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751B1 - 신발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가부착된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가부착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751B1
KR100720751B1 KR1020050021399A KR20050021399A KR100720751B1 KR 100720751 B1 KR100720751 B1 KR 100720751B1 KR 1020050021399 A KR1020050021399 A KR 1020050021399A KR 20050021399 A KR20050021399 A KR 20050021399A KR 100720751 B1 KR100720751 B1 KR 100720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shoe
support
wearer
ank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8231A (ko
Inventor
정영균
전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쎄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쎄비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쎄비오
Publication of KR20060008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2Boots covering the lower leg
    • A43B3/04Boots covering the lower leg with rubber or elastic insertions or guss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43B23/027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a part of the upper particularly rigid, e.g. resis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5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43B7/20Ankle-joint supports or holders

Abstract

이 발명은 바닥부분(sole section)과 등부분(upper section) 및 뒤축부분(heel section)을 포함하는 신발(footwear)로서, 발목관절을 포함한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된 발목지지대(ankle support)를 포함하되, 발목지지대의 하부가 신발의 안쪽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발명은 착용자의 발목관절이 신발에 구속되지 않고 발목지지대와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발목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동작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이 발명은 발목지지대의 하부가 신발의 안쪽에 고정되어 있어서, 격한 움직임에 따른 무리한 충격이 발목에 가해지더라도 신발과 발목지지대가 동시에 지지하기 때문에 발목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신발{Ankle Support To Be Attached To Footwear And Footwear Equipped With It}
도 1은 일반적인 발목 보호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목지지대에 착용자의 발이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목지지대를 펼쳐 전개한 전개도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축구화를 끈의 일부를 매지 않은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축구화를 끈의 전부를 맨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축구화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일부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축구화의 설편을 전개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발목지지대 210 : 부착수단
220 : 지지수단 224 : 착용수단
300 : 축구화 310 : 바닥부분
320 : 등부분 330 : 설편
340 : 뒤축부분
이 발명은 신발(footwear)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ankle support)에 관한 것이며, 좀더 상세하게는 신발의 안쪽에서 바닥(sloe)에 부착하여 발목관절(ankle joint) 윗부분까지 다리를 감싸도록 착용하는 발목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은 그러한 발목지지대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신발은 바닥부분(sole section)과 등부분(upper section) 및 뒤축부분(heel section)으로 구성되며, 뒤축부분의 상단이 발목관절의 아래에 머무는 단화(shoe)와 발목관절의 윗부분까지 연장되는 장화(boot)로 대별된다.
장화는 비교적 열악한 환경에서 활동해야 하는 착용자에게 적합한 것으로서, 작업화, 안전화, 군화 등이 이에 속한다. 작업화나 안전화 등과 같이 외부물질(foreign object)이 다리(leg)에 접촉하거나 신발 속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은 다리를 헐렁하게 감싸도록 착용하는 반면에, 군화 등과 같이 활동과정에서 발목관절을 중심으로 한 다리와 발의 과도한 비틀림(twisting)이나 회전(rotating) 또는 굽힘(bending)으로 인한 발목삠(ankle sprain) 등과 같은 부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다리에 밀착되게 조여서 착용한다.
위와 같은 장화는 외부물질 침투 방지나 부상방지 등 많은 장점을 갖는 반면에, 착용자(wearer)의 발(foot)과 발목관절의 자연스러운 움직임(natural motion)을 방해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평상화(general footwear)나 운동화(sport footwear)로는 장화보다 단화가 선호된다.
단화는 착용자의 민첩한 활동성을 보장하는 반면에, 발과 발목관절의 과도한 비틀림(twisting)이나 회전(rotating) 또는 굽힘(bending)을 방지할 수단이 없다.
그러므로, 운동화 중에서도 승마화(riding boots) 등과 같이 발목관절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그다지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장화가 선호되며, 농구화(basketball shoes) 등과 같이 활동성을 보장하면서도 발목관절의 부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반장화(semi-boots)라는 절충된 형태를 취하기도 한다.
