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310A -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무술화 - Google Patents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무술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310A
KR20070057310A KR1020050116090A KR20050116090A KR20070057310A KR 20070057310 A KR20070057310 A KR 20070057310A KR 1020050116090 A KR1020050116090 A KR 1020050116090A KR 20050116090 A KR20050116090 A KR 20050116090A KR 20070057310 A KR20070057310 A KR 20070057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shoes
ankle support
support
martial 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일
정영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쎄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쎄비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쎄비오
Priority to KR1020050116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7310A/ko
Publication of KR20070057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43B7/20Ankle-joint support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바닥부분(sole section)과 등부분(upper section) 및 뒤축부분(heel section)을 포함하는 무술화로서, 발목관절을 사이에 둔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된 발목지지대(ankle support)를 포함하되, 발목지지대의 하부가 무술화의 안쪽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발명은 착용자의 발목관절이 무술화에 구속되지 않고 발목지지대와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발목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동작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이 발명은 발목지지대의 하부가 무술화의 안쪽에 부착되어 있어서, 격한 움직임에 따른 무리한 충격이 발목에 가해지더라도 무술화와 발목지지대가 동시에 지지하여 발목의 꺾임을 예방함에 따라 발목과 발을 연결하는 발목관절 및 각종 인대(아킬레스건 포함)를 효율적으로 보호하면서도, 착용자의 자유로운 발목 움직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무술화{Fight Shoes Equipped With Ankle Support}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무술화를 끈의 일부를 매지 않은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술화를 끈의 전부를 맨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술화의 바닥부분의 일예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무술화의 바닥부분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무술화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무술화의 안쪽에서 바닥에 부착한 발목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목지지대를 펼쳐 전개한 전개도이며,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무술화의 끈을 다른 형태로 마감 처리한 이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바닥부분 20 : 등부분
30 : 뒤축부분 40 : 발목지지대
이 발명은 무술화에 관한 것이며, 좀더 상세하게는 무술화의 안쪽에서 바닥(sole)에 부착하여 발목관절(ankle joint) 윗부분까지 다리를 감싸도록 착용하는 발목지지대를 구비한 무술화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바닥부분(sole section)과 등부분(upper section) 및 뒤축부분(heel section)으로 구성되며, 뒤축부분의 상단이 발목관절의 아래에 머무는 단화(shoe)와 발목관절의 윗부분까지 연장되는 장화(boot)로 대별된다.
장화는 비교적 열악한 환경에서 활동해야 하는 착용자에게 적합한 것으로서, 작업화, 안전화, 군화 등이 이에 속한다. 작업화나 안전화 등과 같이 외부물질(foreign object)이 다리(leg)에 접촉하거나 신발 속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은 다리를 헐렁하게 감싸도록 착용하는 반면에, 군화 등과 같이 활동과정에서 발목관절을 사이에 둔 다리와 발의 과도한 비틀림(twisting)이나 회전(rotating) 또는 굽힘(bending)으로 인한 발목삠(ankle sprain) 등과 같은 부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다리에 밀착되게 조여서 착용한다.
위와 같은 장화는 외부물질 침투 방지나 부상방지 등 많은 장점을 갖는 반면에, 착용자(wearer)의 발(foot)과 발목관절의 자연스러운 움직임(natural motion) 을 방해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평상화(general footwear)나 운동화(sport footwear) 및 무술화로는 장화보다 단화가 선호된다.
단화는 착용자의 민첩한 활동성을 보장하는 반면에, 발과 발목관절의 과도한 비틀림(twisting)이나 회전(rotating) 또는 굽힘(bending)을 방지할 수단이 없다.
그러므로, 운동화 중에서도 승마화(riding boots) 등과 같이 발목관절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그다지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장화가 선호되며, 농구화(basketball shoes) 등과 같이 활동성을 보장하면서도 발목관절의 부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반장화(semi-boots)라는 절충된 형태를 취하기도 한다.
그러나, 무술화나 야구화 등과 같이 활동성을 희생시킬 수 없는 분야에서는 부득이하게 단화를 착용할 수밖에 없고, 착용자는 항상 부상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활동편의성을 감안한 반장화 형태의 운동화를 개발하려는 시도는 부단히 있어 왔고, 이 발명의 발명자도 고안의 명칭이 "안전성 및 수명을 향상시킨 스포츠화"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1998-5838호와 "발목 보호부를 구비한 스포츠화"라는 고안의 명칭을 가진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2003-16830호를 한 바 있다.
