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889B1 - 이물질 유입 차단이 기능한 등산화 - Google Patents

이물질 유입 차단이 기능한 등산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889B1
KR101075889B1 KR1020100103165A KR20100103165A KR101075889B1 KR 101075889 B1 KR101075889 B1 KR 101075889B1 KR 1020100103165 A KR1020100103165 A KR 1020100103165A KR 20100103165 A KR20100103165 A KR 20100103165A KR 101075889 B1 KR101075889 B1 KR 101075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foreign matter
climbing
hiking boots
sho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9740A (ko
Inventor
김한준
이정섭
Original Assignee
김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준 filed Critical 김한준
Publication of KR20100119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166Mud-guar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02Mountain boots or sho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행시 미끄럼 없이 산행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발목 보호력이 우수하여 등반시 착용하는 등산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반중에 흙이나 작은 돌 기타 나무가지 등 이물질이 발목보호부위를 통하여 등산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쉽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끈(12)을 포함 함과 동시에 발등부위를 수용함과 동시에 발목부위를 감싸주는 신발본체(10)와, 상기 신발본체(10)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 및 보호함과 더불어 등산시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는 신발밑창(20)으로 이루어진 등산화에 있어서,
상기 신발본체(10)의 발목보호부(11)의 양측을 포함하는 뒷쪽에 발목의 양측과 뒷쪽에 대하여 긴밀하게 밀착되어질 수 있도록 신축밴드(102)를 포함한 접촉면(101)을 가지는 이물질차단부재(100)가 설치 구성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기능한 등산화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이물질 유입 차단이 기능한 등산화{mountain-climbing boots possible interception of foreign substance flow in}
본 발명은 산행시 미끄럼 없이 산행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발목 보호력이 우수하여 등반시 착용하는 등산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반중에 흙이나 작은 돌 기타 나무가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발목보호부위를 통하여 등산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고도의 산업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생활의 윤택함으로 인하여 현대인들은 여가(餘暇)를 즐기기 위한 수단으로 각종 레포츠에 참여하고 있고, 실질적으로 레포츠를 즐기는 인구 또한 기아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레포츠 인구가 기아급수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레포츠용품 또한 다양하면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 연구개발이 끝임 없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 있다.
상기의 레포츠 중 가장 대중적이면서 누구나가 쉽게 즐길 수 있는 레포츠로는 등산을 꼽을 수 있다.
상기 등산을 즐길 때에는 등산에 필요한 장비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중에서도 미끄럼 없이 등반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발목 보호력이 우수한 등산화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등산화 시장은 시장 선점을 위한 제조사들의 각축장이 되고 있고, 선점을 위한 수단으로 끝임 없는 연구개발을 통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탄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등산화는 각 부위별 연구가 부단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 부위중의 하나가 발목을 통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등산화의 개발이다.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의 개발은, 등산시 때로는 우거진 숲속이나 비탈진 암반이나 고르지 못한 산길을 걸어야 하므로 흙이나 작은 돌, 기타 나무 가지등 이물질이 등산화의 발목부위를 통해 유입될 수 밖에 없다.
상기와 같이 등산화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보행에 불편함을 줌과 동시에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등산화를 벗고 제거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되어 동호인들의 대열에서 이탈하게 문제까지도 초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한 발목을 통한 이물질 유입이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로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89-11864호의 등산화를 예로 들을 수 있다.
상기 선출원발명은 발목에 위치하는 보강판의 상부에 이물질방지편을 상기 보강판에 대응하도록 형성하고, 이물질방지편이 발목에 조임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조임끈이 내입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물질 차단 수단을 구비한 선출원발명의 이물질방지편의 조임끈을 당겨 매면, 이물질방지편이 발목에 긴밀한 상태에 위치하게 되어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선출원발명은 이물질의 차단기능은 우수한 반면, 조임끈을 이용하여 이물질방지편이 발목에 조여지게 하는 것이어서 급격한 경사면을 오르때 발목에 압박감이 가해져 등반에 방해를 주는 불편함을 조래함은 물론, 이물질방지편이 발목을 감싸게 되어 등산화 내부에 발생한 땀 증발을 차단하게 되어 증발되지 못한 땀으로 인해 등산화 내부에서의 발 미끄럼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이물질 차단 기능을 가지는 등산화의 단점을 해결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발목부위를 감싸 보호하는 발목보호부의 뒤쪽에 산행에 따른 보행시 발생하는 발목 뒷 부분을 포함한 양쪽 복숭아뼈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 