71, 72, 73, 74, 75 : 수용홈

Claims (10)

  1. 탄성을 갖고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양말의 내측에서 사용자의 발에 밀착되는 발보호커버이고,
    발톱 및 발가락뼈(Phalanges)를 덮되, 쐐기뼈(Cuneiform bones) 및 입방뼈(cuboid bone)와 그 뒤쪽을 덮지 않도록 이루어지고,
    발가락들의 전면 및 상면을 덮되, 발의 하면을 덮지않도록 이루어지는,
    발보호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보호커버는,
    발톱 및 발가락들의 상면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상측부;
    발가락들의 전면에 밀착되어 걸리도록 상기 상측부의 앞쪽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전방테두리부;
    엄지발가락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측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방테두리부와 연결되는 내측테두리부; 및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측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방테두리부와 연결되는 외측테두리부를 포함하는,
    발보호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는,
    엄지발가락 쪽을 덮되, 엄지발가락의 발허리뼈(Metatarsal bone)의 베이스(base)를 덮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제1 영역; 및
    엄지발가락의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들 쪽을 덮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 영역은, 발허리뼈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영역보다 발의 뒤쪽으로 더 연장되는,
    발보호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발허리뼈의 헤드(head)를 덮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멀어질수록 발의 뒤쪽으로 더 길게 연장되는,
    발보호커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후단 테두리는 발의 앞쪽으로 오목하고,
    상기 제2 영역의 후단 테두리는 상기 제1 영역과 멀어질수록 발의 뒤쪽으로 더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1 영역의 후단 테두리와 상기 제2 영역의 후단 테두리가 서로 연속하여 연결되는,
    발보호커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는,
    엄지발가락 쪽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제1 영역; 및
    엄지발가락의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들 쪽을 덮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새끼발가락 쪽을 향할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는,
    발보호커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의 내측면에는,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로 돌출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발보호커버.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의 외측면에는,
    각 발가락에서 발가락뼈와 발허리뼈의 관절을 연결하는 방향과 나란하고, 오목한 골(groove) 형태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접힘골이 형성되는,
    발보호커버.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는,
    상기 상측부를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별모양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제1 관통홀; 및
    상기 상측부를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좌우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홀은 상대적으로 앞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은 상대적으로 뒤쪽에 형성되는,
    발보호커버.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 상기 전방테두리부, 상기 내측테두리부 및 상기 외측테두리부는 각각 최고두께가 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부, 상기 내측테두리부 및 상기 외측테두리부는 각각 발의 뒤쪽을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발보호커버.

KR1020210085970A 2021-06-30 2021-06-30 발보호커버 KR20230004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970A KR20230004113A (ko) 2021-06-30 2021-06-30 발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970A KR20230004113A (ko) 2021-06-30 2021-06-30 발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113A true KR20230004113A (ko) 2023-01-06

Family

ID=84924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970A KR20230004113A (ko) 2021-06-30 2021-06-30 발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41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1266A (ko) 2014-12-24 2017-09-05 미에 이노바씨옹 특히 스포츠 활동 중 발바닥 패딩을 보호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1266A (ko) 2014-12-24 2017-09-05 미에 이노바씨옹 특히 스포츠 활동 중 발바닥 패딩을 보호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9810B2 (en) Article of footwear for contact sports
US7370442B2 (en) Ankle support to be attached to footwear and footwear equipped with it
US20180289103A1 (en) Golf shoe with an outsole having wave-like flex channels
US5211672A (en) Protective shoe
US3310889A (en) Baseball shoe with integral toe and instep guard
US20080098624A1 (en) Athletic shoe for improved traction and rotational movement
AU2007319507B2 (en) Padded shoe
JP2010185161A (ja) 足首部クッションを有するガー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20095741A1 (en) Sole board
KR100720751B1 (ko) 신발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가부착된 신발
GB2286517A (en) Removable covering for sports shoe or member of the body
US20020069558A1 (en) Flexible non-restrictive toe structure for shoes
US20030005601A1 (en) Corrective appliance mounted to footwear for correcting and preventing deformity of a foot
JP5806427B1 (ja) 運動能力向上インソールとそれを使用した運動シューズ
KR20230004113A (ko) 발보호커버
KR20010070601A (ko) 구두용 누드 양말
KR200495829Y1 (ko) 기능성 신발
JP4868669B2 (ja) 幼児用靴
US8512270B2 (en) Dynamic foot-arch support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s
KR102160594B1 (ko) 신발
KR200422443Y1 (ko) 발목 보호용 신발
JPH09276308A (ja) 踏み込み時の爪先圧迫防止用具
GB2597654A (en) A foot protector for wearing inside of a shoe
KR20210018015A (ko) 태권도 품새용 슈즈
WO2005122813A1 (en) Shoe for taekwon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