또한, 고안의 명칭이 "운동화"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7-34804호나, 발명의 명칭이 "LIGHTWEIGHT ATHLETIC SHOE WITH FOOT AND ANKLE SUPPORT SYSTEMS"인 미국특허 5,430,960호나 "SHOE OR BOOT WITH ADJUSTABLE ANKLE COLLAR"인 미국특허 5,943,793호를 비롯한 반장화 형태의 많은 운동화가 제안되어 있다.
위 반장화 형태의 운동화들은 단화의 뒤축부분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의 윗부분까지 다리를 감싸서 착용하게 구성된 발목보호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반장화형 운동화들은 활동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제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농구화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여전히 수요자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착탈식 발목보호대가 부착된 운동화"라는 고안의 명칭을 가진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1989-5433호에서는 신발에 부착하여 착용할 수 있는 발목보호대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발목보호대는 지퍼를 이용하여 단화의 뒤축부분의 상단에 부착하게 구성된 것으로서, 이 발목보호대를 단화에 부착하면 종래의 반장화 형태의 운동화와 동일한 형태가 되고 만다.
특히, 태권도, 킥복싱, 쿵푸 및 합기도 등의 무술을 연마함에 있어 발을 이용하는 기술이 많다. 예를 들어, 태권도의 경우 앞차기, 옆차기, 뒤차기, 돌려차기 등 여러 발기술이 있다. 이런 기술들을 연마하기 위해 미트나 백 등을 발차기 연습하거나 서로 간에 대련하는데, 이 때 발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부상 등을 고려해 무술화를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무술화의 일종인 태권도화에 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1998-10426호, 2004-17642호 및 공개특허공보 2003-60859호 등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 공지된 무술화를 비롯하여 현재 유통되는 모든 무술화가 단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발과 발목관절의 과도한 비틀림(twisting)이나 회전(rotating) 또는 굽힘(bending)을 방지할 수단이 없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술화의 안쪽에서 무술화바닥에 부착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까지 다리를 감싸도록 구성하여 발목을 효율적으로 지지하면서도 발목의 유연성을 제공하는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무술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은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까지 다리를 감싸도록 착용할 수 있는 발목지지대가 무술화의 안쪽에서 무술화바닥에 부착된 무술화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여기에서 발목지지대를 무술화바닥에 부착한다고 함은 반드시 직접 부착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발목지지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술화바닥에 부착된 뒤축부분이나 발등부분에 부착하여도 무술화바닥에 부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현함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물론이고 특허청구의 범위를 기재함에 있어서도, 특별히 한정함이 없이 발목지지대를 무술화바닥에 부착한다는 것은 직접부착(direct attachment)과 간접부착(indirect attachment)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이 해하여야 한다.
간접부착에 있어서는 발목지지대를 가능한 한 무술화바닥과 인접한 위치에 부착하는 것이 양호하지만, 어떤 사정으로든 발목지지대를 무술화바닥으로부터 상당히 멀어진 위치에 부착한다고 할지라도 이는 단지 이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형태에 불과한 것이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무술화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무술화를 끈의 일부를 매지 않은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술화를 끈의 전부를 맨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무술화는 바닥부분(10 ; sole section), 등부분(20 ; upper section), 뒤축부분(30 ; heel section), 및 하부가 무술화의 안쪽에서 무술화바닥에 부착된 상태에서 뒤축부분의 상단으로 연장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을 사이에 둔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된 발목지지대(40 ; ankle support)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술화의 바닥부분의 일예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무술화의 바닥부분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바닥부분(10)은 밑창(110)과 안창(120)으로 구성되고, 여기에 연습이나 대련 시에 슬립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밑 창(110)의 여러 곳에 다수의 슬립저감 돌기(131)를 갖는 시트(130)를 갖는다. 