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892B1 -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 - Google Patents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892B1
KR101075892B1 KR1020100085744A KR20100085744A KR101075892B1 KR 101075892 B1 KR101075892 B1 KR 101075892B1 KR 1020100085744 A KR1020100085744 A KR 1020100085744A KR 20100085744 A KR20100085744 A KR 20100085744A KR 101075892 B1 KR101075892 B1 KR 101075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foreign matter
hiking boots
climb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섭
김한준
Original Assignee
김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준 filed Critical 김한준
Priority to KR1020100085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02Mountain boots or sho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행시 미끄럼 없이 산행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발목 보호력이 우수하여 등반시 착용하는 등산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산화의 발목보호부위에 이물질차단부재를 형성하여 등반중에 흙이나 작은 돌 기타 나무가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발목보호부위를 통하여 등산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쉽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끈(12)을 포함 함과 동시에 발등부위를 수용함과 동시에 발목부위를 감싸주는 신발본체(10)와, 상기 신발본체(10)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 및 보호함과 더불어 등산시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는 신발밑창으로 이루어진 등산화에 있어서, 상기 신발본체(10)의 발목보호부(11)의 연부(緣部)에 신축밴드(102)를 구비한 이물질차단막(101)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이물질차단막(101)의 양쪽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신축밴드의 긴장감을 조절하여 등산화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긴장감을 조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103)를 포함하는 이물질차단부재(100)가 설치 구성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mountain-climbing boots possible interception of foreign substance flow in}
본 발명은 산행시 미끄럼 없이 산행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발목 보호력이 우수하여 등반시 착용하는 등산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산화의 발목보호부위에 이물질차단부재를 형성하여 등반중에 흙이나 작은 돌 및 나무가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발목보호부위를 통하여 등산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에 관한 것이다.
고도의 산업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생활의 윤택함으로 인하여 현대인들은 여가(餘暇)를 즐기기 위한 수단으로 각종 레포츠에 참여하고 있고, 실질적으로 레포츠를 즐기는 인구 또한 기아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레포츠 인구가 기아급수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레포츠용품 또한 다양하면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 연구개발이 끝임 없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 있다.
상기의 레포츠 중 가장 대중적이면서 누구나가 쉽게 즐길 수 있는 레포츠로는 등산을 꼽을 수 있다.
상기 등산을 즐길 때에는 등산에 필요한 장비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중에서도 미끄럼 없이 등반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발목 보호력이 우수한 등산화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등산화 시장은 시장 선점을 위한 제조사들의 각축장이 되고 있고, 선점을 위한 수단으로 끝임 없는 연구개발을 통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탄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등산화는 각 부위별 연구가 부단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 부위중의 하나가 발목을 통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등산화의 개발이다.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의 개발은, 등산시 때로는 우거진 숲속이나 비탈진 암반이나 고르지 못한 산길을 걸어야 하므로 흙이나 작은 돌, 기타 나무 가지등 이물질이 등산화의 발목부위를 통해 유입될 수 밖에 없다.
상기와 같이 등산화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보행에 불편함을 줌과 동시에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등산화를 벗고 제거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되어 동호인들의 대열에서 이탈하게 되는 문제까지도 초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한 발목을 통한 이물질 유입이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로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89-11864호의 등산화를 예로 들을 수 있다.