그러나, 축구화나 야구화 등과 같이 활동성을 희생시킬 수 없는 분야에서는 부득이하게 단화를 착용할 수밖에 없고, 착용자는 항상 부상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활동편의성을 감안한 반장화 형태의 운동화를 개발하려는 시도는 부단히 있어 왔고, 이 발명의 발명자도 고안의 명칭이 "안전성 및 수명을 향상시킨 스포츠화"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1998-5838호와 "발목 보호부를 구비한 스포츠화"라는 고안의 명칭을 가진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2003-16830호를 한 바 있다.
또한, 고안의 명칭이 "운동화"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7-34804호나, 발명의 명칭이 "LIGHTWEIGHT ATHLETIC SHOE WITH FOOT AND ANKLE SUPPORT SYSTEMS"인 미국특허 5,430,960호나 "SHOE OR BOOT WITH ADJUSTABLE ANKLE COLLAR"인 미국특허 5,943,793호를 비롯한 반장화 형태의 많은 운동화가 제안되어 있다.
위 반장화 형태의 운동화들은 단화의 뒤축부분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의 윗부분까지 다리를 감싸서 착용하게 구성된 발목보호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반장화형 운동화들은 활동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제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농구화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여전히 수요자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부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발목보호대가 시판되고 있으며, 많은 운동인들이 이러한 발목보호대를 착용한 후에 신발을 착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발목보호대(100)는 착용자의 발뒤꿈치(the heel of the foot)로부터 발목관절 윗부분까지의 다리를 감싸고 있을 뿐이고, 신발과 발목보호대가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상대운동에 아무런 제한이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발목보호대(100)를 착용하고 있을지라도 신발에 가해진 힘에 의해 착용자의 발목관절이 과도하게 비틀리거나 회전하거나 또는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는 매우 미미하다.
"착탈식 발목보호대가 부착된 운동화"라는 고안의 명칭을 가진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1989-5433호에서는 신발에 부착하여 착용할 수 있는 발목보호대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발목보호대는 지퍼를 이용하여 단화의 뒤축부분의 상단에 부착하게 구성된 것으로서, 이 발목보호대를 단화에 부착하면 종래의 반장화 형태의 운동화와 동일한 형태가 되고 만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신발의 안쪽에서 신발바닥에 부착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까지 다리를 감싸도록 구성하여 발목을 효율적으로 지지하면서도 발목의 유연성을 제공하는 신발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신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은 신발의 안쪽에서 신발바닥에 부착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까지 다리를 감싸도록 착용할 수 있는 발목지지대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다른 양태로서, 위 발목지지대가 신발의 안쪽에서 신발바닥에 부착된 신발을 제안하기도 한다.
이 발명은, 다른 양태로서, 위 발목지지대를 신발의 안쪽에서 신발바닥에 부착하기 위해 위 발목지지대의 하단에 형성된 부착수단과 맞물리거나 협력할 수 있는 상호작용수단(interaction means)을 구비한 신발을 제안하기도 한다.
여기에서 발목지지대를 신발바닥에 부착한다고 함은 반드시 직접 부착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발목지지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신발바닥에 부착된 뒤축부분이나 발등부분에 부착하여도 신발바닥에 부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 발 명의 기술사상을 구현함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물론이고 특허청구의 범위를 기재함에 있어서도, 특별히 한정함이 없이 발목지지대를 신발바닥에 부착한다는 것은 직접부착(direct attachment)과 간접부착(indirect attachment)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간접부착에 있어서는 발목지지대를 가능한 한 신발바닥과 인접한 위치에 부착하는 것이 양호하지만, 어떤 사정으로든 발목지지대를 신발바닥으로부터 상당히 멀어진 위치에 부착한다고 할지라도 이는 단지 이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형태에 불과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발목지지대는 신발 안쪽에서 신발에 부착되어 발목관절을 포함한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된다.
이 발목지지대는 하단 근처에 배치되어 신발의 안쪽에 부착할 수 있게 구성된 부착수단과, 발목지지대의 적어도 일부가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에서 다리를 감쌀 수 있게 구성된 착용수단 및, 착용수단과 부착수단의 사이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발목관절을 감싸 지지하게 구성된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이 지지수단은 하나 이상의 보강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보강스트립은 착용자의 발뒤꿈치의 아킬레스건을 따라 배치되어 착용수단과 부착수단을 연결하게 구성된 제1 보강스트립과, 착용자의 내측 복사뼈 상에 배치되어 착용수단과 부착수단을 연결하게 구성된 제2 보강스트립 및, 착용자의 외측 복사뼈 상에 배치 되어 착용수단과 부착수단을 연결하게 구성된 제3 보강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발목지지대의 착용수단은 지지수단의 상단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의 다리를 감싸게 구성된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신발은 신발의 안쪽에서 신발에 부착되어 발목관절을 포함한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된 발목지지대(ankle support)를 포함한다.
