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643B1 - 띠신발 - Google Patents

띠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643B1
KR102594643B1 KR1020230067288A KR20230067288A KR102594643B1 KR 102594643 B1 KR102594643 B1 KR 102594643B1 KR 1020230067288 A KR1020230067288 A KR 1020230067288A KR 20230067288 A KR20230067288 A KR 20230067288A KR 102594643 B1 KR102594643 B1 KR 102594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hoe
ankle
band member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노
Original Assignee
참솔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참솔산업(주) filed Critical 참솔산업(주)
Priority to KR102023006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166Mud-guar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18Devices for holding overshoes in posi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착용시 신발의 목부분을 통해 신발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띠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물질의 유입이 많은 공사현장의 작업, 등산 등의 야외활동시 신발의 목부분 즉, 신발의 상단부와 인체의 발목 또는 발목의 상단에 해당되는 다리의 하부 사이로 자갈, 모래 등과 같은 이물질이 신발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신발의 상단부에 결합되되,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발목 또는 다리의 하부를 밀접된 상태로 감싸는 밴드부재를 통해 신발의 착용감을 쾌적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띠신발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띠신발{Band shoes}
본 발명은 신발 착용시 신발의 목부분을 통해 신발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띠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물질의 유입이 많은 공사현장의 작업, 등산 등의 야외활동시 신발의 목부분 즉, 신발의 상단부와 인체의 발목 또는 발목의 상단에 해당되는 다리의 하부 사이로 자갈, 모래 등과 같은 이물질이 신발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신발의 상단부에 결합되되,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발목 또는 다리의 하부를 밀접된 상태로 감싸는 밴드부재를 통해 신발의 착용감을 쾌적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띠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용용도에 따라 장화, 부츠, 러닝화, 축구화, 테니스화, 전투화, 등산화, 안전화 등 많은 변형품이 있고, 한편으로는 발에 편안한 착용감을 주기 위해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이러한 신발을 착용하였을 때, 통상 신발과 발목의 사이로 이물질이 신발의 내부로 유입되어 착용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등산, 조깅은 물론 공사현장의 작업, 농사일 등의 야외활동을 할 경우에는 더욱 많은 양의 이물질이 신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종 야외활동을 할 때 이물질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패츠(spats)가 개발되어 있고, 상기 스패츠는 신발 외측에서 발목 부분을 감싸듯이 착용되어 일종의 각반 형태로 이루어지고, 등산, 낚시 공사현장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로서, 상기와 같은 스패츠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0416호에 일 단부 및 타 단부가 상호 탈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측 내부에서 상기 일 단부로부터 상기 타 단부까지 연장된 탄성 라인 및 상기 탄성 라인에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된 하나 이상의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일 단부 및 상기 타 단부를 포함하는 외피 및 상기 외피의 내측 일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외피의 내측 일 부분으로부터 상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측 방향의 하측 단부가 상기 외피와 이격된 내피를 포함하며, 상기 내피의 상기 하측 단부의 내부에 상기 탄성 라인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패츠 및 아이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0416호는 신발에 결합하기 위한 스패츠를 항상 별도로 구비해야 할 뿐만 아니라 착용 과정이 복잡하여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75376호에는 이물질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이물질 유입 차단부재가 지퍼구조를 통해 신발본체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벨크로 타입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간단하게 착용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퍼구조로 인하여 이물질 유입 차단부재의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세탁이 용이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신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75376호는 탈부착을 위한 지퍼 구조가 형성됨에 따라 신발의 착용감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지퍼 구조가 형성된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0416호(2015.07.2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75376호(2020.06.2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신발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스패츠는 별도로 구비해야 할 뿐만 아니라 착용 과정이 복잡하여 사용이 번거롭고,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구비된 신발은 장기간 사용될 경우 발목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으며, 과도하게 발목 또는 다리의 하부를 조여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신발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되,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발목 또는 다리의 하부(이하, '발목'이라 통칭한다.)