차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물질차단부재를 형성시킨 것으로써, 이물질차단부재의 접촉면이 발목에 대하여 신축성 있게 접촉 위치하여져 보행으로 발목과 등산화의 발목보호부 사이의 공간이 가변되어지더러도 신축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면서 안정된 공간 차단이 가능하여 이물질의 혼입을 효과적으로 차단 함과 동시에 종래 이물질방지편의 단점인 발목 조임현상을 해소하여 등산화의 신뢰성을 향상시켰고, 구조가 단순하여 이물질차단부재 생산에 다른 생산단가가 높지 않아 이물질차단부재의 부가(附加)설치로 야기될 수 있는 등산화의 소비자 가격 승상요인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이 기능한 등산화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손쉽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끈(12)을 포함 함과 동시에 발등부위를 수용함과 동시에 발목부위를 감싸주는 신발본체(10)와, 상기 신발본체(10)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 및 보호함과 더불어 등산시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는 신발밑창(20)으로 이루어진 등산화에 있어서,
상기 신발본체(10)의 발목보호부(11)의 양측을 포함하는 뒷쪽에 발목의 양측과 뒷쪽에 대하여 긴밀하게 밀착되어질 수 있도록 신축밴드(102)를 포함한 접촉면(101)을 가지는 이물질차단부재(100)가 발목보호부(11) 뒷쪽으로 위치하게 설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이 기능한 등산화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이 기능한 등산화는, 발목부위를 감싸 보호하는 발목보호부(11)의 뒤쪽에 산행에 따른 보행시 발생하는 발목 뒷 부분을 포함한 양쪽 복숭아뼈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 차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물질차단부재(100)를 형성시킨 것으로써,
첫째, 이물질차단부재(100)의 접촉면(101)이 발목에 대하여 신축성 있게 접촉 위치하여져 보행으로 발목과 등산화의 발목보호부(11) 사이의 공간이 가변되어지더러도 신축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면서 안정된 공간 차단이 가능하여 이물질의 혼입을 효과적으로 차단 함과 동시에 종래 이물질방지편의 단점인 발목 조임현상을 해소하여 등산화의 신뢰성을 향상시켰고;
둘째, 구조가 단순하여 이물질차단부재 생산에 따른 생산단가가 높지 않아 이물질차단부재의 부가(附加)설치로 야기될 수 있는 등산화의 소비자 가격 승상요인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의 사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를 착용한 상태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하였을 때 발목부위의 변화로 이물질차단부재가 가변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유입 차단이 기능한 등산화는, 손쉽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끈(12)을 포함함과 동시에 발등부위를 수용함과 동시에 발목부위를 감싸주는 신발본체(10)와, 상기 신발본체(10)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 및 보호함과 더불어 등산시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는 신발밑창(20)으로 이루어진 등산화의 발목보호부(11)에 이물질차단부재(100)가 설치되어서 된 것이다.
상기 이물질차단부재(100)는 신발본체(10)의 발목보호부(11)의 양측을 포함하는 뒷쪽에 발목의 양측과 뒷쪽에 대하여 긴밀하게 밀착되어질 수 있도록 신축밴드(102)를 구비한 접촉면(101)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의 이물질차단부재(100)는 발이 삽입되어지는 발목보호부(11)의 발삽입부(11a)를 1/2범위까지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이물질차단부재(100)는 발목보호부(11)에 대하여 재봉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이물질차단부재(100)와 발목보호부(11) 각각으로 양분 설치되어지는 슬라이더화스너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물질차단부재(100)와 발목보호부(11) 각각으로 양분 설치되어지는 벨크로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발목보호부(11)의 발삽입부(11a)를 가로지르는 접촉면(101)의 신축밴드(102)는 평고무줄을 재봉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이물질차단부재(100)는 땀의 방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망포직물에 의해 제작되어 진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이 기능한 등산화는, 신발본체(10)의 발목보호부(11)의 뒷쪽에 발목의 복숭아뼈 까지 감쌀 수 있는 이물질차단부재(100)가 설치되어 있어 등산중에 발목보호부(11)로 흙이나 작은 돌 기타 나무가지 등의 이물질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가 있다.
상기 등산화의 신발본체(10)의 발목보호부(11)에 이물질차단부재(100)의 설치는 주로 재봉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는 도5에서와 같이 이물질차단부재(100)와 발목보호부(11) 각각에 양분 설치되어진 벨크로(110)를 이용하여 설치되기도 하고, 도6에서와 같이 이물질차단부재(100)와 발목보호부(11) 각각에 양분 설치되어진 슬라이드화스너(120)를 이용하여 설치하기도 한다.
상기 도5 내지 도6에서와 같이 설치할 경우, 탈부착이 가능하여 등산화 세탁시 세탁을 좀더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설치되어진 이물질차단부재(100)는 등산화를 착용하였을 때 도3에서와 같이 접촉면(101)의 신축밴드(102)가 발목 뒷쪽과 양쪽 복숭아뼈 부분에 대하여 긴밀하게 밀착 되어 접촉면(101)이 알파벳 유자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접촉면(101)이 발목에 대하여 밀착되어 질 수 있는 것은 신축밴드(102)가 평고무줄에 의해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등산화의 발목보호부(11)에 설치되어 발목과 발목보호부 사이로 형성되어 공간(틈)을 막아 줌으로서 등산중에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보행으로 발목과 발목보호부(11) 사이의 공간이 넓어진 상태로써, 이물질차단부재(100)가 신축되어지면서 넓어진 공간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은 접촉면(101)이 뒷쪽으로 후퇴하여 쭈그러든 상태에 있기 때문에 가능함과 동시에 이물질차단부재(100)가 망포직물 의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이물질차단부재(100)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망포직물로 이루어져 있어 땀의 배출이 원할하고, 그로 인해 쾌적한 상태에서 등산이 가능한 것이다.
10 : 신발본체 11 : 발목보호부
11a : 발삽입부 20 : 밑창
100 : 이물질차단부재 101 : 접촉면
102 : 신축밴드 110 : 벨크로
120 : 슬라이드화스너