이 때, 시트(130)는 슬립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리콘과 고무로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시트(130)는 착용자의 발이 지면과 맞닿는 앞축부위와 뒤축부위 및 발가락부위에 각각 재봉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바닥부분은 밑창(110)과 안창(120)의 사이에 쿠션층(140)을 삽입하여 발바닥의 감촉을 좋게 할 수 있다. 이 때, 밑창(110)은 합성피혁 판재(111)의 외측에 극세사로 구성된 부직포(112)를 일체로 부착 구성하여 부직포(112) 부분이 바닥에 닿게 함으로써, 바닥과의 마찰력을 맨발로 시합할 때처럼 아주 부드럽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밑창(110)의 바닥면 중에서 앞축부위와 뒤축부위에 고무판재(150, 151)를 일체로 재봉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이 때, 고무판재(150, 151)는 높낮이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동심원으로 구성하여 전달되는 힘의 크기에 따라 바닥에 닿는 고무면적의 크기가 달라지게 함으로써, 아주 미세한 차이의 마찰력 까지도 감지하여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등부분(20)은 착용자의 발끝을 덮게 구성된 토우탑(210 ; toe top)과, 안쪽 발등을 덮게 구성된 제1 뱀프(220 ; first vamp)와, 바깥쪽 발등을 덮게 구성된 제2 뱀프(230 ; second vamp), 및 제1 뱀프(220)의 측단과 제2 뱀프(230)의 측단을 서로 접근하게 끌어당기는 뱀프조임수단을 포함한다. 뱀프조임수단으로는 제1 뱀프(220)와 제2 뱀프(230)를 서로 간에 접근하게 끌어당기면서도 착용자의 발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표면 재질을 갖는 탄성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등부분(20)은 발차기 시에 상대방을 가격하는 부위에 해당함으로, 가격 시에 신체의 각 부위에 대한 부상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해야 한다. 따라서 등부분(20)은 천연가죽, 인조가죽 중에서 아주 부드러운 질감을 갖는 가죽을 사용하여 제작하고, 그 표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이유로, 이 실시예의 등부분(20)은 그 표면으로 표출되는 부분이 전혀 없도록 구성했다. 만약, 뱀프조임수단이 제1, 제2 뱀프(220, 230)의 측단을 따라 각각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멍과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끈으로 구성된다면, 끈 등이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그 부분을 마감 처리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한, 등부분(20) 중에서 착용자의 발등이 위치하는 부위에는 가격 시에 부상을 최소화하도록 쿠션부재를 그 내부에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등부분(20)에는 통기를 위한 다수의 통기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통기구는 이 실시예와 같이 등부분(20)의 전방 쪽에 골고루 형성된 다수의 통기구멍(240)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등부분(20) 전체에 걸쳐 골고루 다수의 통기구멍(240)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통기부는 토우탑(210) 및 제1, 제2 뱀프(220, 230)의 일부분을 망사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구성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발목지지대(40)는 그 하부가 무술화의 안쪽에서 무술화바닥에 부착된 상태에서 뒤축부분(30)의 상단으로 연장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을 사이에 둔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된다. 그 구성관계를 구체 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무술화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무술화의 안쪽에서 바닥에 부착한 발목지지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목지지대를 펼쳐 전개한 전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발목지지대(40)는 무술화의 안쪽에서 무술화바닥에 부착된 상태에서 무술화의 뒤축부분의 상단 너머로 노출되게 연장되어 착용자의 발목관절의 윗부분까지 감싸서 착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발목지지대(40)는 무술화의 안쪽에서 무술화바닥, 예를 들어, 중창의 상면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발목지지대(40)의 하부는 무술화의 안쪽에서 무술화바닥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410)을 갖는다.