를 착탈수단이 구비된 밴드부재로 감싸 상기 신발본체의 상단부와 발목의 사이를 통해 이물질이 신발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밴드부재의 상단부를 결속밴드를 통해 감싸 이물질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신발본체의 상단부 외측 후방에 결합되는 외측밴드를 통해 신발본체의 상단부와 발목을 감싸도록 하고, 상기 결속밴드를 통해 상기 외측밴드의 상단부를 감싸 이물질이 신발본체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신발의 착용감을 쾌적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띠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 내측 후방과 내부 일측 및 내부 타측 각각에 외측 후방과 외부 일측 및 외부 타측이 결합되어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양단에 제1착탈수단(110)이 구비되어 발목을 밀착된 상태로 감싸는 띠 형태의 밴드부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신발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밴드부재(100)는 탄성을 갖는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밴드부재(100)는 후방에 내측 중앙이 결합되고, 양단에 제2착탈수단(210)이 구비되는 결속밴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밴드부재(100)는 외측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띠신발은 내측 전방에 상기 제1결합수단(120)에 탈부착 가능한 부착수단(220)이 구비되고, 양단에 제2착탈수단(210)이 구비되는 결속밴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띠신발은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 외측 후방에 하부 내측 중앙이 결합되고, 양단에 제3착탈수단(310)이 구비되어 발목과 상기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를 감싸는 외측밴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외측밴드(300)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외측밴드(300)의 높이(h2)는 상기 밴드부재(100)의 높이(h1)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외측밴드(300)는 내주면 상부에 형성되는 쿠션층(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밴드부재(100)는 내주면 상부에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내측경사면(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외측밴드(300)는 외주면 상부에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외측경사면(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띠신발은 신발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되,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밴드부재로 발목을 감싸 상기 신발본체의 상단부를 통해 이물질이 신발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발의 착용감을 쾌적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밴드부재를 탄성을 갖는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밴드부재에 의해 신발본체의 상단부와 발목 사이의 기밀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신발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밴드부재의 상단부 외측을 결속밴드를 통해 감싸 발목과 상기 밴드부재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신발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발본체의 외측 후방에 내측 전방에 결합되는 외측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측밴드를 통해 신발본체의 상단부와 밴드부재를 감싸 발목과 밴드부재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먼저 차단함으로써, 신발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띠신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띠신발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띠신발의 착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띠신발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띠신발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띠신발의 착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띠신발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띠신발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띠신발의 착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밴드부재와 외측밴드의 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밴드부재와 외측밴드가 발목에 밀접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
본 발명은 신발 착용시 신발의 목부분을 통해 신발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띠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신발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이 많은 공사현장의 작업, 등산 등의 야외활동시 신발의 목부분 즉,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와 인체의 발목 사이로 자갈, 모래 등과 같은 이물질이 신발의 내부 즉, 신발본체(10)의 상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에 결합되되,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발목을 감싸는 밴드부재(100)를 상기 신발본체(10)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신발의 착용감을 쾌적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띠신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띠신발은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 내측 후방과 내부 일측 및 내부 타측 각각에 외측 후방과 외부 일측 및 외부 타측이 결합되어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양단에 제1착탈수단(110)이 구비되어 발목을 밀착된 상태로 감싸는 띠 형태의 밴드부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밴드부재(100)는 탄성을 갖는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밴드부재(100)는 후방에 내측 중앙이 결합되고, 양단에 제2착탈수단(210)이 구비되는 