발목지지대의 착용수단은 발목지지대의 적어도 일부가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에서 다리를 감쌀 수 있게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신발에 부착된 하부로부터 착용수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지지수단은 착용자의 발이 발목관절을 중심으로 다리에 대해 과도하게 관절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지지수단은 하나 이상의 보강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보강스트립은 신발에 부착된 하부로부터 착용수단까지 착용자의 발뒤꿈치의 아킬레스건을 따라 연장하게 배치된 제1 보강스트립과, 착용자의 내측 복사뼈 상에 배치되어 착용수단까지 연장하게 구성된 제2 보강스트립 및, 착용자의 외측 복사뼈 상에 배치되어 착용수단까지 연장하게 구성된 제3 보강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제3 보강스트립의 사이에는 신발의 내외부로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통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발목지지대의 착용수단은 지지수단의 상단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의 다리를 감싸게 구성된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의 등부분(upper section)은 착용자의 발끝을 덮게 구성된 토우탑(toe top)과, 안쪽 발등을 덮게 구성된 제1 뱀프(first vamp)와, 바깥쪽 발등을 덮게 구성된 제2 뱀프(second vamp), 및 토우탑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발등을 덮게 구성된 설편(tongue)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목지지대의 적어도 일부는 신발의 뒤축부분(heel section)이나 제1 뱀프(first vamp) 또는 제2 뱀프(second vamp)에 부착될 수도 있다.
설편은 착용자의 발목이 접히는 부위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신발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열방출부와, 열방출부의 양 측에서 연장하여 신발의 안쪽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연장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력을 갖는 탄성밴드로 구성되고, 신발의 내측과 발목지지대의 외측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신발의 안쪽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뱀프(first vamp)의 측단과 제2 뱀프(second vamp)의 측단을 서로 접근하게 끌어당기는 뱀프조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발목지지대의 착용수단은 착용자의 발등으로부터 정강이뼈를 따라 배치될 위치에서 절개된 상태로 구성되고, 절개된 위치에서 착용수단의 양단을 서로 접근하게 끌어당기는 조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절개된 착용수단의 제1 단은 제1 뱀프(first vamp)의 측단으로부터 연속되게 연결되어 있고, 착용수단의 제2 단은 제2 뱀프(second vamp)의 측단으로부터 연속되게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또다른 신발은 발목관절을 포함한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된 발목지지대(ankle support)를 부착할 수 있는 발목지지대 부착수단이 신발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신발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신발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목지지대에 착용자의 발이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목지지대를 펼쳐 전개한 전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발목지지대(200)는 단화의 안쪽에서 바닥에 부착된 상태에서 신발의 뒤축부분의 상단 너머로 노출되게 연장되어 착용자의 발목관절의 윗부분까지 감싸서 착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발목지지대(200)는 신발의 안쪽에서 신발바닥, 예를 들어, 중창의 상면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발목지지대(200)의 하부는 신발의 안쪽에서 신발바닥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210)을 갖는다. 이러한 부착수단(210)은 신발바닥에 고정될 수만 있다면 어떻게 구성하든 무방하며, 양호하게는 벨크로 파스너 등과 같은 부착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부착수단(210)을 이루는 바닥은 일부분이 개방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모든 부분이 폐쇄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2는 일부분이 개방된 형태의 부착수단(210)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발목지지대(200)는 부착수단(210)이 신발의 안쪽에서 신발바닥에 부착된 상태에서 뒤축부분의 상단 너머로 돌출되게 연장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을 포함한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함으로써 발목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20)을 구비한다. 이러한 지지수단(220)의 상측에는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에서 다리를 감쌀 수 있게 구성된 착용수단(2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발목지지대(200)의 착용수단(224)은 착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삽입구(221)가 그 상단에 형성되고, 착용자의 발이 편리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방에 절개부(222)가 형성된다. 