도 5는 부착수단(410)을 밑창(110)과 안창(120) 사이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부착수단(410)은 무술화의 뒤축부분(30)이나 제1 뱀프(220) 또는 제2 뱀프(230)에 부착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부착수단(410)은 무술화바닥에 고정될 수만 있다면 어떻게 구성하든 무방하다. 부착수단(410)을 이루는 바닥은 일부분이 개방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모든 부분이 폐쇄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6은 일부분이 개방된 형태의 부착수단(410)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발목지지대(40)는 부착수단(410)이 무술화의 안쪽에서 무술화바닥에 부착된 상태에서 뒤축부분의 상단 너머로 돌출되게 연장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을 사이에 둔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함으로써 발목을 지지하는 지지수단(420)을 구비한다. 이러한 지지수단(420)의 상측에는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 분에서 다리를 감쌀 수 있게 구성된 착용수단(4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발목지지대(40)의 착용수단(430)은 착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삽입구(431)가 그 상단에 형성되고, 착용자의 발이 편리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방에 절개부(432)가 형성된다. 즉, 착용수단(430)은 착용자의 발등으로부터 정강이뼈를 따라 배치될 위치까지 절개된 상태로 구성된다. 이 때, 절개된 착용수단(430)의 제1 단이 제1 뱀프(220)의 측단으로부터 연속되게 연결되고, 제2 단이 제2 뱀프(230)의 측단으로부터 연속되게 연결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른 발목지지대(40)는 착용수단(430)의 절개부(432)의 양단을 서로 접근하게 끌어당겨 착용자의 발목에 밀착시키도록 끈으로 조일 수 있게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조임수단이 지지수단(420)의 양 측을 따라 각각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멍과 통상적인 무술화를 조이는 끈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지지수단(420)의 양 측 외면에 각각 결합되는 벨크로 파스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조임수단을 지지수단(420)의 양 단을 따라 각각 재봉 결합되는 슬라이드 파스너로 구성하거나, 지지수단(420)의 양 측 외면에 각각 결합되는 잠금부 및 잠금기능을 갖는 벨트로 구성된 벨트 타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조합하여 조임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수단(420) 및 착용수단(430)은 착용상태에서 상술한 조임수단들이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토우탑(210)에서 착용수단(430)의 단부까지 연장하는 설편(440 ; tongue)을 이용해 조임수단을 구성하는 관통구멍과 끈(428)이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설편 (440)의 내측에는 끈(428)이 끼워지는 끈 삽입부(441)가 형성되고, 이 끈 삽입부(441)에 끈(428)을 끼운 후에 매듭지음으로써, 설편(440)이 관통구멍과 끈(428)이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설편(440)의 내부에는 가격 시에 부상을 최소화하도록 쿠션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편(440) 대신에 도 8과 같이 일단이 등부분(20)의 일측과 발목지지대(40)의 일측에 고정되지만 타단은 자유로운 마감덮개(440a)를 이용해 관통구멍과 끈(428)이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마감덮개(440a)의 타단의 내측에 제1 벨크로 파스너(441a)를 부착하고, 제1 벨크로 파스너(441a)와 대응하는 위치의 등부분(20) 및 발목지지대(40)에 제2 벨크로 파스너(441a)를 부착함으로써, 관통구멍과 끈(428)이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마감덮개(440a)의 내부에는 가격 시에 부상을 최소화하도록 쿠션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발목지지대(40)는 절개부(432)가 없는 폐쇄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착용수단(430)을 신축이 가능한 탄성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양호하며, 지지수단(420)도 탄성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발목지지대(40)는 절개부(432)를 갖되, 절개부(432)를 탄성부재로 폐쇄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 실시예의 발목지지대(40)는 종래기술과 달리 하부가 무술화의 안쪽에 부착되어 무술화로부터 분리되지 않지만, 무술화의 뒤축부분과 발목지지대(40)의 지지수단(420)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발목지지대 (40)를 채용한 무술화는 착용자의 발목관절이 무술화에 구속되지 않고 발목지지대(40)와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발목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동작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이 실시예의 발목지지대(40)를 채용한 무술화는 발목지지대(40)의 하부가 무술화의 안쪽에 고정되기 때문에, 격한 움직임에 따른 무리한 충격이 발목에 가해지더라도 무술화와 발목지지대(40)가 동시에 지지하기 때문에 발목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발목지지대(40)는 지지수단(420)을 이종 재질로 구성하되 이들을 서로 재봉하여 결합하고, 조임수단을 관통구멍(427)과 끈(428)으로 구성하였다. 