상기 선출원발명은 발목에 위치하는 보강판의 상부에 이물질방지편을 상기 보강판에 대응하도록 형성하고, 이물질방지편이 발목에 조임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조임끈이 내입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물질 차단 수단을 구비한 선출원발명의 이물질방지편의 조임끈을 당겨 매면, 이물질방지편이 발목에 긴밀한 상태에 위치하게 되어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선출원발명은 이물질의 차단기능은 우수한 반면, 조임끈을 이용하여 이물질방지편이 발목에 조여지게 하는 것이어서 급격한 경사면을 오를때 발목에 압박감이 가해져 등반에 방해를 주는 불편함을 조래함은 물론, 이물질방지편이 발목을 감싸게 되어 등산화 내부에 발생한 땀 증발을 차단하게 되어 증발되지 못한 땀으로 인해 등산화 내부에서의 발 미끄럼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가지는 등산화의 단점을 해결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발목부위를 감싸 보호하는 발목보호부에 산행에 따른 보행시 발생하는 발목 뒷 부분을 포함한 양쪽 복숭아뼈 사이로 발생하는 공간 차단이 가능한 이물질차단부재를 구성함과 동시에 이물질차단부재를 구성하는 신축밴드의 긴장감을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정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가 양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써, 이물질차단부재의 이물질차단막이 발목에 대하여 긴장감 있게 접촉 위치하여져 보행으로 발목과 등산화의 발목보호부 사이의 공간이 가변되어지더라도 신축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대하여 신축밴드가 긴장감을 유지한 상태로 안정된 공간 차단이 가능하여 이물질의 혼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종래 사용자의 신체조건 즉, 발목의 굵기에 따라 신축밴드의 조임상태를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로 조정함에 따라 신축밴드에 의한 압박감으로 야기되는 발목 조임에 의한 통증을 해소함과 더불어 소비자들의 욕구 충족으로 등산화의 신뢰성 확보와 함께 타사 제품과의 차별화로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손쉽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끈을 포함 함과 동시에 발등부위를 수용함과 동시에 발목부위를 감싸주는 신발본체와, 상기 신발본체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 및 보호함과 더불어 등산시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는 신발밑창으로 이루어진 등산화에 있어서.
상기 신발본체를 이루는 발목보호부의 연부(緣部)에 이물질차단부재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이물질차단부재는 신발 착용자의 발목에 대하여 긴밀하게 밀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신축밴드가 띠 형태를 이루며 재봉 형성되어 있고, 신발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목보호부의 발삽입부를 1/2범위까지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이물질차단막이 상기 발목보호부의 뒷쪽에서 양쪽을 포함하는 연부(緣部)에 고정 설치되어지고, 상기 이물질차단막의 양쪽에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는 끈에 걸림되어지는 끈걸이용고리가 내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면에 벨크로가 설치되어 있는 제1연결편과, 상기 제1연결편의 벨크로에 부착되어지는 벨크로가 설치되어 있는 제2연결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는, 발목부위를 감싸 보호하는 발목보호부(11)에 산행에 따른 보행시 발생하는 발목 뒷 부분을 포함한 양쪽 복숭아뼈 사이로 발생하는 공간의 차단이 가능한 이물질차단부재(100)를 구성함과 동시에 이물질차단부재(100)를 구성하는 신축밴드(102)의 긴장감을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정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103)가 양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써, 이물질차단부재(100)의 이물질차단막(101)이 발목에 대하여 긴장감 있게 접촉 위치하여져 보행으로 발목과 등산화의 발목보호부(11) 사이의 공간이 가변되어지더라도 신축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대하여 신축밴드가 긴장감을 유지한 상태로 안정된 공간 차단이 가능하여 이물질의 혼입을 효과적으로 차단 함과 동시에 종래 사용자의 신체조건 즉, 발목의 굵기에 따라 신축밴드(102)의 조임상태를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103)로 조정함에 따라 신축밴드(102)에 의한 압박감으로 야기되는 발목 조임에 의한 통증을 해소함과 더불어 소비자들의 욕구 충족으로 등산화의 신뢰성 확보와 함께 타사 제품과의 차별화로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의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를 펼친 상태의 사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의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의 제1연결결편의 끈걸이용고리를 끈에 걸은 상태의 사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의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의 제1연결결편과 제2연결편을 연결하여 신발을 착용 완료하였을 때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를 착용한 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하였을 때 발목부위의 변화로 이물질차단부재가 가변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6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는, 손쉽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끈(12)을 포함함과 동시에 발등부위를 수용함과 동시에 발목부위를 감싸주는 신발본체(10)와, 상기 신발본체(10)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 및 보호함과 더불어 등산시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는 신발밑창(20)으로 이루어진 등산화의 발목보호부(11)에 이물질차단부재(100)가 설치되어서 된 것이다.