결속밴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밴드부재(100)는 외측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띠신발은 내측 전방에 상기 제1결합수단(120)에 탈부착 가능한 부착수단(220)이 구비되고, 양단에 제2착탈수단(210)이 구비되는 결속밴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띠신발은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 외측 후방에 하부 내측 중앙이 결합되고, 양단에 제3착탈수단(310)이 구비되어 발목과 상기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를 감싸는 외측밴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외측밴드(300)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외측밴드(300)의 높이(h2)는 상기 밴드부재(100)의 높이(h1)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외측밴드(300)는 내주면 상부에 형성되는 쿠션층(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밴드부재(100)는 내주면 상부에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내측경사면(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외측밴드(300)는 외주면 상부에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외측경사면(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신발은 사용자의 발이 내입되어 수용되는 신발본체(10)와, 사용자의 발이 상기 신발본체(10)의 내부로 내입될 수 있는 상단부(12) 및 신발본체(10)의 뱀프 즉, 앞날개(도면 미표시)로부터 연장형성되는 텅 즉, 혀(13)로 구성되고, 전체구성을 언급할 때는 신발이라 설명되며, 구체적인 구성을 언급할 때는 신발본체(10)와 상단부(12) 및 혀(13)로 구분되어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은 도면에 조임끈(도면 미도시)을 이용하여 발을 밀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만,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퍼 등으로 발을 밀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밴드부재(100)는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 내측 후방과 내부 일측 및 내부 타측 각각에 외측 후방과 외부 일측 및 외부 타측이 결합되어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양단에 제1착탈수단(110)이 구비되어 발목을 밀착된 상태로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착탈수단(110)의 양단이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목을 감싸거나 상기 제1착탈수단(110)의 양단이 분리되어 사용자가 신발의 착용을 쉽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밴드부재(100)는 상기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의 내측 후방과 내부 일측 및 내부 타측 각각에 외측 후방과 외부 일측 및 외부 타측이 결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상기 실반본체(10)의 상단부(12)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밴드부재(100)는 사용자의 발목을 원활하고 견고하며 밀접되도록 감싸 발목과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착탈수단(110)은 상기 밴드부재(100)의 양단에 각각 암부직포 또는 수부직포로 구성되어 상기 밴드부재(100)의 양단이 착탈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밴드부재(100)가 탄성을 갖는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밴드부재(100)의 양단에 충분히 착탈될 수 있는 너비로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이때, 상기 밴드부재(100)의 양단이라 함은 일측 말단의 내측 또는 외측과 타측 말단의 외측 또는 내측이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암부직포 또는 수부직포에 의한 착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 제1착탈수단(110)은 부직포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착탈이 가능한 종래의 어떠한 착탈부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며, 일예로, 복수 개의 스냅단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밴드부재(100)는 양단이 제1착탈수단(110)에 의해 결합된 후 신발의 혀(13)의 내측으로 전방 하부가 내입됨에 따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밴드부재(100)는 외측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결합수단(120)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결속밴드(200)의 부착수단(220)이 착탈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결속밴드(200)에 의한 밴드부재(100)의 상부가 발목과 보다 밀접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결속밴드(200)는
내측 전방에 상기 제1결합수단(120)에 탈부착 가능한 부착수단(220)이 구비되고, 양단에 제2착탈수단(210)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밴드부재(100)의 양단이 결합된 후 다시한번 상기 밴드부재(100)의 상부를 감싸 상기 밴드부재(100)의 결합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밴드부재(100)의 상부가 발목에 보다 밀접되도록 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결속밴드(200)는 상기 밴드부재(100)와 마찬가지로 탄성을 가니는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상기 밴드부재(100)의 상부 내주면이 발목에 보다 견고하게 밀접되도록 탄성이 없는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합수단(120) 및 부착수단(220)과 상기 제2착탈수단(210)은 앞서 설명된 제1착탈수단(110)과 동일 유사한 구성 즉, 일예로 암수부직포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결속밴드(200)는 상기 밴드부재(100)의 상부 즉, 일부만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밴드부재(100)의 상하방향 너비 즉, 높이보다 작은 상하방향 너비 즉,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재(100)의 상부 후방에 내측 중앙이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밴드부재(100)의 상부만 감싸 상기 밴드부재(100)의 상부가 발목과 보다 견고하게 밀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와 발목이 자연스럽게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어 신발의 착용감을 저하시키는 것을 최소화한다.