즉, 지지수단(420)의 상측에는 착용수단(430)이 형성되고, 이 착용수단(430)은 삽입구(431) 및 절개부(432)가 그 상단 및 전방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착용수단(430)을 착용자의 다리에 감싸서 착용하면, 발목지지대(40)는 착용자의 발이 발목관절을 중심으로 다리에 대해 적절한 범위를 벗어날 정도로 관절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실시예의 착용수단(430)은 지지수단(420)의 상단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의 다리를 감싸게 구성된 스트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수단(420)은 무술화의 뒤축부분에 무술화 내외부로의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통기부(421)와, 발목을 부분적으로 보강하는 보강스트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기부(421)는 무술화를 신고 운동(대련 포함)함에 따라 그 내부에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통기부(421)는 통풍이 원활한 구조를 갖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하되, 하부에서 일정 높이의 상부까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강스트립은 착용자의 발뒤꿈치의 아킬레스건을 따라 배치되어 착용수단(430)의 스트립과 부착수단(410)을 연결하게 구성된 제1 보강스트립(422)과, 착용자의 내측 복사뼈 상에 배치되어 착용수단(430)의 스트립과 부착수단(410)을 연결하게 구성된 제2 보강스트립(423), 및 착용자의 외측 복사뼈 상에 배치되어 착용수단(430)의 스트립과 부착수단(410)을 연결하게 구성된 제3 보강스트립(424)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보강스트립(422, 423, 424)을 포함하고 있지만, 그 중의 하나 이상을 생략해도 무방하다. 보강스트립은 운동에 임하기 전 발의 근육 신경이 급격히 이완되거나 수축되지 않도록 근육 신경을 따라 행하는 테이핑(Taping)의 역할도 한다. 이러한 보강스트립은 무술화의 재질과 동일하게 천연가죽, 인조가죽 중에서 아주 부드러운 질감을 갖는 가죽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착용수단(430)상의 스트립과 지지수단(420)상의 제1, 제2, 제3 보강스트립(422, 423, 424)의 전개된 형상이 엠(m)자를 이루게 된다. 이렇듯, 지지수단(420)은 발목을 감싸 지지함과 동시에, 보강스트립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발목과 발을 연결하는 발목관절 및 각종 인대(아킬레스건 포함)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지지수단(420)은 착용자가 앞으로 발목을 구부릴 경우 자연스럽게 접혀 착용자의 발목 유연성을 증대시키는 다수의 접힘부(425)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지지수단(420)은 그 양측이 요철 형태로 구성되어 다수의 접힘부(425)를 갖는 다. 이 때, 지지수단(420)은 그 상단에 돌출되는 형태의 발목 조임부(426)가 형성되어 발목을 효율적으로 조일 수 있다. 이러한 발목 조임부(426)는 착용수단(430)의 스트립의 양단과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지지수단(420)에는 절개부(432)의 양측을 연결하는 끈(428)이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구멍(427)이 각각 형성된다.
이 발명에 따른 무술화를 착용한 착용자는 발목관절이 무술화에 구속되지 않고 발목지지대와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발목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동작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이 발명은 발목지지대의 하부가 무술화의 안쪽에 부착되어 있어서, 격한 움직임에 따른 무리한 충격이 발목에 가해지더라도 무술화와 발목지지대가 동시에 지지하여 발목의 꺾임을 예방함에 따라 발목과 발을 연결하는 발목관절 및 각종 인대(아킬레스건 포함)를 효율적으로 보호하면서도, 착용자의 자유로운 발목 움직임이 가능하다.

Claims (1)

  1. 바닥부분(sole section)과 등부분(upper section) 및 뒤축부분(heel section)을 포함하는 무술화에 있어서,
    발목관절을 사이에 둔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되며 하부가 상기 무술화의 안쪽에 부착된 발목지지대(ankle support)를 포함하고,
    상기 등부분 및 상기 발목지지대를 착용자의 발과 다리에 조이는 조임수단이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마감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술화.
KR1020050116090A 2005-12-01 2005-12-01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무술화 KR20070057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090A KR20070057310A (ko) 2005-12-01 2005-12-01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무술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090A KR20070057310A (ko) 2005-12-01 2005-12-01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무술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310A true KR20070057310A (ko) 2007-06-07

Family

ID=3835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090A KR20070057310A (ko) 2005-12-01 2005-12-01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무술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73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0442B2 (en) Ankle support to be attached to footwear and footwear equipped with it
US20210177070A1 (en) Method including footwear and sock having aligning indicia
US9894956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customizable upper
US9532625B2 (en) Athletic shoe
US8156664B2 (en) Padded shoe
US8156665B2 (en) Padded shoe
AU2009266936B2 (en) Padded shoe
JP2018057836A (ja) 靴用アッパー
AU2007319507B2 (en) Padded shoe
US20150320139A1 (en) Barefoot shoe
US9668534B2 (en) Footwear
KR100720751B1 (ko) 신발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가부착된 신발
JPH0678801A (ja) 内部緊締装置を備えたスポーツ靴
KR200396954Y1 (ko) 검도용 실내 덧신
KR20070057310A (ko)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무술화
WO2013082385A1 (en) Improved athletic shoe
GB2612635A (en) Footwear with toe portions
KR100642322B1 (ko) 태권도화
KR20170108625A (ko) 운동용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