지지수단(220)은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하거나 이종 재질을 서로 재봉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른 발목지지대(200)는 착용수단(224)의 절개부(222)의 양단을 서로 접근하게 끌어당겨 착용자의 발목에 밀착시키도록 끈으로 조일 수 있게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조임수단이 지지수단(220)의 양 측을 따라 각각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멍과 통상적인 신발을 조이는 끈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지지수단(220)의 양 측 외면에 각각 결합되는 벨크로 파스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조임수단을 지지수단(220)의 양 단을 따라 각각 재봉 결합되는 슬라이드 파스너로 구성하거나, 지지수단(220)의 양 측 외면에 각각 결합되는 잠금부 및 잠금기능을 갖는 벨트로 구성된 벨트 타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조합하여 조임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수단(220) 및 착용수단(224)은 착용상태에서 외부의 이물질 등이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수단(220)이 그 일측 내면에 일단이 결합되며 절개부(222)를 덮을 수 있는 정도의 설편(도시안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지지수단(220)의 설편은 그 하부가 통상적인 신발 에 형성된 설편과 어느 정도 중첩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수단(220)의 설편에는 통상적인 신발의 설편과 부착 결합할 수 있는 별도의 부재를 마련할 수도 있다.
한편, 지지수단(220)을 외부의 이물질 등이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착용자의 발목 사이즈보다 크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지지수단(220)을 통상적인 신발에 채용하여 사용할 경우, 착용자의 발목을 감싼 지지수단(220)이 서로 겹쳐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이 발명의 발목지지대(200)는 절개부(222)가 없는 폐쇄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착용수단(224)을 신축이 가능한 탄성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양호하며, 지지수단(220)도 탄성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 발명의 발목지지대(200)는 종래기술과 달리 하부가 신발의 안쪽에 부착되어 신발로부터 분리되지 않지만, 신발의 뒤축부분과 발목지지대(200)의 지지수단(220)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발목지지대(200)를 채용한 신발은 착용자의 발목관절이 신발에 구속되지 않고 발목지지대(200)와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발목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동작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이 발명의 발목지지대(200)를 채용한 신발은 발목지지대(200)의 하부가 신발의 안쪽에 고정되기 때문에, 격한 움직임에 따른 무리한 충격이 발목에 가해지더라도 신발과 발목지지대(200)가 동시에 지지하기 때문에 발목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발목지지대(200)는 지지수단(220)을 이종 재질로 구성하되 이들을 서로 재봉하여 결합하고, 조임수단을 관통구멍과 끈으로 구성하였다. 즉, 지지수단(220)의 상측에는 착용수단(224)이 형성되고, 이 착용수단(224)은 삽입구(221) 및 절개부(222)가 그 상단 및 전방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착용수단(224)을 착용자의 다리에 감싸서 착용하면, 발목지지대(200)는 착용자의 발이 발목관절을 중심으로 다리에 대해 과도하게 관절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력을 발휘하고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착용수단(224)은 지지수단(220)의 상단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의 다리를 감싸게 구성된 스트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수단은 신발의 뒤축부분에 신발 내외부로의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통기부(223)와, 발목을 부분적으로 보강하는 보강스트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기부(223)는 신발을 신고 거동(운동 포함)함에 따라 그 내부에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통기부(223)는 통풍이 원활한 구조를 갖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하되, 하부에서 일정 높이의 상부까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강스트립은 착용자의 발뒤꿈치의 아킬레스건을 따라 배치되어 착용수단(224)의 스트립과 부착수단(210)을 연결하게 구성된 제1 보강스트립(225)과, 착용자의 내측 복사뼈 상에 배치되어 착용수단(224)의 스트립과 부착수단(210)을 연결하게 구성된 제2 보강스트립(226), 및 착용자의 외측 복사뼈 상에 배치되어 착용수단(224)의 스트립과 부착수단(210)을 연결하게 구성된 제3 보강스트립(227)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보강스트립(225, 226, 227)을 포함하고 있지만, 그 중의 하나 이상을 생략해도 무방하다. 보강스트립은 운동에 임하기 전 발의 근육 신경이 급격히 이완되거나 수축되지 않도록 근육 신경을 따라 행하는 테이핑(Taping)의 역할도 한다. 이러한 보강스트립은 신발의 재질과 동일한 가죽 등의 경질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착용수단(224)상의 스트립과 지지수단(220)상의 제1, 제2, 제3 보강스트립(225, 226, 227)의 전개된 형상이 엠(m)자를 이루게 된다. 