부가하여, 상기 결속밴드(200)의 양단이라 함은 상기 밴드부재(100)의 양단과 마찬가지로, 일측 말단의 내측 또는 외측과 타측 말단의 외측 또는 내측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외측밴드(300)는
신발본체(10)으 상단부(12) 외측 후방에 하부 내측 중앙이 결합되고, 양단에 제3착탈수단(310)이 구비되어 발목과 밴드부재(100) 및 상기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를 감싸는 것으로, 상기 밴드부재(100)의 양단을 결합한 후 상기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와 상기 밴드부재(100) 및 상기 밴드부재(100)의 상부로 노출된 발목을 감싸도록 양단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밴드부재(100)에 의해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기 전에 먼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
부가하여, 상기 외측밴드(300)의 양단이라 함은 상기 밴드부재(100)와 결속밴드(200)의 양단과 마찬가지로, 일측 말단의 내측 또는 외측과 타측 말단의 외측 또는 내측이 될 수 있고, 상기 제3착탈수단(310)은 앞서 설명된 제1착탈수단(110), 상기 제1결합수단(120) 및 부착수단(220)과 상기 제2착탈수단(210)과 동일 유사한 구성 즉, 일예로, 암수부직포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외측밴드(300)는 상부방향 너비 즉, 높이(h2)가 상기 밴드부재(100)의 상부방향 너비 즉, 높이(h1)보다 높게 형성됨에 따라,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와 밴드부재(100) 및 발목까지 감싸 이물질의 유입을 1차로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측밴드(300)는 상기 밴드부재(100)의 외측에 위치됨에 따라 외관상 심미감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밴드부재(100)가 보호되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밴드부재(100)는 상기 외측밴드(300)의 높이(h2)보다 낮은 높이(h1)로 형성됨에 따라, 발목의 움직임에 의해 외측밴드(300)가 구부러질 때, 신발의 내부로 즉, 상기 외측밴드(300)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외측밴드(300)는 상기 밴드부재(100)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발목과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외측밴드(300)는 내주면 상부에 형성되는 쿠션층(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쿠션층(340)은 상기 외측밴드(300)와 함께 신축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상기 쿠션층(340)은 상기 외측밴드(300)가 밴드부재(100)를 감싸며 상부가 발목과 밀접됨에 따라 상기 외측밴드(300)의 상부가 발목을 강하게 압박할 수 있으므로, 탄성에 의한 압박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측밴드(300)의 내주면 상부에 형성된다.
즉, 상기 외측밴드(300)는 상기 밴드부재(100)가 접촉되지 않는 내주면 상부에 쿠션층(340)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층(130)에 의해 발목의 압박을 완충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쿠션층(130)은 종래의 어떠한 쿠션력과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밴드부재(100)는 내주면 상부에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내측경사면(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내측경사면(130)은 상기 밴드부재(100)의 상부가 상기 외측밴드(300)에 의해 압박되어 발목과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밀접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내측경사면(130)은 상기 밴드부재(100)의 내주면 상부 말단에 형성되어 외측밴드(300)에 압박되어 발목에 밀접된 후 상기 밴드부재(100)의 외주면 상부 말단에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외측밴드(300)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밴드부재(100)와 발목의 사이를 통과하여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상기 외측밴드(300)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상기 내측경사면(130)의 외주면을 따라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 외측과 상기 외측배드(300)의 사이에 축적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 외측과 상기 외측배드(300)의 사이에 축적된 이물질은 외측밴드(300)의 양단을 분리한 후 이물질을 털어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외측밴드(300)는 외주면 상부에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서되는 외측경사면(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외측경사면(320)은 발목과 외측밴드(300)의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상기 외측밴드(300)의 외주명을 따라 최대한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외측밴드(300)는 상기 밴드부재(100)의 두께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져 이물질을 외측 하부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유도하여 이물질이 외측에 묻어 잔존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외측밴드(300)는 외측 후방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결속밴드(200)의 부착수단(220)이 탈부착 가능한 제2결합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결합수단(330)은 상기 제1결합수단(120)과 동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속밴드(200)가 원활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결속밴드(200)는 밴드부재(100) 또는 외측밴드(300)의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밴드부재(100) 또는 외측밴드(300)에 상기 결속밴드(200)를 설치하여 상기 결속밴드(200)에 의한 발목과 밴드부재(100) 또는 발목과 외측밴드(300)의 밀접효과를 증대시켜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띠신발은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와 발목을 밴드부재(100)로 감싸 이물질이 신발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외측밴드(300)를 통해 2차로 이물질이 신발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신발의 착용감을 쾌적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외측밴드(300)에 형성되는 쿠션층(340)에 의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속밴드(200)에 의한 이물질의 유입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신발본체