상기 이물질차단부재(100)는, 신발본체(10)의 발목보호부(11)의 연부(緣部)에 신축밴드(102)를 구비한 이물질차단막(101)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이물질차단막(101)의 양쪽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신축밴드(102)의 긴장감을 조절하여 등산화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긴장감을 조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103)를 포함한 것이다.
상기 이물질차단부재(100)는, 신발 착용자의 발목에 대하여 긴밀하게 밀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신축밴드(102)가 띠 형태를 이루며 재봉 형성되어 있고, 신발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목보호부(11)의 발삽입부(11a)를 1/2범위까지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이물질차단막(101)이 상기 발목보호부(11)의 뒷쪽에서 양쪽을 포함하는 연부(緣部)에 고정 설치되어진 것이다.
상기 이물질차단막(101)의 양쪽에는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103)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103)는 끈에 걸림되어지는 끈걸이용고리(105)가 내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면에 벨크로(106)가 설치되어 있는 제1연결편(104)과, 상기 제1연결편(104)의 벨크로(106)에 부착되어지는 벨크로(108)가 설치되어 있는 제2연결편(10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물질차단부재(100)의 이물질차단막(101)은 땀의 방출이 용이한 망사직물인 것이다.
상기 이물질차단막(101)의 신축밴드(102)는 평고무줄을 재봉하여서 된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는, 신발본체(10)의 발목보호부(11)의 뒷쪽에 발목의 복숭아뼈 까지 감쌀 수 있는 이물질차단부재(100)가 설치되어 있어 등산중에 발목보호부(11)로 흙이나 작은 돌 기타 나무가지 등의 이물질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가 있다.
상기 이물질차단부재(100)를 포함하는 등산화를 착용할 때에는 이물질차단부재(100)의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103)를 구성하는 제1연결편(104)과 제2연결편(107)을 분리하여 발목보호부(11)의 발삽입부(11a)의 공간을 넓게 확보한 상태에서 발을 편안하게 삽입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도1 참조)
상기 제1연결편(104)과 제2연결편(107)을 분리하여 공간이 넓게 확보된 발삽입부(11a)로 발을 삽입 신발을 착용한 후, 덮개판(도면에서 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의 위를 지나치도록 끈고리에 끼워져 엮인 끈(12)을 조여맨다.
그 다음 이물질차단부재(100)의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103)를 조정하여 이물질차단막(101)이 착용자의 발목에 긴밀하게 밀착되어지도록 한다.
상기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103)의 조정은 먼저 제1연결편(104)에 설치된 끈걸이용고리(105)를 조여맨 끈(12)에 도2에서와 같이 건다.
이후, 제1연결편(104)에 제2연결편(108)을 포개어 상기 제1연결편(104)의 벨크로(106)에 제2연결편(107)의 벨크로(108)를 부착시켜 이물질차단부재(100)의 착용을 완료한다.(도 4내지 도 5참조)
상기와 같이 벨크로(106)(108)가 서로 부착되어지는 제1연결편(104)과 제2연결편(107)의 교차 정도에 따라 신축밴드(102)의 긴장감이 달라지게 되고 사용자그이 발목이 가늘 때에는 제1연결편(104)과 제2연결편(107)을 많이 교차시키고, 발목이 굵을 때에는 제1연결편(104)과 제2연결편(107)을 조금만 교차시켜 상기 신축밴드(102)의 긴장감을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103)의 조정으로 이물질차단부재(100)가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보행을 하게 되면, 발목에 대하여 이물질차단부재(100)의 신축밴드(102)가 긴밀하게 밀착 유지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등산화의 발목보호부(11)에 설치되어 발목과 발목보호부 사이로 형성되어 공간(틈)을 막아 줌으로서 등산중에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보행으로 발목과 발목보호부(11) 사이의 공간이 넓어진 상태로써, 이물질차단부재(100)가 신축되어지면서 넓어진 공간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은 접촉면(101)이 뒷쪽으로 후퇴하여 쭈그러든 상태에 있기 때문에 가능함과 동시에 이물질차단부재(100)가 망사직물에 의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이물질차단부재(100)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망사직물로 이루어져 있어 땀의 배출이 원할 하고, 그로 인해 쾌적한 상태에서 등산이 가능한 것이다.