이렇듯, 지지수단(220)은 발목을 감싸 지지함과 동시에, 보강스트립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발목과 발을 연결하는 발목관절 및 각종 인대(아킬레스건 포함)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지지수단(220)은 착용자가 앞으로 발목을 구부릴 경우 자연스럽게 접혀 착용자의 발목 유연성을 증대시키는 다수의 접힘부(228)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지지수단(220)은 그 양측이 요철 형태로 구성되어 다수의 접힘부(228)를 갖는다. 이 때, 지지수단(220)은 그 상단에 돌출되는 형태의 발목 조임부(229)가 형성되어 발목을 효율적으로 조일 수 있다. 이러한 발목 조임부(229)는 착용수단(224)의 스트립의 양단과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지지수단(220)에는 절개부(222)의 양측을 연결하는 끈(325)이 관통되는 다수 개의 관통구멍(230)이 각각 형성된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은 개념을 갖는 이 발명에 따른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신발 중에서 축구화를 그 일례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그러나 이 발명이 축구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포츠(축구, 농구, 테니스, 야구, 럭비, 배드민턴, 스케이트, 배구 등등)화, 작업화, 안전화, 등산화, 군화 등을 비롯한 대부분의 신 발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이 발명은 발목 이하의 높이를 갖는 단화의 경우에는 그 상태에서 이 발명에 따른 발목지지대를 채용하고, 발목 이상의 높이를 갖는 장화의 경우에는 그 높이를 발목 이하로 낮춘 상태에서 이 발명에 따른 발목지지대를 채용하면 된다.
도 5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축구화를 끈의 일부를 매지 않은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축구화를 끈의 전부를 맨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축구화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축구화(300)는 바닥부분(310 ; sole section), 등부분(320 ; upper section), 뒤축부분(340 ; heel section), 및 하부가 신발의 안쪽에서 신발바닥에 부착된 상태에서 뒤축부분의 상단으로 연장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을 포함한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된 발목지지대(300 ; ankle support)를 포함한다.
바닥부분(310)은 다수 개의 미끄럼 방지 돌기(312)가 형성된 밑창(311) 및 밑창(31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중창(3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등부분(320)은 착용자의 발끝을 덮게 구성된 토우탑(321 ; toe top)과, 안쪽 발등을 덮게 구성된 제1 뱀프(322 ; first vamp)와, 바깥쪽 발등을 덮게 구성된 제2 뱀프(323 ; second vamp), 및 토우탑(321)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발등을 덮게 구성된 설편(330 ; tongu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등부분(320)은 제1 뱀프(322)의 측단과 제2 뱀프(323)의 측단을 서로 접근하게 끌어당기는 뱀프조임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뱀프조임수단은 제1, 제2 뱀프(322, 323)의 측단의 스트립(326)을 따라 각각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멍과,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끈(325)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뱀프조임수단이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발목지지대(200)의 조임수단과 같이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발목지지대(200)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개념으로 구성된다. 즉, 발목지지대(200)는 하부가 신발의 안쪽에서 신발바닥에 부착된 상태에서 뒤축부분(340)의 상단으로 연장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을 포함한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축구화(3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은 구성관계를 갖는 발목지지대(200)를 채용하되, 하부에 위치하는 부착수단(210)을 밑창(311)과 중창(313) 사이에 부착하여 구성하였다. 즉, 발목지지대(200)는 그 착용수단이 착용자의 발등으로부터 정강이뼈를 따라 배치될 위치에서 절개된 상태로 구성되고, 절개된 위치에서 착용수단의 양단을 조임수단으로 서로 접근하게 끌어당기도록 구성된다. 이 때, 발목지지대(200)의 부착수단(210)은 신발의 뒤축부분(340)이나 제1 뱀프(322) 또는 제2 뱀프(323)에 부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 발명은 절개된 착용수단의 제1 단이 제1 뱀프(322)의 측단으로부터 연속되게 연결되고, 제2 단이 제2 뱀프(323)의 측단으로부터 연속되게 연결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축구화의 설편을 전개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편(330)은 외부의 이물질 등이 신발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신발의 토우탑(321) 및 절개부(324)의 내부에 그 일단이 재봉 결합되어 절개부(324) 및 발목지지대(200)의 절개부(222)까지 연속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설편(330)은 신발의 토우탑(321) 및 절개부(324)의 내부에 그 일단이 재봉 결합되어 절개부(324)의 대부분을 덮는 제1 부분(331)과, 제1 부분(331)에 연이어 형성되어 발목지지대(200)의 절개부(222)까지 덮는 제2 부분(332), 및 제2 부분(332)의 끝단에서 접혀 제2 부분(332)의 상면에 부착되어 끈 풀림을 방지하는 제3 부분(333)으로 구성된다.