12 : 상단부
13 : 혀
100 : 밴드부재
110 : 제1착탈수단
120 : 제1결합수단
130 : 내측경사면
200 : 결속밴드
210 : 제2착탈수단
220 : 부착수단
300 : 외측밴드
310 : 제3착탈수단
320 : 외측경사면
330 : 제2결합수단
340 : 쿠션층

Claims (10)

  1.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 내측 후방과 내부 일측 및 내부 타측 각각에 외측 후방과 외부 일측 및 외부 타측이 결합되어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양단에 제1착탈수단(110)이 구비되어 발목을 밀착된 상태로 감싸는 띠 형태의 밴드부재(100);와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 외측 후방에 하부 내측 중앙이 결합되고, 양단에 제3착탈수단(310)이 구비되어 발목과 밴드부재(100) 및 상기 신발본체(10)의 상단부(12)를 감싸는 외측밴드(300); 및
    내측 전방에 상기 제1결합수단(120)에 탈부착 가능한 부착수단(220)이 구비되고, 양단에 제2착탈수단(210)이 구비되는 결속밴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밴드부재(100)는
    외측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측밴드(300)는
    내주면 상부에 형성되는 쿠션층(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100)는
    탄성을 갖는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신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밴드(300)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신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밴드(300)의 높이(h2)는
    상기 밴드부재(100)의 높이(h1)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신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100)는
    내주면 상부에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내측경사면(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신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밴드(300)는
    외주면 상부에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외측경사면(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신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밴드(300)는
    외측 후방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착수단(220)이 탈부착 가능한 제2결합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신발.
KR1020230067288A 2023-05-24 2023-05-24 띠신발 KR102594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288A KR102594643B1 (ko) 2023-05-24 2023-05-24 띠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288A KR102594643B1 (ko) 2023-05-24 2023-05-24 띠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643B1 true KR102594643B1 (ko) 2023-10-26

Family

ID=8850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7288A KR102594643B1 (ko) 2023-05-24 2023-05-24 띠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6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75Y1 (ko) * 2004-09-14 2004-12-14 김영주 각반을 겸비한 신발.
KR20100010702U (ko) * 2009-04-22 2010-11-01 김춘영 발목 밴드를 형성한 축구화
JP2015013022A (ja) * 2013-07-05 2015-01-22 勉 大杉 靴用砂防止カバー
KR101540416B1 (ko) 2014-02-21 2015-07-30 김천기 스패츠 및 아이젠
KR20200075376A (ko) 2018-12-18 2020-06-26 임찬영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신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75Y1 (ko) * 2004-09-14 2004-12-14 김영주 각반을 겸비한 신발.
KR20100010702U (ko) * 2009-04-22 2010-11-01 김춘영 발목 밴드를 형성한 축구화
JP2015013022A (ja) * 2013-07-05 2015-01-22 勉 大杉 靴用砂防止カバー
KR101540416B1 (ko) 2014-02-21 2015-07-30 김천기 스패츠 및 아이젠
KR20200075376A (ko) 2018-12-18 2020-06-26 임찬영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8770B2 (en) Shoe accessory
CN108936966B (zh)
EP1588639A1 (en) Removable shoe coverings
US6877252B2 (en) Slip-on shoe
KR200474152Y1 (ko) 벗겨짐 방지용 덧버선
US20060201032A1 (en) Uni-sex multi-sport footwear accessory
US20080155863A1 (en) Protective gaiter
KR101642339B1 (ko) 장화
US6094841A (en) Tongue for footwear
US7131219B2 (en) Shoe with leg support
US6785983B2 (en) Boot provided with a gaiter
US20160278472A1 (en) Footwear cover system
KR102594643B1 (ko) 띠신발
KR200453983Y1 (ko) 야외활동용 바지
KR100742397B1 (ko) 등산화 결착용 보호대
WO2007031790A2 (en) Debris exclusion garment for use with footwear
JP6950982B2 (ja) 足上面安全保護具
JP2004530804A (ja) 靴用ヌードソックス
KR200479242Y1 (ko) 스패츠
KR102060454B1 (ko) 휴대가 용이한 신발용 투명 방수 커버
KR101649149B1 (ko)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US20140082813A1 (en) Pants guard
KR101075889B1 (ko) 이물질 유입 차단이 기능한 등산화
KR102619373B1 (ko)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
KR101075892B1 (ko)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