10 : 신발본체 11 : 발목보호부
11a : 발삽입부 100 : 이물질차단부재
101 : 접촉면 102 : 신축밴드
103 :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 104 : 제1연결편
105 : 끈걸이용고리 106,108 : 벨크로
107 : 제2연결편

Claims (3)

  1. 삭제
  2. 손쉽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끈(12)을 포함 함과 동시에 발등부위를 수용함과 동시에 발목부위를 감싸주는 신발본체(10)와, 상기 신발본체(10)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 및 보호함과 더불어 등산시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는 신발밑창으로 이루어진 등산화에 있어서.
    상기 신발본체(10)를 형성하는 발목보호부(11)의 연부(緣部)에 이물질차단부재(100)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이물질차단부재(100)는 신발 착용자의 발목에 대하여 긴밀하게 밀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신축밴드(102)가 띠 형태를 이루며 재봉 형성되어 있고, 신발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목보호부(11)의 발삽입부(11a)를 1/2범위까지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이물질차단막(101)이 상기 발목보호부(11)의 뒷쪽에서 양쪽을 포함하는 연부(緣部)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물질차단막(101)의 양쪽에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103)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축밴드긴장감조정밴드(103)는 끈(12)에 걸림되어지는 끈걸이용고리(105)가 내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에 벨크로(106)가 설치되어 있는 제1연결편(104)과, 상기 제1연결편(104)의 벨크로(106)에 부착되어지는 벨크로(108)가 설치되어 있는 제2연결편(10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차단부재(100)의 이물질차단막(101)은 땀의 방출이 용이한 망사직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
KR1020100085744A 2010-09-01 2010-09-01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 KR101075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744A KR101075892B1 (ko) 2010-09-01 2010-09-01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744A KR101075892B1 (ko) 2010-09-01 2010-09-01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5892B1 true KR101075892B1 (ko) 2011-10-25

Family

ID=4503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744A KR101075892B1 (ko) 2010-09-01 2010-09-01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8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405Y1 (ko) 2001-12-28 2002-04-09 박인숙 이물질 유입방지용 스포츠화
KR100466780B1 (ko) 2004-03-15 2005-01-24 정영균 발목 보호부가 구비된 스포츠화
KR200431322Y1 (ko) 2006-08-25 2006-11-23 송완석 발목 덮개가 부착된 신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405Y1 (ko) 2001-12-28 2002-04-09 박인숙 이물질 유입방지용 스포츠화
KR100466780B1 (ko) 2004-03-15 2005-01-24 정영균 발목 보호부가 구비된 스포츠화
KR200431322Y1 (ko) 2006-08-25 2006-11-23 송완석 발목 덮개가 부착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753205T3 (en) BARFODSSKO
CA2898508C (en) Footwear with reactive layers
US6457260B1 (en) Footwear with attachable covering
US20080110059A1 (en) Foldable active shoe
US20100064547A1 (en) Shoe having a form fitting closure structure
US9215898B2 (en) Shin guard
US20070186449A1 (en) Athletic footwear securing device
US20070039207A1 (en) Pant protector
CA2908912A1 (en) Shoe interfaced ankle support apparatus
KR101075892B1 (ko)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
KR100742397B1 (ko) 등산화 결착용 보호대
KR101075889B1 (ko) 이물질 유입 차단이 기능한 등산화
KR200419977Y1 (ko) 다용도 등산화
KR200483352Y1 (ko) 암벽화용 밴드
JP6950982B2 (ja) 足上面安全保護具
US20120198731A1 (en) Pant Leg Protector Insole
KR102594643B1 (ko) 띠신발
KR101643080B1 (ko) 전투화
KR101067487B1 (ko) 등산화용 발가락 보호대
CN211211643U (zh) 一种免系鞋带的运动鞋
KR101277470B1 (ko) 신발끈의 풀림방지 구조
KR200173077Y1 (ko) 신발에 착용하는 하체단련기
KR101312329B1 (ko) 휴대가능한 덧장화
KR200388741Y1 (ko) 공기압 신발
KR20130094403A (ko) 이물질 차단이 가능한 등산용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