이 때, 제1 부분(331)과 제2 부분(332)의 경계면은 착용자의 발목이 접히는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목의 유연성을 높이고 설편(330)의 접힘성을 높이기 위한 홈(334)을 그 양 측에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홈(334)은 발목지지대(200)의 지지수단(220)의 접힘부(228)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제2 부분(332)은 신발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열방출부(335)와, 홈(334)을 형성하도록 열방출부(335)의 양 측에서 돌출 연장되고 신발의 안쪽 바닥에 각각 부착 고정되어 설편(330)이 착용자의 발등에 위치하도록 하는 한 쌍의 연장부(336)를 갖는다. 이 때, 열방출부(335)는 착용자의 발목이 접히는 제1 부분(331)과의 경계면에서 상부로 연장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장부(336)는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력을 갖는 탄성밴드(337)를 갖도록 구성하여 설편(330)의 움직임이 편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부(336)는 신발의 착용 이 편리하도록 신발의 내측과 발목지지대(200)의 외측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신발의 안쪽에서 신발바닥에 고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8은 연장부(336)를 구성하는 탄성밴드(337)가 그 끝단에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제3 부분(333)은 제2 부분(332)의 끝단에서 접혀 탈부착 부재에 의해 열방출부(335)의 상면에 부착되어 끈 풀림을 방지한다. 여기서, 탈부착 부재는 제3 부분(333)의 하면 및 열방출부(335)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제2 벨크로 파스너(338, 339)로 구성된다. 이 때, 제1 벨크로 파스너(338)는 끈(325)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2 부분(332)의 상면에 그 일단만이 부착되어 자유로운 꺾임이 가능하지만, 제2 벨크로 파스너(339)는 제3 부분(333)에 완전 고정된다.
이 발명에 따른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는 발목관절이 신발에 구속되지 않고 발목지지대와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발목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동작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이 발명은 발목지지대의 하부가 신발의 안쪽에 부착되어 있어서, 격한 움직임에 따른 무리한 충격이 발목에 가해지더라도 신발과 발목지지대가 동시에 지지하기 때문에 발목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이 발명을 스포츠화에 적용할 경우에는 외부 충격이나 착용자의 부주의로 의한 발목의 꺾임을 예방하여 발목과 발을 연결하는 발목관절 및 각종 인대(아킬레스건 포함)를 효율적으로 보호하면서도, 착용자의 자유로운 발목 움직임이 가능하다. 따라서 발목 부상을 전혀 걱정하지 않으면서도 원하는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Claims (20)

  1. 신발 안쪽에서 신발에 부착되어 발목관절을 포함한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된 발목지지대(ankle support)에 있어서,
    상기 발목지지대의 하단 근처에 배치되어 상기 발목지지대를 신발의 안쪽에 부착할 수 있게 구성된 부착수단과,
    상기 발목지지대의 적어도 일부가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에서 다리를 감쌀 수 있게 구성된 착용수단, 및
    상기 착용수단과 상기 부착수단의 사이에 배치된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착용자의 발목관절을 감싸 지지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지지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이 하나 이상의 보강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지지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스트립이,
    착용자의 발뒤꿈치의 아킬레스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착용수단과 상기 부 착수단을 연결하게 구성된 제1 보강스트립과,
    착용자의 내측 복사뼈 상에 배치되어 상기 착용수단과 상기 부착수단을 연결하게 구성된 제2 보강스트립 및,
    착용자의 외측 복사뼈 상에 배치되어 상기 착용수단과 상기 부착수단을 연결하게 구성된 제3 보강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지지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수단이 상기 지지수단의 상단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의 다리를 감싸게 구성된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지지대.