Claims (2)

  1. 손쉽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끈(12)을 포함 함과 동시에 발등부위를 수용함과 동시에 발목부위를 감싸주는 신발본체(10)와, 상기 신발본체(10)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 및 보호함과 더불어 등산시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는 신발밑창(20)으로 이루어진 등산화에 있어서,
    상기 신발본체(10)의 발목보호부(11)의 양측을 포함하는 뒷쪽에 발목의 양측과 뒷쪽에 대하여 긴밀하게 밀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신축밴드(102)를 포함한 접촉면(101)을 가지는 이물질차단부재(100)가 발목보호부(11)의 뒷쪽으로 설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이 기능한 등산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차단부재(100)는 땀의 방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망포직물로 이루어지고, 발이 삽입되어지는 발목보호부(11)의 발삽입부(11a)를 1/2범위까지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지고 형성됨과 동시에 재봉, 벨크로 또는 슬라이드화스너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설치되어 지며, 상기 발목보호부(11)의 발삽입부(11a)를 가로지르는 접촉면(101)의 신축밴드(102)는 평고무줄을 재봉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


KR1020100103165A 2009-10-29 2010-10-21 이물질 유입 차단이 기능한 등산화 KR101075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070 2009-10-29
KR20090014070 2009-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740A KR20100119740A (ko) 2010-11-10
KR101075889B1 true KR101075889B1 (ko) 2011-10-25

Family

ID=4340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165A KR101075889B1 (ko) 2009-10-29 2010-10-21 이물질 유입 차단이 기능한 등산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860A (ko) * 2010-05-20 2011-11-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모바일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75Y1 (ko) 2004-09-14 2004-12-14 김영주 각반을 겸비한 신발.
KR100742397B1 (ko) 2006-02-17 2007-07-24 허훈무 등산화 결착용 보호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75Y1 (ko) 2004-09-14 2004-12-14 김영주 각반을 겸비한 신발.
KR100742397B1 (ko) 2006-02-17 2007-07-24 허훈무 등산화 결착용 보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860A (ko) * 2010-05-20 2011-11-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모바일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740A (ko) 201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8508C (en) Footwear with reactive layers
US7200957B2 (en) Footwear and other foot-receiving devices including a wrapped closure system
US8001706B2 (en) Cover for embellishing footwear
AU2012306650A1 (en) Barefoot shoe
US9066560B2 (en) Skate shoelace protection structure having a continuous sliding upper interface
KR100720751B1 (ko) 신발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가부착된 신발
US20070039207A1 (en) Pant protector
KR101075889B1 (ko) 이물질 유입 차단이 기능한 등산화
KR100742397B1 (ko) 등산화 결착용 보호대
KR200393869Y1 (ko) 신발끈 내장형 신발
KR101075892B1 (ko) 이물질 유입 차단이 가능한 등산화
KR101468383B1 (ko) 신발커버
KR102594643B1 (ko) 띠신발
KR20140004765U (ko)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는 벌목화
KR200479975Y1 (ko) 등산용 스패츠
KR100584012B1 (ko) 신발 방수용 착용구
KR101305939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스패치를 가지는 아이젠
KR200453361Y1 (ko) 신발 고정구
KR200352346Y1 (ko) 신발 덧신
KR0124247Y1 (ko) 스펫치가 내장된 덧버선형 아이젠
KR960002211Y1 (ko) 등산용 양말
KR200372283Y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940003879Y1 (ko) 뒷굽없는 효과를 주는 신발용 덧신
KR200224642Y1 (ko) 양말
CZ31518U1 (cs) Ochranný návlek na obu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