  5. 바닥부분(sole section)과 등부분(upper section) 및 뒤축부분(heel section)을 포함하는 신발(footwear)에 있어서,
    발목관절을 포함한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된 발목지지대(ankle support)를 포함하고,
    상기 발목지지대의 하부가 상기 신발의 안쪽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발목지지대의 적어도 일부가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에서 다리를 감쌀 수 있게 구성된 착용수단, 및
    상기 신발에 부착된 하부로부터 상기 착용수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착용자의 발목관절을 감싸 지지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이 하나 이상의 보강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강스트립이,
    상기 신발에 부착된 하부로부터 상기 착용수단까지 착용자의 발뒤꿈치의 아킬레스건을 따라 연장하게 배치된 제1 보강스트립과,
    착용자의 내측 복사뼈 상에 배치되어 상기 착용수단까지 연장하게 구성된 제2 보강스트립, 및
    착용자의 외측 복사뼈 상에 배치되어 상기 착용수단까지 연장하게 구성된 제3 보강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보강스트립의 사이에는 상기 신발의 내외부로 공기의 유 출입이 가능한 통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착용수단이 상기 지지수단의 상단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의 다리를 감싸게 구성된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등부분(upper section)은 착용자의 발끝을 덮게 구성된 토우탑(toe top)과, 안쪽 발등을 덮게 구성된 제1 뱀프(first vamp)와, 바깥쪽 발등을 덮게 구성된 제2 뱀프(second vamp), 및 상기 토우탑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발등을 덮게 구성된 설편(tongu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발목지지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신발의 뒤축부분(heel section)이나 제1 뱀프(first vamp) 또는 제2 뱀프(second vamp)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설편은 착용자의 발목이 접히는 부위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신발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열방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설편은 상기 열방출부의 양 측에서 연장하여 상기 신발의 안쪽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력을 갖는 탄성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신발의 내측과 상기 발목지지대의 외측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신발의 안쪽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뱀프(first vamp)의 측단과 상기 제2 뱀프(second vamp)의 측단을 서로 접근하게 끌어당기는 뱀프조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발목지지대의 착용수단이 착용자의 발등으로부터 정강이뼈를 따라 배치될 위치에서 절개된 상태로 구성되고,
    절개된 위치에서 상기 착용수단의 양단을 서로 접근하게 끌어당기는 조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절개된 착용수단의 제1 단은 상기 제1 뱀프(first vamp)의 측단으로부터 연속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절개된 착용수단의 제2 단은 상기 제2 뱀프(second vamp)의 측단으로부터 연속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0. 바닥부분(sole section)과 등부분(upper section) 및 뒤축부분(heel section)을 포함하는 신발(footwear)에 있어서,
    발목관절을 포함한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된 발목지지대(ankle support)를 부착할 수 있는 발목지지대 부착수단이 신발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050021399A 2004-03-15 2005-03-15 신발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가부착된 신발 KR100720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285 2004-03-15
KR20040017285 2004-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231A KR20060008231A (ko) 2006-01-26
KR100720751B1 true KR100720751B1 (ko) 2007-05-23

Family

ID=371193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944A KR100466780B1 (ko) 2004-03-15 2004-09-24 발목 보호부가 구비된 스포츠화
KR1020050021399A KR100720751B1 (ko) 2004-03-15 2005-03-15 신발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가부착된 신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944A KR100466780B1 (ko) 2004-03-15 2004-09-24 발목 보호부가 구비된 스포츠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0466780B1 (ko)
CN (1) CN100420400C (ko)
MX (1) MXPA060105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235A (ko) 2021-07-15 2023-01-26 이동호 야구신발용 보호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7572B2 (en) * 2009-09-21 2012-11-13 Nike, Inc. Protective boot
KR101075892B1 (ko) 2010-09-01 2011-10-25 김한준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
CN104397932B (zh) * 2014-12-04 2016-03-09 起步股份有限公司 具有防护支撑结构的学步鞋
CN108926421A (zh) * 2017-05-26 2018-12-04 北京德益达美医疗科技有限公司 医疗康复用护踝及其使用方法
CN110368168A (zh) * 2019-08-14 2019-10-25 刘航宇 一种自主式助踝器
JP7234971B2 (ja) * 2020-02-21 2023-03-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脚装具
CN111358112A (zh) * 2020-03-03 2020-07-03 温州慧谷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护踝运动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4804A (en) * 1980-05-12 1982-02-25 Textron Inc Adjustable crasp for mutually connecting two parts of bracelet
JPH0678802A (ja) * 1991-07-04 1994-03-22 Salomon Sa ヒンジ連結されたカラー補強部を有する歩行用靴
JP2003025174A (ja) * 2001-07-11 2003-01-29 Nec Yamagata Ltd 基板吸着方法および基板吸着機構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1856A (en) * 1984-05-21 1986-02-25 Autry Industries, Inc. Double laced athletic shoe
FR2632517A1 (fr) * 1988-06-10 1989-12-15 Morizet Philippe Dispositif de contention pour l'articulation de cheville adaptable sur ou dans une chaussure et chaussure ainsi obtenue
ES2210712T3 (es) * 1997-01-17 2004-07-01 Vans, Inc. Un sistema de sujecion de tobillo de botas de snowbord.
CN2299485Y (zh) * 1997-05-09 1998-12-09 向川北 旅游运动凉鞋
KR200223578Y1 (ko) * 1998-04-14 2001-06-01 정영균 안전성 및 수명을 향상시킨 스포츠화
FR2791528B1 (fr) * 1999-03-30 2001-05-18 Salomon Sa Chaussure de sport a ossature souple
DE29922654U1 (de) * 1999-12-27 2000-02-24 Roy Reinhold Halbschu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4804A (en) * 1980-05-12 1982-02-25 Textron Inc Adjustable crasp for mutually connecting two parts of bracelet
JPH0678802A (ja) * 1991-07-04 1994-03-22 Salomon Sa ヒンジ連結されたカラー補強部を有する歩行用靴
JP2003025174A (ja) * 2001-07-11 2003-01-29 Nec Yamagata Ltd 基板吸着方法および基板吸着機構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2517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235A (ko) 2021-07-15 2023-01-26 이동호 야구신발용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9756A (zh) 2007-03-14
CN100420400C (zh) 2008-09-24
KR20060008231A (ko) 2006-01-26
KR100466780B1 (ko) 2005-01-24
MXPA06010502A (es) 200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0442B2 (en) Ankle support to be attached to footwear and footwear equipped with it
US9894956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customizable upper
US5992057A (en) Strapping and closure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CA2898508C (en) Footwear with reactive layers
US10076152B2 (en) Article of footwear for athletic and recreational activities with bootie
US9532625B2 (en) Athletic shoe
US7219450B2 (en) Shoe support system
US20170143078A1 (en) Strap Systems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Other Foot-Receiving Devices
KR100720751B1 (ko) 신발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가부착된 신발
US20100064547A1 (en) Shoe having a form fitting closure structure
US20150320139A1 (en) Barefoot shoe
US7267656B2 (en) Ankle brace
US9668534B2 (en) Footwear
US5960565A (en) Adjustable aquatic exercise shoe
JPH0678801A (ja) 内部緊締装置を備えたスポーツ靴
US20020069558A1 (en) Flexible non-restrictive toe structure for shoes
US20230054105A1 (en) Footwear with multiple lockdown configurations
KR20070057310A (ko)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무술화
KR880003161Y1 (ko) 지지용 띠(Support Straps)를 가진 운동화
KR200299111Y1 (ko) 발목고정대를 갖는 신발
WO2013082385A1 (en) Improved athletic shoe
KR880003159Y1 (ko) 발등지지체를 가진 신발
RU2050805C1 (ru) Устройство к спортивной обуви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тяжения связок голеностопного сустава
KR20230004113A (ko) 발보호커버
KR20170108625A (ko) 운동용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